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5435A - 세탁장치 - Google Patents

세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5435A
KR20120115435A KR1020110031033A KR20110031033A KR20120115435A KR 20120115435 A KR20120115435 A KR 20120115435A KR 1020110031033 A KR1020110031033 A KR 1020110031033A KR 20110031033 A KR20110031033 A KR 20110031033A KR 20120115435 A KR20120115435 A KR 20120115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air
washing
lint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1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2033B1 (ko
Inventor
홍상욱
고철수
김효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1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033B1/ko
Priority to EP12767662.5A priority patent/EP2695986B1/en
Priority to CN201280010343.5A priority patent/CN103403246B/zh
Priority to PCT/KR2012/002558 priority patent/WO2012138136A2/ko
Priority to US13/985,519 priority patent/US9487906B2/en
Publication of KR20120115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5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8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disinfecting the tub or the dr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6Gaskets mounted between tub and casing around the loading ope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06F37/268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for suspension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06F37/269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for the bearing of the rotary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3Supply-air or gas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 세탁수가 수용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과, 상기 터브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와, 상기 공기공급장치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에 포함된 린트를 필터링하는 린트필터와, 상기 린트필터의 전면에 별도 공급되는 세척수를 다수의 노즐을 통하여 분배분사하여 상기 린트를 상기 린트필터와 분리하는 필터청소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세탁장치{LAUNDRY MACHINE}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압의 급수압력에도 린트필터를 청소할 수 있도록 한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장치는 유화작용과 펄세이터 또는 드럼의 회전에 따른 수류의 마찰작용 및 세탁물에 가하는 충격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및 침구 등에 부착된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제품이다. 최근에 등장하는 전자동 세탁장치는 중간에 사용자의 조작없이 세탁코스, 헹굼코스, 탈수코스 등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행정을 자동으로 진행한다.
또한, 건조 겸용세탁장치는 상술한 세탁장치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세탁물을 세탁 후 건조할 수 있는 세탁기의 일종이다. 이러한 건조 겸용 세탁장치는 터브 내부의 공기를 인출하여 응축용수에 의해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한 후 가열시켜 다시 터브로 투입하는 응축식 세탁건조기가 있다.
이에 종래 기술에 따른 응축식 건조 겸용 세탁장치를 간략히 설명하도록 한다. 건조 겸용 세탁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넷과, 캐비넷의 내부에 수용되는 터브와, 터브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과, 터브로부터 인출된 습기를 함유한 공기가 응축될 수 있도록 터브의 외부에 형성되는 응축덕트와,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응축덕트의 하류측에 연결되어 공기를 가열하여 터브의 내부로 제공하는 가열덕트와, 터브의 공기가 응축덕트 및 가열덕트를 따라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팬을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건조 겸용 세탁장치는 세탁물의 건조시 송풍기에 이동되는 공기가 가열덕트에 마련되는 히터에 의해 가열되고, 가열된 공기(열풍)는 커브의 내측으로 공급되어 드럼 회전과 열풍에 의해 세탁물을 건조한다.
이후 세탁물을 건조한 열풍은 세탁물의 건조에 따라 습한 공기로 변환되고 터브에서 응축덕트로 유입되어 응축덕트에서 습기가 제거되어 송풍기에 의해 다시 가열덕트로 공급 및 순환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세탁물의 건조시에 세탁물에 포함되어 있던 린트가 열풍과 함께 응축덕트를 통하여 유입되고 응축덕트, 송풍기, 가열덕트 등에 잔류할 수 있다. 이에 응축덕트에 잔류된 린트는 응축덕트의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송풍기에 잔류된 린트는 송풍기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으며, 가열덕트에 잔류된 린트는 가열덕트의 히터의 고장 또는 화재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응축덕트로 유입되는 열풍에 포함된 린트를 필터링하기 위한 린트필터가 반드시 필요하며, 린트필터의 유지관리 또한 중요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세탁물을 건조시킨 열풍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응축구조를 개선하여 응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세탁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열풍에 포함된 린트를 필터링하는 린트필터의 유지보수 구조를 개선한 세탁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세탁장치로 공급되는 급수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작을 경우 린트 필터의 청소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린트필터의 청소구조를 개선한 세탁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는 세탁수가 수용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과, 상기 터브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와, 상기 공기공급장치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에 포함된 린트를 필터링하는 린트필터와, 상기 린트필터의 전면에 별도 공급되는 세척수를 다수의 노즐을 통하여 분배분사하여 상기 린트를 상기 린트필터와 분리하는 필터청소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공급장치는 상기 터브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터브의 외주면 상에서 공기를 회수하고, 상기 터브의 전방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공급장치는 상기 터브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위치하는 공기회수구와, 상기 공기회수구 상부에 위치하고 공기를 이동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덕트와, 상기 가열덕트에서 가열된 공기를 터브의 전방으로 공급하는 공기토출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는 상기 터브의 내주면이 응축수가 응결되는 응축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터브의 내주면에 냉수를 공급하는 응축수 공급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린트필터는 상기 터브의 외주면의 연장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청소부는 상기 린트필터의 외측에서 상기 터브의 내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청소부는 세척수가 공급되는 세척수라인과, 상기 세척수라인에서 공급되는 세척수를 다수의 노즐을 통하여 상기 린트필터에 분사하는 분배노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배노즐은 상기 세척수라인에 연결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에 연결되며, 각기 다른 분사 각도를 갖는 다수의 노즐이 형성되는 분배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배부는, 상기 세척수가 이동되도록 일측이 폐쇄되고, 타측이 개방되는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노즐들은 상기 분배부의 중심을 축으로하여 각기 다른 분사각을 같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노즐들은 상기 분배부의 길이??향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노즐들은 상기 분배부의 길이??향으로 일정영역으로 구분되는 다수의 노즐영역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로부터 상기 구동모터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터브의 후방부를 실링하며, 상기 구동모터가 상기 터브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허용하는 후방가스켓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 체결되고, 상기 회전축에 직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럼을 지지하는 서스펜션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브는 상기 드럼이 상기 서스펜션유닛에 의해 지지되는 것보다 경직되게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에 따르면 세탁물을 건조한 열풍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응축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열풍에 함유된 습기의 응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에 따르면, 열풍에 포함된 린트를 필터링하는 린트필터의 유지보수를 위한 필터 청소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린트필터를 손쉽게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며에 따른 세탁장치에 따르면, 세탁장치로 공급되는 급수 압력이 설정압력보다 작을 경우에도 린트필터를 원활히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건조모듈 및 터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서스펜션은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터브와 서스펜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열풍 회수구 및 필터 세척부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분배노즐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7의 주요부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분배노즐의 분사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분배노즐의 다른 설치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에 정의된 각각의 명칭들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 될 수 있다.
먼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건조모듈 및 터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110)과, 캐비닛(110) 내부에 고정적으로 지지 설치되는 터브(120)와, 터브(120) 내부에 위치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130)과, 터브(120) 후방을 관통하여 드럼(130)에 연결되는 회전축(135)과, 회전축(135)을 지지하는 베어링하우징(140)과, 베어링하우징(140)에 마련되어 회전축(135)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141)와, 베어링하우징(140)에 결합되어 베어링하우징(140)에 연결된 구조물들을 지지함과 동시에 진동 및/또는 충격을 완충하는 서스펜션유닛(150)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100)는 건조 기능을 구형하기 위하여 터브(120)의 외측에 고정 설치되어 터브(120)의 내부로 공기를 가열하여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160)가 구비된다.
캐비닛(110)은 각 구성물이 지지 및 안착되는 베이스(118)와, 세탁물 투입을 위해 개구부(112)가 형성되는 전방패널(111)을 구비하며, 추가적으로 좌측패널(114), 우측패널(115), 후방패널(116) 및 탑패널(117)을 구비한다. 여기서, 전방패널(111)의 개구부(112)에는 개구부(112)를 폐쇄하기 위한 도어(113)가 마련된다.
또한, 캐비닛(110)의 내측 상부에는 외부의 수원으로부터 터브(120) 내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급수호스와, 급수호스 상에 설치되어 물의 출입을 제어하는 급수밸브와, 급수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세제와 함께 터브(120) 내부로 투입되도록 세제가 투입되는 세제공급장치(미도시)로 이루어진 급수부(127)가 마련된다. 그리고, 캐비닛(110)의 내측 하부에는 세탁 및 헹굼 등에 사용된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수호스와 배수펌프로이루어진 배수부(미도시)가 마련된다.
터브(1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부를 구성하는 프론트터브(121)와 후방부를 구성하는 리어터브(122)를 포함한다. 프론트터브(121)와 리어터브(122)는 나사등의 결합체에 의해 조립되며, 내부에 드럼(130)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프론트터브(121)는 전방 측으로 도어(113)와 연접하여 세탁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개구된 투입구(123)가 형성된다. 투입구(121a)의 내주면에는 터브(12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림부(121b)가 형성된다. 림부(121b)에는 후술할 공기공급장치(160)의 공기토출구(165)가 연결된다. 한편, 림부(121b)는 전방패널(111)에 형성된 개구부(112)와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전방가스켓(124)을 구비한다. 전방가스켓(124)은 터브(120)와 드럼(130)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더 수행한다.
그리고, 리어터브(122)는 후면이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리어터브(122)의 후면에는 후면을 폐쇄하기 위한 터브백월(125)과, 후방가스켓(126)을 구비한다. 후방가스켓(126)은 터브백월(125) 및 리어터브(122)와 각각 실링되도록 연결되어 터브 내의 세탁수가 누수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리어터브(120)의 외주면 일측에는 리어터브(120)의 내주면을 이용하여 응축수를 생성하기위한 응축수공급구(122a)가 형성된다. 응축수공급구(122a)로 공급되는 냉수에 의해 리어터브(120)의 내주면이 응축면(미도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리어터브(120)를 이용한 응축수 생성에 관해서는 공기공급장치(160)의 설명시 상세히 하도록 한다.
여기서, 터브백월(125)은 드럼(130) 회전시 드럼(130)과 함께 진동된다. 이때 리어터브(122)와 간섭되지 않도록 충분한 간격으로 리어터브(122)와 이격되어 있다. 후방가스켓(126)은 터트백월(125)과 리어터브(122) 사이에 위치하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터브백월(125)이 리어터브(122)에 간섭되지 않고 상대 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후방가스켓(126)은 터브백월(125)의 그러한 상대 운동을 허용하기 위해 충분한 길이로 연장될 수 있는 주름부를 가질 수 있다(도 2참고)
한편, 터브(120)는 캐비닛(110)의 베이스(118)에 마련된 서포터(118a, 118b)에 의해 수직 상방향으로 지지됨과 동시에 별도의 결합체(예를 들어 스크류 나사,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된다. 추가적으로 캐비닛(110)의 전방패널(111) 및 후방패널(116) 또는 좌측패널(114), 우측패널(115)에 도시되지 않은 결합체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공기공급장치(160)는 터브(120)의 상부에 마련되며 세탁장치(100)의 건조행정 시 터브(120) 내부의 공기를 순환 및 가열시킨다. 즉, 공기공급장치(160)는 터브(120) 내부의 공기를 인출한 후 가열하여 다시 터브(120)로 유입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공기공급장치(160)는 터브(120)의 외주면 측면에 형성되는 공기회수구(161), 공기회수구(161)를 통하여 공기를 회수 및 이동시키기 위한 송풍팬(163), 송풍팬(163)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덕트(164), 가열덕트(164)에서 가열된 공기를 터브(120)로 안내하는 공기토출구(165)를 구비한다.
여기서, 공기회수구(161)는 터브(120)의 외주면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또한, 공기회수구(161)의 내측면에는 터브(120)의 외주면을 따라 세탁물의 건조시 발생하는 린트를 필터링하기 위한 린트필터(162)가 마련된다. 공기회수구(161)의 내측에는 후술할 필터세척부(170)가 마련된다(도 6참고).
한편, 공기회수구(161)의 일측에는 상술한 응축수공급구(122a)가 위치한다. 세탁장치(100)의 건조행성시 응축수공급구(122a)로 냉수가 공급됨에 따라 공급되는 냉수가 터브의 내부면을 따라 흐르게 된다. 동시에 공기회수구(161)로 세탁물을 건조한 습한 공기가 이동되면서 냉수가 흐르는 터브(120)의 응축면에서 응축수가 형성된다. 이러한 터브(120) 내부면을 이용한 응축수 생성은 기존의 응축덕트를 이용한 응축수 생성구조보다 넓은 면적을 이용하여 응축수를 생성할 수 있어 응축수 생성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송풍팬(163)은 공기회수구(161)의 상측에 마련된다. 송풍팬(163)의 작동에 따라 터브(120)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며 가열덕트(164) 측으로 이동된다. 한편 가열덕트(164)는 송풍팬(163)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을 생성한다. 가열덕트(164)에서 가열된 공기는 공기토출구(165)에 의해 터브(120) 내부로 공급되어 세탁물을 건조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공기공급장치(160)에서 공기회수구(161)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린트를 필터링하는 린트필터(162)는 장기간 사용시 필터링된 린트를 제거하는 유지보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공기회수구(161)의 내측에는 린트필터(162)를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하여 린트필터(162)에 필터링된 린트를 제거하는 필터세척부(170)가 마련된다. 필터세척부(170)에 대해서는 세탁장치의 구성 설명 이후에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시 도 1 내지 2를 참고하여 세탁장치의 나머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드럼(130)은 프론트드럼(131), 센터드럼(137), 리어드럼(132) 등으로 구성된다. 프론트드럼(131) 및 리어드럼(132)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는 드럼의 회전시 드럼(130)의 진동을 억제하기 위해 밸런싱 작용을 하는 웨이트 밸런서(134)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센터드럼(137)의 내측면에는 세탁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리프트(133)가 구비된다.
한편, 리어드럼(132)은 스파이더(136)와 연결되며, 스파이더(136)는 회전축(135)과 연결된다. 드럼(130)은 회전축(135)을 통해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터브(120) 내에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회전축(135)은 터브백월(125)을 관통하여 구동모터(141)와 직결식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구동모터(141)의 로터와 회전축(135)이 직결된다. 터브백월(125)의 후면에는 후술할 베어링하우징(140)에 결합된다.
베어링하우징(140)은 구동모터(141)와 터브백월(125) 사이에서 회전축(135)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베어링하우징(140)은 베이스(118)로부터 서스펜션유닛(150)을 통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한편, 베어링하우징(140)의 일면에는 터브(120)의 후면에 위치한 터브백월(125)에 결합된다. 베어링하우징(140)의 내측으로 드럼(130)에 결합된 회전축(135)이 관통한다. 베어링하우징(140)은 회전축(135)이 원활히 회전되도록 베어링(미도시)이 구비되고 회전축(135)은 베어링(미도시)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베어링하우징(140)의 타면에는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41)가 체결된다.
또한, 베어링하우징(140)의 좌우 양측 반경방향으로 제 1연장부(142) 및 제 2연장부(144)가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제 1연장부(142) 및 제 2연장부(144)에는 각각 서스펜션유닛(150)이 체결되며, 베어링하우징(140)은 서스펜션유닛(150)을 통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유닛의 결합상태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서스펜션을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터브와 서스펜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서스펜션유닛(150)은 베어링 하우징의 제 1, 2연장부(142, 144)에 각각 연결되는 제 1, 2웨이트(143, 145)와, 제 1, 2웨이트(143, 145)에 연결되는 제 1, 2서스펜션브라켓(151, 154)과, 제 1, 2서스펜션브라켓(151, 154) 및 베어링하우징(140)에 연결되어 베어링하우징(14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 1, 2, 3스프링댐퍼(152, 155, 157), 제 1, 2댐퍼(153, 156)를 구비한다.
제 1, 2웨이트(143, 145)는 드럼(130)에 세탁물이 수용될 경우 무게 중심을 잡아 주는 역할하며, 또한 드럼(130)이 진동하는 그 진동계에 있어서 매스(Mass) 역할을 하기도 한다.
제 1스프링댐퍼(152)는 제 1서스펜션브라켓(151)과 베이스(118) 사이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 2스프링댐퍼(155)는 제 2서스펜션브라켓(154)과 베이스(118) 사이에 연결된다. 제 3스프링댐퍼(157)는 베어링하우징(140)과 베이스(118) 사이에 직접 연결된다. 각 스프링댐퍼(152, 155, 157)들에 의해 후방에 1개소, 전방 좌우에 2개소에서 완충지지되는 형태이다.
제 1댐퍼(153)는 제 1서스펜션브라켓(151)과 베이스(118) 후방부 사이에서 경사지게 설치되며, 제 2댐퍼(156)는 제 2서스펜션브라켓(154)과 베이스 후방부 사이에서 경사지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2웨이트(143, 145), 제 1, 2서스펜션브라켓(151, 154), 제 1, 2스프링댐퍼(152, 155) 및 제 1, 2댐퍼(153, 156)는 드럼(13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며, 각 댐퍼들은 베이스(118)에 별도의 고무부싱을 매개로 해서 연결되어 소정의 각도로 틸트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드럼(130) 및 베어링하우징(140)은 제 1, 2서스펜션브라켓(151, 154), 제 1, 2, 3스프링댐퍼(152, 155, 157)에 의해 터브(120)내에서 부양되어 지지된다.
구동모터(141)는 베어링하우징(140)의 후면에 체결되고 회전축에 직결된다. 구동모터(141)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에 의해 그 속도가 제어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구동모터(141)의 구조, 종류에 대해서는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100)의 필터세척부(17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세탁장치(100)의 경우 설치 장소에 따라 세탁장치(100)로 공급되는 급수압력이 크게 차이가 나는 경우가 발생한다. 통상적으로 세탁장치(100)가 설치되는 장소의 세탁수 급수압은 보통 2.5~4bar정도의 압력을 갖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세탁을 위한 세탁수 급수압력 및 필터 세턱을 위한 세척수 급수압력을 만족하기 때문에 정상적인 작동을 수행 할수 있다. 하지만 세탁장치(100)의 설치위치가 정상적이 급수압력에 미치지 못하고 1bar이하의 급수압력을 갖을 경우 세탁을 위한 급수시간이 매우 길어지거나, 필터 세척을 위한 분사 압력이 부족하여 원활한 필터 세척이 불가능해 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은 세탁장치(100)로 급수되는 급수 압력이 정상압력에 미치지 못하는 0.3~1bar 범위의 급수압력에서도 필터 세척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필터세척부(17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열풍 회수구 및 필터 세척부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터브(120)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공기회수구(161)의 내측에는 세탁물의 건조를 위하여 열풍을 공급 및 순환시킬 때 발생되는 린트를 필터링하기 위한 린트필터(162)와, 린트필터(162)를 청소하기 위한 필터세척부(17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세척부(170)는 린트필터(162)의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린트필터(162)에 필터링된 린트를 터브(120)의 내측으로 떨어뜨리기 위한 것이다.
한편 필터세척부(170)는 세척수를 공급한기 위한 세척수라인(172)과, 세척수라인(172)에서 공급되는 세척수를 분배하여 린트필터(162)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배노즐(200)을 구비한다.
여기서, 세척수라인(172)은 상술한 급수부(127)에서 분기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급수부(127)의 세탁수 급수에 따라 동시에 세척수를 공급하여 필터세척부(170)에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르게는 급수부(127)의 세탁수 급수와 별도로 세척수의 공급제어를 위한 별도의 세척수밸브가 마련되어 세탁수의 급수와 별도로 세척수를 급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세척수라인(172)은 터브(120)에 형성되는 공기회수구(161)의 측면을 관통하여 공기회수구(161) 내부에 그 단부가 위치된다.
본 발명의 필터세척부(170)의 경우 세탁장치(100)의 설치장소의 급수압이 비교적 낮은 압력(약 0.3~1bar)일 경우 적용되는 것이다. 하지만 급수압력이 정상압력(약 2.5~4bar)이거나 그 이상일 경우에는 압력을 낮추기 위한 별도이 감압밸브(미도시)가 추가로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분배노즐(200)은 공기회수구(161)의 내측에 고정됨과 동시에 세척수라인(172)과 연결된다. 이러한 분배노즐(200)에 대하여 도 7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분배노즐을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8a는 도 7의 A-A'선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b는 도 7의 B-B'선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c는 도 7의 C-CA'선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배노즐(200)은 공기회수구(161) 내측에 고정됨과 동시에 세척수라인(172)이 연결되는 체결부(210)와, 체결부(210)에 결합되며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다수의 노즐이 형성되는 분배부(230)를 구비한다. 여기서, 분배부(230)와 체결부(210)에는 연통되는 중공(213)이 형성된다.
체결부(210)의 구조를 살펴보면, 체결부(210)는 중공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으로 일측은 세척수라인(172)이 연결되는 라인체결부(21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분배부(230)가 결합되는 전방체결리브(214)가 형성된다. 또한 전방체결리브(214)의 표면에는 후술할 분배부(230)의 삽입돌기(233)가 삽입되는 삽입홈(215)이 형성된다. 그리고, 라인체결부(217)와 전방체결리브(214)의 사이에는 공기회수구(161)의 내벽에 부착되기 위한 고정리브(220)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체결부(210)의 내부에는 세척수가 통과하기 위한 중공(213)이 형성된다. 중공(213)은 5~15mm의 직경을 갖으며, 바람직하게는 9mm내외로 형성된다. 이러한 중공(213)의 지름은 후술할 분배부(230)의 중공(231)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한편, 분배부(230)는 중공(231)이 형성되는 관형태로 일측은 폐쇄되고, 타측은 개방된다. 개방측은 체결부(210)의 전방체결리브(215)에 결합되는 체결리브(232)가 형성된다. 또한 분배부(230)의 길이 방향으로 분배부(230)의 중공(231)으로 유입되는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다수의 노즐(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된다. 여기서 다수의 노즐은 분배부(230)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하여 각각 다른 각도로 형성된다. 또한, 다수의 노즐들은 분배부(23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대칭되는 형태로 양측에 동일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분배부(230)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경우 분배부(230)의 개방단측에서 유입되어 폐쇄단측으로 이동된다. 또한 분배부(230)에 다수의 노즐들이 형성됨에 따라 공급되는 세척수의 압력은 분배부(230)의 폐쇄부측으로 이동될수록 압력이 저하되는 형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분배부(230)에 의해 분배되는 세척수사 린트필터(162)의 전면에 고르게 분배되기 위해서는 분배부(230)이 중공 지름, 노즐의 개수, 노즐의 지름, 노즐의 분사 각도, 노즐간의 거리가 매우 중요한 설계요소로 결정된다.
본원 발명의 경우 분배부(230)의 중공 지름의 경우 체결부와 동일한 5~15mm의 직경을 갖는다고 하였음으로 분배부(230)의 중공(231)의 지름에 따른 노즐의 개수, 노즐의 지름, 노즐의 분사 각도, 노즐간의 거리가 중요한 설계변수가 될 것이다.
여기서, 노즐의 지름은 1~4mm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약 2mm내외로 형성된다. 이러한 노즐은 지름의 경우 분배부(230)의 중공 지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경우 다수의 노즐에서 고르게 분사가 되지 않고, 노즐의 지름이 분배부(230)의 중공 지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경우 배관압이 증가되고, 가공상의 어려움이 발생한다.
또한, 각 노즐간의 거리는 노즐의 지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가깝게 형성될 경우 인접한 노즐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와의 간섭에 의해 고르게 분사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최소 5mm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노즐의 개수는 필터세척부(170)에 의해 청소되는 린트필터(162)의 면적에 비례하여 증감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노즐의 설계 조건에 따르면 노즐 한 개당 청소 면적은 약 9㎠정도로 형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의 린트필터(162)의 면적은 270㎠로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분배부(230)에 형성되는 노즐의 개수는 30개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노즐은 각기 다른 분사각도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제조의 용이성을 위하여 특정 영역별로 구분되어 다른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5노즐영역(A1, A2, A3, A4, A5)으로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1노즐영역(A1)의 경우 분배부(230)의 폐쇄단 끝단부측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제 5노즐영역(A5)의 경우 분배분의 개방단 끝단부측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제 2, 3, 4노즐영역(A2, A3, A4)의 경우 제 1노즐영역(A1)과 제 5노즐영역(A5) 사이에 균일한 간격 및 각도를 갖고 위치한다.
한편, 제 1노즐영역(A1)이 위치하는 분배부(230)의 폐쇄단 끝단의 경우 공급되는 세척수의 압력이 가장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압력저하로 인하여 제 1노즐영역(A1)에 형성되는 노즐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는 분사영역이 매우 짧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 1노즐영역(A1)에 형성되는 노즐들의 경우 분배부(230)의 중심을 기준으로 다소 높은 각도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 5노즐영역(A5)이 위치하는 분배부(230)의 개방단 끝단의 경우 공급되는 세척수의 압력이 가장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압력 상승에 의해 제 5노즐영역(A5)에 형성되는 노즐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는 분사영역이 매우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불필요하게 넓은 범위로 세척수가 분사될 수 있다. 따라서 제 5노즐영역(A5)에 형성되는 노즐들의 경우 분배부(230)의 중심을 기준으로 다소 낮은 각도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제 2, 3, 4노즐영역(A2, A3, A4)에 형성되는 노즐들의 경우 제 1노즐영역(A1)과 제 5노즐영역(A5)에 형성되는 노즐들의 분사각도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노즐의 개수, 노즐의 지름, 노즐간의 거리 등은 실제 청소를 수행하여야할 린트필터(162)의 면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노즐의 개수, 노즐의 지름, 노즐간의 거리 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제 1~5노즐영역(A1, A2, A3, A4, A5)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각 노즐영역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분배부(230)의 길이 및 린트필터(162)의 면적에 따라 증감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확산노즐의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분배노즐의 분사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필터세척부(170)에 의하면, 세척수급수라인(172)으로 공급되는 세척수는 체결부(210)의 중공(231)을 통하여 공급되면서 분배부(230)로 이동되면서 분배부(230)에 형성되는 제 1~5노즐영역(A1, A2, A3, A4, A5)에 형성된 노즐들에 의해 분사되면서 린트필터(162)로 세척수가 분사된다.
이때, 분배부(23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는 분배부(230)의 제 1~5노즐영역(A1, A2, A3, A4, A5)에 형성된 노즐들의 지름, 개수, 분사각도 등에 의해 린트필터(162)의 전체 면적에 세척수를 분사하면서 린트필터(162)를 청소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필터세척부(170)의 분배노즐(200)은 린트필터(162)의 설치상태와 상관없이 수평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하지만 다르게는 린트필터(162)의 설치방향에 나란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같이 린트필터(162)가 터브(120)의 외주면상에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경우 필터세척부(170)의 분배노즐(200)은 린트필터(162) 중심부의 접선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될 수 도 있다.(도 10참고)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필터세척부(170) 및 분배노즐(200)에 의하면 저압의 급수압에서도 넒은 면적으로 세척수가 분사되어 린트필터(162)에 고착된 린트들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110 : 캐비닛 120 : 터브
130 : 드럼 140 : 베어링하우징
150 : 서스팬션유닛 160 : 공기공급장치
170 : 필터세척부 200 : 분배노즐
210 : 체결부 230 : 분배부

Claims (15)

  1. 세탁수가 수용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과,
    상기 터브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와,
    상기 공기공급장치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에 포함된 린트를 필터링하는 린트필터와,
    상기 린트필터의 전면에 별도 공급되는 세척수를 다수의 노즐을 통하여 분배분사하여 상기 린트를 상기 린트필터와 분리하는 필터청소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장치는
    상기 터브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터브의 외주면 상에서 공기를 회수하고, 상기 터브의 전방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장치는
    상기 터브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위치하는 공기회수구와,
    상기 공기회수구 상부에 위치하고 공기를 이동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덕트와,
    상기 가열덕트에서 가열된 공기를 터브의 전방으로 공급하는 공기토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상기 터브의 내주면이 응축수가 응결되는 응축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터브의 내주면에 냉수를 공급하는 응축수 공급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필터는
    상기 터브의 외주면의 연장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청소부는
    상기 린트필터의 외측에서 상기 터브의 내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청소부는
    세척수가 공급되는 세척수라인과,
    상기 세척수라인에서 공급되는 세척수를 다수의 노즐을 통하여 상기 린트필터에 분사하는 분배노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노즐은
    상기 세척수라인에 연결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에 연결되며, 각기 다른 분사 각도를 갖는 다수의 노즐이 형성되는 분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부는,
    상기 세척수가 이동되도록 일측이 폐쇄되고, 타측이 개방되는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노즐들은 상기 분배부의 중심을 축으로하여 각기 다른 분사각을 같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노즐들은 상기 분배부의 길이??향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노즐들은 상기 분배부의 길이??향으로 일정영역으로 구분되는 다수의 노즐영역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에 연결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하우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와,
    상기 베어링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드럼의 진동을 감소시키는 서스펜션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에 연결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하우징, 및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터브 내의 세탁수가 상기 구동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실링하되, 상기 구동부가 상기 터브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구동부 및 터브 사이를 유연하게 연결하는 유연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을 지지하는 서스펜션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브는 상기 드럼이 상기 서스펜션유닛에 의해 지지되는 것보다 경직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에 연결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하우징과,
    상기 베어링하우징에 체결되고, 상기 회전축에 직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KR1020110031033A 2011-04-05 2011-04-05 세탁장치 KR101422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033A KR101422033B1 (ko) 2011-04-05 2011-04-05 세탁장치
EP12767662.5A EP2695986B1 (en) 2011-04-05 2012-04-05 Laundry machine and method for cleaning lint filter of laundry machine
CN201280010343.5A CN103403246B (zh) 2011-04-05 2012-04-05 衣物处理装置及衣物处理装置的纤维屑滤网清洗方法
PCT/KR2012/002558 WO2012138136A2 (ko) 2011-04-05 2012-04-05 의류 처리장치 및 의류 처리장치의 린트필터 세척방법
US13/985,519 US9487906B2 (en) 2011-04-05 2012-04-05 Laundry machine and method for cleaning lint filter of laundry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033A KR101422033B1 (ko) 2011-04-05 2011-04-05 세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5435A true KR20120115435A (ko) 2012-10-18
KR101422033B1 KR101422033B1 (ko) 2014-07-23

Family

ID=47284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1033A KR101422033B1 (ko) 2011-04-05 2011-04-05 세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20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596B1 (ko) * 2014-03-11 2015-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CN105970445A (zh) * 2016-07-19 2016-09-28 江苏宇顺纺织有限公司 一种可重复使用的喷水织机用水箱
US9797080B2 (en) 2012-04-06 2017-10-24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07105B2 (ja) * 2003-02-28 2009-08-05 三洋電機株式会社 ランドリー機器
JP2006187449A (ja) * 2005-01-06 2006-07-20 Toshiba Corp 洗濯乾燥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97080B2 (en) 2012-04-06 2017-10-24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machine
US10513813B2 (en) 2012-04-06 2019-12-24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1481596B1 (ko) * 2014-03-11 2015-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CN105970445A (zh) * 2016-07-19 2016-09-28 江苏宇顺纺织有限公司 一种可重复使用的喷水织机用水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2033B1 (ko) 201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85560C1 (ru) Машин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EP2695986B1 (en) Laundry machine and method for cleaning lint filter of laundry machine
RU2578117C1 (ru) Машин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ею
KR101349844B1 (ko)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AU2013223005B2 (en)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1461979B1 (ko) 의류 처리장치
KR101481596B1 (ko) 의류 처리장치
KR20120115435A (ko) 세탁장치
KR20120108168A (ko) 의류 처리장치
KR20180048513A (ko) 의류 처리장치
KR101498081B1 (ko) 세탁장치
KR20120118196A (ko) 세탁장치의 린트필터 세척방법
KR20130114780A (ko) 세탁장치 및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20120109818A (ko) 세탁장치
KR20140102169A (ko) 의류 처리장치
KR101476215B1 (ko) 세탁장치
KR101481597B1 (ko) 의류 처리장치
KR20120040382A (ko) 건조겸용 세탁장치
KR20120118197A (ko) 세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