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0329A - 오메가-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 Google Patents

오메가-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0329A
KR20120100329A KR1020110019139A KR20110019139A KR20120100329A KR 20120100329 A KR20120100329 A KR 20120100329A KR 1020110019139 A KR1020110019139 A KR 1020110019139A KR 20110019139 A KR20110019139 A KR 20110019139A KR 20120100329 A KR20120100329 A KR 20120100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mega
pork
feed
feed additive
additiv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9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2062B1 (ko
Inventor
김인호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서부충남고품질양돈클러스터사업단행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서부충남고품질양돈클러스터사업단행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서부충남고품질양돈클러스터사업단행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9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062B1/ko
Publication of KR20120100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0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58Fatty acids; Fats; Products containing oils or fa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74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마씨 유, 정제어유 및 팜오일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오메가-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오메가-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 및 이를 돼지에게 급여함으로써 오메가-3 함유 돈육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급여함으로써 비육돈을 사양하는 경우, 상기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단시일 제공하는 것만으로도 체중 증체 효과를 저하시키지 않음은 물론 고농도의 오메가-3 지방산 및 다가 불포화 지방산이 다량 함유된 돈육을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양돈 농가의 소득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오메가-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Feed additive composition for producing pork containing omega-3 fatty acid and feed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아마씨 유, 정제어유 및 팜오일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오메가-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오메가-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 및 이를 돼지에게 급여함으로써 오메가-3 함유 돈육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돈육은 오메가-6 지방산이 오메가-3 지방산에 비해 60배 높게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오메가-6 지방산은 각종 생리적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되고 있으며, 이 때문에 의식적으로 돈육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었다.
오메가-6 지방산인 리놀레산은 아라키돈산으로 대사되며, 아라키돈산은 다시 체내조직의 세포막에서 대사되어 강한 생리활성을 갖는 아라키돈산 대사산물이 생성된다. 그리하여 오메가-6 지방산의 과잉섭취에 의해 생성된 각종 대사산물, 즉 아이코사노이드(Icosanoid)인 2-계열의 프로스타그란딘류(Prostaglandins)와, 4-계열의 류코트리엔류(Leukotriens)는 동맥경화증, 고혈압, 심근경색증, 심빈혈, 혈전증, 심장병, 골수염, 피부병과 같은 각종 생리적 질환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오메가-3 지방산, 예를 들면 리놀렌산은 체내조직의 세포막에서 사슬 연장 효소 및 불포화 효소(elongase 및 desaturase)에 의해서 일부가 아이코사펜타에노산(EPA)으로 전환되며, 이렇게 전환된 EPA는 리놀레산이 아라키돈산으로 전환되는 것과 아라키돈산이 아이코사노이드로 전환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대사를 통하여 3-계열의 프로스타글란딘류와 5-계열의 류코트리엔류를 생성한다. 그리하여 3-계열의 프로스타글란딘류와 5-계열의 류코트리엔류는 아라키돈산의 대사산물인 2-계열의 프로스타글란딘류와 4-계열의 류코트리엔류의 생성을 차단하며, 이들에 의한 각종 생리적 질병을 예방 및 치료할 뿐만 아니라, 오메가-3 지방산 자체도 오메가-6 지방산의 대사경로를 차단하여 오메가-6 지방산에 의한 아이코사노이드의 생성을 저해한다.
그러나, 이러한 오메가-3 지방산은 사람의 생체 내에서 합성되는 양이 매우 적고, 대사속도 역시 매우 빨라 인체 내에는 극소량만이 존재하며, 특히, 모유에서도 1리터당 40?60 ㎎ 정도만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하게 함유된 식품의 섭취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오메가-3 지방산을 공급하기 위한 식품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어유, 어분, 들깨, 유채씨, 달맞이꽃 등을 이용한 연구 결과들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가장 흔하게 사용되어지는 어류 유래 오메가-3 지방산 급여는 육 내 어취를 일으킬 수 있어 돼지고기 섭취시 기호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으며, 기타 원료를 이용한 오메가-3 지방산 급여 역시 육 내 지방산 침착 정도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그 침착 수준도 미미한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돈육 내 어취 문제와 오메가-3 지방산 함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곡류 유래의 오메가-3 지방산을 사육돈에게 급여함으로써 돈육 내 어취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오메가-3 지방산 함량이 향상된 돈육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마씨 유 12.8 ? 18.8 중량부, 정제어유 1.0 ? 1.4 중량부 및 팜오일 분말 55.5 ? 81.5 중량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오메가-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오메가-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오메가-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를 돼지에게 급여하는 단계 및 상기 돼지를 사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메가-3 함유 돈육의 생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마씨 유 12.8 ? 18.8 중량부, 정제어유 1.0 ? 1.4 중량부 및 팜오일 분말 55.5 ? 81.5 중량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오메가 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마씨 유는 아마씨(flexseed)로부터 얻은 식물성 유지로서, 오메가-3 공급원으로서 사용되며,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2.8 내지 18.8 중량부의 아미씨 유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마씨 유 15.8 중량부를 첨가하여 본 발명의 오메가-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 첨가제를 제조하였으며,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의 급여에 의해 돈육 내 및 지방 내 오메가-3 지방산이 다량 함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 내지 도 6).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제 어유는 오메가-3 공급원으로서 사용되며,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1.4 중량부의 정제 어유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정제 어유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북대서양 한랭해 어류로부터 얻은 어유, 예컨대 연어유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어분으로부터 유도된 어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어유는 오메가-3 및 오메가-6 지방산의 공급원으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어류 유래의 오메가-3 지방산인 DHA와 EPA는 강한 어취를 일으켜, 이를 급여하여 생산된 오메가-3 함유 식품의 이용을 어렵게 할 뿐만 아니라 어유의 지방산은 탄소수가 많고 불포화도가 높아 쉽게 산화가 되어 고분자의 산화물을 생성하여 음식이나 첨가물의 품질을 저하시키므로 직접적인 이용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오메가-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정제 어유에 비해 훨씬 많은 양(약 10배)의 아마씨 유를 사용함으로써 돈육 내 어취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오메가-3 지방산을 다량 함유한 돈육을 생산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 어유 1.2 중량부를 첨가하여 본 발명의 오메가-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 첨가제를 제조하였으며,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의 급여에 의해 돈육 내 및 지방 내 오메가-3 지방산이 다량 함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 내지 도 6).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팜오일 분말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수소경화 팜오일 분말(Hydrogenated Palm Oil)을 사용할 수 있으며,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5.5 내지 81.5 중량부의 팜오일 분말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오메가 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항산화제, 비타민 A 및 비타민 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지방산의 산화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발생하고, 습기 및 광물성 촉매의 존재와 같은 조건, 이중 결합의 수, 결합의 위치 및 배열과 같은 지방산의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제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 내의 오메가-3 지방산의 산화를 예방하기 위해 사료 첨가제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상기 항산화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β-카로틴, 비타민 E, 비타민 C 및 토코페롤 등과 같은 천연 항산화제, 뷰틸레이트하이드록시톨루엔, 뷰틸하이드록시아니솔, 3급-뷰틸하이드로퀴논, 프로필 겔레이트 및 에톡시퀸 등과 같은 합성 항산화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뷰틸레이트하이드록시톨루엔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항산화제와 공동 상승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아스코르브산, 시트르산 및 인산과 같은 화합물을 추가적으로 첨가할 수도 있다.
상기 항산화제의 양은 생성물 제형, 패키징 방법, 식품의 종류 및 목적하는 저장 수명과 같은 제반조건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메가 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오메가-3 지방산으로 알파 리놀렌산(Alpha-linolenic Acid), 에이코사펜타에노산(eicosapentaenoic acid) 및 도코헥사엔산(docosahexaenoic acid)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돼지에게 급여함으로써 오메가-3 지방산이 다량 함유된 돈육을 효과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오메가-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오메가-3 함유 돈육 생산용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는 기초사료는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기초사료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오메가-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를 돼지에게 급여하는 단계 및 상기 돼지를 사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메가-3 함유 돈육의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돈육 생산용 사료는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사양 방법, 사육시기, 돈의 종류, 나이, 사양 목적 등에 따라 적절한 양을 급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면, 본 발명의 오메가-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 첨가제 급여에 의하면 오메가-3 계열 지방산 급여시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사육돈의 증체량 감소 및 영양소 소화율 감소의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표 1 및 표 2). 또한, 본 발명의 오메가-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 첨가제 급여에 의하면 오메가-3 지방산 함량이 높은 돈육을 생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표 6, 7 및 도 3 내지 6).
또한, 본 발명의 오메가-3 함유 돈육의 생산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오메가-3 함유 돈육을 섭취한 경우 혈중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약 2?3% 감소하였으나,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약 3?5% 증가함을 확인하였다(도 7).
따라서, 본 발명의 오메가-3 함유 돈육의 생산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오메가-3 함유 돈육을 자연스런 식생활을 통해 섭취함으로써 심혈관계 및 뇌혈관계 질환을 예방하고, 아토피성 피부염, 골다공증 및 피부노화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급여함으로써 비육돈을 사양하는 경우, 상기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단시일 제공하는 것만으로도 체중 증체 효과를 저하시키지 않음은 물론 고농도의 오메가-3 지방산 및 다가 불포화 지방산이 다량 함유된 돈육을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양돈 농가의 소득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 급여에 의해 생산된 오메가-3 함유 돈육을 자연스런 식생활을 통해 섭취함으로써 심혈관계, 뇌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아토피성 피부염, 골다공증, 피부노화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어, 궁극적으로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오메가-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 첨가제의 개략적인 제조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오메가-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 첨가제 급여에 의한 영양소 소화율의 변화를 보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오메가-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 첨가제 급여에 의한 돈육 내 오메가-3 지방산 함량의 변화를 보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오메가-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 첨가제 급여에 의한 돈육 내 오메가-3/오메가-6 지방산 비율의 변화를 보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오메가-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 첨가제 급여에 의한 지방 내 오메가-3 지방산 함량의 변화를 보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오메가-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 첨가제 급여에 의한 지방 내 DHA 함량의 변화를 보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해 생산된 오메가-3 함유 돈육의 섭취시 인체 내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 변화를 보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오메가-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 첨가제의 제조
하기의 방법에 따라 본 발명의 오메가-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 첨가제를 제조하였다.
제1공정: 오메가-3 부형제 흡착 공정
식용 아마씨 유 15.8 kg, 정제 어유 1.2 kg, 비타민 A 100,000 IU 및 비타민 E 1,000 IU를 실리카분말 13.5 kg과 함께 60?80에서 1시간 30분?2시간 30분간 혼합교반하며, 이 과정에서 혼합물의 습기가 제거되면서 건조기의 프로펠러에 의해 부드러운 분말이 생성되었다.
제2공정: 1차 혼합 공정
상기 제1공정에 의한 분말에 수소경화 팜오일 분말 68.5 kg, 항산화제(BHT) 1 kg, 실리카 분말 13.5 kg를 첨가하여 균질하게 혼합교반하여 액상의 혼합액을 얻었다.
제3공정: 분무건조 및 냉각공정
상기 제2공정에 의한 혼합액을 분무건조기를 이용하여 분무와 동시에 건조시킨 분말을 얻은 후, 실온에서 30?40분간 냉각시켰다.
상기의 방법으로 생산된 오메가-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 첨가제는 대전에 위치한 한국단미사료협회소속 분석소에 의뢰하여 지방산 함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상기 사료 첨가제는 알파 리놀렌산(Alpha-linolenic Acid) 15.8%, 에이코사펜타에노산(eicosapentaenoic acid) 0.3% 및 도코헥사엔산(docosahexaenoic acid) 0.9%를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2>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이 비육돈의 증체량 및 사료 섭취량에 미치는 영향 조사
2-1 : 시험동물 및 시험설계
3원 교잡종[(Landrace×Yorkshire)×Duroc] 이유자돈 140두를 공시하였으며, 시험 개시시의 체중은 6.68±0.42 kg이었다. 공시돈은 고품질 돈육 생산을 위한 사양 프로그램에 따라 이유자돈은 1단계(0?1주), 2단계(1?3주), 3단계(3?6주)로, 육성돈은 6주(6?12주) 동안 동일한 사료를 급여하였으며, 비육돈 단계부터 사양시험을 아래 처리구별로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1) T1 (비육 전후기 12주), 2) T2 [비육 전후기 12주(오메가-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 첨가제 1.5% 첨가된 사료 급여)], 3) T3 (비육 전기 8주, 후기 4주), 4) T4 (비육 전기 4주, 후기 8주), 5) T5 [비육 전기 4주, 후기 8주(오메가-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 첨가제 1.5% 첨가된 사료 급여)]로 5처리, 처리당 7반복, 반복당 4두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2-2 : 사양관리
사양시험은 단국대학교 실험농장에서 실시하였다. 사료는 자유 채식토록 하였으며, 물은 자동급수기를 이용하여 자유로이 마실 수 있게 하였다.
2-3. 통계처리
모든 자료는 SAS (2001)의 General Linear Model Procedure를 이용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유의성이 있을 경우 Duncan's multiple range test(Duncan, 1955)로 처리 평균간의 차이를 P<0.05에서 검정하였다.
2-4 : 시험결과
오메가-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 첨가제 급여가 비육돈의 체중 및 사료 섭취량에 미치는 영향은 시험 개시시, 6주 및 12주에 측정하여 일당증체량, 일당사료 섭취량 및 사료 효율로 계산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메가-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의 급여에 의하여 비육돈의 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 효율에 있어서 유의적인 차이(P>0.05)를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표 1).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에 의하면 오메가-3 계열 지방산 급여시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사육돈의 증체량 감소의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음을 나타낸다.
< 실시예 3>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이 비육돈의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조사
상기 실시예 2에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처리한 비육돈들의 영양소 소화율을 알아보기 위해 표시물로서 산화크롬(Cr2O3)을 사료내 0.2%가 되도록 첨가하여 시험 실시 후 5주와 11주에 급여하였고, 크롬 사료 급여 7일 후인 시험 6주와 종료시(12주) 항문마사지법을 이용하여 비육돈의 분을 채취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채취한 분은 60℃ 열풍건조기에서 72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기(Wiley mill, Fritsch, Germany)를 이용하여 분쇄한 후 분석에 이용하였다. 사료의 일반성분과 표시물로 혼합된 크롬은 조섬유정량법(AOAC, 2000)에 제시된 방법에 의해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표 2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메가-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의 급여에 의하여 비육돈의 건물, 질소 및 에너지 소화율에 있어 유의적인 차이(P>0.05)를 보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표 2 및 도 2).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 급여시에는 오메가-3 지방산 급여시 발생하는 영양소 소화율 감소의 부작용이 없음을 나타낸다.
< 실시예 4>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이 비육돈의 혈액에 미치는 영향 조사
상기 실시예 2에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처리한 비육돈들의 혈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하기 방법에 따라 실험을 실시하였다. 각 처리당 6두를 임의 선발하여 실험 개시시, 6주 및 종료시(12주)에 각각 경정맥에서 항응고제가 포함되어 있는 진공채혈관(K3-EDTA vacuum tube, Becton Dikinson Vacutainer System, Franklin Lakes, NJ)을 이용하여 혈액 2 ㎖ 채취한 후 자동혈액분석기(ADVID 120, Bayer, USA)로 백혈구, 적혈구 및 림프구 함량을 조사하였다. 혈청 생화학적 검사는 실험 개시시, 6주 및 종료시(12주)에 경정맥으로부터 진공채혈관(Becton Dikinson Vacutainer System, Franklin Lakes, NJ)을 이용하여 혈액 5 ㎖ 채취 후 4℃에서 2,000 × g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혈청은 효소비색법(allain et al., 1974)에 의하여, 전체 콜레스테롤은 전체 콜레스테롤 검사 시약(Boehringer Mannhein, Germany), HDL 농도는 HDL-콜레스테롤 검사 시약(Boehringer Mannhein, Germany), LDL 농도는 LDL-콜레스테롤 검사 시약(Boehringer Mannhein, Germany), 그리고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의 농도는 트리글리세라이드 검사 시약(Boehringer Mannhein, Germany)에 반응시켜 자동 생화학 분석기(HITACHI 747,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3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메가-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의 급여에 의하여 비육돈의 혈액 특성에 있어 유의적인 차이(P>0.05)를 보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3).
< 실시예 5>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 급여에 의해 생산된 비육돈의 육질 특성 조사
상기 실시예 2에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처리한 비육돈들의 육질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하기 방법에 따라 실험을 실시하였다. 돈육은 각 처리별로 6두씩을 임의 선발하여 도살 후 4℃ 냉장고에 24시간 저장한 후 반도체 등심 부위(M.longissimusdorsi)를 분할 정형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육즙 손실(drop loss)은 시료를 2 cm 두께의 일정한 모양으로 정형한 후 폴리에틸렌 백(polyethylene bag)에 넣어 4℃ 냉장실에서 7일간 보관하면서 4일, 7일 후 발생되는 감량을 측정하였다. 돈육의 pH 값은 도살 후 모든 시료를 pH 미터(Istek, Model 77p)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육색은 색도계(Chromameter; Model CR-210, Minolta Co., Japan)를 사용하여 각 시료당 5회 반복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표준색판은 L* (lightness)=89.2, a* (redness)=0.921로 하였다. 관능검사는 5명의 관능검사요원을 구성하여 수행하였으며, National Pork Producers Council(NPPC, 1994) 기준안에 의해 신선육의 육색(color:1?5), 근내지방도(marbling:1?5), 경도(firmness:1?5)를 조사하였다. 등심단 면적은 구적기(MT precision model MT-10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보수력은 Hofmann 등(1982)의 방법으로 측정하여 면적계(planimeter; X-plan, Ushikata 360d, Japan)로 면적을 구하고 돈육의 표면적을 수분의 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표시하였고,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4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메가-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의 급여에 의하여 돈육의 등심 면적, 관능평가, 육색, pH, 보수력 및 육즙손실에 있어 유의적인 차이(P>0.05)를 보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4).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 급여시에는 어유를 이용한 오메가-3 지방산 급여시 발생하는 어취 및 육질 감소의 부작용이 없음을 나타낸다.
< 실시예 6>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 급여에 의해 생산된 돈육 및 지방내 지방산 함량 변화 조사
상기 실시예 2에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처리한 비육돈들의 돈육 및 지방내 지방산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핵산/이소프로판올(3:2, v/v) 용액을 이용하여 지방산을 추출하였다. 메틸레이션은 추출한 지질에 톨루엔 0.5 ㎖와 5% KOH-MeOH 용액 2 ㎖를 넣은 후 혼합하고, 70℃에서 8분간 가열한 후 찬물에서 냉각하였다. 그 후, 14% BF3-MeOH 용액 2 ㎖를 첨가한 후, 70℃에서 8분간 가열한 후 찬물에서 냉각하고, 5% 염화나트륨 용액 3 ㎖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증류수 5 ㎖와 hexane 0.5 ㎖를 첨가하여 지방산 메틸 에스터(fatty acid methyl ester, FAME)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지방산 메틸 에스터는 현탁하고, 3,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한 상층액은 뚜껑이 달린 튜브에 건조를 위해 황산 나트륨(sodium sulfate)과 함께 담아 가스크로마토그래피 분석에 이용하였다. 가스크로마토그래피 분석 조건은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5
가스크로마토그래피 분석으로 얻어진 돈육 내 지방산 함량과 지방 내 지방산 함량은 각각 표 6, 표 7 및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6
표 6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메가-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급여하지 않은 T1, T3 및 T4 처리군의 경우, 돈육 내에서 포화 지방산의 하나인 팔미틴 산(C16:0)의 함량이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급여한 T2 및 T5 처리구에 비해 높게 측정되었으나, 전체 오메가-3 지방산 함량은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급여한 T2 및 T5 처리구가 상기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급여하지 않은 T1, T3 및 T4 처리구에 비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표 6 및 도 3).
또한,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급여한 T2 및 T5 처리구의 돈육 내 오메가-3와 오메가-6 지방산의 비율 역시 상기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급여하지 않은 T1, T3 및 T4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6 및 도 4).
Figure pat00007
표 7 및 도 5,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메가-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급여하지 않은 T1, T3 및 T4 처리구의 지방 내 전체 오메가-3 지방산 함량은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급여한 T2 및 T5 처리구에 비해 낮았음을 알 수 있었다(표 7 및 도 5, 6).
이러한 결과들은 본 발명의 오메가-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의 급여에 의하면, 육내 어취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육질의 감소, 영양소 소화율 감소 등의 부작용 없이 오메가-6 지방산 보다 오메가-3 지방산을 더 많이 함유하는 기능성 돈육을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 실시예 7>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 급여에 의해 생산된 돈육 섭취시 인체 내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 변화 조사
상기 실시예 2에서 나타나있는 바와 같이 처리한 비육돈으로부터 얻은 돈육 의 섭취시 인체 내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각 처리구 당 5인의 임상시험 대상자를 배치하여 돈육의 삼겹살 부위를 섭취한 후 24시간 이후 혈액내 HDL-콜레스테롤 함량 및 LDL-콜레스테롤 함량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메가-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급여하여 생산한 오메가-3 돈육을 섭취하였을 때, 오메가-3 돈육 섭취 전, 후의 혈중 HDL-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수준에 있어서는 오메가-3 돈육을 섭취한 구가 미섭취구보다 섭취 전에 비하여 섭취 후 LDL-콜레스테롤 수준은 약 2?3%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HDL-콜레스테롤 수준은 약 3?5%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도 7).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오메가-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급여에 의해 생산된 오메가-3 함유 돈육을 섭취함으로써 심혈관계, 뇌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아토피성 피부염, 골다공증, 피부노화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Claims (5)

  1.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마씨 유 12.8 ? 18.8 중량부, 정제어유 1.0 ? 1.4 중량부 및 팜오일 분말 55.5 ? 81.5 중량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오메가-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항산화제, 비타민 A 및 비타민 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오메가 3 지방산으로 알파 리놀렌산(Alpha-linolenic Acid), 에이코사펜타에노산(eicosapentaenoic acid) 및 도코헥사엔산(docosahexaenoic acid)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오메가 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

  5. 제4항의 사료를 돼지에게 급여하는 단계; 및 상기 돼지를 사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메가 3 함유 돈육의 생산방법.
KR1020110019139A 2011-03-03 2011-03-03 오메가-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KR101422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139A KR101422062B1 (ko) 2011-03-03 2011-03-03 오메가-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139A KR101422062B1 (ko) 2011-03-03 2011-03-03 오메가-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329A true KR20120100329A (ko) 2012-09-12
KR101422062B1 KR101422062B1 (ko) 2014-07-23

Family

ID=47110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9139A KR101422062B1 (ko) 2011-03-03 2011-03-03 오메가-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20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2347A1 (ko) * 2013-12-30 2015-07-09 안남순 생육기간 단축용 오메가-3 지방산 함유 쇠고기의 생산방법
KR20190061703A (ko) * 2017-11-28 2019-06-05 주식회사 이앤티 Dha 함량이 높은 돼지고기의 생산을 위한 양돈용 기능성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WO2022148449A1 (zh) * 2021-01-08 2022-07-14 新奥(厦门)农牧发展有限公司 一种减少猪背膘厚度和/或提高瘦肉率的猪饲养方法、组合物及其在制备猪饲料上的用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024B1 (ko) * 2018-05-24 2020-08-28 주식회사 모닝바이오 이유자돈의 일당증체량을 증진시키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7396B1 (ko) * 1991-02-13 1994-08-18 주식회사 퓨리나코리아 오메가란 및 오메가 가금육, 이의 생산방법 및 이의 생산용 배합사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2347A1 (ko) * 2013-12-30 2015-07-09 안남순 생육기간 단축용 오메가-3 지방산 함유 쇠고기의 생산방법
KR20190061703A (ko) * 2017-11-28 2019-06-05 주식회사 이앤티 Dha 함량이 높은 돼지고기의 생산을 위한 양돈용 기능성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WO2022148449A1 (zh) * 2021-01-08 2022-07-14 新奥(厦门)农牧发展有限公司 一种减少猪背膘厚度和/或提高瘦肉率的猪饲养方法、组合物及其在制备猪饲料上的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2062B1 (ko) 201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eiretti et al. Effects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the fat and meat fatty acid profile of rabbits fed diets with chia (Salvia hispanica L.) seed supplements
Vahmani et al. Effects of feeding steers extruded flaxseed on its own before hay or mixed with hay on animal performance, carcass quality, and meat and hamburger fatty acid composition
Peiretti et al. Effects of perilla (Perilla frutescens L.) seeds supplementation on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meat quality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rabbits
Klir et al. Influence of pumpkin seed cake and extruded linseed on milk production and milk fatty acid profile in Alpine goats
Carvalho et al.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meat from young bulls fed different levels of crude glycerin
Kafantaris et al. Effects of dietary grape pomace supplementation on performance, carcass traits and meat quality of lambs
NZ574381A (en) Animal feed supplement for the nutritional enrichment of animal produce
Manzocchi et al. Effects of the substitution of soybean meal by spirulina in a hay-based diet for dairy cows on milk composition and sensory perception
Sun et al. Meat quality, fatty acid composition of tissue and gastrointestinal content, and antioxidant status of lamb fed seed of a halophyte (Suaeda glauca)
Vítor et al. Nannochloropsis oceanica microalga feeding increases long-chain omega-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lamb meat
Noci et al.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muscle and adipose tissue of steers offered unwilted or wilted grass silage supplemented with sunflower oil and fishoil
Razminowicz et al. Efficiency of extruded linseed for the finishing of grass-fed steers to counteract a decline of omega-3 fatty acids in the beef
KR101422062B1 (ko) 오메가-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Buckiuniene et al. Effect of organic and inorganic iron in the diet on yolk iron content, fatty acids profile, malondialdehyde concentration, and sensory quality of chicken eggs.
Gnadig et al.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as a functional ingredient
Neto et al. Fatty acid profile and meat quality of young bulls fed ground soybean or ground cottonseed and vitamin E
Hukerdi et al. Supplementing kids diet with olive leaves: Effect on meat quality
Utama et al. Blood profile and meat quality of Holstein-Friesian steers finished on total mixed ration or flaxseed oil-supplemented pellet mixed with reed canary grass haylage
Eid et al. Effect of plant source of omega-3 fatty acids and green tea powder on the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of growing rabbits
Montha et al. Increased levels of de-oiled perilla seed meal in broiler diets to enhance n-3 fatty acid proportions and improve efficiency levels. CMUJ
Mirattanaphra et al. Effect of rumen-protected rice bran oil on carcass quality and fatty acid profile of beef from crossbred Wagyu steers.
Shah et al. Effects of sunflower seed inclusion in finishing diets for steers on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muscle and adipose fatty acid composition and meat quality
Mottin et al. Lipid composition of raw and grilled beef cattle slaughtered at four body weights
Kim et al. Effects of full-fat soybean diet on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Hanwoo steers
Kumar et al. Effect of feeding different level of Moringa oleifera leaf meal on growth performance, lipid profile and meat fatty acid composition of Vanaraja chicken in trop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