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6425A - 무선랜 연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랜 연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6425A
KR20120106425A KR1020110024529A KR20110024529A KR20120106425A KR 20120106425 A KR20120106425 A KR 20120106425A KR 1020110024529 A KR1020110024529 A KR 1020110024529A KR 20110024529 A KR20110024529 A KR 20110024529A KR 20120106425 A KR20120106425 A KR 20120106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wlan
profile
access point
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4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7727B1 (ko
Inventor
이상엽
김미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10024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7727B1/ko
Publication of KR20120106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6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1Terminal devices adapted for Wireless Local Loop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 and access point, i.e. wireless ai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기술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무선랜을 통해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랜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랜 연결 장치는 태그로부터 무선랜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태그 리더기, 무선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프로파일 생성부 및 프로파일에 상응하는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와 세션을 설정하는 무선랜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랜 연결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WITH WIRELESS LAN}
본 발명은 네트워크 기술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무선랜을 통해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랜 연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스마트폰의 보급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스마트폰은 3G, 무선랜, 블루투스 등의 다양한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특히, 무선랜 통신 방식은 인접한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를 통해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전송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에서 무선랜 통신 방식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단말과 연결될 엑세스 포인트의 무선랜 식별 정보(Service Set IDentifier)를 포함하는 프로파일을 작성하여야 한다. 이 때, 사용자는 현재 단말이 위치한 지점에서 연결 가능한 엑세스 포인트의 무선랜 식별 정보의 목록을 보고, 연결 가능한 엑세스 포인트를 선택해야 한다. 하지만 인증 정보(예를 들어,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으면 이용할 수 없는 엑세스 포인트가 다수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는 연결 가능한 엑세스 포인트 중 실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엑세스 포인트를 찾기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엑세스 포인트를 제공하는 업자가 특정 지점(특정 상점)을 방문하는 방문객에게만 제공하고자 하나, 이를 위해서는 업자가 방문객에게 무선랜 식별 정보, 패스워드 등을 알려 주어 설정하도록 요청하여야 한다. 하지만 불특정 방문객에게 무선랜 식별 정보, 패스워드 등을 일일이 알려 주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하다.
본 발명은 단말에 네트워크 서비스가 가능한 엑세스 포인트로의 연결 설정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무선랜 연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프로파일 저장부; 태그로부터 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태그 리더기; 상기 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프로파일에 상응하는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와 세션을 설정하는 무선랜 연결부를 포함하는 무선랜 연결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무선랜 연결 장치가 무선랜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태그로부터 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에 상응하는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와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랜 연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간편하게 무선랜 설정을 하여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엑세스 포인트가 설치된 지역에서 특정 엑세스 포인트를 통한 무선랜 네트워크의 사용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무선랜 연결 장치를 간략히 예시한 블록도.
도 2는 무선랜 연결 장치가 RFID 태그에 따라 엑세스 포인트와 연결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무선랜 연결 장치가 무선랜을 연결하는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를 "전송한다"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에에 따른 무선랜 연결 장치를 간략히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랜 연결 장치는 태그 리더기(110), 프로파일 생성부(130), 프로파일 저장부(130), 무선랜 연결부(140) 및 통신부(15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무선랜 연결 장치는 특정장소(예를 들어, 공공장소 또는 특정 매장 등)에서 사용자가 소지한 장치(즉, 무선랜 연결 장치)를 별도로 조작하지 않고, 해당 특정장소에 부착된 태그를 판독하여 무선 통신을 위해 설정된 설정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는 장치이다. 태그 리더기(110)는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를 읽어 태그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태그 정보는 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 비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 및 인증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여기서, 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는 무선랜 연결 장치의 세션을 설정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의 식별 정보로, 예를 들어, SSID(Service Set Identifier)일 수 있다. 또한 비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는 무선랜 연결 장치와의 세션 설정이 금지된 엑세스 포인트의 식별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인증 정보는 WPA(Wi-Fi Protected Access), WPA2(Wi-Fi Protected Access 2), WEP(Wired Equivalent Privacy) 등의 방식에 따라 엑세스 포인트에서 설정한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즉, 태그 리더기(110)는 RFID 태그를 판독하여 수신한 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 비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 및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무선랜 연결부(140)로 출력한다.
무선랜 연결부(140)는 태그 리더기(110)로부터 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 요청을 프로파일 저장부(130)로 전송한다. 무선랜 연결부(140)는 프로파일 저장부(130)로부터 프로파일을 수신하는 경우, 프로파일 저장부(130)로부터 수신한 프로파일에 따라 통신부(150)가 프로파일에 포함된 무선랜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엑세스 포인트와 연결을 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 무선랜 연결부(140)는 프로파일에 인증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통신부(150)가 무선랜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엑세스 포인트로 인증 정보를 전송하여, 엑세스 포인트가 인증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프로파일 요청에 포함된 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이 프로파일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무선랜 연결부(140)는 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 생성 요청을 프로파일 생성부(130)로 전송한다. 또한 무선랜 연결부(140)는 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 이외 인증 정보를 태그 리더기(11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 및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 생성 요청을 프로파일 생성부(130)로 전송한다. 이후, 무선랜 연결부(140)는 프로파일 생성부(130)로부터 프로파일을 수신하고, 수신한 프로파일에 따라 통신부(150)가 프로파일에 포함된 무선랜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엑세스 포인트와 연결을 하도록 제어한다.
프로파일 생성부(130)는 무선랜 연결부(140)로부터 수신한 프로파일 생성 요청에 따라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프로파일을 프로파일 저장부(130) 및 무선랜 연결부(140)로 전송한다. 즉, 프로파일 생성부(130)는 프로파일 생성 요청에 포함된 무선랜 식별 정보 및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프로파일은 무선랜 식별 정보 및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엑세스 포인트와의 연결을 위해 무선랜 연결 장치에 저장되는 파일이다. 프로파일은 무선랜 식별 정보 이외의 부가 정보(IP 주소, 게이트웨이 주소 등)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가 정보는 프로파일의 생성 이후, 통신부(150)를 통해 엑세스 포인트와의 세션이 설정될 경우, 프로파일에 추가되는 등 무선랜 연결 장치의 구현 방법에 따라 부가 정보가 프로파일에 삽입되는 시점은 달라질 수 있다.
물론, 프로파일 생성부(130)는 RFID 태그로부터 수신한 무선랜 식별 정보가 아닌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무선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프로파일 저장부(130)는 프로파일 생성부(130)로부터 수신한 프로파일을 저장한다. 프로파일 저장부(130)는 램(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프로파일 저장부(130)는 무선랜 연결부(140)로부터 무선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프로파일 요청에 포함된 무선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을 검색한다. 프로파일 저장부(130)는 검색된 프로파일을 무선랜 연결부(140)로 전송한다.
통신부(150)는 무선랜 통신 방식을 통해 임의의 엑세스 포인트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즉, 통신부(150)는 무선랜 통신 방식을 통해 엑세스 포인트로 무선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요청을 전송하고, 엑세스 포인트로부터 연결 요청에 상응하는 승인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승인을 수신한 후, 엑세스 포인트를 통해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또한 통신부(150)는 무선랜 식별 정보 이외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요청을 엑세스 포인트로 전송할 수 있다. 엑세스 포인트는 통신부(150)로부터 수신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한 후 승인을 통신부(1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무선랜 연결 장치가 엑세스 포인트와의 연결을 하는 과정을 하나의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연결 장치가 RFID 태그에 따라 엑세스 포인트와 연결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RFID 태그(210)가 예를 들어, 카페의 입구에 부착되어 있고, 엑세스 포인트(230)는 카페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어서, 카페 내에서 엑세스 포인트(230)와 단말 간의 연결이 용이한 것으로 가정하도록 한다. 또한 엑세스 포인트(230)의 관리자가 RFID 태그(210)에 엑세스 포인트(230)의 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를 저장하였다고 가정한다. 또한 무선랜 연결 장치(220)는 사용자가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인 것으로 가정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카페에서 무선랜 서비스가 이용 가능하다는 안내 문구를 본다. 사용자는 무선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안내 문구 일측에 부착된 RFID 태그(210)에 자신의 무선랜 연결 장치(220)를 접근시킨다. 무선랜 연결 장치(220)는 구비된 태그 리더기를 이용하여 RFID 태그(210)를 판독하여 RFID 태그로부터 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RFID 태그로부터 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를 수신한 무선랜 연결 장치(220)는 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이 당해 무선랜 연결 장치(220)에 기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이 무선랜 연결 장치(220)에 기저장되어 있는 경우, 무선랜 연결 장치(220)는 해당 프로파일을 상응하는 엑세스 포인트와 연결하여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한다. 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이 무선랜 연결 장치(220)에 기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무선랜 연결 장치(220)는 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생성한 프로파일에 상응하는 엑세스 포인트를 통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때, 무선랜 연결 장치(220)는 생성된 프로파일을 프로파일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무선랜 연결 장치(220)를 RFID 태그(210)에 인접시키는 한번의 동작으로 무선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설정을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무선랜 연결 장치는 RFID 태그로부터 무선랜 식별 정보만을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구현 방법에 따라 RFID 태그로부터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인증 정보를 부가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즉, RFID 태그에는 무선랜 식별 정보 및 인증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 때, 무선랜 연결 장치(220)는 RFID 태그로부터 수신한 무선랜 식별 정보 및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무선랜 연결 장치는 생성한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패스워드가 설정되어 인증이 필요한 엑세스 포인트를 통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엑세스 포인트의 관리자는 임의의 방문객들에게만 RFID 태그를 통해 무선랜 식별 정보 및 인증 정보를 제공하고, 방문객 이외의 사람(인접 건물에서 무단으로 사용하는 사람)이 엑세스 포인트를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연결 장치가 무선랜을 연결하는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RFID 태그(210)는 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 비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 및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한다(310). 예를 들어, 엑세스 포인트의 관리자는 RFID 태그(210)에 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 및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만일 엑세스 포인트에 암호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관리자는 RFID 태그(210)에 무선랜 식별 정보만을 저장할 수 있다.
무선랜 연결 장치(220)는 구비된 태그 리더기를 이용하여 RFID 태그(210)를 읽어 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 및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320). 예를 들어, 사용자가 무선랜 연결 장치(220)를 RFID 태그(210)에 근접시키는 경우, 무선랜 연결 장치(220)는 구비된 태그 리더기를 이용하여 RFID 태그(210)를 읽어 RFID 태그에 저장된 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 및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RFID 태그(210)는 인증 정보를 미포함하여 무선랜 식별 정보만을 저장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무선랜 연결 장치(220)는 RFID 태그(210)로부터 무선랜 식별 정보만을 획득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무선랜 연결 장치(220)는 단계 320에서 수신한 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이 당해 무선랜 연결 장치(220)에 기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330).
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이 기 저장되어 있는 경우, 무선랜 연결 장치(220)는 추후 설명할 단계 370을 수행한다.
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이 기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무선랜 연결 장치(220)는 무선랜 연결 장치(220)는 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 및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프로파일을 생성한다(340).
무선랜 연결 장치(220)는 비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이 당해 무선랜 연결 장치(220)에 기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350).
비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이 기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무선랜 연결 장치(220)는 추후 설명할 단계 370을 수행한다.
비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이 당해 무선랜 연결 장치(220)에 기저장되어 있는 경우, 무선랜 연결 장치(220)는 해당 프로파일을 비활성화시킨다(360). 이 때, 단계 350 및 단계 360은 RFID 태그(210)에 비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단계 350 및 단계 360은 단계 330 이전에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무선랜 연결 장치는 단계 370을 수행한다. 무선랜 연결 장치(220)는 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에 따라 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 및 인증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연결 요청을 엑세스 포인트(230)로 전송한다(370).
엑세스 포인트(230)는 연결 요청에 포함된 무선랜 식별 정보 및 인증 정보가 엑세스 포인트(230)에 미리 설정된 무선랜 식별 정보 및 인증 정보와 동일한지 확인하는 인증을 수행한다(380). 이 때, 엑세스 포인트(230)에 인증 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있지 않는 경우, 엑세스 포인트(230)는 무선랜 식별 정보와 엑세스 포인트(230)에 미리 설정된 무선랜 식별 정보가 동일한지 확인하는 과정만을 수행할 수 있다.
엑세스 포인트(230)는 인증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경우, 무선랜 연결 장치(220)로 연결 요청에 대한 승인을 전송한다(390).
무선랜 연결 장치(220)는 엑세스 포인트(230)로부터 승인을 수신하는 경우, 엑세스 포인트(230)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395).
상술한 본 발명의 무선랜 연결 장치(220)는 복수의 엑세스 포인트가 설치된 지역에서 사용자들이 특정 엑세스 포인트의 사용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엑세스 포인트와 제2 엑세스 포인트가 설치된 지역에서, 제1 엑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가 상대적으로 강하여, 복수의 일반 단말이 제1 엑세스 포인트만을 이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하지만 무선랜 연결 장치(220)는 무선 신호의 세기가 아닌 지역 내에 RFID 태그에 따라 엑세스 포인트를 선정한다. 이에 따라, 제1 엑세스 포인트 또는 제2 엑세스 포인트에 상응하는 무선랜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RFID 태그를 지역 내에 분산하여 부착함으로써, 특정 엑세스 포인트를 통한 무선랜 네트워크의 사용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전술한 실시 예 외의 많은 실시 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프로파일 저장부;
    태그로부터 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태그 리더기;
    상기 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프로파일에 상응하는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와 세션을 설정하는 무선랜 연결부
    를 포함하는 무선랜 연결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프로파일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랜 연결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리더기는 상기 태그로부터 인증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프로파일 생성부는 상기 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 및 상기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연결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리더기는 상기 태그로부터 비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무선랜 연결부는 상기 비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이 상기 프로파일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비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을 비활성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연결 장치.
  5. 무선랜 연결 장치가 무선랜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태그로부터 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에 상응하는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와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랜 연결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랜 연결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 및 상기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연결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로부터 비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비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이 기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비활성 무선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을 비활성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연결 방법.
KR1020110024529A 2011-03-18 2011-03-18 무선랜 연결 장치 및 방법 KR101787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529A KR101787727B1 (ko) 2011-03-18 2011-03-18 무선랜 연결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529A KR101787727B1 (ko) 2011-03-18 2011-03-18 무선랜 연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6425A true KR20120106425A (ko) 2012-09-26
KR101787727B1 KR101787727B1 (ko) 2017-10-18

Family

ID=47113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4529A KR101787727B1 (ko) 2011-03-18 2011-03-18 무선랜 연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77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3579A (ko) * 2013-02-18 2014-08-27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네트워크 접속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00244B1 (en) * 2007-07-20 2020-12-30 Nokia Technologies Oy Information sharing in a smart spa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3579A (ko) * 2013-02-18 2014-08-27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네트워크 접속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7727B1 (ko) 2017-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29160B (zh) 一种VoWiFi网络接入方法和系统、终端及无线访问接入点设备
CN101500229B (zh) 建立安全关联的方法和通信网络系统
EP2617222B1 (en) Dynamic account creation with secured hotspot network
US9979710B2 (en) Single SSID and dual-SSID enhancements
US9992673B2 (en) Device authentication by tagging
US10769615B2 (en) Device and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6921963A (zh) 一种智能设备接入无线局域网的方法及装置
CN102111766B (zh) 网络接入方法、装置及系统
CN109922474B (zh) 触发网络鉴权的方法及相关设备
US20160242033A1 (en) Communication service u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CN101990202B (zh) 更新用户策略的方法及应用服务器
CN102869014A (zh) 终端和数据通信方法
US9788202B2 (en) Method of accessing a WLAN access point
CN103428808A (zh) 基于出现主机装置来控制客机装置网络接入的方法和装置
EP2876855A1 (en) Mobile wireless access and establishment of virtual private network
CN101785343B (zh) 用于快速转换资源协商的方法、系统和装置
CN105491093B (zh) 终端认证、网络访问的方法、服务器、无线接入点及终端
CA2979898A1 (en) Gprs system key enhancement method, sgsn device, ue, hlr/hss and gprs system
EP256169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chine communication
CN101637003A (zh) 用于为无线紧急服务进行认证的系统和方法
CN104660405A (zh) 一种业务设备认证方法及设备
US20230275883A1 (en) Parameter exchange during emergency access using 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 messaging
CN103379490A (zh) 用户设备的认证方法、装置及系统
US20090037979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vering Authentication in a Network
CN103763697A (zh) 一种无线接入点多密钥支持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