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8179A - 부문별 검색번호를 이용한 동의보감 탕액편의 약재검색방법 - Google Patents

부문별 검색번호를 이용한 동의보감 탕액편의 약재검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8179A
KR20120108179A KR1020110025783A KR20110025783A KR20120108179A KR 20120108179 A KR20120108179 A KR 20120108179A KR 1020110025783 A KR1020110025783 A KR 1020110025783A KR 20110025783 A KR20110025783 A KR 20110025783A KR 20120108179 A KR20120108179 A KR 20120108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recorded
section
medicinal herbs
se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4767B1 (ko
Inventor
양승엽
Original Assignee
양승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엽 filed Critical 양승엽
Priority to KR1020110025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4767B1/ko
Publication of KR20120108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8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drugs, e.g. their side effects or intended usag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Toxi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의보감의 22권 각론 중 실제로 사람의 병을 치료하는 약제인 탕액을 기록한 3권의 탕액편을 재정리하되, 탕액편에 수록된 각 부문별 약재들을 누구나 쉽게 찾아 약재의 성질이나 효능을 확인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차후 DB화하여 전산검색시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동의보감 22권의 각론 중 병을 치료하는 탕액편 3권과 한의학의 기본원리를 밝힌 천지운기문을 현대의학에 맞게 재해석한뒤, 원문(原文)을 달아 전문가는 물론, 한의학을 잘 모르는 일반인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물고기 동의보감"이란 제호로 책자를 발간하되, 탕액편 3권 각 부문에 기록된 약제 1403종류를 순서대로 일련번호(0001~1403)를 매겨 구분함과 동시에, 각 부문별로 나누어진 약재에 다시 약재일련번호와 약재명 및 약재종류번호를 매겨 구분되게 함으로서, 기록된 약재를 찾고자 할 때 검색번호를 통하여 누구나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부문별 검색번호를 이용한 동의보감 탕액편의 약재검색방법{MEDICINE SEARCHING METHOD OF DONGUIBOGAM TANGAEKPYEON USING REFERENCE NUMBER}
본 발명은 동의보감의 각론22권 중 탕액편 3권에 수록된 약재에 부문별로 순차적인 검색번호를 부여하여 동의보감의 탕액편에 수록된 약재를 누구나 쉽게 찾아 활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동의보감이 중국의 본초강목을 제치고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바 있으며, 이는 전세계가 우리한의학의 우수성을 인정하였다는 의미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동의보감의 처방이 민간에서 오,남용되기도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서향의학이나 약리학식으로 잘못 해석되면서 민초들의 병을 잘 치료하라는 허준선생의 원뜻을 거스르는 일 또한 빈번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우리 한의학은 국민들의 건강증진이나 치료에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경험의학 정도로 인식되었고, 서양의학에 밀려 점차 쇠퇴일로를 걸을 수 밖에 없게 되었으며, 많은 사람들이 동의보감을 그저 400년전의 고리타분한 고서적의 하나로 생각하여 오늘날과 같은 과학시대에 도대체 그런 처방으로 질병을 치료하는게 가능한 일이냐며 외면하는 실정인 것이다.
하지만 우리 한의학은 오랜 세월 민초들의 질병을 담당하며 사랑을 받아온 것도 사실이나 동의보감의 기본원리와 정신을 망각한 탓에 우리 한의학이 점차 문란해진 결과, 민간에서 동의보감을 오용하거나 심지어 도용하는 일이 허다하게 벌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십전대보탕의 경우 동의보감에 수록된 4000여개의 기본처방 중에서도 명처방에 속하지만, 오늘날에서는 길거리에서도 볼 수 있는 흔한 약, 혹은 초등학생도 이름을 아는 싸구려처방으로 전략하고 말았다.
따라서 누군가 동의보감의 가치를 재정립해야만 하는 상황에 처해 있으나 이를 만족하는 사례가 없었다.
또한 동의보감은 총25권으로서 그 중 앞의 3권은 목차이고, 나머지 22권은 각론이며, 각론 22권 중 사람의 병을 치료하는 약제인 탕액을 소개한 탕액편이 3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탕액편에 기록된 많은 약재들을 찾아보기 위한 수단이 약재의 종류나 성질에 관계없이 총목차를 이용하거나 가나다순으로 찾아볼 수 있게 되어 있어 필요한 약재를 찾아 성질이나 효능을 알아보는데에 많은 불편함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미흡하고 불편한 점을 시정하고자, 동의보감의 22권 각론 중 실제로 사람의 병을 치료하는 약제인 탕액을 기록한 3권의 탕액편을 재정리하되, 탕액편에 수록된 각 부문별 약재들을 누구나 쉽게 찾아 약재의 성질이나 효능을 확인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차후 DB화하여 전산검색시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동의보감 22권의 각론 중 병을 치료하는 탕액편 3권과 한의학의 기본원리를 밝힌 천지운기문을 현대의학에 맞게 재해석한뒤, 원문(原文)을 달아 전문가는 물론, 한의학을 잘 모르는 일반인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물고기 동의보감"이란 제호로 책자를 발간하되, 탕액편 3권 각 부문에 기록된 약제 1403종류를 순서대로 일련번호(0001~1403)를 매겨 구분함과 동시에, 각 부문별로 나누어진 약재에 다시 약재번호와 약재명 및 약재종류번호를 매겨 구분되게 함으로서, 기록된 약재를 찾고자 할 때 검색번호를 통하여 누구나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참고로, 동의보감은 총25권으로 그 중 앞의 3권은 목차이고, 나머지 22권은 각론으로서 본 탕액편은 각론의 3권을 해석한 것이다.
처음 왕명으로 동의보감을 만들 당시에는 국이 설치되어 많은 한의사들이 참여하였으나, 정유왜란 이후에는 한의사들이 뿔뿔이 흩어져버려 거의 선생 혼자서 완성하게 되었기 때문에 약간의 혼동이 있었다.
예를 들어 권 1, 수부문(물 부문)의 경우에는 33가지가 기록되어 있다 하였으나 실제는 34가지이므로 본 발명자는 총목에(33+1)로 하였고, 곡 부문에는 107가지가 기록되어 있다 하였으나, 실제는 106가지이므로 (107-1)로 포기하였다.
또한 권 2, 채 부문도 122가지가 기록되어 있다 하였으나 실제로는 123가지이므로 (122+1)로 표기하였고, 권 3, 목 부문의 경우도 156가지가 기록되어 있다 하였으나, 실제는 158가지이므로 (156+2)로 표기하였다.
따라서 최종정리된 약재는 일반에 알려진 1400여가지가 아니라 정확히 1403가지였다.
발명에서 약으로 쓰이는 물이란 뜻의 수부(水部)는 한자음이 약으로 쓰이는 짐승이란 뜻의 수부(獸部)와 같으므로 편의상 물부로 바꾸었으며, 또한 약으로 쓰이는 쇠란 뜻의 금부(金部)도 한자음이 약으로 쓰이는 새라는 뜻의 금부(禽部)와 같으므로 편의상 쇠부로 바뀌었다.
본 발명은 동의보감에 기록된 22권의 각론중 탕액편 3권에 기재된 약재를 정리하고 재해석하여 책자를 발간하되, 책자에 기록된 약재 총1403종류를 전체일련번호(0001~1403)로 구분함과 동시에 각 부문별(수부문, 물부문, 토부문, 곡부문...등)로 나누어진 약재에 다시 약재일련번호와 약재명 및 종류번호를 매겨 구분되게 함으로서, 약재의 성질이나 효능등 관련정보를 검색하고자 할 때 약재 일측에 기록된 검색번호를 통하여 한의학을 잘 모르는 일반인들도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차후 DB화하여 전산검색시에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을 적용하고자 하는 동의보감 탕액편 3권에 수록된 총목의 예시도
도 2 : 본 발명을 적용하고자 하는 탕액편 3권에 수록된 전체약재일련번호의 시작부와 끝부분을 기재한 상태도
도 3 : 본 발명의 검색번호를 적용하기 위한 순서도
도 4 : 본 발명의 검색번호를 송이버섯에 적용한 상태도
도 5 : 도 4의 검색번호를 이용하여 검색한 결과예시도
도 6 : 본 발명의 검색방법을 통하여 방제수로 검색한 결과 예시도
도 7 : 본 발명의 검색방법이 적용된 십전대보탕의 처방약재를 기재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동의보감 탕액편 총목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탕액편에 수록된 전체 약재를 일련번호로 나열한 시작부와 마지막부분을 기재한 상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검색번호를 적용하기 위한 순서 및 예시상태로서, 본 발명은 동의보감 탕액편 및 처방에 수록된 약재에 검색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검색번호를 이용하여 탕액편 각 부문에 기재된 각 약재를 누구나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의 총목에서와 같이 권 1, 권 2, 권 3으로 분류하되, 상기 권 1, 권 2, 권 3의 구분은 동의보감 원본에 분류된 것을 본 발명에서도 혼동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그대로 인용하였다.
상기 권 1에는 탕액 서례문(序例門)과, 사람에게 가장 중요한 물을 수록한 수부문(水部門)(본 발명에서는 짐승이란 뜻의 수부문과 한자음이 같기 때문에 물 부문으로 하여 이를 구별한다)에 속하는 약재 34종류와, 수부문의 약재가 기재된 곳을 p117로 표기하고(원본 동의보감에서는 33종류가 수록되어 있다고 하나 본 발명자가 정리하는 과정에서 실제로 34종류이기 때문에 원본을 오해시키지 않기 위하여 33+1로 표기한다)와, 흙을 의미하는 토부문(土部門)에 속하는 약재 18종류와, 토부문의 약재가 기재된 곳을 p131로 표기하고, 곡식을 의미하는 곡부문(穀部門) 에 속하는 약재 106종류와, 곡부문의 약재가 기재된 곳을 p137로 표기하고(원본 동의보감에서는 107종류가 수록되어 있다고 하나 본 발명자가 정리하는 과정에서 실제로 106종류이기 때문에 원본을 오해시키지 않기 위하여 107-1로 표기한다), 사람의 몸으로부터 얻는 인부문(人部門)에 속하는 약재 23종류와, 인부문의 약재가 기재된 곳을 p171로 표기하고, 새를 의미하는 금부문(禽部門)에 속하는 약재 107종류와, 금부문의 약재가 기재된 곳을 p181로 표기하고, 짐승을 의미하는 수부문(獸部門)에 속하는 약재 236종류와, 수부문의 약재기 기재된 곳을 p207로 표기, 수록되어 있다.
권 2에는 총 5개부문이 있으며, 약으로 쓰이는 물고기를 의미하는 어부문(魚部門)에 속하는 약재 53종류와, 어부문의 약재가 기재된 곳을 p269로 표기하고, 약으로 쓰이는 벌레를 의미하는 충부문(蟲部門)에 속하는 약재 95종류와, 충부문의 약재가 기재된 곳을 p283으로 표기되어 있고, 과실을 의미하는 과부문(果部門)에 속하는 약재 91종류와, 과부문의 약재가 기재된 곳을 p319로 표기되어 있고, 약으로 쓰이는 채소를 의미하는 채부문(菜部門)에 속하는 약재 123종류와, 채부문의 약재가 기재된 곳을 p349로 표기되어 있고(원본 동의보감에서는 122종류가 수록되어 있다고 하나, 본 발명자가 정리하는 과정에서 실제로 123종류이기 때문에 원본을 오해시키지 않기 위하여 122+1로 표기한다), 약으로 쓰이는 풀을 의미하는 초부문, 상(草部門, 上)에 속하는 약재 79종류와, 초부문 상의 약재가 기재된 곳을 p385로 표기, 수록되어 있다.
권 3 역시 총 5개부문으로 분류되며, 약으로 쓰이는 풀을 의미하는 초부문, 하(草部問, 下)에 속하는 약재 188종류와, 초부문 하의 약재가 기재된 곳을 p425가 표기되어 있고(본 발명에서는 검색시 초부 상, 하,는 별도로 구분하지 않고 연결하여 일련번호를 기재하였기 때문에 초부문 하에서는 80부터 267로 구분하였다), 약으로 쓰이는 나무를 의미하는 목부문(木部門)에 속하는 약재 158종류와 목부문의 약재가 기재된 곳을 p501이 표기되어 있고(원본 동의보감에서는 156종류가 수록되어 있다고 하나, 본 발명자가 정리하는 과정에서 실제로 158종류이기 때문에 원본을 오해시키지 않기 위하여 156+2로 표기한다), 약으로 쓰이는 구슬을 의미하는 옥부문(玉部門)에 속하는 약재 4종류와, 옥부문의 약재가 기재된 곳을 p561로 표기되어 있고, 약으로 쓰이는 돌을 의미하는 석부문(石部門)에 속하는 약재 55종류와 석부문의 약재가 기재된 곳을 p563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약으로 쓰이는 쇠를 의미하는 금부문(발명에서는 새를 의미하는 금부문과 한자음이 같기 때문에 쇠부문으로 하여 이를 구분한다)에 속하는 약재 33종류와, 금부문의 약재가 기재된 곳을 p587이 표기, 수록되어 있다.
따라서 동의보감 원본에서 수록된 약재가 1400여가지라고 하나, 본 발명자가 탕액편 권 1, 2, 3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이보다 3종류가 많은 총1403종류임을 확인하였고, 본 발명을 통하여 이를 명백히 하였다.(차후로는 동의보감 탕액편에 수록된 약재가 1400여가지가 아니라 정확히 1403종류라고 표기하고 또한 알려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이 동의보감 각론 22권 중 탕액편 3권에 수록된 약재에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고유검색번호를 기록하여 누구나 쉽게 이를 찾아볼 수 있게 한다는 것이 발명의 요지이다(차후 나머지 각론에 수록된 약재에도 동일한 방법의 검색번호를 기록한다).
즉 동의보감 탕액편 권 1, 2, 3에 수록된 첫약재인 수부문(물부문)의 "정화수(井華水)"와 마지막 약재인 금부분(쇠부문)의 "철부(鐵斧, 쇠도끼)"를 도 2에서와 같이 순서대로 전체일련번호(10)를 매겨 정화수 0001~철부1403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각권에 구분된 부문(20)은 동의보감 원본을 그대로 인용하되, 각 부문별 약재의 종류에서는 약재일련번호(30)를 매겨 고유검색번호를 부여하였다.
예를 들어 수부문(물부문)에 기재된 "방제수"(밝은 달빛에 큰 조개껍질을 두고 받은 물)의 경우 수부문(물부문)의 총34가지 약재중 10번째로 수록되어 있기 때문에 물부-10으로 표기한다.
따라서 "방제수"의 경우 탕액편에 기록된 총1403가지의 약재 중 10번째로 기록되어 있어 전체일련번호(10)는 도 2에서와 같이 0010, 부문(20)은 도 1에서와 같이 물부, 약재일련번호(30)는 도 6에서와 같이 물부-10로 표기한다.
상기 약재일련번호(30) "10" 측부에는 약재명(40) "방제수"를 기재하고 약재명 일측에는 약재 종류번호(50) "단물7"을 기재하여 방제수가 단물 중에서 7번째로 기록된 것임을 쉽게 알 수 있게 하였다.
따라서 동의보감의 각론에 기재된 처방전의 약재나, 탕액편에 기재된 약재 일측에 검색번호를 기재하여 둠으로서 도 1의 총목을 통하여 누구나 쉽게 약재를 검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적용한 약재의 또다른 일예로서 송이버섯의 경우 전체일련번호(10)는 동의보감 탕액편에 기록된 약제 총1403종류 중 877번째로 수록된 것을 의미하는 "0877", 부문(20)은 도 1에서와 같이 "채부", 약재번호(30)는 도 5에서와 같이 채부문의 약재 123가지 약재중 114번째에 기록되어 있어 "114", 약재명(40)은 "송이", 약재종류번호(50)는 "버섯7"로서 버섯종류 7번째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적용된 동의보감에서는 송이(채부-114)로 표기토록 함으로 송이에 대한 성질이나 맛, 독성유무 등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송이(채부-114)를 본 발명자가 정리하여 발간한 동의보감을 통하여 검색하고자 할 경우의 예를 들면, 먼저 도 1의 탕액편 총목을 검색하면 채부분이 p349에서 시작되므로 일단 349쪽을 펼친 다음, 송이가 "채부-114"이므로 채부에 기록된 약재 123가지를 일련번호순으로 매긴 약재일련번호 114를 찾으면 쉽게 도 5에서와 같은 송이에 대한 검색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 송이버섯에 대한 전체일련번호(10) "0877"와 약재종류번호(50) "7"은 편의상 분류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약재검색방법을 통하여 허로문에 기록된 십전대보탕의 약재를 검색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7의 처방에서와 같이 십전대보탕에 사용된 약재는 인삼, 백출, 백복령, 감초, 숙지황, 백작약, 천궁, 당귀, 황귀, 육계, 생강, 대추살로서 종래에는 총목차를 통하거나 가나다순으로 검색하여야 하나, 본 발명에서는 인삼의 경우 (초부-06)이기 때문에 동의보감 탕액편 총목을 보고, 초부(p385)를 찾은 다음 약재일련번호 06을 찾으면 초부에서 06번째로 기재된 인삼에 대한 기록을 확인할 수 있으며, 백출의 경우 (초부-13)이기 때문에 초부(p385)를 찾은 다음 13을 찾으면 백출에 대한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백복령(목부-24), 감초(초부-08), 숙지황(초부-12), 백작약(초부-12), 천궁(초부-45), 당귀(초부-97), 황기(초부-51), 육계(목부-03), 생강(초부-01), 대추살(과부-14)에 대한 기록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동의보감 탕액편에 기록된 약재를 부문별로 구분하고, 구분된 부문별 약재에 약재일련번호를 매겨 식별되게 함으로서 각론에 수록된 처방전의 약재를 누구나 쉽게 이를 검색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총목과 전체약재일련번호, 부문별 약재번호 등을 DB화 전산검색시에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10)--전체일련번호 (20)--부문
(30)--약재일련번호 (40)--약재명
(50)--약재종류번호

Claims (2)

  1. 동의보감 탕액편에 기록된 약재를 탕액편 총목을 통하여 동의보감 원본순서대로 부문(20)별로 나열하여 구분하되, 각 부문(20) 측부에는 부문별로 기록된 약재의 총종류를 숫자로 표기하고, 상기 약재의 총종류를 기재한 숫자 측부에는 각 부문(20)에 기록된 약재의 기재위치를 알리는 페이지를 표기하고, 동시에 동의보감 탕액편 및 처방에 기재된 약재명(40) 측부에 약재가 속하는 부문(20) 및 약재일련번호(30)가 기재된 검색번호를 표기하여 둠으로서, 상기 검색번호를 통하여 탕액편에 기록된 약재를 검색할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문별 검색번호를 이용한 동의보감 탕액편의 약재검색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동의보감 탕액편에 기록된 총1403종류의 전체 약재를 순서대로 전체일련번호(10)를 매겨 구분하고, 약재명(40) 일측에는 약재종류번호(50)를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문별 검색번호를 이용한 동의보감 탕액편의 약재검색방법.
KR1020110025783A 2011-03-23 2011-03-23 부문별 검색번호를 이용한 동의보감 탕액편의 약재검색방법 KR101244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783A KR101244767B1 (ko) 2011-03-23 2011-03-23 부문별 검색번호를 이용한 동의보감 탕액편의 약재검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783A KR101244767B1 (ko) 2011-03-23 2011-03-23 부문별 검색번호를 이용한 동의보감 탕액편의 약재검색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179A true KR20120108179A (ko) 2012-10-05
KR101244767B1 KR101244767B1 (ko) 2013-03-18

Family

ID=47279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783A KR101244767B1 (ko) 2011-03-23 2011-03-23 부문별 검색번호를 이용한 동의보감 탕액편의 약재검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47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3140A (ko) * 2018-01-03 2019-07-11 주식회사 일리아스바이오로직스 의학서적에 기재된 처방에 근거한 유의미한 약재 조합의 탐색 방법
KR20200065977A (ko) 2018-11-30 2020-06-09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폴리아스파르틱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506B1 (ko) * 2009-03-27 2011-09-05 조영환 성분코드와 성분번호를 이용한 약품분류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3140A (ko) * 2018-01-03 2019-07-11 주식회사 일리아스바이오로직스 의학서적에 기재된 처방에 근거한 유의미한 약재 조합의 탐색 방법
KR20200065977A (ko) 2018-11-30 2020-06-09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폴리아스파르틱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4767B1 (ko) 2013-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urung Health psychology: A cultural approach
Bodeker et al. WHO global atlas of traditional,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Bannerman et al. Traditional medicine and health care coverage: a reader for health administrators and practitioners.
Bagetta et al. Herbal medicine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lant-derived medicines for human health
Westfall Herbal healing in pregnancy: women's experiences
KR101244767B1 (ko) 부문별 검색번호를 이용한 동의보감 탕액편의 약재검색방법
Keung Pueraria: the genus Pueraria
Cuerrier et al. Rhodiola rosea
Walter et al. The emperor’s herbarium: The German physician Leonhard Rauwolf (1535?–96) and his botanical field studies in the Middle East
Ghosh et al. Fenugreek: Traditional and Modern Medicinal Uses
Al-Qallaf A bibliometric analysis of the Punica grantum L. literature
Rohleder Community acupuncture: making buckets from Ming vases
Oguntibeju Antioxidant-antidiabetic agents and human health
Vishwanathan Ethnobotany: A bridge between traditional knowledge and biotechnological studies on medicinal and aromatic plants
Dashti et al.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Health and Attitudes towards Women’s Dress Code among Female Students of Hamadan University of Medical Sciences
Sébastia Explorative Study of Indian Medicines in Singapore: Focus on Siddha Medicine
Senobari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Health-Promoting Lifestyle: The Gender-Modifying Role
Birch A comparative analysis of nineteenth century pharmacopoeias in the southern United States: A case study based on the Gideon Lincecum herbarium
KAZEMI Traditional medicine/herbal medicine situation in Iran
Montgomery The path of stroke care: nurse education materials for UnityPoint Health Trinity Medical Center
Tickerhoof et al. Alternative therapy use in liver transplant recipients
Muztba IMC strategy: Acme’s vision of lead the pharmaceutical market of Bangladesh
Lefter et al. STUDY ON THE IMPORTANCE OF RECOVERY IN ANKYLOSING SPONDYLITIS.
Hashmi et al. Making Homoeopathy an Evidence Based System of Medicine: Importance of Clinical Trials
Baker Medicine in Kore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