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0215A -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0215A
KR20120110215A KR1020110027929A KR20110027929A KR20120110215A KR 20120110215 A KR20120110215 A KR 20120110215A KR 1020110027929 A KR1020110027929 A KR 1020110027929A KR 20110027929 A KR20110027929 A KR 20110027929A KR 20120110215 A KR20120110215 A KR 20120110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ork
resource
production
production pl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7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환
서병화
최병규
이주환
이수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라콤아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라콤아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라콤아이앤씨
Priority to KR1020110027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0215A/ko
Publication of KR20120110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02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20Software desig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산계획 수립과 관련된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산계획 목적, 현장 상황 및 제약 사항을 더욱 잘 반영한 생산계획을 신속하게 수립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기록매체{METHO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PRODUCTION PLANING}
본 발명은 생산계획 수립과 관련된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산계획 목적, 현장 상황 및 제약 사항을 더욱 잘 반영한 생산계획을 신속하게 수립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제조 시스템을 위한 생산계획 수립 업무는, 일련의 작업들을 각 부서나 설비(자원에 포함)에 분배하고, 수행시점을 결정하는 계획 활동인 일정계획 문제에 속한다.
이러한 일정계획 문제는 여러 자원제약이나 현장의 상황 및 복잡한 스케줄링 규칙으로 인해 매우 어려운 조합 최적화 문제로 알려져 있으나, 중요성을 간과될 수 없기 때문에 최적해 또는 좋은 해를 구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왔다.
이러한 종래의 최적해 해법을 이용한 생산계획 수립 방법은 일정계획 문제를 엄밀한 수리 식으로 표현하여 최적해를 구하는 것으로서, 최적해를 풀이하기 위한 수리 식으로는 정확한 현장 상황 및 제약 사항을 반영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최적해를 얻는데도 매우 많은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산계획 목적, 현장 상황 및 제약 사항을 더욱 잘 반영한 생산계획을 신속하게 수립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기준 정보를 입력받는 기준 정보 입력부; 작업대상 및 자원을 선택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룰 정보를 설정하는 룰 정보 설정부; 상기 설정된 룰 정보를 연계시켜 모델 정보를 생성하는 모델 정보 생성부; 상기 생성된 모델 정보 및 상기 입력된 기준 정보에 근거하여, 자원 및 작업대상을 설정하는 자원 및 작업대상 설정부; 상기 설정된 자원에서 미리 진행 중인 작업시간 및 휴무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설정된 자원에 상기 설정된 작업대상을 할당할 작업시간을 계산하는 자원공간 계산부; 상기 설정된 자원에서의 상기 계산된 작업시간에 상기 설정된 작업대상을 할당하여 작업대상 할당결과를 생성하는 작업대상 할당부; 및 상기 생성된 작업대상 할당결과를 생산계획 수립 정보로서 출력하는 생산계획 수립 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생산계획 수립 시스템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생산계획 수립 시스템이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기준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작업대상 및 자원을 선택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룰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룰 정보를 연계시켜 모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모델 정보 및 상기 입력된 기준 정보에 근거하여, 자원 및 작업대상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자원에서 미리 진행 중인 작업시간 및 휴무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설정된 자원에 상기 설정된 작업대상을 할당할 작업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자원에서의 상기 계산된 작업시간에 상기 설정된 작업대상을 할당하여 작업대상 할당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작업대상 할당결과를 생산계획 수립 정보로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기준 정보를 입력받는 기능과, 작업대상 및 자원을 선택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룰 정보를 설정하는 기능과, 상기 설정된 룰 정보를 연계시켜 모델 정보를 생성하는 모델 정보 생성 기능과, 상기 생성된 모델 정보 및 상기 입력된 기준 정보에 근거하여, 자원 및 작업대상을 설정하는 기능과, 상기 설정된 자원에서 미리 진행 중인 작업시간 및 휴무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설정된 자원에 상기 설정된 작업대상을 할당할 작업시간을 계산하는 기능과, 상기 설정된 자원에서의 상기 계산된 작업시간에 상기 설정된 작업대상을 할당하여 작업대상 할당결과를 생성하는 기능과, 상기 생성된 작업대상 할당결과를 생산계획 수립 정보로서 출력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생산계획 목적, 현장 상황 및 제약 사항을 더욱 잘 반영한 생산계획을 신속하게 수립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생산계획 수립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는 특정 자원에 대한 진행중인 작업이 할당된 시간과 휴무 시간을 표시하는 타임 테이블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생산계획 수립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생산계획 수립 시스템(100)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생산계획 수립 시스템(100)은,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기준 정보를 입력받는 기준 정보 입력부(110)와, 작업대상 및 자원을 선택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룰 정보(Rule Information)를 설정하는 룰 정보 설정부(120)와, 설정된 룰 정보를 연계시켜 모델 정보를 생성하는 모델 정보 생성부(130)와, 생성된 모델 정보 및 입력된 기준 정보에 근거하여, 자원 및 작업대상을 설정하는 자원 및 작업대상 설정부(140)와, 설정된 자원에서 미리 진행 중인 작업시간 및 휴무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설정된 자원에 설정된 작업대상을 할당할 작업시간을 계산하는 자원공간 계산부(150)와, 설정된 자원에서의 계산된 작업시간에 설정된 작업대상을 할당하여 작업대상 할당결과를 생성하는 작업대상 할당부(160)와, 생성된 작업대상 할당결과를 생산계획 수립 정보로서 출력하는 생산계획 수립 정보 출력부(170) 등을 포함한다.
기준 정보 입력부(110)에 입력된 기준 정보는, 생산품목, BOM(Bill of Materials)정보, 자원정보(예: 기계, 설비, 장비 및 사람 등의 정보), 공정정보, 플로우 정보(공정의 집합을 의미하는 플로우에 대한 정보), 공장력정보(예: 근무 계획, 휴무 정보), 업체정보, 재고정보, 주문정보 및 판매예측정보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 정보 입력부(110)는, 기준 정보를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시스템 또는 타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받거나 입력 인터페이스(기준정보 입력화면)를 통해 입력받을 수도 있다.
룰 정보 설정부(120)에 의해 설정된 룰 정보는, 작업대상을 선택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룰 정보와, 자원을 선택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룰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룰 정보 설정부(120)는, 납기일별로 정렬된 작업대상 중에서 납기일이 가장 빠른 작업대상을 선택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제1 룰 정보와, 공정시간별로 정렬된 작업대상 중에서 공정시간이 가장 짧은 작업대상을 선택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제2 룰 정보와, 동일 플로우는 동일 자원에서 처리하는 제3 룰 정보 등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룰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룰 정보 설정부(120)는,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모든 제약과 규칙, 우선순위 등을 룰 정보로서 설정하여 관리하는데, 룰 정보의 설정(생성)은, 시퀀스(Sequence)를 기준으로 룰 정보 생성시 변수 값에 해당하는 필드 값의 비교 및 연산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렇게 설정된 룰 정보는, 시퀀스(Sequence) 간 AND/OR 등의 논리연산자로 연결되어 하나의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표현 형태로 생성된다. 생성된 SQL 표현은 생산계획 수립 시스템(100) 내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되어 데이터를 가져오기 위해 내부적으로 생성되는 SQL의 Where절 및 Order By절 등의 역할을 담당한다.
전술한 모델 정보 생성부(130)가 생성된 모델 정보와 관련하여, 생산계획자가 정한 생산계획 목적 정보에 따라, 생산계획 목적 정보에 부합되는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모델링(Modeling)"이라고 하며, 모델링 한 결과를 모델 정보라고 한다.
모델링을 위한 과정으로서, 전술한 모델 정보 생성부(130)는, 입력된 기준 정보의 반영 여부나 범위를 설정하는 과정과, 작업대상 할당결과를 생성하기 위한 세부 옵션(반복실행 여부, 수행대상 등)을 설정하는 과정과, 룰 정보들 중에서 미리 정의된 생산계획 목적 정보를 토대로 생산계획 목적 정보에 부합되는 룰 정보를 선택하여 설정하며, 설정된 룰 정보 간의 관계 정보 및 구성 정보를 설정함으로써 설정된 룰 정보를 연계시켜 조합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모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모델 정보 생성부(130)는, 설정된 룰 정보를 연계시켜 조합하는 과정에서, 상위 레벨의 룰 정보가 생산계획 목적 정보에 만족하는지를 판단하여 만족하면 다음 하위 레벨의 룰 정보를 순서대로 모델 정보 생성에 적용하고, 상위 레벨의 룰 정보가 생산계획 목적 정보에 만족하지 않으면, 그 하위 레벨에 구성된 룰 정보를 모델 정보 생성에 적용하지 않는다.
전술한 자원 및 작업대상 선택부(140)는, 입력된 기준 정보(예: 주문정보, 판매예측자료 등)를 토대로 일별 생산품목별로 생산량 및 납기일을 계산하여 얻어진 정보(일별 생산품목별 생산량 및 납기일에 대한 정보)를 작업대상으로서 설정하고, 자원 정보를 토대로 설정된 작업대상을 할당하기 위한 자원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된 자원에 대한 정보는 기준 정보 입력부(110)에 입력된 기준 정보에 자원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기준 정보에 포함된 자원 정보에 근거하여, 설정된 작업대상을 할당하기 위한 자원을 설정할 수도 있다.
전술한 자원공간 계산부(150)는, 작업시간을 계산할 시점에 미리 저장된 자원별 타임 테이블을 참조하여, 자원별 타임 테이블에서 파악된 자원정보, 공장력(근무계획, 휴무정보) 등을 토대로, 설정된 자원에 작업대상을 할당할 공간(작업시간)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있다면 작업대상을 할당할 작업시간을 결정하여 계산한다.
도 2는 특정 자원에 대한 진행중인 작업이 할당된 시간과 휴무 시간을 표시하는 타임 테이블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예시된 특정 일(3월 1일)에 대한 특정 자원의 타임 테이블을 참조하면, 해당 자원에는, 미리 진행중인 작업시간과 휴무 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인 3월 1일 12:00~13:00, 15:00~17:00을 해당 작업대상을 할당할 수 있는 작업시간으로 계산할 수 있다. 즉, 계산된 작업시간은 "3월 1일 12:00~13:00, 15:00~17:00"가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대상 할당부(160)는, 설정된 자원에서의 계산된 작업시간에 설정된 작업대상을 할당하는 작업대상 할당결과를 생성하는데, 이렇게 생성된 작업대상 할당결과에는, 생산품목, 수량, 작업시작일시, 작업종료일시 및 이용 자원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생산계획 수립 정보 출력부(170)는, 생산품목, 수량, 작업시작일시, 작업종료일시 및 이용 자원 정보 등을 포함하는 생산계획 수립 정보를 출력한다.
도 3은 생산계획 수립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3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간트 바(Bar) 형태로 표현된 생산계획 수립 정보(300)를 통해, 사용자는 어떠한 자원에서 어떤 생산품목 몇 개를 작업시작일시부터 작업종료일시까지 작업한다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특정 간트 바(310)를 클릭하면, 생산품목, 수량, 작업시작일시, 작업종료일시 및 이용 자원 정보 등을 아래 하단 부분(320)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산계획 수립 시스템(100)이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산계획 수립 시스템(100)이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방법은,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기준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400)와, 작업대상 및 자원을 선택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룰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S402)와, 설정된 룰 정보를 연계시켜 모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404)와, 생성된 모델 정보 및 입력된 기준 정보에 근거하여, 자원 및 작업대상을 설정하는 단계(S406)와, 설정된 자원에서 미리 진행 중인 작업시간 및 휴무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설정된 자원에 설정된 작업대상을 할당할 작업시간을 계산하는 단계(S408)와, 설정된 자원에서의 계산된 작업시간에 설정된 작업대상을 할당하는 작업대상 할당결과를 생성하는 단계(S410)와, 생성된 작업대상 할당결과를 생산계획 수립 정보로서 출력하는 단계(S412) 등을 포함한다.
전술한 S406 단계, S408 단계 및 S410 단계는, 자원에 할당할 작업대상이 존재하지 않을 때까지 작업대상별로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은,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기준 정보를 입력받는 기능과, 작업대상 및 자원을 선택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룰 정보를 설정하는 기능과, 상기 설정된 룰 정보를 연계시켜 모델 정보를 생성하는 모델 정보 생성 기능과, 상기 생성된 모델 정보 및 상기 입력된 기준 정보에 근거하여, 자원 및 작업대상을 설정하는 기능과, 상기 설정된 자원에서 미리 진행 중인 작업시간 및 휴무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설정된 자원에 상기 설정된 작업대상을 할당할 작업시간을 계산하는 기능과, 상기 설정된 자원에서의 상기 계산된 작업시간에 상기 설정된 작업대상을 할당하는 작업대상 할당결과를 생성하는 기능과, 상기 생성된 작업대상 할당결과를 생산계획 수립 정보로서 출력하는 기능 등을 실행한다.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서 읽히어 설치되고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컴퓨터가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 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하나 이상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생산계획 목적, 현장 상황 및 제약 사항을 더욱 잘 반영한 생산계획을 신속하게 수립하는 효과가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산계획 수립 방법은 룰 기반의 발견적 해법으로 일정계획 문제를 풀이하는 것으로서, 현장 상황 및 제약 등을 룰(Rule) 정보로 정의하여 반영하기 때문에, 일정계획 문제에 대한 접근에서 수리 모형을 이용한 최적화 해법보다 좀더 현실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면, 제조 산업분야의 생산계획 수립에 있어 제약이 되는 사항이나 업무 절차나 규칙 변화에 따른 즉각적인 대응을 할 수 있으며, 주어진 상황에 가장 적합한 생산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또한, 생산계획 수립 상에서 의사결정을 위해 발생하는 시간 및 비용의 최소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산계획 수립 방법은 종래의 최적화 해법에 비해 문제 풀이 시간이 짧고, 현장의 특화된 스케줄링 규칙 및 제약과 산업분야별 스케줄링 규칙, 현장 전문가만 가지고 있는 전문지식을 룰(Rule)화 하여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내 데이터로 가질 수 있어 스케줄링 지식 베이스의 구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기준 정보를 입력받는 기준 정보 입력부;
    작업대상 및 자원을 선택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룰 정보를 설정하는 룰 정보 설정부;
    상기 설정된 룰 정보를 연계시켜 모델 정보를 생성하는 모델 정보 생성부;
    상기 생성된 모델 정보 및 상기 입력된 기준 정보에 근거하여, 자원 및 작업대상을 설정하는 자원 및 작업대상 설정부;
    상기 설정된 자원에서 미리 진행 중인 작업시간 및 휴무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설정된 자원에 상기 설정된 작업대상을 할당할 작업시간을 계산하는 자원공간 계산부;
    상기 설정된 자원에서의 상기 계산된 작업시간에 상기 설정된 작업대상을 할당하여 작업대상 할당결과를 생성하는 작업대상 할당부; 및
    상기 생성된 작업대상 할당결과를 생산계획 수립 정보로서 출력하는 생산계획 수립 정보 출력부
    를 포함하는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생산계획 수립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기준 정보는,
    생산품목, BOM(Bill of Materials)정보, 자원정보, 공정정보, 플로우정보, 공장력정보, 업체정보, 재고정보, 주문정보 및 판매예측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생산계획 수립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룰 정보는,
    납기일별로 정렬된 작업대상 중에서 납기일이 가장 빠른 작업대상을 선택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제1 룰 정보와, 공정시간별로 정렬된 작업대상 중에서 공정시간이 가장 짧은 작업대상을 선택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제2 룰 정보와, 동일 플로우는 동일 자원에서 처리하는 제3 룰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생산계획 수립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 정보 생성부는,
    생산계획 목적 정보에 따라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상기 기준 정보의 반영 여부나 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작업대상 할당결과를 생성하기 위한 세부 옵션을 설정하며, 룰 정보들 중에서 미리 정의된 생산계획 목적 정보를 토대로 상기 룰 정보를 선택하여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룰 정보 간의 관계 정보 및 구성 정보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설정된 룰 정보를 연계시켜 상기 모델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생산계획 수립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및 작업대상 선택부는,
    상기 입력된 기준 정보를 토대로 일별 생산품목별 생산량 및 납기일을 계산하여 얻어진 정보를 상기 작업대상으로서 설정하고, 자원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설정된 작업대상을 할당하기 위한 자원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생산계획 수립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계획 수립 정보 출력부는,
    생산품목, 수량, 작업시작일시, 작업종료일시 및 이용 자원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생산계획 수립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생산계획 수립 시스템.
  7. 생산계획 수립 시스템이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기준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작업대상 및 자원을 선택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룰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룰 정보를 연계시켜 모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모델 정보 및 상기 입력된 기준 정보에 근거하여, 자원 및 작업대상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자원에서 미리 진행 중인 작업시간 및 휴무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설정된 자원에 상기 설정된 작업대상을 할당할 작업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자원에서의 상기 계산된 작업시간에 상기 설정된 작업대상을 할당하여 작업대상 할당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작업대상 할당결과를 생산계획 수립 정보로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방법.
  8.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기준 정보를 입력받는 기능과,
    작업대상 및 자원을 선택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룰 정보를 설정하는 기능과,
    상기 설정된 룰 정보를 연계시켜 모델 정보를 생성하는 모델 정보 생성 기능과,
    상기 생성된 모델 정보 및 상기 입력된 기준 정보에 근거하여, 자원 및 작업대상을 설정하는 기능과,
    상기 설정된 자원에서 미리 진행 중인 작업시간 및 휴무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설정된 자원에 상기 설정된 작업대상을 할당할 작업시간을 계산하는 기능과,
    상기 설정된 자원에서의 상기 계산된 작업시간에 상기 설정된 작업대상을 할당하여 작업대상 할당결과를 생성하는 기능과,
    상기 생성된 작업대상 할당결과를 생산계획 수립 정보로서 출력하는 기능
    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10027929A 2011-03-29 2011-03-29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기록매체 KR201201102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929A KR20120110215A (ko) 2011-03-29 2011-03-29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929A KR20120110215A (ko) 2011-03-29 2011-03-29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215A true KR20120110215A (ko) 2012-10-10

Family

ID=47281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7929A KR20120110215A (ko) 2011-03-29 2011-03-29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0215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716B1 (ko) * 2020-02-04 2021-05-11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 스케줄링 시스템
WO2021141188A1 (ko) * 2020-01-10 2021-07-15 전자부품연구원 병렬형 열처리 공정을 위한 에너지 절감형 동적 생산 스케줄링 운영 방법
KR102342028B1 (ko) * 2021-04-27 2021-12-22 (주)지에스티 다품종 소량 생산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 자동 스케줄링 시스템 운영 방법
KR102342027B1 (ko) * 2021-04-27 2021-12-23 (주)지에스티 다품종 소량 생산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 자동 스케줄링 시스템
KR102345834B1 (ko) * 2021-04-08 2021-12-31 주식회사 제이앤포 니트 생산 플랫폼 제공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408501B1 (ko) * 2021-07-21 2022-06-14 주식회사 이유랩 작업 공정의 스케쥴 최적화 방법
KR20220142846A (ko) 2021-04-15 2022-10-2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간트 계획 부하평준화를 위한 강화학습 방법
CN116224936A (zh) * 2023-03-01 2023-06-06 湘南学院 一种集成零件共享的动态柔性装配作业车间生产控制方法
KR20230081501A (ko) 2021-11-30 2023-06-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생산 계획 수립 장치 및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1188A1 (ko) * 2020-01-10 2021-07-15 전자부품연구원 병렬형 열처리 공정을 위한 에너지 절감형 동적 생산 스케줄링 운영 방법
KR102250716B1 (ko) * 2020-02-04 2021-05-11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 스케줄링 시스템
KR102345834B1 (ko) * 2021-04-08 2021-12-31 주식회사 제이앤포 니트 생산 플랫폼 제공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20142846A (ko) 2021-04-15 2022-10-2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간트 계획 부하평준화를 위한 강화학습 방법
KR102342028B1 (ko) * 2021-04-27 2021-12-22 (주)지에스티 다품종 소량 생산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 자동 스케줄링 시스템 운영 방법
KR102342027B1 (ko) * 2021-04-27 2021-12-23 (주)지에스티 다품종 소량 생산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 자동 스케줄링 시스템
KR102408501B1 (ko) * 2021-07-21 2022-06-14 주식회사 이유랩 작업 공정의 스케쥴 최적화 방법
KR20230081501A (ko) 2021-11-30 2023-06-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생산 계획 수립 장치 및 방법
CN116224936A (zh) * 2023-03-01 2023-06-06 湘南学院 一种集成零件共享的动态柔性装配作业车间生产控制方法
CN116224936B (zh) * 2023-03-01 2024-03-12 湘南学院 一种集成零件共享的动态柔性装配作业车间生产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0215A (ko)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기록매체
Hazır et al. A classification and review of approaches and methods for modeling uncertainty in projects
KR102184182B1 (ko) Super Tree 기반의 Project/Task 지능 목표관리 방법 및 플랫폼
Heinrich et al. Integrating business process simulation and information system simulation for performance prediction
Leng et al. Dynamic scheduling in RFID-driven discrete manufacturing system by using multi-layer network metrics as heuristic information
EP3188096A1 (en) Data analysis for predictive scheduling optimization for product production
EP1359529A1 (en) Computer-implemented product development planning method
Bae et al. Planning of business process execution in Business Process Management environments
KR20010053593A (ko) 자산 집중형 제조회사를 위한 컴퓨터로 구현된 가치 경영도구
AU2013266984B2 (en) Alpha-chain constraints for process planning
WO2014031917A1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ed scheduling of workflows
JP2018139041A (ja) 業務計画最適化装置及び業務計画最適化方法
Mourtzis et al. A cloud-based resource planning tool for the production and installation of industrial product service systems (IPSS)
WO2023005395A1 (zh) 工业规划的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和程序产品
Monostori et al. Digital enterprise solution for integrated production planning and control
CN110175119A (zh) 一种接口的测试方法、装置、计算设备和存储介质
JPWO2018235124A1 (ja) 分散配置装置、分散配置システム、および、分散配置方法
Kröll et al. Implementation Model for Digital Retrofit for Sustainable Production
CN112884455A (zh) 任务计划处理系统、方法和装置
Borreguero Sanchidrián et al. Large neighborhood search for an aeronautical assembly line time-constrained scheduling problem with multiple modes and a resource leveling objective
Schiendorfer et al. Abstraction of heterogeneous supplier models in hierarchical resource allocation
Schwarz et al. Towards an integrated sustainability evaluation of energy scenarios with automated information exchange
Krishnamoorthy et al. Optimizing stochastic temporal manufacturing processes with inventories: An efficient heuristic algorithm based on deterministic approximations
JP201201438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A2832806A1 (en) Method for optimizing schedule compression in projects using accelerating and overlapping of activ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