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0328A - Connection cable and mobile phone having the terminal that is able to connect thereof - Google Patents

Connection cable and mobile phone having the terminal that is able to connect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0328A
KR20120100328A KR1020110019138A KR20110019138A KR20120100328A KR 20120100328 A KR20120100328 A KR 20120100328A KR 1020110019138 A KR1020110019138 A KR 1020110019138A KR 20110019138 A KR20110019138 A KR 20110019138A KR 20120100328 A KR20120100328 A KR 20120100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rminal
plug
data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91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동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9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0328A/en
Publication of KR20120100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032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5/00Three poles

Abstract

PURPOSE: A connection cable and a mobile terminal having a connectable terminal are provided to make a mobile terminal having a connectable terminal be small. CONSTITUTION: A USB plug(100) includes a connectable terminal(120) in each device. A phone plug(200) includes a terminal(220) of a connectable protrusion type. A cable(300) electrically connects the USB plug and the phone plug. A second connection unit(222)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unit.

Description

접속 케이블 및 이와 접속 가능한 단자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CONNECTION CABLE AND MOBILE PHONE HAVING THE TERMINAL THAT IS ABLE TO CONNECT THEREOF}CONNECTION CABLE AND MOBILE PHONE HAVING THE TERMINAL THAT IS ABLE TO CONNECT THEREOF}

본 발명은 접속 케이블 및 이와 접속이 가능한 단자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having a connecting cable and a terminal connectable thereto.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와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다시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Terminals may be divided into mobile / portable terminals and stationary terminals according to their mobility. The mobile terminal may be further classifi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a user can directly carry it.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Such a terminal has various functions,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multimedia device having multiple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of a moving picture, reproduction of a music or video file, reception of a game and broadcasting, etc. .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In order to support and enhance the functionality of such terminals, it may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structural and / or software parts of the terminal.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에는 충전단자와 이어폰 단자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제품의 소형화 및 디자인의 방해요소가 되고 있다.In general, since the mobil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charging terminal and an earphone terminal separately, it becomes an obstacle to miniaturization and design of the product.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어폰 단자와 공용화가 가능한 접속 케이블 및 상기 접속 케이블과 접속 가능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above-described point, and provides a connection cable which can be shared with the earphone terminal and a mobile terminal which can be connected with the connection cable.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접속 케이블은, 각종 장치에 접속 가능한 단자를 구비하는 유에스비 플러그와, 각종 장치에 접속 가능한 돌출형의 단자를 구비하는 폰 플러그 및 상기 유에스비 플러그와 상기 폰 플러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폰 플러그의 단자는, 제1 접속부와, 상기 제1 접속부의 일단으로부터 단차를 가지고 연속하여 형성되는 제2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의 일단으로부터 단차를 가지고 연속하여 형성되는 제3 접속부를 포함한다.A connecting cabl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USB plug having a terminal that can be connected to various devices, a phone plug having a protruding terminal that can be connected to various devices, and an electric connection between the USB plug and the phone plug. The terminal of the said phone plug is formed continuously with a step from the 1st connection part, and the 2nd connection part formed continuously with the step | step from one end of the said 1st connection part, and an end of the said 2nd connection part. And a third connecting portion.

상기 접속 케이블의 제1 접속부는, 접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 접속부는 접속된 장치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of the connection cable may include a ground part, and the third connection part may include a power supply part supplying electricity to the connected device.

상기 접속 케이블의 제1 접속부는, 접속된 장치의 종류를 검출하는 장치 인식부 및 상기 접속된 장치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데이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접속부는, 상기 접속된 장치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데이터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ortion of the connection cable includes a device recognition portion for detecting the type of the connected device and a first data por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connected device,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provides data to the connected device. It may be composed of a second data por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상기 접속 케이블의 제1 접속부는, 접속된 장치의 종류를 검출하는 장치 인식부, 접지부 및 상기 장치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데이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접속부는, 상기 장치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데이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접속부는, 상기 장치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of the connection cable includes a device recognition part detecting a type of connected device, a grounding part, and a first data part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device,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send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device. And a second data part, wherein the third connection part may be a power supply part supplying electricity to the device.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접속 케이블이 접속 가능하도록 5개의 단자를 구비하는 접속부를 포함한다.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having five terminals so that the connecting cable can be connected thereto.

본 발명의 접속 케이블 및 이동 단말기에 따르면, 이어폰과 공용의 단자에 사용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소형화 및 디자인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nection cable and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se the terminal common with the earphone, thereby improving the size and design of the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케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접속 케이블의 폰 플러그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이어폰이나 마이크에 사용되는 폰 플러그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a는 이어폰의 폰 플러그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b는 마이크의 폰 플러그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의 접속 케이블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결선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도 1의 접속 케이블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결선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도 1의 접속 케이블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결선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7의 이동 단말기가 도 1의 접속 케이블에 의해 컴퓨터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9는 도 8에서 A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
1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hone plug of the connecting cable of Fig. 1.
3 is a view showing a phone plug used for an earphone or a microphone, FIG. 3a is a view showing a phone plug of an earphone, and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st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onnecting cable of 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stat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connecting cable of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stat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connecting cable of FIG. 1;
7 illustrates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of FIG. 7 is connected to a computer by the connection cable of FIG. 1.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ortion A in FIG. 8. FIG.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possibl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Hereinafter, a portable terminal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different embodiments are give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for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and the description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includ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nd navigation. Howev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also be applied to fixed terminals such as digital TVs, desktop computers, etc., except when applicable only to mobile termina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케이블을 도시한 평면도이다.1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케이블은 유에스비 플러그(USB 플러그, 100)와, 폰 플러그(200) 및 케이블(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onnection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B plug (USB plug) 100, a phone plug 200 and a cable 300.

상기 유에스비 플러그(100)는 각종 장치와 접속되는 단자(120)를 구비하고, 컴퓨터, 노트북, DVD 플레이어 등의 전자기기에 접속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The USB plug 100 includes a terminal 120 connected to various devices, and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computer, a notebook, a DVD player, and the like.

상기 유에스비 플러그(100)에 구비되는 단자(120)는 일반적으로 전원단자(121), 제1 데이터 단자(122), 제2 데이터 단자(123) 및 접지단자(1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terminal 120 provided in the USB plug 100 generally includes a power terminal 121, a first data terminal 122, a second data terminal 123, and a ground terminal 124.

상기 폰 플러그(200)는 각종 장치에 접속 가능하도록 돌출된 관형의 접속부(220)를 구비하고, PMP, MP3 플레이어, 이동 단말기 등의 전자기기에 접속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폰 플러그(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phone plug 200 includes a tubular connection portion 220 protruding to be connected to various devices, and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PMP, an MP3 player, a mobile terminal, and the lik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hone plug 200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케이블(300)은 전선(미도시)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선의 결선에 의해 상기 유에스비 플러그(100)와 상기 폰 플러그(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유에스비 플러그(100)와 상기 폰 플러그(200)의 연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cable 300 includes a wire (not shown) and electrically connects the USB plug 100 and the phone plug 200 by connection of the wi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nection of the USB plug 100 and the phone plug 200 will be described later.

도 2는 도 1의 접속 케이블의 폰 플러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phone plug of the connection cable of FIG. 1. FIG.

상기 폰 플러그(200)는 몸체부(210)에 접속부(220)가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폰 플러그(200)의 접속부(220)는 제1 접속부(221), 제2 접속부(222) 및 제3 접속부(2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hone plug 200 has a form in which the connection portion 220 is coupled to the body portion 210, and the connection portion 220 of the phone plug 200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ortion 221, a second connection portion 222, and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223 is formed.

상기 제1 접속부(221)에는 절연부(225)로 구획되는 복수의 접촉부(221)가 형성된다.The first connection part 22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tact parts 221 partitioned by the insulating part 225.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 접속부(221)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절연부(225a,225b)로 구획되어 세부분의 접촉부(221a,221b,221c)가 형성되는데 몸체부(210)에서 가까운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 접촉부(221a), 제2 접촉부(222b), 제3 접촉부(221c)가 형성된다.In detail,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21 is divided into insulating portions 225a and 225b having a ring shape to form contact portions 221a, 221b and 221c in detail, and are separated from a portion close to the body portion 210. Direction, the first contact portion 221a, the second contact portion 222b, and the third contact portion 221c are formed.

이 때 상기 제1 접촉부(221a)는 연결되는 장치의 종류를 인식하는 장치 인식부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접촉부(221a)에는 기설정된 값을 가지는 저항이 연결되고 연결된 저항값을 감지하여 장치의 종류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contact portion 221a is preferably used as a devic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type of the device to be connected. To this end, a resistor having a predetermined value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ortion 221a, and the type of device may be recognized by sensing the connected resistance value.

상기 제1 접촉부(221a) 내지 상기 제3 접촉부(221c)는 상기 유에스비 플러그(100)의 전원단자(121), 제1 데이터 단자(122), 제2 데이터 단자(123) 또는 접지단자(1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contact portion 221a to the third contact portion 221c may be a power terminal 121, a first data terminal 122, a second data terminal 123, or a ground terminal 124 of the USB plug 100.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with.

상기 제1 접속부(221)의 길이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어폰용 폰 플러그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마이크용 폰 플러그의 슬리브부(11,21)의 길이와 동일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어폰과 마이크 및 상기 연결 케이블(300) 사이의 호환성을 고려한 것이다.The length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21 is preferably equal to the length of the sleeve portion (11, 21) of the phone plug for earphone as shown in Figure 3a and the phone plug for microphone as shown in Figure 3b. . This is to consider the compatibility between the earphone and the microphone and the connection cable (300).

상기 제2 접속부(222)는 상기 제1 접속부(221)의 일단으로부터 단차를 가지고 연속하여 형성되고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22 is continuously formed with a step from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21 and has a tapered shape.

상기 제2 접속부(222)는 하나의 접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유에스비 플러그(100)의 전원단자(121), 제1 데이터 단자(122), 제2 데이터 단자(123) 또는 접지단자(1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part 222 includes one contact part, and the power terminal 121, the first data terminal 122, the second data terminal 123, or the ground terminal 124 of the USB plug 10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with

상기 제2 접속부(222)의 길이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어폰용 폰 플러그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마이크용 폰 플러그의 탭부(12,22)의 길이와 동일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어폰과 마이크 및 상기 연결 케이블(300) 사이의 호환성을 고려한 것이다.The length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22 is preferably equal to the length of the tabs 12 and 22 of the phone plug for earphones as shown in FIG. 3A and the phone plug for microphone as shown in FIG. 3B. This is to consider the compatibility between the earphone and the microphone and the connection cable (300).

상기 제3 접속부(223)는 상기 제2 접속부(222)의 일단으로부터 단차를 가지고 연속하여 형성되고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third connecting portion 223 is continuously formed with a step from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22 and has a tapered shape.

상기 제3 접속부(223)는 하나의 접촉부(221)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 접속부(223)의 접촉부(221)는 상기 유에스비 플러그(100)의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third connecting portion 223 may be formed of one contact portion 221, and the contact portion 221 of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223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of the USB plug 100.

상술한 바와 같이 폰 플러그(200)의 접속부(220)가 복수의 접속부(221,222,223) 및 접촉부(221a,221b,221c)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폰 플러그(200)는 유에스비 플러그를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part 220 of the phone plug 200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221, 222, 223 and contact parts 221a, 221b, and 221c, so that the phone plug 200 may replace the USB plug.

상기 접속 케이블에서는 일측이 유에스비 플러그이고 다른 일측이 폰 플러그인 경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양측 모두 상기의 구성을 가진 폰 플러그로 하여 접속 케이블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connection cable, one side is a USB plug and the other side is described as a phone plug. However, both sides can be configured as a phone plug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도 4는 도 1의 접속 케이블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결선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onnection cable of FIG. 1.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폰 플러그(200)의 제2 접촉부(222b)는 상기 유에스비 플러그(100)의 접지단자(124)에 연결되고 상기 폰 플러그(200)의 제3 접속부(223)는 상기 유에스비 플러그(100)의 전원단자(121)에 연결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contact portion 222b of the phone plug 200 is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124 of the USB plug 100 and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223 of the phone plug 200. ) Is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121 of the USB plug 100.

이에 따라 상기 제1 접속부(221)의 제2 접촉부(222b)는 접지부의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제3 접속부(223)는 접속된 장치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contact portion 222b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21 may serve as a grounding portion, and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223 may function as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the connected device.

상기와 같은 접속 케이블의 연결 구성은 상기 접속 케이블을 전원 케이블로 사용하기 위한 결선의 예로서, 이에 따라 상기 폰 플러그(200)에 접속된 장치를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connection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on cable as described above is an example of a connection for using the connection cable as a power cable, and thus it is possible to charge the device connected to the phone plug 200.

도 5는 도 1의 접속 케이블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결선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connection cable of FIG. 1.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접촉부(221a)는 도중에 저항(R)을 개재하여 상기 유에스비 플러그(100)의 접지단자(124)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접촉부(221c)는 상기 유에스비 플러그(100)의 제1 데이터 단자(122)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접속부(222)는 상기 유에스비 플러그(100)의 제2 데이터 단자(123)에 연결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irst contact portion 221a is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124 of the USB plug 100 through a resistor R on the way, and the third contact portion 221c is connected to the USB plug 100. ) Is connected to the first data terminal 122 and the second connector 222 is connected to the second data terminal 123 of the USB plug 100.

이 때 상기 저항(R)의 저항값은 본 실시예의 연결 케이블(300)임을 인식 가능하도록 미리 정해진 고유한 저항값을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180㏀의 저항(R)을 사용하였고 연결되는 장치에서 상기 저항값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연결 케이블이 접속되었음을 감지한다.At this tim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resistor R uses a predetermined unique resistance value to recognize that the connection cable 3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a resistor R of 180 kV is used, and the connection cable is sensed by sensing the resistance value in the connected device.

이에 따라 상기 제1 접속부(221)의 제1 접촉부(221a)는 장치 인식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제1 접속부(221)의 제3 접촉부(221c)와 상기 제2 접속부(222)는 접속된 장치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데이터부 및 제2 데이터부의 역할을 각각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contact portion 221a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221 may serve as a device recognition unit, and the third contact portion 221c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222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221 may be The first data unit and the second data unit may transmit / receive data to / from the connected device.

상기와 같은 접속 케이블의 연결 구성은 접속 케이블을 데이터 케이블로 사용하기 위한 결선의 예로서, 이에 따라 상기 유에스비 플러그(100)에 접속된 장치와 상기 폰 플러그(200)에 접속된 장치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The connection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on cable as described above is an example of a connection for using the connection cable as a data cable, and thu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device connected to the USB plug 100 and the device connected to the phone plug 200. This is possible.

도 6은 도 1의 접속 케이블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결선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connection cable of FIG. 1.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접촉부(221a)는 도중에 저항(R)을 개재하여 상기 유에스비 플러그(100)의 접지단자(124)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접촉부(222b)는 상기 유에스비 플러그(100)의 접지단자(124)에 연결되고, 제3 접촉부(221c)는 상기 유에스비 플러그(100)의 제1 데이터 단자(122)에 연결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irst contact portion 221a is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124 of the USB plug 100 via a resistor R on the way,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222b is connected to the USB plug 100. ) Is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124, and the third contact part 221c is connected to the first data terminal 122 of the USB plug 100.

이 때 상기 저항(R)의 저항값은 본 실시예의 연결 케이블(300)임을 인식 가능하도록 미리 정해진 고유한 저항값을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180㏀의 저항(R)을 사용하였고 연결되는 장치에서 상기 저항값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연결 케이블이 접속되었음을 감지한다.At this tim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resistor R uses a predetermined unique resistance value to recognize that the connection cable 3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a resistor R of 180 kV is used, and the connection cable is sensed by sensing the resistance value in the connected device.

또한 상기 제2 접속부(222)는 상기 유에스비 플러그(100)의 제2 데이터 단자(123)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접속부(223)는 상기 유에스비 플러그(100)의 전원단자(121)에 연결된다.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or 222 is connected to the second data terminal 123 of the USB plug 100 and the third connector 223 is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121 of the USB plug 100.

이에 따라 상기 제1 접속부(221)의 제1 접촉부(221a)는 접속된 장치의 종류를 검출하는 장치 인식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제1 접속부(221)의 제2 접촉부(222b)는 접지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contact portion 221a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221 may serve as a device recognition unit for detecting the type of the connected device,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222b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221 may be Can serve as a grounding part.

또한 상기 제1 접속부(221)의 제3 접촉부(221c)와 상기 제2 접속부(222)는 접속된 장치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데이터부 및 제2 데이터부의 역할을 각각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제3 접속부(223)는 접속된 장치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contact portion 221c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22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21 may serve as a first data portion and a second data portion, respectively,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connected device. The third connector 223 may serve as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the connected device.

상기와 같은 접속 케이블의 연결 구성은 접속 케이블을 전원 케이블 및 데이터 케이블 겸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결선의 예로서, 이에 따라 상기 폰 플러그(200)에 접속된 장치를 충전하는 것이 가능함과 아울러 상기 유에스비 플러그(100)에 접속된 장치와 상기 폰 플러그(200)에 접속된 장치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The connection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on cable as described above is an example of a connection for using the connection cable as both a power cable and a data cabl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harge the device connected to the phone plug 200 and the UBS plug (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s possible between the device connected to 100 and the device connected to the phone plug 20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7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4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disclosed mobile terminal 400 has a terminal body in the form of a ba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slide type, a folder type, a swing type, and a swivel type in which two or more bodies are relatively movably coupled.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401)와 리어 케이스(4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401)와 리어 케이스(4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401)와 리어 케이스(4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The body includes a case (a casing, a housing, a cover, and the like) which forms an appearance. In this embodiment, the case may be divided into a front case 401 and a rear case 402.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embedded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front case 401 and the rear case 402.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401 and the rear case 402.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ng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401)에는 디스플레이부(451), 음향출력부(452), 카메라(421), 사용자 입력부(430/431,432), 마이크(미도시), 인터페이스(4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451, the audio output unit 452, the camera 421, the user input units 430/431, 432, the microphone (not shown), the interface 470, etc. may be disposed in the terminal body, mainly the front case 401. Can be.

디스플레이부(451)는 프론트 케이스(4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4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451)와 카메라(4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431)와 마이크(미도시)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432)와 인터페이스(470) 등은 프론트 케이스(401) 및 리어 케이스(4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451 occupies most of the main surface of the front case 401. The sound output unit 451 and the camera 421 are disposed in regions adjacent to one end of both ends of the display unit 451, and the user input unit 431 and a microphone (not shown) are disposed in regions adjacent to the other end. The user input unit 432 and the interface 470 may be disposed on side surfaces of the front case 401 and the rear case 402.

사용자 입력부(430)는 이동 단말기(4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431,4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431,4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430 may be manipulat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400,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manipulation units 431 and 432. The manipulation units 431 and 432 may also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manipulating portions, and may be employ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is tactile in a manner of tactile feeling.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431, 4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4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432)은 음향출력부(4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4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Content input by the first or second manipulation units 431 and 432 may be variously set. For example, the first operation unit 431 receives a command such as start, end, scroll, and the like,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432 adjusts the volume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unit 452 or the display unit 451. Command), such as switching to the touch recognition mode.

이동 단말기의 측면에는 이어폰 플러그(200) 및 상술한 연결 케이블(300)이 삽입 가능한 접속부(4600)가 배치된다. 상기 접속부(460)는 3.5Φ의 크기를 가지는 이어폰 플러그(200), 마이크 플러그 또는 본 발명 연결 케이블(300)의 폰 플러그(200)가 삽입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The connection part 4600 into which the earphone plug 200 and the connection cable 300 described above are inserted is disposed at the side of the mobile terminal. The connection part 460 is made to be inserted into the earphone plug 200, the microphone plug or the phone plug 200 of the connection cabl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size of 3.5Φ.

도 8은 도 7의 이동 단말기가 도 1의 접속 케이블을 매개로 하여 컴퓨터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이동 단말기와 접속 케이블의 접속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of FIG. 7 is connected to a computer via the connection cable of FIG. 1, and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onnection cable of FIG. 8.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 케이블(600)의 폰 플러그(200)는 이동 단말기(400)에 연결되고 유에스비 플러그(100)는 컴퓨터(500)에 연결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phone plug 200 of the connection cable 600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400 and the USB plug 100 is connected to the computer 500.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와 컴퓨터는 상기 접속 케이블(300)을 통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고 컴퓨터에서 보내지는 전류에 의해 이동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omputer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on cable 300 and can charge the mobile terminal by the current sent from the computer.

상기 이동 단말기에 배치되는 접속부(460)는 5개의 접속단자(461,462,463,464,465)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 케이블(300)의 폰 플러그(200)에 접속되어 이동 단말기(400)의 충전 및/또는 이동 단말기(400)와 컴퓨터(500)의 데이터 통신을 매개한다.The connection unit 460 disposed in the mobile terminal is composed of five connection terminals 461, 462, 463, 464, 465 and connected to the phone plug 200 of the connection cable 300 to charge and / or the mobile terminal 400. ) And the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puter 500.

상기와 같이 설명된 카메라 모듈의 접속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camera module described above and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e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Or some may be selectively combined.

Claims (5)

각종 장치에 접속 가능한 단자를 구비하는 유에스비 플러그;
각종 장치에 접속 가능한 돌출형의 단자를 구비하는 폰 플러그 및
상기 유에스비 플러그와 상기 폰 플러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폰 플러그의 단자는,
제1 접속부;
상기 제1 접속부의 일단으로부터 단차를 가지고 연속하여 형성되는 제2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의 일단으로부터 단차를 가지고 연속하여 형성되는 제3 접속부를 포함하는 접속 케이블.
A USB plug having a terminal connectable to various devices;
Phone plugs having protruding terminals that can be connected to various devices, and
And a cabl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USB plug and the phone plug.
The terminal of the phone plug,
A first connecting portion;
A second connection portion formed continuously from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with a step; and
And a third connecting portion which is continuously formed with a step from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는 접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 접속부는 접속된 장치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케이블.
The method of claim 1,
And said first connecting portion comprises a grounding portion, and said third connecting portion comprises a power supply portion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the connected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는, 접속된 장치의 종류를 검출하는 장치 인식부 및 상기 접속된 장치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데이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접속부는, 상기 접속된 장치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데이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케이블.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onnection unit includes a device recognizing unit that detects a type of the connected device and a first data unit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the connected device,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the connected device. A connecting cable comprising two data par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는, 접속된 장치의 종류를 검출하는 장치 인식부, 접지부 및 상기 장치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데이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접속부는, 상기 장치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데이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접속부는, 상기 장치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케이블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onnection unit includes a device recognizing unit detecting a type of connected device, a grounding unit, and a first data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device,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includes a secon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the device. And a third connection portion comprising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the device.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의 접속 케이블이 접속 가능하도록 5개의 단자를 구비하는 접속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connecting portion having five terminals so that the connecting cable of any one of claims 1 to 4 can be connected thereto.
KR1020110019138A 2011-03-03 2011-03-03 Connection cable and mobile phone having the terminal that is able to connect thereof KR2012010032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138A KR20120100328A (en) 2011-03-03 2011-03-03 Connection cable and mobile phone having the terminal that is able to connect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138A KR20120100328A (en) 2011-03-03 2011-03-03 Connection cable and mobile phone having the terminal that is able to connect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328A true KR20120100328A (en) 2012-09-12

Family

ID=47110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9138A KR20120100328A (en) 2011-03-03 2011-03-03 Connection cable and mobile phone having the terminal that is able to connect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032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9651B2 (en) Multifunctional connection cord for multimedia device
JP6173297B2 (en) Mobile terminal and interface method thereof
US8142230B2 (en) Earphone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TW200919836A (en) Additional pins on a USB connector
US9436761B2 (en) Data communications via limited length audio jack
WO2015034696A1 (en) Docking station with audio output
US11431181B2 (en) Wireless sound output device with charging function
CN205122952U (en) Earphone converter
US20070026908A1 (en) Earphone device with separable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KR200483022Y1 (en) Usb cable concurrently supporting battery charge and data communication of smartphone
US8976996B2 (en) Array speaker structure for audio/video device
US7492890B2 (en) Integrated corded system connector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CN109684241B (en) Terminal and terminal equipment
KR20120100328A (en) Connection cable and mobile phone having the terminal that is able to connect thereof
CN202662006U (en) Switching device
KR20060120303A (en) Apparatus for connecting mobile phone and peripheral unit
US7479760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dual charging ports
US20090113103A1 (en) Cascade type charge assembly
TWI510906B (en) Mobile power and charging system
US20090103746A1 (en) Audio adapter having volume adjusting function
CN205622695U (en) 360 degrees wireless charging data bases of magnetic force
KR20080080159A (en) Keyboard with media device docking station
TWI538327B (en) Charge adapter and charge method for an electronic device
CN2938220Y (en) Control device for earphone volume output switch-over and volume
KR200364500Y1 (en) Multi-functional ear-microphon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