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8496A - 이미지 인식을 이용한 제품 정보 비교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단말 및 이를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 인식을 이용한 제품 정보 비교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단말 및 이를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8496A
KR20120108496A KR1020110026425A KR20110026425A KR20120108496A KR 20120108496 A KR20120108496 A KR 20120108496A KR 1020110026425 A KR1020110026425 A KR 1020110026425A KR 20110026425 A KR20110026425 A KR 20110026425A KR 20120108496 A KR20120108496 A KR 20120108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mage
terminal
closed curve
comparis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6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0504B1 (ko
Inventor
나승원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6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504B1/ko
Publication of KR20120108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8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06Q30/0629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for generating comparis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2Query formulation
    • G06F16/434Query formulation using image data, e.g. images, photos, pictures taken by a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지 인식을 이용한 제품 정보 비교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단말 및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본 발명은 제품 이미지를 포함하는 원본 이미지에서 제품 이미지의 외곽선을 특정하는 폐곡선을 전송하는 단말 및 폐곡선을 통하여 원본 이미지로부터 제품 이미지를 인식하여 제품을 특정하고, 특정된 제품과 동일, 동종 또는 유사 제품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는 제품 비교 정보를 단말에 제공하는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인식을 통한 제품 비교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사용자가 원하는 제품 이미지를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정확히 특정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터치 입력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제품 이미지를 특정할 수 있어, 정확하고, 간편하며, 직관적이다. 또한, 특정된 제품 이미지를 통해 이미지 인식을 행하여, 해당 제품을 특정하고, 특정된 제품과 동일, 동종 또는 유사 제품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여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양한 관점에서 제품을 비교하고, 선택할 수 있어, 합리적인 소비를 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미지 인식을 이용한 제품 정보 비교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단말 및 이를 위한 방법{A system for presenting service of goods information comparison, an apparatus thereof, a terminal thereof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제품 정보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미지 인식을 통해 제품을 인식하고, 인식된 제품과 동일, 동종 또는 유사한 제품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여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단말 및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internet)은 전세계 어디서나 접속하고자 하는 상대편 컴퓨터에 IP(internet Protocol)라는 공통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개방형 네트워크로서, 기본적인 문자정보의 전달은 물론 압축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멀티미디어 정보의 전달에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을 통한 비즈니스의 일환으로 가격 비교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들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가격 비교 서비스는 사용자가 제품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거나, 해당하는 가격 비교 사이트에서 제품을 검색하여야 한다. 즉, 무수히 많은 제품 속에서 해당 제품을 검색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번거로울 수 있다. 특히, 거리를 걷다가 마음에 드는 제품을 발견한 경우, 혹은 인터넷 서핑 중 검색된 사진에서 마음에 드는 제품을 발견한 경우, 해당 제품을 검색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부담이 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인식을 통해 제품을 검색하는 것은 현재로서는 한계가 있다. 즉, 제품 이미지를 포함하는 여러 객체가 겹쳐져서 표시되는 일반사진의 경우, 이미지 인식을 수행하면, 제품 이미지와 겹쳐진 다른 객체들이 하나의 객체로 인식됨으로, 실제 원하는 제품 이미지를 인식하는 인식률이 신뢰할 수 없는 수준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이미지 파일로부터 제품 이미지를 추출하여, 추출된 제품 이미지를 통해 제품에 대한 검색을 제공하는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단말 및 이를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 이미지 파일로부터 제품 이미지를 추출하되, 제품 이미지의 인식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단말 및 이를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추출된 제품 이미지를 통해 제품을 검색하여, 해당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단말 및 이를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인식을 통한 제품 비교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은, 제품 이미지를 포함하는 원본 이미지에서 제품 이미지의 외곽선을 특정하는 폐곡선을 전송하는 단말; 및 폐곡선을 통하여 원본 이미지로부터 제품 이미지를 인식하여 제품을 특정하고, 특정된 제품과 동일, 동종 또는 유사 제품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는 제품 비교 정보를 단말에 제공하는 서비스 장치;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인식을 통한 제품 비교 정보 제공을 위한 서비스 장치는 단말로부터 제품 이미지를 포함하는 원본 이미지에서 제품 이미지의 외곽선을 특정하는 폐곡선을 수신하는 통신 모듈; 폐곡선을 통하여 원본 이미지로부터 제품 이미지를 인식하여, 제품 이미지에 해당하는 제품을 특정하는 인식 모듈; 및 특정된 제품과 동일, 동종 및 유사 제품을 검색하고, 검색된 동일, 동종 및 유사 제품의 정보와 특정된 제품의 정보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제품 비교 정보를 생성하는 비교 모듈;을 더 포함한다.
비교 모듈은 제품 비교 정보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비스 장치는 등록된 사용자의 단말에 상기 제품 비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의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인증 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인식을 통한 제품 비교 정보 제공을 위한 단말은, 통신을 위한 통신부; 제품 이미지를 포함하는 원본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부; 및 터치 입력에 따라 터치 입력의 자취를 나타내는 자취선을 표시하며, 자취선이 폐곡선을 이루면 폐곡선 내부의 제품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제품 이미지를 통신부를 통해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입력부를 통해 폐곡선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면, 감지된 터치 입력의 자취에 따라 폐곡선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는 폐곡선의 내부와 외부가 구분되도록 폐곡선 외부의 영역에 대해 색 및 투명도를 달리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는 서비스 장치로부터 제품 이미지에 상응하는 제품과 동일, 동종 및 유사 제품을 비교하여 나타내는 제품 비교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제품 비교 정보를 표시부를 통해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의 이미지 인식을 통한 제품 비교 정보 제공을 위한 방법은, 단말로부터 제품 이미지를 포함하는 원본 이미지에서 제품 이미지의 외곽선을 특정하는 폐곡선을 수신하는 단계; 및 폐곡선을 통하여 원본 이미지로부터 제품 이미지를 인식하여, 제품 이미지에 해당하는 제품을 특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하는 단계 후, 특정된 제품과 동일, 동종 및 유사 제품을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동일, 동종 및 유사 제품의 정보와 특정된 제품의 정보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제품 비교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특정하는 단계 후, 특정된 제품과 동일, 동종 및 유사 제품을 검색하여, 검색된 동일, 동종 및 유사 제품의 정보와 특정된 제품의 정보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제품 비교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품 비교 정보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품 비교 정보는 동일 제품의 경우 특정된 제품의 판매 주체별 가격을 비교하여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품 비교 정보는 동종 제품의 경우 특정된 제품과 동종 제품의 판매 주체별 가격을 비교하여 나타내며, 특정된 제품과 동종 제품의 사양(specification)의 차이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품 비교 정보는 유사 제품의 경우 특정된 제품과 유사 제품의 판매 주체별 가격을 비교하여 나타내며, 특정된 제품과 유사 제품의 사양의 차이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이미지 인식을 통한 제품 비교 정보 제공을 위한 방법은, 제품 이미지를 포함하는 원본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면, 터치 입력에 따라 터치 입력의 자취를 나타내는 자취선을 표시하는 단계; 자취선이 폐곡선을 이루면 폐곡선 내부의 제품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제품 이미지를 통신부를 통해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출하는 단계는 폐곡선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면, 감지된 터치 입력의 자취에 따라 폐곡선을 보정하여, 보정된 폐곡선 내부의 제품 이미지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출하는 단계는, 자취선이 폐곡선을 이루면, 폐곡선의 내부와 외부가 구분되도록 폐곡선 외부의 영역에 대해 색 및 투명도를 달리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송하는 단계 후, 서비스 장치로부터 제품 이미지에 상응하는 제품과 동일, 동종 및 유사 제품을 비교하여 나타내는 제품 비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제품 비교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이미지 인식을 통한 제품 비교 정보 제공을 위한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제품 이미지를 통해 제품을 검색하고, 제품 비교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품 검색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입력과 같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제품 이미지가 특정되어, 제품 이지미의 특정이 정확하고, 간편하며, 직관적이다. 이에 따라, 제품 이미지의 인식률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된 제품 이미지를 통해 이미지 인식을 행하여, 해당 제품을 특정하고, 특정된 제품과 동일, 동종 또는 유사 제품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여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양한 관점에서 제품을 비교하고, 선택할 수 있어, 합리적인 소비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인식을 이용한 제품 정보 비교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인식 시, 폐곡선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품 비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의 이미지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이미지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인식을 이용한 가격 비교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인식을 이용한 제품 정보 비교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서비스 장치(100) 및 단말(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서비스 장치(100)는 통신망(400) 상에 위치한다. 또한, 단말(200)은 통신망(400)에 접속하여, 통신망(400)을 통해 서비스 장치(100)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단말(200)은 통신망(400)에 접속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접속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200)은 DSL(Digital Subscriber Line), 케이블 모뎀(cable modem), 이더넷(Ethernet) 등의 고정 접속(Fixed Access) 방식을 통해 통신망(400)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단말(200)은 기지국을 이용하는 이동 접속(Mobile Access) 방식을 통해 통신망(400)에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200)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iFi(Wireless Fidelity),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의 무선 접속(Wireless Access) 방식을 통해 통신망(400)에 접속할 수 있다.
서비스 장치(100)는 단말(200)과 연동하여 이미지 인식 및 가격 비교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비스 장치(100)는 단말(200)이 접속하여 인증을 요청하면, 단말(200)을 인증한다. 그리고 서비스 장치(100)는 인증된 단말(200)과 연동하여 이미지 인식 및 가격 비교 서비스를 제공한다.
단말(200)은 통신망(400)을 통해 서비스 장치(100)에 접속하여, 서비스 장치(100)와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이미지 인식 및 가격 비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말(200)은 스탠드 얼론(Stand alone) 방식으로 이미지 인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 장치(100)는 통신 모듈(110), 인증 모듈(120), 저장 모듈(130), 인식 모듈(140) 및 비교 모듈(150)을 포함한다.
통신 모듈(110)은 단말(200)과 통신망(400)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러한통신모듈(110)은 통신망(400)의 종류 및 통신망(400)에 적용된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증 모듈(120)은 단말(200)의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으로서, 가입 절차에 의해 사용자를 등록한다. 인증 모듈(120)은 단말(200)이 서비스 장치(100)에 접속할 때마다, 사용자 등록 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인증 정보는 사용자의 식별자(ID, Identification)와 이에 대응하는 패스워드(Password)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장치(100)는 인증 모듈(120)의 인증 여부에 따라 등록된 사용자의 단말(200)의 접속을 허용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품 비교 정보를 등록된 사용자의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저장 모듈(1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저장하며, 이 어플리케이션은 단말(200)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저장 모듈(130)은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제품 정보는 제품 이미지, 제품의 가격, 사양(specification)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저장 모듈(130)의 저장 형태는 파일(file) 시스템에 따라 저장 될 수 도 있고, 데이터베이스(database) 시스템에 따라 저장 될 수 도 있다.
인식 모듈(140)은 제품 이미지 인식을 통해 제품을 특정하기 위한 것이다. 인식 모듈(140)은 단말(200)과의 관계에 따라, 클라이언트 서버(client/server) 방식, 스탠드 얼론(stand alone) 방식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서버(client/server) 방식인 경우, 인식 모듈(140)은 단말(200)과 연동하여 제품을 특정할 수 있다. 즉, 단말(200)은 제품을 특정하기 위한 일부 프로세스는 단말(200)에서 처리하고, 나머지 프로세스는 인식 모듈(140)에서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인식 모듈(140)은 단말(200)과 제품 이미지가 포함된 원본 이미지를 공유한다. 그런 다음, 인식 모듈(140)은 단말(200)로부터 제품 이미지를 특정하는 폐곡선을 수신하면, 수신된 폐곡선에 따라 제품 이미지를 추출한다. 이어서, 인식 모듈(140)은 추출된 제품 이미지와 저장 모듈(130)에 저장된 제품 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제품 이미지에 상응하는 제품을 특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200)이 스탠드 얼론(stand alone) 방식으로 이미지를 추출하는 경우, 인식 모듈(140)은 단말(200)이 추출한 제품 이미지를 통신 모듈(110)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인식 모듈(140)은 수신된 제품 이미지와 저장 모듈(130)에 저장된 제품 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제품 이미지에 상응하는 제품을 특정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방식으로 이미지를 인식하는 경우, 단말(200)은 이미지를 추출하기 위한 입력과 이미지를 인식에 따른 결과만 수신하는 콘솔(console) 기능만 제공하며, 모든 프로세스는 인식 모듈(140)에서 이루어진다.
비교 모듈(150)은 특정된 제품과 동일, 동종 또는 유사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 정보는 특정된 제품과 동일, 동종 또는 유사 제품을 비교하여 나타내며, 이러한 정보를 제품 비교 정보라고 칭하기로 한다.
이때, 비교 모듈(150)은 동일 제품의 경우 특정된 제품의 판매 주체별 가격을 비교하여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판매 주체는 소위, 쇼핑몰 사이트 등에서 해당 제품을 판매하는 판매자를 예시할 수 있으며, 판매자는 개인 및 법인을 포함한다. 또한, 비교 모듈(150)은 동종 제품의 경우 특정된 제품과 동종 제품의 판매 주체별 가격을 비교하여 나타내며, 특정된 제품과 동종 제품의 사양(specification)의 차이를 비교하여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비교 모듈(150)은 동종 제품과 마찬가지로, 유사 제품의 경우, 특정된 제품과 유사 제품의 판매 주체별 가격을 비교하여 나타낼 수 있으며, 특정된 제품과 유사 제품의 사양의 차이를 비교하여 나타낼 수 있다.
특히, 비교 모듈(150)은 제품 비교 정보를 생성한 후, 제품 비교 정보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100)는 클라이언트 서버(client/server) 방식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 방식으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모듈(110), 인증 모듈(120), 저장 모듈(130), 인식 모듈(140) 및 비교 모듈(150) 각각이 독립된 서버로 구현되거나, 통신 모듈(110), 인증 모듈(120), 저장 모듈(130), 인식 모듈(140) 및 비교 모듈(150)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서비스 장치(100)는 단말(200)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인식을 이용한 제품 정보 비교 서비스를 클라우드 컴퓨팅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화된 IT 자원, 예를 들어, 하드웨어(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소프트웨어(데이터베이스, 보안, 웹 서버 등), 서비스, 데이터 등을 온 디맨드(on demand) 방식으로 서비스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즉, 서비스 장치(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인식 및 제품 비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서비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컴퓨팅 자원을 단말(200)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장치(100)는 단말(200)에 대하여 가상의 컴퓨팅 공간을 제공하고, 컴퓨팅 공간을 통해 이미지 인식 및 제품 비교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장치(100)는 이미지 인식 및 제품 비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단말(200)의 요청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단말(200)에 실행 결과만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200)은 통신부(210), 입력부(240), 오디오부(250), 표시부(260), 저장부(270), 카메라부(280) 및 제어부(29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서비스 장치(100)와 통신망(400)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통신 모듈(110)은 통신망(400)의 종류 및 통신망(400)에 적용된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210)는 무선 통신부(220) 및 유선 통신부(2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통신부(220)는 무선 망 통신부(221), 무선 랜(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또는 WiFi, Wireless Fidelity 또는 WiMAX,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통신부(222) 및 무선 팬(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통신부(22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20)는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단말(200)이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 망 통신부(221), 무선 랜 통신부(222) 및 무선 팬 통신부(223)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다른 단말(200) 또는 서비스 장치(100)에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무선 망 통신부(221)는 기지국을 통해 통신망(40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무선 통신부(221)는 제어부(29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기지국을 통해 통신망(40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서비스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망 통신부(221)는 기지국을 통해 통신망(400)에 접속하고, 데이터를 서비스 장치(100)로부터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제어부(290)로 제공할 수 있다.
무선 랜 통신부(222)는 무선 랜(WLAN), 와이파이(WiFi) 또는 와이맥스(WiMAX) 방식에 따른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무선 랜 통신부(222)는 제어부(29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접속 포인트(AP, Access Point)를 통해 통신망(40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서비스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랜 통신부(222)는 접속 포인트를 통해 통신망(400)에 접속하여 서비스 장치(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데이터를 제어부(290)로 제공할 수 있다.
무선 팬 통신부(223)는 무선 팬(WPAN)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무선 망 통신부(221) 및 무선 랜 통신부(222)에 비해 짧은 거리의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 팬 통신부(223)는 단말(200)간에 직접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도 있다. 즉, 무선 팬 통신부(223)를 통해 다른 단말(200)과 직접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팬 통신부(223)는 통신망(400)에 게이트웨이(Gateway)에 직접 또는 멀티 홉(multi-hop)을 통해 연결 가능한 경우, 게이트웨이를 통해 통신망(40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무선 팬 통신부(223)는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지그비(ZigBee) 등에 따른 통신을 예시할 수 있다.
유선 통신부(230)는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유선 통신부(230)는 특히, 유선을 통해 통신망(400)에 접속하여, 서비스 장치(100)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즉, 단말(200)은 유선 통신부(230)를 이용하여 통신망(400)에 접속하며, 통신망(400)을 통해 서비스 장치(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240)는 사용자의 명령, 선택, 데이터,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를 입력 받기 위한 수단으로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 받고 다양한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240)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감지된 입력에 따른 제어 신호를 제어부(290)로 전달한다. 사용자의 입력은 터치 입력이 될 수 있다. 특히, 터치 입력은 터치스크린을 통한 입력을 의미한다. 입력부(240)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입력 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입력부(240)가 터치스크린인 경우, 입력부(240)와 표시부(260)는 일체로 구현될 수 있다.
오디오부(250)는 음성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마이크 및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오디오부(250)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형식의 음성을 디지털 형식으로 변환한 음성 신호를 제어부(29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부(250)는 제어부(29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형식의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인 음성으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표시부(260)는 단말(200)의 동작에 따른 결과 또는 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하기 위한 수단이다. 표시부(260)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 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터치스크린 형태로 표시부(260)가 형성된 경우, 표시부(260)는 입력부(240)와 일체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270)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 장치 및 보조 기억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저장부(270)는 기본적으로 운영 체제를 저장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각 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7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삭제, 변경, 추가될 수 있다.
카메라부(28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을 제어부(290)에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카메라부(280)는 렌즈, 카메라 센서, 신호처리장치 및 영상처리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 센서는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영상을 촬영한다. 촬영된 영상은 광학적 신호이며, 카메라 센서는 촬영된 광학적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센서이다. 여기서 카메라 센서는 CCD(charge-coupleddevice) 센서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신호처리장치는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 비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신호처리장치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함이 바람직하다. 영상처리장치는 신호처리장치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290)는 운영 체제 및 어플리케이션 등을 실제로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90)는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가 될 수 있다. 제어부(290)는 단말(200)의 전원이 켜지면,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를 저장부(270)의 보조 기억 장치로부터 주 기억 장치로 이동시킨 후, 운영 체제를 구동하는 부팅(booting)을 수행한다.
제어부(290)는 클라이언트 서버 방식으로 동작하는 경우, 서비스 장치(100)와 연동하여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 중 일부는 서비스 장치(100)에서 실행되고, 나머지는 단말(200)에서 실행된다. 그리고 클라우드 컴퓨팅 방식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서비스 장치(100)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서비스 장치(100)는 단말(200)에 입력 및 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만 제공한다. 따라서 제어부(290)는 이러한 입력 및 출력에 따른 신호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290)는 입력부(240)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데이터를 통신부(210)를 통해 서비스 장치(100)에 전달하며, 서비스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출력 데이터를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하여, 이를 표시부(260)를 통해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스탠드 얼론 방식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이하로는, 입력부(240) 및 표시부(260)는 일체로 구성된 터치스크린이라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하지만, 입력부(240) 및 표시부(260)를 터치스크린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 분리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반복해서 실시 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의해 당연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인식 시, 폐곡선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A)에 도시된 화면 예는 원본 이미지라고 칭하기로 한다. 원본 이미지는 사용자가 추출하기를 원하는 제품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이다. 예컨대, 원본 이미지는 사용자가 인터넷 서핑을 통해 검색된 사진 또는 사용자가 친구를 촬영한 사진이 될 수 있다. 이 밖에 원본 이미지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획득할 수 있다. (B)를 참조하면, 원본 이미지를 표시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팬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추출하기를 원하는 제품 이미지의 테두리를 따라 터치 입력을 행할 수 있다. 단말(200)은 터치 입력이 있으면 터치 입력의 자취를 따라 자취선(10)을 표시한다. 단말(200)은 터치 입력의 자취가 폐곡선(20)을 이루면,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폐곡선(20)을 표시한다. 이때, 폐곡선(20) 외부는 내부와 구분되도록 흰색으로 처리하거나, 투명도를 높여 표시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단말(200)은 (D)와 같이 폐곡선(20) 내부의 제품 이미지를 추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단말(200)은 폐곡선(20)을 보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폐곡선(20)이 완성된 상태에서 폐곡선(20)을 수정할 수 있다. 폐곡선(20)이 완성된 상태의 원본 이미지의 일부는 (가)와 같다고 가정한다.
예컨대, (나) 및 (다)를 참조하면, 도면 부호 51은 사용자가 폐곡선(20)에 최초 터치한 위치이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은 도면 부호 51의 위치에서 시작하여 도면 부호 53과 같은 자취를 따라 도면 부호 55의 위치에서 터치 입력을 종료하였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단말(200)은 폐곡선(20)을 터치 입력의 자취를 따라 수정한다. 즉, 단말(200)은 최초 터치한 위치(51)를 기준으로 폐곡선(20)을 터치 입력의 자취를 따라 터치 입력을 종료한 위치(53)까지 끌어 내린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폐곡선(20)이 수정된 화면의 예를 (라)에 도시하였다. 이때, 폐곡선(20) 외부는 내부와 구분되도록 흰색으로 처리하거나, 투명도를 높여 표시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단말(200)은 수정된 폐곡선(20) 내부의 제품 이미지를 추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다양한 제품 이미지가 원본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거나, 원본 이미지의 제품 이미지와 주변 색상이 비슷한 색상인 경우, 그 제품 이미지를 제대로 추출하기 어렵고 이는 이미지 인식률을 떨어뜨리는 이유가 된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사용자가 원하는 제품 이미지를 특정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터치 입력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제품 이미지를 특정할 수 있어, 간편하고 직관적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품 비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서비스 장치(100)는 제품 비교 정보를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장치(100)는 이러한 제품 비교 정보(62)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품 비교 정보(62)를 포함하는 화면 예를 도 6에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특정된 제품의 이미지(61)와 제품 비교 정보(62)를 제공할 수 있다.
제품 비교 정보는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품 이미지를 추출한 후, 추출된 제품 이미지에 상응하는 제품과 동일, 동종 또는 유사 제품을 비교한 정보이다. 동일 제품의 경우, 제품 비교 정보는 특정된 제품의 판매 주체별 가격을 비교하여 나타낸다. 여기서, 판매 주체는 대표적으로 특정 쇼핑몰 사이트를 예시할 수 있다. 동종 제품의 경우, 제품 비교 정보는 특정된 제품과 동종 제품의 판매 주체별 가격을 비교하여 나타내며, 특정된 제품과 동종 제품의 사양(specification)의 차이를 비교하여 나타낸다. 유사 제품의 경우, 제품 비교 정보는 특정된 제품과 유사 제품의 판매 주체별 가격을 비교하여 나타낸다. 또한, 제품 비교 정보는 특정된 제품과 유사 제품의 사양의 차이를 비교하여 나타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의 이미지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단말(200) 및 서비스 장치(100)는 S701 단계에서 특정 제품 이미지가 포함된 원본 이미지를 공유한다. 이에 따라, 단말(200)은 S703 단계에서 원본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원본 이미지는 단말(200)이 웹 서핑을 통해 획득하거나, 사진 촬영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단말(200)은 S705 단계에서 사용자가 추출하고자 하는 제품 이미지의 영역을 특정하는 폐곡선(200)을 도출한다. 이때,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추출하고자 하는 제품 이미지의 테두리를 따라 도구 또는 손을 이용하여 터치 입력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200)은 터치 입력의 자취를 나타내는 자취선을 화면으로 표시하며, 그 자취선이 폐곡선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폐곡선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으면, 단말(200)은 터치 입력의 자취를 검출하고, 검출된 자취에 따라 폐곡선을 보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폐곡선이 특정되면, 단말(200)은 S707 단계에서 폐곡선을 서비스 장치(100)에 전송한다.
폐곡선(20)을 수신한 서비스 장치(100)는 S709 단계에서 공유된 원본 이미지에서 폐곡선(20)에 따라 폐곡선(20) 내부의 제품 이미지를 추출한다. 그런 다음, 서비스 장치(100)는 S711 단계에서 추출된 제품 이미지를 저장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이미지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특정 제품 이미지가 포함된 이미지를 획득한 상태라고 가정한다. 이 이미지는 웹 서핑을 통해 획득하거나, 사진 촬영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90)는 S801 단계에서 획득한 원본 이미지를 표시부(260)를 통해 화면으로 표시한다.
사용자는 추출하고자 하는 제품 이미지의 테두리를 따라 도구 또는 손을 이용하여 터치 입력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90)는 S803 단계에서 입력부(240)를 통해 터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터치 입력이 있으면, 제어부(290)는 S805 단계에서 입력부(240)를 통해 터치 입력의 자취를 획득하며, 표시부(260)를 통해 터치 입력의 자취를 나타내는 자취선을 화면으로 표시한다. 여기서, 자취선의 색은 자취선의 주변 색과 대비되는 색을 자동으로 선택하여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자취선의 주변색이 검정색과 파란색 등이면, 자취선의 색은 흰색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290)는 S807 단계에서 자취선이 폐곡선을 이루는지 판단한다. 자취선이 폐곡선을 이루면, 제어부(290)는 S809 단계에서 폐곡선을 표시하고, S811 단계에서 폐곡선 내부와 외부를 구분하여 표시한다. 예컨대, 폐곡선 내부는 원본 이미지 그대로 표시하고, 폐곡선 외부는 흰색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폐곡선 외부의 이미지만 투명도를 높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폐곡선을 보정할 것인지 혹은 폐곡선에 따라 제품 이미지를 추출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90)는 S813 단계에서 입력부(240)를 통해 폐곡선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면 S815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S619 단계로 진행한다.
폐곡선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으면, 제어부(290)는 S815 단계에서 입력부(240)를 통해 터치 입력의 자취를 검출하고, S817 단계에서 검출된 자취에 따라 폐곡선을 보정한다. 이는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폐곡선을 보정한 후, 제어부(290)는 S811 단계에서 보정된 폐곡선에 따라, 폐곡선 내부와 외부를 구분하여 표시한다.
한편, 사용자는 폐곡선의 내부 및 외부가 구분하여 표시된 상태에서, 표시된 폐곡선에 따라 제품 이미지를 추출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사용자가 폐곡선에 따라 제품 이미지를 추출하도록 입력하면, 제어부(290)는 S819 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S821 단계에서 폐곡선에 따라 폐곡선 내부의 제품 이미지를 추출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290)는 S821 단계에서 통신부(210)를 통해 추출된 제품 이미지를 서비스 장치(100)로 전송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인식을 이용한 가격 비교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서비스 장치(100)는 도 8에서와 같이, 폐곡선을 이용하여 제품 이미지를 추출하거나, 도 7에서와 같이, 단말(200)로부터 제품 이미지를 수신하였다고 가정한다. 서비스 장치(100)는 S901 단계에서 제품 이미지를 통해 대상 제품을 특정한다. 즉, 서비스 장치(100)는 제품 이미지를 인식하여 사용자가 비교 서비스를 원하는 실제 제품을 특정한다.
그런 다음, 서비스 장치(100)는 S903 단계에서 특정된 제품과 동일, 동종 또는 유사 제품에 대한 제품 정보를 검색한다. 이어서, 서비스 장치(100)는 S905 단계에서 앞서 검색된 동일, 동종, 또는 유사 제품에 대한 제품 정보를 이용하여 제품 비교 정보를 생성한다.
그런 다음, 서비스 장치(100)는 S907 단계에서 제품 비교 정보를 단말(200)에 전송한다. 제품 비교 정보를 수신한 단말(200)은 S909 단계에서 제품 비교 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한다. 사용자는 이러한 제품 비교 정보를 통해 동일, 동종 또는 유사 제품들을 비교하고,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원하는 제품을 구입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다양한 제품 이미지가 원본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거나, 원본 이미지의 제품 이미지와 주변 색상이 비슷한 색상인 경우, 그 제품 이미지를 제대로 추출하기 어렵고 이는 이미지 인식률을 떨어뜨리는 이유가 된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사용자가 원하는 제품 이미지를 특정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터치 입력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제품 이미지를 특정할 수 있어, 그 제품 이미지의 특정이 정확하고, 간편하며, 직관적이다. 이에 따라, 제품 이미지의 인식률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특정된 제품 이미지를 통해 이미지 인식을 행하여, 해당 제품을 특정하고, 특정된 제품과 동일, 동종 또는 유사 제품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여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양한 관점에서 제품을 비교하고, 선택할 수 있어, 합리적인 소비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이미지 인식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나,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이미지 인식을 이용한 제품 정보 비교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단말 및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이 다양한 제품 이미지가 원본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거나, 원본 이미지의 제품 이미지와 주변 색상이 비슷한 색상인 경우, 그 제품 이미지를 제대로 추출하기 어렵고 이는 이미지 인식률을 떨어뜨리는 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안출되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사용자가 원하는 제품 이미지를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정확히 특정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터치 입력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제품 이미지를 특정할 수 있어, 그 제품 이미지의 특정이 정확하고, 간편하며, 직관적이다. 이에 따라, 제품 이미지의 인식률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특정된 제품 이미지를 통해 이미지 인식을 행하여, 해당 제품을 특정하고, 특정된 제품과 동일, 동종 또는 유사 제품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여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양한 관점에서 제품을 비교하고, 선택할 수 있어, 합리적인 소비를 할 수 있다. 이는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 자취선 20: 폐곡선 100: 서비스 장치
110: 통신 모듈 120: 인증 모듈 130: 저장 모듈
140: 인식 모듈 150: 비교 모듈 200: 단말
210: 통신부 220: 무선 통신부 221: 무선 망 통신부
222: 무선 랜 통신부 223: 무선 팬 통신부 230: 유선 통신부
250: 입력부 260: 오디오부 270: 표시부
280: 저장부 290: 카메라부 300: 제어부
400: 통신망

Claims (9)

  1. 제품 이미지를 포함하는 원본 이미지에서 상기 제품 이미지의 외곽선을 특정하는 폐곡선을 전송하는 단말; 및
    상기 폐곡선을 통하여 상기 원본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품 이미지를 인식하여 제품을 특정하고, 특정된 제품과 동일, 동종 또는 유사 제품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는 제품 비교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인식을 통한 제품 비교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
  2. 단말로부터 제품 이미지를 포함하는 원본 이미지에서 상기 제품 이미지의 외곽선을 특정하는 폐곡선을 수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폐곡선을 통하여 상기 원본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품 이미지를 인식하여, 상기 제품 이미지에 해당하는 제품을 특정하는 인식 모듈; 및
    상기 특정된 제품과 동일, 동종 및 유사 제품을 검색하고, 검색된 동일, 동종 및 유사 제품의 정보와 상기 특정된 제품의 정보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제품 비교 정보를 생성하는 비교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인식을 통한 제품 비교 정보 제공을 위한 서비스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모듈은
    상기 제품 비교 정보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인식을 통한 제품 비교 정보 제공을 위한 서비스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장치는
    등록된 사용자의 단말에 상기 제품 비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의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인증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인식을 통한 제품 비교 정보 제공을 위한 서비스 장치.
  5. 통신을 위한 통신부;
    제품 이미지를 포함하는 원본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부; 및
    상기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터치 입력의 자취를 나타내는 자취선을 표시하며, 상기 자취선이 폐곡선을 이루면 상기 폐곡선 내부의 제품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제품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인식을 통한 제품 비교 정보 제공을 위한 단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폐곡선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면, 감지된 터치 입력의 자취에 따라 상기 폐곡선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인식을 통한 제품 비교 정보 제공을 위한 단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폐곡선의 내부와 외부가 구분되도록 상기 폐곡선 외부의 영역에 대해 색 및 투명도를 달리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인식을 통한 제품 비교 정보 제공을 위한 단말.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제품 이미지에 상응하는 제품과 동일, 동종 및 유사 제품을 비교하여 나타내는 제품 비교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제품 비교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인식을 통한 제품 비교 정보 제공을 위한 단말.
  9. 제품 이미지를 포함하는 원본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터치 입력의 자취를 나타내는 자취선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자취선이 폐곡선을 이루면 상기 폐곡선 내부의 제품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제품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이미지 인식을 통한 제품 비교 정보 제공을 위한 방법.
KR1020110026425A 2011-03-24 2011-03-24 이미지 인식을 이용한 제품 정보 비교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단말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1820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425A KR101820504B1 (ko) 2011-03-24 2011-03-24 이미지 인식을 이용한 제품 정보 비교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단말 및 이를 위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425A KR101820504B1 (ko) 2011-03-24 2011-03-24 이미지 인식을 이용한 제품 정보 비교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단말 및 이를 위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496A true KR20120108496A (ko) 2012-10-05
KR101820504B1 KR101820504B1 (ko) 2018-01-22

Family

ID=47280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6425A KR101820504B1 (ko) 2011-03-24 2011-03-24 이미지 인식을 이용한 제품 정보 비교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단말 및 이를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050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5132A (ko) * 2014-02-12 2015-08-2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스케치를 통한 상품 검색 시스템,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서비스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50101109A (ko) * 2014-02-26 2015-09-0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맞춤형 필터링 기능이 구비된 스케치 검색 시스템,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서비스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WO2018135750A1 (ko) * 2017-01-23 2018-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CN111833139A (zh) * 2019-04-19 2020-10-27 苹果公司 产品比较技术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5132A (ko) * 2014-02-12 2015-08-2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스케치를 통한 상품 검색 시스템,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서비스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50101109A (ko) * 2014-02-26 2015-09-0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맞춤형 필터링 기능이 구비된 스케치 검색 시스템,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서비스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WO2018135750A1 (ko) * 2017-01-23 2018-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US11462010B2 (en) 2017-01-23 2022-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111833139A (zh) * 2019-04-19 2020-10-27 苹果公司 产品比较技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0504B1 (ko) 2018-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21817B1 (en) Screenshot based indication of supplemental information
EP3308565B1 (en) Pairing of nearby devices using a synchronized cue signal
US10820295B2 (en) Method, terminal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wireless connection
US20150149925A1 (en) Emoticon generation using user images and gestures
US11042866B2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accessing access point of wireless LAN
KR20160144665A (ko) 객체 인식 및 데이터베이스 매칭 결과를 표시하는 사용자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TWI470549B (zh) A method of using an image recognition guide to install an application, and an electronic device
US9021020B1 (en) Application recognition based on media analysis
CN104954829A (zh) 显示装置及其操作方法
JP6120467B1 (ja) サーバ装置、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5159602A1 (ja) 情報提供装置
WO2020140737A1 (zh) 条形电子货架标签的显示调整方法及装置
US20160366294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mage processing device via a mobile device
CN104303181A (zh) 相机导引的网络浏览
WO2019233316A1 (zh) 数据处理方法、装置、移动终端以及存储介质
KR101820504B1 (ko) 이미지 인식을 이용한 제품 정보 비교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단말 및 이를 위한 방법
WO2019119643A1 (zh) 移动直播的互动终端、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10279224A1 (en) Remot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ing smartphone
US20170195129A1 (en) Method and device to control secondary devices
WO2019179476A1 (zh) 一种提供及获取无线接入点相关信息的方法
JP2017228278A (ja) サーバ装置、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537928B2 (en) Remote computing device use of unsupported local computing device components
WO2018223907A1 (zh) 一种无线连接的方法及设备
US20180321757A1 (en) Remote control device, method for driving remote control device, image display device, method for driving image display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EP2894866B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