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9973A - 인터넷상에서 구현가능한 사용자기반의 콘텐츠 위치 및 크기정보 자동 인코딩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상에서 구현가능한 사용자기반의 콘텐츠 위치 및 크기정보 자동 인코딩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9973A
KR20120109973A KR1020110105323A KR20110105323A KR20120109973A KR 20120109973 A KR20120109973 A KR 20120109973A KR 1020110105323 A KR1020110105323 A KR 1020110105323A KR 20110105323 A KR20110105323 A KR 20110105323A KR 20120109973 A KR20120109973 A KR 20120109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data
content
web page
enco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5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현식
정원태
Original Assignee
(주)티아이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아이솔루션 filed Critical (주)티아이솔루션
Publication of KR20120109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99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26Character en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웹페이지 구성 웹컨텐츠를 포함하는 웹페이지를 제작시 별도의 웹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지 않고 웹페이지 제작을 관리하는 웹서버의 웹페이지 에디터를 사용하여 웹페이지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웹페이지 제작시 웹브라우저 상에서 웹페이지 에디터를 실행하여 마우스를 사용하여 콘텐츠의 위치이동 및 크기 조정시 웹브라우저가 인식가능한 웹 언어 형태로 자동으로 변환해 주는 인터넷 상에서 구현 가능한 사용자 기반의 웹컨텐츠 정보 자동 인코딩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터넷상에서 구현가능한 사용자기반의 콘텐츠 위치 및 크기정보 자동 인코딩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encoding position and size information of contents made by user on internet}
본 발명은 웹페이지를 별도의 코딩 작업 없이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웹컨텐츠들을 이동 또는 확대, 축소하여 디자인 작업만 완료하게 되면 웹페이지로 자동 생성되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홈페이지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웹브라우저가 인식가능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이나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같은 웹 언어의 문법을 알아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웹 언어의 문법은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우지 않은 일반인들이 접근하기에는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웹페이지를 문서 작성 프로그램인 워드 프로세서와 같이 WYSIWYG(What You See Is What You Get) 기능을 바탕으로 하는 웹페이지 에디터들이 개발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에디터 들은 오프라인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에디터를 사용하여 제작한 웹페이지를 다시 인터넷에 올리는 부가적인 작업(일반적으로 FTP(File Transfer Protocol)를 이용)이 필요하였다. 이러한 작업 역시 웹페이지 제작을 원하는 일반인들에게는 익숙하지 않았다.
한편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웹페이지를 관리하는 서버에 접속하여 인터넷 상에서 웹브라우저를 통하여 웹페이지를 제작 가능한 방식이 개발 되었으나, 이러한 방식은 전문 디자이너가 미리 제작한 복수의 레이아웃 중에 하나를 선택하고 레이아웃 내에서 컨텐츠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이러한 방식은 웹 서버가 관리하는 웹페이지의 주소에 직접 접속하여 웹페이지를 제작 및 수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 졌다.
일반인들의 웹 언어에 대한 접근 및 웹 서버에 작성된 웹페이지를 올리는 부가적인 작업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한 웹페이지 제작 방식 역시, 미리 제작된 레이아웃 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작자의 의사를 모두 반영하기가 힘들며, 웹 서버에 직접적으로 접속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웹서버가 여러 웹페이지를 관리하는 경우 웹 서버는 웹페이지 제작 작업에 따른 오버헤드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기존의 웹 에디터들이 갖고 있는 문제점들을 개선한 사용자기반의 인터넷상에서의 웹페이지 제작 방법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웹컨텐츠들을 이동 또는 확대, 축소하여 디자인 작업만 완료하게 되면 웹페이지로 자동 생성되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으로, 디자인만 하게 되면 해당페이지를 웹상에서 자동으로 인코딩하여 표출한다. 또한 상기 웹페이지의 제작과 웹페이지 데이터를 관리하는 서버를 분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웹컨텐츠 정보 인코딩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컨텐츠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웹 컨텐츠로 구성된 웹페이지를 웹언어로 인코딩하는 단계; 상기 웹컨텐츠를 포함하는 상기 웹페이지의 상기 인코딩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변환 및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 및 전송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여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웹언어로 인코딩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웹페이지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페이지 구성 컨텐츠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컨텐츠의 상기 웹페이지상 시작점과 끝점을 포함하는 좌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위치 또는 크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한 데이터를 웹브라우저에서 인식 가능한 웹 언어로 인코딩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를 입력 받는 단계는 상기 웹페이지의 제작을 관리하는 웹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웹 서버의 웹페이지를 제작 하는 웹페이지 에디터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상기 컨텐츠를 입력 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웹 서버에 접속 하는 단계에서 웹 서버의 접속은 상기 사용자로 부터 상기 컨텐츠의 입력이 진행되는 동안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텐츠를 입력 받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로컬(local)네트워크 환경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를 인식 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웹페이지가 포함하는 이미지 객체로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코딩 하는 단계의 상기 웹 언어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을 포함한다.
상기 웹 언어로 인코딩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상기 변환 및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인코딩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헤더 데이터(header data)를 제외한 순수데이터(body data)를 추출하여 디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디코딩한 순수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여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 및 전송하는 단계에서 디코딩한 순수데이터(body data)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웹컨텐츠 정보 인코딩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컨텐츠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웹 컨텐츠로 구성된 웹페이지를 웹언어로 인코딩하는 웹 컨텐츠 인코딩 모듈; 상기 웹컨텐츠를 포함하는 상기 웹페이지의 상기 인코딩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변환 및 전송하는 사용자 홈페이지 서버(User Homepage Server); 및 상기 변환 및 전송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여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Database Server)를 포함한다.
상기 웹페이지 제작 모듈은 사용자로부터, 웹페이지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페이지 구성 컨텐츠를 입력 받는 컨텐츠 입력부; 상기 입력받은 컨텐츠의 상기 웹페이지상 시작점과 끝점을 포함하는 좌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위치 또는 크기를 포함하는 정보를 인식하는 데이터 인식부; 및 상기 인식한 데이터를 웹 언어로 인코딩 하는 인코딩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 입력부는 상기 웹페이지의 제작을 관리하는 웹 서버; 상기 웹 서버의 웹페이지를 제작 하는 웹페이지 에디터를 실행하는 웹브라우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상기 컨텐츠를 입력 받는 컨텐츠 입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웹 언어로 인코딩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인코딩 데이터 전송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홈페이지 서버(User Homepage Server)는 상기 인코딩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헤더 데이터(header data)를 제외한 순수데이터(body data)를 추출하여 디코딩하는 디코딩 장치; 및 상기 디코딩한 순수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Database Server)에 전송하는 디코딩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홈페이지 서버(User Homepage Server)에서 디코딩한 순수데이터(body data)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저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웹컨텐츠 정보 인코딩 방법은, 상기 데이터베이스가 포함하는 상기 변환 및 전송한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단계; 상기 재전송한 데이터를 웹 브라우저에 사용하는 웹 언어로 인코딩하는 단계; 상기 인코딩한 데이터를 전송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데이터(Header Data)와 결합하여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한 데이터를 디코딩 하여 웹브라우저의 웹페이지 에디터에 표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웹 컨텐츠 인코딩 모듈은 상기 사용자 홈페이지 서버(User Homepage Server)로부터 입력받은 인코딩한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디코딩 장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홈페이지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Database Server)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인코딩 하는 인코딩 장치; 및 상기 인코딩한 데이터를 상기 웹 컨텐츠 인코딩 모듈에 전송하는 인코딩 데이터 전송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 서버는 상기 웹페이지상 웹컨텐츠의 위치 또는 크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홈페이지 서버(User Homepage Server) 로 전송하는 데이터베이스 전송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웹페이지를 만들고자 하는 사용자가 별도의 프로그래밍 언어 사용없이 간단한 이미지 편집능력 만으로 웹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기존의 웹페이지 제작 방식에서 프로그래밍 언어 사용의 단계를 생략하여 제작기간을 월등하게 단축시키고 웹페이지의 주소에 직접 접속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웹페이지 제작을 관리하는 서버를 통해 안정적으로 웹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게 되어 웹 서버상에서 발생하는 부하를 줄이고, 짧은 시간 내에 보다 편리하게 웹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컨텐츠 정보 인코딩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 인코딩 단계의 세부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웹컨텐츠 입력 단계의 세부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 인코딩 데이터를 변환 및 전송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정보 인코딩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컨텐츠 정보 인코딩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단계로 웹페이지 인코딩 단계(S100); 인코딩 데이터 변환 및 전송 단계(S200); 데이터베이스 구성 관리 단계(S300)를 포함한다.
웹페이지 인코딩 단계(S100)는 이하 도 2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도 2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 인코딩 단계의 세부 흐름도이다. 웹페이지 인코딩 단계(S100)는 웹페이지의 제작을 원하는 사용자로부터 웹페이지를 구성하는 웹컨텐츠를 입력받는 단계(S110); 입력받은 컨텐츠의 웹페이지상 좌표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위치 또는 크기를 포함하는 웹 컨텐츠 정보 인식하는 단계(S120); 인식한 데이터를 웹브라우저가 인식 가능한 웹 언어로 인코딩하는 단계(S130); 인코딩한 데이터를 웹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140)를 포함한다.
웹컨텐츠를 입력 받는 단계(S110)에서 웹컨텐츠는 웹페이지상에 표현될 수 있는 이미지, 동영상 또는 웹프로그램 등을 포함한다. 웹컨텐츠를 입력 받는 단계(S110)는 도 3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도 3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웹컨텐츠 입력 단계의 세부 흐름도이다. 웹컨텐츠 입력 단계(S110)는 웹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S112); 웹 서버의 웹페이지 에디터를 실행하는 단계(S114); 웹컨텐츠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S116)를 포함한다.
웹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S112)는 웹페이지의 제작을 원하는 사용자가 웹페이지의 제작을 위해 웹 서버에 접속하면 웹브라우저에서 ActiveX를 통해 제작된 웹페이지 에디터를 설치한다. 웹페이지 에디터가 사용자의 웹브라우저에 이미 설치 되어 있다면 설치 단계는 생략 가능하다. 웹페이지 에디터 실행 단계(S114)는 웹페이지 에디터가 설치되고 나면 웹브라우저를 통해 웹페이지 에디터를 실행한다. 웹컨텐츠를 입력 받는 단계(S116)는 웹페이지 에디터가 실행 되면 사용자로 부터 웹페이지 에디터를 통해 웹컨텐츠를 웹페이지 상에 입력받는다. 웹 서버에 접속은 웹페이지 에디터를 이용하여 웹페이지를 구성하는 동안 유지된다. 이러한 접속은 웹서버와 사용자의 컴퓨터간의 연결을 유지하는 수준으로만 이루어 지며, 웹서버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부가적인 데이터의 이동은 없다. 또한 웹컨텐츠를 웹페이지상에 입력하는 모든 작업은 사용자의 로컬 네트워크(Local Network)상에서 이루어 진다. 사용자는 마우스를 사용하여 웹컨텐츠들을 이동시키고 크기를 조정하여 웹페이지에 웹컨텐츠를 입력한다. 사용자는 웹페이지의 레이아웃에 구속 되지 않고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웹페이지 상 어느 위치에 입력가능하다.
웹 컨텐츠 정보 인식하는 단계(S120)는 사용자가 입력한 웹컨텐츠의 웹페이지상 크기나 위치를 포함하는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이다. 웹 에디터는 웹페이지상에 입력된 웹컨텐츠들을 이미지화 시켜 컨텐츠의 시작점과 끝점의 좌표데이터를 인식하여 크기나 위치를 인식한다.
인식한 데이터를 웹브라우저가 인식 가능한 웹 언어로 인코딩하는 단계(S130)는 인식한 위치 또는 크기를 포함하는 정보를 웹브라우저가 인식가능한 웹 언어로 인코딩 한다. 웹브라우저(web browser)는 웹 서버에서 쌍방향 통신하는 HTML 문서나 파일과 연동하고 출력하는 응용 소프트웨어이다. 웹브라우저는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과 같은 웹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파일을 해독하여 웹브라우저 창에 표현하며 사용자는 이러한 결과를 통해 웹페이지를 인식한다. 상기 웹브라우저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모질라 파이어폭스, 오페라, 사파리, 구글 크롬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컨텐츠 정보 인코딩 방법은 사용자가 웹컨텐츠를 웹페이지 에디터를 통해 입력하면 이러한 웹컨텐츠를 포함하는 웹페이지를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을 포함하는 웹 프로그래밍 언어로 변환해 준다. XML을 통하여 사용자는 인터넷에 연결된 시스템끼리 데이터를 쉽게 주고 받을 수 있으며, XML은 인터넷상에서 바로 사용이 가능하며, 응용프로그램을 폭 넓게 지원한다.
인코딩한 데이터를 웹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140)는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웹컨텐츠를 입력한 웹페이지 데이터를 웹 언어로 인코딩한 데이터를 인터넷상의 서버에 전송한다. 전송의 목적이 되는 서버는 웹페이지 에디터에 의해 만들어진 웹페이지의 구성파일을 저장하며 관리한다. 상기 서버는 웹페이지 에디터를 포함하는 서버와는 다른 서버이며, 웹컨텐츠의 크기나 위치 데이터가 아닌 실제 내용과 관련된 데이터들을 통신한다.
인코딩 데이터 변환 및 전송 단계(S200)는 도 4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 인코딩 데이터를 변환 및 전송하는 흐름도이다. 인코딩 데이터 변환 및 전송 단계(S200)는 인코딩한 데이터의 순수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S210); 디코딩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S220)를 포함한다.
인코딩한 데이터의 순수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S210)는 인코딩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송시 필요한 주소, 데이터 크기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데이터(Header Data)를 제외한 실질적인 웹컨텐츠 정보인 순수데이터(Body Data)를 추출하여 디코딩한다. 디코딩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S220)는 디코딩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전송한다. 웹페이지 구성과 무관한 헤더데이터(Header Data)를 제외하여 웹 서버의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구성 관리 단계(S300)는 디코딩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S220)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각 사용자에 따라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한다.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된 데이터들은 후에 사용자의 웹페이지제작 요청을 입력받으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데이터를 재 전송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정보 인코딩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정보 인코딩 시스템(1)은 웹페이지 인코딩 모듈(100); 사용자 홈페이지 서버(User Homepage Server)(200); 데이터 베이스 서버(300)를 포함한다.
웹페이지 인코딩 모듈(100)은 웹컨텐츠 입력부(110); 웹컨텐츠 정보 인식부(120); 웹 언어 인코딩 장치(130); 인코딩 데이터 전송부(140); 인코딩 데이터 디코딩 장치(150)를 포함한다. 상기 웹컨텐츠 입력부(110)는 웹서버(112); 웹브라우저(114); 웹컨텐츠를 직접 입력하는 입력부(116)를 포함한다.
웹 서버(112)는 웹페이지 제작과 관련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서버로서 웹페이지 에디터를 포함한다. 웹페이지의 제작을 원하는 사용자가 웹페이지의 제작을 위해 웹 서버에 접속하면 웹브라우저에서 ActiveX를 통해 제작된 웹페이지 에디터를 설치한다. 웹페이지 에디터가 사용자의 웹브라우저에 이미 설치 되어 있다면 설치 단계는 생략 가능하다. 웹브라우저(114)는 웹 서버(112)로부터 웹페이지 에디터를 설치하고 설치된 에디터를 실행한다. 웹컨텐츠 입력부(116)는 웹페이지 에디터가 실행 되면 사용자로 부터 웹페이지 에디터를 통해 웹컨텐츠를 웹페이지 상에 입력받는다. 웹 서버에 접속은 웹페이지 에디터를 이용하여 웹페이지를 구성하는 동안 유지된다. 이러한 접속은 웹서버와 사용자의 컴퓨터간의 연결을 유지하는 수준이며, 웹서버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부가적인 데이터의 이동은 없다. 또한 웹컨텐츠를 웹페이지상에 입력하는 모든 작업은 사용자의 로컬 네트워크(Local Network)상에서 이루어 진다. 사용자는 마우스를 사용하여 웹컨텐츠들을 이동시키고 크기를 조정하여 웹페이지에 웹컨텐츠를 입력한다. 사용자는 웹페이지의 레이 아웃에 구속 되지 않고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웹페이지 상 어느 위치에 입력가능하다.
웹컨텐츠 정보 인식부(120)는 사용자가 입력한 웹컨텐츠의 웹페이지상 크기나 위치를 포함하는 정보를 인식한다. 웹 에디터는 웹페이지상에 입력된 웹컨텐츠들을 이미지화 시켜 컨텐츠의 시작점과 끝점의 좌표데이터를 인식하여 크기나 위치를 인식한다.
웹 언어 인코딩 장치(130)는 인식한 위치 또는 크기를 포함하는 정보를 웹브라우저가 인식가능한 웹 언어로 인코딩 한다. 웹브라우저(web browser)는 웹 서버에서 쌍방향 통신하는 HTML 문서나 파일과 연동하고 출력하는 응용 소프트웨어이다. 개인용 컴퓨터에서 주로 쓰는 웹브라우저에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모질라 파이어폭스, 오페라, 사파리, 구글 크롬 등이 있다. 웹브라우저는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과 같은 웹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파일을 해독하여 웹브라우저 창에 표현하며 사용자는 이러한 결과를 통해 웹페이지를 인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컨텐츠 정보 인코딩 방법은 사용자가 웹컨텐츠를 웹페이지 에디터를 통해 입력하면 이러한 웹컨텐츠를 포함하는 웹페이지를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를 포함하는 웹 프로그래밍 언어로 변환해 준다.
인코딩 데이터 전송부(140)는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웹컨텐츠를 입력한 웹페이지 데이터를 웹 언어로 인코딩한 데이터를 인터넷상의 서버에 전송한다. 전송의 목적이 되는 서버는 웹페이지 에디터에 의해 만들어진 웹페이지의 구성파일을 저장하며 관리한다. 상기 서버는 웹페이지 에디터를 포함하는 서버와는 다른 서버이며, 웹컨텐츠의 크기나 위치 데이터가 아닌 실제 내용과 관련된 데이터들을 통신한다.
인코딩 데이터 디코딩 장치(150)는 사용자가 제작한 웹페이지를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 기 제작한 웹페이지를 웹언어로 인코딩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웹브라우저에서 인식가능하도록 디코딩한다. 디코딩한 결과는 웹브라우저의 웹페이지 에디터에 표현된다.
사용자 홈페이지 서버(User Homepage Server)(200)는 웹페이지 제작 모듈에서 제작하여 웹 언어로 인코딩한 데이터를 관리한다. 사용자 홈페이지 서버(User Homepage Server)(200)는 디코딩 장치(210); 디코딩 데이터 전송부(220); 인코딩 장치(230); 인코딩 데이터 전송부(240)을 포함한다.
디코딩 장치(210)은 인코딩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송시 필요한 주소, 데이터 크기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데이터(Header Data)를 제외한 실질적인 웹컨텐츠 정보인 순수데이터(Body Data)를 추출하여 디코딩한다. 디코딩 데이터 전송부(220)는 디코딩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서버(300)에 전송한다. 웹페이지 구성과 무관한 헤더데이터(Header Data)를 제외하여 웹 서버의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인코딩 장치(230)는 사용자가 제작한 웹페이지를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 서버(300)에 전송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웹 언어로 인코딩한다. 인코딩 데이터 전송부(240)는 상기 인코딩 장치(230)에서 인코딩한 데이터에 전송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데이터(Header Data)를 결합하여 웹페이지 제작모듈(100)의 인코딩 데이터 디코딩 장치(150)에 전송한다.
데이터 베이스 서버(300)는 사용자 홈페이지 서버(User Homepage Server)에서 전송한 헤더데이터(Header Data)를 제외한 순수데이터(Body Data)를 관리한다. 데이터 베이스 서버(300)는 데이터 베이스 저장부(310); 데이터 베이스 전송부(320)를 포함한다.
데이터 베이스 저장부(310)는 사용자가 제작한 웹페이지의 컨텐츠들의 위치 또는 크기를 포함하는 구성데이터를 각 사용자에 따라 저장한다. 데이터 베이스 전송부(320)는 사용자가 제작한 웹페이지를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홈페이지 서버(200)로부터 데이터의 요청을 받아 상기 구성데이터를 사용자 홈페이지 서버(200)로 전송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웹컨텐츠 정보 인코딩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컨텐츠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웹컨텐츠로 구성된 웹페이지를 웹언어로 인코딩하는 단계;
    상기 웹컨텐츠를 포함하는 상기 웹페이지의 상기 인코딩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변환 및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 및 전송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여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웹컨텐츠 정보 인코딩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웹언어로 인코딩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웹페이지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페이지 구성 컨텐츠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컨텐츠의 상기 웹페이지상 시작점과 끝점을 포함하는 좌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위치 또는 크기를 포함하는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한 데이터를 웹브라우저에서 인식 가능한 웹 언어로 인코딩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웹컨텐츠 정보 인코딩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입력 받는 단계는 상기 웹페이지의 제작을 관리하는 웹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웹 서버의 웹페이지를 제작 하는 웹페이지 에디터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상기 컨텐츠를 입력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웹컨텐츠 정보 인코딩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웹 서버에 접속 하는 단계에서 웹 서버의 접속은 상기 사용자로 부터 상기 컨텐츠의 입력이 진행되는 동안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컨텐츠 정보 인코딩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입력 받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로컬(local)네트워크 환경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컨텐츠 정보 인코딩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를 인식 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웹페이지가 포함하는 이미지 객체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컨텐츠 정보 인코딩 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 하는 단계의 상기 웹 언어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을 포함하는 웹컨텐츠 정보 인코딩 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웹 언어로 인코딩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웹컨텐츠 정보 인코딩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및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인코딩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헤더 데이터(header data)를 제외한 순수데이터(body data)를 추출하여 디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디코딩한 순수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웹컨텐츠 정보 인코딩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여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 및 전송하는 단계에서 디코딩한 순수데이터(body data)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웹컨텐츠 정보 인코딩 방법.
  11. 웹컨텐츠 정보 인코딩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컨텐츠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웹 컨텐츠로 구성된 웹페이지를 웹언어로 인코딩하는 웹 컨텐츠 인코딩 모듈;
    상기 웹컨텐츠를 포함하는 상기 웹페이지의 상기 인코딩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변환 및 전송하는 사용자 홈페이지 서버(User Homepage Server); 및
    상기 변환 및 전송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여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Database Server)를 포함하는 웹컨텐츠 정보 인코딩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웹 컨텐츠 인코딩 모듈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웹페이지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페이지 구성 컨텐츠를 입력 받는 컨텐츠 입력부;
    상기 입력받은 컨텐츠의 상기 웹페이지상 시작점과 끝점을 포함하는 좌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위치 또는 크기를 포함하는 정보를 인식하는 데이터 인식부; 및
    상기 인식한 데이터를 웹 언어로 인코딩 하는 인코딩 장치를 포함하는 웹컨텐츠 정보 인코딩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입력부는 상기 웹페이지의 제작을 관리하는 웹 서버;
    상기 웹 서버의 웹페이지를 제작 하는 웹페이지 에디터를 실행하는 웹브라우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상기 컨텐츠를 입력 받는 컨텐츠 입력부를 포함하는 웹컨텐츠 정보 인코딩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웹 언어로 인코딩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인코딩 데이터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웹컨텐츠 정보 인코딩 시스템.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홈페이지 서버(User Homepage Server)는 상기 인코딩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헤더 데이터(header data)를 제외한 순수데이터(body data)를 추출하여 디코딩하는 디코딩 장치; 및
    상기 디코딩한 순수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Database Server)에 전송하는 디코딩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는 웹컨텐츠 정보 인코딩 시스템.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홈페이지 서버(User Homepage Server)에서 디코딩한 순수데이터(body data)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저장부를 포함하는 웹컨텐츠 정보 인코딩 시스템.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가 포함하는 상기 변환 및 전송한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단계;
    상기 재전송한 데이터를 웹 브라우저에 사용하는 웹 언어로 인코딩하는 단계;
    상기 인코딩한 데이터를 전송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데이터(Header Data)와 결합하여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웹브라우저의 웹페이지 에디터에 표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웹컨텐츠 정보 인코딩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웹 컨텐츠 인코딩 모듈은 상기 사용자 홈페이지 서버(User Homepage Server)로부터 입력받은 인코딩한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디코딩 장치를 더 포함하는 웹컨텐츠 정보 인코딩 시스템.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홈페이지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Database Server)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인코딩 하는 인코딩 장치; 및
    상기 인코딩한 데이터를 상기 웹 컨텐츠 인코딩 모듈에 전송하는 인코딩 데이터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웹컨텐츠 인코딩 시스템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 서버는 상기 웹페이지상 웹컨텐츠의 위치 또는 크기를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홈페이지 서버(User Homepage Server) 로 전송하는 데이터베이스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웹컨텐츠 인코딩 시스템
KR1020110105323A 2011-03-28 2011-10-14 인터넷상에서 구현가능한 사용자기반의 콘텐츠 위치 및 크기정보 자동 인코딩 방법 및 시스템 KR201201099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699 2011-03-28
KR20110027699 2011-03-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9973A true KR20120109973A (ko) 2012-10-09

Family

ID=47281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5323A KR20120109973A (ko) 2011-03-28 2011-10-14 인터넷상에서 구현가능한 사용자기반의 콘텐츠 위치 및 크기정보 자동 인코딩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997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455B1 (ko) * 2013-02-19 2014-05-19 한혁진 웹페이지의 제작방법 및 인코딩 코드 생성방법
CN112602078A (zh) * 2018-06-21 2021-04-02 株式会社Tsunagu.AI 网页内容自动生成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455B1 (ko) * 2013-02-19 2014-05-19 한혁진 웹페이지의 제작방법 및 인코딩 코드 생성방법
CN112602078A (zh) * 2018-06-21 2021-04-02 株式会社Tsunagu.AI 网页内容自动生成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them et al. Sa-rest and (s) mashups: Adding semantics to restful services
US9130975B2 (en) Generation of macros
US9355081B2 (en) Transforming HTML forms into mobile native forms
US20170010870A1 (en) Optimized retrieval of custom string resources
CN110083790A (zh) 页面编辑方法、页面输出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介质
CN102163233A (zh) 一种网页标记语言格式转换方法及系统
CN103365847A (zh) 一种自定义网页文件的生成方法和装置
US10600337B2 (en) Intelligent content parsing with synthetic speech and tangible braille production
WO2014201901A1 (en) Method and system for web page commenting, browser and storage medium
US20190197067A1 (en) Normalizing a page flow
CN110389755B (zh) 代码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23541186A (ja) 可視化ページレンダリング方法、装置、機器及び記憶媒体
Bellucci et al. Automatic reverse engineering of interactive dynamic web applications to support adaptation across platforms
US20140280743A1 (en) Transforming application cached template using personalized content
US20090265615A1 (en) Data processing server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9772986B2 (en) Transforming HTML forms into mobile native forms
JP5151696B2 (ja) ユニフォームリソースロケータ情報を書き換えるプログラム
KR20120109973A (ko) 인터넷상에서 구현가능한 사용자기반의 콘텐츠 위치 및 크기정보 자동 인코딩 방법 및 시스템
CN111796727A (zh) 一种界面数据处理方法及装置
Hsu Visual modeling for web 2.0 applications using model driven architecture approach
Sharma et al. Differences between HTML and HTML 5
KR20150098215A (ko) SaaS 환경에서의 웹페이지 서비스 방법,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
CN113239670A (zh) 一种业务模板上传的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2306619A (zh) 一种截图方法和装置
JP4970980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