KR20120123200A - Resin composition, optical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Resin composition, optical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3200A
KR20120123200A KR1020120038423A KR20120038423A KR20120123200A KR 20120123200 A KR20120123200 A KR 20120123200A KR 1020120038423 A KR1020120038423 A KR 1020120038423A KR 20120038423 A KR20120038423 A KR 20120038423A KR 20120123200 A KR20120123200 A KR 20120123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meth
resin composition
film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4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아츠시 가나자와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120038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3200A/en
Publication of KR20120123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320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16Solid sphe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12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e.g. anisotropy, viscosity or electrical conductiv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3Prismatic sheet or layer; Brightness enhancement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PURPOSE: A resin composition is provided to effectively restrain insertion of bubbles and non-uniformity of haze generable on an optical film, which is obtained by spreading the resin composition on the substrate film. CONSTITUTION: A resin composition comprises a transparent resin or a mixture comprising a resin component and solvent forming the transparent resin, and a transparent particle. A surface tension of the mixture at 25 °C is 18-35 mN/m. The transparent particle has a minimum value of methanol concentration of aqueous methanol solution. The minimum value is 1.0-15.0 weight% at 25 °C. The optical film comprises a substrate film, and an anti-glare layer formed by the resin composition laminated on the substrate film. [Reference numerals] (20) Light source; (30) Detector; (40) Stirrer; (60) Pump

Description

수지 조성물, 광학 필름 및 액정 표시 장치{RESIN COMPOSITION, OPTICAL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RESIN COMPOSITION, OPTICAL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광학 필름 용도에 유용한, 투광성 미립자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는 수지층(방현층 등)을 구비하는 광학 필름 및 이것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is invention relates to th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ransluc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useful for an optical film use. Moreover, this invention relates to the optical film provided with the resin layer (antiglare layer etc.) formed from the said resin composition,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외광이 비춰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그 시인측 표면에 방현 필름 등의 광학 필름을 배치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방현 필름은, 예컨대, 투광성 미립자(비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도공액)을 기재 필름 상에 도공하여, 투광성 미립자에 기초한 표면 요철을 갖는 수지층을 형성함으로써 제작되고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2010-079099호 공보).In image display apparatuse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order to prevent external light from shining in, optical films, such as an anti-glare film, may be arrange | positioned on the visual recognition side surface. Such an anti-glare film is produced by, for example, coating a resin composition (coating solution) containing translucent fine particles (beads) on a base film to form a resin layer having surface irregularities based on the translucent fine particles (for example, Japanese patent). Publication 2010-079099).

투광성 미립자가 혼합 분산된 수지 조성물을 기재 필름 상에 도공함으로써 수지층을 형성한 종래의 광학 필름에 있어서는, 수지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투광성 미립자의 분산성이 양호하지 않기 때문에, 얻어지는 광학 필름에 헤이즈의 불균일이 생기거나, 수지층 속에 기포가 발생하여 외관 품질을 손상시키거나 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헤이즈의 불균일이나 기포의 발생은 광학 필름의 제품 수율을 저하시킨다. In the conventional optical film which formed the resin layer by coating the resin composition in which the translucent microparticles were mixed-dispersed on the base film, since the dispersibility of the transluc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in a resin composition is not favorable, the haze nonuniformity is obtained. This may occur, or air bubbles may occur in the resin layer to impair appearance quality. Nonuniformity of such a haze and generation | occurrence | production of a bubble reduce the product yield of an optical film.

본 발명의 목적은, 기재 필름 상에 도공하여 얻어지는 광학 필름에 생길 수 있는 헤이즈의 불균일 및 기포 혼입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투광성 미립자 함유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헤이즈의 불균일 및 기포의 발생이 억제된 광학 필름 및 이것을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containing resin composition capable of effectively suppressing nonuniformity and bubble mixing of haze that may occur in an optical film obtained by coating on a base film. Moreover, another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provide the optical film in which the nonuniformity of haze and the generation | occurrence | production of foam | bubble were formed using this resin composition,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his.

본 발명은 하기의 것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llowing.

[1] 투광성 수지 또는 이것을 형성하는 수지 성분 및 용제를 포함하는 혼합물과, 투광성 미립자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로서, [1] A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 light-transmissive resin or a mixture containing a resin component and a solvent forming the same, and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상기 혼합물의 25℃에 있어서의 표면 장력은 18 mN/m 이상 35 mN/m 이하이고, The surface tension at 25 degrees C of the said mixture is 18 mN / m or more and 35 mN / m or less,

상기 투광성 미립자는, 그 현탁 가능한 메탄올 수용액의 메탄올 농도의 하한치를 지니고, 이 하한치가 25℃에 있어서 1.0 중량% 이상 15.0 중량% 미만인 수지 조성물. The said light-transmitting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have a lower limit of the methanol concentration of the methanol solution which can be suspended, and this lower limit is 1.0 weight% or more and less than 15.0 weight% in 25 degreeC.

[2] 상기 투광성 미립자가, 폴리스티렌,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스티렌-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중합체로 구성되는 [1]에 기재한 수지 조성물. [2] The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1], in which the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are made of any poly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styrene, poly (meth) acrylate and polystyrene-poly (meth) acrylate copolymer.

[3] 상기 투광성 미립자의 함유량이, 상기 투광성 수지 또는 이것을 형성하는 수지 성분의 100 중량부에 대하여 25 중량부 이상 50 중량부 미만인 [1] 또는 [2]에 기재한 수지 조성물. [3] The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1] or [2], wherein the content of the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is 25 parts by weight or more and less than 50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light-transmissive resin or the resin component forming the same.

[4] 상기 투광성 미립자의 중량 평균 입경이, 5 ㎛ 이상 10 ㎛ 이하인 [1]?[3] 중 어느 것에 기재한 수지 조성물. [4] The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3], wherein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is 5 µm or more and 10 µm or less.

[5] 기재 필름과, 상기 기재 필름 상에 적층되고, [1]?[4] 중 어느 것에 기재한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는 방현층을 갖는 광학 필름. [5] An optical film having a base film and an antiglare layer laminated on the base film and formed of the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4].

[6] 백라이트 장치와, 광 편향 수단과, 제1 편광판과, 액정 셀과, 제2 편광판과, [5]에 기재한 광학 필름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 [6]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a backlight device, light deflection means, a first polarizing plate, a liquid crystal cell, a second polarizing plate, and the optical film described in [5] in this order.

[7] 상기 광 편향 수단은, 상기 제1 편광판에 대향하는 표면에 선형 프리즘을 복수 갖는 프리즘 필름을 2장 지니고, [7] The optical deflecting means has two prism films each having a plurality of linear prisms on a surface of the first polarizing plate,

한쪽의 프리즘 필름은, 그 선형 프리즘의 능선 방향이 상기 제1 편광판의 투과축에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고, 다른 쪽의 프리즘 필름은, 그 선형 프리즘의 능선 방향이 상기 제2 편광판의 투과축에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는 [6]에 기재한 액정 표시 장치. One prism film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ridge direction of the linear prism may becom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said 1st polarizing plate, and the other prism film has the ridge direction of the linear prism at the transmission axis of a said 2nd polarizing plate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s described in [6]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become substantially parallel.

[8] 상기 백라이트 장치와 상기 광 편향 수단의 사이에, 광 확산 수단을 더 구비하는 [6] 또는 [7]에 기재한 액정 표시 장치. [8] The liquid crystal display according to [6] or [7], further comprising a light diffusing means between the backlight device and the light deflecting means.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지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투광성 미립자의 분산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헤이즈의 불균일 및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는 수지층에 있어서의 기포의 발생이 억제된 광학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헤이즈의 균질성이 우수한 동시에 외관 품질도 우수하다. According to this invention, since the dispersibility of the transluc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in a resin composition is favorable, the optical film in which generation | occurrence | production of the bubble in the resin layer formed from the nonuniformity of a haze and the resin composition can be provided. The optical film of this invention is excellent in the homogeneity of a haze, and also excellent in appearance quality.

도 1은 투광성 미립자를 현탁할 수 있는 메탄올 수용액의 메탄올 농도의 하한치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되는 장치계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메탄올 농도와 레이저광의 투과율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바람직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바람직한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바람직한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방현성 편광판의 바람직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바람직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은 프리즘 필름이 갖는 선형 프리즘의 능선 방향과, 편광판의 투과축 방향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도로,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정면도, 도 10(b)는 도 10(a)의 평면(4b)을 그 수선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figure which shows typically the apparatus system for measuring the lower limit of the methanol concentration of the methanol aqueous solution which can suspend transluc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FIG. 2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thanol concentration obtained using the apparatus system shown in FIG. 1 and the transmittance of laser light.
It is a schematic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a preferable example of the optical film of this invention.
It is a schematic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another preferable example of the optical film of this invention.
It is a schematic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another preferable example of the optical film of this invention.
It is a schematic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a preferable example of the anti-glare polarizing plate of this invention.
It is a schematic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a preferable exampl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f this invention.
It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demonstrating the relationship of the ridge direction of the linear prism which a prism film has, and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a polarizing plate.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preferred exampl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view of a liquid crystal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a) is a front view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b) is a plane 4b of FIG. It is the figure seen from the direction.

<수지 조성물>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각종 광학 필름이 구비할 수 있는 수지층(수지 코팅층)을 형성하는 데 적합한, 투광성 미립자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이며, 구체적으로는, 투광성 수지 또는 이것을 형성하는 수지 성분 및 용제를 적어도 포함하는 혼합물과, 투광성 미립자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광중합개시제, 레벨링제, 분산제, 대전방지제, 방오제 등의 그 밖의 성분을 더 포함하고 있더라도 좋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투광성 미립자의 분산성이 우수하고, 이것을 기재 필름 상에 도공함으로써 형성되는 수지층을 갖는 광학 필름은, 헤이즈의 균질성이 우수한 동시에, 수지층에 있어서의 기포 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되고 있어 외관 품질이 우수하다. The resin composition of this invention is a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ransluc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suitable for forming the resin layer (resin coating layer) which various optical films can comprise, Specifically, a translucent resin or the resin component and solvent which form this It consists of a mixture containing at least and translucent microparticles. The resin composition of this invention may further contain other components, such as a photoinitiator, a leveling agent, a dispersing agent, an antistatic agent, and an antifouling agent. The resin composition of this invention is excellent in the dispersibility of transluc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The optical film which has a resin layer formed by coating this on a base film is excellent in the homogeneity of haze, and the bubble generation in a resin layer is suppressed effectively, There is excellent appearance quality.

(1) 수지(1) resin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투광성 수지 또는 이것을 형성하는 수지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열가소성 수지 등의 투광성 수지나, 투광성 수지를 형성하는 수지 성분으로서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 전자선 경화형 수지 등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열 경화형 수지, 금속 알콕시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수지 조성물의 도공 및 경화에 의해서 높은 경도를 보이고, 액정 표시 장치 표면에 설치하는 광학 필름으로서 높은 내찰과성이 부여된 수지층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가 적합하다. As a translucent resin contained in a resin composition or the resin component which forms this, for example, active energy-ray-curable resins, such as an ultraviolet curable resin and an electron beam curable resin, heat transmitting resin, such as a thermoplastic resin, a resin component which forms a translucent resin, and heat Curable resin, a metal alkoxide, etc. are mentioned. Especially, since the resin layer which showed high hardness by coating and hardening of a resin composition, and provided with high abrasion resistance as an optical film provided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surface can be formed, active-energy-ray-curable resin is suitable.

열 가소성 수지로서는, 아세틸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로오스, 아세틸부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초산비닐 및 그 공중합체, 염화비닐 및 그 공중합체, 염화비닐리덴 및 그 공중합체 등의 비닐계 수지;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부티랄 등의 아세탈계 수지; 아크릴 수지 및 그 공중합체, 메타크릴 수지 및 그 공중합체 등의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As a thermoplastic resin, Cellulose derivatives, such as acetyl cellulose, nitrocellulose, acetylbutyl cellulose, ethyl cellulose, and methyl cellulose; Vinyl resins such as vinyl acetate and its copolymers, vinyl chloride and its copolymers, vinylidene chloride and its copolymers; Acetal resins such as polyvinyl formal and polyvinyl butyral; (Meth) acrylic resins such as acrylic resins and copolymers thereof, methacryl resins and copolymers thereof; Polystyrene resin; Polyamide based resin; Polyester-based resin; Polycarbonate resin etc. are mentioned.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는,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이란, 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화합물이다. Active-energy-ray-curable resin may be a thing containing a polyfunctional (meth) acrylate compound. A polyfunctional (meth) acrylate compound is a compound which has at least 2 (meth) acryloyloxy group in a molecule | numerator.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구체예를 들면, 예컨대, 다가 알코올과 (메트)아크릴산과의 에스테르 화합물,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등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2개 이상 포함하는 다작용 중합성 화합물 등이다. Specific examples of the polyfunctional (meth) acrylate compound include, for example, an ester compound of a polyhydric alcohol and (meth) acrylic acid, a urethane (meth) acrylate compound, a polyester (meth) acrylate compound, and an epoxy (meth) acryl It is a polyfunctional polymeric compound containing two or more (meth) acryloyl groups, such as a late compound.

다가 알코올로서는, 예컨대,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테트라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프로판디올, 부탄디올, 펜탄디올, 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2-에틸-1,3-헥산디올, 2,2'-티오디에탄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과 같은 2가의 알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롤, 펜타에리스리톨, 디글리세롤, 디펜타에리스리톨, 디트리메틸올프로판과 같은 3가 이상의 알코올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polyhydric alcohols include ethylene glycol, diethylene glycol, triethylene glycol, tetraeth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dipropylene glycol, tripropylene glycol, tetrapropylene glycol, polypropylene glycol, propanediol, butanediol, and pentanediol. Dihydric alcohols such as hexanediol, neopentylglycol, 2-ethyl-1,3-hexanediol, 2,2'-thiodieethanol and 1,4-cyclohexanedimethanol; And trihydric or higher alcohols such as trimethylolpropane, glycerol, pentaerythritol, diglycerol, dipentaerythritol, and ditrimethylolpropane.

다가 알코올과 (메트)아크릴산과의 에스테르화물로서, 구체적으로는,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글리세롤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Specific examples of esterified products of polyhydric alcohols with (meth) acrylic acid include 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di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1,6-hexanediol di (meth) acrylate, and neo Pentyl glycol di (meth) acrylate, trimethylolpropane tri (meth) acrylate, trimethylolethane tri (meth) acrylate, tetramethylolmethane tri (meth) acrylate, 1,6-hexanedioldi (meth) Acrylate, tetramethylol methane tetra (meth) acrylate, pentaglycerol tri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tetra (meth) acrylate, glycerin tri (meth) acrylate, di 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tetra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penta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hexa (meth) There may be mentioned a methacrylate.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서는, 1 분자 중에 복수 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이소시아네이트와,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유도체의 우레탄화 반응물을 들 수 있다. 1 분자 중에 복수 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유기 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1 분자 중에 2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유기 이소시아네이트; 1 분자 중에 2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유기 이소시아네이트를 이소시아누레이트 변성, 어덕트 변성 또는 뷰렛 변성한 1 분자 중에 3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유기 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유도체로서는,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As a urethane (meth) acrylate compound, the urethane-ized reaction material of the isocyanate which has several isocyanate groups in one molecule, and the (meth) acrylic acid derivative which has a hydroxyl group is mentioned. As an organic isocyanate which has several isocyanate groups in 1 molecule, 1, such as hexamethylene diisocyanate, isophorone diisocyanate, tolylene diisocyanate, naphthalene diisocyanate, diphenylmethane diisocyanate, xylylene diisocyanate, dicyclohexyl methane diisocyanate, etc. Organic isocyanates having two isocyanate groups in the molecule; And organic isocyanates having three isocyanate groups in one molecule in which isocyanurate-modified, adduct-modified, or biuret-modified organic isocyanate having two isocyanate groups in one molecule. As a (meth) acrylic-acid derivative which has a hydroxyl group, 2-hydroxyethyl (meth) acrylate, 2-hydroxypropyl (meth) acrylate, 4-hydroxybutyl (meth) acrylate, 2-hydroxybutyl (meth ) Acrylate, 2-hydroxy-3-phenoxypropyl (meth) acrylate, and pentaerythritol triacrylate are mentioned.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서 바람직한 것은, 수산기 함유 폴리에스테르와 (메트)아크릴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이다.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수산기 함유 폴리에스테르는, 다가 알코올과 카르복실산이나 복수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화합물 및/또는 그 무수물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서 얻어지는 수산기 함유 폴리에스테르이다. 다가 알코올로서는 전술한 화합물과 같은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다가 알코올 이외에도, 비스페놀 A 등의 페놀류를 이용할 수 있다. 카르복실산으로서는, 포름산, 초산, 부틸카르복실산, 안식향산 등을 들 수 있다. 복수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화합물 및/또는 그 무수물로서는, 말레산, 프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아디프산, 테레프탈산, 무수 말레산, 무수 프탈산, 트리멜리트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As a polyester (meth) acrylate compound, polyester (meth) acrylate obtained by making a hydroxyl-containing polyester and (meth) acrylic acid react is preferable. The hydroxyl group containing polyester used preferably is the hydroxyl group containing polyester obtained by esterification of the compound which has a polyhydric alcohol, carboxylic acid, and some carboxyl group, and / or its anhydride. As a polyhydric alcohol, the same thing as the compound mentioned above can be illustrated. In addition to polyhydric alcohols, phenols such as bisphenol A can be used. Formic acid, acetic acid, butylcarboxylic acid, benzoic acid, etc. are mentioned as carboxylic acid. Examples of the compound having a plurality of carboxyl groups and / or anhydrides thereof include maleic acid, phthalic acid, fumaric acid, itaconic acid, adipic acid, terephthalic acid, maleic anhydride, phthalic anhydride, trimellitic acid and cyclohexanedicarboxylic anhydride. Can be.

이상과 같은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중에서도, 경화물(피막)의 강도 향상이나 입수 용이성의 점에서, 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에스테르 화합물;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부가체;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와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부가체;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부가체; 어덕트 변성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와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부가체; 및 뷰렛 변성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와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와의 부가체가 바람직하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는,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병용하여 이용할 수 있다. Among the above-mentioned multifunctional (meth) acrylate compounds, hexanediol di (meth) acrylate, neopentylglycol di (meth) acrylate, diethylene glycol from the point of the strength improvement and the availability of hardened | cured material (film). Ester compounds such as di (meth) acrylate, triprop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trimethylolpropane tri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and dipentaerythritol hexa (meth) acrylate; Adducts of hexamethylene diisocyanate and 2-hydroxyethyl (meth) acrylate; Adducts of isophorone diisocyanate and 2-hydroxyethyl (meth) acrylate; Adducts of tolylene diisocyanate and 2-hydroxyethyl (meth) acrylate; Adduct of adduct modified isophorone diisocyanate and 2-hydroxyethyl (meth) acrylate; And an adduct of biuret-modified isophorone diisocyanate with 2-hydroxyethyl (meth) acrylate.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active energy ray hardening type resin contains a urethane (meth) acrylate compound. A polyfunctional (meth) acrylate compound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s, respectively.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는, 상기한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외에, 단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더라도 좋다. 단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일모르폴린, N-비닐피롤리돈, 테트라히드로푸르프릴(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아세틸(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3-메톡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카르비톨(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페녹시(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사이드(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페놀(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사이드 변성 노닐페놀(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2-히드록시프로필프탈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트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레이트류를 들 수 있다. 단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 종류 이상을 병용하여 이용할 수 있다.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may contain a monofunctional (meth) acrylate compound in addition to the polyfunctional (meth) acrylate compound described above. As a monofunctional (meth) acrylate compound, For example, methyl (meth) acrylate, ethyl (meth) acrylate, butyl (meth) acrylate, isobutyl (meth) acrylate, t-butyl (meth) acrylate, 2-hydroxyethyl (meth) acrylate, 2-hydroxypropyl (meth) acrylate, hydroxybutyl (meth) acrylate, 2-hydroxybutyl (meth) acrylate, 2-hydroxy-3-phenoxy Cipropyl (meth) acrylate, glycidyl (meth) acrylate, acryloylmorpholine, N-vinylpyrrolidone, tetrahydrofurfuryl (meth) acrylate, cyclohexyl (meth) acrylate, 2- Ethylhexyl (meth) acrylate, isobornyl (meth) acrylate, acetyl (meth) acrylate, benzyl (meth) acrylate, 2-ethoxyethyl (meth) acrylate, 3-methoxybutyl (meth) Acrylate, ethylcarbitol (meth) acrylate, phenoxy (meth) ) Acrylate, ethylene oxide modified phenoxy (meth) acrylate, propylene oxide (meth) acrylate, nonylphenol (meth) acrylate, ethylene oxide modified (meth) acrylate, propylene oxide modified nonylphenol (meth) acrylate Methoxydiethylene glycol (meth) acrylate, 2- (meth) acryloyloxyethyl-2-hydroxypropyl phthalate, dimethylaminoethyl (meth) acrylate, methoxytriethylene glycol (meth) acrylate, and the like (Meth) acrylates are mentioned. A monofunctional (meth) acrylate compound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s, respectively.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는 중합성 올리고머를 함유하고 있더라도 좋다. 중합성 올리고머를 함유시킴으로써, 수지층의 경도를 조정할 수 있다. 중합성 올리고머는, 예컨대, 상기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즉, 다가 알코올과 (메트)아크릴산과의 에스테르 화합물,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또는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2량체, 3량체 등과 같은 올리고머일 수 있다.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may contain a polymerizable oligomer. By containing a polymerizable oligomer, the hardness of a resin layer can be adjusted. The polymerizable oligomer may be, for example, the polyfunctional (meth) acrylate compound, that is, an ester compound of a polyhydric alcohol and (meth) acrylic acid, a urethane (meth) acrylate compound, a polyester (meth) acrylate compound or an epoxy ( Oligomers such as dimers, trimers, etc., such as meth) acrylates.

또한, 그 밖의 중합성 올리고머로서, 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적어도 1개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다가 알코올과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들 수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중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적어도 1개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다가 알코올로서는, 다가 알코올과 (메트)아크릴산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서 얻어지는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이며, 다가 알코올로서, 예컨대,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린, 펜타에리스리톨, 디펜타에리스리톨 등인 것을 들 수 있다. 이 적어도 1개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다가 알코올은, 다가 알코올의 알코올성 수산기의 일부가 (메트)아크릴산과 에스테르화 반응하고 있는 동시에, 알코올성 수산기가 분자 중에 잔존하는 것이다. Moreover, as another polymerizable oligomer, the urethane (meth) acrylate oligomer obtained by reaction of the polyisocyanate which has at least 2 isocyanate group in a molecule | numerator, and the polyhydric alcohol which has at least 1 (meth) acryloyloxy group is mentioned. Can be. Examples of the polyisocyanate include polymers of hexamethylene diisocyanate, isophorone diisocyanate, tolylene diisocyanate, diphenylmethane diisocyanate, xylylene diisocyanate and the like. As a polyhydric alcohol which has at least 1 (meth) acryloyloxy group, it is a hydroxyl group containing (meth) acrylic acid ester obtained by esterification reaction of a polyhydric alcohol and (meth) acrylic acid, As a polyhydric alcohol, For example, 1, 3- butanediol And 1,4-butanediol, 1,6-hexanediol, diethylene glycol, triethylene glycol, neopentyl glycol, polyethylene glycol, polypropylene glycol, trimethylolpropane, glycerin, pentaerythritol, dipentaerythritol, and the like. . In this polyhydric alcohol having at least one (meth) acryloyloxy group, a part of the alcoholic hydroxyl group of the polyhydric alcohol is esterified with (meth) acrylic acid, and the alcoholic hydroxyl group remains in the molecule.

더욱이, 그 밖의 중합성 올리고머의 예로서, 복수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화합물 및/또는 그 무수물과, 적어도 1개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다가 알코올과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들 수 있다. 복수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화합물 및/또는 그 무수물로서는, 상기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에서 기재한 것과 같은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1개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다가 알코올로서는, 상기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서 기재한 것과 같은 것을 예시할 수 있다. Moreover, as an example of another polymerizable oligomer, the polyester (meth) acryl obtained by reaction of the compound which has a some carboxyl group, and / or its anhydride, and the polyhydric alcohol which has at least 1 (meth) acryloyloxy group And late oligomers. As a compound which has a some carboxyl group, and / or its anhydride, the thing similar to what was described by the polyester (meth) acrylate of the said polyfunctional (meth) acrylate compound can be illustrated. Moreover, as a polyhydric alcohol which has at least 1 (meth) acryloyloxy group, the thing similar to what was described by the said urethane (meth) acrylate oligomer can be illustrated.

이상과 같은 중합성 올리고머에 더하여, 또한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예로서, 수산기 함유 폴리에스테르, 수산기 함유 폴리에테르 또는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의 수산기에 이소시아네이트류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수산기 함유 폴리에스테르는, 다가 알코올과 카르복실산이나 복수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화합물 및/또는 그 무수물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서 얻어지는 수산기 함유 폴리에스테르이다. 다가 알코올이나, 복수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화합물 및/또는 그 무수물로서는, 각각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에서 기재한 것과 같은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수산기 함유 폴리에테르는, 다가 알코올에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알킬렌옥사이드 및/또는 ε-카프로락톤을 부가함으로써 얻어지는 수산기 함유 폴리에테르이다. 다가 알코올은, 상기 수산기 함유 폴리에스테르에 사용할 수 있는 것과 같은 것이라도 좋다.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중합성 올리고머의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서 기재한 것과 같은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류로서는, 분자 중에 1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나,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2가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o the polymerizable oligomers described above, examples of the urethane (meth) acrylate oligomers include compounds obtained by reacting isocyanates with hydroxyl groups of hydroxyl group-containing polyesters, hydroxyl group-containing polyethers or hydroxyl group-containing (meth) acrylic acid esters. Can be. The hydroxyl group containing polyester used preferably is the hydroxyl group containing polyester obtained by esterification of the compound which has a polyhydric alcohol, carboxylic acid, and some carboxyl group, and / or its anhydride. As a polyhydric alcohol, the compound which has a some carboxyl group, and / or its anhydride, the thing similar to what was described by the polyester (meth) acrylate compound of a polyfunctional (meth) acrylate compound, respectively can be illustrated. The hydroxyl group containing polyether used preferably is a hydroxyl group containing polyether obtained by adding 1 type, or 2 or more types of alkylene oxide and / or (epsilon) -caprolactone to a polyhydric alcohol. The polyhydric alcohol may be the same as that which can be used for the hydroxyl group-containing polyester. As hydroxyl-containing (meth) acrylic acid ester used preferably, the thing similar to what was described by the urethane (meth) acrylate oligomer of a polymeric oligomer can be illustrated. As the isocyanates,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isocyanate groups are preferable in the molecule, and divalent isocyanate compounds such as tolylene diisocyanate, hexamethylene diisocyanate and isophorone diisocyanate are particularly preferable.

상기한 중합성 올리고머 화합물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병용하여 이용할 수 있다. Said polymeric oligomer compound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s, respectively.

열 경화형 수지로서는, 아크릴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를 포함하는 열 경화형 우레탄 수지 외에, 페놀 수지, 요소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실리콘 수지를 들 수 있다. As a thermosetting resin, in addition to the thermosetting urethane resin containing an acryl polyol and an isocyanate prepolymer, a phenol resin, a urea melamine resin, an epoxy resin, a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and a silicone resin are mentioned.

금속 알콕시드로서는, 규소알콕시드계의 재료를 원료로 하는 산화규소계 매트릭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등이며, 가수분해나 탈수 축합에 의해 무기계 또는 유기 무기 복합계 매트릭스(투광성 수지)로 할 수 있다. As the metal alkoxide, a silicon oxide matrix based on a silicon alkoxide-based material can be used. Specifically, it is tetramethoxysilane, tetraethoxysilane, etc., and it can be set as an inorganic type or organic-inorganic composite matrix (translucent resin) by hydrolysis or dehydration condensation.

(2) 광중합개시제(2)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투광성 수지를 형성하는 수지 성분으로서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 수지 조성물은 광중합개시제(라디칼 중합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using ultraviolet curable resin as a resin component which forms a translucent resin, it is preferable that a resin composition contains a photoinitiator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광중합개시제로서는, 예컨대, 아세토페논계 광중합개시제, 벤조인계 광중합개시제, 벤조페논계 광중합개시제, 티오크산톤계 광중합개시제, 트리아진계 광중합개시제, 옥사디아졸계 광중합개시제 등이 이용된다. 또한, 광중합개시제로서, 예컨대,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2,2'-비스(o-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1,2'-비이미다졸, 10-부틸-2-클로로아크리돈, 2-에틸안트라퀴논, 벤질, 9,10-페난트렌퀴논, 캄파퀴논, 페닐글리옥실산메틸, 티타노센 화합물 등도 이용할 수 있다. 광중합개시제의 사용량은, 통상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수지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20 중량부이며, 바람직하게는 1?5 중량부이다. As a photoinitiator, an acetophenone type photoinitiator, a benzoin type photoinitiator, a benzophenone type photoinitiator, a thioxanthone type photoinitiator, a triazine type photoinitiator, an oxadiazole type photoinitiator, etc. are used, for example. Moreover, as a photoinitiator, For example, 2,4,6-trimethylbenzoyl diphenyl phosphine oxide, 2,2'-bis (o-chlorophenyl) -4,4 ', 5,5'- tetraphenyl- 1, 2'-biimidazole, 10-butyl-2-chloroacridone, 2-ethylanthraquinone, benzyl, 9,10-phenanthrenequinone, camphorquinone, methyl phenylglyoxylate, titanocene compound and the like can also be used. . The usage-amount of a photoinitiator is 0.5-20 weight part with respect to 100 weight part of resin components normally contained in a resin composition, Preferably it is 1-5 weight part.

(3) 용제(3) solvent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용제는 유기 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용제로서는, 헥산, 시클로헥산, 옥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에탄올, 1-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1-부탄올, 시클로헥산올 등의 알코올류;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초산에틸, 초산부틸, 초산이소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등의 글리콜에테르류;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테르화 글리콜에테르류; 2-메톡시에탄올, 2-에톡시에탄올, 2-부톡시에탄올 등의 셀루솔브류; 2-(2-메톡시에톡시)에탄올, 2-(2-에톡시에톡시)에탄올, 2-(2-부톡시에톡시)에탄올 등의 카르비톨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solvent contained in a resin composition is an organic solvent. As an organic solvent, Aliphatic hydrocarbons, such as hexane, cyclohexane, an octane; Aromatic hydrocarbons such as toluene and xylene; Alcohols such as ethanol, 1-propanol, isopropanol, 1-butanol and cyclohexanol; Ketones such as methyl ethyl ketone, methyl isobutyl ketone and cyclohexanone; Esters such as ethyl acetate, butyl acetate and isobutyl acetate; Glycol ethers such as 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di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nd propylene glycol monoethyl ether; Esterified glycol ethers such as 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and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Cellulsolves such as 2-methoxyethanol, 2-ethoxyethanol and 2-butoxyethanol; Carbitols such as 2- (2-methoxyethoxy) ethanol, 2- (2-ethoxyethoxy) ethanol, 2- (2-butoxyethoxy) ethanol and the like can be used.

용제는, 1 종만을 단독으로 이용하더라도 좋고, 필요에 따라서 복수 종을 혼합하여 이용하더라도 좋다. 수지 조성물 도공 후에는, 상기 유기 용제를 증발시킬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용제의 비점은 60℃?16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0℃에 있어서의 포화 증기압은 0.1 kPa?20 kPa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Solvent may be used individually by 1 type, and may mix and use multiple types as needed. After coating of the resin composition, it is necessary to evaporate the organic solvent.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boiling point of a solvent is the range of 60 degreeC-160 degreeC.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aturated vapor pressure in 20 degreeC is 0.1 kPa-20 kPa.

여기서,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투광성 수지 또는 이것을 형성하는 수지 성분 및 용제를 포함하는 상술한 혼합물, 즉, 투광성 미립자를 포함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수지 조성물과 동일한 조성인 조성물(수지 조성물이 광중합개시제, 레벨링제, 분산제, 대전방지제, 방오제 등의 그 밖의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혼합물은 해당 그 밖의 성분도 포함함)의 25℃에 있어서의 표면 장력은 18 mN/m 이상 35 mN/m 이하가 된다. 표면 장력이 18 mN/m 미만이면, 기재 필름에 대한 수지 조성물의 습윤성이 지나치게 높아져, 도공층 표면의 평활성이 과도하게 상승하여, 수지층에 일반적으로 부여되는 방오 기능이 저하된다. 한편, 표면 장력이 35 mN/m를 넘으면, 기재 필름에 대한 수지 조성물의 습윤성이 지나치게 낮아져, 도공층 표면의 평활성이 악화된다. 상기 혼합물의 표면 장력은 바람직하게는 20 mN/m 이상 30 mN/m 이하이다. Here, a composition having the same composition as the resin composition except that the above-mentioned mixture containing the translucent resin constituting the resin composition or the resin component and the solvent forming the resin composition, ie, the transparent microparticles (the resin composition is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 leveling agent). , In the case of containing other components such as a dispersant, an antistatic agent, and an antifouling agent, the surface tension at 25 ° C. of the above-mentioned mixture also includes the other components) is 18 mN / m or more and 35 mN / m or less. . If surface tension is less than 18 mN / m, the wettability of the resin composition with respect to a base film will become high too much, the smoothness of the surface of a coating layer will rise excessively, and the antifouling function generally given to a resin layer will fall. On the other hand, when surface tension exceeds 35 mN / m, the wettability of the resin composition with respect to a base film will become low too much, and the smoothness of the surface of a coating layer will deteriorate. The surface tension of the mixture is preferably 20 mN / m or more and 30 mN / m or less.

상기 혼합물의 표면 장력은, 투광성 수지 또는 이것을 형성하는 수지 성분의 종류, 용제의 종류, 혹은 이들의 혼합 비율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레벨링제 등의 첨가제를 가함으로써 표면 장력을 조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투광성 수지 또는 이것을 형성하는 수지 성분으로서, 상술한 것 중에서 표면 장력이 25?45 mN/m 정도인 것을 선택하고, 용제로서, 상술한 것 중에서 표면 장력이 20?40 mN/m 정도인 것을 선택하여, 이들의 비율을 조정하여 혼합함으로써 원하는 표면 장력을 갖는 혼합물을 얻을 수 있다. The surface tension of the said mixture can be adjusted with the kind of translucent resin or the resin component which forms this, the kind of solvent, or these mixing ratios. Surface tension can also be adjusted by adding additives, such as a leveling agent. For example, as the translucent resin or the resin component forming the same, a surface tension of about 25 to 45 mN / m is selected from the above, and as a solvent, a surface tension of about 20 to 40 mN / m among the above is selected. By selecting and adjusting these ratios, a mixture having a desired surface tension can be obtained.

상기 혼합물의 표면 장력의 수치는 펜던트?드롭법(현적법)에 의해 측정되는 수치이다. The numerical value of the surface tension of the said mixture is a numerical value measured by the pendant-drop method (prevention method).

(4) 투광성 미립자(4)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투광성 미립자는, 현탁(분산) 가능한 메탄올 수용액의 메탄올 농도의 하한치(이하, 현탁 메탄올 농도 하한치라고도 함)가, 25℃에 있어서 1.0 중량% 이상 15.0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이상 13.0 중량%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다. 타케이 외, 도공공학, Vol. 32, No. 6, 1997, 218-223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이, 현탁 메탄올 농도 하한치(투광성 미립자의 현탁이 시작되는 메탄올 농도)에 있어서의 메탄올 용액의 표면 장력은, 투광성 미립자의 표면 장력과 대략 동등한 바, 현탁 메탄올 농도 하한치가 1.0 중량% 미만인(즉, 투광성 미립자가, 메탄올 농도가 1.0 중량% 미만인 메탄올 수용액에도 현탁하는) 경우에는, 투광성 미립자의 표면 장력과, 상기 혼합물의 표면 장력과의 차가 커지기 때문에, 상기 혼합물에의 투광성 미립자의 분산성이 불량으로 되어, 얻어지는 광학 필름에 헤이즈 불균일이 생기거나, 수지층 중에 기포가 발생하여 외관 품질을 손상시키거나 한다. As for the transluc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contained in a resin composition, the lower limit (henceforth a suspension methanol concentration lower limit) of the methanol solution of the methanol solution which can be suspended (dispersed) is 1.0 weight% or more and less than 15.0 weight%, Preferably it is 3.0 in 25 degreeC. It is in the range of 1 weight% or more and 13.0 weight% or less. Takei et al., Coating Engineering, Vol. 32, no. As described in 6, 1997, 218-223, the surface tension of the methanol solution at the lower limit of the suspended methanol concentration (the methanol concentration at which suspending of the translucent microparticles begins) is approximately equal to the surface tension of the translucent microparticles. When the methanol concentration lower limit is less than 1.0 wt% (that is, the light transmitting fine particles are suspended even in an aqueous methanol solution having a methanol concentration of less than 1.0 wt%), the difference between the surface tension of the light transmitting fine particles and the surface tension of the mixture increases. The dispersibility of the transluc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to a mixture will become inferior, haze nonuniformity arises in the optical film obtained, or a bubble will generate | occur | produce in a resin layer, and an appearance quality will be impaired.

한편, 현탁 메탄올 농도 하한치가 15.0 중량% 이상인(즉 메탄올 농도를 15.0 중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투광성 미립자가, 메탄올 수용액에 비로소 현탁하는) 경우에는, 투광성 미립자의 표면 장력이 지나치게 낮아, 마찬가지로 상기 혼합물에의 투광성 미립자의 분산성이 불량으로 되어, 얻어지는 광학 필름에 헤이즈 불균일이 생기거나, 수지층 중에 기포가 발생하여 외관 품질을 손상시키거나 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lower limit of the suspended methanol concentration is 15.0 wt% or more (that is, when the translucent microparticles are suspended in an aqueous methanol solution only when the methanol concentration is 15.0 wt% or more), the surface tension of the translucent microparticles is too low. The dispersibility of the transluc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of this becomes poor, a haze nonuniformity arises in an optical film obtained, or a bubble arises in a resin layer, and damages external appearance quality.

현탁 메탄올 농도 하한치가, 25℃에 있어서 1.0 중량% 이상 15.0 중량% 미만인 투광성 미립자를 이용함으로써, 투광성 미립자의 표면 장력과, 상기 혼합물의 표면 장력과의 차가 충분히 작아지므로, 투광성 미립자를 상기 혼합물에 양호하게 분산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헤이즈의 균질성이 우수한 동시에, 수지층에 있어서의 기포 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된 광학 필름을 얻을 수 있다. Sin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surface tension of the translucent microparticles and the surface tension of the mixture is sufficiently small by using the transparent methanol having a lower limit of suspended methanol concentration of 1.0 wt% or more and less than 15.0 wt% at 25 ° C, the translucent microparticles are good for the mixture. It can disperse | distribute easily, and the optical film which was excellent in the homogeneity of haze and the generation | occurrence | production of the bubble in a resin layer was suppressed effectively by this can be obtained.

현탁 메탄올 농도 하한치(투광성 미립자의 현탁이 시작되는 메탄올 농도)는, 도 1에 도시되는 것과 같은 장치계를 이용하여 측정된다. 도 1에 도시되는 장치계는, 순수(80)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10)(예컨대 몸통 외경 55 mm, 높이 73 mm의 100 mL 비이커); 용기(10) 내에 수용되는 교반자(50); 교반자(50)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터러(마그네틱 스터러)(40); He-Ne 레이저광을 용기(10)의 측면으로부터 조사하기 위한 광원(20); 조사되는 레이저광의 연장선상이며, 레이저광이 조사되는 용기(10)의 측면에 대향하는 측면 쪽에 배치되는 검출기(30); 및 용기(10) 내에 메탄올(90)을 적하하기 위한 펌프(60)를 구비한다. The lower limit of the suspended methanol concentration (the methanol concentration at which suspension of the translucent fine particles starts) is measured using an apparatus system such as that shown in FIG. 1. The apparatus system shown in FIG. 1 includes a container 10 for receiving pure water 80 (eg, a 100 mL beaker with a body outer diameter of 55 mm and a height of 73 mm); A stirrer 50 received in the vessel 10; A stirrer (magnetic stirrer) 40 for rotating the stirrer 50; A light source 20 for irradiating He-Ne laser light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10; A detector 30 that is in the form of an extension line of the laser light to be irradiated and is disposed on a side surface opposite to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10 to which the laser light is irradiated; And a pump 60 for dropping methanol 90 into the vessel 10.

현탁 메탄올 농도 하한치는, 도 1에 도시되는 장치계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된다. 우선, 용기(10)에 100 mL의 순수(80)(25℃)를 넣는다. 이어서, 순수 표면에 100 mg의 투광성 미립자(70)를 띄우고, 스터러(40) 및 교반자(50)를 이용하여 순수(80)를 교반한다(교반자(50)의 회전 속도 200 rpm). 이후, 이 교반을 계속한다. 이어서, 교반 하의 순수(80)에, 펌프(60)를 이용하여 메탄올(90)(25℃)을 3 mL/min의 속도로 적하한다. 메탄올(90)의 적하와 동시 또는 그 전에, 광원(20)을 이용하여, 용기(10)의 측면으로부터 He-Ne 레이저광 조사를 시작하는 동시에, 용기(10)를 통해 광원(20)과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검출기(30)에 의해 투과한 레이저광의 광 강도를 검출하여, 레이저광의 투과율을 모니터한다. The lower limit of the suspended methanol concentration is measured as follows using the apparatus system shown in FIG. 1. First, 100 mL of pure water 80 (25 ° C.) is added to the container 10. Subsequently, 100 mg of the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70 are floated on the pure water surface, and the pure water 80 is stirred using the stirrer 40 and the stirrer 50 (rotational speed of the stirrer 50 at 200 rpm). Thereafter, this stirring is continued. Subsequently, methanol 90 (25 ° C.) is added dropwise to the pure water 80 under stirring using a pump 60 at a rate of 3 mL / min. Simultaneously with or before the dropping of methanol 90, the He-Ne laser light irradiation is started from the side of the container 10 using the light source 20, while facing the light source 20 through the container 10. The light intensity of the laser beam transmitted by the detector 30 at the position to be detected is detected, and the transmittance of the laser beam is monitored.

상기한 메탄올의 적하를 진행시켜 가면, 도 2에 도시되는 것과 같이, 용기(10) 내의 메탄올 수용액의 메탄올 농도가 어느 일정치에 달했을 때에, 투광성 미립자(70)의 현탁이 시작되는 결과, 레이저광 투과율의 급격한 감소가 관측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현탁 메탄올 농도 하한치란, 레이저광의 투과율이 급격한 감소를 시작하는 메탄올 농도,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되는 장치계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메탄올 농도와 레이저광 투과율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곡선에 있어서의, 투과율이 급격한 감소를 시작하기 전의 곡선 부분의 접선과 투과율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는 곡선 부분의 접선과의 교점에 있어서의 메탄올 농도 A이다. As the dropping of the above methanol proceeds, as shown in FIG. 2, when the methanol concentration of the aqueous methanol solution in the container 10 reaches a certain value, the suspension of the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70 starts, resulting in a laser beam. A sharp decrease in transmittance is observed. The lower limit of the suspended methanol concentr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ethanol concentration at which the transmittance of the laser light begins to decrease sharply, and 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2, the methanol concentration and the laser light obtained by using the apparatus system shown in FIG. 1. Methanol concentration A in the intersection of the tangent of the curve part before a sudden decrease of a transmittance, and the tangent of the curved part in which the transmittance is decreasing rapidly in the graph curve which shows the relationship with a transmittance | permeability.

상기 소정의 현탁 메탄올 농도 하한치를 갖는 투광성 미립자로서는, 시판품을 이용할 수도 있지만, 소정의 현탁 메탄올 농도 하한치를 갖지 않는 시판품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순수 등에 의해 세정을 행함으로써 현탁 메탄올 농도 하한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투광성 미립자(중합체를 포함하는 투광성 미립자)는 유화 중합 또는 현탁 중합에 의해서 제조되고 있어, 표면에 유화제를 비롯한 계면활성제가 잔류하고 있다. 투광성 미립자를 순수 등으로 세정하여, 계면활성제의 잔류량을 저감시킴으로써, 현탁 메탄올 농도 하한치를 높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세정 조건을 조정함으로써 현탁 메탄올 농도 하한치의 조정이 가능하다. 반대로, 투광성 미립자에 계면활성제를 함유시킴으로써, 현탁 메탄올 농도 하한치를 낮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함유시키는 계면활성제의 양을 조정함으로써 현탁 메탄올 농도 하한치의 조정이 가능하다. Although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can also be used as the transluc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which have the said predetermined suspended methanol concentration lower limit, when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which does not have a predetermined suspended methanol concentration lower limit, it is possible to adjust a suspended methanol concentration lower limit by washing with pure water. Do. Generally, the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containing a polymer) are produced by emulsion polymerization or suspension polymerization, and a surfactant including an emulsifier remains on the surface. The lower limit of the suspended methanol concentration can be increased by washing the light transmitting fine particles with pure water or the like and reducing the residual amount of the surfactant. In this case, the lower limit of the suspended methanol concentration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washing conditions. In contrast, the lower limit of the suspended methanol concentration can be lowered by including the surfactant in the light transmitting fine particles. In this case, the lower limit of suspension methanol concentration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the surfactant to be contained.

투광성 미립자는, 투광성을 갖는 유기 미립자 또는 무기 미립자일 수 있다. 예컨대, 폴리스티렌,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트 및 메타크릴레이트계 모노머와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와의 공중합체를 포함함〕, 폴리스티렌-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멜라민 수지, 폴리에틸렌, 유기 실리콘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유기 미립자나, 탄산칼슘, 실리카, 산화알루미늄, 탄산바륨, 황산바륨, 산화티탄, 유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무기 미립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유기 중합체의 벌룬이나 유리 중공 비드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소정의 현탁 메탄올 농도 하한치를 보이는 미립자를 얻기 쉬우므로, 폴리스티렌,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스티렌-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중 어느 중합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ight transmitting fine particles may be organic fine particles or inorganic fine particles having light transmitting properties. For example, polystyrene, poly (meth) acrylate [including copolymers of polymethacrylate, polyacrylate and methacrylate monomers and acrylate monomers], polystyrene-poly (meth) acrylate copolymers, Organic fine particles which consist of a melamine resin, polyethylene, an organic silicone resin, etc., inorganic fine particles which consist of calcium carbonate, silica, aluminum oxide, barium carbonate, barium sulfate, titanium oxide, glass, etc. are mentioned. Moreover, the balloon of an organic polymer, and glass hollow beads can also be used. Especially, since the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which show predetermined suspension methanol concentration lower limit are easy to be obtaine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comprised from any polymer of a polystyrene, a poly (meth) acrylate, or a polystyrene- poly (meth) acrylate copolymer.

한편, 투광성 미립자로서, 1 종류의 미립자만을 이용하더라도 좋고, 2 종류 이상의 미립자를 이용하더라도 좋다. 투광성 미립자의 형상은, 구형, 편평형, 판형, 바늘형, 부정형상 등 어느 것이라도 좋지만, 구형 또는 대략 구형이 바람직하다. As the light transmitting fine particles, only one type of fine particles may be used, or two or more types of fine particles may be used. The shape of the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may be any of spherical, flat, plate, needle, and indefinite shapes, but a spherical or substantially spherical shape is preferable.

투광성 미립자의 중량 평균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10 ㎛ 이하이며, 또한, 수지 조성물 중의 투광성 미립자의 함유량은, 투광성 수지 또는 이것을 형성하는 수지 성분의 100 중량부에 대하여 25 중량부 이상 50 중량부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투광성 미립자의 중량 평균 입경 및 함유량을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수지 조성물을 기재 필름 상에 도공하여 방현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넓은 시야각에 있어서 신틸레이션 등의 표시 품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높은 정면 콘트라스트 및 투과 화상 선명도를 얻을 수 있다. 투광성 미립자의 중량 평균 입경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6 ㎛ 이상 9 ㎛ 이하이며, 투광성 미립자의 함유량은, 투광성 수지 또는 이것을 형성하는 수지 성분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중량부 이상 40 중량부 이하이다.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is preferably 5 μm or more and 10 μm or less, and the content of the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in the resin composition is 25 parts by weight or more and 50 weight part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light-transmissive resin or the resin component forming the sam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less than a part. By carrying out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and content of a translucent microparticle in the said range, when coating a resin composition on a base film and forming an anti-glare layer, the fall of display quality, such as scintillation, can be suppressed at a wide viewing angle, and high Front contrast and transmission image clarity can be obtained.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is more preferably 6 µm or more and 9 µm or less, and the content of the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is more preferably 25 parts by weight or mor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light-transmissive resin or the resin component forming the same. It is below a weight part.

한편, 투광성 미립자의 중량 평균 입경은, 코울터 원리(세공 전기 저항법)에 기초한 코울터 멀티사이저(베크만코울터사 제조)를 이용하여 측정된다. 투광성 미립자로서 중량 평균 입경이 다른 2 종 이상의 투광성 미립자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중량 평균 입경은, 투광성 미립자 중 가장 큰 중량 평균 입경을 갖는 투광성 미립자의 중량 평균 입경이다. In addition,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a translucent microparticle is measured using the Coulter multisizer (made by Beckman Coulter) based on the Coulter principle (pore electrical resistance method). When using 2 or more types of translucent microparticles from which a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differs as a translucent microparticle, the said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is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translucent microparticle which has the largest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among the transluc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투광성 미립자의 굴절율은, 수지층을 구성하는 투광성 수지의 굴절율보다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차는 0.04?0.1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투광성 미립자와 투광성 수지와의 굴절율차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수지층이 방현층인 경우에 있어서, 방현층에 입사한 빛에 대하여, 방현층 표면의 요철에 의한 표면 산란뿐만 아니라, 상기 굴절율차에 의한 적절한 내부 산란을 발현시킬 수 있어, 신틸레이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굴절율차가 0.1 이하이면, 광학 필름의 백화를 억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o make refractive index of transluc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larg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ranslucent resin which comprises a resin layer,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difference is the range of 0.04-0.1. By setting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and the light-transmissive resin within the above range, when the resin layer is an anti-glare layer, not only the surface scattering due to irregularities on the surface of the anti-glare layer, Appropriate internal scattering can be expressed, and the occurrence of scintillation can be suppressed. Moreover, since it exists in the tendency to suppress whitening of an optical film, when said refractive index difference is 0.1 or less, it is preferable.

<광학 필름> <Optical film>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기재 필름과, 기재 필름 상에 적층되어, 상술한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는 수지층(전형적으로는 방현층이지만, 이 이외의 광학 기능을 갖는 층이라도 좋음)을 구비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바람직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되는 광학 필름(100)은, 기재 필름(101)과, 기재 필름(101) 상에 적층된 방현층(102)을 구비한다. 방현층(102)은, 투광성 수지(103)를 기재로 하는 층이며, 투광성 수지(103) 중에 투광성 미립자(104)가 분산되어 이루어진다. 방현층(102)은, 상술한 수지 조성물을 기재 필름(101) 상에 도공, 건조한 후, 필요에 따라서 경화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3의 광학 필름(100)에 있어서 방현층(102)의 표면에는 분산 혼합된 투광성 미립자(104)에 의해서 미세한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The optical film of this invention is laminated | stacked on a base film and a base film, and is provided with the resin layer (typically an anti-glare layer, but may be a layer which has an optical function other than this) formed from the resin composition mentioned above. . It is a schematic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a preferable example of the optical film of this invention. The optical film 100 shown in FIG. 3 includes a base film 101 and an antiglare layer 102 laminated on the base film 101. The antiglare layer 102 is a layer based on the light transmissive resin 103, and the light transmissive fine particles 104 are dispersed in the light transmissive resin 103. The anti-glare layer 102 is formed by coating and drying the resin composition mentioned above on the base film 101, and hardening as needed. In the optical film 100 of FIG. 3, fine irregularitie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antiglare layer 102 by the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 dispersed and mixed.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투광성 미립자의 분산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수지층(방현층(10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헤이즈의 균질성이 우수한 동시에, 수지층에 있어서의 기포의 발생이 억제되고 있어 외관 품질이 우수하다. In the optical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sin layer (antiglare layer 102) is formed using a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dispersibility of the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the homogeneity of the haze is excellent, and the generation of bubbles in the resin layer It is suppressed and is excellent in appearance quality.

한편,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기재 필름과 수지층(방현층(102))과의 사이에 다른 층(접착제층을 포함함)을 갖고 있더라도 좋다. In addition, the optical film of this invention may have another layer (including adhesive layer) between a base film and a resin layer (anti-glare layer 102).

(1) 기재 필름(1) base film

기재 필름(101)은 투광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며, 투광성 재료로서는, 예컨대 유리나 플라스틱 재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플라스틱 재료로서는 적절한 투명성 및 기계 강도를 갖는 것이 이용되며, 예컨대, TAC(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기재 필름(101)의 두께는, 예컨대 10?500 ㎛이며, 광학 필름의 박막화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300 ㎛이다. The base film 101 contains a translucent material, and glass, a plastic material, etc. can be used as a translucent material, for example. As a plastic material, what has appropriate transparency and mechanical strength is used, For example, polyester resins, such as cellulose acetate-type resins, such as TAC (triacetylcellulose), (meth) acrylic-type resin, polycarbonate resin,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And polyolefin resins such as polypropylene. The thickness of the base film 101 is 10-500 micrometers, for example, Preferably it is 10-300 micrometers from a viewpoint of thinning of an optical film.

(2) 방현층(2) antiglare layer

방현층(102)은, 투광성 수지(103)를 기재로 하는 층이며, 투광성 수지(103) 중에 투광성 미립자(104)가 분산되어 이루어진다. 투광성 수지(103)는, 수지 조성물이 투광성 수지를 함유하는 것인 경우에는, 그 투광성 수지 그 자체이며, 수지 조성물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열 경화형 수지, 금속 알콕시드 등의 수지 성분을 함유하는 것인 경우에는 이들의 경화물이다. 즉, 수지 조성물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열 경화형 수지 또는 금속 알콕시드를 함유하는 것인 경우는,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 또는 가열에 의해 그 수지를 경화시킴으로써 투광성 수지(103)가 형성된다. The antiglare layer 102 is a layer based on the light transmissive resin 103, and the light transmissive fine particles 104 are dispersed in the light transmissive resin 103. The translucent resin 103 is the translucent resin itself when the resin composition contains the translucent resin, and the resin composition contains resin components such as active energy ray curable resins, thermosetting resins, and metal alkoxides. If it is, these are hardened | cured materials. That is, when the resin composition contains an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a thermosetting resin or a metal alkoxide, the translucent resin 103 is formed by curing the resin by irradiation or heating of the active energy ray.

방현층(102)의 층 두께(T)는,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2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 이상 18 ㎛ 이하이다. 이에 따라, 넓은 시야각에 있어서 신틸레이션 등의 표시 품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높은 정면 콘트라스트 및 투과 화상 선명도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방현층(102)의 층 두께(T)란, 방현층(102)의 기재 필름(101)에 대향하는 쪽의 면에서부터 반대쪽의 면까지의 최대 두께를 말한다(도 3 참조). The layer thickness T of the antiglare layer 102 is preferably 10 µm or more and 20 µ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12 µm or more and 18 µm or less. Thereby, the fall of display quality, such as scintillation, can be suppressed in a wide viewing angle, and high front contrast and transparent image clarity can be obtained. In addition, the layer thickness T of the antiglare layer 102 means the maximum thickness from the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substrate film 101 of the antiglare layer 102 (see FIG. 3).

(3)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3)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film

본 발명에 따른 도 3에 도시되는 광학 필름(100)은 다음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서 적합하게 제조할 수 있다. The optical film 100 shown in FIG. 3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suitably by the method containing the following process.

(A) 기재 필름(101) 상에, 투광성 미립자(104)를 함유하는 상술한 수지 조성물을 도공하여 도공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A) Process of coating the above-mentioned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ransluc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104 on the base film 101, and forming a coating layer, and

(B) 도공층을 기재 필름(101) 상에 고착시킴으로써 방현층(102)을 형성하는 공정. (B) Process of forming anti-glare layer 102 by fixing a coating layer on the base film 101.

수지 조성물의 기재 필름(101) 상에의 도공은, 예컨대 그라비아코트법, 마이크로그라비아코트법, 로드코트법, 나이프코트법, 에어나이프코트법, 키스코트법, 다이코트법 등에 의해서 행할 수 있다. Coating on the base film 101 of a resin composition can be performed by the gravure coat method, the microgravure coat method, the rod coat method, the knife coat method, the air knife coat method, the kiss coat method, the die coat method, etc., for example.

수지 조성물의 도공성 개량 또는 방현층(102)과의 접착성 개량을 목적으로 하여, 기재 필름(101)의 표면(방현층(102)측 표면)에는 각종 표면 처리를 실시하더라도 좋다. 표면 처리로서는, 코로나 방전 처리, 글로우 방전 처리, 산 표면 처리, 알칼리 표면 처리, 자외선 조사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기재 필름(101) 상에, 예컨대 프라이머층 등의 다른 층을 형성하고, 이 다른 층 위에 수지 조성물을 도공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coatability of the resin composition or improving the adhesion with the antiglare layer 102, the surface of the base film 101 (surface of the antiglare layer 102 side) may be subjected to various surface treatments. Examples of the surface treatment include corona discharge treatment, glow discharge treatment, acid surface treatment, alkali surface treatment, ultraviolet irradiation treatment, and the like. In addition, you may form another layer, such as a primer layer, on the base film 101, and to apply a resin composition on this other layer.

또한, 광학 필름을, 후술하는 편광 필름의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재 필름(101)과 편광 필름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기재 필름(101)의 표면(방현층(102)과는 반대쪽의 표면)을 각종 표면 처리(산 처리 또는 알칼리 처리 등)에 의해서 친수화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when using an optical film as a protective film of the polarizing film mentioned later, in order to improve the adhesiveness of the base film 101 and a polarizing film, the surface of the base film 101 (antiglare layer 102 and Is preferably hydrophilized by various surface treatments (acid treatment or alkali treatment).

이어서, 상기 공정(B)에 있어서, 도공층을 기재 필름(101) 상에 고착시켜 방현층(102)을 형성하여, 광학 필름을 얻는다. 구체적으로는, 수지 조성물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열 경화형 수지 또는 금속 알콕시드를 함유하는 경우는, 건조(용매의 제거)를 행한 후, 도공층에 대하여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거나(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 또는 가열함으로써(열 경화형 수지 또는 금속 알콕시드를 이용하는 경우), 도공층을 경화시킨다.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수지 성분의 종류에 따라서 자외선, 전자선, 근자외선, 가시광, 근적외선, 적외선, X선 등에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이들 중에서 자외선, 전자선이 바람직하고, 특히 취급이 간편하고 고에너지를 얻을 수 있으므로 자외선이 바람직하다. Next, in the said process (B), a coating layer is fixed on the base film 101, the anti-glare layer 102 is formed, and an optical film is obtained. Specifically, when the resin composition contains an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a thermosetting resin, or a metal alkoxide, after performing drying (removal of a solvent), the active layer is irradiated to the coating layer (active energy ray By using curable resin) or by heating (using thermosetting resin or metal alkoxide), the coating layer is cured. As an active energy ray, although it can select suitably from ultraviolet-ray, an electron beam, near-ultraviolet, visible light, near-infrared, infrared rays, X-rays, etc. according to the kind of resin component contained in a resin composition, among these, an ultraviolet-ray and an electron beam are preferable, and handling is especially easy. Ultraviolet light is preferable because it is simple and high energy can be obtained.

자외선의 광원으로서는, 예컨대, 저압 수은등, 중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카본아크등, 메탈할라이드 램프, 크세논 램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ArF 엑시머 레이저, KrF 엑시머 레이저, 엑시머 램프 또는 싱크로트론 방사광 등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초고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저압 수은등, 크세논아크, 메탈할라이드 램프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As the ultraviolet light source, for example, a low pressure mercury lamp, a medium pressure mercury lamp, a high pressure mercury lamp, an ultra high pressure mercury lamp, a carbon arc lamp, a metal halide lamp, a xenon lamp, or the like can be used. Moreover, ArF excimer laser, KrF excimer laser, an excimer lamp, a synchrotron radiation, etc. can also be used. Among these, an ultra high pressure mercury lamp, a high pressure mercury lamp, a low pressure mercury lamp, a xenon arc, and a metal halide lamp are used preferably.

또한, 전자선으로서는, 콕크로프트-월턴형, 반데그라프형, 공진 변압형, 절연 코어 변압형, 직선형, 다이나미트론형, 고주파형 등의 각종 전자선 가속기로부터 방출되는 50?1000 keV, 바람직하게는 100?300 keV의 에너지를 갖는 전자선을 들 수 있다. The electron beam may be 50 to 1000 keV, preferably 100, emitted from various electron beam accelerators such as cockcroft-walton type, van degraf type, resonant transformer type, insulating core transformer type, linear type, dynamtron type, and high frequency type. Electron beams with an energy of? 300 keV.

한편, 수지 조성물이 열가소성 수지 등의 투광성 수지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건조(용매의 제거)를 행하거나, 또는 건조를 행한 후, 도공층을 연화 또는 용융시키고, 그 후 도공층을 냉각함으로써, 광학 필름을 제작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a resin composition contains translucent resins, such as a thermoplastic resin, after drying (removing a solvent) or drying, a coating layer is softened or melted, and after that an optical coating layer is cooled, A film can be produced.

예컨대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 롤형으로 감겨진 기재 필름(101)을 연속적으로 송출하는 공정, 투광성 미립자(104) 및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도공하여, 건조시키는 공정, 도공층을 경화시켜 방현층(102)을 형성하는 공정 및 얻어진 광학 필름을 권취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광학 필름을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using an ultraviolet curable resin, for example, a step of continuously sending the base film 101 wound in a roll shape, a step of coating and drying a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104 and the ultraviolet curable resin, and coating An optical film can be manufactured continuously by the method including the process of hardening a layer and forming the anti-glare layer 102, and the process of winding up the obtained optical film.

본 발명의 광학 필름에 있어서, 방현층(102)이 갖는 표면 요철은, 주형(예컨대 엠보스 롤)의 표면을 전사함으로써, 혹은 샌드 블라스트 가공에 의해 형성된 것이라도 좋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작되는 광학 필름의 개략 단면도를 도 4에 도시한다. 예컨대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 원하는 요철 형상의 전사 구조를 표면에 갖는 주형을 이용하여, 도공층의 표면에 주형의 그 표면을 꽉 누른 상태에서, 기재 필름(101) 측에서부터 도공층에 대하여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되는 것과 같은 광학 필름을 제작할 수 있다. In the optical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antiglare layer 102 may be formed by transferring the surface of a mold (for example, an emboss roll) or by sand blasting. The schematic sectional drawing of the optical film produced by this method is shown in FIG. For example, using an ultraviolet curable resin, for example, using a mold having a transfer structure having a desired uneven shape on the surface, the coating layer is pressed from the base film 101 side while the surface of the mold is pressed against the surface of the coating layer. By irradiating an ultraviolet-ray with respect to it, the optical film as shown in FIG. 4 can be produced.

(4) 광학 필름의 다른 실시형태(4) Other Embodiment of Optical Film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방현층(102) 상(기재 필름(101)과는 반대쪽의 면)에 적층된 투광성 수지를 포함하는 투광성 수지층을 갖는 것이라도 좋다. 도 5에 도시되는 투광성 수지층(105)과 같이, 이 투광성 수지층은, 주형(예컨대 엠보스 롤)의 표면을 전사함으로써, 혹은 샌드 블라스트 가공에 의해 형성된 표면 요철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투광성 수지층을 구비하는 광학 필름에 있어서, 방현층(102)의 표면은 평활면이라도 좋다. 이러한 평활면은, 예컨대 경면을 갖는 주형의 그 경면을 도공층의 표면에 꽉 누른 상태에서 도공층을 경화시키는 방법 등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The optical film of this invention may have a translucent resin layer containing the translucent resin laminated | stacked on the glare-proof layer 102 (surface opposite to the base film 101). Like the translucent resin layer 105 shown in FIG. 5, this translucent resin layer may have surface irregularities formed by transferring the surface of a mold (for example, an emboss roll) or by sand blasting. In the optical film provided with such a transparent resin layer, the surface of the antiglare layer 102 may be a smooth surface. Such a smooth surface can be formed by the method of hardening a coating layer, for example, pressing the mirror surface of the mold which has a mirror surface tightly to the surface of a coating layer.

또한,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방현층(102) 상(기재 필름(101)과는 반대쪽의 면)에 적층된 반사 방지층을 더 구비하고 있더라도 좋다. 반사 방지층은 방현층(102) 상에 직접 형성하더라도 좋고, 투명 필름 상에 반사 방지층을 형성한 반사 방지 필름을 별도 준비하여, 이것을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방현층(102)에 적층하더라도 좋다. 반사 방지층은, 반사율을 끝없이 낮게 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것으로, 반사 방지층의 형성에 의해, 표시 화면에 비춰 들어가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반사 방지층으로서는, 방현층(102)의 굴절율보다도 낮은 재료로 구성된 저굴절율층; 방현층(102)의 굴절율보다 높은 재료로 구성된 고굴절율층과, 이 고굴절율층의 굴절율보다 낮은 재료로 구성된 저굴절율층과의 적층 구조 등을 들 수 있다. 반사 방지 필름을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방현층(102)에 적층하는 경우, 시판되는 반사 방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ptical film of this invention may further be provided with the anti-reflective layer laminated | stacked on the anti-glare layer 102 (the surface opposite to the base film 101). The antireflection layer may be directly formed on the antiglare layer 102, or an antireflection film having an antireflection layer formed on a transparent film may be separately prepared and laminated on the antiglare layer 102 using an adhesive or an adhesive. The antireflection layer is provided in order to lower the reflectance endlessly, and by forming the antireflection layer,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reflection on the display screen. Examples of the antireflection layer include a low refractive index layer made of a material low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antiglare layer 102; The laminated structure of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which consists of a material high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anti-glare layer 102, and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which consists of a material low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is high refractive index layer is mentioned. When laminating the antireflection film on the antiglare layer 102 using an adhesive or an adhesive, a commercially available antireflection film can be used.

<방현성 편광판> <Anti-glare Polarizing Plate>

상술한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편광판과 조합함으로써 방현성 편광판으로 할 수 있다. 방현성 편광판은, 편광 기능과 방현 기능을 갖는 다기능 필름이다. 본 발명의 방현성 편광판은, 적어도 편광 필름을 갖는 편광판과, 기재 필름 측이 상기 편광판에 대향하도록 상기 편광판 상에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을 통해 적층된 상기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을 구비하는 것이다. 편광판은 종래 공지된 구성이라도 좋으며, 예컨대, 편광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보호 필름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편광판은 편광 필름 그 자체라도 좋다. The optical film of this invention mentioned above can be made into an anti-glare polarizing plate by combining with a polarizing plate. An anti-glare polarizing plate is a multifunctional film having a polarizing function and an anti-glare function. The anti-glare polarizing plate of this invention is equipped with the polarizing plate which has a polarizing film at least, and the optical film of this invention laminated | stacked through the adhesive layer or the adhesive bond layer on the said polarizing plate so that the base film side may face the said polarizing plate. The polarizing plate may have a conventionally known configuration, and for example, generally has a protective film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olarizing film. In addition, the polarizing plate may be a polarizing film itself.

도 6은 본 발명의 방현성 편광판의 바람직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되는 방현성 편광판(400)은, 편광 필름(401)과, 편광 필름(401)의 한쪽의 면에 점착된 보호 필름(402)과, 다른 쪽의 면에 점착된 광학 필름(100)을 구비한다. 광학 필름(100)은, 그 기재 필름(101) 측이 편광판의 편광 필름(401)에 대향하도록 점착되어 있다. 광학 필름(100) 및 보호 필름(402)은, 도시하지 않는 접착제층을 통해 편광 필름(401)에 점착된다. 이러한, 편광 필름과 광학 필름이 접착제층을 통해 점착되는 구성, 즉 광학 필름을 편광 필름의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구성은 방현성 편광판의 박막화에 유리하다. It is a schematic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a preferable example of the anti-glare polarizing plate of this invention. The anti-glare polarizing plate 400 illustrated in FIG. 6 includes a polarizing film 401, a protective film 402 adhered to one surface of the polarizing film 401, and an optical film 100 adhered to the other surface. ). The optical film 100 is stuck so that the base film 101 side may face the polarizing film 401 of a polarizing plate. The optical film 100 and the protective film 402 are adhere | attached to the polarizing film 401 through the adhesive bond layer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Such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olarizing film and the optical film are adhered through the adhesive layer, that is,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optical film is used as a protective film of the polarizing film is advantageous for thinning of the anti-glare polarizing plate.

편광 필름(401)으로서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초산비닐계 수지, 에틸렌/초산비닐(EVA)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을 포함하는 필름에, 이색성 염료 또는 요오드를 흡착 배향시킨 것이나, 분자적으로 배향한 폴리비닐알코올 중에, 폴리비닐알코올의 이색성 탈수 생성물(폴리비닐렌)이 배향된 분자쇄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폴리비닐렌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이색성 염료 또는 요오드를 흡착 배향시킨 것이 편광 필름(401)으로서 적합하게 사용된다. 편광 필름(401)의 두께에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일반적으로는 편광판의 박형화 등의 관점에서, 100 ㎛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0 ㎛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25?35 ㎛의 범위이다. As the polarizing film 401, for example, a dichroic dye in a film containing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polyvinyl acetate-based resin, ethylene / vinyl acetate (EVA) -based resin, polyamide-based resin, polyester-based resin, or the like Or a polyvinyl alcohol / polyvinylene copolymer containing molecular chains in which the dichroic dehydration product (polyvinylene) of polyvinyl alcohol is oriented in adsorption-oriented or molecularly oriented polyvinyl alcohol of iodine. The film etc. which are mentioned are mentioned. In particular, what adsorbed and oriented a dichroic dye or iodine to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s suitably used as the polarizing film 401. Although there is no limitation in particular in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film 401, Generally, from a viewpoint of thickness reduction of a polarizing plate, etc., 100 micrometers or less are preferable, More preferably, it is the range of 10-50 micrometers, More preferably, it is 25-35 micrometers. Range.

편광 필름(401)에 점착되는 보호 필름(402)은, 저복굴절성으로,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 안정성 및 수분 차폐성 등이 우수한 폴리머를 포함하는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필름으로서는, 예컨대, TAC(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4불화에틸렌/6불화프로필렌계 공중합체와 같은 불소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의 수지를 필름형으로 성형 가공한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편광 특성이나 내구성 등의 점에서, 표면을 알칼리 등으로 비누화 처리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이나, 노르보넨계 열 가소성 수지 필름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노르보넨계 열 가소성 수지 필름은, 내습열성이 높기 때문에, 편광판의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흡습성이 적기 때문에, 치수 안정성이 높아, 특히 적합하다. The protective film 402 adhered to the polarizing film 401 is preferably a film containing a polymer having low birefringence and excellent in transparency, mechanical strength, thermal stability, moisture shielding, and the like. As such a film, For example, Cellulose acetate type resins, such as TAC (triacetyl cellulose); (Meth) acrylic resins; Fluorine resins such as tetrafluoroethylene / hexafluoropropylene copolymers; Polycarbonate resin; Polyester-based resin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imide resin; Polysulfone resins; Polyether sulfone type resin; Polystyrene resin; Polyvinyl alcohol-based resins; Polyvinyl chloride resins; The thing which molded-processed resin, such as polyolefin resin or polyamide resin, into a film form is mentioned. Among them, a triacetyl cellulose film obtained by saponifying a surface with an alkali or the like or a norbornene-based thermoplastic resin film can be preferably used in terms of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and durability. Since norbornene-type thermoplastic resin films have high moisture and heat resistance, the durability of the polarizing plate can be greatly improved, and since the hygroscopicity is low, the dimensional stability is high and is particularly suitable.

필름에의 성형 가공은, 캐스팅법, 카렌더법, 압출법의 종래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보호 필름(402)의 두께에 한정은 없지만, 편광판의 박막화 등의 관점에서 500 ㎛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300 ㎛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5?150 ㎛의 범위이다. The shaping | molding process to a film can use the conventionally well-known method of the casting method, the calendar method, and the extrusion method. Although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film 402 is not limited, 500 micrometers or less are preferable from a viewpoint of thinning of a polarizing plate, etc., More preferably, it is the range of 5-300 micrometers, More preferably, it is the range of 5-150 micrometers.

이상과 같은 구성의 방현성 편광판은, 전형적으로는,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되는 경우, 광학 필름(100)이 광출사측(시인측)으로 되도록 점착제층 등을 통해 액정 셀의 유리 기판에 점착된다. The anti-glare polarizing plate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typically adhered to the glass substrate of the liquid crystal cell throug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r the like so that the optical film 100 becomes the light exit side (viewing side) when applied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본 발명의 광학 필름 또는 방현성 편광판을 구비하는 것이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백라이트 장치와, 광 편향 수단과, 제1 편광판(백라이트측 편광판)과, 액정 셀과, 제2 편광판(시인측 편광판)과, 상기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을 이 순서로 구비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바람직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되는 액정 표시 장치(500)는, 노멀 화이트 모드의 TN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이며, 백라이트 장치(502), 광확산판(503), 광 편향 수단으로서의 2장의 프리즘 필름(504a, 504b), 제1 편광판(505), 1쌍의 투명 기판(511a, 511b) 사이에 액정층(512)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액정 셀(501) 및 제2 편광판(506)과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름(507)을 포함하는 방현성 편광판이 이 순서로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방현성 편광판은, 그 편광 필름 측이 액정 셀(501)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Next,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f this invention is equipped with the optical film or anti-glare polarizing plate of the said this invention. 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cklight device, a light deflection means, a first polarizing plate (backlit side polarizing plate), a liquid crystal cell, a second polarizing plate (viewing side polarizing plate), and the above pattern. The optical film of this invention is provided in this order. It is a schematic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a preferable exampl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f this inventi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500 shown in FIG. 7 is a TN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a normal white mode, and includes two prism films 504a and 504b as a backlight device 502, a light diffusion plate 503, and a light deflecting means. ), The first polarizing plate 505, the liquid crystal cell 501 and the second polarizing plate 506 in which the liquid crystal layer 512 is formed between the pair of transparent substrates 511a and 511b, and the optical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anti-glare polarizing plate containing 507 is arrange | positioned in this order. The anti-glare polarizing plate is disposed such that the polarizing film side faces the liquid crystal cell 501.

광확산판(503)의 광 출사면의 수선은, 도 7에 도시되는 Z축과 대략 평행하다. 한편, 광확산판(503)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백라이트 장치(502)의 광 출사면(개구부)의 수선이, Z축과 대략 평행하게 된다. 또한, 프리즘 필름(504a, 504b)의 광 입사면의 수선도 또한 Z축과 대략 평행하다. The repair line of the light exit surface of the light diffusion plate 503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Z axis shown in FIG. 7. On the other hand, when the light diffusion plate 503 is not provided, the repair line of the light exit surface (opening) of the backlight device 502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Z axis. Moreover, the repair of the light incident surface of the prism films 504a and 504b is also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Z axis.

도 8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편광판(505)과 제2 편광판(506)은, 이들의 투과축(각각 Y 방향, X 방향)이 직교 니콜의 관계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2장의 프리즘 필름(504a, 504b)은 각각, 광입사면 측(백라이트 장치(502))이 평탄면이며, 광출사면(제1 편광판(505)에 대향하는 표면) 측에, 선형 프리즘(541a, 541b)이 평행하게 복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프리즘 필름(504a)은, 그 선형 프리즘(541a)의 능선(542a) 방향이 제1 편광판(505)의 투과축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고, 프리즘 필름(504b)은, 그 선형 프리즘(541b)의 능선(542b) 방향이 방현성 편광판을 구성하는 제2 편광판(506)의 투과축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만, 프리즘 필름(504b)의 선형 프리즘(541b)의 능선(542b) 방향이 제1 편광판(505)의 투과축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하고, 프리즘 필름(504a)의 선형 프리즘(541a)의 능선(542a) 방향이 방현성 편광판을 구성하는 제2 편광판(506)의 투과축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액정 표시 장치를 노멀 블랙 모드로 하는 경우에는, 제1 편광판(505)의 투과축 방향과 제2 편광판(506)의 투과축 방향이 평행하게 되도록 설치하면 된다. As shown in FIG. 8, the 1st polarizing plate 505 and the 2nd polarizing plate 506 are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se transmission axes (Y direction, X direction, respectively) may become orthogonal Nicole relationship. In addition, each of the two prism films 504a and 504b has a light incidence surface side (backlight device 502) on a flat surface, and a linear prism on the light emission surface (surface facing the first polarizing plate 505) side. A plurality of 541a and 541b are formed in parallel. And the prism film 504a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ridgeline 542a of the linear prism 541a may becom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1st polarizing plate 505, and the prism film 504b is the linear It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ridge line 542b of the prism 541b may b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2nd polarizing plate 506 which comprises an anti-glare polarizing plate. However, the direction of the ridge line 542b of the linear prism 541b of the prism film 504b is disposed to b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first polarizing plate 505, and the linear prism 541a of the prism film 504a.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 position so that the direction of ridgeline 542a may becom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2nd polarizing plate 506 which comprises an anti-glare polarizing plate. On the other hand, when sett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o the normal black mode,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provide so that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1st polarizing plate 505 and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2nd polarizing plate 506 may become parallel.

도 7을 참조하여, 이러한 구성의 액정 표시 장치(500)에 있어서, 백라이트 장치(502)로부터 방사된 빛은, 광확산판(503)에 의해서 확산된 후, 프리즘 필름(504a)에 입사된다. 제1 편광판(505)의 투과축 방향에 직교하는 수직 단면(ZX면)에 있어서, 프리즘 필름(504a)의 하면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입사된 빛은, 정면 방향으로 진로가 바뀌어 출사된다. 이어서, 프리즘 필름(504b)에 있어서, 제2 편광판(506)의 투과축 방향에 직교하는 수직 단면(ZY면)에 있어서, 프리즘 필름(504b)의 하면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입사된 빛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정면 방향으로 진로가 바뀌어 출사된다. 따라서, 2장의 프리즘 필름(504a, 504b)을 통과한 빛은, 어느 쪽의 수직 단면에 있어서도 정면 방향(Z 방향)으로 집광된 것으로 되어, 정면 방향의 휘도가 향상된다.Referring to FIG. 7,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50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light emitted from the backlight device 502 is diffused by the light diffusion plate 503 and then incident on the prism film 504a. In the vertical cross section (ZX plane) orthogonal to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1st polarizing plate 505, the light inclined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rism film 504a turns out to a front direction, and will be emitted. Subsequently, in the prism film 504b, in the vertical cross section (ZY plane) orthogonal to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506, light incident obliquely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rism film 504b is as described above. Similarly, the course changes in the front direction and exits. Therefore, the light which passed the two prism films 504a and 504b is condensed in the front direction (Z direction) also in any vertical cross section, and the brightness of a front direction improves.

그리고,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편광판(505)의 투과축(5a) 및 제2 편광판(506)의 투과축(6a)에 대하여 대략 45°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과 평행하고 또한 정면 방향(Z 방향)에 평행한 평면(4b) 내에 있어서, 정면 방향(Z 방향)에 대하여 크게 경사지는 방향, 예컨대, 정면 방향(Z 방향)과 이루는 각도(β)가 +35?+60°, -35?-60°가 되는 범위의 방향에 있어서의 휘도가 저하된다. 이에 따라, 얻어지는 액정 표시 장치(500)에 있어서는, 편광판의 투과축으로부터 대략 45° 방향에 있어서의 「블랙 플로팅」이 저감된다. 「블랙 플로팅」이란, 흑 표시일 때에 흰 빛을 띠게 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And as shown to FIG. 10 (a) and FIG. 10 (b), about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transmission axis 5a of the 1st polarizing plate 505, and the transmission axis 6a of the 2nd polarizing plate 506. In the plane 4b parallel to the angle forming direction and parallel to the front direction (Z direction), the angle (β) with the direction which is greatly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ront direction (Z direction), for example, the front direction (Z direction) ) Is reduced in the direction of the range of +35? + 60 ° and -35? -60 °. Thereby,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500 obtained, "black floating" in the approximately 45 degree direction is reduced from the transmission axis of a polarizing plate. The term "black floating"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a white color appears when black display is performed.

재차 도 7을 참조하면, 정면 방향으로 지향성이 부여된 빛은, 제1 편광판(505)에 의해서 원 편광에서 직선 편광으로 되어 액정 셀(501)에 입사된다. 액정 셀(501)에 입사된 빛은, 전장(電場)에 의해서 제어된 액정층(512)의 배향에 의해서 화소마다 편광면이 제어되어 액정 셀(501)로부터 출사된다. 그리고, 액정 셀(501)로부터 출사된 빛은 제2 편광판(506) 및 광학 필름(507)을 지나 표시면 측에 출사된다. Referring again to FIG. 7, the light imparted with directivity in the front direction is incident on the liquid crystal cell 501 by the first polarizing plate 505 from linearly polarized light to linearly polarized light. Light incident on the liquid crystal cell 501 is emitted from the liquid crystal cell 501 by controlling the polarization plane for each pixel by the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layer 512 controlled by the electric field.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quid crystal cell 501 passes through the second polarizing plate 506 and the optical film 507 and is emitted to the display surface side.

이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500)에서는, 2장의 프리즘 필름(504a, 504b)을 구비함으로써, 액정 셀(501)에 입사하는 빛의 정면 방향으로의 지향성이 높다. 이에 따라, 정면 방향의 휘도가 향상되는 동시에, 편광판의 투과축으로부터 45° 방향에 있어서의 「블랙 플로팅」이 저감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름(507)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정면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초래하는 일없이, 넓은 시야각에 있어서 신틸레이션 등의 표시 품위의 문제를 일으키기 어렵게 되고, 또한, 높은 투과 화상 선명도를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500, by providing two prism films 504a and 504b, directivity toward the front direction of light incident on the liquid crystal cell 501 is high. Thereby, the brightness of the front direction improves, and "black floating" in the 45 degree direction is reduced from the transmission axis of a polarizing plate. Moreover, since the optical film 507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used, it becomes difficult to produce the problem of display quality, such as scintillation, in a wide viewing angle, without causing the fall of front contrast, and also high transmit image clarity. You can get it.

이하,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부재에 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al member which comprises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in detail.

〔액정 셀〕[Liquid crystal cell]

액정 셀(501)은, 도시하지 않는 스페이서에 의해 소정 거리를 이격하여 대향 배치된 1쌍의 투명 기판(511a, 511b)과, 이 1쌍의 투명 기판(511a, 511b) 사이에 액정을 봉입하여 이루어지는 액정층(512)을 구비한다. 1쌍의 투명 기판(511a, 511b)에는, 각각 투명 전극이나 배향막이 적층 형성되어 있고, 투명 전극 사이에 표시 데이터에 기초한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액정이 배향된다. 액정 셀(501)의 표시 방식은 상기한 예에서는 TN 방식이지만, IPS 방식, VA 방식 등의 표시 방식이라도 좋다. The liquid crystal cell 501 encapsulates a liquid crystal between a pair of transparent substrates 511a and 511b which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 a spacer (not shown), and the pair of transparent substrates 511a and 511b. A liquid crystal layer 512 is provided. A transparent electrode and an oriented film are laminated | stacked and formed in each pair of transparent substrate 511a, 511b, and a liquid crystal is orientated by applying the voltage based on display data between transparent electrodes. Although the display system of the liquid crystal cell 501 is a TN system in the above-mentioned example, display systems, such as an IPS system and a VA system, may be sufficient.

〔백라이트 장치〕[Backlight device]

백라이트 장치(502)는, 상면 개구의 직방체 형상의 케이스(521)와, 케이스(521) 내에 복수 라인 병렬 배치된, 선형 광원으로서의 냉음극관(522)을 구비한다. 케이스(521)는, 수지 재료나 금속 재료로 성형되어 이루어지고, 냉음극관(522)으로부터 방사된 빛을 케이스 내주면에서 반사시킨다는 관점에서, 적어도 케이스 내주면은 백색 또는 은색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으로서는, 냉음극관 외에, 선형 형상 등의 각종 형상의 LED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선형 광원을 이용하는 경우, 배치하는 선형 광원의 개수에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발광면의 휘도 불균일의 억제 등의 관점에서, 인접하는 선형 광원의 중심 사이 거리가 15 mm에서 150 m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백라이트 장치(502)는, 도 7에 도시하는 직하형아의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광판의 측면에 선형 광원 또는 점형 광원을 배치한 사이드라이트형 혹은 평면상 광원형 등의 각종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The backlight device 502 include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case 521 having an upper surface opening, and a cold cathode tube 522 as a linear light source arranged in parallel in a plurality of lines in the case 521. The case 521 is formed of a resin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and from the viewpoint of reflecting light emitted from the cold cathode tube 522 from the cas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cas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preferably white or silver. As a light source, LEDs of various shapes, such as linear shape, can be used besides a cold cathode tube. In the case of using a linear light source, the number of linear light sources to be dispos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luminance unevenness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adjacent linear light sources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5 mm to 150 mm. . In addition, the backlight device 502 is not limited to that of the direct type | mold type | mold shown in FIG. 7, It can use various things, such as a side light type or a planar light source type which arrange | positioned the linear light source or a point light source on the side of a light guide plate. have.

〔광 확산 수단〕[Light diffusing means]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백라이트 장치(502)와 광 편향 수단의 사이에 배치되는 광 확산 수단으로서의 광확산판(503)을 구비할 수 있다. 광확산판(503)은, 기재에 확산제가 분산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필름 또는 시트이다. 그 기재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메타크릴 수지 등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산메틸과 스티렌의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과 스티렌의 공중합체, 메타크릴산과 스티렌의 공중합체,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메틸펜텐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광 확산 수단은 광확산판과 광확산필름을 병용한 것이라도 좋다.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lude a light diffusion plate 503 as light diffusing means disposed between the backlight device 502 and the light deflecting means. The light diffusion plate 503 is a film or sheet obtained by dispersing and dispersing a diffusion agent in a substrate. Examples of the substrate include poly (meth) acrylates such as polycarbonate resins and methacryl resins,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and styrene, copolymers of acrylonitrile and styrene,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and styrene, and polystyrene systems Resins, polyvinyl chloride resins, polyolefin resins such as polypropylene and polymethylpentene, cyclic polyolefin resins, polyester resin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amide resins, polyarylate resins, and poly Mid type resin etc. can be used. The light diffusing means may be a combination of a light diffusing plate and a light diffusing film.

또한, 기재에 혼합 분산시키는 확산제로서는, 기재의 재료와는 다른 종류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입자가 이용된다. 확산제의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멜라민 수지, 폴리에틸렌, 유기 실리콘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유기 미립자 및 탄산칼슘, 실리카, 산화알루미늄, 탄산바륨, 황산바륨, 산화티탄, 유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무기 미립자 등이다. 사용하는 확산제의 종류는, 1 종류 또는 2 종류 이상이라도 좋다. 또한, 유기 중합체의 벌룬이나 유리 중공 비드도 확산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확산제의 중량 평균 입경은 0.5?30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확산제의 형상은 구형, 편평, 판형, 바늘형 등이라도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구형 또는 대략 구형이다. As the diffusing agent to be mixed and dispersed in the substrate, particles made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material of the substrate are used. Examples of the diffusing agent include organic fine particles made of polystyrene, poly (meth) acrylate, polystyrene-poly (meth) acrylate copolymer, melamine resin, polyethylene, organic silicone resin, and the like, and calcium carbonate, silica, aluminum oxide, carbonate Inorganic fine particles made of barium, barium sulfate, titanium oxide, glass, or the like. The kind of diffusing agent to be used may be one type or two or more types. In addition, a balloon or an organic hollow bead of an organic polymer can also be used as the diffusing agent.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diffusing agen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5 to 30 µm. The shape of the diffusing agent may be spherical, flat, plate, needle, or the like, but is preferably spherical or substantially spherical.

〔프리즘 필름(광 편향 수단)〕[Prism film (light deflection means)]

프리즘 필름(504a, 504b)은, 광입사면 측(백라이트 장치(502) 측)이 평탄면이고, 광출사 측의 면(제1 편광판(505)에 대향하는 표면)에, 단면이 끝이 가는 다각형상, 바람직하게는 삼각형상의 선형 프리즘(541a, 541b)이 평행하게 복수 형성되어 있다. 프리즘 필름(504a, 504b)의 재료로서는,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ABS계 수지, 메타크릴 수지 등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산메틸-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스티렌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혹은 자외선 경화형 수지, 전자선 경화형 수지 등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프리즘 필름은, 이형압출법, 프레스성형법, 사출성형법, 롤전사법, 레이저어블레이션법, 기계절삭법, 기계연삭법, 포토폴리머프로세스법 등의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들 방법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되더라도 좋고, 혹은 2 종 이상의 방법을 조합시키더라도 좋다. 프리즘 필름(504a, 504b)의 두께는 통상 0.1?15 mm이며, 바람직하게는 0.5?10 mm이다. As for the prism films 504a and 504b, a light incidence surface side (backlight device 502 side) is a flat surface, and an end surface is thin on the surface on the light emission side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polarizing plate 505). A plurality of polygonal, preferably triangular linear prisms 541a and 541b are formed in parallel. Examples of the material of the prism films 504a and 504b include poly (meth) acrylates such as polycarbonate resins, ABS resins, and methacrylate resins, methyl methacrylate-styrene copolymers, polystyrene resins, and acrylonitrile. Polyolefin resins, such as a styrene copolymer, polyethylene, and a polypropylene, or active energy-ray-curable resins, such as an ultraviolet curable resin and an electron beam curable resin, etc. are mentioned. A prism film can be manufactured by well-known methods, such as a release extrusion method, the press molding method, the injection molding method, the roll transfer method, the laser ablation method, the mechanical cutting method, the mechanical grinding method, and the photopolymer process method. These methods may be used independently, respectively, or may combine 2 or more types of methods. The thickness of the prism films 504a and 504b is 0.1-15 mm normally, Preferably it is 0.5-10 mm.

선형 프리즘(541a, 541b)의 능선(542a, 542b)에 직교하는 수직 단면에서의 단면 형상은 예컨대 삼각형이다. 이 경우, 그 삼각형의 정점 중 능선을 형성하는 정점의 꼭지각(θ)(도 8 참조)은 90?11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삼각형은, 각 변이 등변, 부등변의 어느 것이라도 좋지만, 정면 방향(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면의 법선 방향)에 집광하고자 하는 경우는, 광 출사 측의 2변이 같은 이등변 삼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선형 프리즘(541a, 541b)의 단면 형상은, 면광원으로부터의 출사광의 특성에 맞춰 설정할 수도 있으며, 곡선을 갖게 하는 등, 삼각형 이외의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The cross-sectional shape in the vertical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ridge lines 542a and 542b of the linear prisms 541a and 541b is, for example, a triangl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vertex angle (theta) (refer FIG. 8) of the vertex which forms a ridgeline among the vertices of the said triangle is 90-110 degrees. In addition, although each side may be an equilateral side or an equilateral side, this triangle is preferably an isosceles triangle with two sides on the light exit side condensing in the front direction (normal direction of the display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The cross-sectional shapes of the linear prisms 541a and 541b may be set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surface light source, or may be shaped other than a triangle, such as giving a curve.

상기 프리즘 필름(504a, 504b)은, 예컨대 삼각형상의 단면을 갖는 복수의 선형 프리즘(541a, 541b)이, 삼각형의 꼭지각(θ)에 마주 대한 저변이 서로 인접하도록 순차 배치되고, 복수의 선형 프리즘(541a, 541b)의 능선(542a, 542b)이 서로 거의 평행하게 되도록 배열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집광 능력이 현저히 감퇴되지 않는 한, 선형 프리즘(541a, 541b)의 단면 형상의 삼각형은, 그 각 정점이 곡선 형상으로 되어 있더라도 좋다. 각 능선 사이의 거리는 통상 10?500 ㎛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30?200 ㎛의 범위이다. 광출사면 측에서 보아, 선형 프리즘의 능선(542a, 542b)은 직선형이라도 파곡선형이라도 좋다. 광출사면 측에서 보아, 능선이 파곡선형인 경우의 능선 방향은 최소제곱법에 의해서 구한 회귀 직선의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In the prism films 504a and 504b, a plurality of linear prisms 541a and 541b having, for example, a triangular cross section are sequentially arranged such that the bases facing the vertex angle of the triangle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plurality of linear prisms ( It is preferable to have a structure arranged so that the ridge lines 542a and 542b of 541a and 541b are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In this case, as long as the condensing ability is not significantly reduced, the cross-sectional triangles of the linear prisms 541a and 541b may be curved at their vertices. The distance between each ridgeline is usually in the range of 10 to 500 µm, and preferably in the range of 30 to 200 µm. As viewed from the light exit surface side, the ridge lines 542a and 542b of the linear prism may be straight or curved. As viewed from the light exit surface side, the direction of the ridge line when the ridge line is a curved line means the direction of the regression line obtained by the least square method.

한편, 광확산판(503)과 프리즘 필름(504a, 504b은 일체로 성형하더라도 좋고, 각각을 독립적으로 제작한 후, 접합하더라도 좋다. 또한, 광확산판(503)과 프리즘 필름(504a, 504b) 사이에 공기층이 설치되어 있더라도 좋다. On the other hand, the light diffusing plate 503 and the prism films 504a and 504b may be integrally formed, or may be fabricated separately and then bonded together, and the light diffusing plate 503 and the prism films 504a and 504b. An air layer may be provided in between.

〔편광판〕[Polarizing plate]

방현성 편광판을 구성하는 제2 편광판(506)은 상술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편광판(505)으로서는, 종래 공지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thing can be used for the 2nd polarizing plate 506 which comprises an anti-glare polarizing plate. In addition, as a 1st polarizing plate 505, a conventionally well-known thing can be used.

〔위상차 필름〕[Retardation film]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도 9에 도시되는 것과 같이, 위상차판(508)을 구비할 수 있다. 도 9에 있어서 위상차판(508)은, 제1 편광판(505)과 액정 셀(501)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위상차판(508)은, 액정 셀(501)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위상차가 거의 제로인 것으로, 바로 정면에서는 아무런 광학적인 작용을 미치지 않고, 비스듬하게 봤을 때에 위상차가 발현되어, 액정 셀(501)에서 생기는 위상차를 보상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보다 넓은 시야각을 얻을 수 있어, 보다 우수한 표시 품위 및 색 재현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위상차판(508)은, 제1 편광판(505)과 액정 셀(501)의 사이 및 제2 편광판(506)과 액정 셀(501)의 사이의 한쪽 또는 양쪽에 배치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9, the liquid crystal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hase difference plate 508. In FIG. 9, the retardation plate 508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polarizing plate 505 and the liquid crystal cell 501. The phase difference plate 508 has a phase difference of almost zero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cell 501. The phase difference plate 508 does not have any optical effect on the front side and exhibits a phase difference when viewed obliquely, so that the liquid crystal cell 501 To compensate for the phase difference caused by As a result, a wider viewing angle can be obtained, and superior display quality and color reproducibility can be obtained. The retardation plate 508 can be disposed between one or both of the first polarizing plate 505 and the liquid crystal cell 501 and between the second polarizing plate 506 and the liquid crystal cell 501.

위상차판(508)으로서는,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나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필름으로 성형하여, 이 필름을 더욱 이축 연신한 것이나, 액정성 모노머를 필름에 도포하여, 광중합 반응에 의해서 그 분자 배열을 고정화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위상차판(508)은, 액정의 배열을 광학적으로 보상하는 것이므로, 액정 배열과 역의 굴절율 특성의 것을 이용한다. 구체적으로는 TN 모드의 액정 셀에는, 예컨대, 「WV 필름」(후지필름주식회사 제조), STN 모드의 액정 표시 셀에는, 예컨대 「LC 필름」(신니혼세키유주식회사 제조), IPS 모드의 액정 표시 셀에는, 예컨대 이축성 위상차 필름, VA 모드의 액정 표시 셀에는, 예컨대 A 플레이트 및 C 플레이트를 조합시킨 위상차판이나 이축성 위상차 필름, π 셀 모드의 액정 표시 셀에는, 예컨대 「OCB용 WV 필름」(후지필름주식회사 제조) 등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As the retardation plate 508, for example, a polycarbonate resin or a cyclic olefin resin is molded into a film, and the film is further biaxially stretched, or a liquid crystalline monomer is applied to the film, and the molecular arrangement is changed by a photopolymerization reaction. And immobilized. Since the retardation plate 508 optically compensates for the arrangement of the liquid crystal, the retardation plate 508 uses a refractive index characteristic opposite to that of the liquid crystal arrangement. Specifically, in the liquid crystal cell of the TN mode, for example, "WV film" (manufactured by FUJIFILM Corporation)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cell of the STN mode are, for example, "LC film" (manufactured by Shin-Nihon Seki Co., Ltd.) and liquid crystal display of IPS mode. In the cell, for example, a biaxial retardation film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cell in VA mode include, for example, a retardation plate, a biaxial retardation film in which an A plate and a C plate are combined,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cell in a π cell mode. (Fuji Film Co., Ltd.) etc. can be used suitably.

Yes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종 물성의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lthough an Example is given and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in detail,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The measuring method of various physical properties is as follows.

(a) 투광성 미립자를 함유하지 않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의 25℃에 있어서의 표면 장력(a) Surface tension in 25 degreeC of the ultraviolet curable resin composition which does not contain transluc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에이코세이키주식회사 제조 「Contact Angle System OCA30L」을 이용하여, 펜던트?드롭법(현적법)에 의해 측정했다. It measured by the pendant-drop method (modern method) using "Contact Angle System OCA30L" by Eiko Seiki Corporation.

(b) 투광성 미립자의 25℃에 있어서의 현탁 메탄올 농도 하한치(b) Lower limit of suspended methanol concentration at 25 ° C. of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도 1에 도시되는 장치 구성을 갖는 주식회사레스카 제조 분체 습윤성 시험기「WET-101P」를 이용하여, 상술한 순서에 따라서 현탁 메탄올 농도 하한치를 구했다. The lower limit of suspension methanol concentration was calculated | required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ocedure using the powder wettability tester "WET-101P" by Lesca Corporation which has the apparatus structure shown in FIG.

(c) 투광성 미립자의 중량 평균 입경, 입도 분포의 표준 편차 및 변동 계수 (c)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standard deviation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of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코울터 원리(세공 전기 저항법)에 기초한 코울터 멀티사이저(베크만코울터사 제조)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It measured using the Coulter multisizer (manufactured by Beckman Coulter) based on the Coulter principle (pore electrical resistance method).

(d) 방현층의 층 두께(d) layer thickness of antiglare layer

얻어진 광학 필름에 대해서, 접촉식 막후계〔NIKON사 제조 「DIGIMICRO MH-15」(본체) 및 「ZC-101」(카운터)〕를 이용하여 최대 층 두께를 측정하고, 이 값에서 기재 필름의 두께 80 ㎛를 뺌으로써 방현층의 층 두께를 구했다. About the obtained optical film, the maximum layer thickness was measured using a contact type film thickness meter ("DIGIMICRO MH-15" (the body) and "ZC-101" (counter) by a Nikon company), and the thickness of a base film is this value. The thickness of the antiglare layer was determined by subtracting 80 µm.

(e) 광학 필름의 헤이즈 (e) Haze of optical film

JIS K 7105에 준거하여, 헤이즈 컴퓨터(스가시켄키사 제조 「HGM-2DP」)를 이용하여, 광학 필름의 임의의 5점에 있어서의 헤이즈를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광학 필름의 헤이즈로 했다. 한편, 측정시에 있어서의 필름의 휘어짐을 방지하고, 측정 재현성을 높이기 위해서, 측정용 샘플로서,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를 이용하여, 광학 필름의 기재 필름 측을 유리 기판에 접합한 것을 이용했다. In accordance with JIS K 7105, the haze in any 5 points | pieces of an optical film was measured using the haze computer ("HGM-2DP" by the Sugashi Kenki company), and the average value was made into the haze of an optical film.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event curvature of the film at the time of a measurement, and to improve measurement reproducibility, what bonded the base film side of the optical film to the glass substrate using the optically transparent adhesive as a sample for a measurement.

<실시예 1>&Lt; Example 1 >

(1) 방현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의 조제(1) Preparation of resin composition for antiglare layer formation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60 중량부 및 다작용 우레탄화아크릴레이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의 반응 생성물) 40 중량부를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에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60 중량%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한편, 이 조성물로부터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를 제거하여 자외선 경화한 후의 경화물의 굴절율은 1.53이었다. 60 parts by weight of pentaerythritol triacrylate and 40 parts by weight of a polyfunctional urethane acrylate (reaction product of hexamethylene diisocyanate and pentaerythritol triacrylate) are mixed with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to form an ultraviolet curing type having a solid content of 60% by weight. The resin composition was obtained. On the other h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hardened | cured material after removing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from this composition and UV-curing was 1.53.

이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투광성 미립자로서 가교 폴리스티렌계 입자 「XX367K」(세키스이카세이힝고교주식회사 제조, 중량 평균 입경: 7.0 ㎛, 입도 분포의 표준 편차: 0.55 ㎛, 변동 계수: 7.9%, 굴절율: 1.59)을 25 중량부, 및 광중합개시제인 「루시린 TPO」(BASF사 제조, 화학명: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를 5 중량부 첨가하여, 고형분율이 60 중량%가 되도록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로 희석하여 방현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을 조제했다. Subsequently, with respect to 100 weight part of solid content of the said ultraviolet curable resin composition, crosslinked polystyrene-type particle | grains "XX367K" (made by Sekisuka Seihing Kogyo Co., Ltd. mak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7.0 micrometers, standard deviation of a particle size distribution: 0.55 micrometer) 25 parts by weight of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7.9%, the refractive index: 1.59), and 5 parts by weight of `` Lucirine TPO '' (BASF Co., Ltd., chemical name: 2,4,6-trimethyl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as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t diluted with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so that solid content might be 60 weight%, and prepared the resin composition for anti-glare layer formation.

가교 폴리스티렌계 입자 「XX367K」의 25℃에 있어서의 현탁 메탄올 농도 하한치는 12.3 중량%였다. 또한, 투광성 미립자를 포함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상기 수지 조성물과 동일한 조성인 조성물의 25℃에 있어서의 표면 장력은 28.2 mN/m였다. The lower limit of the suspended methanol concentration at 25 ° C. of the crosslinked polystyrene particles “XX367K” was 12.3 wt%. In addition, the surface tension at 25 degrees C of the composition which is the same composition as the said resin composition except for not containing transluc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was 28.2 mN / m.

(2) 엠보스용 금형의 제작(2) Production of embossing mold

직경 200 mm의 철롤(JIS에 의한 STKM13A)의 표면에 구리 발라드 도금이 실시된 것을 준비했다. 구리 발라드 도금은, 구리 도금층/얇은 은 도금층/표면 구리 도금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금 층 전체의 두께는 약 200 ㎛였다. 그 구리 도금 표면을 경면 연마하고, 또한 그 연마면에, 블라스트 장치((주)후지세이사쿠쇼 제조)를 이용하여, 제1 미립자로서 지르코니아 비드 TZ-B125(토소(주) 제조, 평균 입경: 125 ㎛)를, 블라스트 압력 0.05 MPa(게이지압, 이하 동일함), 미립자 사용량 16 g/㎠(롤의 표면적 1 ㎠당 사용량, 이하 동일함)로 블라스트하여, 표면에 요철을 형성했다. 그 요철면에, 블라스트 장치((주)후지세이사쿠쇼 제조)를 이용하여, 제2 미립자로서 지르코니아 비드 TZ-SX-17(토소(주) 제조, 평균 입경: 20 ㎛)을, 블라스트 압력 0.1 MPa, 미립자 사용량 4 g/㎠로 블라스트하여, 표면 요철을 미세 조정했다. 얻어진 요철을 지닌 구리 도금 철롤에 대하여, 염화제2구리액을 이용하여 에칭 처리를 실시했다(에칭량: 3 ㎛). 그 후, 크롬 도금 가공을 실시하여(크롬 도금 두께: 4 ㎛), 금형을 제작했다. 얻어진 금형의 크롬 도금면의 비커스 경도는 1000이었다. 비커스 경도는 초음파 경도계 「MIC10」(Krautkramer사 제조)를 이용하여, JIS Z 2244에 준거하여 측정했다. The thing which copper ballad plating was given to the surface of the iron roll (STKM13A by JIS) of diameter 200mm was prepared. Copper ballad plating included a copper plating layer / thin silver plating layer / surface copper plating layer, and the thickness of the whole plating layer was about 200 micrometers. The copper-plated surface was mirror-polished, and on the polished surface, zirconia bead TZ-B125 (manufactured by Tosoh Corporation, average particle diameter) was used as the first fine particles using a blasting device (manufactured by Fuji Seisakusho Co., Ltd.): 125 µm) was blasted at a blast pressure of 0.05 MPa (gauge pressure, the same below) and the amount of fine particles used 16 g / cm 2 (the amount used per 1 cm 2 of the roll surface, the same below), thereby forming irregularities on the surface. On the uneven surface, zirconia bead TZ-SX-17 (manufactured by Tosoh Corporation, average particle diameter: 20 µm) was used as a second fine particle using a blasting device (manufactured by Fuji Seisakusho Co., Ltd.), and the blast pressure was 0.1. It blasted at 4 g / cm <2> of MPa and the usage-amount of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and fine-tunes the surface asperity. About the obtained copper plating iron roll with an unevenness | corrugation, the etching process was performed using the cupric chloride liquid (etching amount: 3 micrometers). Then, the chrome plating process was performed (chrome plating thickness: 4 micrometers), and the metal mold | die was produced. The Vickers hardness of the chrome plating surface of the obtained metal mold | die was 1000. Vickers hardness was measured in accordance with JIS Z 2244 using an ultrasonic hardness tester "MIC10" (manufactured by Krautkramer).

(3) 광학 필름의 제작(3) production of optical film

상기 방현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을, 두께 80 ㎛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기재 필름) 상에 도공하여, 80℃로 설정한 건조기 속에서 1분간 건조시켰다. 건조 후의 기재 필름을, 상기 (2)에서 제작한 금형의 요철면에, 수지 조성물층이 금형 측으로 되도록 고무롤로 압박하여 밀착시켰다. 이 상태에서 기재 필름 측에서, 강도 20 mW/㎠의 고압 수은등으로부터의 빛을 h선 환산 광량으로 300 mJ/㎠가 되도록 조사하여, 수지 조성물층을 경화시켜, 표면에 요철을 갖는 방현층과 기재 필름을 포함하는, 도 4에 도시하는 구조의 광학 필름을 얻었다. 방현층의 층 두께는 14.0 ㎛였다. The resin composition for antiglare layer formation was coated on a triacetyl cellulose (TAC) film (base film) having a thickness of 80 μm, and dried in a drier set at 80 ° C. for 1 minute. The base film after drying was pressed against the uneven surface of the metal mold | die produced by said (2) with the rubber roll so that a resin composition layer might become a metal mold | die side, and it adhered closely. In this state, the light from a high-pressure mercury lamp having a strength of 20 mW / cm 2 is irradiated so as to be 300 mJ / cm 2 in the amount of h-line converted light, the resin composition layer is cured, and the antiglare layer and the substrate having irregularities on the surface are exposed. The optical film of the structure shown in FIG. 4 containing a film was obtained. The layer thickness of the antiglare layer was 14.0 µm.

<실시예 2?3, 비교예 1?2> <Examples 2 to 3, Comparative Examples 1 to 2>

투광성 미립자의 종류 및/또는 첨가량을 표 1과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방현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여,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광학 필름을 제작했다. 이용한 투광성 미립자의 상세는 다음과 같다. Except having changed the kind and / or addition amount of transluc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as Table 1, the resin composition for anti-glare layer formation was prepared like Example 1, and the optical film was produced by the same method as Example 1. The detail of the used transluc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is as follows.

(1) SX713L-2: 가교 폴리스티렌계 입자 「SX713L-2」(소켄카가쿠주식회사 제조, 중량 평균 입경: 7.0 ㎛, 입도 분포의 표준 편차: 1.50 ㎛, 변동 계수: 21.4%, 굴절율: 1.59). 후술하는 「SX713L」을 순수로 세정한 것으로, 25℃에 있어서의 현탁 메탄올 농도 하한치는 8.5 중량%였다. (1) SX713L-2: Crosslinked polystyrene-based particle "SX713L-2" (made by Soken Kagaku Co., Ltd.,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7.0 micrometers, standard deviation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1.50 micrometers, coefficient of variation: 21.4%, refractive index: 1.59). The "SX713L" mentioned later was wash | cleaned with pure water, and the lower limit of suspension methanol concentration in 25 degreeC was 8.5 weight%.

(2) XX366K: 가교 폴리스티렌계 입자 「XX366K」(세키스이카세이힝고교주식회사 제조, 중량 평균 입경: 8.1 ㎛, 입도 분포의 표준 편차: 0.56 ㎛, 변동 계수: 6.9%, 굴절율: 1.59). 25℃에 있어서의 현탁 메탄올 농도 하한치는 11.7 중량%였다. (2) XX366K: Crosslinked polystyrene-based particle "XX366K" (made by Sekisuka Seihing Co., Ltd.,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8.1 micrometers, standard deviation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0.56 micrometer, coefficient of variation: 6.9%, refractive index: 1.59). The lower limit of suspension methanol concentration at 25 ° C. was 11.7 wt%.

(3) SX713L: 가교 폴리스티렌계 입자 「SX713L」(소켄카가쿠주식회사 제조, 중량 평균 입경: 7.0 ㎛, 입도 분포의 표준 편차: 1.50 ㎛, 변동 계수: 21.4%, 굴절율: 1.59). 25℃에 있어서의 현탁 메탄올 농도 하한치는 0 중량%였다(즉, 순수에 대하여 분산됨). (3) SX713L: Crosslinked polystyrene-based particle "SX713L" (manufactured by Soken Kagaku Co., Ltd., weight average particle size: 7.0 µm, standard deviation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1.50 µm, coefficient of variation: 21.4%, refractive index: 1.59). The lower limit of suspended methanol concentration at 25 ° C. was 0 wt% (ie dispersed with respect to pure water).

(4) SX713L-3: 가교 폴리스티렌계 입자 「SX713L-3」(소켄카가쿠주식회사 제조, 중량 평균 입경: 7.0 ㎛, 입도 분포의 표준 편차: 1.50 ㎛, 변동 계수: 21.4%, 굴절율: 1.59). 상기 「SX713L」을 아세톤으로 세정한 것으로, 25℃에 있어서의 현탁 메탄올 농도 하한치는 23.6 중량%였다. (4) SX713L-3: Crosslinked polystyrene-based particle "SX713L-3" (manufactured by Soken Kagaku Co., Ltd., weight average particle size: 7.0 µm, standard deviation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1.50 µm, coefficient of variation: 21.4%, refractive index: 1.59). The said "SX713L" was wash | cleaned with acetone, The lower limit of suspension methanol concentration in 25 degreeC was 23.6 weight%.

표 1에서, 투광성 미립자의 첨가량은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한 중량부이다. In Table 1, the addition amount of light transmitting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is a weight part with respect to 100 weight part of solid content of an ultraviolet curable resin composition.

(헤이즈의 불균일 및 기포 혼입의 평가)(Evaluation of nonuniformity of haze and bubble mixture)

얻어진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임의의 1 ㎡ 범위에 대해서, 헤이즈의 불균일(필름의 탁함 정도의 불균일) 및 방현층에 있어서의 기포 혼입의 유무를 눈으로 확인함으로 평가했다. 헤이즈의 불균일 및 기포 혼입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를 ○, 헤이즈의 불균일 또는 기포 혼입 중 어느 것이 확인된 경우를 ×로 했다. 또한, 광학 필름의 상기 측정 방법에 따른 헤이즈치를 표 1에 아울러 나타낸다. About the arbitrary 1 m <2> range in the obtained optical film, it evaluated by visually confirming the nonuniformity of the haze (nonuniformity of the turbidity degree of a film),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bubble mixing in an anti-glare layer. (Circle) and the case where either a nonuniformity of a haze or bubble mixing were confirmed were made into the case where the nonuniformity of a haze and bubble mixing were not confirmed. In addition, the haze value by the said measuring method of an optical film is combined with Table 1, and is shown.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표 1에 도시되는 것과 같이, 투광성 미립자 불함유의 수지 조성물이 소정 범위 내의 표면 장력을 지니고, 또한 투광성 미립자의 현탁 메탄올 농도 하한치가 소정 범위 내에 있는 수지 조성물에 의하면, 광학 필름의 헤이즈 불균일 및 기포 혼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투광성 미립자의 현탁 메탄올 농도 하한치가 소정 범위 내에 없는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비교예 1 및 2에서는 헤이즈의 불균일이 발생했다. As shown in Table 1, according to the resin composition in which the translucent fine particle-free resin composition has a surface tension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the lower limit of the suspended methanol concentration of the translucent fine particles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haze unevenness and bubble mixing of the optical film are included. It can be seen that it can effectively prevent the. On the other hand, the haze nonuniformity generate | occur | produced in the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using the resin composition in which the lower limit of the suspended methanol concentration of transluc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is not in a predetermined range.

Claims (8)

투광성 수지 또는 이것을 형성하는 수지 성분 및 용제를 포함하는 혼합물과, 투광성 미립자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혼합물의 25℃에 있어서의 표면 장력은 18 mN/m 이상 35 mN/m 이하이고,
상기 투광성 미립자는, 그 현탁 가능한 메탄올 수용액의 메탄올 농도의 하한치를 지니고, 이 하한치가 25℃에 있어서 1.0 중량% 이상 15.0 중량% 미만인 수지 조성물.
As a resin composition which consists of a translucent resin or the mixture containing the resin component and solvent which form this, and transluc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The surface tension at 25 degrees C of the said mixture is 18 mN / m or more and 35 mN / m or less,
The said light-transmitting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have a lower limit of the methanol concentration of the methanol solution which can be suspended, and this lower limit is 1.0 weight% or more and less than 15.0 weight% in 25 degreeC.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미립자가, 폴리스티렌,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스티렌-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중합체로 구성되는 수지 조성물. The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ght transmitting fine particles are composed of any poly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styrene, poly (meth) acrylate, and polystyrene-poly (meth) acrylate copolym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미립자의 함유량이, 상기 투광성 수지 또는 이것을 형성하는 수지 성분의 100 중량부에 대하여 25 중량부 이상 50 중량부 미만인 수지 조성물. The resin composition of Claim 1 whose content of the said transluc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is 25 weight part or more and less than 50 weight part with respect to 100 weight part of the said translucent resin or the resin component which forms thi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미립자의 중량 평균 입경이, 5 ㎛ 이상 10 ㎛ 이하인 수지 조성물. The resin composition of Claim 1 whos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s of the said translucent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are 5 micrometers or more and 10 micrometers or less. 기재 필름과, 상기 기재 필름 상에 적층되며, 제1항에 기재한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는 방현층을 갖는 광학 필름. The optical film which has a base film and an anti-glare layer laminated | stacked on the said base film, and formed from the resin composition of Claim 1. 백라이트 장치와, 광 편향 수단과, 제1 편광판과, 액정 셀과, 제2 편광판과, 제5항에 기재한 광학 필름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a backlight device, light deflection means, a first polarizing plate, a liquid crystal cell, a second polarizing plate, and the optical film according to claim 5 in this ord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 편향 수단은, 상기 제1 편광판에 대향하는 표면에 선형 프리즘을 복수 갖는 프리즘 필름을 2장 지니고,
한쪽의 프리즘 필름은, 그 선형 프리즘의 능선 방향이 상기 제1 편광판의 투과축에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고, 다른 쪽의 프리즘 필름은, 그 선형 프리즘의 능선 방향이 상기 제2 편광판의 투과축에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는 액정 표시 장치.
The said optical deflecting means has two prism films which have a plurality of linear prisms on the surface opposing the said 1st polarizing plate,
One prism film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ridge direction of the linear prism may becom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said 1st polarizing plate, and the other prism film has the ridge direction of the linear prism at the transmission axis of a said 2nd polarizing plat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rranged to be approximately paralle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장치와 상기 광 편향 수단의 사이에, 광 확산 수단을 더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light diffusing means between the backlight device and the light deflecting means.
KR1020120038423A 2011-04-19 2012-04-13 Resin composition, optical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2012320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423A KR20120123200A (en) 2011-04-19 2012-04-13 Resin composition, optical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93134 2011-04-19
KR1020120038423A KR20120123200A (en) 2011-04-19 2012-04-13 Resin composition, optical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3200A true KR20120123200A (en) 2012-11-08

Family

ID=47509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423A KR20120123200A (en) 2011-04-19 2012-04-13 Resin composition, optical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320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4424B1 (en) Optical sheet, polarizer, optical sheet sorting method and optical sheet manufactur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JP5887080B2 (en) Light diffusing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ight diffusing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725925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WO2011027905A1 (en) Light-diffusing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light-diffusing polarizing plate, and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WO2011027903A1 (en) Light-diffusing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light-diffusing polarizing plate, and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WO2012046790A1 (en) Light diffusion film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light-diffusing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20038445A (en) Light diffusion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JP5655789B2 (en) Optical member, manufacturing method, polarizing plate composi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2224735A (en) Resin composition, optical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12060457A1 (en) Light diffusion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light diffusion film, light-diffusing polarization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056505B1 (en) Edge light-type backlight device and light diffusion member
JP2012027460A (en) Light diffusing polariz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10034040A (en) Optical path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10097935A (en) Optical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JP2012123384A (en) Light diffusion film, polarizer, and image display device
US20060072197A1 (en) Optical laminate and optical element
KR20110132622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046200B1 (en) Edge light-type backlight device and light diffusion member
JP2006154839A (en) Antiglare film
JP2006154838A (en) Antiglare film
WO2012074123A1 (en) Optical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82781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KR20120123200A (en) Resin composition, optical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11162132A1 (en) Light-diffusing polarization plate and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KR20230172692A (en) Antiglare low refl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