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8273A - Drain apparatus having water sealing function - Google Patents

Drain apparatus having water sealing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8273A
KR20120118273A KR1020110035748A KR20110035748A KR20120118273A KR 20120118273 A KR20120118273 A KR 20120118273A KR 1020110035748 A KR1020110035748 A KR 1020110035748A KR 20110035748 A KR20110035748 A KR 20110035748A KR 20120118273 A KR20120118273 A KR 20120118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utlet
inlet
drainage device
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57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인구
김용
Original Assignee
이인구
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구, 김용 filed Critical 이인구
Priority to KR1020110035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8273A/en
Publication of KR20120118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827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03C1/1222Arrangements of devices in domestic waste water pipe-lin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Abstract

PURPOSE: A drain device with a water sealing function is provided to improve a configuration of a water sealing trap unit to be simple, thereby preventing odor and pest capable of coming through a drain pipe. CONSTITUTION: A drain device(1) with a water sealing function comprises a body(10), an inlet(20), an outlet(30), and a water sealing trap unit(40). The body comprises an upper member(12), a lateral member(24), and a lower member(16). The inlet is comprised in the upper member. The outlet is installed in the lower member and connected to a drain pipe of outside. The lower part of the water sealing trap member is connected to the outlet. An end(46) of a bent portion of the water sealing trap unit is arranged lower than a protrusion unit(44) comprised in inside.

Description

봉수기능을 구비한 배수 장치{drain apparatus having water sealing function} Drain apparatus having water sealing function

본 발명은 봉수기능을 구비한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방에서 싱크대의 배수호스 또는 여기에 추가하여 식기세척기 및 정수기 등의 배수호스에 연결하여 생활용수를 하수관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욕실 등의 바닥에 매설되어 생활용수를 하수관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과 동시에, 몸체부재의 내부에 봉수기능을 구비함으로써, 하수관으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악취나 해충 등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한 봉수기능을 구비한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age device having a sealing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ainage hose of a sink in a kitchen or in addition to the drainage hose such as a dishwasher and a water purifier in order to discharge the daily water to the sewage pipe. It is embedded in the floor of the bathroom or the like to discharge the living water into the sewage pipe, and at the same time has a water sealing function inside the body member, it is possible to block odors and pests that can be introduced from the sewer pipes It relates to a drainage device having a.

일반적으로 아파트, 주택 및 다세대주택 등의 주방에서는 싱크대가 사용되고 있다. 싱크대에서는 일반적으로 수도물과 같은 깨끗한 물이 사용되며, 사용된 물인 용수는, 바닥에 매설된 하수관을 통해 외부의 하수도로 배출되게 된다. Generally, sinks are used in kitchens such as apartments, houses and multi-family houses. In the sink, clean water such as tap water is generally used, and the water used is discharged to the sewer outside through a sewer pipe buried at the bottom.

또한, 욕실, 화장실, 사워룸 등과 같은 곳에서는 사용자가 사용하고 난 물이 바닥으로 모여, 바닥에 매설된 하수관을 통해 외부의 하수도로 배출된다. In addition, in places such as bathrooms, toilets, sour rooms, and the like, the water used by the user collects on the floor and is discharged to the external sewerage through a sewer pipe embedded in the floor.

한편, 주방의 경우에는, 최근 물의 사용이 필요한 주방기구, 예컨대 정수기, 식기세척기 등과 같은 주방기구의 사용이 늘고 있다. 이들 주방제품에서 사용된 후 배출되는 용수(用手)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호스는 주로 플렉시블한 나선형 배수호스가 사용되어 주방제품의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kitchen, the use of kitchen appliances such as water purifiers, dishwashers and the like that require the use of water in recent years is increasing. The drain hose for discharging the water discharged after being used in these kitchen products to the outside is mainly arrang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kitchen product using a flexible spiral drain hose.

또한, 보통 주방의 싱크대 아래에 설치된 난방장치에서도 난방 배관내의 공기를 빼기 위한 밸브가 구비되는데, 배기과정에서도 난방수가 유출되게 된다. 따라서, 늘어난 주방기구의 용수 또는 난방수를 한번에 연결하여 바닥에 매설된 하수관을 연결할 필요성이 있게 되었지만, 이에 적합한 연결장치는 없다. In addition, the heating device is usually provided under the sink of the kitchen is provided with a valve for releasing the air in the heating pipe, the heating water is also leaked during the exhaust proces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connect the sewage pipes buried in the floor by connecting the water or heating water of the increased kitchen appliances at once, but there is no suitable connection device.

도 1에는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주방 배수시설이 도시되어 있다. 1 illustrates a kitchen drainage system currently commonly used.

싱크대(102)의 하부에는 가요성 배수호스(104)가 결합되어 있고, 배수호스(104)의 하단부는 Y연결관(106)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다. Y연결관(106)의 타측에는 다른 호스(108)가 결합되어 있다. A flexible drain hose 104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ink 102, and a lower end portion of the drain hose 104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Y connecting pipe 106. The other hose 108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Y connecting pipe 106.

Y연결관(106)은 바닥부(110)에 매설되어 있는 하수관(112)과 연결관(11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한편, 하수관(112)은 건물외부의 하수시설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술한 정수기와 같은 주방기구에서 배출되는 용수는 Y연결관의 일측 연결구 등에 추가로 가지관을 설치하여 배출되도록 하고 있는 불편함이 있다. The Y connecting pipe 106 is connected by a sewer pipe 112 and a connecting pipe 114 embedded in the bottom 110. On the other hand, the sewer pipe 112 is connected to the sewage facility outside the building.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kitchen appliances such as the water purifier described above is inconvenient to install the branch pipe in addition to one side connection of the Y connection pipe and the like.

또한, 욕실 등의 경우에는, 사용된 용수가 바닥의 하수구를 통해 매설될 하수관을 거쳐 외부의 하수도로 배출되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bathroom or the like, the used water is discharged to an external sewerage through a sewer pipe to be buried through the sewer of the floor.

그런데, 주방이나 욕실에서는, 용수의 배출을 위해 연결된 하수시설에서 발생한 악취나 해충 등이, 하수관을 통해 역류하거나 유입되는 경우가 발생되어 실내환경이 쾌적하지 못할 뿐 아니라, 위생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kitchens and bathrooms, odors or pests generated in sewage facilities connected for discharge of water may flow back through or flow through sewage pipes, resulting in an un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and a sanitary problem.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싱크대 등과 같은 주방기기에 구비된 호스에 연결되어 용수가 유입된 후 하수관으로 배출되도록 하거나, 욕실의 바닥에 매설되어 용수가 유입된 후 하수관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수 장치로서, 연결된 하수관으로부터의 악취의 역류 및 해충 유입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한 봉수기능을 구비한 배수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connected to the hose provided in the kitchen equipment such as the sink to be discharged to the sewage pipe after the water is introduced, or buried in the bottom of the bathroom into the sewage pipe after the water is introduc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ainage device having a water-sealing function which can block backflow of odor and pest inflow from a connected sewer pipe, which can be discharged.

본 발명의 봉수기능을 구비한 배수장치는, 상면부재, 측면부재 및 하면부재를 구비한 몸체부재; 상기 상면부재에 구비된 유입구; 상기 하면부재에 구비되고 외부의 하수관이 연결되는 유출구; 및 그 하부는 상기 유출구에 연결되고, 그 하부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되 일측으로 구부러지도록 연장된 후, 그 구부러진 부분의 단부는 상기 구부러진 부분의 내측에 구비된 턱부보다 낮게 위치하고 상기 하면부재로 이격되도록 일체로 형성된 봉수 트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용수가, 상기 몸체부재 내부의 상기 봉수 트랩부재의 턱부까지 채운 후 추가로 유입되는 경우에만 상기 턱부를 넘어 상기 유출구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rainage device having a seal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member having an upper surface member, a side member and a lower surface member; An inlet provided in the upper member; An outlet provided on the bottom member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sewer pipe; And a lower portion thereof is connected to the outlet, and extends from the lower portion to the upper portion and extends to bend to one side, and an end portion of the bent portion is positioned lower than a jaw portion provided inside the bent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member. It is formed, including; and, 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the filling can be discharged to the outlet beyond the jaw only when the inlet is additionally filled after filling up to the jaw of the water seal trap member inside the body memb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한편, 상기 상면부재는 상기 측면부재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상면부재에 구비되어 용수가 유입되는 관형 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upper surface member is provided detachably with respect to the side member, the inlet is preferably provided in the upper surface member and includes a tubular connector through which water is introduced.

또한, 상기 상면부재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덮개 부재이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덮개 부재에 형성된 관통공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member is a cover member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e inlet is preferably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cover member.

그리고, 상기 측면부재에는, 상기 턱부보다 높은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측면유입구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The side member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ide surface inlet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jaw portion.

또한, 상기 봉수 트랩부재는, 파이프형 부재가 구부러져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ealant trap member is preferably formed by bending a pipe member.

한편, 상기 봉수 트랩부재의 하부의 횡방향 단면은 원형이고, 상기 봉수 트랩부재의 단부를 포함한 부분의 횡방향 단면의 외측 윤곽은, 타원형이나 사각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lower part of the said water seal trap member is circular, and the outer contour of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part containing the edge part of the said water seal trap member is either oval or square.

또한, 상기 봉수 트랩부재는, 상기 유출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ealant trap member is preferably detachably coupled to the outlet.

그리고, 상기 하면부재에 구비된 유출구는, 그 하면부재의 가운데 부분으로부터 일측으로 치우쳐서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The outlet provided in the lower surface member is preferably provided to be biased toward one side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member.

본 발명의 봉수기능을 구비한 배수장치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의 봉수 트랩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하수관으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악취, 해충 등의 유입이 방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drainage device with the water-seal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ater-sealing trap portion is provided with a simpl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preventing the inflow of odors, pests and the like which can flow from the sewer pipe.

또한, 본 발명의 봉수기능을 구비한 배수장치에 의하면, 봉수 트랩부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 장치의 제조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rainage device having the water-seal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ater-sealing trap part is configured integrally, the effect that the whole device can be manufactured can be easily achieved.

또한, 본 발명의 봉수기능을 구비한 배수장치는, 다수의 유입구를 구비하는 경우, 배수장치로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rainage device having a seal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lets, the drainage device can be used as a drainage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봉수기능을 구비한 배수장치는, 봉수 트랩부를 유출구에 대해 착탈가능도록 구성하는 경우, 시공이 간편하고 사용중에 필요에 따라 분리 조립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rainage device having a sealan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outlet, the construction can be easily achieved and separate assembly can be performed as necessary during use.

또한, 본 발명의 봉수기능을 구비한 배수장치는, 유출구를 일측으로 치우치도록 구성하는 경우, 설치환경에 맞게 설치위치를 조정하여 공간의 효과적인 사용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rainage device having a seal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biased toward one sid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that the effective use of the space is possible by adjust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도 1은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주방 배수시설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봉수기능을 구비한 배수장치의 개략적 단면도,
도 3과 도 4는 각각 도 2의 Ⅲ-Ⅲ선과 Ⅳ-Ⅳ선에 따른 개략적 단면도,
도 5와 도 6은, 각각 도 2의 봉수 트랩부재의 변형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봉수기능을 구비한 배수장치의 개략적 단면도.
1 is a view of a kitchen drainage system generally used in the past,
Figure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ainage device with a water seal function of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s III-III and IV-IV of FIG. 2, respectively;
5 and 6 are views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water seal trap member of Fig. 2,
Figure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ainage device with a water seal function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봉수기능을 구비한 배수장치(1)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며 상세히 설명한다. Drainage device 1 having a water-seal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상기 봉수기능을 구비한 배수장치(1)는, 몸체부재(10), 유입구(20), 유출구(30) 및 봉수 트랩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The drainage device 1 having the sealant function includes a body member 10, an inlet 20, an outlet 30, and a sealant trap member 40.

상기 몸체부재(10)는, 상면부재(12), 측면부재(14) 및 하면부재(16)를 구비한다. 몸체부재(1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이다. 다만 본 발명의 몸체부재가 원통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의 경우, 사각형통이나 다각형 통형상으로 필요에 따라 변형가능하다. The body member 10 includes an upper surface member 12, a side member 14, and a lower surface member 16. Body member 10 is generally cylindrical in shape. However, the body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cylindrical shape, and in the case of another embodiment, may be modified as necessary into a rectangular cylinder or a polygonal cylindrical shape.

본 실시예의 경우, 상면부재(12)는, 측면부재(14)에 나사결합 등과 같은 방식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의 경우, 필요에 따라 상면부재는 측면부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surface member 12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ide member 14 by a method such as screwing. In another embodiment, the upper surface membe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ide member as necessary.

상면부재(10)에는 유입구(20)가 구비되어 있다. 유입구(20)는 외부에서 용수가 유입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유입구(20)는, 호스가 연결되기에 용이한, 관형상의 연결구가 구비되어 있다. 유입구(20)의 외측면에는 호스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유입구(20)에는 호스 등의 연결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니언(union) 방식의 너트(nut)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The upper member 10 is provided with an inlet 20. Inlet 20 is a portion in which water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inlet 20 is provided with a tubular connector that facilitates the connection of the hose. The outer surface of the inlet 20 is threaded to facilitate the connection of the hos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let 20 may be provided with a nut (union) of the nut (union) so that the connection of the hose, etc. can be made conveniently.

한편, 측면부재(14)에는 후술하는 턱부(44)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추가적인 유입구(22, 24)가 더 구비되어 있다. 유입구(22, 24)들은, 상면부재(12)와 비교하여 동일한 크기일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다를 수도 있다. 유입구(22, 24)는 돌출된 관형상의 연결구이고, 유니언 방식의 너트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는 2개의 유입구(22, 24)가 구비되는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필요에 따라 유입구의 개수는 변화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side member 14 is further provided with additional inlets 22, 24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position of the jaw portion 44 to be described later. The inlets 22 and 24 may be the same size as compared with the upper surface member 12, and may differ as needed. The inlets 22, 24 are protruding tubular connectors and may have union nuts. In the drawings, for example, two inlets 22 and 24 are provided, but the number of inlets may be changed as necessary.

유입구들(20, 22, 24)의 각각에는, 생활 용수를 배출하는 기기들과 연결된 각 호스들이 결합된다. 즉 싱크대, 정수기, 식기세척기 등과 같은 기기에서 배출되는 용수들이 유입구들을 통해 몸체부재(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다. In each of the inlets 20, 22, 24, respective hoses connected with appliances for discharging domestic water are combined. That is, water discharged from a device such as a sink, a water purifier, a dishwasher, or the like is introduced into the body member 10 through the inlets.

상기 하면부재(16)는 측면부재(14)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하면부재(16)에는 유출구(30)가 형성되어 있다. 유출구(30)에는 하수시설과 연결되는 하수관이 연결된다. The lower surface member 16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ide member 14, the outlet member 30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member 16. The outlet 30 is connected to a sewer pipe connected to the sewage facility.

본 실시예의 경우, 유출구(30)는, 하면부재(16)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한 것이 아니라, 가운데 부분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하는 경우, 배수장치(1)를 설치함에 있어, 설치하는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outlet 30 is not located in the center part of the lower surface member 16, but is provided in the center part to one side. In the case of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n installing the drainage device 1, it becomes possible to use the space to be installed more efficiently.

도 2를 참조하면, 유출구(30)에는 하수관(미도시)을 견고하고 간편하게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되어 있다. 즉, 유출구(30)는, 외측으로 돌출된 관형상의 연결구가 구비되어 있고, 그 외측으로 다시 더 넓은 직경을 가지는 관형상의 부재(32)가 구비되어 있다. 그들 사이에는 좁은 공간(33)이 형성되어, 이 부분에 하수관이 끼워질 수 있게 된다. Referring to Figure 2, the outlet 30 is provided with a configuration for connecting the sewage pipe (not shown) firmly and simply. That is, the outlet 30 is provided with the tubular connector which protruded to the outer side, and is provided with the tubular member 32 which has a larger diameter again to the outer side. A narrow space 33 is formed between them, so that the sewer pipe can be fitted to this portion.

또한 공간(33)이 안쪽에 고무 패킹 등과 같은 밀폐를 위한 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고, 관형상의 부재(32)의 내측면 혹은 돌출된 유출구(30)의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 space 33 may further include a member for sealing, such as a rubber packing, and a thread may b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tubular member 32 or an outer surface of the protruding outlet 30. .

상기 봉수 트랩부재(40)는, 상기 하면부재(16)에 구비된 유출구(30)에 구비되어, 몸체부재(10)의 내부공간에 일정 높이의 용수가 항상 채워져 있도록 하여, 하수관에서 발생되어 역류될 수 있는 냄새 혹은 해충들을 막아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seal trap member 40 is provided in the outlet 30 provided in the lower surface member 16, so that the water of a certain height is always fill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member 10, generated in the sewage pipe and flow back It acts as a barrier to possible odors or pests.

봉수 트랩부재(40)는 사출 등의 방법에 의해 일체로 제조된다. 봉수 트랩부재(40)의 하부(42)는 유출구(30)에 연결된다. 유출구(30)가 원형이므로, 하부(42)의 형상도 이에 결합가능하도록 그 횡방향 단면의 외측형상은 원형이다. Sealing trap member 40 is integrally manufactured by a method such as injection. The lower portion 42 of the watertight trap member 40 is connected to the outlet 30. Since the outlet 30 is circular, the outer shape of the transverse cross section is circular so that the shape of the lower part 42 can be coupled thereto.

본 실시예의 경우, 봉수 트랩부재(40)의 하부(42)는 유출구(3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하부(42)의 외측면 유출구(30)가 상호 접하는 부분에 상호 체결이 가능한 나사산을 형성하여,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식은 나사식이 아니라, 일정 각도, 예컨대 45도 정도 회전하는 것에 의해 잠기며 고정되고,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해제되며 분리되는 방식도 가능하며, 일정 힘으로 가압하여 결합시키고, 분리시키는 방식도 가능하다.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lower portion 42 of the water seal trap member 4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outlet 30. The outer surface outlet 30 of the lower part 42 forms a thread that can be fastened to each other in contact with each other, it can be detachably coupled. The method of detachably engaging is not threaded, but is locked and fixed by rotating at an angle, for example, about 45 degrees, and can be released by being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can be detached. It is also possible to separate them.

봉수 트랩부재(40)가 유출구(30)로부터 분리가능한 구성이기 때문에, 필요시, 봉수 트랩부재(40)를 분리시킨 후, 몸체부재(10) 내부의 오물을 청소할 수도 있다. Since the water seal trap member 4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outlet 30, the dirt inside the body member 10 may be cleaned after separating the water seal trap member 40 if necessary.

봉수 트랩부재(40)는 하부(42)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되 일측으로 구부러지도록 연장된다. 그리고 그 구부러진 부분의 단부(46)는 구부러진 부분의 내측에 구비된 턱부(44)보다 낮게 위치하고, 하면부재(16) 위에 위치한다. The watertight trap member 40 extends from the lower portion 42 to the upper portion and extends to bend to one side. The end portion 46 of the bent portion is located lower than the jaw portion 44 provided inside the bent portion, and is positioned on the lower surface member 16.

본 실시에의 경우, 봉수 트랩부재(40)의 하부의 횡방향 단면은 원형이다(도 3참조). 하지만, 단부(42)를 포함한 부분의 횡방향 단면의 외측 윤곽은, 타원형 내지는 트랙과 같은 형상이다(도 4 참조). 다른 실시예의 경우, 단부를 포함한 부분의 횡방향 단면의 외측 윤곽은 사각형이 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nsverse cross sec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seal trap member 40 is circular (see FIG. 3). However, the outer contour of the transverse cross section of the portion including the end 42 is an oval or a track-like shape (see FIG. 4). In other embodiments, the outer contour of the transverse cross section of the portion including the end may be rectangular.

즉, 봉수 트랩부재(40)의 아래 부분인 하부(42)는 원형의 파이프와 같은 형상이지만, 위로 연장되면서 단면이 변형되어,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은 단면을 가지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봉수트랩부재(40)의 우측부분(43)은 유출구(30)와 연통된 부분이고, 좌측부분(47)은 구부러진 부분의 단부(46)를 거쳐 하면부재(16)를 향하는 부분이다. 좌측부분(47)을 통해 들어온 용수는 턱부(44)를 넘어 우측부분(43)으로 들어가 유출구(30)를 통해 하수관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That is, the lower portion 42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eal trap member 40 is shaped like a circular pipe, but the cross section is deformed while extending upward, and thus has a cross section as illustrated in FIG. 4. Referring to FIG. 4, the right portion 43 of the seal trap member 40 is a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outlet 30, and the left portion 47 passes the lower surface member 16 via the end portion 46 of the bent portion. It's the heading part. Water entering through the left part 47 enters the right part 43 beyond the jaw part 44 and is discharged to the sewer pipe through the outlet 30.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 봉수기능을 구비한 배수장치(1)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drainage device 1 having the sealant func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봉수기능을 구비한 배수장치(1)는, 봉수 트랩부재(40)를 몸체부재(10) 내부에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유입구(20, 22, 24)들을 통해 유입된 각종 용수가, 몸체부재(10) 내부의 봉수 트랩부재(40)의 턱부(44)까지 채운 후 추가로 유입되는 경우에만 턱부(4)를 넘어 상기 유출구(30)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Since the drainage device 1 having a water sealing function includes the water sealing trap member 40 inside the body member 10, various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s 20, 22, and 24 may be stored in the body member ( 10) After filling up to the jaw portion 44 of the water seal trap member 40 therein i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to the outlet 30 over the jaw portion 4 only when additionally introduced.

즉, 사용중에는, 용수가 몸체부재(10)의 내부 공간을 채우고 있어서, 유출구(30)와 연결된 하수관에서 유입가능한 악취나 해충이 내부공간에 채워져 있는 용수에 의해 차단된다. 따라서, 하수관의 악취나 해충이 유출구를 거쳐 유입구들을 통해 생활공간으로 침해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That is, during use, the water fills the interior space of the body member 10, and odors and pests that can enter the sewage pipe connected to the outlet 30 are blocked by the water filled in the interior space. Therefore, odors or pests in the sewer pipes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being invaded into the living space through the inlets.

본 실시예의 봉수기능을 구비한 배수장치(1)는, 유입관(20, 22, 24)을 다수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주방의 싱크대 아래에 설치되는 경우, 싱크대 이외의 다수의 용수배출장치와 연결되어 멀티관 연결장치로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Since the drainage device 1 having the sealing func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inflow pipes 20, 22, and 24, when the drainage device 1 is installed under the sink of the kitchen, it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water discharge devices other than the sink. It can be used as a multi pipe connection device.

또한, 상면부재(12)가 분리가능하게 측면부재(14)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 상면부재(12)를 제거하고, 내부에 쌓인 오물을 제거할 수도 있다. 이때, 필요하다면, 봉수 트랩부재(40)까지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since the upper surface member 12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ide member 14, if necessary, the upper surface member 12 may be removed, and dirt accumulated therein may be removed. At this time, if necessary, it is possible to separate up to the water seal trap member (40).

한편,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봉수기능을 구비한 배수장치(1)에 구비된 봉수 트랩부재(40)의 변형된 형태가 도 5와 도 6에 예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a modified form of the water seal trap member 40 provided in the drainage device 1 with the water seal func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illustrated in FIGS. 5 and 6.

도 5와 도 6에 각각 예시된 봉수 트랩부재(40a, 40b)는, 파이프형태의 부재의 일측을 구부려 봉수 트랩부재(40a, 40b)를 구성한 것이다. 이들 봉수 트랩부재(40a, 40b)는, 파이프 형태의 부재를 구부려 형성할 수도 있지만, 사출 등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The water seal trap members 40a and 40b illustrated in FIGS. 5 and 6 respectively bend one side of the pipe-shaped member to constitute the water seal trap members 40a and 40b. These seal trap members 40a and 40b may be formed by bending a pipe-shaped member, but may also be manufactured by a method such as injection.

두 실시예 모두, 턱부가 구부러진 부분의 단부보다 높게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하부는 유출구(3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원형으로 되어 있다. In both embodiments, the jaw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end of the bent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is circular so that it can be coupled to the outlet 30.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봉수기능을 구비한 배수장치(1a)가 개략적 단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Fig. 7, a drainage apparatus 1a with a water-sealing function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s a schematic sectional view.

본 실시예의 봉수기능을 구비한 배수장치(1a)는 앞선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면부재(12a) 및 유입구(20a)의 구체적 형상에 차이가 있다. 이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모두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가 그대로 또는 적절하게 변형되어 적용된다. The drainage device 1a having the seal function of this embodiment has a difference in the specific shape of the upper surface member 12a and the inlet port 20a as compared with the previous embodiment. All other configurations except those described above are applied as it is or modified appropriately.

본 실시예의 경우, 상면부재(12a)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덮개 부재이다. 상면부재(12a)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은 유입구(20a)의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생활 용수가 다수의 관통공으로 구성된 유입구(20a)를 통해 몸체부재(10)의 내부로 유입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surface member 12a is a lid member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member 12a serves as the inlet 20a. That is, the living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body member 10 through the inlet 20a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본 실시예의 봉수기능을 구비한 배수장치(1a)는, 주로 욕실의 바닥에 사용된다. 측면부재에 추가적인 유입구(22, 24)가 마찬가지로 구비되어 있으나, 이들 유입구(22, 24)들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The drainage device 1a having a water sealing func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mainly used for the floor of a bathroom. Additional inlets 22, 24 are likewise provided on the side members, but these inlets 22, 24 may not be provided.

본 실시예의 경우, 몸체부재(10)는 바닥에 매설되어 사용된다. 따라서, 봉수기능을 구비한 배수장치(1a)를 욕실 내부에 시공하려고 할 때, 봉수 트랩부재(40)를 제거한 상태로 몸체부재를 바닥에 매설하는 공사를 하고, 그 후 봉수 트랩부재(40)를 유출구(30)에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사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ody member 10 is used buried in the bottom. Therefore, when attempting to construct the drainage device (1a) having a water-sealing function in the bathroom, the work to embed the body member on the floor with the water-sealing trap member 40 is removed, and then the water-sealing trap member (40)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struction is simple because it can be coupled to the outlet (30).

또한, 본 실시예의 봉수기능을 구비한 배수장치(1a)를 욕실의 구석에 시공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봉수 트랩부재가 일측으로 구부러진 형상이고 이로인해 유출구가 가운데가 아닌 일측으로 치우쳐 있기 때문에, 시공하기에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it is necessary to install the drainage device 1a with the water-sealing func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corner of the bathroom, since the water-sealing trap member is bent to one side and the outlet is biased to one side rather than the midd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convenient for construction.

또한, 봉수 트랩부재가 유출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시공시에는 물론, 사용중에도 몸체부재의 내부에 쌓인 오물을 제거해야 할때, 봉수 트랩부재를 유출구로부터 분리하고 나서, 내부를 간편하게 청소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eal trap membe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outlet, when the dirt accumulated inside the body member is to be removed during construction as well as during use, the seal can be easily cleaned after separating the seal trap member from the outlet. The advantage is that it is possible.

1, 1a ... 봉수기능을 구비한 배수장치
10 ... 몸체부재 12 .. 상면부재
14 ... 측면부재 16 ... 하면부재
20 ... 유입구 30 ... 유출구
40 ... 봉수 트랩부재 42 ... 하부
44 .. 턱부 46 ... 단부
1, 1a ... drainage system with sealing function
10 ... body member 12 .. top member
14 ... side members 16 ... bottom members
20 ... inlet 30 ... outlet
40 ... watertight trap member 42 ... lower part
44 .. Jaw 46 ... End

Claims (8)

상면부재, 측면부재 및 하면부재를 구비한 몸체부재;
상기 상면부재에 구비된 유입구;
상기 하면부재에 구비되고 외부의 하수관이 연결되는 유출구; 및
그 하부는 상기 유출구에 연결되고, 그 하부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되 일측으로 구부러지도록 연장된 후, 그 구부러진 부분의 단부는 상기 구부러진 부분의 내측에 구비된 턱부보다 낮게 위치하고 상기 하면부재로 이격되도록 일체로 형성된 봉수 트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용수가, 상기 몸체부재 내부의 상기 봉수 트랩부재의 턱부까지 채운 후 추가로 유입되는 경우에만 상기 턱부를 넘어 상기 유출구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수기능을 구비한 배수장치.
A body member having an upper surface member, a side member, and a lower surface member;
An inlet provided in the upper member;
An outlet provided on the bottom member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sewer pipe; And
The lower part is connected to the outlet, and extends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and extends to bend to one side, and the end of the bent part is located lower than the jaw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bent part and integrally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member. It is formed, including a water seal trap member,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inlet is filled with the water seal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discharged to the outlet through the jaw only when the water is additionally filled after filling up to the jaw portion of the water seal trap member in the body member Drain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재는 상기 측면부재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상면부재에 구비되어 용수가 유입되는 관형 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수기능을 구비한 배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surface member is provided detachably with respect to the side member,
The inlet is provided in the upper member and the drainage device with a water-seal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ubular connector for introducing wa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재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덮개 부재이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덮개 부재에 형성된 관통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수기능을 구비한 배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surface member is a cover member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said inlet is a through hole formed in said cover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재에는, 상기 턱부보다 높은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측면유입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수기능을 구비한 배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ide member, at the position higher than the jaw portion, at least one side inlet is provided with a water seal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provi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수 트랩부재는, 파이프형 부재가 구부러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수기능을 구비한 배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alant trap member is a drainage device having a sealant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ipe-shaped member is formed b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수 트랩부재의 하부의 횡방향 단면은 원형이고,
상기 봉수 트랩부재의 단부를 포함한 부분의 횡방향 단면의 외측 윤곽은, 타원형 이나 사각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수기능을 구비한 배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nsverse cross sec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eal trap member is circular,
The outer contour of the transverse cross-section of the portion including the end of the seal trap member is any one of an oval or a quadrang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수 트랩부재는, 상기 유출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수기능을 구비한 배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alant trap member, a drainage device having a sealant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detachably coupled to the outl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부재에 구비된 유출구는, 그 하면부재의 가운데 부분으로부터 일측으로 치우쳐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수기능을 구비한 배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let provided in the lower surface member, the drainage device having a water-seal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to be biased toward one side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member.
KR1020110035748A 2011-04-18 2011-04-18 Drain apparatus having water sealing function KR2012011827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748A KR20120118273A (en) 2011-04-18 2011-04-18 Drain apparatus having water seal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748A KR20120118273A (en) 2011-04-18 2011-04-18 Drain apparatus having water sealing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273A true KR20120118273A (en) 2012-10-26

Family

ID=47285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748A KR20120118273A (en) 2011-04-18 2011-04-18 Drain apparatus having water sealing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827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2824B2 (en) Tub drain and overflow assembly
JP3915069B2 (en) Drain pipe
JP5651830B2 (en)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ank and drainage
KR20190089667A (en) Drain Device for Washstand
JP5756938B2 (en) Drainage pipes and drainage traps for drainage equipment
KR101312216B1 (en) On floor drainage apparatus
JP2003056030A (en) Joint, joint system and assembled vertical pipe joint
JP3668945B2 (en) Drain trap piping
KR101272152B1 (en) Multi pipe joint apparatus having water sealing function
KR20210000700U (en) Dual pipe type floor drainage apparatus
KR100923133B1 (en) A drain sewage with insert type water sealing trap
KR20080081572A (en) The waste trap for the odor prevention
KR20170003867U (en) multi-connecting unit
KR20120118273A (en) Drain apparatus having water sealing function
KR20120076006A (en) Pipe having a double flow path and drainage pip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1401231B1 (en) Drain apparatus for a washbowl
KR20130095538A (en) Sewer cover drain apparatus
KR101114822B1 (en) Drain sewage
KR101177495B1 (en) draining trap
JP4555122B2 (en) Drainage container
KR101113410B1 (en) The drain trap
TWM511513U (en) Drain and trap structure
JP7138319B2 (en) Drainage piping for drainage equipment
KR20120105213A (en) Multi pipe joint apparatus having water sealing function
KR20170100180A (en) multi-connecting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