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1692A - 컨테이너 내장형 전기 및 식수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내장형 전기 및 식수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1692A
KR20120111692A KR1020110030335A KR20110030335A KR20120111692A KR 20120111692 A KR20120111692 A KR 20120111692A KR 1020110030335 A KR1020110030335 A KR 1020110030335A KR 20110030335 A KR20110030335 A KR 20110030335A KR 20120111692 A KR20120111692 A KR 20120111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ntainer
electricity
drinking water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0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응우
Original Assignee
김응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응우 filed Critical 김응우
Priority to KR1020110030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1692A/ko
Publication of KR20120111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16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27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rigidly mounted in or on tanks or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2Devices for taking out of action one or more units of multi- unit filters, e.g. for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 내장형 전기 및 식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내장형 전기 및 식수 공급장치는 격벽에 의해 분리된 제1 공간부와 제2 공간부를 구비하는 컨테이너와, 상기 제1 공간부에 마련되어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기와, 상기 제2 공간부에 마련되어 물을 여과시키는 정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정수수단은 상기 발전기에서 생성된 전기에 의해 구동되도록 시스템화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내장형 전기 및 식수 공급장치{CONTAINER BUILT-IN TYPE ELECTRIC AND DRINKING WATER SUPPLY APPARATUS}
본 발명은 컨테이너 내장형 전기 및 식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난민수용소, 빈민촌, 도서지역 및 재해지역에서 필요로 하는 비상용 전기 및 식수를 공급할 수 있는 컨테이너 내장형 전기 및 식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향후, 우리나라도 물부족 국가가 될 것이라는 발표가 있었고, 최근에 가뭄에 따른 물부족 현상이 자주 나타나 물부족 국가가 되는 것이 현실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국내의 실정을 살펴보면, 지하수의 의존도가 미약한 현상황에서 지하수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지하수 자원을 허드렛물 또는 보조용수로 인식하고 있는 기존 물관리 정책에 획기적인 사고의 전환이 시급한 설정이다.
이를 위해서는 지하수가 가뭄, 홍수, 수질사고, 핵물질유출사고 혹은 테러 등 비상사태에 대비한 비상용수라는 의식전환이 필요함과 아울러 양질의 음용수로서 국민의 건강과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생명수로서 석유, 석탄 자원과 는 다른 적절한 개발 및 상시 이용관리를 필요로 하는 순환형 전략 자원이 되어야 한다.
이와 더불어, 9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는 에너지 특히 전기 발전을 위한 설비의 경우 부족한 물과 더불어 시급히 개발되어야 하는 과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난민수용소, 빈민촌, 도서지역 및 재해지역에서 필요로 하는 비상용 전기 및 식수를 공급할 수 있는 컨테이너 내장형 전기 및 식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격벽에 의해 분리된 제1 공간부와 제2 공간부를 구비하는 컨테이너와, 상기 제1 공간부에 마련되어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기와, 상기 제2 공간부에 마련되어 물을 여과시키는 정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정수수단은 상기 발전기에서 생성된 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내장형 전기 및 식수 공급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정수수단은 취수된 물을 여과하기 위해 실 모양의 고분자 물질로 된 다공질의 분말을 성형하여 실온에서 소성시켜서 형성된 마이크로필터와, 상기 마이크로필터에서 여과된 물을 펌프로부터 공급받아 정수시키는 역삼투압정수장치로 이루어지되, 상기 역삼투압정수장치는 다수의 멤브레인필터로 이루어져, 공급된 물이 상기 다수의 멤브레인필터를 단계적으로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역삼투압정수장치에서 정수처리된 물의 PH를 조절하는 약품을 주입하는 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이크로필터에서 여과된 물에 스케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티스캘런트 약품을 주입하는 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내장형 전기 및 식수 공급장치에 의하면, 난민수용소, 빈민촌, 도서지역 및 재해지역에서 필요로 하는 비상용 전기 및 식수를 즉시에 대량으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내장형 전기 및 식수 공급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내장형 전기 및 식수 공급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내장형 전기 및 식수 공급장치를 운송하는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내장형 전기 및 식수 공급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내장형 전기 및 식수 공급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내장형 전기 및 식수 공급장치를 운송하는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내장형 전기 및 식수 공급장치(100)는 컨테이너(110), 발전기(120), 정수수단(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컨테이너(110)는 장방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6 × 2.4m로 규격화된 것이 사용된다. 이러한, 컨테이너(110)는 격벽(112)에 의해 분리된 제1 공간부(114)와 제2 공간부(114)를 구비하며, 제1 공간부(114)에는 후술하는 발전기(120)가 마련되고, 제2 공간부(116)에는 후술하는 정수수단(130)을 구비하며, 난민수용소, 빈민촌, 도서지역 및 재해지역으로 이동시켜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제2 공간부(116)의 소정 위치에는 제어판넬(170)이 마련되며, 이 제어판넬(170)은 원수취수부터 정수처리된 물의 이송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이 제어되도록 조작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발전기(120)는 컨테이너(110)의 제1 공간부(114)에 마련되며, 후술하는 정수수단(130)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기를 생산하여 공급한다.
또한, 정수수단(130)에 필요한 전기를 공급하고 남는 전기는 주변 지역에 필요한 전기를 공급한다. 이때, 발전기(120)의 용량은 필요한 전기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수수단(130)은 컨테이너(110)의 제2 공간부(116)에 마련되며, 취수된 물을 여과하기 위해 실 모양의 고분자 물질로 된 다공질의 분말을 성형하여 실온에서 소성시켜서 형성된 마이크로필터(134)와, 마이크로필터(134)에서 여과된 물을 펌프(132)로부터 공급받아 정수시키는 역삼투압정수장치(136)로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필터(134)는 녹이나, 흙, 모래, 먼지를 비롯한 각종 찌거기 등을 0.5㎛ 크기의 미세한 불순물까지 제거하여 정수효과를 극대화시키며, 역삼투압정수장치(136)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이러한, 마이크로필터(134)의 규격 및 종류는 현장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역삼투압정수장치(136)는 다수의 멤브레인필터(136a~136e)로 이루어지며, 보다 상세하게는, 5개의 멤브레인필터(136a~136e)를 3단계로 배치하여 마이크로필터(134)를 거쳐서 여과된 물을 정수하는 것으로서, 첫 번째와 두 번째 단계에서는 각각 두 개의 멤브레인필터(136a~136d)를 병렬로 배치하고, 세 번째 단계에서는 하나의 멤브레인필터(136e)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멤브레인필터(136a~136e)는 중금속, 박테리아, 유기화학물질 또는 물속에 용해된 이물질 등을 초정밀 반투막(0.0001㎛)을 통한 강제식 2중화 분리작업으로 처리하여 정수효과를 발휘하며, 그 규격 및 종류는 현장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내장형 전기 및 식수 공급장치는 마이크로필터(134)를 거쳐서 여과된 물이 역삼투압정수장치(136)로 공급되기 전 단계에, 스케일 부착방지를 위한 안티스캘런트 약품을 주입하는 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 장치는 안티스캘런트 탱크(140)와 안티스캘런트 펌프(142)로 이루어지며, 안티스캘런트 약품으로는 히드록실기 에틸렌 디 인산(hydroxyl ethylene di phosphoric acid) 계통의 약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내장형 전기 및 식수 공급장치는 역삼투압정수장치(136)를 거쳐서 정수된 물이 처리수탱크(160)에 저장되기 전 단계에, 정수처리된 물의 pH를 조절하기 위해 화학약품을 주입하는 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 장치는 pH약품탱크(150)와 pH펌프(152)로 이루어지며, 화학약품으로는 수산화나트륨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내장형 전기 및 식수 공급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발전기(120)와 정수수단(130)이 컨테이너(110)의 제1 공간부(114)와 제2 공간부(116)에 설치되고, 자동차나 선박 등의 운송수단에 의해 정수처리 또는 전기가 필요한 장소로 이동되고, 전기 및 식수가 필요한 장소에 도착한 후, 원수에 취수관을 연결하고 펌핑수단에 의해 취수관을 통해 유입된 원수는 마이크로필터(134)를 거치게 된다. 이때, 녹이나, 흙, 모래, 먼지를 비롯한 각종 찌꺼기 등 0.5㎛ 크기의 불순물까지 0.5㎛의 필터로 깨끗이 여과한다.
이후, 마이크로필터(134)를 거쳐서 여과된 물은 펌프(132)에 의해 역삼투압정수장치(136)로 공급되고, 역삼투압정수장치(136)로 공급된 물은 5개의 멤브레인필터(136a~136e)를 3단계에 걸쳐 정수되는데, 첫 번째와 두 번째 단계는 각각 두 개의 병렬배치된 멤브레인 필터(136a~136d)가 사용되고 마지막 세 번째 단계는 하나의 멤브레인필터(136e)가 사용된다. 이때, 첫 번째 단계에서 정수처리되고 남은 퇴수는 두 번째 단계에서 정수처리되고, 두 번째 단계에서 정수처리되고 남은 퇴수는 다시 세 번째 단계를 정수처리 됨으로써, 용수 회수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역삼투압정수장치(136)에 의해 정수처리된 물은 처리수탱크(160)에 저장되며, 이러한 처리수탱크(160)는 위생성, 수밀성, 내구성 및 보온성의 기능을 갖추며, 대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대용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전기(120)를 구동시켜 난민수용소, 빈민촌, 도서지역 및 재해지역에 필요한 전기를 생산하여 공급하면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컨테이너
112: 격벽
114: 제1 공간부
116: 제2 공간부
120: 발전기
130: 정수수단
132: 펌프
134: 마이크로필터
136: 역삼투압정수장치
136a~136e: 멤브레인필터
140: 안티스캘런트 탱크
142: 안티스캘런트 펌프
150: pH약품탱크
152: pH펌프
160: 처리수탱크
170: 제어판넬

Claims (4)

  1. 격벽에 의해 분리된 제1 공간부와 제2 공간부를 구비하는 컨테이너;
    상기 제1 공간부에 마련되어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기; 및
    상기 제2 공간부에 마련되어 물을 여과시키는 정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정수수단은 상기 발전기에서 생성된 전기에 의해 구동되도록 시스템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내장형 전기 및 식수 공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수수단은,
    취수된 물을 여과하기 위해 실 모양의 고분자 물질로 된 다공질의 분말을 성형하여 실온에서 소성시켜서 형성된 마이크로필터와, 상기 마이크로필터에서 여과된 물을 펌프로부터 공급받아 정수시키는 역삼투압정수장치로 이루어지되,
    상기 역삼투압정수장치는 다수의 멤브레인필터로 이루어져, 공급된 물이 상기 다수의 멤브레인필터를 단계적으로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내장형 전기 및 식수 공급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역삼투압정수장치에서 정수처리된 물의 PH를 조절하는 약품을 주입하는 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내장형 전기 및 식수 공급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필터에서 여과된 물에 스케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티스캘런트 약품을 주입하는 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내장형 전기 및 식수 공급장치.
KR1020110030335A 2011-04-01 2011-04-01 컨테이너 내장형 전기 및 식수 공급장치 KR201201116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335A KR20120111692A (ko) 2011-04-01 2011-04-01 컨테이너 내장형 전기 및 식수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335A KR20120111692A (ko) 2011-04-01 2011-04-01 컨테이너 내장형 전기 및 식수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692A true KR20120111692A (ko) 2012-10-10

Family

ID=47282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335A KR20120111692A (ko) 2011-04-01 2011-04-01 컨테이너 내장형 전기 및 식수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169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152294U (zh) 高盐度废水电吸附脱盐装置
JP5691522B2 (ja) 造水システムおよびその運転方法
CN105152399A (zh) 一种反渗透集装箱式海水淡化装置及其产水工艺
CN102674590A (zh) 双膜法工艺处理重金属废水及回收利用方法
RU76641U1 (ru) Комплексная многоконтурная многостадийная система водоподготовки и водоочистки на мобильной платформе
CN105439342A (zh) 化学包装桶清洗废水的模块化处理系统
CN205222857U (zh) 一种反渗透集装箱式海水淡化装置
CN104129887A (zh) 一种基于膜生物反应器的中水回用系统
CN201857317U (zh) 反渗透浓水回收系统
CN204022592U (zh) 一种中水回用处理设备
KR20050001895A (ko) 막분리를 이용한 하수 및 침출수의 순수화 재이용 시스템
CN104986922A (zh) 一种污水回用系统和污水处理方法
CN109160664A (zh) 一种电镀废水零排放设备及使用方法
CN207031133U (zh) 工业再生水处理系统
KR20120111692A (ko) 컨테이너 내장형 전기 및 식수 공급장치
CN202671334U (zh) 一种双膜法重金属废水净化处理回用装置
CN201380045Y (zh) 矿井水脱盐的预处理装置及反渗透脱盐设备
JP2008183513A (ja) 浄水装置
CN102989230A (zh) 一种滤芯循环过滤的净水机或净水设备和制备方法
CN209636045U (zh) 一种电镀废水零排放设备
Nave et al. Introductory chapter: Osmotically driven membrane processes
CN202105507U (zh) 一种反渗透纯水装置
CN216337073U (zh) 一种海水淡化设备
CN202201768U (zh) 应用于垃圾渗滤液处理的综合膜处理装置
KR20110135021A (ko) 이동식 정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