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1439A - Device for reducing sound pressure level using cross plate - Google Patents

Device for reducing sound pressure level using cross pl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1439A
KR20120121439A KR1020110039261A KR20110039261A KR20120121439A KR 20120121439 A KR20120121439 A KR 20120121439A KR 1020110039261 A KR1020110039261 A KR 1020110039261A KR 20110039261 A KR20110039261 A KR 20110039261A KR 20120121439 A KR20120121439 A KR 20120121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plate
mounting
sound pressure
support bea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92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지훈
황재화
이태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9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1439A/en
Publication of KR20120121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143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4Buffer means for limiting movement of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8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built up with interlaced cross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9Means for mounting load bear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1/00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 B62D31/02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for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omnib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PURPOSE: A device for reducing sound pressure level using a cross plate is provide to improve assembling workability of a suspension module and reduce booming noise by using a base plate for an air spring mounting of a support beam. CONSTITUTION: A device for reducing sound pressure level using a cross plate comprises an assembling end(18) and a cross plate(20). The assembling end and the base plate for mounting an air spring(16) are formed into a single body. The both ends of the cross plate is assembled with each assembling end. The cross plate comprises a mounting end(22), a horizontal end(24), and a bent end for securing an assembly space(26). The mounting end is assembled with each assembling end. The horizontal end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end and extended straightly. The bent end for securing an assembly space is formed between the mounting end and the horizontal end.

Description

크로스 플레이트를 이용한 버스용 실내 음압 저감 장치{Device for reducing sound pressure level using cross plate}Indoor sound pressure reduction device for bus using cross plate {Device for reducing sound pressure level using cross plate}

본 발명은 크로스 플레이트를 이용한 버스용 실내 음압 저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스펜션의 양쪽 서포트빔을 크로스 플레이트로 연결하여 부밍 소음을 개선하는 동시에 서스펜션 모듈의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크로스 플레이트를 이용한 버스용 실내 음압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sound pressure reduction device for a bus using a cross plate, and more particularly, by connecting both support beams of the suspension with a cross plate to improve the booming noise and to improve the assembly workability of the suspension modu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sound pressure reduction device for a bus using a cross plate.

대형 버스는 일반 승용차와 달리 다양한 종류의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며, 대표적으로 부밍(booming, 우웅), 럼블(rumble, 퍼버벅), 래틀(rattle, 그르륵), 배기 소음, 보조 브레이크 소음, 투과 소음 등이 있다.Unlike regular cars, large buses introduce various kinds of noise into the interior, and typically include booming, rumble, rattle, exhaust noise, auxiliary brake noise, and transmission. Noise, etc.

이러한 실내 유입 소음은 승객 편의성 및 장거리 승차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인자들로서, 최근에는 승객의 요구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소음 저감 기술이 대형 버스의 상품성에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These indoor inflow noises are factors that directly affect passenger comfort and long-distance ride comfort. In recent years, noise reduction technology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in the commercialization of large buses as passenger demand increases.

실내 유입 소음들 중, 특히 부밍 소음은 '우웅' 하며 고막을 압박하는 소음으로서, 음압 수준(Sound pressure level)이 높아 승객에게 불쾌감을 주는 소음이며, 대형 버스의 상품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Among the inflow noises, the booming noise is `` woong '' and the sound pressure on the eardrum. The sound pressure level is high, which is unpleasant to passengers, and deteriorates the merchandise of large buses.

이러한 부밍음 해소를 위한 종래 기술로서, 대형 버스용 서스펜션 모듈에 별도의 횡방향 부재인 크로스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있다.As a prior art for eliminating the booming sound, a cross plate, which is a separate transverse member, is provided in a suspension module for a large bus.

즉, 첨부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 버스용 서스펜션 모듈의 구성중 서포트빔(10)이 액슬축(12)의 양단부에 전후로 연장되는 형태로 장착되고, 서포트빔(10)의 외측단부에 서스펜션용 에어스프링(14)이 장착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서포트빔(10)이 횡방향 부재인 크로스 플레이트(30)에 의하여 연결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7, in the configuration of the suspension module for the large bus, the support beam 10 is mounted in a form extending back and forth to both ends of the axle shaft 12, and is provided at the outer end of the support beam 10. In the state where the suspension air spring 14 is mounted, as shown in FIG. 5, each support beam 10 is connected by a cross plate 30 which is a transverse member.

이렇게 서포트빔(10)에 횡방향 부재인 크로스 플레이트(30)를 설치함으로써, 휠 베이스 정렬이 어긋남을 억제하여 타이어 편마모 및 편향 주행 감소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서포트빔의 특정 공진 모드 제어가 가능한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By providing the cross plate 30 as a transverse member in the support beam 10 as described above, the wheel base alignment can be suppressed to reduce tire wear and deflection travel, and the support beam can be controlled in a specific resonance mode. Can provide advantages.

좀 더 상세하게는, 액슬축(12)의 양단부에 장착된 각 서포트빔(10)을 크로스 플레이트(30)로 연결함으로써, 서포트빔(10)의 횡방향 모드(Y 방향으로 벌어지는 모드)에 의해 부밍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다.More specifically, by connecting each support beam 10 mounted at both ends of the axle shaft 12 with the cross plate 30, the support beam 10 is moved in the lateral mode (the mode that opens in the Y direction). The occurrence of booming noise can be greatly reduced.

다시 말해서, 부밍 소음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첨부한 도 4의 개선 전 이미지에서 보듯이, 붉은색으로 표기된 부밍 소음 영역(부밍 소음은 주로 1300rpm 에서 크게 발생함)이 발생하나, 서포트빔을 크로스 플레이트로 연결함에 따라 부밍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pre-improvement image of FIG. 4 showing the results of the booming noise measurement, the booming noise region (the booming noise mainly occurs at 1300 rpm) marked in red occurs, but the support beam is connected to the cross plate. As a result, the booming noise can be reduced.

그러나, 종래의 서포트빔에 장착된 크로스 플레이트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ross plate mounted on the conventional support beam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서포트빔은 차량 주행 시 지면을 따라 움직임이 발생하고, 따라서 변위를 억제하는 크로스 플레이트를 추가 장착할 경우, 노면에서 입력되는 강제 변위로 인하여 크로스 플레이트에 내구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First, when the support beam moves along the ground when the vehicle is driven, and thus additionally mounts a cross plate that suppresses displacemen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urability problem occurs in the cross plate due to the forced displacement input from the road surfac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강성이 매우 큰 횡방향 부재 즉, 강성이 매우 큰 크로스 플레이트를 장착하기도 하지만, 이는 원가상승의 큰 요인으로 작용하고, 또한 서포트빔 하단면에 크로스 플레이트를 직접 용접함에 따라 내구 문제 발생시 즉각적인 차량의 성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very rigid cross member, i.e. a very rigid cross plate, may be mounted, but this is a large factor of the cost increase and also the durability of the cross plate directly weld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beam. When a problem occurs, there is a problem that can lead to immediate performance degradation of the vehicle.

즉, 첨부한 도 5에서 보듯이 종래에는 서포트빔(10)의 서스펜션용 에어스프링(14) 설치 위치와 인접한 부분에 베이스 플레이트(32)를 일체로 용접하고, 베이스 플레이트(32) 간을 일자형의 크로스 플레이트(30)로 연결하였는 바, 서포트빔(10)이 차량 주행시 지면을 따라 반복적으로 움직임에 따라 서포트빔(10)과 베이스 플레이트(32) 간의 용접 부분에 집중하중이 작용하여, 결국 서포트빔(10)과 베이스 플레이트(32) 간의 용접부에 크랙이 발생하고, 첨부한 도 6a 및 도 6b의 사진에서 보듯이 크랙이 서포트빔(10)의 내부 단면까지 진전하여, 결국 서포트빔의 파손으로 인하여 서포트빔의 제성능을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as shown in FIG. 5, conventionally, the base plate 32 is integrally welded to a portion adjacent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uspension air spring 14 of the support beam 10, and the base plates 32 are linearly connected. When the support beam 10 is repeatedly moved along the ground when the vehicle is driven, the concentrated load is applied to the welded portion between the support beam 10 and the base plate 32 as the support plate 10 is connected to the cross plate 30, and eventually the support beam 10. A crack occurs in the weld portion between the 10 and the base plate 32, and as shown in the attached photographs of FIGS. 6A and 6B, the crack has advanced to the inner cross section of the support beam 10, and eventually, due to breakage of the support beam.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expect the performance of the support beam.

둘째, 서포트빔에 대한 베이스 플레이트의 용접 위치가 조금만 틀어져도, 베이스 플레이트 간을 연결하는 크로스 플레이트의 조립 작업이 어렵고,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의 용접 위치가 틀어진 상태에서 크로스 플레이트를 연결하게 되면 크로스플레이트가 차체 폭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배열되지 못하여 노면에서 입력되는 충격으로 인해 내구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Second, even if the welding position of the base plate to the support beam is slightly distorted, it is difficult to assemble the cross plate connecting the base plates, and if the cross plate is connected while the welding position of the base plate is distorted, the cross plate becomes a vehicle body.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the durability problem occurs due to the impact input from the road surface is not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width direc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서포트빔에 크로스 플레이트 연결을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를 용접하는 기존 방식과 달리, 서포트빔의 에어스프링 장착용 베이스판을 이용하여 크로스 플레이트를 연결함으로써, 부밍 소음을 개선하는 동시에 서스펜션 모듈의 조립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크로스 플레이트를 이용한 버스용 실내 음압 저감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of welding the base plate for cross plate connection to the support beam, by connecting the cross plate using the base plate for mounting the air spring of the support beam,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sound pressure reduction device for a bus using a cross plate that can improve the booming noise and greatly improve the assembly workability of the suspension modul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액슬축의 양단부에서 전후로 연장된 서포트빔을 포함하는 크로스 플레이트를 이용한 버스용 실내 음압 저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빔의 에어스프링 장착용 베이스판의 안쪽부분에 조립단을 일체로 연장 형성하고, 크로스 플레이트의 양끝단부를 각 조립단에 일체로 조립하여서 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플레이트를 이용한 버스용 실내 음압 저감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indoor sound pressure reduction device for a bus using a cross plate comprising a support beam extending back and forth at both ends of the axle shaft, the support beam on the inner portion of the base plate for mounting the air spring It provides an indoor sound pressure reduction device for a bus using a cross plate, which is achieved by integrally extending the assembly end and integrally assembling both ends of the cross plate to each assembly end.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크로스 플레이트는: 에어스프링 장착용 베이스판의 각 조립단과 조립되도록 양끝단에 형성되는 장착단과; 각 장착단을 일체로 연결하며 차체 폭방향을 따라 일자로 연장된 수평단과; 서스펜션 모듈 장착용 벨트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장착단과 수평단의 경계 부분에 상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조립공간 확보용 절곡단; 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 plate includes: mounting ends formed at both ends to be assembled with each assembly end of the air spring mounting base plate; A horizontal end which integrally connects each mounting end and extends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vehicle body width direction; A bending end for assembling space to be formed to be bent upward in a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mounting end and the horizontal end to avoid interference of the suspension module mounting belt;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divided into.

특히, 상기 절곡단은 크로스 플레이트의 장착단을 중심으로 상방향을 향하여 16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 bent e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at 160 ° toward the uppe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end of the cross plate.

바람직하게는, 상기 크로스 플레이트의 장착단과 수평단과 조립공간 확보용 절곡단에 걸쳐 길이방향을 따라 강성 보강을 위한 요홈라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a groove line for rigid reinforcement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ross the mounting end of the cross plate and the horizontal end and the bending end for securing the assembly space.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크로스 플레이트의 절곡단 중간 부분과 수평단에 걸쳐 길이방향을 따라 강성 보강을 위한 요홈라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 preferably, a groove line for rigid reinforcement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ver the middle portion and the horizontal end of the bent end of the cross plate.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rough the above-mentioned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 따르면, 서포트빔의 에어스프링 장착용 베이스판을 이용하여 크로스 플레이트를 연결함으로써, 서포트빔이 Y 방향(차체 폭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을 직접 억제하는 동시에 부밍 소음을 크게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크로스 플레이트를 서포트빔에 연결하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를 배제하여 조립 부품수 절감 및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necting the cross plate using the base plate for mounting the air spring of the support beam, it is possible to directly suppress the support beam from spreading in the Y direction (body width direction) and to greatly improve the booming noise. By eliminating the base plate for connecting the existing cross plate to the support beam, the number of assembly parts can be reduced and the cost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크로스 플레이트에 절곡단을 부가하여, 서스펜션 모듈을 차체 저부에 끌어올리는 서스펜션 모듈 장착용 벨트와의 간섭을 회피하여, 서스펜션 모듈 장착용 벨트를 걸어줄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adding a bent end to the cross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voiding interference with the suspension module mounting belt that pulls the suspension module to the bottom of the vehicle body, to secure a space to hang the suspension module mounting belt, Work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은 서포트빔의 에어스프링 장착용 베이스판을 직접 이용하여 크로스 플레이트를 조립함으로써, 기존에 서포트빔에 베이스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조립함에 따라 서포트빔에 크랙이 발생하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assembling the cross plate directly using the base plate for mounting the air spring of the support beam,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crack occurs in the support beam by assembling the base plate in the conventional support beam.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 플레이트를 이용한 버스용 실내 음압 저감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 플레이트의 서스펜션 모듈 장착용 벨트와의 간섭 회피 구조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 플레이트에 강성 보강을 위한 요홈라인이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 플레이트의 장착 전후 부밍 소음 발생량을 측정한 그래프,
도 5는 종래의 크로스 플레이트 장착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종래의 크로스 플레이트 장착 구조에서 발생하는 서포트빔의 크랙 현상을 설명하는 사진,
도 7은 대형 버스의 서스펜션 모듈 구성을 설명하는 개략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door sound pressure reduction device for a bus using a cross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ference avoidance structure with a suspension module mounting belt of a cross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groove lines for rigid reinforcement formed on the cross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graph measuring the amount of booming noise generated before and after the mounting of the cross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cross plate mounting structure,
6A and 6B are photographs illustrating a crack phenomenon of a support beam occurring in a conventional cross plate mounting structure;
7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uspension module configuration of a large bu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를 서포트빔에 용접하고 베이스 플레이트 간을 크로스 플레이트로 연결하던 기존 방식과 달리, 서포트빔의 에어스프링 장착용 베이스판을 직접 이용하여 크로스 플레이트를 연결함으로써, 기존의 베이스 플레이트 부품을 배제하면서도 부밍 소음을 개선할 수 있고, 또한 서스펜션 모듈의 조립 작업을 위한 공간 확보 구조를 크로스 플레이트에 부가하여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method of welding the base plate to the support beam and connecting the base plate to the cross plate, by connecting the cross plate using the base plate for air spring mounting of the support beam directly, The main focus is to improve the assembly workability while eliminating the booming noise and adding a space securing structure for the assembly of the suspension module to the cross plate.

첨부한 도 7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대형 버스용 서스펜션 모듈의 구성중 서포트빔(10)이 액슬축(12)의 양단부에 전후로 연장되는 형태로 장착되고, 서포트빔(10)의 외측단부에 서스펜션용 에어스프링(14)이 장착된 상태에서, 양쪽의 서포트 빔을 크로스 플레이트로 연결하여, 휠 베이스 정렬이 어긋남을 억제하여 타이어 편마모 및 편향 주행 감소를 도모하고, 서포트빔의 특정 공진 모드 제어를 도모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7, in the configuration of the suspension module for a large bus, the support beam 10 is mounted in a form extending back and forth to both ends of the axle shaft 12, and an outer end of the support beam 10. In the state where the air spring 14 for suspension is attached, both support beams are connected by a cross plate to suppress wheel base misalignment, thereby reducing tire wear and deflection running, and controlling the support beam specific resonance mode. Will be promoted.

본 발명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슬축(12)의 양단부에서 전후로 연장된 서포트빔(10)에 서스펜션 모듈의 일 구성인 서스펜션용 에어스프링(14)이 장착되는 바, 이 서스펜션용 에어스프링(14)을 설치하기 위한 에어스프링 장착용 베이스판(16)을 이용하여 크로스 플레이트(20)가 장착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air beam 14 for suspension, which is one component of the suspension module, is mounted on the support beam 10 extending forward and backward at both ends of the axle shaft 12. The cross plate 20 is mounted using the air spring mounting base plate 16 for installing the air spring 14.

상기 크로스 플레이트(20)를 장착하기 위하여, 에어스프링 장착용 베이스판(16)의 일측단부를 안쪽방향으로 더 연장하여, 연장된 부분이 크로스 플레이트(20)의 양단부가 밀착 조립되는 조립단(18)으로 형성되도록 한다.In order to mount the cross plate 20, one end of the air spring mounting base plate 16 is further extended inward, so that both ends of the cross plate 20 are assembl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따라서, 상기 크로스 플레이트(20)의 양단부 즉, 장착단(22)이 에어스프링 장착용 베이스판(16)의 일측단부에 연장 형성된 조립단(18) 위에 밀착되어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하여 조립된다.Accordingly, both ends of the cross plate 20, that is, the mounting end 22,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assembly end 18 extending to one end of the air spring mounting base plate 16 and assembled by a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

상기 크로스 플레이트(20)는 전체적으로 길다란 평판 구조로서 차체 폭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배치되며, 3개의 구간으로 구분된다.The cross plate 20 is a long flat plate structure, which is dispos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is divided into three sections.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크로스 플레이트(20)의 양끝단부는 에어스프링 장착용 베이스판(16)의 각 조립단(18)과 조립되는 장착단(22)으로 형성되고, 각 장착단(22)의 사이 구간은 차체 폭방향을 따라 일자로 연장되는 수평단(24)으로 형성되며, 특히 장착단(22)과 수평단(24)의 경계 부분에는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는 조립공간 확보용 절곡단(26)이 일체로 형성된다.In more detail, both end portions of the cross plate 20 are formed of mounting ends 22 assembled with each assembly end 18 of the air spring mounting base plate 16, and each of the mounting ends 22 Between the sections are formed with a horizontal end 24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in particular, the bent end for assembling space to be bent inclined upward in the boundary between the mounting end 22 and the horizontal end 24 ( 26) is integrally formed.

이러한 형상으로 구비된 크로스 플레이트는 에어스프링 장착용 베이스판(16)의 조립단(18)에 직접 조립되어, 서포트빔(10)이 Y방향(도 7의 화살표 참조)으로 벌어지는 것을 직접 억제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부밍 소음을 크게 저감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cross plate provided in such a shape is directly assembled to the assembly end 18 of the air spring mounting base plate 16 to directly suppress the support beam 10 from spreading in the Y direction (see the arrow in FIG. 7), It greatly reduces the booming noise flowing into the room.

이렇게 횡방향 변위 즉, 서포트빔(10)이 Y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평평한 일(一)자형 크로스 플레이트가 가장 효과적이지만, 평평한 일자형크로스 플레이트는 서스펜션 모듈 조립성을 저하시키는 이유가 된다.In order to suppress the lateral displacement, that is, the support beam 10 from spreading in the Y direction, the flat one-shaped cross plate is most effective, but the flat straight cross plate is the reason for lowering the suspension module assembly.

다시 말해서, 첨부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42)의 저부에 서스펜션 모듈(44)을 조립하는 공정은 서스펜션 모듈 장착용 벨트(40)를 이용하게 되는데, 차체 프레임(42)에 서스펜션 모듈 장착용 벨트(40)를 걸어주는 과정과, 벨트의 하단 버클부분을 서스펜션 모듈(44)의 서포트빔(10) 소정 위치에 체결하는 과정과, 호이스트 등에 의하여 서스펜션 모듈 장착용 벨트(40)로 고정된 서스펜션 모듈(44)을 차체 프레임(42)의 저부로 들어올려 밀착시키는 과정과, 서스펜션 모듈(44)을 차체 프레임(42)의 저부에 조립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2,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suspension module 44 at the bottom of the vehicle body frame 42 uses the suspension module mounting belt 40, and the suspension module is mounted on the vehicle body frame 42. The process of hanging the mounting belt 40, the process of fastening the bottom buckle portion of the belt to the support beam 10 of the suspension module 44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fixing the suspension module mounting belt 40 by a hoist or the like. And a process of assembling the suspension module 44 to the bottom of the vehicle body frame 42 and assembling the suspension module 44 to the bottom of the vehicle body frame 42.

이때, 상기 크로스 플레이트(20)가 평평한 일(一)자형 구조로 구비되는 경우, 서스펜션 모듈 장착용 벨트(40)의 하단 버클 부분(46)이 크로스 플레이트(20)에 닿는 간섭 현상이 발생하여, 결국 버클 부분(46)을 서스펜션 모듈(44)의 서포트빔(10)에 걸어서 체결하기 위한 작업 공간이 확보되지 못하여 서스펜션 모듈(44)을 차체 프레임(42)의 저부로 들어올려 조립하는 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At this time, when the cross plate 20 is provided with a flat one-shaped structure, an interference phenomenon occurs in which the lower buckle portion 46 of the suspension module mounting belt 40 contacts the cross plate 20, As a result, a work space for fastening the buckle portion 46 to the support beam 10 of the suspension module 44 is not secured, and thus, the assembly of the suspension module 44 to the bottom of the body frame 42 is very difficult. There was a difficult problem.

이에, 본 발명의 크로스 플레이트(20)의 장착단(22)과 수평단(24)의 경계 부분에는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는 조립공간 확보용 절곡단(26)이 일체로 형성된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조립공간 확보용 절곡단(26)은 크로스 플레이트(20)의 장착단(22)을 중심으로 상방향을 향하여 160°로 절곡 형성된다.Thus, at the boundary between the mounting end 22 and the horizontal end 24 of the cross plat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a bending end 26 for assembling space to be bent obliquely upward is formed integrally. The bending end 26 for securing the assembly space is formed to be bent at 160 ° in the up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end 22 of the cross plate 20.

따라서, 외부에서 보았을 때, 크로스 플레이트(20)의 조립공간 확보용 절곡단(26)의 저부 공간을 통하여 서스펜션 모듈 장착용 벨트(40)의 버클 부분을 체결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므로, 작업자가 서스펜션 모듈 장착용 벨트(40)의 버클 부분(46)을 서포트빔(10)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고, 결국 서스펜션 모듈(44)을 차체 프레임(42)의 저부로 들어올려 조립하는 작업이 매우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다.Therefore,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a space for fastening the buckle portion of the suspension module mounting belt 40 is secured through the bottom space of the bending end 26 for securing the assembling space of the cross plate 20, thereby allowing the operator to The buckle portion 46 of the suspension module mounting belt 40 can be easily fastened to the support beam 10, so that the assembly of the suspension module 44 to the bottom of the body frame 42 is very easy. It can be done easily.

이때, 크로스 플레이트(20)가 평평한 일자형 구조가 아닌 조립공간 확보용 절곡단(26)을 갖는 경우에는 일자형 구조에 비하여 횡방향 강성이 약해지므로, 부밍 소음 저감 효율을 떨어뜨리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cross plate 20 has a bent end 26 for securing the assembly space instead of the flat straight structure, the stiffness in the lateral direction is weaker than that of the straight structure, thereby reducing the booming noise reduction efficiency.

이에, 본 발명의 크로스 플레이트(20)의 전체 구간, 즉 장착단(22)과 수평단(24)과 조립공간 확보용 절곡단(26)에 걸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강성 보강을 위한 요홈라인(28, joggle)이 형성됨으로써, 크로스 플레이트(20)의 횡방향 강성이 보강되어진다.Thus, a groove line for rigid reinforcement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over the entire section of the cross plat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mounting end 22 and the horizontal end 24 and the bending end 26 for securing the assembly space ( 28, the joggle is formed, so that the lateral rigidity of the cross plate 20 is reinforced.

그러나, 실차 계측을 통한 변위 이력을 파악하고, 이를 활용하여 강도/내구해석을 수행한 결과, 상기 요홈라인(28)의 형성 위치는 크로스 플레이트의 강도와 수명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측정되었는 바, 크로스 플레이트(20)의 장착단(22)과 수평단(24)과 조립공간 확보용 절곡단(26)에 걸쳐 요홈라인(28, joggle)이 형성된 경우에는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장착단(22)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됨을 확인하였다.However, as a result of grasping the displacement history through actual vehicle measurement and performing strength / durability analysis,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groove line 28 was determined to affect the strength and life of the cross plate. When the groove line 28 (joggle) is formed over the mounting end 22, the horizontal end 24 of the plate 20, and the bending end 26 for securing the assembly space, the mounting end 22 as shown in FIG. It was confirmed that the phenomenon in which stress is concentrated in the portion occurs.

반면,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로스 플레이트(20)의 절곡단(26) 중간 부분과 수평단(24)에 걸쳐 길이방향을 따라 강성 보강을 위한 요홈라인(28)을 형성한 경우,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을 회피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따라서 크로스 플레이트(20)의 내구 수명을 만족할 수 있는 위치 즉, 크로스 플레이트(20)의 절곡단(26) 중간 부분과 수평단(24)에 걸쳐 강성 보강용 요홈라인(28)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B, when the groove line 28 for rigid reinforcement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ross the middle portion of the bent end 26 and the horizontal end 24 of the cross plate 20, stress is concentrated. It can be seen that the phenomenon can be avoided, and thus, the rigidity over the middle portion of the bent end 26 and the horizontal end 24 of the cross plate 20 where the endurance life of the cross plate 20 can be satisfied.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reinforcing groove line 28.

한편, 본 발명의 크로스 플레이트(20)를 서포트빔(10)에 설치된 서스펜션용 에어스프링(14)에 장착함에 따라, 첨부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전(붉은색으로 표기된 부밍 소음 영역)에 비하여 후방 소음은 4 ~ 6.5dBA 저감하는 것으로 계측되었고,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음압 변화가 3dBA 임을 감안하면, 승객이 체감할 수 있을 만큼의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전방 운전석 역시 부밍 소음 개선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Meanwhile, as the cross plat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suspension air spring 14 installed in the support beam 10, as shown in FIG. 4, before mounting (the booming noise region indicated in red). Compared to the 4 ~ 6.5 dBA reduction of the rear noise compared to 3dBA, the perceived change in sound pressure can be achieved by the passengers, and the front driver's seat also has a buzzing noise. It was confirmed that the improvement effect.

10 : 서포트빔
12 : 액슬축
14 : 서스펜션용 에어스프링
16 : 에어스프링 장착용 베이스판
18 : 조립단
20 : 크로스 플레이트
22 : 장착단
24 : 수평단
26 : 조립공간 확보용 절곡단
28 : 요홈라인
30 : 크로스 플레이트
32 : 베이스 플레이트
40 : 서스펜션 모듈 장착용 벨트
42 : 차체 프레임
44 : 서스펜션 모듈
46 : 버클 부분
10: support beam
12: axle shaft
14: air spring for suspension
16: base plate for air spring mounting
18: assembly stage
20: cross plate
22: mounting end
24: horizontal stage
26: bending end to secure assembly space
28: home line
30: cross plate
32: base plate
40 suspension belt mounting belt
42: body frame
44: suspension module
46: buckle portion

Claims (5)

액슬축(12)의 양단부에서 전후로 연장된 서포트빔(10)을 포함하는 크로스 플레이트(20)를 이용한 버스용 실내 음압 저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빔(10)의 에어스프링 장착용 베이스판(16)의 안쪽부분에 조립단(18)을 일체로 연장 형성하고, 크로스 플레이트(20)의 양끝단부를 각 조립단(18)에 일체로 조립하여서 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플레이트를 이용한 버스용 실내 음압 저감 장치.
In the indoor sound pressure reduction device for a bus using a cross plate 20 including a support beam 10 extending back and forth at both ends of the axle shaft 12,
An assembly end 18 is integrally formed in an inner portion of the air spring mounting base plate 16 of the support beam 10, and both ends of the cross plate 20 are integrally formed at each assembly end 18. Indoor sound pressure reduction device for a bus using a cross plate, which is achieved by assembl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플레이트(20)는:
에어스프링 장착용 베이스판(16)의 각 조립단(18)과 조립되도록 양끝단에 형성되는 장착단(22)과;
각 장착단(22)을 일체로 연결하며 차체 폭방향을 따라 일자로 연장된 수평단(24)과;
서스펜션 모듈 장착용 벨트(40)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장착단(22)과 수평단(24)의 경계 부분에 상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조립공간 확보용 절곡단(26);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플레이트를 이용한 버스용 실내 음압 저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ross plate 20 is:
Mounting ends 22 formed at both ends so as to be assembled with each assembly end 18 of the air spring mounting base plate 16;
A horizontal end 24 which integrally connects each mounting end 22 and extends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vehicle body width direction;
A bending end 26 for assembling space to be formed to be bent upward in a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mounting end 22 and the horizontal end 24 so as to avoid interference of the suspension module mounting belt 40;
Indoor sound pressure reduction device for a bus using a cross plat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절곡단(26)은 크로스 플레이트(20)의 장착단(22)을 중심으로 상방향을 향하여 16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플레이트를 이용한 버스용 실내 음압 저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bent end (26) is an indoor sound pressure reduction device for a bus using a cross plat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t 160 ° in the up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end (22) of the cross plate (2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플레이트(20)의 장착단(22)과 수평단(24)과 조립공간 확보용 절곡단(26)에 걸쳐 길이방향을 따라 강성 보강을 위한 요홈라인(2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플레이트를 이용한 버스용 실내 음압 저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Crosse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line 28 for rigid reinforcement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ross the mounting end 22, the horizontal end 24 of the cross plate 20 and the bending end 26 for securing the assembly space. Indoor sound pressure reduction device for bus using plat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플레이트(20)의 절곡단(26) 중간 부분과 수평단(24)에 걸쳐 길이방향을 따라 강성 보강을 위한 요홈라인(2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플레이트를 이용한 버스용 실내 음압 저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Indoor sound pressure reduction for a bus using a cross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line 28 for stiffness reinforcement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nt end 26 and the horizontal end 24 of the cross plate 20. Device.
KR1020110039261A 2011-04-27 2011-04-27 Device for reducing sound pressure level using cross plate KR2012012143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261A KR20120121439A (en) 2011-04-27 2011-04-27 Device for reducing sound pressure level using cross pl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261A KR20120121439A (en) 2011-04-27 2011-04-27 Device for reducing sound pressure level using cross pl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439A true KR20120121439A (en) 2012-11-06

Family

ID=47507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9261A KR20120121439A (en) 2011-04-27 2011-04-27 Device for reducing sound pressure level using cross pl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1439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18293A (en) * 2014-06-25 2014-10-29 郑州宇通客车股份有限公司 Corbel assembly, vehicle suspension system and vehicle with vehicle suspension system
US9147389B2 (en) 2013-09-05 2015-09-29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controlling noise of vehicle bod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47389B2 (en) 2013-09-05 2015-09-29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controlling noise of vehicle body
CN104118293A (en) * 2014-06-25 2014-10-29 郑州宇通客车股份有限公司 Corbel assembly, vehicle suspension system and vehicle with vehicle suspens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49573A1 (en) Steering support member structure
JP4771677B2 (en) Car body rear structure
JP6048231B2 (en) Radiator support device for vehicle
JP4178479B2 (en) Fuel tank support structure
US8215442B2 (en) Rear mount structure of engine
KR20090035148A (en) Trailing arm mounting device of small size frame in vehicle
KR101394760B1 (en) Reinforce for front shock absorber of vehicle
KR20140011132A (en) Rear package tray assembly
CN105966185A (en) Automobile rear suspension spring installation point structure
US20110254319A1 (en) Bracket structure in vehicle body rear portion
KR102166872B1 (en) Torsion beam axle device for vehicle
KR101856240B1 (en) Shock absorber housing and fixing structure thereof
KR20120075197A (en) Structure for equipping a motor with an electric vehicle
KR20120121439A (en) Device for reducing sound pressure level using cross plate
JP4608523B2 (en) Engine mount mounting structure
JP2013071644A (en) Rear suspension part structure of vehicle
KR101655481B1 (en) Rear cross member for rear driven vehicle
CN213007470U (en) Rear axle suspension system and vehicle with same
CN106627790B (en) Vehicle floor and vehicle
CN215244213U (en) Shock absorber installation assembly and vehicle with same
CN215204310U (en) Suspension bracket of vehicle and vehicle
CN110949519B (en) Auxiliary frame structure
CN220390960U (en) Suspension mounting structure and vehicle
CN220842684U (en) Support frame, sub vehicle frame, automobile body subassembly and vehicle of vehicle
KR102335344B1 (en) Rear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