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6258A - 긴급 구조용 호흡기 - Google Patents
긴급 구조용 호흡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16258A KR20120116258A KR1020110033890A KR20110033890A KR20120116258A KR 20120116258 A KR20120116258 A KR 20120116258A KR 1020110033890 A KR1020110033890 A KR 1020110033890A KR 20110033890 A KR20110033890 A KR 20110033890A KR 20120116258 A KR20120116258 A KR 2012011625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ler
- storage case
- filling
- emergency rescue
- respira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02—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 A62B7/04—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and lung-controlled oxygen or air valve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9/00—Cartridges with absorbing substances for respiratory apparatus
- A62B19/02—Cartridges with absorbing substances for respiratory apparatus with oxidising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긴급 상황에서 호흡이 곤란한 응급환자에게 산소 또는 공기 등을 제공할 수 있는 긴급 구조용 호흡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긴급 구조용 호흡기는, 산소, 공기, 또는 산소와 공기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를 충진재로서 저장하는 파이프 형상의 저장 케이스; 상기 저장 케이스의 일단에 결합되는 충진재 배출부; 상기 저장 케이스의 타단에 결합되는 충진재 충진부; 및 상기 충진재 배출부와 직접 연결되며 충진재 배출부로부터 배출된 충진재가 인체의 호흡기를 통하여 주입될 수 있도록 호흡기의 주위에 밀착되는 마스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진재 배출부에 설치된 외부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에만 저장 케이스 내부의 충진재가 저장 케이스의 외부로 분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긴급 구조용 호흡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형으로 제작되어 휴대가 간편하며 긴급 상황에서 호흡이 곤란한 응급환자에게 산소 또는 공기 등을 제공할 수 있는 긴급 구조용 호흡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은 4 ~ 5분 이상 무호흡 상태가 계속되거나 또는 다량의 수면제 복용 등으로 인한 호흡 중추의 마비로 저환기 상태가 계속되면 심한 저산소증에 빠지게 된다. 그리고, 심한 저산소증은 불가역성 뇌손상을 야기하므로 호흡이 정지되거나 심한 저환기 상태에 있는 환자에게는 신속하게 산소를 공급해주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또한, 화재 등의 사고 발생시 초래되는 인명 사고의 대부분은 화기로 인한 것이 아니라 유독 가스로 인한 질식이다. 통계에 따르면, 화재로 인한 사망 중에 60% 이상이 가스와 연기에 질식하여 사망한 것이고, 약 20% 정도만이 화상으로 인하여 사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화재 등으로 인해 산소 결핍이나 유독가스 질식에 노출된 사람에게 산소를 공급해줌으로써 신체 조직의 저산소증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군대 내에서 훈련도중에 쓰러진 병사들에게 산소를 즉시 공급하면 정상적인 신체 상태로의 빠른 회복에 도움이 되며, 병력의 손실을 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다양한 긴급 구조용 호흡기가 개발되어 왔지만, 대부분은 부피가 커서 특정 장소에 비치해 놓을 수 있을 뿐, 휴대하기에는 불편함이 있었다. 아울러, 재충전이 되지 않아서 일회 사용으로 폐기하거나 용기 자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상된 것으로서, 휴대하기 용이하여 유사시 언제라도 사용할 수 있도록 소형으로 제작된 긴급 구조용 호흡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충진재의 분사량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긴급 구조용 호흡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이 가능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긴급 구조용 호흡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충진재를 저장하는 저장 케이스 내측면이 부식되지 않는 긴급 구조용 호흡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력으로 호흡이 불가한 환자에게 산소 또는 공기를 쉽게 주입할 수 있는 긴급 구조용 호흡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긴급 구조용 호흡기는, 산소, 공기, 또는 산소와 공기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를 충진재로서 저장하는 파이프 형상의 저장 케이스; 상기 저장 케이스의 일단에 결합되는 충진재 배출부; 상기 저장 케이스의 타단에 결합되는 충진재 충진부; 및 상기 충진재 배출부와 직접 연결되며 충진재 배출부로부터 배출된 충진재가 인체의 호흡기를 통하여 주입될 수 있도록 호흡기의 주위에 밀착되는 마스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진재 배출부에 설치된 외부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에만 저장 케이스 내부의 충진재가 저장 케이스의 외부로 분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저장 케이스 및 상기 충진재 배출부 중 적어도 어느 한곳에는 저장 케이스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기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충진재는 피톤 치드(phytoncide) 성분을 함유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저장 케이스의 내측면은 옻코팅이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 버튼을 누르면 상기 저장 케이스 내부의 충진재가 미리 정해진 압력으로 저장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충진재의 배출 압력은 4kgf/cm2 ~ 10kgf/cm2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스크부가 호흡기에 밀착된 상태에서 외부 버튼을 눌러서 마스크부의 내부 압력을 상승시키고, 이에 따라 의식 없는 환자의 폐까지 충진재가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휴대가 용이하게 소형으로 제작되므로 유사시에 언제나 사용이 가능하다.
둘째, 충진재의 분사량이 일정하므로 충진재의 분사량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셋째, 산소 또는 공기의 충전이 가능하여 반영구적인 수명을 갖는다.
넷째, 충진재를 저장하는 저장 케이스의 내측면에 친환경 부식 방지 코팅이 되어 있어서, 충진재가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섯째, 자력으로 호흡이 불가한 환자에게 산소 또는 공기를 주입하여 자력 호흡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긴급 구조용 호흡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긴급 구조용 호흡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긴급 구조용 호흡기의 분해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충진재 충진부가 밀폐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충진재 충진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긴급 구조용 호흡기의 내부로부터 충진재가 분출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긴급 구조용 호흡기의 내부로부터 충진재가 분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긴급 구조용 호흡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긴급 구조용 호흡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긴급 구조용 호흡기의 분해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충진재 충진부가 밀폐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충진재 충진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긴급 구조용 호흡기의 내부로부터 충진재가 분출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긴급 구조용 호흡기의 내부로부터 충진재가 분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긴급 구조용 호흡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긴급 구조용 호흡기(40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긴급 구조용 호흡기(40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긴급 구조용 호흡기(400)의 분해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긴급 구조용 호흡기(400)는 충진재를 저장하기 위한 충진재 저장통(100), 충진재를 인체의 호흡기에 주입하기 위한 마스크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충진재 저장통(100)은 저장 케이스(10), 저장 케이스 내의 충진재를 배출시키기 위한 충진재 배출부(50), 및 충진재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진재 충진부(90)를 구비한다.
상기 저장 케이스(10)는 고압으로 압축된 산소, 공기, 또는 산소와 공기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를 충진재로서 저장하기 위한 밀폐 용기이다. 여기서 충진재 중의 산소는 30% 내지 100%의 비율로 조정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충진재는 산소와 공기뿐만 아니라 피톤 치드(phytoncide)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피톤치드는 식물이 병원균, 해충, 곰팡이에 저항하려고 내뿜거나 분비하는 물질을 말하며, 테르펜을 비롯한 페놀 화합물, 알칼로이드, 글리코시드 등을 주요 구성성분으로 한다. 피톤치드는 심폐기능 향상, 진정 작용, 살균 작용 등의 다양한 효과가 있으므로 이를 충진재에 함유시키면, 더욱 양질의 충진재를 인체에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충진재는 200 kgf/cm2 ~ 300 kgf/cm2의 고압으로 저장 케이스(10) 내에 충진된다.
저장 케이스(10)는 그 내측면의 일부 부위가 충진된 충진재로부터 집중 압력을 받지 않도록 원형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저장 케이스(10)의 두께 및 강성을 보강한다면 저장 케이스(10)는 내부가 비어있는 육면체 또는 기타 다면체의 형상을 취할 수도 있다.
저장 케이스(10) 내의 충진재는 대략 5분 정도 사용 가능한 양이며 화재 등의 위험 상황 발생시에 안전한 지역으로 대피하는 데에 충분한 용량이다. 여기서, 저장 케이스(10) 내에 저장되는 충진재는 깨끗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며, 따라서 저장 케이스(10)의 내측면은 부식 방지 코팅이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인 부식 방지 코팅은 산소에 의하여 산화가 잘 되지 않는 금속을 저장 케이스(10)의 내부에 코팅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코팅을 하는 경우, 저장 케이스(10) 내부의 부식은 막을 수 있으나, 금속을 코팅하는 과정 중에 사용되는 포름알데히드 등의 유독성 물질이 금속 코팅막으로부터 장기간에 걸쳐 배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저장 케이스(10) 내부의 충진재에 유독성 물질이 섞여 들어가며, 호흡이 곤란한 환자가 충진재와 함께 유독성 물질을 흡입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식 방지 코팅으로 옻코팅을 채용한다. 옻을 저장 케이스(10)의 내측면에 도포한 후에 약 60℃의 온도로 1시간 가량 저장 케이스(10)에 열을 가하게 되면 옻이 완전히 경화된다. 옻은 천연물질로서 독성 물질을 방출하지 않으며, 피부 알러지를 유발하는 옻 특유의 성질은 가열 경화 과정에 의하여 해결된다. 또한, 옻코팅을 하는 과정 중에 유독성 폐기물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부식 방지 코팅 과정 자체도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 케이스(10)에 저장된 충진재는 옻코팅에 의하여 둘러 싸인 상태로 유지되며 이로 인해 깨끗한 상태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충진재 배출부(50)는 저장 케이스의 일단에 결합되는 배출 마개(20), 배출 마개(20)의 윗방향으로부터 아래방향으로 배출 마개(20)을 덮어 씌우면서 결합되는 배출 마개 덮개(28), 배출 마개(20) 내부에 삽입되어 왕복 슬라이딩하는 누름 부재(26), 누름 부재(26)의 상부 돌출 부분에 연결되는 스프링, 이 스프링과 배출 마개 덮개(28)의 하면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연결쇠(25), 연결쇠(25) 상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돌기에 나사 결합되는 외부 버튼(27), 배출 마개(20) 내부에 설치된 실린더(30), 실린더(30) 내부에서 왕복 슬라이딩하면서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제어핀(35), 유량 제어핀을 탄성 바이어스 하는 제1 탄성 부재(36), 제1 탄성 부재(36)가 끼워져서 고정되는 나사 부재(37), 저장 케이스 내부의 충진재가 외부로 배출되는 노즐 부재(40)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 마개(20)는 저장 케이스의 일단에 나사 결합되어 저장 케이스(10)의 일단을 전체적으로 밀폐한다. 이러한 배출 마개(20)는 저장 케이스(10) 내부의 충진재를 선택적으로 배출하기 위해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다. 관통공은 배출 마개(20) 내부에 형성된 격벽(24)으로 인하여 상부 관통공(22)과 하부 관통공(23)으로 나누어진다. 격벽(24)에는 저장 케이스 내부의 충진재가 하부 관통공(23)을 거쳐서 상부 관통공(22)으로 나오기 위한 배출공(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출 마개(20)의 기밀성을 위해 외부면에 오링(95)이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배출 마개(20)는 노즐 부재(40)와 압력 측정기(97)가 결합 되도록 일측에 각각 홀이 형성되어 있다. 배출 마개(20)에는 배출 마개 덮개(28)가 씌워지며, 배출 마개 덮개(28)에도 노즐 부재(40)와 압력 측정기(97)가 결합 되도록 일측에 각각 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점은 후술한다.
상기 누름 부재(26)는 상부 관통공(22)에 삽입되어 상하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누름 부재(26)가 하부 방향으로 눌려짐으로써 저장 케이스 내부의 충진재는 배출공(21)을 통해 배출된다. 누름 부재(26)와 격벽(24) 사이의 공간은 저장 케이스(100) 내의 고압의 충진재를 배출할 때 압력을 낮춰주는 감압실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이 공간에서 감압된 충진재는 노즐공(41)을 통하여 4kgf/cm2 ~ 10kgf/cm2의 배출 압력으로 빠져 나가게 된다.
바람직하게, 누름 부재(26)의 외부면에는 상부 관통공(22)을 밀폐하기 위한 누름 부재(26)의 기밀성을 위해 오링(95)이 끼워진다.
상기 실린더(30)는 하부 관통공(23)에 설치되며 내부에 저장 케이스(10) 내의 충진재가 배출되기 위한 실린더공(3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30)의 외부면에는 하부 관통공(23)을 밀폐하기 위한 실린더(30)의 기밀성을 위해 오링(95)이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량제어핀(35)은 실린더(30)에 끼워지며 상하 슬라이딩 됨으로써 유량을 제어한다. 유량제어핀(35)의 상부는 지름이 작고 하부는 상부보다 상대적으로 지름이 큰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유량제어핀(35)의 하부가 실린더공(31)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실린더공(31)이 막히기 때문에 저장 케이스(10) 내의 충진재가 배출되지 않는다. 이에 반해, 누름 부재(26)에 의해 유량제어핀(35)이 가압되어 하부로 내려진 상태에서는 실린더공(31)에 틈이 생기기 때문에 저장 케이스(10) 내의 고압의 충진재가 배출되게 된다.
상기 제1 탄성 부재(36)는 예컨대, 유량제어핀(35)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유량제어핀(35)을 탄성적으로 바이어스한다. 즉, 저장 케이스 내의 충진재가 배출되지 않게 하기 위해 유량제어핀(35)의 하부가 실린더공(31)을 막을 수 있도록 유량제어핀(35)을 탄성 바이어스 한다.
상기 나사 부재(37)는 하부 관통공(23)에 나사결합되며 저장 케이스 내의 산소가 배출되기 위한 나사공(38)이 형성된다. 나사공(38)에는 유량제어핀(35)을 탄성 바이어스 하는 제1 탄성 부재(36)가 끼워져서 고정되어 있다.
상기 노즐 부재(40)는 배출 마개 덮개(28)의 일측에 형성된 홀과 배출 마개(20)의 일측에 형성된 홀의 중심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두 개의 홀에 끼워넣고 배출 마개(20)의 일측에 형성된 홀과 나사 결합된다. 노즐 부재(40)는 충진재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노즐공(41)을 가진다.
압력 측정기(97)는 배출 마개 덮개(28)의 타측에 형성된 홀과 배출 마개(20)의 타측에 형성된 홀의 중심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두 개의 홀에 끼워넣고
배출 마개(20)의 타측에 형성된 홀과 나사 결합된다. 도면 상에서는 노즐 부재(40)와 압력 측정기(97)가 서로 정반대 편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연적인 것은 아니다. 또한, 압력 측정기(97)는 저장 케이스(10) 또는 충진재 배출부(50) 중 어느 곳에 설치되더라도 무방하다.
압력 측정기(97)는 저장 케이스(10) 내부와 압력 측정관(96)을 통하여 연통되어 있으며, 저장 케이스(10) 내부의 압력과 압력 측정관(96)의 관로 상의 압력은 동일하므로 압력 측정기(97)에는 저장 케이스(10) 내부의 압력과 동일한 압력이 인가된다. 압력 측정기(97)로는 게이지 방식이나 디지털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의 측정기가 채택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충진재 충진부(90)가 밀폐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충진재 충진부(90)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을 참조하면, 상기 충진재 충진부(90)는 저장 케이스(10) 내에 충진재를 충전하기 위해 충진홀(61)을 구비한 충진 마개(60), 충진홀(61)에 끼워지는 충진 볼트(70), 저장 케이스 내에서 충진 볼트(70)와 나사결합되는 충진 너트(71), 충진 볼트(70)에 설치되어 충진 볼트(70)와 충진 마개(60) 사이에 위치하는 제2 탄성 부재(80)를 포함한다.
상기 충진 마개(60)는 저장 케이스(10)의 타측에 나사결합되어 저장 케이스(10)의 타측을 전체적으로 밀폐하며, 충진재 충진장치(미도시)로 충진재를 충전하기 위한 충진홀(61)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충진 마개(60)의 기밀성을 위해 충진 마개(60)의 외부면에 오링(95)이 끼워진다.
상기 충진 볼트(70)는 저장 케이스(10)의 외부에서 내부방향으로 충진홀(61)에 끼워지며, 상하 슬라이딩할 수 있다. 충진 볼트(70)는 충진홀(61)보다 지름이 작아서 충진홀(61)과 충진 볼트(70)의 외면 사이에는 충진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틈이 생긴다.
상기 충진 너트(71)는 저장 케이스 내에서 충진 볼트(70)와 나사결합되어 충진 마개(60)를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충진 마개(60)를 밀폐하기 위한 충진 너트(71)의 기밀성을 위해 충진 너트(71)의 외면에 오링(95)이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탄성 부재(80)는 충진 볼트(70)에 끼워져서 충진 볼트(70)와 충진 마개(60) 사이에 위치하며 충진 볼트(70)를 탄성 바이어스 한다. 충진 볼트(70)가 탄성 바이어스되면 충진 볼트(70)와 나사결합된 충진 너트(71)는 충진홀(61)을 밀폐함으로써 저장 케이스(10) 내의 충진재가 외부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는 반대로, 충진 볼트(70)가 제2 탄성 부재(8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부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충진 너트(71)는 충진 마개(60)와 떨어짐으로써 충진 너트(71)와 충진 마개(60) 사이에 충진재를 충전할 수 있는 틈이 생기게 된다.
상기 마스크부(200)는 충진재를 공급하기 위해 환자의 호흡기에 밀착되며, 충진재 배출부(50)의 노즐 부재(40)에 끼워진다. 노즐 부재(40)에 직접 연결되므로 충진재가 배출되는 라인 상에서 누출되는 위험이 획기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마스크부(200)를 환자의 코, 입 주변에 밀착시켜 충진재를 인체에 주입하는 과정 중에 볼과 턱 사이의 틈을 통하여 충진재가 새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코 주위에 접촉하는 부분은 다소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긴급 구조용 호흡기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긴급 구조용 호흡기의 내부로부터 충진재가 분출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긴급 구조용 호흡기의 내부로부터 충진재가 분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긴급 구조용 호흡기로부터 충진재가 배출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6 및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외부 버튼(27)을 누르게 되면 이와 연결된 연결쇠(25)와 스프링이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어서 누름 부재(26)가 하부 방향으로 눌러진다. 누름 부재(26)가 하부로 슬라이딩 됨으로써 유량제어핀(35)은 제1 탄성 부재(36)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하부로 이동되어 배출공(21)에 틈이 생기게 된다. 이때, 저장 케이스 내부의 고압의 충진재가 이 틈으로 빠져나온 후 누름 부재(26)와 격벽(24)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되고 노즐 부재(40)의 노즐공(41)을 빠져나와 마스크부(200)로 배출된다.
외부 버튼(27)을 누르고 있는 동안에만 저장 케이스(10) 내부의 충진재가 저장 케이스(10)의 외부로 분출되며, 충진재는 미리 정해진 4kgf/cm2 ~ 10kgf/cm2의 배출 압력으로 노즐공(41)을 빠져나가게 된다. 마스크부(200)를 환자의 호흡기에 밀착시키고 외부 버튼(27)을 누르게 되면 마스크부(200)의 내부 압력은 점점 상승하게 된다.
마스크부(200)의 내부 압력이 10kgf/cm2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환자의 의식이 없더라도 환자의 호흡기를 통하여 폐까지 충진재를 주입할 수 있다. 마스크부(200)를 환자의 호흡기에 밀착시키고 외부 버튼(27)을 누르게 되면 매우 짧은 시간 내에 마스크부(200)의 압력은 10kgf/cm2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며, 대략 3초 정도 외부 버튼(27)을 누르게 되면 인공 호흡을 위한 최적 부피의 충진재가 인체 내부로 주입된다. 다만, 각자의 나이, 성별, 폐활량에 따라 외부 버튼(27)을 누르는 시간은 3초 전후에서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한편, 다 쓴 충진재 저장통(100)은 충전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는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진 마개(60)의 충진홀(61)에 삽입된 충진 볼트(70)를 충진재 충진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충진재 저장통(100) 내부 방향으로 밀어 올림으로써 충진 볼트(70)에 결합된 충진 너트(71)와 저장 케이스 내부 사이에 틈이 생긴다. 이때, 충진재 충진 장치에 의해 상기 틈으로 고압의 충진재가 충진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저장 케이스 20 : 배출 마개
22 : 상부 관통공 23 : 하부 관통공
24 : 격벽 25 : 연결쇠
26 : 누름 부재 27 : 외부 버튼
28 : 배출 마개 덮개 30 : 실린더
31 : 실린더공 35 : 유량제어핀
36 : 제1 탄성 부재 37 : 나사 부재
38 : 나사공 40 : 노즐 부재
41 : 노즐공 50 : 충진재 배출부
60 : 충진 마개 61 : 충진홀
70 : 충진 볼트 71 : 충진 너트
80 : 제2 탄성 부재 90 : 충진재 충진부
95 : 오링 97 : 압력 측정기
100 : 충진재 저장통 200 : 마스크부
400 : 긴급 구조용 호흡기
22 : 상부 관통공 23 : 하부 관통공
24 : 격벽 25 : 연결쇠
26 : 누름 부재 27 : 외부 버튼
28 : 배출 마개 덮개 30 : 실린더
31 : 실린더공 35 : 유량제어핀
36 : 제1 탄성 부재 37 : 나사 부재
38 : 나사공 40 : 노즐 부재
41 : 노즐공 50 : 충진재 배출부
60 : 충진 마개 61 : 충진홀
70 : 충진 볼트 71 : 충진 너트
80 : 제2 탄성 부재 90 : 충진재 충진부
95 : 오링 97 : 압력 측정기
100 : 충진재 저장통 200 : 마스크부
400 : 긴급 구조용 호흡기
Claims (7)
- 산소, 공기, 또는 산소와 공기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를 충진재로서 저장하는 파이프 형상의 저장 케이스;
상기 저장 케이스의 일단에 결합되는 충진재 배출부;
상기 저장 케이스의 타단에 결합되는 충진재 충진부; 및
상기 충진재 배출부와 직접 연결되며 충진재 배출부로부터 배출된 충진재가 인체의 호흡기를 통하여 주입될 수 있도록 호흡기의 주위에 밀착되는 마스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진재 배출부에 설치된 외부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에만 저장 케이스 내부의 충진재가 저장 케이스의 외부로 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구조용 호흡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케이스 및 충진재 배출부 중 적어도 어느 한곳에는 저장 케이스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구조용 호흡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는 피톤 치드(phytoncide)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구조용 호흡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케이스의 내측면은 옻코팅이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구조용 호흡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버튼을 누르면 상기 저장 케이스 내부의 충진재가 미리 정해진 압력으로 저장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구조용 호흡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의 배출 압력은 4kgf/cm2 ~ 10kgf/c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구조용 호흡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부가 호흡기에 밀착된 상태에서 외부 버튼을 눌러서 마스크부의 내부 압력을 상승시키고, 이에 따라 의식 없는 환자의 폐까지 충진재가 공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구조용 호흡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3890A KR101222684B1 (ko) | 2011-04-12 | 2011-04-12 | 긴급 구조용 호흡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3890A KR101222684B1 (ko) | 2011-04-12 | 2011-04-12 | 긴급 구조용 호흡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16258A true KR20120116258A (ko) | 2012-10-22 |
KR101222684B1 KR101222684B1 (ko) | 2013-01-17 |
Family
ID=47284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33890A KR101222684B1 (ko) | 2011-04-12 | 2011-04-12 | 긴급 구조용 호흡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22684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3699Y1 (ko) | 2016-02-12 | 2017-06-14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 휴대용 위치 추적 공기 호흡기 |
KR102357509B1 (ko) * | 2021-04-28 | 2022-02-09 | 손만호 | 방연마스크를 보관하는 방재케이스로 이루어지는 비상대피용품 |
KR102544650B1 (ko) * | 2022-07-14 | 2023-06-19 | 씨아이앤티 주식회사 | Cpr 겸용의 긴급대피용 충전식 산소 호흡기 |
KR102544651B1 (ko) * | 2022-07-14 | 2023-06-20 | 씨아이앤티 주식회사 | 일체형 감압밸브를 구비한 충전식 산소 호흡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8210Y1 (ko) | 2023-10-04 | 2024-07-29 | 박수민 | 마스크부의 자유회전이 가능한 긴급구조용호흡기 |
KR102655255B1 (ko) | 2023-10-04 | 2024-04-08 | 박수민 | 일체형 감압밸브를 갖는 충전식 산소호흡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5240Y1 (ko) | 2002-05-06 | 2002-08-13 | 이종만 | 산소 흡입 장치용 푸쉬 버튼 밸브 |
KR20030089336A (ko) * | 2002-05-17 | 2003-11-21 | 주식회사 환경과 미래 | 기체공급기 |
JP2004057627A (ja) | 2002-07-31 | 2004-02-26 | Kawasaki Heavy Ind Ltd | 避難用呼吸具 |
KR101041977B1 (ko) * | 2009-08-25 | 2011-06-16 | 황진연 | 피구조자용 호흡 장비 |
-
2011
- 2011-04-12 KR KR1020110033890A patent/KR101222684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3699Y1 (ko) | 2016-02-12 | 2017-06-14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 휴대용 위치 추적 공기 호흡기 |
KR102357509B1 (ko) * | 2021-04-28 | 2022-02-09 | 손만호 | 방연마스크를 보관하는 방재케이스로 이루어지는 비상대피용품 |
KR102544650B1 (ko) * | 2022-07-14 | 2023-06-19 | 씨아이앤티 주식회사 | Cpr 겸용의 긴급대피용 충전식 산소 호흡기 |
KR102544651B1 (ko) * | 2022-07-14 | 2023-06-20 | 씨아이앤티 주식회사 | 일체형 감압밸브를 구비한 충전식 산소 호흡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22684B1 (ko) | 2013-0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22684B1 (ko) | 긴급 구조용 호흡기 | |
CA2301530C (en) | Pulmonary pressure modulator | |
US8783251B2 (en) | Enhanced manually actuated pressure controlled modulator technology | |
US5526804A (en) | Self-sufficient emergency breathing device | |
CN110141744B (zh) | 气流雾化器 | |
KR20100041266A (ko) | 휴대용 자가 산소호흡장치 및 이를 구비한 마스크 | |
US20210121649A1 (en) | Portable rebreathing system with staged addition of oxygen enrichment | |
US3105488A (en) | Respiratory devices | |
CN109045426A (zh) | 用于雾化治疗的雾化吸入器以及医疗装置 | |
CN103550876B (zh) | 急救用防毒面具 | |
CN203598386U (zh) | 急救用防毒面具 | |
KR20160143421A (ko) | 산소 마스크 | |
CN111617397B (zh) | 一种独立便捷更换滤芯自救器 | |
KR101393686B1 (ko) | 스위칭 마스크 및 호흡수단이 구비된 긴급구조용 호흡장비 | |
KR102544650B1 (ko) | Cpr 겸용의 긴급대피용 충전식 산소 호흡기 | |
CN111821550A (zh) | 急诊科用麻醉剂呼吸机 | |
KR20210056684A (ko) | 보조 마스크를 갖는 호흡장치 | |
CN114522317A (zh) | 一种麻醉辅助设备 | |
WO2020061779A1 (zh) | 一种手持式应急呼吸防护罐 | |
KR200498210Y1 (ko) | 마스크부의 자유회전이 가능한 긴급구조용호흡기 | |
KR100574787B1 (ko) | 비상용 산소 흡입기 | |
CN206896623U (zh) | 消防员应急自救装置 | |
KR100757313B1 (ko) | 인공 소생기 | |
CN206342765U (zh) | 双重气囊式药物雾化呼吸装置 | |
CN210698433U (zh) | 一种呼吸内科用呼吸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6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