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8302A - 에너지절약형 복층창 - Google Patents

에너지절약형 복층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8302A
KR20120118302A KR1020110035788A KR20110035788A KR20120118302A KR 20120118302 A KR20120118302 A KR 20120118302A KR 1020110035788 A KR1020110035788 A KR 1020110035788A KR 20110035788 A KR20110035788 A KR 20110035788A KR 20120118302 A KR20120118302 A KR 20120118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substrate
thin film
window
thermochromic th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5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동건
심면기
최용원
김현빈
정영수
유상련
김두환
정영진
김아라
Original Assignee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5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8302A/ko
Publication of KR20120118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83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2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insulation against nois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3C17/4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of an organic material and at least one non-metal co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절약형 복층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판에 써모크로믹 박막 및 투명도전막을 코팅하여 건물의 냉?난방 효율을 향상시키는 에너지절약형 복층창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복층창은 온도에 따라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의 투과율이 조절되는 써모크로믹 박막 및 중적외선(5~50㎛)영역의 반사율을 높이는 투명도전막 층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건물의 냉?난방 효율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에너지절약형 복층창{ENERGY SAVEING PAIR GLAZING}
본 발명은 에너지절약형 복층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판에 써모크로믹 박막 및 투명도전막을 코팅하여 건물의 냉?난방 효율을 향상시키는 에너지절약형 복층창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석유 등의 화학 에너지원의 가격이 급등하면서 새로운 에너지원 개발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또한, 이에 못지않게 에너지 절감기술의 중요성도 증대되고 있다. 실제로 일반 가정의 에너지 소비량 중 60% 이상은 냉?난방비로 사용된다. 특히 일반 주택 및 건물에서 창문을 통해 소비되는 에너지는 24%에 이른다.
이에 따라 창문의 기본 기능인 건물의 미관 및 조망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창문의 기밀 및 단열 특성을 높여 창문을 통해 소비되는 에너지를 줄이기 위하여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창문의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에서부터 고단열 창유리를 설치하는 방법 등이 실시되고 있다.
고단열 창유리의 종류에는 복층 유리에 아르곤(Ar) 가스 등을 주입하여 열 교환 현상을 막는 아르곤 가스 주입 복층 유리와 로이 (Low-E) 유리 등이 있다. 이외에도 열적 특성을 지닌 층을 유리에 코팅하여 태양광을 통한 에너지 유입을 조절하는 유리 등이 연구되고 있다.
특히, 로이유리는 유리 표면에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을 얇게 코팅하여 창을 통해 들어오는 가시광선은 대부분 안으로 투과시켜 실내를 밝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적외선 영역의 복사선은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겨울철에는 건물 안에서 발생한 난방열이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차단하고, 여름철에는 건물 바깥의 열기를 차단하여 냉?난방비를 줄이는 효과가 있으나, 가시광선 이외의 파장에 대해서는 반사를 하는 특성에 의해, 특히 겨울철에 태양에서 나오는 적외선 부분을 실내로 유입시키지 못하고, 계절(온도)에 따라 태양광의 투과율이 조절되지 않는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온도에 따라 가시광 및 근적외선 영역의 투과율이 조절되고 중적외선 영역의 반사율을 높여 건물의 냉?난방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에너지절약형 복층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설치되어 기판 간 이격 간격을 유지시키는 스페이서; 및 상기 제2 기판의 상면에 형성되고, 온도에 따라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의 투과율이 조절되는 써모크로믹(thermochromic) 박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절약형 복층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에너지절약형 복층창은 상기 제1 기판의 상면 또는 하면, 상기 제2 기판의 하면, 또는 상기 써모크로믹 박막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한면에 형성되고 중적외선(5~50㎛)영역의 반사율을 높이는 투명도전막 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투명도전막 층은 ITO(Indium Tin Oxide), SnO2, IZO(Indium Zinc Oxide), FTO(Fluorine Tin Oxide), IGZO(Indium Gallium Zinc Oxide), 및 Graphe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너지절약형 복층창은 중적외선(5~50㎛)영역의 투과율이 30%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에너지절약형 복층창은 상기 써모크로믹 박막의 상면 또는 하면에 AR(anti-reflection) 코팅 박막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써모크로믹 박막은 이산화바나늄(VO2) 박막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판 상에 써모크로믹 박막을 코팅함으로써 외부 온도에 따라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영역의 투과율이 조절되어 건물의 냉?난방 효율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절약형 복층창은 투명도전막 층을 더 포함함으로써, 중적외선 영역(5~50㎛)의 반사율을 높여 겨울철 난방에 의한 열에너지의 파장의 단열 성능을 높여 건물의 난방 효율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절약형 복층창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도전막 층을 더 포함하는 에너지 절약형 복층창의 개략적인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절약형 복층창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절약형 복층창은 제1 기판(100), 제1 기판(100)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 기판(200),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 사이에 설치되어 기판 간 이격 간격을 유지시키는 스페이서(300), 및 제2 기판(200)의 상면에 형성되고, 온도에 따라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의 투과율이 조절되는 써모크로믹(thermochromic) 박막(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기판(100) 및 제2 기판(200)은 투명 또는 유색의 일정한 넓이 및 두께를 갖는 기재로, 바람직하게는 소다라임계 유리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스페이서(300)는 기판 간 간격을 유지시켜 복층창의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시킨다.
이와 같이 제1 기판(100), 제2 기판(200), 및 스페이서(300)를 포함하는 복층창이 문틀(600)에 기밀성 있게 고정됨으로써, 단일창에 비해 방음, 방풍, 방열특성에서 우수한 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공간부에 아르곤(Ar)가스를 주입함으로써 더욱 우수한 단열 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써모크로믹 박막(400)은 복층창에 투과되는 빛의 광량, 특히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의 투과율을 제어하기 위하여 기판에 써모크로믹 현상을 일으키는 물질은 코팅하여 형성시킨다. 써모크로믹 물질은 특정 온도에서 천이 현상이 발생하며, 이러한 써모크로믹 현상에 의해서 써모크로믹 물질의 결정구조가 바뀌어 물리적 성질(전기 전도도 및 적외선 투과율)이 급격히 변하게 된다. 따라서, 기판에 써모크로믹 물질을 코팅함으로써 특정 온도 이상에서 가시광선은 들어오지만 근적외선 및 적외선은 차단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써모크로믹 박막(400)은 이산화바나늄(VO2), 산화티타늄(Ⅲ)(TI2O3), 산화나이오븀(NbO2), 및 황화니켈(NiS)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이산화바나늄(VO2)으로 이루어 질 것이다.
이와 같이 기판에 써모크로믹 박막을 코팅함으로써, 계절에 따른 태양광의 선택적 투과/차단 특성(즉, 일사가 많거나, 외부의 온도가 높을 경우에는 실내로 유입되는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의 투과를 차단하고, 외부의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태양열을 내부로 투과시킴)을 이용하여 건물의 냉?난방 부하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표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유리 기판에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NIR)의 투과율이 조절되는 VO2 박막이 코팅된 에너지절약형 복층창의 SC(Shading coefficient), SHGC(Solar Heat gain coefficient), Rel. Heat Gain, 가시광선 투과율(Tvis)값을 Window프로그램에서 계산한 결과이다.
복층창 구조는 실외측은 투명유리, 실내측은 VO2 박막이 코팅된 유리로 하였다.
가시광선/NIR
투과율(%)
SC SHGC Rel.Heat Gain Tvis
실시예1 30/10 0.480 0.413 325 0.271
실시예2 30/70 0.657 0.568 437 0.271
실시예3 70/10 0.565 0.489 379 0.573
실시예4 70/70 0.737 0.639 487 0.573
비교예1 LOW_E1 0.507 0.440 333 0.650
비교예2 LOW_E2 0.815 0.707 531 0.679
비교예3 투명유리 0.858 0.744 563 0.651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로이유리(Low-E) 및 투명유리의 경우 계절에 무관하게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투과율이 고정된 특성을 가지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절약형 창은 외부 환경에 따라 가시광선/NIR의 투과율이 자동으로 조절되어 SHGC와, Rel. Heat Gain값이 조절된다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1,2에서와 같이 가시광선의 투과율이 30%로 동일한 경우 근적외선 영역의 투과율 변화로 SHGC값이 0.413->0.568로 15%이상 조절됨을 알 수 있으며, 또한, 실시예3,4에서와 같이 가시광선의 투과율이 70%로 동일한 경우 근적외선 영역의 투과율이 변하는 특성으로 인해 SHGC값이 0.489->0.639로 15%이상 조절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기판에 써모크로믹 박막을 코팅함으로써 온도에 따라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의 투과율이 조절되어 건물의 냉?난방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도전막 층을 더 포함하는 에너지 절약형 복층창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절약형 복층창은 제1 기판(100)의 상면 또는 하면, 제2 기판(200)의 하면, 또는 써모크로믹 박막(400)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한면에 형성되는 투명도전막 층(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써모크로믹 박막(400) 및 투명도전막 층(500)은 각 기판의 공간부측 면에 형성될 것이다.
여기서, 투명도전막 층(500)은 ITO(Indium Tin Oxide), SnO2, IZO(Indium Zinc Oxide), FTO(Fluorine Tin Oxide), IGZO(Indium Gallium Zinc Oxide), 및 Graphe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태양 복사 스펙트럼을 보면 가시광선과 적외선의 비율이 50:50 정도이며, 적외선영역을 세분화해 보면 800~1300nm까지가 36%, 800~1700nm까지가 전체의 45%정도를 차지한다.
이에, 건물의 난방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태양광의 근적외선 영역인 1700nm까지의 파장에 대해서는 투과율이 높아야 하고, 겨울철 난방에 의한 열에너지 파장인 5~50㎛범위의 파장에 대해서는 반사율이 높아야 한다.
5~50㎛범위 적외선영역의 반사율을 높이기 위해 투명도전막(TCO) 외에 금속 코팅이 이용될 수 있으나, 금속 코팅은 근적외선(NIR)영역에서의 투과율이 낮아지고 단파장부터의 반사율이 커져, 태양광 이용효율이 떨어지고 써모크로믹 박막의 상전이에 따른 근적외선 영역의 투과율 변화 효율이 급격하게 감소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기판에 써모크로믹 박막을 코팅하여 근적외선 영역인 1700nm까지의 투과율을 높이고, 투명도전막을 코팅하여 5~50㎛범위의 중적외선 파장의 반사율을 높임으로써, 태양광 이용 효율을 최대화 하고, 겨울철 난방에 의한 열에너지의 파장 영역의 단열 성능을 높여 건물의 난방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투명도전막 층(500)을 포함하는 에너지절약형 복층창은 중적외선 영역의 투과율이 30% 이하일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절약형 복층창은 써모크로믹 박막(400)의 상면 또는 하면에 AR(anti-reflection) 코팅 박막(미도시)을 더 포함함으로써 에너지절약형 복층창의 가시광 투과율을 상승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제1 기판 200 : 제2 기판
300 : 스페이서 400 : 써모크로믹 박막
500 : 투명도전막 층 600 : 문틀

Claims (6)

  1.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설치되어 기판 간 이격 간격을 유지시키는 스페이서; 및
    상기 제2 기판의 상면에 형성되고, 온도에 따라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의 투과율이 조절되는 써모크로믹(thermochromic) 박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절약형 복층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의 상면 또는 하면, 상기 제2 기판의 하면, 또는 상기 써모크로믹 박막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한면에 형성되고 중적외선(5~50㎛)영역의 반사율을 높이는 투명도전막 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절약형 복층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도전막 층은 ITO(Indium Tin Oxide), SnO2, IZO(Indium Zinc Oxide), FTO(Fluorine Tin Oxide), IGZO(Indium Gallium Zinc Oxide), 및 Graphe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절약형 복층창.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절약형 복층창 중적외선(5~50㎛)영역의 투과율이 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절약형 복층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써모크로믹 박막의 상면 또는 하면에 AR(anti-reflection) 코팅 박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절약형 복층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써모크로믹 박막은 이산화바나늄(VO2) 박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절약형 복층창.
KR1020110035788A 2011-04-18 2011-04-18 에너지절약형 복층창 KR201201183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788A KR20120118302A (ko) 2011-04-18 2011-04-18 에너지절약형 복층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788A KR20120118302A (ko) 2011-04-18 2011-04-18 에너지절약형 복층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302A true KR20120118302A (ko) 2012-10-26

Family

ID=47285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788A KR20120118302A (ko) 2011-04-18 2011-04-18 에너지절약형 복층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830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61542A1 (en) Photovoltaic window assembly with solar control properties
KR20120118303A (ko) 에너지절약형 창 및 복층유리
US20140111846A1 (en) Electrochromic devices, assemblies incorporating electrochromic devices, and/or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101520741B1 (ko) 도펀트가 도핑된 써모크로믹 윈도우 및 이의 제조방법
Saidur et al. Energy-efficient optical coating for flat glass
KR20140001541A (ko) 써모크로믹 윈도우 제조방법
KR101399899B1 (ko) 써모크로믹 윈도우
KR20080040439A (ko) 에너지 절약형 스마트 윈도우 및 그 제조 방법
US10000965B2 (en) Insulating glass unit transparent conductive coating technology
KR20130074156A (ko) 반사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78977B1 (ko) 써모크로믹 유리 및 그 제조방법
EP3371122B1 (en) Insulating glass unit transparent conductive coating technology
KR101253037B1 (ko) 에너지절약형 창
KR20120118302A (ko) 에너지절약형 복층창
Wang et al. Multi-objective optimization of an anti-reflection AlN/VO2/AlN thermochromic window for building energy saving
KR101398602B1 (ko) 써모크로믹 윈도우
EP3371123B1 (en) Insulating glass unit transparent conductivity and low emissivity coating technology
KR101679692B1 (ko) 적외선 차폐 단열코팅
KR20140073882A (ko) 써모크로믹 윈도우
CN204694954U (zh) 一种电致变色智能玻璃
KR20140006504A (ko) 써모크로믹 진공 윈도우
KR20140006215A (ko) 써모크로믹 윈도우 제조방법 및 써모크로믹 윈도우
KR101398603B1 (ko) 써모크로믹 윈도우 및 써모크로믹 복층 윈도우
KR101260480B1 (ko) 시인성이 향상된 써모크로믹 코팅 기판
KR20130142721A (ko) 써모크로믹 윈도우 및 써모크로믹 복층 윈도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