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4657A - A lecture camera system using moving sensors - Google Patents

A lecture camera system using moving senso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4657A
KR20120104657A KR1020110022182A KR20110022182A KR20120104657A KR 20120104657 A KR20120104657 A KR 20120104657A KR 1020110022182 A KR1020110022182 A KR 1020110022182A KR 20110022182 A KR20110022182 A KR 20110022182A KR 20120104657 A KR20120104657 A KR 20120104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sensing
instructor
camera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21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67700B1 (en
Inventor
이돈원
이종한
Original Assignee
(주)컴버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컴버스테크 filed Critical (주)컴버스테크
Priority to KR1020110022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7700B1/en
Publication of KR20120104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46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7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66Tracking systems us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lecture filming system using a sensor is provided to prevent the movement detection of students by detecting the movement of a lecturer from a down side using a sensor. CONSTITUTION: A sensing unit(10)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s(11). A sensing direction of each sensing sensor faces to the down side of a ceiling(43). A left and right rotatable camera films a platform area(40). A control unit receives the sensing result of the sensor.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location of a lecturer. The control unit matches the filming direction of camera with the detected location of the lecturer.

Description

감지센서를 이용한 강의촬영 시스템 { A lecture camera system using moving sensors }A lecture camera system using moving sensors

본 발명은 강단영역의 천장 또는 벽면에 다수의 감지센서를 설치하고, 강단영역 내의 강사의 위치를 추적하여 카메라로 강의를 촬영하는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nsor-based lecture recording system for installing a plurality of sensors on the ceiling or wall of the lecturing zone, and tracking the position of the instructor in the lecturing zone to take a lecture with a camera.

특히, 본 발명은 강단영역의 벽면 상단 또는 하단의 가로방향으로 감지센서를 설치하되, 감지센서의 센싱방향을 전면 하방 또는 전면 상방으로 향하게 설치하는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nsor-based lecture photography system for installing the senso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top or bottom of the wall of the pulverized area, the sensing direction of the sensor is installed to face downward or upward.

일반적으로 온라인 강의 또는 교육용 강의 콘텐츠는 강사가 실제 강의하는 내용을 녹화하여 제작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강사의 강의 내용의 영상을 녹화한 교육용 영상 콘텐츠는 최근 인터넷이 발달되고 인터넷 사용자가 늘면서 서버를 통해 사용자에게 교육용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이 발달되고 있다.In general, online lectures or educational lecture contents are often produced by recording actual lectures by instructors. In particular, the educational video contents recorded video of the lecture contents of the lecturer has recently been developed a method of providing the educational video content to the user through the server as the Internet has developed and the number of Internet users.

강사의 강의 내용의 영상을 녹화하기 위하여, 강사가 강의를 실시하는 강의실 내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카메라의 조작이 능숙한 카메라 촬영 기사가 강의를 녹화한다. 촬영기사는 강사의 움직임에 따라 강사를 줌 인(zoom in) 또는 줌 아웃(zoom out)하고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하면서 강사를 촬영하여 강의 내용의 영상을 녹화하였다.In order to record the video of the lecturer's lecture, a camera is installed in the lecture room where the lecturer lectures, and a camera photographer who is skilled at operating the camera records the lecture. The photographers zoomed in or zoomed out according to the instructor's movement and recorded the lecturer by recording the lecturer while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camera.

이러한 종래의 강의 촬영 방법은 강사의 강의 내용을 촬영하기 위해 카메라의 조작이 능숙한 촬영 기사를 반드시 필요로 하였고, 강사의 움직임에 따라 촬영 기사가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하면서 촬영하여야 한다. 따라서 강의 내용을 촬영하는 촬영 기사는 매우 분주하게 카메라를 수동으로 조작하면서 촬영하여야만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Such a conventional method of photographing a lecture requires a photographer who is skilled at operating a camera in order to photograph lecture contents of a lecturer, and the photographer must take a picture while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camera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lecturer. Therefore, the photographer who shoots the lecture contents had to be very inconvenient to shoot while manually operating the camera.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자동으로 강사를 추적하여 강의를 촬영하는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 그 일례가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04-0107954호(2004.12.23공개), "자동 강사 추적시스템 및 추적 방법"](이하 선행기술 1이라고 함)에 제시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echniques for automatically taking a lecture and tracking a lecturer have been proposed. An example thereof is present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107954 (published on December 23, 2004), "Automatic Trainer Tracking System and Tracking Meth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도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 1은 강단의 한쪽면에 일정한 높이와 일정한 간격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강사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100); 줌인/줌아웃 기능과 틸팅, 패닝 동작이 가능하여 제어명령에 따라 강사를 추적하면서 촬영할 수 있는 비디오 카메라(300); 및 센서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강사 위치로 비디오 카메라를 이동시키는 컨트롤러(200)로 구성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As shown in Figure 1a, the prior art 1 is a plurality of sensors 100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instructor is arranged in a row at a constant height and a constant interval on one side of the platform; A video camera 300 capable of zoom-in / zoom-out, tilting, and panning to capture and track an instructor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And a controller 200 that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and moves the video camera to the corresponding instructor position.

한편, 상기 선행기술 1에 의하면, 다수의 센서들은 적외선 감지센서들로 구성된다. 적외선 감지센서들은 발광부와 수광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발광부를 통하여 적외선을 전방으로 발사하고 발사된 적외선이 물체로부터 반사된 적외선을 수광부로 수광함으로써 물체를 감지한다. 감지거리는 조정볼륨을 통하여 강단의 전후 폭을 감안하여 대략 1.5m 이내로 조정된다. 또한, 강단의 우측 또는 좌측에 교탁이 설치된 경우에는 교탁이 감지되지 않도록 대응하는 센서들의 감지거리를 조정하여 세팅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ior art 1, a plurality of sensors are composed of infrared sensor. The infrared sensors detect an object by forming a light emitting unit and a light receiving unit integrally to emit infrared rays forward through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o receive infrared rays reflected from the object to the light receiving unit. The sensing distance is adjusted within about 1.5m by considering the front and rear width of the platform through the adjusting volume. In addition, when the table is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r the left side of the platform, the sensing distance of the corresponding sensors is set so that the table is not detected.

즉,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센서(100)는 통상 칠판(420)의 하단 위치에 설치되어, 전방을 향해 물체 여부를 감지한다. 즉, 강사(510)가 있으면, 강사를 물체로 감지한다. 센서(100)의 감지거리가 길면, 수강생(520)이나 교탁(450)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센서들의 감지거리를 조정한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1b, the sensor 100 is usually installed at the lower position of the blackboard 420, and detects whether the object toward the front. That is, if there is an instructor 510, the instructor is detected as an object. If the sensing distance of the sensor 100 is long, the student 520 or the table 450 may be sensed. To prevent this, adjust the sensing distance of the sensors.

그러나 일반적인 센서는 감지거리를 정확하게 조절하는 것이 어렵다. 정확한 감지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는 고가이므로,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교탁(450) 등의 위치는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강단(450)의 위치가 변경될 때마다 각 센서(100)의 감지거리를 조절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However,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sensing distance accurately with the general sensor. Since the sensor for measuring the accurate sensing distance is expensiv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st is high. In addition, since the position of the table 450 may be different, there is a hassle to adjust the sensing distance of each sensor 100 each time the position of the platform 450 is changed.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강단영역의 천장 또는 벽면에 다수의 감지센서를 설치하고, 강단영역 내의 강사의 위치를 추적하여 카메라로 강의를 촬영하는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nstall a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on the ceiling or wall of the pulpit area, the sensor-based lecture to take a lecture with a camera to track the position of the instructor in the pulpit area To provide a shooting system.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강단영역의 벽면 상단 또는 하단의 가로방향으로 감지센서를 설치하되, 감지센서의 센싱방향을 전면 하방 또는 전면 상방으로 향하게 설치하는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nsor-based lecture shooting system to install the senso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top or bottom of the wall of the pulverized area, the sensing direction of the sensor toward the front downward or front upward.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감지센서를 일렬로 배열하여 설치하되, 감지센서에 가로방향의 직각방향으로 차단막을 설치하는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nsor-based lecture photography system that is installed by arranging the sensor sensors in a row, the barrier film in the horizont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nsor senso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강단영역 내의 강사의 위치를 추적하여 카메라로 촬영하는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강단영역의 천장에 가로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감지센서를 구비하고, 각 감지센서는 감지방향을 상기 천장의 아래방향으로 향하게 설치되는 센싱부; 좌우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강단영역 내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감지결과를 수신하여 강사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검출된 강사 위치에 맞추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nsor-based lecture recording system that tracks the position of the instructor in the lecturing zone and shoots it with a camera, and includes a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arranged in a transverse direction on the ceiling of the pulpit zone. Each sensor is a sensing unit installed to face the direction of the detection downward; A camera capable of rotating left and right and photographing the inside of the pulverized area; And a control unit for detecting a position of the instructor by receiving a detection result from the detection sensor, and adjusting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camera to the detected instructor position.

또한, 본 발명은 강단영역 내의 강사의 위치를 추적하여 카메라로 촬영하는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강단영역의 벽면 상단에 가로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방향을 상기 강단영역의 전면의 하방으로 향하게 하는 센싱부; 좌우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강단영역 내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감지결과를 수신하여 강사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검출된 강사 위치에 맞추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nsor-based lecture recording system for tracking the position of the instructor in the lecturing zone and photographing with a camera, comprising a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top of the wall of the lecturing zone, the detection sensor A sensing unit for directing a sensing direction of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pulverized region; A camera capable of rotating left and right and photographing the inside of the pulverized area; And a control unit for detecting a position of the instructor by receiving a detection result from the detection sensor, and adjusting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camera to the detected instructor position.

또한, 본 발명은 강단영역 내의 강사의 위치를 추적하여 카메라로 촬영하는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강단영역의 벽면 하단에 가로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방향을 상기 강단영역의 전면의 상방으로 향하게 하는 센싱부; 좌우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강단영역 내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감지결과를 수신하여 강사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검출된 강사 위치에 맞추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nsor-based lecture recording system that tracks the position of the instructor in the lecturing zone and photographs with a camera, and includes a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the bottom of the wall of the lecturing zone. A sensing unit for directing a sensing direction of the upward direc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pulverized region; A camera capable of rotating left and right and photographing the inside of the pulverized area; And a control unit for detecting a position of the instructor by receiving a detection result from the detection sensor, and adjusting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camera to the detected instructor position.

또, 본 발명은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감지되는 감지센서의 위치를 강사 위치로 판단하되, 2개 이상의 인접한 감지센서에서 감지되면 인접한 감지센서들의 평균위치를 강사 위치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nsor-based lecture photography system,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detected sensor as the instructor position, if detected by two or more adjacent sensing sensors determine the average position of the adjacent sensing sensors as the instructor 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또, 본 발명은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의 둘레에 차단막이 설치되되, 상기 차단막은 상기 천장의 가로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nsor-based lecture photography system, the barrier is installed around the sensor, the barrier is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ceiling.

또, 본 발명은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성하되, 길이가 긴 면이 상기 천장의 가로방향과 직각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nsor-based lecture photography system, the barrier film is configured in a rectangular shap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ng side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ceiling.

또, 본 발명은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차단막과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nsor-based lecture recording system, the senso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integrally with the blocking film.

또, 본 발명은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의 감지센서들은 하나의 열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nsor-based lecture recording system, the sensing sensor of the sens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a single interval at a single row.

또, 본 발명은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적외선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nsor-based lecture photography system, the sens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rared sensor or ultrasonic sensor.

또, 본 발명은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의 센싱방향은 지표면을 기준으로 -30도 내지 -90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nsor-based lecture shooting system, the sensing direction of the sensor is characterized in that within -30 degrees to -90 degrees relative to the ground surface.

또, 본 발명은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의 센싱방향은 지표면을 기준으로 30도 내지 90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nsor-based lecture photography system, the sensing direction of the sensor is characterized in that within 30 to 90 degrees relative to the ground surfac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에 의하면, 감지센서를 천장에 설치하여 아랫방향으로 강사의 움직임을 검출함으로써, 강단영역에 가까이 앉은 수강생들의 움직임이 검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정확한 강사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ensor-based lecture recor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the sensor on the ceiling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instructor downward, to prevent the movement of the students sitting close to the pulpit area to be detected The effect of tracking the exact position of the instructor is obtain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에 의하면, 감지센서의 센싱방향을 전면 하방 또는 전면 상방으로 향하게 설치함으로써, 감지센서의 감지거리를 조절하지 않고도 보다 정확한 강사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ensor-based lecture recor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the sensing direction of the sensor toward the front downward or front upward, it is possible to track the position of the instructor more accurately without adjusting the sensing distance of the sensor Effect is obtain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에 가로방향의 직각방향으로 차단막을 설치함으로써, 감지센서의 감지범위를 보다 세밀하게 설정하여 정확한 강사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In addition, by installing a blocking film in the horizont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nso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by setting the detection range of the sensor in more detail can be obtained the effect of tracking the position of the correct instructor.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센싱기반 강사추적 시스템의 일례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개략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감지센서의 감지에 의해 강사위치를 검출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와 6은 종래기술에 의한 감지센서의 지향각에 따른 감지영역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감지센서의 차단막의 구성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감지센서의 감지영역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와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개략도 및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센싱부 11 : 감지센서
20 : 제어부 30 : 카메라
40 : 강단영역 41 : 벽면
42 : 칠판 43 : 천장
44 : 바닥 45 : 교탁
51 : 강사 60 : 차단막
1 is an example of a sensing-based instructor trac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and 3 are schematic and side views of the configuration of a sensor-based lecture recordin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n example of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instructor by the detection of the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illustrate an example of a sensing area according to a direction angle of a sensing sens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7 is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blocking film of the sens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llustrates an example of a detection area of a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schematic and side views of the configuration of a sensor-based lecture recording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id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a sensor-based lecture recording syste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 sensing unit 11: detection sensor
20: control unit 30: camera
40: steel area 41: wall surface
42: blackboard 43: ceiling
44: floor 45: table
51: instructor 60: barrier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is invention,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nd the repeat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First, a configuration of a sensor-based lecture recordin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강의촬영 시스템은 센싱부(10), 카메라(30), 및, 제어부(2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lecture captur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ing unit 10, a camera 30, and a controller 20.

센싱부(10)는 강단영역(40)의 천장에 가로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감지센서(11)를 포함하고, 각 감지센서는 감지방향을 상기 천장의 아래방향으로 향하게 설치된다.The sensing unit 10 includes a plurality of sensing sensors 11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ceiling of the pulverization region 40, and each sensing sensor is installed to face the sensing direction downward of the ceiling.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강단영역(40)은 강사가 강의를 하는 영역으로서, 일측면은 벽면(41)으로 되어 있다. 강사(51)는 통상 벽면(41)을 등에 대고 그 반대방향을 바로 보며 강의를 한다. 그리고 강단영역(40)의 벽면(41)에는 통상 칠판(42)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강단영역(40)의 정면에는 교탁(45)이 놓여질 수 있다. 또한, 강단영격(40)의 위쪽은 천장(43)이 있고, 그 아래쪽은 바닥(44)이다.As shown in FIG. 3, the pulverum zone 40 is an area where a lecturer lectures, and one side is a wall surface 41. The instructor 51 usually holds the wall 41 on his back and gives a lecture while look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addition, a blackboard 42 may be installed on the wall surface 41 of the pulverization region 40. In addition, the table 45 may be placed at the front of the pulverized region 40.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pulverum strike 40 has a ceiling 43, the lower portion is the bottom 44.

다수의 감지센서(11)는 강단영역(40)의 천장(43)에 일렬로 설치된다. 또, 도 3과 같이, 각 감지센서(11)는 천장(43)의 아랫방향으로 향하여 물체를 감지하도록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센싱부의 감지센서(11)들은 하나의 열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다.A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11 are installed in a line on the ceiling 43 of the pulverization area (40).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3, each sensor 11 is installed to detect the object toward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ceiling (43). Preferably, the sensing sensors 11 of the sensing unit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one row.

감지센서(11)는 적외선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 등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이하 물체 감지센서)로 구현된다. 즉, 물체 감지센서는 발광부와 수광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발광부를 통하여 적외선 또는 초음파를 전방으로 발사한다. 그리고 물체 감지센서는 발사된 적외선 또는 초음파가 물체로부터 반사되어 되돌아오면, 수광부를 통하여 적외선을 수광함으로써 물체를 감지한다.The detection sensor 11 is implemented as a sensor (hereinafter, object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n object such as an infrared sensor or an ultrasonic sensor. That is, the object sensor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and emits infrared or ultrasonic waves forward through the light emitting unit. The object detecting sensor detects an object by receiving infrared rays through the light receiving unit when the emitted infrared rays or ultrasonic waves are reflected back from the object.

다른 실시예로서, 감지센서(11)는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움직임 감지센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움직임 감지센서도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여 적외선 또는 초음파를 발사하여 그 반사된 적외선 또는 초음파를 수광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ensor 11 may be implemented as a sensor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an object (hereinafter, a motion sensor). The motion sensor also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and a light receiving unit to emit infrared rays or ultrasonic waves to receive the reflected infrared rays or ultrasonic waves.

이때, 방출된 초음파(또는 적외선)는 외계의 물체에 충돌하여 반사되고 다시 수신되는데 수신된 초음파 신호(또는 적외선 신호)에는 외계의 물체에 관한 정보가 담겨 있다. 수신되는 초음파(또는 적외선)는 외계의 지형에 따라 일정한 패턴을 갖게 되는데 이러한 패턴을 판독하여 외계의 지형에 관한 정보를 알 수 있다.At this time, the emitted ultrasonic waves (or infrared rays) collide with the alien objects and are reflected and received again. The received ultrasonic signals (or infrared signals) contain information about the alien objects. The received ultrasonic waves (or infrared rays) have a predetermined pattern according to the topography of the alien. By reading these patterns, information on the topography of the alien can be obtained.

움직임 감지센서는 내부 컨트롤러를 더 구비하여, 수광부를 통해 수집한 외계의 지형 정보를 기록한다. 그리고 움직임 감지센서의 컨트롤러는 현재 수광부를 통해 수집된 신호 패턴과 기록된 신호패턴을 비교하여, 신호패턴에 변화가 있는 경우 물체의 움직임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The motion sensor further includes an internal controller to record the topographical information of the alien collected through the light receiver. The controller of the motion sensor compares the signal pattern collected through the current light receiving unit with the recorded signal pattern, and determines that there is a movement of an object when there is a change in the signal pattern.

물체 감지센서를 이용하면, 교탁(45) 등 고정물체가 감지되는 경우에도 강사(51)를 감지하는 경우와 동일하게 반응한다. 그러나 움직임 감지센서를 이용하면, 교탁(45) 등 고정물체가 감지되지 않고, 움직이는 강사(51)만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강사(51)가 움직이지 않은 채 강의만 하는 경우, 움직임을 감지할 수 없게 되므로, 움직임 감지센서는 강사(51)를 인식하지 못할 수도 있다.When the object detection sensor is used, even when a fixed object such as the table 45 is detected, the reaction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ase of detecting the instructor 51. However, if the motion sensor is used, the fixed object such as the table 45 may not be detected, and only the moving instructor 51 may be detected. However, if the lecturer 51 does not move but only lectures, the motion can not be detected, the motion sensor may not recognize the instructor 51.

그러나 움직임 감지센서가 움직임을 감지하지 못하면, 카메라(30)의 촬영방향도 고정하면 되므로, 문제되지 않는다. 따라서 감지센서(11)는 물체 감지센서나 움직임 감지센서로 구현할 수 있으며, 움직임 감지센서로 구현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것은 교탁 등 고정물체가 있다하더라도 강사(51)만 추적할 수 있기 때문이다.However, if the motion detection sensor does not detect the motion, it is not a problem, since the direction of recording of the camera 30 is also fixed. Therefore, the sensor 11 may be implemented as an object sensor or a motion sensor, more preferably implemented as a motion sensor. This is because only the instructor 51 can track even if there is a fixed object such as a table.

한편, 감지센서(11)는 인체에서 발생되는 열 변화를 감지하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로도 구현할 수 있다. 초전형 적외선 센서(Pyroelectric Infrared Sensor)는 열 센서의 일종으로서 동작 감지를 위한 센서로 사용된다. 초전형 적외선 센서는 측정 영역 내에 발생하는 열 변화를 전기 신호로 변화시킴으로써 측정 영역 내의 물체 또는 동작의 변화 및 사람의 존재 유무를 감지해낸다.
On the other hand, the sensor 11 may be implemented as a pyroelectric infrared sensor for detecting the heat change generated in the human body. Pyroelectric Infrared Sensor is a thermal sensor that is used as a sensor for motion detection. The pyroelectric infrared sensor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hange in an object or operation and a person in the measurement area by converting a heat change occurring in the measurement area into an electrical signal.

다음으로, 카메라(30)는 좌우 회전이 가능하고, 강단영역(40) 내를 촬영한다. 즉, 도 2와 같이, 강단영역(40) 내에는 강사(51)가 위치하고 있으며, 강사(51)의 맞은편에는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강사(51)를 추적 촬영하는 카메라(30)가 설치되어 있다.Next, the camera 30 can rotate left and right, and photographs the inside of the pulverized region 40. 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instructor 51 is located in the lecturing zone 40, and the camera 30 tracking and tracking the instructor 5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0 is opposite the instructor 51. Is installed.

카메라(30)는 팬/틸트 발판(Pan/Tilt Pedestal)이 장착된 고해상도 이미지의 비디오 카메라이다. 카메라(30)는 피사체의 밝기 및 배경 조명상태 유지를 위한 자동노출 및 배경조명 보정기능이 있으며, 피사체의 크기에 따라 항상 안정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오토 줌 기능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amera 30 is a high resolution image video camera equipped with a pan / tilt pedestal. The camera 30 has an automatic exposure and background lighting correction function for maintaining the brightness of the subject and the backlighting state, and preferably, the camera 30 has an auto zoom function so that a stable subject can be always take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ubject.

다음으로, 제어부(20)는 감지센서(11)로부터 감지결과를 수신하여 강사의 위치를 검출하고, 카메라(30)의 촬영방향을 검출된 강사 위치에 맞추도록 카메라(30)를 제어한다. 카메라(30)는 RS-232C 케이블(혹은 리모콘신호) 등을 통해 제어부(20)와 연결되어, 제어부(20)의 제어명령에 따라 강사를 추적한다.Next, the control unit 20 receives the detection result from the sensor 11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instructor, and controls the camera 30 to match the shooting direction of the camera 30 to the detected instructor position. The camera 3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0 through an RS-232C cable (or a remote control signal) and the like, and tracks the instructor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 unit 20.

제어부(20)는 감지되는 감지센서(11)의 위치를 강사 위치로 판단하되, 2개 이상의 인접한 감지센서에서 감지되면 인접한 감지센서들의 평균위치를 강사 위치로 판단한다.The controller 20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detected sensor 11 as the instructor position, and when detected by two or more adjacent sensing sensors, determines the average position of the adjacent sensing sensors as the instructor position.

도 4a의 예에서, 감지센서 11d에서 감지되면, 11d의 위치에서 강사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 도 4b에서, 감지센서 11f와 11g에서 동시에 감지되면, 11f와 11g의 위치 사이에 강사가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그 위치는 11g와 11g의 평균 위치(또는 중간 위치)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example of FIG. 4A, when detected by the sensor 11d, it is determined that the instructor is located at the position of 11d. In addition, in FIG. 4B, when the sensors 11f and 11g are simultaneously sensed, it is determined that the instructor is positioned between the positions 11f and 11g. At this time, the position is preferably set to an average position (or intermediate position) of 11g and 11g.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감지센서의 구성의 문제점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Next, the problem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ens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지센서(11)는 초음파 또는 적외선 등에 의해 물체(또는 물체의 움직임)를 감지한다. 따라서 감지센서(11)는 음파 또는 빛의 성질을 이용하므로, 직진성으로 인한 일정한 지향각에 의해 감지하는 영역(A)이 한정된다. 즉, 도 5에서 감지영역은 영역 A부분이고, 감지되지 않은 영역은 영역 B이다. 즉, 강사가 영역 A로 들어오면 감지되고, 영역 B로 나가면 감지되지 않는다. 이때, 도 5에서 각 P가 곧 지향각이다.As shown in FIG. 5, the detection sensor 11 detects an object (or movement of the object) by ultrasonic waves or infrared rays. Therefore, since the detection sensor 11 uses the properties of sound waves or light, the area A to be detected by a certain direction angle due to the straightness is limited. That is, in FIG. 5, the sensing region is the region A portion, and the undetected region is the region B. In FIG. In other words, if the instructor enters the area A, it is detected. At this time, in Fig. 5, each P is a directing angle.

적외선 또는 초음파를 차단할 수 있는 실린더 케이스 등을 이용하면, 감지센서의 지향각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683936호, "지향각 조절이 가능한 초음파 센서"] 등에 개시되고 있다.By using a cylinder case that can block infrared rays or ultrasonic waves,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sensor. Such a prior art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683936, "Ultrasonic Sensor with Adjustable Orientation Angle"].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이용하면, 지향각에 의한 감지영역이 원형으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ure 6, using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detection area by the orientation angle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도 6a와 같이, 지향각을 작게 설정하면, 감지영역이 작아 강단영역(40)의 뒤쪽과 앞쪽의 위치를 감지할 수 없다. 즉, 강사가 위치 C나 D에 위치하면 강사를 감지할 수 없다. 이 경우, As shown in FIG. 6A, when the orientation angle is set small, the sensing region is small, and thus the positions of the rear and front of the pulverized region 40 cannot be detected. That is, if the instructor is located at position C or D, the instructor cannot be detected. in this case,

도 6b와 같이, 지향각을 크게 설정하면, 감지영역이 커지므로 인접한 다수의 감지센서(11)들이 모두 감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지점 E에 강사가 위치하면, 인접한 감지센서(11) 3개에서 모두 강사를 감지한다. 따라서 강사의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없다.As shown in FIG. 6B, when the directivity angle is set to a large value, since the sensing area becomes larg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plurality of adjacent sensing sensors 11 all sense. That is, when the instructor is located at the point E, all three inductive sensors 11 detect the instructor. 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instructor can not be accurately detected.

따라서 강사의 위치를 정밀하게 감지하면서 전체 강단영역(40)을 포괄하여 감지하려면, 도 6c와 같이, 적어도 2개 이상의 열(row)로 감지센서(11)를 설치해야 한다. 그러나 이 경우, 감지센서를 2배 이상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instructor while comprehensively detecting the entire pulpit area 40, as illustrated in FIG. 6C, at least two rows should be provided with the detection sensor 11. 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sensor must be installed more than twi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st is high.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감지센서의 차단막의 구성을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blocking film of the sens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지센서(11)의 둘레에 차단막(60)을 설치한다. 도 7a는 차단막(60)이 설치된 감지센서(11)의 정면도이고, 도 7b 및 도 7c는 감지센서의 (천장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As shown in FIG. 7, the blocking film 60 is installed around the detection sensor 11. FIG. 7A is a front view of the detection sensor 11 in which the blocking film 60 is installed, and FIGS. 7B and 7C are plan views (viewed from the ceiling) of the detection sensor.

이때, 도 7b와 같이, 차단막(60)을 천장(43)의 가로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설치한다. 또는 도 7c와 같이, 차단막(60)을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차단막의 길이가 긴 면이 천장(43)의 가로방향과 직각방향인 형태로 구성한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7B, the barrier layer 60 is insta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ceiling 43.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7C, the blocking film 6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t this time, the long surface of the barrier film is configured in a shape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ceiling 43.

이와 같이 차단막(60)을 감지센서(11)의 둘레에 설치하면, 가로방향의 지향각이 세로방향의 지향각보다 작아진다. 따라서 감지센서(11)에 의한 감지영역은 도 8과 같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In this way, when the blocking film 60 is provided around the sensing sensor 11, the orientation ang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smaller than the orientation ang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fore, the sensing area by the sensing sensor 11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8.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감지센서(11)의 감지영역은 세로로 길쭉해짐으로써, 강사의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검출하면서도, 전체 강단영역(40)을 포괄하여 검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sensing region of each sensing sensor 11 is elongated vertically, so that the position of the instructor can be detected more precisely, and the entire pulpit region 40 can be detected.

한편, 바람직하게는 감지센서(11)는 차단막(60)과 일체로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preferably, the sensor 11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locking film (60).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의 구성을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a configuration of a sensor-based lecture recording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강의촬영 시스템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강의촬영 시스템과 그 구성이 동일하다. 다만, 감지센서(11)를 강단영역(40)의 벽면(41)에 설치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 이와 같은 차이점만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lecture capturing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lecture captur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detection sensor 11 is installed on the wall surface 41 of the pulverization region 40. Only such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below.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강의촬영 시스템은 센싱부(10), 카메라(30), 및, 제어부(2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9, the lecture capturing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ing unit 10, a camera 30, and a controller 20.

센싱부(10)는 강단영역의 벽면 상단에 가로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감지센서(11)를 포함한다.The sensing unit 10 includes a plurality of sensing sensors 11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top of the wall of the pulverization region.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지센서(11)는 그 감지방향을 강단영역(40)의 전면의 하방으로 향하게 설치된다. 즉, 감지센서(11)를 하방으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그 지향각을 강단영역(40)의 바닥(44)으로 향하도록 설정한다. 바람직하게는, 바닥면에서의 감지영역이 강단영역(40)의 바닥(44) 이내가 되도록 설정한다. 예를 들어, 물체 감지센서를 이용하는 경우, 교탁(45)의 안쪽 내의 바닥(44)으로 감지영역이 설정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10, the sensing sensor 11 is installed to face the sensing direction downward of the front surface of the pulverization region 40. That is, the sensor 11 is installed to be inclined downward to set its directing angle toward the bottom 44 of the pulverization region 40. Preferably, the detection area on the bottom surface is set to be within the bottom 44 of the pulverization area 40. For example, when using the object detection sensor, the detection area is set to the floor 44 in the inside of the table 45.

바람직하게는, 감지센서(11)의 센싱방향(또는 지향각)은 지표면을 기준으로 -30도 내지 -90도 이내로 설정한다.Preferably, the sensing direction (or direction angle) of the sensor 11 is set within -30 degrees to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ground surface.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강의촬영 시스템의 감지센서(11)에도 제2 실시예의 차단막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figuration of the blocking film of the second embodiment can also be applied to the sensor 11 of the lecture shooting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의 구성을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a configuration of a sensor-based lecture recording syste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강의촬영 시스템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강의촬영 시스템과 그 구성이 동일하다. 다만, 감지센서(11)를 벽면 하단에 설치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 이와 같은 차이점만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lecture recording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lecture recording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detection sensor 11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wall. Only such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below.

센싱부(10)는 강단영역의 벽면 하단에 가로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감지센서(11)를 포함한다.The sensing unit 10 includes a plurality of sensing sensors 11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bottom of the wall of the pulverization area.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지센서(11)는 그 감지방향을 강단영역(40)의 전면의 상방으로 향하게 설치된다. 즉, 감지센서(11)를 상방으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그 지향각을 강단영역(40)의 상단으로 향하도록 설정한다. 바람직하게는, 바닥면에서의 감지영역이 교탁(45) 등 고정물체의 위쪽 방향 이내가 되도록 설정한다. 그리고 벽면(41) 측면은 90도 위쪽으로 향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감지센서(11)의 센싱방향(또는 지향각)은 지표면을 기준으로 30도 내지 90도 이내로 설정한다.As shown in FIG. 11, the sensing sensor 11 is installed to face the sensing direction upward of the front surface of the pulverization region 40. That is, the sensor 11 is installed to be inclined upwardly, and the directivity angle is set toward the upper end of the pulverized region 40. Preferably, the detection area on the bottom surface is set to be within the upward direction of the fixed object such as the table 45. And the side of the wall 41 faces 90 degrees upwards. Preferably, the sensing direction (or direction angle) of the sensor 11 is set within 30 degrees to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ground surface.

한편,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강의촬영 시스템의 감지센서(11)에도 제2 실시예의 차단막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figuration of the blocking film of the second embodiment can also be applied to the sensor 11 of the lecture shooting system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invention made by this inventor was demonstrated concretely according to the Example,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n Example and can be variously changed 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summary.

본 발명은 강단영역 내의 강사의 위치를 추적하여 카메라로 강의를 촬영하는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적용이 가능하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the development of a sensor-based lecture shooting system that tracks the position of the instructor in the lecturing zone and takes a lecture with a camera.

Claims (11)

강단영역 내의 강사의 위치를 추적하여 카메라로 촬영하는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에 있어서,
강단영역의 천장에 가로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감지센서를 구비하고, 각 감지센서는 감지방향을 상기 천장의 아래방향으로 향하게 설치되는 센싱부;
좌우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강단영역 내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감지결과를 수신하여 강사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검출된 강사 위치에 맞추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
In the sensor-based lecture shooting system that tracks the position of the instructor in the lectern area and shoots with a camera,
A sensing unit having a plurality of sensing sensors arranged in a transverse direction on the ceiling of the pulverizing area, each sensing sensor being installed to face a sensing direction downward of the ceiling;
A camera capable of rotating left and right and photographing the inside of the pulverized area; An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ct a position of an instructor by receiving a detection result from the detection sensor and to adjust a shooting direction of the camera to the detected instructor position.
강단영역 내의 강사의 위치를 추적하여 카메라로 촬영하는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에 있어서,
강단영역의 벽면 상단에 가로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방향을 상기 강단영역의 전면의 하방으로 향하게 하는 센싱부;
좌우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강단영역 내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감지결과를 수신하여 강사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검출된 강사 위치에 맞추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
In the sensor-based lecture shooting system that tracks the position of the instructor in the lectern area and shoots with a camera,
A sensing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ing sensors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an upper end of a wall of the pulverizing area, and directing a sensing direction of the sensing sensor downward of the front surface of the pulverizing area;
A camera capable of rotating left and right and photographing the inside of the pulverized area; An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ct a position of an instructor by receiving a detection result from the detection sensor and to adjust a shooting direction of the camera to the detected instructor position.
강단영역 내의 강사의 위치를 추적하여 카메라로 촬영하는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에 있어서,
강단영역의 벽면 하단에 가로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방향을 상기 강단영역의 전면의 상방으로 향하게 하는 센싱부;
좌우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강단영역 내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감지결과를 수신하여 강사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검출된 강사 위치에 맞추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
In the sensor-based lecture shooting system that tracks the position of the instructor in the lectern area and shoots with a camera,
A sensing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ing sensors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a lower end of a wall of the pulverizing area, and for directing a sensing direction of the sensing sensor upward of the front surface of the pulverizing area;
A camera capable of rotating left and right and photographing the inside of the pulverized area; An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ct a position of an instructor by receiving a detection result from the detection sensor and to adjust a shooting direction of the camera to the detected instructor position.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감지되는 감지센서의 위치를 강사 위치로 판단하되, 2개 이상의 인접한 감지센서에서 감지되면 인접한 감지센서들의 평균위치를 강사 위치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detected sensor as the instructor position, when detected by two or more adjacent sensors, the sensor-based lecture shoo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determining the average position of the adjacent sensors as the instructor position.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의 둘레에 차단막이 설치되되, 상기 차단막은 상기 천장의 가로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blocking film is installed around the sensor, wherein the blocking film is insta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ceil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성하되, 길이가 긴 면이 상기 천장의 가로방향과 직각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blocking film has a rectangular shape, the sensor-based lecture shoo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long side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ceil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차단막과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sensor is a sensor-based lecture shoo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integrally with the blocking film.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의 감지센서들은 하나의 열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Sensing sensors of the sensing unit is a sensor based lecture recor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a single interval.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적외선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sensor is a sensor-based lecture shoo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rared sensor or ultrasonic sens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의 센싱방향은 지표면을 기준으로 -30도 내지 -90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Sensing direction of the sensor is a sensor-based lecture shoo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within -30 degrees to -90 degrees relative to the ground surfa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의 센싱방향은 지표면을 기준으로 30도 내지 90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센서 기반 강의촬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Sensing direction of the sensor is a sensor-based lecture shoo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within 30 to 90 degrees relative to the ground surface.
KR1020110022182A 2011-03-14 2011-03-14 A lecture camera system using moving sensors KR1013677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182A KR101367700B1 (en) 2011-03-14 2011-03-14 A lecture camera system using moving senso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182A KR101367700B1 (en) 2011-03-14 2011-03-14 A lecture camera system using moving senso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4657A true KR20120104657A (en) 2012-09-24
KR101367700B1 KR101367700B1 (en) 2014-02-28

Family

ID=47111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2182A KR101367700B1 (en) 2011-03-14 2011-03-14 A lecture camera system using moving senso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770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9522A (en) * 2018-01-23 2019-07-31 유혜인 Device for tracking lecturer
KR102461869B1 (en) * 2021-05-21 2022-10-31 (주)알앤씨미디어 Lecture record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9726B1 (en) * 2003-06-16 2006-03-10 (주)지온소프트 System and Method of auto-tracking lecturer
KR100683936B1 (en) * 2006-01-09 2007-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Ultrasonic sensor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directivity angle
KR100770431B1 (en) * 2006-05-08 2007-10-26 (주)지온소프트 Sensor assembly for system of auto-tracking lectur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9522A (en) * 2018-01-23 2019-07-31 유혜인 Device for tracking lecturer
KR102461869B1 (en) * 2021-05-21 2022-10-31 (주)알앤씨미디어 Lecture record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7700B1 (en) 2014-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8508B2 (en) Virtual studio position sensing system
US8068154B2 (en) Digital camera with non-uniform image resolution
US8610778B2 (en) Method and device for use in calibration of a projector image display towards a display screen, and a display screen for such use
US20090040302A1 (en) Automated surveillance system
KR101287019B1 (en) A lecture camera system for providing images of writings on the board
US7972005B2 (en) Computer projector method and apparatus having a safety feature for blacking out a portion of the image being projected onto a person
KR2009002205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eam-projecting and adjusting beam-projected image automatically
US8306415B2 (en) Single seat-kill camera system
US758329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multi-image scenes with a camera
US7336294B2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improved communication between participants in a videoconference
WO2019220752A1 (en) Automatic tracking and recording system and recording control device
KR101367700B1 (en) A lecture camera system using moving sensors
GB2363244A (en) Audio-video recording of overhead projector based presentations
JP2007134845A (en) Camera controller and control program
JP2007208745A (en) Monitoring device and monitoring method
KR100770431B1 (en) Sensor assembly for system of auto-tracking lecturer
JP2010187184A (en) Object tracking device and imaging device
JP2003042716A (en) Ball-trajectory measuring apparatus
US20040142772A1 (en) Ball trajectory measuring apparatus
KR101574667B1 (en) CCTV sound source tracking device recording function using an acoustic sensor is provided
KR102029983B1 (en) Device for tracking lecturer
KR101502683B1 (en) Instructor Tracing System Using 3 Dimensional Sensing Module
US10237535B2 (en) Method for generating a depth map using a camera
CN106127157A (en) Intensive image real time transfer platform
JP2021166322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