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4470A - Broadcasting signal receiv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Broadcasting signal receiv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4470A
KR20120104470A KR1020110022156A KR20110022156A KR20120104470A KR 20120104470 A KR20120104470 A KR 20120104470A KR 1020110022156 A KR1020110022156 A KR 1020110022156A KR 20110022156 A KR20110022156 A KR 20110022156A KR 20120104470 A KR20120104470 A KR 20120104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voice
unit
channe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21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채지석
유경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2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4470A/en
Publication of KR20120104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447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04N5/602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for digital sound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26Re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1/42227Re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s the keys being reprogrammable, e.g. soft keys
    • H04N21/42228Re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s the keys being reprogrammable, e.g. soft keys the reprogrammable keys being displayed on a display screen 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keys on the remote control device itsel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55Demodulation-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the suppression of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PURPOSE: A broadcasting signal receiver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classify various kinds of noise into a case increasing sound volume and a case decreasing the sound volume. CONSTITUTION: A display panel(180Q) displays an image. A voice outputting unit(185Q) outputs voice. A driving unit supplies a driving signal to the display panel corresponding to a received broadcasting signal. The driving unit changes a setting of the image displayed in the display panel or the voice outputted by the voice outputting unit, when noise sound is received through a sound sensing unit(191Q). [Reference numerals] (100Q) User input interface unit; (110Q) Tuner; (120Q) Demodulation unit; (130Q) Network interface unit; (135Q)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40Q) Storage unit; (170Q) Control unit; (180Q) Display unit; (185Q) Voice output unit; (190Q) Wire input unit; (191Q) Sound sensing unit; (192Q) Motion sensing unit; (200Q) Wireless input unit

Description

방송신호 수신기 및 그의 구동방법{Broadcasting Signal Receiver and Driving Method thereof}Broadcasting signal receiv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방송신호 수신기 및 그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oadcast signal receiver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인터넷(Internet)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여,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로 디코딩 및 신호 처리하는 네트워크 기능이 구비된 방송신호 수신기(텔레비전, TV) 또는 셋탑 박스(STB) 등이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 broadcast signal receiver (television, TV) having a network function of receiving a data stream transmitted by a real time streaming method through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nd decoding and signaling the audio and video signals. Or set top boxes (STB) and the like are widely used.

본 발명은 조작이 단순한 방송신호 수신기 및 그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roadcast signal receiver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ame, which are simple to operate.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음향 센싱부 및 수신되는 방송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음향 센싱부를 통해 노이즈 음향(Noise sound)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 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가 출력하는 음성의 설정(Setting)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a voice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voice, a sound sensing unit, and a driver for supplying a drive signal to the display panel in response to the received broadcast signal. When a noise sound is received through the sound sensing unit,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or the sound output by the audio output unit may be changed.

또한, 상기 구동부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방송신호 중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신호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출력부는 상기 제어부가 신호 처리한 상기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제어부가 신호 처리한 상기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 broadcast signal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process a video signal and an audio signal among the broadcast signals received by the receiver, and the audio output unit outputs the audi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The display panel may output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또한, 상기 노이즈 음향은 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음향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oise sound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sound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또한, 상기 노이즈 음향은 기 설정된 패턴(Pattern)을 갖는 음향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oise sound may be a sound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또한, 상기 노이즈 음향은 제 1 타입 노이즈 음향(First Type Noise Sound)과, 상기 제 1 타입 노이즈 음향과 다른 제 2 타입 노이즈 음향(Second Type Noise Sound)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타입 노이즈 음향이 상기 음향 센싱부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의 상기 영상 또는 음성의 설정 변경 방법과 상기 제 2 타입 노이즈 음향이 상기 음향 센싱부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의 상기 영상 또는 음성의 설정 변경 방법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noise sound may include a first type noise sound and a second type noise sound different from the first type noise sound. The method of changing the setting of the video or audio when received through the sound sensing unit and the method of changing the setting of the video or audio when the second type noise sound is received through the sound sensing unit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

또한, 상기 제 1 타입 노이즈 음향은 물소리, 진공청소기(Vacuum Cleaner) 소리, 기 설정된 사용자의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irst type noise sou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ater sound, a vacuum cleaner sound, and a preset user voice.

또한, 상기 제 2 타입 노이즈 음향은 전화벨(Phone Bell)소리, 초인종(Door Bell) 소리, 기 설정된 사용자의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type noise sou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hone bell sound, a door bell sound, and a preset user voice.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1 타입 노이즈 음향이 상기 음향 센싱부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음성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increase the volume of the voice when the first type noise sound is received through the acoustic sensing unit.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1 타입 노이즈 음향의 크기에 따라 상기 음성의 크기를 차등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increase the size of the voice differentiall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irst type noise sound.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2 타입 노이즈 음향이 상기 음향 센싱부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음성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reduce the volume of the voice when the second type noise sound is received through the acoustic sensing unit.

또한, 상기 제 2 타입 노이즈 음향이 상기 음향 센싱부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영상의 재생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type noise sound is received through the sound sensing unit, the reproduction of the image may be stopped.

또한, 상기 제 2 타입 노이즈 음향이 상기 음향 센싱부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영상을 녹화(Record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type noise sound is received through the sound sensing unit, the image may be record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방송신호 수신기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모션 센싱부 및 수신되는 방송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모션 센싱부가 감지한 사용자의 안면(Face)이 향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 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가 출력하는 음성의 설정(Setting)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another broadcast signal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a voice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voice, a motion sensing unit, and a driver for supplying a drive signal to the display panel in response to the received broadcast signal; The driving unit may change a setting of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or a sound output by the audio output unit according to a direction of the user's face detected by the motion sensing unit. .

또한, 상기 구동부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방송신호 중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신호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출력부는 상기 제어부가 신호 처리한 상기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제어부가 신호 처리한 상기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 broadcast signal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process a video signal and an audio signal among the broadcast signals received by the receiver, and the audio output unit outputs the audi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The display panel may output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또한, 상기 구동부는 사용자의 안면이 향하는 방향이 기 설정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시청각을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음성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reduce the volume of the voice when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 is outside the preset audio visual angle of the display panel.

또한, 상기 구동부는 사용자의 안면이 향하는 방향이 기 설정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시청각을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영상의 재생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stop playing the image when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 is outside the preset audio visual angle of the display panel.

또한, 상기 구동부는 사용자의 안면이 향하는 방향이 기 설정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시청각을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영상을 녹화(Record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record the image when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 is outside the preset audio visual angle of the display panel.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사용자가 복수인 경우, 모든 사용자의 안면이 향하는 방향이 기 설정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시청각을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음성의 크기를 감소시키거나, 상기 영상의 재생을 정지시키거나, 상기 영상을 녹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reduce the volume of the voice, stop the playback of the image, or, when the direction of faces of all the users is outside the preset audio visual angle of the display panel when the plurality of users are present. It may be characterized by recording an image.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사용자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상기 사용자 중 기 설정된 임계 비율 이상의 사용자의 안면이 향하는 방향이 기 설정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시청각을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음성의 크기를 감소시키거나, 상기 영상의 재생을 정지시키거나, 상기 영상을 녹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reduce the volume of the voice whe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ace of the user faces more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ratio among the plurality of users is outside the preset audio visual angle of the display panel, or The playback of the video may be stopped or the video may be recorded.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사용자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상기 사용자 중 로그온(Log-on)된 사용자의 안면이 향하는 방향이 기 설정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시청각을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음성의 크기를 감소시키거나, 상기 영상의 재생을 정지시키거나, 상기 영상을 녹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reduce the volume of the voice when a direction in which a face of a logged-on user faces out of the preset audio visual angle of the display panel when the plurality of users is plural. The playback of the video may be stopped, or the video may be recorded.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 및 그의 구동방법은 조작이 단순하여 다양한 연령대의 사용자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and its driv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effect that the operation is simple and can be easily used by users of various ag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를 포함한 방송 시스템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가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
도 5는 무선입력부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무선입력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내지 도 37은 음성 모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8 내지 도 53은 음성 메뉴 모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4 내지 도 69는 멀티채널에 기능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0 내지 도 86은 로그온 전환 방법 및 다중 로그온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7 내지 도 97은 노이즈 모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98 내지 도 108은 사적 채널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broadcast system including a broadcast signal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broadcast signal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a broadcast signal receive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control unit shown in FIG. 2;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the wireless input unit;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input unit;
7 to 3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voice mode;
38 to 53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voice menu mode;
54 to 69 are views for explaining a function on a multichannel;
70 to 8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logon switching method and the multiple logon method;
87 to 97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noise mode; And
98 to 108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private channe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 및 그의 구동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broadcast signal receiver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change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may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b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 and / or may include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or any item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Can be understood.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can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interchangeably to designate one or more of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xplain more fully to the average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shapes and sizes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the like can be exaggerated for clarity.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merely for ease of description, and the" module "and" part "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방송신호 수신기는,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영상표시기기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트 컨트롤러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for example, an intelligent video display device in which a computer support function is added to a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is faithful to the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and has an Internet function added thereto. It can be equipped with a more convenient interface such as a remote controller. In addition, by being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a computer with the support of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func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functions such as e-mail, web browsing, banking or gaming. A standardized general-purpose OS can be used for these various functions.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방송신호 수신기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방송신호 수신기의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Accordingly,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various user-friendly functions because various applications can be freely added or deleted on a general-purpose OS kernel, for example. For example,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may be a network TV, an HBBTV, a smart TV, or the like, and may be applied to a smartphone in some cas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를 포함한 방송 시스템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broadcast system including a broadcast signal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를 포함한 방송 시스템은, 컨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CP)(10Q),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SP)(20Q), 네트워크 제공자(Network Provider; NP)(30Q) 및 HNED(40Q)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HNED(40Q)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인 클라이언트(100Q)에 대응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 broadcasting system including a broadcast signal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ent provider (CP) 10Q, a service provider (SP) 20Q, and a network. It may be divided into a network provider (NP) 30Q and an HNED 40Q. The HNED 40Q may correspond to, for example, the client 100Q, which is a broadcast signal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클라이언트(100Q)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에 해당하며, 예를 들어, 네트워크 TV, 스마트 TV, IPTV 등일 수 있다.The client 100Q corresponds to a broadcast signal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for example, a network TV, a smart TV, or an IPTV.

컨텐츠 제공자(10Q)는 각종 컨텐츠를 제작하여 제공한다. 컨텐츠 제공자(10)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지상파 방송 송출자(terrestrial broadcaster), 케이블 방송 사업자(cable SO(System Operator)) 또는 MSO(Multiple System Operator), 위성 방송 송출자(satellite broadcaster), 인터넷 방송 송출자(Internet broadcaster) 등이 예시될 수 있다.The content provider 10Q produces and provides various contents. As shown in FIG. 1, the content provider 10 includes a terrestrial broadcaster, a cable SO, or a multiple system operator, a satellite broadcaster, and an internet broadcast. An Internet broadcaster or the like can be exemplified.

또한, 컨텐츠 제공자(10Q)는, 방송 컨텐츠 외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o the broadcast content, the content provider 10Q may provide various applications.

서비스 제공자(20Q)는, 컨텐츠 제공자(10Q)가 제공하는 컨텐츠들을 서비스 패키지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서비스 제공자(20Q)는, 제 1 지상파 방송, 제 2 지상파 방송, 케이블 MSO, 위성 방송, 다양한 인터넷 방송, 애플리케이션 등을 패키지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service provider 20Q may package and provide contents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er 10Q. For example, the service provider 20Q of FIG. 1 may package and provide a first terrestrial broadcast, a second terrestrial broadcast, a cable MSO, satellite broadcast, various Internet broadcasts, and applications to a user.

한편, 서비스 제공자(20Q)는, 유니캐스트(unicast) 또는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100Q) 측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rvice provider 20Q may provide a service to the client 100Q using a unicast or multicast scheme.

네트워크 제공자(30Q)는, 서비스를 클라이언트(100Q)에게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망을 제공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100Q)는 홈 네트워크(Home Network End User;HNED)를 구축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The network provider 30Q may provide a network for providing a service to the client 100Q. The client 100Q may establish a home network end user (HNED) and receive a service.

상기와 같은 방송 시스템에서 전송되는 컨텐츠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한 수신(Conditional Access) 또는 컨텐츠 보호(Content Protection)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한 수신이나 컨텐츠 보호를 위한 하나의 예로서, 케이블카드(CableCARD), DCAS(Downloadable Conditional Access System)와 같은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As a means for protecting the content transmitted in the broadcasting system as described above, conditional access or content protection may be used. As one example for such a restriction reception or content protection, a scheme such as a cable card or a downloadable conditional access system (DCAS) may be used.

한편, 클라이언트(100Q)도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상술한 바와 달리, 역으로, 클라이언트(100Q)가 컨텐츠 제공자가 될 수 있으며, 컨텐츠 제공자(10Q)가 클라이언트(100Q)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설계된 경우, 양방향 컨텐츠 서비스 또는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lient 100Q can also provide contents through the network. In this case, unlike the above, inversely, the client 100Q may be a content provider, and the content provider 10Q may receive content from the client 100Q. In the case of designing as described above, an interactive content service or a data service is possibl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broadcast signal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arts described in detail above will be omitted.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80Q)와 수신되는 방송신호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Q)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101Q)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180Q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 driver supplying a driving signal to the display unit 180Q in response to the received broadcast signal. And may include 101Q.

디스플레이부(180Q)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이라고 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80Q may be referred to as a display panel.

구동부(101Q)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영상 표시 및 음성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101Q)는 수신부(105Q),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 저장부(140Q),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 제어부(170Q) 및 명령 입력부(160Q)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er 101Q may control video display and audio output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The driving unit 101Q may include a receiving unit 105Q,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Q, a storage unit 140Q, a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Q, a control unit 170Q, and a command input unit 160Q.

구동부(101Q)와 디스플레이부(180Q)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driving unit 101Q and the display unit 180Q may be integrally formed.

또는, 구동부(101Q)와 디스플레이부(180Q)는 별개로 모듈화되고,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을 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driving unit 101Q and the display unit 180Q may be separately modularized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wire or wirelessly.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185Q), 음성을 센싱(Sensing)하기 위한 음향 센싱부(191Q) 및 사용자의 움직임 등을 센싱하기 위한 모션 센싱부(192Q)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oice output unit 185Q for outputting a voice, an acoustic sensing unit 191Q for sensing a voice, and motion sensing for sensing a user's movement. It may include a portion 192Q.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Hereinafter,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수신부(105Q)는, 튜너(110Q), 복조부(120Q),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를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튜너(110Q)와 복조부(120Q)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를 구비하면서 튜너(110Q)와 복조부(120Q)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receiver 105Q may include a tuner 110Q, a demodulator 120Q, and a network interface unit 130Q. If necessary, the tuner 110Q and the demodulator 120Q may be provided and the network interface 130Q may not be included. On the contrary, the tuner 110Q and the demodulator are provided while the network interface 130Q is provided. It is also possible to design not to include 120Q.

튜너(110Q)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The tuner 110Q selects an RF broadcast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or all pre-stored channels from among RF (Radio Frequency)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lso,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is converted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a baseband image, or a voice signal.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110Q)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모두 처리할 수 있다. 튜너(110Q)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Q)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is a digital broadcast signal, it is converted into a digital IF signal (DIF). If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is an analog broadcast signal, it is converted into an analog baseband image or voice signal (CVBS / SIF). That is, the tuner 110Q may process both a digital broadcast signal or an analog broadcast signal. The analog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 CVBS / SIF output from the tuner 110Q may be directly input to the controller 170Q.

복조부(120Q)는, 튜너(110Q)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The demodulator 120Q receives the digital IF signal DIF converted by the tuner 110Q and performs a demodulation operation.

예를 들어, 튜너(110Q)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Q)는 예컨대,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Q)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Q)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igital IF signal output from the tuner 110Q is of the ATSC scheme, the demodulator 120Q performs 8-VSB (8-Vestigal Side Band) demodulation, for example. Also, the demodulator 120Q may perform channel decoding. The demodulator 120Q includes a trellis decoder, a de-interleaver, and a Reed Solomon decoder for performing trellis decoding, deinterleaving, and lead decoding. Solomon decoding can be performed.

예를 들어, 튜너(110Q)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Q)는 예컨대,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Q)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Q)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하여,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igital IF signal output from the tuner 110Q is a DVB scheme, the demodulator 120Q performs, for example, 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COFDMA) demodulation. In addition, the demodulator 120Q may perform channel decoding. To this end, the demodulator 120Q may include a convolutional decoder, a deinterleaver, a reed-soloman decoder, and the like to perform convolutional decoding, deinterleaving, and reed-soloman decoding.

복조부(120Q)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modulator 120Q may demodulate and decode the channel, and then output the stream signal TS. In this case, the stream signal may be a signal multiplexed with a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or a data signal. For example, the stream signal may be an MPEG-2 TS (Transport Stream) multiplexed with an MPEG-2 standard video signal, a Dolby AC-3 standard audio signal, or the like. Specifically, the MPEG-2 TS may include a header of 4 bytes and a payload of 184 bytes.

복조부(120Q)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Q)로 입력될 수 있다.The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ion unit 120Q may be input to the control unit 170Q.

제어부(170Q)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180Q)에 영상을 출력하고, 음성 출력부(185Q)로 음성을 출력한다.After performing demultiplexing, image / audio signal processing, and the like, the controller 170Q outputs an image to the display unit 180Q and outputs audio to the audio output unit 185Q.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외부 장치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Q may connect the external device to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is end,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Q may include an A / V input / output unit (not shown) o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제어부(170Q)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Q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digital versatile disk (DVD), a Blu-ray, a game device, a camcorder, a computer (laptop), or the like by wire or wireless.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may transmit a video, audio, or data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to the controller 170Q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through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In addition, the video, audio, or data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Q may be output to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To this end,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Q may include an A / V input / output unit (not shown) o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Q provides an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to a wired / wireless network including an internet network.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Q may include, for example, an Ethernet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a wired network, and for example, for connection with a wireless network, for example, a wireless LAN (WLAN) (Wi-). 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communication standards, and the like can be used.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Q can transmit or receive data to another user or another electronic device via the network to which it is connected or another network linked to the connected network.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Q can access a predetermined web page through a connected network or another network linked to the connected network. That is, by accessing a predetermined web page through the network, it is possible to send or receive data with the server. In addition, content or data provided by a content provider or a network operator may be received. That is, it can receive contents such as a movie, an advertisement, a game, a VOD, a broadcast signal, and related information provided from a content provider or a network provider through a network. In addition, the update information and the update file of the firmware provided by the network operator can be received. It may also transmit data to the Internet or content provider or network operator.

저장부(140Q)는 제어부(170Q)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The storage unit 140Q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each signal in the controller 170Q, or may store a signal-processed video, audio, or data signal.

또한, 저장부(140Q)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Q)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40Q may also function to temporarily store video, audio, or data signals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Q or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Q.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40Q can store information on a predetermined broadcast channel through the channel memory function.

저장부(140Q)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40Q may be, for exampl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an SD or XD memory). Etc.), RAM, and ROM (EEPROM, etc.)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저장부(140Q)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may reproduce and provide a content file (video file, still image file, music file, document file, application file, etc.) stored in the storage 140Q to the user.

도 2는 저장부(140Q)가 제어부(170Q)와 별도로 구비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저장부(140Q)는 제어부(170Q)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FIG. 2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storage 140Q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ler 170Q. However, the storage 140Q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ler 170Q.

명령 입력부(160Q)는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명령 입력부(160Q)는 유선으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유선 입력부(190Q) 및 무선으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무선 입력부(200Q)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mand input unit 160Q may include an input key for the user to input a command. The command input unit 160Q may include a wired input unit 190Q for inputting a command by wire and a wireless input unit 200Q for inputting a command by wireless.

이러한 명령 입력부(160Q)는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음량 조절, 화면상에서 커서(Cursor)의 이동, 메뉴(Menu) 선택 등의 다양한 명령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command input unit 160Q may input various commands such as power on / off, channel selection, screen setting, volume control, movement of a cursor on the screen, and menu selection.

여기서, 무선입력부(200Q)는 원격제어를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일 수 있다.Here,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may be a remote controller for remote control.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명령 입력부(160Q)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Q)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Q)로부터의 신호를 명령 입력부(160Q)로 전달할 수 있다.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Q may transmit a signal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command input unit 160Q to the control unit 170Q, or may transmit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70Q to the command input unit 160Q.

만약, 사용자가 유선 입력부(190Q)를 통해 소정의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에, 입력된 명령은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제어부(170Q)에 전달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If the user inputs a predetermined command through the wired input unit 190Q, the input command may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70Q without passing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Q.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무선입력부(200Q)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을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Q)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무선입력부(200Q)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Q receives and processes a command input from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accor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an RF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method and an infrared (IR) communication method, or from the control unit 170Q. Control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명령 입력부(160Q)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Q)에 전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Q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input from a local key (not shown) such as a power key, a channel key, a volume key, and a set value of the command input unit 160Q to the controller 170Q. I can deliver it.

제어부(170Q)는, 튜너(110Q) 또는 복조부(120Q)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70Q demultiplexes the input stream or processes the demultiplexed signals through the tuner 110Q, the demodulator 120Q, or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135Q, and outputs a video or audio signal. You can create and output.

제어부(170Q)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Q)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Q may be input to the display unit 180Q and displayed a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signal. In addition,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Q may be input to the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음성 출력부(185Q)로 음성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The voic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Q may be output to the voice output unit 185Q. In addition, the voic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Q may be input to the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Q.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Q)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Although not shown in FIG. 2, the controller 170Q may include a demultiplexer, an image processor, and the like.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아울러, 제어부(170Q)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Q)는, 튜너(110Q)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Q may control overall operations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For example, the controller 170Q may control the tuner 110Q to control selecting of an RF broadcast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a user or a previously stored channel.

또한, 제어부(17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방송신호 수신기(100Q)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방송신호 수신기(100Q)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Q may control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by a user command or an internal program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Q.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connect to the network so that the user can download the desired application or application list into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예를 들어, 제어부(17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110Q)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170Q)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Q) 또는 음성 출력부(185Q)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70Q controls the tuner 110Q to input a signal of a selected channe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hannel selection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Q. Then, video, audio, or data signals of the selected channel are processed. The controller 170Q may output the channel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together with the processed video or audio signal through the display 180Q or the audio output unit 185Q.

다른 예로, 제어부(17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Q) 또는 음성 출력부(185Q)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ler 170Q may output an image signal or an audio from an external device, a camcorder, or the like, which is inpu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Q according to an external device image playback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Q. The signal may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80Q or the voice output unit 185Q.

제어부(170Q)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Q)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Q)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Q)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The controller 170Q may control the display 180Q to display an image. For example, a broadcast image input through the tuner 110Q, an external input image inpu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Q, an image input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unit, or an imag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Q , And display on the display unit 180Q. In this case,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may be a still image or a video, and may be a 2D image or a 3D image.

제어부(170Q)는,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컨텐츠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일 수 있다.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The controller 170Q may control to reproduce the content. The content at this time may be content stored in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received broadcast content, or external input content input from the outside. The content may be at least one of a broadcast image, an external input image, an audio file, a still image, a connected web screen, and a document file.

또한, 제어부(170Q)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를 통하여 방송신호 수신기와 네트워크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사용자 단말기 목록을 디스플레이부(180Q)를 통하여 출력하고,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하여 상기 검색된 사용자 단말기 목록 중 사용자 컨트롤러로 사용한 사용자 단말기의 선택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Q searches for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through a network interface unit 130Q, outputs the searched user terminal list through the display unit 180Q, and outputs a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Q. ) May be controlled to receive a selection signal of a user terminal used as a user controller from the searched user terminal list.

또한, 제어부(170Q)는, 디스플레이부(180Q)를 통하여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에 해당하는 플레이어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Q may control to output play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user terminal through the display unit 180Q.

디스플레이부(180Q)는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The display unit 180Q converts the image signal, the data signal, the OSD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Q, or the image signal and data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Q into R, G, and B signals, respectively. Generate a signal.

디스플레이부(180Q)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80Q may be a PDP, an LCD, an OLED, a flexible display, a 3D display, or the like.

한편, 디스플레이부(180Q)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display unit 180Q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and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음성 출력부(185Q)는 제어부(170Q)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185Q)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The voice output unit 185Q receives a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Q, for example, a stereo signal, a 3.1 channel signal, or a 5.1 channel signal, and outputs a voice signal. The voice output unit 185Q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types of speakers.

음향 센싱부(191Q)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내부 혹은 외부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센싱할 수 있다.The sound sensing unit 191Q may sense sound generated inside or outside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예를 들면, 음향 센싱부(191Q)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외부에서 발생하는 전화벨소리, 초인종소리, 물소리, 사용자의 목소리 등의 다양한 음향을 센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향 센싱부(191Q)는 음성 센서 혹은 마이크(Microphone)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ound sensing unit 191Q may sense various sounds such as telephone ringing, doorbell, water, and a user's voice generated from the outside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To this end, the sound sensing unit 191Q may include a voice sensor or a microphone.

모션 센싱부(192Q)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션 센싱부(192Q)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170Q)로 전달될 수 있다.The motion sensing unit 192Q may sense a user's movement. To this end, the motion sensing unit 192Q may include a sensor unit (not show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touch sensor, a voice sensor, a position sensor, and a motion sensor. The signal detected by the sensor unit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70Q.

아울러, 모션 센싱부(192Q)는 카메라(Camera) 등의 촬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Q)에 입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tion sensing unit 192Q may include a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such as a camera.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may be input to the control unit 170Q.

또는, 모션 센싱부(192Q)는 센서부와 촬영부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motion sensing unit 192Q may include a sensor unit and a photographing unit together.

제어부(170Q)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70Q may detect a user's gesture by combining or respectively combining an image photographed by a photographing unit or a sensed signal from a sensing unit (not shown).

아울러, 모션 센싱부(192Q)는 사용자의 모션 뿐 아니라, 사용자의 안면(Face)의 형태, 사용자의 안면이 향하는 방향 등의 정보를 센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motion sensing unit 192Q may sense not only the user's motion but also information such as the shape of the user's face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s face is directed.

한편, 무선입력부(200Q)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로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입력부(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Meanwhile,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may transmit a user input to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Q. To this end, the wireless input unit 200 may use Bluetooth, RF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infrared (IR) communication, UWB (Ultra Wideband), ZigBee (ZigBee) method.

또한, 무선입력부(20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무선입력부(200Q)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may receive an image, an audio or a data signal output from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Q, display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or output audio or vibration.

한편,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10Q)와 복조부(120Q)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해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재생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does not include the tuner 110Q and the demodulator 120Q, as shown in FIG. 2, and the image is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130Q or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135Q. The content may be received and played back.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it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channel browsing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a thumbnail image corresponding to the channel signal or the external input signal.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120Q)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그대로 또는 부호화되어 제어부(170Q)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스트림 형태로 부호화되어 제어부(170Q)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70Q)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들은 차례로 또는 동시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의 방송 채널의 내용을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The channel browsing processor receives a stream signal TS output from the demodulator 120Q or a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Q, and extracts an image from the input stream signal to generate a thumbnail image. Can be. The generated thumbnail image may be input as it is or encoded to the controller 170Q. In addition, the generated thumbnail image may be encoded in a stream form and input to the controller 170Q. The controller 170Q may display a thumbnail list including a plurality of thumbnail images on the display unit 180Q by using the input thumbnail image. Meanwhile, the thumbnail images in the thumbnail list may be updated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contents of the plurality of broadcast channel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가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3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process of a broadcast signal receive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arts described in detail above will be omitt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방송국(210Q), 네트워크 서버(220Q) 또는 외부장치(230Q)와 통신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municate with a broadcast station 210Q, a network server 220Q, or an external device 230Q.

방송신호 수신기기(100Q)는 방송국(210Q)에서 전송하는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방송신호에 포함되는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 또는 데이터신호를 방송신호 수신기(100Q)에서 출력하기에 적합하도록 처리(process)할 수 있다.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처리한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 또는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may receive a broadcast signal including a vide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roadcast station 210Q.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may process a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or a data signal included in the broadcast signal so as to be suitable for outputting from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may output a video or audio based on the processed video signal.

한편,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네트워크 서버(220Q)와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버(220Q)는 임의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방송신호 수신기(100Q)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서버(220Q)는 유선 또는 무선 기지국을 통하여 방송신호 수신기(100Q)와 연결될 수 있는 휴대전화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서버(220Q)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하여 방송신호 수신기(100Q)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는 네트워크 서버를 이용하여 방송신호 수신기(100Q)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may communicate with the network server 220Q. The network server 220Q is a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through any network. For example, the network server 220Q may be a mobile phone terminal that may be connected to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through a wired or wireless base station. In addition, the network server 220Q may be a device capable of providing content to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through an internet network. The content provider may provide content to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using a network server.

한편,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외부장치(230Q)와 통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230Q)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방송신호 수신기(100Q)와 직접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일예로, 외부장치(230Q)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미디어 저장장치 또는 재생장치일 수 있다. 즉, 외부장치(230Q)는 예를 들어 카메라, DVD 또는 블루레이 플레이어, 퍼스널 컴퓨터 등에 해당한다.Meanwhile,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may communicate with the external device 230Q. The external device 230Q is a device capable of direct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by wire or wirelessly. For example, the external device 230Q may be a media storage device or a playback device used by a user. That is, the external device 230Q corresponds to, for example, a camera, a DVD or Blu-ray player, a personal computer, and the like.

방송국(210Q), 네트워크 서버(220Q), 또는 외부장치(230Q)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로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입력되는 신호에 포함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방송국(210Q) 또는 네트워크 서버(220Q)에서 방송신호 수신기(100Q)로 전송하는 신호를 외부장치(230Q)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230Q)에서 방송신호 수신기(100Q)로 전송하는 신호를 방송국(210Q) 또는 네트워크 서버(220Q)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방송국(210Q), 네트워크 서버(220Q) 및 외부장치(230Q)에서 전송하는 신호에 포함되는 컨텐츠를 방송신호 수신기(100Q)에서 직접 재생하는 기능 뿐 아니라, 이를 전달하는 기능도 포함한다.The broadcasting station 210Q, the network server 220Q, or the external device 230Q may transmit a signal including a video signal to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may display an image based on an image signal included in an input signal. In addition,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may transmit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roadcast station 210Q or the network server 220Q to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to the external device 230Q. In additio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device 230Q to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may be transmitted to the broadcast station 210Q or the network server 220Q. That is,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not only directly reproduces the content included i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roadcast station 210Q, the network server 220Q, and the external device 230Q, but also delivers the content to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It also includes the ability to do so.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4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controller shown in FIG. 2.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4 is as follows. 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arts described in detail above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제어부(170Q)는, 역다중화부(310Q), 영상 처리부(320Q), OSD 생성부(340Q), 믹서(350Q),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Q), 및 포맷터(360Q)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음성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0Q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multiplexer 310Q, an image processor 320Q, an OSD generator 340Q, a mixer 350Q, a frame rate converter 355Q, And formatter 360Q. In addition,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voice processor (not shown) and a data processor (not shown).

역다중화부(310Q)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Q)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110Q) 또는 복조부(120Q)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The demultiplexer 310Q demultiplexes the input stream. For example, when an MPEG-2 TS is input, it may be demultiplexed and separated into video, audio, and data signals, respectively. Here, the stream signal input to the demultiplexer 310Q may be a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tuner 110Q, the demodulator 120Q, or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Q.

영상 처리부(320Q)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Q)는, 영상 디코더(325Q), 및 스케일러(335Q)를 구비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or 320Q may perform image processing of the demultiplexed image signal. To this end, the image processor 320Q may include an image decoder 325Q and a scaler 335Q.

영상 디코더(325Q)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335Q)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부(180Q)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The video decoder 325Q decodes the demultiplexed video signal, and the scaler 335Q performs scaling to output the resolution of the decoded video signal on the display unit 180Q.

영상 디코더(325Q)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video decoder 325Q may include decoders of various standards.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MPEG-2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emultiplexed video signal is an encoded video signal of MPEG-2 standard, it may be decoded by an MPEG-2 decoder.

또한,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H.264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H.264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Also, for example, when the demultiplexed video signal is a digital video broadcasting (DMB) scheme or an encoded video signal of H.264 standard according to DVB-H, it may be decoded by an H.264 decoder.

한편, 영상 처리부(320Q)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믹서(350Q)로 입력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video signal decoded by the image processor 320Q is input to the mixer 350Q.

OSD 생성부(340Q)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80Q)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OSD generator 340Q generates an OSD signal according to a user input or itself. For example, based on a control signal from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Q, a signal for display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on a screen of the display unit 180Q as a graphic or text may be generated. The generated OSD signal may include various data such as a user interface screen, various menu screens, widgets, and icons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예를 들어, OSD 생성부(340Q)는, 방송 영상의 자막 또는 EPG에 기반한 방송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SD generator 340Q may generate a signal for displaying broadcast information based on subtitles or EPGs of a broadcast video.

믹서(350Q)는, OSD 생성부(340Q)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처리부(220Q)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믹싱된 신호는 포맷터(360Q)에 제공된다. 복호화된 방송 영상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와 OSD 신호가 믹싱됨으로 인하여,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입력 영상 상에 OSD 가 오버레이 되어 표시될 수 있게 된다.The mixer 350Q may mix the OSD signal generated by the OSD generator 340Q and the decoded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or 220Q. The mixed signal is provided to the formatter 360Q. Since the decoded broadcast video signal or the external input signal and the OSD signal are mixed, the OSD can be overlaid on the broadcast image or the external input image.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FRC)(355Q)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 또는 240Hz로 변환한다.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로 변환하는 경우,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제 1 프레임을 삽입하거나,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으로부터 예측된 제 3 프레임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240Hz로 변환하는 경우, 동일한 프레임을 3개 더 삽입하거나, 예측된 프레임을 3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별도의 변환없이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를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frame rate converter (FRC) 355Q may convert a frame rate of an input video. For example, a 60Hz frame rate is converted to 120Hz or 240Hz. When converting a frame rate of 60 Hz to 120 Hz, it is possible to insert the same first frame or insert a third frame predicted from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When converting a frame rate of 60 Hz to 240 Hz, it is possible to insert three more identical frames or three predicted frames.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o maintain the input frame rate without additional conversion.

포맷터(360Q)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Q)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부(180Q)에 적합하도록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R,G,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G,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The formatter 360Q receives the output signal of the frame rate converter 355Q, changes the format of the signal to be suitable for the display unit 180Q, and outputs the signal. For example, the R, G, B data signals may be output, and the R, G, B data signals may be output as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or mini-LVDS.

도 5는 무선입력부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이 설명은 생략한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the wireless input unit. In the following, the description of the parts described above in detail will be omitted.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Q)에 무선입력부(200Q)에 대응하는 포인터(205Q)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여기서, 포인터(205Q)는 커서(Cursor)일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5A, a pointer 205Q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Here, the pointer 205Q may be a cursor.

사용자는 무선입력부(200Q)를 상하, 좌우(도 5의 (b)), 앞뒤(도 5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시킬 수 있다.The user may move or rotate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up and down, left and right (Fig. 5 (b)), front and rear (Fig. 5 (c)).

이러한 경우, 방송신호 수신기의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포인터(205Q)는 무선입력부(200Q)의 움직임에 대응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ointer 205Q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may correspond to the movement of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무선입력부(200Q)는 3D 공간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Q)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The wireless input unit 200Q may be referred to as a spatial remote controller because the pointer 205Q is moved and displayed as the 3D space moves.

도 5의 (b)는 사용자가 무선입력부(200Q)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방송신호 수신기의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포인터(205Q)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FIG. 5B illustrates that when the user moves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to the left side, the pointer 205Q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also moves to the left side correspondingly.

무선입력부(200Q)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무선입력부(200Q)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제어부(170Q)로 전송된다.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sensed by the sensor of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70Q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제어부(170Q)는 무선입력부(200Q)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Q)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아울러,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디스플레이부(180Q)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Q)를 표시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70Q may calculate the coordinates of the pointer 205Q from the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80Q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may display the pointer 205Q so as to correspond to the calculated coordinates.

도 5의 (c)는, 무선입력부(200Q)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무선입력부(200Q)를 디스플레이부(180Q)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러한 경우, 포인터(205Q)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Q)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Zoom in)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FIG. 5C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user moves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away from the display unit 180Q while pressing a specific button in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In this case, the selection area in the display unit 180Q corresponding to the pointer 205Q may be zoomed in to be enlarged and displayed.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무선입력부(200Q)를 디스플레이부(180Q)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Q)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Q)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Zoom out)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On the contrary, when the user moves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closer to the display unit 180Q, the selection area in the display unit 180Q corresponding to the pointer 205Q may be zoomed out to be reduced in size. .

한편, 무선입력부(200Q)가 디스플레이부(180Q)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무선입력부(200Q)가 디스플레이부(180Q)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Meanwhile, when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moves away from the display unit 180Q, the selection area may be zoomed out, and when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approaches the display unit 180Q, the selection area may be zoomed in.

한편, 무선입력부(200Q)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무선입력부(200Q)가 디스플레이부(180Q)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 하, 좌, 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무선입력부(200Q)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무선입력부(200Q)의 상, 하, 좌, 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Q)만 이동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ile pressing a specific button in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the recognition of the vertical movement can be excluded. That is, when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moves away from or approaches the display unit 180Q, the up, down, left, and right movements may not be recognized, and only the front and back movements may be recognized. In a state where a specific button in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is not pressed, only the pointer 205Q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up, down, left, and right movements of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한편, 포인터(205Q)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무선입력부(200Q)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Meanwhile, the moving speed or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ointer 205Q may correspond to the moving speed or the moving direction of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한편, 포인터(205Q)는 무선입력부(200Q)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포인터(205Q)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Q)가 디스플레이부(180Q)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pointer 205Q may refer to an o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Accordingly, objects of various shapes are possible with the pointer 205Q in addition to the arrow shapes shown in the drawing. For example, the concept may include a point, a cursor, a prompt, a thick outlin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pointer 205Q may be displayed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horizontal axis and the vertical axis of the display unit 180Q, and may be displayed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oints such as a line and a surface. .

도 6은 무선입력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input unit. 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arts described in detail above will be omitted.

도 6을 살펴보면, 무선입력부(200Q)는 무선통신부(225Q), 사용자 입력부(235Q), 센서부(240Q), 출력부(250Q), 전원공급부(260Q), 저장부(270Q), 제어부(280Q)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5Q, a user input unit 235Q, a sensor unit 240Q, an output unit 250Q, a power supply unit 260Q, a storage unit 270Q, and a controller 280Q. ) May be included.

무선통신부(225Q)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제어부(170Q)와 통신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5Q may communicate with any one of the control unit 170Q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예컨대, 무선입력부(200Q)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경유하여 제어부(170Q)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Q)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무선입력부(200Q)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Q)을 구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may include an RF module 221Q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and from the control unit 170Q via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Q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according to the RF communication standard. have. In addition,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may include an IR module 223Q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according to IR communication standards.

여기서, 무선입력부(200Q)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제어부(170Q)로 무선입력부(200Q)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221Q)을 통하여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Here,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may transmit a signal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to the control unit 170Q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through the RF module 221Q.

또한, 무선입력부(200Q)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제어부(170Q)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Q)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입력부(200Q)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Q)을 통하여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제어부(170Q)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may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170Q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through the RF module 221Q. In addition,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may transmit a command regarding power on / off, channel change, volume change, etc. to the controller 170Q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through the IR module 223Q as necessary.

사용자 입력부(235Q)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Q)를 조작하여 무선입력부(200Q)로 방송신호 수신기(100Q)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235Q may be configured as a keypad, a button,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The user may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to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by manipulating the user input unit 235Q.

사용자 입력부(235Q)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무선입력부(200Q)로 방송신호 수신기(100Q)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When the user input unit 235Q includes a hard key button, the user may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to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through a push operation of the hard key button.

사용자 입력부(235Q)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무선입력부(200Q)로 방송신호 수신기(100Q)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When the user input unit 235Q includes a touch screen, the user may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to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by touching a soft key of the touch screen.

또한, 사용자 입력부(235Q)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In addition, the user input unit 235Q may include various kinds of input means that a user can operate, such as a scroll key or a jog key, and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센서부(240Q)는 자이로 센서(241Q) 또는 가속도 센서(243Q)를 구비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240Q may include a gyro sensor 241Q or an acceleration sensor 243Q.

자이로 센서(241Q)는 무선입력부(200Q)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The gyro sensor 241Q may sense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일예로, 자이로 센서(241Q)는 무선입력부(200Q)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43Q)는 무선입력부(200Q)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80Q)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gyro sensor 241Q may sense information about an operation of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based on the x, y, and z axes. The acceleration sensor 243Q may sense information about a moving speed of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On the other hand,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may be further provided, whereby the distance to the display unit 180Q may be sensed.

출력부(250Q)는 사용자 입력부(235Q)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제어부(170Q)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250Q may output a video or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235Q or corresponding to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170Q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출력부(250Q)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Q)의 조작 여부 또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The user may recognize whether the user input unit 235Q is manipulated or whether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is controlled through the output unit 250Q.

일예로, 출력부(250Q)는 사용자 입력부(235Q)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5Q)를 통하여 방송신호 수신기(100Q)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Q),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Q),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Q),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Q)을 구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utput unit 250Q is an LED module 251Q that is turned on when the user input unit 235Q is operated or a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5Q, and a vibration module generating vibration. 253Q), a sound output module 255Q for outputting sound, or a display module 257Q for outputting an image.

전원공급부(260Q)는 무선입력부(200Q)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260Q)는 무선입력부(200Q)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Q)는 무선입력부(200Q)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260Q supplies power to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The power supply unit 260Q may reduce power waste by stopping power supply when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does not move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power supply unit 260Q may resume power supply when a predetermined key provided in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is operated.

저장부(270Q)는 무선입력부(200Q)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무선입력부(200Q)가 방송신호 수신기(100Q)와 RF 모듈(221Q)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무선입력부(200Q)과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입력부(200Q)의 제어부(280Q)는 무선입력부(200Q)와 페어링된 방송신호 수신기(100Q)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Q)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270Q may store various types of programs and application data necessary for controlling or operating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If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wirelessly through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and the RF module 221Q,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and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hrough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 The control unit 280Q of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may store and refer to the storage unit 270Q for information on a frequency ban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relessly with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paired with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Can be.

제어부(280Q)는 무선입력부(200Q)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Q)는 사용자 입력부(235Q)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Q)에서 센싱한 무선입력부(200Q)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5Q)를 통하여 방송신호 수신기(100Q)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80Q controls various items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The control unit 280Q receives a signal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key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235Q or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sensed by the sensor unit 240Q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5Q. 100Q).

도 7 내지 도 37은 음성 모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7 to 3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voice mode. 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arts described in detail above will be omitted.

도 7을 살펴보면, 음성 모드의 실행을 위해 음향 센싱부(191Q)가 디스플레이부(180Q)의 테두리(100)에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센싱부(191Q)는 음향을 감지할 수 있는 마이크(Microphone)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sound sensing unit 191Q may be disposed on the edge 100 of the display unit 180Q to execute the voice mode. The sound sensing unit 191Q may be a microphone capable of detecting sound.

이처럼, 음향 센싱부(191Q)가 디스플레이부(180Q)의 테두리(100)에 형성되면 다양한 위치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감지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sound sensing unit 191Q is formed at the edge 100 of the display unit 180Q, sound generated at various positions may be detected.

또는, 도 8의 경우와 같이, 음향 센싱부(191Q)는 명령 입력부(160Q)의 무선 입력부(200Q)에 배치될 수 있다.Alternatively, as in the case of FIG. 8, the sound sensing unit 191Q may be disposed in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of the command input unit 160Q.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무선 입력부(200Q)에 음성으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 may input a command by voice to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예를 들어, 무선 입력부(200Q)는 음향 센싱부(191Q) 이외에도, 숫자 입력키(200), 채널업키(Channel Up Key, 210), 채널다운키(Channel Down Key, 211), 볼륨업키(Volume Up Key, 220), 볼륨다운키(Volume Down Key, 221), 전원키(Power Key, 23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in addition to the sound sensing unit 191Q,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may include a numeric input key 200, a channel up key 210, a channel down key 211, and a volume up key.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n up key 220, a volume down key 221, and a power key 230.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음성 모드를 위한 음향 센싱부(191Q)의 배치 위치는 디스플레이부(180Q) 및 무선 입력부(200Q)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an arrangement position of the sound sensing unit 191Q for the voice mode may not be limited to the display unit 180Q and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거실에 배치되고, 사용자는 주방에서 음성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에 음향 센싱부(191Q)는 냉장고, 싱크대 등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posed in a living room, and when the user inputs a voice command in the kitchen, the sound sensing unit 191Q may be disposed at various locations such as a refrigerator and a sink. .

이러한 경우, 센싱부(191Q)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제어부(170Q)와 통신을 통해 명령을 전송/수신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nsing unit 191Q may transmit / receive a command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unit 170Q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 음성 모드로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et to a voice mode when a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is input.

예컨대, 도 9의 경우와 같이,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300)하고, 판단결과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 음성 모드를 발동(310)시킬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9, whether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is input may be determined 300, and when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is input, the voice mode may be activated 310.

여기서, 음성 모드는 사용자가 음성으로 방송신호 수신기(100Q)에 명령을 입력하여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모드일 수 있다.Here, the voice mode may be a mode in which a user inputs a command to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in voic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음성 모드 시에, 음성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320)하여, 음성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 해당 음성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In the voice mode,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a voice command is input 320, and when the voice command is input, the voice command may be executed.

다르게 표현하면, 음향 센싱부(191Q)를 통해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음성 모드를 발동시키고, 아울러 음성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복수의 오브젝트(Object) 중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하거나 음성 명령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a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is received through the sound sensing unit 191Q, the voice mode is activated, and at least, the voice command corresponds to a voice command among a plurality of object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in the voice mode. The user may select one object or perform a preset function in response to a voice command.

이처럼, 음성 모드를 발동시키기 위한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설정하는 경우에는 음성 모드가 발동되기 이전의 대기 모드에서 불필요한 연산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구동회로를 단순하게 할 수 있다.As such, when a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for invoking the voice mode is set, an unnecessary operation process may be omitted in the standby mode before the voice mode is invoked. Accordingly,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and the driving circuit can be simplified.

여기서,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은 음성 모드를 발동시키기 위한 호출어이고,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설정을 변경하는 권한은 갖지 않을 수 있다.Here,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is a call word for invoking the voice mode and may not have the authority to change the setting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아울러,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은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can be set directly by the user.

음성 명령은 음성 모드에서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기능, 설정 등을 변경하거나 소정의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이러한 음성 명령도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The voice command may be a signal for changing the function, setting, etc.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or selecting a predetermined object in the voice mode. Such a voice command may be directly set by the user.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음성 명령이 입력되더라도 음성 명령이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If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is not input, the voice command may not be executed even if the voice command is input.

예를 들어,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LG"로 설정하고, 음성 명령을 도 10의 경우와 같이 설정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For example, suppose that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is set to "LG" and the voice command is set as in the case of FIG.

여기서, 도 11의 경우와 같이, t0 시점에서 전원(Power)이 온되어 방송신호 수신기(100Q)가 작동하고, 이후 t1 시점에서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t0 시점부터 t1 시점까지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음성 모드가 아닌 일반 모드(Normal Mode)로 동작할 수 있다.Here, as in the case of FIG. 11, when the power signal is turned on at time t0 and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is operated, and then a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is input at time t1, the broadcast signal is received from time t0 to time t1. The receiver 100Q may operate in a normal mode instead of a voice mode.

이러한 일반 모드에서도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영상/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In such a normal mode,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may output video / audio.

이후, t1 시점부터 전원이 오프되는 t2 시점까지는 음성 인식 호출 명령에 의해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음성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Thereafter,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may operate in the voice mode by a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from time t1 to time t2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이러한 음성 모드에서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음성 모드에 따라 영상/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In such a voice mode,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may output an image / audio according to the voice mode.

여기서, t0 시점부터 t1 시점 사이 기간에서 음향 센싱부(191Q)로 "크게"라는 음성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t0 시점부터 t1 시점까지는 음성 모드가 아니기 때문에 "크게"라는 음성 명령이 입력되더라도 방송신호 수신기(100Q)가 출력하는 음성의 볼륨(Volume)은 변하지 않을 수 있다.Here, suppose that a voice command “large” is input to the sound sensing unit 191Q in a period between a time t0 and a time t1. In this case, since the voice mode is not provided from the time point t0 to the time point t1, the volume of the voice output by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may not change even when a voice command “large” is input.

반면에, t1 시점부터 t2 시점의 사이 기간에서 음향 센싱부(191Q)로 "크게"라는 음성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 "크게"라는 음성 명령에 대응하여 방송신호 수신기(100Q)가 출력하는 음성의 볼륨(Volume)이 증가(Volume Up)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voice command "large" is input to the acoustic sensing unit 191Q in the period between the time t1 and the time t2, the voice output by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in response to the voice command "large" is output. The volume of the volume may increase.

이러한 경우는, "크게"라는 음성 명령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기능, 즉 볼륨 증가(Volume Up)라는 기능을 실행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In such a case, it may be said that a preset function, that is, a volume up function, is executed in response to the voice command "large".

또는, 도 12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Q)의 화면에 소정의 오브젝트(400)가 표시되고, 표시된 오브젝트(400)를 포인터(205Q)가 지시하고 있다고 가정해 보자.Alternatively, as in the case of FIG. 12, assume that a predetermined object 400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80Q and the pointer 205Q indicates the displayed object 400.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음향 센싱부(191Q)로, 도 10에 기재된, "선택"이라는 음성 명령을 입력하게 되면,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오브젝트(400)는 제어부(170Q)의 제어에 따라 선택(Choice)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case, when the user inputs the voice command “Selection” described in FIG. 10 to the sound sensing unit 191Q, the object 400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is selec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0Q. It can be chosen.

오브젝트(400)가 선택된 이후, "삭제"라는 음성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선택한 오브젝트(400)를 삭제(Deletion)할 수 있다.After the object 400 is selected, when a voice command of "delete" is input, the selected object 400 may be deleted.

또한,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입력되어 음성 모드가 발동된 상태에서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이 입력되면 음성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Also, when the voice recognition cancel command is input while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is input and the voice mode is activated, the voice mode may be released.

예를 들어, 도 13의 경우와 같이, 음성 모드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t2 시점에서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13, assume that a voice recognition cancel command is input at a time t2 while a voice mode is maintained.

이러한 경우, t2 시점부터 전원이 오프되는 t3 시점까지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음성 모드가 아닌 일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may operate in the normal mode instead of the voice mode from the time t2 to the time t3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여기서,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은 음성 모드를 해제시키기 위한 호출어이고,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설정을 변경하는 권한은 갖지 않을 수 있다.Here, the voice recognition release command is a caller for releasing the voice mode and may not have the authority to change the setting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아울러,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은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voice recognition cancel command can be set directly by the user.

아울러, 음성 인식 호출 명령 및 음성 인식 해제 명령 중 적어도 하나는 로그온(Log-on) 사용자에 관계없이 누구나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a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and a voice recognition release command may be input by anyone regardless of a log-on user.

예를 들어, 현재 제 1 사용자가 로그온된 상태라고 가정하면, 제 1 사용자와 다른 제 2 사용자, 제 3 사용자가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입력하여 음성 모드를 발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first user is currently logged on, it is possible for the first user, the second user, and the third user to input a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to invoke the voice mode.

이와는 반대로, 현재 로그온된 사용자만이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이용하여 음성 모드를 발동시키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Conversely, it may also be possible for only the currently logged on user to invoke the voice mode using a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또는, 현재 로그온된 사용자가 허용한 사용자들이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이용하여 음성 모드를 발동시킬 수 있다.Alternatively, users allowed by the currently logged on user may invoke the voice mode by using a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예를 들어, 현재 제 1 사용자가 로그온된 상태이고 제 1 사용자가 제 2 사용자를 사용가능하도록 설정한 경우를 가정하면, 제 1 사용자와 제 2 사용자는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입력하여 음성 모드를 발동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제 1, 2 사용자와 다른 제 3 사용자는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입력하더라도 음성 모드를 발동시키지 못할 수 있다.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first user is currently logged on and the first user has made the second user available,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user enter a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to invoke the voice mode. Although it is possible to do so, the first and second users and other third users may not activate the voice mode even when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is input.

또한, 음성 인식 모드의 발동하기 위해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입력한 사용자와는 관계없이 다수의 사용자가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을 이용하여 음성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In addition, regardless of the user who inputs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to activate the voice recognition mode, a plurality of users may release the voice mode by using the voice recognition release command.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가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사용하여 음성 모드를 발동시킨 경우, 제 1 사용자와 다른 제 2 사용자 및 제 3 사용자도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을 이용하여 음성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user invokes the voice mode using a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a second user and a third user different from the first user may also release the voice mode using the voice recognition release command.

또는, 음성 모드를 발동한 사용자가 허용한 다른 사용자들이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을 이용하여 음성 모드를 해제하고, 음성 모드를 발동한 사용자가 허용하지 않은 다른 사용자들은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을 입력하더라도 음성 모드를 해제하지 못할 수 있다.Alternatively, other users allowed by the user who activated the voice mode may release the voice mode by using the voice recognition cancel command, and other users who are not allowed by the user who activates the voice mode may activate the voice mode even if the user inputs the voice recognition cancel command. You may not be able to release it.

또는,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이용하여 음성 모드를 발동한 사용자만이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을 이용하여 음성 모드를 해제하는 것도 가능하다.Alternatively, only the user who activated the voice mode by using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may release the voice mode by using the voice recognition release command.

또는, 음성 인식 호출 명령과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을 서로 연관시킬 수 있다.Alternatively,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and the voice recognition release command may be associated with each other.

예를 들어, 도 14의 경우와 같이, 제 1 타입에서는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LG"로 하고,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을 "GL"로 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14, in the first type,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may be set to "LG", and the voice recognition release command may be set to "GL".

제 2 타입에서는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시작"로 하고,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을 "종료"로 할 수 있다.In the second type,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can be made "start", and the voice recognition cancel command can be made "end".

제 3 타입에서는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가자"로 하고,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을 "그만"로 할 수 있다.In the third type,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can be " go ", and the voice recognition cancel command can be " stop ".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이 음성 인식 호출 명령에 대응되는 경우에 음성 모드를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release the voice mode when the voice recognition cancel command input by the user corresponds to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이에 대해 일례를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5에서는 앞선 도 9와 유사하여 중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An example thereof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15. In FIG. 15, a description of overlapping parts similar to those of FIG. 9 will be omitted.

도 15를 살펴보면,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340)하여,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이 음성 인식 호출 명령과 동일한 타입인지의 여부를 판단(350)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it is determined whether a voice recognition cancel command is input (340), and if the voice recognition cancel command is inpu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oice recognition cancel command is the same type as a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350). can do.

예를 들어, 입력되는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이 "GL"인 경우, 음성 모드를 발동시킨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LG"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input voice recognition cancel command is "GL",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that triggered the voice mode is "LG".

만약,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이 음성 인식 호출 명령과 동일한 타입인 경우에는 음성 모드를 해제(360)할 수 있다.If the voice recognition cancel command is the same type as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the voice mode may be released 360.

그러나,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이 음성 인식 호출 명령과 다른 타입인 경우에는 음성 모드를 해제하지 않고 유지할 수 있다.However, if the voice recognition cancel command is of a different type than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it can be maintained without canceling the voice mode.

또는,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이 입력되지 않더라도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입력된 이후 소정 시간 이후 혹은 마지막 음성 명령이 입력된 이후 소정이 시간이 지난 이후에 자동으로 음성 모드를 해제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Alternatively, even if the voice recognition cancel command is not input, it may be possible to automatically cancel the voice mode afte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is input or afte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last voice command is input.

이에 대해 일례를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7에서는 앞선 도 9와 유사하여 중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An example thereof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16 and 17. In FIG. 17, description of overlapping parts similar to those of FIG. 9 will be omitted.

도 16의 경우와 같이, t1 시점에서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입력되어 음성 모드가 발동된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As in the case of FIG. 16, assume that a voice mode is invoked when a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is input at a time t1.

이러한 경우, 음성 모드에서 임계시간이 초과되는지의 여부를 판단(400)할 수 있다.In this case, it may be determined 400 whether the threshold time is exceeded in the voice mode.

여기서, 임계시간은 사용자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계시간은 1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음성 모드에서 음성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입력된 이후 1분 동안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 임계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혹은 마지막 음성 명령이 입력된 이후 1분 동안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 임계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Here, the threshold time may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the user. For example, the threshold time may be set to one minute. In this case, when the voice command is not input in the voice mod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threshold time is exceeded when the voice recognition release command is not input for one minute after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is input. Alternatively, when the voice recognition cancel command is not input for one minute after the last voice command is input,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threshold time has been exceeded.

예를 들어, 도 16에서, 임계시간이 W1이고, t1 시점부터 소정 시간이 지난 t4 시점까지 음성 명령의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t4 시점에서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이 입력되지 않더라도 음성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For example, in FIG. 16, when the threshold time is W1 and there is no input of a voice command from time t1 to time t4 after a predetermined time, the voice mode may be canceled even if the voice recognition cancel command is not input at time t4. .

판단결과, 음성모드에서 임계시간이 초과된 경우에는 음성 모드를 해제(410)할 수 있다.As a result of determination, when the threshold time is exceeded in the voice mode, the voice mode may be released (410).

한편, 음성 명령은 사용자가 편집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voice command may be edited and used by a user.

예를 들면, 도 18의 경우와 같이, 편집모드에서 포인터(205Q)를 이용하여 소정 기능에 대응하는 음성 명령의 문자열을 바꾸는 방법으로 음성명령을 편집하는 것이 가능하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18, it is possible to edit a voice command by using a pointer 205Q in the edit mode to change a character string of a voice command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function.

앞선, 도 10과 도 18을 비교하면 동일한 기능에 대응하는 음성 명령이 서로 다른 것을 알 수 있다.10 and 18, it can be seen that voice commands corresponding to the same function are different.

한편, 사용자가 음성 명령을 보다 용이하게 확인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9의 경우와 같이, 음성 명령을 디스플레이부(180Q)의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llow the user to more easily check and use the voice command, as shown in FIG. 19,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voice comman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80Q.

또는, 음성 명령을 보다 용이하게 확인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도 20의 경우와 같이, 무선 입력부(200Q)의 다양한 입력키에 대응하는 음성 명령을 표시할 무선 입력부(200Q)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Alternatively, as illustrated in FIG. 20, the voice command corresponding to various input keys of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may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to display the voice command.

또는, 사용자의 음성 모드에 대한 숙련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연습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Or, it may provide a practice mode for improving the proficiency of the user's voice mode.

예를 들면, 도 21의 경우와 같이, 연습모드에서는 소정의 기능, 예컨대 볼륨증가(Volume Up) 기능에 대한 음성 명령인 "크게"를 사용자가 입력하는 연습을 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21, in the practice mode, the user may practice inputting a "big" voice command for a predetermined function, for example, a volume up function.

보다 자세하게는, 도 22의 경우와 같이, 연습모드가 실행되는지의 여부를 판단(500)하여, 연습모드가 실행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80Q)에 다양한 음성 명령, 음성 인식 호출 명령, 음성 인식 해제 명령 등을 표시(510)할 수 있다.In more detail, as in the case of FIG. 2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ractice mode is executed 500, and when the practice mode is executed, various voice commands,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s, and voice recognition canceled on the display unit 180Q. The command may be displayed 510.

이후, 소정 기능에 대해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명령이 해당 기능을 실행시킬 만큼 양호한지의 여부를 판단(52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1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크게"가 볼륨증가(Volume Up)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시킬 만큼 또렷하고 양호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Thereafter,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voice command input by the user for the predetermined function is good enough to execute the corresponding function (520). For example, in FIG. 21,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large" input by the user is clear and good enough to execute a function corresponding to volume up.

판단결과, 양호한 경우에는 다른 명령을 화면에 표시(530)할 수 있다. 또는, 화면상에서 다른 명령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1에서 볼륨증가(Volume Up) 이후 볼륨감소(Volume Down) 기능을 지시할 수 있다.As a result of determination, another command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530). Alternatively, other commands may be indicated on the screen. For example, in FIG. 21, the volume down function may be indicated after the volume up.

이후, 사용자는 다른 명령에 대한 연습을 수행할 수 있다.The user can then perform exercises for other commands.

또는, 사용자의 음성 모드에 대한 숙련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사용자가 소정의 기능을 선택하는 경우에, 선택한 기능에 대응하는 음성 명령을 음성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Alternatively, when the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function for improving the proficiency of the user's voice mode, it is possible to output a voice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function.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기능에 대응하는 음성 명령은 직접 들을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 can directly hear the voice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selected by the user.

예를 들면, 도 23의 경우와 같이, 연습모드에서 사용자가 무선 입력부(200Q)에 배치된 소정의 키, 예컨대 볼륨증가키를 선택(610)하는 경우에 볼륨증가키에 대응하는 음성 명령, 예컨대 도 21과 같은 "크게"를 출력(620)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23, when a user selects 610 a predetermined key, for example, a volume increasing key, disposed in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in a practice mode, a voice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volume increasing key,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1, the output may be 620.

한편, 사용자가 다수인 경우에 각각의 사용자는 서로 다른 음성 인식 호출 명령, 음성 인식 해제 명령, 음성 명령 등을 설정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users, each user may set different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s, voice recognition release commands, voice commands, and the like.

예를 들면, 도 24의 경우와 같이, 제 1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은 제 2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과 다르거나, 제 1 사용자의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은 제 2 사용자의 음성 인식 해제 명령과 다르거나, 제 1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음성 명령은 제 2 사용자의 음성 명령과 다를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24,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of the first user is different from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of the second user, or the voice recognition release command of the first user is different from the voice recognition release command of the second user. Alternatively, the at least one voice command of the first user may be different from the voice command of the second user.

이처럼, 제 1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문자열은 제 2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문자열과 다르거나, 제 1 사용자의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의 문자열은 제 2 사용자의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의 문자열과 다르거나, 제 1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음성 명령의 문자열은 제 2 사용자의 음성 명령의 문자열과 다를 수 있는 것이다.As such, the string of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of the first user is different from the string of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of the second user, or the string of the voice recognition release command of the first user is different from the string of the voice recognition release command of the second user. The string of at least one voice command of the first user may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voice command of the second user.

이러한 경우, 각각의 사용자의 개인 정보, 선호 채널 정보 등이 타인에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personal information, preference channel information, etc. of each user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to others.

한편, 제 1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주파수 대역은 제 2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주파수 대역과 다르거나, 제 1 사용자의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의 주파수 대역은 제 2 사용자의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의 주파수 대역과 다르거나, 제 1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음성 명령의 주파수 대역은 제 2 사용자의 음성 명령의 주파수 대역과 다를 수 있는 것이다.Meanwhile, the frequency band of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of the first user is different from the frequency band of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of the second user, or the frequency band of the voice recognition release command of the first user is determined by the voice recognition release command of the second user. It may be different from the frequency band, or the frequency band of at least one voice command of the first user may be different from the frequency band of the voice command of the second user.

예를 들면, 도 25의 경우와 같이, 제 1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주파수 대역은 10㎐~50㎐이고, 제 2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주파수 대역은 500㎐~20㎑일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25, the frequency band of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of the first user may be 10 Hz to 50 Hz, and the frequency band of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of the second user may be 500 Hz to 20 Hz. .

이러한 경우, 제 1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과 제 2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은 동일한 것도 가능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of the first user and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of the second user may be the same.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와 제 2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LG"인 경우에도 제 1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과 제 2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주파수 대역이 서로 다르게 때문에 사용자를 구분할 수 있다.For example, even when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of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user is "LG", the frequency bands of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of the first user and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of the second user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Can be.

이러한 경우는, 제 1 사용자의 목소리 톤은 저음이고, 제 2 사용자의 목소리 톤은 고음인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voice tone of the first user may be a low tone, and the voice tone of the second user may be a high tone.

한편, 제 1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강세(Accent)는 제 2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강세와 다르거나, 제 1 사용자의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의 강세는 제 2 사용자의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의 강세와 다르거나, 제 1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음성 명령의 강세는 제 2 사용자의 음성 명령의 강세와 다를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accent of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of the first user is different from the accent of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of the second user, or the accent of the voice recognition release command of the first user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voice recognition release command of the second user. The accent of the at least one voice command of the first user may be different from the accent, or may be different from the accent of the voice command of the second user.

예를 들면, 도 26의 경우와 같이, 제 1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과 제 2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배고프다"인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For example, suppose that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of the first user and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of the second user are "hungry" as in the case of FIG.

이러한 경우, 제 1 사용자의 강세는 "배"에 있고, 제 2 사용자의 강세는 "다"에 있을 수 있다.In this case, the accent of the first user may be at "double" and the accent of the second user may be at "da".

이러한 경우, 제 1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과 제 2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배고프다"로 동일하더라도, 제 1 사용자와 제 2 사용자가 서로 다른 강세 패턴으로 "배고프다"를 발음하게 되면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사용자를 구분할 수 있다.In this case, even if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of the first user and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of the second user are the same as "hungry," when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user pronounce "hungry" in different accent patterns, the broadcast signal is broadcast. The receiver 100Q may distinguish a user.

한편, 제 1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음성 패턴은 제 2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음성 패턴과 다르거나, 제 1 사용자의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의 음성 패턴은 제 2 사용자의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의 음성 패턴과 다르거나, 제 1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음성 명령의 음성 패턴은 제 2 사용자의 음성 명령의 음성 패턴과 다를 수 있는 것이다.Meanwhile, the voice pattern of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of the first user is different from the voice pattern of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of the second user, or the voice pattern of the voice recognition release command of the first user is the voice pattern of the voice recognition release command of the second user. It may be different from the voice pattern or the voice pattern of the at least one voice command of the first user may be different from the voice pattern of the voice command of the second user.

예를 들면, 도 27의 경우와 같이, 제 1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음성 패턴과 제 2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음성 패턴은 서로 다를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27, the voice pattern of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of the first user and the voice pattern of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of the second user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이러한 경우, 제 1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과 제 2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은 동일한 것도 가능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of the first user and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of the second user may be the same.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와 제 2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LG"인 경우에도 제 1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과 제 2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음성 패턴이 서로 다르게 때문에 사용자를 구분할 수 있다.For example, even when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of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user is "LG", the voice patterns of the first user's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and the second user's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Can be.

여기서 음성 패턴은 각각의 사용자의 목소리를 분석하여 획득할 수 있다.The voice pattern may be obtained by analyzing the voice of each user.

한편,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에 따라 서로 다른 음성 모드를 발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activate different voice modes according to a user who inputs a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예를 들어, 도 28의 경우와 같이,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700)하고, 판단결과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입력된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제 1 사용자의 명령, 즉 제 1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인지의 여부를 판단(710)할 수 있다. 여기서는, 입력되는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문자열이 제 1 사용자가 설정한 제 1 음성 인식 호출 명령에 대응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28, it is determined 700 whether a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is input, and when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is inpu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input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is a command of the first user. That is, whether or not the first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may be determined 710. Here,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character string of the input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corresponds to the first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set by the first user.

판단결과, 입력되는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제 1 사용자가 설정한 제 1 음성 인식 호출 명령에 대응하는 경우, 입력된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주파수, 음성 패턴 또는 강세 패턴이 제 1 사용자가 설정한 내용과 매칭(Matching)되는지의 여부를 판단(720)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inputted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corresponds to the first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set by the first user, the frequency, voice pattern, or accent pattern of the input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is different from the contents set by the first user. It may be determined 720 whether or not matching.

판단결과, 입력된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주파수, 음성 패턴 또는 강세 패턴이 제 1 사용자가 설정한 내용과 매칭되는 경우에, 제 1 사용자에 대응하는 제 1 음성 모드가 발동(730)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frequency, voice pattern, or accent pattern of the input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matches contents set by the first user, the first voice mode corresponding to the first user may be activated 730.

만약, 제 710 단계에서 판단결과,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제 1 사용자의 제 1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아닌 경우에는, 입력된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제 2 사용자의 명령, 즉 제 2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인지의 여부를 판단(740)할 수 있다. 여기서는, 입력되는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문자열이 제 2 사용자가 설정한 제 2 음성 인식 호출 명령에 대응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710 that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is not the first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of the first user, the input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is a command of the second user, that is, the second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It may be determined (740). Here,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character string of the input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corresponds to the second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set by the second user.

판단결과, 입력되는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제 2 사용자가 설정한 제 2 음성 인식 호출 명령에 대응하는 경우, 입력된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주파수, 음성 패턴 또는 강세 패턴이 제 2 사용자가 설정한 내용과 매칭되는지의 여부를 판단(750)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input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corresponds to the second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set by the second user, the frequency, voice pattern, or accent pattern of the input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is different from the contents set by the second user. It may be determined 750 whether a match is found.

판단결과, 입력된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주파수, 음성 패턴 또는 강세 패턴이 제 2 사용자가 설정한 내용과 매칭되는 경우에, 제 2 사용자에 대응하는 제 2 음성 모드가 발동(760)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frequency, voice pattern, or accent pattern of the input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matches contents set by the second user, a second voice mod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user may be activated 760.

상기와 같이, 서로 다른 사용자가 로그온하는 경우에 서로 다른 음성 모드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xecute different voice modes when different users log on.

또한, 음성 모드에서 음성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되는 음성 명령이 음성 모드를 발동시킨 사용자에 대응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명령 실행을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voice command is input in the voice mode, the command execution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whether the input voice command corresponds to the user who invoked the voice mode.

예를 들면, 도 29의 경우와 같이, 음성 모드가 발동(800)하는 경우, 음성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810)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29, when the voice mode is activated 800, whether or not a voice command is input may be determined 810.

판단결과, 음성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주파수, 음성 패턴, 강세 패턴, 문자열 등을 이용하여, 입력된 음성 명령이 음성 모드를 발동시킨 사용자와 매칭이 되는지의 여부를 판단(820)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a voice command is input,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input voice command matches the user who invoked the voice mode by using the frequency, the voice pattern, the accent pattern, and the string. .

판단결과, 입력된 음성 명령이 음성 모드를 발동시킨 사용자와 매칭이 되는 경우에는 입력된 음성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input voice command matches the user who activated the voice mode, the input voice command may be executed.

만약, 제 1 사용자가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이용하여 음성 모드를 발동시킨 상태에서 제 2 사용자가 음성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제 2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명령은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If the second user inputs the voice command while the first user activates the voice mode using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the voice command input by the second user may not be executed.

한편,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입력되어 음성 모드가 실행되는 경우에, 도 30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Q)의 화면에 음성 모드가 실행중인 것을 알리는 마크(900)를 표시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is input and the voice mode is executed, as shown in FIG. 30, a mark 900 indicating that the voice mode is being executed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80Q.

또는, 도 31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Q)의 테두리(100)에 음성 모드가 실행중인 것을 알릴 수 있는 LED 등의 알림부(91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음성 모드에서는 알림부(910)가 붉은색으로 점등되어 음성 모드가 실행중임을 알 수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31, a notification unit 910 such as an LED for notifying that the voice mode is running may be formed on the edge 100 of the display unit 180Q. In this case, in the voice mode, the notification unit 910 lights up in red, indicating that the voice mode is being executed.

한편, 복수의 사용자가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설정한 경우, 각각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에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Meanwhile, when a plurality of users set a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priority may be set for each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예를 들면, 도 32의 경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사용자가 아버지, 어머니, 아들, 딸 총 4명이고, 아버지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은 "LG"이고, 어머니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은 "돈벌어와"이고, 아들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은 "배고파"이고, 딸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은 "밥줘"인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32, the user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four fathers, mothers, sons, and daughters, and the father's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is " LG " Assume that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is "Make Money", the son's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is "Hungry", and the daughter's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is "Buy Me."

이러한 경우, 각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에 우선순위를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버지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인 "LG"에 첫 번째 우선순위를 할당하고, 어머니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인 "돈벌어와"에 두 번째 우선순위를 할당하고, 아들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인 "배고파"에 세 번째 우선순위를 할당하고, 딸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인 "밥줘"에 네 번째 우선순위를 할당할 수 있다.In this case, priority may be assigned to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of each user. For example, assign the first priority to the father's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LG", assign the second priority to the mother's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Money Making" and the son's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A third priority can be assigned to "Hungry", and a fourth priority can be assigned to the daughter's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Bab Me".

만약,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 혹은 거의 동시에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에 복수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 중 우선순위가 앞서는 음성 인식 호출 명령를 선택할 수 있다.If a plurality of users input a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at the same time or nearly simultaneously,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having a priority among the plurality of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s may be selected.

예를 들면, 도 33의 경우와 같이, 복수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1000)하여, 복수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우선순위를 비교(1010)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33,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 plurality of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s are input (1000). When a plurality of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s are input, the priority of each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is determined. Compare 1010.

이후, 비교할 결과에 따라 복수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 중 상위 우선순위를 갖는 하나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Thereafter, on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having a higher priority among a plurality of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s may be selected and applie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예를 들어, 첫 번째 우선순위를 갖는 아버지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인 "LG"와 세 번째 우선순위를 갖는 아들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인 "배고파"가 함께 입력되는 경우, 우선순위가 더 빠른 아버지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인 "LG"에 대응하여 음성 모드를 발동시킬 수 있다. 즉, 아버지가 설정한 음성 모드가 발동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if "LG", the father's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with the first priority, and "Hungry,"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with the son with the third priority, are entered together, The voice mode can be activated in response to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LG". In other words, the voice mode set by the father can be activated.

또는, 음성 모드가 발동된 상태에서 또 다른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 새롭게 입력된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우선순위와 현재 음성 모드를 발동시킨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우선순위에 따라 음성 모드를 전환할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another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is input while the voice mode is activated, the voice mod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priority of the newly input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and the priority of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that activated the current voice mode. You can decide whether to switch.

예를 들어, 도 34의 경우와 같이, 제 1 사용자에 따른 제 1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1100)하여, 입력되는 경우 제 1 음성 인식 호출 명령에 대응하는 제 1 음성 모드를 발동(1110)시킬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34, it is determined whether a first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according to the first user is input (1100), and when input, the first voice mode corresponding to the first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Can be activated 1110.

이후, 제 1 사용자와 다른 제 2 사용자에 따른 제 2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1120)하여, 입력되는 경우 제 1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우선순위와 제 2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우선순위를 비교(1130)할 수 있다.Subsequently, it is determined whether a second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according to a second user different from the first user is input (1120), and if so, the priority of the first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and the second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are determined. Priorities may be compared 1130.

비교 결과, 제 2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우선순위가 제 1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우선순위보다 상위인 경우에, 제 1 음성 모드를 제 2 음성 모드로 전환(1140)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when the priority of the second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is higher than the priority of the first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the first voice mode may be switched 1140 to the second voice mode.

이와는 다르게, 비교 결과, 제 2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우선순위가 제 1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우선순위보다 하위인 경우에, 제 1 음성 모드를 유지(1150)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comparison result indicates that the priority of the second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is lower than the priority of the first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the first voice mode may be maintained 1150.

즉, 음성 모드가 발동된 상태에서 또 다른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 새롭게 입력된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우선순위가 현재 음성 모드를 발동시킨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우선순위보다 상위인 경우에는 새롭게 입력된 음성 인식 호출 명령에 대응하는 음성 모드로 전환하고, 이와는 반대로 새롭게 입력된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우선순위가 현재 음성 모드를 발동시킨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우선순위보다 하위인 경우에는 현재 음성 모드를 유지하는 것이다.That is, when another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is input while the voice mode is activated, the priority of the newly input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is higher than the priority of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that has activated the current voice mode. Switch to the voice mode corresponding to the newly input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and vice versa if the priority of the newly input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is lower than the priority of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that invoked the current voice mode. To maintain.

한편, 이상에서는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음향 형태인 경우만을 설명하였지만, 음성 모드를 발동시키는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은 사용자의 움직임(Gesture) 형태일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only the case where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is in the acoustic form has been described,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for activating the voice mode may be in the form of a gesture of a user.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이하에서는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음향에서 움직임으로 바뀔 뿐이고, 음성 명령 등의 내용은 위의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는 것이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arts described in detail above will be omitted. For example, hereinafter,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only changes from sound to motion, and the content of the voice command and the like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above.

도 35를 살펴보면, 사용자의 움직임을 이용한 음성 모드의 실행을 위해 모션 센싱부(192Q)가 디스플레이부(180Q)의 테두리(100)에 배치될 수 있다. 모션 센싱부(192Q)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카메라(Camera)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35, the motion sensing unit 192Q may be disposed on the edge 100 of the display unit 180Q to execute a voice mode using a user's movement. The motion sensing unit 192Q may be a camera capable of detecting a user's movement.

또는, 모션 센싱부(192Q)는 디스플레이부(180Q)와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거실에 배치되고, 모션 센싱부(192Q)는 거실 천정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Alternatively, the motion sensing unit 192Q may be physically spaced apart from the display unit 180Q. For example,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posed in the living room, and the motion sensing unit 192Q may be disposed in the ceiling of the living room.

사용자는 소정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방송신호 수신기(100Q)를 음성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The user may set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to the voice mode by using a predetermined movement.

예를 들면, 사용자는 박수, 점프, 회전, 덤블링, 발차기 등의 동작을 미리 음성 인식 호출 명령으로 설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음성 모드를 발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the user may set an operation such as clapping, jumping, rotating, tumbling, kicking, etc. as a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in advance, and use the same to activate the voice mode.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앞차기"를 음성 인식 호출 명령으로 설정한 경우,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사용자가 "앞차기" 동작을 취하는 경우에 음성 모드로 진입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user sets "front kick" as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may enter the voice mode when the user takes the "front kick" operation.

또한, 음성 모드를 해제하는 음성 인식 해제 명령도 "점프" 등의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은 "종료" 등의 음성 신호일 수 있다.In addition, a voice recognition cancel command for releasing the voice mode may also be set by a user's movement such as "jump". Alternatively,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voice recognition cancel command may be a voice signal such as "end".

한편, 사용자에 따라 움직임인 음성 인식 호출 명령도 다를 수 있다.Meanwhile, a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which is a motion, may vary according to a user.

예를 들면, 도 36의 경우와 같이, 제 1 사용자는 음성 인식 호출 명령으로 팔을 위 아래로 휘젓는 제 1 동작으로 설정하고, 제 2 사용자는 음성 인식 호출 명령으로 팔을 좌우로 벌린 상태인 제 2 동작으로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36, the first user is set to the first operation of swinging the arm up and down with a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and the second user is a first state in which the arms are spread from side to side with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Can be set to 2 operations.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제 1 동작을 취하는 경우에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제 1 동작에 대응하는 음성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user takes the first operation,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may enter a voice mode corresponding to the first operation.

아울러, 각각의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 뿐 아니라, 각각의 사용자의 키, 체형, 얼굴 윤곽 등을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s well as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of each user, it is possible to set each user's height, body shape, face contour, and the like.

여기서, 키, 체형, 얼굴 윤곽 등은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모션 센싱부(192Q)가 사용자를 촬영하여 키, 체열, 얼굴 윤곽 등의 정보를 설정하고 저장할 수 있다.Here, the key, body shape, facial contour, etc. may be directly input by the user. Unlike this, the motion sensing unit 192Q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may photograph the user to set and store information such as height, body heat, and facial contour.

이러한 경우,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소정의 동작을 취하는 사용자가, 해당 음성 인식 호출 명령에 대응하는 사용자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whether the user who takes a predetermined operation for inputting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is a user corresponding to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예를 들어, 도 37의 경우와 같이, 움직임 명령(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1200)하고, 판단결과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입력된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제 1 사용자의 명령, 즉 제 1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인지의 여부를 판단(1210)할 수 있다. 여기서는, 입력되는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동작 패턴이 제 1 사용자가 설정한 제 1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동작 패턴에 대응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37, it is determined whether a motion command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is input (1200). When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is inpu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input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is determined. It may be determined 1210 whether the command of the first user, that is, the first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Here,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operation pattern of the input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corresponds to the operation pattern of the first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set by the first user.

판단결과, 입력되는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동작 패턴이 제 1 사용자가 설정한 제 1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동작 패턴에 대응하는 경우,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입력한 사용자의 키, 체형, 얼굴 윤곽 등이 제 1 사용자가 설정한 내용과 매칭되는지의 여부를 판단(1220)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operation pattern of the input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corresponds to the operation pattern of the first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set by the first user, a key, a body shape, a face contour, etc. of the user who inputs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content matches the content set by the first user (1220).

판단결과,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입력한 사용자의 키, 체형 등이 제 1 사용자가 설정한 내용과 매칭되는 경우에, 제 1 사용자에 대응하는 제 1 음성 모드가 발동(1230)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a key, a shape, and the like of the user who inputs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match the contents set by the first user, the first voice mode corresponding to the first user may be activated 1230.

만약, 제 710 단계에서 판단결과,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입력한 사용자의 키, 체형 등이 제 1 사용자가 설정한 내용과 매칭되지 않는 경우에는, 입력된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제 2 사용자의 명령, 즉 제 2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인지의 여부를 판단(1240)할 수 있다. 여기서는, 입력되는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동작 패턴이 제 2 사용자가 설정한 제 2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동작 패턴에 대응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operation 710 that the key, body shape, etc. of the user who inputs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do not match the contents set by the first user, the input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is the second user's command; That is,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it is the second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1240). Here,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operation pattern of the input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corresponds to the operation pattern of the second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set by the second user.

판단결과, 입력되는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동작 패턴이 제 2 사용자가 설정한 제 2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동작 패턴에 대응하는 경우,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입력한 사용자의 키, 체형, 얼굴 윤곽 등이 제 2 사용자가 설정한 내용과 매칭되는지의 여부를 판단(1250)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operation pattern of the input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corresponds to the operation pattern of the second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set by the second user, a key, a body shape, a face contour, etc. of the user who inputs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In operation 1250,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content matches the content set by the second user.

판단결과,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입력한 사용자의 키, 체형 등이 제 2 사용자가 설정한 내용과 매칭되는 경우에, 제 2 사용자에 대응하는 제 2 음성 모드가 발동(1260)될 수 있다.As a result of determination, when a key, a shape, and the like of the user who inputs the voice recognition call command match the contents set by the second user, the second voice mod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user may be activated 1260.

도 38 내지 도 53은 음성 메뉴 모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내용의 설명은 생략한다.38 to 53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voice menu mod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details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메뉴(Menu)의 정보를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즉, 화면에 표시된 메뉴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를 음성 메뉴 모드라고 한다.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utput information of a menu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through a voice output unit. That is, the menu displayed on the screen is spoken by voice. Hereinafter, this is called a voice menu mode.

만약,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영상을 볼 필요가 없다고 한다면, 메뉴를 디스플레이부(180Q)에는 표시하지 않고 음성으로만 출력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If the user does not need to view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it may be possible to output only a voice without displaying a menu on the display unit 180Q.

이하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메뉴를 디스플레이부(180Q)의 화면상에 표시하고, 표시한 메뉴의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내용이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되지 않는 메뉴의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 menu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80Q, and the information of the displayed menu is output by voice. However, the following description may also be applied to a case in which information of a menu no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is output by voice.

도 38을 살펴보면, 디스플레이부(180Q)에 메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①카테고리, ②선호채널, ③검색, ④헬스케어(Health Care), ⑤외부입력, ⑥설정 등이 메뉴가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8, menus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For example, ① category, ② favorite channel, ③ search, ④ Health Care, ⑤ external input, ⑥ setting, etc.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이처럼, 메뉴가 복수개인 경우에는 복수의 메뉴의 정보를 순차적으로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9의 경우와 같이, ①카테고리, ②선호채널, ③검색, ④헬스케어(Health Care), ⑤외부입력, ⑥설정의 순서에 따라 각각의 메뉴의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menus,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menus may be sequentially output as voice. 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39, information of each menu can be output by voice in the order of ① category, ② favorite channel, ③ search, ④ health care, ⑤ external input, and ⑥ setting.

음성으로 출력되는 메뉴의 정보는 메뉴의 이름(Menu Name) 및 메뉴의 번호(Menu Numb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of the menu output as voi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enu name and a menu number.

또한, 디스플레이부(180Q)의 화면상에 표시된 복수의 메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의 정보를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information of a menu selected by a user among a plurality of menu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80Q may be output through the voice output unit.

예를 들면, 도 40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포인터(205Q)를 이용하여 복수의 메뉴 중 "④헬스케어"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170Q)의 제어에 따라 음성 출력부을 통해 "④헬스케어" 메뉴의 정보를 음성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0, when the user selects the menu item “health care” from among a plurality of menus using the pointer 205Q, the user may perform “health” through the voice output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0Q. Information of the “Care” menu may be output as voice.

이러한 경우, 문맹인 사용자도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다양한 메뉴를 사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an illiterate user may use various menus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울러, 시력이 좋지 않은 사용자도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가 제공하는 음성 메뉴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다양한 메뉴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 user with poor vision may easily use various menus by using a voice menu provided by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는, 설거지, 청소 등 다른 업무를 하면서도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가 제공하는 다양한 메뉴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Alternatively, various menus provided by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used while doing other tasks such as washing dishes and cleaning.

한편, 메뉴의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경우, 사용자는 음성으로 출력되는 메뉴의 정보를 듣고,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기 위해 메뉴 선택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메뉴 선택 신호는 음성으로 제공되는 소정의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인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nformation of the menu is output by voice, the user may listen to the information of the menu output by the voice and input a menu selection signal to select desired information. Here, the menu selection signal is a signal for selecting a predetermined menu provided by voice.

예를 들면, 도 41의 (A)의 경우와 같이, 제 1 사용자와 제 2 사용자는 메뉴 번호 및/또는 메뉴 이름을 메뉴 선택 신호로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41A,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user may set a menu number and / or a menu name as a menu selection signal.

이러한 경우, 제 1 사용자 또는 제 2 사용자는 선택하고자 하는 메뉴의 번호 및/또는 메뉴의 이름을 발성함으로써 원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user or the second user can select the desired menu by uttering the number of the menu to be selected and / or the name of the menu.

도 41의 (A)에서 제 1 사용자의 메뉴 선택 신호와 제 2 사용자의 메뉴 선택 신호는 동일한 문자열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제 1 사용자의 메뉴 선택 신호와 제 2 사용자의 메뉴 선택 신호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 음성 패턴 및/또는 강세 패턴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In FIG. 41A, the menu selection signal of the first user and the menu selection signal of the second user may have the same character string. In this case, the menu selection signal of the first user and the menu selection signal of the second user may have different frequency bands, voice patterns, and / or accent patterns.

이에 따라, 제 1 사용자의 메뉴 선택 신호와 제 2 사용자의 메뉴 선택 신호는 동일한 문자열을 갖더라도 방송신호 수신기(100Q) 측에서는 메뉴를 선택하는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인지 혹은 제 2 사용자인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ly, even if the menu selection signal of the first user and the menu selection signal of the second user have the same character string, it is necessary for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who selects the menu is the first user or the second user. It is possible.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가 로그온된 상태에서, 제 2 사용자가 메뉴 선택 신호를 발성하는 경우에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제어부(170Q)에서는 메뉴 선택 신호의 주파수 대역, 음성 패턴 및/또는 강세 패턴을 이용하여 현지 입력되는 메뉴 선택 신호는 제 1 사용자가 입력한 것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메뉴를 선택하지 않을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econd user makes a menu selection signal while the first user is logged on, the control unit 170Q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may use the frequency band, voice pattern, and / or accent of the menu selection signal. The menu selection signal input locally using the pattern may be determined as not input by the first user, and thus the menu selection signal may not be selected.

또는, 도 41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1 사용자의 메뉴 선택 신호("거기")와 제 2 사용자의 메뉴 선택 신호("스톱")는 서로 다른 문자열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Alternatively, as in the case of FIG. 41 (B), the menu selection signal (“here”) of the first user and the menu selection signal (“stop”) of the second user may have different character strings.

각각의 사용자의 메뉴 선택 신호는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menu selection signal of each user can be set directly by the user.

이러한 경우에는, 제 1 사용자 또는 제 2 사용자는 자신의 메뉴 선택 신호를 발성하여 원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user or the second user can select a desired menu by uttering his menu selection signal.

예를 들어, 도 42의 경우와 같이, t0시점에서 "①카테고리", t1시점에서"②선호채널", t2시점에서 "③검색", t3시점에서 "④헬스케어(Health Care)", t4시점에서 "⑤외부입력", t5시점에서 "⑥설정"의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42, " ① category " at time t0, " ② preferred channel " at time t1, " ③ search " at t2 time, " Health Care " At the time point "5 external input", at time t5 "6 setting" information can be output by voice.

여기서, t3 시점과 t4 시점 사이에서 허용된 사용자가 "거기" 등의 메뉴 선택 신호를 입력하는 경우에,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제어부(170Q)는 "④헬스케어(Health Care)"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Here, when a user allowed between a time point t3 and a time point t4 inputs a menu selection signal such as “there”, the control unit 170Q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selects the “Health Care” menu. You can choose.

다르게 표현하면, 음향 센싱부를 통해 메뉴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직전에 음성 출력부를 통해 정보를 출력한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a menu selection signal is input through the sound sensing unit, a menu that outputs information through the voice output unit may be selected.

이처럼, 메뉴의 정보를 음성 출력하는 과정에서 직전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연속된 두 개의 메뉴 정보의 음성 출력 시점 간의 차이(△t)는 충분히 긴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previous menu is selected in the process of voice outputting the information of the menu,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difference Δt between two consecutive voice information output points of the menu information is long enough.

만약, 사용자가 도 41의 (A)의 경우와 같이 메뉴의 이름 및/또는 메뉴의 번호를 메뉴 선택 신호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t0 시점과 t5 시점 사이에서 메뉴 선택 신호를 입력하면 음성 출력의 순서에 관계없이 입력한 메뉴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If the user uses the menu name and / or the menu number as the menu selection signal as in the case of FIG. 41A, when the menu input signal is input between the time point t0 and the time point t5, the sequence of voice output is performed. Irrespective of the menu, a menu corresponding to the input menu selection signal can be selected.

한편, 사용자가 이전 메뉴의 정보를 다시 듣고 싶은 경우, 사용자는 메뉴 반복 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wants to hear the information of the previous menu again, the user may use the menu repeat signal.

예를 들어, 도 43의 경우와 같이, t3 시점과 t4 시점 사이에서 허용된 사용자가 메뉴 반복 신호를 입력하는 경우에, t4 시점에서는 t3 시점에서 음성 출력한 "④헬스케어(Health Care)" 메뉴의 정보를 재차 음성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43, when a user allowed between a time point t3 and a time point t4 inputs a menu repetition signal, at the time point t4, a "④Health Care" menu outputs voice at a time point t3. The audio information can be output again.

즉, 메뉴 반복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이전 메뉴의 정보를 중복해서 음성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menu repetition signal is input, the information of the previous menu may be duplicated and output.

도 43에서는 메뉴 반복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직전의 메뉴의 정보를 중복해서 음성 출력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지만, 이전에 음성 출력한 복수의 메뉴의 정보를 다시 음성 출력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Although FIG. 43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information of the immediately preceding menu is duplicated when the menu repetition signal is input, the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previously output menus may be output again.

한편, 음성 메뉴 모드에서 음성으로 메뉴의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에서 메뉴 선택 신호를 이용하여 소정의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에, 선택한 메뉴의 하위 메뉴(Sub Menu)의 정보를 음성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when a predetermined menu is selected using a menu selection signal in the process of outputting menu information by voice in the voice menu mode, it is possible to voice output information of a sub menu of the selected menu.

예를 들면, 도 44의 경우와 같이, "①카테고리", "②선호채널", "③검색", "④헬스케어(Health Care)", "⑤외부입력", "⑥설정" 순서로 메뉴의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과정에서, 허용된 사용자가 메뉴 선택 신호를 입력하여 "④헬스케어(Health Care)"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44, menus in the order of " ① category ", " ② preferred channel ", " ③ search ", " Health Care ", " ⑤ external input " In the process of outputting the information by voice, suppose that the permitted user inputs a menu selection signal and selects the "④Health Care" menu.

이러한 경우, "④헬스케어(Health Care)" 메뉴의 하위 메뉴인 "①혈압", "②맥박", "③체온", "④증상", "⑤상담" 등을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ubmenu of "Health Care" menu "① blood pressure", "② pulse", "③ body temperature", "④ symptoms", "⑤ consultation", etc.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can do.

아울러, "④헬스케어(Health Care)" 메뉴의 하위 메뉴인 "①혈압", "②맥박", "③체온", "④증상", "⑤상담" 등의 메뉴 정보를 음성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menu information such as “① blood pressure”, “② pulse”, “③ body temperature”, “④ symptom”, and “⑤ consultation”, which are sub-menus of the “Health Care” menu, may be voice output. .

이러한 경우에도, 사용자는 메뉴 선택 신호를 이용하여 "④헬스케어(Health Care)" 메뉴의 하위 메뉴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Even in such a case,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select a submenu of the "Health Care" menu using the menu selection signal.

한편, 메뉴 정보의 음성 출력 순서를 다양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audio output order of the menu information in various ways.

예를 들면, 사용자가 메뉴 정보의 음성 출력 순서를 직접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설정한 순서에 따라 메뉴 정보를 음성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may directly set the voice output order of the menu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menu information may be output in the audio in the order set by the user.

또는, 선호도에 따라 메뉴 정보의 음성 출력 순서가 정해질 수 있다.Alternatively, the voice output order of the menu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eference.

복수의 메뉴들은 제 1 메뉴, 제 2 메뉴, 제 3 메뉴를 포함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횟수는 제 1 메뉴가 제 2 메뉴 및 제 3 메뉴보다 더 많고, 제 3 메뉴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횟수는 제 2 메뉴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횟수보다 많은 경우에, 음성 출력부를 통한 정보의 출력 순서는 제 1 메뉴, 제 3 메뉴, 제 2 메뉴의 순서일 수 있다.Assume that the plurality of menus include a first menu, a second menu, and a third menu. In this case, the number of times selected by the user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times selected by the user of the second menu and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first menu is selected by the user of the third menu is greater than that of the second menu and the third menu. The output order of the information may be in the order of the first menu, the third menu, and the second menu.

예를 들면, 도 45의 경우와 같이, 소정의 기간 동안 "①카테고리"의 선택 횟수가 21, "②선호채널"의 선택 횟수가 36, "③검색"의 선택 횟수가 50, "④헬스케어(Health Care)"의 선택 횟수가 110, "⑤외부입력"의 선택 횟수가 3, "⑥설정"의 선택 횟수가 1인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45, the number of selections of "1" category is 21, the number of selections of "2" preferred channel "is 36, the number of selections of" 3 "search is 50, and" 4 "healthcare is selec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Suppose that the number of times of "Health Care" is 110, the number of times of "5 external input" is 3, and the number of times of "6" is 1 is selected.

이러한 경우, 소정 기간 동안 선택 횟수가 큰 순서에 따라 "④헬스케어(Health Care)", "③검색", "②선호채널", "①카테고리", "⑤외부입력", "⑥설정"의 순서로 메뉴 정보를 음성 출력할 수 있다.In this case, select "Health Care", "③ Search", "② Preferred Channel", "① Category", "⑤ External Input", and "⑥ Settings" in order of increasing number of selections for a predetermined period. Menu information can be output in audio order.

여기서, 소정의 기간은 사용자가 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일, 1주, 1달, 1년 등 다양한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Here, the predetermined period can be determined by the user. For example, it can be set in various ranges, such as 1 day, 1 week, 1 month, and 1 year.

또는, 메뉴의 선호도에 따라 음성 출력 횟수를 조절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number of voice outputs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reference of the menu.

복수의 메뉴들은 제 1 메뉴, 제 2 메뉴를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횟수는 제 1 메뉴가 제 2 메뉴보다 더 많은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음성 출력부를 통한 정보의 출력 횟수는 제 1 메뉴가 제 2 메뉴보다 더 많을 수 있다.It is assumed that the plurality of menus include a first menu and a second menu, and the number of times selected by the user is greater than that of the second menu. In this case, the number of times of outputting the information through the voice output unit may be greater in the first menu than in the second menu.

예를 들면, 도 45의 경우와 같이, 소정 기간 동안의 각 메뉴들의 선택 횟수가 정해진 경우, 도 46의 경우와 같이, 선택 횟수가 큰 순서에 따라 소정 기간 동안의 음성 출력횟수를 "④헬스케어(Health Care)"메뉴가 6회, "③검색" 메뉴가 5회, "②선호채널" 메뉴가 4회, "①카테고리" 메뉴가 3회, "⑤외부입력" 메뉴가 2회, "⑥설정" 메뉴가 1회로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45, when the number of selections of each menu for a predetermined period is determined, as in the case of FIG. 46, the number of audio outputs for the predetermined perio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rder in which the number of selections is greatest. (Health Care) "menu 6 times," ③ "menu 5 times," ② favorite channel "menu 4 times," ① category "menu 3 times," ⑤ external input "menu 2 times," ⑥ Settings "menu can be set once.

즉, 소정 기간 동안 선택된 횟수가 많은 메뉴(선호도가 높은 메뉴)일수록 음성 출력 횟수가 더 많은 것이다.That is, the more frequently selected menus (menus having high preferenc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more the number of voice outputs.

또는, 메뉴의 선호도에 따라 음성 출력 시점 간의 시간 차이를 조절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time difference between voice output points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reference of the menu.

복수의 메뉴들은 제 1 메뉴, 제 2 메뉴, 제 3 메뉴, 제 4 메뉴를 포함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횟수는 제 1 메뉴가 제 2 메뉴, 제 3 메뉴 및 제 4 메뉴보다 더 많고, 제 2 메뉴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횟수는 제 3 메뉴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횟수 및 제 4 메뉴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횟수보다 많은 경우에, 제 1 메뉴의 정보의 출력 시점과 제 2 메뉴의 정보의 출력 시간 간이 시간 차이는 제 3 메뉴의 정보의 출력 시점과 제 4 메뉴의 정보의 출력 시간 간이 시간 차이보다 클 수 있다.Assume that the plurality of menus include a first menu, a second menu, a third menu, and a fourth menu. Here, the number of times selected by the user is greater than the second menu, the third menu, and the fourth menu, and the number of times selected by the user of the second menu is the number of times selected by the user of the third menu and the fourth menu. When more than the number of times selected by the user,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output time of the information of the first menu and the output time of the information of the second menu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output time of the information of the third menu and the output time of the information of the fourth menu. It can be greater than the time difference.

예를 들면, 도 45의 경우와 같이, 소정 기간 동안의 각 메뉴들의 선택 횟수가 정해진 경우, 도 47의 경우와 같이, "④헬스케어(Health Care)"의 음성 출력 시점(t0)과 "③검색"의 음성 출력 시점(t1)의 시간 차이(T1)는 "②선호채널"의 음성 출력 시점(t2)과 "①카테고리"의 음성 출력 시점(t3)의 시간 차이(T3)보다 클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45, when the number of selections of each menu for a predetermined period is determined, as in the case of FIG. 47, the voice output time point t0 and "③ of" Health Care "are defined. The time difference T1 of the voice output time point t1 of the "search" may be greater than the time difference T3 between the voice output time point t2 of the "2 favorite channel" and the voice output time point t3 of the "① category". .

즉, 소정 기간 동안 선택된 횟수가 많은 메뉴(선호도가 높은 메뉴)일수록 음성 출력의 주기가 더 긴 것이다.In other words, the more frequently selected menus (menus having high preference) for a predetermined period, the longer the period of voice output.

위와 같은 경우에 사용자는 선호도가 높은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더 많이 획득할 수 있다.In the above case, the user may obtain more opportunities to select a menu with high preference.

또는, 사용자에 따라 음성 출력하는 메뉴도 서로 다를 수 있다.Alternatively, the menu for outputting voice may als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예를 들면, 도 48의 (A)의 경우와 같이, 제 1 사용자가 로그온(Log-on)된 경우에, 제 1 사용자에 따른 메뉴의 정보를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사용자에 따른 메뉴는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48A, when the first user is logged on, information of a menu according to the first user may be output through the voice output unit. In addition, the menu according to the first user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아울러, 도 48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1 사용자와 다른 제 2 사용자가 로그온된 경우에, 제 2 사용자에 따른 메뉴의 정보를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 사용자에 따른 메뉴는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as in the case of FIG. 48B, when a second user different from the first user is logged on, information of a menu according to the second user may be output through the voice output unit. In addition, the menu according to the second user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여기서, 제 1 사용자에 따른 메뉴와 제 2 사용자에 따른 메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는 제 1 사용자와 제 2 사용자가 선호하는 메뉴가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Here, the menu according to the first user and the menu according to the second user may be different. This is because the menu preferred by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user may be different.

도 48의 (A)와 도 48의 (B)를 비교하면, 도 48의 (A)의 "④헬스케어(Health Care)" 메뉴가 "④전자메일(E-Mail)" 메뉴로 바뀐 것을 알 수 있다.Comparing FIG. 48 (A) with FIG. 48 (B), it can be seen that the "④Health Care" menu of FIG. 48A has been changed to the "④E-Mail" menu. Can be.

또는, 제 1 사용자의 메뉴와 제 2 사용자의 메뉴가 동일한 경우에도 각각의 메뉴의 출력 횟수, 시점, 순서는 다를 수 있다.Alternatively, even when the menu of the first user and the menu of the second user are the same, the number of outputs, a time point, and an order of each menu may be different.

예를 들어, 도 49의 경우와 같이, 소정의 제 1 기간 동안 제 1 사용자의 경우 "①카테고리"의 선택 횟수가 21, "②선호채널"의 선택 횟수가 36, "③검색"의 선택 횟수가 50, "④헬스케어(Health Care)"의 선택 횟수가 110이고, 제 1 기간동안 제 2 사용자의 경우 "①카테고리"의 선택 횟수가 200, "②선호채널"의 선택 횟수가 150, "③검색"의 선택 횟수가 50, "④헬스케어(Health Care)"의 선택 횟수가 2인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49, the first user has selected 21 times the number of categories "1", the number of times the number "2" is selected, and the number of times the number "3" is selected. 50, the number of times for selecting "Health Care" is 110, the number of times for selecting "1" category is 200 for the second user during the first period, and the number of times for selecting "2." Suppose that the number of selections in the "search" is 50 and the number of selections in the "Health Care" is two.

이러한 경우, 제 1 기간동안 선택 횟수가 큰 순서에 따라 제 1 사용자가 로그온된 경우에는 "④헬스케어(Health Care)", "③검색", "②선호채널", "①카테고리"의 순서로 메뉴 정보를 음성 출력하고, 제 2 사용자가 로그온된 경우에는 "①카테고리", "②선호채널", "③검색", "④헬스케어(Health Care)"의 순서로 메뉴 정보를 음성 출력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first user is logged on in the order of increasing the number of selections during the first period, in the order of "Health Care", "③ Search", "② Preferred Channel", and "① Category" When the second user is logged on, the menu information can be output in the order of "① category", "② preferred channel", "③ search", and "④Health Care". have.

즉, 제 1 사용자의 메뉴와 제 2 사용자의 메뉴가 동일한 경우에도, 소정의 메뉴의 출력 순서는 제 1 사용자가 로그온된 경우와 제 2 사용자가 로그온된 경우가 서로 다를 수 있는 것이다.That is, even when the menu of the first user and the menu of the second user are the same, the output order of the predetermined menus may be different from when the first user is logged on and when the second user is logged on.

또는, 도 50의 경우와 같이, 제 1 사용자가 로그온된 경우 제 1 기간 동안의 각 메뉴들의 음성 출력횟수를 "④헬스케어(Health Care)", "③검색", "②선호채널", "①카테고리"의 순서로 많게 하고, 제 2 사용자가 로그온된 경우에는 "①카테고리", "②선호채널", "③검색", "④헬스케어(Health Care)"의 순서로 많게 할 수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50, when the first user is logged on, the number of voice outputs of each menu item for the first period is set to "④Health Care", "③ search", "② preferred channel", " In the order of "category", when the second user is logged on, the order of "category", "② favorite channel", "③ search", and "④ health care" can be increased in order.

즉, 제 1 사용자의 메뉴와 제 2 사용자의 메뉴가 동일한 경우에도, 소정의 메뉴의 출력 횟수는 제 1 사용자가 로그온된 경우와 제 2 사용자가 로그온된 경우가 서로 다를 수 있는 것이다.That is, even when the menu of the first user and the menu of the second user are the same, the number of outputs of the predetermined menu may be different from when the first user is logged on and when the second user is logged on.

또는, 도 51의 경우와 같이, 제 1 사용자가 로그온된 경우 제 1 기간 내에서 "④헬스케어(Health Care)"의 음성 출력 시점(t0)과 "③검색"의 음성 출력 시점(t1)의 시간 차이(T1)는 "②선호채널"의 음성 출력 시점(t2)과 "①카테고리"의 음성 출력 시점(t3)의 시간 차이(T3)보다 크게 하고, 제 2 사용자가 로그온된 경우 제 1 기간 내에서 "①카테고리"의 음성 출력 시점(t10)과 "②선호채널"의 음성 출력 시점(t11)과 의 시간 차이(T11)는 "③검색"의 음성 출력 시점(t12)과 "④헬스케어(Health Care)"의 음성 출력 시점(t13)의 시간 차이(T13)보다 크게 할 수 있다.Alternatively, as in the case of FIG. 51, when the first user is logged on, the voice output time point t0 of "Health Care" and the voice output time point t1 of "③ Search" within the first period are displayed. The time difference T1 is greater than the time difference T3 between the voice output time point t2 of the "2 favorite channel" and the voice output time point t3 of the "1" category, and the first period when the second user is logged on. The time difference T11 between the voice output time point t10 of the "category" and the audio output time point t11 of the "② favorite channel" within the voice output time point t12 of the "③ search" and the "④ health care" (Health Care) "can be made larger than the time difference T13 of the audio | voice output time point t13.

즉, 제 1 사용자의 메뉴와 제 2 사용자의 메뉴가 동일한 경우에도, 연속된 두 개의 메뉴의 출력 시점 간의 시간 차이는 제 1 사용자가 로그온된 경우와 제 2 사용자가 로그온된 경우가 서로 다를 수 있는 것이다.That is, even when the menu of the first user and the menu of the second user are the same,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output time points of two consecutive menus may be different from when the first user is logged on and when the second user is logged on. will be.

한편, 사용자가 복수인 경우에,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 선택 신호를 입력한 사용자에 대응하여 음성 출력하는 메뉴가 달라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users, a menu for voice output corresponding to a user who inputs a menu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a menu may vary.

예를 들면, 도 52의 경우와 같이, 음성 메뉴 모드에서 음성 메뉴가 출력(1300)되면, 사용자에 의해 메뉴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1310)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52, when the voice menu is output 1300 in the voice menu mode,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menu selection signal is input by the user (1310).

메뉴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메뉴 선택 신호가 제 1 사용자의 명령, 즉 제 1 메뉴 선택 신호인지의 여부를 판단(1320)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뉴 선택 신호의 문자열이 제 1 사용자가 설정한 제 1 메뉴 선택 신호의 문자열에 대응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menu selection signal is input,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input menu selection signal is a command of the first user, that is, the first menu selection signal (1320). For example,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character string of the menu selection signal corresponds to the character string of the first menu selection signal set by the first user.

판단결과, 입력되는 메뉴 선택 신호가 제 1 사용자가 설정한 제 1 메뉴 선택 신호의 문자열에 대응되는 경우, 입력된 메뉴 선택 신호가 제 1 사용자에 매칭하는지의 여부를 판단(1330)할 수 있다. 여기서는, 입력되는 메뉴 선택 신호의 주파수, 음성 패턴, 강세 패턴, 문자열 등을 분석하여, 입력되는 메뉴 선택 신호가 제 1 사용자에 매칭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input menu selection signal corresponds to the character string of the first menu selection signal set by the first user,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input menu selection signal matches the first user (1330). Here, the frequency, voice pattern, accent pattern, character string, etc. of the input menu selection signal may be analyzed to determine whether the input menu selection signal matches the first user.

판단결과, 입력되는 메뉴 선택 신호가 제 1 사용자에 매칭되는 경우에 제 1 사용자에 따른 메뉴를 음성으로 출력(1340)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사용자에 대응하는 메뉴를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input menu selection signal matches the first user, the menu according to the first user may be output as voice 1340. In addition, a menu corresponding to the first user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예를 들면, 도 53의 (A)의 경우와 같이, 제 1 사용자에 대응하는 "②선호채널" 메뉴의 하위 메뉴인 "①OCN", "②CGV", "③Ongame", "④MBCgame" 메뉴를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53A, the display unit displays submenus ①OCN, ②CGV, ③Ongame, and ④MBCgame, which are submenus of the menu of a favorite channel ② corresponding to the first user. The display may be displayed at 180Q or output as voice.

만약, 제 1320 단계에서 판단결과, 입력된 메뉴 선택 신호가 제 1 사용자의 명령, 즉 제 1 메뉴 선택 신호가 아닌 경우에는, 입력된 메뉴 선택 신호가 제 2 사용자의 명령, 즉 제 2 메뉴 선택 신호인지의 여부를 판단(1350)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뉴 선택 신호의 문자열이 제 2 사용자가 설정한 제 2 메뉴 선택 신호의 문자열에 대응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operation 1320 that the input menu selection signal is not the command of the first user, that is, the first menu selection signal, the input menu selection signal is the command of the second user, that is, the second menu selection signal.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recognition. For example,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character string of the menu selection signal corresponds to the character string of the second menu selection signal set by the second user.

판단결과, 입력되는 메뉴 선택 신호가 제 2 사용자가 설정한 제 2 메뉴 선택 신호의 문자열에 대응되는 경우, 입력된 메뉴 선택 신호가 제 2 사용자에 매칭하는지의 여부를 판단(1360)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input menu selection signal corresponds to the character string of the second menu selection signal set by the second user,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input menu selection signal matches the second user (1360).

여기서는, 입력되는 메뉴 선택 신호의 주파수, 음성 패턴, 강세 패턴, 문자열 등을 분석하여, 입력되는 메뉴 선택 신호가 제 2 사용자에 매칭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Here, the frequency, voice pattern, accent pattern, character string, etc. of the input menu selection signal may be analyzed to determine whether the input menu selection signal matches the second user.

판단결과, 입력되는 메뉴 선택 신호가 제 2 사용자에 매칭되는 경우에 제 2 사용자에 따른 메뉴를 음성으로 출력(1370)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 사용자에 대응하는 메뉴를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input menu selection signal matches the second user, the menu according to the second user may be outputted as voice 1370. In addition, a menu corresponding to the second user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예를 들면, 도 53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1 사용자에 대응하는 "②선호채널" 메뉴의 하위 메뉴인 "①MBC", "②KBS1", "③KBS2", "④SBS" 메뉴를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53 (B), the submenus "1MBC", "2KBS1", "3KBS2" and "4BSS" which are sub-menus of the "2 favorite channel" menu corresponding to the first user are displayed. The display may be displayed at 180Q or output as voice.

도 54 내지 도 69는 멀티채널에 기능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내용의 설명은 생략한다.54 to 6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function on a multichannel.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details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도 54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부(180Q)에는 복수의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들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경우를 멀티채널 모드라고 하겠다.Referring to FIG. 54, imag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channels may be displayed together on the display unit 180Q. Hereinafter, this case will be referred to as a multichannel mode.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80Q)에 Movie 1~3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 Sports 1~4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 Game 1~2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an image corresponding to Movie 1 to 3 channels, an image corresponding to Sports 1 to 4 channels, and an image corresponding to Game 1 to 2 channels may be displayed together on the display unit 180Q.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복수의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한 영상을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user may select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image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and watch the selected image.

아울러, 사용자는 멀티채널 모드를 편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edit the multichannel mode.

예를 들면, 하나의 화면에 총 12개의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이 표시될 수 있으며, 아울러 사용자는 임의로 영상들의 배치 순서도 변경할 수 있다.For example, images corresponding to a total of 12 channels may be displayed on one screen, and the user may arbitrarily change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images.

아울러, 사용자는 멀티 채널 모드에서 소정의 영상을 드레그(Drag)하여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may drag a predetermined image to move a position in the multi-channel mode.

한편, 디스플레이부(180Q)에 복수의 채널(Channel)에 따른 영상이 함께 표시되는 멀티채널 모드인 경우, 채널의 선호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채널에 따른 영상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에서는 멀티채널 모드에서 선호 채널의 영상의 크기가 증가하거나 혹은 더 선명해지거나 더 밝아질 수 있다.In the multi-channel mode in which images of a plurality of channels are displayed together on the display unit 180Q, the size of the image of at least one channel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reference of the channel. In detail, in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an image of a preferred channel may increase, become clearer, or become brighter in the multi-channel mode.

예를 들어, 도 55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선호 카테고리를 게임(Game)으로 설정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Movie 1~3 채널, Sports 1~4 채널, 및 Game 1~2 채널 중 Game 1~2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의 크기가 다른 채널의 영상보다 더 커질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55, when the user sets the preferred category to Game, Movie 1 to 3 channels, Sports 1 to 4 channels, and Game 1 to 2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The size of the video corresponding to the Game 1-2 channel among the channels may be larger than the video of other channels.

이러한 경우, 멀티채널 모드에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카테고리의 채널의 크기가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선호 채널을 보다 용이하게 찾고 선택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ize of the channel of the user's preferred category in the multi-channel mode increases, so that the user can more easily find and select the preferred channel.

한편, 멀티채널 모드에서 크기가 증가한 영상은 인접하는 다른 채널의 영상을 일부 가리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multichannel mode, an image having an increased size may partially cover an image of another adjacent channel.

예를 들면, 도 56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Movie 2 채널, Sports 2, 3 채널, 및 Game 1 채널 중 Game 1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의 크기가 다른 채널의 영상보다 더 크고, Game 1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은 제 2 영역(AR2)에서와 같이 Movie 2 채널의 영상을 일부 가릴 수 있고, 아울러 제 1 영역(AR1) 또는 제 3 영역(AR3)에서와 같이 Sports 2, 3 채널의 영상을 각각 일부 가릴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56, the size of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Game 1 channel among the Movie 2 channel, Sports 2, 3 channel, and Game 1 channel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is larger than that of other channels. The video corresponding to the Game 1 channel may partially cover the Movie 2 channel image as in the second region AR2, and the Sports 2 and 3 regions as in the first region AR1 or the third region AR3. Each part of the channel can be covered.

아울러, Game 1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의 테두리(1400)는 다른 영상의 테두리보다 더 두껍고, 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dge 1400 of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Game 1 channel may be thicker and thicker than the edge of the other image.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선호하는 Game 1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을 더욱 두드러지게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Game 1 channel preferred by the user can be made more prominent.

영상의 크기의 증가 정도에 따라 Game 1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은 Movie 2 채널의 영상 및 Sports 2, 3 채널의 영상과 중첩(Overlap)하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he size of the video, the video corresponding to the game 1 channel may not overlap with the video of the movie 2 channel and the video of the sports 2 and 3 channels.

한편, 소정 기간 동안의 채널의 선택 횟수에 따라 멀티채널에서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ize of the image in the multi-channel according to the number of channel selection during a predetermined period.

다르게 표현하면, 디스플레이부(180Q)에 제 1 채널(First Channel)에 따른 제 1 영상 및 제 2 채널(Second Channel)에 따른 제 2 영상이 함께 표시되고, 여기서 제 1 채널의 사용자에 의한 선택 횟수는 제 2 채널의 사용자에 의한 선택 횟수보다 큰 경우를 가정하면, 제 1 영상의 크기는 제 2 영상의 크기보다 큰 것이 가능하다.In other words, the first image according to the first channel and the second image according to the second channel are displayed together on the display unit 180Q, and the number of times of selection by the user of the first channel is displayed. Assuming that the case is larger than the number of times selected by the user of the second channel, the size of the first image may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second image.

예를 들어, 도 57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Movie 1~3 채널의 선택 횟수가 5, 120, 30회, Sports 1~4 채널의 선택 횟수가 50, 4, 16, 61회, 및 Game 1~2 채널의 선택 횟수가 100, 80회인 경우를 가정하자.For example, as shown in FIG. 57, 5, 120, and 30 times the number of selections of the Movie 1 to 3 channel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and 50, 4, 16, and 61 times the selection times of the Sports 1 to 4 channels. Suppose that the number of times, and the number of times of selecting the Game 1-2 channels are 100 or 80 times.

이러한 경우, 복수의 채널 중 Movie 2 채널의 선택 횟수가 다른 채널에 비해 더 많고, 이에 따라 도 58의 경우와 같이, Movie 2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의 크기를 다른 채널의 영상보다 더 크게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number of selections of the Movie 2 channel among the plurality of channels is greater than that of the other channels. Accordingly, as shown in FIG. 58, the size of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Movie 2 channel may be larger than that of the other channels. .

또는, 도 59의 경우와 같이, 소정 기간 동안의 선택 횟수의 크기에 따라 영상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Alternatively, as in the case of FIG. 59, the size of the image may gradually increas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number of selections during the predetermined period.

또는, 도 60의 경우와 같이, 소정 기간 동안의 선택 횟수의 크기 순서대로 복수의 영상들이 배치될 수 있다.Alternatively, as in the case of FIG. 60, a plurality of images may be arranged in the order of the number of selections during a predetermined period.

예를 들면, 복수의 영상 중 선택 횟수가 가장 큰 Movie 2 채널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Q)의 왼쪽 상단에 배치되고, 선택 횟수가 작아질수록 디스플레이부(180Q)의 우측 혹은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an image of the Movie 2 channel having the largest number of selections among the plurality of images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left of the display unit 180Q, and as the number of selections decreases, the image may be disposed on the right side or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80Q. have.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선호 채널을 보다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 can more easily find the preferred channel.

또는, 각각의 채널의 시청 시간을 고려하여 영상의 크기, 순서 등을 조절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ize, order, etc. of the image may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viewing time of each channel.

다르게 표현하면, 디스플레이부(180Q)에 제 1 채널(First Channel)에 따른 제 1 영상 및 제 2 채널(Second Channel)에 따른 제 2 영상이 함께 표시되고, 여기서 제 1 채널의 시청 시간은 제 2 채널의 시청 시간보다 긴 경우를 가정하면, 제 1 영상의 크기는 제 2 영상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first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hannel and the second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hannel are displayed together on the display unit 180Q, and the viewing time of the first channel is determined by the second image. Assuming that the channel is longer than the viewing time, the size of the first image may be larger than that of the second image.

예를 들면, 도 61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Movie 1~3 채널의 시청 시간이 각각 30, 320, 60시간, Sports 1~4 채널의 시청 시간이 각각 100, 20, 50, 122시간, 및 Game 1~2 채널의 시청 시간이 각각 200, 160시간인 경우를 가정하자. 여기서, 채널의 시청 시간은 소정 기간 동안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아울러, 시청 시간은 채널의 영상의 총 표시 시간이라고 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61, the viewing time of the Movie 1-3 channel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is 30, 320, 60 hours, and the viewing times of the Sports 1-4 channels are 100, 20, 50, respectively. Suppose that the viewing time of,, 122 hours, and Game 1-2 channels are 200 and 160 hours, respectively. Here, the viewing time of the channel may be measur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In addition, the viewing time may be referred to as the total display time of the video of the channel.

이러한 경우, 복수의 채널 중 Movie 2 채널의 시청 시간이 320시간으로 다른 채널에 비해 더 많고, 이에 따라 앞선 도 58의 경우와 같이, Movie 2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의 크기를 다른 채널의 영상보다 더 크게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viewing time of the Movie 2 channel among the plurality of channels is 320 hours, which is higher than that of other channels. Thus, as shown in FIG. 58, the size of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Movie 2 channel is larger than that of the other channels. I can make it big.

채널의 시청 시간으로 영상의 크기, 순서를 조절하는 방법은 채널의 선택 횟수로 영상의 크기, 순서를 조절하는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The method of adjusting the size and the order of the image by the viewing time of the channel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method of adjusting the size and the order of the image by the number of times of the channel selection.

또는, 멀티채널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부(180Q)에 복수의 채널에 따른 영상이 함께 표시되는 경우, 채널의 선호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채널에 따른 영상의 휘도(밝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Alternatively, when the images according to the plurality of channels are displayed together on the display unit 180Q in the multi-channel mod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brightness (brightness) of the images according to at least one channel according to the channel preference.

다르게 표현하면, 디스플레이부(180Q)에 제 1 채널에 따른 제 1 영상 및 제 2 채널에 따른 제 2 영상이 함께 표시되고, 제 1 채널의 사용자에 의한 선택 횟수는 제 2 채널의 사용자에 의한 선택 횟수보다 큰 경우를 가정하면, 여기서 제 1 영상의 휘도는 제 2 영상의 휘도보다 높을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first image according to the first channel and the second image according to the second channel are displayed together on the display unit 180Q, and the number of times of selection by the user of the first channel is selected by the user of the second channel. Assuming that the number is greater than the number, the luminance of the first image may be higher than the luminance of the second image.

또는, 디스플레이부(180Q)에 제 1 채널에 따른 제 1 영상 및 제 2 채널에 따른 제 2 영상이 함께 표시되고, 제 1 채널의 시청 시간은 제 2 채널의 시청 시간보다 긴 경우를 가정할 때, 제 1 영상의 휘도는 제 2 영상의 휘도보다 큰 것이 가능하다.Alternatively,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hannel and the second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hannel are displayed together on the display unit 180Q, and the viewing time of the first channel is longer than the viewing time of the second channel. The luminance of the first image may be greater than that of the second image.

예를 들어, 도 57의 경우와 같이, 복수의 채널들의 선택 횟수가 설정되거나, 혹은 도 61의 경우와 같이 복수의 채널들의 시청 시간이 설정되는 경우에, 도 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채널 중 시청 시간이 더 길거나 선택 횟수가 더 많은 Movie 2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의 휘도(밝기)를 다른 채널의 영상보다 더 높게 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57, when the number of selections of the plurality of channels is set, or when the viewing time of the plurality of channels is set as in the case of FIG. 61, the plurality of channels as shown in FIG. 62. The luminance (brightness) of an image corresponding to a Movie 2 channel having a longer viewing time or a greater number of selections may be higher than that of another channel.

예를 들어, 도 63의 (A)의 경우와 같이, 선호도가 높은, 즉 선택 횟수가 많거나 시청 시간이 긴 Movie 2 채널의 영상은 상대적으로 밝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A) of FIG. 63, a video of a Movie 2 channel having a high preference, that is, a large number of selections or a long viewing time is relatively bright.

반면에, 도 63의 (B)의 경우와 같이, 선호도가 낮은, 즉 선택 횟수가 적거나 시청 시간이 짧은 Movie 2 채널의 영상은 Movie 2 채널의 영상에 비해 상대적으로 밝다.On the other hand, as in the case of FIG. 63 (B), the video of the Movie 2 channel with low preference, that is, the number of selections or the short viewing time is relatively brighter than the Movie 2 channel video.

이를 위해, Movie 2 채널의 영상의 데이터 이득(Gain)을 Movie 1 채널의 영상의 데이터 이득(Gain)보다 더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Movie 2 채널의 영상과 Movie 1 채널의 영상이 동일한 경우에도, Movie 2 채널의 영상이 Movie 1 채널의 영상보다 더 어둡게 표현될 수 있다.To this end, it is possible to make the data gain of the video of the Movie 2 channel smaller than the data gain of the video of the Movie 1 channel. In this case, even when the Movie 2 channel image and the Movie 1 channel image are the same, the Movie 2 channel image may be darker than the Movie 1 channel image.

또는, Movie 2 채널의 영상에 인위적으로 노이즈(Noise)를 가하여 Movie 2 채널의 영상을 어둡게 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Alternatively, it may be possible to darken the image of the Movie 2 channel by artificially applying noise to the image of the Movie 2 channel.

상기와 같이, 선호도가 높은 채널의 영상을 더 밝게 혹은 선호도가 낮은 채널의 영상을 더 어둡게 하는 경우에는, 선호도가 높은 채널의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image of the channel of high preference is made brighter or the image of the channel of low preference is made darker, the visibility of the image of the channel of high preference may be improved.

또는, 멀티채널 모드에서 채널의 선호도를 고려하여 영상의 크기 및 휘도를 함께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Alternatively, in the multi-channel mod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ize and brightness of the image in consideration of the channel preference.

예를 들어, 도 57의 경우와 같이, 복수의 채널들의 선택 횟수가 설정되거나, 혹은 도 61의 경우와 같이 복수의 채널들의 시청 시간이 설정되는 경우에, 도 6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채널 중 시청 시간이 더 길거나 선택 횟수가 더 많은 Movie 2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의 휘도(밝기)를 다른 채널의 영상보다 더 높게 하고 크기도 다른 채널보다 더 크게 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57, when the number of selection of the plurality of channels is set, or when the viewing time of the plurality of channels is set as in the case of FIG. 61, the plurality of channels as shown in FIG. 64. The luminance (brightness) of an image corresponding to a Movie 2 channel having a longer viewing time or a greater number of selections can be made higher than that of another channel and larger than another channel.

또는, 채널의 선호도에 따라 복수의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은 크기와 휘도를 함께 조절하거나, 다른 적어도 하나의 영상은 크기만 조절하거나, 다른 적어도 하나의 영상은 휘도만 조절할 수 있다.Alternatively, at least one image of the plurality of channels may be simultaneously adjusted in size and brightness, the other at least one image may be adjusted only in size, or the other at least one image may be adjusted only in accordance with the preference of the channel.

자세하게는, 디스플레이부(180Q)에 제 1 채널에 따른 제 1 영상, 제 2 채널에 따른 제 2 영상 및 제 3 채널에 따른 제 3 영상이 함께 표시되고, 제 1 채널의 사용자에 의한 선택 횟수는 제 2 채널의 사용자에 의한 선택 횟수보다 크고, 제 2 채널의 사용자에 의한 선택 횟수는 제 3 채널의 사용자에 의한 선택 횟수보다 큰 경우를 가정하자.In detail, the first image according to the first channel, the second image according to the second channel, and the third image according to the third channel are displayed together on the display unit 180Q, and the number of times of selection by the user of the first channel is displayed. Assume that the number of selections by the user of the second channel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selections by the user of the second channel and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selections by the user of the third channel.

이러한 경우, 제 1 영상의 휘도는 제 3 영상의 휘도보다 높고 제 1 영상의 크기는 제 3 영상의 크기보다 크고, 제 1 영상의 휘도는 제 2 영상의 휘도와 동일하고 제 1 영상의 크기는 제 2 영상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또는, 제 1 영상의 휘도는 제 3 영상의 휘도보다 높고 제 1 영상의 크기는 제 3 영상의 크기보다 크고, 제 1 영상의 휘도는 제 2 영상의 휘도보다 높고 제 1 영상의 크기는 제 2 영상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uminance of the first image is higher than the luminance of the third image, the size of the first image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third image, the luminance of the first image is the same as the luminance of the second image, and the size of the first image is It may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second image. Alternatively, the luminance of the first image is higher than the luminance of the third image, the size of the first image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third image, the luminance of the first image is higher than the luminance of the second image, and the size of the first image is second It may be the same as the size of the image.

또는, 디스플레이부(180Q)에 제 1 채널에 따른 제 1 영상, 제 2 채널에 따른 제 2 영상 및 제 3 채널에 따른 제 3 영상이 함께 표시되고, 제 1 채널의 시청 시간은 제 2 채널의 시청 시간보다 길고, 제 2 채널의 시청 시간은 제 3 채널의 시청 시간보다 긴 경우를 가장하자.Alternatively, the first image according to the first channel, the second image according to the second channel, and the third image according to the third channel are displayed together on the display unit 180Q, and the viewing time of the first channel is displayed in the second channel. Pretend that it is longer than the viewing time and the viewing time of the second channel is longer than the viewing time of the third channel.

이러한 경우, 제 1 영상의 휘도는 제 3 영상의 휘도보다 높고 제 1 영상의 크기는 제 3 영상의 크기보다 크고, 제 1 영상의 휘도는 제 2 영상의 휘도와 동일하고 제 1 영상의 크기는 제 2 영상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 1 영상의 휘도는 제 3 영상의 휘도보다 높고 제 1 영상의 크기는 제 3 영상의 크기보다 크고, 제 1 영상의 휘도는 제 2 영상의 휘도보다 높고 제 1 영상의 크기는 제 2 영상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uminance of the first image is higher than the luminance of the third image, the size of the first image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third image, the luminance of the first image is the same as the luminance of the second image, and the size of the first image is It may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second image. In addition, the luminance of the first image is higher than the luminance of the third image, the size of the first image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third image, the luminance of the first image is higher than the luminance of the second image, and the size of the first image is second It may be the same as the size of the image.

예를 들면, 도 65의 경우와 같이, 제 1 채널(CH1)의 선호도가 제 2 채널(CH2)의 선호도보다 높고, 제 2 채널(CH2)의 선호도가 제 3 채널(CH3)의 선호도보다 높고, 제 3 채널(CH3)의 선호도가 제 4 채널(CH4)의 선호도보다 높은 경우를 가정하자.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65, the preference of the first channel CH1 is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channel CH2, and the preference of the second channel CH2 is higher than that of the third channel CH3. Assume that the preference of the third channel CH3 is higher than the preference of the fourth channel CH4.

이러한 경우, 제 1 채널(CH1)의 영상의 크기는 제 2 채널(CH2), 제 3 채널(CH3), 제 4 채널(CH4)의 영상의 크기보다 더 클 수 있다.In this case, the size of the image of the first channel CH1 may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image of the second channel CH2, the third channel CH3, and the fourth channel CH4.

또한, 제 2 채널(CH2)의 영상의 휘도는 제 3 채널(CH3), 제 4 채널(CH4)의 영상의 휘도보다 더 높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luminance of the image of the second channel CH2 may be higher than the luminance of the image of the third channel CH3 and the fourth channel CH4.

또한, 제 1 채널(CH1)의 영상의 휘도는 제 2 채널(CH2)의 영상의 휘도와 대략 동일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uminance of the image of the first channel CH1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luminance of the image of the second channel CH2.

즉, 채널의 선호도가 향상되면서 우선 영상의 휘도를 증가시키고, 이후 채널의 선호도가 더욱 향상되면 영상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That is, as the preference of the channel is improved, the luminance of the image is first increased, and if the channel is further improved, the size of the image can be increased.

또는, 도 66의 경우와 같이, 제 1 채널(CH1) 및 제 2 채널(CH2)의 영상의 크기는 제 3 채널(CH3), 제 4 채널(CH4)의 영상의 크기보다 더 클 수 있다. 여기서, 도 66의 각각의 채널의 선호도는 앞선 도 65의 경우와 동일하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66, the size of the image of the first channel CH1 and the second channel CH2 may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image of the third channel CH3 and the fourth channel CH4. Here, the preference of each channel of FIG. 66 is the same as the case of FIG.

또한, 제 1 채널(CH1)의 영상의 휘도는 제 2 채널(CH2), 제 3 채널(CH3), 제 4 채널(CH4)의 영상의 휘도보다 더 높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luminance of the image of the first channel CH1 may be higher than the luminance of the image of the second channel CH2, the third channel CH3, and the fourth channel CH4.

또한, 제 1 채널(CH1)의 영상의 크기는 제 2 채널(CH2)의 영상의 크기와 대략 동일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ze of the image of the first channel CH1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ize of the image of the second channel CH2.

즉, 채널의 선호도가 향상되면서 우선 영상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이후 채널의 선호도가 더욱 향상되면 영상의 휘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as the preference of the channel is improved, the size of the image is first increased, and if the channel is further improved, the brightness of the image can be increased.

이에 따라, 제 3 채널(CH3) 및 제 4 채널(CH4)의 영상에 비해 크기가 더 큰 제 1 채널(CH1) 및 제 2 채널(CH2)의 영상의 휘도는 서로 다를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luminance of the image of the first channel CH1 and the second channel CH2 having a larger size than that of the image of the third channel CH3 and the fourth channel CH4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이상에서는, 멀티채널 모드에서 채널의 선호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채널에 대응되는 영상의 크기, 휘도, 배치순서 등을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메뉴의 선호도를 고려하여 메뉴의 크기, 휘도, 순서, 폰트 등을 조절하는 방법도 가능할 수 있다.In the above, the method for adjusting the size, brightness, and arrangement order of an imag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channel according to the channel preference in the multi-channel mode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size, brightness, order of the menu in consideration of the menu preference is described. It may also be possible to adjust the fonts.

예를 들면, 도 67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복수의 메뉴 중 선호도가 높은 적어도 하나의 메뉴의 휘도 및 크기를 다른 메뉴보다 더 크게 높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앞선 멀티채널 모드에서 적어도 하나의 영상의 크기, 휘도, 배치순서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충분히 유추될 수 있기 때문에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67, the luminance and size of at least one menu having a high preference among the plurality of menu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may be higher than other menus. Since this method can be sufficiently inferred as a method of adjusting the size, brightness, and arrangement order of at least one image in the foregoing multichannel mode, further description is omitted.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복수의 메뉴 중 선호도가 높은 적어도 하나의 메뉴의 문자 폰트(Font)를 다른 메뉴와 다르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선호도가 높은 메뉴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a character font of at least one menu having a high preference among a plurality of menu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may be different from other menus. Even in this case, the visibility of the menu with high preference can be improved.

한편, 복수의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들을 하나의 화면에 표시하지 않고, 슬라이드 방식으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슬라이드 채널 모드라 한다.Meanwhile, it may be possible to display imag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channels by a slide method without displaying them on one screen. This is called a slide channel mode.

예를 들면, 도 68의 경우와 같이, 슬라이드 채널 모드 실행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1400)하고, 판단결과 슬라이드 채널 모드 실행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채널들의 영상을 슬라이드 방식으로 차례로 표시(1410)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채널(CH1)의 영상, 제 2 채널(CH2)의 영상, 제 3 채널(CH3)의 영상, 제 4 채널(CH4)의 영상의 순서대로 차례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68, it is determined whether a slide channel mode execution command is input (1400), and when the slide channel mode execution command is inpu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mages of a plurality of channels are sequentially ordered in a slide method. Display 1410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an image may be displayed in order of an image of the first channel CH1, an image of the second channel CH2, an image of the third channel CH3, and an image of the fourth channel CH4.

이후, 슬라이드 채널 선택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1420)할 수 있다.Thereafter,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a slide channel selection command is input (1420).

판단결과, 슬라이드 채널 선택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선택된 채널의 영상을 표시(1430)할 수 있다.As a result of determination, when a slide channel selection command is input, an image of the selected channel may be displayed (1430).

예를 들어, 도 69의 경우와 같이, 제 4 채널(CH4)의 영상이 제 5 채널(CH5)의 영상으로 전화되는 과정에서 슬라이드 채널 선택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제 4 채널(CH4)을 선택하는 것으로 인식(직전 채널을 선택)하고, 제 4 채널(CH4)에 대응하는 영상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69, when the slide channel selection command is input while the video of the fourth channel CH4 is transferred to the video of the fifth channel CH5, the fourth channel CH4 is selected. It can be recognized that the previous channel (select the previous channel), and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fourth channel (CH4) is displayed on the screen.

만약, 제 1420 단계에서 판단결과, 슬라이드 채널 선택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역검색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1440)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operation 1420 that the slide channel selection command is not input,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reverse search command is input (1440).

판단결과 역검색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 현재 채널 전화 방향을 역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When the reverse search command is inpu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current channel telephone direction can be reversed.

예를 들어, 도 69의 경우와 같이, 제 1 채널(CH1)의 영상, 제 2 채널(CH2)의 영상, 제 3 채널(CH3)의 영상, 제 4 채널(CH4)의 영상의 순서대로 슬라이드 방식으로 영상을 표시하다가 역검색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제 4 채널(CH4)의 영상, 제 3 채널(CH3)의 영상, 제 2 채널(CH2)의 영상, 제 1 채널(CH1)의 영상의 순서로 채널 전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69, slides in the order of the image of the first channel CH1, the image of the second channel CH2, the image of the third channel CH3, and the image of the fourth channel CH4. When the reverse search command is input while displaying an image, the sequence of the image of the fourth channel CH4, the image of the third channel CH3, the image of the second channel CH2, and the image of the first channel CH1 You can switch the channel switching direction with.

도 70 내지 도 86은 로그온 전환 방법 및 다중 로그온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70 to 86 are views for explaining a logon switching method and a multi-logon method. 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arts described in detail above will be omitted.

도 70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에 소정의 사용자가 로그온(Log-on)한 상태에서 다른 사용자가 로그온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0, it may be possible for another user to log on in a state where a predetermined user is logged on to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면, 도 70의 경우와 같이, 소정의 제 1 사용자가 로그온(1500)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70, a predetermined first user may log on 1500.

이러한 경우, 제 1 사용자에 대응하는 메뉴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1510)할 수 있다.In this case, a menu or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user may be displayed 1510 on the display unit 180Q.

이후, 제 1 사용자가 로그온된 상태에서 제 1 사용자와 다른 제 2 사용자가 로그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1520)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로그온 전환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Thereafter, in operation 1520,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a second user different from the first user is logged on while the first user is logged on. In this case, a logon switch command may be input.

판단결과, 로그온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로그온 사용자를 제 1 사용자에서 제 1 사용자와 다른 제 2 사용자로 전환(1530)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a logon switching command is input, the logon user may be switched from the first user to the second user different from the first user (1530).

이처럼, 로그온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에서 제 2 사용자로 전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메뉴 또는 영상을 제 2 사용자에 대응하는 메뉴 또는 영상으로 전환(1540)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logon user is switched from the first user to the second user, the menu or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may be switched to a menu or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user (1540).

예를 들어, 도 71의 경우와 같이, t1 시점에서 제 1 사용자가 로그온한 상태에서, 전원(Power)이 오프되지 않은 상태에서, t2 시점에서 제 2 사용자의 로그온을 위한 로그온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 로그온 사용자를 제 1 사용자에서 제 2 사용자로 전환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71, when a first user is logged on at a time t1, a logon switch command for a logon of a second user is input at a time t2 when power is not turned off. In this case, the logon user can be switched from the first user to the second user.

여기서, 로그온 사용자의 전환을 위한 로그온 전환 명령은 제 2 사용자에 대응하는 패스워드(Password)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 1 사용자가 로그온된 상태에서 제 2 사용자가 로그온하기 위해서는 제 2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패스워드 등의 인증정보를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 것이다.Here, the logon switch command for switching the logon user may include a passwor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user. That is, it may be desirable to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such as a password for authenticating the second user in order for the second user to log on while the first user is logged on.

만약, 로그온 사용자가 제 2 사용자로 전환된 상태에서, 또 다른 로그온 전환 명령, 예컨대 제 2 로그온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로그온 사용자를 제 2 사용자에서 다시 제 1 사용자로 전환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로그온 사용자를 제 1 사용자에서 제 2 사용자로 전환하는 로그온 전환 명령은 제 1 로그온 전환 명령이라 할 수 있다.If another logon switch command, for example, a second logon switch command, is input while the logon user is switched to the second user, the logon user may be switched from the second user to the first user again. The logon switch command for switching the logon user from the first user to the second user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logon switch command.

아울러, 제 2 로그온 전환 명령도 제 1 로그온 전환 명령과 유사하게 제 1 사용자에 대응하는 패스워드(Password)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second logon switch command may include a password corresponding to the first user similarly to the first logon switch command.

또한, 로그온 사용자가 제 2 사용자에서 제 1 사용자로 전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메뉴 또는 영상을 다시 제 1 사용자에 대응하는 메뉴 또는 영상으로 전환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ogon user is switched from the second user to the first user, the menu or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may be switched back to a menu or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user.

위와 같이, 제 1 사용자가 로그온된 상태에서 제 2 사용자가 방송신호 수신기(100Q)로 로그온하는 경우에, 로그온 전환 시점에 디스플레이부(180Q)의 화면도 전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cond user logs on to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while the first user is logg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80Q may also be switched at the logon switching time.

예를 들어, 도 72의 (A)의 경우와 같이, 제 1 사용자가 제 1~4 채널(CH1~CH4)을 선호채널로 설정하고 제 5~7 채널(CH5~CH7)은 비선호채널로 설정하고, 도 72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2 사용자가 제 3, 5~7 채널(CH3, CH5~CH7)을 선호채널로 설정하고 제 1~2, 4 채널(CH1~CH2, CH4)은 비선호채널로 설정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72A, the first user sets the first to fourth channels CH1 to CH4 as the preferred channel and the fifth to seventh channels CH5 to CH7 as the non-preferred channel. As shown in (B) of FIG. 72, the second user sets the third, fifth, seventh, seventh, and seventh channels CH3, CH5, and CH7 as the preferred channel, and the first, second, and fourth channels, CH1, CH2, and CH4. Assume that) is set to a non-preferred channel.

이러한 경우, 로그온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에서 제 2 사용자로 전환되는 경우에, 제 2 사용자가 설정한 선호 채널 중 랜덤하게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제 3, 5~7 채널(CH3, CH5~CH7)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case, when the logon user is switched from the first user to the second user, an image of at least one channel randomly selected from the preferred channels set by the second user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That is, an image of at least one channel among the third and fifth to seventh channels CH3 and CH5 to CH7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또는, 도 73의 (A)의 경우와 같이, 제 1 사용자가 스포츠를 선호 카테고리로 설정하고, 제 2 사용자가 영화를 선호 카테고리로 설정한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Alternatively, as in the case of FIG. 73A, assume that a first user sets sports as a preferred category and a second user sets a movie as a preferred category.

이러한 경우, 로그온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에서 제 2 사용자로 전환되는 경우에, 제 2 사용자가 설정한 선호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채널 중 랜덤하게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logon user is switched from the first user to the second user, an image of at least one channel randomly selected from among channels corresponding to the preference category set by the second user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Can be.

또는, 도 73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1 사용자가 설정채널로 ESPN Sports 채널을 선정하고, 제 2 사용자가 설정채널로 OCN Movie 채널을 선정한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Or, as in the case of FIG. 73 (B), assume that the first user selects the ESPN Sports channel as the setting channel and the second user selects the OCN Movie channel as the setting channel.

이러한 경우, 로그온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에서 제 2 사용자로 전환되는 경우에, 제 2 사용자가 선정한 설정채널인 OCN Movie 채널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logon user is switched from the first user to the second user, an image of the OCN Movie channel, which is a setting channel selected by the second user,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또는, 로그온 전환 시 채널의 선호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되는 영상을 전환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logon is switched,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may be switched according to the preference of the channel.

예를 들어, 도 74의 경우와 같이, 소정 기간 동안 제 1 사용자의 채널 선택 횟수가 제 3 채널(CH3)이 다른 채널에 비해 많고, 제 2 사용자의 채널 선택 횟수는 제 5 채널(CH5)이 다른 채널에 비해 많은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For example, as shown in FIG. 74, the number of channel selections of the first user is greater than that of the other channels in the third channel CH3 during the predetermined period, and the number of channel selections of the second user is greater than that of the fifth channel CH5. Assume many cases compared to other channels.

이러한 경우, 로그온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에서 제 2 사용자로 전환되는 경우에, 제 2 사용자가 소정 기간 동안 가장 빈번하게 선택한 제 5 채널(CH5)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logon user is switched from the first user to the second user, the image of the fifth channel CH5 most frequently selected by the second user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또는, 로그온 사용자 전환 시에 전환된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선택한 메뉴 및/또는 채널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display unit 180Q may display an image of a menu and / or a channel last selected by the switched user when the logon user is switched.

예를 들면, 도 75의 경우와 같이, 로그온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에서 제 2 사용자로 전환(1530)된 경우에 제 2 사용자가 마지막에 선택했던 메뉴 및/또는 채널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1600)할 수 있다. 여기서는, 앞선 도 70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75, when the logon user is switched 1530 from the first user to the second user, the display unit 180Q displays an image of a menu and / or a channel that the second user last selected. May be indicated at 1600. Here, the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e foregoing FIG. 70 is omitted.

예를 들어, 제 2 사용자가 로그오프하기 이전에 "MBC" 채널을 시청하고 있던 경우, 로그온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에서 제 2 사용자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MBC" 채널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econd user is watching the "MBC" channel before logging off, when the logon user is switched from the first user to the second user, the image of the "MBC" channel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Can be marked on.

또는, 예를 들어, 제 2 사용자가 로그오프하기 이전에 "선호채널" 메뉴를 선택한 경우, 로그온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에서 제 2 사용자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선호채널" 메뉴를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할 수 있다.Alternatively, for example, when the second user selects the "preferred channel" menu before logging off, the display unit 180Q displays the "preferred channel" menu when the logon user switches from the first user to the second user. Can be marked on.

이후, 다른 로그온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1560)하여, 다른 로그온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 로그온 사용자를 제 2 사용자에서 제 1 사용자로 전환(1570)하고, 제 1 사용자가 마지막에 선택했던 메뉴 및/또는 채널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1610)할 수 있다Thereafter, it is determined whether another logon switch command is input (1560), and when the other logon switch command is input, the logon user is switched from the second user to the first user (1570), and the first user is finally An image of the selected menu and / or channel may be displayed 1610 on the display unit 180Q.

한편, 로그온 사용자가 전환되는 경우 영상 및/또는 메뉴 뿐 아니라, 설정값들도 변경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logon user is switched, not only an image and / or a menu but also setting values may be changed.

예를 들면, 도 76의 경우와 같이, 제 1 사용자는 음량을 12로 설정하고, 화면 모드를 영화 모드로 설정하고, 제 2 사용자는 음량을 20으로 설정하고, 화면 모드를 스포츠 모드로 설정한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For example, as shown in FIG. 76, the first user sets the volume to 12, sets the screen mode to the movie mode, the second user sets the volume to 20, and sets the screen mode to the sport mode. Let's assume the case.

이러한 경우, 로그온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에서 제 2 사용자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음량을 12에서 20으로 전환하고, 화면 모드를 영화모드에서 스포츠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물론 반대의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logon user is switched from the first user to the second user, the volume may be switched from 12 to 20, and the screen mode may be switched from the movie mode to the sport mode. Of course, the opposite is also possible.

한편, 로그온 사용자를 전환하기 위해 각각의 사용자의 패스워드 등의 인증정보를 입력하지 않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may be possible to not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such as a password of each user to switch the logon user.

예를 들면, 도 77의 경우와 같이, 무선 입력부(200Q)에 로그온 사용자의 전환을 위한 전환키(1700, 1710)가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77, switching keys 1700 and 1710 may be arranged in the wireless input unit 200Q to switch the logon user.

여기서, 전환키(1700, 1710)는 제 1 전환키(1700)와 제 2 전환키(17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환키(1700)는 로그온 사용자를 다른 사용자에서 제 1 사용자로 전환하는 키이고, 제 2 전환키(1710)는 로그온 사용자를 다른 사용자에서 제 2 사용자로 전환하는 키일 수 있다.Here, the switch keys 1700 and 1710 may include a first switch key 1700 and a second switch key 1710. The first switch key 1700 may be a key for switching the logon user from another user to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switch key 1710 may be a key for switching the logon user from the other user to the second user.

이러한 경우, 사용자들은 전환키(1700, 1710)만을 선택하는 것만으로도 로그온 사용자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패스워드 등의 인증정보 없이도 다양한 사용자의 메뉴 등을 공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s can switch the logon user only by selecting only the switching keys 1700 and 1710. In addition, various user menus can be used in common witho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such as a password.

또는, 로그온 사용자 전환 시에 이전 사용자의 마지막 채널의 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78 내지 도 80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78에서는 앞선 도 75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Alternatively, when switching the logon user, an image of the last channel of the previous user may be recorded.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78 to 80. In FIG. 78, a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e foregoing FIG. 75 will be omitted.

도 78을 살펴보면, 로그온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에서 제 2 사용자로 전환(1530)되는 경우에는 제 1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시청하던 채널의 영상을 녹화(2000)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8, when the logged-on user is switched from the first user to the second user (1530), the user may record an image of the channel that the first user watched last (2000).

예컨대, 제 1 사용자가 "MBC" 채널의 영상 시청하던 중 로그온 전환 명령에 의해 로그온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에서 제 2 사용자로 전환되는 경우에, 제 1 사용자가 시청하던 "MBC" 채널의 영상을 일정부분 녹화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logon user is switched from the first user to the second user by a logon switch command while the first user is watching the video of the "MBC" channel, the video of the "MBC" channel watched by the first user is fixed. Partial recording is possible.

예를 들어, 도 79의 경우와 같이, 제 1 사용자가 로그온하여 제 1 채널(CH1)의 영상을 시청하던 중 제 2 사용자가 로그온 전환 명령을 이용하여 로그온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For example, suppose that the second user logs on using a logon switch command while the first user logs on and watches an image of the first channel CH1 as shown in FIG. 79.

여기서, 로그온 전환 시점에 제 1 사용자는 소정 프로그램의 전반부(2100)는 시청 완료하였지만, 후반부(2110)는 미처 시청하지 못한 경우에, 그 프로그램의 후반부(2110)를 녹화할 수 있다.Here, when the first user has finished watching the first half 2100 of the predetermined program at the time of logon switching, the second half 2110 may record the second half 2110 of the program.

다르게 표현하면, 로그온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에서 제 2 사용자로 전환되는 경우, 로그온 전환 시점에서 제 1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시청하던 채널의 프로그램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 그 프로그램의 잔여 부분을 녹화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logon user switches from the first user to the second user,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program is recorded when the program of the channel that was first watched by the first user at the time of logon switching is not completed. You can do it.

또는, 로그온 전환 시점에서 이전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시청하던 채널의 프로그램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라고 하더라도, 로그온 전환 시점에서의 프로그램 진행 정도를 고려하여 녹화의 실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Alternatively, even when the program of the channel that the previous user was watching at the time of logon switching is not complete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o perform recording in consideration of the degree of program progress at the time of logon switching.

예를 들어, 도 80의 경우와 같이, 소정의 제 1 영화가 t0 시점에서 시작하여 t3 시점에서 종료하는 경우, 즉 제 1 영화의 상영 시간이 W4인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80, assume that a predetermined first movie starts at time t0 and ends at time t3, that is, when the running time of the first movie is W4.

이러한 경우, 영화의 상영초기(t0~t1)에 로그온 사용자가 전환되는 경우에는 영화의 스토리의 전개가 미미하기 때문에 녹화를 하지 않을 수 있다.In such a case, when the logon user is switched to the initial screening times t0 to t1 of the movie, the recording of the story of the movie may be insignificant, and thus recording may not be performed.

아울러, 영화의 마지막부분(t2~t3)에 로그온 사용자가 전환되는 경우에는 영화가 대부분 마무리되었거나, 출연진/스텝 소개부분일 수 있으므로 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ogon user is switched to the last part (t2 to t3) of the movie, the movie may be mostly finished, or may not be the cast / step introduction part.

다르게 표현하면, 로그온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에서 제 2 사용자로 전환되는 경우, 로그온 전환 시점에서 제 1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시청하던 제 1 영화의 진행 정도 t1 시점부터 t2 시점 사이인 경우에는 제 1 영화를 녹화하고, t0 시점부터 t1 시점 사이 및/또는 t2 시점부터 t3 시점 사이인 경우에는 제 1 영화를 녹화하지 않을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logon user switches from the first user to the second user, when the logon transition time is between the time t1 and the time t1 of the first movie that the first user watched last, the first movie is displayed. The first movie may not be recorded when the video is recorded and the time is between the time t0 and the time t1 and / or between the time t2 and the time t3.

아울러, 로그온 사용자가 제 2 사용자에서 제 1 사용자로 전환(1570)되는 경우에는 제 2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시청하던 채널의 영상을 녹화(2010)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ogged-on user is switched from the second user to the first user (1570), the second user may record (2010) the image of the channel that the second user watched.

또는, 사용자의 선호도를 고려하여 녹화의 실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ther to perform recording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preference.

예를 들면, 도 81의 경우와 같이, 로그온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2200)하고, 판단결과 로그온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이전 사용자의 마지막 채널이 선호 채널인지의 여부를 판단(2210)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81, it is determined whether a logon switch command is input (2200).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is inpu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last channel of the previous user is a preferred channel (2210). )can do.

판단결과, 이전 사용자(제 1 사용자)의 마지막 채널이 선호 채널인 경우, 이전 사용자(제 1 사용자)의 마지막 채널의 영상을 녹화(2220)할 수 있다. 여기서, 선호 채널은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last channel of the previous user (first user) is the preferred channel, an image of the last channel of the previous user (first user) may be recorded (2220). Here, the preference channel can be set directly by the user.

또는, 도 82의 (A)의 경우와 같이, 소정 기간 동안 제 1 사용자의 제 1 채널(CH1)의 선택 횟수가 120회이고, 제 2 채널(CH2)의 선택 횟수가 3회인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Alternatively, as in the case of FIG. 82A, it is assumed that the number of times of selecting the first channel CH1 is 120 times and the number of times of selecting the second channel CH2 is three times during a predetermined period. Let's see.

이러한 경우, 제 1 채널(CH1)은 제 1 사용자의 선호채널이고, 제 2 채널(CH2)은 제 1 사용자의 선호채널이 아닐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channel CH1 may be a preference channel of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channel CH2 may not be a preference channel of the first user.

따라서 로그온 전환 시 제 1 사용자의 마지막 채널이 제 1 채널(CH1)인 경우, 이러한 제 1 채널(CH1)의 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 반면에, 로그온 전환 시 제 1 사용자의 마지막 채널이 제 2 채널(CH2)인 경우에는 제 2 채널(CH2)의 영상을 녹화하지 않을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last channel of the first user is the first channel CH1 during logon switching, the video of the first channel CH1 may be record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last channel of the first user is the second channel CH2 during logon switching, the image of the second channel CH2 may not be recorded.

또는, 도 82의 (B)의 경우와 같이, 소정 기간 동안 제 1 사용자의 제 1 채널(CH1)의 시청 시간이 1200시간이고, 제 2 채널(CH2)의 시청시간이 40시간인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Or, as in the case of FIG. 82 (B), it is assumed that the watching time of the first channel CH1 of the first user is 1200 hours and the watching time of the second channel CH2 is 40 hours for a predetermined period. Let's see.

이러한 경우, 제 1 채널(CH1)은 제 1 사용자의 선호채널이고, 제 2 채널(CH2)은 제 1 사용자의 선호채널이 아닐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channel CH1 may be a preference channel of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channel CH2 may not be a preference channel of the first user.

따라서 로그온 전환 시 제 1 사용자의 마지막 채널이 제 1 채널(CH1)인 경우, 이러한 제 1 채널(CH1)의 영상을 녹화(2220)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last channel of the first user is the first channel CH1 during logon switching, the image of the first channel CH1 may be recorded 2220.

한편, 복수의 사용자가 서로 다른 메뉴에 로그온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Meanwhile, it may be possible for a plurality of users to log on to different menus.

예를 들면, 도 83의 경우와 같이, 소정의 제 1 사용자가 로그온(1800)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83, a predetermined first user may log on 1800.

이러한 경우, 제 1 사용자에 대응하는 메뉴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1810)할 수 있다.In this case, a menu or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user may be displayed 1810 on the display unit 180Q.

이후, 제 1 사용자가 로그온된 상태에서 제 1 사용자와 다른 제 2 사용자가 다른 메뉴로 로그온되는지 여부를 판단(1820)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메뉴 로그온 전환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제 1820 단계에서 입력되는 메뉴 로그온 전환 명령을 제 1 메뉴 로그온 전환 명령이라고 한다.Thereafter, in operation 1820,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a second user different from the first user is logged on to another menu while the first user is logged on. In this case, a menu logon switch command may be input. The menu logon switch command input in operation 1820 is called a first menu logon switch command.

여기서, 제 1 메뉴 로그온 전환 명령은 제 2 사용자에 대응하는 패스워드(Password)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Here, the first menu logon switch command may include a passwor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user.

판단결과, 제 1 메뉴 로그온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제 1 메뉴의 로그온 사용자를 제 1 사용자에서 제 1 사용자와 다른 제 2 사용자로 전환(1830)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Master 로그온 사용자는 제 1 사용자인 상태에서 특정 메뉴, 예컨대 제 1 메뉴의 로그온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에서 제 2 사용자로 전환된 경우일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first menu logon switch command is input, the logon user of the first menu may be switched from the first user to a second user different from the first user (1830). In this case, the master logon user may be a case where the logon user of a specific menu, for example, the first menu, is switched from the first user to the second user while the first logon user is the first user.

이처럼, 제 1 메뉴의 로그온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에서 제 2 사용자로 전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80Q)에 제 1 메뉴를 표시하거나 이전의 메뉴를 제 1 메뉴로 전환(1840)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logon user of the first menu is switched from the first user to the second user, the first menu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or the previous menu may be switched to the first menu (1840).

이후, 제 1 메뉴에 제 2 사용자가 다른 메뉴로 로그온된 상태에서 또 다른 메뉴 로그온 전환 명령, 예컨대 제 2 메뉴 로그온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1850)할 수 있다.Subsequently,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another menu logon switch command, for example, a second menu logon switch command, is input in the state where the second user is logged on to another menu in the first menu (1850).

판단결과, 제 2 메뉴 로그온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제 2 메뉴의 로그온 사용자를 제 1 사용자에서 제 1 사용자와 다른 제 3 사용자로 전환(1860)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Master 로그온 사용자는 제 1 사용자인 상태에서 특정 메뉴, 예컨대 제 1 메뉴의 로그온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에서 제 3 사용자로 전환된 경우일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second menu logon switching command is input, the logon user of the second menu may be switched from the first user to a third user different from the first user (1860). In this case, the master logon user may be a case where the logon user of a specific menu, for example, the first menu, is switched from the first user to the third user while the first logon user is the first user.

여기서, 제 2 메뉴 로그온 전환 명령은 제 3 사용자에 대응하는 패스워드(Password)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 2 사용자는 제 3 사용자와 동일한 것도 가능할 수 있다.Here, the second menu logon switch command may include a password corresponding to the third user. Here, the second user may be the same as the third user.

이처럼, 제 2 메뉴의 로그온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에서 제 3 사용자로 전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80Q)에 제 2 메뉴를 표시하거나 이전의 메뉴를 제 2 메뉴로 전환(1870)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logon user of the second menu is switched from the first user to the third user, the second menu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or the previous menu may be switched to the second menu (1870).

예를 들어, 도 84의 경우와 같이, t1 시점에서 제 1 사용자가 로그온한 상태에서, 전원(Power)이 오프되지 않은 상태에서, t2 시점에서 제 2 사용자의 제 1 메뉴의 로그온을 위한 제 1 메뉴 로그온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 제 1 메뉴의 로그온 사용자를 제 1 사용자에서 제 2 사용자로 전환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84, when the first user is logged on at a time t1, the power is not turned off, and the first user for logging on the first menu of the second user at a time t2. When the menu logon switch command is input, the logon user of the first menu can be switched from the first user to the second user.

여기서, t1 시점부터 t2 시점 사이 기간에는 제 1 사용자만이 로그온된 상태일 수 있다.Here, only the first user may be logged on in the period between the time t1 and the time t2.

만약, 제 1 메뉴의 로그온 사용자가 제 2 사용자로 전환된 상태에서, 제 2 메뉴 로그온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제 2 메뉴의 로그온 사용자를 제 1 사용자에서 제 3 사용자로 전환할 수 있다.If the logon user of the first menu is switched to the second user, when the second menu logon switch command is input, the logon user of the second menu may be switched from the first user to the third user.

여기서, t2 시점부터 t3 시점 사이 기간에는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가 로그온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제 1 사용자는 Master 로그온 사용자이고, 제 2 사용자는 서브 로그온 사용자일 수 있다.Here,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user may be logged on in the period between the time t2 and the time t3. Here, the first user may be a master logon user, and the second user may be a sub-logon user.

아울러, t3 시점이후에는 제 1 사용자, 제 2 사용자 및 제 3 사용자가 로그온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제 1 사용자는 Master 로그온 사용자이고, 제 2, 3 사용자는 서브 로그온 사용자일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time t3, the first user, the second user, and the third user may be logged on. Here, the first user may be a master logon user, and the second and third users may be sub-logon users.

또한, 상기와 같이 메뉴에 따라 로그온 사용자가 다른 경우에는 각각의 로그온 사용자가 로그온한 메뉴의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ogon user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menu as described above, information on the menu where each logon user logs on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다르게 표현하면, 제 1 메뉴의 로그온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에서 제 2 사용자로 전환되는 경우, 제 1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선택한 채널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상태에서 제 1 메뉴를 추가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In other words, when the logon user of the first menu is switched from the first user to the second user, the first menu is additionally displayed while the image of the channel selected by the first use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It is possible to.

예를 들면, 도 85의 경우와 같이, 제 1 사용자가 시청하는 영상에 제 1 메뉴(1910)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85, the first menu 1910 may be displayed on an image viewed by the first user.

또는, 제 2 메뉴의 로그온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에서 제 3 사용자로 전환되는 경우, 제 1 사용자 또는 제 2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선택한 채널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상태에서 제 3 사용자에 대응하는 제 2 메뉴를 추가로 표시하거나 또는 제 2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선택한 메뉴, 예컨대 제 1 메뉴가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된 상태에서 제 2 메뉴를 추가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Alternatively, when the logon user of the second menu is switched from the first user to the third user, the third user corresponds to the third user while the image of the channel selected by the first user or the second use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display the second menu or to further display the second menu while the menu selected last by the second user, for example, the first menu,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예를 들면, 도 86의 경우와 같이, 제 1 사용자가 시청하는 영상에 제 1 메뉴(1910) 및 제 2 메뉴(1920)를 함께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86, the first menu 1910 and the second menu 1920 may be displayed together on an image viewed by the first user.

도 87 내지 도 97은 노이즈 모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87 to 9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noise mode. 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arts described in detail above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에서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노이즈(Noise)에 따라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In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ting may be changed according to noise input from the outside.

자세하게는, 음향 센싱부를 통해 노이즈 음향(Noise sound)이 수신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 또는 음성 출력부가 출력하는 음성의 설정(Setting)을 변경할 수 있다.In detail, when a noise sound is received through the sound sensing unit, a setting of an audio output from the video or the audio output uni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may be changed.

도 87을 살펴보면, 전원이 온(2300)되면, 노이즈 음향이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2310)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7, when the power is turned on 2300, whether a noise sound is received may be determined 2310.

여기서, 노이즈 음향은 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음향일 수 있다.Here, the noise sound may be a sound of a preset frequency band.

예를 들어, 도 88의 경우와 같이, 20㎑이상의 주파수 대역, 즉 제 1 대역, 3~5㎑ 주파수 대역, 즉 제 2 대역, 600~800㎐ 주파수 대역, 즉 제 3 대역을 노이즈 음향이라고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88, a frequency band of 20 Hz or more, that is, a first band, a 3 to 5 Hz frequency band, that is, a second band, a 600 to 800 Hz frequency band, that is, a third band, may be set as a noise sound. Can be.

이러한 경우, 수신되는 음향이 제 1 대역, 제 2 대역 및 제 3 대역 중 어느 한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에 수신되는 음향을 노이즈 음향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received sound is included in any one of the first band, the second band, and the third band, the received sound may be determined as a noise sound.

아울러, 노이즈 음향은 기 설정된 패턴(Pattern)을 갖는 음향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noise sound may be a sound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예를 들어, 도 88의 경우와 같이 특정 패턴을 갖는 음향이 수신되는 경우 수신되는 음향을 노이즈 음향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sound having a specific pattern is received as in the case of FIG. 88, the received sound may be determined as a noise sound.

제 2310 단계에서의 판단결과, 노이즈 음향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수신되는 노이즈 음향이 제 1 타입 노이즈 음향(First Type Noise Sound)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operation 2310, when the noise sound is received,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received noise sound is a first type noise sound.

판단결과, 수신되는 노이즈 음향이 제 1 타입 노이즈 음향인 경우에 제 1 변경 방법을 적용하여 설정을 변경(2330)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received noise sound is the first type noise sound, the setting may be changed (2330) by applying the first changing method.

만약, 제 2320 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수신되는 노이즈 음향이 제 1 타입 노이즈 음향이 아닌 경우에는, 수신되는 노이즈 음향이 제 2 타입 노이즈 음향(Second Type Noise Sound)인지의 여부를 판단(2340)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operation 2320 that the received noise sound is not the first type noise sound,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received noise sound is the second type noise sound (2340). have.

판단결과, 수신되는 노이즈 음향이 제 2 타입 노이즈 음향인 경우에 제 2 변경 방법을 적용하여 설정을 변경(2350)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received noise sound is the second type noise sound, the setting may be changed (2350) by applying the second changing method.

여기서, 제 1 변경 방법과 제 2 변경 방법은 설정의 변경 방법이 서로 다를 수 있다.Herein, the first changing method and the second changing method may have different setting changing methods.

즉, 제 1 타입 노이즈 음향이 음향 센싱부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의 영상 또는 음성의 설정 변경 방법과 제 2 타입 노이즈 음향이 음향 센싱부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의 영상 또는 음성의 설정 변경 방법은 서로 다를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method of changing the setting of the video or audio when the first type noise sound is received through the sound sensing unit and the method of changing the setting of the video or audio when the second type noise sound is received through the sound sensing unit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will be.

아울러, 제 1 타입 노이즈 음향의 종류와 제 2 타입 음향의 종류는 서로 다를 수 있다.In addition, the type of the first type noise sound and the type of the second type sound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예를 들면, 도 89의 경우와 같이, 제 1 타입 노이즈 음향은 물소리, 진공청소기(Vacuum Cleaner) 소리, 기 설정된 사용자의 음성, 예컨대 제 1 사용자의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사용자의 음성은 청력이 저하된 사용자의 음성, 예컨대 노인의 음성일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89, the first type noise sou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ater sound, a vacuum cleaner sound, a preset user voice, for example, a first user voice. Here, the voice of the first user may be a voice of a user whose hearing is deteriorated, for example, a voice of an elderly person.

아울러, 제 2 타입 노이즈 음향은 전화벨(Phone Bell)소리, 초인종(Door Bell) 소리, 기 설정된 사용자의 음성, 예컨대 제 2 사용자의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type noise sou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hone bell sound, a door bell sound, a preset user voice, for example, a voice of a second user.

여기서, 제 2 사용자의 음성은 청력이 우수한 사용자의 음성, 예컨대 청소년 혹은 아이의 음성 혹은 울음 소리일 수 있다.Here, the voice of the second user may be a voice of a user who has excellent hearing, for example, a voice of a teenager or a child or a crying sound.

제 1 타입 노이즈 음향의 종류와 제 2 타입 노이즈 음향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The type of the first type noise sound and the type of the second type noise sound may not be limited thereto.

한편, 제 1 타입 노이즈 음향이 음향 센싱부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음성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first type noise sound is received through the sound sensing unit, the volume of the voice may be increased.

예를 들어, 소정의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를 시청하는 도중에 다른 사용자가 진공청소기를 이용하여 청소를 하는 경우, 진공청소기의 소음으로 인해 방송의 음이 원활하게 청취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진공청소기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 음량을 증가시키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a user cleans using a vacuum cleaner while a user watches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difficult to listen to the sound of the broadcast smoothly due to the noise of the vacuum cleaner. . Accordingly, when the vacuum cleaner noise occurs to increase the volume.

반면에, 소정의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를 시청하는 도중에 전화통화를 실시하는 경우에, 전화통화를 하는 사용자는 방송신호 수신기에서 출력되는 음향에 의해 통화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원활한 통화를 위해 전화벨소리가 발생하는 경우 음량을 감소시키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a predetermined user makes a phone call while watching a broadcast signal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who makes a phone call may not have a smooth call due to the sound output from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Accordingly, the volume is reduced when the ringtone occurs for smooth communication.

이처럼, 다양한 종류의 소음들을 음량을 증가시키는 경우와 음량을 감소시키는 경우로 분류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방송신호 수신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s such, by classifying various types of noises into a case of increasing the volume and a case of decreasing the volume, the user can more conveniently use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또한, 제 2 타입 노이즈 음향이 음향 센싱부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영상의 재생을 정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type noise sound is received through the sound sensing unit, the reproduction of the image may be stopped.

예를 들어, 소정의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를 시청하는 도중에 손님이 방문하여 초인종을 눌러 초인종 소리를 발생시키는 경우, 시청중인 사용자는 소님을 맞으러 방송신호 수신기의 시청 범위에서 벗어날 수 있다.For example, if a guest visits the doorbell while pressing the doorbell while the user views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who is watching may miss the viewing range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to meet the son. have.

이러한 경우, 시청중인 영상의 재생을 일시 중지시키게 되면, 손님을 마중한 이후에 영상을 끊음 없이 연속적으로 시청할 수 있다.In this case, if the playback of the video being viewed is paused, the video can be continuously viewed without interruption after the guest is picked up.

또한, 제 2 타입 노이즈 음향이 음향 센싱부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현재 재생중인 영상을 녹화(Recording)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type noise sound is received through the sound sensing unit, an image currently being played may be recorded.

이러한 경우도 시청중인 영상을 끊음 없이 연속적으로 시청할 수 있다.In such a case, the video being viewed can be continuously viewed without interruption.

한편, 수신되는 노이즈 음향의 종류에 따라 음량의 변동량을 다르게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vary the amount of change in the volume according to the type of noise noise received.

예를 들어, 도 90의 경우와 같이, 제 1 타입 노이즈 음향 중 제 1 사용자의 음성이 발생하는 경우의 음량의 증가량은 물소리가 발생하는 경우의 음량의 증가량보다 적을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90, the increase in volume when the first user's voice is generated among the first type noise sounds may be less than the increase in volume when the sound of water is generated.

또한, 제 1 타입 노이즈 음향 중 진공청소기 소리가 발생하는 경우의 음량의 증가량은 물소리가 발생하는 경우의 음량의 증가량보다 클 수 있다.In addition, the amount of increase in volume when the vacuum cleaner sound is generated among the first type noise sounds may be greater than the amount of increase in volume when the sound of water is generated.

이처럼, 어떠한 종류의 제 1 타입 노이즈 음향이 발생하는지에 따라 음량의 증가량을 다르게 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amount of increase in the volume can be varied depending on what kind of first type noise sound is generated.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2 타입 노이즈 음향의 종류에 따라 음량의 감소량을 다르게 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t may be possible to vary the amount of decrease in volum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econd type noise sound.

또한, 제 1 타입 노이즈 음향의 크기에 따라 음량의 증가량을 다르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mount of increase of the volume may be vari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first type noise sound.

예를 들면, 도 91의 (A)의 경우와 같이, 발생하는 제 1 타입 노이즈 음향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 음성 출력의 음향의 크기 증가량도 적게 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91A, when the generated first type noise sound is relatively small, the amount of increase in the volume of the sound of the audio output can be reduced.

반면에, 도 91의 (B)의 경우와 같이, 발생하는 제 2 타입 노이즈 음향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 음성 출력의 음향의 크기 증가량도 크게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in the case of FIG. 91 (B), when the magnitude of the generated second type noise sound is relatively large, the amount of increase in the volume of the sound of the audio output can also be increased.

아울러, 제 1 타입 노이즈 음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발생한 제 1 타입 노이즈 음향의 크기보다 방송신호 수신기의 음성 출력의 크기를 더 크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type noise sound is generated, the audio output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may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generated first type noise sound.

도 91의 (A), (B)에서 음성 출력의 크기는 제 1 타입 노이즈 음향의 크기보다 A1 또는 B1만큼 큰 것을 알 수 있다.91 (A) and (B), it can be seen that the magnitude of the audio output is A1 or B1 larger than the magnitude of the first type noise sound.

이처럼, 제 1 타입 노이즈 음향의 크기에 따라 음성의 크기를 차등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In this manne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ize of the voice differentiall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irst type noise sound.

한편, 사용자의 안면(Face)이 향하는 방향에 따라 설정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르게 표현하면, 모션 센싱부가 감지한 사용자의 안면(Face)이 향하는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 또는 음성 출력부가 출력하는 음성의 설정(Setting)을 변경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etting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user's face (Face). In other words, the image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r the audio output unit may change the setting of the voice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face detected by the motion sensing unit.

예를 들어, 도 92의 (A)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2400)의 안면이 디스플레이부(180Q)를 향하는 경우에는 사용자(2400)의 영상에 대한 집중도가 높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92A, when the face of the user 2400 faces the display unit 180Q, this may mean that the user's 2400 has a high degree of concentration.

반면에, 도 92의 (B)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2400)의 안면이 디스플레이부(180Q)를 향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2400)의 영상에 대한 집중도가 저하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in the case of (B) of FIG. 92, when the face of the user 2400 does not face the display unit 180Q, it may mean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image of the user 2400 is reduced.

이러한 경우에는, 도 93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밝기)를 낮추거나, 음성 출력(Volume)을 낮추거나, 영상의 재생을 정지시키거나, 재생중인 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in the case of FIG. 93, the luminance (brightness)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is reduced, the audio output is reduced, the reproduction of the image is stopped, or the image being reproduced is reduced. You can record.

도 92의 (B)와 같은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밝기)를 낮추거나, 음성 출력(Volume)을 낮추어도 사용자는 영상의 휘도 저하 및/또는 음성 출력 저하를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아울러, 전력소모도 줄일 수 있다.In the case of FIG. 92B, even if the luminance (brightness)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is lowered or the volume of the audio is reduced, the user perceives the luminance of the image and / or the lowered audio output. You may not be able to. In addition,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아울러, 도 92의 (B)와 같은 경우에는 시청중인 프레임에서 사용자가 시청하지 못하고 지나치는 부분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의 재생을 정지시키거나, 재생중인 영상을 녹화하는 경우에는 차후에 다시 놓친 부분을 시청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FIG. 92 (B), a portion that the user cannot view in the frame being viewed may be excessive. Accordingly, when the reproduction of the image is stopped or the image being reproduced is recorded, the missed portion can be viewed later.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2400)의 안면이 향하는 방향이 기 설정된 디스플레이부(180Q)의 시청각을 벗어나는 경우에 음성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In more detail, when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 2400 is out of the audiovisual angle of the preset display unit 180Q, the volume of the voice may be reduced.

예를 들어, 도 94의 (A)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2400)의 안면에서 수직하는 선을 제 1 라인(CL)이라 하면, 제 1 라인(CL)을 중심으로 2θ1의 각도 범위를 시청각이라고 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94A, when the line perpendicular to the face of the user 2400 is the first line CL, the angle range of 2θ1 around the first line CL is audiovisual. It can be said.

시청각은 사용자(2400)가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Audio-visual may refer to a range in which the user 2400 may view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만약, 도 94의 (B)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2400)가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시청각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사용자(2400)가 더 이상 영상을 시청하기 어려운 상황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도 94의 (B)의 경우를 사용자의 안면이 향하는 방향이 기 설정된 디스플레이부(180Q)의 시청각을 벗어나는 경우라고 할 수 있다.If, as in the case of FIG. 94 (B), the user 2400 is out of the audiovisual where the user can watch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it may be difficult for the user 2400 to no longer watch the image. Accordingly, the case in which the face of the user faces away from the audio visual angle of the preset display unit 180Q is illustrated in FIG. 94B.

다르게 표현하면, 도 95의 경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모션 센싱부(192Q)와 사용자(2400)를 연결한 제 2 라인(CL1)과 사용자(2400)의 안면과 수직한 제 1 라인(CL) 사이의 각도(θ2)가 앞선 도 94의 θ1보다 큰 경우에 사용자(2400)는 시청각을 벗어난 것으로 볼 수 있다.In other words, as in the case of FIG. 95, the second line CL1 and the face of the user 2400 connecting the motion sensing unit 192Q and the user 2400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ngle θ2 between the first vertical lines CL is greater than θ1 of FIG. 94, the user 2400 may be regarded as having missed the audiovisual angle.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밝기)를 낮추거나, 음성 출력(Volume)을 낮추거나, 영상의 재생을 정지시키거나, 재생중인 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rightness (brightness)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may be lowered, the audio output may be lowered, the reproduction of the image may be stopped, or the image being played may be recorded.

한편, 다수의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영상을 시청하는 경우에도 사용자들의 안면이 향하는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밝기)를 낮추거나, 음성 출력(Volume)을 낮추거나, 영상의 재생을 정지시키거나, 재생중인 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Meanwhile, even when a plurality of users watch an image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uminance (brightness)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may be lowered or voic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s. The output volume can be lowered, the playback of the video can be stopped, or the video being played can be recorded.

자세하게는, 사용자가 복수인 경우, 모든 사용자의 안면이 향하는 방향이 기 설정된 디스플레이부(180Q)의 시청각을 벗어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밝기)를 낮추거나, 음성 출력(Volume)을 낮추거나, 영상의 재생을 정지시키거나, 재생중인 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In detail,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users, lowering the brightness (brightness)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or outputting audio when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all users is outside the preset audio visual angle of the display unit 180Q. You can lower the volume, stop the playback of the video, or record the video during playback.

또는, 사용자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사용자 중 기 설정된 임계 비율 이상의 사용자의 안면이 향하는 방향이 기 설정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시청각을 벗어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밝기)를 낮추거나, 음성 출력(Volume)을 낮추거나, 영상의 재생을 정지시키거나, 재생중인 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users, the brightness (brightness)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is decreased when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 which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set threshold ratio, among the plurality of users is outside the preset audio visual angle of the display panel. In addition, the voice output may be lowered, the playback of the video may be stopped, or the video being played may be recorded.

예를 들어, 도 97의 경우와 같이, 전원이 온(2500)되고, 사용자가 다수인 경우(2510),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각각의 사용자의 안면이 향하는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97, when the power is turned on 2500 and the number of users is 2510,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may detect a direction in which the face of each user faces.

예를 들어, 도 96의 경우와 같이, 제 1~5 사용자(2410~2450)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를 사용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96, assume that the first to fifth users 2410 to 2450 use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총 5명의 사용자의 안면 방향을 모두 확인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heck all of the facial directions of five users.

이후, 모든 사용자가 시청각을 벗어나는지의 여부를 판단(2530)할 수 있다.Thereafter,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all users are outside the audiovisual (2530).

판단결과, 모든 사용자가 시청각을 벗어나는 경우에 설정을 변경(2540), 예컨대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밝기)를 낮추거나, 음성 출력(Volume)을 낮추거나, 영상의 재생을 정지시키거나, 재생중인 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all the users are out of the audiovisual, the setting is changed (2540), for example, the brightness (brightness)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is decreased, the audio output (Volume) is reduced, or the reproduction of the image is performed. You can freeze or record the video being played.

반면에, 판단결과, 적어도 한명의 사용자가 시청각을 벗어나지 않는 경우에, 시청각을 벗어난 사람들의 비율이 임계 비율을 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at least one user does not leave the audiovisual,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proportion of people outside the audiovisual exceeds the threshold ratio.

판단결과, 시청각을 벗어난 사람들의 비율이 임계 비율을 넘는 경우에 설정을 변경(2540), 예컨대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밝기)를 낮추거나, 음성 출력(Volume)을 낮추거나, 영상의 재생을 정지시키거나, 재생중인 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ratio of those who are outside the audiovisual exceeds the threshold ratio, the setting is changed (2540), for example, the luminance (brightness)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is reduced, or the volume of the audio is reduced. The playback of the video can be stopped or the video being played can be recorded.

반면에, 판단결과, 시청각을 벗어난 사람들의 비율이 임계 비율보다 낮은 경우에는 설정을 유지(2560)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percentage of people outside the audiovisual is lower than the threshold ratio can be maintained (2560).

예를 들어, 임계비율이 70%인 경우, 도 96에서 총 5명의 사용자 중 적어도 2명의 사용자가 시청각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설정을 유지하고, 1명의 사용자가 시청각 범위 내에 있거나 혹은 모든 사용자가 시청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threshold ratio is 70%, in FIG. 96, if at least two of the total five users are within the audiovisual range, the setting is maintained, and one user is within the audiovisual range or all the audiovisual ranges. If it is out of the, you can change the setting.

또는,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로그온된 사용자를 고려하여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도 가능하다.Alternatively, a method of changing a setting in consideration of a logged on user among a plurality of users may be possible.

자세하게는, 사용자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사용자 중 로그온(Log-on)된 사용자의 안면이 향하는 방향이 기 설정된 디스플레이부(180Q)의 시청각을 벗어나는 경우에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In detail,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users, a setting may be changed when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logged-on user among the plurality of users is out of the audiovisual angle of the preset display unit 180Q.

예를 들어, 도 96에서 5명의 사용자 중 제 1 사용자(2410)가 로그온된 사용자이고, 나머지 4명의 사용자(2420~2450)는 로그온하지 않은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For example, suppose that in FIG. 96, a first user 2410 is a logged-on user and four other users 2420-2450 are not logged on.

이러한 경우, 제 1 사용자(2410)가 시청각을 벗어나는 경우에 나머지 4명의 사용자(2420~2450)와는 관계없이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밝기)를 낮추거나, 음성 출력(Volume)을 낮추거나, 영상의 재생을 정지시키거나, 재생중인 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first user 2410 is out of the audiovisual level, the luminance (brightness)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is lowered regardless of the other four users 2420 to 2450, or the volume is output. You can lower the speed, stop playback of the video, or record the video being played back.

또는, 제 1 사용자(2410)가 시청각을 내에 있는 경우에 나머지 4명의 사용자(2420~2450)가 모두 시청각을 벗어난 경우에도 설정을 유지할 수 있다.Alternatively, in the case where the first user 2410 is in the audiovisual level, the setting may be maintained even when the remaining four users 2420 to 2450 are all out of the audiovisual level.

도 98 내지 도 108은 사적 채널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98 to 108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private channel. 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arts described in detail above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는 복수의 채널 중 적어도 하나는 사적 컨텐츠(Personal Contents)를 위한 사적 채널(Personal Channel)로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사적 채널은 방송신호가 할당되지 않는 채널일 수 있다.In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hannels may be allocated as a personal channel for personal content. Here, the private channel may be a channel to which a broadcast signal is not allocated.

예를 들면, 도 98의 경우와 같이, 제 5 채널(CH5)은 SBS, 제 7 채널(CH7)은 KBS2, 제 9 채널(CH7)은 KBS1, 제 11 채널(CH11)은 MBC, 제 13 채널(CH13)은 OBS로 할당될 수 있다. 여기서, 제 5~13 채널(CH5~13)은 모두 방송신호가 할당된 채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방송신호가 할당된 채널들을 일반 채널이라 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98, the fifth channel CH5 is SBS, the seventh channel CH7 is KBS2, the ninth channel CH7 is KBS1, the eleventh channel CH11 is MBC, and the thirteenth channel (CH13) may be allocated to OBS. Here, all of the fifth to thirteenth channels CH5 to 13 may be channels to which broadcast signals are allocated. Hereinafter, channels to which a broadcast signal is assigned are called general channels.

아울러, 일반 채널 이외에 사적 채널이 제 0 채널(CH0)에 할당될 수 있다. 사적 채널에서는 사적 컨텐츠가 할당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시청자가 사적 컨텐츠를 선택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80Q)에 사적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적 채널은 사적 컨텐츠를 표시/출력하기 위한 채널일 수 있다.In addition, a private channel may be allocated to the zeroth channel CH0 in addition to the normal channel. Private content may be allocated to the private channel, and thus, when the viewer selects private content, the private content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That is, the private channel may be a channel for displaying / outputting private content.

다르게 표현하면, 복수의 채널 중 제 1 채널(일반채널)에서 디스플레이부(180Q)에 방송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고, 복수의 채널 중 제 2 채널(사적채널)에서는 디스플레이부(180Q)에 사적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In other words, an image corresponding to a broadcast signal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in the first channel (general channel) of the plurality of channels, and on the display unit 180Q in the second channel (private channel) of the plurality of channels. Private content can be displayed.

사용의 편의를 위해 사적 채널은 채널 변경 명령을 입력하여 선택할 수 있다.For ease of use, private channels can be selected by entering a channel change command.

자세하게는, 명령 입력부, 예컨대 무선 입력부로부터 채널 변경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변경된 채널에서 디스플레이부(180Q)에 방송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거나 혹은 사적 컨텐츠(Personal Contents)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채널 변경 명령을 이용하여 방송신호가 할당된 채널을 변경하거나 혹은 사적 컨텐츠가 할당된 사적 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In detail, when a channel change command is input from the command input unit, for example, the wireless input unit, an image corresponding to a broadcast signal or a personal content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in the changed channel. In other words, a channel to which a broadcast signal is assigned or a private channel to which private content is assigned may be selected using a channel change command.

예를 들면, 복수의 채널 중 제 1 채널(일반채널)에서 명령 입력부로부터 업(Up) 채널 변경 명령 또는 다운(Down) 채널 변경 명령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는 경우 제 1 채널(일반채널)과 다른 채널(일반채널)의 방송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one of an up channel change command or a down channel change command is input from a command input unit in a first channel (general channel) of a plurality of channels, the first channel (general channel) is different from the first channel (general channel). An image corresponding to a broadcast signal of a channel (general channel)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아울러, 제 1 채널(일반채널)에서 명령 입력부로부터 업(Up) 채널 변경 명령 또는 다운(Down) 채널 변경 명령 중 다른 하나가 입력되는 경우 사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nother one of an up channel change command or a down channel change command is input from the command input unit in the first channel (general channel), the private content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예를 들어, 도 99의 경우와 같이, 현재 일반채널인 NBTV(CH1)을 시청하고 있는 상황에서 무선 입력부의 채널업키(210)를 눌러 업(Up) 채널 변경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는 다른 일반채널인 MTV(CH2)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99, when a channel up key 210 is input by pressing the channel up key 210 of the wireless input unit while watching the NBTV (CH1), which is a general channel, another general channel is used.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MTV CH2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반면에, 현재 일반채널인 NBTV(CH1)을 시청하고 있는 상황에서 무선 입력부의 채널다운키(211)를 눌러 다운(Down) 채널 변경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는 다른 일반채널인 NBTV(CH1)에서 사적 채널(CH0)로 채널이 전환되고, 이에 따라 사적 컨테츠가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user is watching a NBTV (CH1), which is a general channel, and inputs a down channel change command by pressing the channel down key 211 of the wireless input unit, the private channel is changed from another general channel, NBTV (CH1). The channel is switched to the channel CH0, and thus the private content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다른 관점에서 설며하면, 현재 일반채널인 Night Movie(CH900)을 시청하고 있는 상황에서 무선 입력부의 채널업키(210)를 눌러 업 채널 변경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는 사적 채널(CH0)에 대응하는 사적 컨테츠가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될 수 있다. 아울러, 사적 채널(CH0)에 대응하는 사적 컨테츠를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하고 있는 상황에서 무선 입력부의 채널업키(210)를 눌러 업 채널 변경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는 일반채널인 NBTV(CH1)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사적 채널(CH0)에 대응하는 사적 컨테츠를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하고 있는 상황에서 무선 입력부의 채널다운키(211)를 눌러 다운 채널 변경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는 다시 일반채널인 Night Movie(CH900)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할 수 있다.In other respects, when a user inputs an up-channel change command by pressing the channel up key 210 of the wireless input unit while watching a night movie (CH900), which is a general channel, the privat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rivate channel (CH0)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In addition, when the privat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rivate channel CH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when the channel up key 210 is input by pressing the channel up key 210 of the wireless input unit, the general channel NBTV (CH1) is used. The image corresponding to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In addition, when inputting a down channel change command by pressing the channel down key 211 of the wireless input unit while the privat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rivate channel CH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Night Movie, which is a normal channel, is again used. An image corresponding to CH900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한편, 사적 컨텐츠는 전자 메일(E-Mail) 컨텐츠, 사진 컨텐츠, 영화 컨텐츠, 음악 컨텐츠, 문자 서비스 컨텐츠, 팩스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ivate cont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electronic mail (e-mail) content, photo content, movie content, music content, text service content, and fax content.

이에 따라, 도 100의 경우와 같이, 사적 채널(CH0)이 선택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80Q)에 전자 메일(E-Mail) 컨텐츠(2610), 사진 컨텐츠(My Album, 2600 혹은 2660), 영화 컨텐츠(2620), 음악 컨텐츠(2630), 문자 서비스 컨텐츠(2640), 팩스 컨텐츠(26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as in the case of FIG. 100, when the private channel CH0 is selected, the e-mail content 2610, the photo content (My Album, 2600 or 2660), and the movie content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2620, music content 2630, text service content 2640, and fax content 2650.

아울러, 사적 채널의 화면 구성은 사용자가 편집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user can edit the screen configuration of the private channel.

아울러, 사적 채널에서 전자 메일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가 IP주소를 갖고, 외부로부터 전자 메일을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check e-mail in a private channel,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IP address and receive e-mail from the outside.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는 외부의 PC에 연결되고, 연결된 PC로 전자 메일이 수신되는 경우에 PC에서 수신된 전자 메일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로 전송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C, and in the case where the electronic mail is received by the connected PC,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may be transmitted to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사적 채널에서 문자 서비스 컨텐츠(2640)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도 101의 경우와 같이, 방송신호 수신기(100Q)가 이동통신 단말기(2700)와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check the text service content 2640 in the private channel, as shown in FIG. 101,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may communicate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700.

이러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2700)에 문자가 수신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2700)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로 문자를 전송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적 채널에서 이동통신 단말기(2700)에 수신된 문자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case, when text is receiv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70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700 may transmit the text to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and thus the user may transmit the tex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700 in a private channel. You can check the received text.

또한, 사적 채널에서 팩스 컨텐츠(2650)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도 101의 경우와 같이, 방송신호 수신기(100Q)가 팩스기기(2710)와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check the fax content 2650 in the private channel,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may communicate with the fax machine 2710 as in the case of FIG. 101.

이러한 경우, 팩스기가(2710)에 팩스가 수신되는 경우, 팩스기가(2710)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로 팩스를 전송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적 채널에서 팩스기가(2710)에 수신된 팩스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case, when the fax machine 2710 receives a fax, the fax machine 2710 may transmit the fax to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so that the user may receive the fax received by the fax machine 2710 in the private channel. You can check.

한편, 사적 채널에서는 디스플레이부(180Q)에 사진 컨텐츠를 슬라이드 쇼(Slide show)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ivate channel, the photo content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Q in a slide show manner.

예를 들면, 도 102의 경우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진 컨텐츠(2660, 2670)들이 슬라이드 쇼 방식을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는, 사적 채널을 일종의 사진 앨범(Album)으로 이용하는 경우일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102, at least one photo content 2660 and 2670 may display a slide show method. In this case, the private channel may be used as a kind of photo album.

또한, 새로운 전자 메일, 팩스, 문자 등이 수신되는 경우, 도 103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Q)의 화면에 도착 알림 메뉴(2800)를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new e-mail, a fax, a text, or the like is received, the arrival notification menu 2800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80Q as in the case of FIG. 103.

또는, 도 103의 경우와 같이, 새로운 사적 컨텐츠가 추가되는 경우에 새로운 사적 컨텐츠의 추가를 알리기 위한 알림부(28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알림부(2810)는 디스플레이부(180Q)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Alternatively, as in the case of FIG. 103, when new private content is added, a notification unit 2810 may be formed to notify addition of new private content. The notification unit 2810 may be formed at the edge of the display unit 180Q.

한편, 사적 채널이 사용자의 개인적인 앨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고려할 때, 새로운 이미지(Image)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considering that the private channel serves as the user's personal album, when a new image is received, it may be possible to display the received image on the screen.

예를 들면, 도 104의 경우와 같이,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2900), 수신된 메시지에 이미지 첨부 파일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2910)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104, when a message is received 2900, it may be determined 2910 whether an image attachment file exists in the received message.

판단결과, 메시지에 이미지 첨부 파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현재 채널이 사적 채널인지의 여부를 판단(2920)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message includes the image attachment fil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 channel is a private channel (2920).

판단결과, 현 채널이 사적 채널인 경우, 메시지에서 이미지 첨부 파일을 독출(2930)하고, 독출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80Q)의 화면에 표시(2940)할 수 있다.As a result of determination, when the current channel is a private channel, the image attachment file may be read 2930 in the message, and the read image may be displayed 2940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80Q.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편집과 무관하게 수신되는 이미지가 도 100이 경우와 같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00에서 소정의 이미지(2660)가 화면에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ceived image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100, regardless of the editing of the user. In FIG. 100, it can be seen that a predetermined image 2660 is displayed on the screen.

아울러, 수신되는 메시지에서 이미지 파일을 추출하는 경우에는, 파일의 확장자를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image file is extracted from the received message, the image file may be checked using the file extension.

예를 들면, 도 105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는 이미지에 해당하는 다양한 확장자를 이미지 확장자로 선정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105, the user may select various extensions corresponding to the image as the image extension.

이러한 경우, 방송신호 수신기(100Q)에서는 메시지에서 이미지 확장자를 갖는 첨부 파일을 검색하고, 검색한 이미지 확장자 파일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00Q may search for an attachment having an image extension in a message and display the retrieved image extension file on the screen.

한편, 사용자가 복수인 경우, 사적 채널로 복수개로 설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users, a plurality of private channels may be set.

예를 들면, 도 106의 경우와 같이, 제 1 사용자의 사적 채널은 CH0-1로 설정되고, 제 2 사용자의 사적 채널은 CH0-2, 제 3 사용자의 사적 채널은 CH0-3으로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106, the private channel of the first user may be set to CH0-1, the private channel of the second user to CH0-2, and the private channel of the third user to CH0-3. have.

또는, 복수의 사용자가 모두 동일한 채널을 사적 채널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Alternatively, a plurality of users may all use the same channel as a private channel.

예를 들면, 도 107의 경우와 같이, 제 1 사용자, 제 2 사용자 및 제 3 사용자는 모두 CH0을 사적 채널로 사용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107, the first user, the second user and the third user can all use CH0 as a private channel.

이러한 경우에는, 비록 다수의 사용자가 동일한 사적 채널을 사용하지만, 사적 채널에서는 로그온 사용자에 따라 서로 다른 사적 컨텐츠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case, although multiple users use the same private channel, it is possible to display different private content according to the logged on user in the private channel.

예를 들면, 도 108의 경우와 같이, 현 채널이 사적 채널인지의 여부를 판단(3000)하고, 판단결과 현 채널이 사적 채널인 경우 현 사적 채널의 로그온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판단(3010)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the case of FIG. 108,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 channel is a private channel (3000), and if the current channel is the private channel, the determination result determines whether the logon user of the current channel is the first user. 3010.

판단결과, 현 사적 채널의 로그온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인 경우, 사적 채널에서는 제 1 사용자에 따른 사적 컨텐츠를 표시(3020)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logon user of the current channel is the first user, the private channel may display private content according to the first user (3020).

반면에, 판단결과, 현 사적 채널의 로그온 사용자가 제 1 사용자가 아닌 경우, 현 사적 채널의 로그온 사용자가 제 2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판단(3030)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logon user of the current channel is not the first user,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logon user of the current channel is the second user (3030).

판단결과, 현 사적 채널의 로그온 사용자가 제 2 사용자인 경우, 사적 채널에서는 제 2 사용자에 따른 사적 컨텐츠를 표시(3040)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logon user of the current channel is the second user, the private channel may display private content according to the second user (3040).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re as follow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0)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음향 센싱부; 및
수신되는 방송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음향 센싱부를 통해 노이즈 음향(Noise sound)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 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가 출력하는 음성의 설정(Setting)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 수신기.
A display panel displaying an image;
A voice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voice;
Sound sensing unit; And
A driving unit supplying a driving signal to the display panel in response to the received broadcasting signal;
Including,
The driving unit
When the noise sound is received through the sound sensing unit,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characterized in that for changing the setting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or the sound output from the audio output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방송신호 중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신호처리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출력부는 상기 제어부가 신호 처리한 상기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제어부가 신호 처리한 상기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ing uni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process a video signal and an audio signal among the broadcast signals received by the receiver;
Including,
The audio output unit outputs the audio signal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And the display panel outputs the vide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음향은 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음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noise sound is a sound of a preset frequency ban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음향은 기 설정된 패턴(Pattern)을 갖는 음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noise signal is a broadcast signal recei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ound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Patter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음향은 제 1 타입 노이즈 음향(First Type Noise Sound)과, 상기 제 1 타입 노이즈 음향과 다른 제 2 타입 노이즈 음향(Second Type Noise Sound)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타입 노이즈 음향이 상기 음향 센싱부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의 상기 영상 또는 음성의 설정 변경 방법과 상기 제 2 타입 노이즈 음향이 상기 음향 센싱부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의 상기 영상 또는 음성의 설정 변경 방법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noise sound includes a first type noise sound and a second type noise sound different from the first type noise sound,
The method of changing the setting of the video or audio when the first type noise sound is received through the sound sensing unit and the method of changing the setting of the video or audio when the second type noise sound is received through the sound sensing unit Broadcast signal receiver, characterized in that differen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입 노이즈 음향은 물소리, 진공청소기(Vacuum Cleaner) 소리, 기 설정된 사용자의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type noise sound includes at least one of a water sound, a vacuum cleaner sound, and a preset user voic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타입 노이즈 음향은 전화벨(Phone Bell)소리, 초인종(Door Bell) 소리, 기 설정된 사용자의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econd type noise sound includes at least one of a phone bell sound, a door bell sound, and a preset user voic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1 타입 노이즈 음향이 상기 음향 센싱부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음성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riving unit
And the first type of noise sound is received through the sound sensing unit to increase the volume of the voi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1 타입 노이즈 음향의 크기에 따라 상기 음성의 크기를 차등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driving unit
And increasing the size of the voice differentiall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irst type noise soun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2 타입 노이즈 음향이 상기 음향 센싱부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음성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riving unit
And receiving the second type noise sound through the sound sensing unit to reduce the volume of the voic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타입 노이즈 음향이 상기 음향 센싱부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영상의 재생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nd reproducing the video when the second type noise sound is received through the sound sensing uni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타입 노이즈 음향이 상기 음향 센싱부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영상을 녹화(Record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nd recording the video when the second type noise sound is received through the sound sensing unit.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모션 센싱부; 및
수신되는 방송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모션 센싱부가 감지한 사용자의 안면(Face)이 향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 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가 출력하는 음성의 설정(Setting)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 수신기.
A display panel displaying an image;
A voice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voice;
A motion sensing unit; And
A driving unit supplying a driving signal to the display panel in response to the received broadcasting signal;
Including,
The driving unit
And a setting of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or a sound output by the audio output unit according to a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 sensed by the motion sensing unit.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방송신호 중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신호처리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출력부는 상기 제어부가 신호 처리한 상기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제어부가 신호 처리한 상기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13,
The driving uni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process a video signal and an audio signal among the broadcast signals received by the receiver;
Including,
The audio output unit outputs the audio signal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And the display panel outputs the vide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사용자의 안면이 향하는 방향이 기 설정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시청각을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음성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13,
The driving unit
And a volume of the voice when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 is outside the preset audio visual angle of the display panel.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사용자의 안면이 향하는 방향이 기 설정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시청각을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영상의 재생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13,
The driving unit
And reproducing the video when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 is outside the preset audio visual angle of the display panel.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사용자의 안면이 향하는 방향이 기 설정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시청각을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영상을 녹화(Record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13,
The driving unit
And recording the image when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user is outside the preset audio visual angle of the display panel.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사용자가 복수인 경우, 모든 사용자의 안면이 향하는 방향이 기 설정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시청각을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음성의 크기를 감소시키거나, 상기 영상의 재생을 정지시키거나, 상기 영상을 녹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13,
The driving unit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users, reducing the volume of the voice, stopping the playback of the video, or recording the video when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all users is outside the preset audio visual angle of the display panel. Broadcast signal receiver characterized in that.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사용자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상기 사용자 중 기 설정된 임계 비율 이상의 사용자의 안면이 향하는 방향이 기 설정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시청각을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음성의 크기를 감소시키거나, 상기 영상의 재생을 정지시키거나, 상기 영상을 녹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13,
The driving unit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users, the volume of the voice is reduced or the playback of the image is stopped whe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ace of the user is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ratio among the plurality of users is outside the preset audio visual angle of the display panel. Or recording the video.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사용자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상기 사용자 중 로그온(Log-on)된 사용자의 안면이 향하는 방향이 기 설정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시청각을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음성의 크기를 감소시키거나, 상기 영상의 재생을 정지시키거나, 상기 영상을 녹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 수신기.
The method of claim 13,
The driving unit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users, the volume of the voice is reduced when the direction of the face of the logged-on user of the plurality of users is outside the preset audio visual angle of the display panel or the reproduction of the image is performed. Broadcast signal receiver, characterized in that for stopping or recording the image.
KR1020110022156A 2011-03-13 2011-03-13 Broadcasting signal receiv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2010447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156A KR20120104470A (en) 2011-03-13 2011-03-13 Broadcasting signal receiv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156A KR20120104470A (en) 2011-03-13 2011-03-13 Broadcasting signal receiv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4470A true KR20120104470A (en) 2012-09-21

Family

ID=47111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2156A KR20120104470A (en) 2011-03-13 2011-03-13 Broadcasting signal receiv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447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809A (en) * 2017-10-13 2019-04-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809A (en) * 2017-10-13 2019-04-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9819B1 (en) Method for operating a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KR101852812B1 (en) Method for game application playing and image device thereof
KR102254894B1 (en) Display device for arranging categories using voice recognition searching results, and method thereof
CN104780404B (en) Sound auxiliar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CN105359542A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KR20110120132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2014082722A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nd program of electronic device
KR101000062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20104470A (en) Broadcasting signal receiv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798961B1 (en) Broadcasting Signal Receiv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811398B1 (en) Broadcasting Signal Receiv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798962B1 (en) Broadcasting Signal Receiv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20104479A (en) Broadcasting signal receiv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20104469A (en) Broadcasting signal receiv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221294B1 (en) Multimedia dei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163860B1 (en) Method for operat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KR102057862B1 (en) Multimedia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20110134090A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2013062652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1778279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20089972A (en) Method for processing multiple contents in network tv and the network tv
KR101711840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20080510A (en)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by display screen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KR20110134091A (en) Image display device operating method
KR102205160B1 (en) Method for operating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m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