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3854A - 3차원 촬영과 재생이 가능한 이동단말 - Google Patents

3차원 촬영과 재생이 가능한 이동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3854A
KR20120113854A KR1020110031506A KR20110031506A KR20120113854A KR 20120113854 A KR20120113854 A KR 20120113854A KR 1020110031506 A KR1020110031506 A KR 1020110031506A KR 20110031506 A KR20110031506 A KR 20110031506A KR 20120113854 A KR20120113854 A KR 20120113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image
camera units
camera
im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1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3739B1 (ko
Inventor
김희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1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3739B1/ko
Publication of KR20120113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3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43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three or more 2D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56Mixing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61Image signal generators with monoscopic-to-stereoscopic image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3차원 촬영과 재생이 가능한 이동단말이 개시된다. 이동단말의 후면에 서로 직교하여 배치되어,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4개의 카메라부와, 상기 4개의 카메라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중 적어도 2개의 영상을 합성하여 3차원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단말의 방향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4개의 카메라부로부터 수신하는 영상을 선택하여 합성하여 3차원 영상을 제공한다.

Description

3차원 촬영과 재생이 가능한 이동단말{MOBILE TERMINAL CAPABLE OF SHOOTING AND PLAYING TRIDIMENSIONALLY}
본 발명은 이동단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3차원으로 이미지를 촬영하고, 이를 3차원으로 재생할 수 있는 이동단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영화, 방송, 게임 등 각종 분야에서 화면을 3차원 영상으로 제공하는 기술이 급증하고 있다. 3차원 영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대상을 카메라 두 대로 동시에 촬영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사물의 원근감을 느끼고 입체를 인식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이동단말에서는, 3차원 영상을 취득하기 위하여, 2개의 카메라가 구비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3차원 촬영 및 재생이 가능한 이동단말의 후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3차원 촬영 및 재생이 가능한 이동단말(100)은, 양안의 시각차를 이용하여 대상을 촬영하기 위한 두개의 렌즈(110, 120)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3차원 촬영 및 재생이 가능한 이동단말은, 가로방향으로만 3차원 촬영 및 재생을 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가로/세로 방향에 관계없이 3차원 입체영상을 촬영하고 재생하기 위한, 3차원 촬영과 재생이 가능한 이동단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4개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설정조건의 사진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3차원 촬영과 재생이 가능한 이동단말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이동단말은, 이동단말의 후면에 서로 직교하여 배치되어,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4개의 카메라부; 및 상기 4개의 카메라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중 적어도 2개의 영상을 합성하여 3차원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단말의 방향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4개의 카메라부로부터 수신하는 영상을 선택하여 합성하여 3차원 영상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가 제공하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단말은, 이동단말의 후면에 서로 직교하여 배치되어,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4개의 카메라부; 상기 4개의 카메라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4개의 카메라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그대로 또는 합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제공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4개의 카메라부 중 가로로 배열되는 2개의 카메라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결합하여 3차원 영상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4개의 카메라부 중 세로로 배열되는 2개의 카메라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결합하여 고화질 영상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4개의 카메라부가 제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영상중,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체화면으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4개의 카메라부가 제공하는 영상을, 썸네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단말의 가로 및 세로방향에 관계없이 3차원 영상을 제공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4개의 카메라부가 제공하는 영상에 대하여 각각의 촬영모드를 별도로 제공하여, 다양한 조건의 사진을 제공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3차원 촬영 및 재생이 가능한 이동단말의 후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촬영과 재생이 가능한 이동단말의 제1실시예 후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촬영과 재생이 가능한 이동단말의 제2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촬영과 재생이 가능한 이동단말의 일실시예 블럭 구성도이다.
도 5a 내지 도 5h는 본 발명의 이동단말의 제어부가 제공하는 촬영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 6a 및 도 6c는 본 발명의 이동단말의 촬영모드에서의 화면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이동단말의 영상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이동단말의 영상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이동단말의 촬영모드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단말에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촬영과 재생이 가능한 이동단말의 제1실시예 후면도로서, 도 2a는 수평방향의 후면도이고, 도 2b는 수직방향의 후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단말(10)은, 그 후면에 4개의 제1 내지 제4카메라부(11~14)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4개의 카메라부(11~14)는 서로 직각(orthogonal)으로 배열되어 있어, 가로 또는 세로 방향에 관계없이 3차원 촬영 및 이에 의해 촬영한 영상의 재생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촬영과 재생이 가능한 이동단말의 제2실시예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단말(20)은, 폴더형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폴더부(25)를 연결하는 힌지부(26)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카메라부(21, 22)는 폴더부(25)에 배치되고, 제3 및 제4카메라부(23, 24)는 힌지부(26)에 배치된다. 제1 및 제2카메라부(21, 22)는 고정되며, 제3 및 제4카메라부(23, 24)는 힌지부(26)의 동작에 따라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더부(25) 및 힌지부(26)의 동작에 대해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겠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렌즈부(21~24)는, 도 3과 같이 서로 직각으로 배열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라 3차원 촬영이 가능할 것이다. 즉, 이동단말(20)의 방향을 가로로 촬영하거나, 또는 세로로 촬영하는 경우에도, 그 방향에 관계없이 3차원 촬영이 가능할 것이며, 또한 이와 같이 촬영된 3차원 영상을 촬영된 방향에 의해 재생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설명과 관련하여, 3차원 영상의 촬영 및 재생이 가능한 것만을 중점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차원 영상의 촬영 및 재생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 도면을 참조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촬영과 재생이 가능한 이동단말의 일실시예 블럭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단말(10)은, 제1 내지 제4카메라부(11~14), 제어부(15), 디스플레이부(16), 사용자 입력부(17) 및 저장부(18)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카메라부(11~14)는, 서로 직교하여(orthogonal) 본 발명의 이동단말(10)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촬영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촬영하여, 촬영된 화상 프레임을 처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사용자 입력부(17)는 사용자가 이동단말(1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7)는 바람직하게는, 키패드이거나 또는 터치패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는 이동단말(1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이동단말(10)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촬영모드이거나 또는 재생모드인 경우에, 촬영을 위한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표시하거나, 촬영되는 영상을 표시하거나, 또는 재생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영상은, 정지영상이거나 동영상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와 터치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센서'라 함, 도시되지 않음)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6)는 출력장치 이외에 입력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입력부(17)는 디스플레이부(16)와 상호 중복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과 관련된 기술에 대해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바와 같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저장부(18)는, 제1 내지 제4카메라부(11~14)가 촬영하는 화상 프레임을 저장한다. 저장부(18)는 플래시 타입(flash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통상적으로 본 발명의 이동단말(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1 내지 제4카메라부(11~14)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6)에 제공하는 경우, 적어도 2개의 영상을 합성하여 3차원으로 제공하며, 이동단말(10)의 방향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카메라부(11~14)의 영상을 선택적으로 합성하여, 이동단말(10)의 방향과 관계없이 3차원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내지 도 5h는 본 발명의 이동단말의 제어부가 제공하는 촬영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h의 이동단말은, 도 2a 및 도 2b의 이동단말(10)의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도 5a 내지 도 5h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1'은 제1카메라부(11)가 촬영하는 화면을, '2'는 제2카메라부(12)가 촬영하는 화면을, '3'은 제3카메라부(13)가 촬영하는 화면을, '4'는 제4카메라부(14)가 촬영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것으로 하겠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카메라부의 위치에 따라 화면의 지정도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a 및 도 5h의 화면은, 촬영모드에서의 이동단말(10)의 디스플레이부(16)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촬영모드에서의 이러한 인터페이스의 제공은, 제어부(15)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6)에 제공되는 것이다.
도 5a와 같이, 제어부(15)는, 제1 내지 제4카메라부(11~14)를 각각 다른 모드로 2차원 촬영한다. 즉, 디스플레이부(16)를 4분할하여, 각 카메라부(11~14)가 촬영하는 화면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4카메라부(11~14)는 각각 줌, 광각, 고속촬영 및 자동촬영 모드로 촬영될 수 있다.
도 5b와 같이, 제어부(15)는, 제1 및 제2카메라부(11, 12)의 영상을 결합하여 3차원 촬영을 수행하고, 제3 및 제4카메라부(13, 14)의 영상을 각각 2차원 촬영을 수행하여, 이를 디스플레이부(16)에 표시할 수 있다.
도 5c와 같이, 제어부(15)는, 제1 및 제2카메라부(11, 12)의 영상을 2차원으로 촬영하고, 제3 및 제4카메라부(13, 14)의 영상을 결합하여 3차원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d와 같이, 제어부(15)는, 제1 및 제2카메라부(11, 12)가 촬영하는 영상을 결합하여, 3차원 촬영을 수행하고, 제3 및 제4카메라부(13, 14)가 촬영하는 영상을 결합하여 3차원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로 다른 설정의 3차원 영상을 동시에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단의 3차원 영상(1+2)은 줌인하여, 하단의 3차원 영상(3+4)은 광각으로 촬영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이동단말(10)은, 직교로 배열되는 4개의 카메라부(11~14)를 구비하므로, 도 5e와 같이, 제어부(15)는, 제1 및 제3카메라부(11, 13)가 촬영하는 영상을 합성하여 2차원 고화질 영상을 촬영하고, 제2 및 제4카메라부(12, 14)의 2차원 촬영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f와 같이, 제어부(15)는, 제1 및 제3카메라부(11, 13)는 2차원 촬영을 수행하고, 제2 및 4카메라부(12, 14)의 영상을 합성하여, 2차원 고화질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g와 같이, 제어부(15)는, 제1 및 제3카메라부(11, 13)의 영상을 합성하고, 제2 및 제4카메라부(12, 14)의 영상을 합성하여, 서로 다른 2개의 고화질 2차원 영상의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5h와 같이, 제어부(15)는, 제1 및 제3카메라부(11, 13)의 영상을 합성한 고화질 영상과, 제2 및 제4카메라부(12, 14)의 영상을 합성한 고화질 영상을 다시 결합하여 고화질 3차원 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을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제어부(15)의 촬영모드에 관해서는, 단지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어부(15)는 촬영모드에서의 화면분할모드 및 전체화면모드와 관련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c는 본 발명의 이동단말의 촬영모드에서의 화면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는, 디폴트(default)로서, 제1 내지 제4카메라부(11~14)가 제공하는 각각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6)에 제공하는 '화면분할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a에서, 사용자가 제2카메라부(12)가 제공하는 화면(2)을 선택하면, 제어부(15)는 도 6b와 같이 해당 화면(2)을 전체화면으로 확대할 수 있다. 사용자가 화면(2)을 선택하는 방식은, 예를 들어, 직접 또는 간접 터치 방식으로 탭(tab)하는 방식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직접 또는 간접 터치 방식에 대해서는, 이미 널리 알려진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에서는 생략하기로 하겠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소정 화면을 선택(예를 들어, 한번 탭하기)하면, 제어부(15)는, 해당 화면(2)을 전체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썸네일(thumbnail) 로서, 제1 내지 제4카메라부(11~14)가 제공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6)의 소정 위치(도 6b에서는 우측 상단)에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썸네일에서, 전체화면모드로 제공되는 화면(2)은, 해당 화면이 전체화면모드로 제공되고 있음이 표시될 수 있다(예를 들어, 해당 화면(2)이 진하게 표시됨).
사용자가 도 6b에서 다시 썸네일의 화면(4)를 선택하면, 제어부(15)는 다시 도 6c와 같이, 제4카메라부(14)가 제공하는 영상을 전체화면모드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예를 들어, 도 6c와 같이, 전체화면 영역을 선택(예를 들어, 두번 탭하기)하면, 도 6a의 디폴트로 제공되는 화면분할모드로 복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어부(15)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2차원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이동단말의 영상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디폴트로 제공되는 화면분할모드에서(화면분할모드에서는, 도 5a에서와 같이, 4개의 2차원 영상이 제공됨), 제1 및 제2카메라부(11, 12)가 제공하는 영상(1, 2)을 핀치-인(Pinch-in) 방식으로 합쳐, 도 5b와 같은 3차원 촬영모드로 전환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이러한 입력을 수신하여, 2차원 영상을 제공하던 제어부(15)는, 제1 및 제2카메라부(11, 12)의 영상을 합성하여 3차원 영상(1+2)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7b와 같이, 사용자는 도 5b와 같이 제1 및 제2카메라부(11, 12)의 영상을 합성하여 제어부(15)가 제공하는 3차원 영상에 대하여, 해당 영상 영역(1+2)을 핀치-아웃(Pinch-out) 방식으로 분할하여, 2개의 2차원 촬영모드로 전환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이러한 입력을 수신하여, 제1 및 제2카메라부(11, 12)의 영상을 합성하여 3차원 영상(1+2)을 제공하던 제어부(15)는 해당 영상을 다시 2차원 방식(1, 2)으로 디스플레이부(16)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반영상을 고화질 영상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대해 설명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이동단말의 영상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디폴트로 제공되는 화면분할모드에서(화면분할모드에서는, 도 5a에서와 같이, 4개의 2차원의 일반영상이 제공됨), 제1 및 제3카메라부(11, 13)가 제공하는 영상(1, 3)을 핀치-인(Pinch-in) 방식으로 합쳐, 도 5e와 같은 고화질 영상 촬영모드로 전환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이러한 입력을 수신하여, 2차원 일반영상을 제공하던 제어부(15)는, 제1 및 제3카메라부(11, 13)의 영상을 합성하여 고화질 영상(1+3)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8b와 같이, 사용자는 도 5e와 같이 제1 및 제3카메라부(11, 13)의 영상을 합성하여 제어부(15)가 제공하는 고화질 영상(1+3)에 대하여, 해당 영상 영역을 핀치-아웃(Pinch-out) 방식으로 분할하여, 2개의 2차원 촬영모드로 전환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이러한 입력을 수신하여, 제1 및 제3카메라부(11, 13)의 영상을 합성하여 고화질 영상(1+3)을 제공하던 제어부(15)는 해당 영상을 다시 2차원 일반영상(1, 2)으로 디스플레이부(16)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이동단말(10)의 제어부(15)는, 디스플레이부(16)에서의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touch gesture)로 촬영모드 변경이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이동단말의 촬영모드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 9에서는, 예를 들어, 하나의 카메라부에서 촬영하는 영상에 대하여 전체화면모드인 경우를 설명하는 것이다. 그러나, 화면분할모드에서도 이와 같은 터치 제스처에 의해 촬영모드의 변경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도 9는 도 6b와 같은 전체화면모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도 6b의 썸네일 영상 등이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해당 영상에서, 터치 제스처로 촬영모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영상의 가운데 부분을 터치하여 드래그(drag) 방식으로 위쪽으로 터치한 부분을 이동하면('터치 앤 드래그' 방식임) 해당 영상을 '줌인(Zoom-in)'할 수 있고, 아래쪽으로 터치한 부분을 이동하면 해당 영상을 '줌아웃(Zoom-out)'할 수 있다. 또한, 우측으로 터치한 부분을 이동하면, 사진촬영모드에서 동영상 촬영모드로 촬영모드를 변경할 수 있으며, 좌측으로 터치한 부분을 이동하면, 동영상 촬영모드에서 사진촬영모드로 촬영모드를 변경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어부(15)는,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를 인식하여, 촬영모드를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위에서 설명한 터치 앤 드래그 방식의 방향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이동단말(10)의 제어부(15)는, 디스플레이부(16)의 인터페이스를 위의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이 제공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설명과 무관한 인터페이스와 관련한 부분은, 그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하겠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에 적용되는 제어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1~14: 카메라부 15: 제어부
16: 디스플레이부 17: 사용자 입력부
18: 저장부

Claims (7)

  1. 이동단말의 후면에 서로 직교하여 배치되어,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4개의 카메라부; 및
    상기 4개의 카메라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중 적어도 2개의 영상을 합성하여 3차원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단말의 방향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4개의 카메라부로부터 수신하는 영상을 선택하여 합성하여 3차원 영상을 제공하는, 이동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제공하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단말.
  3. 이동단말의 후면에 서로 직교하여 배치되어,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4개의 카메라부;
    상기 4개의 카메라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4개의 카메라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그대로 또는 합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제공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단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4개의 카메라부 중 가로로 배열되는 2개의 카메라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결합하여 3차원 영상을 제공하는 이동단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4개의 카메라부 중 세로로 배열되는 2개의 카메라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결합하여 고화질 영상을 제공하는 이동단말.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4개의 카메라부가 제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영상중,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체화면으로 제공하는 이동단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4개의 카메라부가 제공하는 영상을, 썸네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는 이동단말.
KR1020110031506A 2011-04-06 2011-04-06 3차원 촬영과 재생이 가능한 이동단말 KR101793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506A KR101793739B1 (ko) 2011-04-06 2011-04-06 3차원 촬영과 재생이 가능한 이동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506A KR101793739B1 (ko) 2011-04-06 2011-04-06 3차원 촬영과 재생이 가능한 이동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854A true KR20120113854A (ko) 2012-10-16
KR101793739B1 KR101793739B1 (ko) 2017-11-03

Family

ID=47283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1506A KR101793739B1 (ko) 2011-04-06 2011-04-06 3차원 촬영과 재생이 가능한 이동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373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16537A (zh) * 2013-12-18 2014-04-09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照片合成方法和终端
WO2015056854A1 (en) * 2013-10-16 2015-04-2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WO2016013768A1 (ko) * 2014-07-23 2016-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7157293A1 (zh) * 2016-03-15 2017-09-21 广东未来科技有限公司 双摄像头移动终端及其拍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24327B2 (en) * 2003-10-22 2011-04-12 Panasonic Corporatio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portable equipment, and imaging senso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5278819B2 (ja) * 2009-05-11 2013-09-04 株式会社リコー ステレオカメラ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車外監視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56854A1 (en) * 2013-10-16 2015-04-2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US10135963B2 (en) 2013-10-16 2018-11-2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CN103716537A (zh) * 2013-12-18 2014-04-09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照片合成方法和终端
CN103716537B (zh) * 2013-12-18 2017-03-15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照片合成方法和终端
WO2016013768A1 (ko) * 2014-07-23 2016-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12009A (ko) * 2014-07-23 201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906773B2 (en) 2014-07-23 2018-02-2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7157293A1 (zh) * 2016-03-15 2017-09-21 广东未来科技有限公司 双摄像头移动终端及其拍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3739B1 (ko) 2017-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8877B2 (en) Imag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for panoramic image
US8762846B2 (en) Method and system for adaptive viewport for a mobile device based on viewing angle
US20200137372A1 (en) Application processor for disparity compensation between images of two cameras i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2011010242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mage displa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14016023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10234640A1 (en) Imag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O2017113504A1 (zh) 一种图像显示方法以及装置
US20080231740A1 (en) Camera with multiple displays
US20080231741A1 (en) Camera with multiple displays
EP2917819B1 (en) METHOD AND DEVICE FOR SCROLLING PHOTOS BY PASSING OVER IT AND TRANSITION TO THE NEXT
US20120033046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20094185A (ko) 모바일 스테레오 카메라 장치 및 그 촬영방법
TWI584050B (zh) 全景立體圖像的合成方法、裝置及其移動終端
US2014011833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JP2006033476A (ja) 撮影装置、表示装置及び撮影表示装置
US11689819B2 (en) Techniques for capturing video in landscape mode by a handheld device
WO2023103953A1 (zh) 拍摄方法和装置
KR101793739B1 (ko) 3차원 촬영과 재생이 가능한 이동단말
JP2017139768A (ja)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30343635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9135275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image captured by using the apparatus
WO2020238312A1 (zh) 一种拍摄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装置
JP2013168909A (ja) 撮影装置、画像生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RU2792413C1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изображений и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JP6824061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が実行する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