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6302A -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6302A
KR20120116302A KR1020110033953A KR20110033953A KR20120116302A KR 20120116302 A KR20120116302 A KR 20120116302A KR 1020110033953 A KR1020110033953 A KR 1020110033953A KR 20110033953 A KR20110033953 A KR 20110033953A KR 20120116302 A KR20120116302 A KR 20120116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ower saving
energy
time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3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0522B1 (ko
Inventor
강대종
천강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3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0522B1/ko
Priority to PCT/US2011/046583 priority patent/WO2012036799A1/en
Priority to US13/824,109 priority patent/US9595831B2/en
Priority to EP11825603.1A priority patent/EP2616892B1/en
Publication of KR20120116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6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0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0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H02J3/144Demand-response oper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12The local stationary network supplying a household or a building
    • H02J2310/14The load or loads being home appli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2Home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제품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전기제품의 제어방법은, 에너지소비량 또는 에너지사용요금을 줄이기 위한 절전모드를 구성하는 다수의 모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이 표시되는 단계; 상기 다수의 모드 중 어느 한 모드가 선택되는 단계;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절전시간구간이 인식되는 단계; 및 인식된 절전시간 구간에 절전구동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제품의 제어방법{Controlling mehtod of electric appliance}
본 발명은 전기제품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급자는 전기, 물, 가스 등과 같은 에너지원(Energy source)을 단순히 공급만하고, 수요처는 공급받은 에너지원을 단순히 사용만 하였다. 따라서, 에너지 생산, 분배, 또는 에너지 사용 등의 측면에서 효과적인 관리가 수행되기 어려웠다.
즉, 에너지는 에너지 공급자로부터 다수의 수요처를 향하여 분산되는, 즉 중앙에서 주변부로 퍼져나가는 방사형구조이고, 수요자 중심이 아닌 단방향의 공급자 중심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전기에 대한 가격의 정보도 실시간으로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전력거래소를 통하여 제한적으로만 알 수 있었고, 가격제도 또한 사실상의 고정가격제이기 때문에 가격변화를 통한 수요자에 대한 인센티브와 같은 유인책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수요자와 공급자 간의 상호작용을 가능케 해주는 수평적, 협력적, 분산적 네트워크를 구현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에너지소비량 또는 에너지사용요금을 줄일 수 있는 전기제품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전기제품의 제어방법은, 에너지소비량 또는 에너지사용요금을 줄이기 위한 절전모드를 구성하는 다수의 모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이 표시되는 단계; 상기 다수의 모드 중 어느 한 모드가 선택되는 단계;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절전시간구간이 인식되는 단계; 및 인식된 절전시간 구간에 절전구동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절전시간 구간에 컴포넌트가 절전구동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소비량 또는 에너지사용요금이 저감될 수 있게 된다.
컴포넌트의 에너지소비량 또는 에너지사용요금이 줄어들게 되어 에너지원의 효과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의 정보 전달 과정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4는 전기요금의 변동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 1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 2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 3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네트워크의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포넌트의 표시부의 일 례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모드 선택 화면의 일 례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도 11의 화면에서 제1선택부가 선택되었을 때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화면.
도 13은 도 11의 화면에서 제2선택부가 선택되었을 때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화면.
도 14는 절전시간 구간을 설정하기 위한 시간변경화면.
도 15는 도 11의 화면에서 제3선택부가 선택되었을 때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화면.
도 16은 도 15의 화면에서 요금정보 확인 선택부가 선택되었을 때 표시되는 요금 정보 화면.
도 17은 모드 선택 화면에서 특정 모드가 선택되었을 때 표시되는 관리화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포넌트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 들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네트워크 시스템은 전기, 물, 가스 등과 같이 에너지원(Energy source)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에너지원은, 발생량 또는 사용량 등이 계측(meter)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되지 않은 에너지원도 본 시스템의 관리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에너지원으로서 일 예로 전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하며, 본 명세서의 내용은 다른 에너지원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소(Power plant)를 포함한다. 상기 발전소는, 화력발전이나 원자력발전 등을 통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소와, 친환경 에너지인 수력, 태양광, 풍력 등을 이용한 발전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전소에서 발생된 전기는 송전선을 통하여 전력소로 송전되고, 전력소에서는 변전소로 전기를 송전하여 전기가 가정이나 사무실 같은 수요처로 분배되도록 한다.
그리고, 친환경 에너지에 의하여 생산된 전기도 변전소로 송전되어 각 수요처로 분배되도록 한다. 그리고, 변전소에서 송전된 전기는 전기저장장치를 거쳐서 또는 직접 사무실이나 각 가정으로 분배된다.
가정용 네트워크(HAN, Home Area Network)를 사용하는 가정에서도 태양광이나 PHEV(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Plug in Hybrid Electric Vehicle)에 장착된 연료전지 등을 통하여 전기를 자체적으로 생산하거나, 저장하거나, 분배하거나, 남는 전기를 외부(일 례로 전력회사)에 되팔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은, 수요처(가정 또는 사무실 등)의 전기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스마트 미터(Smart meter)와, 다수의 수요처의 전기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계측장치(AMI: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계측장치는 다수의 스마트 미터에서 계측된 정보를 받아 전기 사용량을 계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계측은 스마트 미터 및 계측장치 자체가 계측하는 것 뿐만 아니라, 다른 컴포넌트로부터 발생량 또는 사용량을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 미터 및 계측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은, 에너지를 관리하는 에너지관리장치(EMS: Energy Management Syste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관리장치는 에너지와 관련(에너지의 생성, 분배, 사용, 저장 등)하여,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의 작동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관리장치는, 적어도 컴포넌트의 작동에 관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에너지관리장치에 의해서 수행되는 기능 또는 솔루션은 에너지관리기능(Energy Management Function) 또는 에너지관리솔루션(Energy Management Solution)이라고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상기 에너지관리장치는 별도의 구성으로 하나 이상이 존재하거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에 에너지관리기능 또는 솔루션으로서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다수의 컴포넌트 들에 의해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발전소, 변전소, 전력소, 에너지관리장치, 가전제품, 스마트 미터, 축전기, 웹 서버, 계측장치, 홈 서버 등이 네트워크 시스템의 컴포넌트 들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각 컴포넌트는 다수의 세부 컴포넌트 들에 의해서 구성될 수 있다. 일 례로, 일 컴포넌트가 가전제품(전기제품)인 경우, 가전제품을 구성하는 마이컴, 히터, 디스플레이, 모터 등이 세부 컴포넌트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것이 컴포넌트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컴포넌트 들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한다. 그리고, 두 컴포넌트 들은 통신수단에 의해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네트워크(network)는 하나의 컴포넌트일 수 있거나, 다수의 컴포넌트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통신 정보가 에너지원과 관련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에너지 망(Energy grid)이라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유틸리티 네트워크(UAN: Utility Area Network: 10)와, 가정용 네트워크(HAN, Home Area Network: 20)로 구성될 수 있다. 유틸리티 네트워크(10)와 가정용 네트워크(20)는 통신수단에 의해서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와 상기 가정용 네트워크는 직접 통신하거나 외부 서버를 매개로 하여 통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정은, 사전적 의미의 가정 뿐만 아니라, 건물, 회사 등 특정 컴포넌트 들이 모인 집단을 의미한다. 그리고, 유틸리티는 가정 외부의 특정 컴포넌트 들이 모인 집단을 의미한다.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는, 에너지를 발생하는 에너지발생부(Energy generation component: 11)와, 에너지를 분배 또는 전달하는 에너지분배부(Energy distribution component: 12)와,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저장부(Energy storage component: 13)와, 에너지를 관리하는 에너지관리부(Energy management component: 14)와, 에너지 관련 정보를 측정하는 에너지측정부(Energy metering component: 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가 에너지를 소비하는 경우, 에너지를 소비하는 컴포넌트는 에너지소비부일 수 있다. 즉, 에너지소비부는 별도의 구성이거나, 다른 컴포넌트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에너지발생부(11)는 일 례로 발전소일 수 있다. 상기 에너지분배부(12)는 상기 에너지발생부(11)에서 생성된 에너지 및/또는 에너지저장부(13)에 저장된 에너지를 에너지 소비부로 분배 또는 전달한다. 상기 에너지분배부(12)는 송전기, 변전소, 전력소 등일 수 있다.
상기 에너지저장부(13)는 축전지 일 수 있고, 상기 에너지관리부(14)는 에너지와 관련하여, 에너지발생부(11), 에너지분배부(12), 에너지저장부(13), 에너지소비부(26) 중 하나 이상의 구동을 위한 정보를 생성한다. 일 례로 상기 에너지관리부(14)는, 적어도 특정 컴포넌트의 작동에 관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관리부(14)는 에너지관리장치 일 수 있다. 상기 에너지측정부(15)는 에너지의 발생, 분배, 소비, 저장 등과 관련한 정보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일 례로 계측장치(AMI) 일 수 있다. 상기 에너지관리부(14)는 별도의 구성이거나, 다른 컴포넌트에 에너지관리기능으로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는, 터미널 컴포넌트(미도시)에 의해서 상기 가정용 네트워크(20)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 컴포넌트는 일 례로 게이트웨이(Gate way)일 수 있다. 이러한 터미널 컴포넌트는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와 가정용 네트워크(20)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정용 네트워크(20)는 에너지를 발생하는 에너지발생부(Energy generation component: 21)와, 에너지를 분배하는 에너지분배부(Energy distribution component: 22)와,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저장부(Energy storage component: 23)와, 에너지를 관리하는 에너지관리부(Energy management component: 24)와, 에너지와 관련한 정보를 측정하는 에너지측정부(Energy metering component: 25)와, 에너지를 소비하는 에너지소비부(Energy consumption component: 26)와, 다수의 컴포넌트를 제어하는 중앙관리부(Central management component: 27)와, 에너지 망 보조부(Energy Grid Assistance Component: 28)와, 악세사리 컴포넌트(29)와, 컨슈머블 처리부(consumable handling component: 30)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발생부(Energy generation component: 21)는 가정용 발전기일 수 있고, 상기 에너지저장부(Energy storage component: 23)는 축전지일 수 있고, 에너지관리부(Energy management component: 24)는 에너지관리장치 일 수 있다.
상기 에너지측정부(Energy metering component: 25)는 에너지의 발생, 분배, 소비, 저장 등과 관련한 정보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일 례로 스마트 미터(Smart meter)일 수 있다.
상기 에너지소비부(26)는 일 례로 전기제품(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조리기기, 청소기, 건조기, 식기세척기, 제습기, 디스플레이 기기, 조명기기 등) 또는 전기제품을 구성하는 히터, 모터, 디스플레이 등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에너지소비부(26)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에너지관리부(24)는 개별적인 컴포넌트이거나 다른 컴포넌트에 에너지관리기능으로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에너지관리부(24)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와 통신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발생부(21), 상기 에너지분배부(22), 에너지저장부(23)는 개별적인 컴포넌트이거나, 단일의 컴포넌트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중앙관리부(27)는 일 례로 다수의 전기제품(Appliance)을 제어하는 홈 서버(Home server) 일 수 있다.
상기 에너지 망 보조부(28)는, 상기 에너지 망(Energy Grid)을 위해 추가적인 기능을 하면서, 본래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컴포넌트이다. 예를 들어, 상기 에너지 망 보조부(28)는 웹 서비스 제공부(일 례로 컴퓨터 등), 모바일 기기(Mobile device), 텔레비전 등일 수 있다.
상기 악세사리 컴포넌트(29)는, 에너지 망을 위하여 추가적인 기능을 하는 에너지 망 전용 컴포넌트이다. 예를 들어, 상기 악세사리 컴포넌트(29)는 에너지 망 전용 기상수신 안테나일 수 있다.
상기 컨슈머블 처리부(Consumable handling component: 30)는 컨슈머블을 저장, 공급, 전달 등을 하는 컴포넌트로서, 컨슈머블에 관한 정보를 확인 또는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컨슈머블은 일 례로 에너지소비부(26)의 작동 시 사용 또는 처리되는 물품 또는 물질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슈머블 처리부(30)는 에너지 망에서 일 례로 상기 에너지관리부(24)에 의해서 관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컨슈머블은, 세탁기에서 세탁포, 조리기기에서의 조리물이거나, 세탁기에서 세탁포를 세탁하기 위한 세제 또는 섬유유연제이거나, 조리물을 조리하기 위한 조미료 등 일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에너지 발생부(11, 21), 에너지 분배부(12, 22), 에너지 저장부(13, 23), 에너지 관리부(14, 24), 에너지측정부(15, 25), 에너지소비부(26), 중앙관리부(27)는,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거나 둘 이상이 단일의 컴포넌트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너지관리부(14, 24), 에너지측정부(15, 25), 중앙관리부(27)가 각각 단일의 컴포넌트로 존재하여,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스마트미터, 에너지관리장치, 홈서버로 구성되거나, 에너지관리부(14, 24), 에너지측정부(15, 25), 중앙관리부(27)가 기구적으로 단일의 컴포넌트를 이룰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다수 개의 컴포넌트 및/또는 통신수단에서 그 기능이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별도의 에너지관리부와, 에너지측정부 및 에너지소비부에서 순차적으로 에너지 관리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유틸리티 네트워크와 가정용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특정 기능의 컴포넌트는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너지 발생부 또는 에너지소비부 등은 다수 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와 가정용 네트워크(20)는 통신수단(제1인터페이스)에 의해서 통신할 수 있다. 이 때, 다수의 유틸리티 네트워크(10)가 단일의 가정용 네트워크(20)와 통신할 수 있고, 단일의 유틸리티 네트워크(10)가 다수의 가정용 네트워크(20)와 통신할 수 있다.
일 례로 상기 통신수단은 단순 통신선이거나 전력선 통신수단(Power line communication means)일 수 있다. 물론, 전력선 통신수단은 두 컴포넌트와 각각 연결되는 통신기(일 례로 모뎀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통신수단은 zigbee, wi-fi, 블루투스 등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선 통신을 위한 방법 또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를 구성하는 두 개의 컴포넌트 들은 통신수단에 의해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정용 네트워크(20)를 구성하는 두 개의 컴포넌트 들은 통신수단(제2인터페이스)에 의해서 통신할 수 있다. 일 례로 상기 에너지소비부(26)는, 상기 에너지관리부(24), 상기 에너지측정부(25), 중앙 관리부(27), 에너지 망 보조부(28) 등 중 하나 이상과 통신수단(제2인터페이스)에 의해서 통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컴포넌트(일 례로 에너지소비부)의 마이컴은 상기 통신수단(제2인터페이스)과 통신(제3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너지소비부가 전기제품인 경우, 상기 에너지소비부는 통신수단(제2인터페이스)에 의해서 상기 에너지관리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정보는 제3인터페이스에 의해서 상기 전기제품의 마이컴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너지소비부(26)는 상기 악세사리 컴포넌트(29)와 통신수단(제4인터페이스)에 의해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너지소비부(26)는 상기 컨슈머블 처리부(30)와 통신수단(제5인터페이스)에 의해서 통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의 정보 전달 과정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4는 전기요금의 변동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도 4의 (a)는 TOU(Time of use) 정보와 CPP(critical peak pattern) 정보를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4의 (b)는 RTP(real time pattern) 정보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특정 컴포넌트(C)는 통신수단에 의해서 에너지와 관련한 정보(이하에서는 "에너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컴포넌트(C)는 통신수단에 의해서 에너지 정보 외에 부가 정보(환경 정보, 프로그램 업데이트 정보, 시간 정보, 각 컴포넌트의 작동 또는 상태 정보(고장 등), 에너지소비부를 사용하는 소비자 습관 정보 등)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환경 정보는, 이산화탄소 배출량, 공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온도, 습도, 강우량, 강우여부, 일사량, 풍량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정보는, 각 컴포넌트와 관련한 정보(각 컴포넌트의 작동 또는 상태 정보(고장 등), 에너지소비부의 에너지 사용 정보, 에너지소비부를 사용하는 소비자 습관 정보 등)인 내부 정보와, 그 외의 정보인 외부 정보(에너지와 관련한 정보, 환경 정보, 프로그램 업데이트 정보, 시간 정보)로 구분될 수 있다.
이 때, 정보 들은 다른 컴포넌트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즉, 수신되는 정보에는 적어도 에너지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특정 컴포넌트는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 또는 상기 가정용 네트워크(20)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 일 수 있다.
상기 에너지 정보(I)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 물, 가스 등의 정보 중 하나 일 수 있다.
일 례로, 전기와 관련한 정보의 종류는, 전기 요금(Time-based Pricing), 에너지저감(curtailment), 긴급상황(Grid emergency), 망 안전(grid reliability), 에너지증가(Energy increment), 발전량(Energy generation Amount), 작동 우선 순위(operation priority), 에너지소비량(Energy consumption Amount) 등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에너지원과 관련한 요금은 에너지요금이라 할 수 있다.
즉, 에너지와 관련한 정보는 요금 정보(에너지요금)와 요금 외 정보(에너지저감, 긴급상황, 망 안전, 발전량, 에너지증가, 작동 우선 순위, 에너지소비량 등)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요금 정보 또는 상기 요금 외 정보는 시간 정보와 함께 또는 시간 정보로 대체되어 송수신될 수 있다. 일 례로, 에너지저감이 필요한 시간 정보가 에너지 망에서 송수신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이전의 정보를 토대로 미리 생성된 스케줄 정보(scheduled information)와, 실시 간으로 변동되는 실시 간 정보(real time information)로 구분될 수 있다. 스케줄 정보와 실시 간 정보는 현재 시간 이후(미래)의 정보 예측 여부에 의해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너지 정보(I)는, 시간에 따른 데이터의 변화 패턴에 따라서 TOU(time of use) 정보이거나, CPP(critical peak pattern) 정보이거나, RTP(real time pattern) 정보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너지 정보(I)는 시간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상기 TOU 정보에 의하면, 시간에 따라 데이터가 단계적으로 변화된다. 상기 CPP 정보에 의하면, 데이터가 시간에 따라 단계 또는 실시간으로 변화되며, 특정 시점에 강조(emphasis)가 표시된다. 즉, CPP 패턴의 경우, 일반적인 요금은 TOU 패턴의 요금보다 저렴하나, 특정 시점에서의 요금은 TOU 패턴에서의 요금 보다 현저하게 비싸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상기 RTP 정보에 의하면, 시간에 따라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변화된다.
한편, 상기 에너지 정보(I)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 불린(Boolean)과 같이 true or false 신호로 송수신되거나, 실제 가격정보가 송수신되거나, 다수 개로 레벨화되어 송수신되거나, 에너지 정보(I)가 시간 정보로 변환되어 송수신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기와 관련한 정보에 대해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특정 컴포넌트(C)가 불린(Boolean)과 같이 true or false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신호를 온 피크(on-peak) 신호라 인식하고, 다른 하나의 신호를 오프 피크(off-peak) 신호라 인식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특정 컴포넌트는 전기요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에 관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고, 상기 특정 컴포넌트는 인식된 정보값과 기준정보값을 비교하여 온 피크(on-peak)와 오프 피크(off-peak)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컴포넌트가 레벨화된 정보 또는 실제 가격 정보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특정 컴포넌트는 인식된 정보값과 기준정보값을 비교하여 온 피크(on-peak)와 오프 피크(off-peak)를 인식한다.
이 때, 상기 구동에 관한 정보값은 전기요금, 전력량, 전기요금의 변화율, 전력량의 변화율, 전기요금의 평균값 및 전력량의 평균값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기준 정보값은 평균값, 소정 구간 동안의 전력정보의 최소값과 최대값의 평균값, 소정 구간 동안의 전력정보의 기준 변화율(일 례로: 단위 시간 당 소비전력량 기울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기준정보값은 실시 간으로 설정하거나,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기준정보값은 유틸리티 네트워크에서 설정되거나, 가정용 네트워크(소비자직접입력, 에너지관리부, 중앙관리부 등에서 입력)에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컴포넌트(일 례로 에너지 소비부)가 온 피크(on-peak)를 인식한 경우(일 례로, 인식 시점), 출력을 0으로 하거나(정지 또는 정지상태유지) 출력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컴포넌트는 작동 시작 전에 미리 판단하여 구동 방식을 결정할 수도 있고, 작동 시작 후 온 피크(on-peak)를 인식하였을 때, 구동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컴포넌트가 오프 피크를 인식하면, 필요 시에 출력을 회복하거나 증가할 수 있다. 즉, 온 피크를 인식한 특정 컴포넌트가 오프 피크를 인식하게 되면, 출력을 이전의 상태로 회복하거나, 이전의 출력 보다 더 증가시킬 수 있다.
이 때, 특정 컴포넌트가 오프 피크를 인식한 후에 출력을 회복하거나 출력을 증가시키는 경우에도, 특정 컴포넌트의 전 구동 시간 동안의 전체 소모전력 및/또는 총 전기사용요금은 줄어듬은 물론이다.
또는, 상기 특정 컴포넌트가 온 피크(on-peak)를 인식한 경우(일 례로 인식 시점), 작동 가능한 조건이면 출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작동 가능한 조건은 구동에 관한 정보값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를 의미한다. 상기 구동에 관한 정보값은, 전기요금, 소비전력량 또는 작동시간에 관한 정보 등일 수 있다. 상기 일정기준은 상대값 또는 절대값일 수 있다.
상기 일정기준은 실시 간으로 설정하거나,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일정기준은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에서 설정되거나, 가정용 네트워크(소비자직접입력, 에너지관리부, 중앙관리부 등에서 입력)에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특정 컴포넌트가 온 피크(on-peak)를 인식한 경우(일 례로 인식 시점),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만, 온 피크(on-peak)를 인식한 시점에서 출력이 증가되더라도 특정 컴포넌트의 전 구동 기간 동안의 총출력량은, 특정 컴포넌트가 정상 출력으로 작동할 때의 총출력량 보다 저감 또는 유지될 수 있다.
또는, 온 피크(on-peak)를 인식한 시점에서 출력이 증가되더라도, 특정 컴포넌트의 전 구동 기간 동안의 총소모전력 또는 총전기요금은 특정 컴포넌트가 정상 출력으로 작동할 때의 총소모전력 또는 총전기요금 보다 저감될 수 있다.
상기 특정 컴포넌트가 오프 피크(off-peak)를 인식한 경우(일 례로 인식 시점),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 예약 설정된 경우, 설정 시각 전에 특정 컴포넌트가 구동 시작하거나 다수의 컴포넌트 중 출력이 큰 컴포넌트가 먼저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의 경우 기존 출력 보다 출력을 증가시켜 과냉각하거나, 세탁기 또는 세척기의 경우, 히터의 작동 예정 시각 보다 미리 히터를 구동하여 온수 탱크에 온수를 저장할 수 있다. 이는 추후 도래할 온 피크에서 작동될 것을 미리 오프 피크에서 작동시켜, 전기요금을 절감시키기 위함이다.
또는 특정 컴포넌트가 오프 피크(off-peak)를 인식한 경우(일 례로 인식 시점), 축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특정 컴포넌트(일 례로 에너지소비부)는 출력을 유지하거나 저감하거나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컴포넌트는 전력 가변 컴포넌트(power changing componen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power)은 전류와 전압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전력가변 컴포넌트는, 전류조절기 및/또는 전압조절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가변 컴포넌트는 일 례로 에너지관리부로부터 발생한 명령에 따라서 작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에너지저감(curtailment) 정보는, 컴포넌트가 정지되거나 전기요금을 적게 쓰는 모드와 관련한 정보이다. 상기 에너지저감 정보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 일 례로 불린(Boolean)과 같이 true or false 신호로 송수신될 수 있다. 즉, 정지 신호(turn off 신호) 또는 저감신호(lower power 신호)가 송수신될 수 있다.
상기 특정 컴포넌트가 에너지저감 정보를 인식하면,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출력을 0으로 하거나(정지 또는 정지상태유지: turn off 신호를 인식한 경우) 출력을 저감(lower power 신호를 인식한 경우)할 수 있다.
상기 긴급상황(Grid emergency) 정보는, 정전 등과 관련한 정보로서, 일 례로 Boolean과 같이 true or false 신호로 송수신될 수 있다. 상기 정전 등과 관련한 정보는 에너지를 사용하는 컴포넌트의 신뢰성과 관련성이 있다.
상기 특정 컴포넌트가 긴급상황 정보를 인식한 경우, 즉시 셧 다운(shut down)될 수 있다.
상기 특정 컴포넌트가 상기 긴급상황 정보를 스케줄 정보로 수신하는 경우, 상기 특정 컴포넌트는, 긴급상황 시점의 도래 전에 출력을 증가하여, 앞에서 설명한 특정 컴포넌트의 오프 피크에서의 작동과 동일한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긴급상황 시점에 상기 특정 컴포넌트는 셧 다운 될 수 있다.
상기 망 안전(grid reliability) 정보는, 공급 전기량의 많고 적음에 관한 정보 또는 전기의 품질에 관한 정보로서, 불린(Boolean)과 같이 true or false 신호로 송수신되거나, 컴포넌트(일 례로 전기제품)으로 공급되는 AC전원의 주파수를 통하여 컴포넌트가 판단할 수도 있다.
즉, 컴포넌트로 공급되는 AC 전원의 기준 주파수 보다 낮은 주파수(underfrequency)가 감지(인식)되면 공급 전기량이 적은 것(공급 전기량 부족정보)으로 판단되고, AC 전원의 기준 주파수 보다 높은 주파수(overfrequency)가 감지(인식)되면 공급 전기량이 많은 것(공급 전기량 과다정보)으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특정 컴포넌트가 망 안전 정보 중에서 전기량이 적음을 인식하거나 전기 품질이 좋지 않다는 정보(공급 전기량 부족정보)를 인식하는 경우,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특정 컴포넌트는 경우에 따라서, 출력 0으로 하거나(정지 또는 정지상태유지), 출력을 저감하거나, 출력을 유지하거나, 출력을 증가할 수 있다.
반면에, 공급 전기량 과다정보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특정 컴포넌트는 출력이 증가되거나 off 상태에서 on 상태로 작동 전환될 수 있다.
에너지 증가정보는, 발전량에 비하여 에너지를 소비하는 컴포넌트의 전기 사용량이 적어, 잉여 전기가 발생되는 상태에 관한 정보로서, 일 례로 불린(Boolean)과 같이 true or false 신호로 송수신될 수 있다.
상기 특정 컴포넌트가 에너지 증가 정보를 인식한 경우,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 예약 설정된 경우, 설정 시각 전에 특정 컴포넌트가 구동 시작하거나 다수의 컴포넌트 중 출력이 큰 컴포넌트가 먼저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의 경우 기존 출력 보다 출력을 증가시켜 과냉각하거나, 세탁기 또는 세척기의 경우, 히터의 작동 예정 시각 보다 미리 히터를 구동하여 온수를 저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에너지에 관련한 정보 중 on-peak 정보와, 에너지저감(curtailment) 정보 및 공급 전기량 부족정보는 상대적으로 에너지 요금이 비싼 것으로 이해되는 고비용(High-price) 정보로 인식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비용 정보가 인식되는 구간을 고비용 구간이라 할 수 있다.
반면, 에너지에 관련한 정보 중 off-peak 정보와, 에너지 증가정보 및 공급 전기량 과다정보는 상대적으로 에너지 요금이 싼 것으로 이해되는 Low-price(저비용) 정보로 인식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저비용 정보가 인식되는 구간을 저비용 구간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요금의 상하에 관련한 정보(고비용 또는 저비용 정보)는 특정 컴포넌트(일례로, 에너지소비부)의 절전구동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로 인식될 수 있다. 즉, 상기 에너지 요금의 상하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에너지 요금에 따른 시간대(영역: time period) 또는 컴포넌트의 구동방식 결정을 위한 요금대(영역: pricing period)을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다.
일 례로, 에너지에 관련한 정보가 boolean 신호로 인식되는 경우, 상기 에너지 요금에 따른 시간대 또는 컴포넌트의 구동 방식 결정을 위한 요금대는 2개로 인식될 수 있으며, 상기 에너지에 관련한 정보가 다수의 레벨(level)로 구분되거나 실시간 정보로 인식되는 경우, 상기 시간대 또는 요금대는 3개 이상으로 인식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적어도 시간에 대응하는 에너지요금에 관련한 정보는 컴포넌트의 절전구동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로 구분하여 인식될 수 있다. 즉, 상기 에너지요금에 관련한 정보를 이용하여, 시간대(영역) 또는 요금대(영역)을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분되는 시간대 또는 요금대는 인식되는 정보의 종류 (boolean, 다수의 레벨, 실시간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달리 말하면, 상기 에너지요금의 상하에 관련한 정보를 이용하여 컴포넌트의 구동을 위한 2개 이상의 결정인자를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정인자에는 시간과 에너지요금에 관한 function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에너지요금에 관련한 정보가 2이상의 수준으로 레벨화되어 인식되는 경우, 특정 컴포넌트는 상기 레벨화된 정보에 따라 구동방식이 결정될 수 있다.
반면에, 인식된 에너지요금에 관련한 정보가 특정 기준에 따라 구분되지 않는 경우(일례로, 실시간 요금정보)에는, 상기 에너지요금에 관련한 정보가 소정의 정보와 비교되며, 비교된 결과에 따라 특정 컴포넌트의 구동방식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정보는 에너지요금에 관련한 정보를 구분하기 위한 기준 정보(일례로, 기준값)일 수 있으며, 상기 비교된 결과는 상기 에너지요금에 관련한 정보가 상기 기준값 이상인지 이하인지 여부에 관한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에너지와 관련한 각 종류의 정보는, 가공되지 않은 제1정보(first information: I1)와, 제1정보에서 가공된 정보인 제2정보(second information: I2)와, 상기 특정 컴포넌트의 기능 수행을 위한 정보인 제3정보(third information: I3)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제1정보는 미가공된 데이터(raw data)이고, 제2정보는 가공된 데이터(refined data)이고, 제3정보는 특정 컴포넌트의 기능 수행을 위한 명령(command)이다.
그리고, 에너지와 관련한 정보는 신호에 포함되어 전달된다. 이 때, 제 1 내지 제 3 정보 중 하나 이상은 신호만 변환될 뿐 내용은 변환되지 않고 다수 회 전달될 수 있다.
일 례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정보(I1)를 포함하는 신호를 받은 어느 한 컴포넌트는 단지 신호를 변환하여 제 1 정보(I1)를 포함하는 새로운 신호를 다른 컴포넌트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신호의 변환과 정보의 변환은 다른 개념인 것으로 설명된다. 이 때, 상기 제 1 정보에서 제 2 정보로 변환될 때에 신호도 함께 변환되는 것임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상기 제 3 정보는 내용이 변환된 상태에서 다수 회 전달되거나 내용은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신호만 변환된 상태에서 다수 회 전달될 수 있다.
상세히, 제1정보가 가공되지 않은 전기요금 정보인 경우, 상기 제2정보는 가공된 전기요금 정보일 수 있다. 가공된 전기요금 정보는 전기요금이 다수 레벨로 구분된 정보 또는 분석 정보이다. 상기 제3정보는 제1정보 또는 제2정보를 토대로 생성된 명령이다.
특정 컴포넌트는 제 1 내지 제 3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생성,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정보는 반드시 순차적으로 송수신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정보 없이 제 3 정보 만 다수 개가 순차 또는 병렬로 송수신될 수 있다. 또는, 제 1 및 제 3 정보가 함께 송신 또는 수신되거나, 제 2 및 제 3 정보가 함께 송신 또는 수신되거나, 제 1 및 제 2 정보가 함께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일 례로, 특정 컴포넌트가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특정 컴포넌트는 제 2 정보를 송신하거나, 제 2 정보 및 제 3 정보를 송신하거나, 제 3 정보 만을 송신할 수 있다.
특정 컴포넌트가 제3정보 만을 수신한 경우, 상기 특정 컴포넌트는 새로운 제 3 정보를 생성 및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두 정보 간의 관계에서 어느 한 정보는 메시지(message)이고, 다른 한 정보는 메시지에 대한 대응(response)이다. 따라서, 본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컴포넌트는 메시지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고,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수신된 메시지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메시지의 송신과 이에 대한 대응은 개별 컴포넌트의 경우 상대적인 개념이다.
상기 메시지는, 데이터(제1정보 또는 제2정보) 및/또는 명령(제3정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제3정보)은, 데이터 저장 명령, 데이터 생성 명령, 데이터 가공 명령(추가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함), 추가 명령의 생성 명령, 추가 생성된 명령의 송신 명령, 수신한 명령의 전달 명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수신된 메시지에 대응한다는 것은, 데이터 저장, 데이터 가공(추가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함), 새로운 명령 생성, 새롭게 생성된 명령 송신, 수신한 명령을 단순히 전달(다른 컴포넌트로 전달을 위한 명령을 함께 생성할 수 있음), 작동, 저장된 정보 송신, 확인 메시지(acknowledge character or negative acknowledge character) 송신 등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메시지가 제1정보인 경우 제1정보를 수신한 컴포넌트는 이에 대한 대응으로서, 제1정보를 가공하여 제2정보를 생성하거나, 제2정보 생성 및 새로운 제 3 정보를 생성하거나, 제 3 정보 만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너지관리부(24)가 제1정보(내부 정보 및/또는 외부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에너지관리부(24)는 제2정보 및/또는 제3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가정용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일 례로 에너지소비부)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너지소비부(26)는 상기 에너지관리부(24)로부터 수신한 제3정보에 따라서 작동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 1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가정용 네트워크(20)의 제 1 컴포넌트(31)는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제 1 컴포넌트(31)는 가정용 네트워크의 다수의 컴포넌트(32, 33, 34: 제 2 내지 제 4 컴포넌트)와 통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컴포넌트(31)와 통신하는 상기 가정용 네트워크의 컴포넌트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제 1 컴포넌트(31)는 게이트웨이(gateway)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 컴포넌트(31)는 일 례로, 에너지관리부, 에너지측정부, 중앙 관리부, 에너지 망 보조부, 에너지 소비부 등 중 하나 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컴포넌트는,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컴포넌트 들 간의 통신을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컴포넌트 들 간의 통신을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제 2 내지 제 4 컴포넌트(32, 33, 34)는 각각, 에너지발생부, 에너지분배부, 에너지 관리부, 에너지저장부, 에너지측정부, 중앙 관리부, 에너지 망 보조부, 에너지 소비부 중 하나 일 수 있다.
상기 제 1 컴포넌트(31)는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트(10) 또는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정보를 전달 또는 가공하여 제 2 컴포넌트 내지 제 4 컴포넌트(32, 34)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컴포넌트(31)가 에너지측정부인 경우, 전기요금 정보를 상기 제 1 컴포넌트가 수신하여, 에너지관리부, 에너지소비부 등으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내지 제 4 컴포넌트 각각은 또 다른 컴포넌트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컴포넌트(31)가 에너지측정부이고, 제 2 컴포넌트는 에너지관리부이며, 상기 에너지관리부가 하나 이상의 에너지소비부와 통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 2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정용 네트워크(20)를 구성하는 다수의 컴포넌트가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다수의 컴포넌트(제 1 및 제 2 컴포넌트(41, 42))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컴포넌트는 동종의 컴포넌트이거나 다른 종류의 컴포넌트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컴포넌트(41)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일 례로 제 3 및 제 4 컴포넌트(43, 44))와 통신할 수 있고, 상기 제 2 컴포넌트(42)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일 례로 제 5 및 제 6 컴포넌트(45, 46))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및 제 2 컴포넌트 각각은, 에너지관리부, 에너지측정부, 중앙 관리부, 에너지 망 보조부, 에너지 소비부 등 중 하나 일 수 있다.
상기 제 3 내지 제 6 컴포넌트 각각은, 에너지발생부, 에너지분배부, 에너지 관리부, 에너지측정부, 중앙 관리부, 에너지 망 보조부, 에너지 소비부 중 하나 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 3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가정용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각의 컴포넌트(51, 52, 53)는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20)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2 실시 예에서처럼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컴포넌트가 존재하지 않고, 컴포넌트(51, 52, 53) 각각이 유틸리티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네트워크의 개략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네트워크(20)는,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로부터 각 가정으로 공급되는 전력 및/또는 전기요금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에너지 측정부(25) 일례로 스마트 미터와, 상기 에너지 측정부(25) 및 전기제품과 연결되고 이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에너지관리부(24)를 포함한다.
한편, 각 가정의 전기요금은 시간당 요금으로 과금될 수 있으며, 전력소비량이 급격하게 증대되는 시간구간에서는 시간당 전기요금이 비싸지며, 전력소비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심야시간과 같은 때에는 시간당 전기요금이 저렴해질 수 있다.
상기 에너지관리부(24)는 가정 내부의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에너지소비부(26)로서의 전기제품, 즉 냉장고(61), 세탁기(62), 에어컨(63), 건조기(64) 또는 조리기기(65) 등와 같은 전기제품과 연결되어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다.
가정에서의 통신은 Zigbee, wifi,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 방식 또는 전력선 통신 방식 (PLC, Power line communication)와 같은 유선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하나의 전기제품은 다른 전기제품 들과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로서 일 례로, 에너지소비부 중 냉장고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냉장고에 대한 설명은 다른 에너지소비부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에너지소비부에 대한 설명은 에너지소비부 외의 컴포넌트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위한 냉장고(61)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른 컴포넌트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수단(71)을 포함한다.
상기 냉장고(61)는, 소정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72)와, 자신의 구동정보 또는 상기 통신수단(71)으로부터 인식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73)와, 적어도 상기 표시부(73)를 제어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냉장고(61)의 전체 작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73)가 터치 방식에 의해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입력부(72)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표시부(73)에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입력부(72)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표시부(73)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61)는 절전 기능 또는 일반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절전 기능은 일반 기능에 비하여 에너지 사용량 또는 에너지 사용요금을 줄이기 위한 기능이다. 상기 절전 기능은, 에너지 정보에 기초하거나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일 례로, 상기 절전 기능 또는 일반 기능은 상기 입력부(72) 또는 상기 표시부(73)에서 선택 및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냉장고(61)와 다른 컴포넌트의 통신 가능여부에 따라서 절전 기능 또는 일반 기능 중 어느 하나가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절전 기능과 일반 기능 중 어느 한 기능이 자동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다른 한 기능으로 자동으로 변경되거나 기능 전환 버튼에 의해서 다른 한 기능으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절전 기능을 수행하는 모드를 절전 모드라 할 수고, 상기 일반 기능을 수행하는 모드를 일반 모드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절전 모드는 다수의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포넌트의 표시부의 일 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에는 일 례로 냉장고의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화면이 도시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부(73)에서는, 컴포넌트의 관리(즉, 냉장고의 관리)를 위한 관리화면(100)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관리화면(100)이 상기 냉장고의 전원 온 시 최초로 표시되는 메인화면이거나, 상기 메인화면에서 전환된 화면이거나 상기 관리화면을 표시하기 위하여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 표시되는 팝업(Pop-up) 화면일 수 있다.
상기 관리화면(100)에는 적어도 냉동실 온도 정보 및 냉장실 온도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화면(100)에는 냉동실 온도를 변경하기 위한 냉동실 온도 변경부(121)와, 냉장실 온도를 변경하기 위한 냉장실 온도 변경부(122)와, 절전 기능과 일반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기능 선택부(110)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화면(100)에는 특냉실의 작동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부(123)와, 특급 냉동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부(124)와, 필터의 작동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부(125)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 선택부(110)는, 절전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절전기능 선택부(111)와 절전 기능을 해제하기 위한(일반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절전기능 해제부(112: 또는 일반 기능 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절전기능 선택부(111)가 선택되면, 절전기능이 온되고, 절전기능 해제부(112)가 선택되면, 절전기능이 오프(일반기능인 온됨)된다. 이 때, 절전기능 선택부(111)와 절전기능 해제부(112)를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절전기능 선택부(111)와 절전기능 해제부(112)는, 색상, 밝기, 크기 등 중 어느 하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상기 절전기능 선택부(111)와 절전기능 선택부(112)의 표시 상태는 다를 수 있다.
도 11은 모드 선택 화면의 일 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0의 화면에서 절전기능 선택부(111)가 선택되면, 상기 표시부(73)에서 절전 기능과 관련한 구체적인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화면(200)이 표시된다. 상기 모드 선택 화면(200)은 상기 관리화면(100)에서 팝업된 화면이거나 전환된 화면일 수 있다. 또는 상기 관리화면(100)과 상기 모드 선택 화면(200)이 단일의 화면에서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모드 선택 화면(200)에서는, 다수의 모드 선택부(201, 202, 203)가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드 선택 화면(200)에서는 모드 선택을 가이드 위한 설명 정보(206)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설명 정보(206)는 절전 기능 선택 여부 정보와 모드 선택을 위한 가이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원하는 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다수의 모드 선택부(201, 202, 20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모드 선택부(201, 202, 203)는, 컴포넌트의 절전 구동이 수행되는 절전시간구간의 설정 기준 또는 절전시간구간의 변경 가능 여부에 따라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모드 선택부(201, 202, 203)는 심야 구간을 선택하기 위한 제1선택부(심야절전 선택부: 201)와,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 구간을 선택하기 위한 제2선택부(사용자 절전 선택부: 202)와, 에너지 정보에 기초하여 고비용 구간을 선택하기 위한 제3선택부(스마트 절전 선택부: 203) 중 둘 이상의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선택부(201)에 의해서 선택되는 모드를 심야 절전 모드라 할 수 있다. 상기 제2선택부(202)에 의해서 선택되는 모드를 사용자 절전 모드라 할 수 있다. 상기 제3선택부(203)에 의해서 선택되는 모드를 스마트 절전 모드(또는 피크타임 절전 모드)라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일 례로 세 개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선택부(201) 및 상기 제3선택부(203)가 선택되면, 절전 시간 구간은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반면, 제2선택부(202)가 선택되면, 절전시간 구간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심야절전모드 및 상기 스마트 절전 모드(피크타임 절전 모드)를 자동설정모드라 이름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절전 모드를 수동설정모드라 이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드 들 중 어느 한 모드가 선택되면, 해당 모드에 대응하는 절전시간 구간에서 컴포넌트가 절전 구동된다. 본 실시 예서, 다수의 모드는, 수동설정모드와 자동설정모드를 포함하거나, 다수의 수동설정모드 만을 포함하거나 다수의 자동설정모드 만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의 화면에서 제1선택부가 선택되었을 때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보여준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도 11의 모드 선택 화면(200)에서 상기 제1선택부(201)가 선택되면, 심야 절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심야 절전 화면(210)이 표시된다. 상기 심야 절전 화면(210)은 상기 모드 선택 화면(200)에서 전환된 화면이거나 상기 모드 선택 화면(200)의 내용 중 일부가 변경된 화면일 수 있다.
상기 심야 절전 화면(210)이 표시되면, 상기 제1선택부(201)가 선택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정보가 상기 제1선택부(201)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제1선택부의 표시 상태가 제2선택부 및 제3선택부의 표시 상태와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심야 절전 화면(210)에는 심야 절전 모드와 관련한 설명 정보(211)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야 절전 화면(210)에는 심야 절전 모드를 최종적으로 선택하거나 심야 절전 모드의 선택을 취소하기 위한 선택부(212, 213)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심야 절전 모드의 선택을 취소한 경우 다른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심야 절전 화면(210)에서 다른 모드 선택부를 선택하는 경우 다른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심야 절전 모드에 대응하는 절전시간 구간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절전시간 구간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일 례로 오전 0시부터 오전 4시까지 4시간 구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심야 절전 모드에 대응하는 절전시간 구간은 고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절전시간 구간이 변경 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심야 절전 화면(210)에는 절전시간 구간을 선택하기 위한 시간 선택부가 더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절전 시간 구간이 변경 가능하더라도 설정할 수 있는 절전 시간 구간은 제한될 수 있다. 즉, 심야 절전 모드에서의 절전시간 구간을 구성하는 시작 제한 시간과 종료 제한 시간은 설정되어 있고, 시작 제한 시간과 종료 제한 시간 구간 내에서 사용자가 절전 시간 구간을 변경할 수 있다. 일 례로, 시작 제한 시간은 오전 0시로 설정될 수 있고, 종료 제한 시간은 오전 6시로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시작 제한 시간과 종료 제한 시간의 사이 범위 내에서 절전시간 구간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1의 화면에서 제2선택부가 선택되었을 때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보여준다.
도 11 및 도 13을 참조하면, 도 11의 모드 선택 화면(200)에서 상기 제2선택부(202)가 선택되면, 사용자 절전 화면(220)이 표시된다. 상기 사용자 절전 화면(220)은 상기 모드 선택 화면(200)에서 전환된 화면이거나 상기 모드 선택 화면(200)의 내용 중 일부가 변경된 화면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절전 화면(220)이 표시되면, 상기 제2선택부(202)가 선택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정보가 상기 제2선택부(202)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제2선택부의 표시 상태가 제1선택부 및 제3선택부의 표시 상태와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절전 화면(220)에는 하나 이상의 절전시간 구간정보를 표시하는 구간정보(222, 223)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3에는 일 례로 두 개의 구간 정보가 구분되어 표시되는 것이 도시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절전시간 구간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구간 정보(222, 223)는 절전시간 구간의 미설정 정보 또는 이전에 기 설정된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간 정보는 시작시간정보와 종료시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절전 화면(220)에는 절전시간 구간을 설정 및 변경하기 위하여 선택하는 시간변경 선택부(224)가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구간정보(222, 223)를 선택하면, 절전시간 구간을 설정하기 위한 시간 설정부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절전 화면(220)에는 사용자 절전 모드와 관련한 설명 정보(221)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절전 화면(220)에는 사용자 절전 모드를 최종적으로 선택하거나 사용자 절전 모드의 선택을 취소(또는 해제)하기 위한 선택부(225, 226)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4는 절전시간 구간을 설정하기 위한 시간변경화면을 보여준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도 13에서 시간변경 선택부(224)가 선택되면, 시간변경화면(230: 또는 시간설정화면)이 표시된다. 상기 시간변경화면(230)에는 하나 이상의 시간 변경부(231, 232: 또는 시간 설정부)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시간 변경부(231, 232)를 이용하여 절전시간 구간의 시작시간과 종료시간 중 하나 이상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설정 모드에서의 절전시간 구간의 길이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시작시간을 선택하면 미리 설정된 구간 길이를 기초로 종료시간이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종료시간을 선택하면 미리 설정된 구간 길이를 기초로 시작시간이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된 구간 길이가 2시간인 경우, 사용자가 시작시간을 오전 0시로 선택하면, 종료시간이 오전 2시로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절전 시간 구간의 길이에 제한이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시작시간과 종료시간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시간변경화면(230)에는 이전 화면으로 복귀하기 위한 이전 선택부(233)와, 변경된 시간을 최종적으로 선택하거나 변경된 시간을 취소(또는 해제)하기 위한 선택부(234, 235)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절전 모드의 선택을 취소한 경우 다른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절전 화면(220)에서 다른 모드 선택부를 선택하는 경우 다른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5는 도 11의 화면에서 제3선택부가 선택되었을 때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보여준다.
도 11 및 도 15를 참조하면, 도 11의 모드 선택 화면(200)에서 상기 제3선택부(203)가 선택되면, 피크타임 절전 화면(240)이 표시된다. 상기 피크타임 절전 화면은(240)은 상기 모드 선택 화면(200)에서 전환된 화면이거나 상기 모드 선택 화면(200)의 내용 중 일부가 변경된 화면일 수 있다.
상기 피크타임 절전 화면(240)이 표시되면, 상기 제3선택부(203)가 선택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정보가 상기 제3선택부(203)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제3선택부의 표시 상태가 제1선택부 및 제2선택부의 표시 상태와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피크타임 절전 화면(240)에는 전력 요금 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선택하기 위한 요금정보 확인 선택부(242)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크타임 절전 화면(240)에는 피크타임 절전 모드와 관련한 설명 정보(241)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크타임 절전 화면(240)에는 피크타임 절전 모드를 최종적으로 선택하거나 피크타임 절전 모드를 취소(또는 해제)하기 위한 선택부(243, 244)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피크타임 절전 모드의 선택을 취소한 경우 다른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피크타임 절전 화면(240)에서 다른 모드 선택부를 선택하는 경우 다른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6은 도 15의 화면에서 요금정보 확인 선택부가 선택되었을 때 표시되는 요금 정보 화면을 보여준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피크타임 절전 화면(240)에서 요금정보 확인 선택부(242)가 선택되면, 요금정보 화면(250)이 표시된다. 상기 요금정보 화면(250)에서는 전력요금과 관련한 그래프 정보(251)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그래프 정보(251)에서 가로축은 시간이고, 세로축은 전력요금일 수 있다. 상기 그래프 정보(251)에서 표시되는 시간 범위는 일 례로 24시간 일 수 있으나, 시간 범위는 제한이 없다. 시간 대별 요금 그래프는 다수의 레벨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각 레벨 별로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래프 정보(251)는 현재 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현재시간 표시부(251A)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시간의 전력요금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프 정보(251)에 포함되는 요금정보는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로부터 받은 정보이거나 외부 서버로부터 받은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외부 서버는 물론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로부터 요금정보를 받을 수 있다.
상기 피크타임 절전 화면(240)에는 이전 화면(도 14의 화면)으로 복귀하기 위한 이전 선택부(252)와, 피크타임 절전 모드를 최종적으로 선택하거나 피크타임 절전 모드를 취소(또는 해제)하기 위한 선택부(253, 254)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6에서 상기 피크타임 절전 화면(240)에서 피크타임 절전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현재 시간이 피크 타임(고비용 구간)이므로, 현재 시점에서 절전 구동이 수행된다.
도 17은 모드 선택 화면에서 특정 모드가 선택되었을 때 표시되는 관리화면을 보여준다.
도 17을 참조하면, 다수의 모드 중에서 특정 모드가 선택되면, 관리화면(100)이 표시된다. 상기 관리화면(100)에서는 절전 모드가 선택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알림 정보(113)가 표시된다. 상기 알림 정보(113)는, 상기 절전기능 선택부(111)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알림 정보(113)는 선택된 절전 모드의 종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관리화면(100)에는 절전 모드가 선택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아이콘 정보(130)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포넌트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컴포넌트는 절전모드 선택 명령을 인식하게 된다(S1). 상기 절전기능 선택부(111)가 선택되면, 절전모드 선택 명령이 인식된다. 그 다음, 절전모드를 구성하는 다수의 모드 중에서 특정 모드가 선택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2). 즉, 심야 절전 모드, 사용자 절전 모드, 피크타임 절전 모드 중 어느 한 모드가 선택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다수의 모드 중 어느 한 모드가 선택되었으면, 선택된 절전모드에 대응하는 절전시간 구간이 인식된다(S3). 이 때, 심야 절전 모드에 대응하는 절전시간 구간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메모리로부터 절전시간 구간 정보를 받아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 절전 모드가 선택되면, 사용자가 선택한 절전시간 구간이 인식될 수 있다. 피크타임 절전 모드가 선택되면, 피크타임(고비용 구간)이 판단되어 인식될 수 있다.
그리고, 컴포넌트는 절전시간 구간에 절전구동을 수행하게 된다(S4). 상기 절전구동은 위에서 언급된 모든 예 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례로, 컴포넌트 전체 또는 일부의 에너지소비부의 출력이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컴포넌트가 냉장고인 경우, 절전시간 구간에 홈바 히터가 일정 시간 오프될 수 있다. 또는, 냉장실 또는 냉동실의 목표 온도가 높아질 수 있다. 또는 냉장고의 경우, 냉장고 도어의 개방 시 고내 온도가 증가되므로 고내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압축기를 제어하여 고내 온도를 일정 온도까지 낮추는 부하대응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부하대응제어는 절전시간 구간에 미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홈바 히터, 목표 온도 조절, 부하대응제어 등 각각을 개별적인 절전구동방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절전시간 구간에서는 하나 이상의 절전구동방법으로 컴포넌트가 절전 구동될 수 있다. 즉, 절전구동 시 다수의 절전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다수의 모드 별로 절전구동방법이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절전시간 구간을 선택하거나, 자동으로 절전시간 구간이 선택되어 절전시간 구간에 절전구동하므로, 에너지소비량 또는 에너지사용요금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절전모드 중 어느 한 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선택의 폭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위의 설명에서 절전모드는 사용 횟수(일 례로 도어 개방 횟수)가 적은 시간 대가 선택되는 사용 횟수 절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가 개방될 때의 시간 정보가 메모리에 저장되고, 사용 횟수 절전 모드가 선택된 경우 도어 개방이 없는 시간 대 또는 도어 개방이 적은 시간 대가 자동으로 절전시간 구간을 설정되 수 있다. 이 때, 절전시간 구간은 매일 가변되거나 주간, 월간, 년간 별로 가변될 수 있다.
위의 설명에서, 상기 심야 절전 모드와 사용자 절전 모드에서는 절전시간구간의 변경 전까지는 절전시간구간이 고정되어 있을 수 있고, 피크타임 절전 모드에서는 절전시간구간이 전력요금에 따라서 가변될 수 있다. 따라서, 심야 절전 모드 및 사용자 절전 모드를 절전시간 고정모드라 할 수 있고, 피크타임 절전 모드를 절전시간 가변모드라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선택부는, 특정 명령을 입력하기 위하여 작용하므로, 입력부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어부: 70 통신수단: 71
표시부: 73

Claims (14)

  1. 에너지소비량 또는 에너지사용요금을 줄이기 위한 절전모드를 구성하는 다수의 모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이 표시되는 단계;
    상기 다수의 모드 중 어느 한 모드가 선택되는 단계;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절전시간구간이 인식되는 단계; 및
    인식된 절전시간 구간에 절전구동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은, 절전모드 선택명령이 입력된 경우에 표시되는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는, 다수의 모드 선택부가 표시되는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모드 선택부 중 어느 한 선택부가 선택되면, 선택된 모드와 관련한 정보가 표시되는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모드와 관련한 정보는, 선택된 모드의 설명 정보 또는 절전시간 구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모드 선택부 중 어느 한 선택부가 선택되면, 절전시간 구간을 설정하기 위한 시간 설정부가 표시되는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시간 구간은 수동 입력되는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시간 구간은 자동으로 설정되는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시간 구간은 에너지 정보를 기초로 판단되며, 고비용 구간으로 설정되는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시간 구간은 메모리에 미리 설정되는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시간 구간은 사용횟수가 적은 시간 구간인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시간 구간의 인식 전에 선택된 모드의 변경이 가능한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모드에 대응하는 절전구동 방법은 동일한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모드 별로 절전구동 방법이 다른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KR1020110033953A 2010-09-17 2011-04-12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KR101760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953A KR101760522B1 (ko) 2011-04-12 2011-04-12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PCT/US2011/046583 WO2012036799A1 (en) 2010-09-17 2011-08-04 Network system
US13/824,109 US9595831B2 (en) 2010-09-17 2011-08-04 Network system
EP11825603.1A EP2616892B1 (en) 2010-09-17 2011-08-04 Network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953A KR101760522B1 (ko) 2011-04-12 2011-04-12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302A true KR20120116302A (ko) 2012-10-22
KR101760522B1 KR101760522B1 (ko) 2017-07-21

Family

ID=47284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3953A KR101760522B1 (ko) 2010-09-17 2011-04-12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0522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1292A (ja) 1999-09-30 2001-04-13 Yusuke Kojima 家庭用省エネルギー支援方法及び装置
US7110832B2 (en) * 2002-03-22 2006-09-19 Whirlpool Corporation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an appliance
KR100559946B1 (ko) * 2003-11-12 2006-03-15 (주)세솔 전원관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0522B1 (ko) 2017-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0011A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에너지소비부
KR20120000026A (ko) 네트워크 시스템
KR101636085B1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에너지 소비부
KR20140032717A (ko) 냉장고
KR101799105B1 (ko) 네트워크 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의 제어방법
KR20120000018A (ko) 네트워크 시스템
KR101759747B1 (ko) 전기제품
KR101760522B1 (ko)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KR20120029566A (ko) 네트워크 시스템
KR20120029565A (ko) 네트워크 시스템
KR20120067033A (ko) 네트워크 시스템
KR101907205B1 (ko) 네트워크 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
KR101801978B1 (ko) 네트워크 시스템
KR20120000019A (ko) 네트워크 시스템
KR20120029568A (ko) 네트워크 시스템
KR101605209B1 (ko) 네트워크 시스템
KR101821815B1 (ko) 네트워크 시스템
KR101967469B1 (ko) 가전제품
KR101644654B1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의 컴포넌트
KR20120000015A (ko) 네트워크 시스템
KR101918297B1 (ko) 가전제품
KR20120008375A (ko) 네트워크 시스템
KR20120000007A (ko) 네트워크 시스템
KR20120029570A (ko) 네트워크 시스템
KR20120067027A (ko) 네트워크 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