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0682A - Debris detecting unit and robot cleaning devic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ebris detecting unit and robot cleaning devic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0682A
KR20120100682A KR1020110088573A KR20110088573A KR20120100682A KR 20120100682 A KR20120100682 A KR 20120100682A KR 1020110088573 A KR1020110088573 A KR 1020110088573A KR 20110088573 A KR20110088573 A KR 20110088573A KR 20120100682 A KR20120100682 A KR 20120100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unit
cleaning
container
det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5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80087B1 (en
Inventor
윤상식
김강남
이준화
장휘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2156422.3A priority Critical patent/EP2494900B1/en
Priority to US13/404,762 priority patent/US9402524B2/en
Priority to CN201210052996.1A priority patent/CN102652654B/en
Publication of KR20120100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06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0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47L9/281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the amount or condition of incoming dirt or dust
    • A47L9/281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the amount or condition of incoming dirt or dust using optical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6Dust remov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2Docking stations; Docking operations
    • A47L2201/024Emptying dust or waste liqui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6Control of the cleaning action for autonomous devices; Automatic detection of the surface condition before, during or after clea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PURPOSE: A dust sensing unit and a robot cleaner having the same are provided to expand a cleaning range using a side brush and to control the degree of cleaning depending on the amount of dust. CONSTITUTION: A robot cleaner having a dust sensing unit comprises a main body, a drive unit, a drum brush unit, a dust container(60), a dust sensing unit(70), and a control unit. The drive unit powers the main body. The drum brush unit brushes dust using a brush and a rotary drum. The dust container stores the brushed dust. The dust sensing unit senses whether dust flows into the dust container.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ust container based on the results sensed from the dust sensing unit.

Description

먼지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DEBRIS DETECTING UNIT AND ROBOT CLEANING DEVICE HAVING THE SAME}Dust detection unit and robot cleaner including same {DEBRIS DETECTING UNIT AND ROBOT CLEANING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먼지 감지 유닛을 구비한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먼지 감지 성능을 개선한 먼지 감지 유닛을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cleaner having a dust detection un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bot cleaner including a dust detection unit having improved dust detection performance.

자율 주행 로봇은 사용자의 조작없이 임의의 영역을 주행하면서 소정의 임무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로봇은 상당 부분 자율 주행이 가능하고, 이러한 자율 주행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봇은 미리 정해진 경로를 따라서 임의의 영역을 주행할 수 있고, 미리 정해진 경로 없이 임의의 영역을 주행할 수 있다.The autonomous robot is a device that performs a predetermined task while traveling in an arbitrary area without a user's manipulation. The robot is capable of autonomous driving to a large extent, and such autonomous driving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robot may travel any area along a predetermined path, and may travel any area without a predetermined path.

로봇 청소기는 사용자의 조작없이 청소 영역을 주행하면서 바닥을 청소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가정에서 진공 청소와 걸레질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먼지는 진공 청소기나 자동 또는 반자동 청소장치에 의해서 포집 가능한 (흙)먼지, 티끌, 가루, 파편 그리고 기타 먼지입자 등을 의미할 수 있다.The robot cleaner is a device for cleaning the floor while driving the cleaning area without a user's operation. Specifically, it can be used for vacuum cleaning and mopping at home. Dust may refer to (dust) dust, dust, dust, debris and other dust particles that can be collected by a vacuum cleaner or an automatic or semi-automatic cleaning device.

종래 로봇 청소기는 청소 영역을 주행하면서 바닥을 청소할 때 바닥에 있는 먼지를 감지하여 먼지가 감지된 구역을 집중 또는 반복 청소하였다. 또한, 먼지통 내부에 발광과 수광부를 포함한 먼지량 감지 유닛이 있어 먼지통 내부에 먼지의 쌓임에 의해 수광부로 전달되는 빛이 가려지게 되는데, 이를 감지하여 먼지량을 감지하였다.The conventional robot cleaner detects dust on the floor while cleaning the floor while driving the cleaning area to concentrate or repeatedly clean the area where the dust is detected. In addition, there is a dust amount detection unit including a light emitting and a light receiving unit inside the dust container, and the light transmitted to the light receiving unit is covered by the accumulation of dust inside the dust container.

다만, 종래 로봇 청소기(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73082)는 바닥으로부터의 먼지의 유입을 감지하고 먼지통의 먼지량을 감지하기 위해서 여러 개(또는 종류)의 센서를 설치하여 감지하였는데, 센서를 불필요하게 많이 설치하여 제조 단가를 상승시키거나 센서가 로봇 청소기 내부에 많은 공간을 차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robot cleaner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5-0073082) detects the inflow of dust from the floor and installs a plurality (or types) of sensors to detect the amount of dust in the dust box. There was a problem in that unnecessary installation to increase the manufacturing cost or sensor takes up a lot of space inside the robot cleaner.

또한, 센서의 오작동 발생 시에도 사용자에게 알람을 알리는 방법 이외의 별다른 대응 방안 없이 수행 중이던 청소 행정을 계속하거나 동작 멈춤 상태를 유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even when a malfunction of the senso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leaning stroke that is being performed without any other countermeasure other than a method of notifying an alarm to the user is continued or the operation is stopped.

또한, 종래 먼지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는 미리 정해진 단일의 기준값만을 통해 청소 작업을 수행하여서 먼지의 종류나 먼지량에 따라 달라지는 청소 작업 환경을 반영하지 못해서 효과적인 청소에 어려움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robot cleaner including a dust sensor has a difficulty in effective cleaning because it does not reflect the cleaning work environment that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r amount of dust by performing the cleaning operation only through a singl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센서를 경제적으로 설치하면서 먼지 감지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는 먼지 감지 유닛을 구비하는 로봇 청소기를 개시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disclosed a robot cleaner having a dust detection unit capable of optimizing dust detection performance while economically installing a sens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본체; 본체를 주행시키는 구동부; 본체에 마련되고, 브러시와 회전 드럼을 통해 먼지를 쓸어 올리는 드럼 브러시 유닛; 드럼 브러시 유닛을 통하여 쓸어 올려진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 클리닝을 수행하면서 드럼 브러시 유닛을 통해 먼지통에 유입되는 먼지의 유무를 감지하는 먼지 감지 유닛; 먼지 감지 유닛을 통해 감지된 먼지의 유무를 통해 먼지통에 먼지가 유입되고 있는지 여부와 먼지통에 유입되는 먼지가 쌓여서 기대하는 량이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main body; A drum brush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sweeping up dust through a brush and a rotating drum; A dust container for storing dust scraped up through the drum brush unit; A dust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dust flowing into the dust container through the drum brush unit while performing cleaning;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dust is introduced into the dust container through the presence or absence of dust detected by the dust detection unit, and whether the dust flowing into the dust container has accumulated in the expected amount.

또한, 먼지 감지 유닛은,빔을 발신하는 발광부와 발신된 빔을 수신하는 수광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수광부에 수신되는 빔의 수광량에 따라, 먼지통에 먼지가 유입되고 있는지 여부와 먼지통에 유입되는 먼지가 쌓여서 기대하는 량이 되었는지를 판단한다.In addition, the dust detection unit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beam and a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transmitted beam, and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dust is introduced into the dust container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Determine if the dust has accumulated and is what you expect.

또한, 제어부는 수광부에 수신되는 수광량의 시간에 따른 소정의 패턴을 기초로, 먼지통에 먼지가 유입되고 있는지 여부와 먼지통에 유입되는 먼지가 쌓여서 기대하는 량이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dust is introduced into the dust container and whether or not the dust flowing into the dust container has been accumulated and expected based on a predetermined pattern of the received light amount received in the light receiving unit over time.

또한, 제어부는 수광부에 수신되는 빔의 수광량이 소정 시간 동안 제1 기준값 이하로 감소하였다가 원 상태로 복귀하면 먼지통에 먼지가 유입되고 있다고 판단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dust is introduced into the dust container when the light receiving amount of the beam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decreases below the first reference value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returns to the original state.

또한, 제어부는 빔의 수광량이 감소하여 제2 기준값 이하로 유지되면 먼지통에 먼지가 기대하는 량이 되었다고 판단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amount of dust expected in the dust container is reduced when the light receiving amount of the beam decreases and remains below the second reference value.

또한, 제어부는 수광부에 수신되는 빔의 수광량이 소정 시간 동안 제3 기준값 이하로 감소하였다가 원 상태로 복귀하는 현상이 반복되면 먼지통의 유입구에 먼지가 끼여 있거나 먼지가 흘러 넘치고 있다고 판단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light receiving amount of the beam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decreases below the third reference value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또한, 발광부와 수광부는, 먼지가 유입되는 유입로와 먼지통에 쌓이는 먼지가 기대하는 량이 되는 소정의 경로가 교차하는 지점에 대향하여 위치한다.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portion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are located opposite to the point where the inflow path into which the dust flows and the predetermined path that is the amount of dust accumulated in the dust container intersect.

또한, 먼지통은 발광부에서 발신한 빔이 투과하여 수광부에서 수신되게 빔이 통과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dust container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pass the beam so that the beam trans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is transmitted through the light receiving unit.

또한, 발광부와 수광부는 유입되는 먼지가 다시 튀어 나오거나 먼지통에 쌓인 먼지가 흘러 넘치는 먼지통의 문턱 높이 또는 문턱 높이 보다 높은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다.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ar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higher than the threshold height or the threshold height of the dust bin overflowing with the dust flowing in again or accumulated in the dust container.

또한, 먼지통의 문턱 높이 또는 문턱 높이 보다 높은 소정의 위치는 먼지통 쪽에 위치한다.In addition, a predetermined position higher than the threshold height or the threshold height of the dust container is located on the dust container side.

또한, 먼지통의 문턱 높이 보다 높은 소정의 위치는, 먼지통의 문턱과 먼지통의 천정 사이에 있고 문턱쪽에 더 가까운 곳이다.Further, the predetermined position higher than the threshold height of the dust container is between the threshold of the dust container and the ceiling of the dust container and closer to the threshold side.

또한, 제어부는 먼지 감지 유닛이 먼지를 감지하는 영역과 먼지를 감지하지 않는 영역을 구별하고, 먼지를 감지하는 영역을 반복적으로 또는 소정의 패턴으로 청소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ust detection unit to distinguish the area for detecting the dust and the area for not detecting the dust, and to clean the area for detecting the dust repeatedly or in a predetermined pattern.

또한, 제어부는, 먼지 감지 유닛에 오류가 발생하여 계속 소정 영역을 반복하여 청소하는 경우에, 소정 영역을 반복하여 청소하는 횟수 또는 시간이 소정의 값 이상일 때, 먼지 감지 유닛이 반복적으로 청소하는 영역을 벗어나는 주행을 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when an error occurs in the dust detection unit and continuously cleans the predetermined area, the control unit repeatedly cleans the predetermined area when the number or time of the repeated cleaning of the predetermined area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Control to drive off the road.

또한, 먼지 감지 유닛에 발생하는 오류를 검사하기 위해 복귀하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을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먼지 감지 유닛에 오류가 발생하여 먼지가 없음에도 계속 소정 영역을 반복적으로 청소하는 경우에,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으로 복귀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먼지 감지 유닛의 오류를 알린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maintenance station returning to check an error occurring in the dust detection unit.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maintenance station if the dust detection unit has an error and continuously cleans a predetermined area even when there is no dust. Control to return to or inform the user of an error in the dust detection unit.

또한, 제어부는 먼지 감지 유닛에 의해서 먼지가 먼지통에 먼지가 기대하는 량이 되었다고 판단되거나 먼지통의 유입구에 먼지가 끼여 있거나 먼지가 흘러 넘치고 있다고 판단되면 먼지통을 비우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empty the dust container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dust detection unit that the amount of dust is expected in the dust container, or when the dust inlet of the dust container is caught or dust is overflowing.

또한, 먼지통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유동을 만들어 먼지통을 비우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을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으로 복귀하도록 제어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maintenance station for emptying the dust container by creating a flow that sucks air from the dust container,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o return to the maintenance station.

또한, 제어부는, 먼지 감지 유닛에 오류가 발생하거나 또는 먼지통의 먼지량이 기대하는 량 이상인 경우이거나 먼지통의 유입구에 먼지가 끼여 있거나 먼지가 흘러 넘치고 있다고 판단되면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으로 복귀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return to the maintenance station when an error occurs in the dust detection unit or when the amount of dust in the dust container is larger than an expected amount, or when dust is caught in the inlet of the dust container or dust is overflowing.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본체; 본체를 주행시키는 구동부; 본체에 마련되고, 브러시와 회전 드럼을 통해 먼지를 쓸어 올리는 드럼 브러시 유닛; 드럼 브러시 유닛을 통하여 쓸어 올려진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 빔을 발신하는 발광부와 발신된 빔을 수신하는 수광부를 포함하고, 드럼 브러시 유닛을 통하여 유입되는 먼지의 유무를 감지하는 먼지 감지 유닛; 먼지 감지 유닛을 통해 감지된 먼지의 유무를 통해 먼지통에 먼지가 유입되고 있는지 여부와 먼지통에 유입되는 먼지가 쌓여서 기대하는 량이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먼지 감지 유닛은, 발광부에서 발신한 빔이 수광부에서 수신되도록 빔을 소정의 경로로 반사시키거나 또는 굴절시키는 하나 이상의 반사부 또는 굴절부를 포함한다.Robot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main body; A drum brush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sweeping up dust through a brush and a rotating drum; A dust container for storing dust scraped up through the drum brush unit; A dust detection unit including a light e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a beam and a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transmitted beam, and detecting a presence of dust flowing through the drum brush unit;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dust is introduced into the dust container through the presence or absence of dust detected by the dust detection unit, and whether the dust flowing into the dust container has accumulated in the expected amount. It includes one or more reflecting or refracting portions that reflect or refract the beam in a predetermined path such that one beam is received at the light receiving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 감지 유닛은 빔을 발신하는 발광부; 발신된 빔을 수신하는 수광부; 발광부에서 발신한 빔이 수광부에서 수신되도록 빔을 소정의 경로로 반사시키거나 또는 굴절시키는 하나 이상의 반사부 또는 굴절부;를 포함하고, 유입되는 먼지의 유무를 감지한다.Dust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a beam; A light receiving unit receiving the transmitted beam; And at least one reflector or refracting unit that reflects or refracts the beam in a predetermined path so that the beam transmitted from the light emitter is received by the light receiv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본체; 본체를 주행시키는 구동부; 본체에 마련되고, 브러시와 회전 드럼을 통해 먼지를 쓸어 올리는 드럼 브러시 유닛; 드럼 브러시 유닛을 통하여 쓸어 올려진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 클리닝을 수행하면서 드럼 브러시 유닛을 통해 먼지통에 유입되는 먼지를 감지하는 먼지 감지 유닛; 먼지 감지 유닛의 감지신호를 기초로 먼지통에 유입되는 먼지량을 판단하고, 판단된 먼지량을 기설정된 두 개 이상의 기준값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로봇 청소기가 단계별 청소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Robot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main body; A drum brush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sweeping up dust through a brush and a rotating drum; A dust container for storing dust scraped up through the drum brush unit; A dust detection unit detecting dust flowing into the dust container through the drum brush unit while performing cleaning;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the amount of dust flowing into the dust container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dust detection unit, compare the determined amount of dust with two or more preset reference values, and control the robot cleaner to perform step-by-step cleaning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

또한, 먼지 감지 유닛은 빔을 발신하는 발광부와 발신된 빔을 수신하는 수광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수광부에 수신되는 빔의 수광량에 따라 먼지통에 먼지통에 유입되는 먼지량을 판단한다.In addition, the dust detection unit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beam and a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transmitted beam, an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amount of dust flowing into the dust container according to the light receiving amount of the beam received in the light receiving unit.

또한, 단계별 청소는 판단된 먼지량과 두 개 이상의 기준값을 비교하여 청소의 강도를 구분하는 청소이다.In addition, the step-by-step cleaning is cleaning to distinguish the intensity of cleaning by comparing the determined amount of dust and two or more reference values.

또한, 제어부는 판단된 먼지량과 제1기준값 및 제2기준값을 비교하여, 판단된 먼지량이 제1기준값 이하이면 제1단계 청소를, 판단된 먼지량이 제1기준값을 초과하고 제2기준값 이하이면 제2단계 청소를, 판단된 먼지량이 제2기준값을 초과하면 제3단계 청소를 로봇 청소기가 수행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compares the determined dust amount with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the second reference value, and if the determined dust amount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reference value, cleans the first stage, and if the determined dust amount exceeds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cond reference value, The robot cleaner may perform the second stage cleaning if the determined amount of dust exceeds the second reference value.

또한, 제어부는 제1단계 청소에서 제3단계 청소로 갈수록 로봇 청소기가 청소의 강도를 높게 하여 청소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robot cleaner to clean by increasing the cleaning intensity from the first step cleaning to the third step cleaning.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먼지의 유입 여부 또는 먼지량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or not dust is introduced.

또한, 먼지의 유입 여부 또는 먼지량에 따라 청소 영역을 구별하여 청소함으로써 청소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청소 시간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leaning area can be cleaned by distinguishing and cleaning the cleaning area according to the inflow or dust amount of the dust, and the cleaning time can be reduced.

또한, 먼지를 감지함에 있어서, 감지 센서에 오류가 발생할 경우에 적절하게 대응하여 안정적인 청소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n detecting dust, it is possible to perform a stable cleaning stroke by appropriately responding when an error occurs in the detection sensor.

또한, 먼지 감지 유닛의 감지 기준값을 2개 이상으로 설정하여, 유입되는 먼지의 양에 따라 청소 강도를 조절할 수 있어서 효과적인 청소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setting the detection reference value of the dust detection unit to two or mor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cleaning strength according to the amount of dust flowing in, it is possible to perform an effective cleaning strok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에 유입되는 먼지의 유무와 먼지통에 저장된 먼지량을 감지하는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에 유입되는 먼지의 유무와 먼지통에 저장된 먼지량을 감지하는 동작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에 유입되는 먼지의 유무와 먼지통에 저장된 먼지량을 감지하는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에 유입되는 먼지의 유무와 먼지통에 저장된 먼지량을 감지하는 동작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감지 유닛이 먼지의 유입이 있음을 감지하는 신호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감지 유닛이 먼지통에 먼지가 가득 찼음을 감지하거나 또는 오감지에 의한 신호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a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감지 유닛이 먼지 유입 시 정상 동작을 하지 않는 경우에 로봇 청소기의 청소 수행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감지 유닛이 먼지통의 가득 찼음을 감지하지 못하는 등, 정상 동작을 하지 않는 경우에 로봇 청소기의 청소 수행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 감지 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 감지 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 감지 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5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청소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dust flowing into the robot cleaner and the amount of dust stored in the dust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b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dust flowing into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mount of dust stored in the dust box.
5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dust flowing into the robot cleaner and the amount of dust stored in the dust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B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dust flowing into the robot cleaner and the amount of dust stored in the dust bu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graph illustrating a signal for detecting the inflow of dust in the dust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graphs showing a signal by the dust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at the dust container is full of dust or by a false detection.
9A to 10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process of cleaning the robot cleaner when the dust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operate normally when dust is introduced.
FIG.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leaning the robot cleaner when the dust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perform normal operation, such as not detecting that the dust container is full.
1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dust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dust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dust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to 16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cleaning process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각 실시예에 따른 먼지 감지 유닛 및 이를 구비한 로봇 청소기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dust detection unit and a robot cleaner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저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er.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 청소기(10)는 본체(11)와 구동부(20), 클리닝부(30),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S. 1 to 3, the robot cleaner 10 may include a main body 11, a driver 20, a cleaner 30, and a controller (not shown).

본체(11)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본체(11)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원형으로 형성되는 본체(11)는 회전 반경이 일정하여 주변 장애물과의 접촉을 피할 수 있고 방향 전환을 매우 쉽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주행 중 주변 장애물에 걸려서 본체(11)가 움직이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main body 11 may have various shapes. For example, the main body 11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main body 11 formed in a circular shape has a constant radius of rotation, thereby avoiding contact with surrounding obstacles and making it easy to change direction. In addition, the main body 11 may be prevented from moving by being caught by surrounding obstacles while driving.

본체(11)에는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부분 즉, 구동부(20)와 클리닝부(30), 각종 센서(12, 13), 디스플레이부(14), 제어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The main body 11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parts for cleaning, that is, the driving unit 20, the cleaning unit 30, various sensors 12 and 13, the display unit 14,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구동부(20)는 본체(11)가 청소 영역을 주행하도록 할 수 있다. 구동부(20)는 좌우 구동 바퀴(21a, 21b)와 캐스터(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좌우 구동 바퀴(21a, 21b)는 모터(미도시)에서 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좌우 구동 바퀴(21a, 21b)는 본체(11) 하부의 중앙 영역에 장착되고 캐스터(22)는 본체(11) 하부의 전방 영역에 장착되어 본체(11)가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20 may allow the main body 11 to travel through the cleaning area. The driving unit 20 may include a left and right driving wheels 21a and 21b and a caster 22. The left and right driving wheels 21a and 21b may be provided with power from a motor (not shown). 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driving wheels 21a and 21b may be mounted in the central area under the main body 11 and the casters 22 may be mounted in the front area under the main body 11 to maintain the main body 11 in a stable posture. have.

한편, 좌우 구동 바퀴(21a, 21b)와 캐스터(22) 각각은 하나의 어셈블리로 구성되어 본체(11)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Meanwhile, each of the left and right driving wheels 21a and 21b and the caster 22 may be configured as one assembly and may be detachably mounted to the main body 11.

클리닝부(30)는 본체(11)가 놓여 있는 바닥 및 그 주변에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클리닝부(30)는 사이드 브러시(40)와 드럼 브러시 유닛(50), 먼지통(60)을 포함할 수 있다.The cleaning unit 30 may remove dust from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1 and its surroundings. The cleaning unit 30 may include a side brush 40, a drum brush unit 50, and a dust container 60.

사이드 브러시(40)는 본체(11)의 저면의 테두리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체(11)의 중앙 영역을 벗어나서 본체(11)의 전방(F) 사선 방향으로 치우쳐서 장착될 수 있다.The side brush 40 may be rotatab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edge of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1. Outside the central region of the main body 11 may be mounted in a direction diagonal to the front (F) of the main body 11.

사이드 브러시(40)는 본체(11)의 주변에 쌓인 먼지를 본체(11)가 놓여 있는 바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사이드 브러시(40)에 의해서 청소 범위가 본체(11)가 놓여 있는 바닥 주변 영역까지 확장될 수 있다. 특히 사이드 브러시(40)는 바닥과 벽의 경계가 되는 구석에 쌓인 먼지를 청소할 수 있다.The side brush 40 may move the dust accumulated around the main body 11 to the floor on which the main body 11 is placed. The cleaning range can be extended by the side brush 40 to the area around the bottom on which the main body 11 is placed. In particular, the side brush 40 can clean the dust accumulated in the corner that borders the floor and the wall.

드럼 브러시 유닛(50)은 본체(11) 저면의 중앙 영역을 벗어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본체(11) 저면의 중앙 영역에 설치된 좌우 구동 바퀴(21a, 21b)보다 본체(11)의 후방(R)으로 치우쳐진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The drum brush unit 50 may be mounted at a position outside the central area of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1. The left and right driving wheels 21a and 21b provid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1 may be mounted at a position biased toward the rear R of the main body 11.

드럼 브러시 유닛(50)은 본체(11)가 놓여 있는 바닥에 쌓인 먼지를 청소할 수 있다. 드럼 브러시 유닛(50)은 먼지 유입 경로를 형성하는 먼지 유입로(50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먼지 유입로(50a)에 마련되어 바닥의 먼지를 쓸어 내는 브러시 유닛(5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drum brush unit 50 may clean dust accumulated on the floor on which the main body 11 is placed. The drum brush unit 50 may include a dust inflow path 50a forming a dust inflow path, and includes a brush unit 51 provided in the dust inflow path 50a to sweep the dust off the floor. Can be.

브러시 유닛(51)은 롤러(51a)와, 롤러(51a)의 외주면에 박혀 있는 브러시(51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롤러(51a)는 모터에서 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고, 롤러(51a)가 회전함에 따라 브러시(51b)는 바닥에 쌓인 먼지를 휘저을 수 있다. 롤러(51a)는 강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브러시(51b)는 탄성력을 가지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brush unit 51 may include a roller 51a and a brush 51b embedd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ller 51a. The roller 51a may be powered from the motor, and as the roller 51a rotates, the brush 51b may stir the dust accumulated on the floor. The roller 51a may be formed of a rigid body,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brush 51b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having elasticity.

브러시 유닛(51)은 청소 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등속 제어될 수 있다. 브러시 유닛(51)은 카펫과 같이 매끄럽지 않은 바닥 면을 청소하는 경우 매끄러운 바닥 면을 청소하는 경우에 비해서 회전 속도가 떨어질 수 있는데, 이때 전류 등을 더 공급하여 브러시 유닛(51)의 회전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The brush unit 51 may be controlled at constant speed in order to keep the cleaning performance constant. When the brush unit 51 cleans the non-smooth floor surface such as a carpet, the rotation speed may be lower than that of the smooth floor surface. At this time, the rotation speed of the brush unit 51 is fixed by supplying more current. I can keep it.

먼지통(60)은 본체(11)의 후방(R)에 장착될 수 있다. 먼지통(60)의 유입구(64)는 드럼 브러시 유닛(50)의 먼지 유입로(50a)와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브러시 유닛(51)이 쓸어 내는 먼지는 먼지 유입로(50a)를 통과하여 먼지통(60)에 저장될 수 있다.Dust bin 60 may be mounted to the rear (R) of the main body (11). The inlet 64 of the dust container 60 may communicate with the dust inflow path 50a of the drum brush unit 50. Accordingly, the dust sweeped by the brush unit 51 may be stored in the dust container 60 through the dust inflow path 50a.

먼지통(60)은 분리벽(63)에 의해서 큰 먼지통(61)과 작은 먼지통(62)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유입구(64)도 큰 먼지통(61)의 입구에 마련되는 제1유입구(64a)와 작은 먼지통(62)의 입구에 마련되는 제2유입구(64b)로 분리될 수 있다. The dust container 60 may be separated into a large dust container 61 and a small dust container 62 by the separating wall 63. Correspondingly, the inlet 64 may also be divided into a first inlet 64a provided at the inlet of the large dust container 61 and a second inlet 64b provided at the inlet of the small dust container 62.

브러시 유닛(51)은 비교적 입자가 큰 먼지를 큰 먼지통(61)에 쓸어 담을 수 있고, 송풍 유닛(52)은 머리카락 등 부유하는 비교적 입자가 작은 먼지를 흡입하여 작은 먼지통(62)에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제2유입구(64b)의 인접한 곳에는 브러시 청소부재(59)가 마련되어 브러시 유닛(51)에 감긴 머리카락 등을 걸러 낼 수 있다. 브러시 청소부재(59)에 걸러진 머리카락 등은 송풍 유닛(52)의 흡입력에 의해서 작은 먼지통(62)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ush unit 51 may sweep dust having a relatively large particle in the large dust container 61, and the blower unit 52 may suck and store relatively small particles of floating dust such as hair and store it in the small dust container 62. . In particular, the brush cleaning member 59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second inlet 64b to filter the hair and the like wound around the brush unit 51. Hair, etc. filtered by the brush cleaning member 59 may be stored in the small dust container 62 by the suction force of the blowing unit 52.

한편, 드럼 브러시 유닛(50)과 사이드 브러시 유닛(51), 먼지통(60) 각각은 하나의 어셈블리로 구성되어 본체(11)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Meanwhile, each of the drum brush unit 50, the side brush unit 51, and the dust container 60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assembly and detachably mounted to the main body 11.

각종 센서(12, 13)는 근접 센서(12) 와/또는 비전 센서(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 청소기(10)가 정해진 경로 없이 임의의 방향으로 주행하는 경우 즉, 맵이 없는 청소 시스템에서 로봇 청소기(10)는 근접 센서(12)를 이용하여 청소 영역을 주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대로 로봇 청소기(10)가 정해진 경로를 따라서 주행하는 경우 즉, 맵을 필요로 하는 청소 시스템에서는 로봇 청소기(10)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고 맵을 생성하기 위한 비전 센서(13)가 설치될 수 있다. 비전 센서(13)는 위치 인식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해당하는 것이고, 이 밖에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various sensors 12, 13 may comprise a proximity sensor 12 and / or a vision sensor 13. For example, when the robot cleaner 10 travels in an arbitrary direction without a predetermined path, that is, in the cleaning system without a map, the robot cleaner 10 may travel the cleaning area using the proximity sensor 12. On the contrary, when the robot cleaner 10 travels along a predetermined path, that is, in a cleaning system requiring a map, a vision sensor 13 may be installed to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obot cleaner 10 and generate a map. . The vision sensor 13 corresponds to an embodiment of the location recognition system,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디스플레이부(14)는 로봇 청소기(10)의 각종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배터리 충전 상태 또는 먼지통(60)에 먼지가 가득 찼는지 여부, 로봇 청소기의 청소 모드, 휴면 모드 등을 나타낼 수 있다.The display unit 14 may indicate various states of the robot cleaner 10. For example, it may indicate whether the battery is charged or whether the dust container 60 is full of dust, a cleaning mode of the robot cleaner, a sleep mode, and the like.

제어부(미도시)는 구동부(20)와 클리닝부(30)를 제어하여 청소 과정이 효율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는 각종 센서(12, 13)로부터 신호를 입력 받아 장애물을 회피할 수 있고, 주행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not shown)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20 and the cleaning unit 30 to efficiently perform the cleaning process. The controller may receive obstacles from various sensors 12 and 13 to avoid obstacles and change the driving mode.

또한, 제어부는 먼지 감지 유닛(70, 도 4 및 도 5에서 도시)에서 신호를 입력 받음으로써 먼지통(60)에 먼지가 가득 찼다고 판단하는 경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미도시)에 도킹하여 먼지통(60)의 먼지를 자동으로 비우거나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dust container 60 is full of dust by receiving a signal from the dust detection unit 70 (shown in FIGS. 4 and 5), the control unit docks to a maintenance station (not shown) to hold the dust container 60. Can automatically empty the dust or provide an alarm to the user.

또한, 제어부는 먼지 감지 유닛(70)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음으로써 먼지가 유입되는 영역과 먼지가 유입되지 않는 영역을 구별하여 청소를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먼지가 유입되는 영역에서는 반복 주행 및 주행 속도를 늦추거나 브러시 유닛(51)의 회전력 또는 송풍 유닛(52)의 흡입력을 증가시켜 청소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반대로 먼지가 유입되지 않는 지역에서는 청소 순서를 후 순위로 지정한다거나 주행 횟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clean by distinguishing an area where dust is introduced from an area where dust does not flow by receiving a signal from the dust detection unit 70. For example, in an area where dust is introduced, the cleaning efficiency may be improved by slowing down the repeated driving and traveling speed or increas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brush unit 51 or the suction force of the blowing unit 52. Conversely, in areas where dust is not introduced, it may be possible to prioritize cleaning or reduce the number of ride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에 유입되는 먼지의 유무와 먼지통에 저장된 먼지량을 감지하는 동작을 도 4a 내지 도 5b를 통해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of sens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dust flowing into the robot cleaner and the amount of dust stored in the dust contain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5B.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에 유입되는 먼지의 유무와 먼지통에 저장된 먼지량을 감지하는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에 유입되는 먼지의 유무와 먼지통에 저장된 먼지량을 감지하는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이다.4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dust flowing into the robot cleaner and the amount of dust stored in the dust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dust flowing into the robot cleaner and the amount of dust stored in the dust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먼지 감지 유닛(70)으로 먼지의 유입과 먼지량을 동시에 감지할 수 있다. 발광부(71)와 수광부(72)를 구비한 먼지 감지 유닛(70)이 상호 대응하여 먼지통(60)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먼지 감지 유닛(70)의 발광부(71)와 수광부(72)는 대향형 또는 반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4A and 5A, the inflow of dust and the amount of dust may be simultaneously detected by one dust detection unit 70. The dust detection unit 70 including the light emitting unit 71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72 may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dust container 60. 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unit 71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72 of the dust detection unit 70 may be formed in an opposite or reflective type.

먼저, 도 4a에 도시된 로봇 청소기를 설명한다. 드럼 브러시 유닛(50)이 먼지를 쓸어 올리면 먼지 유입로(50a)를 통해 먼지통(60)으로 먼지가 유입된다. 먼지통(60)으로 유입되는 먼지는 일정한 이동 경로(5)를 가진다. 또한, 계속 먼지가 유입되면 먼지가 먼지통(60)에 기대하는 량만큼 차게 되는데, 이 상태를 먼지가 가득 찬 상태로 볼 수 있다. 가득 찬 먼지는 먼지통(60)에 소정의 형상(75)을 형성할 수 있다. 먼지 감지 유닛(70)은 드럼 브러시 유닛(50)을 통해 먼지통(60)에 유입되는 먼지의 유무를 감지하는데, 이렇게 감지된 먼지의 유무를 통해 제어부는 이동 경로(5) 상의 먼지를 감지함과 동시에 먼지가 쌓여서 기대하는 먼지량 만큼 되었는지를 판단한다. First, the robot cleaner shown in FIG. 4A will be described. When the drum brush unit 50 sweeps up the dust, the dust flows into the dust container 60 through the dust inflow path 50a. The dust flowing into the dust container 60 has a constant movement path 5. In addition, when the dust continues to flow, the dust is filled as much as expected in the dust box 60, this state can be seen as a state full of dust. The full dust may form a predetermined shape 75 in the dust container 60. The dust detection unit 70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dust flowing into the dust container 60 through the drum brush unit 50. The controller detects dust on the movement path 5 through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detected dust. At the same time, determine whether the amount of dust accumulated has reached the expected amount of dust.

즉, 로봇 청소기(10)는 청소를 수행하는 중 먼지를 유입하게 되고 유입된 먼지는 먼지통(60) 내부에 쌓인다. 먼지 유입 감지 유닛(70)은 발광부(71)와 수광부(72)가 대향형으로 형성되어 먼지 유입로에 위치하게 되면, 먼지통(60) 내부의 먼지가 쌓이다가 먼지 감지 유닛(70)의 위치까지 차 오르게 된다. 따라서 수광부(72)에 빛이 전달되지 않게 되므로 수신 감도가 급격히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먼지의 유입과 먼지량의 기대 수위를 동시에 감지할 수 있다.That is, the robot cleaner 10 introduces dust while the cleaning is performed, and the introduced dust accumulates inside the dust container 60. When the dust inflow detecting unit 70 has the light emitting unit 71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72 facing each other and positioned in the dust inflow path, the dust inside the dust container 60 accumulates and the position of the dust detecting unit 70 is located. Kicked up. Therefore, since light is not transmitted to the light receiving unit 72, a phenomenon in which reception sensitivity decreases rapidly may occur, and thus the inflow of dust and the expected level of dust amount may be simultaneously detected.

그래서 먼지통(60)에 먼지가 쌓이게 되고 감지하고자 기대하는 먼지량이 쌓이게 되면, 먼지 감지 유닛(70)은 이동 경로(5)를 따라 이동하는 먼지와 먼지통(60)에 원하는 먼지량이 가득 찼는지를 모두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a에서 보듯이, 먼지의 이동하는 경로(5)와 먼지가 가득 찬 형상의 경로가 교차하는 부분을 먼지 감지 유닛(70)이 감지하도록, 먼지 감지 유닛(70)이 먼지통(60)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Thus, when dust is accumulated in the dust container 60 and the amount of dust expected to be detected is accumulated, the dust detection unit 70 detects whether the dust moving along the movement path 5 and the desired amount of dust are filled in the dust container 60. Can be installed in a position where it can. As shown in FIG. 4A, the dust detection unit 70 is provided inside or outside the dust container 60 such that the dust detection unit 70 detects a portion where the dust moving path 5 and the dust filled path cross each other. It can be installed externally.

여기서 먼지 감지 유닛(70)의 발광부(71)와 수광부(72)가 설치되는 위치는, 먼지통(60)으로 유입되는 먼지가 다시 튀어 나오거나 먼지통(60)에 쌓인 먼지가 흘러 넘치는 먼지통(60)의 문턱 높이 또는 문턱 높이 보다 높은 소정의 위치이다. 즉, 먼지가 유입되는 먼지통(60)의 입구인 문턱 높이 이상인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먼지 감지 유닛(70)이 설치된다.Here, the position where the light emitting unit 71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72 of the dust detection unit 70 is installed, the dust container 60 overflows with the dust flowing into the dust container 60 again or the dust accumulated in the dust container 60 flows. ) Is a predetermined position higher than the threshold height or threshold height. That is, the dust detection unit 70 is installed to detect a position tha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height of the inlet of the dust container 60 through which dust is introduced.

또한, 먼지통(60)의 문턱 높이 또는 문턱 높이 보다 높은 소정의 위치는 먼지통(60) 쪽에 위치한다. 이는 먼지 감지 유닛(70)이 감지하는 위치가 로봇 청소기(10)의 본체(11) 쪽이 아니라 먼지통(60)에 있음을 나타낸다.In addition, a predetermined position higher than the threshold height or the threshold height of the dust container 60 is located on the dust container 60 side. This indicates that the position detected by the dust detection unit 70 is not in the main body 11 side of the robot cleaner 10 but in the dust container 60.

또한, 먼지통(60)의 문턱 높이 보다 높은 소정의 위치는 먼지통(60)의 문턱과 먼지통(60)의 천정 사이이고, 문턱쪽에 더 가깝다. 즉, 먼지통(60)의 문턱 주위를 감지하기 위해 먼지 감지 유닛(70)이 설치될 수 있으나 최적의 감지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문턱 높이 이상의 위치에 설치되되, 먼지통(60)의 천정보다는 문턱에 더 가깝게 설치되어야 한다. 여기서 문턱에 가까운 정도는 유입되는 먼지의 종류 등에 따라 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Further, the predetermined position higher than the threshold height of the dust container 60 is between the threshold of the dust container 60 and the ceiling of the dust container 60, and is closer to the threshold side. That is, the dust detection unit 70 may be installed to detect around the threshold of the dust container 60, but in order to achieve the optimal sensing performance, the dust detection unit 70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threshold height, but more than the ceiling of the dust container 60. Should be installed close together. Here, the degree close to the threshold may be design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dust introduced.

먼지가 유입되는 동안은 먼지 감지 유닛(70)이 먼지의 유입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먼지가 유입되고 쌓여서 먼지통(60)이 기대치 만큼 차게 되면 먼지통(60)에 먼지가 가득 찼음을 판단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먼지 감지 유닛(70)으로 먼지의 유입 여부와 먼지통(60)에 먼지가 기대치 만큼 찼는지(가득 참)를 판단할 수 있다. 먼지의 유입 여부와 먼지통(60)에 먼지가 기대치 만큼 찼는지를 구별하여 감지하는 것은 후술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먼지 감지 유닛(70)의 신호를 통해서 알 수 있다. While the dust is introduced, the dust detection unit 70 determines whether the dust is introduced. In addition, when the dust container 60 is filled as much as expected because the dust is introduced and accumulated,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dust container 60 is full of dust. That 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dust is introduced into the dust detection unit 70 and whether the dust is full (expected) in the dust container 60 as expected. Detecting whether the dust is inflow and whether the dust is full as expected in the dust container 60 may be detected through a signal of the dust detection unit 70 illustrated in FIGS. 6 and 7 to be described later.

다음, 도 5a에 도시된 로봇 청소기를 설명한다. 도 4a에 도시된 로봇 청소기(10)와 마찬가지로, 드럼 브러시 유닛(50)이 먼지를 쓸어 올리면 먼지통(60)으로 먼지가 유입되고, 먼지통(60)으로 유입되는 먼지는 일정한 이동 경로(5)를 가지며. 계속 먼지가 유입되면 먼지가 먼지통(60)에 기대치 만큼 차게 된다. 기대치 만큼 찬 먼지는 먼지통(60)에 소정의 형상(75)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먼지 감지 유닛(70)은 이동 경로(5) 상의 먼지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먼지의 유입 여부와 동시에 먼지가 계속 쌓여서 기대치 만큼 찼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Next, the robot cleaner illustrated in FIG. 5A will be described. Like the robot cleaner 10 illustrated in FIG. 4A, when the drum brush unit 50 sweeps up dust, dust is introduced into the dust container 60, and the dust flowing into the dust container 60 has a constant movement path 5. Has. If the dust continues to flow, the dust is filled in the dust container 60 as expected. Dust as cold as expected can form a predetermined shape 75 in the dust container 60. At this time, the dust detection unit 70 detects the dust on the movement path (5),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dust continues to accumulate and at the same time is full as expected.

다만, 도 5a에 도시된 로봇 청소기(10)의 실시예는 도 4a에 설명한 실시예와는 달리 먼지 감지 유닛(70)이 먼지통(60)의 입구 쪽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이다. However, the embodiment of the robot cleaner 10 illustrated in FIG. 5A is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 described in FIG. 4A so that the dust detection unit 70 may detect an inlet side of the dust container 60.

이와 같은 실시예는 먼지 감지 유닛(70)의 감지를 통해 먼지통(60)으로 유입되는 먼지의 유입 여부를 판단함과 동시에 먼지통(60)에 쌓인 먼지가 먼지통(60)에 가득 차서 흘러 넘치거나 먼지통(60) 입구 쪽에 먼지가 걸린 경우를 판단하기 위함이다(기대치 만큼 먼지가 쌓인 것은 아님). 즉, 먼지가 먼지통(60)에 쌓일 때, 먼지통(60) 안 쪽으로 먼지가 이동하지 않고 걸리거나, 먼지가 기대하는 량 만큼 쌓여 있으나 먼지 감지 유닛(70)이 이를 감지하지 못하는 형상을 이루는 경우이다. Such an embodiment determines whether the dust flowing into the dust container 60 through the detection of the dust detection unit 70 and at the same time, the dust accumulated in the dust container 60 fills the dust container 60 and overflows or flows into the dust container. (60) To determine if dust is caught at the entrance (not as much as expected). That is, when dust is accumulated in the dust container 60, the dust does not move to the inside of the dust container 60, or the dust is accumulated as much as expected, but the dust detection unit 70 has a shape that does not detect this. .

이러한 상태를 판단하는 것은, 먼지의 유입 여부와 먼지통(60)에 먼지가 기대치 만큼 쌓였음(여기서는 먼지가 먼지통(60)의 입구에 쌓여서 펄럭거리는 상태)을 구별하여 판단하는 것으로서, 후술할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먼지 감지 유닛(70)의 신호를 통해서 알 수 있다. Determining such a state is to discriminate whether or not the inflow of dust and dust accumulated in the dust container 60 as expected (in this case, the dust piled up at the inlet of the dust container 60 and fluttering),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can be seen through the signal of the dust detection unit 70 shown in Figure 8 to.

또한,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감지 유닛의 동작을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 감지 유닛의 동작을 도시한 모식도이다.In addition, Figure 4b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ust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b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ust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b 및 도 5b는 위에서 설명한 도 4a 및 도 5a의 모식도를 로봇 청소기(10) 하측에서 본 형상으로, 먼지 감지 유닛(70)이 먼지통(60)의 외부에 설치된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4B and 5B are views of the schematic diagrams of FIGS. 4A and 5A described above from the bottom of the robot cleaner 10, and show a shape in which the dust detection unit 70 is installed outside the dust container 60.

도 4b는 도 4a에 대응하는 먼지 감지 유닛(70)의 설치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즉, 먼지 감지 유닛(70)은 먼지통(60) 외부에 설치되고, 먼지 감지 유닛(70)의 발광부(71)에서 발신한 신호 중에서 수광부(72)에 도달하는 신호의 양을 통해 먼지의 유입 여부 및 먼지통(60)에 먼지가 기대치 이상이 되었는지를 판단한다.FIG. 4B shows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dust detection unit 70 corresponding to FIG. 4A. That is, the dust detection unit 70 is installed outside the dust container 60, and dust is introduced through the amount of the signal reaching the light receiving unit 72 among the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71 of the dust detection unit 70.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dust in the dust container 60 is more than expected.

도 5b는 도 5a에 대응하는 먼지 감지 유닛(70)의 설치 위치를 도시하고 있고, 먼지 감지 유닛(70)은 먼지통(60)의 입구 쪽의 먼지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제어부는 먼지의 유입 여부 및 먼지통(60)에 먼지가 걸리거나 쌓인 먼지량이 많아서 흘러 넘치는 것을 판단한다.5B illustrates an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dust detection unit 70 corresponding to FIG. 5A, and the dust detection unit 70 detects dust at an inlet side of the dust container 60, and through this,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dust is introduced.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dust container 60 is dusted or overflowed due to the large amount of accumulated dust.

다음으로, 하나의 먼지 감지 유닛(70)으로 먼지의 유입이 있는지와 먼지가 먼지통(60)에 기대치 만큼 찼음을 구별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6 내지 도 8를 통해 설명한다. Next, a method of distinguishing whether there is an inflow of dust into one dust detecting unit 70 and that the dust is filled as expected in the dust container 6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제어부는 먼지 감지 유닛(70)의 수광부에 수신되는 빔의 수광량의 시간에 따른 소정의 패턴을 통해, 드럼 브러시 유닛(50)을 통하여 먼지통(60)에 유입되는 먼지의 유무와 먼지통에 저장된 먼지량이 기대하는 량이 되었는지의 두 가지 정보를 구분하여 판단할 수 있다. 즉, 수광부(72)에 수신되는 하나의 신호 패턴을 가지고 두 가지 상태 중 어느 경우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controls the presence or absence of dust flowing into the dust container 60 through the drum brush unit 50 and the amount of dust stored in the dust container through a predetermined pattern according to time of the light receiving amount of the beam received at the light receiving unit of the dust detection unit 70. The two pieces of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quantity is expected can be determined separately. That 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ich of the two states with one signal pattern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72.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감지 유닛이 먼지의 유입이 있음을 감지하는 신호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과 도 8은 먼지 감지 유닛이 먼지통에 먼지가 기대치 만큼 찼음을 감지하는 신호를 도시한 그래프이다.6 is a graph illustrating a signal for detecting the inflow of dust in the dust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graphs showing a signal that the dust detection unit detects that dust is full as expected in the dust container.

먼저 도 6에 도시된 그래프는, 먼지 유로(50a)를 통해 먼지통(60)에 유입되는 먼지가 먼지 감지 유닛(70)의 감지 영역을 지나게 되는 경우, 발광부(71)에서 발신한 신호가 일시적으로 수광부(72)에 도달하지 않게 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그래프의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수광부(72)에 도달하는 신호의 강도를 나타낸다. 또한, 먼지의 크기에 따라 수광부(72)에 도달하지 않는 시간도 길어지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먼지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다.First, in the graph shown in FIG. 6, when the dust flowing into the dust container 60 through the dust flow passage 50a passes through the detection area of the dust detection unit 70,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71 is temporarily transmitted. It is shown that the light receiving portion 72 does not reach. The horizontal axis of the graph represents time,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intensity of the signal reaching the light receiving unit 72. In addition, since the time that does not reach the light receiving unit 72 also increas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ust,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size of the dust using this.

수광부(72)에서 수신되는 신호(Data)는 기본적으로 소정의 Threshold 값(Th)(제1 기준값) 보다 큰 값을 유지하면서, 먼지의 유입 시에는 순간적으로 Threshold 값 근처로 떨어졌다 올라온다. 떨어졌다가 올라오는 시간은 먼지의 크기에 비례한다. 이와 같은 먼지 감지 유닛(70)의 신호 패턴을 통해 제어부는 먼지의 유입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The signal Data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72 basically maintains a value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 (first reference value), and when the inflow of dust, the signal Data is instantaneously dropped up and down. The time of fall and rise is proportional to the size of the dust. Through the signal pattern of the dust detection unit 70, the controller may detect whether or not dust is introduced.

여기서 제1 기준값은 수광부(72)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추종하여 변화하는 값이다. 즉, 고정값이 아니라 수광부(72)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변화에 비례하여 변화하는 값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준값은 수광량의 강도 500과 600 사이에서 수신 신호(Data)의 변화에 따라 변화한다. 여기서 수광량의 강도는 먼지의 종류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reference value is a value that changes according to a signal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72. That is, it is not a fixed value but a value that changes in proportion to the change in the signal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72. As shown in FIG. 6, the first reference value change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received signal Data between the intensity 500 and 600 of the received light amount. In this case, the intensity of the received light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dust.

다음 도 7에 도시된 그래프는, 먼지가 먼지통(60)에 기대치 만큼 참으로 인해서, 먼지 감지 유닛(70)의 발광부(71)에서 발신한 신호가 수광부(72)에 도달하지 않게 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먼지가 먼지통(60)으로 계속 유입되어 쌓이게 되면, 발광부(71)에서 발신한 신호를 쌓인 먼지가 가리게 되고, 수광부(72)가 수신하는 신호의 양은 점점 줄어들다가 나중에는 급격히 감소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수신 신호의 양(Data)이 소정의 임계치인 Threshold 값(Th)(제2 기준값) 이하로 유지될 때, 먼지통(60)에 먼지가 기대치 만큼 찼다고 판단한다.Next, the graph shown in FIG. 7 shows that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71 of the dust detection unit 70 does not reach the light receiving portion 72 because the dust is true as expected in the dust container 60. It is. When the dust continues to flow into the dust container 60 and accumulates, the dust accumulated i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71 is blocked, and the amount of the signal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72 gradually decreases and then maintains a sharply reduced state. do. When the amount Data of the received signal is kept below the threshold value Th (second reference value) which is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dust container 60 is filled with the expected value.

여기서 제2 기준값은 도 6의 제1 기준값과 달리 수광부(72)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추종하여 변화하는 값이 아니다. 즉, 제2 기준값은 먼지 감지 유닛(70)의 발광부(71)와 수광부(72) 사이에 먼지가 계속 존재함으로 인해서 발광부(71)에서 발생된 빔이 수광부(72)에 거의 도달하지 못한 경우의 수광량이다.Here, unlike the first reference value of FIG. 6, the second reference value is not a value that changes by following a signal received by the light receiver 72. That is, the second reference value indicates that the beam generated in the light emitting unit 71 hardly reaches the light receiving unit 72 due to the continuous dust present between the light emitting unit 71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72 of the dust detection unit 70.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in this case.

다음 도 8에 도시된 그래프는, 먼지통(60)의 입구 쪽을 감지하도록 먼지 감지 유닛(70)을 설치한 경우의 그래프이다. 도 7의 그래프와 비교해 보면, 도 7의 그래프를 나타내는 먼지 감지 유닛(70)의 설치 위치는 먼지통(60)에 쌓이는 먼지의 양이 기대하는 양에 도달한 것을 감지하는 위치이고, 도 8의 그래프를 나타내는 먼지 감지 유닛(70)의 설치 위치는 먼지통(60)에 쌓이는 먼지의 양이 기대하는 양에 도달한 것을 감지하는 위치인 동시에 먼지통(60)의 입구에 먼지가 흘러 넘치거나 입구(먼지통의 문턱 부분)에 먼지가 걸려서 펄럭거리는 것을 감지하는 위치이다.Next, the graph shown in FIG. 8 is a graph when the dust detection unit 70 is installed to detect the inlet side of the dust container 60. Compared with the graph of FIG. 7,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dust detection unit 70 which shows the graph of FIG. 7 is a position which detects that the quantity of dust accumulate | stored in the dust container 60 has reached the anticipated quantity, The graph of FI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dust detection unit 70 is a position that detects that the amount of dust accumulated in the dust container 60 has reached the expected amount, and at the same time, the dust flows to the inlet of the dust container 60, or It is a position to detect flapping due to dust caught on the threshold part.

즉, 먼지통(60) 입구에 먼지 감지 유닛(70)이 위치할 경우에 감지되는 수광량의 시간에 따른 그래프는, 도 7에 도시된 그래프 뿐만 아니라 도 8에 도시된 그래프를 포함할 수 있다. That is, the graph according to the time of the received light amount detected when the dust detection unit 70 is located at the inlet of the dust container 60 may include not only the graph shown in FIG. 7 but also the graph shown in FIG. 8.

먼지가 먼지통(60)에 먼지가 가득 차서 먼지통(60) 밖으로 흘러 나오거나 먼지가 먼지통(60) 입구에 걸려서 펄럭거리는 경우에는, 수광부(72)에서 수신하는 수광량 신호(Data)가 소정의 값인 Threshold 값(Th)(제3 기준값) 이하로 떨어지지는 않으나, 먼지 유입 시에 나타나는 신호(도 6에 도시된 신호)가 소정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즉, 수광부(72)에서 수니되는 빔의 수광량이 소정 시간 동안 제3 기준값 이하로 감소하였다고 원상태로 복귀하는 현상이 반복된다. 이러한 경우는 먼지통(60)에 먼지가 가득찬 경우는 아니나, 클리닝의 효율이 감소하는 경우이므로 역시 먼지통(60)을 비워야 할 상황으로 판단할 필요가 있다.When the dust is filled in the dust container 60 and flows out of the dust container 60, or when the dust is caught by the dust container 60 entrance and flutters, the received light quantity signal Data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72 is a threshold value that is a predetermined value. Although not falling below the value Th (third reference value), a signal (signal shown in FIG. 6) appearing at the time of dust inflow appears repeatedly for a predetermined time. That is, the phenomenon of returning to the original state is repeated when the light receiving amount of the beam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portion 72 has decreased below the third reference value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is case, the dust container 60 is not filled with dust, but since the cleaning efficiency is reduced,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at the dust container 60 should be emptied.

도 8에 도시된 시간에 따른 수광부(72)의 수광량의 변화를 살펴보면, 소정의 시간인 2000 Tick(1 Tick은 2ms임) 동안에 제3 기준값 이하의 수광량 값이 4번 나타났다. 즉, 한 구역을 청소하는 소정의 시간 동안에 먼지의 유입이 있다가 없다가 한 것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실제로 이 경우는 그 구역에 먼지는 없으나 먼지가 문턱 주변에 먼지가 걸려서 펄럭거리거나 흘러넘치는 경우라고 판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change in the light receiving amount of the light receiving unit 72 according to the time shown in FIG. 8, the light receiving amount value below the third reference value appeared four times during the predetermined time of 2000 ticks (1 tick is 2ms). In other words, since it indicates that there is no dust inflow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cleaning a zone, in this case, there is no dust in the zone, but it is determined that dust is fluttering or overflowing due to the dust around the threshold. can do.

여기서 제3 기준값은 수광부(72)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추종하여 변화하는 값이다. 즉, 고정값이 아니라 수광부(72)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변화에 비례하여 변화하는 값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기준값은 수광량의 강도 500과 600 사이에서 시간에 따른 수신 신호(Data)의 변화에 따라 변화한다.Here, the third reference value is a value that changes following the signal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72. That is, it is not a fixed value but a value that changes in proportion to the change in the signal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72. As shown in FIG. 8, the third reference value change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received signal Data with time between the intensity 500 and 600 of the received amount of light.

이와 같이 수광부(72)에서 수신하는 신호(Data)가 소정 시간 또는 소정 횟수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먼지 유입 감지 신호와 유사한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 먼지통(60) 입구 쪽에 먼지가 흘러 넘치거나 입구 쪽에 먼지가 걸려서 펄럭거리고 있는 것으로서 먼지통(60)에 먼지가 기대치 만큼 찬 것과 마찬가지로 먼지통(60)을 비워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이다.As such, when the data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72 includes a signal similar to the dust inflow detection signal that appears repeatedly at a predetermined time 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dust flows to the inlet side of the dust container 60 or dust on the inlet side. It is a case where it is necessary to empty the dust container 60 as if it is caught and fluttering as if the dust container 60 was cold as expected.

다음으로, 먼지 감지 유닛(70)을 통해 판단할 수 있는 먼지의 유입 여부와 먼지통(60)에 먼지가 기대하는 량 만큼 찼는지를 기초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0)가 청소 주행하는 과정 및 먼지 감지 유닛(70)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대처하는 로봇 청소기(10) 제어에 관해 도 9a 내지 도 11을 통해 설명한다.Next, the robot clean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eans the dust based on whether the dust can be determined through the dust detection unit 70 and whether the dust is filled in the dust container 60 as much as expected. 9A to 1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A to 11 to control the robot cleaner 10 in response to a process of traveling and a case where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dust detection unit 70.

먼저 청소 주행 과정을 설명한다.First, the cleaning driv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로봇 청소기(10)의 청소 주행 패턴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로봇 청소기(10)는 지그재그(zigzag) 방식과 랜덤(random) 방식, 나선(spiral) 방식, 벽면 추종(wall following)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주행할 수 있다. 비전 시스템을 이용하여 로봇 청소기(10)의 위치 정보를 인식하고, 청소 영역에 대한 맵을 생성하여 정해진 경로를 따라 주행할 수 있다.The cleaning driving pattern of the robot cleaner 1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robot cleaner 10 may have a zigzag method, a random method, a spiral method, and a wall following. You can travel in a variety of ways, including. The vision system may recogniz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obot cleaner 10, generate a map of the cleaning area, and travel along a predetermined path.

또한, 로봇 청소기(10)가 청소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로봇 청소기(10)의 주행 패턴을 변경할 수 있다. 즉, 먼지 감지 유닛(70)에서 신호를 받아 청소 영역을 먼지가 유입되는 영역과 먼지가 유입되지 않는 영역으로 구별하여 청소 임무를 다르게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봇 청소기(10)가 지그재그 방식 또는 랜덤 방식과 같이 임의의 방향으로 주행하는 동안 먼지 감지 유닛(70)이 먼지 유입을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는 로봇 청소기(10)가 먼지가 유입되는 영역에서 나선(spiral) 방식으로 주행하도록 할 수 있고, 브러시 유닛(51)의 회전량을 증가시키거나 송풍 유닛(52)의 흡입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iving pattern of the robot cleaner 10 may be changed so that the robot cleaner 10 performs the cleaning efficiently. That is, by receiving the signal from the dust detection unit 70, the cleaning area may be divided into a region into which dust flows in and a region into which dust does not flow, thereby performing a different cleaning task. For example, when the dust detection unit 70 detects dust inflow while the robot cleaner 10 runs in a random direction such as a zigzag or random method,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robot cleaner 10 to introduce dust. The area may be driven in a spiral manner, and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brush unit 51 may be increased or the amount of suction of the blower unit 52 may be increased.

한편, 로봇 청소기(10)가 정해진 맵을 따라 주행하는 동안 먼지 감지 유닛(70)이 먼지 유입을 감지하는 경우에, 제어부는 맵을 수정하여 먼지가 유입되는 영역에서 반복 주행하도록 할 수 있고, 주행 간격이 좁아지도록 맵의 간격을 더욱 촘촘하게 수정 할 수 있다. 또한, 브러시 유닛(51)의 회전량을 증가시키거나 송풍 유닛(52)의 흡입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주행 속도도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먼지가 감지된 영역은 우선 순위를 두어 먼저 청소하고 먼지가 감지되지 않은 영역을 나중에 청소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ust detection unit 70 detects the inflow of dust while the robot cleaner 10 travels along the predetermined map, the controller may modify the map to repeatedly travel in the area where the dust is introduced and travel. You can refine the map's spacing to make it narrower. In addition,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brush unit 51 may be increased or the amount of suction of the blowing unit 52 may be increased, and the traveling speed may also be changed. Also, areas where dust is detected can be prioritized to clean first and areas where dust is not detected later.

이를 통해 먼지 감지 유닛(70)은 먼지 유입 여부(또는 먼지 유입량)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를 구비하는 로봇 청소기(10)는 먼지가 유입되는 영역과 먼지가 유입되지 않는 영역을 구별함으로써 청소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고, 먼지가 많은 영역과 먼지가 적은 영역을 구별하여 청소함으로써 청소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청소 시간을 줄일 수 있다.Through this, the dust detection unit 70 may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dust is introduced (or dust inflow amount). The robot cleaner 10 having the same may further increase the cleaning efficiency by distinguishing an area where dust is introduced and an area where no dust is introduced, and increasing the cleaning efficiency by distinguishing and cleaning a large dusty area and a small dusty area. Can reduce the cleaning time.

다음으로 먼지 감지 유닛(70)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로봇 청소기(10)를 제어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process of controlling the robot cleaner 10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dust detection unit 70 will be described.

도 9a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감지 유닛(70)이 먼지 유입 시 정상 동작을 하지 않는 경우에 로봇 청소기의 청소 수행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감지 유닛(70)이 먼지통(60)에 먼지가 기대하는 량 만큼 찼는지를 감지하고 메인터넌스 스테이션(미도시)에 복귀하여 자동배출을 수행한 후, 먼지 감지 유닛(70) 이상 여부에 따른 로봇 청소기(10)의 청소 수행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9A to 10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process of cleaning the robot cleaner when the dust detection unit 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operate normally when dust is introduced, and FIG. 11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dust detection unit 70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dust detection unit 70 detects whether the dust in the dust container 60 is full, and returns to the maintenance station (not shown) to perform automatic discharge A flowchart illustrating a cleaning process of the robot cleaner 10 is shown.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 감지 유닛(70)이 먼지 유입 시 정상 동작을 하지 않는 경우의 로봇 청소기(10) 제어 과정을 설명한다. First, as shown in FIG. 9, 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robot cleaner 10 when the dust detection unit 70 does not operate normally when dust is introduced will be described.

도9a는 청소 주행 중에(100) 먼지의 유입이 있는지 판단하고(110), 먼지 감지 유닛(70)에 의해 먼지의 유입이 감지되면 먼지의 유입이 있는 영역을 소정의 패턴으로 정밀하게 청소하거나 반복적으로 그 영역을 청소한다(120). 패턴 청소나 반복 청소 중에도 먼지의 유입 여부를 계속 감지하고(130), 먼지의 유입이 없으면 일반 청소 주행 단계(100)로 복귀하여 다른 영역으로 이동하여 계속 청소한다. 먼지의 유입이 계속 있으면, 패턴/반복 청소 횟수 또는 시간을 카운트한다(140). 이는 패턴/반복 청소가 이루어지는 것이 먼지의 유입이 계속 있어서 인지, 아니면 먼지 감지 유닛(70)에 이상(오류)이 있어서 인지를 판단하기 위함이다.FIG. 9A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 inflow of dust during the cleaning run (100) (110), and when the inflow of dust is detected by the dust detection unit 70, the area in which the inflow of dust is precisely cleaned or repeatedly repeat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Clean the area with (120). During the pattern cleaning or repeated cleaning, whether the inflow of dust is continuously detected (130), and if there is no inflow of dust, the process returns to the normal cleaning driving step 100 and moves to another area to continue cleaning. If the inflow of dust continues, the pattern / repeated cleaning frequency or time is counted 140. This is to determine whether the pattern / repeated cleaning is performed because the inflow of dust continues or if there is an error (error) in the dust detection unit 70.

패턴/반복 청소의 횟수 또는 시간이 소정의 설정된 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150). 만약 패턴/반복 청소의 횟수 또는 시간이 소정의 설정된 값 미만이면 현재 청소 영역에 먼지가 계속 유입되고 있는 것이므로, 현재 청소 영역을 패턴/반복 청소하는 단계 120으로 이동한다. 만약 패턴/반복 청소의 횟수 또는 시간이 소정의 설정된 값 이상이면 먼지가 유입되지 않으면서도 계속 패턴/반복 청소를 수행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먼지 감지 유닛(70)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따라 먼지 감지 유닛(70)의 이상을 사용자에게 알린다(160). 먼지 감지 유닛(70)의 이상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은 로봇 청소기(10)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통해 알릴 수 있고 또는 디스플레이부(14)를 통해 시각적으로 알릴 수 있다.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umber or time of the pattern / repeated cleaning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et value (150). If the number or time of the pattern / repeated cleaning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since the dust is continuously introduced into the current cleaning area, the process moves to step 120 of pattern / repeating cleaning the current cleaning area. If the number or time of the pattern / repeated cleaning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sinc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pattern / repeated cleaning is continuously performed without dust flowing i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n error in the dust detection unit 70 and accordingly The user of the abnormality of the dust detection unit 70 is notified 160. Notifying the user of the abnormality of the dust detection unit 70 may be notified through a sound generated by the robot cleaner 10 or may be visually notified through the display unit 14.

또한, 도9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도 9a와 달리 패턴/반복 청소의 횟수 또는 시간이 소정의 값 이상의 값을 가지면 패턴/반복 청소하는 일정 구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탈출하여 청소 주행을 수행한다. 이는 도 9a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바로 먼지 감지 유닛(70)의 이상을 사용자에게 알리지 않고, 일단 패턴/반복 청소 영역을 벗어나 다른 청소 영역에 대해 청소를 수행하고, 다른 청소 영역의 경우에도 패턴/반복 청소의 횟수 또는 시간이 소정의 값 이상이면 사용자에게 먼지 감지 유닛(70)의 이상을 알려서, 먼지 감지 유닛(70)의 이상을 좀 더 정확하게 체크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9b, unlike in Figure 9a, if the number or time of the pattern / repeated cleaning has a value or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to escape to a different area in a certain area of the pattern / repeated cleaning Perform a cleaning run. Unlike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A, this does not immediately inform the user of the abnormality of the dust detection unit 70, but performs cleaning for other cleaning areas beyond the pattern / repeated cleaning area, and for other cleaning areas. When the number or time of the pattern / repeated cleaning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user is notified of the abnormality of the dust detection unit 70, so as to more accurately check the abnormality of the dust detection unit 70.

 도 9b에 도시된 청소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청소 주행 중에 먼지의 유입이 있는지 판단하고(101, 111), 먼지 감지 유닛에 의해 먼지의 유입이 감지되면 먼지의 유입이 있는 영역을 소정의 패턴으로 정밀하게 청소하거나 반복적으로 그 영역을 청소한다(121). 패턴 청소나 반복 청소 중에도 먼지의 유입 여부를 계속 감지하고(131), 먼지의 유입이 없으면 일반 청소 주행 단계(101)로 복귀하여 다른 영역으로 이동하여 계속 청소한다. 먼지의 유입이 계속 있으면, 패턴/반복 청소 횟수 또는 시간을 카운트한다(141). 이는 패턴/반복 청소가 이루어지는 것이 먼지의 유입이 계속 있어서 인지, 아니면 먼지 감지 유닛(70)에 이상(오류)이 있어서 인지를 판단하기 위함이다.Referring to FIG. 9B, the cleaning process illustrated in FIG. 9B will first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inflow of dust during a cleaning run (101, 111). Cleaning precisely or repeatedly cleaning the area (121). During the pattern cleaning or repeated cleaning, whether the inflow of dust is continuously detected (131), and if there is no inflow of dust, the process returns to the normal cleaning driving step 101 and moves to another area to continue cleaning. If the inflow of dust continues, the pattern / repeated cleaning frequency or time is counted (141). This is to determine whether the pattern / repeated cleaning is performed because the inflow of dust continues or if there is an error (error) in the dust detection unit 70.

패턴/반복 청소의 횟수 또는 시간이 소정의 설정된 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151). 만약 패턴/반복 청소의 횟수 또는 시간이 소정의 설정된 값 미만이면 현재 청소 영역에 먼지가 계속 유입되고 있는 것이므로, 현재 청소 영역을 패턴/반복 청소하는 단계 121로 이동한다.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umber or time of pattern / repeated cleaning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set value (151). If the number or time of the pattern / repeated cleaning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since the dust is continuously introduced into the current cleaning area, the process moves to step 121 of pattern / repeating cleaning the current cleaning area.

만약 패턴/반복 청소의 횟수 또는 시간이 소정의 설정된 값 이상이면 먼지가 유입되지 않으면서도 계속 패턴/반복 청소를 수행할 가능성이 높은데, 이 때 9a와 달리, 패턴/반복 청소하는 일정 영역을 벗어나는 주행을 수행한다(161). 이후, 청소 영역을 벗어나는 주행이 소정의 시간 또는 횟수 이상인가 판단하고(171), 소정의 시간 또는 횟수 이상이면 먼지 감지 유닛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하고, 사용자에게 먼지 감지 유닛의 이상을 알린다(181). 이 경우에도 역시 소리를 통해 알리거나 또는 디스플레이부(14)를 통해 시각적으로 알릴 수 있다.If the number or time of pattern / repeating cleaning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continuing the pattern / repeating cleaning without introducing dust, but unlike 9a, driving outside a certain area of pattern / repeating cleaning Perform (161). Subsequentl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riving out of the cleaning area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or number of times (171). If the predetermined time or number of times or more is determined, the dust detecting unit is determined to be abnormal, and the user is notified of the abnormality of the dust detecting unit (181). . In this case, too, it may be notified through sound or visually informed through the display unit 14.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 감지 유닛(70)이 먼지 유입 시 정상 동작을 하지 않는 경우의 로봇 청소기(10) 제어 과정을 도 9a 및 도 9b와 차별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Next, as shown in FIG. 10, 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robot cleaner 10 when the dust detection unit 70 does not perform normal operation when dust is introduc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ortions different from those of FIGS. 9A and 9B.

도 10에 도시된 로봇 청소기 제어 과정은 도 9a 내지 도 9b와 달리, 패턴/반복 청소의 시간 또는 횟수가 소정 값 이상이면 먼지 감지 유닛(70)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하고(250), 먼지 감지 유닛(70)의 이상 유무를 검사한다(260).Unlike in FIGS. 9A to 9B, the robot cleaner control process illustrated in FIG. 10 determines that there is an error in the dust detection unit 70 when the time or number of times of pattern / repeated cleaning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250). In step 260, the abnormality of 70 is inspected.

여기서 먼지 감지 유닛(70)의 이상 유무를 검사하는 것은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일 예로,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으로 복귀한 상태에서, 로봇 청소기(10)의 드럼 브러시 유닛(50)의 동작을 멈춘 상태에서 로봇 청소기(10)를 작동시키고, 이 경우에도 먼지 감지 유닛(70)이 먼지 유입을 감지하면 먼지의 유입이 없음에도 먼지 감지 유닛(70)이 먼지의 유입을 감지하는 것이므로, 먼지 감지 유닛(70)에 이상이 있다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inspection of the abnormality of the dust detection unit 70 may be perform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in the state of returning to the maintenance station, the robot cleaner 10 is operated while the drum brush unit 50 of the robot cleaner 10 is stopped. In this case, the dust detection unit 70 also introduces dust. If it is detected that the dust detection unit 70 detects the inflow of dust even if there is no inflow of dust,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re is an error in the dust detection unit 70.

또한, 메인터넌스 스테이션과 결합한 상태가 아니라, 청소 주행을 수행하는 단계에서도 위에서 설명한 과정을 통해 먼지 감지 유닛(70)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로봇 청소기(10)를 제어하여 검사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검사 모드를 수행할 때에는, 소정의 주행 경로를 가지는 청소 주행에서 드럼 브러시 유닛(50)의 동작을 멈춘 상태에서 청소 주행을 수행한다. 즉, 검사 모드에서 먼지의 유입이 감지되면 드럼 브러시 유닛(70)의 동작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먼지의 유입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이므로, 먼지 감지 유닛(70)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an abnormality of the dust detection unit 70 may be detec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even in the step of performing the cleaning driving, not in a state of being coupled with the maintenance station. For example, the robot cleaner 10 may be controlled to switch to the inspection mode. When the inspection mode is performed, the cleaning run is performed while the operation of the drum brush unit 50 is stopped in the cleaning run having a predetermined travel path. That is, when the inflow of dust is detected in the inspection mode, sinc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inflow of dust despite the absence of the operation of the drum brush unit 70,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dust detection unit 70. .

즉, 먼지 감지 유닛(70)에 이상이 있는지 검사하는 경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에 복귀한 상태 또는 일반 청소 주행 상태에서 모두 가능하다.That is, when inspecting whether the dust detection unit 70 has an abnormality, it is possible to return to the maintenance station or the general cleaning driving state.

또한, 이상에서 살펴본 먼지 감지 유닛(70)의 이상 유무 판단은, 먼지 감지 유닛(70) 자체에 포함된 제어부를 통해 이루어지거나 또는 별도로 구비되는 제어부가 먼지 감지 유닛(70)을 통해 감지되는 신호를 전송받아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determination of the abnormality of the dust detection unit 70 may be performed through a control unit included in the dust detection unit 70 itself, or a control unit provided separately may detect a signal detected through the dust detection unit 70. Can be made by receiving.

이상 유무의 판단 결과, 이상이 없으면 다시 청소 주행 단계(200)로 복귀하고, 이상이 있으면 사용자에게 먼지 감지 유닛(70)의 이상을 알린다(270, 280).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abnormality, if there is no abnormality, the process returns to the cleaning driving step 200 again, and if there is an abnormality, the user is notified of the abnormality of the dust detection unit 70 (270 and 280).

또한, 먼지통(60)을 비운 뒤에 위와 같은 먼지 감지 유닛(70)의 이상을 검사할 수 있다. 즉,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으로 복귀 후 자동먼지배출 과정을 거친 후 먼지 감지 유닛의 이상 유무를 검사한다. 검사 후 이상이 있으면 사용자에게 소리 등으로 알릴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dust container 60 is empty, the abnormality of the dust detection unit 70 may be inspected. In other words, after returning to the maintenance station, the dust is discharged automatically and the dust detection unit is inspected. If there is a problem after the test, the user can be notified by sound.

마지막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 감지 유닛(70)이 먼지통(60)에 기대치 만큼의 먼지가 있는지 감지하는데 있어서 정상 동작을 하지 않는 경우에 로봇 청소기 제어 과정을 설명한다.Finally, as shown in FIG. 11, the robot cleaner control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the case where the dust detection unit 70 does not operate normally in detecting whether the dust container 60 has the expected amount of dust.

로봇 청소기(10)가 청소 주행 중에(300), 먼지통(60)이 기대하는 먼지량을 먼지 감지 유닛(70)이 감지하는 경우에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으로 복귀해서 먼지통(60)을 비우고, 기대하는 먼지량을 감지하지 않는 경우에는 계속 청소 주행을 수행한다(310, 320). 기대하는 먼지량을 감지하여 자동 배출을 수행하여 먼지통(60)을 비운 다음에(330), 먼지 감지 유닛의 이상 유무를 검사한다(340). 먼지 감지 유닛의 이상 유무 검사는 도 10에서 설명한 내용과 같다. 만약 먼지 감지 유닛(70)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유지 보수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알린다(350, 360). 만약 먼지 감지 유닛(70)에 이상이 없는 경우에는 청소 주행 단계인 300으로 이동하여 일반 청소 주행을 계속 수행한다.When the robot cleaner 10 detects the amount of dust expected by the dust container 60 during the cleaning driving operation 300, the dust cleaner 60 returns to the maintenance station to empty the dust container 60 and detects the expected amount of dust. If not, the cleaning operation is continued (310, 320). After detecting the expected amount of dust and performing automatic discharge to empty the dust container 60 (330), and checks the abnormality of the dust detection unit (340). The abnormality detection of the dust detection unit is the same as the cont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If there is an error in the dust detection unit 70 to notify the user to maintain it (350, 360). If there is no abnormality in the dust detection unit 70, the process moves to 300, which is the cleaning driving step, and continues the normal cleaning driving.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dust detection unit and a robot cleaner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에 설치되는 먼지 감지 유닛의 다양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12 to 14 illustrate various forms of the dust detection unit installed in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반사부(77)를 더 포함하는 먼지 감지 유닛(70)의 구조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먼지 감지 유닛(70)은 발광부(71)와 수광부(72) 외에도 반사 또는 굴절부(77)를 더 포함하는데, 반사 또는 굴절부(77)는 발광부(71)에서 발신한 신호를 반사시켜 신호의 이동 경로를 원하는 방향으로 변경한다. 여기서, 반사부 또는 굴절부(77)는 렌즈, 거울 등 여러 가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신호를 반시키는 것 외에도 신호를 굴절시키는 형태를 포함한다. 즉, 반사 또는 굴절부(77)는 신호를 반사시켜 이동 경로를 변경할 수도 있고, 신호를 굴절시켜 신호의 이동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1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ust detection unit 70 further including a reflector 77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 detection unit 70 further includes a reflection or refraction unit 77 in addition to the light emission unit 71 and the light reception unit 72. The reflection or refraction unit 77 reflect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ight emission unit 71. Change the movement path of the signal in the desired direction. Here, the reflecting unit or the refraction unit 77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lens, a mirror, and includes a form of refracting the signal in addition to the half of the signal. That is, the reflection or refraction unit 77 may reflect the signal to change the movement path, or may refrac the signal to change the movement path of the signal.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반사부 또는 굴절부(77)가 다른 각도로 발신 시호를 반사시키는 먼지 감지 유닛의 구조(70)를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먼지 감지 유닛의 구조(70)를 도시한 모식도이다.FIG. 1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ructure 70 of a dust detection unit in which a reflector or refracting unit 77 reflects a transmission signal at different angles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structure 70 of the dust detection unit which is an example.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먼지 감지 유닛(70)은  반사부(77)를 포함한다. 이러한 다양한 반사 또는 굴절부(77)를 구비한 먼지 감지 유닛(70)을 통해서, 발광부(71) 및 수광부(72)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고, 특히 대향형이 갖는 공간상의 설치 제약 조건에서 벗어날 수 있다. 즉, 발광부(71)와 수광부(72)의 설치 공간 보다 작은 공간을 차지하는 반사 또는 굴절부(77)를 두어 신호의 방향을 바꿀 수 있고, 굳이 발광부(71)와 수광부(72)를 마주보게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이를 통해, 드럼 브러시 유닛(50) 또는 하우징(54)과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는 먼지통(60)에, 공간적 제약 없이 먼지 감지 유닛(70)을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반사 또는 굴절부(77)를 통해 나오는 신호는 기구 보조물인 슬릿 또는 경통판(미도시)에 의해 제한되거나 조절되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반사 또는 굴절부(77)는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발광부(71)에서 발신한 신호를 여러 경로를 통해 수광부(72)에 전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ust detection unit 70 illustrated in FIGS. 12 to 14 includes a X reflection unit 77. Through the dust detection unit 70 having such various reflection or refraction portions 77, the space occupied by the light emitting portion 71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72 can be reduced, and particularly in the installation constraints on the space of the opposite type. Can escape. That is, the direction of the signal can be changed by providing a reflection or refraction portion 77 that occupies a smaller space than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 71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72, so as to face the light emitting portion 71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72. You do not need to install it. Through this, the dust detection unit 70 can be freely installed in the dust container 60 installed adjacent to the drum brush unit 50 or the housing 54 without any space limitation. In addition, the signal coming out through the reflection or refraction 77 may be restricted or controlled by a slit or barrel plate (not shown) that is an instrument aid. In addition, one or more reflection or refraction units 77 may be installed to transmit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71 to the light receiving unit 72 through various path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 감지 유닛을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10)는 유입되는 먼지의 유무를 감지하거나 또는 먼지통(60)에 저장된 먼지량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이러한 반사부 또는 굴절부(77)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 감지 유닛(70)이 먼지의 유입 여부와 먼지통(60)에 저장된 먼지량을 함께 감지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먼지의 유입 여부 또는 먼지량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bot cleaner 10 including the dust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incoming dust or the amount of dust stored in the dust container 60. That is, in the dust detection unit and the robot cleaner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reflector or the refractive unit 77, the dust detection unit 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case of detecting whether the inflow and the amount of dust stored in the dust box 60, it may be applied to the case of detecting any one of the inflow or dust amount of dust.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청소 과정을 도 15 내지 도 16을 통해 설명한다. 도 15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청소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Next, a cleaning process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5 to 16. 15 to 16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cleaning process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청소 과정은 로봇 청소기(1)에 구비되는 먼지 감지 유닛(70)에 의해 감지된 먼지 유입 신호를 기초로 먼지량을 판단하고, 판단된 먼지량을 기설정된 두 개 이상의 기준값과 비교하여 청소의 강도가 다른 단계별 청소를 수행한다.The cleaning process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amount of dust on the basis of the dust inflow signal detected by the dust detection unit 70 provided in the robot cleaner 1, and presets the determined amount of dust. Stepwise cleaning is performed with different cleaning strengths compared to two or more reference values.

먼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는 청소 주행을 수행한다(400). 청소 주행 중에 먼지 감지 유닛(70)이 먼지의 유입을 감지하면,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먼지통(60)에 유입되는 먼지량을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먼지 감지 유닛(70)에 포함되는 발광부(71)에서 발신된 빔이 수광부(72)에서 얼마나 수신되었지를 기준으로 먼지통(60)에 유입되는 먼지량을 판단한다(410).First, as shown in FIG. 15, the robot cleaner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cleaning run (400). When the dust detection unit 70 detects the inflow of dust during the cleaning run, the amount of dust flowing into the dust container 60 is determined based on the detected signal. Specifically, the amount of dust flowing into the dust container 60 is determined based on how much the beam transmitted from the light emitter 71 included in the dust detection unit 70 is received by the light receiver 72 (410).

다음으로, 판단된 먼지량을 기설정된 두 개 이상의 기준값과 비교한다(420). 이러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청소의 강도가 각기 다른 단계별 청소를 수행한다(430).Next, the determined amount of dust is compared with two or more preset reference values (420).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the cleaning is performed in stages having different cleaning strengths (430).

보다 자세하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청소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 16에 도시된 청소 과정을 설명한다.In more detail, the cleaning process illustrated in FIG. 16 will be described to explain the cleaning process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먼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는 청소 주행을 수행한다(500). 청소 주행 중에 먼지 감지 유닛(70)이 먼지의 유입을 감지하면,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먼지통(60)에 유입되는 먼지량을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먼지 감지 유닛(70)에 포함되는 발광부(71)에서 발신된 빔이 수광부(72)에서 얼마나 수신되었지를 기준으로 먼지통(60)에 유입되는 먼지량을 판단한다(510).First, as shown in FIG. 16, the robot cleaner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cleaning run (500). When the dust detection unit 70 detects the inflow of dust during the cleaning run, the amount of dust flowing into the dust container 60 is determined based on the detected signal. In detail, the amount of dust flowing into the dust container 60 is determined based on how much the beam transmitted from the light emitter 71 included in the dust detection unit 70 is received by the light receiver 72 (510).

다음으로, 판단된 먼지량(a)을 기설정된 제1기준값(b) 및 제2기준값(c)과 비교한다(520). 이는 도 15에서 살펴본 로봇 청소기(1)의 제어과정에서 기설정된 두 개 이상의 기준값이 두 개인 경우이다.Next, the determined dust amount (a) is compared with the first reference value (b) and the second reference value (c) which are preset (520). This is the case in which two or more preset reference values are two in the control process of the robot cleaner 1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5.

만약 판단된 먼지량(a)이 제1기준값(b) 이하이면 청소의 강도가 낮은 제1단계 청소를 수행하고(531, 541), 판단된 먼지량(a)이 제1기준값(b)을 초과하여 제2기준값(c) 이하이면 청소의 강도가 중간인 제2단계 청소를 수행하고(533, 543)), 판단된 먼지량(a)이 제2기준값(c)을 초과하면 제3단계 청소를 수행한다(545).If the determined amount of dust (a)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reference value (b), the first stage of cleaning with low cleaning intensity is performed (531, 541), and the determined amount of dust (a) exceeds the first reference value (b). When the second reference value (c)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cond cleaning step (533, 543) of medium cleaning intensity, if the determined dust amount (a) exceeds the second reference value (c), the third step cleaning is performed. (545).

여기서 제1단계 내지 제3단계 청소를 구분하는 청소의 강도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즉, 로봇 청소기(1)의 드럼 브러시, 사이드 브러시의 회전수의 조절로 청소의 강도를 조절하거나, 로봇 청소기(1)의 흡입력의 조절로 청소의 강도를 조절하거나, 해당 영역을 반복적으로 청소하도록 주행 경로를 조절하여 청소의 강조를 조절하거나, 해당 영역의 주행 패턴을 변경하여 청소의 강도를 조절하거나, 해당 영역에 대한 청소 주행 유무로 청소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Here, the strength of cleaning to distinguish the first to third stage cleaning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That is, to adjust the cleaning intensity by adjust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drum brush and the side brush of the robot cleaner 1, or to adjust the cleaning intensity by adjusting the suction force of the robot cleaner 1, or to repeatedly clean the area. The driving path may be adjusted to adjust the emphasis of cleaning, or the driving pattern of the corresponding area may be adjusted to adjust the cleaning intensity, or the cleaning intensity may be adjusted with or without cleaning driving to the corresponding area.

구체적으로 도 16의 청소 과정의 경우에, 제1기준값은 먼지량이 적은(또는 먼지의 무게가 가벼운) 경우의 기준값(민감)이고, 제2기준값은 먼지량이 많은(또는 먼지의 무게가 무거운) 경우의 기준값(둔감)이다. Specifically, in the cleaning process of FIG. 16, the first reference value is a reference value (sensitive) when the amount of dust is small (or light weight of dust), and the second reference value is a case where the amount of dust (or heavy weight of dust) is high. Is the reference value of dullness.

이를 기초로 판단된 청소의 강도가 낮은 제1단계 청소는 드럼 브러시, 사이드 브러시의 회전수를 작게 하거나, 흡입력을 약하게 하거나, 반복 청소 주행의 횟수를 작게 한다.The first stage cleaning with low cleaning strength determined based on this reduces the rotation speed of the drum brush and the side brush, reduces the suction force, or reduces the number of repeated cleaning runs.

또한, 청소의 강도가 높은 제3단계 청소는 드럼 브러시, 사이드 브러시의 회전수를 크게 하거나, 흡입력을 강하게 하거나, 반복 청소 주행의 횟수를 크게 한다.Further, the third stage cleaning with high cleaning intensity increases the rotation speed of the drum brush and the side brush, increases the suction force, or increases the number of times of repeated cleaning runs.

또한, 청소의 강도가 중간인 제2단계 청소는 드럼 브러시, 사이드 브러시의 회전수 또는 흡입력 또는 반복 청소 주행의 횟수를 제1단계 청소와 제3단계 청소의 중간으로 한다.In the second stage cleaning with a medium cleaning intensity, the rotation speed or suction force of the drum brush, the side brush, or the number of times of the repeated cleaning run are made between the first stage cleaning and the third stage cleaning.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두 개의 기준값을 기초로 단계별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데, 청소 환경에 따라 여러 개의 기준값을 설정하여 단계별 청소를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stepwise cleaning may be performed based on two reference values. Of course, stepwise cleaning may be performed by setting a plurality of reference values according to the cleaning environment.

위의 세 가지 청소 단계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한 후에는 다시 먼지 감지 유닛(70)을 통해 먼지통(60)에 먼지의 유입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550).After performing any one of the above three cleaning step it is again determined whether the inflow of dust in the dust container 60 through the dust detection unit 70 (550).

만약 먼지의 유입이 있으면 다시 먼지량을 판단하는 단계 510으로 복귀하고, 먼지의 유입이 없으면 다른 영역으로 청소 주행을 시작하는 단계 500으로 복귀한다.If there is an inflow of dust, the process returns to step 510 in which the amount of dust is determined again. If there is no inflow of dust, the process returns to step 500 in which cleaning runs to another area.

10: 로봇 청소기                        20: 구동부
30: 클리닝부                           40: 사이드 브러시
50: 드럼 브러시 유닛                   60: 먼지통
70: 먼지 감지 유닛                     71: 발광부
72: 수광부                             77: 반사부 또는 굴절부
10: robot cleaner 20: drive unit
30: cleaning unit 40: side brush
50: drum brush unit 60: dust bucket
70: dust detection unit 71: light emitting unit
72: light receiving portion 77: reflecting portion or refracting portion

Claims (24)

본체;
상기 본체를 주행시키는 구동부;
상기 본체에 마련되고, 브러시와 회전 드럼을 통해 먼지를 쓸어 올리는 드럼 브러시 유닛;
상기 드럼 브러시 유닛을 통하여 쓸어 올려진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
클리닝을 수행하면서 상기 드럼 브러시 유닛을 통해 상기 먼지통에 유입되는 먼지의 유무를 감지하는 먼지 감지 유닛;
상기 먼지 감지 유닛을 통해 감지된 먼지의 유무를 통해 상기 먼지통에 먼지가 유입되고 있는지 여부와 상기 먼지통에 유입되는 먼지가 쌓여서 기대하는 량이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main body;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main body;
A drum brush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sweeping up dust through a brush and a rotating drum;
A dust container for storing dust swept up through the drum brush unit;
A dust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dust flowing into the dust container through the drum brush unit while performing cleaning;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dust is introduced into the dust container through the presence or absence of dust detected by the dust detection unit, and whether or not the dust flowing into the dust container has been accumulated and expe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감지 유닛은,
빔을 발신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신된 빔을 수신하는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광부에 수신되는 상기 빔의 수광량에 따라, 상기 먼지통에 먼지가 유입되고 있는지 여부와 상기 먼지통에 유입되는 먼지가 쌓여서 기대하는 량이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로봇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dust detection unit,
It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a beam and a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transmitted beam,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dust is introduced into the dust container and whether the dust flowing into the dust container has accumulated according to the received light amount of the beam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광부에 수신되는 수광량의 시간에 따른 소정의 패턴을 기초로, 상기 먼지통에 먼지가 유입되고 있는지 여부와 상기 먼지통에 유입되는 먼지가 쌓여서 기대하는 량이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로봇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dust is introduced into the dust container and whether the dust flowing into the dust container has been accumulated and expected based on a predetermined pattern according to time of the light receiving amoun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광부에 수신되는 상기 빔의 수광량이 소정 시간 동안 제1 기준값 이하로 감소하였다가 원 상태로 복귀하면
상기 먼지통에 먼지가 유입되고 있다고 판단하는 로봇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ler may reduce the light receiving amount of the beam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to a first reference value or less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A robot cleaner that determines that dust is introduced into the dust contain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빔의 수광량이 감소하여 제2 기준값 이하로 유지되면 상기 먼지통에 먼지가 기대하는 량이 되었다고 판단하는 로봇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And a robot cleaner which determines that the amount of dust is expected in the dust container when the light receiving amount of the beam decreases and remains below a second reference valu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광부에 수신되는 상기 빔의 수광량이 소정 시간 동안 제3 기준값 이하로 감소하였다가 원 상태로 복귀하는 현상이 반복되면 상기 먼지통의 유입구에 먼지가 끼여 있거나 먼지가 흘러 넘치고 있다고 판단하는 로봇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light receiving amount of the beam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decreases below a third reference value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and the robot determines that dust is in the inlet of the dust container or dust is overflowing. vacuum clean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와 수광부는,
상기 먼지가 유입되는 유입로와 상기 먼지통에 쌓이는 먼지가 기대하는 량이 되는 소정의 경로가 교차하는 지점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로봇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And a robot cleaner positioned opposite to a point at which a predetermined path, the inflow path into which the dust flows and the dust accumulated in the dust container, is expected to cros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통은 상기 발광부에서 발신한 빔이 투과하여 상기 수광부에서 수신되게 상기 빔이 통과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로봇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dust container is a robot cleaner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pass through the beam trans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to be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와 수광부는
상기 유입되는 먼지가 다시 튀어 나오거나 상기 먼지통에 쌓인 먼지가 흘러 넘치는 상기 먼지통의 문턱 높이 또는 문턱 높이 보다 높은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는 로봇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light emitting portion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And a robot cleaner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higher than the threshold height or the threshold height of the dust bucket overflowing the dust again or the dust accumulated in the dust bucke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통의 문턱 높이 또는 문턱 높이 보다 높은 소정의 위치는 상기 먼지통 쪽에 위치하는 로봇 청소기.
10. The method of claim 9,
A predetermined position higher than the threshold height or the threshold height of the dust container is located on the dust container sid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통의 문턱 높이 보다 높은 소정의 위치는,
상기 먼지통의 문턱과 상기 먼지통의 천정 사이에 있고 상기 문턱쪽에 더 가까운 곳인 로봇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0,
The predetermined position higher than the threshold height of the dust container,
And a robot cleaner between the threshold of the dust bin and the ceiling of the dust bin and closer to the threshol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먼지 감지 유닛이 먼지를 감지하는 영역과 먼지를 감지하지 않는 영역을 구별하고, 상기 먼지를 감지하는 영역을 반복적으로 또는 소정의 패턴으로 청소하도록 제어하는 로봇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is a robot cleaner for controlling the dust detection unit to distinguish the area for detecting the dust and the area for not detecting the dust, and to clean the area for detecting the dust repeatedly or in a predetermined patter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먼지 감지 유닛에 오류가 발생하여 계속 소정 영역을 반복하여 청소하는 경우에,
 상기 소정 영역을 반복하여 청소하는 횟수 또는 시간이 소정의 값 이상일 때, 상기 먼지 감지 유닛이 상기 반복적으로 청소하는 영역을 벗어나는 주행을 하도록 제어하는 로봇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ntrol unit,
When an error occurs in the dust detection unit and continues to clean a predetermined area repeatedly,
And the dust detection unit controls to move out of the region to be repeatedly cleaned when the number or time of repeatedly cleaning the predetermined reg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감지 유닛에 발생하는 오류를 검사하기 위해 복귀하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먼지 감지 유닛에 오류가 발생하여 먼지가 없음에도 계속 소정 영역을 반복적으로 청소하는 경우에, 상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으로 복귀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상기 먼지 감지 유닛의 오류를 알리는 로봇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3,
And a maintenance station returning to check an error occurring in the dust detection unit.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o return to the maintenance station or notifies the user of an error of the dust detection unit when the dust detection unit generates an error and continuously cleans a predetermined area even when there is no dus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먼지 감지 유닛에 의해서 먼지가 상기 먼지통에 먼지가 기대하는 량이 되었다고 판단되거나 상기 먼지통의 유입구에 먼지가 끼여 있거나 먼지가 흘러 넘치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먼지통을 비우도록 제어하는 로봇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emptying of the dust container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dust detection unit that the amount of dust is expected in the dust container or when the dust inlet or dust is overflowing in the inlet of the dust containe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통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유동을 만들어 상기 먼지통을 비우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으로 복귀하도록 제어하는 로봇 청소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a maintenance station for emptying the dust container by creating a flow for sucking air from the dust container.
The control unit is a robot cleaner for controlling to return to the maintenance station.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먼지 감지 유닛에 오류가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먼지통의 먼지량이 기대하는 량 이상인 경우이거나 상기 먼지통의 유입구에 먼지가 끼여 있거나 먼지가 흘러 넘치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으로 복귀하도록 제어하는 로봇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6,
The control unit,
A robot cleaner which controls to return to the maintenance station when an error occurs in the dust detection unit or when the amount of dust in the dust container is greater than an expected amount, or when dust is caught in the inlet of the dust container or dust is overflowing.
본체;
상기 본체를 주행시키는 구동부;
상기 본체에 마련되고, 브러시와 회전 드럼을 통해 먼지를 쓸어 올리는 드럼 브러시 유닛;
상기 드럼 브러시 유닛을 통하여 쓸어 올려진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
빔을 발신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신된 빔을 수신하는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 브러시 유닛을 통하여 유입되는 먼지의 유무를 감지하는 먼지 감지 유닛;
상기 먼지 감지 유닛을 통해 감지된 먼지의 유무를 통해 상기 먼지통에 먼지가 유입되고 있는지 여부와 상기 먼지통에 유입되는 먼지가 쌓여서 기대하는 량이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먼지 감지 유닛은,
상기 발광부에서 발신한 빔이 상기 수광부에서 수신되도록 상기 빔을 소정의 경로로 반사시키거나 또는 굴절시키는 하나 이상의 반사부 또는 굴절부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main body;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main body;
A drum brush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sweeping up dust through a brush and a rotating drum;
A dust container for storing dust swept up through the drum brush unit;
It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a beam and a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transmitted beam,
A dust detecting unit detecting a presence or absence of dust flowing through the drum brush unit;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dust is introduced into the dust container through the presence or absence of dust detected by the dust detection unit, and whether the dust flowing into the dust container has been accumulated and expected.
The dust detection unit,
And at least one reflector or refraction unit for reflecting or refracting the beam in a predetermined path so that the beam trans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is received at the light receiving unit.
빔을 발신하는 발광부;
상기 발신된 빔을 수신하는 수광부;
상기 발광부에서 발신한 빔이 상기 수광부에서 수신되도록 상기 빔을 소정의 경로로 반사시키거나 또는 굴절시키는 하나 이상의 반사부 또는 굴절부;를 포함하고,
유입되는 먼지의 유무를 감지하는 먼지 감지 유닛.
Light e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a beam;
A light receiving unit receiving the transmitted beam;
And at least one reflector or refraction unit for reflecting or refracting the beam in a predetermined path so that the beam trans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is received at the light receiving unit.
Dust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presence of incoming dust.
본체;
상기 본체를 주행시키는 구동부;
상기 본체에 마련되고, 브러시와 회전 드럼을 통해 먼지를 쓸어 올리는 드럼 브러시 유닛;
상기 드럼 브러시 유닛을 통하여 쓸어 올려진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
클리닝을 수행하면서 상기 드럼 브러시 유닛을 통해 상기 먼지통에 유입되는 먼지를 감지하는 먼지 감지 유닛;
상기 먼지 감지 유닛의 감지신호를 기초로 상기 먼지통에 유입되는 먼지량을 판단하고, 판단된 먼지량을 기설정된 두 개 이상의 기준값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로봇 청소기가 단계별 청소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main body;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main body;
A drum brush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sweeping up dust through a brush and a rotating drum;
A dust container for storing dust swept up through the drum brush unit;
A dust detecting unit detecting dust flowing into the dust container through the drum brush unit while performing cleaning;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the amount of dust flowing into the dust container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dust detecting unit, comparing the determined amount of dust with two or more preset reference values, and controlling the robot cleaner to perform step-by-step cleaning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Including robot cleaner.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감지 유닛은 빔을 발신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신된 빔을 수신하는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광부에 수신되는 상기 빔의 수광량에 따라 상기 먼지통에 상기 먼지통에 유입되는 먼지량을 판단하는 로봇 청소기.
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dust detection unit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a beam and a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transmitted beam,
The control unit is a robot cleaner for determining the amount of dust flowing into the dust container in accordance with the light receiving amount of the beam received in the light receiving unit.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별 청소는 상기 판단된 먼지량과 상기 두 개 이상의 기준값을 비교하여 청소의 강도를 구분하는 청소인 로봇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21,
The step-by-step cleaning is a robot cleaner for cleaning the dust to distinguish the intensity of cleaning by comparing the two or more reference values.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먼지량과 제1기준값 및 제2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판단된 먼지량이 상기 제1기준값 이하이면 제1단계 청소를, 상기 판단된 먼지량이 상기 제1기준값을 초과하고 상기 제2기준값 이하이면 제2단계 청소를, 상기 판단된 먼지량이 상기 제2기준값을 초과하면 제3단계 청소를 상기 로봇 청소기가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로봇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22,
The controller compares the determined amount of dust with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the second reference value, and if the determined amount of dust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reference value, performs first cleaning, and the determined amount of dust exceeds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the first reference value. The robot cleaner performs a second step cleaning if the reference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two reference values, and performs the third step cleaning if the determined amount of dust exceeds the second reference value.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단계 청소에서 제3단계 청소로 갈수록 상기 로봇 청소기가 청소의 강도를 높게 하여 청소하도록 제어하는 로봇 청소기.
24. The method of claim 23,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robot cleaner to clean the robot cleaner by increasing the cleaning intensity from the first step cleaning to the third step cleaning.
KR1020110088573A 2011-03-04 2011-09-01 Debris detecting unit and robot cleaning device having the same KR1018800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156422.3A EP2494900B1 (en) 2011-03-04 2012-02-22 Debris detecting unit and robot cleaning device having the same
US13/404,762 US9402524B2 (en) 2011-03-04 2012-02-24 Debris detecting unit and robot cleaning device having the same
CN201210052996.1A CN102652654B (en) 2011-03-04 2012-03-02 There is the robotic cleaning device of rubbish detecting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19359 2011-03-04
KR1020110019359 2011-03-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682A true KR20120100682A (en) 2012-09-12
KR101880087B1 KR101880087B1 (en) 2018-07-20

Family

ID=47110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573A KR101880087B1 (en) 2011-03-04 2011-09-01 Debris detecting unit and robot cleaning device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0087B1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6702A (en) * 2013-06-17 2014-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5739500A (en) * 2016-03-29 2016-07-06 海尔优家智能科技(北京)有限公司 Interact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intelligent sweeping robot
KR20160133348A (en) * 2015-05-12 2016-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reof
KR20170141693A (en) * 2015-03-27 2017-12-26 닐피스크 에이/에스 Cleaning devices, particularly sweeping vehicle garbage collection devices, vacuum cleaner nozzles, and how both devices work
WO2018012913A1 (en) * 2016-07-14 2018-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Robotic cleaner
KR20190035377A (en) * 2017-09-26 2019-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v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CN116122208A (en) * 2023-02-21 2023-05-16 天津工大智行科技有限公司 Dust collection system of sweeper by utilizing high-temperature steam
WO2023217190A1 (en) * 2022-05-10 2023-11-16 美智纵横科技有限责任公司 Cleaning method, cleaning apparatus, clean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US11992176B2 (en) 2019-09-06 2024-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0014A (en) 2018-09-10 2020-03-19 주식회사 미로 Cleaner for classifying cleaned area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3937Y1 (en) * 1991-08-14 1993-06-25 주식회사 금성사 Apparatus for detecting suction dirt for vacuum cleaner
JP2005211365A (en) * 2004-01-30 2005-08-11 Funai Electric Co Ltd Autonomous traveling robot cleaner
JP2005211493A (en) * 2004-01-30 2005-08-11 Funai Electric Co Ltd Self-propelled cleaner
JP2007181656A (en) * 2006-01-06 2007-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eaner system
KR20110010359A (en) * 2009-07-24 2011-02-01 주식회사 모뉴엘 Structure of dust perceiving sensor for robot clean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3937Y1 (en) * 1991-08-14 1993-06-25 주식회사 금성사 Apparatus for detecting suction dirt for vacuum cleaner
JP2005211365A (en) * 2004-01-30 2005-08-11 Funai Electric Co Ltd Autonomous traveling robot cleaner
JP2005211493A (en) * 2004-01-30 2005-08-11 Funai Electric Co Ltd Self-propelled cleaner
JP2007181656A (en) * 2006-01-06 2007-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eaner system
KR20110010359A (en) * 2009-07-24 2011-02-01 주식회사 모뉴엘 Structure of dust perceiving sensor for robot cleaner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6702A (en) * 2013-06-17 2014-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70141693A (en) * 2015-03-27 2017-12-26 닐피스크 에이/에스 Cleaning devices, particularly sweeping vehicle garbage collection devices, vacuum cleaner nozzles, and how both devices work
KR20160133348A (en) * 2015-05-12 2016-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reof
CN105739500A (en) * 2016-03-29 2016-07-06 海尔优家智能科技(北京)有限公司 Interact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intelligent sweeping robot
EP3485787A4 (en) * 2016-07-14 2020-09-16 LG Electronics Inc. -1- Robotic cleaner
KR20190000893A (en) * 2016-07-14 2019-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robotic vacuum
WO2018012913A1 (en) * 2016-07-14 2018-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Robotic cleaner
US11930973B2 (en) 2016-07-14 2024-03-19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1564546B2 (en) 2016-07-14 2023-01-31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1864697B2 (en) 2016-07-14 2024-01-09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993598B2 (en) 2016-07-14 2021-05-04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019975B2 (en) 2016-07-14 2021-06-01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US11051671B2 (en) 2016-07-14 2021-07-06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1071429B2 (en) 2016-07-14 2021-07-27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US11141034B2 (en) 2016-07-14 2021-10-12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1202547B2 (en) 2016-07-14 2021-12-21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1253126B2 (en) 2016-07-14 2022-02-22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KR20190035377A (en) * 2017-09-26 2019-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v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US11751744B2 (en) 2017-09-26 2023-09-12 Lg Electronics Inc. Mov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EP3687745A4 (en) * 2017-09-26 2021-04-21 LG Electronics Inc. Mov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WO2019066444A1 (en) 2017-09-26 2019-04-04 Lg Electronics Inc. Mov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US11992176B2 (en) 2019-09-06 2024-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3217190A1 (en) * 2022-05-10 2023-11-16 美智纵横科技有限责任公司 Cleaning method, cleaning apparatus, clean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6122208A (en) * 2023-02-21 2023-05-16 天津工大智行科技有限公司 Dust collection system of sweeper by utilizing high-temperature steam
CN116122208B (en) * 2023-02-21 2023-10-13 天津工大智行科技有限公司 Dust collection system of sweeper by utilizing high-temperature ste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0087B1 (en) 2018-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94900B1 (en) Debris detecting unit and robot cleaning device having the same
KR20120100682A (en) Debris detecting unit and robot cleaning device having the same
US9723962B2 (en) Dust inflow sensing unit and robot cleaner having the same
CN105892457B (en) Mobile floor-cleaning robot with floor type detection
KR101680884B1 (en) Autonomous cleaning device, maintenance station and cleaning system having them
US9259129B2 (en) Autonomous clea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7441298B2 (en) Coverage robot mobility
EP1969437B1 (en) Coverage robot mobility
US9320398B2 (en) Autonomous coverage robots
US20130056026A1 (en) Autonomous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880089B1 (en) Autonomous clean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18295B1 (en) Robot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50096641A (en) Debris inflow detecting unit and robot cleaning device having the same
KR101413259B1 (en) Autonomous cleaning device
KR20140041229A (en) Robot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