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5898A - 촬영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리모콘, 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촬영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리모콘, 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5898A
KR20120115898A KR1020110033484A KR20110033484A KR20120115898A KR 20120115898 A KR20120115898 A KR 20120115898A KR 1020110033484 A KR1020110033484 A KR 1020110033484A KR 20110033484 A KR20110033484 A KR 20110033484A KR 20120115898 A KR20120115898 A KR 20120115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mage
user
display
laser po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3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4685B1 (ko
Inventor
이민호
정찬웅
정성문
박윤중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33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4685B1/ko
Publication of KR20120115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5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4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4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장치는, 화면 상에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을 촬영하는 촬영부, 사용자 별로 매칭된 선호 특성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촬영부에서 촬영된 이미지에 사용자가 포함된 경우, 사용자에 대응되는 선호 특성 정보에 따라 영상 신호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촬영된 이미지에 상기 화면을 향하는 레이저 포인터가 포함된 경우, 레이저 포인터의 지정 위치 또는 이동 궤적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제어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촬영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리모콘, 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 DISPLAY APPARATUS HAVING CAMERA, REMO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콘과 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촬영부를 이용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통해 디스플레이 동작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콘과 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제품들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일반 가정에 많이 보급되어 있는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는 더욱더 많은 기능이 탑재되어 구매자를 유혹하고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기존과 같이 단순히 방송 채널을 선국하여 시청하는 것 이외에, 다른 장치와의 연결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고, 인터넷에 연결하여 각종 웹사이트를 시청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다양한 기능을 자신의 선호도에 맞게 직접 설정하여 시청할 수도 있다.
특히, 디지털 방송이 개시됨에 따라, 과거에 비해 훨씬 더 많은 방송 채널과 컨텐츠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자신이 주로 시청하는 채널을 용이하게 선국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마련된 다양한 기능을 좀 더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 방식을 다양화시킬 필요성도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촬영부를 이용하여 촬영한 이미지에 따라, 각종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리모콘, 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 상에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을 촬영하는 촬영부, 사용자 별로 매칭된 선호 특성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이미지에 사용자가 포함된 경우,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선호 특성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촬영된 이미지에 상기 화면을 향하는 레이저 포인터가 포함된 경우, 상기 레이저 포인터의 지정 위치 및 이동 궤적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파싱하여 사용자 이미지를 검출하는 파싱부 및 상기 파싱부에 의해 검출된 사용자 이미지를 리모콘으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리모콘으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사용자의 선호 특성 정보에 따른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이미지 상에서, 상기 레이저 포인터에서 발사된 적외선 레이저가 표시된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이미지의 크기 및 상기 화면의 크기 간의 비율에 따라 상기 화면 상에서 상기 레이저 포인터가 지정한 지점을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정된 지점에 커서를 표시하고, 상기 레이저 포인터의 이동 궤적에 따라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이미지 상에서 상기 레이저 포인터에서 발사된 적외선 레이저가 표시된 위치가 이동되면, 그 이동 궤적이 상기 저장부에 기 저장된 모션 정보에 매칭되는지 판단하고, 매칭되면 매칭되는 모션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실시 예들에서, 상기 선호 특성 정보는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시청 빈도가 높은 선호 채널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인식되면 상기 인식된 사용자에 대응되는 선호 채널을 바로 선국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이상과 같은 실시 예들에서, 상기 선호 특성 정보는,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시청 빈도가 높은 선호 채널 정보, 상기 인식된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시청하던 채널 정보, 상기 인식된 사용자가 기 설정한 볼륨 상태, 색상, 밝기, 콘트라스트, 화면 크기, 언어, 해상도, 선명도, 주파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 상에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방을 촬영하는 촬영부, 사용자 별로 매칭된 선호 특성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파싱하여 사용자 이미지를 검출하는 파싱부, 상기 사용자 이미지가 검출되면 상기 사용자 이미지에 대응되는 선호 특성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선호 특성 정보는,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시청 빈도가 높은 선호 채널 정보, 상기 인식된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시청하던 채널 정보, 상기 인식된 사용자가 기 설정한 볼륨 상태, 색상, 밝기, 콘트라스트, 화면 크기, 언어, 해상도, 선명도, 주파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 상에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을 촬영하는 촬영부, 레이저 포인터의 모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파싱하여 상기 화면을 향하는 레이저 포인터가 인식하는 파싱부, 상기 레이저 포인터가 인식되면, 상기 레이저 포인터의 지정 위치 및 이동 궤적에 대응되는 모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모션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의 크기 및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이미지의 크기 간의 비율을 고려하여 상기 화면 상에서 상기 레이저 포인터가 지정하는 지점을 추정하고, 추정된 지점에 커서를 표시하며 상기 레이저 포인터의 이동 궤적에 따라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모콘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일 방향으로 컬러 레이저를 발산하는 제1 발산부, 상기 컬러 레이저와 평행하게 적외선 레이저를 발산하는 제2 발산부, 상기 제1 발산부 및 상기 제2 발산부를 각각 턴-온/턴-오프/홀드시키기 위한 제어버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이미지에 사용자가 포함된 경우,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선호 특성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이미지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향하는 레이저 포인터가 포함된 경우, 상기 레이저 포인터의 지정 위치 및 이동 궤적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방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그 이미지를 이용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를 인식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레이저 포인터의 이동 궤적을 인식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모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촬영부(110), 제어부(120), 저장부(130),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한다.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TV가 될 수도 있으며, 그 밖에, 모니터, PC, 전자 액자, 노트북 PC, 전자 책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전자 장치가 될 수 있다.
촬영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측에 마련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방을 촬영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방이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시청하는 시청자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일 예로, 촬영부(110)는 화면의 상측이나, 하측, 좌우측 중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이용하거나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앞에 놓인 여러 가지 객체들을 촬영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화면 상에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도 1에서는 디스플레이부(14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하지 않았으나, 디스플레이부(140)는 튜너부(미도시), 신호처리부(미도시),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 백라이트 유닛(미도시)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각 구성에 대해서는 이미 공지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튜너부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TV와 같은 방송 수신 장치로 구현되었을 경우에만 포함될 수 있으며, 그 밖에 저장된 데이터를 재생하여 출력하는 장치인 경우에는 튜너부는 생략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저장부(130)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구성이다. 일 예로, 저장부(130)는 사용자 별로 매칭되는 선호 특성 정보, 모션 별로 매칭되는 제어 동작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선호 특성 정보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일 예로, 선호 특성 정보란, 각 사용자 별로 가장 많이 시청되었던 채널 정보, 즉, 시청 빈도가 높은 선호 채널 정보가 될 수 있다. 또는, 각 사용자 별로 최종 시청하던 채널 정보가 될 수도 있다. 그 밖에, 각 사용자가 설정해 둔 출력 상태 정보, 즉, 볼륨 상태, 색상, 밝기, 콘트라스트, 화면 크기, 언어, 해상도, 선명도, 주파수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호 특성 정보란 사용자 별로 결정된 다양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촬영부(110)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를 이용하여 각종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20)는 촬영부(110)에서 촬영된 이미지에 사용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사용자에 대응되는 선호 특성 정보에 따라 영상 신호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이미지로부터 파싱된 사용자가 A라면, A가 자주 시청하던 "10"번 채널을 자동으로 선국하여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A가 세팅해둔 볼륨이나, 색상, 밝기, 콘트라스트, 화면 크기, 언어, 해상도, 선명도, 주파수 정보 등과 같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저장부(130)로부터 독출하여, 그 독출된 정보에 맞게 영상 신호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볼륨 정보나 언어의 경우에는 스피커(미도시) 또는 음성 처리부(미도시)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촬영부(110)에서 촬영된 이미지에 디스플레이부(140)의 화면을 향하는 레이저 포인터가 포함된 경우에는, 레이저 포인터의 지정 위치 또는 이동 궤적에 따른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레이저 포인터를 이용하여 화면 상의 특정 영역에 레이저를 주사하거나, 동그라미 등과 같은 간단한 모양을 그리는 모션을 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촬영부(110)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파싱하여 레이저 포인터의 지정 위치를 추정하거나, 이동 궤적을 확인하여 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모션 별 제어 동작에 대해서는 저장부(13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레이저 포인터의 지정 위치나 이동 궤적을 확인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와 같이 촬영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 측에 부착되어, 전방의 사용자 등을 촬영한다. 이에 따라, 리모콘(20)을 소지한 사용자(10)가 촬영부(110)에 의해 촬영될 수 있다. 촬영된 이미지는 제어부(120) 또는 별도로 마련된 파싱부(미도시)로 직접 제공되거나, 저장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20) 또는 파싱부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미지 상에서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인식 작업은 제어부(120)에서 수행될 수도 있고 별도로 마련된 파싱부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파싱부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에 마련될 수도 있고, 외부 리모콘이나 외부 서버 등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어부(120)가 이미지를 파싱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4는 사용자의 얼굴 인식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제어부(120)는 촬영부(120)에서 촬영된 각 이미지 프레임을 복수 개의 블럭으로 구분한다. 각 블럭은 n*m 개수의 픽셀로 이루어진다. n, m은 자연수이며 그 값은 동일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구분된 각 블럭에 포함된 픽셀 값의 평균을 연산하거나, 픽셀 값 중 가장 큰 값, 중간값, 최소값 등을 확인하여, 확인된 값을 해당 블럭의 대표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블럭들의 대표값이 서로 소정의 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고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다면, 같은 객체를 지칭하는 것으로 인식하여 해당 블럭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구분한다.
도 4는 p(i,j), p(i+1, j), p(i+2,j), p(i+3,j), p(i-1,j+1), p(i,j+1), p(i+1,j+1), p(i+2,j+1), p(i+3,j+1), p(i-1,j+2), p(i,j+2), p(i+1,j+2), p(i+2,j+2), p(i+3,j+2), p(i-1,j+3), p(i,j+3), p(i+1,j+3), p(i+2,j+3), p(i+3,j+3), p(i-1,j+4), p(i,j+4), p(i+1,j+4), p(i+2,j+4), p(i+3,j+4), p(i,j+5), p(i+1,j+5), p(i+2,j+5)가 얼굴 영역에 해당하는 블럭 그룹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얼굴 영역에 해당하는지에 대해서는 실험적으로 측정된 얼굴 부분의 픽셀 값과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다. 즉, 황인종, 백인종, 흑인종 각각에 대하여 복수 개의 얼굴 사진들의 픽셀 값들을 평균하면 각 인종 별로 평균 픽셀 값 범위가 얻어 질 수 있다. 이 경우, 얻어진 평균 픽셀 값 범위에 해당하면, 얼굴 영역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얼굴 영역으로 인식된 블럭들 내에서 눈썹, 눈, 코, 입에 해당하는 블럭을 찾은 후, 전체 얼굴에 각 블럭의 위치를 확인하여 얼굴 특징을 추출한다. 이에 따라 추출된 얼굴 특징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누구인지를 판단한다.
한편, 또 다른 방법으로는, 한국 출원 10-2010-0029526호에 기재된 "얼굴 인식 시스템 및 그 얼굴 인식 방법"에 기재된 내용에 따라 얼굴을 인식하여, 사용자가 누구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는, 한국 특허 출원 10-2010-0048629호에 기재된 "영상 처리 시스템에서의 객체 후보 영역 검출 방법 및 시스템"에 기재된 내용에 따라 얼굴을 인식하여 사용자가 누구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20)는 촬영된 사용자를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판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판단된 사용자에 대응되는 선호 특성 정보를 저장부(130)로부터 독출한 후, 그 선호 특성 정보에 따라 출력을 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촬영된 이미지에서 레이저 포인터의 지정 위치 또는 이동 궤적도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레이저 포인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 측에 구비된 촬영부(110)는 레이저 포인터(200)를 포함하는 전방의 이미지들을 촬영한다. 레이저 포인터(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콘에 구비된 것일 수도 있고, 별도로 마련된 레이저 포인터일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촬영부(110)에서 촬영된 이미지의 크기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이미지의 크기를 비례적으로 비교하여, 화면 상에 레이저 포인터가 지시하는 포인트를 추정할 수 있다.
도 6은 그 포인트 추정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레이저 포인터에서 적외선 레이저를 발사하면, 촬영부(110)는 그 적외선 레이저가 발사되는 레이저 포인터의 전단부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촬영부(110)에 포함된 카메라 모듈에서는 적외선 필터가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외선 레이저가 필터링되지 않고 촬영 이미지에 그대로 나타난다.
도 6에서 촬영 이미지(30) 중에서 레이저 포인터의 위치(k)가 좌측 이미지 경계로부터 a 만큼 떨어지고, 우측 이미지 경계로부터 b 만큼 떨어져 있고, 상측 이미지 경계로부터 c, 하측 이미지 경계로부터 d만큼 떨어진 곳에 위치하도록 나타난다. 제어부는 화면 이미지(40)와 촬영 이미지(30) 간의 크기 비율에 맞게 실제 화면 상에서는 좌상단을 기준으로 (a',c') 좌표를 포인터가 지정하고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즉, 촬영 이미지보다 화면 이미지가 가로 세로 비율이 동일하고, 사이즈면에서 3배 크다고 가정하면, a, c가 각각 2cm, 4cm라면, a', c'는 각각 6cm, 12cm로 나타난다. 따라서, 화면 상에서 좌측 이미지 경계로부터 6cm 떨어지고 상측 이미지 경계로부터 12cm 떨어진 지점을 포인터가 지정하고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추정된 지점에 커서를 표시하여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레이저 포인터를 이동시키면, 그 이동 거리 및 방향에 따라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레이저 포인터의 지정 위치와 커서 표시 위치가 정확하게 매칭되지 않더라도, 사용자는 자신의 레이저 포인터에 대응되는 커서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레이저 포인터를 이동시켜, 커서를 화면상에서 원하는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커서가 화면 상의 특정 메뉴에 위치하게 되면, 리모콘의 선택 버튼을 누르거나 음성 명령어 등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해당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20)는 레이저 포인터의 이동 궤적을 확인하여 그 궤적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장부(130)는 레이저 포인터의 모션 별 제어 동작 정보를 저장하여 둘 수 있다. 가령, 동그라미 모션에 대해서는 파워-온 또는 파워-오프 동작을 수행하고, V, U, N, M, W와 같은 다양한 모션에 대해서는 채널 업/다운, 볼륨 업/다운, 외부 입력 변경 등과 같은 다양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레이저 포인터의 이동 궤적은 촬영부(110)에서 촬영되는 연속적인 이미지 프레임들에서의 레이저 포인터의 표시 위치를 비교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사용자 얼굴 인식과, 레이저 포인터의 인식이 함께 사용되는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얼굴 인식만을 수행할 수도 있고, 레이저 포인터의 인식만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직접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지 않고, 촬영 이미지를 외부 리모콘이나 기타 외부 장치로 전송하여 외부 리모콘이나 장치에서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외부 리모콘이나 기타 외부 장치로 제공하여, 외부 리모콘이나 장치 등에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확인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7은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촬영부(110), 제어부(120), 저장부(130), 디스플레이부(140), 파싱부(150), 통신부(160)를 포함한다.
파싱부(150)란 촬영부(110)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파싱하여 얼굴 이미지 또는 레이저 포인터 위치를 검출해내는 구성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어부(120) 대신에 파싱부(150)가 별도로 마련되어 얼굴 이미지나 레이저 포인터 위치를 검출해 낼 수 있다. 그 검출 방식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통신부(160)는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중계하는 구성이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20)는 촬영부(110)에서 촬영된 이미지 그 자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여 줄 수 있다. 여기서의 외부 장치는 리모콘이나 서버와 같은 기타 장치가 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리모콘으로 전송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신부(160)는 블루투스나 무선 랜(Wireless LAN) 규격에 따라 리모콘 또는 기타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촬영부(110)에서 촬영된 이미지가 리모콘으로 전송되면, 리모콘은 그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검출할 수 있다. 검출 방식은 상술한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리모콘은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가 검출되고 그에 따라 사용자의 신원이 확인되면, 리모콘 자체에 구비된 저장부에서 사용자에 대응되는 선호 출력 정보를 확인한다. 이에 따라, 해당 선호 출력 정보에 따라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그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는 리모콘의 제어 신호에 맞추어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부(160)는 파싱부(150) 또는 제어부(120)에서 검출된 얼굴 이미지만을 리모콘으로 전송하여 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리모콘은 단순히 수신된 얼굴 이미지를 자체 구비된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정확하게 인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7에서 파싱부(150), 통신부(160), 제어부(120)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1에 기재된 실시 예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시의 편의상 도 7에서는 파싱부(150), 통신부(160)를 모두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도시하였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는 파싱부(150) 및 통신부(160) 중 하나만이 포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모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따르면, 리모콘은 입력부(210), 제1 발산부(220), 제2 발산부(230), 제어 버튼(240), 디스플레이부(250)를 포함한다.
입력부(210)란 리모콘에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각종 버튼에 해당한다. 입력부(210)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선택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1 발산부(220)는 일 방향으로 컬러 레이저를 발산한다. 발산 방향은 리모콘의 전단부 방향이 될 수 있다. 컬러 레이저는 사용자가 자신이 지정하는 위치를 보여주는 가시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발산된다.
제2 발산부(230)는 제1 발산부에서 발산되는 컬러 레이저와 평행하게 적외선 레이저를 발산한다. 제2 발산부(230)에서 발산된 적외선 레이저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촬영부(110)에 의해 촬영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어떠한 위치를 지정하였는지, 리모콘을 어떠한 형태로 이동시키는 모션을 취하였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발산부(220) 및 제2 발산부(23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리모콘을 통상의 리모콘 기능만 사용할 경우에는 굳이 제1 발산부(220), 제2 발산부(230)를 활성화시킬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발산부(220, 230)를 각각 제어하기 위한 제어 버튼(240)이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제어 버튼(240)은, 푸쉬 상태에서만 제1 발산부(220)를 턴-온시켜 컬러 레이저를 발산하도록 하는 제1 버튼(241), 한번 푸쉬 되면 제1 발산부(220)를 턴-온시킨 후 턴-온 상태를 홀드시키고 다시 한번 푸쉬되면 제1 발산부(220)를 턴-오프시키는 제2 버튼(242), 푸쉬 상태에서만 제2 발산부(230)를 턴-온시켜 컬러 레이저를 발산하도록 하는 제3 버튼(243), 한번 푸쉬 되면 제2 발산부(230)를 턴-온시킨 후 턴-온 상태를 홀드시키고 다시 한번 푸쉬되면 제2 발산부(230)를 턴-오프시키는 제4 버튼(244)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부분이다. 즉, 상술한 실시 예들 중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얼굴 이미지를 전송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50)에서 수신된 얼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여 줄 수 있다.
본 리모콘(200)의 경우, 기존 리모콘에 비해 스마트 TV나 IP TV 등과 같은 고사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편의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지능형 리모콘이 될 수 있다. 특히, 두 종류의 파장이 다른 레이저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화면을 직접 지정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인터페이스 만족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게임 콘솔로 사용되기에 적합하고, 마우스를 대신하여 컴퓨터 인터페이스를 하는 수단으로 확장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에 따르면, 촬영이 이루어지면(S910), 촬영된 이미지 내에 사용자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이에 따라 포함되어 있다면(S920), 해당 사용자를 인식하여 그 사용자에 매칭되는 선호 특성 정보를 확인한다. 그리고 나서, 확인된 선호 특성 정보에 따라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S940).
또한, 촬영된 이미지 내에 레이저 포인터가 포함되어 있는지도 확인한다(S940). 확인 결과, 레이저 포인터가 포함되어 있다면 레이저 포인터의 위치 또는 이동 궤적에 따라, 적절한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S950).
사용자의 인식 방법이나 레이저 포인터의 인식 방법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9에서는 사용자인식 및 레이저 포인터 인식 단계를 모두 포함하는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인식만이 이루어지거나 레이저 포인터 인식만이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는, RAM(Random Access Memory), 플레시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CD-ROM 등과 같이, 단말기에서 판독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 촬영부 120 : 제어부
130 : 저장부 140 : 디스플레이부
150 : 파싱부 160 : 통신부

Claims (13)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화면 상에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을 촬영하는 촬영부;
    사용자 별로 매칭된 선호 특성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이미지에 사용자가 포함된 경우,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선호 특성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촬영된 이미지에 상기 화면을 향하는 레이저 포인터가 포함된 경우, 상기 레이저 포인터의 지정 위치 또는 이동 궤적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파싱하여 사용자 이미지를 검출하는 파싱부; 및
    상기 파싱부에 의해 검출된 사용자 이미지를 리모콘으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리모콘으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사용자의 선호 특성 정보에 따른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이미지 상에서, 상기 레이저 포인터에서 발사된 적외선 레이저가 표시된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이미지의 크기 및 상기 화면의 크기 간의 비율에 따라 상기 화면 상에서 상기 레이저 포인터가 지정한 지점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정된 지점에 커서를 표시하고, 상기 레이저 포인터의 이동 궤적에 따라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이미지 상에서 상기 레이저 포인터에서 발사된 적외선 레이저가 표시된 위치가 이동되면, 그 이동 궤적이 상기 저장부에 기 저장된 모션 정보에 매칭되는지 판단하고, 매칭되면 매칭되는 모션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특성 정보는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시청 빈도가 높은 선호 채널 정보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인식되면 상기 인식된 사용자에 대응되는 선호 채널을 바로 선국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특성 정보는,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시청 빈도가 높은 선호 채널 정보, 상기 인식된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시청하던 채널 정보, 상기 인식된 사용자가 기 설정한 볼륨 상태, 색상, 밝기, 콘트라스트, 화면 크기, 언어, 해상도, 선명도, 주파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화면 상에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방을 촬영하는 촬영부;
    사용자 별로 매칭된 선호 특성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파싱하여 사용자 이미지를 검출하는 파싱부;
    상기 사용자 이미지가 검출되면 상기 사용자 이미지에 대응되는 선호 특성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호 특성 정보는,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시청 빈도가 높은 선호 채널 정보, 상기 인식된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시청하던 채널 정보, 상기 인식된 사용자가 기 설정한 볼륨 상태, 색상, 밝기, 콘트라스트, 화면 크기, 언어, 해상도, 선명도, 주파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화면 상에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방을 촬영하는 촬영부;
    레이저 포인터의 모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파싱하여 상기 화면을 향하는 레이저 포인터가 인식하는 파싱부;
    상기 레이저 포인터가 인식되면, 상기 레이저 포인터의 지정 위치 또는 이동 궤적에 대응되는 모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모션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의 크기 및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이미지의 크기 간의 비율을 고려하여 상기 화면 상에서 상기 레이저 포인터가 지정하는 지점을 추정하고, 추정된 지점에 커서를 표시하며 상기 레이저 포인터의 이동 궤적에 따라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일 방향으로 컬러 레이저를 발산하는 제1 발산부;
    상기 컬러 레이저와 평행하게 적외선 레이저를 발산하는 제2 발산부;
    상기 제1 발산부 및 상기 제2 발산부를 각각 턴-온/턴-오프/홀드시키기 위한 제어버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리모콘.
  13.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이미지에 사용자가 포함된 경우,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선호 특성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이미지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향하는 레이저 포인터가 포함된 경우, 상기 레이저 포인터의 지정 위치 또는 이동 궤적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20110033484A 2011-04-11 2011-04-11 촬영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리모콘, 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1314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484A KR101314685B1 (ko) 2011-04-11 2011-04-11 촬영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리모콘, 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484A KR101314685B1 (ko) 2011-04-11 2011-04-11 촬영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리모콘, 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5898A true KR20120115898A (ko) 2012-10-19
KR101314685B1 KR101314685B1 (ko) 2013-10-07

Family

ID=47284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3484A KR101314685B1 (ko) 2011-04-11 2011-04-11 촬영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리모콘, 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468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366B1 (ko) * 2012-11-09 2014-04-04 주식회사 매크론 동작 인식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WO2014106991A1 (ko) * 2013-01-04 2014-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CN112462938A (zh) * 2020-11-24 2021-03-09 深圳市易平方网络科技有限公司 基于遥控器体态变化的交互控制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0981A (ja) * 2004-05-25 2005-12-08 Hitachi Ltd カーソル制御システム
KR100877506B1 (ko) * 2007-08-31 2009-01-07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레이저리모콘 및 이를 이용한 원격제어장치
KR20100056837A (ko) * 2008-11-20 2010-05-2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얼굴 인식을 통한 방송 프로그램 제공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366B1 (ko) * 2012-11-09 2014-04-04 주식회사 매크론 동작 인식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WO2014073903A1 (ko) * 2012-11-09 2014-05-15 주식회사 매크론 동작 인식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WO2014106991A1 (ko) * 2013-01-04 2014-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CN112462938A (zh) * 2020-11-24 2021-03-09 深圳市易平方网络科技有限公司 基于遥控器体态变化的交互控制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4685B1 (ko) 2013-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9681B2 (en) Augmented reality contents generation and play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731346B1 (ko) 멀티미디어 장치의 디스플레이화면 제공 방법 및 그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
EP245338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gesture recognition using object in multimedia device
EP2453388A1 (en) Method for user gesture recognition in multimedia device and multimedia device thereof
WO2012111272A1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CN103916592A (zh) 用于在具有照相机的便携式终端中拍摄肖像的设备和方法
US20120236180A1 (en) Image adjustment method and electronics system using the same
KR10215512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647969B1 (ko) 사용자 시선을 검출하기 위한 사용자 시선 검출 장치 및 그 방법과,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US20140324623A1 (en) Display apparatus for providing recommendation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KR101758271B1 (ko) 멀티미디어 장치의 사용자 제스쳐 인식 방법 및 그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
US20200068122A1 (en) Display device, system, and recording medium
US202200842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 icon position
KR20130088493A (ko) Ui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 수신 장치
US20150373283A1 (en) Photographing system, photograph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computer program
KR101314685B1 (ko) 촬영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리모콘, 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220889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채널 맵 관리 방법
CN114463358A (zh) 投屏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0620955B (zh) 直播系统及其直播方法
US955205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100858138B1 (ko) 원격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
US20220408138A1 (en) Mode switching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KR20120051213A (ko) 멀티미디어 장치의 영상촬영방법 및 그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
KR20170057056A (ko) 원격제어장치, 원격제어장치의 구동방법, 영상표시장치,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20130127841A1 (en) Three-dimensional (3d) imag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for 3d imaging and displaying contents according to start or end of op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