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1721A - 안테나 구조물 - Google Patents

안테나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1721A
KR20120121721A KR1020110039690A KR20110039690A KR20120121721A KR 20120121721 A KR20120121721 A KR 20120121721A KR 1020110039690 A KR1020110039690 A KR 1020110039690A KR 20110039690 A KR20110039690 A KR 20110039690A KR 20120121721 A KR20120121721 A KR 20120121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layer
present
frequency selective
antenna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9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운봉
박위상
김진율
김동섭
신동식
우대웅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39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1721A/ko
Publication of KR20120121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17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08Radiating ends of two-conductor microwave transmission lines, e.g. of coaxial lines, of microstrip lines

Landscapes

  • Waveguide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물은 지지층, 지지층에 결합되는 방사체가 포함된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에 결합되고 복 수의 홀이 형성된 하니콤 및 상기 하니콤에 결합되고 복 수의 슬롯이 형성된 주파수 선택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안테나 구조물{ANTENNA STRUCTURE}
본 발명은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송체의 도체 표면에 슬롯 형태의 주기 구조를 적용하여 고이득, 고지향성 및 고효율을 얻을 수 있는 안테나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자동차, 열차, 선박, 항공기와 같은 운송체내에서 GPS, 지상파 DMB, 위성 DMB, 위성 방송, 위성 인터넷 등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자동차, 열차, 선박, 항공기와 같은 운송체내에서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서는 각 통신 대역에 해당하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가 필요하다. 그러나 자동차, 기차, 항공기, 선박 등 운송체내의 표면은 일반적으로 금속이나 탄소섬유복합재료와 같은 도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운송체의 표면에 안테나를 적용하지 못하고 외부에 돌출된 안테나를 적용함에 따라 안테나를 설치할 공간과 위치 설정에 많은 제약이 있다.
따라서, GPS, DMB, 위성방송 및 위성 안테나 분야에서는 안테나의 형태를 기존의 접시형이 아닌 평면으로 제작하여 안테나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마이크로 스트립 평판 안테나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안테나를 운송체 표면 밖에 설치할 경우 외부로 돌출된 안테나의 구조적인 안정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으며, 안테나 설치 위치에 제약이 발생할 수 있으며, 항공기의 경우는 공기저항으로 인하여 적용하는데 한계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높은 지향성을 필요로 하는 배열 안테나가 이용되는 위성 통신용 안테나의 경우에는 높은 지향성을 가지는 대신 크기가 크며 급전회로에서 발생하는 손실로 인하여 효율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구조적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설치 위치의 제약을 피할 수 있는 안테나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운송체의 도체 표면에 슬롯 형태의 주기 구조를 적용하여 고이득, 고지향성 및 고효율을 얻을 수 있는 안테나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물은 지지층, 지지층에 결합되는 방사체가 포함된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에 결합되고 복 수의 홀이 형성된 하니콤 및 하니콤에 결합되고 복 수의 슬롯이 형성된 주파수 선택층을 포함한다.
또한, 지지층은 유리섬유 강화 복합재 또는 탄소 섬유 강화 복합재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파수 선택층의 슬롯의 모양은 원형일 수 있다.
또한, 주파수 선택층의 슬롯의 모양은 사각형일 수 있다.
또한, 주파수 선택층의 슬롯의 모양은 세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설치위치가 자유로우며, 고이득, 고지향성 및 고효율을 얻을 수 있는 안테나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안테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향상 안테나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슬롯이 형성된 주파수 선택적 표면의 평면도이다. .
도 4는 도 1에서 VI-VI선을 따라 잘라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패치 안테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주파수 선택적 표면을 통과한 주파수의 투과 계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도 5의 패치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안테나 구조물의 반사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안테나 구조물의 이득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안테나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임의로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안테나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안테나 구조물(100)은 지지층(10),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20), 하니콤(30) 및 복 수의 슬롯(41)이 형성된 주파수 선택층(40)(Frequency Selective Surface: FSS)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층(10)은 유리 섬유 강화 복합재(유전체) 또는 탄소섬유강화복합재(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층(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물(100)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지지층(10)에는 방사체(21)가 포함된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2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20)의 윗 쪽에는 복 수의 홀(31)이 형성된 하니콤(30)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하니콤(30)은 비금속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니콤(30)은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20)와 주파수 선택층(40)(FSS)사이에 위치하여 기계적인 샌드위치 구조를 만들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20)와 주파수 선택층(40)(FSS) 사이가 너무 가까울 경우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20)와 주파수 선택층(40)(FSS) 사이의 전기적 간섭현상이 심하여 안테나 구조물(100)이 동작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하니콤(30)은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20)와 주파수 선택층(40)(FSS)가 일정 거리를 유지하게 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물(100)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하니콤(30)의 유전율은 대략 1.1 정도로 공기의 유전율인 1과 거의 같기 때문에, 하니콤(30)은 전기적인 간섭현상은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하니콤(30)의 윗 쪽에는 복 수의 슬롯(41)이 형성된 주파수 선택층(40)(FSS)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주파수 선택층(40)(FSS)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물(100)이 설치될 수 있는 자동차, 항공기 및 선박 등의 운송체의 표면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주파수 선택층(40)(FSS)은 안테나의 효율을 15db정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도 1에서 VI-VI선을 따라 잘라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20)의 두께는 대략 0.508mm정도이고, 방사체(21)가 그 중앙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니콤(30)의 두께는 대략 11.7mm정도이고, 주파수 선택층(40)(FSS)의 두께는 대략 1mm정도이다.
여기서, 하니콤(30)의 두께는 12GHz 기준으로 1파장의 길이가 25mm일 때, 반파장의 길이와 비슷한 11.7mm이다. 이때, 하니콤(30)의 두께인 11.7mm는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20)과 주파수 선택층(40)(FSS) 사이의 간섭현상을 최소화 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다.
또한, 주파수 선택층(40)(FSS)의 두께는 임의로 결정할 수 있으며, 안테나의 효율과는 관련성이 없다.
도 4는 도 1의 슬롯이 형성된 주파수 선택층의 평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선택층(40)(FSS)은 복 수의 슬롯(4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선택층(40)(FSS)은 높은 지향성(약 15db)을 가질 수 있도록 슬롯(41)의 모양이 원 형일 수 있다. 다만, 슬롯(41)의 모양은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네모 모양 또는 세모 모양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2차원 슬롯의 크기와 주기에 따라서 주파수를 선택할 수가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의 직경(r)과 슬롯 간의 이격 거리 (p)를 조절하여 이득과 주파수를 결정할 수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패치 안테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20)는 유전체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20)의 크기는 20×20 mm이고, 방사체로 사용될 수 있는 금속 패치의 크기는 8×8 mm 이다. 안테나 기판인 유전체의 두께는 0.508 mm이고, 유전율(εr)이 2.2다.
도 6은 도 2의 주파수 선택적 표면을 통과한 주파수의 투과 계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주파수 선택층(40)(FSS)의 주파수 투과계수는 r이 5 mm이고 p가 15 mm일 때, 11.7 GHz에서 투과 계수가 0 dB인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다른 주파수 선택층(40)(FSS)에서는 전자파가 모두 투과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은 도 5의 패치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20)의 반사 특성은 -10 dB 이하 기준으로 11.7 GHz에서 공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20)의 방사 특성이 -10dB라는 것은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20)가 90%이상 방사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물의 반사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물의 이득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 8a에서와 같이 도면 4의 구조도 11.7 GHz에서 공진을 한다. 따라서, 주파수 선택층(40)(FSS)는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20)의 방사에 영향을 주지 않는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면 8b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선택층(40)(FSS)을 포함하는 안테나 구조물(100)은 주파수 선택층을 포함하지 않은 안테나 구조물에 비하여 그 주파수 이득이 대략 10 dB 높은 18 dB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다.
다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강화층(50)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 지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물(200)은 주파수 선택층(40)(FSS) 위 쪽에 설치되는 강화층(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강화층(50)은 유리섬유복합체(유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강화층(50)은 안테나 구조물(200)의 가장 바깥쪽에 설치되어 주파수 선택층(40)(FSS)을 보호하여 안테나 구조물(200)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지지층 20: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
30: 하니콤 40: 주파수 선택층
41: 슬롯 50: 강화층
100, 200: 안테나 구조물

Claims (5)

  1. 지지층;
    상기 지지층에 결합되는 방사체가 포함된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
    상기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에 결합되고 복 수의 홀이 형성된 하니콤; 및
    상기 하니콤에 결합되고 복 수의 슬롯이 형성된 주파수 선택층;을 포함하는 안테나 구조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유리섬유 강화 복합재 또는 탄소 섬유 강화 복합재 중 하나를 포함하는 안테나 구조물.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선택층의 슬롯의 모양은 원형인 안테나 구조물.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선택층의 슬롯의 모양은 사각형인 안테나 구조물.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선택층의 슬롯의 모양은 세모인 안테나 구조물
KR1020110039690A 2011-04-27 2011-04-27 안테나 구조물 KR201201217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690A KR20120121721A (ko) 2011-04-27 2011-04-27 안테나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690A KR20120121721A (ko) 2011-04-27 2011-04-27 안테나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721A true KR20120121721A (ko) 2012-11-06

Family

ID=47508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9690A KR20120121721A (ko) 2011-04-27 2011-04-27 안테나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172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53904B (zh) * 2013-04-12 2016-04-27 西安电子科技大学 有源夹层微带天线与电磁综合的数据驱动设计方法及天线
CN106025524A (zh) * 2016-05-10 2016-10-12 西安电子科技大学 一种智能蒙皮天线的制作方法
CN106463830A (zh) * 2014-05-13 2017-02-22 三星电子株式会社 天线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53904B (zh) * 2013-04-12 2016-04-27 西安电子科技大学 有源夹层微带天线与电磁综合的数据驱动设计方法及天线
CN106463830A (zh) * 2014-05-13 2017-02-22 三星电子株式会社 天线装置
US11145970B2 (en) 2014-05-13 2021-10-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enna device
CN106025524A (zh) * 2016-05-10 2016-10-12 西安电子科技大学 一种智能蒙皮天线的制作方法
CN106025524B (zh) * 2016-05-10 2019-07-16 西安电子科技大学 一种智能蒙皮天线的制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9263B2 (en) Printed circuit board mounted antenna and waveguide interface
EP3357126B1 (en) Patch antenna
US8648759B2 (en) Variable height radiating aperture
US10530036B2 (en) Dualband flexible antenna with segmented surface treatment
KR101917905B1 (ko) 차량 내장형 안테나 모듈
US8803748B2 (en) Low-profile antenna receiving vertical polarized signal
US10749267B2 (en) Antenna device for vehicle
US9806419B2 (en) Array antenna device
US10446907B2 (en) Impedance surface treatment for mitigating surface waves and improving gain of antennas on glass
KR101144518B1 (ko) 다중 대역 mimo 안테나
US11283193B2 (en) Substrate integrated waveguide antenna
Zhou et al. Millimeter-wave open ended SIW antenna with wide beam coverage
CN101478077A (zh) 用于车辆的分形天线
US20130321227A1 (en) Waveguide Antenna Having Annular Slots
US20210075112A1 (en) Antenna
US7737905B1 (en) Broadband ferrite loaded loop antenna
KR20120121721A (ko) 안테나 구조물
WO2019208453A1 (ja) 車両用アンテナ、車両用アンテナ付き窓ガラス及びアンテナシステム
Reddy et al. Enhancement of CPW-fed inverted L-shaped UWB antenna performance characteristics using partial substrate removal technique
US11128059B2 (en) Antenna assembly having one or more cavities
US20120112967A1 (en) Dual fin antenna
CN104577330B (zh) 多输入多输出天线
US20070273608A1 (en) Anisotropic frequency selective ground plane for orthogonal pattern control of windshield antenna
CN110931950A (zh) 一种汽车雷达天线
Sun et al. Bandwidth enhancement and RCS reduction for a wideband high-gain Fabry-Perot anten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