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5113A - 온라인 학습촉진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학습촉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5113A
KR20120105113A KR1020110022696A KR20110022696A KR20120105113A KR 20120105113 A KR20120105113 A KR 20120105113A KR 1020110022696 A KR1020110022696 A KR 1020110022696A KR 20110022696 A KR20110022696 A KR 20110022696A KR 20120105113 A KR20120105113 A KR 20120105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
learning
learning promotion
communication network
vir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2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분녀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동성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동성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동성학원
Priority to KR1020110022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5113A/ko
Publication of KR20120105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51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학습촉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일반 유저와 강사 등과 같은 구성원들이 동일한 주제에 대한 프로젝트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정 가상교실을 통하여 서로의 의견을 나누거나 강의를 듣거나 하는 포럼을 구성하여 이에 대한 결과물을 가상공간에 등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온라인 학습촉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다수의 일반 유저가 웹상의 가상 교실에서 원격강좌와 같은 공통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온라인을 통한 효율적인 프로젝트 참가와 이를 통한 학습의지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온라인 학습촉진시스템{Online Learning Management AND Facilitation System Server}
본 발명은 온라인 학습촉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일반 유저와 강사 등과 같은 구성원들이 동일한 주제에 대한 프로젝트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정 가상교실을 통하여 서로의 의견을 나누거나 강의를 듣거나 하는 포럼을 구성하여 이에 대한 결과물을 가상공간에 등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온라인 학습촉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와 전자통신기술의 진보에 따라 원거리 상의 가입자 단말기들을 다양한 데이터 통신망으로 통합하는 작업이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으며, 각각의 데이터 통신망은 각각 원거리에 이격된 다수의 웹사이트 및 그 웹사이트의 웹서버를 통하여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소망하는 정보를 송수신하게 되고 있다.
이에 전통적인 학교나 학원에서의 강의가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하여 온라인 강의 형태로 불리는 웹상의 서버 클라이언트 구조로 형성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웹상의 온라인 강의의 경우 거의 일방향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정 강의를 수강하는 유저(USER)의 경우 동일 강의를 수강하는 다른 유저와의 커뮤니티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이 경우 특정 강의가 아니라 유저들간의 의견 조율과 정보 교환를 통한 특정 문제(주제)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해나가는 프로젝트 형태와 같은 포럼을 형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 언급된 온라인 강의 형태의 경우 단순한 문자 채팅(chatting) 기능을 제공하여 제한된 커뮤니티를 형성하고자 하지만 특정 주제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지기에는 큰 제한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의 일반 유저가 웹상의 가상 교실에서 원격강좌와 같은 공통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일반 유저와 강사 등과 같은 구성원들이 동일한 주제에 대한 프로젝트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정 가상교실을 통하여 서로의 의견을 나누거나 강의를 듣거나 하는 포럼을 구성하여 이에 대한 결과물을 가상공간에 등록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온라인을 통한 효율적인 프로젝트 참가와 이를 통한 학습의지를 촉진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학습촉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상 교실을 개설하여 프로젝트별 강좌를 진행할 수 있도록 중개 및 지원을 수행하고, 종료 프로젝트 및 상기 종료 프로젝트에 대한 결과물에 대하여 검색 가능하게 주제별 분류하여 등록시키는 학습촉진 웹사이트가 설치된 관리서버와; 사용자가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학습촉진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게 하고, 상기 학습촉진 웹사이트에 존재하는 다양한 가상 교실과 프로젝트에 대한 검색을 실행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웹사이트에 개설된 참여 희망 가상 교실 또는 특정 프로젝트에 대하여 참여를 위한 신상정보 및 작업물의 등록과 게시를 행할 수 있게 하는 사용단말기와; 운영자가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학습촉진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웹사이트에 신규 프로젝트 등록 및 상기 신규 프로젝트에 참여할 사용자들의 가상공간인 가상교실의 등록을 행할 수 있게 하고, 상기 가상교실에서 게시될 강의 동영상을 등록시킬 수 있게 하는 운영단말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촉진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사용단말기 및 운영단말기 각각은, 서로 간의 문자, 음성, 화상의 멀티미디어 채팅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사용단말기와 운영단말기 서로 간의 커뮤니티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촉진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촉진시스템은 다수의 일반 유저가 웹상의 가상 교실에서 원격강좌와 같은 공통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온라인을 통한 효율적인 프로젝트 참가와 이를 통한 학습의지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학습촉진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학습촉진시스템을 이용한 B-Learning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학습촉진시스템을 이용한 웨비나의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각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온라인 학습촉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일반 유저와 강사 등과 같은 구성원들이 동일한 주제에 대한 프로젝트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정 가상교실을 통하여 서로 간의 의견을 나누거나 강의를 듣거나 하는 포럼을 구성하여 이에 대한 결과물을 가상공간에 등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온라인 학습촉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살펴보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학습촉진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학습촉진시스템을 이용한 B-Learning의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학습촉진시스템을 이용한 웨비나의 흐름도이다.
도 1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학습촉진시스템은 크게 일반 유저들이 접속하는 사용단말기(100), 강사 등이 접속하는 운영단말기(200) 그리고 상기 사용단말기(100) 및 운영단말기(200) 각각이 접속하는 가상교실 등을 포함하는 학습촉진 웹사이트를 관리하며 가상 교실을 개설하여 프로젝트별 강좌를 진행할 수 있도록 중개 및 지원을 수행하는 관리서버(300)로 구성된다.
상기 사용단말기(100)는 특정 청강이나 프로젝트의 참가를 희망하는 학생과 같은 일반 유저가 사용하는 것으로서, 통상의 테이터망인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관리서버(300)에 위치하는 학습촉진 웹사이트에 접속한다.
또한, 일반 유저는 사용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상기 학습촉진 웹사이트에 개설된 가상 교실 및 특정 프로젝트의 참여를 위한 신상정보 및 작업물의 등록과 게시한다. 또한, 일반 유저의 요청으로 사용단말기(100)는 관리서버(300)의 학습촉진 웹사이트에 존재하는 다양한 가상 교실과 프로젝트에 대한 검색을 실행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모니터와 같은 포함된 주변기기를 통해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한편, 운영단말기(200)는 통상 강의나 프로젝트의 주요 진행 주체가 되는 강사 등과 같은 진행자들이 사용하는 것으로서,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관리서버(300)에 위치하는 학습촉진 웹사이트에 접속한다.
또한, 상기 학습촉진 웹사이트에 특정 주제에 대한 강의나 신규 프로젝트 등록을 수행하며, 상기 신규 프로젝트나 강의 등에 참여할 사용자들-일반 유저와 강사의 가상공간인 가상교실의 등록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가상교실에서 게시될 강의 동영상을 등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리서버(300)는 가상 교실을 개설하여 프로젝트별 강좌를 진행할 수 있도록 중개 및 지원을 수행한다. 그리고 사용단말기(100)로부터 전달받은 신상정보를 일반 유저나 강사진이 검색 가능하게 등록시킨다. 다만, 상기 일반 유저의 경우 제한된 신상정보만을 검색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종료된 프로젝트나 상기 종료 또는 진행 중과 같은 프로젝트에 대한 결과물에 대하여 검색 가능하게 주제별 분류하여 등록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일반 유저와 강사 등과 같은 구성원들이 동일한 주제에 대한 프로젝트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정 가상교실을 통하여 서로의 의견을 나누거나 강의를 듣거나 하는 포럼을 구성하여 이에 대한 결과물을 가상공간에 등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사용단말기(100) 및 운영단말기(200) 각각은, 서로 간의 문자, 음성, 화상의 멀티미디어 채팅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사용단말기(100)와 운영단말기(200) 서로 간의 커뮤니티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학습촉진 웹사이트의 경우 공지된 공개키 기반의 보안 서비스를 기반으로 사용자들의 개인키를 손쉽게 관리하도록 하여 강력한 보안 솔루션을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사용자들은 안전하게 학습촉진 웹사이트 상에서 프로젝트를 참가 또는 참관하고 이에 대한 성과물을 안전하게 공유, 교환, 저장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학습촉진시스템의 경우 다양한 사용 형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에 간단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학습촉진시스템의 경우, 근래 학습 시스템 시장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개념인 B-Learning(Blended Learning)과 웨비나(Webina)를 실현하는 툴(TOOL)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B-Learning(Blended Learning)이란 이전 e-Learning이 산업교육계의 주된 관심사로 대두된 2-3년 이후, 온라인 뿐인 e-Learning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오프라인 교육과 온라인 교육을 접목시키려는 다양한 시도가 산업교육 및 대학 교육 기관에서 이루어져 왔으며, Blended Learning의 의미를 살펴보면 급격한 경영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현장의 성과개선을 목적으로 학습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비용 효과적으로 두 가지 이상의 다양한 학습전략과 학습방법 및 기술들을 결합하여 학습 환경을 최적화하는 전략적 학습과정을 말한다.
여기서 Blended라는 의미는 교육적인 차원의 전통적 교육과 온라인 교육의 합성이라는 공간차원의 연계뿐만 아니라 다양한 차원의 영역으로 활용할 수 있다. 즉 학습의 주체에 따라 Self-directed Learning과 Group-based Learning의 연계, 시간개념에 따라 동시간(synchronous)과 비동시간(asynchronous)의 연계, 콘텐츠간의 통합을 의미한다. 학습개체간의 모듈 통합, 각종 전통적인 교육방법 내에서의 통합, 다양한 기술의 통합, 교육 참가자간의 통합(학습자 - 강사, 학습자 - 학습자, 학습자 - Tool) 등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웨비나(Webina)는 웹(Web)과 세미나(seminar)의 합성어로 웹 사이트에서 행해지는 실시간 혹은 녹화의 양방향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 스트리밍 오디오에 의한 보고, 스트리밍 비디오를 통한 보고자의 영상, 보고자 패널, 실시간처럼 질의 답변을 보여줄 대화 세션, 전체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슬라이드, 보고자와 청중이 그림을 그릴 수 있는 백판(whiteboard), 청중이 보고자에 말할 수 있는 마이크와 PC 카메라, 보고자와의 회의 전화 등으로 구성된다. 간혹 ‘Webcast’ 라고도 한다.
상술한 B-Learning와 웨비나의 개념을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학습촉진시스템에 적용시키는 경우를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3 각각을 참고하여 보면, B-Learning 교실의 경우 먼저, 강사 또는 정해진 운영자가 운영단말기(통상의 범용 컴퓨터의 경우 웹 브라우저)를 통해 학습촉진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프로젝트를 등록하고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한 프로젝트 가상 교실을 개설하여 일반 유저(이용자, 학생, 전문가)를 개설된 프로젝트 방에 배치시켜서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강사(운영자)와 일반 유저들, 일반 유저들간, 강사들 상호 간에 메시지 공지가 가능하도록 지원하며, 1:1 상담 등의 기능을 탑재하여 지원할 수 있다.
일반 유저는 프로젝트 수행에 참가하기 위해 특정 프로젝트 교실에 참가할 수 있으며, 그리고 다른 프로젝트 방을 참관할 수도 있다. 또한, 자신의 프로젝트 결과물을 관리서버에 업로드 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젝트의 전문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외부 전문가나 강사의 동료, 교수자 등을 일반 유저로 초청하여 프로젝트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특히, 웹 상에서의 커뮤니티, 웹 포럼 개설, 원격 강의 개설, 게시판, 공지기능, 정보 교류를 위한 홈페이지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유저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함은 당연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한 예를 위주로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는 동일한 목적 및 효과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을 것이다.
100 : 사용단말기
200 : 운영단말기
300 : 관리서버

Claims (2)

  1. 가상 교실을 개설하여 프로젝트별 강좌를 진행할 수 있도록 중개 및 지원을 수행하고, 종료 프로젝트 및 상기 종료 프로젝트에 대한 결과물에 대하여 검색 가능하게 주제별 분류하여 등록시키는 학습촉진 웹사이트가 설치된 관리서버와;
    사용자가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학습촉진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게 하고, 상기 학습촉진 웹사이트에 존재하는 다양한 가상 교실과 프로젝트에 대한 검색을 실행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웹사이트에 개설된 참여 희망 가상 교실 또는 특정 프로젝트에 대하여 참여를 위한 신상정보 및 작업물의 등록과 게시를 행할 수 있게 하는 사용단말기와;
    운영자가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학습촉진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웹사이트에 신규 프로젝트 등록 및 상기 신규 프로젝트에 참여할 사용자들의 가상공간인 가상교실의 등록을 행할 수 있게 하고, 상기 가상교실에서 게시될 강의 동영상을 등록시킬 수 있게 하는 운영단말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촉진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단말기 및 운영단말기 각각은,
    서로 간의 문자, 음성, 화상의 멀티미디어 채팅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사용단말기와 운영단말기 서로 간의 커뮤니티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촉진시스템.
KR1020110022696A 2011-03-15 2011-03-15 온라인 학습촉진시스템 KR201201051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696A KR20120105113A (ko) 2011-03-15 2011-03-15 온라인 학습촉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696A KR20120105113A (ko) 2011-03-15 2011-03-15 온라인 학습촉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5113A true KR20120105113A (ko) 2012-09-25

Family

ID=47112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2696A KR20120105113A (ko) 2011-03-15 2011-03-15 온라인 학습촉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511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9080A (ko) 2018-06-07 2019-12-17 (주)제로엑스플로우 목표달성을 위한 개인화커리큘럼제공장치 및 방법
KR102527866B1 (ko) * 2022-12-09 2023-04-28 황지섭 산업용 장비의 교육을 위한 딥러닝 콘솔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9080A (ko) 2018-06-07 2019-12-17 (주)제로엑스플로우 목표달성을 위한 개인화커리큘럼제공장치 및 방법
KR102527866B1 (ko) * 2022-12-09 2023-04-28 황지섭 산업용 장비의 교육을 위한 딥러닝 콘솔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theeswari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n education
Alelaiwi et al. Enhanced engineering education using smart class environment
Wang et al. Use of the webinar tool (Elluminate) to support training: The effects of webinar-learning implementation from student-trainers’ perspective
Sherer et al. Using online video to support student learning and engagement
Chen et al. A model for synchronous learning using the Internet
Wang et al. Online synchronous language learning: SLMS over the Internet
Farhana et al. Secondary education during lockdown situation due to COVID-19 pandemic in Bangladesh: Teachers’ response on online classes
De Freitas et al. Pedagogic strategies supporting the use of Synchronous Audiographic Conferenc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Khoshsima et al. Online teachers’ attitudes toward using technology in teach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Yusuf et al. Assessment of the Availability, Utilization and Management of ICT Facilities in Teaching English Language in Secondary Schools in Kaduna State, Nigeria.
Kohorst et al. Virtual office hours using a tablet PC: E‐lluminating biochemistry in an online environment
Rugube et al. Promoting interactivity in online learning–Towards the achievement of high-quality online learning outcomes
Kozaris Platforms for e-learning
Ma et al. Ubiquitous learning for distance education students: The experience of conducting real-time online library instruction programs through mobile technology
Kh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n higher education
KR20120105113A (ko) 온라인 학습촉진시스템
Flatley Teaching the virtual presentation
Creelman et al. Webinars as active learning arenas
Quinn et al. Online synchronous audio and video environments for education, training, and human service delivery: A review of three products
Helmold et al. New work in education and teaching
Raman et al. Skype in the English language classroom
Lubua Exploring the Opportunities for Integrating New Digital Technologies in Tanzania’ s Classrooms
Wang et al. Embedding virtual meeting technology in classrooms: Two case studies
Okoro Application of Zoom E-learning Management System in Business Education in Universities Nigeria
Diyal et al. Integration of ICT at Secondary Level Sch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