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8388A - 굴삭기 작업구 - Google Patents

굴삭기 작업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8388A
KR20120118388A KR1020110035915A KR20110035915A KR20120118388A KR 20120118388 A KR20120118388 A KR 20120118388A KR 1020110035915 A KR1020110035915 A KR 1020110035915A KR 20110035915 A KR20110035915 A KR 20110035915A KR 20120118388 A KR20120118388 A KR 20120118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excavator
shaft
hydraulic moto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5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9227B1 (ko
Inventor
곽동석
Original Assignee
곽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동석 filed Critical 곽동석
Priority to KR1020110035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227B1/ko
Publication of KR20120118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8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30Auxiliary apparatus, e.g. for thawing, cracking, blowing-up, or other preparatory treatment of the s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2Brushing apparatus, e.g. with auxiliary instruments for mechanically loosening dirt
    • E01H1/05Brushing apparatus, e.g. with auxiliary instruments for mechanically loosening dirt with driven brushes
    • E01H1/053Brushing apparatus, e.g. with auxiliary instruments for mechanically loosening dirt with driven brushes having vertical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Revetment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 작업구에 관한 것으로,
접촉부에 호형의 견인 고리 삽입공이 형성된 2 개의 내,외측 압착구 사이에 볼트가 체결되고, 상기 외측 압착구의 하측 단부에 연결 통공이 형성된 견인 고리 삽입구와;
상기 견인 고리 삽입구의 외측 압착구가 안착되는 공간부와, 이 공간부의 상측 단부에 걸림턱과, 하측 단부에 상기 외측 압착구의 연결 통공이 볼트로 연결되는 연결공이 각각 구비되고, 외측 벽에 수개의 각도 조정공과 고정축이 구비된 연결기판과;
상기 연결기판의 고정축이 삽입되는 중심축공과, 이 중심축공의 상부에 상기 연결기판의 각도 조정공이 볼트로 연결되는 연결공이 형성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하측 단부에 수평으로 연결되고, 중심부 상측에 유압모터가 장착된 수평 프레임과;
상기 유압모터의 축에 장착되는 브러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작업 형태에 맞게 회전판의 각도를 조정한 뒤, 굴삭기의 버켓이나 클램프의 견인 고리에 장착된 견인 고리 삽입구를 연결기판에 삽입 장착한 후, 유압모터로 브러쉬를 회전시켜, 도로 공사나 호안 블록 작업중 발생되는 흙이나 토사를 일정 장소에 쓸어 모으거나 호안 블럭 사이 사이에 채우는 작업을 굴삭기의 호안 블록 작업과 동시에 병행하여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 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굴삭기 작업구{Excavator Tool}
본 발명은 굴삭기 작업구에 관한 것으로,
굴삭기로 도로 공사나 호안 블록 작업시, 작업중 발생되는 흙이나 토사를 일정 장소에 쓸어 모으거나 호안 블럭 사이 사이에 채우는 작업을 굴삭기의 도로 공사나 호안 블록 작업과 동시에 병행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굴삭기 작업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굴삭기는 버켓이나 클램프의 구조상, 버켓이나 클램프를 이용하여 흙이나 토사 등을 퍼 옮기는 작업을 주로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도로 공사나 호안 블록 작업시, 작업중 발생되는 흙이나 토사를 일정 장소에 쓸어 모으거나 호안 블럭 사이 사이에 채우는 작업을 하고자 하는 경우,
굴삭기 작업 후, 별도의 인력이 투입되어 삽이나 빗자루 등으로 흙이나 토사를 한 곳으로 쓸어 모으거나 호안 블럭 사이에 채워넣는 작업을 수행해야 했기 때문에,
작업 능률이 매우 떨어지고 공사 기간이 길어져 시공비가 크게 상승하게 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굴삭기 작업구가 갖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굴삭기로 도로 공사나 호안 블록 작업시, 작업중 발생되는 흙이나 토사를 일정 장소에 쓸어 모으거나 호안 블럭 사이 사이에 채우는 작업을 굴삭기의 도로 공사나 호안 블록 작업과 동시에 병행하여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 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굴삭기 작업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접촉부에 호형의 견인 고리 삽입공이 형성된 2 개의 내,외측 압착구 사이에 볼트가 체결되고, 상기 외측 압착구의 하측 단부에 연결 통공이 형성된 견인 고리 삽입구와;
상기 견인 고리 삽입구의 외측 압착구가 안착되는 공간부와, 이 공간부의 상측 단부에 걸림턱과, 하측 단부에 상기 외측 압착구의 연결 통공이 볼트로 연결되는 연결공이 각각 구비되고, 외측 벽에 수개의 각도 조정공과 고정축이 구비된 연결기판과;
상기 연결기판의 고정축이 삽입되는 중심축공과, 이 중심축공의 상부에 상기 연결기판의 각도 조정공이 볼트로 연결되는 연결공이 형성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하측 단부에 수평으로 연결되고, 중심부 상측에 유압모터가 장착된 수평 프레임과;
상기 유압모터의 축에 장착되는 브러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작업 형태에 맞게 회전판의 각도를 조정한 뒤, 굴삭기의 버켓이나 클램프의 견인 고리에 장착된 견인 고리 삽입구를 연결기판에 삽입 장착한 후, 유압모터로 브러쉬를 회전시켜, 도로 공사나 호안 블록 작업중 발생되는 흙이나 토사를 일정 장소에 쓸어 모으거나 호안 블럭 사이 사이에 채우는 작업을 굴삭기의 호안 블록 작업과 동시에 병행하여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 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굴삭기 작업구는 작업 형태에 맞게 회전판의 각도를 조정한 뒤, 굴삭기의 버켓이나 클램프의 견인 고리에 장착된 견인 고리 삽입구를 연결기판에 삽입 장착한 후, 유압모터로 브러쉬를 회전시켜, 도로 공사나 호안 블록 작업중 발생되는 흙이나 토사를 일정 장소에 쓸어 모으거나 호안 블럭 사이 사이에 채우는 작업을 굴삭기의 호안 블록 작업과 동시에 병행하여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 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 작업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 상태를 보여 주는 정면도,
도 2 는 동 측면도,
도 3 은 동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 작업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 상태를 보여 주는 정면도,
도 2 는 동 측면도로서,
본 발명의 굴삭기 작업구는,
접촉부에 호형의 견인 고리 삽입공(1)이 형성된 2 개의 내,외측 압착구(3)(4) 사이에 볼트(6)가 체결된 견인 고리 삽입구(9)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외측 압착구(4)의 하측 단부에는 연결 통공(1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견인 고리 삽입구(9)의 외측 압착구(4)가 장착되는 공간부(19)가 형성된 연결기판(17)이 구비되어 있고, 이 연결기판(17)의 외측벽(12)에는 중심부에 고정축(15)과, 이 고정축(15)의 주위에 수개의 각도 조정공(14)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19)의 상,하측 단부 내측에는 걸림턱(20)과 연결공(21)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공간부(19)에 삽입된 외측 압착구(4)의 연결 통공(10)에 볼트(23)를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축(15)이 삽입되는 중심축공(27)과, 이 중심축공(27)의 상부에 연결공(29)이 형성된 회전판(25)이 구비되어 있고, 이 회전판(25)의 중심축공(27)에는 상기 연결기판(17)의 고정축(15)이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판(25)의 연결공(29)과 연결기판(17)의 각도 조정공(14)에 볼트(30)가 체결되어 회전판(25)의 각도를 조정시키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25)의 하측 단부에는 수평 프레임(33)이 연결되어 중심부 상측에 유압모터(35)가 장착되어 있고, 이 유압모터(35)의 축(36)에는 브러쉬(38)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기판(17)의 외측벽(12)의 상측 단부에는 수개의 커버 연결공(16)이 형성되어 브러쉬(38)를 경사지게 장착하여 작동시켰을 경우, 흙이나 토사가 상부로 흩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39 는 견인 고리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굴삭기 작업구는,
작업구 장착시, 먼저 굴삭기의 버켓이나 클램프의 견인 고리(39)를 견인 고리 삽입구(9)의 견인 고리 삽입공(1)에 삽입시킨 뒤, 볼트(6)를 체결시키면, 견인 고리(39)의 내,외부 양측에 내,외측 압착구(3)(4)가 압착되어 장착된다.
이 상태에서 연결기판(17)의 고정축(15)이 중심축공(27)에 삽입된 회전판(25)을 작업 형태에 맞게 도 3 에서와 같이, 고정축(15)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각도를 조정한 후, 회전판(25)의 연결공(29)과 연결기판(17)의 각도 조정공(14)을 볼트(30)로 체결 고정시킨다.
다시 이 상태에서 상기 견인 고리(39)에 장착된 견인 고리 삽입구(9)의 외측 압착구(4)를 상기 연결기판(17)의 공간부(19) 내부에 삽입시킨 뒤, 하측 단부에 구비된 연결공(21)과 연결 통공(10)에 핀이나 볼트(23)를 체결시키면, 견인 고리 삽입구(9)와 연결기판(17)이 일체로 연결되어 설치가 완료된다.
이렇게 설치된 굴삭기 작업구의 유압모터(35)를 작동시키면, 축(36)에 장착된 브러쉬(38)가 회전하면서, 도로 공사나 호안 블록 작업중 발생되는 흙이나 토사를 일정 장소에 쓸어 모으거나 호안 블럭 사이 사이에 채우는 작업을 굴삭기의 호안 블록 작업과 동시에 병행하여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굴삭기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굴삭기 작업구에 의하면,
작업 형태에 맞게 회전판(25)의 각도를 조정한 뒤, 굴삭기의 버켓이나 클램프의 견인 고리(39)에 장착된 견인 고리 삽입구(9)를 연결기판(17)에 삽입 장착한 후, 유압모터(35)로 브러쉬(38)를 회전시켜, 도로 공사나 호안 블록 작업중 발생되는 흙이나 토사를 일정 장소에 쓸어 모으거나 호안 블럭 사이 사이에 채우는 작업을 굴삭기의 호안 블록 작업과 동시에 병행하여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 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예가 가능하며, 상기 실시예 만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다.
1 : 견인 고리 삽입공
3 : 내측 압착구
4 : 외측 압착구
6, 23, 30 : 볼트
9 : 견인 고리 삽입구
10 : 연결 통공
12 : 외측 벽
14 : 각도 조정공
15 : 고정축
16 : 커버 연결공
17 : 연결기판
19 : 공간부
20 : 걸림턱
21, 29 : 연결공
25 : 회전판
27 : 중심축공
33 : 수평 프레임
35 : 유압모터
36 : 축
38 : 브러쉬
39 : 견인 고리

Claims (1)

  1. 접촉부에 호형의 견인 고리 삽입공이 형성된 2 개의 내,외측 압착구 사이에 볼트가 체결되고, 상기 외측 압착구의 하측 단부에 연결 통공이 형성된 견인 고리 삽입구와;
    상기 견인 고리 삽입구의 외측 압착구가 안착되는 공간부와, 이 공간부의 상측 단부에 걸림턱과, 하측 단부에 상기 외측 압착구의 연결 통공이 볼트로 연결되는 연결공이 각각 구비되고, 외측 벽에 수개의 각도 조정공과 고정축이 구비된 연결기판과;
    상기 연결기판의 고정축이 삽입되는 중심축공과, 이 중심축공의 상부에 상기 연결기판의 각도 조정공이 볼트로 연결되는 연결공이 형성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하측 단부에 수평으로 연결되고, 중심부 상측에 유압모터가 장착된 수평 프레임과;
    상기 유압모터의 축에 장착되는 브러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작업구.
KR1020110035915A 2011-04-18 2011-04-18 굴삭기 작업구 KR101229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915A KR101229227B1 (ko) 2011-04-18 2011-04-18 굴삭기 작업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915A KR101229227B1 (ko) 2011-04-18 2011-04-18 굴삭기 작업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388A true KR20120118388A (ko) 2012-10-26
KR101229227B1 KR101229227B1 (ko) 2013-02-01

Family

ID=47285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915A KR101229227B1 (ko) 2011-04-18 2011-04-18 굴삭기 작업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22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52995A (zh) * 2014-04-22 2014-07-30 江门市垃圾虫智能清洁设备制造有限公司 扫地车边刷把的万向调节机构
CN104099970A (zh) * 2014-07-13 2014-10-15 李志勇 一种毛刷自动调节装置
CN104594254A (zh) * 2014-12-18 2015-05-06 无锡伊诺永利文化创意有限公司 一种简易式清扫装置
CN106368150A (zh) * 2016-08-29 2017-02-01 芜湖银星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清理器
CN107386167A (zh) * 2017-07-26 2017-11-24 合肥巨步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清扫车的可调节扫盘
CN107988971A (zh) * 2017-12-11 2018-05-04 湖南亿洁清洁工程有限公司 一种伸缩式多方位清洗装置
KR20200024501A (ko) * 2018-08-28 2020-03-09 김상현 중장비 부착용 빗자루
CN111926750A (zh) * 2020-08-19 2020-11-13 安徽省玉环清洗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扫地车用可拆卸式扫地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7320B2 (ja) * 1992-05-29 2000-10-10 豊和工業株式会社 ブラシ式清掃車
JP3767133B2 (ja) 1997-10-22 2006-04-1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床面清掃車
KR200333291Y1 (ko) 2003-08-13 2003-11-12 아산에스제이 주식회사 표지병 청소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52995A (zh) * 2014-04-22 2014-07-30 江门市垃圾虫智能清洁设备制造有限公司 扫地车边刷把的万向调节机构
CN104099970A (zh) * 2014-07-13 2014-10-15 李志勇 一种毛刷自动调节装置
CN104594254A (zh) * 2014-12-18 2015-05-06 无锡伊诺永利文化创意有限公司 一种简易式清扫装置
CN106368150A (zh) * 2016-08-29 2017-02-01 芜湖银星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清理器
CN107386167A (zh) * 2017-07-26 2017-11-24 合肥巨步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清扫车的可调节扫盘
CN107386167B (zh) * 2017-07-26 2019-06-04 江苏锡拖农机有限公司 一种用于清扫车的可调节扫盘
CN107988971A (zh) * 2017-12-11 2018-05-04 湖南亿洁清洁工程有限公司 一种伸缩式多方位清洗装置
CN107988971B (zh) * 2017-12-11 2019-07-12 湖南亿尚清洁工程有限公司 一种伸缩式多方位清洗装置
KR20200024501A (ko) * 2018-08-28 2020-03-09 김상현 중장비 부착용 빗자루
CN111926750A (zh) * 2020-08-19 2020-11-13 安徽省玉环清洗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扫地车用可拆卸式扫地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9227B1 (ko) 2013-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9227B1 (ko) 굴삭기 작업구
CN110468643B (zh) 一种边坡土工膜的固定结构及其固定方法
KR20130070744A (ko) 자유회전되는 아암을 가지는 소형 굴삭기
KR101640311B1 (ko) 굴삭기를 이용한 소형 보링 장치
CN209397638U (zh) 一种铲斗可调节挖掘机
CN214832372U (zh) 一种水土保持边坡护理结构
CN105265050A (zh) 与旋耕机配合的开沟播种器
CN211820369U (zh) 一种轮式挖掘销轴连接结构
CN211228656U (zh) 一种用于边坡精细化施工处理的装置
CN109469134B (zh) 一种挖掘机
CN214607767U (zh) 一种挖掘机履带链接板总成
KR200362690Y1 (ko) 굴삭기용 버킷의 평삭투스포인트
KR20150145923A (ko) 굴삭기의 버킷용 작업판
US7600575B2 (en) Modified box scraper system and apparatus with trench backfill blade
CN217759043U (zh) 一种挖掘机双钩松土器
CN208763095U (zh) 一种耕地用排水沟开挖工具
CN204826031U (zh) 一种路面破碎挖掘一体化液压铲斗专用转换固定装置
KR20210041764A (ko) 롤러를 부착한 빔 그레이더
CN205179657U (zh) 与旋耕机配合的开沟播种器
CN214005779U (zh) 一种清槽装置
CN219604437U (zh) 挖机整地平板套件
CN215669750U (zh) 一种管道施工用挖掘装置
CN213214259U (zh) 一种后镇压装置
CN212116122U (zh) 一种农业松土机的整平装置
KR200409803Y1 (ko) 굴삭기용 버킷의 평삭투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