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8138A - 히트파이프가 장착된 매트리스 난방장치 - Google Patents

히트파이프가 장착된 매트리스 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8138A
KR20120118138A KR1020110035532A KR20110035532A KR20120118138A KR 20120118138 A KR20120118138 A KR 20120118138A KR 1020110035532 A KR1020110035532 A KR 1020110035532A KR 20110035532 A KR20110035532 A KR 20110035532A KR 20120118138 A KR20120118138 A KR 20120118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pipe
mattress
wick
heating device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5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8669B1 (ko
Inventor
정춘식
Original Assignee
정춘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춘식 filed Critical 정춘식
Priority to KR1020110035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669B1/ko
Publication of KR20120118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8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2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21/046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out active means, e.g. with openings or heat condu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pring in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1/00Pulp or paper, comprising cellulose or lignocellulose fibres of natural origin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notechn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트파이프에 의해 매트리스 내부를 가열하여 매트리스를 따뜻하게 사용할 수 있는 히트파이프가 장착된 매트리스 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히트파이프가 장착된 매트리스 난방장치는, 매트리스와; 상기 매트리스의 내부에 장착되는 히트파이프와; 상기 히트파이프의 일단에 장착되는 발열부와; 외부전원과 연결되어 전기에 의한 상기 발열부의 발열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기로 이루어지되, 상기 히트파이프는, 내부에 작동유체가 충진된 중공형상의 관체와; 상기 관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막대 형상의 윅(wick)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히트파이프가 장착된 매트리스 난방장치 { MATTRESS HEATING APPARATUS HAVING HEAT PIPE }
본 발명은 히트파이프가 장착된 매트리스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히트파이프에 의해 매트리스 내부를 가열하여 매트리스를 따뜻하게 사용할 수 있는 히트파이프가 장착된 매트리스 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돌은 동절기 한국의 고유의 난방장치로서 채난원리(採暖原理)인 열의 전도를 이용하여 난방을 하는 것으로서, 방바닥 밑에 깔린 온수파이프에 온수를 순환시켜, 방바닥의 온도를 높게 하여, 방안을 따뜻하게 하고 특히 온 돌바 닥에 이부자리를 깔았을 때 요와 이불에 따뜻한 온기를 갖게 하기 때문에 옛날부터 대부분의 주택에 온돌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온돌을 이용한 난방법은 방바닥 및 실내공간을 따뜻하게 할 뿐 아니라 열효율이 좋고 연료의 소비가 적으며, 설치구조가 간단하고 고장이 거의 없어 온돌 구조물에 거의 손질을 요하지 않는다.
그러나, 최근 서양의 침대문화가 확산되면서 대부분의 가정에서 침대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와 같이 침대를 이용하는 경우에 온돌을 이용한 난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침대는 온돌바닥과 침대 위에 깔린 매트리스 사이를 차단시키기 때문에 매트리스로의 열전달은 직접적인 열전도에 행해지는 것이 아니라 대류 또는 열복사에 의해 전달되므로 온돌바닥에 직접 이부자리를 까는 경우에 비하여 매트리스 위에 깔린 이부자리가 따뜻하지 않다.
따라서 매트리스 위에서 수면을 취하는 사람에게 따뜻한 온기를 제공하지 못한다.
즉 서양문화의 침대의 장점을 살릴 수 있지만 동양문화의 온돌의 장점은 살릴 수 없다.
또한 온돌바닥에 직접 이부자리를 까는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고자 하는 경우에는 실내공간의 온도를 더욱 높여야 하고 그를 위해서는 더 많은 연료(기름, 또는 도시가스 등등)가 소비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매트리스 위에 깔린 이부자리를 따뜻하게 하기 위하여 전기장판을 깔거나, 실내공간의 온도를 높이기 위하여 각종 전열기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전력의 공급이 필요하며, 더욱이 상기 난방장치는 화재발생의 위험과 전자기파의 발생에 의해 사용자의 인체에 해를 끼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저전력으로 매트리스 자체를 신속하게 따뜻하게 하고, 전자기파의 발생으로 인해 신체에 악영향을 미칠 염려가 없으며, 매트리스 자체를 고온으로 건조하게 하여 세균이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을 없애고 소독도 가능하여 인생의 1/3인 수면을 쾌적하고 안락한 환경에서 지내도록 할 수 있는 히트파이프가 장착된 매트리스 난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히트파이프가 장착된 매트리스 난방장치는, 히트파이프가 장착된 매트리스 난방장치는, 매트리스와; 상기 매트리스의 내부에 장착되는 히트파이프와; 상기 히트파이프의 일단에 장착되는 발열부와; 외부전원과 연결되어 전기에 의한 상기 발열부의 발열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기로 이루어지되, 상기 히트파이프는, 내부에 작동유체가 충진된 중공형상의 관체와; 상기 관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막대 형상의 윅(wick)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매트리스의 내부에는 완충스프링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히트파이프는 상기 완충스프링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매트리스에는 내외부의 공기 순환을 위한 통풍구가 형성된다.
상기 발열부는, 상기 히트파이프의 일단을 감싸고 있는 열전도체 재질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장착된 히터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열부는, 상기 케이스 및 히터를 감싸고 있는 난연단열재와; 상기 난연단열재를 감싸고 있는 난연축소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부가 개방된 장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히트파이프의 일단이 삽입 장착되고, 상기 히터는 PCT(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장착되되, 상기 장착홈의 개방된 상부의 크기는 상기 히트파이프의 일단의 직경보다 작도록 한다.
상기 히트파이프는 일직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히트파이프의 타단은 일단보다 높게 위치한다.
상기 윅에는 탄소나노튜브가 코팅되어 있다.
상기 윅은, 압축된 다공천연섬유와; 상기 다공천연섬유의 외주면을 감싸는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공천연섬유와 부직포에는 상기 탄소나노튜브가 함유되어 코팅된다.
상기 윅의 직경은 상기 관체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관체의 내부에서 유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윅은 중력에 의해 상기 관체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작동유체의 양은 상기 윅이 최대로 흡수할 수 있는 양의 100 ~ 110%가 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히트파이프가 장착된 매트리스 난방장치에 따르면, 저전력으로 매트리스 자체를 신속하고 따뜻하게 할 수 있어 침대생활을 하면서도 온돌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이중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히트파이프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자기파의 발생으로 인해 신체에 악영향을 미칠 염려가 없다.
또한, 매트리스의 내부에서 열이 발생하여 매트리스 자체 내부를 고온으로 건조하게 하기 때문에, 세균이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을 없애고 소독도 가능하여 인생의 1/3인 수면을 쾌적하고 안락한 환경에서 지내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히트파이프의 관체가 동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매트리스 내부의 살균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C-C선을 취하여 본 발열부와 히터파이프의 장착구조 단면도,
도 5는 도 3의 E-E선을 취하여 본 단면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트파이프와 종래 열전달재료의 열전도율을 비교한 비교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트파이프의 정면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C-C선을 취하여 본 발열부와 히터파이프의 장착구조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E-E선을 취하여 본 단면구조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트파이프와 종래 열전달재료의 열전도율을 비교한 비교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트파이프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히트파이프가 장착된 매트리스 난방장치는, 매트리스(10)와, 히트파이프(20)와, 발열부(30)와, 온도조절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매트리스(10)는 일반 침대 매트리스를 이용하는 것으로써, 내부에는 완충스프링(11)이 삽입되어 있고, 측면에는 매트리스(10) 내외부의 공기 순환을 위한 통풍구(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히트파이프(20)는 상기 매트리스(10)의 내부에 장착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매트리스(10)의 측면에 형성된 지퍼(15)를 개방하여 상기 매트리스(10) 내부에 상기 히트파이프(20)를 삽입하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트파이프(20)는 띠와 같은 체결부재(16)를 통해 상기 완충스프링(11)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히트파이프(20)는 상기 완충스프링(11)이 아닌 별도의 다른 브라켓(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상기 매트리스(10) 내부에 장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매트리스(10)의 내부에 상기 히트파이프(20)를 4개 삽입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상기 히트파이프(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21)와, 윅(Wick, 2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관체(21)는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과 타단이 폐쇄되어 있고, 일단이 상기 발열부(30)와 접하고 있으며, 내부에는 작동유체가 충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관체(21)는 동(cu)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윅(22)은 상기 관체(21)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며, 외부는 균일한 모세관 구조를 가지고 있고 내부는 흡입력이 강력한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빠른 열 이송력과 응축된 작동유체가 빠르게 귀환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윅(22)에는 탄소나노튜브(23)가 코팅되어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윅(2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천연섬유(22a)와 부직포(22b)로 이루어진다.
상기 다공천연섬유(22a)는 압축된 상태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강력한 흡입력을 가지고 있다.
상기 부직포(22b)는 상기 다공천연섬유(22a)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으며, 균일한 모세관 구조를 가지고 있다.
위와 같은 상기 다공천연섬유(22a)와 부직포(22b)에 의해 상기 윅(22)은 흡입력이 강하고, 균일한 모세관 구조를 가지게 되어, 작동유체를 많이 머금으면서 빠르게 귀환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상기 윅(22)의 소재를 금속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작동유체의 흡입력이 높지 못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23)는 상기 다공천연섬유(22a) 및 부직포(22b)에 함유되어 코팅됨으로써, 상기 윅(22)의 열전도 및 방열효과를 보다 높이는 역할을 한다.
상기 히트파이프(20)는 상기 윅(22)에 탄소나노튜브(23)가 코팅되어 있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및 구리뿐만 아니라 종래의 히트파이프(20)보다 열전도율이 월등히 높음을 알 수가 있다.
상기 윅(22)에 코팅되는 상기 탄소나노튜브(23)는 10~20 나노미터이고, 0.2~0.5% 탄소나노튜브(23)를 물에 분산한 상태에서 상기 다공천연섬유(22a)와 부직포(22b)로 이루어진 구조체를 수차례 침수했다가 건조하는 과정을 거쳐 내외부에 코팅을 한다.
이러한 코팅공정을 마치면, 윅(22)의 전부분에 상기 탄소나노튜브(23)가 코팅되어 복합구조의 기능인 모세관 작용과 흡수작용이 기존 사용하는 윅(22)보다 월등한 성능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압축된 상기 다공천연섬유(22a)의 외주면에 상기 부직포(22b)를 감쌈으로써, 탄력이 우수해져 상기 윅(22)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봉이 불필요하고, 상기 다공천연섬유(22a)는 내열성 및 내화학성을 가지고 있어 어떠한 조건의 온도와 작동유체에도 아무런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상기 윅(22)에 탄소나노튜브(23)를 코팅하여 형성함으로써, 작동유체에 탄소나노튜브(23)를 분산하여 사용했던 종래기술보다, 사용하는 번거로움과 난이도를 없애고, 시간이 지나면 작동유체에서 파울링 작용에 의하여 효율이 반감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균일한 모세관 압력과 강력한 흡수력을 가진 윅(22)에 탄소나노튜브(23)를 코팅함으로써, 열전도 속도를 기존의 히트파이프(20)보다 40% 이상 향상시켰으며, 열효율을 30% 이상 상승시켜 에너지가 절감되게 하였다.
한편, 상기 윅(22)의 직경은 상기 관체(21)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관체(21)의 내부에서 유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윅(22)은 자유상태에서 중력에 의해 항상 상기 관체(21)의 하부에 배치된다.
즉, 상기 윅(22)은 상기 관체(21)의 내부에 고정결합되어 있지 않고 유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어, 항상 상기 관체(21)의 하부에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관체(21) 내부에 있는 상기 작동유체의 양은 상기 윅(22)이 최대로 흡수할 수 있는 양의 100~110%로 충진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작동유체의 양이 상기 윅(22)이 최대로 흡수할 수 있는 양보다 적을 경우에는, 상기 윅(22)이 건조되는 문제점과 상기 관체(21)의 증발부가 응축부보다 높게 배치된 경우 작동유체가 증발부에 거의 없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작동유체의 양이 상기 윅(22)이 최대로 흡수할 수 있는 양보다 매우 많을 경우에는 상기 작동유체가 열전달에 장애물로 작용하여 열전달의 효과가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상기 작동유체의 양은 상기 윅(22)이 최대로 흡수할 수 있는 양의 100 ~ 110%로 충진되도록 한다.
위와 같이 상기 작동유체의 양을 충진함으로써, 상기 작동유체는 거의 모두가 상기 윅(22)에 흡수된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위와 같은 상기 히트파이프(20)는 일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열부(30)가 장착된 상기 히트파이프(20)의 일단이 타단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히트파이프(20)의 일단과 타단의 높이를 동일하게 하거나, 일단이 타단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트파이프(20)의 일단이 타단보다 낮도록 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히트파이프(20)는 윅(22)이 관체(21) 내부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윅(22)이 다공천연섬유(22a)와 부직포(22b)로 이루어지며, 윅(22)의 내외주면에 탄소나노튜브(23)가 함유되어 코팅되어 있기 때문에, 응축부쪽 즉 상기 히트파이프(20)의 타단 쪽이 약간 낮아도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는 상기 다공천연섬유(22a)가 흡입력이 강하고 상기 부직포(22b)가 균일한 모세관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히트파이프(20)의 타단쪽이 약간 낮아도 작동유체는 상기 다공천연섬유(22a)와 부직포(22b)로 이루어진 윅(22)에 의해 상기 히트파이프(20)의 일단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윅(22)에는 상기 탄소나노튜브(23)가 코팅되어 있어서, 상기 발열부(30)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탄소나노튜브(23)의 높은 열전도로에 의해 윅(22) 전체를 통해 발열됨으로써, 히트파이프(20)의 열효율을 매우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윅(22)의 제조단가를 획기적으로 50% 이상 감소시켜 누구나 쉽게 사용하는데 부담이 없고, 응용제품의 체적을 줄일 수 있는 만큼 원재료의 원가절감이 되어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발열부(30)는 상기 히트파이프(20)의 일단에 장착되어 상기 히트파이프(20)에 열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발열부(3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1)와, 히터(33)와, 난연단열재(34)와, 난연축소관(35)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31)는 열전도체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히트파이프(20)의 일단을 감싸고 있다.
상기 케이스(31)에는 상부가 개방된 장착홈(3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착홈(32)에는 상기 히트파이프(20)의 일단이 삽입 장착된다.
이때, 상기 장착홈(32)의 개방된 상부의 크기는 상기 히트파이프(20)의 일단의 직경보다 작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히트파이프(20)의 일단을 상기 장착홈(32)에 삽입 장착할 때에는 강제로 억지끼움하여 장착하고, 장착된 이후에는 상기 장착홈(32)의 개방된 상부의 크기가 상기 히트파이프(20)의 일단의 직경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히트파이프(20)가 장착홈(32)으로부터 임의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히터(33)는 외부전원과 전선(36)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31)의 하부에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히터(33)는 PCT(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PCT는 티탄산바륨계(系) 도자기로 온도가 상승하면 전기저항이 급격히 커지는 반도체소자로 니크롬선(열선)을 대신하는 안전한 발열체이다.
상기 난연단열재(34)는 상기 케이스(31) 및 히터(33)를 감싸고 있으며, 내열온도가 약 700℃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난연축소관(35)은 상기 난연단열재(34)를 감싸고 있으며, 내열온도가 약 300℃임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난연단열재(34) 및 난연축소관(35)에 의해 상기 히터(33)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케이스(31)를 통해 상기 히트파이프(20)로 잘 전달되고 외부로 방출되는 것은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난연단열재(34) 와 난연축소관(35)은 난연성(難燃性)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히터(33)에 의해 상기 케이스(31)가 고온이 되어도 상기 난연단열재(34) 및 난연축소관(35)이 연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부(40)는 외부전원과 연결되어 있고, 전기에 의한 상기 발열부(30)의 발열온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온도조절부(40)가 상기 매트리스(10)에 장착되어 있으나, 상기 매트리스(10)와 별도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온도조절부(40)는 전선(36)을 통해 상기 발열부(30)의 히터(33)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전원과 연결된 상기 온도조절부(40)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발열부(30)에 공급되는 전기의 양을 제어할 수 있게 되어 결국 상기 발열부(30)의 발열온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온도조절부(40)에는 타이머, 알람, 자동온도조절장치 등이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히트파이프(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체(21)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방열핀(25)이 장착되어 상기 히트파이프(20)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방열핀(25)을 통해 외부로 보다 신속하게 방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매트리스(10) 난방장치는, 상기 발열부(30)에 의해 상기 히트파이프(20)가 가열되면 상기 히트파이프(20)에서 열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외부 즉 상기 매트리스(10) 내부로 방출되어, 상기 매트리스(10)의 온도를 높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매트리스(10) 위에 별도의 전기장판과 같은 전열기구없이 매트리스(10) 자체를 따뜻하게 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매트리스(10) 내부를 가열함으로써 상기 매트리스(10) 내부를 고온상태 건조하게 할 수 있어 세균이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을 없애고 소독도 가능하여 인생의 1/3인 수면을 쾌적하고 안락한 환경에서 지내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히트파이프(20)의 관체(21)가 동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매트리스(10) 내부의 살균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인 히트파이프가 장착된 매트리스 난방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매트리스, 11: 완충스프링, 12 : 통풍구, 15 : 지퍼, 16 : 체결부재,
20 : 히트파이프, 21 : 관체, 22 : 윅 : 22a : 다공천연섬유, 22b: 부직포, 23 : 탄소나노튜브, 25 : 방열핀,
30 : 발열부, 31 : 케이스, 32 : 장착홈, 33 : 히터, 34 : 난연단열재, 35 : 난연축소관, 36 : 전선,
40 : 온도조절부,

Claims (10)

  1. 매트리스와;
    상기 매트리스의 내부에 장착되는 히트파이프와;
    상기 히트파이프의 일단에 장착되는 발열부와;
    외부전원과 연결되어 전기에 의한 상기 발열부의 발열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기로 이루어지되,
    상기 히트파이프는,
    내부에 작동유체가 충진된 중공형상의 관체와;
    상기 관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막대 형상의 윅(wick)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파이프가 장착된 매트리스 난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의 내부에는 완충스프링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히트파이프는 상기 완충스프링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매트리스에는 내외부의 공기 순환을 위한 통풍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파이프가 장착된 매트리스 난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히트파이프의 일단을 감싸고 있는 열전도체 재질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장착된 히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파이프가 장착된 매트리스 난방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케이스 및 히터를 감싸고 있는 난연단열재와;
    상기 난연단열재를 감싸고 있는 난연축소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파이프가 장착된 매트리스 난방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부가 개방된 장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히트파이프의 일단이 삽입 장착되고,
    상기 히터는 PCT(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장착되되,
    상기 장착홈의 개방된 상부의 크기는 상기 히트파이프의 일단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파이프가 장착된 매트리스 난방장치.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파이프는 일직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히트파이프의 타단은 일단보다 높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파이프가 장착된 매트리스 난방장치.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윅에는 탄소나노튜브가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파이프가 장착된 매트리스 난방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윅은,
    압축된 다공천연섬유와;
    상기 다공천연섬유의 외주면을 감싸는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공천연섬유와 부직포에는 상기 탄소나노튜브가 함유되어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파이프가 장착된 매트리스 난방장치.
  9.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윅의 직경은 상기 관체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관체의 내부에서 유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윅은 중력에 의해 상기 관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파이프가 장착된 매트리스 난방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체의 양은 상기 윅이 최대로 흡수할 수 있는 양의 100 ~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파이프가 장착된 매트리스 난방장치.
KR1020110035532A 2011-04-18 2011-04-18 히트파이프가 장착된 매트리스 난방장치 KR101218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532A KR101218669B1 (ko) 2011-04-18 2011-04-18 히트파이프가 장착된 매트리스 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532A KR101218669B1 (ko) 2011-04-18 2011-04-18 히트파이프가 장착된 매트리스 난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138A true KR20120118138A (ko) 2012-10-26
KR101218669B1 KR101218669B1 (ko) 2013-01-09

Family

ID=47285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532A KR101218669B1 (ko) 2011-04-18 2011-04-18 히트파이프가 장착된 매트리스 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6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490A (ko) * 2021-06-24 2023-01-03 정한상 온열기능이 구비된 욕창방지용 매트리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446Y1 (ko) * 2018-10-30 2019-06-18 이현정 온수매트용 온수 공급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953B1 (ko) * 2000-12-28 2007-12-24 주식회사한국포조텍 경량 윅 구조의 히트 파이프
KR20080010858A (ko) * 2006-07-28 2008-01-31 송호언 전열 침대
KR101036685B1 (ko) * 2009-03-31 2011-05-23 공상운 버블젯을 이용한 루프형 히트파이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490A (ko) * 2021-06-24 2023-01-03 정한상 온열기능이 구비된 욕창방지용 매트리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8669B1 (ko) 201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954645U (zh) 可选择加湿功能的电取暖器
US20070145041A1 (en) Electromagnetically-shielded air heating systems and methods
CN206403510U (zh) 一种定区域加热的弹簧床垫
KR101218669B1 (ko) 히트파이프가 장착된 매트리스 난방장치
CN104848334B (zh) 一种远红外取暖器
CN205163360U (zh) 一种汗蒸理疗床
KR101441229B1 (ko) 단열 겸용 냉/온풍 순환이불
KR200240435Y1 (ko) 가습기와 찜질팩을 구비한 휴대용 온수보온매트
KR20190002332U (ko) 침대용 매트리스
CN204245069U (zh) 一种黑蒜发酵用的加湿装置
KR200415605Y1 (ko) 온열 침대 매트리스
KR101258368B1 (ko) 난방관을 이용한 가습과 공기정화 시스템
CN203693034U (zh) 健康型冷暖床垫
KR100909571B1 (ko) 온수 배관이 내장된 침대용 매트리스
CN105266945A (zh) 一种汗蒸理疗床
KR102272974B1 (ko) 가습장치가 내설된 기능성 온열침대
CN103584591B (zh) 四季恒温睡眠装置
KR101343142B1 (ko) 냉난방 기구가 구비된 침대
CN204534787U (zh) 一种远红外取暖器
CN205409065U (zh) 一种宠物自动吸湿烘干服装
CN215571245U (zh) 一种用于封闭或半封闭空间的加热、干燥、灭螨装置
CN109171308A (zh) 一种防螨杀螨床垫
CN214905373U (zh) 一种智能加热床垫
CN214386899U (zh) 一种内部带有环境监测的保健空调垫子
KR20180003290U (ko) 기능성 온수 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