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5055A - 자동 윈치 걸이대 - Google Patents

자동 윈치 걸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5055A
KR20120115055A KR1020110043791A KR20110043791A KR20120115055A KR 20120115055 A KR20120115055 A KR 20120115055A KR 1020110043791 A KR1020110043791 A KR 1020110043791A KR 20110043791 A KR20110043791 A KR 20110043791A KR 20120115055 A KR20120115055 A KR 20120115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support
present
winch
automatic wi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3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완곤
Original Assignee
오완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완곤 filed Critical 오완곤
Publication of KR20120115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50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jibs supported by columns, e.g. towers having their lower end mounted for slewing movements
    • B66C23/166Simple cranes with jibs which may be fixed or can slew or lu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 B66C23/202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from below, e.g. by floors of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for use on building sites; constructed, e.g. with separable parts,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for operation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for transport by road or rail
    • B66C23/2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for use on building sites; constructed, e.g. with separable parts,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for operation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for transport by road or rail constructed to operate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 B66C23/3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for use on building sites; constructed, e.g. with separable parts,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for operation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for transport by road or rail constructed to operate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with frameworks composed of telescop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08Winches, capstans or pivots with devices for paying out or automatically tightening the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윈치 걸이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어컨 실외기 뿐만 아니라 다양한 하중있는 물체를 고층부로 쉽게 올릴 수 있도록, 설치 및 동작이 용이하고, 그 운반 및 보관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윈치 걸이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윈치 걸이대{WINCH SUPPORTING DEVICE}
본 발명은 자동 윈치 걸이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어컨 실외기 뿐만 아니라 다양한 하중있는 물체를 고층부로 쉽게 올릴 수 있도록, 설치 및 동작이 용이하고, 그 운반 및 보관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윈치 걸이대에 관한 것이다.
에어컨은 외부에 실외기를 필요로 하는데, 이는 압축기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를 주위의 공기나 냉각수에 열교환을 시켜, 기체 냉매의 열을 방출하여 응축 액화하는 장치를 말한다.
아파트 등의 공동 주택에서는 에어컨 실외기를 설치하는 장소로 베란다를 많이 이용한다. 베란다에 에어컨 실외기를 설치하는 경우, 사람이 직접 옮겨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데, 두 사람 이상이 에어컨 실외기를 잡고 들어 올리기에는 너무 많은 노력이 소모된다.
또한, 에어컨 실외기를 손을 이용하여 직접 나르는 경우에는 허리에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고, 운반 도중 실외기를 지상으로 떨어뜨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파트 베란다 등에 에어컨 실외기를 설치하는 경우, 이를 쉽게 고층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자동 윈치 걸이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윈치 걸이대는 에어컨 실외기 뿐만 아니라 다양한 하중있는 물체를 고층부로 쉽게 올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반 및 보관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윈치 걸이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1 부재(10)와 상기 제1 부재에 대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2 부재(20)를 포함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바닥면과 접촉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하부 고정부(31)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천정면과 접촉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상부 고정부(32)와, 상기 몸체부에 접이식으로 제공되는 지지대(40)와, 상기 지지대(40)에 제공되는 윈치부(1)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고정부(32) 및 상기 하부 고정부(31)가 각각 천정면과 바닥면을 향하는 반력에 의해 상기 몸체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몸체부는 특정 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 상기 상부 고정부(32) 및 상기 하부 고정부(31)와의 거리가 동시에 멀어지도록 제공되고, 상기 몸체부에는 회전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접이식 잡이부(12)가 더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40)는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윈치 걸이대는 에어컨 실외기 뿐만 아니라 다양한 하중있는 물체를 고층부로 쉽게 올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반 및 보관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아파트 베란다 등에 에어컨 실외기 및 기타 무거운 하중을 가지는 물체를 올리는 경우 설치 및 동작이 쉽도록 하여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자동 윈치 걸이대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윈치 걸이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윈치 걸이대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윈치 걸이대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윈치 걸이대의 접이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윈치 걸이대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윈치 걸이대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윈치 걸이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 1 내지 도 4에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윈치 걸이대의 사시도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윈치 걸이대의 정면도를,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윈치 걸이대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윈치 걸이대의 접이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부재(10)와 상기 제1 부재(10)에 대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2 부재(20)를 포함하는 몸체부가 제공된다. 제2 부재(20)는 제1 부재(10)의 내부에 삽입되고 자유로이 슬라이딩 운동을 하도록 제공되어 전체 길이가 조절된다. 다만, 제1 부재(10) 및 제2 부재(20)에는 서로 홀(22)이 형성되어 있고, 두 개의 부재의 홀을 일치시킨 후에 이에 결합 부재(16)를 끼움으로써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결합 부재(16)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고, 도면에 도시된 것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대략적으로는 결합 부재(16)가 제1 부재(10)의 지지대(15)에 스프링 부재(17)를 통해 제공되어 있고, 결합부재(16)를 바깥 방향으로 잡아당긴 후에 두 개의 홀을 맞추고, 결합 부재(16)를 놓게 되면 두 개의 구멍에 동시에 삽입되어 제1 부재(10) 및 제2 부재(20)가 고정되는 원리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윈치 걸이대의 사용법은 일단 제1 부재(10) 및 제2 부재(20)의 조절을 통해 대략적으로 천장면과 바닥면의 이격된 길이를 맞추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정밀하게 천장면과 바닥면 사이에 자동 윈치 걸이대가 세워져서 고정되도록 길이를 조절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바닥면과 접촉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하부 고정부(31)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천정면과 접촉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상부 고정부(3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핵심은 상부 고정부(32) 및 하부 고정부(31)를 이용하여 몸체부와의 거리를 증대시키고, 상부 고정부(32) 및 하부 고정부(31)가 천정면 및 바닥면을 밀어내는 힘에 의해 몸체부를 천정면과 바닥면 사이에 고정시키는 것을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상부 고정부(32) 및 상기 하부 고정부(31)가 각각 천정면과 바닥면을 향하는 반력에 의해 상기 몸체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반력"이라 함은 각 고정부가 접하는 면을 밀어내는 힘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각각의 고정부는 몸체부와의 거리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각각의 고정부는 스크류 부재(33, 34)를 포함하고, 각 스크류 부재가 몸체부 내부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측면에 삽입되고, 회전을 통해서 길이가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는 특정 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 상기 상부 고정부(32) 및 상기 하부 고정부(31)와의 거리가 동시에 멀어지도록 제공되고, 상기 몸체부에는 회전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접이식 잡이부(12)가 더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잡이부(12)를 통해 몸체부를 특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각각의 고정부와의 거리가 멀어지는(길어지는) 효과를 두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몸체부와 각 고정부의 거리를 조절하여 천정면과 바닥면 사이에 끼워 고정되는 것에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몸체부에 접이식으로 제공되는 지지대(40)와, 상기 지지대(40)에 제공되는 윈치부(1)를 포함한다.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지지대(40)의 끝단에는 윈치부(1)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위치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윈치부(1)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는 와이어(2)가 제공되어 하중이 있는 물건을 들어올리는 역할을 수행한다. 지지대(40)에는 고정 부재(45)를 두고, 이에 윈치부(1)를 고정하게 된다.
지지대(40)의 일단은 몸체부의 상측과 연결된다. 몸체부의 상측에는 별도의 부재(11)를 두고, 이에 지지대(40)를 회동가능하도록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별도의 부재(11)는 몸체부에 대하여 회동가능하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지지대(40)는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대(40)에는 지지부재(42)가 지지대(40)에 회동가능하도록 제공되고, 타측에는 걸이홈을 둔다. 별도의 부재(11)에는 걸이홈이 걸어져서 상기 지지대(40)가 고정되도록 제공되는 걸이부(43)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이부(43)의 위치를 다양하게 하여 지지대(40)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윈치 걸이대가 회전을 통하여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윈치 걸이대를 운반이 용이하도록 접은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이동이 편하도록 부피를 최소화하여 각 구성부분이 접힐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의 자동 윈치 걸이대의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차이가 있다면, 별도의 부재(11)를 호형상의 부재(50)로 대체하고, 호형상의 부재(50)에 지지대(40)와의 결합을 위한 홀(51)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홀(51)을 위치에 따라 복수개 제공함으로써, 지지대(40)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결합부재(56)의 구조 및 원리에 대해서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호형상의 부재(50)는 몸체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지대(40)의 다른 끝단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소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고정부(32)는 스크류 부재(34)가 몸체부(10)에 연결되고, 상기 스크류 부재(34)가 상기 호형상의 부재(50)를 관통하여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도 6을 통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도면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부 고정부(32) 및 하부 고정부(31)와 몸체부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쓰러스트 베어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를 통해 미세 높이 조절시 돌아가지 않는 현상을 막는 베어링으로, 상하로 받는 압력이 높아져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가지고 있다면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가 정해짐을 밝혀둔다.
1 : 윈치부, 10 : 제1 부재, 12 : 잡이부, 20 : 제2 부재, 31 : 하부 고정부, 32 : 상부 고정부, 40 : 지지대

Claims (3)

  1.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에 대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바닥면과 접촉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하부 고정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천정면과 접촉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상부 고정부와,
    상기 몸체부에 접이식으로 제공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제공되는 윈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고정부 및 상기 하부 고정부가 각각 천정면과 바닥면을 향하는 반력에 의해 상기 몸체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윈치 걸이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특정 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 상기 상부 고정부 및 상기 하부 고정부와의 거리가 동시에 멀어지도록 제공되고,
    상기 몸체부에는 회전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접이식 잡이부가 더 제공되는,
    자동 윈치 걸이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상기 몸체부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윈치 걸이대.
KR1020110043791A 2011-04-08 2011-05-11 자동 윈치 걸이대 KR201201150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447 2011-04-08
KR20110032447 2011-04-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5055A true KR20120115055A (ko) 2012-10-17

Family

ID=47284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3791A KR20120115055A (ko) 2011-04-08 2011-05-11 자동 윈치 걸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5055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30606A (zh) * 2015-06-30 2015-09-23 崔建国 空调安装架
CN105201190A (zh) * 2015-10-15 2015-12-30 成都毅诚机电工程有限公司 一种空调安装架
CN107601295A (zh) * 2017-07-27 2018-01-19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清远供电局 一种转运气瓶升降装置
CN108999458A (zh) * 2018-08-17 2018-12-14 国家电网有限公司 电力双横担总成整体安装设备及方法
KR20190076823A (ko) * 2017-12-22 2019-07-02 박영태 실외기 외부 설치용 기중기
CN110498368A (zh) * 2019-08-27 2019-11-26 邱沅 一种高稳定性空调外机安装辅助装置
KR20200030290A (ko) 2018-09-12 2020-03-20 김대영 에어컨 실외기 운반장치
CN111994804A (zh) * 2020-08-24 2020-11-27 陈和东 用于高层建筑墙外安装空调外机的吊运方法
CN112010196A (zh) * 2020-08-24 2020-12-01 陈和东 一种高层建筑安装或拆卸空调外机吊运装置
KR20210093614A (ko) * 2020-01-20 2021-07-28 장선용 고정수단 장치를 구비한 핸드 크레인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30606B (zh) * 2015-06-30 2017-08-29 崔建国 空调安装架
CN104930606A (zh) * 2015-06-30 2015-09-23 崔建国 空调安装架
CN105201190A (zh) * 2015-10-15 2015-12-30 成都毅诚机电工程有限公司 一种空调安装架
CN107601295A (zh) * 2017-07-27 2018-01-19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清远供电局 一种转运气瓶升降装置
KR20190076823A (ko) * 2017-12-22 2019-07-02 박영태 실외기 외부 설치용 기중기
CN108999458A (zh) * 2018-08-17 2018-12-14 国家电网有限公司 电力双横担总成整体安装设备及方法
KR20200030290A (ko) 2018-09-12 2020-03-20 김대영 에어컨 실외기 운반장치
CN110498368A (zh) * 2019-08-27 2019-11-26 邱沅 一种高稳定性空调外机安装辅助装置
CN110498368B (zh) * 2019-08-27 2021-02-05 温州雪榕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高稳定性空调外机安装辅助装置
KR20210093614A (ko) * 2020-01-20 2021-07-28 장선용 고정수단 장치를 구비한 핸드 크레인
CN111994804A (zh) * 2020-08-24 2020-11-27 陈和东 用于高层建筑墙外安装空调外机的吊运方法
CN112010196A (zh) * 2020-08-24 2020-12-01 陈和东 一种高层建筑安装或拆卸空调外机吊运装置
CN111994804B (zh) * 2020-08-24 2022-12-20 北京承达智能科技有限公司 用于高层建筑墙外安装空调外机的吊运方法
CN112010196B (zh) * 2020-08-24 2023-01-20 安徽平天湖投资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高层建筑安装或拆卸空调外机吊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5055A (ko) 자동 윈치 걸이대
US8286926B1 (en) Collapsible leg assembly
US9144174B2 (en) Cable management arm assembly
US8038330B2 (en) Movable multi-directional light stand
EP2241796B1 (en) Movable multi-directional light stand
US8141827B2 (en) Tripod structure of stand
US8857347B1 (en) Foldable hanging table
US7665699B2 (en) Electronic device mounting bracket for a horizontal support
US20130153744A1 (en) Mounting bracket for air conditioner
US6695751B1 (en) Jogging machine having a jogging platform adjustable and foldable structure
US20110042333A1 (en) Tool holder
US8469077B1 (en) Portably engaged retractable sun shade
US20120162760A1 (en) Portable Projection Screen
US9981706B2 (en) Bicycle stand
KR101027077B1 (ko) 독서대를 구비하는 독서실용 책상
US8061537B2 (en) Tool holder
KR101347160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낚시 좌대용 다리기구
US20090242500A1 (en) Clothes-hanging device
US9737136B1 (en) Overhead support for viewing media
US201202560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grease gun
US20160220016A1 (en) Foldable support device
US9605817B1 (en) Folding illumination stand
KR200458059Y1 (ko) 랜턴걸이 지지대
KR102110154B1 (ko) 에어컨 실외기 운반장치
AU2009202610C1 (en) Movable multi-directional light st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