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2951A -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system and terminal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system and terminal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2951A
KR20120112951A KR1020110030564A KR20110030564A KR20120112951A KR 20120112951 A KR20120112951 A KR 20120112951A KR 1020110030564 A KR1020110030564 A KR 1020110030564A KR 20110030564 A KR20110030564 A KR 20110030564A KR 20120112951 A KR20120112951 A KR 20120112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frequency
content
contents
le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05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기범
고용지
김동훈
배종필
안영진
조정식
이기연
박주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0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2951A/en
Publication of KR20120112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295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PURPOSE: A content providing method, a system thereof, and a terminal thereof are provided to maximize a learning effect of a user by enabling a user using an e-book to visually confirm the quantity of a learning progress. CONSTITUTION: A terminal(10) executes an e-book function according to a request of a user. The terminal selects contents provided through the e-book function. The terminal confirms the frequency of use of detailed items in the selected contents. The terminal divides a content list corresponding to the detailed items into thumbnails to suggest the same. The terminal visually displays the frequency of use of corresponding detailed items in each thumbnail. [Reference numerals] (10) Terminal; (20) Service device; (30) Communications network

Description

컨텐츠 제공 방법, 시스템 및 그의 단말기{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system and terminal thereof}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system and terminal thereof

본 발명은 컨텐츠 제공 방법, 시스템 및 그의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책과 같은 교육 컨텐츠의 목차를 썸네일(Thumbnail)로 표시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학습 상태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컨텐츠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providing method, a system, and a terminal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a content providing method capable of visually representing a learning state of a user while displaying a table of contents of educational content such as an e-book as a thumbnail. , Systems and devices.

최근 들어,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단말기에서의 기능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맞추어 보다 다양한 컨텐츠와 사용자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및 그를 이용한 다양한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특히,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책(E-Book)은 바쁜 일상 생활 속에서 생활하는 현대인들에게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어 전자책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추세이다.Recently,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function of the terminal is gradually expanded, and accordingly, more various contents, user interfaces (UIs) and various functions using the same are provided. In particular, e-books using terminals provide a variety of information to modern people living in busy daily life without time and space constraints, and users of e-books are steadily increasing.

단말기를 통해 전자책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오프라인 상의 책처럼 모든 내용을 한번에 읽거나 숙지할 수 없기에 반복적으로 학습 내용을 습득하거나, 북마크와 같은 기능을 통해 다음에 이용할 때 미리 학습된 부분을 쉽게 찾을 수 있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Users who use e-books through the terminal cannot learn or read all the contents at once, such as offline books, so they can learn the contents repeatedly, or use a bookmark function to easily find pre-learned parts next time. The method is used.

하지만, 이와 같은 북마크 기능을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가 학습해야 할 부분에 대한 내용을 찾기는 쉽지만, 현재 학습 진도에 대한 시각적인 표시 기능이 되지 않기 때문에 학습 효과를 향상 시키기에는 부족하다.However, when using the bookmark function, it is easy for the user to find the contents of the part to be learned, but it is not enough to improve the learning effect because it is not a visual display function of the current learning progress.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책 기능을 통해 실행되는 컨텐츠의 목차를 챕터 또는 페이지 단위의 썸네일로 표시할 수 있는 컨텐츠 제공 방법, 시스템 및 그의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ent providing method, a system and a terminal thereof that can display the contents of the content executed through the e-book function in the chapter or page thumbnai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컨텐츠 학습 상태를 챕터 또는 페이지에 대한 테두리의 명암 또는 두께로 구분하여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컨텐츠 제공 방법, 시스템 및 그의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ent providing method, a system, and a terminal thereof, which can visually represent a content learning state of a user by dividing the intensity or the thickness of a border of a chapter or pag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와 동일한 컨텐츠를 학습하는 다른 사용자의 이용빈도를 비교하여 학습 상태를 썸네일로 제시할 수 있는 컨텐츠 제공 방법, 시스템 및 그의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ent providing method, a system and a terminal thereof that can present a learning state as a thumbnail by comparing the frequency of use of other users learning the same content as the user.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전자책 기능을 실행하고, 전자책 기능을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를 선택하고, 선택된 컨텐츠의 세부 항목에 대한 이용빈도를 확인하고, 세부 항목에 대응하는 컨텐츠 목차를 썸네일로 구분하여 제시함과 동시에, 각 썸네일의 해당 세부 항목에 대한 이용빈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단말기 및 단말기의 요청 신호에 따라 컨텐츠를 학습하는 사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의 세부 항목에 대한 이용빈도를 확인하고, 세부 항목에 대응하는 컨텐츠 목차를 썸네일로 구분하여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비스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executes an e-book function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selects the content provided through the e-book function, and selects the details of the selected content. It checks the frequency of use, and displays the table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detailed items as thumbnails, and learns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request signal of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that visually displays the frequency of use of the corresponding detailed items of each thumbnail.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rvice device for checking the frequency of use for the detailed items of the user or another user, and divides the table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detailed items into thumbnails and transmits them to the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서비스장치와 전자책 기능을 통해 컨텐츠 학습에 따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통신부 및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전자책 기능을 실행하고, 전자책 기능을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를 선택하고, 선택된 컨텐츠의 세부 항목에 대한 이용빈도를 확인하고, 세부 항목에 대응하는 컨텐츠 목차를 썸네일로 구분하여 제시함과 동시에, 각 썸네일의 해당 세부 항목에 대한 이용빈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말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ecutes the e-book function at the request of the user and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ccording to content learning through the service device and the e-book function, and selects the content provided through the e-book function And checking the frequency of use of the detailed items of the selected content, presenting the contents of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detailed items by thumbnails, and controlling the visual display of the frequency of use of the corresponding detailed items of each thumbnail.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컨텐츠에 대한 이용빈도를 챕터 또는 페이지 단위로 저장하는 단말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in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erminal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frequency of use of the content in chapters or pag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컨텐츠는 학습을 위해 제공되는 문제집, 참고서, 사전, 단어장 및 교과서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교육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ducational content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collection of questions, reference books, dictionaries, vocabulary and textbooks provided for learn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제어부는 컨텐츠 목차에서 이용빈도가 많은 챕터 또는 페이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챕터 또는 페이지에 대한 테두리의 명암을 이용빈도가 적은 챕터 또는 페이지의 테두리 보다 어둡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control unit extracts a chapter or page with a high frequency of use from the content table, and displays the contrast of the extracted chapter or page darker than the border of the chapter or page with less usage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제어부는 컨텐츠 목차에서 이용빈도가 많은 챕터 또는 페이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챕터 또는 페이지에 대한 테두리의 두께를 이용빈도가 적은 챕터 또는 페이지의 테두리 보다 두껍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control unit extracts a chapter or page with a high frequency of use from the content table, and displays the thickness of the border of the extracted chapter or page thicker than the border of the chapter or page with a less frequent use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제어부는 컨텐츠 목차에서 이용빈도가 많은 챕터 또는 페이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챕터 또는 페이지를 우선 순위로 하여 상위에 정렬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controller extracts a chapter or page with a high frequency of use from the contents table, and displays the extracted chapter or page in a priority ord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제어부는 컨텐츠에 연관된 학습 결과 또는 메모에 해당하는 학습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학습정보를 썸네일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controller checks the learn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result or memo related to the content, and displays the identified learning information in a thumbnai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제어부는 컨텐츠 목차에 대한 표시모드를 명암 구분모드, 두께 구분모드 또는 정렬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로 구분하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mode for setting the content of the content divided into at least one mode of the contrast mode, thickness classification mode or alignment mod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컨텐츠를 전자책 기능으로 제공하고, 선택된 컨텐츠를 학습하는 다른 사용자의 이용빈도에 대한 데이터를 서비스장치로 요청하고, 서비스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다른 사용자에 대한 이용빈도를 사용자의 이용빈도와 비교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상응하는 컨텐츠 목차를 썸네일로 구분하여 제시함과 동시에 각 썸네일의 해당 세부 항목에 대한 이용빈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control unit provides th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to the e-book function, and requests the service device for data about the frequency of use of other users learning the selected content from the service device, Compare and analyze the frequency of use for other users with the frequency of use of users, and present the contents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analysis result as thumbnails and visually display the frequency of use of the corresponding detail items of each thumbnail. It feature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장치는 단말기와 전자책 기능을 통해 컨텐츠 학습에 따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서비스통신부와, 컨텐츠의 대한 이용빈도를 챕터 또는 페이지 단위로 저장하는 서비스저장부 및 단말기의 요청 신호에 따라 컨텐츠를 학습하는 사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의 세부 항목에 대한 이용빈도를 확인하여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rvi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rvice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ccording to content learning through the terminal and the e-book function, a servic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frequency of use of the content in units of chapters or pages and the request signal of the terminal The servic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to the terminal to check the frequency of use of the detailed items of the user or other user learning the content according to.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장치에 있어서, 서비스제어부는 컨텐츠의 세부 항목에 대응하는 컨텐츠 목차를 썸네일로 구분하고, 각 썸네일의 해당 세부 항목에 대한 이용빈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control unit divides the content table corresponding to the detailed item of the content into thumbnails, and visually expresses the frequency of use of the corresponding detailed item of each thumbnail to provide to the terminal. It is don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장치에 있어서, 서비스통신부, 서비스제어부 또는 서비스저장부가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communication unit, the service control unit or the service storage unit may be implemented as one or more servers operating on a cloud computing basis.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단말기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전자책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와, 단말기가 전자책 기능을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와, 단말기가 선택된 컨텐츠의 세부 항목에 대한 이용빈도를 확인하는 단계 및 단말기가 세부 항목에 대응하는 컨텐츠 목차를 썸네일로 구분하여 제시함과 동시에 각 썸네일의 해당 세부 항목에 대한 이용 빈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As another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executes the e-book function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the terminal selects the content provided through the e-book function, the terminal details of the selected content A program that checks the frequency of use of the item and the terminal displays the table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detailed item in thumbnails and visually expresses the frequency of use of the corresponding detailed item in each thumbnail.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책을 이용하여 학습하는 사용자가 현재 학습된 진도에 대한 분량을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learning by using an e-book can visually check the amount of the current learning progress to maximize the learning effect.

또한, 사용자가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반복적으로 이용한 챕터 또는 페이지에 대한 테두리의 명암 또는 두께를 다르게 표시하여 오프라인 상에서 느끼는 책에 대한 친숙함을 느낄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contrast or thickness of the edge of the chapter or page repeatedly used by the user, which is determined to be important, may be displayed differently so that the user may feel familiar with the book.

또한, 학습 결과나 메모 내용을 썸네일에 나타내어 줌으로써 썸네일을 통해서 자신의 학습 상황을 쉽게 알 수 있다.In addition, by displaying the learning results or memo contents in the thumbnail, it is easy to know the learning situation through the thumbnail.

또한, 동일한 컨텐츠를 통해 학습하고 있는 사용자 간의 이용빈도를 비교하여 제공함으로써, 학습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learning efficiency by comparing the frequency of use between the users learning through the same cont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목차를 썸네일로 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와 서비스장치의 연동을 통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presenting a table of contents as a thumbn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at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providing method through interworking of a terminal and a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C are exemplary diagrams for describing a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tha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like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throughout the drawings.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described below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are appropriate as concepts of terms for explaining their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통신망에 연결되어 전자책 기능을 통해 컨텐츠를 실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대표적인 예로서 설명하지만 단말기는 이동통신단말기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기, 유선 단말기, 고정형 단말기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기 등의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는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및 정보통신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사양을 갖는 모바일(Mobile) 단말기일 때 유리하게 활용될 수 있다.In addition, hereinafter,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and executing contents through an e-book function, but the terminal is not limi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ll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s,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terminals such as a multimedia terminal, a wired terminal, a fixed terminal, and an Internet Protocol (IP) terminal. Also, the terminal may be a mobile phone,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mobile Internet device (MID), a smart phone, a desktop, a tablet PC, a notebook, And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which can be advantageously used in a mobile terminal having various mobile communication specific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단말기(10), 서비스장치(20) 및 통신망(3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10, a service device 20, and a communication network 30.

단말기(10)는 통신망(30)에 접속하여, 통신망(30)을 통해 서비스장치(20)에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0)는 통신망(30)에 접속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접속할 수 있다. 특히, 단말기(10)는 전자책 기능을 실행하고, 전자책 기능을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를 선택한다. 여기서, 단말기(10)는 선택된 컨텐츠의 각 항목에 대한 이용빈도를 확인하고, 확인된 이용빈도에 따라 컨텐츠 목차를 썸네일로 구분하여 제시한다. 또한, 단말기(10)는 각 썸네일의 해당 세부 항목에 대한 이용빈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The terminal 10 may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3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service apparatus 2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30. Here, the terminal 10 may connect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30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a protocol supporting the connection. In particular, the terminal 10 executes an e-book function and selects content provided through the e-book function. Here, the terminal 10 checks the frequency of use of each item of the selected content and presents the table of contents in thumbnails according to the identified frequency of use. In addition, the terminal 10 visually displays the frequency of use for the corresponding subitem of each thumbnail.

단말기(1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컨텐츠를 전자책 기능으로 제공한다. 이때, 단말기(10)는 동일한 컨텐츠를 학습하는 다른 사용자의 이용빈도에 따른 데이터를 서비스장치(20)로 요청한다. 그리고 나서, 단말기(10)는 서비스장치(20)로부터 수신되는 이용빈도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상응하는 컨텐츠 목차를 썸네일로 구분하여 제시함과 동시에, 각 썸네일의 해당 세부 항목에 대한 이용빈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The terminal 10 provides th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as an e-book function. At this time, the terminal 10 requests the service device 20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f other users learning the same content. Then, the terminal 10 analyzes the frequency of use received from the service device 20, presents a table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analysis result as thumbnails, and displays the frequency of use of the corresponding detailed items of each thumbnail. Can be displayed visually.

서비스장치(20)는 통신망(30)을 통해 단말기(10)와 전자책 기능에 따른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특히, 서비스장치(20)는 단말기(10)의 요청 신호에 따라 컨텐츠를 학습하는 다른 사용자의 세부 항목에 대한 이용빈도를 확인하고, 세부 항목에 대응하는 컨텐츠 목차를 썸네일로 구분하여 단말기(10)로 전송한다. 또한, 서비스장치(20)는 각 썸네일의 해당 세부 항목에 대한 이용빈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단말기(10)에 제공한다.The service device 2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according to the e-book function with the terminal 1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30. In particular, the service device 20 checks the frequency of use of detailed items of other users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request signal of the terminal 10, and divides the contents table corresponding to the detailed items into thumbnails to display the contents of the terminal 10. To send. In addition, the service device 20 visually expresses the frequency of use for the corresponding sub-item of each thumbnail and provides it to the terminal 10.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전자책을 이용하여 학습하는 사용자가 현재 학습된 진도에 대한 분량을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반복적으로 이용한 챕터 또는 페이지에 대한 테두리의 명암 또는 두께를 다르게 표시하여 오프라인 상에서 느끼는 책에 대한 친숙함을 느낄 수 있게 한다. 또한, 학습 결과나 메모 내용을 썸네일에 나타내어 줌으로써 썸네일을 통해서 자신의 학습 상황을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컨텐츠를 통해 학습하고 있는 사용자 간의 이용빈도를 비교하여 제공함으로써, 학습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can maximize the learning effect by visually confirming the amount of progress for the user learning using the e-book. In addition, the contrast or thickness of the edge of the chapter or page repeatedly used by the user, which is determined to be important, may be displayed differently so that the user may feel familiar with the book. In addition, by displaying the learning results or memo contents in the thumbnail, it is easy to know the learning situation through the thumbnail.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learning efficiency by comparing the frequency of use between the users learning through the same conten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는 단말제어부(11), 입력부(12), 표시부(13), 단말저장부(14), 오디오처리부(15) 및 단말통신부(16)로 구성된다. 이때, 단말저장부(14)는 이용빈도 DB(14a)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terminal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controller 11, an input unit 12, a display unit 13, a terminal storage unit 14, an audio processor 15, and a terminal communication unit ( 16). In this case, the terminal storage unit 14 may include a frequency of use DB (14a).

단말제어부(11)는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예컨대, 단말제어부(11)는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가 될 수 있다. 단말제어부(11)는 단말기(10)의 전원이 켜지면, 운영 체제를 보조 기억 장치로부터 주 기억 장치로 이동시킨 후, 운영 체제를 구동하기 위한 부팅(booting)을 수행하고, 필요한 신호 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제어부(11)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전자책 기능을 실행한다. 그리고, 단말제어부(11)는 전자책 기능을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를 선택한다. 이때, 단말제어부(11)는 컨텐츠 종류를 제시하고, 컨텐츠 종류 중 특정 컨텐츠를 선택한다. 여기서, 컨텐츠는 학습을 위해 제공되는 문제집, 참고서, 사전, 단어장 및 교과서 등에 해당하는 교육 컨텐츠가 될 수 있다.The terminal controller 11 may be a process device that drives an operating system (OS) and each component. For example, the terminal control unit 11 may b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When the terminal 10 is powered on, the terminal controller 11 moves the operating system from the auxiliary storage device to the main storage device, performs booting to drive the operating system, and performs necessary signal control. do. In particular, the terminal control unit 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ecutes the e-book function at the request of the user. The terminal controller 11 selects content provided through the e-book function. In this case, the terminal controller 11 presents a content type and selects specific content among the content types. Here, the content may be educational content corresponding to a collection of questions, a reference book, a dictionary, a wordbook, a textbook, and the like provided for learning.

단말제어부(11)는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이용빈도를 확인한다. 그리고, 단말제어부(11)는 확인된 이용빈도에 따라 컨텐츠 목차를 썸네일로 구분하여 제시한다. 여기서, 단말제어부(11)는 컨텐츠 목차에서 이용빈도가 많은 챕터 또는 페이지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단말제어부(11)는 컨텐츠 목차에 대한 표시모드를 미리 설정하거나 전자책 기능 실행 중에 수시로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모드는 명암 구분모드, 두께 구분모드 또는 정렬모드가 포함될 수 있다.The terminal controller 11 checks the frequency of use of the selected content. In addition, the terminal controller 11 classifies and presents the table of contents as thumbnails according to the identified usage frequency. Here, the terminal controller 11 may extract a chapter or page with a high frequency of use from the contents table. In this case, the terminal controller 11 may preset the display mode for the contents table of contents or change it at any time during the execution of the e-book function. The display mode may include a contrast mode, a thickness mode or an alignment mode.

예를 들어, 명암 구분모드인 경우, 단말제어부(11)는 컨텐츠 목차에 대한 이용빈도를 확인하고, 이용빈도가 많은 챕터 또는 페이지에 대한 테두리의 명암을 이용빈도가 적은 챕터 또는 페이지의 테두리 보다 어둡게 표시한다. 또한, 두께 구분모드인 경우, 단말제어부(11)는 컨텐츠 목차에 대한 이용빈도를 확인하고, 이용빈도가 많은 챕터 또는 페이지에 대한 테두리의 두께를 이용빈도가 적은 챕터 또는 페이지의 테두리 보다 두껍게 표시한다. 또한, 정렬모드인 경우, 단말제어부(11)는 컨텐츠 목차에 대한 이용빈도를 확인하고, 이용빈도가 많은 챕터 또는 페이지를 우선 순위로 하여 상위에 정렬하여 표시한다. 또한, 단말제어부(11)는 컨텐츠에 연관된 학습 결과 또는 메모에 해당하는 학습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학습정보를 썸네일로 표시한다.For example, in the contrast mode, the terminal controller 11 checks the frequency of use for the contents table and makes the contrast of the chapter or page with a high frequency of use darker than the border of the chapter or page with a low frequency of use. Display. In addition, in the thickness division mode, the terminal control unit 11 checks the frequency of use for the contents table and displays the thickness of the border for the chapter or page with a high frequency of use, which is thicker than the border of the chapter or page with a low frequency of use. . In addition, in the sorting mode, the terminal controller 11 checks the frequency of use for the table of contents, and sorts and displays the chapters or pages with a high frequency of use as a priority. In addition, the terminal controller 11 checks the learn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result or memo related to the content, and displays the identified learning information as thumbnails.

더하여, 단말제어부(11)는 동일한 컨텐츠를 학습하는 다른 사용자의 이용빈도에 대한 데이터를 서비스장치(20)로 요청한다. 그리고 나서, 단말제어부(11)는 서비스장치(20)로부터 수신되는 이용빈도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한다. 이때, 단말제어부(11)는 서비스장치(20)로부터 수신된 이용빈도에 대한 데이터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이용빈도와 서비스장치(20)로부터 수신된 다른 사용자의 이용빈도에 대한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controller 11 requests the service device 20 for data on the frequency of use of other users learning the same content. Then, the terminal control unit 11 analyzes the data on the frequency of use received from the service device 20. In this case, the terminal controller 11 may check data on the frequency of use received from the service apparatus 20, and compare the data about the frequency of use of the user with the frequency of use of other users received from the service apparatus 20. .

단말제어부(11)는 분석 결과에 따른 컨텐츠 목차를 썸네일로 구분하여 제시한다. 즉, 단말제어부(11)는 세부 항목에 대응하는 컨텐츠 목차를 썸네일로 구분하여 제시함과 동시에 각 썸네일의 해당 세부 항목에 대한 이용 빈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제시할 수 있다. 이때, 단말제어부(11)는 컨텐츠 목차에 대한 표시모드를 미리 설정하거나 전자책 기능 실행 중에 수시로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모드는 명암 구분모드, 두께 구분모드 또는 정렬모드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암 구분모드인 경우, 단말제어부(11)는 사용자의 이용빈도가 서비스장치(20)로부터 수신된 다른 사용자의 이용빈도 보다 많은 챕터 또는 페이지에 대한 테두리의 명암을 이용빈도가 적은 챕터 또는 페이지의 테두리의 명암 보다 어둡게 표시한다. 또한, 두께 구분모드인 경우, 단말제어부(11)는 사용자의 이용빈도가 서비스장치(20)로부터 수신된 다른 사용자의 이용빈도 보다 많은 챕터 또는 페이지에 대한 테두리의 두께를 이용빈도가 적은 챕터 또는 페이지의 테두리 보다 두껍게 표시한다. 또한, 정렬 모드인 경우, 단말제어부(11)는 사용자의 이용빈도가 서비스장치(20)로부터 수신된 다른 사용자의 이용빈도 보다 많은 챕터 또는 페이지를 우선 순위로 하여 상위에 정렬하여 표시한다.The terminal controller 11 classifies and presents a table of content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as thumbnails. That is, the terminal controller 11 may present the contents table corresponding to the detailed items by dividing them into thumbnails and visually express the frequency of use of the corresponding detailed items of each thumbnail. In this case, the terminal controller 11 may preset the display mode for the contents table of contents or change it at any time during the execution of the e-book function. The display mode may include a contrast mode, a thickness mode or an alignment mode. For example, in the contrast classification mode, the terminal control unit 11 is a chapter in which the user's use frequency is less than the user's frequency received from the service device 20, or the chapter has less intensity of the border for the page Or make the page darker than the contrast of the border. In addition, in the thickness classification mode, the terminal control unit 11 uses a chapter or page whose thickness is less than the usage frequency of the chapter or page for which the user's usage frequency is higher than that of other users received from the service device 20. It is thicker than the border. In addition, in the sorting mode, the terminal controller 11 sorts and displays the chapters or pages in which the user's usage frequency is higher than the user's usage frequency received from the service apparatus 20 as a priority.

입력부(12)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을 설정 및 단말기(1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단말제어부(11)로 전달한다. 또한, 입력부(12)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2)는 표시부(13)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입력부(12)는 전자책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신호 및 컨텐츠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 받아, 단말제어부(11)로 전달한다.The input unit 12 receive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numeric and character information, and transmits a signal input in connection with setting various functions and function control of the terminal 10 to the terminal control unit 11. The input unit 12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keypad and a touchpad that generates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touch or operation. At this time, the input unit 12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ingle touch panel (or a touch screen) together with the display unit 13 to simultaneously perform input and display functions. The input unit 12 may be any type of input device that can be developed in addition to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a keypad, a mouse, a joystick, and the like. In particular, the input unit 12 receives a signal for selecting an e-book function and a signal for selecting content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terminal controller 11.

표시부(13)는 단말기(1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3)는 단말기(10)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13)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 LC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LED),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 Dimens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3)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이와 같이, 표시부(13)가 터치스크린 형태로 형성된 경우, 표시부(13)는 입력부(12)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13)는 전자책 기능을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를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13 displays information on a series of operation states, operation results, and the like that occur while the functions of the terminal 10 are performed.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3 can display menus of the terminal 10 and user data input by the user. Here, the display unit 13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 (TFT)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 light emitting diode (LED), an active matrix organic LED (AMOLED) display) and a three-dimensional display (three-dimensional display).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13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and thus, in the case where the display unit 13 is formed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3 may partially or partially perform a function of the input unit 12. You can do it all. In particular, the display unit 1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e content provided through the e-book function.

단말저장부(14)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 장치 및 보조 기억 장치를 포함하고, 단말기(1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단말저장부(14)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0)는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단말제어부(11)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 영역은 단말기(1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 전자책 기능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컨텐츠 목차를 썸네일로 제시하는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단말기(1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영역은 컨텐츠 목차에서 사용자의 학습에 따라 이용빈도가 많은 챕터 또는 페이지 단위의 데이터를 이용빈도 DB(14a)에 저장한다.The terminal storage unit 14 is a device for storing data, and includes a main memory device and an auxiliary memory device, and stores an application program necessary for the functional operation of the terminal 10. The terminal storage unit 14 may largely include a program area and a data area. Here, when the terminal 10 activates each function in response to a user's request, the terminal 10 executes corresponding application programs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ler 11 to provide each function. In particular, the program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an operating system for booting the terminal 10, a program for executing an e-book function, a program for presenting a table of contents as a thumbnail, and the like. The data area is an area where data generated according to use of the terminal 10 is stored. In particular, the data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he data of chapters or pages with a high usage frequency in the usage frequency DB 14a according to the user's learning in the contents table.

오디오처리부(15)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SPK)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단말제어부(11)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오디오처리부(15)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형식의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형식으로 변환하여 단말제어부(11)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처리부(15)는 단말제어부(11)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형식의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오디오처리부(15)는 전자책 기능 실행에 따른 효과음을 출력한다.The audio processor 15 transmits an audio signal input from a speaker SPK or a microphone MIC for reproducing and outputting an audio signal to the terminal controller 11. The audio processor 15 may convert an analog signal input through a microphone into a digital format and transmit the converted audio signal to the terminal controller 11. In addition, the audio processor 15 may convert an audio signal of a digital format output from the terminal controller 11 into an analog signal and output the analog signal through a speaker. In particular, the audio processor 15 outputs an effect sound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e-book function.

단말통신부(16)는 서비스장치(20)와 통신망(30)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단말통신부(16)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 수단과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 수단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단말통신부(16)는 무선 통신모듈(미도시) 및 유선 통신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통신모듈은 무선망 통신모듈, 무선랜(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또는 WiFi, Wireless Fidelity 또는 WiMAX,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통신모듈 및 무선팬(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6 performs a func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the service device 20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30. Here,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6 includes RF transmitting means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the frequency of the transmitted signal, and RF receiving means for low-noise-amplifying and down-converting the received signal.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6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and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cludes at least one of a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 wireless fidelity or a WiMAX, a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LAN) communication module, and a wireless fan (WPAN) communication module. It may include one.

무선 통신모듈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단말기(10)가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망 통신모듈, 무선랜 통신모듈 및 무선팬 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서비스장치(20)로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s a componen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ccording to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hen the terminal 10 uses wireless communication, data is transmitted using any one of a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a wireless LAN communication module, and a wireless fan communication module. The service device 20 may transmit or receive the service.

무선망 통신모듈은 기지국을 통해 통신망(3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무선망 통신모듈은 단말제어부(11)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기지국을 통해 통신망(3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서비스장치(2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선망 통신모듈은 기지국을 통해 통신망(30)에 접속하고, 데이터를 서비스 장치(10)로부터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단말제어부(11)로 제공할 수 있다.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is for connecting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30 through a base station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When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receives data from the terminal controller 11,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may access the communication network 30 through the base station and transmit the data to the service device 20. In addition,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may access the communication network 30 through a base station, receive data from the service apparatus 10, and provide the received data to the terminal controller 11.

무선랜 통신모듈은 무선 랜(WLAN), 와이파이(WiFi) 또는 와이맥스(WiMAX) 방식에 따른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무선랜 통신모듈은 단말제어부(11)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접속 포인트(AP, Access Point)를 통해 통신망(3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서비스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선랜 통신모듈은 접속 포인트를 통해 통신망(30)에 접속하여 서비스장치(2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데이터를 단말제어부(11)로 제공할 수 있다.The wireless LAN communication module i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wireless LAN (WLAN), Wi-Fi (WiFi), or WiMAX (WiMAX) method. When the WLAN communication module receives data from the terminal controller 11, the WLAN communication module may access the communication network 30 through an access point (AP) and transmit data to the service device 20. In addition, the WLAN communication module may provide the received data to the terminal controller 11 when the WLAN communication module receives the data from the service apparatus 20 by access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30 through an access point.

무선팬 통신모듈은 무선 팬(WPAN)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무선망 통신모듈 및 무선랜 통신모듈에 비해 짧은 거리의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팬 통신모듈은 단말기간에 직접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도 있다. 즉, 무선팬 통신모듈을 통해 다른 단말과 직접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팬 통신모듈은 통신망(30)에 게이트웨이(Gateway)에 직접 또는 멀티 홉(multi-hop)을 통해 연결 가능한 경우, 게이트웨이를 통해 통신망(3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무선팬 통신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지그비(ZigBee) 등에 따른 통신을 예시할 수 있다.The wireless fan communication module i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ccording to a wireless fan (WPAN) method, and performs a shorter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than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wireless LAN communication module. The wireless fan communication module may directly transmit and receive data between terminals. That is, data can be directly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other terminals through the wireless fan communication module. In addition, the wireless fan communication module may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30 directly or through a multi-hop, and may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30 through the gateway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he wireless fan communication module may exemplify communication according to Bluetooth, infrared communication (IrDA), ZigBee, and the like.

유선 통신모듈은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유선 통신모듈은 유선을 통해 통신망(30)에 접속하여, 서비스장치(20)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즉, 단말기(10)는 유선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통신망(30)에 접속하며, 통신망(30)을 통해 서비스장치(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통신부(16)는 서비스장치(20)와 통신하고, 전자책 기능을 통해 실행되는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학습하는 다른 사용자의 이용빈도에 대한 데이터를 서비스장치(20)로부터 수신한다.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i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y wire.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may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30 through a wire to transmit or receive data to the service device 20. That is, the terminal 10 may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30 by using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and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the service device 2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30. In particular,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s with the service device 20 and provides data on the frequency of use of another user who learns the same content as the content executed through the e-book function. 20).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장치(20)는 서비스제어부(21), 서비스저장부(22) 및 서비스통신부(23)으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3, the service apparatus 2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rvice control unit 21, a service storage unit 22, and a service communication unit 23.

서비스제어부(21)는 단말기(10)의 요청 신호에 따라 컨텐츠를 학습하는 다른 사용자의 세부 항목에 대한 이용빈도를 확인하여 단말기(1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더하여, 서비스 제어부(21)는 세부 항목에 대응하는 컨텐츠 목차를 썸네일로 구분하고, 각 썸네일에 해당 세부 항목에 대한 이용빈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단말기(10)에 제공할 수 있다.The service controller 21 checks the frequency of use of detailed items of other users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request signal of the terminal 10 and transmits the same to the terminal 10. In addition, the service controller 21 may divide the contents table corresponding to the detailed item into thumbnails, and visually express the frequency of use of the corresponding detailed item in each thumbnail to provide the terminal 10.

서비스저장부(22)는 사용자별로 컨텐츠 목차에 대한 이용빈도를 챕터 또는 페이지 단위로 저장한다.The service storage unit 22 stores the frequency of use of the contents table for each user in chapters or pages.

서비스통신부(23)는 단말기(10)와 전자책 기능을 통해 컨텐츠 학습에 따른 데이터를 송수신한다.The service communication unit 23 transmits and receives data according to content learning through the electronic book function with the terminal 10.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서비스장치(20)는 서버 기반 컴퓨팅 기반 방식 또는 클라우드 방식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책 기능을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의 이용빈도에 대한 데이터는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기능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컴퓨팅은 데스크톱,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넷북 및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단말기에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화된 IT(Information Technology) 자원, 예를 들어, 하드웨어(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소프트웨어(데이터베이스, 보안, 웹 서버 등), 서비스, 데이터 등을 온 디맨드(On demand) 방식으로 서비스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자책 기능을 통해 실행되는 컨텐츠에 따른 모든 데이터는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저장되고, 단말기(10)를 통하여 언제 어디서든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ice device 2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one or more servers operating in a server-based computing-based manner or in a cloud-based manner. In particular, data on the frequency of use of content provided through an e-book function using a cloud computing device may be provided through a cloud computing function that may be permanently stored in a cloud computing device on the Internet. Here, cloud computing utilizes Internet technologies in digital terminals such as desktops, tablet computers, laptops, netbooks, and smartphones to virtualize information technology (IT) resources such as hardware (servers, storage, networks, etc.) and software. It refers to a technology that provides services on demand (database, security, web server, etc.), services, and data. In the present invention, all data according to the content executed through the e-book function is stored in the cloud computing device on the Internet, and can be used anytime and anywhere through the terminal 10.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목차를 썸네일로 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resenting a table of contents as a thumbnai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단말제어부(11)는 S11 단계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전자책 기능을 실행한다. 그리고, 단말제어부(11)는 S13 단계에서 전자책 기능을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를 선택한다. 이때, 단말제어부(11)는 컨텐츠 종류를 제시하고, 컨텐츠 종류 중 특정 컨텐츠를 선택한다. 여기서, 컨텐츠는 학습을 위해 제공되는 문제집, 참고서, 사전, 단어장 및 교과서 등에 해당하는 교육 컨텐츠가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in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terminal controller 11 executes an e-book function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in step S11. In addition, the terminal control unit 11 selects content provided through the e-book function in step S13. In this case, the terminal controller 11 presents a content type and selects specific content among the content types. Here, the content may be educational content corresponding to a collection of questions, a reference book, a dictionary, a wordbook, a textbook, and the like provided for learning.

단말제어부(11)는 S15 단계에서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이용빈도를 확인한다. 그리고, 단말제어부(11)는 S17 단계에서 확인된 이용빈도에 따라 컨텐츠 목차를 썸네일로 구분하여 제시한다. 또한, 단말제어부(11)는 각 썸네일의 해당 세부 항목에 대한 이용빈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 중 컨텐츠 목차를 썸네일로 제시하는 과정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 terminal controller 11 checks the frequency of use for the content selected in step S15. In addition, the terminal controller 11 classifies and presents the table of contents as thumbnails according to the usage frequency identified in step S17. In addition, the terminal control unit 11 may visually display the frequency of use for the corresponding detailed item of each thumbnail. Herein, a process of presenting a content table as a thumbnail in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단말제어부(11)는 S21 단계에서 컨텐츠 목차를 확인한다. 이때, 단말제어부(11)는 S23 단계에서 컨텐츠 목차에서 이용빈도가 많은 챕터 또는 페이지를 추출할 수 있다. 이후, 단말제어부(11)는 S25 단계에서 컨텐츠 목차를 표시하는 모드가 명암 구분모드인지 확인한다. 이를 위해 단말제어부(11)는 컨텐츠 목차에 대한 표시모드를 기 설정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표시모드는 명암 구분모드, 두께 구분모드 또는 정렬모드가 포함될 수 있다.The terminal controller 11 checks the contents table at step S21. In this case, the terminal controller 11 may extract a chapter or page with a high frequency of use from the contents table at step S23. Thereafter, the terminal controller 11 checks whether the mode for displaying the contents of contents in the step S25 is a contrast mode. For this purpose, the terminal control unit 11 preferably sets a display mode for the contents table of contents. The display mode may include a contrast mode, a thickness mode or an alignment mode.

컨텐츠 목차를 표시하는 모드가 명암 구분모드인 경우, 단말제어부(11)는 S27 단계에서 추출된 챕터 또는 페이지에 대한 테두리의 명암을 이용빈도가 적은 챕터 또는 페이지의 테두리 보다 어둡게 표시한다. 한편, 명암 구분모드가 아닌 경우, 단말제어부(11)는 S29 단계에서 컨텐츠 목차를 표시하는 모드가 두께 구분모드인지 확인한다.When the mode for displaying the contents of the content is the contrast mode, the terminal controller 11 displays the contrast of the border of the chapter or page extracted in step S27 darker than the border of the chapter or page with less usage. On the other hand, in contrast to the contrast mode, the terminal control unit 11 checks whether the mode for displaying the content table in step S29 thickness thickness mode.

컨텐츠 목차를 표시하는 모드가 두께 구분모드인 경우, 단말제어부(11)는 S31 단계에서 추출된 챕터 또는 페이지에 대한 테두리의 두께를 이용빈도가 적은 챕터 또는 페이지의 테두리 보다 두껍게 표시한다. 한편, 두께 구분모드가 아닌 경우, 단말제어부(11)는 S33 단계에서 추출된 챕터 또는 페이지를 우선 순위로 하여 상위에 정렬하여 표시한다.When the mode for displaying the contents of the content is the thickness division mode, the terminal controller 11 displays the thickness of the border of the chapter or page extracted in step S31 thicker than the border of the chapter or page with less usage. On the other hand, when the thickness is not in the division mode, the terminal control unit 11 displays the chapters or pages extracted in step S33 in the order of priority.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전자책을 이용하여 학습하는 사용자가 현재 학습된 진도에 대한 분량을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반복적으로 이용한 챕터 또는 페이지에 대한 테두리의 명암 또는 두께를 다르게 표시하여 오프라인 상에서 느끼는 책에 대한 친숙함을 느낄 수 있게 한다. 또한, 학습 결과나 메모 내용을 썸네일에 나타내어 줌으로써 썸네일을 통해서 자신의 학습 상황을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컨텐츠를 통해 학습하고 있는 사용자 간의 이용빈도를 비교하여 제공함으로써, 학습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can maximize the learning effect by visually confirming the amount of progress for the user learning using the e-book. In addition, the contrast or thickness of the edge of the chapter or page repeatedly used by the user, which is determined to be important, may be displayed differently so that the user may feel familiar with the book. In addition, by displaying the learning results or memo contents in the thumbnail, it is easy to know the learning situation through the thumbnail.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learning efficiency by comparing the frequency of use between the users learning through the same content.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와 서비스장치의 연동을 통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6 is a dat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providing method through interworking of a terminal and a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와 서비스장치(20)의 연동을 통한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10)는 S41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컨텐츠를 전자책 기능으로 제공한다. 이때, 단말기(10)는 S43 단계에서 컨텐츠에 대한 이용빈도를 확인한다. 즉, 단말기(10)는 컨텐츠 목차 중 학습한 챕터 또는 페이지에 대한 이용빈도를 검토한다. Referring to FIG. 6, in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through interworking between the terminal 10 and the service apparatus 2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terminal 10 reads th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in step S41. Provided as a function. At this time, the terminal 10 checks the frequency of use for the content in step S43. That is, the terminal 10 examines the frequency of use of the learned chapter or page of the contents table.

단말기(10)는 S45 단계에서 선택된 컨텐츠를 학습하는 다른 사용자의 이용빈도에 대한 데이터를 서비스장치(20)로 요청한다. 그러면, 서비스장치(20)는 S47 단계에서 전자책 기능을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를 확인한다. 그리고, 서비스장치(20)는 S49 단계에서 컨텐츠 목차 중 챕터 또는 페이지에 대한 이용빈도를 추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장치(20)는 다수의 단말기로부터 컨텐츠 학습에 따른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다. 이후, 서비스장치(20)는 S51 단계에서 컨텐츠를 학습하는 다른 사용자의 이용빈도에 대한 데이터를 단말기(10)로 전송한다.The terminal 10 requests the service device 20 for data on the frequency of use of another user learning the content selected in step S45. Then, the service device 20 checks the content provided through the e-book function in step S47. In operation S49, the service apparatus 20 may extract a frequency of using a chapter or page of the contents table. To this end, the service device 20 receives and stores data according to content learning from a plurality of terminals. Thereafter, the service device 20 transmits data on the frequency of use of another user learning content in step S51 to the terminal 10.

단말기(10)는 S53 단계에서 서비스장치(20)로부터 수신되는 이용빈도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한다. 즉, 단말기(10)는 서비스장치(20)로부터 수신된 이용빈도에 대한 데이터를 확인하고, 기 저장된 이용빈도와 서비스장치(20)로부터 수신된 이용빈도에 대한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The terminal 10 analyzes data on the frequency of use received from the service device 20 in step S53. That is, the terminal 10 may check data on the frequency of use received from the service device 20 and compare the data about the frequency of use received from the service device 20 with the pre-stored frequency of use.

단말기(10)는 S55 단계에서 분석 결과에 따른 컨텐츠 목차를 썸네일로 구분하여 제시한다. 이때, 단말기(10)는 컨텐츠 목차에 대한 표시모드를 미리 설정하거나 전자책 기능 실행 중에 수시로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모드는 명암 구분모드, 두께 구분모드 또는 정렬모드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암 구분모드인 경우, 단말제어부(11)는 사용자의 이용빈도가 서비스장치(20)로부터 수신된 다른 사용자의 이용빈도 보다 많은 챕터 또는 페이지에 대한 테두리의 명암을 이용빈도가 적은 챕터 또는 페이지의 테두리의 명암 보다 어둡게 표시한다. 또한, 두께 구분모드인 경우, 단말제어부(11)는 사용자의 이용빈도가 서비스장치(20)로부터 수신된 다른 사용자의 이용빈도 보다 많은 챕터 또는 페이지에 대한 테두리의 두께를 이용빈도가 적은 챕터 또는 페이지의 테두리 보다 두껍게 표시한다. 또한, 정렬 모드인 경우, 단말제어부(11)는 사용자의 이용빈도가 서비스장치(20)로부터 수신된 다른 사용자의 이용빈도 보다 많은 챕터 또는 페이지를 우선 순위로 하여 상위에 정렬하여 표시한다.In step S55, the terminal 10 presents a table of content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by dividing them into thumbnails. In this case, the terminal 10 may preset the display mode for the content table of contents or change the setting mode at any time during the execution of the e-book function. The display mode may include a contrast mode, a thickness mode or an alignment mode. For example, in the contrast classification mode, the terminal control unit 11 is a chapter in which the user's use frequency is less than the user's frequency received from the service device 20, or the chapter has less intensity of the border for the page Or make the page darker than the contrast of the border. In addition, in the thickness classification mode, the terminal control unit 11 uses a chapter or page whose thickness is less than the usage frequency of the chapter or page for which the user's usage frequency is higher than that of other users received from the service device 20. It is thicker than the border. In addition, in the sorting mode, the terminal controller 11 sorts and displays the chapters or pages in which the user's usage frequency is higher than the user's usage frequency received from the service apparatus 20 as a priority.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다.7A to 7C are exemplary diagrams for describing a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10)는 사용자가 전자책 기능을 통해 실행하는 컨텐츠에 대한 챕터들의 이용빈도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이용빈도가 많은 챕터의 테두리 명암을 이용빈도가 적은 챕터의 테두리 명암 보다 어둡게 표시한다. 또한, 단말기(10)는 이용빈도가 많은 챕터의 테두리 두께를 이용빈도가 적은 챕터의 테두리 두께 보다 두껍게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A, in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terminal 10 checks the frequency of use of chapters for content executed by the user through an e-book function, and confirms that the frequency of use is high. The chapter's border contrast is darker than the chapter's border contrast. In addition, the terminal 10 may display the edge thickness of the chapters with high usage frequency thicker than the edge thickness of the chapters with low usage frequency.

도 7b를 참조하면, 단말기(10)는 사용자가 전자책 기능을 통해 실행하는 컨텐츠에 대한 챕터들의 이용빈도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이용빈도가 많은 챕터의 두께를 이용빈도가 적은 챕터의 두께 보다 두껍게 표시한다.Referring to FIG. 7B, the terminal 10 checks the frequency of use of chapters for contents executed by the user through the e-book function, and as a result of the check, makes the thickness of the chapters with high usage frequency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hapters with low usage frequency. Display.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학습하는 다른 사용자에 대한 컨텐츠 대한 챕터들의 이용빈도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다른 사용자에 비하여 이용빈도가 많은 챕터를 우선 순위로 하여 상위에 정렬하여 표시한다.Referring to FIG. 7C, the termina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s the frequency of use of chapters with respect to content for a different user learning the same content as th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and uses it as compared to other users. The most frequent chapters are displayed in the order of priority.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form readable by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ere, th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command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For example, the recording medium may b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disks such as 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CD-ROM), digital video disks (DVD), Magnetic-Optical Media, such as floppy disks,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ndom access memory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do.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may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may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Such a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only illustrative of specific examples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PMP, PDA, 노트북 및 MP3 플레이어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사용자 장치에서, 컨텐츠 제공 방법, 시스템 및 그의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전자책과 같은 교육 컨텐츠의 목차를 썸네일로 표시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학습 상태를 시각적으로 나타냄으로써, 전자책을 이용하여 학습하는 사용자가 현재 학습된 진도에 대한 분량을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사용자가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반복적으로 이용한 챕터 또는 페이지에 대한 테두리의 명암 또는 두께를 다르게 표시하여 오프라인 상에서 느끼는 책에 대한 친숙함을 느낄 수 있게 하고, 학습 결과나 메모 내용을 썸네일에 나타내어 줌으로써 썸네일을 통해서 자신의 학습 상황을 쉽게 알 수 있고, 동일한 컨텐츠를 통해 학습하고 있는 사용자 간의 이용빈도를 비교하여 학습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providing method, a system and a terminal thereof in various types of user devices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MP, a PDA, a notebook computer, and an MP3 player. At the same time, by visually representing the learning status of the user, the user who learns using the e-book can visually check the amount of the current learning progress to maximize the learning effect, and the chapter repeatedly used as the user deems it important. Or display the contrast or thickness of the borders on the page differently so that you can feel familiar with the book you feel offline, and you can easily see the learning situation through the thumbnails by showing the learning results or notes in the thumbnails, Usage beans among users who are learning through the same content A can improve learning efficiency in comparison.

10: 단말기 11: 단말제어부 12: 입력부
13: 표시부 14: 단말저장부 15: 오디오처리부
16: 단말통신부 14a: 이용빈도 DB 20: 서비스장치
21: 서비스제어부 22: 서비스저장부 23: 서비스통신부
30: 통신망 100: 컨텐츠 제공 시스템
10: terminal 11: terminal control unit 12: input unit
13: display unit 14: terminal storage unit 15: audio processing unit
16: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4a: frequency of use DB 20: service device
21: service control unit 22: service storage unit 23: service communication unit
30: communication network 100: content providing system

Claims (14)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전자책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전자책 기능을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세부 항목에 대한 이용빈도를 확인하고, 상기 세부 항목에 대응하는 컨텐츠 목차를 썸네일(Thumbnail)로 구분하여 제시함과 동시에, 각 썸네일의 해당 세부 항목에 대한 이용빈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의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학습하는 다른 사용자의 세부 항목에 대한 이용빈도를 확인하고, 상기 세부 항목에 대응하는 컨텐츠 목차를 썸네일로 구분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비스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In response to a user's request, the user executes an e-book function, selects content provided through the e-book function, checks the frequency of use of the detailed item of the selected content, and thumbnails a table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detailed item. A terminal for displaying the frequency of use of the corresponding sub-item of each thumbnail at the same time by dividing the information into thumbnails; And
A service device for checking a frequency of use of detailed items of other users learning the contents according to a request signal of the terminal, and dividing the contents table corresponding to the detailed items into thumbnails and transmitting them to the terminal;
Content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서비스장치와 전자책 기능을 통해 컨텐츠 학습에 따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통신부; 및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전자책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전자책 기능을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세부 항목에 대한 이용빈도를 확인하고, 상기 세부 항목에 대응하는 컨텐츠 목차를 썸네일로 구분하여 제시함과 동시에, 각 썸네일의 해당 세부 항목에 대한 이용빈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말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A terminal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ccording to content learning through a service device and an e-book function; And
Execute the e-book function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select content provided through the e-book function, check the frequency of use of the detailed item of the selected content, and thumbnail the contents table corresponding to the detailed item. At the same time, the termin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visually display the frequency of use for the corresponding subitem of each thumbnail;
And a second termi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에 대한 이용빈도를 챕터(Chapter) 또는 페이지 단위로 저장하는 단말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2,
A terminal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frequency of use of the content in a chapter or page unit;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학습을 위해 제공되는 문제집, 참고서, 사전, 단어장 및 교과서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교육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ent is
Th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educational content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collection of problems, reference books, dictionaries, vocabulary, and textbooks provided for learn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목차에서 이용빈도가 많은 챕터 또는 페이지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챕터 또는 페이지에 대한 테두리의 명암을 이용빈도가 적은 챕터 또는 페이지의 테두리 보다 어둡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erminal control unit
And extracting a chapter or page having a high frequency of use from the contents table, and displaying the contrast of the extracted chapter or page darker than a border of a chapter or page having a low frequency of us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목차에서 이용빈도가 많은 챕터 또는 페이지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챕터 또는 페이지에 대한 테두리의 두께를 이용빈도가 적은 챕터 또는 페이지의 테두리 보다 두껍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erminal control unit
And extracting a chapter or page with a high frequency of use from the contents table, and displaying a thickness of a border of the extracted chapter or page to be thicker than a border of a chapter or page with a low frequency of us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목차에서 이용빈도가 많은 챕터 또는 페이지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챕터 또는 페이지를 우선 순위로 하여 상위에 정렬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erminal control unit
And extracting chapters or pages with a high frequency of use from the contents list, and displaying the extracted chapters or pages in order of priorit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에 연관된 학습 결과 또는 메모에 해당하는 학습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학습정보를 상기 썸네일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erminal control unit
And checking learn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learning result or a memo associated with the contents, and displaying the identified learning information on the thumbnai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목차에 대한 표시모드를 명암 구분모드, 두께 구분모드 또는 정렬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로 구분하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erminal control unit
And displaying a display mode for the table of contents in at least one of contrast mode, thickness mode, and sort mo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학습하는 다른 사용자의 이용빈도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서비스장치로 요청하고,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다른 사용자에 대한 이용빈도를 상기 사용자의 이용 빈도와 비교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를 각 썸네일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erminal control unit
Requesting the service apparatus data on the frequency of use of another user learning the selected content, comparing and analyzing the frequency of use of the other users received from the service apparatus with the frequency of use of the user, and analyzing the analysis results. Terminals characterized in that the visual display on the thumbnail.
단말기와 전자책 기능을 통해 컨텐츠 학습에 따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서비스통신부;
상기 컨텐츠의 대한 이용빈도를 챕터 또는 페이지 단위로 저장하는 서비스저장부; 및
상기 단말기의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학습하는 다른 사용자의 세부 항목에 대한 이용빈도를 확인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A service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ccording to content learning through a terminal and an e-book function;
A servic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frequency of use of the contents in units of chapters or pages; And
A service control unit which checks a frequency of use of detailed items of other users learning the contents according to a request signal of the terminal and transmits the frequency to the terminal;
Service apparatus comprising a.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세부 항목에 대응하는 컨텐츠 목차를 썸네일로 구분하여 표시하고, 각 썸네일에 해당 세부 항목에 대한 이용빈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ervice control unit
And displaying a table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detailed item of the content by thumbnails, and visually expressing a frequency of use of the corresponding detailed item in each thumbnail and providing the content to the termina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통신부, 단말제어부 또는 단말저장부가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And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the terminal control unit, or the terminal storage unit are implemented as one or more servers operating on a cloud computing basis.
단말기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전자책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전자책 기능을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세부 항목에 대한 이용빈도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세부 항목에 대응하는 컨텐츠 목차를 썸네일로 구분하여 제시함과 동시에 각 썸네일의 해당 세부 항목에 대한 이용 빈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Executing, by the terminal, an e-book function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Selecting, by the terminal, content provided through the e-book function;
Confirming, by the terminal, the frequency of use for the detailed item of the selected content; And
And displaying, by the terminal, a table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sub-items, divided into thumbnails, and visually expressing and presenting the frequency of use of the sub-items in each thumbnail.
KR1020110030564A 2011-04-04 2011-04-04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system and terminal thereof KR2012011295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564A KR20120112951A (en) 2011-04-04 2011-04-04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system and terminal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564A KR20120112951A (en) 2011-04-04 2011-04-04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system and terminal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2951A true KR20120112951A (en) 2012-10-12

Family

ID=47282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564A KR20120112951A (en) 2011-04-04 2011-04-04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system and terminal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2951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0540A (en) * 2014-04-17 2015-10-28 한국과학기술원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learning contents based on learning result
KR20160129682A (en) * 2015-04-30 2016-11-09 (주)웅진씽크빅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e-boo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0540A (en) * 2014-04-17 2015-10-28 한국과학기술원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learning contents based on learning result
KR20160129682A (en) * 2015-04-30 2016-11-09 (주)웅진씽크빅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e-boo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34420A1 (en) Contextual language generation by leveraging language understanding
WO2021232930A1 (en) Application screen splitting method and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electric device
CN109923568B (en) Mobile data insight platform for data analysis
US9383827B1 (en) Multi-modal command display
CN10367780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pplications of mobile terminal
US9760244B2 (en) Application equivalence map for synchronized positioning of application icons across device platforms
KR20130052151A (en) Data input method and device in portable terminal having touchscreen
CN111279300B (en) Providing a rich electronic reading experience in a multi-display environment
US11093510B2 (en) Relevance ranking of productivity features for determined context
KR20130138937A (en) Method for managing integration message, system thereof, terminal thereof and apparatus thereof
KR101755012B1 (en) Method for sharing contents, system and terminal thereof
KR20120112951A (en)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system and terminal thereof
KR20150035100A (en)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banner to response scroll,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KR101430928B1 (en) Method for moving data based on cloud steaming, system, client terminal and service apparatus
KR20120115907A (en) Method for providing language contents, system and terminal thereof
US10996827B2 (en) System for rendering applications based on real time accessibility assessment
KR20120107306A (en) Contents service system and storage medium for providing tts
US20210035468A1 (en) Interactive device-based teaching of language
KR20110123442A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assisting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teachers
KR20210010315A (en) Terminal device running word learning program
KR101532909B1 (en) Method for managing attached file of messenger service, system thereof, terminal thereof and apparatus thereof
KR20120110288A (en) Method for providing language contents, system and terminal thereof
KR101430927B1 (en)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API based on cloud steaming, system, client terminal and service apparatus
KR20140090393A (en)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of terminal,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KR20140087453A (en) Method for editing quick menu of terminal,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