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8358A - 풍력발전기에서 풍력유도용 태양광 발전판 - Google Patents

풍력발전기에서 풍력유도용 태양광 발전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8358A
KR20120098358A KR1020110018275A KR20110018275A KR20120098358A KR 20120098358 A KR20120098358 A KR 20120098358A KR 1020110018275 A KR1020110018275 A KR 1020110018275A KR 20110018275 A KR20110018275 A KR 20110018275A KR 20120098358 A KR20120098358 A KR 20120098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wind
power
power genera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8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7697B1 (ko
Inventor
민승기
Original Assignee
민승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승기 filed Critical 민승기
Priority to KR1020110018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697B1/ko
Publication of KR20120098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8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40Thermal components
    • H02S40/42Cooling means
    • H02S40/425Cooling means using a gaseous or a liquid coolant, e.g. air flow ventilation, water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6/00Devices for producing mechanical power from solar energy
    • F03G6/001Devices for producing mechanical power from solar energy having photovoltaic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1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including a supplementary source of electric power, e.g. hybrid diesel-PV energy systems
    • H02S10/12Hybrid wind-PV energy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6Conversion of thermal power into mechanical power, e.g. Rankine, Stirling or solar thermal eng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에서 풍력유도용 태양광 발전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외측면이나 연안지역과 같은 넓은 지역에서, 연설로 구비되는 태양광 발전기를 연동시켜주는 구조에서 태양광 발전을 위함과 동시에 풍력발전기의 회전날개 방향으로 대류가 발생함으로서 불어주는 풍력을 유도하도록 구비되는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풍력 발전기의 설치는 대부분 바람이 부는 지역에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각각의 풍력발전기를 구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고로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풍력발전장치에 대한 대한 구성은, 지지대(111)에 의하여 경사지게 고정되면서 비춰주는 태양광 발전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배면에는 냉각파이프가 구비되면서 발전장치를 위한 제어장치와 축전지(113)를 설치하여 주고, 태양광 발전장치의 앞면에는 모듈(210)이 연속 반복적으로 설치되는 사이사이의 이격구간(207)이 서로 교차되는 교차구간(208)으로 구비되는 태양광발전판(101)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발전판(101)의 전체구간에 형성되는 교차구간(208)에 관통으로 구비되는 공급구(202)을 천공시켜 주되,
상기 공급구(202)에는 조절핀(215)을 구비하여서 냉각공기나 냉각수를 뿜어주도록 제공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태양광발전판(101)의 상측 단부 구간에다 수평형회전장치(195)의 회전드럼(165')의 회전익(166')에 맞추어서 유도되도록 구비시켜서 제공하여 주고, 상기 수평형회전장치(195)의 주위에는 지지벽체(168)과 유입구(141)를 구비시켜 주도록 외벽(144)을 구비시켜 주되, 가이더벽(145)을 외장으로 확대시켜서 회전구간의 형성과 아울러 유도공기를 유입시켜 주고,
상기 태양광 발전판(101)의 하측이나 중측구간에다 수평상태로 분출구(230)가 구비된 파이프(240)을 구성시켜 주고,
상기 회전축(160')과 발전기(185)용 축 사이의 이격구간에는 태옆(175)의 양측 가장자리를 각각 고정으로 구비시켜서 제공하는 발명이다.
지지기둥(112)의 상측 단부에 결합되는 발전장치(155)의 회전축에서 회전날개(152)가 회전함으로서 풍력발전을 제공하는 풍력발전장치(150)용 지지기둥(112)의 상,하측구간에 각각의 반원형베아링에 결합되는 반원형하우징(125)에 연결되면서, 태양광 수임을 위하도록 구성한 태양광발전블럭(100)의 배면에 구비된 상,하측의 고정캡(160)에 지지빔(130)으로 연결시켜 주는 결합으로 구비하여 줌과 동시에, 상기 지지빔(130)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면서 지지시켜주는 바퀴(127)에 레일(140)을 구동시켜서 풍력이 부는 방향이나 태양광의 비치는 방향에 따라 회전구동을 시켜 주는 회전수단에 결합되는 태양광발전블럭(100)에서, 제1발전판(105)을 상,하측구간(a)(b)으로 구분시켜 주면서 배면에는 냉각수 공급장치와 상기 발전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축전지를 구비시켜 주고, 상기 하측구간(a)은 제1발전판(105)의 구간으로 형성시켜 주되, 상측구간(b)에는 격벽(117)과 이동구간(110)을 교호상으로 형성시켜 주되, 상기 격벽(117)의 상측 단부에 맞추어서 제2발전판(115)을 구비시켜서 각각 태양광 발전을 제공하여 줌과 동시에, 태양광 발전판의 앞면에는 모듈 (210)이 연속 반복적으로 설치되는 사이사이의 이격구간(207)이 서로 교차되는 교차구간(208)으로 구비되는 태양광발전판(101)에서, 태양열의 가열로 인하여 회전날개(152)로 바람이 불어주도록 경사지게 구비시켜서 제공하는 풍력유도용 태양광 발전판(101)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발전판(101)의 전체구간에 형성되는 교차구간(208)에 관통으로 구비되는 공급구(202)을 천공시켜 주되,
상기 공급구(202)에는 조절핀(215)을 구비하여서 냉각공기나 냉각수를 뿜어주도록 제공하는 발명이다.
풍력발전장치, 공급구, 이동관

Description

풍력발전기에서 풍력유도용 태양광 발전판{omitted}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에서 풍력유도용 태양광 발전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외측면이나 연안지역과 같은 넓은 지역에서, 연설로 구비되는 태양광 발전기를 연동시켜주는 구조에서 태양광 발전을 위함과 동시에 풍력발전기의 회전날개 방향으로 대류가 발생함으로서 불어주는 풍력을 유도하도록 구비되는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풍력 발전기의 설치는 대부분 바람이 부는 지역에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각각의 풍력발전기를 구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온난화의 현상으로 인하여 대용량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의 수요가 증대함으로서, 이에 따른 대용량의 발전시설을 설치하기 위하는 연안지역이나 해상풍력장치의 설치가 요구됨과 아울러 풍력발전장치의 크기의 높이가 100m 정도로 대용량이 사용하는 추세로 발전이 되는 것이다.
대부분 태양광 발전판의 모듈은 주로 반도체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바, 이는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주는 이격 구간을 서로 교차되게 하면서 연속반복적으로 설치하여 주게 하는데, 이는 발전을 위하는 적정온도는 주로 낮은 온도를 유지시켜 줌으로서 발전력의 보강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대규모의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하는 지역은 지형상 불어주는 바람이 많은 염전지역이나 지붕 등이 선호를 하는 것이다.
이는 대부분 날씨가 화창한 경우에는, 바람의 발생이 거의 없으면서, 비치는 태양광은 발전하기에는 최적의 요건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이로 인하여 발전을 하도록 제공하고 있으나 이로 인하여 비춰주는 태양광 발전을 위한 햇볕은로 가열되는 발전판의 가열온도는 비효율적인 요인이 되는 것이다.
또한 풍력발전장치에서의 회전날개에 대한 회전력은 가능한 미풍인 경우에서도 회전력이 발생하여 주는 보강장치의 요구가 필요하는 현실이다.
고로 본 발명에서는 미풍인 경우, 가능한 바람을 유도로 인하여 상기 풍력발전장치의 발전을 위하는 회전을 제공하기 위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태양광 집광판은 많은 태양광을 수임하기 위하여 가능한 넓은 면적의 집광판을 사용하는데, 이는 강풍에 대한 저항을 유발하므로 이에 대한 필요이상의 강력한 지지구조를 제공하여야 강풍의 피해로부터 안전하게 사용하도록 본인의 선 출원된 10-2011-0013690호에 의하여 풍력발전기용 지지기둥에서 연설된 회전수단과 아울러 견고하게 결합된 태양광 발전판에 대한 회전구조를 제공하기 되었다.
또한 풍력에 의하여 회전을 하는 푸로펠러의 구조는 풍력이 부는 방향으로 향하면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회전날개로 구성되거나, 또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드럼형의 원통형 회전체의 외측면에다 원주방향으로 등 간격을 유지하면서 경사지게 돌출되는 회전익 사이의 요홈구간에서 풍력에 대한 저항을 이용하여서 회 전을 하도록 제공되었다.
그러나 상기 푸로펠러는 대부분 수직형으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이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부는 풍력을 유도하여 주도록 본인의 선발명 출원된 10-2010-43991, 48747호에 의하여 효과적인 회전보강장치가 제공되었다.
따라서 상기 안정구간의 공간에는 햇볕이 비치는 맑은 날씨에는 태양광 발전기를 구비하여 주되, 이의 태양 추적을 위하는 기울어진 태양광 발전판에서 가열되는 온도로 주위의 공기를 가열시켜 줌으로서, 바람의 이동을 풍력발전기의 회전날개로 이동을 유도하여 주도록 제공하는 대류현상의 발생의 보강 역할로 수행하여 주기 위함이다.
그러나 상기 가열된 태양광 발전판에서는 이와 비례하여 발전력의 저하로 이어지므로, 이를 위하여 바람이 많은 부는 방향으로 설치하거나. 가끔 냉각수를 뿌려줌과 동시에 청소를 하여 주도록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창한 날씨에서는 태양열 가열이나 태양광 발전을 하도록 제공함과 동시에, 바람이 미풍으로 부는 날씨에는 대류현상을 유도함으로서 바람의 부는 방향을 공중으로 향하도록 제공하여서, 이에 따른 상기 회전날개로 풍력이 불어주도록 제공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가열된 발전판에 의하여 주위의 공기가 가열됨으로서, 이에 따라 공기의 비중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서, 대류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기술 등의 발달에 따라 건설되는 풍력발전장치의 지지기둥의 높이는 대략 60?100m 정도의 높이와 이에 따른 지지강도를 위한 보강구조로 이루어지는 추 세이므로, 상기의 높은 구조에서 상,하측의 주위에 존재하는 공기의 온도가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대류현상의 발생을 유도하여 주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설명되는 지지기둥은 고중량의 발전장치를 지탱하여 줌과 동시에 내측공간에는 장비 및 작업자의 이동구간을 형성하면서, 수시로 상기 발전장치의 정비를 위하는 작업자의 이동을 위한 승강기 및 사다리 등을 구비하여 주므로, 이에 대하여 대구경(예; 직경이 5?10m 정도)으로 구비되면서 상측으로 향하면서 순차적으로 점점 적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풍력발전장치가 설치되는 풍력발전기용 지지기둥에서 외측 가장자리 방향으로 돌출되는 회전장치의 하측구간에서 불어주는 풍력의 효과를 유도하기 위하여 줌과 동시에, 상기 하측구간에 비치는 햇볕을 이용하여 태양광발전을 제공하면서, 가해지는 태양열에 의하여 대류를 유도함으로서, 풍력과 동시에 태양광 발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태양광발전판의 전체 구간에서 발전력의 보강과 아울러 청소 등을 수행하기 위하도록 냉각을 위한 공기를 불어줌으로서 제공되는 공기가 경사지게 결합되는 발전판에 가해지는 태양광의 가열온도에 의하여 발생하는 대류형상의 이동공기를 퐁력발전기의 회전날개 방향으로 불어주도록 제공하기 위함이다.
지지대(111)에 의하여 경사지게 고정되면서 비춰주는 태양광 발전하는 태양 광 발전장치의 배면에는 냉각파이프가 구비되면서 발전장치를 위한 제어장치와 축전지(113)를 설치하여 주고, 태양광 발전장치의 앞면에는 모듈(210)이 연속 반복적으로 설치되는 사이사이의 이격구간(207)이 서로 교차되는 교차구간(208)으로 구비되는 태양광발전판(101)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발전판(101)의 전체구간에 형성되는 교차구간(208)에 관통으로 구비되는 공급구(202)을 천공시켜 주되,
상기 공급구(202)에는 조절핀(215)을 구비하여서 냉각공기나 냉각수를 뿜어주도록 제공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태양광발전판(101)의 상측 단부 구간에다 수평형회전장치(195)의 회전드럼(165')의 회전익(166')에 맞추어서 유도되도록 구비시켜서 제공하여 주고, 상기 수평형회전장치(195)의 주위에는 지지벽체(168)과 유입구(141)를 구비시켜 주도록 외벽(144)을 구비시켜 주되, 가이더벽(145)을 외장으로 확대시켜서 회전구간의 형성과 아울러 유도공기를 유입시켜 주고,
상기 태양광 발전판(101)의 하측이나 중측구간에다 수평상태로 분출구(230)가 구비된 파이프(240)을 구성시켜 주고,
상기 회전축(160')과 발전기(185)용 축 사이의 이격구간에는 태옆(175)의 양측 가장자리를 각각 고정으로 구비시켜서 제공하는 발명이다.
지지기둥(112)의 상측 단부에 결합되는 발전장치(155)의 회전축에서 회전날개(152)가 회전함으로서 풍력발전을 제공하는 풍력발전장치(150)용 지지기둥(112)의 상,하측구간에 각각의 반원형베아링에 결합되는 반원형하우징(125)에 연결되면 서, 태양광 수임을 위하도록 구성한 태양광발전블럭(100)의 배면에 구비된 상,하측의 고정캡(160)에 지지빔(130)으로 연결시켜 주는 결합으로 구비하여 줌과 동시에, 상기 지지빔(130)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면서 지지시켜 주는 바퀴(127)에 레일(140)을 구동시켜서 풍력이 부는 방향이나 태양광의 비치는 방향에 따라 회전구동을 시켜 주는 회전수단에 결합되는 태양광발전블럭(100)에서, 제1발전판(105)을 상,하측구간(a)(b)으로 구분시켜 주면서 배면에는 냉각수 공급장치와 상기 발전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축전지를 구비시켜 주고, 상기 하측구간(a)은 제1발전판(105)의 구간으로 형성시켜 주되, 상측구간(b)에는 격벽(117)과 이동구간(110)을 교호상으로 형성시켜 주되, 상기 격벽(117)의 상측 단부에 맞추어서 제2발전판(115)을 구비시켜서 각각 태양광 발전을 제공하여 줌과 동시에, 태양광 발전판의 앞면에는 모듈(210)이 연속 반복적으로 설치되는 사이사이의 이격구간(207)이 서로 교차되는 교차구간(208)으로 구비되는 태양광발전판(101)에서, 태양열의 가열로 인하여 회전날개(152)로 바람이 불어주도록 경사지게 구비시켜서 제공하는 풍력유도용 태양광 발전판(101)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발전판(101)의 전체구간에 형성되는 교차구간(208)에 관통으로 구비되는 공급구(202)을 천공시켜 주되,
상기 공급구(202)에는 조절핀(215)을 구비하여서 냉각공기나 냉각수를 뿜어주도록 제공하는 발명이다.
상기 태양광발전판(101)에 형성되는 공급구(202)가 상,하측구간(a)(b)에서 각각 불어주는 공기가 차등의 온도로 불어줌으로서 대류 현상을 형성시켜주고,
상기 지지기둥(112)의 상측 단부에 결합되는 발전장치(155)의 회전축(160')을 연장시켜 주되, 별도의 회전날개(152')를 구비함으로서, 상기 제1,2발전판(105)(115)으로부터 별도의 회전날개(152')로 불어주는 풍력에 의하여 회전이 보강하여 주도록 구비시켜 주고,
상기 제1,2발전판(105)(115)의 하측이나 중측구간에다 수평상태로 분출구(230)가 구비된 파이프(240)을 구성시켜 주고,
상기 제1,2발전판(105)(115)의 양측 단부에서 외측 구간으로 외벽유도판(118)(118')을 돌출시켜서 발전력의 확대와 아울러 바람이 이동력을 보강시켜 주도록 제공하는 발명이다.
상기 제2발전판(115)에다 조립요홈(188)을 형성시켜 주고,
상기 풍력발전장치(150)을 수직형회전장치(150)로 구비시켜 주되, 상기 태양광발전블럭(100)의 이동구간(110)의 단부를 유도벽(177) 사이의 유입구(170)의 일측으로 유도되도록 유도대(155)을 구비시켜 주고,
상기 태양광발전블럭(100)을 서로 대향되게 양측으로 구비시켜서 제공함으로서, 태양열에 의한 풍력발전을 보강시켜 주도록 제공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태양광발전블럭(100)을 건축물(195)의 지붕과 벽면에다 서로 대향되게 구비시켜 주되, 상기 이동구간(110)의 단부를 수평형회전장치(195)의 회전드럼(165')의 회전익(166')에 맞추어서 유도되도록 구비시켜서 제공하여 주고, 상기 수평형회전장치(195)의 주위에는 지지벽체(168)과 유입구(141)를 구비시켜 주되, 가이더벽(145)을 외장시켜서 회전구간을 형성시켜 주고,
상기 회전축(160')과 발전기(185) 사이에는 태옆(175)을 구비시켜서 제공하는 발명이다.
본 발명은 광범위한 풍력단지에서 효과적으로 바람을 유도하여서 발전력을 보강함이며, 또한 햇볕에 의한 태양광 발전과 아울러 태양광과 같이 부춰주는 태양광발전판에서 발전력의 보강을 위하여, 공급구로부터 냉각된 공기를 상하측 구간에 차등된 온도로 분무함으로서, 온도에 의한 대류현상을 유도로 제공하도록 구성하여 줌과 동시에, 태양광발전판에 대한 발전력을 보강시켜 주도록 제공함으로 경제성 및 실용성이 보강되는 발명이다.
또한 강풍이 부는 경우에는 바람의 이동을 공중으로 유도하여서 풍해의 피해를 방지하여 주도록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기 설치된 풍력발전기의 지지기둥에서 회전날개가 구비되는 높은 공간에다 효과적으로 구비하여서 태양광 및 풍력을 기후의 여건에 따라 발전하는 장치의 보강을 제공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사용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2은 도 1에서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B-B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 5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서 요부에 대한 사용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에서 C-C선의 확대된 단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도 6에서 다른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9에서 D-D선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에서 요부에 대한 확대된 사시도이다.
또한 도 13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3에서 E-E선 단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다른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6는 도 15에서 F-F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기 설명된 바와 같이 발전을 위한 태양광 발전블럭(100)의 배열은, 햇볕의 효과적인 수임과 아울러 바람에 의한 냉각 구조로 설치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을 하면, 설치하려는 지역의 지반(106)에다 매설로 고정되는 지지대(111)에 의하여, 경사지게 고정되면서 비춰주는 태양광 발전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배면에는 냉각파이프(228)가 구비되면서 발전장치를 위한 제어장치와 축전지(113)를 설치하여 주고, 태양광 발전장치의 앞면에는 태양광발전소자(이하 모듈이라 칭함)(210)이 연속 반복적으로 설치되는 사이사이의 이격구간(207)이 서로 교차되는 교차구간(208)으로 구비되는 태양광발전판(101)에서, 상기 태양광 발전판(101)의 전체구간에 형성되는 각각의 교차구간(208)에 관통으로 구비되는 공급구(202)을 천공시켜 주되,
상기 공급구(202)에는 분출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핀(215)을 구비하여서 냉각 공기나 냉각수를 뿜어주도록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장기적으로 야외에 노출로 이용을 하는 태양광발전판(101)의 사용 여건은 공기 중에 섞여서 비산되는 먼지, 황사 등으로 가라앉아서 침적되는 불순물에 대한 주기적인 청소가 요구되는 것이며, 또한 필요에 따라 냉각수를 품어 줌으로서 발전력을 형성시켜 주기 위하는 주기적인 관리가 요구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태양광발전판(101)에서 일정한 배열로 설치되는 모듈(210) 사이사이의 교차된 이격된 교차구간(208)의 범위에 맞추어서 관통으로 상기 태양광발전판(101)의 배면에 결합된 냉각파이프에 연결과 아울러 미도시된 펌프와 이를 관리하기 위한 제어장치(113)의 제어에 의하여 냉각을 위하면서 발전을 위하는 냉각된 공기를 뿜어주도록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미 도시된 풍향계와 쎈서, 타이머, 축전장치 등과 아울러 이에 따른 제어장치를 구비함으로서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을 하면,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햇볕이 많이 비춰주면서 바람의 부는 량이 높은 지역 즉, 높은 건축물인 빌딩이나 구조물에서 구비되는 벽면과 옥상을 이용함으로서,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일실시예를 제공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첨부된 도 3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195)의 일측 벽면에다 거의 수직 상태로 경사도가 심하는 태양광발전판(101)을 구비시켜 주되, 상기 태양광발전판(101)의 상측 단부 구간에다 옥상으로 설치가 되면서 상기 태양광발전판(101)의 면적에서 유도됨으로서 불어주는 풍력에 의하여 발전이 되도록, 상기 태양광발전판(101)의 상측 단부 구간에 맞추어서 설치 되도록 수평형회전장치(195)의 회전드럼(165')의 회전익(166')에 맞추어서 풍력이 유도되도록 구비시켜서 제공하여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평형회전장치(195)에서 풍력이 유입되는 구간의 외측주위에는 지지벽체(168)과 유입구(141)를 구비시켜 주도록 외벽(144)을 구비시켜 줌으로서 회전드럼(165')의 회전구간을 구비시켜 주되, 상기 태양광발전판(101)의 상측 구간으로 가이더벽(145)을 외장으로 확대시켜 줌으로서 태양광발전판(101)의 표면으로부터 대류로 이동하는 풍력을 회전구간으로 유입되도록 형성과 아울러 회전드럼(165')의 외측면에서 원둘레 방향으로 다수개의 회전익(166')의 돌출로 인한 저항에 의하여 회전이 됨으로서 발전기(185)를 회전으로서 발전이 되도록 구비시켜 줌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축(160')과 발전기(185)용 축 사이의 이격구간에는 태옆(175)의 양측 가장자리를 각각 고정으로 태옆(175)이 느슨하게 수회전으로 감아주는 공간을 구비시켜 주도록 제공함으로서, 미풍인 경우 초기 회전에 대한 저항을 상기 태옆(175)의 자체 감아서 저항을 극소화하도록 제공하는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설명되는 교차구간(208)에 관통으로 구비되는 공급구(202)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을 하면, 상기 태양광발전판(101)의 하측 구간과 중간측 구간에서 수평상태로 미도시된 펌프에서 공급되는 냉각공기를 뿜어주기 위한 파이프(240)을 구비시켜 주되, 상기 파이프(240)의 구간에는 경사지게 설치되는 태양광발전판(101)의 상측 방향으로 분출되도록 다수개의 분출구(230)를 관통으로 천공시켜서 제공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인 태양광으로 가열해진 발전판에 대한 냉각효과로 발전력의 보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240)의 설치 구간에는 모듈(210)의 배열을 조절함으로서, 상기 파이프(240)에 의한 그늘로 발전력에 대한 피해를 예방함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의 1)
본 발명의 목적인 풍력발전장치(150)에서 회전날개(152)에 대한 풍력의 수임력을 보강시켜 주기 위하여 지상(106)이나 해수면(108)에서 가능한 높은 높이(예: 50?100m 정도)로 설치를 하여 주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와 같은 높은 높이로 설치하기 위하여 지지기둥(112)의 높은 구간에 대한 공간에 비치는 태양광이나 풍력에 대한 효과적인 발전을 보강으로 제공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첨부된 도 5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기둥(112)의 상측 단부에 결합되는 발전장치(155)의 회전축에서 회전날개(152)가 회전함으로서 풍력발전을 제공하는 풍력발전장치(150)용 지지기둥(112)의 상,하측구간에 각각의 반원형베아링에 결합되는 반원형하우징(125)에 연결되면서, 태양광 수임을 위하도록 구성한 태양광발전블럭(100)의 배면에 구비된 상,하측의 고정캡(160)에 지지빔(130)으로 연결시켜 주는 결합으로 구비하여 줌과 동시에, 상기 지지빔(130)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면서 지지시켜 주는 바퀴(127)에 레일(140)을 구동시켜서 풍력이 부는 방향이나 태양광의 비치는 방향에 따라 회전구동을 시켜 주는 회전수단에 결합되는 태양광발전블럭(100)에서, 제1발전판(105)을 상,하측구간(a)(b)으로 구분시켜 주면서 배면에는 냉각수 공급장치와 상기 발전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축전지를 구비시켜 주고, 상기 하측구간(a)은 제1발전판(105)의 구간으로 형성시켜 주되, 상측구간(b)에는 격벽(117)과 이동구간 (110)을 교호상으로 형성시켜 주도록 상기 제1발전판(105)에서 연장된 받침판을 형성하여 줌으로서, 상기 제1발전판(105)에서 유도된 풍력의 이동하는 구간으로 형성시켜 준다. 또한 상기 격벽(117)의 상측 단부에 맞추어서 제2발전판(115)을 구비시켜서 각각태양광 발전을 제공하여 줌과 동시에, 태양광 발전판의 앞면에는 모듈(210)이 연속 반복적으로 설치되는 사이사이의 이격구간(207)이 서로 교차되는 교차구간(208)으로 구비되는 태양광발전판(101)에서, 태양열의 가열로 인하여 회전날개(152)로 바람이 불어주도록 경사지게 구비시켜서 제공하는 풍력유도용 태양광 발전판(101)에서,
상기 태양광 발전판(101)의 전체구간인 상하측구간(a)(b)인 제1,2발전판(105)(115)의 면적에 형성되는 모듈(210)이 이격된 사이의 교차구간(208)에 관통으로 구비되는 공급구(202)을 천공시켜 주되,
상기 공급구(202)에는 조절핀(215)을 구비하여서 냉각공기나 냉각수를 뿜어줌으로서, 상기 태양광발전판(101)의 표면에 대한 냉각효과와 아울러 청소를 제공함으로서, 상기 모듈에 대한 발전력의 보강을 제공함이다.
또한 상기 설명되는 풍력발전장치(150)가 구비된 방향으로 뿜어주도록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측의 고정캡(160)에서 경사지게 돌출되는 경사프레임(131)으로 지지빔(130)의 후측에 연결로서 제공함으로, 상기 경사지는 태양광발전블럭(100)에 대한 안정성을 보강시켜 줌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의 2)
또한 경사지면서 넓은 면적의 태양광발전판(101)에서의 태양광이 부추는 동안의 가열된 온도에 의한 대류현상에 대한 촉진을 위하는 발명으로서,
원레 공기는 압력의 차이나 공기의 기온(온도)에 대한 차이로 인하여 형성되는 비중의 차이에 의하여 이동하는 바람이 발생을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경사지면서 넓은 면적의 태양광발전판(101)을 상하측 구간(a)(b) 으로 분류를 시켜 주되, 상기 상하측 구간(a)(b)에서 각각 뿜어주는 공기의 온도를 상측구간(a)의 온도를 하측구간(b) 구간의 온도보다 더 높은 온도로 차등한 온도로 구분시켜서 뿜어주면 상기 차등된 온도에 의하여 상측으로 이동하는 대류현상이 발생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일실시예의 설명은, 골짜기나 건축물 사이에서 양지와 음지 상이의 온도차이에서 불어주는 바람의 형성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태양광발전판(101)에 형성되는 공급구(202)가 상,하측구간(a)(b)에서 각각 불어주는 공기가 차등의 온도로 불어줌으로서 대류 현상을 형성시켜주고,
상기 지지기둥(112)의 상측 단부에 결합되는 발전장치(155)의 회전축(160')을 연장시켜 주되, 별도의 회전날개(152')를 구비함으로서, 상기 제1,2발전판(105)(115)으로부터 별도의 회전날개(152') 불어주는 풍력에 의하여 회전이 보강하여 주도록 구비시켜 주고,
상기 제1,2발전판(105)(115)의 양측 단부에서 외측 구간으로 외벽유도판(118)(118')을 돌출시켜서 발전력의 확대와 아울러 바람이 이동력을 보강시켜 주도 록 제공하는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설명되는 교차구간(208)에 관통으로 구비되는 공급구(202)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을 하면, 상기 제1,2발전판(105)(115)에서 구비되는 각각의 하측 구간과 중간측 구간에서 수평상태로 미도시된 펌프에서 공급되는 냉각공기를 뿜어주기 위한 파이프(240)을 구비시켜 주되, 상기 파이프(240)의 구간에는 경사지게 설치되는 태양광발전판(101)의 상측 방향으로 분출되도록 다수개의 분출구(230)를 관통으로 천공시켜서 제공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인 태양광으로 가열해진 발전판에 대한 냉각효과로 발전력의 보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설명되는 파이프(240)에 대한 설치는 시공 현장의 여건에 따라,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바람직한 구조인 고정핀이나 치구 등으로 고정시켜서 설치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240)로 청소를 위한 물을 분사시켜 주면, 공기 중에서 비산으로 쌓여있는 황사나 먼지에 대한 청결를 보강시켜 주는 효과를 제공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지지기둥(112)의 중안부위에서 가능한 시공 현장이나 해수면(108)에 대한 설치를 간단하면서 햇볕의 비추는 방향회전이나 풍력의 부는 방향에 대한 방향회전 수단에 대한 설치를 간소화하기 위하면서, 이에 의한 발전력을 보강시켜 주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첨부된 도5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발전판(105)에다 조립요홈(188)을 형성시켜 줌으로서, 상기 조립요홈(188) 구간으로 지지기둥(112)의 몸체를 삽입으로 설치함과 동시에 풍력발전장치(150)용 회전날개 (152)를 후측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면서, 회전을 하도록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풍력발전장치(150)의 구조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는 설명으로서, 첨주된 도9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력발전장치(150)를 수직형회전장치(151)로 구비시켜 주되, 상기 태양광발전블럭(100)의 이동구간(110)의 단부를 유도벽(177) 사이의 유입구(170)의 일측으로 유도되도록 유도대(155)을 구비시켜 줌으로서, 공중에서 불어오는 풍력에 의하여 회전을 보강하여 주도록 제공함이다.
즉 상기 유입구(170)가 구비되는 일측의 구간에 상기 설명되는 유도대(155)로 분출되는 풍력으로 발전을 보강시켜 준다.
여기서 설명되는 수직형회전장치(151)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풍력의 유입에 따른 회전드럼(165)의 회전 구조는,
상기 회전축(160)의 구간에는 상하측회전판를 고정시켜 주는 단계와; 상기 상하측회전판 사이의 구간의 가장자리에는 회전드럼(165)을 고정하여 주고, 상기 회전드럼(165) 외측으로 회전익을 등 간격으로 형성시켜 주는 구조로 대부분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회전드럼(165)의 외측 구간에다 감싸주면서 풍력을 유입시켜 주기 위하도록 별도의 상,하측 고정대 사이의 원주구간에 등 간격으로 유도벽(177) 사이사이의 구간을 유입구(170)으로 형성함으로서, 상기 설명되는 회전드럼(165)의 주위의 넓은 공간에서 불어주는 풍력을 유입함으로서, 회전력을 보강하여 주도록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요부인 상기 태양광발전블럭(100)을 건축물(195)의 경사지는 지붕과 높은 길이로 형성되도록 대형 건축물(195)의 벽면에다 설치하기 위하는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을 하면, 첨부된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발전판(115)를 서로 대향되게 구비시켜 주되, 상기 이동구간(110)의 단부를 수평형회전장치(195)의 회전드럼(165')의 회전익(166')에 맞추어서 유도되도록 구비시켜서 제공하여 주고, 상기 수평형회전장치(195)의 주위에는 지지벽체(168)과 유입구(141)를 구비시켜 주되, 가이더벽(145)을 외장시켜서 회전구간을 형성시켜 주고, 상기 건축물(195)의 벽면 구간에서는 제1발전판(105)의 상측 단부로 서로 연결되도록 구비하면서 하향되게 설치를 하여 줌으로서 제공됨이 바람직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회전축(160')과 발전기(185) 사이에는 태옆(175)을 구비시켜서 제공하는 발명이다.
즉 대부분의 건축물(195) 또는 도로(143)에서 방음벽이나 제설 역할을 하여 주도록 차도를 덮어주는 시설물, 즉 경사진 지붕의 구조로 형성되도록 태양광발전블럭(100)을 구비하는 제2발전판(115)을 서로 대향되게 구비시켜 주되, 상기 형성되는 지붕의 하측 단부에는 격벽(117)과 이동구간(110)이 연속 반복적으로 전체의 지붕 구간에 연속적으로 연결하여서 사용하도록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붕의 하측 단부부위에서 하측구간 즉 벽면 구간으로 하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도록 제1발전판(105)을 구비시켜서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구비되는 지붕을 형성하도록 서로 대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상측 단부에는, 길이방향에 맞추어서 연속 반복적으로 서로 끝단이 연결되도록 수 평형회전장치(190)로 형성되는 풍력발전블럭(200)를 구비시켜 줌으로서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태양광 발전판(101)의 전체구간인 상하측구간(a)(b)인 제1,2발전판(105)(115)의 면적에 형성되는 모듈(210)이 이격된 사이의 교차구간(208)에 관통으로 구비되는 공급구(202)을 천공시켜 주되,
상기 공급구(202)에는 조절핀(215)을 구비하여서 풍력발전장치(150)가 구비된 방향으로 냉각공기나 냉각수를 뿜어줌으로서, 상기 태양광발전판(101)의 표면에 대한 냉각효과와 아울러 청소를 제공함으로서, 상기 모듈에 대한 발전력의 보강을 제공함이다.
또한 상기 설명되는 풍력발전장치(150)에서 모듈(210)이 이격된 사이의 교차구간(208)에 관통으로 구비되는 공급구(202)에 대한 일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태양광발전판(101)가 구비된 상하측구간에서, 하측이나 중간측에서 수평방향으로 태양광발전판(101)의 구간에 맞추어서 분출구(230)이 관통된 파이프(240)의 설치로 뿜어주도록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사용상태의 단면도
도 2은 도 1에서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B-B선 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요부에 대한 사용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
도 8은 도 6에서 C-C선의 확대된 단면도
도 9는 도 6에서 다른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
도 10은 도 9에서 D-D선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
도 12는 도 11에서 요부에 대한 확대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서 E-E선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다른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는 도 15에서 F-F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태양광 발전블럭 105 : 제1발전판 110 : 이동구간 112 : 지지기둥
115 : 제2발전판 117 : 격벽 118 : 외벽유도판 119 : 개폐벽
120 : 제1베아링 121 : 힌지 124 : 덮개 125 : 제2베아링 127 : 바퀴
128 : 유출구간 130 : 지지빔 131 : 경사프레임 140 : 레일
141 : 유입구 143 : 도로 145 : 가이더벽 150 : 풍력발전장치
151 : 수직형회전장치 155 : 유도대 160 : 고정캡 160' : 회전축
165 : 회전드럼 166: 회전익 168 : 지지벽체 170 : 유입구 175 : 태옆
177 : 유도벽 180 : 통과구간 185 : 발전기 186 : 하우징
190 : 수평형회전장치 195 : 건축물 200 : 풍력발전블럭
202 : 공급구 205 : 공급관 208 : 교차구간 230 : 분출구

Claims (6)

  1. 지지대(111)에 의하여 경사지게 고정되면서 비춰주는 태양광 발전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배면에는 냉각파이프(228)가 구비되면서 발전장치를 위한 제어장치와 축전지(113)를 설치하여 주고, 태양광 발전장치의 앞면에는 모듈(210)이 연속 반복적으로 설치되는 사이사이의 이격구간(207)이 서로 교차되는 교차구간(208)으로 구비되는 태양광발전판(101)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발전판(101)의 전체구간에 형성되는 교차구간(208)에 관통으로 구비되는 공급구(202)을 천공시켜 주되,
    상기 공급구(202)에는 조절핀(215)을 구비하여서 냉각공기나 냉각수를 뿜어주도록 제공하는 태양광 발전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발전판(101)의 상측 단부 구간에다 수평형회전장치(195)의 회전드럼(165')의 회전익(166')에 맞추어서 유도되도록 구비시켜서 제공하여 주고, 상기 수평형회전장치(195)의 주위에는 지지벽체(168)과 유입구(141)를 구비시켜 주도록 외벽(144)을 구비시켜 주되, 가이더벽(145)을 외장으로 확대시켜서 회전구간의 형성과 아울러 유도공기를 유입시켜 주고,
    상기 태양광 발전판(101)의 하측이나 중측구간에다 수평상태로 분출구(230)가 구비된 파이프(240)을 구성시켜 주고,
    상기 회전축(160')과 발전기(185)용 축 사이의 이격구간에는 태옆(175)의 양측 가장자리를 각각 고정으로 구비시켜서 제공하는 풍력발전기에서 풍력유도용 태양광 발전판.
  3. 지지기둥(112)의 상측 단부에 결합되는 발전장치(155)의 회전축에서 회전날개(152)가 회전함으로서 풍력발전을 제공하는 풍력발전장치(150)용 지지기둥(112)의 상,하측구간에 각각의 반원형베아링에 결합되는 반원형하우징(125)에 연결되면서, 태양광 수임을 위하도록 구성한 태양광발전블럭(100)의 배면에 구비된 상,하측의 고정캡(160)에 지지빔(130)으로 연결시켜 주는 결합으로 구비하여 줌과 동시에, 상기 지지빔(130)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면서 지지시켜주는 바퀴(127)에 레일(140)을 구동시켜서 풍력이 부는 방향이나 태양광의 비치는 방향에 따라 회전구동을 시켜 주는 회전수단에 결합되는 태양광발전블럭(100)에서, 제1발전판(105)을 상,하측구간(a)(b)으로 구분시켜 주면서 배면에는 냉각수 공급장치와 상기 발전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축전지를 구비시켜 주고, 상기 하측구간(a)은 제1발전판(105)의 구간으로 형성시켜 주되, 상측구간(b)에는 격벽(117)과 이동구간(110)을 교호상으로 형성시켜 주되, 상기 격벽(117)의 상측 단부에 맞추어서 제2발전판(115)을 구비시켜서 각각 태양광 발전을 제공하여 줌과 동시에, 태양광 발전판의 앞면에는 모듈(210)이 연속 반복적으로 설치되는 사이사이의 이격구간(207)이 서로 교차되는 교차구간(208)으로 구비되는 태양광발전판(101)에서, 태양열의 가열로 인하여 회전날개(152)로 바람이 불어주도록 경사지게 구비시켜서 제공하는 풍력유도용 태양광 발 전판(101)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발전판(101)의 전체구간에 형성되는 교차구간(208)에 관통으로 구비되는 공급구(202)을 천공시켜 주되,
    상기 공급구(202)에는 조절핀(215)을 구비하여서 냉각공기나 냉각수를 뿜어주도록 제공하는 태양광 발전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발전판(101)에 형성되는 공급구(202)가 상,하측구간(a)(b)에서 각각 불어주는 공기가 차등의 온도로 불어줌으로서 대류 현상을 형성시켜주고,
    상기 지지기둥(112)의 상측 단부에 결합되는 발전장치(155)의 회전축(160')을 연장시켜 주되, 별도의 회전날개(152')를 구비함으로서, 상기 제1,2발전판(105)(115)으로부터 별도의 회전날개(152')로 불어주는 풍력에 의하여 회전이 보강하여 주도록 구비시켜 주고,
    상기 제1,2발전판(105)(115)의 하측이나 중측구간에다 수평상태로 분출구(230)가 구비된 파이프(240)을 구성시켜 주고,
    상기 제1,2발전판(105)(115)의 양측 단부에서 외측 구간으로 외벽유도판(118)(118')을 돌출시켜서 발전력의 확대와 아울러 바람이 이동력을 보강시켜 주도록 제공하는 풍력발전기에서 풍력유도용 태양광 발전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발전판(115)에다 조립요홈(188)을 형성시켜 주고,
    상기 풍력발전장치(150)을 수직형회전장치(150)로 구비시켜 주되, 상기 태양광발전블럭(100)의 이동구간(110)의 단부를 유도벽(177) 사이의 유입구(170)의 일측으로 유도되도록 유도대(155)을 구비시켜 주고,
    상기 태양광발전블럭(100)을 서로 대향되게 양측으로 구비시켜서 제공함으로서, 태양열에 의한 풍력발전을 보강시켜 주도록 제공하는 풍력발전기에서 풍력유도용 태양광 발전판.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발전블럭(100)을 건축물(195)의 지붕과 벽면에다 서로 대향되게 구비시켜 주되, 상기 이동구간(110)의 단부를 수평형회전장치(195)의 회전드럼(165')의 회전익(166')에 맞추어서 유도되도록 구비시켜서 제공하여 주고, 상기 수평형회전장치(195)의 주위에는 지지벽체(168)과 유입구(141)를 구비시켜 주되, 가이더벽(145)을 외장시켜서 회전구간을 형성시켜 주고,
    상기 회전축(160')과 발전기(185) 사이에는 태옆(175)을 구비시켜서 제공하는 풍력발전기에서 풍력유도용 태양광 발전판.
KR1020110018275A 2011-02-25 2011-02-25 풍력발전기에서 풍력유도용 태양광발전판 KR101557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275A KR101557697B1 (ko) 2011-02-25 2011-02-25 풍력발전기에서 풍력유도용 태양광발전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275A KR101557697B1 (ko) 2011-02-25 2011-02-25 풍력발전기에서 풍력유도용 태양광발전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8358A true KR20120098358A (ko) 2012-09-05
KR101557697B1 KR101557697B1 (ko) 2015-10-13

Family

ID=47109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8275A KR101557697B1 (ko) 2011-02-25 2011-02-25 풍력발전기에서 풍력유도용 태양광발전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69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1748A (ko) * 2013-11-05 2015-05-13 민승기 태양광 유도대가 구비된 태양광 발전모듈
KR20150055510A (ko) * 2013-11-13 2015-05-21 민승기 태양광 유도대가 구비된 태양광 발전판용 모듈
CN109247060A (zh) * 2016-07-12 2019-01-18 株式会社静绿色科技 可通风的太阳能电池以及太阳能电池模块
CN116800173A (zh) * 2023-06-19 2023-09-22 三峡大学 一种光伏太阳能发电板的防护设备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1748A (ko) * 2013-11-05 2015-05-13 민승기 태양광 유도대가 구비된 태양광 발전모듈
KR20150055510A (ko) * 2013-11-13 2015-05-21 민승기 태양광 유도대가 구비된 태양광 발전판용 모듈
CN109247060A (zh) * 2016-07-12 2019-01-18 株式会社静绿色科技 可通风的太阳能电池以及太阳能电池模块
CN116800173A (zh) * 2023-06-19 2023-09-22 三峡大学 一种光伏太阳能发电板的防护设备
CN116800173B (zh) * 2023-06-19 2023-12-08 三峡大学 一种光伏太阳能发电板的防护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7697B1 (ko) 2015-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9930B2 (en) Vertical multi-phased wind turbine system
US8443571B2 (en) Wind power equipment and assembly
KR101831577B1 (ko) 풍력 및 태양광 발전용 블록에 겸비된 주거시설
EA023602B1 (ru) Ветро-водяная турбина с уменьшенным сопротивлением вращению за счет ветровой лопасти с лопатками
WO2009106922A1 (en) Shaftless vertical axis wind cage turbine
KR101073897B1 (ko) 다단계 풍력 발전기
KR20120098358A (ko) 풍력발전기에서 풍력유도용 태양광 발전판
KR101145104B1 (ko) 저수 가능한 태양광 발전용 블럭
KR101328188B1 (ko) 풍력유도되는 풍력 및 태양광 발전장치
KR101260379B1 (ko) 풍력 및 태양광 발전기용 블럭
KR20120094600A (ko) 풍력발전기에서 풍력유도용 태양광 발전장치
KR101268404B1 (ko) 풍력발전기에 연설되는 태양광 발전장치
KR101415511B1 (ko) 시설물에서 풍력유도 구조용 풍력발전기
KR20210102762A (ko) 건물 옥상용 자연에너지 복합 발전 시스템
US8115332B2 (en) Solar-initiated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KR20100034497A (ko) 도로에서 풍력 및 태양광 발전용 블록
KR20120134529A (ko) 태양광 발전판용 공냉각장치
KR20110094168A (ko) 풍력발전기에 연설되는 태양광 발전장치
KR101967187B1 (ko) 풍력발전기
KR20120133729A (ko) 태양광 발전판용 냉각장치
KR20120080844A (ko) 풍력발전기에 연설되는 태양광발전장치
KR101176418B1 (ko) 풍해 방지를 위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KR20100013230A (ko) 지지대 조립용 태양광 발전기
KR101698060B1 (ko) 모듈형 풍력발전장치
KR101244677B1 (ko) 건축물에서 풍력 및 태양광 발전용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719

Effective date: 201410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