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3868A - Medical device for operation - Google Patents

Medical device for oper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3868A
KR20120103868A KR1020110021780A KR20110021780A KR20120103868A KR 20120103868 A KR20120103868 A KR 20120103868A KR 1020110021780 A KR1020110021780 A KR 1020110021780A KR 20110021780 A KR20110021780 A KR 20110021780A KR 20120103868 A KR20120103868 A KR 20120103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hape
variable member
bent
lock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17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34520B1 (en
Inventor
이병주
권영식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21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4520B1/en
Priority to JP2013511097A priority patent/JP5825537B2/en
Priority to DE112011101691T priority patent/DE112011101691T5/en
Priority to PCT/KR2011/002066 priority patent/WO2011145803A2/en
Priority to US13/698,355 priority patent/US20130072913A1/en
Publication of KR20120103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38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5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2Devices for opening or enlarging the visual field, e.g. of a tube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5/04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in the body, e.g. expansi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 A61B2017/24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for bronchial pass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2017/345Cannulas for introduction into a natural body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13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attached by means specifically adapted to a part of the human body
    • A61M2025/02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attached by means specifically adapted to a part of the human body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mouth

Abstract

PURPOSE: A medical instrument is provided to prevent a hand of a user from shaking by using a treatment unit when the shape or bent stage of a frame is marinated near the affected part. CONSTITUTION: A frame(110) is inputted into a body. A medical unit(130) approaches the affected part. A driving unit drives one or more treatment units. The shape of the fram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inner shape of the body. A plurality of variable members overlap to change the shape of the frame.

Description

수술용 의료 기기{MEDICAL DEVICE FOR OPERATION}Surgical Medical Devices {MEDICAL DEVICE FOR OPERATION}

본 발명은 수술용 의료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환부에 대한 접근성이 향상될 수 있고, 환부에 접근하는 신체 내부의 형상에 따라 쉽게 변형되거나 휘어질 수 있으며 변형되거나 휘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의 부담을 줄이고 수술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수술용 의료 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gical medical device, more specifically, the access to the affected area can be improved, and can be easily deformed or ben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ody approaching the affected area can maintain the deformed or bent state Therefore, it relates to a surgical medical device that can reduce the burden on the patient and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surgery.

신체의 후두 부분 또는 대장 등에 상처 및 물혹 등이 발견되었을 때, 절제를 위한 수술용 의료 기기를 신체 내부로 인입하여 상처 및 물혹 등을 제거하는 수술을 실행한다. When a wound or water bump or the like is found in the larynx or the large intestine of the body, a surgical medical device for ablation is introduced into the body to perform a surgery to remove the wound and water bumps.

특히, 후두에 환부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현수 후두 수술을 통해 환부를 제거하는데, 이때 수술용 의료 기기인 현수 후두경이 환부에 접근할 수 있도록 환부까지의 경로가 일직선으로 확보되어야 한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lesions occurring in the larynx, the lesions are removed through suspension laryngeal surgery. At this time, the path to the lesion should be secured in a straight line so that the suspension laryngoscope, a surgical medical device, can access the lesions.

도 1은 종래에 따른 수술용 의료 기기가 신체의 후두 부위에 인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술 대상자인 환자의 머리를 뒤로 젖혀 일직선의 이동 경로를 확보한 후, 수술용 의료 기기(1)를 인입하여 후두(3) 상의 환부를 제거하게 된다.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rgical medical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inserted into the larynx portion of the body. As shown in FIG. 1, the head of the patient, who is the subject of surgery, is folded back to secure a straight path of movement, and then the surgical medical device 1 is inserted to remove the lesion on the larynx 3.

그런데, 이와 같이 환자의 머리를 뒤로 젖혀 수술하는 경우 목의 압박에 의해 부수적인 신체 손상이 발생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의 신체적인 특성에 따라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By the way, when the operation of the patient's head back to th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may not only be incidental physical damage due to the pressure of the neck, but also may be the case that the operation is impossible depending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

실제 전술한 수술이 요구되는 환자의 대략 10퍼센트(%)는 도 1과 같이 머리를 뒤로 젖히더라도 후두(3) 상의 환부가 노출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후두(3) 상의 환부를 제거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In fact, about 10 percent (%) of patients requiring surgery described above do not expose the lesions on the larynx (3) even when the head is tilted back as shown in FIG. have.

특히, 목이 짧거나 굵은 경우, 과체중인 경우, 하악 또는 혀 등이 작은 경우, 성별이 남성인 경우, 목디스크가 있는 경우, 치아가 흔들리거나 의치인 경우, 전술한 수술을 실행하기가 쉽지 않으며, 가령 수술을 실행하더라도 치아 손상, 후두 부종 등과 같은 다른 합병증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In particular, if the neck is short or thick, overweight, mandible or tongue is small, gender is male, neck disk is present, teeth shake or denture, it is not easy to perform the above-mentioned surgery, For example, surgery may cause other complications such as tooth damage, laryngeal edema, and the like.

또한, 종래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자가 육안으로 환부의 상태를 확인하며 환부에 대한 수술 작업을 실행하는데, 이때 시술자가 손을 떨거나 환부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 수술 작업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case, as shown in FIG. 1, the operator visually checks the state of the affected part and performs a surgical operation on the affected part, in which case the operator shakes his hand or does not know the exact location of the affected part. Work may not be accurate.

따라서, 환자가 목을 신체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도 환부 위치까지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수술하는 동안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여 수술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수술용 의료 기기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surgical medical devices that can easily access the affected position without burdening the body to the neck and maintain a constant state during surgery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surgery.

본 발명은 환부로의 접근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신체에 삽입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면서 치료 유닛을 이용하여 환부에 대한 수술 과정을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수술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수술용 의료 기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access to the affected area, and since the surgical procedure for the affected area can be performed using the treatment unit while maintaining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body to provide a surgical medical device that can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operation to provide.

본 발명은 신체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여 그 형태가 변하거나 휘어지는 프레임을 구비하여 환자는 수술을 위하여 특정 자세, 예를 들면 목을 뒤로 젖히는 등의 자세를 취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신체의 특정 부위에 압박이 가해지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부수적인 신체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술용 의료 기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frame that changes or bends in correspondence with the internal shape of the body so that the patient does not have to take a specific posture, for example, tilting the back of the neck for surgery, and therefore, Provided is a surgical medical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ncillary physical damage by preventing pressure from being applied.

본 발명은 환부로 접근하는 신체 내부의 형상에 따라 프레임의 형태를 변형시키거나 휘어지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수술용 의료 기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rgical medical device that can adjust the degree of deformation or deformation of the fram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inside of the body approaching the affected area.

본 발명은 환부를 수술하는 동안에는 프레임의 변형 상태 또는 휘어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수술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수술용 의료 기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rgical medical device that can increase the safety of the surgery by maintaining the deformed or curved state of the frame during surgery to the affected area.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의료 기기는, 선단 부분이 환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신체 내부로 인입되며, 내측에는 이동 경로가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상기 환부에 접근 가능하도록 이송되며, 상기 환부를 치료하는 적어도 하나의 치료 유닛;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료 유닛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신체 내부의 형상에 따라 형태가 변하거나 휘어질 수 있다.Surgical medic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rame that is introduced into the body so that the tip portion is located adjacent to the affected area, the inner side is formed with a moving path; At least one treatment unit conveyed to and accessible to the affected part along the path of travel; And a driving unit driving the at least one treatment unit, wherein the frame may be changed in shape or curv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inside of the body.

상기 프레임은, 상기 신체 내부로 상기 프레임이 인입되는 중에 상기 프레임의 외면과 접촉하는 상기 신체 내부의 형상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형태가 변하거나 휘어질 수 있게 서로 겹쳐지도록 제공된 복수개의 가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frame may include a plurality of deformable members provided to overlap each other so that the shape of the frame may be changed or bent by the shape of the inside of the body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while the frame is introduced into the body. Can be.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 양단 중 어느 일단은 이웃하는 상기 가변부재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다른 일단에는 이웃하는 상기 가변부재의 외측이 삽입될 수 있다.One end of both ends of the fram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inserted into the neighboring variable member, and the other end of the frame may be inserted into the outer side of the neighboring variable member.

상기 가변부재에는 상기 이동 경로를 향해 돌출된 돌기가 더 형성되며, 상기 돌기에는 작동 와이어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The variable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movement path, and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with a through hole into which the operation wire is inserted.

상기 돌기는 상기 이동 경로의 상부 및 하부를 향해 마주 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sion may be formed to face toward the top and bottom of the movement path.

상기 돌기는 상기 이동 경로의 중심을 지나는 선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sion may protrud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movement path.

상기 작동 와이어의 일단은 상기 돌기에 형성된 상기 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프레임의 선단 또는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 장착된 프레임캡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프레임의 타단 측에 제공되는 벤딩 조절부에 연결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working wire may be connected to a frame cap mounted to the front end of the frame or one end of the frame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protrusion,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a bending adjustment part provided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frame. .

상기 벤딩 조절부에는 상기 가변부재의 변형 상태 또는 굽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락킹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The bending adjusting part may be provided with locking means for maintaining the deformed state or the bent state of the variable member.

상기 락킹수단은 상기 벤딩 조절부에 의해서 상기 작동 와이어 중 어느 하나가 당겨지면서 상기 프레임이 휘어진 상태에서 상기 작동 와이어를 결속하여 상기 프레임이 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locking means may prevent the frame from being unfolded by binding the operation wire while the frame is bent while one of the operation wires is pulled by the bending adjusting unit.

상기 락킹수단은 상기 작동 와이어를 결속한 상태에서 상기 벤딩 조절부에 인접한 상기 가변부재와 접촉할 수 있다.The locking means may contact the variable member adjacent to the bending adjustment part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wire is bound.

상기 락킹수단은 상기 작동 와이어를 결속하는 클램프 또는 상기 작동 와이어에 형성된 홈에 걸리는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cking means may include a clamp for binding the actuation wire or a hook caught in a groove formed in the actuation wire.

상기 락킹수단은 상기 작동 와이어에 대한 결속 또는 해제가 가능하며, 상기 치료 유닛이 상기 환부를 치료하는 동안에는 상기 작동 와이어의 결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locking means is capable of binding or releasing the actuation wire, and may maintain the engagement state of the actuation wire while the treatment unit treats the affected area.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의료 기기는, 환부로의 접근성이 종래에 비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프레임의 형태 또는 굽힘 정도가 환부의 인접한 영역에서 유지된 상태에서 치료 유닛이 환부에 대한 치료를 실행함으로써 수술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urgical medica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eatment unit is affected while the accessibility to the affected part is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related art, and the shape or bending degree of the frame is maintained in the adjacent area of the affected part.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 surgery can be done by performing a treatment fo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의료 기기는, 프레임이 신체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여 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환자는 수술을 위하여 특정 자세, 예를 들면 목을 뒤로 젖히는 등의 자세를 취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신체의 특정 부위에 압박이 가해지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부수적인 신체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rgical medic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rame can be modified to correspond to the internal shape of the body, the patient needs to take a specific posture, for example, tilting back the neck for surger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ncillary body damage by preventing the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art of the bod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의료 기기는, 프레임의 형상이 변형된 상태 또는 휘어진 상태가 유지된 상태에서 치료 유닛을 이용하여 환부에 대한 수술 과정을 실행하기 때문에, 시술자의 손떨림 등에 의한 부수적인 요인에 의해 수술의 정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rgical medic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 operation process for the affected area using the treatment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shape of the frame is deformed or bent, it is caused by the shaking of the operato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ccuracy of the surgery from being deteriorated by ancillary factors.

도 1은 종래에 따른 수술용 의료 기기가 신체의 후두 부위에 인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의료 기기가 신체의 후두 부위에 인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수술용 의료 기기의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프레임의 가변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가변부재에 의해 휘어진 상태의 프레임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rgical medical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inserted into the larynx portion of the body.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rgical medical device is inserted into the laryngeal region of th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ame of the surgical medical device according to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variable member of the frame according to FIG. 3.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rame bent by the variable member according to FIG. 4.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The following description is one of several aspects of the patentable invention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ms part of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다만,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수술용 의료 기기가 후두에 발생된 환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할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수술용 의료 기기는 후두에 발생된 환부가 아닌 다른 신체 부위에 발생된 환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However, 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 surgical medic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remove a lesion generated in the larynx will be describ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urgical medic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 lesion generated in the larynx. Naturally, it can be used to remove affected lesions on other body part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의료 기기가 신체의 후두 부위에 인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따른 수술용 의료 기기의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프레임의 가변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따른 가변부재에 의해 휘어진 상태의 프레임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2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urgical medical device is inserted into a laryngeal region of a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rame of the surgical medical device according to FIG. 2,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variable member of the frame according to FIG. 3, and FIG.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frame bent by the variable member according to FIG. 4.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의료 기기(100)는, 입을 통해 후두(103)로 인입되어 선단 부분이 후두(103)에 발생된 환부에 인접하게 고정되며 내측에는 이동 경로(111)가 형성되는 프레임(110), 프레임(110)의 내측에 형성된 이동 경로(111)를 따라 이동되어 환부에 접근 가능하며 환부를 직접적으로 치료하는 복수의 치료 유닛(130), 프레임(110)에 형성된 이동 경로(111)를 따라 환부에 접근 가능하며 환부의 상태를 촬영하는 촬영부(미도시), 상기 촬영부의 촬영 정보를 토대로 치료 유닛(1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2 and 3, the surgical medical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roduced into the larynx 103 through the mouth so that the tip portion is adjacent to the affected part generated in the larynx 103 And a plurality of treatment units which move along the movement path 111 formed on the inside of the frame 110 and are accessible to the affected area, and directly treat the affected area. 130, a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which is accessible to the affected part along the moving path 111 formed in the frame 110 and photographs the condition of the affected part, and operates the treatment unit 130 based on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ed part.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각각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프레임(1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 및 후두(103)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굴곡진 굴곡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는 특정한 자세, 예를 들면 종래와 같이 목을 뒤로 젖히는 자세를 취할 필요가 없으며 이로 인해 수술 과정 시 환자는 편안한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도 프레임(110)이 환부까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Referring to each configuration, the frame 110 may include a curved bent portion 120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oral cavity and larynx 103, as shown in Figs. Accordingly, the patient does not need to take a specific posture, for example, a posture of tilting the neck as in the related art, and thus, the patient may easily approach the affected part of the frame 110 even while maintaining a comfortable posture during the surgical procedure. .

이러한 프레임(110)은 신체 내부에 인입된 후에는 그 상태를 유지하여 그 내부로 치료 유닛(130)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레임(110)의 선단 부분에는 치료 유닛(130)의 선단부를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고 지지하는 관통홀(116) 및 상기 촬영부를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고 지지하는 관통홀(117)이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관통홀(116,117)은 프레임(11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프레임(110)의 길이방향 끝단에 장착되는 프레임캡(129)에 형성될 수 있다.The frame 110 maintains its state after being introduced into the body to allow the treatment unit 130 to move therein. Referring to FIG. 3, a through-hole 116 for movably guiding and supporting the tip of the treatment unit 130 and a through-hole 117 for movably guiding and supporting the imaging unit are provided at the tip of the frame 110. It may be form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10). Here, the through holes 116 and 117 may be formed in the frame cap 129 integrally formed with the frame 110 or mounted at the longitudinal end of the frame 110.

여기서, 치료 유닛(130)은 프레임(110)의 후단부를 통해 프레임(110)의 내부로 인입된 뒤 선단부 또는 프레임캡(129)에 마련된 관통홀(116)을 따라 이동되어 후두(103) 상에 발생된 환부에 접근할 수 있다.Here, the treatment unit 130 is introduced into the frame 110 through the rear end of the frame 110 and then moved along the through hole 116 provided in the front end or the frame cap 129 and on the laryngeal 103. The affected lesion can be accessed.

한편, 치료 유닛(130)은, 환부를 직접적으로 수술하는 부분으로서, 도 2를 참조하면, 환부를 직접적으로 다루는 치료부(미도시), 상기 치료부가 선단에 결합되며 길게 마련됨으로써 프레임(110)의 관통홀(116)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 가이드부(미도시), 상기 치료부를 구동시키거나 상기 이동 가이드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reatment unit 130 is a portion for directly operating the affected area, referring to Figure 2, a treatment unit (not shown) that directly deals with the affected area, the treatment unit is coupled to the distal end and provided with a frame 110 A moving guide part (not shown) that is movable along the through hole 116 of FIG. 1 may include a driving part (not shown) that drives the treatment part or moves the moving guide part.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의료 기기(100)는 치료 유닛(130)의 움직임을 안내하고 치료 유닛(130)이 신체 내부의 조직과 직접 접촉하거나 치료 유닛(130)에 의해 신체 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프레임(110)을 구비하는데, 프레임(110)은 곧은 직선 형태로 형성된 고정 프레임(128) 및 고정 프레임(128)의 일단에 연결되며 모양의 변형이 가능하거나 휘어질 수 있는 굴곡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프레임(128)은 그 형태의 변형이 불가능하지만 굴곡부(120)는 신체 내부 또는 환부를 향하는 경로의 형태에 따라서 변형될 수 있다. 즉, 굴곡부(120)는 프레임(110)이 인입 내지 삽입되는 신체 내부와 굴곡부(120)의 접촉 또는 마찰시 발생하는 힘에 의해서 그 형상이 변하거나 휘어질 수 있으며, 집도의에 의해 신체 내부의 형상에 맞도록 굴곡부(120)의 형상을 변화시키거나 휘어짐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 3, the surgical medical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uides the movement of the treatment unit 130 and the treatment unit 130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tissue inside the body or the treatment unit A frame 110 is provided to prevent body tissues from being damaged by the 130. The frame 11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xed frame 128 and the fixed frame 128, which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shape, and is shaped. It may include a bent portion 120 that can be deformed or bent. In this case, the fixing frame 128 is not deformable, but the bent part 120 may be de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ath toward the inside of the body or the affected part. That is, the curved portion 120 may be changed or bent due to the force generated when the frame 110 is contacted or friction between the inside of the body into which the frame 110 is inserted or inserted, and the shape of the curved body 120 may be caused by the collection. To change the shape of the bend 120 or to adjust the degree of bending.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의 고정 프레임(128) 내부에는 치료 유닛(130)의 움직임을 위한 이동 경로(111)가 마련되며, 이동 경로(111)에는 치료 유닛(130)의 일단이 연결 고정되는 장착부재(136)가 제공될 수 있다. 장착부재(136)는 고정 프레임(128)의 내측면과 접촉하면서 슬라이딩 운동하며, 이러한 슬라이딩 운동을 통해서 치료 유닛(130)을 이송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movement path 111 for the movement of the treatment unit 130 is provided in the fixed frame 128 of the frame 110, and the movement path 111 of the treatment unit 130 is provided in the movement path 111. A mounting member 136 may be provided to which one end is connected and fixed. The mounting member 136 slides while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fixed frame 128, and may transfer the treatment unit 130 through the sliding movement.

도 3에 도시된 고정 프레임(128)은 상부가 개방된 상태이지만, 고정 프레임(128)의 상부는 별도의 덮개부재(미도시)에 의해 차폐됨으로써 그 내부를 보호할 수 있다. 한편, 굴곡부(120)는 휘어질 수 있도록 상부(120a) 및 하측부(120b)가 복수개의 가변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굴곡부(120)의 상부(120a) 및 하측부(120b)는 여러 개의 가변부재가 겹쳐서 형성되므로 외부에서 볼 때는 마치 주름이 있는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굴곡부(120)가 휘어질 수 있도록 상부(120a) 및 하측부(120b)는 각각 복수개의 가변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xing frame 128 shown in FIG. 3 is in an open state, but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frame 128 may be shielded by a separate cover member (not shown) to protect the inside thereof. On the other hand, the bent portion 120 is preferably the upper portion (120a) and the lower portion (120b) is made of a plurality of variable members to bend. That is, although not explicitly shown in Figure 3, the upper portion (120a) and the lower portion (120b) of the bent portion 120 is formed because a plurality of variable members are overlapping may have a shape as if wrinkles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120a and the lower portion 120b may be each formed of a plurality of variable members so that the curved portion 120 may be bent.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굴곡부(120)의 구조 및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bent portion 120 will be described.

도 4는 굴곡부(120) 중 상부(120a)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굴곡부(120)는 일부분이 서로 겹쳐지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가변부재(121)로 형성될 수 있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upper portion 120a of the bend 120. Referring to FIG. 4, the curved portion 120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variable members 121 formed so that portions thereof overlap each other.

즉, 프레임(110) 또는 굴곡부(120)는 상기 신체 내부로 프레임(110)이 인입되는 중에 프레임(110)의 외면과 접촉하는 상기 신체 내부의 형상에 의해 프레임(110) 또는 굴곡부(120)의 형태가 변하거나 휘어질 수 있게 서로 겹쳐지도록 제공된 복수개의 가변부재(121)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frame 110 or the bent part 120 may be formed by the shape of the body 110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110 while the frame 110 is drawn into the body.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variable members 121 provided to overlap each other so that the shape can be changed or bent.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부재(121)들은 동일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지며, 프레임(110)의 길이방향 또는 치료 유닛(130)의 이송방향을 따라 가변부재(121)의 양단 중 어느 일단은 이웃하는 가변부재(121)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가변부재(121)의 다른 일단에는 이웃하는 가변부재(121)의 외측이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웃하는 가변부재(121)끼리 일부분이 서로 삽입되어 겹쳐지는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서로 연결 또는 접촉된 상태에서 굴곡부(120)가 휘어지거나 변형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variable members 121 have the same shape and structure, and either end of the variable member 12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10 or in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treatment unit 130 may be formed. The neighboring variable member 121 may be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and the other end of the variable member 121 may have an outer side of the neighboring variable member 121 inserted therein. Since the adjacent variable members 121 have a form in which parts of the neighboring variable members 121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the bent part 120 may be bent or deformed while being connected or contacted with each other.

도 4를 참조하면, 가변부재(121)는 대략 경사진 형태를 가지는데 반드시 이러한 형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가변부재(121)끼리 서로 접촉되거나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휘어질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라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가변부재(121)와 접촉되는 부분 또는 접촉면에는 소정의 곡면을 형성함으로써 부드럽게 휘어지게 하거나 휘어진 상태에서도 가변부재끼리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4, the variable member 121 may have an approximately inclined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variable member 121 may be curved as long as the variable members 121 may be bent while maintaining contact or connection with each other. can do.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orm a predetermined curved surface at a portion or a contact surfac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adjacent variable member 121 so that the variable members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even when smoothly bent or curved.

이와 같이, 일정 부분이 서로 겹쳐지는 복수개의 가변부재(121)를 이용하여 프레임(110)의 굴곡부(120)를 형성한다면 프레임(110)을 신체 내부에 삽입하는 중에 신체 내부와 프레임(110) 외면의 접촉에 의해서 발생하는 힘에 의해 가변부재(121) 또는 굴곡부(120)가 휘어지거나 변형될 수 있다. 즉, 별도의 외력이 없는 경우에도 굴곡부(120)가 휘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환자는 수술을 위해 특정한 자세를 유지해야 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된다.As such, when the curved portion 120 of the frame 110 is formed using a plurality of variable members 121 overlapping a predetermined portion, the inside of the body and the outside of the frame 110 are inserted while the frame 110 is inserted into the body. The variable member 121 or the bent portion 120 may be bent or deformed by the force generated by the contact of the. That is, even when there is no separate external force, the bend 120 may be bent. This reduces the burden on the patient to maintain a particular posture for surgery.

한편, 가변부재(121)에는 이동 경로(111)를 향해 돌출된 돌기(12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가변부재(121)가 굴곡부(120)의 상부(120a)를 구성하는 경우라면, 돌기(122)는 이동 경로(111) 내지 하측부(120b)의 바닥면을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돌기(122)는 이동 경로(111)의 상부 및 하부를 향해 마주 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variable member 121 may further include a protrusion 122 protruding toward the movement path 111. For example, if the variable member 121 illustrated in FIG. 4 constitutes the upper portion 120a of the curved portion 120, the protrusion 122 may cover the bottom surface of the movement path 111 to the lower portion 120b. Can be projected towards. That is, the protrusion 122 may be formed to face towar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ovement path 111.

여기서, 각각의 돌기(122)에는 동일한 위치에 통공(123)이 형성될 수 있으며, 통공(123)에는 작동 와이어(126)가 삽입될 수 있다. 즉, 작동 와이어(126)가 통과할 수 있도록 각각의 돌기(122)에는 통공(123)이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Here, each protrusion 122 may have a through hole 123 formed at the same position, and an operation wire 126 may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23. That is, the through holes 123 may b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in each of the protrusions 122 so that the working wires 126 may pass therethrough.

또한, 돌기(122)는 이동 경로(111)의 중심을 지나는 선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고 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각각의 돌기(122)의 하측 끝단을 연결하는 선 즉, 이동 경로(111)의 중심을 지나는 선과 나란한 선과 돌기(122)는 대략 직교한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돌기(122)가 이동 경로(111)의 중심을 지나는 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작동 와이어(126)를 용이하게 통공(123)에 삽입할 수 있다. 만약, 돌기(122)가 이동 경로(111)의 중심을 지나는 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지 않는다면 모든 통공(123)이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고, 이로 인해 통공(123)에 작동 와이어(126)를 삽입하는데 많은 작업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이는 프레임(110)의 생산성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122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movement path 111. Referring to FIG. 4, the line connecting the lower end of each protrusion 122, that is, the line parallel to the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movement path 111 and the protrusion 122 may be approximately orthogonal. In this way, the protrusion 122 is forme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movement path 111, it is possible to easily insert the operation wire 126 into the through hole 123. If the protrusion 122 is not forme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movement path 111, all the through holes 123 may not be located on the same line, and thus, the operation wire 126 may be disposed in the through holes 123. ) Can take a lot of time. This may result in a decrease in productivity of the frame 110.

여기서, 작동 와이어(126)는 굴곡부(120)의 형상을 변형하거나 휘어지게 하는 외력이 작용하는 와이어이다. 굴곡부(120)가 휘어지거나 변형될 수 있도록 작동 와이어(126)의 일단은 돌기(122)에 형성된 통공(123)을 통과하여 프레임(110)의 일단에 장착된 프레임캡(129)에 연결되며, 타단은 프레임(110)의 타단 측에 제공되는 벤딩 조절부(160, 도 5 참조)에 연결될 수 있다.Here, the operation wire 126 is a wire to which an external force acts to deform or bend the shape of the bend 120. One end of the operation wire 126 is connected to the frame cap 129 mounted on one end of the frame 110 through the through hole 123 formed in the protrusion 122 so that the bend 120 may be bent or deforme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bending adjustment unit 160 (refer to FIG. 5) provided at the other end side of the frame 110.

이와 같이, 작동 와이어(126)의 일단을 고정된 프레임캡(129) 또는 프레임(110)의 선단부에 고정하고 타단은 움직임이 가능한 벤딩 조절부(160)에 연결함으로써 굴곡부(120)를 휘어지게 할 수 있다. 즉, 벤딩 조절부(160)를 당겨서 굴곡부(120)를 통과하는 작동 와이어(126)의 길이를 줄이면 그 만큼 가변부재(121)가 휘어지거나 변형될 수 있다.As such, one end of the operation wire 126 is fixed to the front end of the fixed frame cap 129 or the frame 11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movable bending control unit 160 to bend the flexure 120. Can be. That is, by reducing the length of the operation wire 126 passing through the bending portion 120 by pulling the bending adjustment unit 160, the variable member 121 can be bent or deformed by that amount.

도 5는 복수개의 가변부재(121)들로 이루어지는 굴곡부(120)가 휘어진 모습을 측면에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2개의 작동 와이어(126a,126b)의 일단이 벤딩 조절부(160)에 연결되어 있는데, 위쪽에 도시된 작동 와이어(126a) 보다 아래쪽에 도시된 와이어(126b)가 더 당겨진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즉, 벤딩 조절부(160)를 작동하여 2개의 작동 와이어 중 어느 하나의 작동 와이어를 더 당김으로써 굴곡부(120)가 휘어지게 할 수 있다.FIG.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curved portion 120 formed of a plurality of variable members 121 in a side view. Referring to FIG. 5, one end of two actuating wires 126a and 126b is connected to the bending adjustment unit 160, and the wire 126b shown below is pulled further than the actuation wire 126a shown above. It's a state. That is, the bending part 120 may be bent by operating the bending adjusting part 160 and further pulling one of the two operating wires.

한편, 벤딩 조절부(160) 측에는 가변부재(121)의 변형 상태 또는 굽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락킹수단(140)이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ending control unit 160 side may be formed with a locking means 140 for maintaining the deformed state or the bent state of the variable member 121.

이러한 락킹수단(140)은 벤딩 조절부(160)에 의해서 작동 와이어(126a,126b) 중 어느 하나가 당겨지면서 프레임(110) 또는 굴곡부(120)가 휘어진 상태에서 작동 와이어(126a,126b)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결속하여 프레임(110) 또는 굴곡부(120)가 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락킹수단(140)은 벤딩 조절부(160)에 의해 당겨진 작동 와이어(126a,126b)의 길이를 고정하거나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The locking means 140 moves the operation wires 126a and 126b while the frame 110 or the bend 120 is bent while one of the operation wires 126a and 126b is pulled by the bending adjusting unit 160. By binding so as not to be able to prevent the frame 110 or the bent portion 1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unfolded. That is, the locking means 140 may be referred to as a means for fixing or maintaining the lengths of the operation wires 126a and 126b drawn by the bending adjustment unit 160.

여기서, 락킹수단(140)은 작동 와이어(126)를 결속한 상태에서 벤딩 조절부(160)에 인접한 가변부재(127)와 접촉할 수 있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락킹수단(140)은 가장 좌측의 가변부재(127)와 접촉 지지되면서 작동 와이어(126)의 결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락킹수단(140)은 벤딩 조절부(160)에 인접한 가변부재(121)와 접촉된 상태에서 작동 와이어(126)를 결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locking means 140 may contact the variable member 127 adjacent to the bending adjustment unit 160 in a state where the operating wire 126 is bound. That is, referring to FIG. 5, the locking means 140 may maintain the binding state of the operation wire 126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leftmost variable member 127. The locking means 140 preferably binds the operation wire 126 in contact with the variable member 121 adjacent to the bending adjustment unit 160.

한편, 락킹수단(140)은 작동 와이어(126)를 결속하는 클램프(clamp, 미도시) 또는 작동 와이어(126)에 형성된 홈(미도시)에 걸리는 후크(hook,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락킹수단(140)에는 작동 와이어(126)의 길이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굴곡부(120)가 얼마나 휘어지는지에 대한 정보를 작동 와이어(126)의 길이로부터 얻을 수 있고, 이러한 길이 정보를 근거로 하여 벤딩 조절부(160) 및 락킹수단(140)을 자동화하여 제어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cking means 140 may include a clamp (not shown) that binds the actuation wire 126 or a hook (not shown) caught in a groove (not shown) formed in the actuation wire 126. . In addition, the locking means 140 may be formed with a sensor (not shown) for detecting the length of the operation wire 126. By providing a sensor, information on how much the bend 120 is bent can be obtained from the length of the working wire 126, and the bending control unit 160 and the locking means 140 are automatically controlled based on the length information. You may.

락킹수단(140)은 작동 와이어(126)를 결속할 뿐만 아니라 결속 상태를 해제할 수도 있다. 치료 유닛(130)이 환부를 치료하는 동안에는 락킹수단(140)은 작동 와이어(126)의 결속 상태를 유지하며, 치료 또는 수술이 완료되거나 치료 부위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 등에는 결속 상태를 해제하도록 락킹수단(140)을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cking means 140 may not only bind the operation wire 126 but also release the binding state. While the treatment unit 130 treats the affected area, the locking means 140 maintains the binding state of the operation wire 126, and locks to release the binding state when the treatment or surgery is completed or when the treatment site needs to be changed. It is preferred to operate the means 140.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신체 내부의 형상에 따라 형태가 변하거나 휘어질 수 있는 프레임(110)을 이용하여 치료 유닛(130)을 신체 내부에 인입함으로써, 환자는 수술을 위하여 특정 자세, 예를 들면 목을 뒤로 젖히는 등의 자세를 취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신체의 특정 부위에 압박이 가해지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부수적인 신체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introducing the treatment unit 130 into the body using the frame 110 which may change shape or ben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ody, the patient may perform a specific posture, for example, for surgery. It is not necessary to take a posture such as tilting back the neck, and thus preventing additional body damage from occurring by preventing pressure from being applied to a specific part of the body.

아울러, 환부에 대한 수술 과정을 실질적으로 실행하는 치료 유닛(130)이 환부의 위치에 따라 유연하게 동작될 수 있어, 환부에 대한 수술 과정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treatment unit 130 that substantially executes the surgical procedure for the affected part can be flexibly operat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affected part, thereby improving the ease of the surgical procedure for the affected par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수술용 의료 기기 110: 프레임
120: 굴곡부 121: 가변부재
126: 작동 와이어 130: 치료 유닛
140: 락킹수단 160: 벤딩 조절부
100: surgical medical device 110: frame
120: bend portion 121: variable member
126: operation wire 130: treatment unit
140: locking means 160: bending adjusting unit

Claims (12)

선단 부분이 환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신체 내부로 인입되며, 내측에는 이동 경로가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상기 환부에 접근 가능하도록 이송되며, 상기 환부를 치료하는 적어도 하나의 치료 유닛;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료 유닛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신체 내부의 형상에 따라 형태가 변하거나 휘어지는, 수술용 의료 기기.
A frame in which the tip portion is drawn into the body so as to be adjacent to the affected part, and a moving path is formed inside the body;
At least one treatment unit conveyed to and accessible to the affected part along the path of travel; And
And a driving unit driving the at least one treatment unit.
The frame is surgical device, the shape is changed or curv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inside of the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신체 내부로 상기 프레임이 인입되는 중에 상기 프레임의 외면과 접촉하는 상기 신체 내부의 형상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형태가 변하거나 휘어질 수 있게 서로 겹쳐지도록 제공된 복수개의 가변부재를 포함하는, 수술용 의료 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rame includes a plurality of deformable members provided to overlap each other so that the shape of the frame may be changed or bent by the shape of the inside of the body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while the frame is introduced into the body. , Surgical medical equipmen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 양단 중 어느 일단은 이웃하는 상기 가변부재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다른 일단에는 이웃하는 상기 가변부재의 외측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의료 기기.
The method of claim 2,
Surgical medic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of the longitudinal both ends of the frame is inserted into the neighboring variable member,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outer side of the neighboring variable memb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재에는 상기 이동 경로를 향해 돌출된 돌기가 더 형성되며, 상기 돌기에는 작동 와이어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의료 기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variable member further includes a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movement path, and the protrusion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for inserting an operation wir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이동 경로의 상부 및 하부를 향해 마주 보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의료 기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the protrusion is formed to face toward the top and the bottom of the movement path.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이동 경로의 중심을 지나는 선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의료 기기.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protrusion protrude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movement path.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와이어의 일단은 상기 돌기에 형성된 상기 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프레임의 선단 또는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 장착된 프레임캡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프레임의 타단 측에 제공되는 벤딩 조절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의료 기기.
The method of claim 5,
One end of the operation wire is connected to the frame cap mounted to the front end of the frame or one end of the frame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projection,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bending adjustment unit provided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frame Surgical medical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조절부에는 상기 가변부재의 변형 상태 또는 굽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락킹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의료 기기.
The method of claim 6,
Surgical medic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ding adjustment portion is formed with locking means for maintaining the deformed state or the bent state of the variable memb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수단은 상기 벤딩 조절부에 의해서 상기 작동 와이어 중 어느 하나가 당겨지면서 상기 프레임이 휘어진 상태에서 상기 작동 와이어를 결속하여 상기 프레임이 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의료 기기.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locking means prevents the frame from being unfolded by binding the operation wire while the frame is bent while one of the operation wires is pulled by the bending adjustment uni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수단은 상기 작동 와이어를 결속한 상태에서 상기 벤딩 조절부에 인접한 상기 가변부재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의료 기기.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locking means is in contact with the variable member adjacent to the bending adjustment part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wire is boun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수단은 상기 작동 와이어를 결속하는 클램프 또는 상기 작동 와이어에 형성된 홈에 걸리는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의료 기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locking means is a surgical medic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lamp that binds the actuation wire or a hook caught in the groove formed in the actuation wire.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수단은 상기 작동 와이어에 대한 결속 또는 해제가 가능하며, 상기 치료 유닛이 상기 환부를 치료하는 동안에는 상기 작동 와이어의 결속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의료 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1,
And the locking means is capable of engaging or releasing the actuating wire, wherein the locking unit maintains the actuating state of the actuating wire while the treatment unit treats the affected area.
KR1020110021780A 2010-05-17 2011-03-11 Medical device for operation KR1012345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780A KR101234520B1 (en) 2011-03-11 2011-03-11 Medical device for operation
JP2013511097A JP5825537B2 (en) 2010-05-17 2011-03-25 Surgical medical equipment
DE112011101691T DE112011101691T5 (en) 2010-05-17 2011-03-25 Surgical medical device
PCT/KR2011/002066 WO2011145803A2 (en) 2010-05-17 2011-03-25 Medical device for surgery
US13/698,355 US20130072913A1 (en) 2010-05-17 2011-03-25 Medical device for surg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780A KR101234520B1 (en) 2011-03-11 2011-03-11 Medical device for oper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868A true KR20120103868A (en) 2012-09-20
KR101234520B1 KR101234520B1 (en) 2013-02-19

Family

ID=47111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1780A KR101234520B1 (en) 2010-05-17 2011-03-11 Medical device for oper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452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2700A (en) * 2018-01-31 2019-08-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Laryngoscope with tension wire
KR20220141518A (en) * 2021-04-13 2022-10-2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Video laryngoscope with variable blade ang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24767B2 (en) * 1997-12-17 2010-03-03 Hoya株式会社 Laryngeal surgery device
JP2009195489A (en) * 2008-02-21 2009-09-03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Manipulator operatio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2700A (en) * 2018-01-31 2019-08-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Laryngoscope with tension wire
KR20220141518A (en) * 2021-04-13 2022-10-2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Video laryngoscope with variable blade ang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4520B1 (en) 2013-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82743B (en) Dental wire holder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appliance
JP2002537011A (en) Deformable fiberscope with movable aid
JP2012506749A (en) Laryngoscope
JP7330332B2 (en) Endoscope with multiple viewing directions
JP201450006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abilizing a needle
JP5933865B1 (en) Medical dilator
KR20200026187A (en) Protective envelope for robot modules to drive flexible elongated medical devices with guide tracks
JP2012504430A (en) Mouse gag introducing pharyngeal mask and other medical devices through the palate
KR101234520B1 (en) Medical device for operation
EP3148474A2 (en) Apparatus for achieving molar distalization
US20130045455A1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with flexible ligating slide
JP2019509090A (en) Endoscopic instrument
JP5825537B2 (en) Surgical medical equipment
EP3420924A1 (en) Needle holder for endoscope, suture set, and suture system
TWI407933B (en) Curved laryngoscope and operation instrument assembly applying the same
KR101196610B1 (en) Medical device for operation
JP6236410B2 (en) Lacrimal endoscope
US20150045620A1 (en) Curved manual surgical equipment
US11583368B2 (en) Orthodontic bracket
JP2004154177A (en) Endoscope
CN115942906A (en) Oral imaging sensor holding assembly and holder for oral imaging sensor
KR101184983B1 (en) Bendable medical device for operation
JP3931273B2 (en) Endoscope cover
KR101234523B1 (en) Medical device for operation
US20200237190A1 (en) Insertion assis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