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6265A - Authentication method using divided bar-code - Google Patents

Authentication method using divided bar-co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6265A
KR20120116265A KR1020110033903A KR20110033903A KR20120116265A KR 20120116265 A KR20120116265 A KR 20120116265A KR 1020110033903 A KR1020110033903 A KR 1020110033903A KR 20110033903 A KR20110033903 A KR 20110033903A KR 20120116265 A KR20120116265 A KR 20120116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vided
bar code
barcode
authentication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39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준성
Original Assignee
김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성 filed Critical 김준성
Priority to KR1020110033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6265A/en
Publication of KR20120116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626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46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PURPOSE: An authentication system with a divisional bar code is provided to prevent a bar code of a single image from being authenticated through illegal duplication by dividing the bar code into intrinsic areas of each user. CONSTITUTION: Photographing information of a first divisional bar code is read by scanning the first divisional bar code displayed on a first authentication kit(S10). The first authentication kit includes the first divisional bar code including firs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mo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authenticated person. A second divisional bar code, including seco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visional bar code, is detected(S20). A single bar code is generated by combining the first divisional bar code with the second divisional bar code(S30). The authentication of the authenticated person is performed by confirming the identity of the bar code includ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uthenticated person(S40). [Reference numerals] (AA) Start; (BB) End; (S10) Scanning the first divisional bar code; (S20) Detecting the first divisional bar code corresponding to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of the scanned first divisional bar code; (S30) Combining the first divisional bar code and the second divisional bar code; (S40) Performing authentication

Description

분할 바코드를 이용한 인증 방법{Authentication method using divided bar-code}Authentication method using divided bar-code}

본 발명은 바코드를 이용한 인증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증이 필요한 거래에서 인증을 요청하는 피인증자에 대응하는 제 1 인증정보가 저장된 바코드를 분할하여 제 1 분할바코드를 발급하고, 발급된 제 1 분할바코드 중 공통된 영역을 갖는 피인증자에 대응하는 제 2 인증정보가 저장된 제 2 분할바코드와의 결합을 통해 인증정보가 포함된 바코드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요청된 인증을 수행하는 분할 바코드를 이용한 인증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hentication method using a barcode, and in particular, to issue a first divided barcode by dividing a barcode in which first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ubject requesting authentication is authenticated in a transaction requiring authentication, and issuing the first divided barcode. An authentication method using a split bar code that performs a requested authentication by determining whether a bar code includ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matched by combining with a second split bar code in which seco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ubject having a common area among bar codes is stored. It is about.

일반적으로 바코드는 굵기가 다른 바(black bar)와 그 사이에 있는 공백(white bar)의 조합을 통해 문자, 숫자, 기호 등을 광학적으로 판독하기 쉽게 부호화한 것인데, 데이터의 입력이 간편하고 자료 처리 시스템의 구성이 가능하여 여러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 barcode is an optically readable encoding of letters, numbers, symbols, etc. through a combination of black bars and white bars in between, which facilitates data input and data processing. The system can be configured and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그러나 상기와 같은 1차원 바코드로 인코딩된 정보는 단일의 차원으로 연장되는 바와 공백의 폭에 의해서만 표현된다. 모든 바 및 공백은 그 수직 방향으로 균일한 높이를 갖고 있으므로, 정보는 오직 1차원 바코드의 수평 방향으로 저장된다. 따라서 일정 폭 이내에 데이터를 기록해야 하므로 제한된 양의 데이터만을 기록할 수 있다.However, the information encoded by the one-dimensional barcode as described above is represented only by the bar and the width of the space extending in a single dimension. Since all bars and blanks have a uniform height in their vertical direction, the information is stored on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one-dimensional barcode. Therefore, only a limited amount of data can be recorded because data must be recorded within a certain width.

최근에는 정보 기술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연관된 데이터베이스를 제거하고 부호 자체에 더 많은 정보를 저장하는 것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의 결과로서, 1980년대 중반 이후 1차원 바코드의 확장으로서, 2차원 바코드가 등장하였다. 이러한 2차원 바코드는 양 축(x축 방향, y축방향)으로 데이터를 배열하여 평면화시킨 것으로서, 1차원 바코드가 갖고 있는 문제점, 즉 데이터 표현의 제한성을 확대하였다. 이러한 2차원 바코드는 일반적으로 2가지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다. 즉, 하나는 스택형 바코드로서 1차원 바코드의 상부에 다른 1차원 바코드가 중첩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매트릭스 바코드로서 진정한 2차원 매트릭스로 설계되는 것이다.Recently, as the demand for information technology increases,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removing associated databases and storing more information in the code itself. As a result of this demand, two-dimensional barcodes have emerged as an extension of one-dimensional barcodes since the mid-1980s. The two-dimensional bar code is a flattened array of data on both axes (x-axis direction, y-axis direction), which expands the problem of one-dimensional barcode, that is, the limitation of data representation. Such two-dimensional barcodes can generally b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That is, one is a stacked bar code, and another one-dimensional bar code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one-dimensional bar code, and the other is a matrix bar code, which is designed as a true two-dimensional matrix.

그리고 이러한 바코드의 사용은 상품에 기입하여 해당 상품의 정보를 확인 가능하도록 하거나, 디지털 카메라 등으로 촬영하여 화면에 나타내거나, 전송받은 바코드를 인쇄하는 방법으로 주로 티켓, 쿠폰 등에 이용되고 있다. The use of such barcodes is mainly used for tickets, coupons, etc. as a method of writing information on a product so that the information of the product can be confirmed, photographed with a digital camera, displayed on a screen, or printing a received barcode.

그러나 바코드의 위변조가 쉽다는 점 때문에 보안이 중요시되는 분야에는 활용이 제한되거나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를 부분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반복적인 활용이 요구되는 현금카드나 회원증의 정보가 담긴 바코드를 사용 시 마다 매번 인터넷을 통해 서버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받아 사용하였으나, 여전히 보안에 대한 취약점을 포함하고 있다. However, due to the easy tampering of the bar code, the application is not limited or used in security-critical areas. In order to partially solve this problem, each time a barcode containing the information of a cash card or membership card that requires repeated use is accessed and downloaded and used every time through the Internet, it still contains a vulnerability to security.

또한, 바코드를 이용한 전자상거래에 있어서 좀 더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 OTP(One Time Password) 코드를 바코드로 생성하여 사용하는 방식도 있으나, 이는 단순히 OTP 코드만을 바코드로 생성하여 사용하는 방법으로 승인 시에 요구되는 개인정보는 별도로 사용자가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security in the e-commerce using a bar code, OTP (One Time Password) code can be generated and used as a bar code. The required personal information is inconvenient to be input by the user separately.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인증이 필요한 거래에서 인증을 요청하는 피인증자에 대응하는 제 1 인증정보가 저장된 바코드를 분할하여 제 1 분할바코드를 발급하고, 발급된 제 1 분할바코드 중 공통된 영역을 갖는 피인증자에 대응하는 제 2 인증정보가 저장된 제 2 분할바코드와의 결합을 통해 바코드를 판독하여 요청된 인증을 수행하도록 하여 바코드의 불법 복제 및 위변조에 강화된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분할 바코드를 이용한 인증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issuing a first divided bar code by dividing a bar code stored in the first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to request authentication in a transaction requiring authentication, and issued Enhanced security against illegal copying and forgery of barcodes by reading the barcodes to perform the requested authentication by combining with the second divided barcodes in which seco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having a common area among the first divided barcodes is stor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hentication method using a split barcode that can improve the cast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판독장치에서 공통영역을 갖는 서로 다른 분할 바코드의 결합된 단일 이미지의 바코드를 통해 데이터를 판독하여 인증을 수행함에 따라 인증을 위한 복잡한 계산식이나 여러 단계의 절차 없이도 인증이 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인증이 가능하도록 하는 분할 바코드를 이용한 인증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erform authentication by reading data through a barcode of a single combined image of different split barcodes having a common area in a reading device, so that authentica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complicated calculation formulas or multi-step procedures for authentic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hentication method using a split bar code that enables faster and more accurate authentica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할 바코드를 이용한 인증 방법의 특징은 인증이 필요한 거래에서 인증을 요청하는 피인증자에 대응하는 인증정보가 저장된 바코드를 발급하고, 상기 발급된 바코드를 이용하여 인증자가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방법에 있어서, 피인증자에 대응하는 인증정보 중 제 1 인증정보가 저장된 제 1 분할바코드를 포함하는 제 1 인증키트에 표시된 제 1 분할바코드를 스캔(촬영)하여 제 1 분할바코드의 촬영정보를 읽어내는 단계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바코드 중 상기 읽어낸 제 1 분할바코드에 대응되는 인증정보인 제 2 인증정보가 저장된 제 2 분할바코드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분할바코드와 상기 제 2 분할바코드를 결합하여 하나의 바코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분할바코드와 제 2 분할바코드의 결합으로 생성된 바코드와, 미리 저장된 상기 피인증자에 대응하는 인증정보가 저장된 바코드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피인증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있다.Characteristic of the authentication method using a split bar 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issue a bar code stored i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to request authentication in a transaction requiring authentication, and using the issued bar code In the authentication method in which the authenticator performs authentication, the first divided barcode displayed on the first authentication kit including the first divided barcode in which the first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stored amo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is scanned (photographed). Reading photographing information of one division bar code, detecting a second division bar code in which seco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which is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ad first division bar code, is stored among previously stored barcodes; Generating a bar code by combining a divided bar code and the second divided bar code, and the first divided bar code and the second divided bar code. It is to check the match of the barcode whether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stored corresponding to the bar code and the previously stored Tory increase generated by combining includes the step of performing authentication with the Tory increa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할 바코드를 이용한 인증 방법의 다른 특징은 인증이 필요한 거래에서 인증을 요청하는 피인증자에 대응하는 인증정보가 저장된 바코드를 발급하고, 상기 발급된 바코드를 이용하여 인증자가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방법에 있어서, (A) 피인증자에 대응하는 인증정보 중 제 1 인증정보가 저장된 제 1 분할바코드를 포함하는 제 1 인증키트에 표시된 제 1 분할바코드를 스캔(촬영)하여 제 1 분할바코드의 촬영정보를 읽어내는 단계와, (B) 상기 촬영된 제 1 분할바코드의 촬영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와, (C) 미리 저장되어 있는 바코드 중 상기 전송된 제 1 분할바코드에 대응되는 인증정보인 제 2 인증정보가 저장된 제 2 분할바코드를 검출하는 단계와, (D) 상기 제 1 분할바코드와 상기 제 2 분할바코드를 결합하여 하나의 바코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E) 상기 제 1 분할바코드와 제 2 분할바코드의 결합으로 생성된 바코드와, 미리 저장된 상기 피인증자에 대응하는 인증정보가 저장된 바코드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피인증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있다.Another feature of the authentication method using a split bar 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issue a bar code stored with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to request authentication in a transaction requiring authentication, and the issued bar code An authentication method in which an authenticator performs authentication by using an authentication method, comprising: (A) scanning a first divided bar code displayed on a first authentication kit including a first divided bar code in which first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stored amo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 Photographing) to read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of the first divided barcode; (B) transmitting photographed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ed first divided barcode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C) transmitting the photographed information among barcodes stored in advance. Detecting a second divided bar code in which seco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which is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vided bar code is stored, and (D) the first divided bar code and the first divided bar code; Combining the two divided barcodes to generate one barcode; (E) a barcode generated by combining the first divided barcode and the second divided barcode, and a barcode stored with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e-stored subject. And checking the match to perform authentication on the subject.

바람직하게 상기 (C) 단계 및 (D) 단계 사이에 상기 전송된 제 1 분할바코드를 정의된 특정 규칙에 따라 제 2 분할바코드와의 공통 영역의 일부를 절단하여 제 3 분할바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검출된 제 2 분할바코드를 상기 정의된 특정 규칙에 따라 제 1 분할바코드와의 공통 영역의 다른 일부를 절단하여 제 4 분할바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between the steps (C) and (D), the first divided barcode is cut according to a defined rule to generate a third divided barcode by cutting a part of the common area with the second divided barcode. And cutting the other part of the common area with the first divided bar code according to the specific rule defined above to generate the fourth divided bar code.

바람직하게 상기 (B) 단계에서 촬영된 제 1 분할바코드를 정의된 특정 규칙에 따라 제 2 분할바코드와의 공통 영역의 일부를 절단하여 제 3 분할바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검출된 제 2 분할바코드를 상기 정의된 특정 규칙에 따라 제 1 분할바코드와의 공통 영역의 다른 일부를 절단하여 제 4 분할바코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rst divided barcode photographed in step (B) is cut according to a specific rule defined to generate a third divided barcode by cutting a part of the common area with the second divided barcode. The fourth divided barcode is generated by cutting another part of the common area with the first divided barcode according to the specific rule defined abov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할 바코드를 이용한 인증 방법의 또 다른 특징은 인증이 필요한 거래에서 인증을 요청하는 피인증자에 대응하는 인증정보가 저장된 바코드를 발급하고, 상기 발급된 바코드를 이용하여 인증자가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방법에 있어서, 피인증자에 대응하는 인증정보 중 제 1 인증정보가 저장된 제 1 분할바코드를 포함하는 제 1 인증키트에 표시된 제 1 분할바코드를 스캔(촬영)하여 제 1 분할바코드의 촬영정보를 읽어내는 단계와, 상기 촬영된 제 1 분할바코드의 촬영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바코드 중 상기 전송된 제 1 분할바코드에 대응되는 인증정보인 제 2 인증정보가 저장된 제 2 분할바코드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된 제 1 분할바코드를 정의된 특정 규칙에 따라 제 2 분할바코드와의 공통 영역의 일부를 절단하여 제 3 분할바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검출된 제 2 분할바코드를 상기 정의된 특정 규칙에 따라 제 1 분할바코드와의 공통 영역의 다른 일부를 절단하여 제 4 분할바코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3 분할바코드와 상기 제 4 분할바코드를 결합하여 하나의 바코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3 분할바코드와 제 4 분할바코드의 결합으로 생성된 바코드와, 미리 저장된 상기 피인증자에 대응하는 인증정보가 저장된 바코드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피인증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feature of the authentication method using a split bar 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issue a bar code stored i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to request authentication in a transaction requiring authentication, the issued bar code An authentication method in which an authenticator performs authentication by using a scan method, comprising: scanning a first divided barcode displayed on a first authentication kit including a first divided barcode in which first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stored amo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photographing) Reading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of the first divided barcode, transmitting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ed first divided barcode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d first divided barcode among barcodes stored in advance; Detecting a second divided bar code in which seco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which is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stored, and defining the transmitted first divided bar code; A part of the common area with the second divided bar code is cu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to generate a third divided bar code, and the detected second divided bar code is different from the common area with the first divided bar code according to the defined specific rule. Cutting a portion to generate a fourth divided barcode, combining the third divided barcode and the fourth divided barcode to generate a barcode, and combining the third divided barcode and the fourth divided barcode. And confirming whether the generated barcode matches the barcode stored in advance with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ored subject, and performing authentication on the subject.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인증정보가 저장된 제 1 분할바코드는 하나의 제 1 바코드를 적어도 3개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적어도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인증정보가 저장된 제 2 분할바코드는 상기 2 영역을 포함하고, 제 1 분할바코드에 포함되지 않은 상기 제 1 바코드 나머지의 제 3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rst divided bar code in which the first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stored is divided into at least three areas of at least three first barcodes, and comprises at least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and a second stored bar in which the seco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stored. The division bar code includes the second area, and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third area of the remainder of the first bar code not included in the first division bar code.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인증정보가 저장된 제 1 분할바코드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인증정보가 저장된 제 2 분할바코드는 상기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분할바코드와 제 2 분할바코드에 공통 영역인 상기 제 2 영역을 중첩(overlap)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 1 분할바코드와 제 2 분할바코드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rst divided bar code storing the first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mprises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and the second divided bar code storing the seco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mprises the second area and the third area. The first divided barcode and the second divided barcode are combined in such a manner as to overlap the second region that is common to the first divided barcode and the second divided barcode.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인증정보가 저장된 제 1 분할바코드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인증정보가 저장된 제 2 분할바코드는 상기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분할바코드의 제 2 영역과 상기 제 2 분할바코드의 제 2 영역이 동일한 절단면을 기준으로 절단되어 상기 제 1 분할바코드와 제 2 분할바코드는 상기 절단면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영역이 제거되며, 상기 절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분할바코드와 제 2 분할바코드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rst divided bar code storing the first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mprises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and the second divided bar code storing the seco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mprises the second area and the third area. The second area of the first divided bar code and the second area of the second divided bar code are cut based on the same cut surface, so that the first divided barcode and the second divided barcode are removed from each other based on the cut surface. The first divided bar code and the second divided bar code are coupled to each other based on the cut surfac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 바코드를 이용한 인증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authentication method using the split bar 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피인증자가 단일 이미지로 구성되는 바코드를 분할한 제 1 분할바코드를 구비하고, 인증부측에 구비된 상기 분할된 제 1 분할바코드와 공통 영역을 갖는 제 2 분할바코드와의 결합을 통해서만 바코드를 판독하여 요청된 인증을 수행할 수 있어 바코드의 불법 복제를 통한 인증을 차단할 수 있어 강화된 보안성을 달성할 수 있다.First, the subject has a first divided bar code obtained by dividing a bar code composed of a single image, and the barcode is formed only by combining with the divided first divided bar code provided on the authentication side and a second divided bar code having a common area. By performing the requested authentication by reading, it is possible to block authentication through illegal copying of the barcode, thereby achieving enhanced security.

둘째, 단일 이미지의 바코드 분할 방법에 있어 사용자별 고유한 영역으로 절단되어 분할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 1 분할바코드의 정의된 고유 분할 패턴을 알 수 없어 바코드의 위변조를 통한 인증을 차단할 수 있다.Second, in the method of dividing the barcode of a single image, it is cut and divided into unique areas for each user, so that the defined unique segmentation pattern of the first segmented barcode cannot be known, thereby preventing authentication through forgery of the barcode.

셋째, 판독장치에서 결합된 단일 이미지의 바코드를 통해 데이터를 판독하여 인증을 수행함에 따라, OTP(One Time Password) 등의 인증에 따른 복잡한 계산식이나 여러 단계의 절차 없이도, 바코드 스캔을 통한 인증 승인 및 개인정보 획득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어 인증 여부를 보다 신속, 정확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Third, the authentication is performed by reading data through a barcode of a single image combined in a reading device, so that the authentication can be approved through a barcode scan without complicated calculations or multi-step procedures according to authentication such as one time password (OTP). Acquisition of personal information can be done at the same time, so authentication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accurately and simply.

[도 1] 본 발명에 따른 분할 바코드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구조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2a, 2b] 도 1의 제 1 분할바코드 및 제 2 분할바코드의 구조를 나타낸 다양한 실시예
[도 3, 도 4] 도 1의 제 1 분할바코드 및 제 2 분할바코드의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 다양한 실시예
[도 5] 도 1의 제 1 분할바코드의 구조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6] 본 발명에 따른 분할 바코드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구조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7a, 7b, 도 8a, 8b] 도 6의 인증 시스템 구조에서 제 3 분할바코드 및 제 4 분할바코드의 구조를 나타낸 다양한 실시예
[도 8] 본 발명에 따른 분할 바코드를 이용한 인증 방법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9] 본 발명에 따른 분할 바코드를 이용한 인증 방법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n authentication system structure using a divided bar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illustrate various embodiments of the structure of the first divided barcode and the second divided barcode of FIG.
3 and 4 illustrate various embodiments of the combined structure of the first divided barcode and the second divided barcode of FIG. 1.
5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the structure of the first divided bar code of FIG.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n authentication system structure using a divided bar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A, 7B, 8A, and 8B are various embodiments illustrating structures of the third divided bar code and the fourth divided bar code in the authentication system structure of FIG.
8 is a flowchart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n authentication method using a split bar 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n authentication method using a split bar 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분할 바코드를 이용한 인증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uthentication method using a split bar 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let you know.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be present.

제 1 1st 실시예Exampl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 바코드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구조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n authentication system structure using a divided bar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같이, 분할 바코드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은 피인증자가 보유하고, 상기 피인증자에 대응하는 인증정보 중 일부에 해당되는 제 1 인증정보가 저장된 제 1 분할바코드를 도시하고 있는 제 1 인증키트(100)와, 상기 제 1 인증키트(100)에 도시된 제 1 분할바코드를 스캔하여 미리 저장된 상기 피인증자에 대응하는 인증정보 중 일부에 해당되는 제 2 인증정보가 저장된 제 2 분할바코드와 결합하고, 상기 제 1 분할바코드와 제 2 분할바코드의 결합에 의하여 생성된 바코드와 상기 피인증자에 대응하는 인증정보가 저장된 바코드의 일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피인증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20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an authentication system using a split bar code includes a first authentication kit showing a first split bar code, which is held by a subject and stored with first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100) and scan the first split bar code shown in the first authentication kit 100, and combine the second split bar code with seco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some of the pre-stored pieces of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e authentication unit 200 performs authentication on the subject by determining whether the barcode generated by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divided barcode and the second divided barcode matches a barcode stored with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It consists of.

이때, 상기 제 1 인증정보가 저장된 제 1 분할바코드는 하나의 바코드를 적어도 3개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적어도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인증정보가 저장된 제 2 분할바코드는 상기 2 영역을 포함하고, 제 1 분할바코드에 포함되지 않은 상기 바코드 나머지의 제 3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설명에서는 설명의 간편성을 위해 사용되는 바코드를 제 1 영역, 제 2 영역, 제 3 영역의 3등분으로 분할한 경우를 실시예로 설명하며, 제 2 영역을 공통의 영역으로 한다. 그러나 이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제 1 분할바코드와 제 2 분할바코드에 분할 영역 중 서로 공통의 영역이 포함되는 경우는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그 적용이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first divided bar code in which the first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stored divides one barcode into at least three areas, and includes at least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and a second divided bar code in which the seco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stored. Includes the second area and consists of a third area of the remainder of the bar code not included in the first divided bar cod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bar code used for the sake of simplicity is divided into three parts of the first area, the second area, and the third area by way of example, and the second area is a common area.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this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and not for the purpose of limitation. Therefore, the case where the first divided bar code and the second divided bar code include common areas among the divided areas is applica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인증부(200)는 상기 제 1 인증키트(100)에 도시된 제 1 분할바코드를 스캔하여 제 1 분할바코드의 촬영정보(이미지, 인증정보 등)를 읽어내는 리더기(210)와, 바코드 형상에 따라 고유의 데이터를 기록하고 있는 바코드 정보 저장부(220)와, 상기 바코드 정보 저장부(220)에 미리 저장된 바코드 중 리더기(210)에서 읽어낸 제 1 분할바코드에 대응하는 제 2 인증정보가 저장된 제 2 분할바코드를 검출하는 제 2 분할바코드 검출부(230)와, 상기 제 1 분할바코드와 상기 제 2 분할바코드를 결합하여 하나의 바코드를 생성하는 결합부(250)와, 상기 결합부(250)에서 제 1 분할바코드와 제 2 분할바코드의 결합으로 생성된 바코드와, 상기 바코드 정보 저장부(200)에 저장된 상기 피인증자에 대응하는 인증정보가 저장된 바코드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비교부(240)로 구성된다.The authentication unit 200 scans the first divided bar code shown in the first authentication kit 100 and reads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image, authentication information, etc.) of the first divided bar code, and a barcode shape. According to the bar cod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recording the unique data, and the seco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vided bar code read by the reader 210 of the bar codes stored in the bar cod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in advance A second divided barcode detection unit 230 for detecting a stored second divided barcode, a combining unit 250 for generating a barcode by combining the first divided barcode and the second divided barcode, and the combining unit 250 A comparison unit 240 for checking whether a barcode generated by combining the first divided barcode and the second divided barcode and the barcode stored with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stored in the barcode information storage unit 200 are matched. ) .

이때, 상기 바코드는 문자, 숫자, 기호 및 흑과 백의 기호를 조합한 코드로서, 2D(dimension) 바코드, 3D(dimension) 바코드를 모두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barcode is a combination of letters, numbers, symbols, and black and white symbols, and includes both 2D (dimension) barcodes and 3D (dimension) barcodes.

상기 제 1 인증정보가 저장된 제 1 분할바코드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제 1 영역(310) 및 제 2 영역(320a)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인증정보가 저장된 제 2 분할바코드는 상기 제 1 분할바코드와 공통의 분할바코드를 도시하는 제 2 영역(320b)과 함께 또 다른 제 3 영역(33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 2 영역은 도 2a와 같이 제 1 분할바코드의 제 2 영역(320a) 및 제 2 분할바코드의 제 2 영역(320b)이 서로 중복되어 동일한 코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도 2b와 같이 제 1 분할바코드의 제 2 영역(320a)과 제 2 분할바코드의 제 2 영역(320b)이 서로 대응되는 패턴의 절단면을 기준으로 절단되어 상기 제 1 분할바코드의 제 2 영역(320a)과 제 2 분할바코드의 제 2 영역(320b)은 상기 절단면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영역이 제거된 서로 다른 코드로 이루어진다.The first divided bar code in which the first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stored is composed of a first area 310 and a second area 320 a as shown in FIGS. 2A and 2B, and the second divided bar code in which the seco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stored is the first divided bar code. It consists of another 3rd area | region 330 with the 2nd area | region 320b which shows a division | segmentation barcode common to one division | segmentation barcode. At this time, the second area is formed of the same code by overlapping the second area 320a of the first divided bar code and the second area 320b of the second divided bar code as shown in FIG. 2A, or as shown in FIG. 2B. The second area 320a of the divided bar code and the second area 320b of the second divided bar code are cut based on the cut surface of the patter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that the second area 320a and the second divided bar code of the first divided bar code are divided. The second region 320b may be formed of different codes in which regions opposite to each other are removed based on the cut surface.

그리고 상기 인증부(300)가 상기 피인증자로부터 인증 요청을 받은 경우에 상기 인증부(300)는 상기 제 1 분할바코드와 제 2 분할바코드에 공통 영역인 상기 제 2 영역(320a)(320b)을 서로 결합하는 방식으로 생성된 완전한 바코드를 통해 상기 피인증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When the authenticator 300 receives an authentication request from the subject, the authenticator 300 may access the second regions 320a and 320b which are common to the first divided barcode and the second divided barcode. Authentication of the subject is performed through complete barcodes generated in a manner that is coupled to each other.

이때, 상기 인증부(300)에서의 제 2 영역(320) 결합은 도 2a의 구조로 이루어진 제 1 분할바코드 및 제 2 분할바코드의 경우에는 도 3과 같이, 상기 제 1 분할바코드의 제 2 영역(320a)과, 상기 제 2 분할바코드의 제 2 영역(320b)이 서로 중첩(overlap)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 1 분할바코드와 제 2 분할바코드를 서로 결합하고, 도 2b의 구조로 이루어진 제 1 분할바코드 및 제 2 분할바코드의 경우에는 도 4와 같이, 서로 대응되도록 절단된 제 1 분할바코드의 제 2 영역(320a)과 제 2 분할바코드의 제 2 영역(320b)이 서로 맞물리는 방식으로 상기 제 1 분할바코드와 제 2 분할바코드를 서로 결합한다.In this case, in the case of the first divided barcode and the second divided barcode having the structure of FIG. 2A, the second region 320 may be combined in the authentication unit 300, as shown in FIG. 3. The first division bar code and the second division bar code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in a manner in which 320a and the second region 320b of the second division bar code overlap each other, and have a structure of FIG. 2B. In the case of the barcode and the second divided barcode, as shown in FIG. 4, the second region 320a of the first divided barcode and the second region 320b of the second divided barcode are cut to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first divided barcode and the second divided barcode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이러한 결합 방식으로 통해 제 1 분할바코드 및 제 2 분할바코드의 공통 영역인 제 2 영역(320a)(320b)이 중첩 또는 서로 맞물리는 방식으로 생성되고, 이어 제 1 분할바코드의 제 1 영역(310)과 제 2 분할바코드의 제 3 영역(330)이 함께 합쳐져서 도 3 및 도 4와 같이 완전한 하나의 바코드의 형상이 만들어지게 된다.In this manner, the second regions 320a and 320b which are the common regions of the first divided barcode and the second divided barcode are generated in such a manner as to overlap or interlock with each other, and then the first region 310 of the first divided barcode is generated. And the third region 330 of the second divided barcode are combined together to form a complete barcode as shown in FIGS. 3 and 4.

그리고 상기 제 1 분할바코드 및 제 2 분할바코드는 인증자 또는 사회서비스 관리원 등의 제 3자가 사전에 발급한 것으로, 상기 제 1 인증키트(100)는 상기 제 1 분할바코드가 인쇄된 플라스틱 카드 타입 또는 종이 카드 타입으로 구성된다.The first divided barcode and the second divided barcode are issued in advance by a third party such as an authenticator or a social service manager, and the first authentication kit 100 includes a plastic card type on which the first divided barcode is printed or It consists of a paper card type.

한편, 상기 제 1 인증키트에 형성되는 제 1 분할바코드는 도 5와 같이, 제 1 영역(310) 및 제 2 영역(320) 이외에 삭제된 나머지 바코드(제 2 분할바코드의 제 3 영역(330)에 해당되는 바코드)의 크기를 갖는 제 1 더미 영역(340)을 포함하여 상기 피인증자가 사전에 발급받은 바코드의 전체 크기 및 형상과 동일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피인증자가 사전에 발급받은 바코드의 전체 크기와 동일한 형태 및 크기로 구성되어 제 1 인증키트에 형성되는 부분적인 바코드에 따른 어색함을 없애는 효과를 줄 수도 있다. 이때 바코드의 크기가 동일하다고 함은 동일한 비율을 말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크기만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divided bar code formed in the first authentication kit, as shown in Figure 5, the remaining bar code deleted in addition to the first area 310 and the second area 320 (third area 330 of the second divided bar code) And a first dummy area 340 having a size of a bar code), and may be configured in the same form as the overall size and shape of the bar code previously issued by the subject. This may have the effect of eliminating awkwardness due to the partial barcode formed in the first authentication kit by being configured in the same shape and size as the entire size of the barcode previously issued by the subject. In this case, the same size of the bar code means the same ratio, and not the general size.

이처럼 상기 제 1 분할바코드의 형상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As such, the shape of the first divided barcode may be various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분할 바코드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부재를 지칭한다. The operation of the authentication system using the divided bar 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FIGS. 1 to 5 refer to the same members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 바코드를 이용한 인증 방법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n authentication method using a divided bar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피인증자에 대응하는 인증정보 중 일부 정보인 제 1 인증정보가 저장된 제 1 분할바코드를 포함하는 제 1 인증키트(100)에 표시된 제 1 분할바코드를 인증부(200)의 리더기(210)를 통해 스캔(촬영)하여 제 1 분할바코드의 촬영정보(이미지, 인증정보 등)를 읽어낸다(S10). 이때 상기 제 1 분할바코드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제 1 영역(310) 및 제 2 영역(320a)으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9, first, a first division bar code displayed on a first authentication kit 100 including a first division bar code in which first authentication information, which is some information amo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ubject, is stored, is determined by an authentication unit ( Scanning (shooting) through the reader 210 of the 200 to read the shooting information (image, authentication information, etc.) of the first divided bar code (S10). In this case, the first divided bar code includes a first region 310 and a second region 320a as shown in FIGS. 2A and 2B.

그리고 바코드 정보 저장부(22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바코드 중 상기 리더기(210)에서 읽어낸 제 1 분할바코드에 대응되는 인증정보 중 일부 정보인 제 2 인증정보가 저장된 제 2 분할바코드를 검출한다(S20). 이때 검출되는 제 2 분할바코드는 상기 제 1 분할바코드와 공통의 분할바코드를 도시하는 제 2 영역(320b)과 함께 또 다른 제 3 영역(330)으로 이루어진다.Then, the second segmented bar code in which the seco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which is part of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gmented bar code read by the reader 210, is stored among the barcodes previously stored in the barcod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 S20). In this case, the detected second divided barcode consists of another third region 330 together with a second region 320b showing the divided barcode common to the first divided barcode.

이어 결합부(250)에 의해 상기 제 1 분할바코드와 상기 제 2 분할바코드를 결합하여 하나의 바코드를 생성한다(S30). 이때 상기 제 1 분할바코드와 상기 제 2 분할바코드를 결합 방법은 위에서 도 3, 4의 설명하는 것과 같이, 제 1 분할바코드 및 제 2 분할바코드의 공통 영역인 제 2 영역(320a)(320b)이 중첩 또는 서로 맞물리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생성된 제 2 영역(320a)(320b)은 제 1 분할바코드의 제 1 영역(310)과 제 2 분할바코드의 제 3 영역(330)과 함께 합쳐져서 도 3 및 도 4와 같이 완전한 하나의 바코드의 형상을 생성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combining unit 250 combines the first divided barcode and the second divided barcode to generate one barcode (S30). In this case, the method of combining the first divided barcode and the second divided barcode includes the second regions 320a and 320b which are common regions of the first divided barcode and the second divided barcod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Combined in a way that overlaps or meshes with each other. The second regions 320a and 320b thus generated are combined together with the first region 310 of the first divided barcode and the third region 330 of the second divided barcode to form a complete one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shape of the barcode can be generated.

그리고 비교부(240)는 상기 결합부(250)에서 제 1 분할바코드와 제 2 분할바코드의 결합으로 생성된 바코드와, 상기 바코드 정보 저장부(200)에 미리 저장된 상기 피인증자에 대응하는 인증정보가 저장된 바코드의 일치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피인증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게 된다(S40).
In addition, the comparison unit 240 is a barcode generated by combining the first and second divided barcodes in the combiner 250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stored in advance in the barcode information storage unit 200. Verify that the stored bar codes match the authentication of the subject (S40).

제 2 Second 실시예Example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 바코드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구조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6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n authentication system structure using a divided bar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과 같이, 분할 바코드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은 피인증자가 보유하고, 상기 피인증자에 대응하는 인증정보 중 일부에 해당되는 제 1 인증정보가 저장된 제 1 분할바코드를 도시하고 있는 제 1 인증키트(100)와, 상기 제 1 인증키트의 제 1 분할바코드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410) 및 상기 촬영부(410)가 촬영한 제 1 분할바코드의 촬영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전송부(420)를 포함하는 리더 단말기(40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제 1 분할바코드를 미리 저장된 상기 피인증자에 대응하는 인증정보 중 일부에 해당되는 제 2 인증정보가 저장된 제 2 분할바코드와 결합하고, 상기 제 1 분할바코드와 제 2 분할바코드의 결합에 의하여 생성된 바코드와 상기 피인증자에 대응하는 인증정보가 저장된 바코드의 일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피인증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50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6, an authentication system using a split bar code includes a first authentication kit showing a first split bar code which is held by a subject and stored with first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100), a photographing unit 410 for photographing the first divided bar code of the first authentication kit, and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photographing information of the first divided bar cod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410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second split bar code in which the reader terminal 400 including the 420 and second split bar information stored in the first split bar code received through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rresponding to some of the pieces of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are stored in advanc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barcode generated by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divided barcode and the second divided barcode matches the barcode stored i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It consists of the authentication unit 500 performing authentication for the Tory increase.

이때, 상기 유무선 통신망은 인터넷 망, 이동 통신망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바코드는 문자, 숫자, 기호 및 흑과 백의 기호를 조합한 코드로서, 2D(dimension) 바코드, 3D(dimension) 바코드를 모두 포함하며, 상기 제 1 분할바코드 및 제 2 분할바코드는 이러한 바코드를 도 2a와 같이 제 1 영역(310)/제 2 영역(320a) 및 제 2 영역(320b)/제 3 영역(330)으로 각각 분할한 바코드를 말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분할바코드의 제 2 영역(320a)과 제 2 분할바코드의 제 2 영역(320b)은 공통의 바코드 형상이 중복되는 영역이다.In this case,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an internet network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barcode is a combination of letters, numbers, symbols, and black and white symbols, and includes both 2D (dimension) barcodes and 3D (dimension) barcodes, and the first and second division barcodes refer to these barcodes. As shown in FIG. 2A, the barcode is divided into a first region 310 / a second region 320a and a second region 320b / a third region 330. The second region 320a of the first divided barcode and the second region 320b of the second divided barcode are regions in which common barcode shapes overlap.

상기 제 1 인증키트(100)는 상기 제 1 분할바코드가 인쇄된 플라스틱 카드 타입 또는 종이 카드 타입으로 구성되며, 이때 상기 제 1 분할바코드 및 제 2 분할바코드는 인증자 또는 사회서비스 관리원 등의 제 3자가 사전에 발급된다. 또한 상기 제 1 인증키트(100)는 도 5와 같이, 제 1 영역(310) 및 제 2 영역(320) 이외에 삭제된 나머지 바코드(제 2 분할바코드의 제 3 영역(330)에 해당되는 바코드)의 크기를 갖는 제 1 더미 영역(340)을 포함하여 상기 피인증자가 사전에 발급받은 바코드의 전체 크기 및 형상과 동일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authentication kit 100 is composed of a plastic card type or a paper card type on which the first divided barcode is printed, wherein the first divided barcode and the second divided barcode are a third party such as an authenticator or a social service manager. Self-issued in advanc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first authentication kit 100 has the remaining bar codes deleted in addition to the first area 310 and the second area 320 (bar codes corresponding to the third area 330 of the second divided bar code). Including the first dummy area 340 having a size of may be configured in the same form as the overall size and shape of the barcode previously issued by the subject.

상기 인증부(500)는 상기 리더 단말기(400)의 전송부(420)로부터 상기 제 1 분할바코드의 촬영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510)와, 바코드의 형상 및 바코드 형상에 따른 데이터를 기록하고 있는 바코드 정보 저장부(520)와, 상기 수신부(510)를 통해 수신된 제 1 분할바코드를 특정 규칙에 따라 절단하여 제 3 분할바코드를 생성하는 바코드 분할부(530)와, 상기 바코드 정보 저장부(520)에 미리 저장된 바코드 중 수신부(510)에서 수신된 제 1 분할바코드에 대응하는 제 2 인증정보가 저장된 제 2 분할바코드를 검색하고, 검색된 제 2 분할바코드를 제 3 분할바코드에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패턴으로 절단된 제 4 분할바코드를 생성하는 제 2 분할바코드 생성부(540)와, 상기 바코드 분할부(530)를 통해 특정 규칙에 따라 절단된 제 3 분할바코드와 상기 제 2 분할바코드 생성부(540)에서 생성된 제 4 분할바코드를 결합하여 하나의 바코드를 생성하는 결합부(560)와, 상기 결합부(560)에서 제 1 분할바코드와 제 2 분할바코드의 결합으로 생성된 바코드와, 상기 바코드 정보 저장부(520)에 저장된 상기 피인증자에 대응하는 인증정보가 저장된 바코드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비교부(560)로 구성된다.The authenticator 500 records a receiver 510 for receiving photographing information of the first divided barcode from the transmitter 420 of the reader terminal 400, and records data according to a barcode shape and a barcode shape. A bar code information storage unit 520, a bar code divider 530 which generates a third split bar code by cutting the first split bar code received through the receiver 510 according to a specific rule, and the bar code information storage unit Searching for the second divided barcode in which the seco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vided barcode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510 is stored among the barcodes stored at 520, and the searched second divided barcode corresponds to the third divided barcode. A second divided barcode generation unit 540 for generating a fourth divided barcode cut into a pattern having a shape; and a third divided barcode and the second divided barcode generated according to a specific rule through the barcode divider 530. A combining unit 560 for generating a single barcode by combining the fourth divided barcode generated by the unit 540, a barcode generated by combining the first divided barcode and the second divided barcode in the combining unit 560; And a comparator 560 for checking whether the barcode corresponding to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barcode information storage unit 520 matches the stored barcode.

이때, 상기 바코드 분할부(530)에서 바코드를 절단하는 특정 규칙은 도 7a 및 도 8a와 같이 사전에 설정된 고정된 규칙, 즉 피인증자에 따라, 특정 기계에 종속되어 일정한 패턴(A~A')(B~B')으로 절단되거나, 또는 피인증자가 인증을 요청한 특정 시간에 종속되는 규칙인 OTP(One Time Password)에 따라 정의된 시간에 따른 변경 패턴(A~A')(B~B')으로 절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pecific rule for cutting the barcode in the barcode dividing unit 530 is a predetermined pattern (A ~ A ') dependent on a specific machine according to a fixed rule set in advance, that is, the subject as shown in FIGS. 7A and 8A. Change pattern over time (A ~ A ') (B ~ B'), truncated to (B ~ B '), or defined according to the One Time Password (OTP) rule, which is a rule that depends on the specific time the subject requested authentication. Can be cut).

그리고 상기 바코드 분할부(530)는 도 6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인증부(500) 내에 위치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상기 바코드 분할부(530)를 리더 단말기(400)내에 위치시켜 제 1 인증키트(100)의 제 2 영역(320a)에 생성된 바코드를 특정 규칙에 따라 절단하여 제 3 분할바코드를 생성한 후, 전송부(420)를 통해 인증부(500)로 전송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면 인증부(500)는 상기 리더 단말기(400)의 전송부(420)로부터 상기 제 3 분할바코드의 수신하여 수신된 제 3 분할바코드에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패턴으로 절단된 도 7b, 도 8b와 같은 제 4 분할바코드를 생성하여 결합하고, 이렇게 결합된 바코드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And the barcode division unit 530 is located in the authentication unit 500, as shown in Figure 6, but this is only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barcode division unit 530 is located in the reader terminal 400 After cutting the barcode generated in the second area 320a of the first authentication kit 100 according to a specific rule to generate a third divided bar code, it is configured to be transmitted to the authentication unit 500 through the transmission unit 420. You may. Then, the authentication unit 500 is cut out in a pattern of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received from the third divided bar code received from the transmitting unit 420 of the reader terminal 400 and 7b, 8b and The same fourth division bar code is generated and combined, and the combined bar codes are confirmed to match.

아울러, 상기 결합부(560)에서의 제 3 분할바코드와 제 4 분할바코드의 결합 방식은 위의 제 1 실시예의 도 3, 4의 설명을 통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으므로,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이루어지므로 이에 따른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since the combination method of the third and fourth divided barcodes in the combiner 560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of the first embodiment, the same method is used. Description is omitted.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분할 바코드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내지 도 8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부재를 지칭한다. The operation of the authentication system using the divided bar 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6-8,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members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 바코드를 이용한 인증 방법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an authentication method using a divided bar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피인증자에 대응하는 인증정보 중 일부 정보인 제 1 인증정보가 저장된 제 1 분할바코드를 포함하는 제 1 인증키트(100)에 표시된 제 1 분할바코드를 리더 단말기(400)에 포함된 카메라 등의 촬영부(410)를 통해 촬영하여 제 1 분할바코드의 이미지를 획득한다(S100). 이때 상기 제 1 분할바코드는 도 2a와 같이 제 1 영역(310) 및 제 2 영역(320a)으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10, first, a first split bar code displayed on a first authentication kit 100 including a first split bar code in which first authentication information, which is some information amo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ubject is stored, is stored in a reader terminal ( An image of the first divided barcode is obtained by photographing through a photographing unit 410 such as a camera included in 400 (S100). In this case, the first divided bar code includes a first region 310 and a second region 320a as shown in FIG. 2A.

그리고 리더 단말기(400)에 포함된 전송부(420)를 통해 상기 촬영된 제 1 분할바코드의 촬영 정보(이미지, 인증정보 등)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한다(S200). 이때 사용되는 유무선 통신망으로는 인터넷 망, 이동 통신망을 포함한다.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image, authentication information, etc.) of the first divided bar code is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ssion unit 420 included in the reader terminal 400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200).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ed at this time includes an internet network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이어 인증부(500)는 상기 전송부(420)로부터 수신되는 제 1 분할바코드의 촬영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후, 바코드 정보 저장부(22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바코드 중 상기 수신된 제 1 분할바코드의 촬영 정보에 대응되는 인증정보 중 일부 정보인 제 2 인증정보가 저장된 제 2 분할바코드를 검출한다(S300). 이때 검출되는 제 2 분할바코드는 상기 제 1 분할바코드와 공통의 분할바코드를 도시하는 제 2 영역(320b)과 함께 또 다른 제 3 영역(330)으로 이루어진다.Subsequently, the authentication unit 500 receives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of the first divided bar code received from the transmission unit 420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n, among the barcodes previously stored in the barcod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The second segmentation bar code in which the seco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which is part of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of the first segmentation bar code, is stored is detected (S300). In this case, the detected second divided barcode consists of another third region 330 together with a second region 320b showing the divided barcode common to the first divided barcode.

한편, 바코드 분할부(530)는 도 7a 또는 도 8a와 같이 상기 전송부(420)로부터 수신되는 제 1 분할바코드를 정의된 특정 규칙에 따라 공통 영역인 제 2 영역(340)을 일부 절단하여 제 3 분할바코드를 생성하고(S400), 이어 동일한 특정 규칙을 적용하여 도 7b 또는 도 8b 와 같이 상기 바코드 정보 저장부(220)에서 검출된 제 2 분할바코드의 제 2 영역(350)을 다른 일부 절단하여 제 4 분할바코드를 생성한다(S500). 이에 따라, 상기 제 3 분할바코드는 제 1 분할바코드에 있었던 제 1 영역(310)과, 제 1 분할바코드에 있었던 제 2 영역이 특정 규칙에 따라 절단된 제 2 영역(34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4 분할바코드는 제 2 분할바코드에 있었던 제 3 영역(330)과, 제 2 분할바코드에 있었던 제 2 영역이 특정 규칙에 따라 상기 제 1 분할바코드에서 절단된 제 2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제 2 영역(350)으로 구성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7A or FIG. 8A, the barcode dividing unit 530 partially cuts the second region 340, which is a common region, according to a specific rule that defines the first divided barcode received from the transmitting unit 420. 3 divided barcodes are generated (S400), and then the same specific rule is applied to cut the other part of the second region 350 of the second divided barcode detected by the barcod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as shown in FIG. 7B or 8B. By generating a fourth divided bar code (S500). Accordingly, the third divided barcode includes a first region 310 in the first divided barcode and a second region 340 in which the second region in the first divided barcode is cut according to a specific rule. The fourth divided barcode includes the third region 330 in the second divided barcode and the second region except the second region in which the second region in the second divided barcode is cut off from the first divided barcode according to a specific rule. It consists of two regions 350.

그리고 결합부(560)에 의해 상기 제 3 분할바코드와 상기 제 4 분할바코드를 결합하여 하나의 바코드를 생성한다(S600). 이때 상기 제 3 분할바코드와 상기 제 4 분할바코드를 결합 방법은 위에서 도 3, 4의 설명하는 것과 같이, 제 3 분할바코드 및 제 4 분할바코드의 공통 영역인 제 2 영역(340)(350)이 중첩 또는 서로 맞물리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생성된 제 2 영역(340)(350)은 제 3 분할바코드의 제 1 영역(310)과 제 4 분할바코드의 제 3 영역(330)과 함께 합쳐져서 도 3 및 도 4와 같이 완전한 하나의 바코드의 형상을 생성할 수 있다.The combiner 560 combines the third divided barcode and the fourth divided barcode to generate one barcode (S600). In this case, the method of combining the third divided barcode and the fourth divided barcode includes the second regions 340 and 350, which are common regions of the third divided barcode and the fourth divided barcod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Combined in a way that overlaps or meshes with each other. The second regions 340 and 350 thus generated are combined together with the first region 310 of the third divided barcode and the third region 330 of the fourth divided barcode to form a complete one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shape of the barcode can be generated.

이렇게 상기 결합부(560)를 통해 제 3 분할바코드와 제 4 분할바코드의 결합으로 생성된 바코드와, 상기 바코드 정보 저장부(520)에 미리 저장된 상기 피인증자에 대응하는 인증정보가 저장된 바코드의 일치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피인증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게 된다(S700).The barcode generated by combining the third and fourth divided barcodes through the coupling unit 560 matches the barcode stored in the barcode information storage unit 520 with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stored in advance. By checking whether or not to perform authentication for the subject (S700).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in a preferred embodimen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not of limitation.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3)

인증이 필요한 거래에서 인증을 요청하는 피인증자에 대응하는 인증정보가 저장된 바코드를 발급하고, 상기 발급된 바코드를 이용하여 인증자가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방법에 있어서,
피인증자에 대응하는 인증정보 중 제 1 인증정보가 저장된 제 1 분할바코드를 포함하는 제 1 인증키트에 표시된 제 1 분할바코드를 스캔(촬영)하여 제 1 분할바코드의 촬영정보를 읽어내는 단계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바코드 중 상기 읽어낸 제 1 분할바코드에 대응되는 인증정보인 제 2 인증정보가 저장된 제 2 분할바코드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분할바코드와 상기 제 2 분할바코드를 결합하여 하나의 바코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분할바코드와 제 2 분할바코드의 결합으로 생성된 바코드와, 미리 저장된 상기 피인증자에 대응하는 인증정보가 저장된 바코드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피인증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바코드를 이용한 인증 방법.
In the authentication method for issuing a bar code stored i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to request authentication in a transaction requiring authentication, the authenticator performs the authentication using the issued bar code,
Scanning (shooting) the first divided barcode displayed on the first authentication kit including the first divided barcode in which the first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stored amo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and reading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of the first divided barcode;
Detecting a second divided bar code having stored therein seco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ad first divided bar code among barcodes stored in advance;
Generating a barcode by combining the first divided barcode and the second divided barcode;
And verifying whether the barcode generated by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divided barcode and the second divided barcode and the barcode stored with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ored subject in advance are authenticated to the subject. Authentication method using a split bar code, characterized in that.
인증이 필요한 거래에서 인증을 요청하는 피인증자에 대응하는 인증정보가 저장된 바코드를 발급하고, 상기 발급된 바코드를 이용하여 인증자가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방법에 있어서,
(A) 피인증자에 대응하는 인증정보 중 제 1 인증정보가 저장된 제 1 분할바코드를 포함하는 제 1 인증키트에 표시된 제 1 분할바코드를 스캔(촬영)하여 제 1 분할바코드의 촬영정보를 읽어내는 단계와,
(B) 상기 촬영된 제 1 분할바코드의 촬영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와,
(C) 미리 저장되어 있는 바코드 중 상기 전송된 제 1 분할바코드에 대응되는 인증정보인 제 2 인증정보가 저장된 제 2 분할바코드를 검출하는 단계와,
(D) 상기 제 1 분할바코드와 상기 제 2 분할바코드를 결합하여 하나의 바코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E) 상기 제 1 분할바코드와 제 2 분할바코드의 결합으로 생성된 바코드와, 미리 저장된 상기 피인증자에 대응하는 인증정보가 저장된 바코드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피인증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바코드를 이용한 인증 방법.
In the authentication method for issuing a bar code stored i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to request authentication in a transaction requiring authentication, the authenticator performs the authentication using the issued bar code,
(A) Scanning (shooting) the first divided barcode displayed on the first authentication kit including the first divided barcode in which the first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stored amo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and reading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of the first divided barcode. Steps,
(B) transmitting photographing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ed first divided barcodes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 detecting a second divided bar code in which seco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which is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d first divided bar code, is stored among barcodes stored in advance;
(D) generating a barcode by combining the first divided barcode and the second divided barcode;
(E) performing authentication on the subject by checking whether a barcode generated by combining the first divided barcode and the second divided barcode matches a barcode stored with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ored subject in advance Authentication method using a split bar cod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및 (D) 단계 사이에
상기 전송된 제 1 분할바코드를 정의된 특정 규칙에 따라 제 2 분할바코드와의 공통 영역의 일부를 절단하여 제 3 분할바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검출된 제 2 분할바코드를 상기 정의된 특정 규칙에 따라 제 1 분할바코드와의 공통 영역의 다른 일부를 절단하여 제 4 분할바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바코드를 이용한 인증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tep (C) and (D)
The third divided barcode is generated by cutting a portion of the common area with the second divided barcode according to the defined specific rule, and generating the third divided barcode according to the defined specific rule. And cutting the other part of the common area with the first divided bar code to generate a fourth divided bar cod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촬영된 제 1 분할바코드를 정의된 특정 규칙에 따라 제 2 분할바코드와의 공통 영역의 일부를 절단하여 제 3 분할바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검출된 제 2 분할바코드를 상기 정의된 특정 규칙에 따라 제 1 분할바코드와의 공통 영역의 다른 일부를 절단하여 제 4 분할바코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바코드를 이용한 인증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Generating a third divided barcode by cutting a part of the common area with the second divided barcode according to a specific rule defined in the first divided barcode photographed in step (B),
In step (C), the second divided barcode is generated by cutting another part of the common area with the first divided barcode according to the defined specific rule to generate a fourth divided barcode. Authentication method.
인증이 필요한 거래에서 인증을 요청하는 피인증자에 대응하는 인증정보가 저장된 바코드를 발급하고, 상기 발급된 바코드를 이용하여 인증자가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방법에 있어서,
피인증자에 대응하는 인증정보 중 제 1 인증정보가 저장된 제 1 분할바코드를 포함하는 제 1 인증키트에 표시된 제 1 분할바코드를 스캔(촬영)하여 제 1 분할바코드의 촬영정보를 읽어내는 단계와,
상기 촬영된 제 1 분할바코드의 촬영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바코드 중 상기 전송된 제 1 분할바코드에 대응되는 인증정보인 제 2 인증정보가 저장된 제 2 분할바코드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된 제 1 분할바코드를 정의된 특정 규칙에 따라 제 2 분할바코드와의 공통 영역의 일부를 절단하여 제 3 분할바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검출된 제 2 분할바코드를 상기 정의된 특정 규칙에 따라 제 1 분할바코드와의 공통 영역의 다른 일부를 절단하여 제 4 분할바코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3 분할바코드와 상기 제 4 분할바코드를 결합하여 하나의 바코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3 분할바코드와 제 4 분할바코드의 결합으로 생성된 바코드와, 미리 저장된 상기 피인증자에 대응하는 인증정보가 저장된 바코드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피인증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바코드를 이용한 인증 방법.
In the authentication method for issuing a bar code stored i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to request authentication in a transaction requiring authentication, the authenticator performs the authentication using the issued bar code,
Scanning (shooting) the first divided barcode displayed on the first authentication kit including the first divided barcode in which the first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stored amo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and reading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of the first divided barcode;
Transmitting photographing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ed first divided barcodes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etecting a second divided bar code having stored therein seco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d first divided bar code among barcodes stored in advance;
The third divided barcode is generated by cutting a portion of the common area with the second divided barcode according to the defined specific rule, and generating the third divided barcode according to the defined specific rule. Generating a fourth divided barcode by cutting another portion of the common area with the first divided barcode;
Combining the third divided barcode and the fourth divided barcode to generate a barcode;
Performing authentication on the subject by checking whether a barcode generated by combining the third divided barcode and the fourth divided barcode and a barcode stored with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stored in advance are matched with each other; Authentication method using a split bar code, characterized in that.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정의된 특정 규칙은 상기 피인증자 또는 인증 장치에 따라 사전에 설정한 고정된 절단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바코드를 이용한 인증 방법.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5,
The specific rule defined is an authentication method using a split bar code, characterized in that a fixed cutting position set in advance according to the subject or the authentication device.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의된 규칙은 피인증자가 인증을 요청한 특정 시간에 종속되는 규칙(One Time Password : OTP)에 따라 변경되는 절단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바코드를 이용한 인증 방법.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5,
The predefined rule is an authentication method using a split bar code, characterized in that the cut position is changed according to a rule (One Time Password: OTP) that depends on a specific time that the subject has requested authentication.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분할바코드와 상기 제 4 분할바코드를 결합하여, 상기 제 3 분할바코드와 제 4 분할바코드의 결합에 의하여 생성된 바코드와 상기 피인증자에 대응하는 인증정보가 저장된 바코드의 일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피인증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바코드를 이용한 인증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By combining the third divided bar code and the fourth divided bar cod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barcode generated by combining the third divided bar code and the fourth divided bar code matches a barcode stored with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Authentication method using a split bar code, characterized in that for performing the authentication for the subject.
제 1 항, 제 2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는 2D(dimension) 바코드, 3D(dimension) 바코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바코드를 이용한 인증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and 5,
The barcode is at least one of a 2D (dimension) bar code, a 3D (dimension) bar code authentication method using a split bar code.
제 1 항, 제 2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할바코드 및 제 2 분할바코드는 인증자 또는 제 3자가 사전에 발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바코드를 이용한 인증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and 5,
The first divided bar code and the second divided bar code authentication method using a divided bar code, characterized in that previously issued by the authenticator or a third party.
제 1 항, 제 2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증정보가 저장된 제 1 분할바코드는 하나의 제 1 바코드를 적어도 3개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적어도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인증정보가 저장된 제 2 분할바코드는 상기 2 영역을 포함하고, 제 1 분할바코드에 포함되지 않은 상기 제 1 바코드 나머지의 제 3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바코드를 이용한 인증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and 5,
The first divided bar code in which the first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stored is divided into at least three or more regions, and includes at least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The second divided bar code in which the seco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stored includes the second area and comprises a third area of the remainder of the first bar code not included in the first divided bar code.
제 1 항, 제 2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증정보가 저장된 제 1 분할바코드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인증정보가 저장된 제 2 분할바코드는 상기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분할바코드와 제 2 분할바코드에 공통 영역인 상기 제 2 영역을 중첩(overlap)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 1 분할바코드와 제 2 분할바코드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바코드를 이용한 인증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and 5,
The first divided bar code in which the first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stored consists of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and the second divided bar code in which the seco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stored consists of the second area and the third area,
And combining the first divided bar code and the second divided bar code in such a manner as to overlap the second area that is common to the first divided bar code and the second divided bar code. 2.
제 1 항, 제 2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증정보가 저장된 제 1 분할바코드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인증정보가 저장된 제 2 분할바코드는 상기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분할바코드의 제 2 영역과 상기 제 2 분할바코드의 제 2 영역이 동일한 절단면을 기준으로 절단되어 상기 제 1 분할바코드와 제 2 분할바코드는 상기 절단면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영역이 제거되며, 상기 절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분할바코드와 제 2 분할바코드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바코드를 이용한 인증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and 5,
The first divided bar code in which the first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stored consists of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and the second divided bar code in which the seco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stored consists of the second area and the third area,
The second area of the first divided bar code and the second area of the second divided bar code are cut based on the same cut surface, so that the first divided bar code and the second divided barcode are removed from each other based on the cut surface. An authentication method using a divided bar cod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mbining the first divided bar code and the second divided bar code on the basis of the cut surface.
KR1020110033903A 2011-04-12 2011-04-12 Authentication method using divided bar-code KR2012011626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903A KR20120116265A (en) 2011-04-12 2011-04-12 Authentication method using divided bar-c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903A KR20120116265A (en) 2011-04-12 2011-04-12 Authentication method using divided bar-co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265A true KR20120116265A (en) 2012-10-22

Family

ID=47284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3903A KR20120116265A (en) 2011-04-12 2011-04-12 Authentication method using divided bar-co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6265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50525A4 (en) * 2020-05-11 2024-04-24 Flexa Inc Multi-part code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50525A4 (en) * 2020-05-11 2024-04-24 Flexa Inc Multi-part code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6865B2 (en) Document authentication based on expected wear
JP6505732B2 (en) Two-dimensional barcode and authentication method of such barcode
Singhal et al. Degree certificate authentication using QR code and smartphone
US7508954B2 (en) System and method of generic symbol recognition and user authentication using a communication device with imaging capabilities
US91713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sis and authentication of covert security information using a smart device
US8540149B1 (en) Active barcode authentication system and authentication method thereof
EP2293222A1 (en) Methods, systems, and subcombinations useful with physical articles
EP2898451B1 (en) Information obtaining method and apparatus
CN104951943A (en) Anti-counterfeiting method based on random plain and secret code association examination
KR20040085137A (en) System and method for validating a digital image and corresponding data
JP2010050906A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outputting information for falsification detection
TWI402769B (en) Variable imprint seal system, seal verification system, seal verification method and seal verification program
JP2006313534A (en)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uncorrectable self-identification article and checking its authenticity
JP701338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users using graphical barcodes and payment card authentication read data
EP2674901A1 (en) Active barcode authentication system and authentication method thereof
KR20120116261A (en) Authentication system using divided bar-code
KR20200142834A (en) A forgery judging application system and its reading method for a randomized encryption printed image
KR20120116265A (en) Authentication method using divided bar-code
US20130090059A1 (en) Identity verification
KR20130006745A (en) Authentication terminal using divided bar-cod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therefor
KR20070109130A (en) Id card and system for certification of id card and method thereof
KR100409270B1 (en) An authentication service method using code image physically represented and apparatus thereof
KR20120116268A (en) Authentication kit process printed divided bar-code
KR102121190B1 (en) Authentication method and authentication terminal using optical reading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US20240135130A1 (en) Dynamic machine readable c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