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3238A - 써모코쿠스 속 균주를 이용한 수소 가스 생산 방법 - Google Patents

써모코쿠스 속 균주를 이용한 수소 가스 생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3238A
KR20120103238A KR1020110021390A KR20110021390A KR20120103238A KR 20120103238 A KR20120103238 A KR 20120103238A KR 1020110021390 A KR1020110021390 A KR 1020110021390A KR 20110021390 A KR20110021390 A KR 20110021390A KR 20120103238 A KR20120103238 A KR 20120103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coccus
strain
barophilus
hydrogen gas
hydro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1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균
이정현
이현숙
권개경
임형순
김윤재
배승섭
임재규
김민식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21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3238A/ko
Priority to PCT/KR2011/006897 priority patent/WO2012121462A1/ko
Publication of KR20120103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323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3/00Preparation of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except carbon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00Preparation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P3/00 - C12P39/00, by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C12P1/04Preparation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P3/00 - C12P39/00, by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by using bacteria

Abstract

본 발명은 써모코쿠스 속(thermococcus sp.) 균주를 이용한 수소(H2) 가스 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화학적 생산 방법과 달리 고온, 고압 조건을 필요로 하지 않고, 상온, 상압 조건에서 수소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유해한 부산물을 발생시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미생물을 이용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종래의 기술과 비교하더라도 고순도의 수소를 고효율로 생산할 수 있고, 고온 조건에서도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석유정제공정 등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일산화탄소를 별도의 냉각과정 없이 바로 포획하여 수소생성에 활용할 수 있는 경제적 이점이 있으며, 공기정화의 측면에서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써모코쿠스 속 균주를 이용한 수소 가스 생산 방법{Methods for Producing Hydrogen Gas Using Thermococcus sp.}
본 발명은 써모코쿠스 속 균주를 이용한 수소 가스 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소에너지는 중량당 발열량이 석유보다 3배 이상 높으면서도, 이산화탄소, NOx, SOx 등 환경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물질들을 배출하지 않아, 장차 화석에너지를 대체할 에너지로써 각광받고 있다.
종래부터 사용된 수소 생산 방법에는 물의 전기분해, 천연가스나 나프타의 열분해 (thermal-cracking) 또는 수증기 개질법 (steam reforming)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다시 화석연료를 사용하여 고온, 고압 조건을 만들어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일산화탄소를 포함한 혼합가스를 발생시키므로 그러한 가스로부터 일산화탄소를 제거하여야 하는 어려운 문제를 발생시킨다.
반면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수소 생산 방법은 별도의 에너지를 투입하여 고온, 고압 조건을 만들 필요가 없고, 생성된 가스에 일산화탄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생물학적 수소생산방법은 크게 광합성 미생물을 이용하는 것과 비-광합성 미생물(주로 혐기성 미생물)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눠볼 수 있다. 전자에 속하는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80624호 "높은 염분농도에서 수소생성능이 우수한 광합성 세균 로도박터 스페로이데스 균주를 이용한 수소생산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빛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광합성 세균들의 고농도 배양기술이 아직 충분히 개발되어 있지 않으며, 종래의 광합성 세균들은 높은 분압의 기질이 있을 경우 기질저해가 심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들은 빛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수소생성능이 지속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유기 탄소를 이용하여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미생물들을 이용하여 수소를 생산하려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15663호 "사이트로박터속 균주 Y19 및 이에 의한 수소 생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15662호 "로도슈도모나스 팔루스트리스 P4 및 이에 의한 수소 생산" 등이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고온의 환경에서 고호열성 균주인 써모코쿠스 속 균주를 이용하여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일산화탄소, 포르산 또는 이의 염, 또는 녹말을 배지에 첨가하여 써모코쿠스 속 균주를 배양하는 경우 수소가 발생하는 것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써모코쿠스 속 균주를 이용한 수소 가스 생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써모코쿠스 속 균주를 이용한 수소 가스 생산 방법을 제공한다:
(a) 혐기성 조건하에서 (ⅰ) 일산화탄소, (ⅱ) 포름산 또는 이의 염 또는 (ⅲ) 녹말이 첨가된 배양액에 써모코쿠스 속 균주를 배양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단계 (a)에 의하여 발생된 수소 가스를 수득하는 단계.
본 발명자들은 고온의 환경에서 고호열성 균주인 써모코쿠스 속 균주를 이용하여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으며, 그 결과, 일산화탄소, 포르산 또는 이의 염, 또는 녹말을 배지에 첨가하여 써모코쿠스 속 균주를 배양하는 경우 수소가 발생하는 것을 규명하였다.
본 발명에서 단계 (a)에서 이용되는 배지는 당업계에서 미생물 균주를 배양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배지라면 제한없이 이용이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YPS 배지를 이용된다.
본 발명은 써모코쿠스 속 균주를 이용하여 수소를 매우 효율적으로 수득할 수 있는 방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써모코쿠스 속 균주 배양액에 일산화탄소(CO), 포름산 또는 이의 염, 또는 녹말을 배지에 첨가하는 경우 생물전환공정을 통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써모코쿠스 속 균주는 써모코쿠스 감마톨레란스(Thermococcus gammatolerans), 써모코쿠스 바로필루스 Ch5(Thermococcus barophilus Ch5), 써모코쿠스 속 DS-1(Thermococcus sp. DS-1) 또는 써모코쿠스 DT-4(Thermococcus sp. DT-4) 균주 중 어느 하나의 균주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의 단계 (a)는 50-90 ℃의 배양 온도에서 실시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0-85℃의 배양 온도에서 실시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78-82℃의 배양 온도에서 실시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 본 발명은 써모코쿠스 속 균주를 이용한 수소 가스 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ⅱ) 본 발명은 종래의 화학적 생산 방법과 달리 고온, 고압 조건을 필요로 하지 않고, 상온, 상압 조건에서 수소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유해한 부산물을 발생시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ⅲ) 본 발명은 미생물을 이용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종래의 기술과 비교하더라도 고순도의 수소를 고효율로 생산할 수 있고, 고온 조건에서도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ⅳ) 또한, 본 발명은 석유정제공정 등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일산화탄소를 별도의 냉각과정 없이 바로 포획하여 수소생성에 활용할 수 있는 경제적 이점이 있으며, 공기정화의 측면에서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 %이다.
실시예 1: 써모코쿠스 속 균주 배양
일반적인 배양조건으로서, 80℃의 혐기성 환경에서 YPS(yeast extract-peptone-sulfur) 배지에 써모코쿠스 감마톨레란스(Thermococcus gammatolerans), 써모코쿠스 바로필루스 Ch5(Thermococcus barophilus Ch5), 써모코쿠스 속 DS-1(Thermococcus sp. DS-1), 써모코쿠스 DT-4(Thermococcus sp. DT-4), 써모코쿠스 바로필루스 MP (Thermococcus barophilus MP), 써모코쿠스 AM4 (Thermococcus sp. AM4) 균주들을 배양시켰다(Holden et al. 2001). 위 균주들은 독일 DSMZ (www.dsmz.de)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생리적 특성들에 대한 시험은 1.0 ㎖ 트레이스 엘리먼트 믹스쳐, 1 ㎖ 비타민 수용액 (Balch, W. E., G. E. Fox, L. J. Magrum, C. R. Woese, and R. S. Wolfe. 1979. Methanogens: reevaluation of a unique biological group. Microbiol. Rev. 43:260-296.), NaCl (30 g l-1) 및 효모추출물(yeast extract) (0.5 g l-1)을 추가한 변형배지 1(Sokolova, T. G., C. Jeanthon, N. A Kostrikina, N. A. Chernyh, A. V. Lebedinsky, E. Stackebrandt, and E. A. Bonch-Osmolovskaya. 2004. The first evidence of anaerobic CO oxidation coupled with H2 production by a hyperthermophilic archaeon isolated from a deep-sea hydrothermal vent. Extremophiles 8:317-323.)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pH는 NaOH를 사용하여 8.0에 맞췄다. 혐기적 조건에서 만든 배지를 25-㎖ 시럼 바틀(serum bottle)에 넣고, 나머지 가스층(15 ㎖)을 N2/CO2 (80:20, 1 bar) 또는 100% CO로 채웠다. 포름산염(formate)이나 녹말(starch)로 배양시키는 경우에는, 가압멸균(autoclaving)시키기 전에 각각 10- 1 의 포름산염나트륨(Sigma) 이나 5- 1 의 가용성 녹말(Sigma)을 배지에 첨가하였다. 생리적 시험을 위한 배양은 모두 80 ℃에서 2일간 수행하였다.
실시예 2: 써모코쿠스 속 균주 배양을 통한 결과물 분석
분석방법
수소가스는 HP-PLOT Molesieve column (Agilent) 및 TCD detector를 갖춘 gas chromatograph HP 5890 series Ⅱ(Hewlett Packar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아르곤을 가스 운반체로 사용하였다. 수소가스를 정량하기 위하여 질소에 각각의 성분(CO, CO2, H2, CH4 및 O2) 1%(w/w)이 포함된 Gas calibration standard (Supleco)를 사용하였다.
다양한 물질들을 이용한 수소 생성
써모코쿠스 감마톨레란스(Thermococcus gammatolerans), 써모코쿠스 바로필루스 Ch5(Thermococcus barophilus Ch5), 써모코쿠스 속 DS-1(Thermococcus sp. DS-1), 써모코쿠스 DT-4(Thermococcus sp. DT-4), 써모코쿠스 바로필루스 MP (Thermococcus barophilus MP), 써모코쿠스 AM4 (Thermococcus sp. AM4) 균주들이 수소를 효율적으로 생산하게 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에너지원을 이용하여 수소 생성율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써모코쿠스 감마톨레란스(Thermococcus gammatolerans), 써모코쿠스 바로필루스 Ch5(Thermococcus barophilus Ch5), 써모코쿠스 속 DS-1(Thermococcus sp. DS-1), 써모코쿠스 DT-4(Thermococcus sp. DT-4) , 써모코쿠스 바로필루스 MP (Thermococcus barophilus MP), 써모코쿠스 AM4 (Thermococcus sp. AM4) 균주들 모두 황이 없는 조건에서 녹말, CO, 혹은 포름산염(formate)이 포함된 배지에서 성장을 나타내거나 수소를 생산하였다(표 1 및 표 2).
다양한 조건하에서의 성장 여부 비교
균주 배지 조성에 따른 성장 여부
M + CO M + 포름산염 M + 녹말
써모코쿠스 감마톨레란스
(Thermococcus gammatolerans)
x O O
써모코쿠스 바로필루스 Ch5
(Thermococcus barophilus Ch5)
O O O
써모코쿠스 속 DS-1
(Thermococcus sp. DS-1)
O O O
써모코쿠스 DT-4
(Thermococcus sp. DT-4)
O O O
써모코쿠스 바로필루스 MP
(Thermococcus barophilus MP)
O x O
써모코쿠스 sp. AM4
(Thermococcus sp . AM4)
O x O
M, 변형 배지( modified medium ) Ⅰ
균주 수소 생성
( mmol /l)
M + CO M + 포름산염 M + 녹말
써모코쿠스 감마톨레란스
(Thermococcus gammatolerans)
0 48.8 13.8
써모코쿠스 바로필루스 Ch5
(Thermococcus barophilus Ch5)
27.5 45.3 12.6
써모코쿠스 속 DS-1
(Thermococcus sp. DS-1)
25.3 46.7 13.5
써모코쿠스 DT-4
(Thermococcus sp. DT-4)
26.8 45.5 13.2
써모코쿠스 바로필루스 MP
(Thermococcus barophilus MP)
26.8 0 15
써모코쿠스 sp. AM4
(Thermococcus sp . AM4)
25 0 12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다음 단계를 포함하고, 써모코쿠스 속(thermococcus sp.) 균주를 이용한 수소(H2) 가스 생산 방법:
    (a) 혐기성 조건하에서 (ⅰ) 일산화탄소, (ⅱ) 포름산 또는 이의 염 또는 (ⅲ) 녹말이 첨가된 배양액에 써모코쿠스 속 균주를 배양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단계 (a)에 의하여 발생된 수소 가스를 수득하는 단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써모코쿠스 속 균주는 써모코쿠스 감마톨레란스(Thermococcus gammatolerans), 써모코쿠스 바로필루스 Ch5(Thermococcus barophilus Ch5), 써모코쿠스 속 DS-1(Thermococcus sp. DS-1), 써모코쿠스 DT-4(Thermococcus sp. DT-4), 써모코쿠스 바로필루스 MP (Thermococcus barophilus MP), 써모코쿠스 AM4 (Thermococcus sp. AM4) 균주 중 어느 하나의 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가스 생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50-90 ℃의 배양 온도에서 배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가스 생산 방법.
KR1020110021390A 2011-03-10 2011-03-10 써모코쿠스 속 균주를 이용한 수소 가스 생산 방법 KR2012010323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390A KR20120103238A (ko) 2011-03-10 2011-03-10 써모코쿠스 속 균주를 이용한 수소 가스 생산 방법
PCT/KR2011/006897 WO2012121462A1 (ko) 2011-03-10 2011-09-16 써모코쿠스 속 균주를 이용한 수소 가스 생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390A KR20120103238A (ko) 2011-03-10 2011-03-10 써모코쿠스 속 균주를 이용한 수소 가스 생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238A true KR20120103238A (ko) 2012-09-19

Family

ID=46798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1390A KR20120103238A (ko) 2011-03-10 2011-03-10 써모코쿠스 속 균주를 이용한 수소 가스 생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20103238A (ko)
WO (1) WO201212146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93291B2 (en) 2013-03-28 2015-03-31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Thermococcus mutant having improved hydrogen production from formate and methods of hydrogen production by using thereof
US9598705B2 (en) 2013-11-13 2017-03-21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Thermococcus onnurineus MC02 and method of hydrogen production using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975B1 (ko) * 2008-09-05 2018-03-0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Thermoccus spp.을 이용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93291B2 (en) 2013-03-28 2015-03-31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Thermococcus mutant having improved hydrogen production from formate and methods of hydrogen production by using thereof
US9598705B2 (en) 2013-11-13 2017-03-21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Thermococcus onnurineus MC02 and method of hydrogen production us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21462A1 (ko) 201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nha et al. Biohydrogen production from various feedstocks by Bacillus firmus NMBL-03
Ren et al. Dark fermentation of xylose and glucose mix using isolated Thermoanaerobacterium thermosaccharolyticum W16
US7704723B2 (en)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ovel clostridial species
Keskin et al. Hydrogen production from sugar industry wastes using single-stage photofermentation
US5173429A (en) Clostridiumm ljungdahlii, an anaerobic ethanol and acetate producing microorganism
Assawamongkholsiri et al. Photo-fermentational hydrogen production of Rhodobacter sp. KKU-PS1 isolated from an UASB reactor
Dams et al. Production of medium-chain carboxylic acids by anaerobic fermentation of glycerol using a bioaugmented open culture
Do et al. Growth of Rhodospirillum rubrum on synthesis gas: conversion of CO to H2 and poly‐β‐hydroxyalkanoate
Sirohi et al. Rumen methanogens: a review
van Gelder et al. 1, 3‐Propanediol production from glycerol by a newly isolated Trichococcus strain
CN108603201A (zh) 整合发酵和电解工艺
Parshina et al. Soehngenia saccharolytica gen. nov., sp. nov. and Clostridium amygdalinum sp. nov., two novel anaerobic, benzaldehyde-converting bacteria
Sivagurunathan et al. Feasibility of enriched mixed cultures obtained by repeated batch transfer in continuous hydrogen fermentation
Dias et al. Characterization of Desulfomicrobium salsuginis sp. nov. and Desulfomicrobium aestuarii sp. nov., two new sulfate-reducing bacteria isolated from the Adour estuary (French Atlantic coast) with specific mercury methylation potentials
Kim et al. A biological process effective for the conversion of CO-containing industrial waste gas to acetate
Litti et al. Dark fermentative hydrogen production from simple sugars and various wastewaters by a newly isolated Thermoanaerobacterium thermosaccharolyticum SP-H2
Yilmazel et al. Hyperthermophilic hydrogen production from wastewater biosolids by Caldicellulosiruptor bescii
Kobayashi et al. Efficient hydrogen production from acetate through isolated Rhodobacter sphaeroides
Canganella et al. Clostridium thermobutyricum: growth studies and stimulation of butyrate formation by acetate supplementation
JP2012205530A (ja) エタノール製造装置およびエタノール製造方法
Guerrero et al. Continuous biohydrogen production by a degenerated strain of Clostridium acetobutylicum ATCC 824
Geinitz et al. Gas fermentation expands the scope of a process network for material conversion
WO2014133668A1 (en) A butyrate producing clostridium species, clostridium pharus
Morsy et al. Dark and photofermentation H2 production from hydrolyzed biomass of the potent extracellular polysaccharides producing cyanobacterium Nostoc commune and intracellular polysaccharide (glycogen) enriched Anabaena variabilis NIES-2095
KR101534483B1 (ko) 써모코커스 온누리누스 wtc155t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수소생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