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7304A - A node and a method for waking up the node - Google Patents

A node and a method for waking up the no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7304A
KR20120117304A KR1020110034979A KR20110034979A KR20120117304A KR 20120117304 A KR20120117304 A KR 20120117304A KR 1020110034979 A KR1020110034979 A KR 1020110034979A KR 20110034979 A KR20110034979 A KR 20110034979A KR 20120117304 A KR20120117304 A KR 20120117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frame
ack frame
beacon fram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9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재석
강병철
임준하
정철호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34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7304A/en
Publication of KR20120117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30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PURPOSE: A node and wake-up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reduce the number of unnecessary operations for enabling a node to receive beacon frames. CONSTITUTION: An ACK(ACKnowledgement) frame reception unit(21) receives an ACK frame. The ACK frame includes information for waking up a node. A beacon frame reception unit(23) receives a beacon frame. A control unit(22) receives the ACK frame. The control unit wakes up the beacon frame reception unit. The node includes signal period information. [Reference numerals] (21) ACK frame reception unit; (22) Control unit; (23) Beacon frame reception unit; (24) Data frame transmission unit; (25) ACK frame transmission unit; (26) Beacon frame transmission unit; (27) Data frame reception unit; (AA) Coordinator; (BB) Node

Description

노드 및 노드 웨이크업 방법{A node and a method for waking up the node}A node and a method for waking up the node}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인체 영역 네트워크의 데이터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more particularly, to a data communication method of a wireless human area network.

최근 몇 년 동안 무선 통신 기술은 모든 유형의 미디어와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발전해오고 있다. 이러한 경향에 따라, 이동 가능한 무선 생체 신호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기존 기술로 근거리 무선 개인통신망(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이 존재한다. 이러한 WPAN 분야에는 블루투스, Zigbee와 같은 기술들이 있으며, 이러한 블루투스, Zigbee와 같은 기술들은 잘 검증된 시스템들이다. 하지만 이러한 시스템들은 보다 유연한 네트워크 환경을 타겟으로 하고, 의학용 시스템보다 더 원거리의 통신 범위를 사용하기 때문에, 생체 신호를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에 최적화된 것은 아니며, 또한, 생체 신호를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에너지 효율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그에 따라, 저 전력과 저 비용의 무선 인체 영역 네트워크(WBAN, Wireless Body Area Network)가 환자의 생체 신호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기 위한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WBAN 기술이 중요해짐에 따라, 2010년 5월에 TG6 초안이 공개되었고, 현재 표준화가 진행중이다. In recent years,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e evolved to support all types of media and data services. In accordance with this trend, a portable wireless biosignal monitoring system has been developed. The existing technology that can be applied to such a system is a local area wireless personal network (WPAN). There are technologies such as Bluetooth and Zigbee in the WPAN field, and technologies such as Bluetooth and Zigbee are well-proven systems. However, because these systems target a more flexible network environment and use a longer range of communication than medical systems, they are not optimized for biosignal monitoring systems. It does not satisfy energy efficiency. Accordingly, a low power and low cost wireless body area network (WBAN)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technology for monitoring a patient's biological signal in real time. As WBAN technology became important, the draft TG6 was released in May 2010, and standardization is underway.

이러한 무선 인체 영역 네트워크에서 노드는 코디네이터가 송신하는 비콘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웨이크업(wake-up)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그러나 비콘프레임의 필드들은 네트워크 구조에 관한 데이터이므로, 네트워크의 변화가 없다면 노드가 비콘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해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비콘프레임을 수신하지 않는다면 네트워크가 변할 때마다 네트워크상에서 통신을 단절시키고 다시 연합(Association)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이는 에너지 면에서 더 큰 손실이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노드의 웨이크업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In such a wireless body area network, a node must periodically wake up to receive a beacon frame transmitted by the coordinator. However, since the fields of the beacon frame are data about the network structure, there is no need for the node to keep wake up to receive the beacon frame unless there is a change in the network. However, if it does not receive the beacon frame, it is a problem that the loss of energy because the network must be disconnected and re-association every time the network changes.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node wake-up method for solving such a problem.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드의 웨이크업 방법은 무선 인체 영역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노드 웨이크업 방법은, 노드가 상기 노드를 웨이크업 시키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ACK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ACK프레임을 수신한 노드가 웨이크업 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CK프레임은 맥헤더(MAC header) 필드, 수신한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 확인 정보 필드, 및 노드 웨이크업 정보 필드, 를 포함하며, 상기 노드 웨이크업 정보 필드는 1바이트의 크기를 갖고, 상기 노드를 웨이크업 시키기 위한 정보는 노드가 웨이크업 되어야 하는 신호주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ake-up method of a n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relates to a wireless human area network. The node wake-up method includes receiving an ACK frame including information for a node to wake up the node, and waking up the node receiving the ACK frame. The ACK frame includes a MAC header field, an acknowledgment information field of a received data frame, and a node wakeup information field, wherein the node wakeup information field has a size of 1 byte, and indicates the node. The information to wake up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signal cycle information that the node should wake up.

또한, 상기 맥헤더(Mac header)에 1비트 필드를 할당하여, 상기 노드가 수신한 상기 ACK프레임의 상기 1비트 필드가 1의 값을 가지는 경우 상기 노드가 웨이크업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by assigning a 1-bit field to the Mac header, the node is woken up when the 1-bit field of the ACK frame received by the node has a value of 1.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노드가 상기 노드를 웨이크업 시키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ACK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ACK프레임을 수신한 노드가 웨이크업 되는 단계, 및 상기 웨이크업 된 노드가 비콘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node receives an ACK frame including information for waking up the node, the node receiving the ACK frame wakes up, and the wakeup node is a beacon frame Receiving a, there is provided a data communication method comprising a.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노드는 노드를 웨이크업 시키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ACK프레임을 수신하는 ACK프레임 수신부, 비콘프레임을 수신하는 비콘프레임 수신부, 및 상기 ACK프레임을 수신하여 상기 비콘프레임 수신부를 웨이크업 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본 발명에 따른 코디네이터는 노드를 웨이크업 시키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ACK프레임을 송신하는 ACK프레임 송신부 및 비콘프레임을 송신하는 비콘프레임 송신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node includes an ACK frame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n ACK frame including information for waking up a node, a beacon frame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beacon frame, and the beacon frame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ACK frame. A coordin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CK frame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n ACK frame including information for waking up a node and a beacon frame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beacon fram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드 웨이크업 방법에 의하면 네트워크가 변하지 않는 경우 노드가 비콘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해 불필요하게 웨이크업 할 필요가 없게 되어, 그에 따른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node wake-up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network does not change, the node does not need to wake up unnecessarily to receive a beacon frame,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반적인 무선 인체 영역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드 및 코디네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드 웨이크업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CK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CK프레임의 맥헤더(MAC header) 필드와 맥헤더 필드에 포함된 프레임 컨트롤 필드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콘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드의 웨이크업 방법을 일반적인 노드 웨이크업 방법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노드에 대한 노드 웨이크업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드의 전력소모량을 비콘프레임 수신 주기에 대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1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general wireless human body area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llustrates a node and coordi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node wake-up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structure of an ACK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llustrates the structure of a MAC header field and an frame control field included in a MAC header field of an ACK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 structure of a beaco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llustrates a node wakeup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mparison with a general node wakeup method.
8 illustrates a node wakeup method for a plurality of n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graph showing a power consumption of the node according to the beacon frame reception peri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들로 구체화되어질 수 있고, 여기에서 설명되는 양태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오히려, 상기 양태들은 실시예들을 더욱 철저하고 완전하게 되도록 해주며, 당업자에게 실시예들의 영역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해준다.The embodiments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aspec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 above aspects make the embodiments more thorough and complete, and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th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신호주기"라고 함은 노드가 코디네이터로부터 비콘프레임, ACK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노드가 상기 코디네이터로 데이터프레임을 송신하는 하나의 주기(period)를 의미한다. "비콘프레임 수신주기"라고 함은 상기 신호주기 내에서 노드가 코디네이터로부터 비콘프레임을 수신하는 구간을 의미한다. 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signal period" means one period in which a node receives a beacon frame and an ACK frame from a coordinator and the node transmits a data frame to the coordinator. The term "beacon frame reception period" means a period in which a node receives a beacon frame from the coordinator within the signal period.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노드 웨이크업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노드가 상기 노드를 웨이크업 시키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ACK프레임을 수신하여 웨이크업이 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de wake-up method, wherein a node receives a ACK frame including information for waking up the nod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드 웨이크업 방법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node wake up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체 영역 네트워크(WBAN)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1 shows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body area network (WB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WBAN은 코디네이터 및 상기 코디네이터와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노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코디네이터는 노드들에게 주기적으로 비콘프레임을 송신하며 네트워크 설정, 노드 관리, 노드 정보 저장, 노드 간 메시지 경로 설정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비콘프레임을 수신한 노드들은 연합(Association) 과정에 의해 네트워크에 참여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1, the WBAN includes a coordinator and a plurality of nodes that communicate with the coordinator. The coordinator periodically transmits a beacon frame to nodes and performs functions such as network configuration, node management, node information storage, and message routing between nodes. Nodes receiving this beacon frame join the network by an association process.

상기 노드들은 상기 코디네이터가 송신하는 비콘프레임을 통해 동기화를 맞추고, 주기적으로 코디네이터로 데이터프레임을 전송하며,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받은 코디네이터는 ACK프레임을 통하여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다는 정보를 상기 노드로 송신한다. 한편, 상기 노드들은 프레임 송신 및 수신이 없는 구간에서는 슬립(sleep) 상태를 유지하여 에너지 소모를 줄인다.The nodes synchronize synchronization with a beacon frame transmitted by the coordinator, periodically transmit a data frame to the coordinator, and the coordinator receiving the data frame transmit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node has normally received through the ACK frame. On the other hand, the nodes reduce the energy consumption by maintaining a sleep (sleep) state in the period of no frame transmission and rece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드 및 코디네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2 illustrates a node and coordi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드는 ACK프레임 수신부(21), 비콘프레임 수신부(23), 제어부(22) 및 데이터프레임 송신부(24)를 포함하며, 상기 노드는 예시적으로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또는 근전도계(electromyogram, EMG) 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노드의 일실시예로 심전도계(electrocardiogram)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상기 ACK프레임 수신부(21)는 코디네이터로부터 ACK프레임을 수신받아 제어부(22)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22)는 전달받은 상기 ACK프레임 정보에 따라 상기 비콘프레임 수신부(23)를 웨이크업 시킨다. 따라서, 비콘프레임 수신부(23)가 웨이크업 되어 상기 코디네이터로부터 비콘프레임을 수신한다. 코디네이터는 ACK프레임 송신부(25), 비콘프레임 송신부(26) 및 데이터프레임 수신부(27)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2, a n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CK frame receiver 21, a beacon frame receiver 23, a controller 22, and a data frame transmitter 24. For example, it may be an electrocardiogram (ECG) or an electromyogram (EMG).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node will be described using an electrocardiogram. The ACK frame receiving unit 21 receives the ACK frame from the coordinator and delivers it to the control unit 22. The control unit 22 wakes up the beacon frame receiving unit 23 according to the received ACK frame information. Accordingly, the beacon frame receiver 23 wakes up to receive the beacon frame from the coordinator. The coordinator includes an ACK frame transmitter 25, a beacon frame transmitter 26, and a data frame receiver 27.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드 웨이크업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3 illustrates a node wake-up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드 웨이크업 방법은 노드가 슬립(sleep)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단계(S301), 노드가 ACK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S302), 노드의 비콘프레임 수신부가 웨이크업 되는 단계(S303), 노드의 비콘프레임 수신부가 코디네이터로부터 비콘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S304), 노드가 코디네이터로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S3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3, in a node wake-up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node maintains a sleep state (S301), a node receives an ACK frame (S302), and a node The beacon frame receiving unit wakes up (S303), the beacon frame receiving unit of the node receives a beacon frame from the coordinator (S304), the node transmits a data frame to the coordinator (S305).

노드가 슬립(sleep)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단계(S301)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레임 송신 및 수신이 없는 경우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해 노드가 슬립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노드는 코디네이터로부터 ACK프레임을 수신하여 비콘프레임 수신주기 동안 웨이크업 상태가 되는 데, 하기에서 먼저 ACK프레임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고 계속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드 웨이크업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As described above, step S301 in which the node is in a sleep state indicates that the node is in a sleep state in order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when there is no frame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e node receives the ACK frame from the coordinator and wakes up during the beacon frame reception period.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ACK frame will be described first. The node wake-up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do.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CK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4 shows a structure of an ACK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CK프레임은 맥헤더(MAC header) 필드, 수신한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 확인 정보 필드(FCS) 및 노드 웨이크업 정보 필드(MAC Frame Body)를 포함한다. 상기 노드 웨이크업 정보 필드는 노드가 어떠한 비콘프레임 수신주기에서 웨이크업 해야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노드 웨이크업 정보 필드는 예시적으로 1바이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an ACK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C header field, an acknowledgment information field (FCS) of a received data frame, and a node wakeup information field (MAC Frame Body). It includes. The node wakeup information field includes information on which beacon frame reception period the node should wake up. The node wakeup information field may have a size of 1 byte, for example.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CK프레임의 맥헤더 필드와 맥헤더 필드에 포함된 프레임 컨트롤 필드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5 illustrates the structure of the MAC header field and the frame control field included in the MAC header field of the ACK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ACK프레임의 맥헤더 필드(51)는 프레임 컨트롤 필드(52)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프레임 컨트롤 필드(52)는 '선택적 비콘프레임 수신(Selective Beacon Listening)'을 위한 1비트 필드를 포함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MAC header field 51 of the ACK frame includes a frame control field 52, and the frame control field 52 is used for 'Selective Beacon Listening'. Contains a 1-bit field.

상기 프레임 컨트롤 필드(52)의 각 필드들에 대하여 설명하면, ACK Policy 필드는 현재 프레임의 수신확인 요청을 나타내기 위한 필드이다. Security Level 필드는 현재 프레임의 보안 레벨을 나타낸다. TK index 필드는 현재 프레임의 보안을 위해 사용되는 그룹 임시 키를 나타낸다. Relay 필드는 스타네트워크(star network)에서 노드의 프레임 릴레이를 위한 필드이다. Frame subtype 필드는 현재 프레임의 서브타입을 나타낸다. Frame type 필드는 현재 프레임의 타입을 나타낸다. 서브타입에는 Beacon, Reserved, Command, I-Ack, Wakeup, Emergency 등이 있으며, 타입에는 Control, Management, Data 등이 있다. Referring to the fields of the frame control field 52, the ACK Policy field is a field for indicating an acknowledgment request of the current frame. The Security Level field represents the security level of the current frame. The TK index field indicates a group temporary key used for security of the current frame. The relay field is a field for frame relay of a node in a star network. The Frame subtype field indicates a subtype of the current frame. The Frame type field indicates the type of the current frame. Subtypes include Beacon, Reserved, Command, I-Ack, Wakeup, and Emergency. Types include Control, Management, and Data.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드 웨이크업 방법은 상기 1비트 필드를 할당함으로써, 노드가 수신한 ACK프레임의 상기 1비트 필드가 1의 값을 가지는 경우에만 웨이크업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1비트 필드의 값이 0인 경우, 노드는 상기 ACK프레임 수신여부에 관계없이 비콘프레임 수신주기마다 웨이크업 하게 된다. 즉, 상기 1비트 필드를 할당함으로써, 비콘프레임 수신주기마다 노드가 웨이크업 하는 기존의 노드 웨이크업 방법과 호환이 가능하다. The node wake-up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locate the 1-bit field so that the node wakes up only when the 1-bit field of the ACK frame received by the node has a value of 1. If the value of the 1-bit field is 0, the node wakes up every beacon frame receiving period regardless of whether the ACK frame is received. That is, by allocating the 1-bit field, it is compatible with the existing node wakeup method in which the node wakes up every beacon frame reception period.

계속해서 노드가 ACK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S302) 및 노드의 비콘프레임 수신부가 웨이크업 되는 단계(S303)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Subsequently, a step (S302) in which the node receives the ACK frame and a step (S303) in which the beacon frame receiver of the node wakes up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노드의 ACK프레임 수신부(21)는 코디네이터로부터 ACK프레임을 수신하여 제어부(22)로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ACK프레임이 포함하고 있는 노드 웨이크업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노드가 비콘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해 웨이크업 되어야 하는 비콘프레임 수신주기에 맞추어 비콘프레임 수신부(23)를 웨이크업 시킨다. Referring back to FIG. 2, the ACK frame receiving unit 21 of the node receives an ACK frame from the coordinator and transmits the ACK frame to the control unit 22, and the control unit 22 uses node wakeup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CK frame. Thus, the node wakes up the beacon frame receiving unit 23 according to the beacon frame receiving period in which the node should wake up to receive the beacon frame.

다음으로, 노드의 비콘프레임 수신부가 코디네이터로부터 비콘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S304)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Next, a step (S304) of receiving a beacon frame from the beacon frame receiving unit of the coordinato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코디네이터로부터 ACK프레임을 수신받은 노드는 ACK프레임에 포함된 노드 웨이크업 정보에 따라 정해진 신호주기에 웨이크업 하게 되고, 코디네이터로부터 비콘프레임을 수신하게 된다. 상기 비콘프레임의 구조는 도 6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한다.The node receiving the ACK frame from the coordinator wakes up at a predetermined signal period according to the node wakeup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CK frame, and receives the beacon frame from the coordinator. The structure of the beacon frame is shown in FIG. 6 and will be described below.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콘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6 shows a structure of a beaco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콘프레임의 구조는 WBAN의 표준화를 위해 제안된 초안(draft)에 기반하고 있다. 상기 비콘프레임 구조는 예시적으로 비콘 쉬프팅 시퀀스(Beacon Shifting Sequence)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비콘 쉬프팅 시퀀스 필드는 노드와 코디네이터가 포함된 네트워크의 상태변화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의 상태변화 정보는 예시적으로, 노드와 코디네이터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 정보일 수 있다. 즉, 노드와 코디네이터가 동기화 된 상태에서 프레임을 송, 수신하고 있던 중, 네트워크의 변화가 발생하면 코디네이터는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프레임을 노드로 송신할 필요가 있게 되고, 상기 노드는 상기 비콘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해 웨이크업 되어야 한다. As shown in FIG. 6, the structure of a beaco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 draft proposed for standardization of WBAN. The beacon frame structure may include, for example, a beacon shifting sequence field, and the beacon shifting sequence field may include state change information of a network including a node and a coordinator. The state change information of the network may be, for example, network connection state information between a node and a coordinator. That is, when a network change occurs whil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frame while the node and coordinator are synchronized, the coordinator needs to transmit a beacon frame including the changed network information to the node, and the node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beacon. It must wake up to receive the frame.

도 6에 도시된 비콘프레임의 각 필드들에 대하여 설명하면, Sender Address 필드는 현재 비콘프레임을 송신하는 코디네이터의 IEEE MAC 주소값을 나타낸다. Beacon Period Length 필드는 현재 비콘프레임 수신주기의 길이를 나타낸다. Allocation Slot Length 필드는 할당된 슬롯의 길이를 나타낸다. RAP1 start 필드 및 RAP2 start 필드는 랜덤 액세스 phase를 시작하는 슬롯의 번호를 나타낸다. Beacon Shifting Sequence 필드는 비콘프레임 변환이 발생하는 경우에 존재하는 필드이며, 현재 비콘프레임 수신주기에서 비콘프레임의 전송 시간을 나타낸다. MAC capability 필드 및 PHY capability 필드는 비콘프레임과 다른 management 타입 프레임에 포함되며, 코디네이터와 노드는 상기 필드들에 할당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각각 다른 기능적 필요성을 가진다. Referring to each field of the beacon frame shown in Figure 6, the Sender Address field represents the IEEE MAC address value of the coordinator for transmitting the current beacon frame. The Beacon Period Length field indicates the length of the current beacon frame reception period. The Allocation Slot Length field indicates the length of an allocated slot. The RAP1 start field and the RAP2 start field indicate the number of slots that start the random access phase. The Beacon Shifting Sequence field is a field existing when a beacon frame conversion occurs and indicates a transmission time of a beacon frame in the current beacon frame reception period. The MAC capability field and the PHY capability field are included in a management type frame different from the beacon frame, and the coordinator and the node have different functional needs in order to perform the functions assigned to the fields.

노드가 코디네이터로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S305)는 노드가 주기적으로 코디네이터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이다. In step S305, the node transmits the data frame to the coordinator. The node periodically transmits the data frame to the coordinator.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드의 웨이크업 방법을 일반적인 노드 웨이크업 방법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7 illustrates a node wakeup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mparison with a general node wakeup method.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디네이터가 노드의 3번째 비콘프레임 수신주기에서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프레임을 상기 노드로 송신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코디네이터는 2번째 신호주기에서 상기 노드로 ACK프레임을 송신하고, 상기 노드는 상기 ACK프레임을 수신하여 3번째 비콘프레임 수신주기에서 웨이크업 하게 된다. 상기 노드가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프레임을 3번째 비콘프레임 수신주기에서 수신하기 때문에, 4번째 신호주기부터 전송되는 변경된 비콘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해 웨이크업 할 필요가 없다. 이와 비교하여 일반적인 경우, 노드는 매 신호주기마다 코디네이터로부터 비콘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해 웨이크업 해야한다. 즉, 코디네이터로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거나, 코디네이터로 부터 ACK프레임을 수신하는 경우 외에 비콘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해 매 비콘프레임 수신주기마다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드 웨이크업 방법에 의하면 노드의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when the coordinator needs to transmit a beacon frame including network information changed in the third beacon frame reception period of the node, the coordinator ACKs to the node in the second signal period. After transmitting the frame, the node receives the ACK frame and wakes up in the third beacon frame receiving period. Since the node receives the beacon frame including the changed network information in the third beacon frame receiving period, there is no need to wake up to receive the changed beacon frame transmitted from the fourth signal period. In general, in comparison, a node must wake up to receive a beacon frame from the coordinator at every signal period. That is, in addition to transmitting data frames to the coordinator or receiving an ACK frame from the coordinator, a wakeup state is maintained every beacon frame reception period in order to receive a beacon frame. Therefore, according to the node wake-up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unnecessary energy consumption of the node.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노드에 대한 노드 웨이크업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8 illustrates a node wakeup method for a plurality of n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드는 주기적으로 코디네이터로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하고, 코디네이터로부터 비콘프레임, ACK프레임을 수신한다. 이러한 노드의 주기성을 이용하면, 신호주기상에서 노드가 웨이크업 상태에 있는 구간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 다른 웨이크업 구간을 가지는 복수의 노드가 있는 경우, 코디네이터는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프레임을 모든 노드가 동시에 수신할 수 있도록 이전 신호주기에서 각 노드로 ACK프레임을 송신한다. A n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iodically transmits a data frame to a coordinator and receives a beacon frame and an ACK frame from the coordinator. By using the periodicity of such a nod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period in which the node is in the wake-up state in the signal period. Therefor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nodes having different wake-up periods, the coordinator transmits an ACK frame to each node in the previous signal period so that all nodes can simultaneously receive a beacon frame including the changed network informa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노드는 모든 신호주기에서 웨이크업 상태, 제2노드는 2 신호주기마다 웨이크업 상태, 제3노드는 3 신호주기마다 웨이크업 상태, 제4노드는 4 신호주기마다 웨이크업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디네이터가 7번째 신호주기에 송신하는 비콘프레임을 각 노드가 수신해야 하는 경우, 상기 코디네이터는 7번째 신호주기에 모든 노드가 웨이크업 상태가 되도록 제1노드로는 4번째 신호주기에, 제2노드로는 5번째 신호주기에, 제3노드로는 6번째 신호주기에, 제4노드로는 4번째 신호주기에 ACK프레임을 송신한다. 상기 ACK프레임을 수신한 제1노드 내지 제4노드는 ACK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웨이크업 주기 정보에 따라 7번째 신호주기에 웨이크업 하여 상기 비콘프레임을 수신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8, the first node wakes up in all signal cycles, the second node wakes up every 2 signal cycles, the third node wakes up every 3 signal cycles, and the fourth node has 4 signals. It may be in a wake-up state every cycle. For example, when each node needs to receive a beacon frame that the coordinator transmits in the seventh signal period, the coordinator may perform the fourth node in the fourth signal period so that all nodes wake up in the seventh signal period. The ACK frame is transmitted in the fifth signal period as the second node, the sixth signal period as the third node, and the fourth signal period as the fourth node. The first to fourth nodes receiving the ACK frame wake up at the seventh signal period according to the wake-up perio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CK frame to receive the beacon frame.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드의 전력소모량을 비콘프레임 수신 주기에 대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9 is a graph showing a power consumption of the node according to the beacon frame reception peri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노드는 코디네이터로 데이터프레임을 송신하고, 코디네이터로부터 비콘프레임, ACK프레임을 수신한다. 노드가 송신하는 데이터는 12bit resolution을 1 ms간격으로 샘플링하고, 신호주기는 200 ms로 하며, 200샘플을 모아서 한번에 전송하도록 하였다. 1V 전압에 의해 상기 노드는 웨이크업 상태에서 송신시에는 3mA, 수신시에는 2.7mA의 전류가 흐르고, 슬립상태에서는 0.07mA의 전류가 흐른다. 슬립상태에서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5ms 동안 4mA의 서지 전류(surge current)가 흐른다.The node transmits a data frame to the coordinator and receives a beacon frame and an ACK frame from the coordinator. The data transmitted by the node was sampled at 12-bit resolution at 1 ms intervals, and the signal period was set to 200 ms. Then, 200 samples were collected and transmitted at once. By the 1V voltage, the node flows in a wake-up state of 3mA when transmitting, 2.7mA when receiving, and 0.07mA when in a sleep state. When transitioning from the sleep state to the wake-up state, a surge current of 4mA flows for 5ms.

다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드는 n신호주기동안 비콘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해 1회 웨이크업 상태가 되며, 일반적인 노드의 경우 n신호주기동안 비콘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해 n회 웨이크업 상태가 된다.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드의 n신호주기동안 n회의 데이터프레임 송신, n회의 ACK프레임 수신, 1회의 비콘프레임수신에 의한 노드의 전력소모량과 슬립상태에서의 노드의 전력소모량을 계산하여 총시간(200ms x n)으로 나누어 평균 전력소모량을 계산하였다. Referring to FIG. 7 again, a n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wake-up state once to receive a beacon frame for n signal periods, and in case of a general node, to receive a beacon frame for n signal periods. It wakes up n times. By using thi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node an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node in the sleep state by n data frame transmissions, n ACK frame receptions, and 1 beacon frame reception during n signal cycles of the n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alculated. The average power consumption was calculated by dividing by the total time (200ms xn).

이와 비교하여, 일반적인 노드의 경우 매 신호주기마다 웨이크업 상태가 동일하므로 1신호주기동안 1회의 데이터프레임 송신, 1회의 ACK프레임 수신, 1회의 비콘프레임 수신에 의한 노드의 전력소모량과 슬립상태에서의 노드의 전력소모량을 계산하여 1신호주기시간(200ms)으로 나누어 평균 전력소모량을 계산하였다. In comparison, in the case of a general node, the wake-up state is the same every signal period, so that the power consumption and the sleep state of the node by one data frame transmission, one ACK frame reception, and one beacon frame reception during one signal cycle are the same. The average power consumption was calculated by divid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node by one signal cycle time (200ms).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상기

Figure pat00005
수식에서 4.64 ms는 비콘프레임 수신을 위해 노드가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이고, 1.6n ms는 ACK프레임 수신을 위해 노드가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을 나타낸다. 49.4n ms 는 노드가 데이터프레임을 송신하기 위해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을 나타낸다. 5x(n+1)x4는 노드가 n+1번 슬립상태에서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되고 5ms의 시간이 소요되며, 4mA의 전류가 흐르는 것을 의미한다. remind
Figure pat00005
In the equation, 4.64 ms is a time for a node to wake up for receiving a beacon frame, and 1.6n ms is a time for a node to wake up for receiving an ACK frame. 49.4 n ms represents the time that the node stays awake to transmit the data frame. 5x (n + 1) x4 means that the node transitions to the wakeup state from n + 1 sleep state, takes 5ms, and flows 4mA of current.

상기

Figure pat00006
수식에서 10 ms 는 1신호주기동안 노드가 2번 슬립상태에서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낸다. 1.44 ms 는 ACK프레임 수신을 위해 노드가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7
의 경우 상기 ACK프레임이 노드 웨이크업 정보 필드를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Figure pat00008
의 경우에 비해 ACK프레임 수신을 위해 노드가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이 짧다. remind
Figure pat00006
In the equation, 10 ms represents the time taken when the node transitions from the second sleep state to the wake-up state during one signal period. 1.44 ms represents the time that the node stays up to receive the ACK frame.
Figure pat00007
Since the ACK frame does not include a node wake-up information field
Figure pat00008
Compared to the case, the time for the node to wake up for receiving the ACK frame is short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드 웨이크업 방법을 적용한 노드의 경우, 네트워크의 변화가 없어 상기 노드가 비콘프레임 수신을 위해 웨이크업 하지 않는다면, 평균 전력소모량이 약 0.913 mW 이고, 일반적인 노드의 경우 1.070 mW 로 계산되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드 웨이크업 방법은 일반적인 노드 웨이크업 방법에 비해 14.7% 평균 전력소모량을 감소시킨다. 또한, 신호주기 n을 10으로 하고 변경된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프레임 수신이 2 s 마다 발생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드 웨이크업 방법을 적용한 노드는 평균전력소모량이 0.9289 mW 이 되어 일반적인 노드 웨이크업 방법에 따른 노드 보다 13.2% 평균 전력소모량을 감소시킨다. In the case of a node to which the node wake-up method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node does not wake up to receive the beacon frame because there is no change in the network, the average power consumption is about 0.913 mW, and in the general node, 1.070 Calculated in mW, the node wakeup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average power consumption by 14.7% compared to the normal node wakeup method. In addition, when the beacon frame reception including the changed network information is set every 10 s with the signal period n as 10, the node to which the node wake-up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has an average power consumption of 0.9289 mW. The average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by 13.2% compared with the normal node wake-up metho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노드가 상기 노드를 웨이크업 시키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ACK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ACK프레임을 수신한 노드가 비콘프레임 수신주기 동안 웨이크업 상태가 되며, 상기 웨이크업 된 노드가 코디네이터로부터 비콘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노드가 상기 코디네이터로 데이터프레임을 송신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node receives an ACK frame including information for waking up the node, and the node receiving the ACK frame is in a wake-up state during a beacon frame reception period. A wake-up node may receive a beacon frame from a coordinator, and the node may provide a data communication method of transmitting a data frame to the coordinato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드 웨이크업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media)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The node wake-up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by the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is is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se descriptio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the things that are equivalent to or equivalent to the scope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Claims (11)

무선 인체 영역 네트워크의 노드 웨이크업 방법에 있어서,
노드가 상기 노드를 웨이크업 시키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ACK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ACK프레임을 수신한 노드가 웨이크업 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노드 웨이크업 방법.
In the node wake-up method of a wireless body area network,
Receiving, by a node, an ACK frame containing information for waking up the node; And
Waking up the node receiving the ACK frame;
Node wakeup method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CK프레임은 맥헤더(MAC header) 필드;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 확인 정보 필드; 및
노드 웨이크업 정보 필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웨이크업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ACK frame includes a MAC header field;
An acknowledgment information field of the data frame; And
Node wakeup information field;
Node wakeup method comprising a.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맥헤더(Mac header)에 1비트 필드를 할당하여, 상기 노드가 수신한 상기 ACK프레임의 상기 1비트 필드가 1의 값을 가지는 경우 상기 노드가 웨이크업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웨이크업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And assigning a 1-bit field to the Mac header so that the node wakes up when the 1-bit field of the ACK frame received by the node has a value of 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를 웨이크업 시키기 위한 정보는 상기 노드가 웨이크업 되는 신호주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웨이크업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the information for waking up the node includes signal period information on which the node wakes up.
노드가 상기 노드를 웨이크업 시키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ACK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ACK프레임을 수신한 노드가 웨이크업 되는 단계; 및
상기 웨이크업 된 노드가 비콘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Receiving, by a node, an ACK frame containing information for waking up the node;
Waking up the node receiving the ACK frame; And
Receiving, by the wakeup node, a beacon frame; Data communication method comprising a.
노드를 웨이크업 시키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ACK프레임을 수신하는 ACK프레임 수신부;
비콘프레임을 수신하는 비콘프레임 수신부; 및
상기 ACK프레임을 수신하여 상기 비콘프레임 수신부를 웨이크업 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노드.
An ACK frame receiving unit which receives an ACK frame including information for waking up the node;
Beacon frame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beacon frame;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wake up the beacon frame receiver by receiving the ACK frame;
Node containing.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ACK프레임은 맥헤더(MAC header) 필드;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 확인 정보 필드; 및
노드 웨이크업 정보 필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ACK frame includes a MAC header field;
An acknowledgment information field of the data frame; And
Node wakeup information field;
Node comprising a.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맥헤더(Mac header)에 1비트 필드를 할당하여, 상기 노드가 수신한 상기 ACK프레임의 상기 1비트 필드가 1의 값을 가지는 경우 상기 노드가 웨이크업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d assigning a 1-bit field to the Mac header so that the node wakes up when the 1-bit field of the ACK frame received by the node has a value of 1.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를 웨이크업 시키기 위한 정보는 상기 노드가 웨이크업 되는 신호주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And the information for waking up the node includes signal period information at which the node wakes up.
노드를 웨이크업 시키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ACK프레임을 송신하는 ACK프레임 송신부; 및
비콘프레임을 송신하는 비콘프레임 송신부;
를 포함하는 코디네이터.
An ACK frame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n ACK frame including information for waking up the node; And
Beacon frame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beacon frame;
Coordinator comprising a.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 기록 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3.




KR1020110034979A 2011-04-15 2011-04-15 A node and a method for waking up the node KR2012011730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979A KR20120117304A (en) 2011-04-15 2011-04-15 A node and a method for waking up the n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979A KR20120117304A (en) 2011-04-15 2011-04-15 A node and a method for waking up the no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304A true KR20120117304A (en) 2012-10-24

Family

ID=47285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979A KR20120117304A (en) 2011-04-15 2011-04-15 A node and a method for waking up the no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730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4425B2 (en) Improvements to short-range wireless networks
US10334530B2 (en) Access and power management for centralized networks
Yang et al. Wireless body area networks MAC protocol for energy efficiency and extending lifetime
CN102804694B (en) For managing the terminal equipment of emergency, telegon and method
KR102134445B1 (en) Power saving for low latency deterministic networks i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O2018157786A1 (en) Method and equipment for indicating downlink service data
US8934390B2 (en) Enhancement of low power medium access STAs
EP3179785B1 (en) Information interac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wban
KR101174406B1 (en) A Low Power MAC Architecture for Wireless Sensor Network with Wireless Power Transfer
WO2014074071A1 (en) Access points, radio communication devices, methods for controlling an access poi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JP2012519439A (en) Improvement of short-range wireless network
EP2745597B1 (en) Mac enhancement to support multi-periodic gts allocation for personal area network (pan) systems
US20170094602A1 (en) Device for wireless network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ing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US20180376418A1 (en) Method, access point, and station for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JP2014086874A (en)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N104243110B (en) A kind of radio sensing network data transmission method based on non real-time acknowledgement mechanism
Kong et al. Data priority based slot allocation for wireless body area networks
CN105472718B (en) Low-power consumption MAC layer communication means in wireless sensor network based on adaptive-flow
CN102917467B (en) Asynchronous reservation channel access method of wireless sensor network
CN106465130B (en) A kind of method and relevant device for carrying out data transmission in neighbouring sensing network
KR20120117304A (en) A node and a method for waking up the node
EP2226958A1 (en) Wireless sensor networks with data reception acknowledgement
Jose et al. Node Prioritization and Dynamic Slot Allocation for Emergency Event Communication in Wbans
Chuang et al. A-MAC: A MAC Protocol Using Alternative Wakeup Schedules to Achieve Energy Efficiency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Jing et al. Delay Guaranteed Media Access Control for Wireless Home Automation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