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4839A - 무선랜 일체형 펨토셀 기지국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랜 일체형 펨토셀 기지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4839A
KR20120104839A KR1020110022483A KR20110022483A KR20120104839A KR 20120104839 A KR20120104839 A KR 20120104839A KR 1020110022483 A KR1020110022483 A KR 1020110022483A KR 20110022483 A KR20110022483 A KR 20110022483A KR 20120104839 A KR20120104839 A KR 20120104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module
femtocell
wlan
base station
antenn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2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4722B1 (ko
Inventor
김창영
김대은
박진효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2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722B1/ko
Publication of KR20120104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4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35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4L49/351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local area network [LAN], e.g. Ethernet swit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60Software-defined switches
    • H04L49/604Hybrid IP/Ethernet swit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32Hierarchical cell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랜(Wireless LAN) 일체형 펨토셀(Femtocell) 기지국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서로 다른 주파수 블록(Frequency Allocation: FA)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펨토셀 통신 모듈과 무선랜 통신 모듈을 펨토셀 기지국 장치 내에 모두 포함함으로써,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유저에게 이동통신 서비스와 무선랜 통신 서비스를 모두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랜 일체형 펨토셀 기지국 장치{FEMTOCELL BASE STATION WITH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무선랜(Wireless LAN) 일체형 펨토셀(Femtocell) 기지국 장치가 개시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서로 다른 주파수 블록(Frequency Allocation: FA)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펨토셀 통신 모듈과 무선랜 통신 모듈을 펨토셀 기지국 장치 내에 모두 포함함으로써,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유저에게 이동통신 서비스와 무선랜 통신 서비스를 모두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모바일 통신이 단순한 모바일 유저들에게 음성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서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쪽으로 발전함에 따라 모바일 환경에서 더 많은 대역폭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데이터 사용 증가에 따른 해결책으로 주파수 재사용률을 높여 데이터 전송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초소형 기지국의 도입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초소형 기지국의 도입과 관련하여 펨토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펨토셀은 실내 유선 IP망에 연결된 초소형 기지국(Access Point: AP)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자유롭게 유무선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통신 기술로 옥내 중계기를 통하지 않고, 기지국에서 교환기로 이동통신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통신사업자는 네트워크 구축비용 절감, 주파수 부하 감소, 통화품질 향상이라는 세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을 수 있으며, 사용자 측면에서도 기지국이 설치된 실내에서는 저렴한 비용으로 음성 및 데이터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세대 통신기술로 주목 받고 있다.
또한, 최근 스마트 폰(smart phone)과 태블릿(tablet) PC와 같은 다양한 기기에 무선랜 모듈이 탑재됨에 따라 무선랜을 통한 통신 서비스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펨토셀이나 무선랜 통신은 보통 건물 등과 같이 한정된 공간 내에서 유저를 서비스하는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따라서, 건물 내에서 펨토셀과 무선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펨토셀 기지국과 무선 AP의 설치가 수반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동일한 공간 내에서 펨토셀과 무선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별도의 펨토셀 기지국 장치와 무선 AP를 설치하는 것은 공간 사용이나 장비 구현의 측면에서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펨토셀 기지국과 무선 AP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기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서로 다른 FA를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펨토셀 통신 모듈과 무선랜 통신 모듈을 펨토셀 기지국 장치 내에 모두 포함함으로써,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유저에게 이동통신 서비스와 무선랜 통신 서비스를 모두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일체형 펨토셀 기지국 장치는 서로 다른 FA를 이용하여 단말을 서비스하는 적어도 하나의 펨토셀 통신 모듈, 상기 단말에 대해 무선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랜 통신 모듈,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펨토셀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단말과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1 안테나부, 상기 무선랜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단말과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2 안테나부 및 공통 이더넷(Ethernet)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펨토셀 통신 모듈 및 상기 무선랜 통신 모듈에 대한 동시 지원을 보조하는 이더넷 스위치 모듈을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랜 일체형 펨토셀 기지국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펨토셀 통신 모듈 각각에서 출력되는 서로 다른 FA의 송신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제1 안테나부로 전달하는 컴바이너 및 상기 제1 안테나부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 신호를 상기 서로 다른 FA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수신 신호로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수신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 신호의 FA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펨토셀 통신 모듈에 전달하는 디바이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더넷 스위치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펨토셀 통신 모듈 및 상기 무선랜 통신 모듈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공인(Public) IP(Internet Protocol)의 할당을 지원하는 2계층 스위치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펨토셀 통신 모듈 및 상기 무선랜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모듈에 대해 공인 IP를 할당하고, 다른 하나의 통신 모듈에 대해 상기 공인 IP를 기초로 생성된 사설(Private) IP의 할당을 지원하는 3계층 스위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랜 통신 모듈은 상기 제1 안테나부를 통해 출력되는 송신 신호에 의한 간섭을 제거하는 채널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랜 일체형 펨토셀 기지국 장치는 상기 제1 안테나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분리하는 제1 듀플렉서 및 상기 제2 안테나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분리하는 제2 듀플렉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서로 다른 FA를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펨토셀 통신 모듈과 무선랜 통신 모듈을 펨토셀 기지국 장치 내에 모두 포함함으로써,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유저에게 이동통신 서비스와 무선랜 통신 서비스를 모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펨토셀 기지국 장치 내에 펨토셀 통신 모듈과 무선랜 통신 모듈을 모두 포함시킴으로써, 펨토셀 기지국과 무선 AP를 각각 설치함에 따라 발생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랜 서비스와 펨토셀 통신 서비스를 위해 각각 필요한 백홀(Backhaul)을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나의 장치 내에 무선랜 통신 모듈과 펨토셀 통신 모듈을 모두 포함시켜 상기 두 모듈을 동시에 제어함으로써, 무선 AP와 펨토셀 기지국이 상호 간의 간섭에 대한 고려 없이, 일정 공간 상에 임의로 설치될 때 발생하는 간섭 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일체형 펨토셀 기지국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일체형 펨토셀 기지국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랜 일체형 펨토셀 기지국 장치(110)는 적어도 하나의 펨토셀 통신 모듈(111, 112), 무선랜 통신 모듈(113), 제1 안테나부(114) 및 제2 안테나부(115, 116)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펨토셀 통신 모듈(111, 112)는 서로 다른 FA를 이용하여 단말을 서비스한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펨토셀 통신 모듈 1(111)은 1FA를 지원함으로써, 상기 1FA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을 서비스할 수 있고, 펨토셀 통신 모듈 2(112)는 2FA를 지원함으로써, 상기 2FA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을 서비스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펨토셀 통신 모듈(111, 112) 각각은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에어 인터페이스(Air Interface)를 제공하는 단일 입출력(Single Input Single Output: SISO) 형태의 RF(Radio Frequency) 포트(port)와 백홀(Backhaul) 인터페이스 용 이더넷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랜 통신 모듈(113)은 상기 단말에 대해 무선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1 안테나부(114)는 적어도 하나의 펨토셀 통신 모듈(111, 112)을 통해 상기 단말과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제2 안테나부(115, 116)는 무선랜 통신 모듈(113)을 통해 상기 단말과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랜 통신 모듈(113)은 제1 안테나부(114)를 통해 출력되는 송신 신호에 의한 간섭을 제거하는 간섭 필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랜 일체형 펨토셀 기지국 장치(110)는 컴바이너(Combiner)(117) 및 디바이더(Divider)(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컴바이너(117)는 적어도 하나의 펨토셀 통신 모듈(111, 112) 각각에서 출력되는 서로 다른 FA의 송신 신호를 결합하여 제1 안테나부(114)로 전달한다.
예컨대, 펨토셀 통신 모듈 1(111)에서 1FA의 송신 신호가 출력되고, 펨토셀 통신 모듈 2(112)에서 2FA의 송신 신호가 출력된다고 가정하자.
이때, 컴바이너는 펨토셀 통신 모듈 1(111)에서 출력되는 상기 1FA의 송신 신호와 펨토셀 통신 모듈 2(112)에서 출력되는 상기 2FA의 송신 신호를 결합하여 제1 안테나부(114)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1 안테나부(114)는 상기 결합된 송신 신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디바이더(118)는 제1 안테나부(114)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펨토셀 통신 모듈(111, 112)이 지원하는 상기 서로 다른 FA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수신 신호로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수신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 신호의 FA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펨토셀 통신 모듈(111, 112)에 전달한다.
예컨대, 펨토셀 통신 모듈 1(111)은 1FA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고, 펨토셀 통신 모듈 2(112)에서 2FA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한다고 가정하자.
이때, 제1 안테나부(114)를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 신호가 수신되면, 디바이더(118)는 상기 수신 신호를 펨토셀 통신 모듈 1(111)과 펨토셀 통신 모듈 2(112)가 지원하는 FA에 기초하여 1FA의 수신 신호 및 2FA의 수신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디바이더(118)는 상기 분리된 1FA의 수신 신호를 펨토셀 통신 모듈 1(111)에 전달할 수 있고, 상기 분리된 2FA의 수신 신호를 펨토셀 통신 모듈 2(112)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컴바이너(117)와 디바이더(118)는 적어도 하나의 펨토셀 통신 모듈(111, 112)의 개수가 증가하여 적어도 하나의 펨토셀 통신 모듈(111, 112)이 지원 가능한 FA의 수가 많아지는 경우, 상기 FA의 수에 따라 송신 신호의 결합 및 수신 신호 분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랜 일체형 펨토셀 기지국 장치(110)는 제1 안테나부(114)와 연결이 가능한 RF 포트(port)(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랜 일체형 펨토셀 기지국 장치(110)는 내부적으로 패치(patch) 안테나를 내장할 수 있어서, 상기 RF 포트가 오픈(open)된 상태에서는 상기 내장된 패치 안테나를 통해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비스가 가능하다.
또한, 무선랜 일체형 펨토셀 기지국 장치(110)는 상기 RF 포트에 제1 안테나부(114)가 연결되면, 상기 내장된 패치 안테나와의 연결이 끊어지고, 제1 안테나부(114)를 통해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랜 일체형 펨토셀 기지국 장치(110)는 이더넷 스위치 모듈(1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백홀 인터페이스 용 이더넷 인터페이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펨토셀 통신 모듈(111, 112) 및 무선랜 통신 모듈(113) 등 다수의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이더넷 스위치 모듈(119)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더넷 스위치 모듈(119)은 공통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펨토셀 통신 모듈(111, 112) 및 무선랜 통신 모듈(113)에 대한 동시 지원을 보조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더넷 스위치 모듈(119)은 일반적으로 인트라넷이나 인터넷에서 널리 사용되는 2계층(Layer 2) 스위치 또는 3계층(Layer 3) 스위치와 기능적으로 유사하며, 모듈의 형태로 무선랜 일체형 펨토셀 기지국 장치(110)에 내장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더넷 스위치 모듈(119)은 2계층 스위치 모듈(120) 및 3계층 스위치 모듈(121)을 포함할 수 있다.
2계층 스위치 모듈(120)은 적어도 하나의 펨토셀 통신 모듈(111, 112) 및 무선랜 통신 모듈(113)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공인 IP의 할당을 지원한다.
3계층 스위치 모듈(121)은 적어도 하나의 펨토셀 통신 모듈(111, 112) 및 무선랜 통신 모듈(113)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모듈에 대해 공인 IP를 할당하고, 다른 하나의 통신 모듈에 대해 상기 공인 IP를 기초로 생성된 사설 IP의 할당을 지원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랜 일체형 펨토셀 기지국 장치(110)의 운용자는 설치 및 IP 환경에 따라 2계층 스위치 모듈(120) 또는 3계층 스위치 모듈(121)의 동작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펨토셀 통신 모듈(111, 112)과 무선랜 통신 모듈(113)이 정상적인 동작을 위해서 공인 IP가 필요하다면, 상기 운용자는 2계층 스위치 모듈(120)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펨토셀 통신 모듈(111, 112)과 무선랜 통신 모듈(113)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공인 IP를 할당할 수 있다.
반면에, 적어도 하나의 펨토셀 통신 모듈(111, 112)과 무선랜 통신 모듈(113)이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환경에서도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하다면, 상기 운용자는 3계층 스위치 모듈(121)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펨토셀 통신 모듈(111, 112)과 무선랜 통신 모듈(113)에 복수의 공인 IP를 할당하는 대신, 어느 하나의 통신 모듈에 공인 IP를 할당하고, 상기 할당된 공인 IP를 기초로 생성된 사설 IP를 다른 하나의 통신 모듈에 할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랜 일체형 펨토셀 기지국 장치(110)는 제1 듀플렉서(Duplexer)(122) 및 제2 듀플렉서(123, 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듀플렉서(122)는 제1 안테나부(114)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분리한다.
제2 듀플렉서(123, 124)는 제2 안테나부(115, 116)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분리한다.
결국,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일체형 펨토셀 기지국 장치(110)는 적어도 하나의 펨토셀 통신 모듈(111, 112)과 무선랜 통신 모듈(113)을 장치 내에 모두 포함함으로써,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유저에게 이동통신 서비스와 무선랜 통신 서비스를 모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무선랜 일체형 펨토셀 기지국 장치
111, 112: 적어도 하나의 펨토셀 통신 모듈
113: 무선랜 통신 모듈
114: 제1 안테나부
115, 116: 제2 안테나부
117: 컴바이너 118: 디바이더
119: 이더넷 스위치 모듈
120: 2계층 스위치 모듈
121: 3계층 스위치 모듈
122: 제1 듀플렉서
123, 124: 제2 듀플렉서

Claims (5)

  1. 서로 다른 주파수 블록(Frequency Allocation: FA)을 이용하여 단말을 서비스하는 적어도 하나의 펨토셀 통신 모듈;
    상기 단말에 대해 무선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랜 통신 모듈;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펨토셀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단말과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1 안테나부;
    상기 무선랜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단말과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2 안테나부; 및
    공통 이더넷(Ethernet)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펨토셀 통신 모듈 및 상기 무선랜 통신 모듈에 대한 동시 지원을 보조하는 이더넷 스위치 모듈
    을 포함하는 무선랜 일체형 펨토셀 기지국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펨토셀 통신 모듈 각각에서 출력되는 서로 다른 FA의 송신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제1 안테나부로 전달하는 컴바이너; 및
    상기 제1 안테나부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 신호를 상기 서로 다른 FA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수신 신호로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수신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 신호의 FA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펨토셀 통신 모듈에 전달하는 디바이더
    를 더 포함하는 무선랜 일체형 펨토셀 기지국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더넷 스위치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펨토셀 통신 모듈 및 상기 무선랜 통신 모듈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공인(Public) IP(Internet Protocol)의 할당을 지원하는 2계층 스위치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펨토셀 통신 모듈 및 상기 무선랜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모듈에 대해 공인 IP를 할당하고, 다른 하나의 통신 모듈에 대해 상기 공인 IP를 기초로 생성된 사설(Private) IP의 할당을 지원하는 3계층 스위치 모듈
    을 포함하는 무선랜 일체형 펨토셀 기지국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통신 모듈은
    상기 제1 안테나부를 통해 출력되는 송신 신호에 의한 간섭을 제거하는 채널 필터를 포함하는 무선랜 일체형 펨토셀 기지국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분리하는 제1 듀플렉서; 및
    상기 제2 안테나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분리하는 제2 듀플렉서
    를 더 포함하는 무선랜 일체형 펨토셀 기지국 장치.
KR1020110022483A 2011-03-14 2011-03-14 무선랜 일체형 펨토셀 기지국 장치 KR101794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483A KR101794722B1 (ko) 2011-03-14 2011-03-14 무선랜 일체형 펨토셀 기지국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483A KR101794722B1 (ko) 2011-03-14 2011-03-14 무선랜 일체형 펨토셀 기지국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4839A true KR20120104839A (ko) 2012-09-24
KR101794722B1 KR101794722B1 (ko) 2017-11-08

Family

ID=47112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2483A KR101794722B1 (ko) 2011-03-14 2011-03-14 무선랜 일체형 펨토셀 기지국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472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7930A2 (en) * 2013-03-15 2014-11-06 Powerwave Technologies S.A.R.L. Low profile high performance integrated antenna for small cell base station
CN104869533A (zh) * 2015-04-30 2015-08-26 京信通信技术(广州)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的方法及微微基站
KR20150116552A (ko) * 2014-04-07 2015-10-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합 기지국 및 단말
KR20160050654A (ko) * 2014-10-30 2016-05-1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전송로 연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7395528A (zh) * 2017-08-30 2017-11-24 湖南恒茂高科股份有限公司 智能交换机
CN107483060A (zh) * 2017-07-25 2017-12-15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射频电路、天线装置及电子设备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7930A2 (en) * 2013-03-15 2014-11-06 Powerwave Technologies S.A.R.L. Low profile high performance integrated antenna for small cell base station
WO2014177930A3 (en) * 2013-03-15 2015-03-05 Powerwave Technologies S.A.R.L. Low profile high performance integrated antenna for small cell base station
US10333210B2 (en) 2013-03-15 2019-06-25 Intel Corporation Low profile high performance integrated antenna for small cell base station
US10985453B2 (en) 2013-03-15 2021-04-20 Intel Corporation Low profile high performance integrated antenna for small cell base station
US11682832B2 (en) 2013-03-15 2023-06-20 Intel Corporation Low profile high performance integrated antenna for small cell base station
KR20150116552A (ko) * 2014-04-07 2015-10-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합 기지국 및 단말
KR20160050654A (ko) * 2014-10-30 2016-05-1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전송로 연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4869533A (zh) * 2015-04-30 2015-08-26 京信通信技术(广州)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的方法及微微基站
CN107483060A (zh) * 2017-07-25 2017-12-15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射频电路、天线装置及电子设备
CN107483060B (zh) * 2017-07-25 2020-01-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射频电路、天线装置及电子设备
CN107395528A (zh) * 2017-08-30 2017-11-24 湖南恒茂高科股份有限公司 智能交换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4722B1 (ko) 2017-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92883B2 (ja) 統合アクセス・バックホールド・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適合レイヤ・セットアップ及び構成
US8750883B2 (en) Communication network method and apparatus including macro base station and femto base station
US20180324813A1 (en) Radio resource manager devices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s
US10772093B2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EP3537750B1 (en)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101794722B1 (ko) 무선랜 일체형 펨토셀 기지국 장치
JP5763767B2 (ja) 再配置可能な無線ノードおよびマクロセル無線アクセスポイントとの協同動作方法
US9425914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lay deployment in a TDD communication network
JP2014533061A (ja) 適応フレキシブル帯域幅無線システム
EP2630769A1 (en) Network control
JP7002570B2 (ja) 統合アクセスシステム、構成方法、およびベースバンドユニット
US9942896B2 (en) Allocating resources of an unlicens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among multiple operator networks for carrier aggregation
CN101316374A (zh) Td-scdma家庭基站路由器
JP2015522231A (ja) スペクトル割り当て方法および装置
US11672049B2 (en) Radio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101954226B1 (ko) 기지국 장비, 자원 관리 방법 및 데이터 처리 방법
JP2017511094A (ja) 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EP2612529B1 (en) Methods for coordinating channel scanning among base stations in a non-trunked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8897230B2 (en) Cascaded base station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17000254A1 (en) Fast and flexible deployment of user equipment-based relay
KR20120084936A (ko) 기지국 섹터 확장 시스템 및 방법
KR101548464B1 (ko)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KR101695342B1 (ko) 펨토셀 기지국 장치
KR20120096794A (ko) 중계기 통합형 펨토 시스템 및 상기 중계기 통합형 펨토 시스템의 통신 방법
KR20150085553A (ko) 스몰 셀 구성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