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6056A -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s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6056A
KR20120106056A KR1020110023894A KR20110023894A KR20120106056A KR 20120106056 A KR20120106056 A KR 20120106056A KR 1020110023894 A KR1020110023894 A KR 1020110023894A KR 20110023894 A KR20110023894 A KR 20110023894A KR 20120106056 A KR20120106056 A KR 20120106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quality
communication unit
eye dia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38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59313B1 (en
Inventor
이선정
강경완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3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9313B1/en
Publication of KR20120106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60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3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46Monitoring; Tes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Abstract

PURPOSE: A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a signal outputted from a communication unit and to transmit a signal of high stability based on the evaluated quality. CONSTITUTION: A second communication unit(200) includes a second signal transmitting unit and a second signal receiving unit. A signal quality measuring unit(300)connects a first signal transmitting unit and the second signal transmitting unit. The signal quality measuring unit receives a first signal and a second signal. The signal quality measuring unit measures the quality of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A signal quality display unit(400) displays a quality state of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Reference numerals] (110) First signal transmitting unit; (120) First signal receiving unit; (130) First connector; (210) Second signal transmitting unit; (220) Second signal receiving unit; (230) Second connector

Description

신호 송수신 시스템 및 신호 송수신 방법{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s}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and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 receiving signals}

본 발명은 신호 송수신 시스템 및 신호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 신호가 규격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하여 신호 전송의 안정성이 향상된 신호 송수신 시스템 및 신호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and a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and a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with improved stability of signal transmission by easily checking whether a communication signal conforms to a standard.

예를 들면 저장 매체 시스템 또는 통신 시스템 같이, 입력 신호가 채널을 통과하여 출력 신호로 출력되는 시스템에서, 채널을 통과하고 수신되는 과정에서 외부 잡음이 첨가되면 신호는 원하지 않는 성분이 첨가되어 출력 신호의 파형은 변형이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왜곡 또는 찌그러짐으로 표현되는 이러한 변형은 출력 신호로부터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잘못된 결과를 유발한다.In systems where an input signal passes through a channel and is output as an output signal, for example, in a storage media system or communication system, when external noise is added in the course of receiving and passing through a channel, the signal is added with unwanted components The waveform is deformed. This distortion, usually expressed as distortion or distortion, leads to false results in the process of extracting information from the output signal.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수신된 출력 신호로부터 지터값(jitter value)을 검출함으로써 신호의 품질을 결정하였다. 지터값은 수신 신호가 시간축에서 변동하는 정도를 % 값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저장 매체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In conventional systems, the quality of a signal is determined by detecting jitter values from the received output signal. The jitter value is a% value representing the variation of the received signal on the time axis and has been widely used in a storage medium system.

한편, 신호의 품질을 결정하기 위해, 통신부의 특정 위치에서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통신부에서 출력된 신호의 품질을 평가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평가된 신호들 중에서, 신호 품질이 불량한 신호에 대해서는 규격에 맞도록 통신부의 파라미터등을 디버깅하여 수정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복잡하여, 사용자가 실수를 유발할 경우가 생겼고, 정밀하지 않은 디버깅이되어 효율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았다. Meanwhile, in order to determine the quality of the signal, the signal was measured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and based on the measured data, the quality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communication unit was evaluated. Among the signals evaluated in this way, for the signals with poor signal quality, the parameters of the communication unit were debugged and modified to meet the standard. However, these methods are complex, which can lead to mistakes by the user and inaccurate debugging, which is undesirable in terms of efficiency.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으로부터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통신부에서 출력된 신호의 품질을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안정성이 향상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신호 송수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from this point,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that can evaluate the quality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communication unit, and transmit a signal with improved stability based on this.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통신부에서 출력된 신호의 품질을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안정성이 향상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신호 송수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valuate the quality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communication unit, and to provide a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that can transmit a signal with improved stability based on this.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송수신 시스템은, 출력된 제1 신호를 송신하는 제1 신호 송신부와, 외부에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신호 수신부를 포함하는 제1 통신부와, 출력된 제2 신호를 송신하는 제2 신호 송신부와, 외부에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신호 수신부를 포함하는 제2 통신부와, 상기 제1 신호 송신부 및 상기 제2 신호 송신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의 품질을 측정하는 신호 품질 측정부와, 상기 신호 품질 측정부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제1 및 제2 신호의 품질 상태를 표시하는 신호 품질 표시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including a first signal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n output first signal and a first signal receiver for receiving an externally transmitted signal. A second communication unit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a second signal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output second signal, and a second signal receiver for receiving an externally transmitted signal, and connecting the first signal transmitter and the second signal transmitter And a signal quality measur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to measure the quality of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and based on the data measured by the signal quality measuring unit. And a signal quality display portion that displays the quality state of the second signal.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송수신 방법은, 제1 통신부로부터 제1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1 신호의 시간 변화에 따른 파형의 변화를 나타내는 제1 아이 다이어 그램을 측정하고, 통신부간 신호 전송시 요구되는 신호의 규격값의 범위와 상기 제1 아이 다이어 그램을 비교하고, 상기 제1 신호의 품질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the first eye diagram receiving a first signal from a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indicating a change in waveform according to a time change of the first signal. Measuring a value, comparing a range of standard values of a signal required for signal transmiss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first eye diagram, and indicating a quality state of the first signal.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송수신 시스템의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신호 품질 측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송수신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아이 다이어 그램과 신호의 규격값을 비교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quality measuring unit.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6 are schematic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mparison of the eye diagram and the standard value of the signal.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 same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In the drawings, the sizes and relative sizes of layers and region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이루어지다(made of)"는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As used herein, the terms "comprises" and / or "made of" means that a component, step, operation, and / or element may be embodied in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And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thereof.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성 요소들 상호 간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The 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and the like are components as shown in the drawings.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신호 송수신 시스템 및 신호 송수신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송수신 시스템의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신호 품질 측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송수신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아이 다이어 그램과 신호의 규격값을 비교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Hereinafter, a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and a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quality measurement unit, and FIG. 3 is a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6 are schematic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mparison of the eye diagram and the standard value of the sig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송수신 시스템(10)은 제1 통신부(100), 제2 통신부(200), 신호 품질 측정부(300) 및 신호 품질 표시부(400)을 포함할 수 있다.The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communication unit 100,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00, a signal quality measuring unit 300, and a signal quality display unit 400.

제1 통신부(100)는 제1 신호 송신부(110), 제1 신호 수신부(120) 및 제1 커넥터(1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00 may include a first signal transmitter 110, a first signal receiver 120, and a first connector 130.

제1 신호 송신부(110)는 제1 신호(s1)를 출력하고, 출력된 제1 신호(s1)를 외부로 송신한다. 이때, 제1 신호(s1)는 제1 통신부(100)의 신호 출력부(미도시)에서 출력될 수도 있고, 제1 신호 송신부(110)에서 출력될 수도 있다.The first signal transmitter 110 outputs the first signal s1 and transmits the output first signal s1 to the outside. In this case, the first signal s1 may be output from the signal output unit (not shown) of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00 or may be output from the first signal transmitter 110.

제1 신호 수신부(120)는 제1 통신부(100)의 외부에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1 신호 수신부(120)는 제2 통신부(200)에서 송신된 제2 신호(s2)를 수신할 수 있다. The first signal receiver 120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of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00. For example, the first signal receiver 120 may receive the second signal s2 transmitted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0.

제1 커넥터(130)는 제1 신호 송신부(110) 및 제1 신호 수신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커넥터(130)는 제1 통신부(100)내에 포함되지 않은 외부 장치와 제1 통신부(100)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커넥터(130)는 제1 통신부(100)에서 출력된 제1 신호(s1)을 제1 통신부(100)의 외부 장치인 신호 품질 측정부(3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커넥터(130)는 제2 통신부(200)에서 출력된 제2 신호(s2)를 신호 품질 측정부(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제2 신호(S2)는 제1 신호 수신부(120)로 전송될 수 있다. 제1 커넥터(130)는 예를 들어, 컴퓨팅 또는 통신 플랫폼과 같은 주변장치를 연결해주는 고성능 I/O(Input/Output)버스인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익스프레스(Express)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커넥터(130)는 ISA(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EISA(Extended 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와 같은 I/O버스일 수도 있다.The first connector 13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ignal transmitter 110 and the first signal receiver 120. In addition, the first connector 130 may connect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00 with an external device not includ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00. As a result, the first connector 130 may transmit the first signal s1 output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00 to the signal quality measurement unit 300, which is an external device of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00. In addition, the first connector 130 may receive the second signal s2 output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0 from the signal quality measuring unit 300. The received second signal S2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signal receiver 120. The first connector 130 may be, for example, a 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PCI) Express, which is a high performance input / output (I / O) bus that connects a peripheral device such as a computing or communication platform,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not. For example, the first connector 130 may be an I / O bus such as an 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ISA), an Extended 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EISA), or a 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 (VESA).

다음으로, 제2 통신부(200)는 제2 신호 송신부(210), 제2 신호 수신부(220) 및 제2 커넥터(230)를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0 may include a second signal transmitter 210, a second signal receiver 220, and a second connector 230.

제2 신호 송신부(210)는 제2 신호(s2)를 출력하고, 출력된 제2 신호(s2)를 외부로 송신한다. 이때, 제2 신호(s2)는 제2 통신부(200)의 신호 출력부(미도시)에서 출력될 수도 있고, 제2 신호 송신부(210)에서 출력될 수도 있다.The second signal transmitter 210 outputs the second signal s2 and transmits the output second signal s2 to the outside. In this case, the second signal s2 may be output from the signal output unit (not show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0 or may be output from the second signal transmission unit 210.

제2 신호 수신부(220)는 제2 통신부(200)의 외부에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2 신호 수신부(220)는 제1 통신부(100)에서 송신된 제1 신호(s1)를 수신할 수 있다.The second signal receiver 220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of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0. For example, the second signal receiver 220 may receive the first signal s1 transmitt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00.

제2 커넥터(230)는 제2 신호 송신부(210) 및 제2 신호 수신부(22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커넥터(230)는 제2 통신부(200)내에 포함되지 않은 외부 장치와 제2 통신부(100)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커넥터(230)는 제2 통신부(200)에서 출력된 제2 신호(s2)를 제2 통신부(200)의 외부 장치인 신호 품질 측정부(3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커넥터(230)는 제1 통신부(100)에서 출력된 제1 신호(s1)를 신호 품질 측정부(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제1 신호(S1)는 제2 신호 수신부(220)로 전송될 수 있다. 제2 커넥터(230)는 예를 들어, 컴퓨팅 또는 통신 플랫폼과 같은 주변장치를 연결해주는 고성능 I/O(Input/Output)버스인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익스프레스(Express)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커넥터(230)는 ISA(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EISA(Extended 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와 같은 I/O버스일 수도 있다.The second connector 23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signal transmitter 210 and the second signal receiver 220. 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or 230 may connect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00 with an external device not included i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0. As a result, the second connector 230 may transmit the second signal s2 output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0 to the signal quality measuring unit 300, which is an external device of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0. 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or 230 may receive the first signal s1 output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00 from the signal quality measuring unit 300. The received first signal S1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signal receiver 220. The second connector 230 may be, for example, a 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PCI) Express, which is a high performance input / output (I / O) bus that connects a peripheral device such as a computing or communication platform,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not. For example, the second connector 230 may be an I / O bus such as an 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ISA), an Extended 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EISA), or a 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 (VESA).

다음으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통신부(100)와 제2 통신부(200) 사이에 신호 품질 측정부(300)가 위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신호 품질 측정부(300)는 제1 통신부(100)의 제1 커넥터(130)를 통해 제1 신호 송신부(110)와 제1 신호 수신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신호 품질 측정부(300)는 제2 통신부(200)의 제2 커넥터(230)를 통해 제2 신호 송신부(210)와 제2 신호 수신부(220)와 연결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signal quality measuring unit 300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0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0. More specifically, the signal quality measuring unit 30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ignal transmitter 110 and the first signal receiver 120 through the first connector 130 of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00. In addition, the signal quality measuring unit 30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signal transmitting unit 210 and the second signal receiving unit 220 through the second connector 230 of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0.

한편, 신호 품질 측정부(300)는 레퍼런스부(310), 연산부(320), 비교 연산부(330), 입력부(341, 343), 송신부(350)을 포함할 수 있다.The signal quality measuring unit 300 may include a reference unit 310, a calculator 320, a comparison operator 330, input units 341 and 343, and a transmitter 350.

레퍼런스부(310)는 통신부 간의 신호 전송시 요구되는 신호의 규격값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퍼런스부(310)에는 제1 통신부(100)와 제2 통신부(200)간의 신호 전송시 요구되는 신호들의 규격 값의 범위가 데이터화 되어 저장될 수 있다. 즉, 레퍼런스부(310)는 제1 통신부(100)에서 출력된 신호가 제2 통신부(200)로 전송될 때 갖춰야 하는 규격값의 범위를 데이터화 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레퍼런스부(310)는 제2 통신부(200)에서 출력된 신호가 제1 통신부(100)로 전송될 때 갖춰야 하는 규격값의 범위를 데이터화 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통신부(100)에서 출력된 신호가 갖춰야 할 규격값의 범위를 ‘제1 규격값의 범위(r1)’라 하고, 제2 통신부(200)에서 출력된 신호가 갖춰야 할 규격값의 범위를 ‘제2 규격값의 범위(r2)’라 한다. 한편, 규격 값의 범위는 특정한 값의 범위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신호 송수신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사양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The reference unit 310 may include a range of standard values of signals required for signal transmiss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units. For example, the reference unit 310 may store data in a range of standard values of signals required for signal transmission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0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0. That is, the reference unit 310 may store data by storing a range of standard values that should be provided when th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00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0. In addition, the reference unit 310 may store data by storing a range of standard values that should be provided when a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0 is transmit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00.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range of standard values that th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00 should have is referred to as 'range r1 of the first standard value', and a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0 should be provided. The range of standard values to be referred to as 'range of the second standard value (r2)'. On the other hand, the range of the standard value is not fixed to a specific range of values, it may be set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required in the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연산부(320)는 통신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신호의 시간 변화에 따른 파형의 변화를 나타내는 아이 다이어그램(eye diagram)을 측정한다. 즉, 연산부(320)는 제1 통신부(100)에서 출력된 제1 신호(s1)을 수신하여, 제1 신호(s1)의 시간 변화에 따른 파형의 변화를 나타내는 제1 아이 다이어 그램(ed1)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연산부(320)는 제2 통신부(200)에서 출력된 제2 신호(s2)를 수신하여, 제2 신호(s2)의 시간 변화에 따른 파형의 변화를 나타내는 제2 아이 다이어 그램(ed2)을 측정할 수 있다. The operation unit 320 receives a signal output from the communication unit and measures an eye diagram representing a change in a waveform according to a time change of the signal. That is, the operation unit 320 receives the first signal s1 output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00, and shows a first eye diagram ed1 indicating a change in waveform according to a time change of the first signal s1. Can be measured. In addition, the operation unit 320 receives the second signal s2 output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0, and a second eye diagram ed2 indicating a change in waveform according to a time change of the second signal s2. Can be measured.

비교 연산부(330)는 연산부(320)에서 측정된 아이 다이어 그램과 레퍼런스부(310)에 저장된 규격값의 범위를 비교한다. 예를 들어, 연산부(320)에서 제1 신호(s1)의 제1 아이 다이어 그램(ed1)을 측정한 결과가 비교 연산부(33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레퍼런스부(310)에 저장된 제1 규격값의 범위(r1)도 비교 연산부(330)로 전송될 수 있다. 비교 연산부(330)는 전송된 제1 아이 다이어 그램(ed1)과 제1 규격값의 범위(r1)를 서로 비교하여, 제1 아이 다이어 그램(ed1)이 제1 규격값의 범위(r1)내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한편, 비교 연산부(320)는 제2 신호(s2)의 제2 아이 다이어 그램(ed2)에 대해서도 제2 규격값의 범위(r2)를 바탕으로, 제2 아이 다이어 그램(ed2)이 제2 규격값의 범위(r2) 내인지 여부를 판별한다.The comparison operation unit 330 compares the eye diagram measured by the operation unit 320 with a range of standard values stored in the reference unit 310. For example, the result of measuring the first eye diagram ed1 of the first signal s1 by the calculator 320 may be transmitted to the comparison calculator 330. In this case, the range r1 of the first standard value stored in the reference unit 310 may also be transmitted to the comparison operation unit 330. The comparison operation unit 330 compares the transmitted first eye diagram ed1 and the range r1 of the first standard valu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eye diagram ed1 is within the range r1 of the first standard value. Determine whether or not. On the other hand, the comparison operation unit 320 is also based on the range r2 of the second standard value for the second eye diagram ed2 of the second signal s2, and the second eye diagram ed2 is the second standar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value is within the range r2.

입력부(341, 343)는 제1 통신부(100)에서 출력된 제1 신호(s1)를 수신하고, 제2 통신부(200)에서 출력된 제2 신호(s2)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341, 343)에 수신된 제1 및 제2 신호(s1, s2)는 연산부(320)로 전송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연산부(320)는 제1 신호(s1) 및 제2 신호(s2) 각각에 대한 제1 및 제2 아이 다이어 그램(ed1, ed2)을 측정한다.The input units 341 and 343 may receive the first signal s1 output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00 and receive the second signal s2 output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0.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s1 and s2 received by the input units 341 and 343 are transmitted to the calculating unit 320. As described above, the calculating unit 320 may include the first signal s1 and the second signal ( s2) Measure the first and second eye diagrams ed1 and ed2 for each.

한편, 입력부(341, 343)는 비교 연산부(330)와도 연결될 수 있다. 입력부(341, 343)는 비교 연산부(330)에서 제1 아이 다이어 그램(ed1)과 제1 규격값의 범위(r1)를 비교한 제1 결과값(c1) 또는 제2 아이 다이어 그램(ed2)과 제2 규격값의 범위(r2)를 비교한 제2 결과값(c2)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제1 아이 다이어 그램(ed1)이 제1 규격값의 범위(r1)내일 경우, 비교 연산부(330)는 제1 결과값(c1)을 입력부(341)로 송신하고, 입력부(341)는 수신한 제1 결과값(c1)에 반응하여 제1 신호(s1)를 송신부(350)로 송신한다. 또한, 제2 아이 다이어 그램(ed2)이 제2 규격값의 범위(r2)내일 경우, 비교 연산부(330)는 제2 결과값(c2)을 입력부(343)로 송신하고, 입력부(343)는 수신한 제2 결과값(c2)에 반응하여 제2 신호(s2)를 송신부(350)로 송신한다.The input units 341 and 343 may also be connected to the comparison operator 330. The input units 341 and 343 are the first result value c1 or the second eye diagram ed2 in which the comparison operation unit 330 compares the first eye diagram ed1 and the range r1 of the first standard value. And a second result value c2 obtained by comparing the range r2 of the second standard value. That is, when the first eye diagram ed1 is within the range r1 of the first standard value, the comparison operation unit 330 transmits the first result value c1 to the input unit 341, and the input unit 341 is The first signal s1 is transmitted to the transmitter 350 in response to the received first result value c1. In addition, when the second eye diagram ed2 is within the range r2 of the second standard value, the comparison operation unit 330 transmits the second result value c2 to the input unit 343, and the input unit 343 In response to the received second result value c2, the second signal s2 is transmitted to the transmitter 350.

송신부(350)는 입력부(341, 343)를 통해 수신한 제1 및 제2 신호(s1, s2) 각각을 제1 통신부(100) 또는 제2 통신부(200)로 송신한다. 즉, 송신부(350)는 제1 신호(s1)를 제2 통신부(200)로 송신하고, 제2 신호(s2)를 제1 통신부(100)로 송신한다.The transmitter 350 transmits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s1 and s2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s 341 and 343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00 or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0. That is, the transmitter 350 transmits the first signal s1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0, and transmits the second signal s2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00.

신호 품질 표시부(400)는 비교 연산부(330)의 결과에 따라, 제1 신호(s1) 및 제2 신호(s2)의 품질을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아이 다이어 그램(ed1)이 제1 규격값의 범위(r1)를 벗어날 경우, 신호 품질 표시부(400)는 제1 신호(s1)에 대해 에러(error) 메시지를 표시한다. 또한, 제2 아이 다이어 그램(ed2)이 제2 규격값의 범위(r2)를 벗어날 경우, 신호 품질 표시부(400)는 제2 신호(s2)에 대해 에러(error)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를 위해, 신호 품질 표시부(400)는 신호 품질을 표시하는 표시창(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창은 예를 들어, LCD나 LED와 같은 표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ignal quality display unit 400 may display the quality of the first signal s1 and the second signal s2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operator 330. More specifically, when the first eye diagram ed1 is out of the range r1 of the first standard value, the signal quality display unit 400 displays an error message with respect to the first signal s1. In addition, when the second eye diagram ed2 is out of the range r2 of the second standard value, the signal quality display unit 400 displays an error message with respect to the second signal s2. To this end, the signal quality display unit 400 may include a display window (not shown) displaying the signal quality. The display window may include, for example, a display element such as an LCD or an LED.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송수신 방법을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일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낸 각 부재와 동일 기능을 갖는 부재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따라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통신부(100)에서 출력된 제1 신호(s1)가 제2 통신부(200)로 전달되는 과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2 통신부(200)에서 출력된 제2 신호(s2)가 제1 통신부(100)로 전달되는 과정도 아래의 과정과 동일함은 물론이다.Next, a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s as the members shown in the drawings of the above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us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irst signal s1 output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00 will be described based on a process of transmitting the second signal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0.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second signal s2 output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0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00 is also the same as the following process.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통신부(100)에서 출력된 제1 신호(s1)가 신호 품질 측정부(300)에 입력된다(S1010). 제1 신호(s1)가 신호 품질 측정부(300)에 입력되는 과정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1 to 3, the first signal s1 output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00 is input to the signal quality measuring unit 300 (S1010). Since the first signal s1 is input to the signal quality measuring unit 300 as described above, a repeat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계속해서, 신호 품질 측정부(300)는 입력된 제1 신호(s1)의 제1 아이 다이어 그램(ed1)을 측정한다(S1020). 측정된 제1 아이 다이어 그램(ed1)과 상술한 제1 규격값의 범위(r1)을 비교 연산부(330)가 비교한다(S1030). Subsequently, the signal quality measuring unit 300 measures the first eye diagram ed1 of the input first signal s1 (S1020). The comparison operation unit 330 compares the measured first eye diagram ed1 with the above-described range r1 of the first standard value (S1030).

도 4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제1 신호(s1)의 제1 아이 다이어 그램(ed1-1)이 제1 규격값의 범위(r1)내일 경우, 제1 신호(s1)는 신호 품질 측정부(300)에 포함된 송신부(350)를 통해 제2 통신부(200)로 전송될 수 있다(S1050).Referring to FIG. 4, for example, when the first eye diagram ed1-1 of the first signal s1 is within a range r1 of the first standard value, the first signal s1 may measure signal quality. The transmission unit 350 included in the unit 300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0 (S1050).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제1 신호(s1)의 제1 아이 다이어 그램(ed1-2)이 제1 규격값의 범위(r1)를 벗어날 경우, 신호 품질 측정부(300)는 신호 품질 표시부(400)에 상기 결과를 전송하고, 신호 품질 표시부(400)는 표시창을 통해 에러(error) 메시지를 표시한다. 즉, 제1 신호의 품질상태가 표시창을 통해 표시된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5, for example, when the first eye diagram ed1-2 of the first signal s1 is out of the range r1 of the first standard value, the signal quality measuring unit 300 Transmits the result to the signal quality display unit 400, and the signal quality display unit 400 displays an error message through the display window. That is, the quality state of the first signal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window.

이에 의해, 사용자는 제1 신호(s1)가 규격에 맞지 않음을 인식하게 되고, 제1 통신부(100)가 규격에 맞는 제1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제1 통신부(100)의 파라미터들을 수정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user may recognize that the first signal s1 does not meet the standard, and may modify the parameters of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00 so that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00 outputs the first signal conforming to the standard. have.

도 6을 참조하면, 제1 통신부(100)의 파라미터가 수정되어 출력된 제1 신호(s1)는 제1 규격값의 범위(r1) 내를 만족하는 제1 아이 다이어 그램(ed1)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통신부(100)의 파라미터가 수정되어 출력된 제1 신호(s1)는 제2 통신부(200)로 전송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first signal s1 having modified and outputted parameters of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00 may have a first eye diagram ed1 satisfying the range r1 of the first standard value. have. Accordingly, the first signal s1 output by modifying the parameter of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00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0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사용자는 측정된 신호의 파라미터들에 대해 개별적인 계산이나 비교 없이, 통신부에서 출력된 신호가 규격을 만족하는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정적인 통신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intuitively check whether the signal output from the communication unit satisfies the specification without separately calculating or comparing the parameters of the measured signal. As a result, a stable communication system can be construct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will understan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0: 신호 송수신 시스템
100: 제1 통신부
110: 제1 신호 송신부
120: 제1 신호 수신부
130: 제1 커넥터
200: 제2 통신부
210: 제2 신호 송신부
220: 제2 신호 수신부
230: 제2 커넥터
300: 신호 품질 측정부
400: 신호 품질 표시부
10: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100: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first signal transmission unit
120: first signal receiving unit
130: first connector
200: second communication unit
210: second signal transmission unit
220: second signal receiving unit
230: second connector
300: signal quality measurement unit
400: signal quality display unit

Claims (9)

출력된 제1 신호를 송신하는 제1 신호 송신부와, 외부에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신호 수신부를 포함하는 제1 통신부;
출력된 제2 신호를 송신하는 제2 신호 송신부와, 외부에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신호 수신부를 포함하는 제2 통신부;
상기 제1 신호 송신부 및 상기 제2 신호 송신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의 품질을 측정하는 신호 품질 측정부; 및
상기 신호 품질 측정부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제1 및 제2 신호의 품질 상태를 표시하는 신호 품질 표시부를 포함하는 신호 송수신 시스템.
A first communication unit including a first signal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output first signal and a first signal receiver for receiving an externally transmitted signal;
A second communication unit including a second signal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output second signal and a second signal receiver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A signal quality measuring unit connected to the first signal transmitting unit and the second signal transmitting unit and receiving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to measure the quality of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And
And a signal quality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quality states of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based on the data measured by the signal quality measur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품질 측정부는,
상기 제1 통신부와 상기 제2 통신부 간의 신호 전송시 요구되는 신호의 규격값의 범위를 포함하는 레퍼런스부와,
상기 제1 신호의 시간 변화에 따른 파형의 변화를 나타내는 제1 아이 다이어 그램 또는 제2 신호의 시간 변화에 따른 파형의 변화를 나타내는 제2 아이 다이어 그램을 측정하는 연산부와,
상기 제1 또는 제2 아이 다이어 그램과 상기 규격값의 범위를 비교하는 비교 연산부를 포함하는 신호 송수신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ignal quality measuring unit,
A reference unit including a range of standard values of signals required for signal transmission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An operation unit measuring a first eye diagram indicating a change of a waveform according to a time change of the first signal or a second eye diagram showing a change of a waveform according to a time change of a second signal;
And a comparison operation unit for comparing the first or second eye diagram with a range of the standard valu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이 다이어 그램이 상기 규격값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신호 품질 표시부는 에러(error)를 표시하는 신호 송수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signal quality display unit displays an error when the first eye diagram is out of a range of the standard valu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이 다이어 그램이 상기 규격값의 범위 이내일 경우, 상기 신호 품질 측정부는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제2 신호 수신부로 전송하는 신호 송수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signal quality measuring unit transmits the first signal to the second signal receiving unit when the first eye diagram is within a range of the standard valu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이 다이어 그램이 상기 규격값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신호 품질 표시부는 에러(error)를 표시하는 신호 송수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signal quality display unit displays an error when the second eye diagram is out of a range of the standard valu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이 다이어 그램이 상기 규격값의 범위 이내일 경우, 상기 신호 품질 측정부는 상기 제2 신호를 상기 제1 신호 수신부로 전송하는 신호 송수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signal quality measuring unit transmits the second signal to the first signal receiving unit when the second eye diagram is within a range of the standard value.
제1 통신부로부터 제1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1 신호의 시간 변화에 따른 파형의 변화를 나타내는 제1 아이 다이어 그램을 측정하고,
통신부간 신호 전송시 요구되는 신호의 규격값의 범위와 상기 제1 아이 다이어 그램을 비교하고,
상기 제1 신호의 품질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Receiving a first signal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Measuring a first eye diagram representing a change in a waveform according to a time change of the first signal,
Comparing the first eye diagram with a range of standard values of signals required for signal transmission between communication units,
And transmitting and displaying a quality state of the first signal.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이 다이어 그램이 상기 규격값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제1 신호의 품질 상태는 에러(error)로 표시되는 신호 송수신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d when the first eye diagram is out of a range of the standard value, a quality state of the first signal is indicated by an error.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이 다이어 그램이 상기 규격값의 범위 이내일 경우, 상기 제1 신호는 제2 통신부로 전송되는 신호 송수신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d when the first eye diagram is within a range of the standard value, the first signal is transmitted to a second communication unit.
KR1020110023894A 2011-03-17 2011-03-17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s KR1016593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894A KR101659313B1 (en) 2011-03-17 2011-03-17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894A KR101659313B1 (en) 2011-03-17 2011-03-17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6056A true KR20120106056A (en) 2012-09-26
KR101659313B1 KR101659313B1 (en) 2016-09-26

Family

ID=47112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3894A KR101659313B1 (en) 2011-03-17 2011-03-17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931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0257A (en) * 2003-07-31 2005-02-24 Toshiba Corp Electronic device having serial ata interface and automatic signal amplitude adjustment method
KR100868869B1 (en) * 2007-05-23 2008-11-14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Input/output channel match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asuring instrument each other
JP2009501480A (en) * 2005-07-15 2009-01-15 エヌエックスピー ビー ヴィ Test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KR20100021000A (en) * 2007-07-20 2010-02-23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0257A (en) * 2003-07-31 2005-02-24 Toshiba Corp Electronic device having serial ata interface and automatic signal amplitude adjustment method
JP2009501480A (en) * 2005-07-15 2009-01-15 エヌエックスピー ビー ヴィ Test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KR100868869B1 (en) * 2007-05-23 2008-11-14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Input/output channel match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asuring instrument each other
KR20100021000A (en) * 2007-07-20 2010-02-23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9313B1 (en) 2016-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4740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error rate estimation
US20150078574A1 (en) Headset ha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ss prevention function and headset system having loss prevention function
US9203512B2 (en) Distinguishing light in single fiber transceivers
US9077448B2 (en) Read optical power link service for link health diagnostics
US11671200B2 (en) Network test apparatus and network test method
US20210105068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display apparatus
US20130234742A1 (en) Integrated circuit and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receiver testing function
CN103024367B (en) Low-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receiver, transmitter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LVDS
US9960886B2 (en) Noise detection device
CN104699580A (en) Loopback test method and device for SAS storage board card
KR20120106056A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s
CN116055654B (en) MIPI D_PHY signal analysis circuit an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8638841B2 (en)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transmitting/receiv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estimating temporal fluctuation of a signal
US11784748B2 (en) Network test apparatus and network test method
US11442801B2 (en) Error rate measuring apparatus and error counting method
US20190004353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Managing Data
JP5580862B2 (en) Error rate measurement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CN112838892B (en) Testing device and method for Ethernet MAC data communication optical module
JP2018091920A (en) Display unit
KR102648816B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ng and evaluating interworking specifications between infotainment system and electrical equipment
CN105227376A (en) The method and system that in SPI long haul communication transmission, timing prolongs
CN114374812A (en) Communication information monitoring equipment, method and system of DP (data processing) interface auxiliary channel
CN114325355A (en) Chip testing system and method
TW201827839A (en) A cable detec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130068574A (en)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self test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