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3554A -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real-time lecturing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real-time lectur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3554A
KR20120113554A KR1020110031321A KR20110031321A KR20120113554A KR 20120113554 A KR20120113554 A KR 20120113554A KR 1020110031321 A KR1020110031321 A KR 1020110031321A KR 20110031321 A KR20110031321 A KR 20110031321A KR 20120113554 A KR20120113554 A KR 20120113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screen
question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13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환철
오창환
김형일
하태웅
지대범
송성근
김영상
김명호
최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성경제연구소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성경제연구소,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성경제연구소
Priority to KR1020110031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3554A/en
Priority to PCT/KR2012/002541 priority patent/WO2012138130A2/en
Publication of KR20120113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355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PURPOSE: A real time lecture supporting method and a terminal thereof are provided to implement interactive education exchanging a mutual opinion by using a digital device, thereby increasing voluntary participation in education of a student. CONSTITUTION: A first displaying unit(220) displays a first screen. A first user inputting unit(210) receives a question for second users from a first user through the displayed first screen. A first communicating unit(230) communicates a server and a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A first controlling unit(270) controls the first communicating unit so that the question inputted by the first user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s. [Reference numerals] (210) First user inputting unit; (220) First displaying unit; (230) First communicating unit; (240) First storing unit; (241) Viewer storing unit; (250) Decoding unit; (260) Voice outputting unit; (270) First controlling unit

Description

실시간 강의 지원 방법 및 그를 위한 단말기{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Real-time Lecturing System}Real-time lecture support method and terminal for it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Real-time Lecturing System}

본 발명은 실시간 강의 지원 방법 및 그를 위한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사와 교육생의 실질적인 상호 대화와 의견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실시간 강의 지원 방법 및 그를 위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l-time lecture support method and a terminal theref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al-time lecture support method and a terminal therefor that enables the actual interaction and exchange of opinions between the instructor and the student.

온라인 강의 시스템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강의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사전에 제작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웹페이지를 기반으로 게시하고, 교육생은 언제 어디서나 웹페이지에 접근하여 원하는 컨텐츠를 개별적으로 이용한다. 원격 강의 시스템은, 원격지의 강사 컴퓨터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강의 화상을 동시간대에 강사 컴퓨터와 다른 장소에 있는 교육생의 컴퓨터로 전달하고, 자료와 어플리케이션을 교육생의 컴퓨터로 전송하는 방식을 사용한다.The online lecture system is a system that provides lectures using the Internet, and publishes pre-produced multimedia contents based on web pages, and the students use the desired contents by accessing web pages anytime and anywhere. The remote lecture system uses a method in which a remote lecturer computer transfers a lecture image taken by a camera to a student's computer at a different place at the same time and transmits materials and applications to the student's computer.

그러나, 일반적으로 온라인 강의 시스템은 웹페이지를 이용한 자료 게시 및 조회로 인해, 강사와 교육생이 실시간으로 상호작용하기 어려우므로, 기업이나 대학과 같은 집합강의에서는 강의 시간 외의 보조적인 수단으로만 이용된다. 또한, 원격 강의 시스템은 화상채팅을 기반으로 하는 시스템이므로, 대규모의 교육생에게 동시에 원격 강의를 제공하는 경우, 교육생들과의 화상연결이 어렵고 네트워크에 상당한 부하를 발생하기 때문이다.In general, however, online lecture systems are difficult to interact with instructors and trainees in real time due to the posting and retrieval of materials using web pages. Therefore, in online lectures, companies and universities are used only as supplementary means outside of lecture hours. In addition, since the remote lecture system is a video chat-based system, when providing a remote lecture to a large number of students at the same time, the video connection with the students is difficult and generates a significant load on the network.

본 발명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환경에서 강사를 위한 단말기와 청취자들을 위한 단말기들 간의 네트워크 트래픽 및 서버의 부하를 최소화하고, 강사를 위한 단말기와 청취자들을 위한 단말기들이 실시간으로 상호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실시간 강의 지원 방법 및 그를 위한 단말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network traffic and server load between terminals for instructors and terminals for listeners in an online or offline environment, and provides real-time lectures in which terminals for instructors and terminals for listeners can exchange opinions in real tim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pport method and a terminal theref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단말기의 실시간 강의 지원 방법은, 강의 자료를 보여주는 제1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제1화면을 통해 제2사용자들에게 질의할 질문을 제1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1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질문을 상기 복수의 제2단말기들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supporting real-time lectures of a first terminal may include displaying a first screen showing lecture data; Receiving a question from a first user to query a second user through the displayed first screen; And transmitting the question input by the first user to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상기 제1사용자의 질문에 대한 상기 제2사용자들의 응답을 상기 제1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질문은 주관식 형태의 질문 및 객관식 형태의 질문 중 하나일 수 있다.Displaying the responses of the second users to the first user's question on the first screen, wherein the question input by the first user is one of a question in a subjective form and a question in a multiple choice form. Can be.

상기 제1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질문이 객관식 형태의 질문인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객관식 형태의 질문에 대한 상기 제2사용자들의 응답을 분석하며, 상기 분석 결과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제1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question input by the first user is a multiple-choice question, the server analyzes a response of the second users to the multiple-choice question, receives the analysis result from the server, and displays the first screen. Marking on; may further include.

상기 복수의 제2단말기들로부터 상기 제2사용자들의 질문-상기 복수의 제2단말기들에 표시된 제2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질문-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2사용자들의 질문을 상기 제1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사용자들의 질문에 대한 응답이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응답을 상기 복수의 제2단말기들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ceiving a question of the second users, a question input through a second screen displayed on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from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Displaying the received questions of the second users on the first screen; Inputting a response to a question of the second users from the first user; And transmitting the input response to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상기 제1화면은 상기 제1사용자를 위한 뷰어에 의해 제공되며, 상기 제2화면은 상기 제2사용자들을 위한 뷰어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The first screen may be provided by a viewer for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screen may be provided by a viewer for the second users.

상기 복수의 제2단말기들에 표시된 제2화면을 통해 상기 제2사용자들로부터 발언권 신청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발언권을 신청한 제2사용자들의 리스트를 상기 제1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제2사용자들 중 하나가 상기 제1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면, 상기 지정된 제2사용자에게 발언권을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ceiving a voice request from the second users through a second screen displayed on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Displaying a list of second users who applied for the right to speak on the first screen; And if one of the second users included in the list is designated by the first user, granting a right to speak to the designated second user.

상기 지정된 제2사용자의 음성이 상기 복수의 제2단말기들 중 하나로부터 입력되면, 상기 제2사용자의 음성을 디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디코딩된 제2사용자의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f the voice of the designated second user is input from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decoding the voice of the second user; And outputting the decoded second user's voice to the outside through a speaker.

상기 스피커, 상기 제1단말기 및 상기 복수의 제2단말기들은 동일한 물리적 공간에 위치한다.The speaker, the first terminal and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are located in the same physical spac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at least one method on a computer.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강의 자료를 보여주는 제1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된 제1화면을 통해 제2사용자들에게 질의할 질문을 제1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서버 및 복수의 제2단말기들과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1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질문을 상기 복수의 제2단말기들에게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실시간 강의를 위한 제1단말기가 제공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first screen showing the lecture material; A user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question from a first user to query a second user through the displayed first screen;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 server and a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question input by the first user to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사용자의 질문에 대한 상기 제2사용자들의 응답을 상기 제1화면에 표시한다.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responses of the second users to the first user's question on the first screen.

상기 제1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질문이 객관식 형태의 질문인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객관식 형태의 질문에 대한 상기 제2사용자들의 응답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상기 통신부 및 상기 복수의 제2단말기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question input by the first user is a multiple-choice question, the server analyzes the responses of the second users to the multiple-choice question, and analyzes a result of the analysis by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Can be provided to

상기 통신부는 상기 복수의 제2단말기들로부터 상기 제2사용자들의 질문-상기 복수의 제2단말기들에 표시된 제2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질문-을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제2사용자들의 질문을 상기 제1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제1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사용자들의 질문에 대한 응답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응답을 상기 복수의 제2단말기들에게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receives a question of the second users from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a question input through a second screen displayed on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and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received second users. When the question is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and a response to the questions of the second users is input from the first user, 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controlled to transmit the input response to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사용자를 위한 뷰어에 의해 상기 제1화면을 제공하며, 상기 복수의 제2단말기들은 상기 제2사용자들을 위한 뷰어에 의해 제2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provide the first screen by a viewer for the first user, and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may provide a second screen by a viewer for the second users.

상기 통신부 및 상기 복수의 제2단말기들은 상기 서버를 경유하여 통신하는 제1통신 방식 및 상기 통신부 및 상기 복수의 제2단말기들이 다이렉트로 메시지 통신을 수행하는 제2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질문을 송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using at least one of a first communication scheme for communicating via the server and a second communication scheme for direct communica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You can send and receive questions.

상기 제2사용자들이 상기 복수의 제2단말기들에 표시된 제2화면을 통해 발언권을 신청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언권을 신청한 제2사용자들의 리스트를 상기 제1화면에 표시하며,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제2사용자들 중 하나가 상기 제1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정된 제2사용자에게 발언권을 부여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users apply for a right to speak through the second screen displayed on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the controller displays a list of second users who applied for the right to speak on the first screen and includes the list in the list. If one of the designated second users is designated by the first user, the controller may grant a right to speak to the designated second user.

상기 지정된 제2사용자의 음성이 상기 복수의 제2단말기들 중 하나로부터 입력되면, 상기 제2사용자의 음성을 디코딩하는 디코딩부; 및 상기 디코딩된 음성을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는 상기 제1사용자의 음성 및 상기 지정된 제2사용자의 음성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A decoding unit for decoding the voice of the second user when the voice of the designated second user is input from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And a voice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the decoded voice to a speaker, wherein the speaker may output the voice of the first user and the voice of the designated second user to the outsid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단말기의 실시간 강의 지원 방법은, 강의 자료를 보여주는 제2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제2화면을 통해 제2사용자로부터 발언권 신청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1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사용자에게 상기 발언권이 부여되었음을 통지받는 단계; 및 상기 제1단말기로부터 상기 발언권을 부여받는 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l-time lecture support method of the second terminal, the step of displaying a second screen showing the lecture data; Receiving a request for a voice from a second user through the displayed second screen; Receiving notification from the first terminal that the second user has the right to speak; And receiving the right to speak from the first terminal.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강의 자료를 보여주는 제2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된 제2화면을 통해 제2사용자로부터 발언권 신청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제1사용자를 위한 제1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1단말기에게 상기 발언권이 신청되었음을 통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실시간 강의를 위한 제2단말기가 제공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econd screen showing the lecture material; A user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voice request from a second user through the displayed second screen; A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a first terminal for a first user; And a controller for notifying the first terminal that the right to speak has been applied. The second terminal for real-time lecture is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환경에서 강사를 위한 단말기와 청취자들을 위한 단말기들 간의 네트워크 트래픽 및 서버의 부하를 최소화하고, 강사를 위한 단말기와 청취자들을 위한 단말기들이 상호작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nline or offline environment, the network traffic between the terminal for the instructor and the terminal for the listener and the load on the server are minimized, and the terminal for the instructor and the terminal for the listener can interact. ha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일방적인 전달 교육을 지양하는 학교 또는 기업체에서, 디지털 기기를 이용하여 토론식 및 상호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인터렉티브(Interactive) 교육이 가능하도록 하며, 따라서, 교육생의 자발적인 교육 참여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chool or enterprise that refrains from unilateral delivery education, it is possible to enable interactive education that can exchange discussions and mutual opinions using digital devices, and thus, trainees Improve the voluntary participation in edu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강의 지원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단말기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단말기를 도시한 블록도,
도 4a는 서버에 로그인한 강사가 사용할 수 있는 메뉴들을 보여주는 제1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b는 교육생이 사용할 수 있는 메뉴들을 보여주는 제2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QUESTION이 선택된 경우, 교육생들이 입력한 질문을 보여주는 제1화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ANSWER가 선택된 경우, 강사의 질문에 대해, 교육생들의 응답을 보여주는 제1화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POLL이 선택된 경우, 강사의 질문에 대해, 교육생들의 응답을 보여주는 제1화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LEARNING DASHBOARD가 선택된 경우, 강의 참여도와 관련된 다양한 항목들에 대한 통계를 보여주는 제1화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강의 지원 방법 중 강사 단말기가 로그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강의 지원 방법 중 강사 단말기가 교육생의 질문에 응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강의 지원 방법 중 교육생 단말기가 질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강의 지원 방법 중 강사 단말기가 교육생 단말기들에게 질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강의 지원 방법 중 교육생 단말기가 발언권을 신청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강의 지원 방법 중 강사 단말기가 발언권자를 지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real-time lecture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irs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first screen showing menus that can be used by an instructor who logs in to a server;
4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econd screen showing menus that can be used by a traine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first screen showing questions input by trainees when QUESTION is selected;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first screen showing responses of trainees to questions of an instructor when ANSWER is selected;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first screen showing responses of trainees to questions of an instructor when POLL is selected;
8 illustrates an example of a first screen showing statistics on various items related to lecture participation when LEARNING DASHBOARD is selected.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a lecturer terminal to log in a real-time lecture suppor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in which an instructor terminal responds to a student's question in a real-time lecture suppor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in which a student terminal asks questions in a real-time lecture suppor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in which a lecturer terminal asks student terminals in a real-time lecture suppor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student terminal applies for a voice in a real-time lecture suppor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in which a lecturer terminal designates a speaker in a real-time lecture support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readily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can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formed on another element, or a third element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describing the specific embodiments below, various specific details have been set forth in order to explain the invention in greater detail and to assist in understanding it.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without these various specific details. In some cases, it is mentioned in advance that parts of the invention which are commonly known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which are not highly related to the invention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prevent confusion in explaining the invention without caus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강의 지원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al-time lecture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의 실시간 강의 지원 시스템은 온라인을 기반으로 하는 강의뿐만 아니라 오프라인을 기반으로 하는 강의에 적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실시간 강의 지원 시스템은 발표, 기업체 교육, 학교 및 학원의 강의, 회의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강사와 교육생들의 단말기들은 동일한 하나의 물리적 공간에 위치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가능하도록 접속될 수 있다.The real-time lecture support system of FIG. 1 is a system that can be applied to lectures based on offline as well as lectures based on online. The real-time lecture support system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presentations, corporate education, lectures in schools and institutes, and conferences. The terminals of the instructor and the students are located in the same physical space and can be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via a network.

이러한 실시간 강의 지원 시스템은 강사와 교육생들이 실시간으로 질의응답을 할 수 있도록 하고, 교육생들의 음성을 강의에 필요한 기기(예를 들어, 제1단말기(120), 믹서(160) 등)에 직접 연결하여 외부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며, 강의 동안 교육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This real-time lecture support system allows instructors and trainees to answer questions in real time, and directly connects the voices of the trainees to devices (for example, the first terminal 120 and the mixer 160) necessary for lectures. It is possible to print out and to conduct surveys for students during lectures.

도 1을 참조하면, 실시간 강의 지원 시스템은 서버(100), 데이터베이스(DB: Database)(110), 제1단말기(120), 복수의 제2단말기들(130, 140, 150), 믹서(160), 제1마이크로폰(170) 및 스피커(18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 제1단말기(120) 및 제2단말기들(130, 140, 150)은 네트워크(10)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Referring to FIG. 1, the real-time lecture support system includes a server 100, a database (DB) 110, a first terminal 120, a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130, 140, and 150, and a mixer 160. ), The first microphone 170 and the speaker 180 may be included. The server 100, the first terminal 120, and the second terminals 130, 140, and 150 are connected to enabl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network 10.

서버(100)는 실시간 강의 지원 시스템에 필요한 강의 자료를 표시하는데 필요한 제1뷰어(121)를 제1단말기(120)에게 제공하고, 강의 자료를 제2단말기들(130, 140, 150)에게 제공할 수 있다. 강의 자료는 강의를 위한 자료로서, 강사를 위한 교재와 교육생들을 위한 교재, 질문 및 응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실시간 강의 지원 시스템에 필요한 강의 자료를 표시하는데 필요한 제2뷰어(131) 및 제2뷰어(131)를 통해 표시될 컨텐츠를 제2단말기들(130, 140, 150)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The server 100 provides the first terminal 120 with the first viewer 121 necessary to display the lecture data necessary for the real-time lecture support system, and provides the lecture data to the second terminals 130, 140, and 150. can do. Instructional materials are materials for teaching and may include textbooks for instructors and textbooks, questions, and answers for trainees. In addition, the server 100 provides the second terminals 130, 140, and 150 with content to be displayed through the second viewer 131 and the second viewer 131 required to display the lecture material required for the real-time lecture support system. You can also provide

또한, 서버(100)는 제1단말기(120) 및 제2단말기들(130, 140, 150)로부터 출력되는 질문, 질문에 대한 응답 등 다양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DB(110)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제1단말기(120)를 통해 강의한 제1사용자와 제2단말기들(130, 140, 150)을 통해 강의를 청취한 제2사용자들은 강의가 종료된 이후, 서버(100)에 접속하여 DB(110)에 저장된 강의 내용, 질의응답 내용 등을 검색,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100 may receive a variety of data such as a question, a response to the question output from the first terminal 120 and the second terminal (130, 140, 150) can be stored and managed in the DB 110 have. The first user who lectured through the first terminal 120 and the second user who listened to the lecture through the second terminals 130, 140, and 150 access the DB 100 after the lecture is finished. You can search and check the lecture contents and Q & A contents saved in 110).

제1단말기(120) 및 제2단말기들(130, 140, 150)은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컴퓨터와 같이 통신이 가능한 기기이다. 제1단말기(120)는 제1사용자가 사용하는 장치이며, 제2단말기들(130, 140, 150)은 제2사용자들이 사용하는 장치이다.The first terminal 120 and the second terminals 130, 140, and 150 are devices capable of communicating, such as computers, laptops, and tablet computers. The first terminal 120 is a device used by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terminals 130, 140, and 150 are devices used by the second user.

제1단말기(120)는 제1단말기(120)에 표시되는 화면을 통해 질문을 입력하여 서버(100)로 전송하며, 서버(100)는 수신된 질문을 제2단말기들(130, 140, 150)에게 전송한다. 또한, 서버(100)는 제2단말기들(130, 140, 150)로부터 질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제1단말기(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즉, 서버(100)는 제1단말기(120)와 제2단말기들(130, 140, 150) 간의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1단말기(120)는 제2단말기들(130, 140, 150)로부터의 질문을 서버(100)에 의해 수신하고, 수신된 질문에 대해 응답할 수 있다. 상술한 질문 및 응답은 제1단말기(120) 및 제2단말기들(130, 140, 150)에 표시되는 화면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행될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120 inputs a question through the screen displayed on the first terminal 120 and transmits the question to the server 100, and the server 100 transmits the received question to the second terminals 130, 140, and 150. To). In addition, the server 100 may receive a response to the question from the second terminals (130, 140, 150) and transmit it to the first terminal (120). That is, the server 100 may transfer a message between the first terminal 120 and the second terminals (130, 140, 150). In addition, the first terminal 120 may receive a question from the second terminals 130, 140, and 150 by the server 100, and may respond to the received question. The above-described questions and answers may be performed in real time through a screen displayed on the first terminal 120 and the second terminals 130, 140, and 150.

믹서(160)는 제1단말기(120), 제1마이크로폰(170) 및 스피커(180)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제1마이크로폰(170)으로부터 입력되는 제1사용자의 음성을 신호처리하여 스피커(18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믹서(160)는 제1단말기(120)로부터 입력받은 교육생의 음성을 신호처리하여 스피커(180)로 출력할 수 있다.The mixer 160 is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terminal 120, the first microphone 170, and the speaker 180, and processes the voice of a first user input from the first microphone 170 to process the speaker ( 180). In addition, the mixer 160 may signal-process the voice of the trainee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120 and output the signal to the speaker 180.

스피커(180)는 믹서(160)로부터 입력받은 제1사용자의 음성 또는 제2사용자들 중 하나인 발언권자의 음성을 외부로 출력한다. 발언권자의 음성은 제2단말기들(130, 140, 150) 중 어느 하나, 제1단말기(120) 및 믹서(160)를 경유하여 입력된다. 이로써, 제1사용자와 제2사용자들은 동시에 동일한 물리적 공간에서 음성을 P2P(Peer To Peer) 프로토콜에 의해 청취할 수 있다. 스피커(180), 제1단말기(120) 및 제2단말기들(130, 140, 150)은 동일한 물리적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The speaker 180 outputs the voice of the first user, which is input from the mixer 160, or the voice of the speaker, which is one of the second users, to the outside. The voice of the speaker may be input via any one of the second terminals 130, 140, and 150, the first terminal 120, and the mixer 160. As a result,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user can simultaneously listen to the voice using a peer to peer (P2P) protocol in the same physical space. The speaker 180, the first terminal 120, and the second terminals 130, 140, and 150 may be located in the same physical spac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단말기(12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terminal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제1단말기(120)는 제1사용자 입력부(210), 제1표시부(220), 제1통신부(230), 제1저장부(240), 디코딩부(250), 음성 출력부(260) 및 제1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first terminal 120 includes a first user input unit 210, a first display unit 220, a first communication unit 230, a first storage unit 240, a decoding unit 250, and a voice. The output unit 260 and the first control unit 270 may be included.

제1사용자 입력부(210)는 제1사용자와 제1단말기(120) 간의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제1사용자 입력부(210)는 제1사용자로부터 제1단말기(120)를 조작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으며, 다수의 버튼, 키패드, 터치 패널 또는 음성 인식 모듈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user input unit 210 supports an interface between the first user and the first terminal 120. The first user input unit 210 receives a command for operating the first terminal 120 from the first user, and may be implemented by a plurality of buttons, a keypad, a touch panel, or a voice recognition module.

제1표시부(220)에 제1화면이 표시되면, 제1사용자 입력부(210)는 제2사용자들에게 질의할 질문을 제1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입력된 질문은 제1화면에 표시될 수 있으며, 주관식 형태 또는 객관식 형태를 갖는다. 또한, 제2사용자들의 질문이 제2단말기들(130, 140, 150) 중 하나로부터 수신되어 제1화면에 표시되면, 제1사용자 입력부(210)는 제2사용자들의 질문에 대한 응답을 제1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입력된 응답은 제1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When the first screen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220, the first user input unit 210 receives a question from the first user to query the second users. The input question may be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and may have a subjective or multiple choice form. In addition, when a question of second users is received from one of the second terminals 130, 140, and 150 and is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the first user input unit 210 may answer the first user's question in response to the first user's question. Receive input from the user. The input response may be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제1표시부(220)는 제1단말기(120)의 동작 또는 현재 상태와 관련된 다양한 화면을 표시한다. 특히, 제1표시부(220)는 제1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후술할 도 4a, 도 5 내지 도 8과 같은 화면들(400a, 500, 600, 700, 800)을 표시할 수 있다. 화면들(400a, 500, 600, 700, 800)은 제1뷰어(121)에 의해 표시되는 제1화면으로, 기본적으로 강의 자료를 보여줄 수 있다.The first display unit 220 displays various screens related to the operation or the current state of the first terminal 120. In particular, the first display unit 220 may display the screens 400a, 500, 600, 700, and 800 of FIGS. 4A, 5, and 8,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ccording to a first user's manipulation. The screens 400a, 500, 600, 700, and 800 are first screens displayed by the first viewer 121, and may basically display lecture materials.

제1통신부(230)는 네트워크(10)를 통해 서버(100) 및 제2단말기들(130, 140, 150)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한다. 제1통신부(230)는 서버(100)를 경유하여 제2단말기들(130, 140, 150)과 통신하는 제1통신 방식 및 제2단말기들(130, 140, 150)과 다이렉트로 메시지 통신을 수행하는 제2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사용자의 질문 및 응답은 제1통신 방식 및 제2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2단말기들(130, 140, 150)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통신 방식에 의한 메시지 통신은 실시간 메시지 전송 프로토콜(RTMP: Real-Time Messaging Protocol)을 사용할 수 있으며, 질문과 응답의 송수신은 제1통신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2통신 방식은 P2P 방식의 메시지 통신을 적용한 것으로서, 음성의 송수신은 제2통신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30 communicates with the server 100 and the second terminals 130, 140, and 150 via wire or wirelessly through the network 10.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30 directly communicates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second terminals 130, 140, and 150 via the server 100 and the second terminals 130, 140, and 150. At least one of the second communication schemes may be used. Accordingly, the question and response of the first user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s 130, 140, and 150 us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For example, the message communication by the one communication method may use a Real-Time Messaging Protocol (RTMP), and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question and the response may be performed by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uses P2P message communication, and voic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ay be performed by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제1저장부(240)에는 서버(100) 및 제2단말기들(130, 140, 15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제1저장부(240)는 물리적으로 ROM(Read-Only Memory) 및 RAM(Read-Access Memory)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first storage unit 240 may store various data received from at least one of the server 100 and the second terminals 130, 140, and 150. The first storage unit 240 may be physically divided into a read-only memory (ROM) and a read-access memory (RAM).

제1사용자가 제1단말기(120)를 통해 서버(100)에 로그인하면, 제1통신부(230)는 서버(100)가 제공하는 제1뷰어(121)를 다운로딩하며, 제1저장부(240)는 다운로딩된 제1뷰어(121)를 뷰어 저장부(241)에 저장한다. 제1단말기(120)의 사용이 완료되면, 제1뷰어(121)는 뷰어 저장부(241)에서 삭제될 수 있다. 제1뷰어(121)는 제1사용자를 위한 전용 뷰어로서, 제1사용자가 강의하고자 하는 주제별로 다를 수 있다. 제1뷰어(121)는 강의 자료를 보여주며, 질의응답을 위한 다양한 제1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사용자는 제1뷰어(121)에 의해 표시되는 제1화면을 통해 질문을 입력하며, 제2사용자의 질문에 대한 응답을 입력할 수 있다.When the first user logs in to the server 100 through the first terminal 120,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30 downloads the first viewer 121 provided by the server 100, and the first storage unit ( The 240 stores the downloaded first viewer 121 in the viewer storage 241. When the use of the first terminal 120 is completed, the first viewer 121 may be deleted from the viewer storage unit 241. The first viewer 121 is a dedicated viewer for the first user, and may be different for each subject that the first user wants to lecture. The first viewer 121 shows lecture data and may display various first screens for question and answer. Accordingly, the first user may input a question through the first screen displayed by the first viewer 121 and input a response to the question of the second user.

디코딩부(250)는 제2사용자의 음성이 제2단말기들(130, 140, 150) 중 하나로부터 전송되어 제1통신부(230)를 통해 입력되면, 입력된 제2사용자의 음성을 디코딩한다. 즉, 디코딩부(250)는 제2사용자 단말기들(130, 140, 150)을 사용하는 제2사용자들 중 발언권이 부여된 발언권자의 음성을 디코딩한다. 발언권자의 발언정보는 서버(100)로 전송되어 DB(110)에 저장될 수도 있다. 발언권자의 발언정보는 발언권자의 발언시간, 발언유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voice of the second user is transmitted from one of the second terminals 130, 140, and 150 and is input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30, the decoder 250 decodes the input voice of the second user. That is, the decoding unit 250 decodes the voice of the speaker who is given the speaking right among the second users who use the second user terminals 130, 140, and 150. Speaking information of the speaker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100 and stored in the DB (110). The speaker's remarks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speaker's speaking time and whether or not the speaker is speaking.

음성 출력부(260)는 디코딩된 발언권자의 음성을 믹서(160)로 출력한다. 이로써, 발언권자의 음성은 믹서(160)에서 신호처리된 후 스피커(180)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The voice output unit 260 outputs the decoded speaker's voice to the mixer 160. As a result, the speaker's voice is signaled by the mixer 160 and then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speaker 180.

제1제어부(270)는 서버(100)로부터 다운로딩된 제1뷰어(121)를 뷰어 저장부(241)에 저장한 후, 제1뷰어(121)를 실행시킨다. 제1뷰어(121)가 실행되면, 제1제어부(270)는 서버(100)에게 제1단말기(120)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전송하도록 제1통신부(230)를 제어한다. 서버(100)는 브로드캐스팅 방식 또는 멀티캐스팅 방식을 이용하여 제2단말기들(130, 140, 150)에게 제1단말기(120)의 IP 주소를 전송한다.The first controller 270 stores the first viewer 121 downloaded from the server 100 in the viewer storage unit 241 and then executes the first viewer 121. When the first viewer 121 is executed, the first controller 270 control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30 to transmit the Internet Protocol (IP) address of the first terminal 120 to the server 100. The server 100 transmits the IP address of the first terminal 120 to the second terminals 130, 140, and 150 using a broadcasting method or a multicasting method.

또한, 제1제어부(270)는 제1사용자가 제1사용자 입력부(210)를 조작하여 질문을 입력하면, 입력된 질문을 제1화면에 표시하며, 제1사용자가 입력된 질문의 전송을 요청하면, 입력된 질문을 서버(100)에게 전송하도록 제1통신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제어부(270)는 제1사용자의 질문에 대한 제2사용자들의 응답이 서버(100)를 경유하여 수신되면, 수신된 응답을 제1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제어부(270)는 제1사용자가 입력한 질문을 제2단말기들(130, 140, 150)에게 직접 전송하도록 제1통신부(230)를 제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user inputs a question by operating the first user input unit 210, the first controller 270 displays the input question on the first screen and requests the first user to transmit the input question. If s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30 may be controlled to transmit the input question to the server 100. In addition, when a response of the second users to the question of the first user is received via the server 100, the first controller 270 may display the received response on the first screen. 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controller 270 may control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30 to directly transmit the question input by the first user to the second terminals 130, 140, and 150.

제1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질문이 객관식 형태의 질문인 경우, 서버(100)는 객관식 형태의 질문에 대한 제2사용자들의 응답을 제2단말기들(130, 140, 150) 및 서버(100)를 경유하여 수신 및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제1통신부(230) 및 제2단말기들(130, 140, 15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제어부(270)는 제공받은 분석 결과를 제1사용자의 질문에 대한 제2사용자들의 응답으로써 제1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If the question input by the first user is a multiple-choice question, the server 100 sends the second terminals 130, 140, 150 and the server 100 to the second user's response to the multiple-choice question. Received and analyzed via, and provide the analysis result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30 and the second terminals (130, 140, 150). Accordingly, the first controller 270 may display the analysis result provided on the first screen as responses of the second users to the question of the first user.

또한, 제1통신부(230)가 서버(100)에 의해 제2단말기들(130, 140, 150)로부터 제2사용자들의 질문을 수신하면, 제1제어부(270)는 수신된 제2사용자들의 질문을 제1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제2사용자들의 질문은 제2단말기들(130, 140, 150)에 표시된 제2화면을 통해 제2사용자들로부터 입력되는 질문이다. 제1사용자가 제1사용자 입력부(210)를 조작하여 제2사용자들의 질문에 대한 응답을 입력하면, 제1제어부(270)는 입력된 제1사용자의 응답을 서버(100)에게 전송하도록 제1통신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제1사용자의 응답을 제2단말기들(130, 140, 150)에게 전송한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30 receives a question of second users from the second terminals 130, 140, and 150 by the server 100, the first controller 270 receives the question of the received second users. Can be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The question of the second users is a question input from the second users through the second screen displayed on the second terminals 130, 140, and 150. When the first user manipulates the first user input unit 210 and inputs a response to a question of the second users, the first controller 270 transmits the first user's response to the server 100. The communication unit 230 may be controlled. The server 100 transmits a response of the first user to the second terminals 130, 140, and 150.

한편, 제2사용자들이 제2단말기들(130, 140, 150)에 표시된 제2화면을 통해 발언권을 신청하면, 제1제어부(270)는 발언권과 관련된 리스트를 서버(100)로부터 제공받아 제1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리스트는 발언권을 신청한 제2사용자들의 ID와 현재 발언권이 부여된 제2사용자들의 ID를 보여주는 리스트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users apply for the right to speak through the second screen displayed on the second terminal (130, 140, 150), the first controller 270 receives a list related to the right to speak from the server 100, the first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The list is a list showing the IDs of the second users who applied for the right to speak and the IDs of the second users who are granted the right to speak.

제1화면에 표시된 제2사용자들의 리스트 중 1인 이상의 제2사용자가 제1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면, 제1제어부(270)는 지정된 제2사용자에게 발언권을 부여하고, 발언권이 부여된 제2사용자의 ID를 서버(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발언권이 부여된 제2사용자의 ID는 서버(100)로부터 제공받은 제2사용자들의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다. 서버(100)는 발언권이 부여된 제2사용자가 사용자는 제2단말기의 음성 코딩 프로그램을 구동시킨다. If one or more second users in the list of second users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are designated by the first user, the first control unit 270 grants the right to speak to the designated second user, and the second user to whom the right to speak is granted. ID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100. The ID of the second user granted the right to speak is included in the list of the second users provided from the server 100. The server 100 is a second user granted a talk right, and the user drives the voice coding program of the second terminal.

상술한 설명에 의하면, 제1단말기(120)는 제1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질문을 서버(100)에 의해 제2단말기들(130, 140, 15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2단말기들(130, 140, 150)은 제1단말기(120)로부터의 질문을 서버(100)를 경유하여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제2사용자들로부터 수신된 질문에 대한 응답을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서버(100)에 의해 제1단말기(120)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description, the first terminal 120 may transmit a question input from the first user to the second terminals 130, 140, and 150 by the server 100. The second terminals 130, 140, and 150 receive a question from the first terminal 120 in real time via the server 100, and receive a response to the question received from the second users in real time. The server 100 may transmit the data to the first terminal 12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단말기(13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terminal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제2단말기(130)는 제2사용자 입력부(310), 제2표시부(320), 제2통신부(330), 제2저장부(340), 뷰어 실행부(350), 코딩부(360), 음성 수신부(370), 제2마이크로폰(380) 및 제2제어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제2사용자 입력부(310), 제2표시부(320), 제2통신부(330), 제2저장부(340) 및 제2제어부(390)는 도 2의 제1사용자 입력부(210), 제1표시부(220), 제1통신부(230), 제1저장부(240) 및 제1제어부(270)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3, the second terminal 130 may include a second user input unit 310, a second display unit 320, a second communication unit 330, a second storage unit 340, a viewer execution unit 350, The coding unit 360, a voice receiver 370, a second microphone 380, and a second controller 390 may be included. The second user input unit 310, the second display unit 320,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30, the second storage unit 340, and the second control unit 390 of FIG. 3 are the first user input unit 210 of FIG. 2. Since the first display unit 220,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30, the first storage unit 240, and the first control unit 270 are similar to each other,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2사용자 입력부(310)는 제2사용자와 제2단말기(130) 간의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The second user input unit 310 supports an interface between the second user and the second terminal 130.

제2표시부(320)는 제2단말기(130)의 동작 또는 현재 상태와 관련된 다양한 화면을 표시한다. 특히, 제2표시부(320)는 제2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후술할 도 4b, 도 5 내지 도 8과 같은 화면들(400b, 500, 600, 700, 800)을 표시할 수 있다. 화면들(400b, 500, 600, 700, 800)은 제2뷰어(131)에 의해 표시되는 제2화면으로, 기본적으로 강의 자료를 보여줄 수 있다.The second display unit 320 displays various screens related to the operation or the current state of the second terminal 130. In particular, the second display unit 320 may display the screens 400b, 500, 600, 700, and 800 shown in FIGS. 4B and 5 to 8,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ccording to a second user's manipulation. The screens 400b, 500, 600, 700, and 800 are second screens displayed by the second viewer 131, and may basically display lecture materials.

제2통신부(330)는 네트워크(10)를 통해 서버(100), 제1단말기(120) 및 복수의 제2단말기들(140, 150)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한다. 특히, 제2통신부(330)는 서버(100)를 경유하여 제1단말기(120)와 통신하는 제1통신 방식 및 제1단말기(120)와 다이렉트로 메시지 통신을 수행하는 제2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2사용자의 질문 및 응답을 제1단말기(120)로 전송할 수 있다.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30 communicates with the server 100, the first terminal 12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140 and 150 through a network 10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In particular,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30 is at least one of a first communication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terminal 120 via the server 100 and a second communication method for performing direct message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terminal 120. Using one, the question and response of the second user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terminal 120.

제2저장부(340)에는 강의 자료를 표시하는데 필요한 전용 뷰어인 제2뷰어(131)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2저장부(340)에는 서버(100), 제1단말기(120) 및 복수의 제2단말기들(140, 15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다양한 정보,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The second storage unit 340 may store a second viewer 131, which is a dedicated viewer for displaying lecture data. In addition, the second storage unit 340 may store various information, data, etc. received from at least one of the server 100, the first terminal 12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140 and 150.

코딩부(360)는 음성 수신부(370)로부터 입력되는 제2사용자의 음성을 코딩한다.The coding unit 360 codes the voice of the second user input from the voice receiving unit 370.

음성 수신부(370)는 제2마이크로폰(380)을 통해 입력되는 제2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여 코딩부(360)로 출력한다. 제2마이크로폰(380)은 제2단말기(130)에 포함되지 않고 외부 장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제2마이크로폰(380)이 무선 마이크로폰인 경우, 음성 수신부(370)는 제2마이크로폰(380)과 무선 통신에 의해 제2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The voice receiver 370 receives the voice of the second user input through the second microphone 380 and outputs the voice of the second user to the coding unit 360. The second microphone 380 may not be included in the second terminal 130 but may be provided as an external device. When the second microphone 380 is a wireless microphone, the voice receiver 370 may receive a voice of the second user b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microphone 380.

제2제어부(390)는 서버(100)로부터 제1단말기(120)의 IP 주소가 수신되면, 수신된 제1단말기(120)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제1단말기(120)와 통신할 수 있다. 이로써, 제1단말기(120)와 제2단말기(130)는 통신가능한 상태가 되며, 실시간 강의에 필요한 환경이 세팅된다.When the IP address of the first terminal 120 is received from the server 100, the second controller 390 may communicate with the first terminal 120 using the received IP address of the first terminal 120. . As a result, the first terminal 120 and the second terminal 130 is in a communicable state, and an environment necessary for real-time lecture is set.

또한, 제2사용자가 제2단말기(130)를 통해 서버(100)에 로그인하면, 제2제어부(390)는 뷰어 실행부(350)를 제어하여 저장된 제2뷰어(131)를 실행시킨다. 제2뷰어(131)가 실행되면, 제2단말기(130)는 서버(100)에게 제2단말기(130)의 IP 주소를 전송할 수 있다. 제2뷰어(131)는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강의 자료 또는 제2저장부(340)에 기저장된 다양한 컨텐츠를 보여주는 제2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In addition, when the second user logs in to the server 100 through the second terminal 130, the second controller 390 controls the viewer execution unit 350 to execute the stored second viewer 131. When the second viewer 131 is executed, the second terminal 130 may transmit the IP address of the second terminal 130 to the server 100. The second viewer 131 is a program for displaying a second screen showing lecture data provided from the server 100 or various contents previously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340.

제2화면이 표시되어 강의가 진행되는 동안, 제2사용자가 제2사용자 입력부(310)를 조작하여 질문을 입력하면, 제2제어부(390)는 입력된 질문을 제2화면에 표시하며, 제2사용자가 입력된 질문의 전송을 요청하면, 입력된 질문을 서버(100)에게 전송하도록 제2통신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제2통신부(330)로부터 수신된 질문을 제1단말기(120)에게 전송한다. 또한, 제2제어부(390)는 제2사용자의 질문에 대한 제1사용자의 응답이 서버(100)를 경유하여 수신되면, 수신된 응답을 제2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2제어부(390)는 수신된 제1사용자의 응답을 실시간으로 제2화면에 표시하거나, 또는, 제2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제2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While the second screen is displayed and the lecture is in progress, when the second user operates the second user input unit 310 to input a question, the second controller 390 displays the input question on the second screen. When the user requests the transmission of the input questio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30 may be controlled to transmit the input question to the server 100. The server 100 transmits the question received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30 to the first terminal 120. In addition, when the first user's response to the question of the second user is received via the server 100, the second controller 390 may display the received response on the second screen. In this case, the second controller 390 may display the received first user's response on the second screen in real time, or may display the second screen when the second user requests.

또한, 제2통신부(330)가 제1단말기(120)로부터 제1사용자의 질문을 서버(100)를 경유하여 또는 제1단말기(120)로부터 직접 수신하면, 제2제어부(390)는 수신된 제1사용자의 질문을 제2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제1사용자의 질문은 제1화면을 통해 제1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질문이다. 제2사용자가 제2사용자 입력부(310)를 조작하여 제1사용자의 질문에 대한 응답을 입력하면, 제2제어부(390)는 입력된 제2사용자의 응답을 서버(100) 에게 전송하도록 제2통신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서버(100)는 입력된 질문을 제1단말기(120)에게 전송한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30 receives the first user's question from the first terminal 120 via the server 100 or directly from the first terminal 120, the second control unit 390 receives the received message. The question of the first user may be displayed on the second screen. The question of the first user is a question input from the first user through the first screen. When the second user manipulates the second user input unit 310 to input a response to the question of the first user, the second controller 390 transmits the input second user's response to the server 100. The communication unit 330 may be controlled. The server 100 transmits the input question to the first terminal 120.

한편, 제2사용자가 제2화면에 표시된 발언권 신청 메뉴를 통해 발언권을 신청하면, 제2제어부(390)는 발언권이 신청되었음을 서버(100)에게 통지하도록 제2통신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서버(100)는 발언권을 신청한 제2사용자들과 현재 발언권이 부여된 제2사용자들의 리스트를 작성하여 제1단말기(120) 및 제2단말기들(130, 140, 150)에게 전송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user applies for the right to speak through the voice right application menu displayed on the second screen, the second controller 390 may control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30 to notify the server 100 that the right to speak has been applied. . The server 100 creates a list of the second users who have applied for the right to speak and the second users who are currently given the right to speak, and transmits the list to the first terminal 120 and the second terminals 130, 140, and 150 .

제1단말기(120)로부터 제2단말기(130)의 사용자인 제2사용자에게 발언권이 부여되면, 서버(100)는 코딩부(360)를 구동하도록 명령한다. 제2제어부(390)는 서버(100)의 명령에 따라 코딩부(360)의 코딩 프로그램을 구동한다. 이로써, 코딩부(360)는 입력되는 제2사용자의 음성을 코딩한다. 제2제어부(390)는 코딩된 제2사용자의 음성을 제1단말기(120)에게 직접 전송하도록 제2통신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When a speaking right is granted to a second user who is a user of the second terminal 130 from the first terminal 120, the server 100 instructs to drive the coding unit 360. The second controller 390 drives the coding program of the coding unit 360 according to the command of the server 100. As a result, the coding unit 360 codes the input voice of the second user. The second control unit 390 may control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30 to directly transmit the coded voice of the second user to the first terminal 120.

이하에서는 도 4a, 도 4b,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제1뷰어(121) 또는 제2뷰어(131)에 의해 표시되는 다양한 화면에 대해 설명한다. 도 4a, 도 4b, 도 5 내지 도 8에서는 제1사용자로서 강사, 제2사용자들로서 교육생들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8은 제1뷰어(121)에 의해 제공되는 화면들(500, 600, 700, 800)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제2뷰어(131) 역시 화면들(500, 600, 700, 800)과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화면들을 제2단말기들(130, 140, 150)에 표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various screens displayed by the first viewer 121 or the second viewer 13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4B, and 5 to 8. 4A, 4B, and 5 to 8 will be described by taking instructors as first users and trainees as second users as an example. 5 to 8 illustrate examples of the screens 500, 600, 700, and 800 provided by the first viewer 121. However, the second viewer 131 may also display the same or similar screens on the second terminals 130, 140, and 150 as the screens 500, 600, 700, and 800.

도 4a는 서버(100)에 로그인한 강사가 사용할 수 있는 메뉴들을 보여주는 제1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4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first screen showing menus that can be used by an instructor who logs in to the server 100.

제1뷰어(121)에 의해 제공되는 화면(400a)에는 강사와 관련된 강의 리스트(410)가 표시된다. 강사가 강의 리스트(410)에서 하나의 강의를 선택하면, 강의와 관련된 디지털 자료가 표시된다. 강사가 사용할 수 있는 메뉴들은 질문(QUESTION)(420), 응답(ANSWER)(430), 설문조사(POLL)(440), ACCESSMENT(450) 및 LEARNING DASHBOARD(460)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screen 400a provided by the first viewer 121, a lecture list 410 related to the instructor is displayed. When the instructor selects a lecture from the lecture list 410, digital materials related to the lecture are displayed. Menus available to the instructor may include questions (420), answers (ANSWER) 430, surveys (POLL) 440, ACCESSMENT 450 and LEARNING DASHBOARD 460.

도 4b는 교육생이 사용할 수 있는 메뉴들을 보여주는 제2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4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econd screen showing menus that can be used by a trainee.

제2뷰어(131)에 의해 제공되는 제2화면(400b)에는 교육생이 청강할 강의와 관련된 교육 교재(410)의 내용이강의 리스트(410) 표시된다. 교육 교재(410)는 강사 리스트(410)와 동일할 수 있으나, 교육생에게 제공되는 교재에 대한 것이므로, '교육 교재'라 칭한다. 교육생이 사용할 수 있는 메뉴들은 도 4a를 참조하여 설명한 메뉴와 유사하며, MY VOICE(4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교육생이 도 4b의 MY VOICE(470)를 선택하면, 제2제어부(390)는 교육생이 강사에게 발언권을 신청하였음을 서버(100)에게 통지한다.The second screen 400b provided by the second viewer 131 displays a list 410 of contents lectures of the teaching materials 410 related to the lectures to be attended by the trainees. The education textbook 410 may be the same as the instructor list 410, but is referred to as an 'education textbook' because it relates to a textbook provided to a trainee. Menus available to the trainees are similar to the menu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A and may further include MY VOICE 470. When the trainee selects MY VOICE 470 of FIG. 4B, the second controller 390 notifies the server 100 that the trainee has applied for the right to speak to the instructor.

강사가 도 4a의 QUESTION(420)을 선택하면, 제1단말기(120)는 교육생들에 의해 입력된 질문을 보여주는 화면(500)을 도 5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시간'은 질문이 입력된 시간, '제목'은 질문의 입력, '질문자'는 제2화면을 통해 질문을 입력한 교육생들, '상태'는 강사가 질문에 대해 응답하였는지를 나타낸다. 강사가 화면(500)에 보여지는 질문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구체적인 질문 텍스트가 제1뷰어(121)에 의해 표시된다. . 강사는 교육생들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 1뷰어에 의해 제공되는 화면을 통해 입력하고, 교육생들은 제2뷰어(131)에 의해 제공되는 화면을 통해 강사의 응답(즉, 답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When the instructor selects the QUESTION 420 of FIG. 4A, the first terminal 120 may display a screen 500 showing a question input by the trainees as shown in FIG. 5. Referring to Figure 5, 'time' is the time the question was entered, 'title' is the input of the question, 'questioner' is the trainees who entered the question through the second screen, 'state' is the instructor responds to the question It is shown. When the instructor selects one of the questions shown on the screen 500, the specific question text is displayed by the first viewer 121. . The instructor inputs the answers to the questions of the trainees through the screen provided by the first viewer, and the trainees can check the contents of the instructor's response (ie, the answer) through the screen provided by the second viewer 131. .

강사가 도 4a의 ANSWER(430)을 선택하면, 제1단말기(120)는 강사가 입력한 질문에 대해, 교육생들의 응답을 보여주는 화면(600)을 도 6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강사가 입력한 질문은 서버(100)에서 제2단말기들(130, 140, 150)에게 동시에 메시지 전송될 수 있다. 도 6의 경우, 강사는 주관식 형태의 질문을 작성하고 공개할 수 있으며, 작성된 질문은 DB(110)에 저장될 수 있다. 질문의 공개가 결정되면, 교육생들은 공개된 질문을 서버(100)에 접속하여 조회하고, 질문에 각각의 의견에 따라 주관적인 응답을 입력한다. 따라서, 교육생들 모두가 질문에 대해 응답하는 것이 아니라, 응답하고자 하는 교육생들만 응답할 수 있다. 그러나, 후술할 POLL의 경우, 교육생들은 모두 강사의 질문에 응답하여야 한다. When the instructor selects the ANSWER 430 of FIG. 4A, the first terminal 120 may display a screen 600 showing the responses of the trainees to the question input by the instructor as shown in FIG. 6. The question entered by the instructor may be simultaneously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s 130, 140, and 150 from the server 100. In the case of FIG. 6, the instructor may prepare and publish a question in a short answer form, and the written question may be stored in the DB 110. When the publication of the question is determined, the trainees access the published question by accessing the server 100 and input a subjective response to the question according to each opinion. Thus, not all trainees respond to questions, but only trainees who want to respond. However, in the case of the POLL to be described later, all the trainees must answer the instructor's question.

한편, 강사가 도 4a의 POLL(440)을 선택하면, 제1단말기(120)는 강사가 입력한 질문에 대해, 교육생들의 응답을 보여주는 화면(700)을 도 7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강사는 객관식 형태의 질문을 입력할 수 있으며, 따라서, 교육생들은 강사가 미리 제시한 대답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실시간으로 응답할 수 있다. 도 7의 POLL(440) 메뉴는 설문 조사 기능으로 응용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instructor selects the POLL 440 of FIG. 4A, the first terminal 120 may display a screen 700 showing the students' responses to the question input by the instructor as shown in FIG. 7. The instructor can enter multiple-choice questions so that the trainees can select one of the pre-suggested answers and respond in real time. The POLL 440 menu of FIG. 7 may be applied to a survey function.

예를 들어, 강사는 '오늘 강의를 이해하셨습니까?'라는 질문과 함께, '매우 잘 이해했다, 잘 이해했다, 보통이다 및 잘 모르겠다'라는 4가지의 항목을 제1뷰어(121)의 화면을 통해 입력하였다. 질문 및 4가지의 항목은 제2단말기들(130, 140, 150)의 제2뷰어(131)에 의해 표시되며, 교육생들은 각자 해당하는 항목을 선택하여 응답할 수 있다. 제1뷰어(121)는 각 항목에 대한 교육생들의 응답 결과를 서버(100)로부터 제공받아 원형 그래프(710), 막대 그래프 등 다양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structor asks the question 'Did you understand the lecture today?' And the four items 'Very well understood, well understood, normal and not sure' on the screen of the first viewer 121. Entered through. The questions and the four items are displayed by the second viewer 131 of the second terminals 130, 140, and 150, and the trainees can select and respond to the corresponding items. The first viewer 121 may receive the response results of the students for each item from the server 100 and display the results in various forms such as a pie graph 710 and a bar graph.

교육생들의 응답률이 교육생들의 전체 모수보다 많으면 질문은 자동으로 종료되며, 전체 모수의 미만이면 강사가 임의로 질문을 종료할 수 있다. 질문이 종료되면, 서버(100)는 저장된 데이터들의 분석 결과로부터 그래프를 생성하여 제1단말기(120)에게 제공하거나, 그래프를 저장할 수 있다.If the student's response rate is greater than the student's total parameters, the question is automatically closed. If the student's response rate is less than the student's overall parameter, the instructor may terminate the question at random. When the question is finished, the server 100 may generate a graph from the analysis result of the stored data and provide the graph to the first terminal 120 or store the graph.

도 4a를 참조하여 상술한 ANSWER 메뉴는 강사의 질문을 실시간으로 전송하지 않으나, POLL 메뉴는 강사의 질문(예, 설문조사)을 실시간으로 제2단말기들(130, 140, 15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 교육생들의 답변(즉, 응답)은 실시간으로 서버(100)에 의해 제1단말기(120)에게 전송된다.Although the ANSWER menu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4A does not transmit the instructor's question in real time, the POLL menu may transmit the instructor's question (eg, survey) to the second terminals 130, 140, and 150 in real time. . However, the answers (ie, responses) of the trainees are transmitted to the first terminal 120 by the server 100 in real time.

또한, 강사가 NEW(720)를 선택하면, 제1뷰어(121)는 새로운 질문을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며, 강사에 의해 화면상에서 입력된 질문은 서버(100)에 의해 제2단말기들(130, 140, 150)에게 실시간으로 전송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structor selects NEW 720, the first viewer 121 provides a screen for inputting a new question, and the question input on the screen by the instructor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s by the server 100.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130, 140, 150 in real time.

강사가 도 4a의 ACCESSMENT(450)를 선택하면, 제1뷰어(121)는 현재 강의와 관련된 교과목을 교육생들이 평가할 수 있는 화면 및 평가 결과를 표시한다.When the instructor selects the ACCESSMENT 450 of FIG. 4A, the first viewer 121 displays a screen and an evaluation result for the students to evaluate the curriculum related to the current lecture.

강사가 도 4a의 LEARNING DASHBOARD(460)를 선택하면, 제1뷰어(121)는 강사와 교육생들의 강의 참여도와 관련된 다양한 항목들에 대한 통계를 보여주는 화면(800)을 도 8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VIEWER HIT'는 강사의 강의에 참여한 교육생들의 교재 접속률, 'POLL'은 강사의 질문에 대한 교육생들의 응답률, 'ANSWER'는 강사의 질문에 대한 교육생들의 응답률을 나타낸다.
When the instructor selects the LEARNING DASHBOARD 460 of FIG. 4A, the first viewer 121 may display a screen 800 showing statistics on various items related to the lecture participation of the instructor and the students as shown in FIG. 8. . 'VIEWER HIT' shows the student's access to the textbooks, 'POLL' shows the student's response to the teacher's questions, and 'ANSWER' shows the student's response to the teacher's questions.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서버(100), 제1단말기(120) 및 제2단말기들(130, 140, 150)간의 실시간 강의 지원 방법을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4의 실시간 강의 지원 방법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간 강의 지원 시스템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사용자로서 강사, 제2사용자들로서 교육생들, 제1단말기(120)로서 강사 단말기, 제2단말기들(130, 140, 150)로서 교육생 단말기들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Hereinafter, a real-time lecture support method between the server 100, the first terminal 120, and the second terminals 130, 140, and 15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hrough 14. 9 to 14 may be operated by the real-time lecture support system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In addi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nstructor as the first user, the trainees as the second users, the instructor terminal as the first terminal 120, and the trainee terminals as the second terminals 130, 140, and 150 will be described. .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강의 지원 방법 중 강사 단말기가 로그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logging in by an instructor terminal in a real-time lecture support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910단계에서, 강사는 강사 단말기를 통해 서버에 로그인하고, 표시된 강의 리스트에서 강의할 과목을 선택할 수 있다.In operation S910, the instructor may log in to the server through the instructor terminal and select a subject to be lectured from the displayed lecture list.

S920단계에서, 강사 단말기는 서버로부터 강사를 위한 전용 뷰어인 제1뷰어를 다운로드한다. 제1뷰어는 강사가 강의하는데 필요한 강의 자료를 보여주기 위한 프로그램이다.In step S920, the instructor terminal downloads a first viewer that is a dedicated viewer for the instructor from the server. The first viewer is a program for showing lecture materials necessary for lecturers.

S930단계에서, 강사 단말기는 제1뷰어를 실행한다.In step S930, the instructor terminal executes the first viewer.

S940단계에서, 강사 단말기는 강사 단말기의 IP를 서버에게 전송한다.In step S940, the instructor terminal transmits the IP of the instructor terminal to the server.

S950단계에서, 강사 단말기는 서버로부터 S910단계에서 선택한 과목의 강의 자료를 수신하여 제1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제1화면은 실행된 제1뷰어에 의해 표시된다. 이로써, 강의를 위한 초기 환경이 세팅된다.In step S950, the instructor terminal may receive the lecture data of the subject selected in step S910 from the server and display on the first screen. The first screen is displayed by the executed first viewer. This sets the initial environment for the lecture.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강의 지원 방법 중 강사 단말기가 교육생의 질문에 응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in which an instructor terminal responds to a trainee's question in a real-time lecture support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1010단계에서, 강사가 제1뷰어에 의해 표시된 제1화면 중 질문(QUESTION) 메뉴(예를 들어, 도 4a의 식별번호 420)를 선택하면, S1020단계에서, 강사 단말기는 교육생 단말기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교육생이 입력한 질문을 서버에 의해 수신할 수 있다. 즉, 교육생은 자신이 사용하는 교육생 단말기에 표시된 제2화면을 통해 질문을 입력하고, 교육생 단말기는 입력된 질문을 서버에게 전송하며, 서버는 수신된 질문을 제1단말기에게 전송할 수 있다.In operation S1010, when the instructor selects a question menu (eg, identification number 420 of FIG. 4A) of the first screen displayed by the first viewer, in operation S1020, the instructor terminal is at least one of the student terminals. Can receive the questions entered by the student from the server. That is, the trainee may input a question through the second screen displayed on the trainee terminal used by the trainee, the trainee terminal may transmit the input question to the server, and the server may transmit the received question to the first terminal.

S1030단계에서, 강사 단말기는 수신된 질문을 포함하는 질문 리스트를 보여주는 제1화면을 도 5와 같이 표시한다. 제1화면은 강사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제1뷰어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이다.In step S1030, the instructor terminal displays a first screen showing a question list including the received question as shown in FIG. The first screen is a screen displayed by the first viewer executed in the instructor terminal.

S1040단계에서, 강사 단말기는 제1화면에 표시된 질문에 대한 응답을 강사로부터 입력받는다.In step S1040, the instructor terminal receives the response to the question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from the instructor.

S1050단계에서, 강사 단말기는 입력받은 응답을 서버에게 전송하고, 서버는 수신된 응답을 질문을 한 교육생 단말기에게 전송할 수 있다.In step S1050, the instructor terminal transmits the input response to the server, the server may transmit the received response to the student terminal asking a ques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강의 지원 방법 중 교육생 단말기가 질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in which a student terminal asks questions in a real-time lecture support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1110단계에서, 교육생이 제2뷰어에 의해 제공되는 제2화면 중 질문(QUESTION) 메뉴를 선택하면, 교육생 단말기는 질문을 입력할 수 있는 제2화면을 제공하고, 교육생은 제2화면을 통해 원하는 질문을 입력할 수 있다.In step S1110, when the trainee selects a question menu of the second screen provided by the second viewer, the trainee terminal provides a second screen for entering a question, the trainee desired through the second screen You can enter a question.

S1120단계에서, 교육생 단말기는 교육생으로부터 입력받은 질문을 서버에게 전송하고, 서버는 수신된 질문을 제1단말기에게 전송할 수 있다.In operation S1120, the student terminal may transmit a question input from the student to the server, and the server may transmit the received question to the first terminal.

S1130단계에서, 교육생이 교육생 단말기에 표시된 제2화면 중 질문(QUESTION) 메뉴를 선택하거나, 또는, 자신이 입력한 질문을 다시 선택하면, S1140단계에서, 교육생 단말기는 강사 단말기로부터 교육생의 질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교육생의 질문에 대한 응답은 서버를 경유하여 수신될 수 있다. 이 때, 교육생 단말기는 질문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소리, OSD(On Screen Display) 등을 통해 알릴 수 있다.In step S1130, when the trainee selects a question menu of the second screen displayed on the trainee terminal or selects a question entered by the trainee again, in step S1140, the trainee terminal answers the question of the trainee from the instructor terminal. A response can be received. The response to the student's question may be received via the server. At this time, the student terminal may notify the user that the response to the question has been received through a sound, an OSD (On Screen Display).

S1150단계에서, 교육생 단말기는 S1110단계에서 입력된 교육생의 질문에 대한 강사의 응답을 제2화면을 통해 표시한다.In step S1150, the student terminal displays the response of the instructor to the question of the trainee input in step S1110 on the second screen.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강의 지원 방법 중 강사 단말기가 교육생 단말기들에게 질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in which a lecturer terminal asks student terminals in a real-time lecture suppor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1210단계에서, 강사가 제1화면에 표시된 ANSWER 메뉴 또는 POLL 메뉴(예를 들어, 도 4a의 식별번호 '430, 440')를 선택하면 강사 단말기는 도 6 또는 도 7과 같은 제1화면을 표시한다. 이 때 표시되는 도 6 또는 도 7의 제1화면에는 이전에 입력된 질문이 보여진다. 도 12에서, 제1화면에 표시되는 메뉴가 도 4a를 참조하여 설명한 ANSWER 메뉴인 경우, 강사의 질문은 실시간으로 전송되지 않을 수 있으며, 교육생들의 답변은 강사 단말기에게 실시간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제1화면에 표시되는 메뉴가 POLL 메뉴인 경우, 강사의 질문(예, 설문조사)은 실시간으로 서버에 의해 교육생 단말기들에게 전송되며, 교육생들의 답변도 실시간으로 서버에 의해 강사 단말기에게 전송될 수 있다.In step S1210, when the instructor selects the ANSWER menu or the POLL menu (for example, identification numbers '430 and 440' of FIG. 4A)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the instructor terminal displays the first screen as shown in FIG. 6 or 7. do. At this time, the first screen of FIG. 6 or FIG. 7 displayed shows the previously input question. In FIG. 12, when the menu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is the ANSWER menu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A, the question of the instructor may not be transmitted in real time, and the answers of the trainees may be transmitted in real time to the instructor terminal. In addition, when the menu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is a POLL menu, the instructor's question (eg, survey) is transmitted to the student terminals by the server in real time, and the responses of the students are also transmitted to the instructor terminal by the server in real time. Can be.

S1220단계에서, 강사는 새로운 질문을 입력하기 위하여 제1화면에서 NEW 메뉴(예를 들어, 도 7의 식별번호 '720')를 선택하면 강사 단말기는 질문을 입력받을 수 있는 제1화면을 표시한다.In step S1220, when the instructor selects a NEW menu (for example, identification number '720' in FIG. 7) on the first screen to input a new question, the instructor terminal displays a first screen for receiving a question. .

S1230단계에서, 강사 단말기는 표시된 제1화면을 통해 강사로부터 질문을 입력받아 표시하고, S1240단계에서, 입력된 강사의 질문을 서버에게 전송한다. 서버는 강사의 질문을 교육생 단말기들에게 전송하고, 교육생 단말기들로부터 질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In step S1230, the instructor terminal receives and displays a question from the instructor through the displayed first screen, and in step S1240, transmits the question of the input instructor to the server. The server may send the instructor's question to the student terminals and receive a response to the question from the student terminals.

질문을 전송한 후, S1250단계에서, 제1화면에 표시된 ANSWER 메뉴 또는 POLL 메뉴를 강사가 다시 선택하면, S1260단계에서, S1240단계에서 전송된 질문에 대한 응답들을 서버로부터 수신한다. S1240단계에서 전송된 질문에 대한 응답들은 S1250단계 이전에 수신되어 강사 단말기에 기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After transmitting the question, in step S1250, if the instructor again selects the ANSWER menu or the POLL menu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in step S1260, responses to the question sent in step S1240 are received from the server. The responses to the question transmitted in step S1240 may be received before step S1250 and previously stored in the instructor terminal.

S1270단계에서, 강사 단말기는 수신된 응답들을 표시한다. 표시되는 응답들은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형태를 가지며, 다만, 질문 및 질문에 대한 응답들이 변경되어 표시된다.In step S1270, the instructor terminal displays the received responses. The displayed responses have the form shown in FIG. 6 or 7, except that the question and the answers to the questions are changed and displayed.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강의 지원 방법 중 교육생 단말기가 발언권을 신청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student terminal applies for a voice in a real-time lecture support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1310단계에서, 교육생은 교육생 단말기의 제2화면에 표시된 MY VOCIE 메뉴(예를 들어, 도 4b의 식별번호 '470')를 선택하여 발언권을 신청할 수 있다. In step S1310, the trainee may apply for a voice by selecting a MY VOCIE menu (for example, identification number '470' of FIG. 4B) displayed on the second screen of the trainee terminal.

S1320단계에서, 교육생 단말기는 발언권이 신청되었음을 서버에게 통지한다. In step S1320, the student terminal notifies the server that the right to speak has been applied.

서버는 발언권을 신청한 교육생들과 현재 발언권이 부여된 교육생들의 리스트 발언 관련 교육생 리스트를 생성하여 강사 단말기 및 교육생 단말기들에게 전송한다. The server generates a list of the students related to the talk and the current students who are granted the right to speak.

S1330단계에서, 교육생 단말기는 서버로부터 발언 관련 교육생 리스트를 수신하고, S1340단계에서, 수신된 발언 관련 교육생 리스트를 제2화면에 표시한다. In operation S1330, the student terminal receives a speech related trainee list from the server, and in operation S1340, displays the received speech related trainee list on the second screen.

강사가 교육생을 발언권자로서 지정하면, 즉, 강사 단말기가 교육생에게 발언권을 부여하면, 서버는 코딩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명령을 교육생 단말기에게 전송한다.When the instructor designates the student as the speaker, that is, when the instructor terminal gives the student the right to speak, the server transmits a command to run the coding program to the student terminal.

S1350단계에서, 교육생 단말기는 서버로부터 코딩 프로그램의 구동 명령을 수신하고, 교육생에게 발언권자로 지정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In step S1350, the student terminal receives the driving command of the coding program from the server, it can inform the student that the designated speaker.

S1350단계에서, 발언권자로 지정된 교육생의 음성이 입력되면, 음성을 코딩하여 강사 단말기에게 P2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전송한다.In step S1350, when the voice of the trainee designated as the speaker is input, the voice is coded and transmitted to the instructor terminal using the P2P protocol.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강의 지원 방법 중 강사 단말기가 발언권자를 지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in which a lecturer terminal designates a speaker in a real-time lecture support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1410단계에서, 강사 단말기는 서버로부터 발언 관련 교육생 리스트를 수신한다. In step S1410, the instructor terminal receives a list of speech related trainees from the server.

S1420단계에서, 강사 단말기는 제1화면에 수신된 발언 관련 교육생 리스트를 표시한다.In step S1420, the instructor terminal displays the list of speech-related trainees received on the first screen.

S1430단계에서, 강사는 표시된 발언 관련 교육생 리스트를 참조하여 발언권자를 지정할 수 있다. 즉, 강사 단말기는 표시된 발언 관련 교육생 리스트를 통해 강사로부터 발언권자를 입력받는다.In operation S1430, the instructor may designate a speaker by referring to the displayed student list related to the speaker. That is, the instructor terminal receives a speaker right from the instructor through the displayed speaking student list.

S1440단계에서, 강사 단말기는 지정된 교육생의 ID, 즉, 발언권자의 ID를 서버에게 전송한다. 서버는 수신된 해당 발언권자의 ID를 참조하여 발언권자의 교육생 단말기를 확인하고, 확인된 교육생 단말기의 음성 코딩 프로그램을 구동하도록 명령한다.In step S1440, the instructor terminal transmits the ID of the designated trainee, that is, the ID of the speaker. The server identifies the student terminal of the speaker of the speaker by referring to the received ID of the speaker, and instructs the user to run the voice coding program of the identified student terminal.

S1450단계에서, 코딩된 발언권자의 음성을 P2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교육생 단말기로부터 수신한다.In step S1450, the voice of the coded speaker is received from the student terminal using the P2P protocol.

S1460계에서, 강사 단말기는 수신된 코딩된 음성을 디코딩하여 믹서로 출력한다. 디코딩된 발언권자의 음성은 믹서에 의해 신호처리된 후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In the S1460 system, the instructor terminal decodes the received coded voice and outputs it to the mixer. The decoded speaker's voice is signaled by the mixer and then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speaker.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and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This is possibl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120: 제1단말기 210: 제1사용자 입력부
220: 제1표시부 230: 제1통신부
240: 제1저장부 250: 디코딩부
260: 음성 출력부 270: 제1제어부
120: first terminal 210: first user input unit
220: first display unit 230: first communication unit
240: first storage unit 250: decoding unit
260: voice output unit 270: first control unit

Claims (22)

제1단말기의 실시간 강의 지원 방법에 있어서,
제1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제1화면을 통해 제2사용자들에게 질의할 질문을 제1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1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질문을 상기 복수의 제2단말기들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강의 지원 방법.
In the real-time lecture support method of the first terminal,
Displaying a first screen;
Receiving a question from a first user to query a second user through the displayed first screen; And
And transmitting the question input by the first user to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용자의 질문에 대한 상기 제2사용자들의 응답을 상기 제1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강의 지원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displaying the responses of the second users to the first user's question on the first scree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질문이 객관식 형태의 질문인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객관식 형태의 질문에 대한 상기 제2사용자들의 응답을 분석하며,
상기 분석 결과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제1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강의 지원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If the question input by the first user is a multiple choice question, the server analyzes the responses of the second users to the multiple choice question,
And receiving the result of the analysis from the server and displaying the result on the first scre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단말기들로부터 상기 제2사용자들의 질문-상기 복수의 제2단말기들에 표시된 제2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질문-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2사용자들의 질문을 상기 제1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사용자들의 질문에 대한 응답이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응답을 상기 복수의 제2단말기들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강의 지원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Receiving a question of the second users, a question input through a second screen displayed on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from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Displaying the received questions of the second users on the first screen;
Inputting a response to a question of the second users from the first user; And
And transmitting the input response to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면은 상기 제1사용자를 위한 뷰어에 의해 제공되며, 상기 제2화면은 상기 제2사용자들을 위한 뷰어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강의 지원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the first screen is provided by the viewer for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screen is provided by the viewer for the second us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단말기들에 표시된 제2화면을 통해 상기 제2사용자들로부터 발언권 신청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발언권을 신청한 제2사용자들의 리스트를 상기 제1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제2사용자들 중 하나가 상기 제1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면, 상기 지정된 제2사용자에게 발언권을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강의 지원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Receiving a voice request from the second users through a second screen displayed on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Displaying a list of second users who applied for the right to speak on the first screen; And
And if one of the second users included in the list is designated by the first user, granting a voice to the designated second us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제2사용자의 음성이 상기 복수의 제2단말기들 중 하나로부터 입력되면, 상기 제2사용자의 음성을 디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디코딩된 제2사용자의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강의 지원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If the voice of the designated second user is input from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decoding the voice of the second user; And
And outputting the voice of the decoded second user to the outside through a speak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상기 제1단말기 및 상기 복수의 제2단말기들은 동일한 물리적 공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강의 지원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d the speaker, the first terminal, and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are located in the same physical space.
제2단말기의 실시간 강의 지원 방법에 있어서,
제2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제2화면을 통해 제2사용자로부터 발언권 신청을 입력받는 단계;
제1단말기에게 상기 발언권이 신청되었음을 통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사용자에게 상기 발언권이 부여되었음을 통지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강의 지원 방법.
In the real-time lecture support method of the second terminal,
Displaying a second screen;
Receiving a request for a voice from a second user through the displayed second screen;
Notifying the first terminal that the right to speak has been applied; And
And receiving a notification from the first terminal that the second user is given the right to speak.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코딩된 제2사용자의 음성을 상기 제1단말기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단말기는 상기 제2사용자의 음성을 디코딩하여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강의 지원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Receiving and coding a voice of the second user; And
Transmitting the voice of the coded second user to the first terminal;
The first terminal decodes the voice of the second user and outputs to the outside through a speaker.
제1항 내지 제9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9 on a computer. 제1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된 제1화면을 통해 제2사용자들에게 질의할 질문을 제1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서버 및 복수의 제2단말기들과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1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질문을 상기 복수의 제2단말기들에게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강의를 위한 제1단말기.
A display unit displaying a first screen;
A user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question from a first user to query a second user through the displayed first screen;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 server and a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And
And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question input by the first user to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사용자의 질문에 대한 상기 제2사용자들의 응답을 상기 제1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강의를 위한 제1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ntrol unit, the first terminal for a real-time lecture,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the response of the second user to the first screen questions of the first us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질문이 객관식 형태의 질문인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객관식 형태의 질문에 대한 상기 제2사용자들의 응답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상기 통신부 및 상기 복수의 제2단말기들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강의를 위한 제1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3,
If the question input by the first user is a multiple-choice question, the server analyzes the responses of the second users to the multiple-choice question, and analyzes the result of the analysis by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The first terminal for real-time lecture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to.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복수의 제2단말기들로부터 상기 제2사용자들의 질문-상기 복수의 제2단말기들에 표시된 제2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질문-을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제2사용자들의 질문을 상기 제1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제1사용자로부터 상기 제2사용자들의 질문에 대한 응답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응답을 상기 복수의 제2단말기들에게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강의를 위한 제1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mmunication unit receives a question of the second users from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a question input through a second screen displayed on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received questions of the second users on the first screen, and when a response to the questions of the second users is input from the first user, the controller displays the input response in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The first terminal for real-time lectures,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o.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사용자를 위한 뷰어에 의해 상기 제1화면을 제공하며, 상기 복수의 제2단말기들은 상기 제2사용자들을 위한 뷰어에 의해 제2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강의를 위한 제1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roller provides the first screen by the viewer for the first user, and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provides the second screen by the viewer for the second users. First termina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 및 상기 복수의 제2단말기들은 상기 서버를 경유하여 통신하는 제1통신 방식 및 상기 통신부 및 상기 복수의 제2단말기들이 다이렉트로 메시지 통신을 수행하는 제2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질문을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강의를 위한 제1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using at least one of a first communication scheme for communicating via the server and a second communication scheme for direct communica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First terminal for real-time le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ding and receiving question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사용자들이 상기 복수의 제2단말기들에 표시된 제2화면을 통해 발언권을 신청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언권을 신청한 제2사용자들의 리스트를 상기 제1화면에 표시하며,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제2사용자들 하나가 상기 제1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정된 제2사용자에게 발언권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강의를 위한 제1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1,
When the second users apply for a right to speak through the second screen displayed on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the controller displays a list of second users who applied for the right to speak on the first screen and includes the list in the list. The first terminal for the real-time lectur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one of the second user is designated by the first user, the control unit gives a voice to the designated second user.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제2사용자의 음성이 상기 복수의 제2단말기들 중 하나로부터 입력되면, 상기 제2사용자의 음성을 디코딩하는 디코딩부; 및
상기 디코딩된 음성을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는 상기 제1사용자의 음성 및 상기 지정된 제2사용자의 음성을 외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강의를 위한 제1단말기.
19. The method of claim 18,
A decoding unit for decoding the voice of the second user when the voice of the designated second user is input from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And
And a voice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the decoded voice to a speaker.
The speaker is a first terminal for a real-time lecture,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the voice of the first user and the voice of the specified second user to the outside.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및 상기 복수의 제2단말기들은 동일한 물리적 공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강의를 위한 제1단말기.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first terminal for the real-time le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peaker and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are located in the same physical space.
제2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된 제2화면을 통해 제2사용자로부터 발언권 신청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제1사용자를 위한 제1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1단말기에게 상기 발언권이 신청되었음을 통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강의를 위한 제2단말기.
A display unit displaying a second screen;
A user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voice request from a second user through the displayed second screen;
A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a first terminal for a first user; And
And a controller for notifying the first terminal that the right to speak has been applied.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사용자에게 상기 발언권이 부여되면, 상기 제2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코딩하는 코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딩된 제2사용자의 음성을 상기 제1단말기에게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1단말기는 상기 제2사용자의 음성을 디코딩하여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강의를 위한 제2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21,
And a cod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and code a voice of the second user when the speaking right is granted to the second user from the first terminal.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coded second user's voice to the first terminal,
The first terminal is a second terminal for a real-time lecture, characterized in that for decoding the voice of the second user to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a speaker.
KR1020110031321A 2011-04-05 2011-04-05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real-time lecturing system KR20120113554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321A KR20120113554A (en) 2011-04-05 2011-04-05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real-time lecturing system
PCT/KR2012/002541 WO2012138130A2 (en) 2011-04-05 2012-04-04 Real-time lecture support system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321A KR20120113554A (en) 2011-04-05 2011-04-05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real-time lectur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554A true KR20120113554A (en) 2012-10-15

Family

ID=47283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1321A KR20120113554A (en) 2011-04-05 2011-04-05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real-time lectur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355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1356B2 (en) Internet interactive learning management system
US200802288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online collaboration
US20070298401A1 (en) Educational System and Method Using Remote Communication Devices
KR20020006431A (en) Interactive multimedia virtual classes requiring small online network bandwidth
KR102048866B1 (en) Interactive online video training method and system using multi-device
WO2012138130A2 (en) Real-time lecture support system and method
CN111738889A (en) OMO intelligent interactive cloud classroom system supporting multiple terminals
Wiles et al. Establishment of an engaged and active learning community in the biology classroom and lab with Discord
KR20100060289A (en) System and method for lecturing interactively in on-line
VanDeGrift et al. Promoting interaction in large classes with a computer-mediated feedback system
Hyttinen et al. Th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of using 360-degree video technology in online lecturing: A case study in higher education business studies
Ayu et al. Active learning: Engaging students in the classroom using mobile phones
KR20180065181A (en) Collaborative writing system based on smart device and method thereof
US8918819B1 (en) Automated remote collaborative learning software
KR20030078847A (en) Cyber education method and its system with various function
Charles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b-Based Virtual Classroom System
CN107749203A (en) A kind of teaching, training cut-in method
KR20010007738A (en) Remote studying method for a plurality of users via internet and the system of the same
KR20120113554A (en)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real-time lecturing system
CN113345281A (en) Intelligent teaching system
Creelman et al. Webinars as active learning arenas
KR20130100813A (en) On-line broadcasting learning system based on e-book and on-line broadcasting learning method
KR20120113551A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time lecturing system
JP2017078844A (en) Terminal with digital english learning application for providing digital english learning content installed thereon
Transinata et al. THE CHARACTERIZATION OF ENGLISH VIRTUAL LABORATORY: A STRAUSSIAN GROUNDED THEORY APPROA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