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7836A - 사용자 단말에서 스티커 이미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에서 스티커 이미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7836A
KR20120107836A KR1020110138133A KR20110138133A KR20120107836A KR 20120107836 A KR20120107836 A KR 20120107836A KR 1020110138133 A KR1020110138133 A KR 1020110138133A KR 20110138133 A KR20110138133 A KR 20110138133A KR 20120107836 A KR20120107836 A KR 20120107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er
image
user terminal
user
sticke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8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훈
정명원
김승곤
채송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카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카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카북
Priority to PCT/KR2011/00987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2128450A1/ko
Publication of KR20120107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78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서 제공되는 콘텐츠 화면에 탈부착이 용이한 스티커 이미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서 제공되는 콘텐츠 화면에 탈부착이 용이한 스티커 이미지 서비스로서, (a) 사용자 단말의 입력수단을 통해 스티커 서비스 이용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b) 사용자 단말에서 현재 출력되는 콘텐츠 화면 위에 투명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사용자 단말에 형성된 상기 투명막 위에 상기 스티커 서비스 이용 요청 신호에 포함된 스티커 이미지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스티커 이미지 서비스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에서 스티커 이미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ticker image services in user terminal}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에서 제공되는 콘텐츠 화면에 탈부착이 용이한 스티커 이미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전자 공학 및 통신 공학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통신이 접목된 사용자 단말기(PC, 스마트폰, 휴대폰, 노트북 등)도 다양한 기능을 갖게 되었다. 즉, 유/무선 통신 및 데이터 처리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은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인터넷 접속, 화상 통신 및 동영상 메시지 전송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통신 단말기의 급격한 보급으로 인해 인간관계에서 발생하는 상당한 양의 통신이 통신 단말기를 통해 이루어지는 등 통신 단말기는 현대 생활에서 필수적인 통신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렇게 이동통신을 포함한 통신 서비스가 대중화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늘어남과 함께, 이동통신 단말기 및 기존의 사용자 단말기에도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고 성능을 향상하도록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기능과 성능을 갖는 휴대폰인 스마트폰이 개발되어 많은 사용자들이 이 스마트폰을 구입하여 사용하고 있다. 최근 이 스마트폰을 통해 사용자들은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렇게 다양한 콘텐츠는 어플리케이션(또는 '앱'이라 함) 형태로 사용자 단말에 설치, 구동되어 사용자들에게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콘텐츠가 제공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종래에는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수단(10)을 통해 콘텐츠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텍스트(20)와 이미지(30)를 같은 영역에 할당 배치하여, 사용자들에게 미려하고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미려한 콘텐츠를 표현하기 위해서 기호, 문자 등의 텍스트(20)를 배치하고, 텍스트가 배치되지 않은 별도의 공간에 이미지(30)를 배치한다.
그러나 종래의 이와 같은 콘텐츠의 경우, 텍스트와 이미지가 혼합되어 미려한 화면의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는 있지만, 이미지가 텍스트 형식의 콘텐츠의 일부를 차지하게 되고, 추후 이 이미지를 제거하거나 다른 이미지를 추가하는 등의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콘텐츠 화면에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용이하게 이미지를 삽입하고, 사용자가 원할 때 콘텐츠의 훼손 없이 삽입된 이미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사용자 단말에서 스티커 이미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스티커 이미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서 제공되는 콘텐츠 화면에 탈부착이 용이한 스티커 이미지 서비스로서, (a) 사용자 단말의 입력수단을 통해 스티커 서비스 이용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b) 사용자 단말에서 현재 출력되는 콘텐츠 화면 위에 투명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사용자 단말에 형성된 상기 투명막 위에 상기 스티커 서비스 이용 요청 신호에 포함된 스티커 이미지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콘텐츠 화면에 탈부착이 용이한 스티커 이미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서, 사용자로부터 스티커 서비스 이용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 서비스 요청 입력모듈; 상기 서비스 요청에 따라 현재 출력되는 콘텐츠 화면 위에 투명막을 형성하는 투명막 처리모듈; 및 상기 투명막 처리모듈을 통해 형성된 투명막 위에 상기 스티커 서비스 이용 요청 신호에 포함된 스티커 이미지를 삽입하는 이미지 삽입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서 제공되는 콘텐츠 화면에 탈부착이 용이한 스티커 이미지 서비스를 처리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로서, 사용자 단말의 입력수단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스티커 서비스 시작 신호를 입력받는 절차와, 시작 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준비된 스티커 이미지 목록을 출력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절차와, 사용자 단말의 입력수단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삽입할 스티커 이미지를 선택 입력받는 절차와, 사용자 단말에서 현재 출력되는 콘텐츠 화면 위에 투명막을 형성하는 절차 및 사용자 단말에 형성된 상기 투명막 위에 상기 선택 입력된 스티커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따라 배치하고 크기를 조절하여 삽입하는 절차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콘텐츠 위에 투명막을 형성한 다음 사용자가 원하는 스티커 이미지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 및 크기로 조절하여 삽입하도록 처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하는 대로 콘텐츠에 이미지를 추가하거나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들의 콘텐츠 DIY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추후 투명막을 삭제하는 것으로 원 콘텐츠의 훼손 없이 이미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할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콘텐츠가 제공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커 이미지 서비스 제공 방법이 구현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스티커 이미지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스티커 이미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라 사용자와 단말 간의 처리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스티커 이미지 서비스 제공 방법 중 이미지 선택 처리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스티커 이미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콘텐츠 화면, 투명막, 스티커 이미지를 나타낸 예시 화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스티커 이미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사용자가 스티커 이미지를 선택하여 화면에 배치하는 예를 나타낸 화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스티커 이미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사용자에 의해 스티커 이미지의 배치 위치, 형태, 크기가 조절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커 이미지 서비스 제공 방법이 구현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가 조작 입력할 수 있는 조작 입력 수단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수단 및 콘텐츠를 저장하고 실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콘텐츠 제어 수단을 구비한 단말 장치로, 제공되는 콘텐츠 위에 사용자가 원하는 스티커 이미지를 원하는 형태, 위치, 크기로 삽입, 추가할 수 있고, 삽입된 이미지를 원본 콘텐츠의 훼손 없이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스티커 이미지 서비스 기능이 구비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서비스 요청 입력 모듈(110), 투명막 처리 모듈(120), 이미지 삽입 모듈(130), 이미지 제거 모듈(140) 등을 포함하며, 일반적인 단말 장치의 구성인 조작 입력 수단, 출력 수단, 제어 처리 수단 등이 구비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조작 입력 수단으로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키 패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요청 입력 모듈(110)은 사용자로부터 스티커 서비스 이용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 단말을 통해 콘텐츠를 제공받는 중 스티커 서비스 이용을 원하는 사용자에 의해 삽입할 스티커 이미지와, 삽입할 배치와 크기 등의 정보를 포함한 스티커 서비스의 이용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다.
상기 서비스 요청 입력 모듈(110)은 시작 처리부(112), 목록 제공부(114), 선택 입력부(11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시작 처리부(112)는 단말에서의 콘텐츠 제공중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스티커 서비스의 시작을 요청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시작 처리부(112)는 사용자로부터 스티커 서비스 시작 신호를 입력받거나 감지하여, 스티커 서비스를 시작하도록 한다. 상기 스티커 서비스 시작 신호로는, 스티커 서비스 시작 버튼 입력이나, 메뉴 선택 입력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터치 스크린과 같은 입력 수단에서의 터치 신호(또는 입력 신호)를 감지하여 시작 신호로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목록 제공부(114)는 스티커 서비스가 시작되고, 사용자에게 콘텐츠에 삽입할 스티커 이미지를 선택 입력할 수 있도록 미리 준비된 스티커 이미지의 목록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목록 제공부(114)는 미리 준비된 스티커 이미지를 화면에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스티커 이미지를 확인한 후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선택 입력부(116)는 스티커 서비스에 따라 콘텐츠 화면에 삽입할 스티커 이미지를 사용자로부터 선택 입력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선택 입력부(116)는 상기 목록 제공부(114)를 통해 제공된 스티커 이미지 목록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 입력받을 수도 있고, 단말에 저장된 이미지를 검색하여, 이 중 하나를 스티커 이미지로 선택 입력받을 수도 있으며, 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촬영한 이미지를 스티커 이미지로 선택 입력받을 수도 있다.
상기 투명막 처리 모듈(120)은 상기 서비스 요청 입력 모듈(110)을 통해 스티커 서비스가 시작되면, 현재 제공되는 콘텐츠 화면 위에 투명막을 형성하여, 콘텐츠 자체가 아닌 투명막 위에 스티커 이미지를 삽입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투명막은 레이어 개념으로 출력되는 콘텐츠 레이어 위에 별도의 투명 레이어를 오버레이 처리하여 형성한다.
상기 이미지 삽입 모듈(130)은 콘텐츠 화면 위에 투명막이 형성되면, 형성된 투명막 위에 상기 서비스 요청 입력 모듈(110)을 통해 선택된 스티커 이미지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크기, 형태로 삽입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이미지 삽입 모듈(130)은 위치 결정부(132), 크기 결정부(134), 삽입 처리부(13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위치 결정부(132)는 사용자의 조작 입력 및 조절에 따라 상기 선택된 스티커 이미지를 상기 투명막 위에 배치하고 위치를 결정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위치 결정부(132)는 투명막 위의 한 지점에 이미지가 배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미지의 위치를 이동, 변경 처리하고, 사용자의 위치 결정 요청에 따라 최종적인 이미지의 배치 위치를 설정한다.
상기 크기 결정부(134)는 사용자의 조작 입력 및 조절에 따라 상기 선택된 스티커 이미지를 상기 투명막 위에 배치하고 크기 및 형태를 결정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크기 결정부(134)는 투명막 위의 한 지점에 이미지가 배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미지의 크기를 확대, 축소, 회전 처리하고, 사용자의 크기 결정 요청에 따라 최종적인 이미지의 배치 크기 및 형태를 설정한다.
상기 삽입 처리부(136)는 상기 위치 결정부(132) 또는 상기 크기 결정부(134)를 통해 이미지의 배치 위치 및 크기가 결정되면, 상기 콘텐츠 화면 위에 형성된 투명막에 상기 결정된 배치 및 형태에 따라 스티커 이미지를 삽입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삽입 처리부(136)를 통해 스티커 이미지가 투명막에 삽입 처리되면, 콘텐츠 화면에 스티커 이미지가 중첩된 상태로 출력되어 표시된다.
상기 이미지 제거 모듈(140)은 사용자의 스티커 이미지 제거 요청 신호 입력에 따라 삽입된 스티커 이미지를 삭제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이미지 제거 모듈(140)은 제거 요청이 입력되면, 해당 스티커 이미지가 삽입된 투명막 자체를 삭제함으로써 콘텐츠 화면에서 스티커 이미지를 제거하도록 한다. 이처럼 스티커 이미지 제거시, 콘텐츠 화면 위에 형성된 투명막을 삭제하여 이미지를 제거하게 되므로, 원본 콘텐츠에는 아무런 훼손도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스티커 이미지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은 먼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콘텐츠를 제공받는 사용자로부터 스티커 서비스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 절차가 이루어진다. 이때에는, 사용자로부터 단말의 스티커 서비스 버튼을 클릭 입력하는 것으로 신호를 입력받을 수도 있고, 콘텐츠 화면을 터치 입력하는 것으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입력받도록 할 수도 있다.(S1)
스티커 서비스 요청에 따라 스티커 서비스가 시작되며, 사용자로 하여금 스티커 서비스로 이용할 스티커 이미지를 선택 입력하도록 하는 절차가 진행된다. 이때에는 미리 준비된 스티커 이미지 목록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이 목록에서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하는 것으로 스티커 이미지를 선택 입력받을 수 있다.(S2)
스티커 이미지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의 콘텐츠 화면 위에 투명한 막을 형성하도록 처리하는 절차가 이루어진다.(S3)
콘텐츠 화면 위에 투명막이 형성되면, 투명막 위에 상기 선택된 스티커 이미지를 배치하는 절차가 이루어진다. 이때에는, 사용자 조작 입력 수단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이미지를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도록 할 수 있다.(S4)
이와 함께, 투명막 위에 배치된 상기 선택된 스티커 이미지의 크기 및 형태를 조절하는 절차가 이루어진다. 이때 역시, 사용자 조작 입력 수단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이미지를 원하는 크기로 확대, 축소, 회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S5)
이렇게 삽입될 스티커 이미지의 배치 및 크기 조절 처리가 완료되면, 콘텐츠 화면 위에 형성된 투명막에 해당 스티커 이미지를 삽입하는 처리가 수행된다. 이와 같이, 투명막 위에 스티커 이미지의 배치와 크기 및 형태를 조절한 다음 삽입 처리까지 완료하게 되면, 콘텐츠 화면 위에 해당 스티커 이미지가 중첩되어 표시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스티커 이미지를 해당 콘텐츠에 부착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S6)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스티커 이미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라 사용자와 단말 간의 처리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티커 이미지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절차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단말에서는 현재 사용자가 이용중인 특정 콘텐츠가 제공된다. 이 콘텐츠는 텍스트로 이루어진 콘텐츠일 수도 있고, 텍스트 이미지 영상 등이 혼합된 콘텐츠일 수도 있다.(S10)
이와 같은 단말에서의 콘텐츠 제공에 따라, 단말은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콘텐츠 화면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콘텐츠 화면을 표시한다.(S11)
콘텐츠 화면이 표시되어, 콘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콘텐츠 이용 중 스티커 서비스 이용을 희망함에 따라 단말로 스티커 서비스 시작 신호를 입력한다. 이때에는, 별도의 스티커 서비스 버튼이나 메뉴를 통해 서비스 시작 신호를 입력할 수도 있고, 터치 스크린을 통한 터치 입력으로 서비스 시작 신호를 입력할 수도 있다.(S12)
단말은 스티커 서비스 시작 신호를 입력받게 되면, 콘텐츠 제공 중 별도의 스티커 서비스 처리를 실행하게 된다.(S13)
단말에서 스티커 서비스가 실행되면, 먼저 스티커 서비스에 이용될 스티커 이미지를 선택하는 방식을 결정하는 처리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이번 실시예에서는 스티커 이미지 선택 방식을 미리 준비된 목록을 통해 선택하는 방식으로 결정한 것으로 가정한다.(S14)
단말은, 선택 방식이 목록을 통한 선택 방식으로 결정됨에 따라 미리 준비된 스티커 이미지 목록을 추출하는 처리가 진행된다. 이를 위해, 단말에는 다양한 형태의 스티커 이미지가 미리 저장된다.(S15)
단말에서 스티커 이미지 목록이 추출되면, 추출된 목록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처리가 이루어진다.(S16)
사용자는 제공된 스티커 이미지 목록을 확인하고, 이 중 원하는 스티커 이미지를 선택하여 단말에 이미지 선택 신호로 입력한다.(S17)
단말은, 스티커 이미지가 선택 입력되면, 제공되는 콘텐츠 화면 위에 투명막을 형성하는 처리를 진행한다.(S18)
투명막 형성 후, 단말은 선택된 이미지를 투명막 위에 배치하는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에는, 사용자로부터 위치 조절 신호를 입력받아 스티커 이미지의 위치를 조절하여 배치하고, 사용자로부터 크기 조절 신호를 입력받아 스티커 이미지의 크기 및 형태를 조절하도록 한다.(S19,S20,S21)
아울러, 사용자는 단말의 조작 입력 수단을 통해 이미지의 위치를 조절하고 크기 및 형태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의 터치 앤 드래그 조작 입력을 통해 이미지의 이동 및 위치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터치 스크린의 멀티 터치 조작 입력을 통해 이미지의 크기를 확대, 축소하도록 조절하거나, 이미지를 회전 처리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택된 스티커 이미지의 배치가 완료되면, 단말은 스티커 이미지가 배치된 상태로 투명막 위에 해당 이미지를 삽입 처리하는 절차가 이루어진다.(S22)
또한, 사용자는 스티커 이미지 서비스에 따라 삽입된 스티커 이미지에 대한 제거 요청 신호를 단말로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삽입된 이미지의 제거를 원함에 따라 단말로 해당 이미지의 제거를 요청하는 신호를 입력한다.(S23)
단말은, 사용자로부터의 제거 요청에 따라 투명막 위에 삽입된 스티커 이미지를 삭제 처리하는데, 이를 위해 콘텐츠 화면 위에 형성된 투명막 자체를 삭제 처리한다. 상기 콘텐츠 화면 위에 형성된 투명막이 삭제 처리됨에 따라 투명막에 삽입된 스티커 이미지 역시 함께 삭제된다.(S24)
따라서, 콘텐츠 화면 위에 중첩되어 표시된 스티커 이미지는, 투명막 삭제와 함께 삭제됨으로 원본 콘텐츠 화면에는 아무런 변화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이러한 절차를 통해 원본 콘텐츠 화면의 훼손 없이 스티커 이미지를 삽입하거나 삭제 처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스티커 이미지 서비스 제공 방법 중 이미지 선택 처리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이미지 선택 방식 결정 처리 절차와 결정된 방식에 따른 이미지 선택 처리 절차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도 4의 단계 S13 절차 이후, 단말은 이미지 선택 방식을 결정하는 처리를 수행한다.(S14) 상기 도 4에서는 미리 준비된 스티커 이미지 목록을 통한 방식에 따른 이미지 선택 절차를 설명하였는데, 여기서는 그 외 다른 방식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처럼, 선택 방식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목록, 저장, 촬영 방식 중 하나를 선택 입력받는 절차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목록은 상기 도 4에서 설명한 미리 준비된 스티커 이미지 목록을 통한 이미지 선택 방식이고, 저장은 단말에 기 저장된 이미지들 중 하나를 스티커 이미지로 활용하도록 하는 방식이며, 촬영은 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직접 사용자가 이미지를 촬영하고 이를 스티커 이미지로 활용하는 방식이다.(S30)
이 중, 목록 방식을 선택 입력받는 경우는 상술한 도 4의 단계 S15의 절차를 진행하도록 한다. 반면, 저장 방식을 선택 입력받는 경우는 단말에 기 저장된 이미지를 검색하는 처리가 이루어진다.(S31)
다음, 사용자는 검색된 이미지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스티커 이미지로 선택 입력하는 처리가 이루어진다.(S32)
이렇게, 단말에 저장된 이미지 중 하나를 선택 입력하게 되면, 이미지 선택 절차가 완료되고, 상술한 도 4의 단계 S18의 절차를 진행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단계 S30에서 촬영 방식을 선택 입력받는 경우에는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를 구동하는 처리가 이루어진다.(S35)
카메라 구동과 함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카메라 촬영이 이루어지고, 단말에는 사용자가 직접 촬영한 이미지가 생성된다.(S36)
이렇게, 단말에 촬영된 이미지가 생성되면, 사용자는 촬영된 이미지를 스티커 이미지로 선택 입력하는 처리가 이루어진다.(S37)
이와 같은, 카메라 촬영을 통한 이미지 선택 절차가 완료되면, 계속해서 상술한 도 4의 단계 S18의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스티커 이미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콘텐츠 화면, 투명막, 스티커 이미지를 나타낸 예시 화면이다.
도 6에서처럼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하면, 현재 제공되는 콘텐츠 화면(210)이 단말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되며, 이와 별도로 콘텐츠 화면(210) 위에 투명막(220)이 형성되고, 이 투명막(220) 위에 스티커 이미지(230)가 삽입되어 표시되는 구조이다.
이를 통해, 스티커 이미지(230)와 콘텐츠 화면(210)은 투명막(220)을 통해 격리되어, 스티커 이미지(230)의 삽입, 추가, 변경, 삭제 처리가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스티커 이미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사용자가 스티커 이미지를 선택하여 화면에 배치하는 예를 나타낸 화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은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스티커 이미지 목록 화면(310)을 출력하고, 사용자는 이 목록 중 하나를 선택(320)하여 스티커 이미지로 선택 입력한다. 이렇게 선택된 스티커 이미지(330)는 콘텐츠 화면 위에(엄밀하게는 콘텐츠 화면 위에 형성된 투명막 위에)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배치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스티커 이미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사용자에 의해 스티커 이미지의 배치 위치, 형태, 크기가 조절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콘텐츠 화면 위에 스티커 이미지를 배치(410)하고, 사용자는 배치된 이미지(410)를 조작 입력하여 화면의 다른 위치(420)로 이동시켜 배치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에는, 터치 스크린의 터치 앤 드래그 기능을 이용하여 스티커 이미지를 이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콘텐츠 화면 위에 배치된 스티커 이미지를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따라 회전 처리(510)하여 배치 위치를 조절한다. 이때에는,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의 멀티 터치 기능을 이용하여 스티커 이미지를 회전시키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콘텐츠 화면 위에 배치된 스티커 이미지(610)를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따라 확대(630), 축소(620) 처리하여,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한다. 이때에 역시,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의 멀티 터치 기능을 이용하여 스티커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크기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한 부결합(subcombination)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어떤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10 : 서비스 요청 입력 모듈 120 : 투명막 처리 모듈
130 : 이미지 삽입 모듈 140 : 이미지 제거 모듈

Claims (10)

  1. 사용자 단말에서 제공되는 콘텐츠 화면에 탈부착이 용이한 스티커 이미지 서비스로서,
    (a) 사용자 단말의 입력수단을 통해 스티커 서비스 이용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b) 사용자 단말에서 현재 출력되는 콘텐츠 화면 위에 투명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사용자 단말에 형성된 상기 투명막 위에 상기 스티커 서비스 이용 요청 신호에 포함된 스티커 이미지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스티커 이미지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a-1) 사용자 단말의 입력수단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스티커 서비스 시작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a-2) 상기 시작 신호 수신과 함께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삽입할 스티커 이미지를 선택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스티커 이미지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2) 이전에,
    미리 준비된 스티커 이미지 목록을 출력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스티커 이미지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2)는,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이미지 중 하나를 삽입할 스티커 이미지로 선택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스티커 이미지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2)는,
    사용자 단말의 촬영수단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삽입할 스티커 이미지로 선택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스티커 이미지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입력수단은,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키 패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스티커 이미지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c-1) 사용자 단말의 입력수단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투명막 위에 배치될 상기 스티커 이미지의 위치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c-2)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입력수단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투명막 위에 배치될 상기 스티커 이미지의 크기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c-3) 상기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스티커 이미지의 배치 위치 및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 및
    (c-4) 상기 배치 위치와 크기가 조절된 상기 스티커 이미지를 상기 투명막 위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스티커 이미지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입력수단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삽입된 스티커 이미지의 제거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에는,
    상기 스티커 이미지가 삽입된 상기 콘텐츠 화면 위에 형성된 투명막을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스티커 이미지 서비스 제공 방법.
  9. 콘텐츠 화면에 탈부착이 용이한 스티커 이미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서,
    사용자로부터 스티커 서비스 이용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 서비스 요청 입력모듈;
    상기 서비스 요청에 따라 현재 출력되는 콘텐츠 화면 위에 투명막을 형성하는 투명막 처리모듈; 및
    상기 투명막 처리모듈을 통해 형성된 투명막 위에 상기 스티커 서비스 이용 요청 신호에 포함된 스티커 이미지를 삽입하는 이미지 삽입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0. 사용자 단말에서 제공되는 콘텐츠 화면에 탈부착이 용이한 스티커 이미지 서비스를 처리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로서,
    사용자 단말의 입력수단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스티커 서비스 시작 신호를 입력받는 절차와,
    시작 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준비된 스티커 이미지 목록을 출력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절차와,
    사용자 단말의 입력수단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삽입할 스티커 이미지를 선택 입력받는 절차와,
    사용자 단말에서 현재 출력되는 콘텐츠 화면 위에 투명막을 형성하는 절차 및
    사용자 단말에 형성된 상기 투명막 위에 상기 선택 입력된 스티커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따라 배치하고 크기를 조절하여 삽입하는 절차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10138133A 2011-03-22 2011-12-20 사용자 단말에서 스티커 이미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201078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1/009873 WO2012128450A1 (ko) 2011-03-22 2011-12-20 사용자 단말에서 스티커 이미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118 2011-03-22
KR20110025118 2011-03-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836A true KR20120107836A (ko) 2012-10-04

Family

ID=47279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8133A KR20120107836A (ko) 2011-03-22 2011-12-20 사용자 단말에서 스티커 이미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7836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63422A1 (ko) * 2013-04-04 2014-10-09 Park Jung Hwan 개체가 삽입된 이미지를 생성하고 편집하는 방법 및 그 장치
DK201670647A1 (en) * 2016-05-18 2017-12-04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essaging
US9959037B2 (en) 2016-05-18 2018-05-01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essaging
US10824313B2 (en) 2013-04-04 2020-11-03 P.J. Factory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reating and editing object-inserted images
US11159922B2 (en) 2016-06-12 2021-10-26 Apple Inc. Layers in messaging applications
US11221751B2 (en) 2016-05-18 2022-01-11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essaging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61493B2 (en) 2013-04-04 2018-08-28 Jung Hwan Park Method and device for creating and editing object-inserted images
EP2983078A4 (en) * 2013-04-04 2016-12-21 Jung Hwan Park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ND EDITING IMAGES WITH OBJECTS INSERTED THEREIN
WO2014163422A1 (ko) * 2013-04-04 2014-10-09 Park Jung Hwan 개체가 삽입된 이미지를 생성하고 편집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10824313B2 (en) 2013-04-04 2020-11-03 P.J. Factory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reating and editing object-inserted images
US10949081B2 (en) 2016-05-18 2021-03-16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essaging
US11126348B2 (en) 2016-05-18 2021-09-21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essaging
US10331336B2 (en) 2016-05-18 2019-06-2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essaging
US10592098B2 (en) 2016-05-18 2020-03-17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essaging
US9959037B2 (en) 2016-05-18 2018-05-01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essaging
US10852935B2 (en) 2016-05-18 2020-12-01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essaging
DK201670647A1 (en) * 2016-05-18 2017-12-04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essaging
US10983689B2 (en) 2016-05-18 2021-04-20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essaging
US11112963B2 (en) 2016-05-18 2021-09-07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essaging
US10254956B2 (en) 2016-05-18 2019-04-0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essaging
US11966579B2 (en) 2016-05-18 2024-04-23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essaging
US11221751B2 (en) 2016-05-18 2022-01-11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essaging
US11320982B2 (en) 2016-05-18 2022-05-03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essaging
US11513677B2 (en) 2016-05-18 2022-11-2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essaging
US11625165B2 (en) 2016-05-18 2023-04-11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essaging
US11954323B2 (en) 2016-05-18 2024-04-0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itiating a payment action in a messaging session
US11778430B2 (en) 2016-06-12 2023-10-03 Apple Inc. Layers in messaging applications
US11159922B2 (en) 2016-06-12 2021-10-26 Apple Inc. Layers in messaging applicatio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68659B2 (ja) イメージ表示方法、及び、電子装置
US10200634B2 (en) Video generation method, apparatus and terminal
CN108496150B (zh) 一种屏幕截图和读取的方法及终端
US8457611B2 (en) Audio file edit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KR101874895B1 (ko) 증강 현실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9324379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10429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of mobile terminal
US9003283B2 (en) Copying text using parameters displayed on a clipboard
RU2740785C2 (ru) Способ и оборудование обработки изображений,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графический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ий интерфейс
US20130111400A1 (en) Mobile terminal and folder managing method
EP3029678A1 (en) Recording method, playing method, device, terminal and system
EP2442223B1 (en) Method of executing fast association function of camera and portable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4967801A (zh) 一种视频数据处理方法和装置
KR20120107836A (ko) 사용자 단말에서 스티커 이미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70373994A1 (en)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instant messaging message
US9292173B2 (en)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multi-item files
CN106879263A (zh) 一种拍摄方法和移动设备
KR10152089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관리 장치 및 방법
CN114845152B (zh) 播放控件的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4021215B (zh) 一种图片整理方法及装置
US20200348804A1 (en) Sectional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JP2017520877A (ja) 検索方法、検索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13873082A (zh) 媒体文件播放方法及装置
KR20120026458A (ko) 데이터 관리 장치, 데이터 관리 방법 및 기록 매체
WO2014050882A1 (ja)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