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2445A - 공공 기기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공공 기기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2445A
KR20120102445A KR1020110020617A KR20110020617A KR20120102445A KR 20120102445 A KR20120102445 A KR 20120102445A KR 1020110020617 A KR1020110020617 A KR 1020110020617A KR 20110020617 A KR20110020617 A KR 20110020617A KR 20120102445 A KR20120102445 A KR 20120102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ublic device
public
controll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0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현
이재철
모상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0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2445A/ko
Priority to US13/278,476 priority patent/US8972280B2/en
Publication of KR20120102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24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4Enhancement of application control based on intercepted application dat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6Grouping or aggregating service requests, e.g. for unified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1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40Remote control systems using repeaters, converters, gateway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1Remote control based on location and proxim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임의의 다수의 사용자로부터 자신이 선호하는 형태의 공공 서비스가 공공 기기에서 제공되도록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복수의 정보를 데이터 스트림 형태의 정보로 생성하여 공공 기기를 제어하는데 이용함으로써 공공 기기의 제어에 다수의 사용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제어한다.

Description

공공 기기 제어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ublic device}
임의의 다수 사용자들에 의해 공유되는 공공 서비스를 사용자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제공하도록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공공 기기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많은 사람이 모여 있는 곳에는 대중의 필요에 따라 혹은 대중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공공 기기들이 존재한다. 여기서 공공 기기란 같은 시간 혹은 같은 장소에 있는 임의의 다수 사용자들에 의해 공유되는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기를 말한다. 공공 기기의 예를 들면, 다수의 사람들이 있는 곳에 쾌적한 환경이 조성되도록 차가운 바람이나 따뜻한 열기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하는 온도 조절 장치, 다수의 사람들이 소식이나 음악을 들을 수 있도록 음원 제공 서비스를 하는 음원 재생 장치, 다수의 사람들에게 광고 등을 노출할 수 있도록 영상 제공 서비스를 하는 영상 재생 장치 등이 있다.
한편, 현재 다양한 사용자 단말들이 개발되고 대다수의 사람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을 소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정보 검색 및 정보 송수신 기능, 멀티 미디어 콘텐츠 재생기능, 사진 촬영 및 편집 기능 등 다양한 기능들이 내장되어 있다. 향후 계속하여 사용자 단말의 다양한 종류와 다양한 부가 서비스들이 개발될 것이며, 사람들은 이러한 사용자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소지하여 이를 반드시 이용하는 생활을 하게 될 것이다.
다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들 별로 선호되는 공공 서비스의 형태를 제공하도록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데이터 스트림 형태의 정보로 생성하여 공공 기기를 제어하는데 이용하는 공공 기기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임의의 다수 사용자들에 의해 공유되는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공 기기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임의의 단말들로부터 상기 단말들의 사용자들 별로 선호되는 공공 서비스의 형태들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 수신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정보를 통합하여 하나의 데이터 스트림 형태로 생성하는 데이터 스트림 생성부, 및 상기 데이터 스트림 생성부에서 생성된 데이터 스트림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공 기기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임의의 다수 사용자들에 의해 공유되는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공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 개의 임의의 단말들로부터 상기 단말들의 사용자들 별로 선호되는 공공 서비스의 형태들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부에 수신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정보를 통합하여 하나의 데이터 스트림 형태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스트림 생성부에서 생성된 데이터 스트림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공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 상기 공공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다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들 별로 선호하는 공공 서비스의 형태를 제공하도록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데이터 스트림 형태의 정보로 생성하여 공공 기기를 제어하는데 이용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의 요구가 반영 되도록 하여 다수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고 공공 기기도 그 효용을 최대한 높일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및 공공 기기와 공공 기기를 제어하는 장치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공 기기의 제어 상황의 예로서, 휴대 단말로서 대형 광고 스크린의 동작 제어에 사용자들이 자신의 요구를 반영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공 기기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공 기기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414 단계에 해당하는 추출 모드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430 단계에 해당하는 분류 모드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432 단계에 해당하는 데이터 스트림 생성 모드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434 단계에 해당하는 결정 모드의 상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하고 오로지 예시를 위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실시예들은 공공 기기 제어 장치 및 공공 기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여기서 공공 기기란 같은 시간 혹은 같은 장소에 있는 임의의 다수 사용자들에 의해 공유되는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기를 말한다. 공공 기기의 예를 들면, 다수의 사람들이 있는 곳에 쾌적한 환경이 조성되도록 차가운 바람이나 따뜻한 열기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하는 온도 조절 장치, 다수의 사람들이 소식이나 음악을 들을 수 있도록 음원 제공 서비스를 하는 음원 재생 장치, 다수의 사람들에게 광고 등을 노출할 수 있도록 영상 제공 서비스를 하는 영상 재생 장치 등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및 공공 기기와 공공 기기를 제어하는 장치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 공공 기기 제어 장치(120), 공공 기기(130)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공공 기기 제어 장치(120)는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110)과 복수 개의 공공 기기(130)와 연결될 수 있다. 특히, 공공 기기 제어 장치(120)와 공공 기기(130)는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어 다양한 통신망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하나의 통합된 형태의 기기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공 기기의 제어 상황의 예로서, 사용자 단말로써 대형 스크린을 구비하는 영상 재생 기기의 동작 제어에 사용자들이 자신의 요구를 반영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대형 스크린을 볼 수 있는 사용자들이 다른 내용의 영상을 보고 싶으면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공공 기기 제어 장치에 자신이 선호하는 영상이 스크린에서 보이도록 요청을 하고 공공 기기 제어 장치는 이와 같은 요청을 처리하여 대형 스크린을 구비하는 영상 기기로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사용자들은 사용자 단말들과 공공 기기 제어 장치간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를 통해 특정 공공 기기에 대한 타인의 의견을 알 수 있고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여 상호 의견을 교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대형 스크린에 보여지는 영상에 대해 다른 영상을 보고 싶은데 타인들은 어떻게 생각하는지 의견을 교환해 볼 수 있고 영상의 밝기, 소리 등을 바꾸고 싶을 때에도 의견을 미리 교환해 보고 공공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공 기기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공 기기 제어는 사용자 단말(310), 공공 기기 제어 장치(330), 및 공공 기기(350)에 의해 이루어 진다. 사용자 단말(310)은 입력부(312), 프로세서(314), 출력부(316), 통신부(318), 및 인식모듈(320)로 구성되어 있다. 공공 기기 제어 장치(330)는 통신부(332), 데이터 베이스(338), 및 프로세서(346)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시 프로세서(346)는 그 기능에 따라 데이터 스트림 생성부(334), 분류부(336), 추출부(340), 결정부(342), 및 삽입부(344)로 나눌 수 있다. 공공 기기(350)는 통신부(352), 기기 제어부(354), 및 기기 하드웨어(H/W)(356)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310)에서 입력부(312)는 사용자가 공공 기기(350)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하거나 출력부(316)를 통해 확인한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옵션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동작 메뉴 정보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호되는 공공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선택하는데 이용된다. 즉 사용자 단말(310) 사용에 있어서 사용자의 의사를 반영시키기 위한 것이다. 입력부(312)의 형태는 사용자 단말에 이용될 수 있는 모든 형태, 예를 들면 정전식 또는 압전식의 터치형이나 버튼형 등이 될 수 있다. 프로세서(314)는 사용자 단말(310)에서 발생하는 모든 이벤트를 처리하는 모듈로서 입력부(312)나 통신부(318)를 통해 정보를 받아들여 처리하고 출력부(316)나 통신부(318)로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출력부(316)는 사용자가 정보를 인식할 수 있게 하는 모든 형태, 예를 들면 액정(liquid crystal)화면이나 LED(light emitting diode) 화면 등이 될 수 있다. 통신부(318)는 공공 기기 제어 장치(330)와 정보를 주고 받는 곳으로서 입력부(312)에 의해 생성된 정보를 공공 기기 제어 장치(330)로 전달하여 주거나, 반대로 공공 기기 제어 장치(330)에서 전송하는 정보를 수신하여 프로세서(314)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 단말(310)에는 공공 기기(350)의 식별을 위한 정보를 인식하여 획득할 수 있는 인식모듈(320)이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공공 기기(350)의 식별을 위한 정보란 공공 기기(350) 각각을 구별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고유 정보를 말하며 예를 들면, Quick Response Code나 Bar Cod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Serial Number 등이 될 수 있고 공공 기기의 이미지와 GPS 등을 이용하여 공공 기기를 인식하는 증강현실 방식도 될 수 있다. 인식모듈(320)은 공공 기기(350)를 구별해 낼 수 있는 공공 기기(350)의 식별을 위한 정보를 인식하여 정보를 획득하는 역할을 한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10)의 입력부(312)를 통해 공공 기기(350)의 식별을 위한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도 있지만 카메라 모듈이나 기타 다른 기능의 인식모듈(320)을 이용하여 공공 기기(350)의 식별을 위한 정보를 스캔함으로써 공공 기기(350)의 고유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공공 기기(350)의 인식률 향상을 위해 두 가지 종류 이상의 공공 기기의 식별을 위한 정보를 입력하여 이들을 함께 사용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전술한 공공 기기(350)의 식별을 위한 정보 외에, 공공 기기의 제어에 사용되는 정보의 종류를 더 살펴보면,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옵션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동작 메뉴 정보,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형태의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의 집합형태인 데이터 스트림, 최종 제어 정보, 공공 기기의 주소 정보, 공공 기기의 동작 제어 후 결과를 반영하는 정보, 공공 기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 등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공 기기가 대형 냉방기라고 할 때,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옵션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동작 메뉴 정보는 온도를 증감시키기 위한 옵션들이 될 수도 있고 냉방기의 풍량을 증감시키기 위한 옵션들 등이 될 수 있다.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는 사용자들이 옵션들 중에서 실제로 선택한 옵션 정보를 말하며 예로는 대형 냉방기가 온도를 3℃ 상승시키도록 하는 옵션 정보가 될 수 있다. 데이터 스트림 형태의 정보는 사용자들이 선택한 모든 옵션 정보를 통합한 형태의 옵션 정보를 말하며 사용자 1이 3℃ 상승 시키는 옵션을 선택하고 사용자 2가 1℃ 상승시키는 옵션을 선택하고 사용자 3이 -2℃ 하강 시키는 옵션을 선택하고 사용자 4가 1℃ 상승 시키는 옵션을 선택하였다고 할 때, 3℃ 상승, 1℃ 상승, -2℃ 하강, 1℃ 상승 등의 모든 선택 옵션 정보를 가지는 통합 형태의 정보를 말한다. 최종 제어 정보란 데이터 스트림 형태의 통합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실제 적용되는 정보를 말하며 앞의 예에서 빈도수가 가장 높은 1℃ 상승 옵션이 최종 제어 정보가 될 수 있다. 공공 기기의 동작 제어 후 결과를 반영하는 정보는 앞의 예에서 최종 제어 정보인 대형 냉방기의 동작을 1℃ 상승 시킨다는 정보에 따라 대형 냉방기가 동작을 한 경우 이에 따라 대형 냉방기가 작동하였는지 또는 감지되는 온도가 1℃ 상승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말한다. 공공 기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는 공공 기기로부터 제공 받는 공공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들의 의견을 담고 있는 정보로서, 앞의 예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냉방기에 설정되어 있는 목표 온도에 대해 온도가 높다든가 반대로 낮다고 하는 내용의 정보가 될 수도 있고, 냉방기의 풍량이 너무 강하다든가 반대로 약하다고 하는 사용자의 의견을 담고 있는 정보를 말한다. 이와 관련하여 전술한 정보들이 어떻게 전달되고 사용되는지는 이하에서 상술한다.
공공 기기 제어 장치(330)에서 통신부(332)는 사용자 단말(310)과 정보를 주고 받는 역할과 공공 기기(350)와 정보를 주고 받는 역할을 한다. 즉, 통신부는 전송부와 수신부를 구비한다. 사용자 단말(310)로부터 공공 기기(350)의 식별을 위한 정보가 전송되면 통신부(332)는 이를 수신하여 추출부(340)로 전달하고, 반대로 공공 기기 제어 장치(330)에서 특정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옵션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동작 메뉴 정보를 사용자 단말(310)로 전송을 할 때 통신부(332)가 사용자 단말(310)의 통신부(318)와 연결되어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공공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들의 의견을 담고 있는 공공 기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기도 하고 반대로 공공 기기 제어 장치 내에 저장되어 있는 타인의 공공 기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기도 한다. 그리고 공공 기기 제어 장치(330)의 통신부(332)는 공공 기기의 통신부(352)와도 상호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310)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공공 기기 제어 장치(330)에서 처리하여 공공 기기(350)로 전달하고, 반대로 공공 기기(350)로부터 공공 기기의 동작 제어 후 결과를 반영하는 정보를 수신받을 때도 공공 기기(350)의 통신부(352)와 연결되어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데이터 스트림 생성부(334)는 복수의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특정 공공 기기(350)에 대한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정보들을 하나의 데이터 스트림 형태의 정보로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데이터 스트림의 정보 크기가 일정 수준이 되거나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하나의 데이터 스트림 생성을 마친다. 이와 같은 데이터 스트림은 데이터 베이스(338)에 저장되거나 결정부(342)나 통신부(332)로 전달된다.
분류부(336)는 복수의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정보들을 각각의 해당 공공 기기별로 대응시키는 작업을 한다. 즉 공공 기기의 식별을 위한 정보와 같은 공공 기기의 고유한 속성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310)로부터 수신된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정보들을 나누는 것이다. 공공 기기 제어 장치(330)가 단 하나의 공공 기기(350)를 제어하는데 이용된다면 데이터 분류작업이 필요 없겠지만 하나의 공공 기기 제어 장치(330)로 여러 개의 공공 기기를 제어하려면 이와 같은 작업이 필요하다.
공공 기기 제어 장치(330)가 공공 기기(350)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공공 기기 제어 장치(3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공공 기기인가를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공공 기기 제어 장치(330)는 공공 기기의 제어 가능한 동작들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알아야 한다. 또한, 공공 기기 제어 장치(330)는 공공 기기로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 공공 기기의 주소, 예를 들어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알아야 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 베이스(338)에는 공공 기기(350)와 관련된 모든 정보, 예를 들어 공공 기기(350)의 식별을 위한 정보, 공공 기기(3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옵션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메뉴 정보, 공공 기기(350)의 주소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다.
공공 기기(350)의 제조사는 공공 기기 제어 장치(330)의 제조사 등과 미리 약속된 데이터 형태로 공공 기기(350)의 식별을 위한 정보, 공공 기기(350)의 주소 정보, 공공 기기(3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옵션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메뉴 정보를 생성한다. 공공 기기(350)의 제조사가 공공 기기(350)의 식별을 위한 정보, 공공 기기(350)의 주소 정보, 공공 기기(3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옵션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메뉴 정보 등을 공공 기기 제어 장치(330)에 등록하면, 데이터베이스(338)에는 이와 같은 정보가 저장되게 된다. 한편, 데이터 베이스(338)에는 공공 기기(350)와 관련된 정보 외에 다른 정보들이 저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공공 기기 제어 장치(330) 내부에 있는 프로세서들에 의해 생성되거나 이용되는 정보들의 저장공간이 될 수도 있고, 공공 기기로부터 제공받는 공공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들의 의견을 담고 있는 공공 기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추출부(340)는 사용자 단말(310)로부터 받은 공공 기기의 식별을 위한 정보를 가지고 해당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공공 기기의 제어에 관한 정보, 예를 들면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옵션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동작 메뉴 정보가 존재하는지 살펴 존재하면 데이터 베이스(338)에서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옵션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동작 메뉴 정보를 가져오는 역할을 한다. 만약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옵션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동작 메뉴 정보가 없거나 식별 정보가 잘못된 형식이면 사용자가 이러한 상황을 알 수 있게 하는 에러 메시지 정보를 가져온다. 또는 데이터 베이스(338)에서 공공 기기로부터 제공받는 공공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들의 의견을 담고 있는 공공 기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가져올 수도 있다. 그 외에도 데이터 베이스(338)에 저장되어 있는 공공 기기의 제어에 관한 정보들을 가져올 수 있다.
결정부(342)는 데이터 스트림 생성부(334)에서 생성한 데이터 스트림 형태의 정보에서 우선 순위와 빈도수 등을 고려하여 실제로 공공 기기(350)의 제어에 이용되는 최종 제어 정보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최종 제어 정보가 결정되는 일실시예를 보면, 데이터 스트림 생성부(334)로부터 결정부(342)로 데이터 스트림 형태의 정보가 전달되고 결정부(342)는 일정 주기 동안 이와 같은 정보를 모으고, 정보를 분석하여 우선 순위가 있는 정보가 있으면 그에 의하고 없으면 정보를 종합하여 가장 많은 사용자들이 선택한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선택하여 최종 제어 정보로서 결정한다. 결정부(342)의 경우 공공 기기 제어 장치(330) 내에 위치할 수도 있고 공공 기기(350) 내에 위치할 수도 있는 프로세스이다. 즉 결정부(342)와 같은 프로세스가 공공 기기(350)내에 위치한다면 공공 기기 제어 장치(330)는 데이터 스트림 형태의 정보를 공공 기기로 전송하면 되는 것이고, 반대로 공공 기기(350)내에 결정부(342)와 같은 프로세스가 존재하지 않으면 공공 기기 제어 장치(330)는 결정부(342)와 같은 프로세스를 구비하여 결정부(342)에 의하여 결정된 최종 제어 정보를 공공 기기(350)로 전송해야 하는 것이다.
삽입부(344)는 공공 기기(350)의 동작 제어가 이루어진 뒤 그에 대응하는 결과 정보가 공공 기기(350)로부터 전송되어 왔을 때 이를 데이터 베이스(338)에 입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310)로부터 공공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들의 의견을 담고 있는 공공 기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가 전송되면 이를 데이터 베이스(338)에 입력하는 역할을 한다.
공공 기기(350)에서 통신부(352)는 공공 기기 제어 장치(330)와의 통신을 담당하며 데이터 스트림 형태의 정보 또는 최종 제어 정보를 수신하거나 공공 기기(350)의 제어가 이루어진 뒤 그에 대응하는 결과 정보를 공공 기기 제어 장치(33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기기 제어부(354)는 최종 제어 정보에 따라 기기H/W(356)를 제어한다. 기기 H/W(356)는 공공 기기(350)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공공 기기(350)가 광고를 위한 영상 재생 장치라면 디스플레이부가 될 수도 있고, 공공 기기(350)가 온풍기 또는 냉방기와 같은 온도 조절 장치라면 발열기 또는 냉각기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공 기기의 제어 방법의 전반적인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사용자 단말(402)과 공공 기기 제어 장치(404), 그리고 공공 기기(406)간의 정보 처리의 흐름에 따라 공공 기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3에 도시된 공공 기기 제어 장치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공공 기기의 제어 방법에도 적용된다.
408 단계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10)에 공공 기기의 식별을 위한 정보를 직접 입력하거나 사용자 단말(310)의 인식 모듈(320)을 이용하여 공공 기기의 식별을 위한 정보를 획득하여 입력한다. 이 때 공공 기기(350)의 식별을 위한 서로 다른 형태의 식별 정보를 함께 입력하여 공공 기기의 인식을 더 정확하게 할 수도 있다.
41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310)은 공공 기기의 식별을 위한 정보 송신을 시도한다. 이 때 공공 기기의 식별을 위한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단말(310)의 입력부(312)로부터 직접 입력된 정보일 수도 있고, 인식모듈(320)에 의해 획득한 정보일 수 있다.
412 단계에서 공공 기기 제어 장치(330)는 사용자 단말(310)로부터 공공 기기의 식별을 위한 정보 송신이 있는지 살피다가 사용자 단말(310)로부터 이와 같은 정보 송신이 있으면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414 단계에서 추출부는 수신된 공공 기기의 식별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공공 기기의 제어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옵션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동작 메뉴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서 가져오는데 이를 다시 도 5에 상세한 흐름도로 도시하였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414 단계에 해당하는 추출 모드의 상세 흐름도이다. 502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310)로부터 수신된 공공 기기의 식별을 위한 정보와 데이터 베이스(338)에 저장되어 있는 공공 기기의 식별을 위한 정보들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식별 정보가 존재하면 504 단계에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옵션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동작 메뉴 정보가 데이터 베이스(338)에 존재하는지 살핀다. 만약 존재하면 506 단계에서 데이터 베이스(338)로부터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옵션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동작 메뉴 정보를 가져와서 통신부(332)로 전달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508 단계에서 관련 정보가 없다는 내용의 에러 메시지 정보를 가져와 통신부(332)로 전달한다. 502 단계에서 일치하는 식별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510 단계에서 공공 기기의 식별을 위한 정보 값이 잘못되었다는 내용의 에러 메시지 정보를 가져와 통신부(332)로 전달한다.
416 단계에서 통신부(332)는 추출부(340)가 획득한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옵션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동작 메뉴 정보를 410단계에서 공공 기기의 식별을 위한 정보를 송신한 사용자 단말(310)로 전송한다.
418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310)은 공공 기기 제어 장치(330)로부터 사용자 단말(310)에서 전송한 공공 기기의 식별을 위한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공공 기기의 동작 메뉴 정보를 수신한다.
420 단계에서 사용자가 공공 기기 제어 장치(330)로부터 받은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옵션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동작 메뉴 정보를 볼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310)의 화면에 표시된다.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옵션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동작 메뉴 정보는 공공 기기 마다 다를 수 있으며 사용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옵션들의 집합 형태이다. 422 단계에서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옵션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동작 메뉴 정보가 화면에 표시되면 424 단계에서 사용자는 옵션들 중에서 자신이 선호하는 형태의 공공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종래에 공공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으로는 공공 기기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공공 기기가 제어되는 방식, 중앙 통제실에서 공공 기기를 직접제어 하는 방식 등이 있었다.
공공 기기가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되는 방식은 상황변화에 따른 대응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프로그램에 따른 제어방식은 일반적인 상황을 가정하여 행하는 것이므로 프로그램에 없는 우연히 발생한 변칙적인 사건에 따른 상황변화에 대해서는 공공 기기가 이에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중앙 통제를 이용한 공공 기기의 제어 방식은 사용자의 요구를 무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사용자들의 요구가 반영되지 않고 중앙 통제에 따라 공공 기기가 제어되어 사용자들의 불만을 만들게 하고 공공 기기의 효용성을 낮추게 한다.
따라서 많은 사람의 요구를 반영하고 이를 최대한 충족시킬 수 있는 공공 기기 제어 방안이 요구되며 본원 발명의 경우 다수의 사용자들이 자신들이 선호하는 형태의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정보 옵션을 선택함으로서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426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공공 기기 제어 장치(330)로 전송하게 된다. 만약 422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310) 화면에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옵션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동작 메뉴 정보가 나타나지 않고 에러 메시지가 나타나면 공공 기기 제어에 실패하게 된다.
428 단계에서 공공 기기 제어 장치(330)는 426 단계에서 전송되는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의 전송이 있는지 살피다가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 전송이 감지되면 이와 같은 정보를 수신한다.
430 단계에서 수신된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는 분류부(336)에서 공공 기기별로 분류되는 절차를 거치게 되는데 이를 다시 도 6에 상세한 흐름도로 도시하였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430 단계에 해당하는 분류 모드의 상세한 흐름도이다. 602 단계에서 분류부(336)는 사용자 단말(310)로부터 수신받은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에서 공공 기기의 식별을 위한 정보를 확인한다. 즉 사용자 단말(310)로부터 수신된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가 어느 공공 기기(350)의 제어에 관한 것인지를 알기 위해 수신된 정보에서 공공 기기의 식별을 위한 정보를 찾아내어 확인한다. 604 단계에서 공공 기기의 식별을 위한 정보에 따라 수신된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들을 분류하는 작업을 한다. 606 단계에서 분류부(336)는 이와 같이 분류된 정보들을 데이터 베이스(338)로 전달하여 저장되게 하거나 데이터 스트림 생성부(334)에서 동일한 공공 기기(350)에 대한 데이터 스트림 형태의 정보가 생성되고 있으면 데이터 스트림 생성부(334)로 전달할 수도 있다.
432 단계에서 데이터 스트림 생성부는 동일한 공공 기기(3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들을 하나의 데이터 스트림 형태의 정보로 생성하는데 이를 다시 도 7에 상세한 흐름도로 도시하였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432 단계에 해당하는 데이터 스트림 생성 모드의 상세 흐름도이다. 702 단계에서 특정 공공 기기(350)에 대한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들을 수집한다. 704 단계에서 수집된 정보들을 하나의 데이터 스트림 형태로 생성한다. 706 단계에서 생성된 데이터 스트림 형태의 정보는 데이터 베이스로 전달되어 저장되거나 결정부로 전달되어 최종 제어 정보를 결정하는데 이용된다. 만약 공공 기기(350)에 결정부(342)와 같은 프로세서가 탑재되어 있는 경우라면 데이터 스트림 형태의 정보를 통신부(332)로 전달하여 공공 기기(350)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434 단계에서 결정부(342)는 동일한 공공 기기(350)에 대한 데이터 스트림 형태의 정보를 가지고 최종 제어 정보를 정하는데 이를 다시 도 8에 상세한 흐름도로 도시하였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434 단계에 해당하는 결정 모드의 상세 흐름도이다. 802 단계에서 결정부(342)는 특정 시간이 되었거나 이전 최종 제어 정보 결정 후 일정 시간이 흘렀는지 확인하여 최종 제어 정보를 결정하는 절차를 시작할 것인지 확인한다.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에는 우선순위가 있을 수 있는데 여기서 우선 순위를 가지는 정보란 일반 사용자의 요청 정보가 아닌 공공 기기(350) 제어에 있어 특수한 권한을 가진 외부자의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한다. 이는 다수의 선택 부적절한 공공 기기(350) 제어 결과를 초래할 경우와 같은 상황에서 다수의 선택보다 우선하여 공공 기기(350)를 제어하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804 단계에서 데이터 스트림 형태의 정보에서 우선순위를 가지고 있는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가 있는지 확인한다. 806 단계에서 우선 순위가 있는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가 없다면 가장 많이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가 무엇인지 찾아낸다. 808 단계에서 우선순위가 있는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나 차선으로 가장 높은 빈도를 가지는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최종 제어 정보로 결정한다.
이와 같이 최종 제어 정보 결정 단계를 거치지 않고 모든 사용자 단말(310)로부터 전송된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공공 기기(350)에 반영하려면 적체문제가 발생할 뿐 아니라 공공 기기(350)가 같은 시간에 둘 이상의 공공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지 못하는 이상 다수 사용자의 요구가 무시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대다수의 사람이 원하는 요구 내용과 개인 사용자 1인의 요구가 다를 경우, 개인 사용자 1인의 요구가 더 빨리 요청됐을 때 이를 공공 기기에 반영한다면 대다수 사람이 원치않는 결과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최종 제어 정보 결정 단계가 필요하다.
436 단계에서 공공 기기 제어 장치(330)는 최종 제어 정보를 공공 기기(350)에 전송한다.
438 단계에서 공공 기기(350)의 통신부(352)는 공공 기기 제어 장치(330)의 통신부(332)로부터 최종 제어 정보를 수신받는다.
440 단계에서 수신된 최종 제어 정보는 공공 기기(350)의 기기 제어부(354)로 전달된다.
442 단계에서 기기 제어부(354)의 명령에 의해 공공 기기(350)의 기기 H/W(356)에 동작하게 된다.
444 단계에서 최종 제어 정보에 따른 공공 기기의 제어 결과 후 이를 반영하는 결과 정보를 공공 기기(350)의 통신부(352)에 전달하여 공공 기기 제어 장치(330)에 송신하도록 한다.
446 단계에서 공공 기기 제어 장치(330)는 공공 기기(350)로부터 공공 기기의 동작 제어 후 결과를 반영하는 정보 전송이 있는지 살펴보고 444 단계에서 공공 기기(350)로부터 전송이 있으면 정보를 수신한다.
448 단계에서 삽입부(344)가 공공 기기 제어 후 결과에 대응하는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338)에 저장하여 공공 기기에 대한 정보를 최근 정보로 유지하게 한다.
310 ... 사용자 단말
312 ... 입력부
314 ... 프로세서
316 ... 출력부
318 ... 사용자 단말의 통신부
320 ... 인식모듈
330 ... 공공 기기 제어 장치
332 ... 공공 기기 제어 장치의 통신부
334 ... 데이터 스트림 생성부
336 ... 분류부
338 ... 데이터 베이스
340 ... 추출부
342 ... 결정부
344 ... 삽입부
346 ... 프로세서
350 ... 공공 기기
352 ... 공공 기기의 통신부
354 ... 기기 제어부
356 ... 기기 H/W

Claims (17)

  1. 임의의 다수 사용자들에 의해 공유되는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공 기기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임의의 단말들로부터 상기 단말들의 사용자들 별로 선호되는 공공 서비스의 형태들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 수신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정보를 통합하여 하나의 데이터 스트림 형태로 생성하는 데이터 스트림 생성부; 및
    상기 데이터 스트림 생성부에서 생성된 데이터 스트림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공 기기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에 수신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정보를 상기 데이터 스트림 생성부가 데이터 스트림 형태로 생성하기 전에 각각의 공공 기기별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로 분류하는 분류부를 더 포함하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 생성부와 상기 분류부에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 받으며, 적어도 하나의 공공 기기의 식별을 위한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옵션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동작 메뉴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수신부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공공 기기의 식별을 위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공공 기기의 식별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베이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옵션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동작 메뉴 정보를 가져와 전송부로 전달하는 추출부를 더 포함하는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가져온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옵션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동작 메뉴 정보를 상기 추출부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공공 기기의 식별을 위한 정보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적어도 하나의 공공 기기의 동작 제어 후 결과를 반영하는 정보를 공공 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공공 기기의 동작 제어 후 결과를 반영하는 정보를 수신부로부터 전달받아 데이터 베이스에 입력하는 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공공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들의 의견을 담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공공 기기에 대한 상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공공 기기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상기 수신부로부터 전달받아 데이터 베이스에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공공 기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가져오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가져온 적어도 하나의 상기 공공 기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적어도 하나의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실제 적용되는 최종 제어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데이터 스트림 생성부에서 생성된 데이터 스트림 형태의 정보를 분석하고 우선순위와 빈도수를 고려하여 상기 최종 제어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최종 제어 정보를 전송부로 전달하는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장치.
  9. 임의의 다수 사용자들에 의해 공유되는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공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 개의 임의의 단말들로부터 상기 단말들의 사용자들 별로 선호되는 공공 서비스의 형태들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정보를 통합하여 하나의 데이터 스트림 형태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데이터 스트림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공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정보를 데이터 스트림 형태로 생성하기 전에 각각의 공공 기기별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로 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공공 기기의 식별을 위한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옵션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동작 메뉴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미리 저장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공공 기기의 식별을 위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공공 기기의 식별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옵션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동작 메뉴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서 가져오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가져온 적어도 하나의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옵션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동작 메뉴 정보를 상기 공공 기기의 식별을 위한 정보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공 기기 식별을 위한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획득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공공 기기의 동작 제어 후 결과를 반영하는 정보를 공공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공공 기기의 동작 제어 후 결과를 반영하는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공공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들의 의견을 담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공공 기기에 대한 상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공공 기기에 대한 상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공공 기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가져오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가져온 적어도 하나의 상기 공공 기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데이터 스트림 형태의 정보를 분석하고 우선순위와 빈도수를 고려하여 공공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실제 적용되는 최종 제어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최종 제어 정보를 상기 공공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 9항 내지 제 16항 중에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10020617A 2011-03-08 2011-03-08 공공 기기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2010244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617A KR20120102445A (ko) 2011-03-08 2011-03-08 공공 기기 제어 장치 및 방법.
US13/278,476 US8972280B2 (en) 2011-03-08 2011-10-21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ubl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617A KR20120102445A (ko) 2011-03-08 2011-03-08 공공 기기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2445A true KR20120102445A (ko) 2012-09-18

Family

ID=46796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0617A KR20120102445A (ko) 2011-03-08 2011-03-08 공공 기기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972280B2 (ko)
KR (1) KR2012010244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09954A1 (en) * 2014-10-13 2016-04-20 Sap Se Decryption Device, Method for Decrypting and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Data Transmission
CN107249012B (zh) * 2017-04-20 2019-10-08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信息流分发的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1260575A1 (en) * 2000-05-31 2001-12-11 Optinetix ( Israel ) LTD.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information through broadcast media
KR20000063984A (ko) 2000-08-14 2000-11-06 임동철 네트워크 기반의 광고 서비스 시스템
US20030149601A1 (en) * 2000-12-14 2003-08-07 Cabral Anthony J. Network billboard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060134027A (ko) * 2004-01-20 2006-12-27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동적 메시지 재배치를 가진 메시지 보드
KR20060063004A (ko) 2004-12-06 2006-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인 휴대 단말기용 무선 마이크로 웹서버를 이용한다양한 기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11004090B2 (en) * 2005-12-24 2021-05-11 Rich Media Club, Llc System and method for creation, distribution and tracking of advertising via electronic networks
KR20080041083A (ko) 2006-11-06 2008-05-09 박시병 휴대폰과 영상 광고를 통한 광고 효가 증진
KR100834046B1 (ko) 2007-11-02 2008-05-30 강미영 티브이를 이용한 사용자 설정방식의 사용자 관심광고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90125498A (ko) 2008-06-02 2009-12-07 에스큐아이소프트(주) 다중 광고 표시가 가능한 다중 광고 시스템 및 방법
CN101616293A (zh) * 2008-06-25 2009-12-30 国民技术股份有限公司 用于移动终端转发音/视频信号的无线收发组件
KR20100043753A (ko) 2008-10-21 2010-04-29 김석진 사용자 적응적인 다채널 통합광고 송출시스템, 사용자 적응적인 다채널 통합광고를 위한 가입자 단말장치 및 사용자 적응적인 다채널 통합광고 송출방법
US20100161424A1 (en) 2008-12-22 2010-06-24 Nortel Networks Limited Targeted advertising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32677A1 (en) 2012-09-13
US8972280B2 (en) 2015-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50593B (zh) 移动设备和通过移动设备配对电子设备的方法
US2014004025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9749710B2 (en) Video analysis system
US20120290981A1 (en)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operation method by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and program thereof
US20060143653A1 (en) Broadcasting receiver with functions of recommending broadcasting program and reservation-recording recommended program on network, and method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US107129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rolled device included in network
TWI544336B (zh) 眼鏡、電子裝置與其配對的方法以及順暢內容播放的方法
US9203986B2 (en) Imaging device, imaging system, image management server, image communication system, imaging method, and image management method
CN106489269A (zh) 显示装置、服务器、系统及其信息提供方法
AU2013204519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modu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JP2010086194A (ja) シェア画像閲覧方法および装置
JP2007318665A (ja) リモコン装置およびリモコンシステム
KR20120102445A (ko) 공공 기기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584304B1 (ko) 콘텐츠 요청 장치 및 방법
CN110234026B (zh) 使用光学字符识别对机顶盒进行双向控制
US8116754B2 (en) Method of providing service menu and service in network environment and service providing apparatus thereof
WO2010134159A1 (ja) 情報処理装置、装置検索方法、装置検索支援方法および記録媒体
KR20130126203A (ko)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이용한 동영상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1366489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40007575A1 (en) Image management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KR20160017817A (ko) 얼굴의 시각적 정보를 이용한 관계망 연결 시스템 및 연결방법
KR101481066B1 (ko) 얼굴의 시각적 정보를 이용한 관계망 연결 시스템 및 연결방법
KR20160009080A (ko) 콘텐츠 요청 장치 및 방법과 콘텐츠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2137738B1 (ko) 워터마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전자장치
KR20230103029A (ko) 콘텐츠 서비스 장치 및 그 운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