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4740A - 음료 추출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음료 추출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4740A
KR20120114740A KR1020110032457A KR20110032457A KR20120114740A KR 20120114740 A KR20120114740 A KR 20120114740A KR 1020110032457 A KR1020110032457 A KR 1020110032457A KR 20110032457 A KR20110032457 A KR 20110032457A KR 20120114740 A KR20120114740 A KR 20120114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beverage
hot water
valv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2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석종
심윤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인
Priority to KR1020110032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4740A/ko
Publication of KR20120114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47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7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ith ingredient-containing cartridges; Cartridge-perfor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92Means to read code provided on ingredient pod or cartrid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1Valves, e.g. drain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분말이나 차원료, 한약재 등이 충진된 캡슐을 이용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충진물의 특성에 따라 용해되거나 우려내는 적정한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음료 추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음료 추출장치는 충진물이 충진된 캡슐이 장착되는 트레이; 상기 캡슐의 내부에 온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캡슐의 상부를 개구하는 상부펀치; 음료가 토출되도록 상기 캡슐의 하부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하부펀치; 및 상기 개구부를 통과한 음료의 토출유로상에 구비되는 추출밸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료 추출장치 및 방법{EXTRACTION APPARATUS OF BEVERAGE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커피 분말이나 차 원료, 한약재 등이 충진된 캡슐을 이용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캡슐의 체적이나 충진물의 특성에 따라 용해되거나 우려내는 적정한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음료 추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를 제조하기 위한 일회용 팩으로서 캡슐이 사용되고 있다. 캡슐은 사용자가 정확한 커피의 양을 계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또한 커피 분말을 기밀상태로 보관하기 때문에 습기로부터 보호되어 커피 분말의 변질없이 장시간 보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향기밀봉(aroma-tight)방식으로 패키징되어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캡슐(1)은 상부가 개방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는 필터(20)와, 상기 몸체(10)의 내측 상부에 구비되며 관통공(31)이 형성된 시트(30)와, 상기 몸체(10)의 상부를 밀봉하는 커버(40)로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캡슐을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캡슐을 트레이에 로딩한 후, 사용자가 시작버튼을 누르면, 수조에서 물을 급수하고 히터가 물을 가열한다. 다음으로,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적정온도가 되면 캡슐 내부로 온수가 공급되며 캡슐 내부에 수용된 커피가 용해 또는 우려져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토출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커피 추출은 캡슐 내부로 온수가 공급되면 커피 분말에 온수가 흡수되어 낙하하는 커피를 취출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온수가 캡슐 내부에 머무르는 시간이 짧아 커피를 생성하는 충분한 시간을 갖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커피 분말의 충진양에 비해 추출되는 커피의 농도는 그에 못 미치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급수량의 제어가 되지 정확하지 않아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농도를 설정하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캡슐의 체적이나 충진물의 특성에 따라 용해되거나 우려내는 적정한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음료 추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음료 추출장치는 충진물이 충진된 캡슐이 장착되는 트레이; 상기 캡슐의 내부에 온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캡슐의 상부를 개구하는 상부펀치; 음료가 토출되도록 상기 캡슐의 하부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하부펀치; 및 상기 개구부를 통과한 음료의 토출유로상에 구비되는 추출밸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추출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 토출유로를 폐쇄하도록 작동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펀치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그 내부를 통해 온수가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음료 추출방법은 1) 트레이에 캡슐을 로딩하는 단계; 2) 상기 캡슐의 상부 및 하부를 각각 개구하는 단계; 3) 추출밸브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캡슐의 내부에 온수를 공급하는 단계; 4) 소정시간 상기 캡슐에 수용된 충진물을 용해하거나 우려내는 단계; 및 5) 상기 추출밸브를 개방하여 음료를 토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5)단계에서 설정된 농도에 맞게 온수를 추가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단계 전에, 상기 트레이에 상기 캡슐의 안착여부를 감지하는 단계가 더 부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3)단계 전에, 상기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가 더 부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료의 토출유로상에 밸브를 구비하여 충진물의 특성에 따라 용해되거나 우려내는 적정한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온수를 공급하는 유로상에도 밸브를 구비함으로써, 온수의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어 음료의 농도를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캡슐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종래 캡슐을 이용한 음료 추출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음료 추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음료 추출장치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캡슐은 커피 분말 뿐 아니라 차, 한방 기능성 건강 음료 원료, 한약재, 간식용 음료의 원료 등(이하, '충진물'이라고 한다)을 충진하고, 물 또는 기타 액체 등을 공급하여 커피나 차나 한약 또는 간식용 음료 등(이하, '음료'라고 한다)을 추출하기 위한 캡슐이다. 또한 충진물은 용해성 또는 비용해성을 가리지 않고, 또한 분말뿐 아니라 소정의 점도를 갖는 액상일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음료 추출장치(100)는 펌프(110)와, 히터(120)와, 급수밸브(140)와, 상부펀치(150)와, 트레이(T)와, 하부펀치(160)와, 추출밸브(180)를 포함한다.
상기 펌프(110)를 통해 물이 공급되면, 히터(120)에 의해 적정온도로 가열된다. 이와 같이 가열된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3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급수밸브(140)는 상기 온수가 캡슐(190) 내부로 공급될 때, 유량을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상부펀치(150)는 상기 캡슐(190)의 커버(192)를 개구하고, 분배판(193)상에 온수를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부펀치(150)는 중공관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를 통해 온수가 공급된다.
상기 트레이(T)는 캡슐(190)이 로딩되어 지지되는 수단이다.
상기 하부펀치(160)는 상기 캡슐(190)의 하면을 개구하여 생성된 음료를 토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추출밸브(180)는 상기 캡슐(190)의 하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과한 음료의 토출유로(170)상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급수밸브(140)와 추출밸브(180)는 솔레노이드 밸브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급수밸브(140)는 한 쌍의 코일(141,142)과, 상기 코일들 사이에서 전후진하는 코어(143)로 구성된다. 도 4의 (a)와 같이 상기 코일(141,142)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코어(143)가 유로(P)를 폐쇄하고(normal close), 도 4의 (b)와 같이 코일(141,142)에 전원이 인가되면 코어(143)가 후진하여 유로(P)를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도 4는 급수밸브를 도시한 것이지만, 추출밸브도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음료 추출장치의 작동상태 및 이를 이용한 음료 추출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음료 추출장치의 케이스에는 기능버튼으로 음료의 종류를 선택하는 버튼과, 농도를 대중소로 구분하는 버튼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사용자가 캡슐(190)을 트레이(T)에 로딩하면 상부펀치(150)가 캡슐(190)의 커버(192)를 개구하고 하부펀치(160)는 캡슐의 하면에 개구부를 형성한다. 이 상태에서 커피 또는 차 등의 음료를 선택하고, 농도를 선택하면, 제어부에서 캡슐의 체적 또는 음료의 특성에 따라 급수밸브(140)와 추출밸브(180)의 작동시간을 설정된 정보에 따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동신호가 인가되면, 트레이(T)에 캡슐(190)이 로딩되었는지를 감지하고, 캡슐이 로딩된 상태라면 펌프(110)가 작동하여 급수하게 되고, 급수되는 물은 히터(120)에 의해 가열된다. 온수의 온도가 적정하면 추출밸브(180)는 폐쇄된 상태에서 급수밸브(140)가 1차 개방되고, 음료의 종류(전용 캡슐의 체적)에 따라 급수밸브(140)의 개방시간이 설정되어 온수가 캡슐(190)로 1차 공급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캡슐(190)의 분배판(193)에 온수가 공급되면, 분배판(193)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온수가 균일하게 공급된다. 이렇게 공급된 온수는 충진물(P)을 용해하거나 우려낸 다음 부직포(194)와 필터(195)를 거쳐 캡슐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토출되는 것이다. 그러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온수가 공급된 후, 곧바로 음료가 토출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급수밸브(140)의 설정된 개방시간에 따라 급수밸브(140)가 폐쇄된 후, 충진물의 양과 종류 등에 따라 기 설정된 소정시간 동안 캡슐에 충진된 충진물이 온수에 용해되거나 우려내는 시간을 갖는다. 이 때, 추출밸브(180)는 여전히 폐쇄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음료가 토출되지 않고 충분히 용해되거나 우려지는 것이다.
다음으로, 충진물이 용해되거나 우려진 다음, 급수밸브(140)가 2차 개방되어 설정된 농도에 맞게 온수가 2차 공급된다. 급수밸브(140)가 2차 개방될 때, 추출밸브(180)도 동시에 개방되어 음료를 토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실시예 110: 펌프
120: 히터 130: 온도센서
140: 급수밸브 150: 상부펀치
160: 하부펀치 170: 토출유로
180: 추출밸브 190: 캡슐
192: 커버 193: 분배판
194: 부직포 195: 필터

Claims (8)

  1. 캡슐이 장착되는 트레이;
    상기 캡슐의 내부에 온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캡슐의 상부를 개구하는 상부펀치;
    음료가 토출되도록 상기 캡슐의 하부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하부펀치; 및
    상기 개구부를 통과한 음료의 토출유로상에 구비되는 추출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 토출유로를 폐쇄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펀치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그 내부를 통해 온수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장치.
  5. 1) 트레이에 캡슐을 로딩하는 단계;
    2) 상기 캡슐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개구하는 단계;
    3) 추출밸브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캡슐의 내부에 온수를 공급하는 단계;
    4) 소정시간 상기 캡슐에 수용된 충진물을 용해하거나 우려내는 단계; 및
    5) 상기 추출밸브를 개방하여 음료를 토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5)단계에서 설정된 농도에 맞게 온수를 추가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 전에, 상기 트레이에 상기 캡슐의 안착여부를 감지하는 단계가 더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 전에, 상기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가 더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방법.
KR1020110032457A 2011-04-08 2011-04-08 음료 추출장치 및 방법 KR201201147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457A KR20120114740A (ko) 2011-04-08 2011-04-08 음료 추출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457A KR20120114740A (ko) 2011-04-08 2011-04-08 음료 추출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740A true KR20120114740A (ko) 2012-10-17

Family

ID=47283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2457A KR20120114740A (ko) 2011-04-08 2011-04-08 음료 추출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47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4550B1 (ko) 음료 추출장치 및 방법
JP5793154B2 (ja) 加熱タンクへの水の自動送達を伴う飲料形成方法及び装置
RU2621390C2 (ru) Система и капсул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CA2748379C (en) Process of brewing tea leaves contained in a capsule
CA2943914C (en) Capsule machine and components
JP2015506782A (ja) 膨張チャンバを有する液体供給タンク
US10470604B2 (en) Delayed fill of beverage machine heater tank
JP2005230548A (ja) 少量と多量のコーヒー飲料を分配するシステム
JP2015533563A (ja) 飛散防止手段を有する飲料カプセル。
US9527717B2 (en) Beverage machine outlet
KR20120114741A (ko) 음료 추출장치 및 방법
KR20120117529A (ko) 음료 추출장치 및 방법
JP6141434B2 (ja) 安全機能を備えた飲料カプセル
JP2017537693A (ja) 飲み物を抽出するためのカプセル、装置および方法
KR101284566B1 (ko) 음료 추출장치 및 방법
KR101327549B1 (ko) 음료 추출장치 및 방법
KR20120114740A (ko) 음료 추출장치 및 방법
US202002534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brew parameters during dispensing
KR20120114739A (ko) 음료 추출장치 및 방법
KR101284549B1 (ko) 음료 추출장치 및 방법
EP3232879A1 (en) Method and device for brewing a beverage
RU2812802C1 (ru) Кофемашина и клап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ригодное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кофемашине
KR20120117473A (ko) 음료 추출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