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0443A - 경도조절 및 교체가 용이한 뒷굽체를 구비한 신발 - Google Patents

경도조절 및 교체가 용이한 뒷굽체를 구비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0443A
KR20120110443A KR1020110028301A KR20110028301A KR20120110443A KR 20120110443 A KR20120110443 A KR 20120110443A KR 1020110028301 A KR1020110028301 A KR 1020110028301A KR 20110028301 A KR20110028301 A KR 20110028301A KR 20120110443 A KR20120110443 A KR 20120110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heel
hardness
coupled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8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2850B1 (ko
Inventor
오승곤
이현호
우영화
Original Assignee
(주)나눅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눅스 filed Critical (주)나눅스
Priority to KR1020110028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2850B1/ko
Publication of KR20120110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0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2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2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36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Securing devices for the attaching means
    • A43B21/42Heels with replaceable or adjustable parts, e.g. top lif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43B13/36Easily-exchangeable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26Resilient hee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착용자의 체중이나 걸음걸이 등에 적합하도록 뒷굽체가 교체사용가능 하도록 하여 경도조절 및 교체가 용이한 뒷굽체를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 발의 상부를 덮는 갑피(upper)와 발이 지면과 접하는 부분의 바닥재(sole)로 이루어진 신발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는, 전방바닥을 이루는 전방바닥창과; 충격흡수 역할을 수행하되, 후방 저면부에 빈공간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중창; 그리고 상기 전방바닥창과 중창의 후방 저면부의 빈공간에 결합되고, 착탈식으로 이루어지는 조절부재;로 이루어지되, 조절부재는, 전방 바닥창의 후방 상면에 고정 결합되는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에 전방부분이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결합스프링과; 상기 결합스프링의 후방부분과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후방바닥창; 그리고 상기 후방바닥창의 상면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뒷굽체;로 이루어져 뒷굽체, 후방바닥창 및 결합스프링의 다양한 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착용자 자신의 체중에 맞는 반발탄성을 지닌 뒷굽체를 용이하게 선택 또는 재편성하여 장착할 수 있게 되므로 신발의 구매에 있어서 편리성이 향상되고, 신발의 착용감을 최적의 것으로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경도조절 및 교체가 용이한 뒷굽체를 구비한 신발{THE SHOES HAVING A HEEL HAVING THE OTHER ELASTIC FORCE AND EXCHANG}
본 발명은 교환이 가능한 뒷굽체를 가지는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착용자의 체중이나 걸음걸이 등에 적합하도록 뒷굽블럭을 교체사용가능 하도록 하여 착용자의 보행 특성에 맞도록 제공함으로써 발에 전달되는 신체하중을 완충 및 분산시켜 지면과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경도조절 및 교체가 용이한 뒷굽체를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사람의 발을 보호하는 것으로, 신발을 신고 뛰거나 걷는 경우에 발을 외부와 차단시킴과 동시에 발을 보호시킨다.
체중 약 60kg의 사람이 하루 평균 6000보를 걷는다면 발에는 약 432ton 의 하중이 걸리는 것이 되고 이는 국제선 취항의 점보기의 무게(약 400ton)를 넘는 하중이다.
이와 같이, 발바닥에 전해지는 충격흡수를 위하여 신발을 개발하는데 가장 간단한 방법은 신발의 경도를 낮추는 것이다. 만일 쿠션을 단순히 최대 힘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정의한다면 좋은 쿠션이란 골격근계에 무리가 가지 않을 정도로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쿠션 외에도 추진력은 운동수행능력에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에 주어진 힘이 쿠션시스템에 의해 완전히 흡수되는 것도 좋지 않다. 결국 이것은 복잡한 문제로서 반복된 충격력에 대해여 골격근의 반응 충격흡수를 위한 최적의 신발 경도에 대하여 정의 하기는 쉽지 않다. 힘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압력판을 이용하여 런닝 중의 지면반발력을 분석한 결과 지면과 발 사이에서의 수직력의 크기는 체중의 2-3배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런닝시 두 발의 지면과 접촉하는 횟수가 100m당 1000회 정도 된다고 한다면, 체중의 2-3배 크기의 힘이 반복적인 부하로서 작용될 때, 충분한 충격흡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관절에 퇴행적인 변화가 일어나며, 또한 요통과도 관련이 있다고 한다.
따라서 쿠션이 좋은 운동화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쿠션닝(cushionung)이란 충돌하는 2개의 물체간(running시 발과 지면)의 힘의 감쇠현상이다. 인간의 근골격계 시스템(근육, 뼈, 관절과 인대)은 자연스러운 적당한 충격흡수제로서 자연스러운 충격흡수 동작시 발의 내측회전인 회내(내전,pronation)현상을 발생시키고, 지면에 발이 닿을 때, 무릎 굴곡의 정도는 충격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88년 Adidas Research and Innovation Lab과 캐나다 캘거리 대학교 Nigg등(1998)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무릎이 지면에 닿을 때 발생하는 힘의 양을 VFIP(Vertical Force Impact Peak)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이때 무릎의 굴곡이 클수록 VFIP가 증가한다고 연구보고하고 있다. 이 VFIP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몸무게, 운동역학적 요소, 속도, 표면 등이 있으며, 속도가 빠르면 빠를수록 VFIP가 증가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때 하드 트랙을 빠르게 뛰는 주자의 VFIP는 몸무게의 5배 이상이라고 보고하고 있다.
도 1은 보행시의 발바닥에 닫는 체중 충격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1(a)과 같이 후족(後足)이 지면에 닿는 초기 20-30ms 동안 발생하는 VFIP시 충격력은 체중보다 크게 나타나는데, 즉 몸무게의 2.2배의 충격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 1(b)와 같이 그 후 발바닥이 모두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는 지지력보다 체중이 크게 나타났으며, 도 1(c)와 같이 다음 런닝을 위해 추진을 하기 위해 전족(前足)이 지면에 닿고, 이지할 때까지의 100ms동안 발생하는 힘은 추진력이 체중보다 크게 나타나는데, 즉 몸무게의 2.8배의 하중을 받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보행이나 런닝에 있어서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량은 체중에 보다 상관있음을 알 수 있다.
종래 신발의 내부 구조 중 충격력을 흡수하는 기능을 지닌 뒷굽체 연구는 상해 예방 측면에서 계속되어져 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의 대부분은 인체가 경험하는 부하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 요인인 체중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주행시 무거운 체중을 지닌 사람은 상해에 노출될 위험성이 더욱 증가하며 특히 주행을 시작하는 초기 단계에 있는 사람에 있어서 체중이 많이 나가는 사람이 정상 체중인 보다 상해 발생률이 높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Pollock 등, 1977).
그러나 제작되는 신발은 체중이 50kg인 사람이나 100kg인 사람이나 구별되지 않고 제작됨으로써 뒷굽의 탄성과 착용자의 체중의 밸런스가 최적으로 취해지지 않아 발에 가해지는 신체하중에 의한 충격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여 완충 및 분산이 안 되어 발과 발목에 통증을 느끼거나, 장기간 사용시의 탄성 감소와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신발 전체를 바꾸기도 하고 발 또는 발목 수술을 받은 경우가 많다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보행이나 주행시 신발 착용자의 발이 지면과 접촉할 때 체중에 따라 가장 적합한 반발탄성을 갖는 조립형 뒷굽체를 제공함으로써 개인 보행특성에 따라 재조합하거나 선택하여 쾌적한 보행을 제공할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뒷굽체를 가지는 신발은, 발의 상부를 덮는 갑피(upper)와 발이 지면과 접하는 부분의 바닥재(sole)로 이루어진 신발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는, 전방바닥을 이루는 전방바닥창과; 충격흡수 역할을 수행하되, 후방 저면부에 빈공간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중창; 그리고 상기 전방바닥창과 중창의 후방 저면부의 빈공간에 결합되고, 착탈식으로 이루어지는 조절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조절부재의 결합 및 분해로 개인별 맞춤이 이루어지는 경도조절 및 교체가 용이한 뒷굽체를 구비한 신발을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그리고, 바람직 하기로는 상기 조절부재는, 전방 바닥창의 후방 상면과 중창의 일측 저면을 통해 고정 결합되는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에 전방부분이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결합스프링과; 상기 결합스프링의 후방부분과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후방바닥창; 그리고 상기 후방바닥창의 상면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뒷굽체;로 이루어져 뒷굽체, 후방바닥창 및 결합스프링의 다양한 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뒷굽체는, 상면 내측을 통하여 내측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홈에 대응하는 경도조절돌기가 구비되어 경도조절돌기의 다양한 조합으로 뒷굽체의 경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결합구의 상면에는 가이드홈과, 가이드홈의 외측상방향으로 가이드편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결합스프링의 전방부분이 상기 가이드홈에 결합되어 양측방향으로 가이드편에 의해 힘전달이 억제되어 상하방향으로 결합스프링의 힘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후방바닥창은 저면에 바닥창홈이 형성되어 상기 바닥창홈을 통해 결합스프링의 후방부분이 결합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착용자 자신의 체중에 맞는 반발탄성을 지닌 뒷굽체를 용이하게 선택 또는 재편성하여 장착할 수 있게 되므로 신발의 구매에 있어서 편리성이 향상되고, 신발의 착용감을 최적의 것으로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보행시의 발바닥에 닫는 체중 충격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경도조절 및 교체가 용이한 귓굽체를 구비한 신발의 측면도.
도 3은 도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뒷굽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뒷굽체이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로써, (a)는 무지외반증, (b)는 회외족 그리고 (c)는 회내족의 경우를 나타낸 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신발을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도조절 및 교체가 용이한 뒷굽체를 구비한 신발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신발의 조립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는 발의 상부를 덮는 갑피(upper)는 나타나 있지 않으나, 이러한 갑피는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별도로 언급하지 않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갑피를 제외한 신발을 이루는 바닥재(sole)에 관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발이 지면과 접하는 부분의 바닥재(sole)(10)를 이루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10)는 재질면에서 살펴보면 외부지면과 맏 닿은 부분으로 주로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바닥창(20)과 신발의 충격흡수 및 탄성을 조절하고 이브이에이(EVA) 재질 또는 폴리우레탄(PU)재질로 이루어지는 중창(30)으로 크게 이루어진다. 물론 바닥창(20)은 고무재질 이외에 폴리우레탄(PU)와 같은 합성수지재 티피알(TPR)과 같은 열변형성 고무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바닥창(20)의 고유 기능인 접지력 향상과 미끄럼방지 기능을 충족하는 한 어떠한 재질이던 상관 없다. 이와 마찬가지로 중창(30) 역시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다음, 구조적인 면으로 보면 발의 전방부분을 보호하는 전방부(a)와 후방부분을 보호하는 후방부(b)로 나눌 수 있다. 본 발명은 구조적인 신발의 후방부분인 후방부(b)의 구조를 변경하여 다양한 교체 및 충격흡수 또는 각 개인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신발을 제공하는데 그 초점이 있다. 이하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바닥창(20)을 설명하기로 한다. 바닥창(20)은 외부의 지면과 맏닿은 부위로써 통상의 미끄럼 방지 접지력 향상 등의 목적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고무재질, 폴리우레탄(PU), 티피알(TPR)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러한 바닥창(20)은 전방바닥창(22)와 후방바닥창(106)로 이루어지도록 하다. 후방바닥창(106)는 후술하는 중창의 다른 부분과 결합되어 조립식으로 분해 결합되도록 하여 다양한 수요자의 욕구를 충족토록 하기 위함이다.
중창(30)은 통상적인 충격흡수 및 탄성 조절 등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종래에서 사용되는 이브이에이(EVA) 재질 또는 폴리우레탄(PU)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은 동일하며, C타입(C Type) 경도로 50 내지 55 정도로 통상의 중창재질과 동일하다. 다만, 중창의 후방부(b)의 구조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저면부에 빈공간이 형성된 모양을 이루도록 한다. 상기 빈 공간에 후술하는 다양한 형태의 조절부재(100)가 분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이하 조절부재(100)를 설명하기로 한다. 조절부재(100)는 결합되는 순서로 결합구(102), 결합스프링(104), 후방바닥창(106) 그리고 뒷굽체(108)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먼저, 결합구(102)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구(102)는 전방바닥창(22)의 후방 상면과 중창(30)의 저면 일부를 통해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결합구는 조절부재의 결합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중심 결합부위로써 흔들림 또는 변형성이 적어야 하므로 통상적인 전방바닥창(22)보다는 고경도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사출 성형물의 형태로 이루어지면 족할 것이다. 이러한 결합구(102)의 저면은 전방바닥창 후방 상면에 고정결합 시키기 위해서는 접착제 또는 고주파 융착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구의 상부에는 가이드홈(102a)과 가이드편(102b)이 형성되도록 하여 후술하는 결합스프링(104)이 결합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결합구(102)는 기본적으로 전방바닥창 상면에 고정 결합된 후, 후술하는 결합스프링(104) 등의 조절부재의 나머지 부분을 결합시킨 후, 최종적으로 중창(30)의 저면에 고정결합시킴으로써 결합구(102)는 신발 자체에 분리되는 일이 없이 단단하게 고정 결합되도록 한다.
다음, 결합스프링(104)을 설명하기로 한다. 결합스프링(104)은 후술하는 후방바닥창(106)과 뒷굽체(108)를 지지하는 지지체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신발의 충격흡수를 담당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결합스프링(104)의 전체적인 구조는 평면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후방부분이 전방부분에 비하여 약간 상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전방부분 단부에는 걸림돌기가 형성 되도록하여 상기 걸림돌기 및 전방부분이 결합구(102)의 가이드홈(102a)에 안착 결합되도록 하여 결합시킨다. 이때, 결합스프링(104)의 전방부분은 가이드편(102b)에 의해 지지되어 양측방향으로 이동은 제한되므로 결합스프링의 움직임의 방향은 상하 방향으로만 제한되므로 탄성복원력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보행시 발바닥을 통해 전달되는 하중에 의해 결합스프링(104)은 수직 하방향 지면방향으로 힘을 받은 뒤, 보행에 따른 힘 전달이 발의 앞부분으로 이루어질 경우 뒷굽에 가해지는 힘이 없어지므로 결합스프링(10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회복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보행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한편, 결합스프링(104)의 후방부분은 후방바닥창(106)과 결합되도록 한다. 즉, 후방바닥창(106)의 저면에는 바닥창홈(106a)을 형성시키고, 상기 바닥창홈(106a)에 결합스프링(104)의 후방부분이 삽입되도록 하여 결합스프링(104)과 후방바닥창(106)이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후방바닥창(106)은 바닥창 역할을 수행하므로 미끄럼 방지 접지력 향상을 위한 통상의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결합분해가 가능하므로 바닥창 재질의 강도에 따라 다양한 재질의 후방바닥창(106)의 제공이 가능하다. 즉, 신발부분에서 가장 흔하게 닳아 없어지는 부분이 후방바닥창(106) 부분이므로 이 부분만 교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신체 조건에 따라 고경도 또는 편마모방지용 후방바닥창(106)을 교체 결합시키는 등 다양한 형태의 후방바닥창(106) 교체 및 결합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후방바닥창(106)의 상면 부분에는 내측홈(106b)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내측홈(106b)에 후술하는 뒷굽체(108)가 결합되도록 한다.
다음, 뒷굽체(108)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뒷굽체(108)는 중창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써 기본적으로 이브이에이(EVA) 또는 폴리우레탄(PU)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적합할 것이다. 물론 이외에도 중창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써 티피유(TPU) 또는 고무재질 등 다양한 형태의 재질이 가능할 것이다. 뒷굽체(108)의 가장 큰 특징은 다양항 형태의 경도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경도의 뒷굽체(108)가 준비됨으로써 각 개인의 특성에 적합한 뒷굽체를 제공함으로써 맞춤형 형태의 신발 제공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뒷굽체(108)의 저면에는 상기 후방바닥창(106)의 상면에 형성된 내측홈(106b)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후방바닥창(106)과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뒷굽체(108)의 전방부분에는 돌출부(108a)가 형성되도록 하고, 중창(30)에는 이러한 돌출부(108a)에 대응하는 돌출홈(30a)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호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뒷굽체(108)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뒷굽체(108)은 후방바닥창(106)과 중창(30)의 돌출홈(30a)을 통해 결합되므로 결합 후, 움직임 또는 이탈이 없이 견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시한 도4를 참고로 하여 뒷굽체(108)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뒷굽체(108)에는 다수개의 뒷굽체홈(108b)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뒷굽체홈(108b)에 결합되는 경도조절돌기(108c)가 구비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경도조절돌기(108c)의 결합여부에 따라 뒷굽체 전체의 경도 조절이 우렁지도록 하거나, 부분적인 경도조절이 가능해지도록 한다. 즉, 상술한 도2 및 도3의 뒷굽체에서는 뒷굽체 자체의 다양한 경도를 통해 경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반해, 본 실시예에서는 경도조절돌기(108c)를 통해 다양한 형태 및 부위에서 경도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경도조절돌기(108c)를 이용한 경도조절의 예를 도시한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의 (a)는 무지외반증(Heavy Cushion)의 경우를 나타낸다. 무지외반증의 경우 조그마한 상처에도 복원력이 늦어져 가능한 한 부드러운 쿳션으로 이루어지는 신발이어야 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경도조절돌기(108c)가 가장 소프트한 돌기 예를 들어 C타입(C Type) 경도로 약 70 내지 80으로 이루어지는 경도조절돌기(108c)를 사용함으로써 전제척인 경도가 최대한 소프트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5의 (b)의 경우에는 회외족(Varus)의 경우를 나타낸다. 회외족의 경우 발의 외측부분에 상대적으로 많은 힘이 가해져 외측부분이 빨리 닳아 없어짐으로써 계속 그대로 방치할 경우 팔자걸음을 걷게되며 근골격계에 비정상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회외족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발의 내측으로 힘을 분산시킴으로써 점차 정상적인 보행습관을 가지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발의 외측부분에 해당하는 뒷굽체홈(108b)에 상대적으로 고경도로 이루어진 경도조절돌기(108c)를 삽입하여 발의 외측과 내측부분의 경도가 다르도록 한다. 따라서 이러한 뒷굽체(108)가 구비된 신발을 신고 보행시 발에 가해지는 힘이 내측부분이 상대적으로 저경도이므로 많은 힘이 가해지고 외측부분에는 적은 힘이 미침으로 점차 발의 내측과 외측이 동일한 형태의 힘이 가해지는 형태의 보행이 가능해짐에 따라 회외족의 치료가 가능해 질 수 있다. 도 5의 (c)의 경우에는 회내족((Valgus)의 경우를 나타낸다. 회내족의 경우에는 회외족과 반대로 내측부분에 상대적인 힘이 많이 가해지는 경우이므로 이경우에는 회외족과 반대로 내측부분에 해당하는 뒷굽체홈(108b)에 고경도로 이루어진 경도조절돌기(108c)를 삽입함으로써 치료가 가능해진다.
상기와 같이, 뒷굽체(108), 및 후방바닥창(106)의 다양한 경도 및 재질의 조합이 가능해지므로 각 개인에 따른 다양한 맞춤형 신발이 가능해진다.
다음,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신발에서 뒷굽체 및 후방바닥창의 결합 및 교환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결합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별도의 공정을 거쳐 본 발명에 의한 전방바닥창(20)과 중창(30)을 준비한다. 전방바닥창(20)의 후방 상면에 결합구(102)를 접착제나 고주파 융착 등을 통하여 고정 결합시킨다. 이후, 결합스프링(104)의 전방부분이 결합구(102)의 가이드홈(102a)에 끼워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의 상태에서 결합구(102)의 상면이 중창(30)의 빈공간이 형성된 부위의 저면에 접착제나 기타의 방법으로 고정 결합시킨다. 따라서 결합구(102)는 전방바닥창(20)의 상면과 중창(30)의 저면을 통해 단단히 고정 결합되므로 조절부재(100)의 전체 결합을 위한 지지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후방바닥창(106)의 바닥창홈(106a)을 통해 결합스프링(104)과 결합되도록 하여 후방바닥창(106)을 결합시킨다. 상기의 상태에서 뒷굽체(108)을 후방바닥창(106)과 결합시킨 후, 뒷굽체(108)의 돌출부(108a)가 중창(30)의 돌출홈(30a)에 끼워지도록 하여 뒷굽체(108)을 결합시킨다. 따라서 뒷굽체(108)은 후방바닥창(106)과 중창(30)을 통해 단단히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게 된다.한편, 상기의 결합과는 다르게 후방바닥창(106) 및 뒷굽체(108)가 먼저 결합된 상태에서 뒷굽체(108)의 돌출부(108a)가 중창의 돌출홈(30a) 결합되도록 함과 동시에 결합구(102)가 중창(30) 저면에 고정시켜 결합시키는 것도 무방할 것이다. 어떠한 형태의 결합이든 결합구(102)의 결합이 전방바닥창(102) 상면과 중창(30)의 저면을 통해 결합되어 고정결합되어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는 것에 주안점이 있는 것이다.
다음, 다양한 형태의 조절부재가 분해, 재조합 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정상적인 보행으로 인한 후방바닥창의 마모나 또는 뒷굽체의 경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 중창(30)의 후방부분에 힘을 가하여 들어올린 후, 뒷굽체(108)를 강제로 신발에서 분리시킨다. 이러한 뒷굽체(108)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그만큼의 여유공간이 형성되므로, 후방바닥창(106)을 결합스프링(104)에서 쉽게 분리하여 떼어 낼 수가 있다. 물론 결합스프링(104) 역시 결합구(102)에서 분리가 가능해진다. 결합구는 전방바닥창(22)과 중창(30)의 저면을 통해 고정된 상태이므로 분리가 불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결합스프링(104), 후방바닥창(106) 및 뒷굽체(108)의 분리가 가능해 짐에 따라 각 개인의 특성별로 후방바닥창(106) 또는 뒷굽체(108)를 임의 조합하여 역의 순서로 결합시킨후, 중창(30)을 뒷굽체(108)와 결합시킴으로써 조립형 신발의 뒷굽 부분의 결합 분해가 가능해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뒷굽체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바닥재 20.바닥창
22. 전방바닥창 30. 중창
100. 조절부재 102. 결합구
104. 결합스프링 106. 후방바닥창
108. 뒷굽체

Claims (6)

  1. 발의 상부를 덮는 갑피(upper)와 발이 지면과 접하는 부분의 바닥재(sole)로 이루어진 신발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는,
    전방바닥을 이루는 전방바닥창과;
    충격흡수 역할을 수행하되, 후방 저면부에 빈공간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중창; 그리고 상기 전방바닥창과 중창의 후방 저면부의 빈공간에 결합되고, 착탈식으로 이루어지는 조절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조절부재의 결합 및 분해로 개인별 맞춤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도조절 및 교체가 용이한 뒷굽체를 구비한 신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전방 바닥창의 후방 상면에 고정 결합되는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에 전방부분이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결합스프링과;
    상기 결합스프링의 후방부분과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후방바닥창;그리고
    상기 후방바닥창의 상면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뒷굽체;로 이루어져 뒷굽체, 후방바닥창 및 결합스프링의 다양한 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도조절 및 교체가 용이한 뒷굽체를 구비한 신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뒷굽체는,
    상면 내측을 통하여 내측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홈에 대응하는 경도조절돌기가 구비되어 경도조절돌기의 다양한 조합으로 뒷굽체의 경도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도조절 및 교체가 용이한 뒷굽체를 구비한 신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뒷굽체의 전방부분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창의 빈공간 전방에 이에 대응하는 돌출홈이 형성되어 돌출부가 돌출홈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어 뒷굽체의 중창 결합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도조절 및 교체가 용이한 뒷굽체를 구비한 신발.
  5. 제 1 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의 상면에는 가이드홈과, 가이드홈의 외측상방향으로 가이드편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결합스프링의 전방부분이 상기 가이드홈에 결합되어 양측방향으로 가이드편에 의해 힘전달이 억제되어 상하방향으로 결합스프링의 힘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도조절 및 교체가 용이한 뒷굽체를 구비한 신발.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바닥창은 저면에 바닥창홈이 형성되어 상기 바닥창홈을 통해 결합스프링의 후방부분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도조절 및 교체가 용이한 뒷굽체를 구비한 신발.
KR1020110028301A 2011-03-29 2011-03-29 경도조절 및 교체가 용이한 뒷굽체를 구비한 신발 KR101222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301A KR101222850B1 (ko) 2011-03-29 2011-03-29 경도조절 및 교체가 용이한 뒷굽체를 구비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301A KR101222850B1 (ko) 2011-03-29 2011-03-29 경도조절 및 교체가 용이한 뒷굽체를 구비한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443A true KR20120110443A (ko) 2012-10-10
KR101222850B1 KR101222850B1 (ko) 2013-01-16

Family

ID=47281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8301A KR101222850B1 (ko) 2011-03-29 2011-03-29 경도조절 및 교체가 용이한 뒷굽체를 구비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28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31455A (zh) * 2017-07-05 2020-02-21 优投有限责任公司 激励安全鞋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289Y1 (ko) 2001-04-09 2001-10-11 정태헌 발열 신발
KR100826921B1 (ko) 2007-09-14 2008-05-06 (주)채널티비 밸런스 기능성 스프링 신발
KR20100104179A (ko) * 2009-03-17 2010-09-29 김덕기 신발의 충격흡수장치
KR101071083B1 (ko) * 2009-07-21 2011-10-13 김덕기 착탈 교체가 용이한 뒤축이 구비된 이중충격흡수용 신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31455A (zh) * 2017-07-05 2020-02-21 优投有限责任公司 激励安全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2850B1 (ko)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31326B (zh) 可替換中底系統
KR101423025B1 (ko) 무릎 부하를 경감시키는 미드솔
EP2684479B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sole projections
ES2624137T3 (es) Calzado
US20120297641A1 (en) Shoe Sole Element
US20160219970A1 (en) Triathlon Insole
US20120285040A1 (en) Spring shoe sole device
CN102939023A (zh) 具有高脚部移动性的鞋
US20110232128A1 (en) Shoe Soles With Damping Foot Pads
WO2015056958A1 (ko) 중족과 중족골의 압력을 분산시키는 중창과 이를 구비한 신발
EP2454959A1 (en) A multicomponent sole support assembly for sports footwear
US20130205619A1 (en) Dynamic Footwear that Aligns the body and Absorbs the impact
EP2741630A1 (en) Sole assembly and footwear comprising a sole assembly
RU2524894C2 (ru) Обувь для здоровья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1166572B1 (ko) 신발창
US20200163407A1 (en) Functional shoe having spaced front and rear outsoles
US6321468B1 (en) Footwear outsole having arcuate inner-structure
US11253025B2 (en) Asymmetric shock absorption for footwear
KR101222850B1 (ko) 경도조절 및 교체가 용이한 뒷굽체를 구비한 신발
KR200461631Y1 (ko) 아치부위체형 맞춤 선택형 충격흡수분산기능성 보형물을 갖는 신발
KR101131280B1 (ko) O형, x형 다리의 예방 및 체중맞춤형 쿠션신발
KR101288905B1 (ko) 보행기능을 향상시킨 신발창
KR20110004571A (ko) 신발 밑창
KR101178866B1 (ko) 기능성 신발
KR101693773B1 (ko) 보행의 특성을 고려한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