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5327A -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핸드오버의 수행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핸드오버의 수행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5327A
KR20120105327A KR1020110023085A KR20110023085A KR20120105327A KR 20120105327 A KR20120105327 A KR 20120105327A KR 1020110023085 A KR1020110023085 A KR 1020110023085A KR 20110023085 A KR20110023085 A KR 20110023085A KR 20120105327 A KR20120105327 A KR 20120105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cell
terminal
measurement result
serving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3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명철
권기범
안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10023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5327A/ko
Priority to PCT/KR2012/001875 priority patent/WO2012124991A2/en
Publication of KR20120105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53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33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35Determin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58Transmission of hand-off measurement information, e.g.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1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neighbour cel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8Reselection control by fixed network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low signal str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핸드오버의 수행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명세서는 단말에 설정된 부서빙셀에 대한 측정결과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소스측 수신부, 상기 측정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부서빙셀을 정렬하는 후보 셀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측정결과의 유효성을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기준인 유효성 판단정보를 생성하는 상태정보 생성부, 및 상기 후보 셀 리스트 및 상기 유효성 판단정보를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소스측 전송부를 포함하는 소스 기지국을 개시한다.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핸드오버시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은 핸드오버 이전에 서비스 제공 상황을 정확하게 알 수 있고, 이로 인해 핸드오버 직후에 최적의 부서빙셀을 단말에 설정해 줄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핸드오버의 수행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PERFORMING HANDOVER IN 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핸드오버의 수행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cellular)는 서비스 지역의 제한, 주파수 및 가입자 수용용량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제안된 개념이다. 이는 고출력 단일 기지국을 저출력의 다수 기지국으로 바꿔서 통화권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즉, 이동통신 서비스 지역을 여러 개의 작은 셀(cell)단위로 나눠서 인접한 셀들에는 각각 다른 주파수들을 할당하고, 서로 충분히 멀리 떨어져 간섭 발생이 없는 두 셀에서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공간적으로 주파수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핸드오버(또는 핸드오프(handoff))란 단말이 이동함에 따라 현재의 통신 서비스 지역(이하 서빙셀(serving cell))을 이탈하여 인접한 통신 서비스 지역(이하 인접셀(neighbour cell))으로 이동할 때 인접한 통신 서비스 지역의 새로운 통화 채널(traffic channel)에 자동 동조(tuning)되어 지속적으로 통화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기능을 말한다. 즉, 특정 기지국과 통신하고 있는 단말은 그 특정 기지국(이하 소스 기지국(source base station))에서의 신호 세기가 약해질 경우 다른 인접 기지국(이하 타겟 기지국(target base station))에 링크(link)된다. 핸드오버(handover)가 이루어지면 인접셀로의 이동시 발생하는 호단절의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한편, 무선통신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하나의 대역폭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2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은 200KHz~ 1.25MHz의 대역폭을 사용하고, 3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은 5MHz~ 10 MHz의 대역폭을 사용한다. 증가하는 송신 용량을 지원하기 위해, 최근의 3GPP LTE 또는 802.16m은 20MHz또는 그 이상까지 계속 그 대역폭을 확장하고 있다. 송신 용량을 높이기 위해서 대역폭을 늘리는 것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지만, 요구되는 서비스의 수준이 낮은 경우에도 큰 대역폭을 지원하는 것은 커다란 전력 소모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대역폭와 중심 주파수를 갖는 반송파를 정의하고, 복수의 반송파를 통해 광대역으로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요소반송파(Multiple Component Carrier) 시스템이 등장하고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반송파를 사용함으로써 협대역과 광대역을 동시에 지원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하나의 반송파가 5MHz의 대역폭에 대응된다면, 4개의 반송파를 사용함으로써 최대 20MHz의 대역폭을 지원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단일 요소 반송파를 사용하는 기지국에서의 핸드오버만을 고려하므로, 기지국은 단말이 측정(Measurement)하여 보고한 단일 셀(Single Cell)만을 고려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면 된다.
그러나,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의 경우, 다중 요소 반송파를 고려하여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하여 서비스 품질을 유지해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타겟 기지국은, 단말이 소스기지국에서 제공받았던 수준의 서비스 품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요소 반송파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해야 한다. 이때, 타겟 기지국은 단말이 핸드오버 이전에 서비스 제공 상황을 정확하게 알 수 없으므로 적정한 수준의 요소 반송파 설정 혹은 적합한 요소 반송파 설정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다중 요소 반송파를 고려한 핸드오버 수행장치 및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핸드오버의 수행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소스 기지국이 단말에게 측정보고를 지시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타겟 기지국으로 부서빙셀의 설정에 필요한 후보 셀 리스트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타겟 기지국으로 측정결과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측정결과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기초정보를 이용하여 유효셀을 선택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한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하는 소스 기지국을 제공한다. 상기 소스 기지국은 단말에 설정된 부서빙셀(secondary serving cell)에 대한 제1 측정결과(measurement result)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소스(source)측 수신부, 상기 제1 측정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부서빙셀을 정렬하는 후보 셀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측정결과의 유효성(availability)을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기준(criteria)인 유효성 판단정보를 생성하는 상태정보 생성부, 및 상기 후보 셀 리스트 및 상기 유효성 판단정보를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소스측 전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소스 기지국에 의한 핸드오버 절차의 수행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수행방법은 단말에 설정된 부서빙셀에 대한 제1 측정결과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측정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부서빙셀을 정렬하는 후보 셀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측정결과의 유효성을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기준인 유효성 판단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후보 셀 리스트 및 상기 유효성 판단정보를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한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하는 타겟 기지국을 제공한다. 상기 타겟 기지국은 단말에 설정된 부서빙셀에 대한 측정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부서빙셀을 정렬하는 후보 셀 리스트, 및 상기 측정결과의 유효성을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기준인 유효성 판단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타겟측 수신부, 상기 후보 셀 리스트가 나타내는 부서빙셀의 상태 및 상기 유효셀 판단정보에 기반하여 유효셀을 결정하는 유효셀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유효셀을 지시하는 유효셀 리스트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수락 메시지를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타겟측 전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타겟 기지국에 의한 핸드오버 절차의 수행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수행방법은 단말에 설정된 부서빙셀에 대한 측정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부서빙셀을 정렬하는 후보 셀 리스트를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측정결과의 유효성을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기준인 유효성 판단정보를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후보 셀 리스트가 나타내는 부서빙셀의 상태 및 상기 유효셀 판단정보에 기반하여 유효셀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유효셀을 지시하는 유효셀 리스트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수락 메시지를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핸드오버시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은 핸드오버 이전에 서비스 제공 상황을 정확하게 알 수 있고, 이로 인해 핸드오버 직후에 최적의 부서빙셀을 단말에 설정해 줄 수 있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같은 밴드내(intra-band) 인접(contiguous) 반송파 집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은 같은 밴드내 비인접(non-contiguous) 반송파 집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같은 밴드간(inter-band) 반송파 집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다중 반송파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토콜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다중 반송파 동작을 위한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와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간의 연결설정(linkage)을 나타낸다.
도 8은 서빙셀(Serving Cell)과 인접셀(Neighbour Cell)의 개념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주서빙셀(Primary Serving Cell)과 부서빙셀(Secondary Serving Cell)의 개념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핸드오버의 수행방법을 개괄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측정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의 핸드오버 수행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소스 기지국의 핸드오버 수행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타겟 기지국의 핸드오버 수행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시나리오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설명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은 해당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관할하는 시스템(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거나, 해당 무선 네트워크에 결합한 단말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는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망 구조일 수 있다. E- UMTS 시스템은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이라고 할 수도 있다.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한편, 상기 무선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 FDMA(Single Carrier- FDMA),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E- UTRAN은 제어 평면(control plane)과 사용자 평면(user plane)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20;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단말(10; User Equipment, UE)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AMS(Advanced MS),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20)은 일반적으로 단말(10)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eNodeB(evolved- 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20)은 적어도 하나의 셀을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셀은 기지국(20)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리적 영역을 의미할 수도 있고, 특정 주파수 대역을 의미할 수도 있다. 기지국(20) 간에는 사용자 트래픽 혹은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도 있다. 소스 기지국(Source BS, 21)은 현재 단말(10)과 무선 베어러가 설정된 기지국을 의미하고, 타겟 기지국(Target BS, 22)은 단말(10)이 소스 기지국(21)과의 무선 베어러를 끊고 새롭게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해 핸드오버를 하려는 기지국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기지국(20)에서 단말(10)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10)에서 기지국(20)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는 순방향 링크(forward link)라고도 하며, 상향링크는 역방향 링크(reverse link)라고도 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20)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10)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10)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기지국(20)의 일부분일 수 있다.
기지국(20)들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는데, X2 인터페이스는 기지국(20)간의 메시지를 주고받는데 사용된다. 기지국(20)은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EPS(Evolved Packet System), 보다 상세하게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S-GW(Serving Gateway, 30)와 연결된다. S1 인터페이스는 기지국(20)과 MME/S-GW(30) 간에 다수-대-다수 관계(many-to-many-relation)를 지원한다. MME/S-GW(30)로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PDN-GW(40)이 사용된다. PDN-GW(40)는 통신의 목적이나 서비스에 따라 달라지며, 특정 서비스를 지원하는 PDN-GW(40)는 APN(Access Point Name) 정보를 이용하여 찾을 수 있다. 이러한 망구조(architecture)와 인터페이스는 3GPP TS23.401과 TS23.402를 기반으로 한다.
E-UTRAN 내(Inter E-UTRAN) 핸드오버(handover)는 E-UTRAN 접속망간의 핸드오버시에 사용되는 기본적인 핸드오버 메커니즘으로서, X2 기반의 핸드오버와 S1 기반의 핸드오버로 구성되어 있다. X2 기반의 핸드오버는 UE가 X2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소스 기지국(source BS, 21)에서 타겟 기지국(target BS, 22)로 핸드오버하고자 할 때 사용되며 이때 MME/S-GW(30)는 변경되지 않는다.
S1 기반의 핸드오버에 의해, P-GW(40), MME/S-GW(30), 소스 기지국(21) 및 단말(10)간에 설정되어 있던 제1 베어러가 해제(release)되고, P-GW(40), MME/S-GW(30), 타겟 기지국(22) 및 단말(10)간에 새로운 제2 베어러가 설정된다.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는 복수의 반송파를 지원하는 것으로서, 스펙트럼 집성 또는 대역폭 집성(bandwidth aggregation)이라고도 한다. 반송파 집성에 의해 묶이는 개별적인 단위 반송파를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이하 CC)라고 한다. 각 CC는 대역폭과 중심 주파수로 정의된다. 반송파 집성은 증가되는 수율(throughput)을 지원하고, 광대역 RF(radio frequency) 소자의 도입으로 인한 비용 증가를 방지하고,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 도입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5MHz의 대역폭을 갖는 반송파가 5개 할당된다면, 25Mhz의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는 것이다.
반송파 집성은 도 2와 같은 동작 밴드내(intra-band) 인접(contiguous) 반송파 집성, 도 3과 같은 동작 밴드내 비인접(non-contiguous) 반송파 집성, 그리고 도 4와 같은 동작 밴드간(inter-band) 반송파 집성으로 나뉠 수 있다.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밴드내 인접 반송파 집성은 동일 동작 밴드내에서 연속적인 CC들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집성되는 CC들인 CC#1, CC#2, CC#3, ... , CC#N이 모두 인접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밴드내 비인접 반송파 집성은 불연속적인 CC들 사이에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집성되는 CC들인 CC#1, CC#2는 서로 특정 주파수만큼 이격되어 분포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밴드간 반송파 집성은 다수의 CC들이 존재할 때, 그 중 하나 이상의 CC가 다른 주파수 대역상에서 집성되는 형태이다. 예를 들어, 집성되는 CC들인 CC #1은 동작 밴드(band) #1에 존재하고, CC #2는 동작 밴드 #2에 존재한다.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간에 집성되는 반송파들의 수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하향링크 CC 수와 상향링크 CC 수가 동일한 경우를 대칭적(symmetric) 집성이라고 하고, 그 수가 다른 경우를 비대칭적(asymmetric) 집성이라고 한다.
또한, CC들의 크기(즉 대역폭)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70MHz대역의 구성을 위해 5개의 CC들이 사용된다고 할 때, 5MHz CC(carrier #0) + 20MHz CC(carrier #1) + 20MHz CC(carrier #2) + 20MHz CC(carrier #3) + 5MHz CC(carrier #4)과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다중 반송파(multiple carrier) 시스템이라 함은,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인접 반송파 집성 및/또는 비인접 반송파 집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대칭적 집성 또는 비대칭적 집성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다중 반송파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토콜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공용 MAC(Medium Access Control) 개체(510)는 복수의 반송파를 이용하는 물리(physical) 계층(520)을 관리한다. 특정 반송파로 전송되는 MAC 관리 메시지는 다른 반송파에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MAC 관리 메시지는 상기 특정 반송파를 포함하여 다른 반송파들을 제어할 수 있는 메시지이다. 물리계층(520)은 TDD(Time Division Duplex) 및/또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로 동작할 수 있다.
물리계층(520)에서 사용되는 몇몇 물리 제어채널들이 있다. 물리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은 단말에게 PCH(paging channel)와 DL-SCH(downlink shared channel)의 자원 할당 및 DL-SCH와 관련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정보를 알려준다. PDCCH는 단말에게 상향링크 전송의 자원 할당을 알려주는 상향링크 그랜트(uplink grant)를 나를 수 있다.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는 단말에게 PDCCH들에 사용되는 OFDM 심벌의 수를 알려주고, 매 서브프레임마다 전송된다.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는 상향링크 전송의 응답으로 HARQ ACK/NAK 신호를 나른다.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은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HARQ ACK/NAK, 스케줄링 요청 및 CQI와 같은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나른다.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은 UL-SCH(uplink shared channel)을 나른다.
도 6은 다중 반송파 동작을 위한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개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서브프레임은 복수의 OFDM 심벌을 포함한다. 각 CC는 자신의 제어채널(예를 들어 PDCCH)를 가질 수 있다. CC는 서로 인접할 수도 있고, 인접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단말은 자신의 역량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C를 지원할 수 있다.
도 7은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와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간의 연결설정(linkage)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하향링크에서,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이하 DL CC) D1, D2, D2이 집성되어(aggregated) 있고, 상향링크에서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이하 UL CC) U1, U2, U3이 집성되어 있다. 여기서 Di는 DL CC의 인덱스이고, Ui는 UL CC의 인덱스이다(i=1, 2, 3).
FDD 시스템에서 DL CC와 UL CC는 1:1로 연결 설정되며, D1은 U1과, D2는 U2와, D3은 U3과 각각 1:1로 연결 설정된다. 단말은 논리채널 BCCH가 전송하는 시스템정보 또는 DCCH가 전송하는 단말전용 RRC메시지를 통해, 상기 DL CC들과 UL CC들간의 연결설정을 한다. 각 연결설정은 셀 특정하게(cell specific) 설정할 수도 있으며, 단말 특정하게(UE specific) 설정할 수도 있다.
DL CC에 연결 설정되는 UL CC의 예는 다음과 같다.
1) 기지국이 DL CC를 통하여 전송한 데이터에 대하여 단말이 ACK/NACK 정보를 전송할 UL CC,
2) 단말이 UL CC를 통하여 전송된 데이터에 대하여 기지국이 ACK/NACK 정보를 전송할 DL CC,
3) 기지국이 랜덤 액세스 절차를 시작하는 단말이 UL CC를 통하여 전송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Random Access Preamble; RAP)를 수신한 경우, 이에 대한 응답을 전송할 DL CC,
4) 기지국이 DL CC를 통하여 상향링크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상향링크 제어정보가 적용되는 UL CC 등이다.
도 7은 DL CC와 UL CC간의 1:1 연결설정만을 예시로 들었으나, 1:n 또는 n:1의 연결설정도 성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요소 반송파의 인덱스는 요소 반송파의 순서 또는 해당 요소 반송파의 주파수 대역의 위치에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도 8은 서빙셀(Serving Cell)과 인접셀(Neighbour Cell)의 개념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시스템 주파수 대역은 복수의 반송파 주파수(Carrier-frequency)로 구분된다. 여기서, 반송파 주파수는 셀의 중심 주파수(Center frequency of a cell)를 의미한다. 셀(cell)은 하향링크 주파수 자원과 상향링크 주파수 자원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셀은 하향링크 주파수 자원과 선택적인(optional) 상향링크 주파수 자원의 조합(combination)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CA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 하나의 셀(cell)은 상향 및 하향링크 주파수 자원이 항상 pair 로 존재한다.
여기서, 서빙셀(805)은 현재 단말이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셀을 의미한다. 인접셀은 서빙셀(805)과 지리적으로 또는 주파수 대역상에서 인접한 셀을 의미한다. 서빙셀(805)을 기준으로 동일한 반송파 주파수를 사용하는 인접셀을 주파수내 인접셀(Intra-frequency Neighbour Cell, 800, 810)이라 한다. 또한, 서빙셀(805)을 기준으로 상이한 반송파 주파수를 사용하는 인접셀을 주파수간 인접셀(Inter-frequency Neighbour Cell, 815, 820, 825)라고 한다. 즉, 서빙셀과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는 셀뿐만 아니라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는 셀로서, 서빙셀과 인접한 셀은 모두 인접셀이라 할 수 있다.
단말이 서빙셀에서 주파수내 인접셀(800, 810)로 핸드오버하는 것을 주파수내 핸드오버(Intra-frequency Handover)라 한다. 한편, 단말이 서빙셀에서 주파수간 인접셀(815, 820. 825)로 핸드오버하는 것을 주파수간 핸드오버(Inter-frequency Handover)라 한다.
특정 셀을 통하여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단말은 먼저 특정 셀 또는 CC의 설정(configuration)을 완료해야 한다. 여기서, 설정(configuration)이란 해당 셀 또는 CC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에 필요한 시스템 정보 수신을 완료한 상태를 의미한다.
일 예로, 상기 설정(configuration)은, 상기 데이터 송수신에 필요한 공통 물리계층 파라미터들, 또는 MAC 계층 파라미터들, 또는 RRC 계층에서 특정 동작에 필요한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전반의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설정 완료된 셀 또는 CC는, 패킷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는 시그널링 정보만 수신하면, 즉시 패킷의 송수신이 가능해지는 상태이다.
한편, 설정완료 상태의 셀은 활성화(Activation) 혹은 비활성화(Deactivation)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설정완료상태(Configuration) 상태를 활성화 및 비활성화 상태로 구분하는 이유는 활성화 상태일 때에만 단말이 제어채널(PDCCH) 및 데이터 채널(PDSCH)를 모니터링 혹은 수신하도록 함으로써 UE의 배터리(Battery)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설정 완료된 직후의 활성화와 관련된 초기상태는 비활성화이다.
활성화는 트래픽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이 행해지거나 준비 상태(ready state)에 있는 것을 말한다. 단말은 자신에게 할당된 자원(주파수, 시간 등일 수 있음)을 확인하기 위하여 활성화된 셀의 제어채널(PDCCH) 및 데이터 채널(PDSCH)을 모니터링 혹은 수신할 수 있다.
비활성화는 트래픽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이 불가능하고, 측정이나 최소 정보의 송신/수신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단말은 비활성화 셀로부터 패킷 수신을 위해 필요한 시스템 정보(SI)를 수신할 수 있다. 반면, 단말은 자신에게 할당된 자원(주파수, 시간 등일 수도 있음)을 확인하기 위하여 비활성화된 셀의 제어채널(PDCCH) 및 데이터 채널(PDSCH)을 모니터링 혹은 수신하지 않는다.
도 9는 주서빙셀(Primary Serving Cell)과 부서빙셀(Secondary Serving Cell)의 개념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주서빙셀(905)은 RRC 연결(establishment) 또는 재연결(re-establishment) 상태에서, 보안입력(security input)과 NAS 이동 정보(mobility information)을 제공하는 하나의 서빙셀을 의미한다. 단말의 성능(capabilities)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셀이 주서빙셀(905)과 함께 서빙셀의 집합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셀을 부서빙셀(920)이라 한다.
따라서, 하나의 단말에 대해 설정된 서빙셀의 집합은 하나의 주서빙셀(905)만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하나의 주서빙셀(905)과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920)로 구성될 수 있다.
주서빙셀(905)의 주파수내 인접셀(900, 910) 및/또는 부서빙셀(920)의 주파수내 인접셀(915, 925), 각각은 동일한 반송파 주파수에 속한다. 그리고, 주서빙셀(905)와 부서빙셀(920)의 주파수간 인접셀(930, 935, 940)은 상이한 반송파 주파수에 속한다.
주서빙셀(905)에 대응하는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를 하향링크 주요소 반송파(DL PCC)라 하고, 주서빙셀(905)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를 상향링크 주요소 반송파(UL PCC)라 한다. 또한, 하향링크에서, 부서빙셀(920)에 대응하는 요소 반송파를 하향링크 부요소 반송파(DL SCC)라 하고, 상향링크에서, 부서빙셀(920)에 대응하는 요소 반송파를 상향링크 부요소 반송파(UL SCC)라 한다.
PCC는 단말이 여러 CC 중에 초기에 단말과 접속(Connection 혹은 RRC Connection)을 이루게 되는 CC이다. PCC는 다수의 CC에 관한 시그널링을 위한 연결(Connection 혹은 RRC Connection)을 담당하고, 단말과 관련된 연결정보인 단말문맥정보(UE Context)를 관리하는 특별한 CC이다. 또한, PCC는 단말과 접속을 이루게 되어 RRC 연결상태(RRC Connected Mode)일 경우에는 항상 활성화 상태로 존재한다.
SCC는 PCC 이외에 단말에 할당된 CC로서, SCC는 단말이 PCC 이외에 추가적인 자원할당 등을 위하여 확장된 반송파(Extended Carrier)이며 활성화 혹은 비활성화 상태로 나뉠 수 있다. 주서빙셀(905)과 부서빙셀(920)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첫째, 주서빙셀(905)은 PUCCH의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
둘째, 주서빙셀(905)은 항상 활성화되어 있는 반면, 부서빙셀(920)은 특정 조건에 따라 활성화/비활성화되는 반송파이다.
셋째, 주서빙셀(905)이 무선링크실패(Radio Link Failure; 이하 RLF)를 경험할 때, RRC 재연결이 트리거링(triggering)되나, 부서빙셀(920)이 RLF를 경험할 때는 RRC 재연결이 트리거링되지 않는다.
넷째, 주서빙셀(905)은 보안키(security key) 변경이나 RACH(Random Access CHannel) 절차와 동반하는 핸드오버 절차에 의해서 변경될 수 있다. 단, MSG4 (contention resolution)의 경우, MSG4를 지시하는 PDCCH만 주서빙셀(905)를 통하여 전송되어야 하고 MSG4 정보는 주서빙셀(905) 또는 부서빙셀(920)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다섯째, NAS(non-access stratum) 정보는 주서빙셀(905)를 통해서 수신한다.
여섯째, 언제나 주서빙셀(905)는 DL PCC와 UL PCC가 페어(pair)로 구성된다.
일곱째, 각 단말마다 다른 CC를 주서빙셀(905)로 설정할 수 있다.
여덟째, 부서빙셀(920)의 재설정(reconfiguration), 추가(adding) 및 제거(removal)와 같은 절차는 RRC 계층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신규 부서빙셀(920)의 추가에 있어서, 전용(dedicated) 부서빙셀의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데 RRC 시그널링이 사용될 수 있다.
주서빙셀(905)과 부서빙셀(920)의 특징에 관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반드시 상기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예시일 뿐이고 더 많은 예를 포함할 수 있다.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가 하나의 서빙셀을 구성할 수도 있고,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와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가 연결설정되어 하나의 서빙셀을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만으로는 서빙셀이 구성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DL CC1과 UL CC1이 연결되어(linked) 주서빙셀(905)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DL CC2와 UL CC2가 연결되어 하나의 부서빙셀(920)을, DL CC3과 UL CC3이 연결되어 또 하나의 부서빙셀(920)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과 기지국간의 통신이 DL CC 또는 UL CC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은 단말과 기지국간의 통신이 서빙셀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과 동등한 개념이다. 예를 들어, 단말이 핸드오버에 수반된 측정(measurement)을 수행함에 있어서 CC에 대한 측정보고(measurement report)는 주서빙셀(905) 또는 부서빙셀(920)에 대한 측정보고와 동등한 개념으로 볼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통일성을 기하기 위하여 단말의 측정보고는 서빙셀에 대한 것임을 전제로 한다.
반송파 집성을 고려한 핸드오버에서는 주서빙셀(905)과 부서빙셀(920)가 동시에 고려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주서빙셀(902)이 동일한 기지국 내의 부서빙셀(920)로 변경되면 기지국(intra BS 혹은 intra eNB)내 핸드오버이고, 주서빙셀(905)이 다른 기지국 내의 특정 셀(920)로 변경되면 기지국 (inter BS 혹은 inter eNB)간 핸드오버이다.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의 서비스 상태가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한 후에도 지속되려면,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은 먼저 단말에 설정된 서빙셀, 특히 부서빙셀의 상태(state)를 파악해야 한다. 부서빙셀의 상태는 단말의 부서빙셀에 대한 측정(measurement)에 의해 가늠될 수 있다. 부서빙셀에 대한 측정의 척도는 예를 들어 참조신호 대 수신 파워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와 참조신호 대 수신 품질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RQ) 등이 있다.
부서빙셀의 상태가 파악되면, 소스 기지국 또는 타겟 기지국은 단말에 설정되기에 적합한 부서빙셀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소스 기지국에 연결되어 있고, 이때 단말에는 제1 및 제2 부서빙셀이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핸드오버에 의해 단말이 타겟 기지국에 연결될 때, 제2 부서빙셀의 채널상태가 현저히 저하되면 타겟 기지국은 제1 부서빙셀만을 선택하여 단말에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타겟 기지국이 단말에게 유효한(valid) 부서빙셀을 선택하려면 선택의 기초가 되는 자료들, 즉 정보요소(information element)들이 필요하다. 타겟 기지국은 이러한 정보요소들을 직접 획득하거나, X2 인터페이스를 통해(via)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정보요소는 핸드오버 절차에서 타겟 기지국이 단말에 대한 부서빙셀을 선택할 때 기반(basis)이 되는 정보이다. 정보요소들의 집합을 서비스 상태 정보(service state information)라고도 한다.
일 예로서, 정보요소는 후보 셀 리스트(candidate cell list)를 포함한다. 후보 셀 리스트는 소스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는 리스트이다. 후보 셀 리스트는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한 단말에 대해 설정될 수 있는 서빙셀을 지시한다. 후보 셀 리스트는 소정순서(specific order)에 따라 부서빙셀을 나열한다. 예를 들어, 측정결과가 좋은 순서대로 부서빙셀이 나열되거나, 나쁜 순서대로 부서빙셀이 나열될 수 있다. 후보 셀 리스트는 단순히 서빙셀만을 나열할 수도 있고, 나열된 서빙셀별 측정결과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정보요소는 소스 기지국에서의 서빙셀 사용 개수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로서, 정보요소는 단말 성능정보(UE capability)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로서, 정보요소는 평균 전송률(Maximum Term Average Throughput)을 포함한다.
표 1은 정보요소들의 일 예이다.
Element Description
Candidate Cell List information for Candidate Cells
and/or Measurement Results for Candidate Cells
The Number of CCs for SeNB The number of CCs which are used by SeNB
UE Capability available CCs (ex, number of CC, frequency for CC)
표 1을 참조하면, 서비스 상태 정보는 후보 셀 리스트, 소스 기지국에 대한 요소반송파 사용 개수, 단말의 성능정보 및 상기 후보 셀 리스트에 포함되는 CC의 정보 및 측정보고한 셀들에 대한 RSRP 또는 RSRQ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기지국은 후보 셀 리스트, 서빙셀 사용 개수, 단말 성능정보, 평균 전송률과 같은 정보요소들 전부 또는 일부를 타겟 기지국으로 전달한다. 이에, 타겟 기지국은 정보요소들을 종합적으로 참조하여, 후보 셀 리스트에 포함된 서빙셀들 중에서, 유효하게 단말에 설정될 수 있는 서빙셀을 결정할 수 있다. 이렇게 결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빙셀을 유효셀(available cell)이라 한다.
무선채널은 잡음 및 페이딩(fading)에 민감하므로, 서빙셀의 채널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보장이 없다. 이로 인해, 후보 셀 리스트가 전달되는 시점에 이미 채널상태는 변하여 후보 셀 리스트가 더 이상 정확한 채널상태를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후보 셀 리스트에 포함되는 서빙셀의 순서나 측정결과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 타겟 기지국이 비유효한 후보 셀 리스트를 기초로 유효셀을 결정하는 경우, 적합하지 않은 서빙셀을 단말에 설정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후보 셀 리스트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다시 말해, 타켓 기지국이 유효셀로 판단하여 단말을 위한 서빙셀로 선정하였으나 실제 서빙셀로 사용시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는 후보 셀 리스트 혹은 셀에 대한 품질을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측정결과가 항상 새로운 상태로 유지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상기 상황을 고려하여 후보 셀 리스트 혹은 셀에 대한 측정결과를 새로운 값으로 유지하거나 혹은 새로운 값을 획득하는 방식에 대하여 고려할 필요가 있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핸드오버의 수행방법을 개괄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여기서, 단말에는 서빙셀 A, B, C, D, E가 설정된다고 가정하자. A, B, C, D, E 중 어느 하나는 주서빙셀일 수 있고, 나머지는 부서빙셀들일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은 A 내지 E외에 더 많은 서빙셀들을 지원할 수도 있으나, 일 예로, 5개의 서빙셀들을 일 예로 든다.
도 10a를 참조하면, 단말은 기지국에 의해 정해진 방식에 따라 서빙셀들에 대하여 측정(measurement)을 수행한다(S1000). 측정은 단말의 측정부에서 수행된다고 할 때, 측정부는 도 10b와 같다.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측정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b를 참조하면, 측정부(1000)는 Layer 1 필터부(1005), Layer 2 필터부(1010) 및 보고 평가부(1015)를 포함한다.
Layer 1 필터부(1005)는 물리계층 수준에서의 필터링(filtering)에 의해 측정 샘플(measurement sample)을 획득하고, 이를 Layer 3 필터부(1010)로 보고한다. Layer 3 필터부(1010)는 보고받은 복수의 측정샘플들에 대해 RRC 설정 파라미터에 기반한 상위계층 수준에서의 필터링을 수행한다. 이로써 각 서빙셀별 제1 측정결과가 도출된다.
예를 들어, 제1 측정결과는 RSRP 또는 RSRQ이 될 수 있다. RSRP와 RSRQ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RSRP는 자원요소들의 전력기여(power contribution)에 대한 선형평균(linear average)으로서 구해진다. 여기서, 자원요소들은 고려되는 측정 주파수 대역폭내의 셀특정 기준신호를 운반한다. RSRP의 기준점(reference point)은 단말의 안테나 커넥터(antenna connector)이다. 한편, RSRQ는 수학식 1과 같이 RSRP와 수신신호 강도지시자(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간의 비율로서 정의된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N은 무선접속망의 반송파 RSSI 측정 대역폭의 자원요소들의 개수이다. 수학식 1에서 분자와 분모에 대한 측정은 동일한 자원블록의 집합에 대해 수행된다.
RSSI는 전체 수신 전력의 선형평균치를 포함한다. 전체 수신 전력은 측정 대역폭내의 기준심볼들을 포함하는 OFDM 심볼내에서만 관측되며, N개의 자원블록에 걸쳐서 얻어지는 값이다.
보고 평가부(1015)는 실제 측정보고가 필요한지 평가한다. 보고 평가부(1015)는 Layer 3 필터부(1010)에 의해 제공되는 측정결과들의 하나 이상의 플로우(flow)에 기반하여 평가한다. 보고 평가부(1015)는 적어도 매 새로운 측정결과가 Layer 3 필터부(1010)로부터 보고될 때마다 보고조건(reporting criteria)을 평가한다. 이러한 평가기준은 RRC 시그널링에 의해 주어질 수 있다.
다시 도 10a에서 소정의 이벤트(event)가 트리거링(triggering)되면, 단말은 서빙셀에 대한 제1 측정결과를 소스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005). 이를 측정보고(measurement report)라 한다. 제1 측정결과는 서빙셀에 대한 RSRP 또는 RSRQ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보고는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소스 기지국의 요청에 의해 비주기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소스 기지국은 단말에 측정된 부서빙셀에 대한 측정결과를 지속적으로 인지한다. 따라서 단말이 핸드오버를 해야하는 상황이라면, 소스 기지국은 측정결과로부터 단말의 핸드오버가 임박함을 인지할 수 있다.
소스 기지국은 제1 측정결과를 기반으로 후보 셀 리스트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제1측정 결과들은 상기 소스 기지국에 의해 유효하다고 판단된 결과값들로써, 상기 소스 기지국은 상기 제1 측정결과들로 구성된 후보 셀 리스트들을 타겟 기지국에 전송한다. 여기서, 유효성 판단의 일 예로, 기준 시간으로 판단하거나, 설정된 기준 값을 이용하여 판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보 셀 리스트에 포함된 측정결과가 만약 시간의 경과에 따라 후보 셀 리스트가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소스 기지국은 단말에게 다시 측정보고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측정 갱신 지시자(measurement update indicator)를 전송할 수 있다(S1010).
이때 측정 갱신 지시자는 물리계층 시그널링, MAC 메시지 또는 RRC 메시지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RRC 시그널링은, 서빙셀의 인덱스, 물리 셀 인덱스(PCI), 측정 객체 아이디(measurement object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측정 보고 요청(measurement report request) 메시지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물리 계층 시그널링은, 물리 하향 제어 채널(PDCCH)내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내에 정해진 비트를 이용하여 측정 보고 요청을 지시할 수 있다. 일 예로, 1비트를 이용하여, 0(측정 보고 요청 없음) 또는 1(측정 보고 요청)의 값을 이용하여 측정 보고 요청을 지시한다.
또한, MAC 시그널링은, 논리채널 식별자(Logical Channel ID: LCID)에 측정 보고 요청을 지시하는 서브헤더와, MAC 제어요소(Control Element: CE)내에 서빙셀에 대응하는 인덱스의 측정 보고 요청으로 설정한 비트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한다.
한편, 측정 갱신 지시자는 측정 설정정보(measurement configuration)이라 불릴 수도 있다. 상기에서 측정 설정정보(measurement configuration)는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측정 갱신 지시자를 수신하면, 단말은 측정 갱신 지시자를 수신한 후부터 현재까지 새롭게 도출된 각 서빙셀별 제2 측정결과를 소정의 이벤트 트리거에 의해 다시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측정보고를 수행한다(S1015). 측정보고가 트리거되는 이벤트의 종류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일 예로서, 인접셀의 측정결과값이 주서빙셀의 측정결과값과 비교하여, 어느 하나가 일정 오프셋만큼 크거나 작을 때 이벤트가 트리거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인접셀의 측정결과값이 부서빙셀의 측정결과값과 비교하여, 어느 하나가 일정 오프셋만큼 크거나 작을 때 이벤트가 트리거될 수도 있다.
모든 서빙셀에 대한 측정보고는 단말에 설정된 주서빙셀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부서빙셀, 제2 부서빙셀, 제3 부서빙셀, 제4 부서빙셀 단말에 설정되어 있다면 모든 부서빙셀에 대한 측정보고는 주서빙셀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각 부서빙셀에 대한 측정보고는 해당 부서빙셀을 통해 보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서빙셀에 대한 측정보고는 제1 부서빙셀을 통해, 제2 부서빙셀에 대한 측정보고는 제2 부서빙셀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단말은 측정보고를 수행할 때 다음과 같은 측정보고 관련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측정보고가 트리거된 측정ID(measID)에 대해, 측정보고 메시지에 포함된 측정결과들, 예를 들어 측정ID, 주서빙셀 측정결과(MeasResultPcell), 부서빙셀 측정결과(MeasResultScell), 서빙셀 주파수 리스트(measResultServFreqList)등을 설정한다. 이때, 주서빙셀 측정결과는 주서빙셀의 양적 측정결과, 예컨대 RSRQ, RSRP를 포함한다. 그리고, 측정ID는 측정보고를 트리거한 측정 식별자로 설정된다. 서빙셀 주파수 리스트는 부서빙셀 측정결과내에서 단말에 설정된 각 부서빙셀의 리스트로 설정된다.
한편, 보고될 적용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접셀이 존재하면, 단말은 측정보고 인접셀정보(measResultNeighCells)를 최대보고셀(maxReportCells)까지 가장 좋은 인접셀들을 포함시키도록 설정된다. 측정보고 인접셀정보는 물리 셀I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소스 기지국은 현재 단말에 설정된 부서빙셀에 대한 최신 측정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소스 기지국은 제2 측정결과를 토대로 새로운 후보 셀 리스트를 구성한다(S1020). 예를 들어, 후보 셀 리스트는 타겟 기지국에서의 주서빙셀 또는 부서빙셀이 될 수 있는 서빙셀을 지시할 수 있다. 여기서, 주서빙셀은 측정결과가 가장 우수한 성능의 서빙셀로 선정되거나, 시스템에서 단말을 위해 기설정해 놓은 서빙셀로 선정될 수 있다. 또한, 부서빙셀은 측정결과의 우선순위에 따라 후보 셀 리스트내에서의 나열 순서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보 셀 리스트는 탑다운(Top-Down) 방식에 따라 측정결과가 큰 셀부터 작은 셀의 순서로(decreasing order) 정렬되도록 구성되거나, 그 반대로 보텀업(Bottom-Up) 방식에 따라 측정결과가 작은 셀부터 큰 셀의 순서로(increasing order) 정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보 셀 리스트는 각 서빙셀에 대한 측정결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빙셀 A, B, C, D, E의 제2 측정결과가 표 2와 같이 주어진다고 가정하자. 여기서, 측정결과는 RSRP 또는 RSRQ와 같은 양적정보(quantities)로서, dB값일 수 있다.
측정결과(dB)
A 10
B 12
C 5
D 8
E 2
표 2를 참조하면, 탑다운 방식에 따라 서빙셀을 정렬하면 B>A>D>C>E이다. 따라서, 탑다운 방식에 따른 새로운 후보 셀 리스트는 표 3과 같다.
후보 셀 리스트 / 측정결과(dB)
Candidate CarrierFreq(CC) B = 12 dB
Candidate CarrierFreq(CC) A = 10 dB
Candidate CarrierFreq(CC) D = 8 dB
Candidate CarrierFreq(CC) C = 5 dB
Candidate CarrierFreq(CC) E = 2 dB
소스 기지국에 의한 새로운 후보 셀 리스트의 구성은 핸드오버 준비(handover preparation)과정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소스 기지국은 새로운 후보 셀 리스트를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025). 여기서, 새로운 후보 셀 리스트는 X2 인터페이스를 통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handover request message)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는 새로운 후보 셀 리스트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와는 별도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소스 기지국에서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후보 셀 리스트는, 상기 소스 기지국과 단말간의 RRC 시그널링 통해 정의된 해당 서빙셀에 대한 하향링크 중심 주파수의 값과 물리 셀 아이디(PCI)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소스 기지국은 유효성 판단정보(validity criteria information)를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030). 유효성 판단정보는 타겟 기지국이 후보 셀 리스트에서 지시되는 서빙셀의 측정결과의 유효성을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기준(criteria)을 제공하는 정보이다.
일 예로서, 유효성 판단정보는 기준시점으로부터의 절대경과시간정보(absolute elaped time inform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절대경과시간정보는 단말로부터 특정 서빙셀에 대한 측정결과를 얻은 시간으로부터 경과된 절대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대경과시간정보는 제1 부서빙셀에 대한 측정결과를 얻은 시간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이 10ms이고, 제2 부서빙셀에 대한 측정결과를 얻은 시간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이 5ms임을 알려준다. 따라서, 소스 기지국 또는 타겟 기지국은 절대경과시간정보를 통하여 단말로부터 상기 서빙셀에 대한 측정결과를 얻은 시간으로부터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한 상황인지 혹은 측정결과 값이 얼마 정도의 시간이 지난 값인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단순하게 시간정보(time inform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간정보는 단말로부터 상기 서빙셀에 대한 측정결과를 얻은 정확한 시각에 대한 정보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시간정보는 단말로부터 서빙셀에 대한 측정결과를 얻은 시각인 시, 분, 초(Hour, Minute, Sec)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 기지국 또는 타겟 기지국은 상기 시간정보를 통하여 단말로부터 서빙셀에 대한 측정결과를 얻은 시간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현재의 시간과 비교하여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한 측정결과인지 판단할 수 있다.
도 10a에서는 단계 S1030에서 유효성 판단정보가 후보 셀 리스트와 별개로 전송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유효성 판단정보는 후보 셀 리스트와 함께 전송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후보 셀 리스트와 유효성 판단정보는 표 4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후보 셀 리스트 / 측정결과(dB) 경과시간정보(ms)
Candidate CarrierFreq(CC) A = a dB 20
Candidate CarrierFreq(CC) B = b dB 10
Candidate CarrierFreq(CC) C = c dB 15
Candidate CarrierFreq(CC) D = d dB 25
Candidate CarrierFreq(CC) E = e dB 5
표 4를 참조하면, 서빙셀 A의 경과시간은 20ms, 서빙셀 B의 경과시간은 10ms이다. 여기서, 경과시간을 ms로 표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일 뿐 sec, 임의의 절대시간으로 표시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유효성 판단정보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 포함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유효성 판단정보는 핸드오버 이후에 어느 부서빙셀이 단말에 설정되기에 유효한지 또는 유효하지 않은지를 지시하는 유효 지시자(validity indic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기지국이 후보 셀 리스트를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하였는데, 소스 기지국이 단계 S1010, S1015와 같은 측정보고의 갱신을 수행한 결과 특정 부서빙셀이 핸드오버 이후에 부서빙셀로서 부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유효 지시자는 해당 부서빙셀이 유효하지 않음을 지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유효 지시자는 비트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표 4의 경우 단말에 5개의 부서빙셀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5비트로 구성될 수 있다. 각 비트는 하나의 부서빙셀에 대응되고, 비트가 0이면 해당 부서빙셀은 유효함을, 1이면 해당 부서빙셀이 유효하지 않음을 지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소스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서빙셀 관련 정보는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서빙셀 관련 정보는 소스 기지국에서 단말이 사용하고 있는 서빙셀 관련 주파수 정보를 포함한다. 서빙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타겟 기지국은 전송 받은 서빙셀들의 순서를 인지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A, B, C, D, E에 해당하는 중심 주파수의 서빙셀들에 대한 정보 A, B, C, D, E 순서로 타겟 기지국에서 수신하였다면 추후에 상기 서빙셀 들에 대한 유효 지시자가 비트맵으로 구성되어 전송될 때 상기 A, B, C, D, E 순서로 전송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서빙셀 들이 유효한지 여부에 대한 판단 기준으로 이용할 수 있다.
타겟 기지국은 유효성 판단정보를 기반으로 유효셀을 결정한다(S1035). 일 예로서, 유효성 판단정보가 경과시간정보인 경우를 가정하자. 부서빙셀에 관한 측정결과의 경과시간이 유효시간(valid time)보다 큰 경우, 타겟 기지국은 부서빙셀이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 유효셀로 결정하지 않는다. 반면, 부서빙셀에 관한 측정결과의 경과시간이 유효시간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타겟 기지국은 부서빙셀이 유효한 것으로 보고 유효셀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표 4에서 임계시간이 18ms이면 부서빙셀 A, D에 대한 측정결과의 경과시간은 각각 20ms, 25ms이어서 18ms보다 크므로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 따라서, 타겟 기지국은 부서빙셀 A, D는 단말에 대한 유효셀로 삼지 않는다.
임계시간에 관한 정보는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이 미리 알고 있는 정보일 수도 있고, 소스 기지국이 타겟 기지국으로 알려주는 정보일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소스 기지국은 유효성 판단정보에 유효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시켜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경과시간을 절대시간으로 예시하였으나, 경과시간은 상대시간일 수도 있다. 따라서 특정 시간 이전에 대한 정보는 사용하지 않기로 하는 등의 방식으로 타겟 기지국이 부서빙셀의 측정결과를 취사 선택할 수 있다.
타겟 기지국이 유효셀을 결정하는 절차는 타겟 기지국이 핸드오버 수락제어(handover admission control) 절차에 편승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의 절차는 도 10a에서 도시되지 않았으나, 다음과 같은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타겟 기지국은 핸드오버 수락 메시지(handover request ACK)를 소스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핸드오버 수락 메시지는 타겟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 유효셀의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타겟 기지국측에서 가용한 자원이 없어서 핸드오버 자원 할당(resource allocation)이 성공적이지 않은 경우, 타겟 기지국은 핸드오버 수락 메시지 대신 핸드오버 준비 실패(Handover Preparation Failure) 메시지를 소스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핸드오버 수락 메시지를 수신하면, 소스 기지국은 단말로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Handover Command Message)를 보냄으로써 핸드오버의 시작을 알린다.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말은 현재 접속한 소스 기지국과 접속을 종료하고, 타겟 기지국으로 접속하기 위한 과정을 시작한다. 소스 기지국은 소스 기지국에서 단말이 사용하던 문맥(context)을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단말은 타겟 기지국과의 접속을 위하여 제1 계층 및 제2 계층 관련 접속을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및 제2 계층 관련 접속 동작은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등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타겟 기지국과의 접속을 완료하고 패킷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의 핸드오버 수행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은 물리계층 수준에서의 필터링에 의해 측정 샘플을 획득하고, 복수의 측정샘플들에 대해 RRC 설정 파라미터에 기반한 상위계층 수준에서의 필터링을 수행함으로써 도출되는 각 서빙셀별 제1 측정결과를 소스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100). 제1 측정결과는 서빙셀에 대한 RSRP 또는 RSRQ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측정보고의 재수행을 지시하는 측정 갱신 지시자를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S1105). 측정 갱신 지시자는 물리계층 시그널링, MAC 메시지 또는 RRC 메시지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RRC 시그널링은, 서빙셀의 인덱스, 물리 셀 인덱스(PCI), 측정 객체 아이디(measurement object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측정 보고 요청(measurement report request) 메시지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물리 계층 시그널링은, 물리 하향 제어 채널(PDCCH)내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내에 정해진 비트를 이용하여 측정 보고 요청을 지시할 수 있다. 일 예로, 1비트를 이용하여, 0(측정 보고 요청 없음) 또는 1(측정 보고 요청)의 값을 이용하여 측정 보고 요청을 지시한다.
또한, MAC 시그널링은, 논리채널 식별자(Logical Channel ID: LCID)에 측정 보고 요청을 지시하는 서브헤더와, MAC 제어요소(Control Element: CE)내에 서빙셀에 대응하는 인덱스의 측정 보고 요청으로 설정한 비트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소스 기지국이 저장하는 부서빙셀에 대하나 측정결과는 항상 새로운 정보일 수는 없다. 측정결과는 일정 시간이 지나는 등의 이유에 의하여 더 이상 신뢰할 수 없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부서빙셀 관련 측정결과는 타겟 기지국이 유효셀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없고, 오히려 정확한 유효셀의 결정을 해칠 수 있다. 따라서 소스 기지국은 측정 갱신 지시자를 이용하여 최신의 측정결과를 획득한다.
측정 갱신 지시자를 수신하면, 단말은 측정 갱신 지시자를 수신한 후부터 현재까지 새롭게 도출된 각 서빙셀별 제2 측정결과를 다시 소스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110). 이로서, 소스 기지국은 현재 단말에 설정된 부서빙셀에 대한 최신 측정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핸드오버 준비가 완료되면, 단말은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를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S1115). 이로써 단말은 타겟 기지국으로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S1120).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소스 기지국의 핸드오버 수행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소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제1 측정결과를 수신한다(S1200). 만약, 제1 측정결과가 일정 시간이 지나는 등의 이유에 의하여 더 이상 신뢰할 수 없는 것이라고 판단되면, 소스 기지국은 측정 갱신 지시자를 단말로 전송한다(S1205). 이후, 소스 기지국은 제2 측정결과를 단말로부터 수신한다(S1210). 제1 및 제2 측정결과는 서빙셀에 대한 RSRP 또는 RSRQ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기지국은 제2 측정결과에 기반하여 후보 셀 리스트를 구성한다(S1215). 후보 셀 리스트는 타겟 기지국에서 유효셀로 뽑힐 가능성이 있는 부서빙셀들의 서열을 제공하는 리스트이다. 부서빙셀의 서열은 측정결과의 우선순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보 셀 리스트는 탑다운 방식에 따라 측정결과가 큰 부서빙셀부터 작은 부서빙셀의 순서로 정렬되도록 구성되거나, 그 반대로 보텀업 방식에 따라 측정결과가 작은 부서빙셀부터 큰 부서빙셀의 순서로 정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보 셀 리스트는 각 부서빙셀에 대한 측정결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스 기지국은 후보 셀 리스트를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220). 후보 셀 리스트는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사이의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소스 기지국은 유효성 판단정보를 구성하고, 유효성 판단정보를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225). 유효성 판단정보는 타겟 기지국이 후보 셀 리스트에서 지시되는 부서빙셀의 측정결과가 유효한지 판단하는 기준을 제공하는 정보이다. 일 예로서, 유효성 판단정보는 기준시점으로부터의 경과시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유효성 판단정보는 핸드오버 이후에 어느 부서빙셀이 단말에 설정되기에 유효한지 또는 유효하지 않은지를 지시하는 유효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후보 셀 리스트와 유효성 판단정보는 모두 서비스 상태정보로서 함께 소스 기지국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후보 셀 리스트와 유효성 판단정보는 소스 기지국이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타겟 기지국의 핸드오버 수행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타겟 기지국은 후보 셀 리스트를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S1300). 후보 셀 리스트는 타겟 기지국에서 단말에 설정될 유효셀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타겟 기지국은 유효성 판단정보를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S1305). 도 13에서는 후보 셀 리스트와 유효성 판단정보를 서로 다른 시점에 수신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후보 셀 리스트와 유효성 판단정보는 모두 하나의 서비스 상태정보에 포함되어 수신될 수도 있고,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어 수신될 수도 있다.
타겟 기지국은 유효셀을 결정한다(S1310). 유효셀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유효성 판단정보가 경과시간정보인 경우를 가정하자. 부서빙셀에 관한 측정결과의 경과시간이 유효시간보다 큰 경우, 타겟 기지국은 부서빙셀이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 유효셀로 결정하지 않는다. 반면, 부서빙셀에 관한 측정결과의 경과시간이 유효시간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타겟 기지국은 부서빙셀이 유효한 것으로 보고 유효셀로 결정한다. 유효시간에 관한 정보는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이 미리 알고 있는 정보일 수도 있고, 소스 기지국이 타겟 기지국으로 알려주는 정보일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소스 기지국은 유효성 판단정보에 유효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시켜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경과시간을 절대시간으로 예시하였으나, 경과시간은 상대시간일 수도 있다. 따라서 특정 시간 이전에 대한 정보는 사용하지 않기로 하는 등의 방식으로 타겟 기지국이 부서빙셀의 측정결과를 취사 선택할 수 있다.
유효셀을 결정하면, 타겟 기지국은 핸드오버 수락 메시지를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315). 핸드오버 수락 메시지는 유효셀을 지시하는 유효셀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시나리오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단계 1(STEP 1)에서 단말(1410)은 소스 기지국(1421, SeNB)에 접속한 상태이고, 단말(1410)에 설정된 CC는 CC1, CC2, CC3이다. 여기서, CC1은 주서빙셀에 대응되고, CC2, CC3은 각각 부서빙셀에 대응된다. 단말(1410)은 CC2, CC3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고, 각각의 측정결과를 주기적으로 혹은 소스 기지국(1421)의 요청에 의해 소스 기지국(1421)으로 전송한다.
측정결과에 기반할 때, 소스 기지국(1421)은 단말(1410)이 핸드오버가 필요함을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소스 기지국(1421)은 단계 2(STEP 2)에서 후보 셀 리스트와 유효성 판단정보를 구성한다. 후보 셀 리스트는 CC3, CC2의 순서로 정렬되고, 유효성 판단정보는 CC3, CC2 각각에 대한 경과시간정보인 10ms, 20ms를 포함한다.
후보 셀 리스트와 유효성 판단정보를 수신하면, 타겟 기지국(1422, TeNB)은 단계 3(STEP 3)에서 유효셀을 결정한다. 유효시간이 18ms라 할 때, CC2의 경과시간은 20ms로서 유효시간보다 크므로 타겟 기지국(1422)은 CC2에 대한 측정결과는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유효셀은 오직 CC3이다. 타겟 기지국(1422)은 주서빙셀에 대응하는 CC1 및 부서빙셀에 대응하는 CC3을 단말(1410)에 설정한다. 도 14에서는 주서빙셀이 유효성 판단대상에서 제외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일 뿐 주서빙셀도 부서빙셀과 마찬가지로 유효성 판단대상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타겟 기지국(1422)은 유효셀 CC3을 지시하는 유효셀 리스트를 소스 기지국(1221)으로 피드백할 수 있다. 단말(1410)은 타겟 기지국(1422)에 의해 결정된 유효셀 리스트에 따라, CC3을 RRC 재설정(Re-configuration)할 수 있다. 상기 상태에서 단말(1410)은 타겟 기지국(1422)으로부터 활성화 지시(Activation indication)을 수신하면 단말(1410)은 최종적으로 CC3으로부터 패킷을 수신할 수 있는 활성화 상태로 변경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단말, 소스 기지국 및 타겟 기지국의 블록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소스 기지국(SeNB, 1500)은 소스측 수신부(receiving unit at source side, 1505), 갱신정보 생성부(1510), 상태정보 생성부(1515) 및 소스측 전송부(transmitting unit at source side, 1520)를 포함한다.
소스측 수신부(1505)는 타겟 기지국(1550)으로부터 핸드오버 수락 메시지 등 핸드오버 절차에 관련된 상위계층 메시지를 수신한다. 또한, 소스측 수신부(1505)는 단말(1530)로부터 측정결과를 수신한다. 측정결과는 RSRQ 및 RSR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1530)은 도 10b의 측정부(10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측정 및 측정결과의 보고는 측정부(1000)에 의해 수행된다.
갱신정보 생성부(1510)는 측정 갱신 지시자를 생성 또는 구성한다. 측정 갱신 지시자는 측정결과의 갱신을 위해 소스 기지국(1500)이 단말(1530)에게 측정보고의 재수행을 지시하는 정보이며, 물리계층 시그널링, MAC 메시지 또는 RRC 메시지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갱신정보 생성부(1510)는 측정 갱신 지시자를 소스측 전송부(1520)로 보낸다.
일 예로, 갱신정보 생성부(1510)는, 서빙셀의 인덱스, 물리 셀 인덱스(PCI), 측정 객체 아이디(measurement object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RRC 계층의 측정 보고 요청(measurement report request) 메시지에 측정 갱신 지시자를 추가 생성할 수 있다.
한편, 갱신정보 생성부(1510)는, 물리 하향 제어 채널(PDCCH)내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내에 정해진 비트를 이용하여 측정 갱신 지시자를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1비트를 이용하여, 0(측정 보고 요청 없음) 또는 1(측정 보고 요청)의 값을 이용하여
또한, 갱신정보 생성부(1510)는, LCID에 측정 보고 요청을 지시하는 서브헤더와, MAC CE내에 서빙셀에 대응하는 인덱스의 측정 보고 요청으로 설정한 비트 정보를 생성한다.
상태정보 생성부(1515)는 정보요소들, 예를 들어 후보 셀 리스트, 소스 기지국에서의 서빙셀 사용 개수, 단말 성능정보, 평균 전송률(Maximum Term Average Throughput), 유효성 판단정보등과 같은 서비스 상태정보를 생성한다. 상태정보 생성부(1515)는 물리계층 신호, MAC 메시지 또는 RRC 메시지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특히 핸드오버 절차에 관련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태정보 생성부(1515)는 서비스 상태정보를 소스측 전송부(1520)로 보낸다.
소스측 전송부(1520)는 갱신정보 생성부(1510)로부터 받은 측정 갱신 지시자를 단말(1530)로 전송하고, 상태정보 생성부(1515)로부터 받은 후보 셀 리스트, 유효성 판단정보와 같은 서비스 상태정보를 타겟 기지국(1550)으로 전송한다.
타겟 기지국(1550)은 타겟측 수신부(receiving unit at target side, 1555), 유효셀 결정부(1560) 및 타겟측 전송부(transmitting unit at target side, 1565)를 포함한다.
타겟측 수신부(1555)는 소스 기지국(1500)으로부터 후보 셀 리스트, 유효성 판단정보와 같은 서비스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유효셀 결정부(1560)로 보낸다.
유효셀 결정부(1560)는 후보 셀 리스트가 나타내는 부서빙셀의 상태 및 유효셀 판단정보에 기반하여 유효셀을 결정한다.
일 예로서, 유효성 판단정보는 각 부서빙셀의 측정결과에 대한 경과시간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유효성 판단정보가 경과시간정보인 경우를 가정하자. 부서빙셀에 관한 측정결과의 경과시간이 유효시간보다 큰 경우, 유효셀 결정부(1560)는 부서빙셀이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 유효셀로 결정하지 않는다. 반면, 부서빙셀에 관한 측정결과의 경과시간이 유효시간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유효셀 결정부(1560)는 부서빙셀이 유효한 것으로 보고 유효셀로 결정한다.
다른 예로서, 유효성 판단정보는 핸드오버 이후에 어느 부서빙셀이 단말에 설정되기에 유효한지 또는 유효하지 않은지를 지시하는 유효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기지국이 후보 셀 리스트를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하였는데, 소스 기지국이 측정보고의 갱신을 수행한 결과 특정 부서빙셀이 핸드오버 이후에 부서빙셀로서 부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유효 지시자는 해당 부서빙셀이 유효하지 않음을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유효셀 결정부(1560)는 유효 지시자가 유효하다과 지시하는 부서빙셀들만을 유효셀로 결정할 수 있다.
타겟측 전송부(1565)는 유효셀 결정부(1560)에 의해 결정된 유효셀을 지시하는 유효셀 리스트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수락 메시지를 소스 기지국(1500)으로 전송한다.
상술한 모든 기능은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코딩된 소프트웨어나 프로그램 코드 등에 따른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과 같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코드의 설계, 개발 및 구현은 본 발명의 설명에 기초하여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켜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들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6)

  1.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한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하는 소스 기지국(source eNB)에 있어서,
    단말에 설정된 부서빙셀(secondary serving cell)에 대한 제1 측정결과(measurement result)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소스(source)측 수신부;
    상기 제1 측정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부서빙셀을 정렬하는 후보 셀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측정결과의 유효성(availability)을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기준(criteria)인 유효성 판단정보를 생성하는 상태정보 생성부; 및
    상기 후보 셀 리스트 및 상기 유효성 판단정보를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소스측 전송부를 포함하는 소스 기지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정결과를 갱신하기 위한 측정 갱신 지시자를 생성하는 갱신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소스측 전송부는 상기 측정 갱신 지시자를 상기 단말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기지국.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측 수신부는 상기 측정 갱신 지시자에 대한 응답으로 제2 측정결과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기지국.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 판단정보는 상기 제1 측정결과에 관한 기준시점으로부터 경과한 시간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기지국.
  5.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소스 기지국에 의한 핸드오버 절차의 수행방법에 있어서,
    단말에 설정된 부서빙셀에 대한 제1 측정결과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측정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부서빙셀을 정렬하는 후보 셀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측정결과의 유효성을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기준인 유효성 판단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후보 셀 리스트 및 상기 유효성 판단정보를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절차의 수행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정결과를 갱신하기 위한 측정 갱신 지시자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 갱신 지시자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절차의 수행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갱신 지시자에 대한 응답으로 제2 측정결과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절차의 수행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 판단정보는 상기 제1 측정결과에 관한 기준시점으로부터 경과한 시간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절차의 수행방법.
  9.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한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하는 타겟 기지국에 있어서,
    단말에 설정된 부서빙셀에 대한 측정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부서빙셀을 정렬하는 후보 셀 리스트, 및 상기 측정결과의 유효성을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기준인 유효성 판단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타겟측 수신부;
    상기 후보 셀 리스트가 나타내는 부서빙셀의 상태 및 상기 유효셀 판단정보에 기반하여 유효셀을 결정하는 유효셀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유효셀을 지시하는 유효셀 리스트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수락 메시지를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타겟측 전송부를 포함하는 타겟 기지국.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셀 판단정보는 상기 측정결과에 관한 기준시점으로부터 경과한 시간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 기지국.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셀 결정부는 상기 경과한 시간이 유효시간(valid time)보다 작으면 상기 부서빙셀을 상기 유효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 기지국.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셀 판단정보는, 상기 측정결과가 핸드오버 완료 후의 상기 단말에 관한 부서빙셀을 결정하는데 유효한지 유효하지 않은지를 지시하는 유효 지시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 기지국.
  13.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타겟 기지국에 의한 핸드오버 절차의 수행방법에 있어서,
    단말에 설정된 부서빙셀에 대한 측정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부서빙셀을 정렬하는 후보 셀 리스트를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측정결과의 유효성을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기준인 유효성 판단정보를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후보 셀 리스트가 나타내는 부서빙셀의 상태 및 상기 유효셀 판단정보에 기반하여 유효셀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유효셀을 지시하는 유효셀 리스트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수락 메시지를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절차의 수행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셀 판단정보는 상기 측정결과에 관한 기준시점으로부터 경과한 시간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절차의 수행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과한 시간이 유효시간보다 작을 경우 상기 부서빙셀은 상기 유효셀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절차의 수행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셀 판단정보는, 상기 측정결과가 핸드오버 완료 후의 상기 단말에 관한 부서빙셀을 결정하는데 유효한지 유효하지 않은지를 지시하는 유효 지시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절차의 수행방법.
KR1020110023085A 2011-03-15 2011-03-15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핸드오버의 수행장치 및 방법 KR2012010532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085A KR20120105327A (ko) 2011-03-15 2011-03-15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핸드오버의 수행장치 및 방법
PCT/KR2012/001875 WO2012124991A2 (en) 2011-03-15 2012-03-15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handover in 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085A KR20120105327A (ko) 2011-03-15 2011-03-15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핸드오버의 수행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5327A true KR20120105327A (ko) 2012-09-25

Family

ID=46831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3085A KR20120105327A (ko) 2011-03-15 2011-03-15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핸드오버의 수행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20105327A (ko)
WO (1) WO2012124991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77658A1 (ko) * 2012-11-19 2014-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측정 보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20140138003A (ko) * 2013-05-23 2014-12-03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랜 도움 정보의 유효성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91699B2 (en) * 2013-02-13 2018-10-02 Qualcomm Incorporated Handover decisions based on absolute channel quality of serving cell
GB2516463B (en) * 2013-07-23 2015-1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Layer 1 and layer 3 filtering of a received signal where a portion of the layer 3 filtering is based on a calculated gradient change
CN113330772B (zh) * 2019-05-09 2023-03-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测量上报方法、用户设备
US11800418B2 (en) * 2019-10-03 2023-10-24 Qualcomm Incorporated Conditional procedures for adding and/or changing a secondary node (SN)
CN116939683A (zh) * 2022-03-31 2023-10-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指示方法、指示获取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955B1 (ko) * 2008-11-12 2012-06-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반송파 구성원간의 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KR101136135B1 (ko) * 2008-11-21 2012-04-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반송파 집합 환경에서의 기지국간 핸드오버 장치
KR20100102561A (ko) * 2009-03-11 2010-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핸드 오버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595983B1 (ko) * 2009-04-28 2016-02-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반송파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77658A1 (ko) * 2012-11-19 2014-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측정 보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10021584B2 (en) 2012-11-19 2018-07-10 Lg Electronics Inc. Reporting bandwidth measurements by a wireless device for cell reselection
KR20140138003A (ko) * 2013-05-23 2014-12-03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랜 도움 정보의 유효성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24991A3 (en) 2012-12-20
WO2012124991A2 (en) 201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818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handover in 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
US10925018B2 (en) Method and wireless device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power
EP2777207B1 (en) Channel spacing determination for carrier aggregation
KR20120010645A (ko)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핸드오버의 수행장치 및 방법
US8842564B2 (en) Method and devices for a communication system
JP5059062B2 (ja) 通信システム、移動局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EP3217701A1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method
US8811351B2 (en) Method for measuring channel quality information on a downlink multi-carri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carrier aggregation
US2013025900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wireless connection re-establishment in a 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
JP2017519400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測定ギャップを構成する方法及び装置
CN105684496A (zh) 用于报告无线电链路问题的方法及其装置
KR20120136867A (ko)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동기의 수행장치 및 방법
US202003147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rrier aggregation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20105327A (ko)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핸드오버의 수행장치 및 방법
WO2014142512A1 (en) Method for performing measurement of objects and a device therefor
US2013018264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tivating a component carrier in a 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
EP3306983A1 (en) Frequency-hopping method, terminal, and base station
KR2017002798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캐리어 병합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4048770A1 (en) Component carrier (de)activation in communication systems using carrier aggregation
EP417093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rrier aggregation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635568B2 (ja) 通信システム、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