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9866A - 피혁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기질 복합비료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피혁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기질 복합비료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9866A
KR20120109866A KR1020110027634A KR20110027634A KR20120109866A KR 20120109866 A KR20120109866 A KR 20120109866A KR 1020110027634 A KR1020110027634 A KR 1020110027634A KR 20110027634 A KR20110027634 A KR 20110027634A KR 20120109866 A KR20120109866 A KR 20120109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ertilizer
leather
organic compound
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7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무
Original Assignee
조병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병무 filed Critical 조병무
Priority to KR1020110027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9866A/ko
Publication of KR20120109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98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00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 C05F1/007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from derived products of animal origin or their wastes, e.g. leather, dairy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BPHOSPHATIC FERTILISERS
    • C05B7/00Fertilisers based essentially on alkali or ammonium orthophosph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1/00Fertilisers containing potass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5/00Fertilisers containing magnes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1/00Mixtures of fertilisers belonging individually to different subclasses of C0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Abstract

본 발명은 증제피혁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기질 복합비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증제피혁분 45 내지 55중량%, 인산암모늄 20 내지 25중량%, 황산칼륨 10 내지 20중량%, 황산마그네슘(MgSO4) 5 내지 10중량%, 붕산(H3BO3) 0.1 내지 0.5중량% 및 천연아교 0.3 내지 0.5중량%로 혼합시킨 다음, 펠렛성형기에서 성형시킨 후 건조 및 냉각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따라 제조된 유기질 복합비료는 본 발명의 유기질 복합비료는 증제피혁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으로서, 적당한 응집력을 유발시켜 유기질 복합비료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비료는 유기질 비료로서 식물 성장에 있어서 분산 또는 입단 형태로 제제화하여 논과 밭의 비료, 시설재배지의 인공토양(상토) 및 하상 고수부지와 같은 인공 녹지의 기반재로 활용할 수 있으며, 폐피혁분을 활용함으로 인해 환경처리 비용 감소와 상품화에 따른 부가가치를 발생시키며, 현 국내 농자재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유사 인공토양과 비교시 환경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양질의 대체비료를 제공하며, 일반 화학비료나 유기질 비료 생산시 발생할 수 있는 2차 환경오염원이 배제되어 환경친화적 환경 보전형 농업발전을 도모하며, 토양 산성화 방지 및 일반 토양입자의 응집을 시켜 토양 물리화학적 성질을 개선시키며, 급속히 신장되고 있는 국내 시설재배 및 특수 원예지의 염류장해 문제를 개선시킬 수 있으며, 농업에 필요한 화학비료를 생산하기 위하여 수입되는 비료원료를 대체함으로써 외화를 절감시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어 비료제조산업상 매우 유용하다.

Description

피혁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기질 복합비료 및 이의 제조방법{AN ORGANIC COMPLEX MANURE CONTAINING LEATHER AS A MAIN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증제피혁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기질 복합비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천연 아교를 일정량으로 첨가시킴으로써 비료의 응집화를 향상시킨 유기질 복합비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토양과 작물에 영양원이 될 수 있는 성분을 비료라고 한다. 비료성분은 주변의 많은 분야에서 얻을 수 있고, 또 사람의 힘으로 공장에서 만들 수 있으며 이들의 모양과 종류는 대단히 많다. 비료는 작물의 음식이라고도 할 수 있고, 또한 작물의 음식의 일부분으로 생산하고 있으며 비료는 유기질비료와 무기질비료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녹색식물들은 광합성 작용을 통하여 그들이 필요한 음식물을 만들어 이용하는데 제조과정 중에는 햇빛, 물, 그리고 공기 중의 탄산가스를 이용하여 사람의 밥과 같은 탄수화물을 만들며 이것이 작물체를 기르게 된다. 작물체를 만들기 위해서는 보통 16가지의 비료성분이 필요하며 이들 성분은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토양 어디던지 있으며 이들의 종류와 량은 토양의 종류, 관리상태 등에 따라 서로 다르다.
작물을 자라게 하고 또 살 수 있게 하는 성분으로 맨 먼저 탄산가스, 수소, 산소가 필요하며 이들 성분은 물과 공기로부터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나머지 13가지 원소는 모두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토양으로부터 얻어지며 이들 성분이 모자라면은 인위적으로 공장에서 만들어진 비료로 대신할 수 있다.
작물을 재배하는 데 가장 기초적인 중요한 영양원은 소위 대량원소, 주 영양분 등의 이름으로 불리어지는 것은 질소(N), 인 혹은 인산(P, P2O5) 그리고 칼리(K 혹은 K20)등 3개 성분을 말한다. 이들 3개원소는 작물이 자라는 데 각기 다른 방면으로 작용하며 필요에 따라서 작물을 재배하고자 하는 토양을 검정하여 각종 작물이 필요로 하는 량을 비료로서 공급해 줄 수 있다.
이들 비료성분은 작물을 자라게 하는 데 재 각기 다르게 영향한다. 즉, 질소비료는 녹색식물의 잎이나 줄기가 자라는데 주로 작용한다. 인 혹은 인산은 작물의 뿌리, 과일, 열매, 꽃 등의 생육을 도우는 작용을 주로 맡아 보고 있다. 그리고 칼리는 작물의 뿌리, 열매, 꽃 등이 튼튼하게 해주고 병해충의 공격을 막아 준다던가 추위, 가뭄, 혹은 염분에 이기는 힘을 길러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화학비료의 사용은 토양의 생산성을 증대시켜 식량문제를 해결하는데 커다란 공헌을 하였지만, 이의 지속적인 사용으로 인한 토양악화, 생리장해, 병해충발생 등 문제가 발생하고 비료, 농약 등 영농자재의 지나친 투입으로 인한 염류집적, 가스발생 및 양분의 불균형을 초래하여 연작장해를 일으키고 있다.
최근 들어 화학비료를 대체할 수 있는 비료로서, 동식물을 원료로 생산한 유기질 비료가 각광받고 있다. 유기질비료는 무기질비료 또는 화학비료의 상대적 개념으로 퇴비?건계분 등의 부산물 비료를 포함하며, 자연생성 무기영양분(질소, 인산, 가리 등)이 많으면 미생물에 의해 분해시 각종 아미노산, 유기산, 핵산, 부식 등이 부산물비료에 비해 월등하다.
부산물 비료는 농업, 임업, 축산업, 수산업 등의 영위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이용한 비료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유기질비료에 비해 유기물 함량이 적고 무기영양분(질소, 인산, 가리 등)이 미미하며 발효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비료로써 가치가 있으며, 사용원료로써 구분한다면 퇴비, 구비, 부숙겨, 재, 녹비, 분뇨잔사, 건계분, 부속왕겨 및 톱밥, 건조축산폐기물, 음식물 쓰레기 등이 있다.
또한, 유기질 비료로서 천연가죽을 이용하여 비료를 제조하는 방안이 시도된 바 있으나, 이러한 비료는 뭉쳐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어 비료로서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증제피혁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비료를 개발하기 위해 계속 연구를 진행하던 중 천연아교를 일정 중량비로 첨가시킴으로써 비료의 응집성을 유발시켜 비료로서 적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증제피혁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기질 복합비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유기질 복합비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증제피혁분 45 내지 55중량%, 인산암모늄(DAP, Diammonium Phosphate) 20 내지 25중량%, 황산칼륨(SOP, potassium sulphate) 10 내지 20중량%, 황산마그네슘(MgSO4) 5 내지 10중량%, 붕산(H3BO3) 0.1 내지 0.5중량% 및 천연아교 0.3 내지 0.5중량%로 이루어진 유기질 복합비료를 제공한다.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증제피혁분 45 내지 55중량%, 인산암모늄 20 내지 25중량%, 황산칼륨 10 내지 20중량%, 황산마그네슘(MgSO4) 5 내지 10중량%, 붕산(H3BO3) 0.1 내지 0.5중량% 및 천연아교 0.3 내지 0.5중량%로 혼합시킨 다음, 펠렛 성형기에서 성형시킨 후 건조 및 냉각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유기질 복합비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기질 복합비료는 증제피혁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으로서 기존의 피혁분을 사용하는 비료에서의 펠렛 형성이 안되는 문제점을 일정량의 천연 아교를 사용함으로써 비료로서의 적당한 응집력을 유발시켜 유기질 복합비료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비료는 유기질 비료로서 식물 성장에 있어서 분산 또는 입단 형태로 제제화하여 논과 밭의 비료, 시설재배지의 인공토양(상토) 및 하상 고수부지와 같은 인공 녹지의 기반재로 활용할 수 있으며, 폐피혁분을 활용함으로 인해 환경처리 비용 감소와 상품화에 따른 부가가치를 발생시키며, 현 국내 농자재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유사 인공토양과 비교시 환경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양질의 대체비료를 제공하며, 일반 화학비료나 유기질 비료 생산시 발생할 수 있는 2차 환경오염원이 배제되어 환경친화적 환경 보전형 농업발전을 도모하며, 토양 산성화 방지 및 일반 토양입자의 응집을 시켜 토양 물리화학적 성질을 개선시키며, 급속히 신장되고 있는 국내 시설재배 및 특수 원예지의 염류장해 문제를 개선시킬 수 있으며, 농업에 필요한 화학비료를 생산하기 위하여 수입되는 비료원료를 대체함으로써 외화를 절감시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어 비료제조산업상 매우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천연 복합비료 제조방법의 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천연 복합비료의 최종 산물의 사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질 복합비료는 증제피혁분 45 내지 55중량%, 인산암모늄(DAP, Diammonium Phosphate) 20 내지 25중량%, 황산칼륨(SOP, potassium sulphate) 10 내지 20중량%, 황산마그네슘(MgSO4) 5 내지 10중량%, 붕산(H3BO3) 0.1 내지 0.5중량% 및 천연아교 0.3 내지 0.5중량%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증제피혁분은 남은 천연 가죽의 남은 찌꺼기 또는 쓰레기로서 질소전량 10%이상 가죽을 증제하여 건조시킨 후 분말로 한 것이다. 이러한 증제피혁분에는 인산, 가리 성분이 거의 없기 때문에 이들 성분은 다른 비료로 보충할 필요가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유기질 복합비료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45 내지 55중량%로 사용하며, 특히 50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제피혁분을 45중량% 미만의 양으로 사용할 경우 피혁분의 유기질 기능성분이 제대로 비료에 발현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55중량% 초과의 양으로 사용할 경우 질소 성분이 과다로 인해 식물 성장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인산암모늄은 식물세포의 원형질을 구성하는 필수원소로서 인산은 시비면에서 수용성인산과 시트르산 용해성 인산으로 구분한다. 수용성 인산은 속효성으로 과인산석회?중과인산석회?인산암모늄 등이 있다. 시트르산용해성 인산은 지효성으로 이에 속하는 인산비료로는 용성인산비료?소성인산비료 등이 있다. 유기태인산은 생물체에 들어 있는 인산 형태로서 일반적으로 지효성 및 불용성 인산이 대부분이다. 이는 본 발명의 유기질 복합비료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25중량%로 사용하며, 특히 24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산암모늄이 20중량% 미만의 양으로 사용될 경우 인산암모늄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여 전체 비료 효능에 영향을 미치며, 25중량% 초과의 양으로 사용할 경우 인산암모늄 과잉으로 식물 성장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황산칼륨은 칼리질 비료의 성분으로서 무색무취의 사방 정계(斜方晶系) 결정을 가지며, 공업적으로는 카이나이트 등에 염화칼륨을 가한 수용액에서 복분해하여 얻는다. 물에서 재결정시켜 정제한다. 칼륨비료로 사용되고 냄새가 거의 없어 각종 비료와 배합시킬 수 있다. 비료 효과가 빨리 나타나며, 황산암모늄?과산화인산 등과 함께 기본적인 비료이다. 또 비료 외의 용도로 칼륨백반?브로민화칼륨의 제조원료나 의약품에 이용된다. 이러한 황산칼륨은 본 발명의 유기질 복합비료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20중량%의 양으로 사용되며, 특히 18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상기 황산칼륨이 10중량% 미만의 양으로 사용되면 비료로서의 기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20중량% 초과의 양으로 사용할 경우 황산칼륨 과잉으로 식물 성장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황산마그네슘(MgSO4)에서 마그네슘은 식물의 엽록소를 구성하는 기본 주성분이므로 광합성 작용을 촉진하여 전분질을 많게 하므로 수량을 증대시킨다. 또한, 마그네슘은 인산의 흡수 및 세포분열이 왕성한 생장점에 인산 운반을 원활하 게 하여 생육을 촉진시키고 결실을 좋게 하며, 마그네슘은 가리를 제외한 다른 성분의 흡수를 촉진하며 엽록소 형성을 촉진하므로 엽면 시비하면 수량 증대에 효과가 크다. 이러한 MgSO4는 본 발명의 유기질 복합비료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사용되며, 특히 7.3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상기 MgSO4를 5중량% 미만의 양으로 사용할 경우 식물의 생육 촉진이 원활하지 못하며, MgSO4를 10중량% 초과의 양으로 사용할 경우 마그네슘 과잉으로 식물 성장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붕산(H3BO3)은 붕산 비료(Boric acid)로서 수용성 붕소 50%이상 함유되어 있으며, 백색의 결정상으로 물에 대한 용해도는 온도에 따라 차이가 많으며 20℃에서는 4%정도이며, 일반적으로 천연산의 붕산염(붕사)에 황산 또는 염산을 처리하여 제조하나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이는 수용성붕소가 주성분이고 약산성을 나타낸다. 토양중 붕소의 고정은 pH가 높을수록 많으며, 이 고정은 가역적이므로 토양을 산성으로 하면 유효태로 변하게 되며, 일반적으로 토양에 기비로 사용하나 엽면살포에 의한 효과도 있다. 붕소의 결핍은 산성토양이면서 비가 많은지대, 또는 석회과잉과 건조 토양에서 나타나기 쉬우며, 붕소과잉시는 작물에 따라 차이가 많으나 수도의 경우 분얼초장이상, 소맥의 경우 발아정지등 생육저해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유기질 복합비료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0.5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며, 특히 0.4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H3BO3를 0.1중량% 미만의 양으로 사용할 경우 석회과잉이나 건조토양이 나타날 수 있으며, H3BO3를 0.5중량% 초과의 양으로 사용할 경우 발아정지 등의 식물 생육저해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천연아교는 불순물을 함유하는 품질이 낮은 젤라틴으로 동물의 가죽이나 뼈를 원료로 하며 짐승에서 얻은 것을 동물아교, 어류(魚類)에서 얻은 것을 부레풀이라고 한다. 보통 황갈색 고체이며, 물을 가하면 수용액은 콜로이드가 되고, 가열하면 졸상태, 냉각하면 겔상태가 된다. 먹, 회화용, 성냥 제조, 사진제판용 감광액 등에 쓰인다. 본 발명에서 천연 아교는 유기질 복합비료 성분들을 결집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는 유기질 복합비료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3 내지 0.5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0.3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아교를 0.3중량% 미만의 양으로 사용할 경우 복합비료의 응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슬러지 입자형태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0.5중량% 초과의 양으로 사용할 경우 비료로서의 가치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유기질 복합비료는 증제피혁분 50중량%, 인산암모늄 24중량%, 황산칼륨 18중량%, 황산마그네슘(MgSO4) 7.3중량%, 붕산(H3BO3) 0.4중량% 및 천연아교 0.3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기질 복합비료는 증제피혁분 45 내지 55중량%, 인산암모늄 20 내지 25중량%, 황산칼륨 10 내지 20중량%, 황산마그네슘(MgSO4) 5 내지 10중량%, 붕산(H3BO3) 0.1 내지 0.5중량% 및 천연아교 0.3 내지 0.5중량%로 혼합시킨 다음, 펠렛성형기에서 성형시킨 후 건조 및 냉각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펠렛 성형은 모든 구성 성분이 건조될 수 있도록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15 내지 20분동안 수행되며, 이 때 성형된 펠렛은 가공편리성과 함께 흙에 뿌려져 비료로서 최적 분해될 수 있도록 3.2 내지 4mm의 입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단계는 열풍 건조를 수행하며, 보일러 또는 전기를 사용한 열풍 건조를 사용할 수 있다. 건조단계는 완전 건조가 되는 한도내에서 생산성을 고려하여 15 내지 20분동안 수행된다.
상기 냉각 단계에서는 잔여수분이 되도록 하며, 외부에 유출되는 비산먼지가 존재하지 않도록 수행한다.
본 발명의 유기질 복합비료는 증제피혁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으로서 기존의 피혁분을 사용하는 비료에서의 펠렛형성이 안되는 문제점을 일정량의 천연 아교를 사용함으로써 비료로서의 적당한 응집력을 유발시켜 유기질 복합비료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비료는 유기질 비료로서 식물 성장에 있어서 분산 또는 입단 형태로 제제화하여 논과 밭의 비료, 시설재배지의 인공토양(상토) 및 하상 고수부지와 같은 인공 녹지의 기반재로 활용할 수 있으며, 폐피혁분을 활용함으로 인해 환경처리 비용 감소와 상품화에 따른 부가가치를 발생시키며, 현 국내 농자재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유사 인공토양과 비교시 환경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양질의 대체비료를 제공하며, 일반 화학비료나 유기질 비료 생산시 발생할 수 있는 2차 환경오염원이 배제되어 환경친화적 환경 보전형 농업발전을 도모하며, 토양 산성화 방지 및 일반 토양입자의 응집을 시켜 토양 물리화학적 성질을 개선시키며, 급속히 신장되고 있는 국내 시설재배 및 특수 원예지의 염류장해 문제를 개선시킬 수 있으며, 농업에 필요한 화학비료를 생산하기 위하여 수입되는 비료원료를 대체함으로써 외화를 절감시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어 비료제조산업상 매우 유용하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증제피혁분 50중량%, 인산암모늄(DAP, Diammonium Phosphate) 24중량%, 황산칼륨(SOP, potassium sulphate) 18중량%, MgSO4 7.3중량%, H3BO3 0.4중량% 및 천연아교 0.3중량%를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50 내지 70℃의 펠렛 성형기에서 20분동안 펠렛 성형시켜 3.2 내지 4mm의 입경을 갖는 분말을 수득하였다.
이러한 분말을 보일러 열풍 건조를 15 내지 20분동안 수행한 다음 냉각단계를 거쳐 최종 유기질 복합비료를 수득하였다.
하기 표 1에는 본 발명의 유기질 복합비료의 성분을 분석하여 나타내었다. 이러한 분석은 비료품질 검사법에 따라 전문분석업체인 제일분석센타를 통해 수행하였다. 하기 표 1에 나타낸 기준치는 유기질 복합비료로서 만족해야 하는 최소 비료성분의 기준치 중량%이다.
성분 기준치(중량%) 결과(중량%)
전체 질소 10 10.18
전체 인산 10 10.14
전체 가리 8 8.17
전체 고토 1 1.22
전체 붕소 0.1 0.13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유기질 복합비료는 일본 정부에서도 요구되는 최소 비료성분의 기준치 중량% 이상을 함유하는 것으로 복합비료로서 매우 적합함을 알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최종 유기질 복합비료의 사진이다. 도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유기질 복합비료는 펠렛화가 매우 잘되어 성분간의 응집화가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1: 고추의 생산 수량 비교 실험
고추는 1년생 다비성 작물이므로 본 발명의 비료들을 생육기간동안 5회 시비하여 생산고추과실의 주요성분 함량을 측정하였다. 일반 화학비료(요소, 용성인비, 염화카리)만 투여한 군, 본 발명의 비료 조성물을 투여한 군으로 나누어 각각 고추에 시비하여 재배하였다. 각 생산 고추의 수량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처리 과수(개/주) 과장(cm) 과경(mm) 상품화율(%) 중량(kg/10a)
본 발명의 유기질 복합비료 처리군 140.7 13.1 19.8 98.8 5.993
화학비료 처리군 101.1 12.4 18.2 97.7 5.432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유기질 비료 조성물을 처리한 고추는 일반 화학비료 처리군에 비하여 전반적인 생산량이 10% 이상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배추와 상추의 생육 비교 실험
본 발명의 유기질 복합비료가 배추와 상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비료 조성물을 배추와 상추의 식양토에 살포하여 3주동안 재배하여 배추와 상추의 발아률 등과 이들의 생육지수를 측정하였다. 하기 표 3에는 배추의 발아률을 나타내었으며, 표 4에는 상추의 발아률을 나타내었다.
처리 발아률 뿌리성장률 발근력
본 발명의 유기질 복합비료 처리군 120.7 165.7 163.8
화학비료 처리군 90.1 115.1 102.2
처리 발아률 뿌리성장률 발근력
본 발명의 유기질 복합비료 처리군 98.2 142.7 124.8
화학비료 처리군 79.3 101.1 98.2
상기 표 3 및 4에서 보듯이, 일반적인 화학비료로 시비할 때 발아력이 80% 안밖인 반면, 본 발명의 유기질 복합비료를 시비한 경우 배추 뿐만 아니라 상추의 경우에도 발아률이 20% 이상, 뿌리 성장률도 30% 이상, 발근력은 50% 이상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벼의 생육시험
본 발명의 유기질 복합비료가 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비료 조성물을 벼에 살포하여 3주동안 재배하여 벼의 잎 두께, 엽폭, 엽장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처리 잎 두께(mm) 엽폭(cm) 엽장(cm)
본 발명의 유기질 복합비료 처리군 0.58 16.3 29.8
화학비료 처리군 0.42 11.8 26.2
상기 표 5에서, 본 발명의 유기질 복합비료를 시비한 경우, 일반 화학비료를 처리한 군보다 잎 두께, 엽폭 및 엽장의 크기가 약 20 내지 30%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유기질 복합비료는 증제피혁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으로서 기존의 피혁분을 사용하는 비료에서의 펠렛형성이 안되는 문제점을 일정량의 천연 아교를 사용함으로써 비료로서의 적당한 응집력을 유발시켜 유기질 복합비료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비료는 유기질 비료로서 식물 성장에 있어서 분산 또는 입단 형태로 제제화하여 논과 밭의 비료, 시설재배지의 인공토양(상토) 및 하상 고수부지와 같은 인공 녹지의 기반재로 활용할 수 있으며, 폐피혁분을 활용함으로 인해 환경처리 비용 감소와 상품화에 따른 부가가치를 발생시키며, 현 국내 농자재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유사 인공토양과 비교시 환경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양질의 대체비료를 제공하며, 일반 화학비료나 유기질 비료 생산시 발생할 수 있는 2차 환경오염원이 배제되어 환경친화적 환경 보전형 농업발전을 도모하며, 토양 산성화 방지 및 일반 토양입자의 응집을 시켜 토양 물리화학적 성질을 개선시키며, 급속히 신장되고 있는 국내 시설재배 및 특수 원예지의 염류장해 문제를 개선시킬 수 있으며, 농업에 필요한 화학비료를 생산하기 위하여 수입되는 비료원료를 대체함으로써 외화를 절감시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어 비료제조산업상 매우 유용하다.

Claims (10)

  1. 증제피혁분 45 내지 55중량%, 인산암모늄(DAP, Diammonium Phosphate) 20 내지 25중량%, 황산칼륨(SOP, potassium sulphate) 10 내지 20중량%, 황산마그네슘(MgSO4) 5 내지 10중량%, 붕산(H3BO3) 0.1 내지 0.5중량% 및 천연아교 0.3 내지 0.5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질 복합비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제피혁분이 5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유기질 복합비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아교가 0.3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질 복합비료.
  4. 제 1 항에 있어서,
    유기질 복합비료가 증제피혁분 50중량%, 인산암모늄 24중량%, 황산칼륨 18중량%, MgSO4 7.3중량%, H3BO3 0.4중량% 및 천연아교 0.3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질 복합비료.
  5. 증제피혁분 45 내지 55중량%, 인산암모늄 20 내지 25중량%, 황산칼륨 10 내지 20중량%, 황산마그네슘(MgSO4) 5 내지 10중량%, 붕산(H3BO3) 0.1 내지 0.5중량% 및 천연아교 0.3 내지 0.5중량%로 혼합시킨 다음, 펠렛성형기에서 성형시킨 후 건조 및 냉각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유기질 복합비료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서 있어서,
    증제피혁분 50중량%, 인산암모늄 24중량%, 황산칼륨 18중량%, MgSO4 7.3중량%, H3BO3 0.4중량% 및 천연아교 0.3중량%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질 복합비료의 제조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펠렛 성형을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15 내지 20분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질 복합비료의 제조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펠렛 성형기에서 성형된 펠렛이 3.2 내지 4mm의 입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질 복합비료의 제조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를 열풍 건조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질 복합비료의 제조방법.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를 15 내지 20분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질 복합비료의 제조방법.
KR1020110027634A 2011-03-28 2011-03-28 피혁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기질 복합비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1098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634A KR20120109866A (ko) 2011-03-28 2011-03-28 피혁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기질 복합비료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634A KR20120109866A (ko) 2011-03-28 2011-03-28 피혁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기질 복합비료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9866A true KR20120109866A (ko) 2012-10-09

Family

ID=47280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7634A KR20120109866A (ko) 2011-03-28 2011-03-28 피혁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기질 복합비료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98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77377A (zh) * 2016-04-06 2016-07-20 郎溪县宏业粮油种植家庭农场 一种疏肝理气水稻的育苗土及其制备方法
KR20200036165A (ko) * 2018-09-28 2020-04-07 주식회사 풍원석회 농업회사법인 전복폐패각을 포함하는 조림용 고형비료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77377A (zh) * 2016-04-06 2016-07-20 郎溪县宏业粮油种植家庭农场 一种疏肝理气水稻的育苗土及其制备方法
KR20200036165A (ko) * 2018-09-28 2020-04-07 주식회사 풍원석회 농업회사법인 전복폐패각을 포함하는 조림용 고형비료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3066B2 (en) Functional fertilizer composition including natural mineral ingredients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CN103204729A (zh) 一种含有甲壳素、腐殖酸、中微量元素的复合肥料
CN1480434A (zh) 有机化成肥料
CN101712569A (zh) 一种水稻专用有机无机复混肥及其制备方法
WO2013019933A2 (en) Plant fertilizers derived from organic nitrogen and phosphorus sources
CN104355818A (zh) 西红柿无土栽培基质
CN104402559A (zh) 一种用于葡萄种植的复合肥
CN1233597C (zh) 一种稀土腐植酸全价复合肥、其制备方法和应用
CN1048237C (zh) 一种无机-有机复合肥
KR101259061B1 (ko) 입상 유황비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61012A (ko) 구아노를 포함하는 유기질 비료
CN106242681A (zh) 一种提高甘蔗产量的复合肥及其制备方法
CN106242699A (zh) 一种水稻用有机复合肥料的制备方法
KR20120109866A (ko) 피혁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기질 복합비료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529558A (zh) 一种普通过磷酸钙及其制备方法
CN108164366A (zh) 螯合硫酸钾复合肥料及其制备工艺
CN104446740A (zh) 一种高效有机复肥的制成方法
CN103626609B (zh) 一种硝硫基功能肥
CN103011939A (zh) 草坪专用缓控释肥及其生产工艺
CN106986702A (zh) 碳能生物肥及其制备方法
CN103159549A (zh) 缓释长效硫基氮钾复合肥料的制备方法
CN106565356A (zh) 一种生物炭‑腐植酸有机肥
CN103964923A (zh) 二次喷覆工艺制备玉米有机无机控释肥料的方法
CN111548238A (zh) 一种高浓度磷基复合肥及其制备方法
CN106316662A (zh) 一种稀土腐植酸全价复合肥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