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8254A -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8254A
KR20120098254A KR1020110018094A KR20110018094A KR20120098254A KR 20120098254 A KR20120098254 A KR 20120098254A KR 1020110018094 A KR1020110018094 A KR 1020110018094A KR 20110018094 A KR20110018094 A KR 20110018094A KR 20120098254 A KR20120098254 A KR 20120098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user
touch
user interface
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8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정
박근호
전원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18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8254A/ko
Publication of KR20120098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82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메뉴관리부는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여 복수의 메뉴 아이콘을 관리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복수의 메뉴 아이콘 중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는 복수의 메뉴 아이콘 중 사용자가 원하는 아이콘 선택을 위한 선택 터치와 다른 아이콘으로의 이동을 위한 드래그 터치를 감지하고, 복수의 메뉴 아이콘들이 원형으로 메뉴 라인 배열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는 원형 궤적을 따라 터치 드래그 입력하며,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 입력 궤적에 따라 실시간으로 메뉴 라인 배열의 위치가 원형을 유지하면서 변형되어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에 의해 선택된 메뉴를 터치된 상태에서 왼쪽으로 원형 궤적을 따라 드래그하면 해당 메뉴 값이 감소하며, 오른쪽으로 원형 궤적을 따라 드래그하면 해당 메뉴 값이 증가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뉴를 선택하는 데 있어 여러 번의 터치가 필요 없이 한 손으로 조작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패턴 인식을 이용한 메뉴 선택이 가능하며, 다양한 메뉴를 한 번에 볼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ER INTERFA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이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휴대 단말은 점차 소형화, 경량화 되어가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다수의 하드웨어적인 키를 구비하고 있는 키패드 부분을 없애고 표시부에 사용자가 직접 터치하면서 키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이 점차 상용화되고 있다. 특히 핸드헬드(handheld) 방식으로 구현되는 휴대 단말에서 터치스크린은 유용한 입출력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터치스크린의 비용 절감 및 터치스크린 사용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향상에 따라 장래 생산되는 전세계 휴대 단말의 상당수가 터치스크린을 채택할 것으로 예상 된다.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을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각종 기능에 해당하는 복수의 메뉴를 아이콘 형태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고, 이들 중 사용자가 특정 기능의 메뉴 아이콘을 찾아서 터치함으로써, 해당 기능이 실행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터치스크린 기반의 휴대 단말에서 메뉴 선택 방식은 트리형 구조, 멀티 터치, 패턴 인식 등으로 분류된다. 트리형 구조에서는 사용자가 상위 메뉴에서 시작하여 하위 메뉴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여러 번의 터치가 불가피하다. 멀티 터치를 이용한 메뉴 선택의 경우 한 손으로는 조작이 어려운 단점이 있고, 패턴 인식을 이용한 메뉴 선택은 사용자가 패턴을 인지하기까지 일정기간의 교육기간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그래픽적 요소와 행위패턴 인식기술의 융합으로 보다 직관적이고 간편한 메뉴 인터페이스에 대한 요구사항이 예상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여러 번의 터치가 필요 없이 패턴 인식을 이용한 메뉴 선택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한 손으로도 조작이 간편하고, 다양한 메뉴를 한 번에 볼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여 복수의 메뉴 아이콘을 관리하는 메뉴관리부; 상기 복수의 메뉴 아이콘 중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복수의 메뉴 아이콘 중 사용자가 원하는 아이콘 선택을 위한 선택 터치와 다른 아이콘으로의 이동을 위한 드래그 터치를 감지하고, 상기 복수의 메뉴 아이콘들이 원형으로 메뉴 라인 배열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는 상기 원형 궤적을 따라 터치 드래그 입력하며, 상기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 입력 궤적에 따라 실시간으로 상기 메뉴 라인 배열의 위치가 원형을 유지하면서 변형되어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에 의해 선택된 메뉴를 터치된 상태에서 왼쪽으로 원형 궤적을 따라 드래그하면 해당 메뉴 값이 감소하며, 오른쪽으로 원형 궤적을 따라 드래그하면 해당 메뉴 값이 증가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메뉴를 선택하는 데 있어 여러 번의 터치가 필요 없이 한 손으로 조작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패턴 인식을 이용한 메뉴 선택이 가능하며, 다양한 메뉴를 한 번에 볼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휴대 단말(100)의 화면부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을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각종 기능에 해당하는 복수의 메뉴를 아이콘 형태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고, 이들 중 사용자가 특정 기능의 메뉴 아이콘을 찾아서 터치함으로써, 해당 기능이 실행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각각의 메뉴(110, 120)가 격자형으로 배열되어 있다.
사용자가 Menu 1(110)을 선택하게 되면, 그 하위 메뉴인 Sub Menu 1(111), Sub Menu 2(112), Sub Menu 3(113), Sub Menu 4(114)가 격자 형태로 배열되며, 이 중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게 된다. 사용자가 Menu 2(120)를 선택하게 되면, 그 하위 메뉴인 Sub Menu 1(121), Sub Menu 2(122), Sub Menu 3(123)가 격자 형태로 배열되며, 이 중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 트리형 구조에서는 사용자가 상위 메뉴에서 시작하여 하위 메뉴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여러 번의 터치가 불가피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기존에 메뉴 아이콘이 격자형으로 배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탈피하여, 사용자가 휴대 단말(200)을 손으로 쥐었을 때, 휴대 단말(200)의 터치스크린 상에서 엄지 손가락의 동선을 고려하여, 메뉴 아이콘을 제공하고 임의의 메뉴 아이콘을 실행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터치 드래그'란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의 입력 수단이 터치 패널에 터치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휴대 단말(100, 200)은 사용자에 의해 휴대가 용이한 크기의 단말로서, 예를 들어, 휴대폰, PDA, PMP, MP3 플레이어, 태블릿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한 화면의 터치가 포지션 변화없이 일정 시간 지속되면, 복수의 메뉴 아이콘(210, 220, 230, 240, 250)들이 원형으로 메뉴 라인 배열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메뉴 라인 배열은 사용자가 휴대 단말(200)을 한 손으로 쥐었을 때 엄지손가락으로 터치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범위, 즉, 메뉴 표시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의 화면 터치로 인해 복수의 메뉴 아이콘(210, 220, 230, 240, 25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사용자는 원형 메뉴(210, 220, 230, 240, 250)를 터치한 상태에서, 원하는 메뉴 선택을 위해 원형 궤적을 따라 터치 드래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가 Menu 3(230)이라고 할 때,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는 Menu 3(230)에서 소정 시간 동안 포지션의 변화 없이 지속되어, Menu 3(230)을 선택할 수 있다.
Menu 3(230)이 선택되면, Menu 3(230)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 메뉴(231, 232, 233, 234)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서브 메뉴(231, 232, 233, 234) 역시 원형으로 메뉴 라인 배열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는 원형 궤적을 따라 터치 드래그 입력할 수 있다.
만약 Menu 3(230)이 음량 조절 메뉴라고 하면, 해당 메뉴의 특성상, 서브 메뉴를 위한 추가 선택이 필요하기보다는, 해당 음량을 조절(증가 또는 감소)하는 기능이 우선시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터치 드래그에 의해 선택된 Menu 3(230)을 터치한 상태에서 왼쪽으로 원형 궤적을 따라 드래그(Menu 2방향)하면 해당 메뉴 값이 감소하며, 오른쪽으로 원형 궤적을 따라 드래그(Menu 4방향)하면 해당 메뉴 값이 증가할 수 있다.
Menu 3(230)에 대한 작업이 종료되고, Menu 5(250)를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Menu 5(250) 선택을 위해 원형 궤적을 따라 터치 드래그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는 Menu 5(250)에서 소정 시간 동안 포지션의 변화 없이 지속되어, Menu 5(250)를 선택할 수 있다.
만약 Menu 5(250)가 화면 밝기 조절 메뉴라고 한다면, 사용자는 터치 드래그에 의해 선택된 Menu 5(250)를 터치한 상태에서 왼쪽으로 원형 궤적을 따라 드래그하면 밝기 값이 감소하며, 오른쪽으로 원형 궤적을 따라 드래그하면 밝기 값이 증가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메뉴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한 손으로 조작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경우 여러 번의 터치가 필요 없으며, 한 손으로도 조작이 간편한 메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3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장치(300)는 메뉴관리부(310), 제어부(3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로 구성된다.
메뉴관리부(310)는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여 복수의 메뉴 아이콘을 관리한다. 복수의 메뉴 아이콘(210, 220, 230, 240, 250)과 그 각각의 메뉴에 속하는 서브 메뉴 아이콘(231, 232, 233, 234)을 관리하게 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30)는 복수의 메뉴 아이콘(210, 220, 230, 240, 250)과 그 각각의 메뉴에 속하는 서브 메뉴 아이콘(231, 232, 233, 234) 중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320)는 복수의 메뉴 아이콘(210, 220, 230, 240, 250) 중 사용자가 원하는 아이콘 선택을 위한 선택 터치와 다른 아이콘으로의 이동을 위한 드래그 터치를 감지하고, 복수의 메뉴 아이콘(210, 220, 230, 240, 250)들이 원형으로 메뉴 라인 배열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는 원형 궤적을 따라 터치 드래그 입력하며,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 입력 궤적에 따라 실시간으로 메뉴 라인 배열의 위치가 원형을 유지하면서 변형되어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에 의해 선택된 메뉴를 터치된 상태에서 왼쪽으로 원형 궤적을 따라 드래그하면 해당 메뉴 값이 감소하며, 오른쪽으로 원형 궤적을 따라 드래그하면 해당 메뉴 값이 증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

  1.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여 복수의 메뉴 아이콘을 관리하는 메뉴관리부;
    상기 복수의 메뉴 아이콘 중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복수의 메뉴 아이콘 중 사용자가 원하는 아이콘 선택을 위한 선택 터치와 다른 아이콘으로의 이동을 위한 드래그 터치를 감지하고, 상기 복수의 메뉴 아이콘들이 원형으로 메뉴 라인 배열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는 상기 원형 궤적을 따라 터치 드래그 입력하며, 상기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 입력 궤적에 따라 실시간으로 상기 메뉴 라인 배열의 위치가 원형을 유지하면서 변형되어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에 의해 선택된 메뉴를 터치된 상태에서 왼쪽으로 원형 궤적을 따라 드래그하면 해당 메뉴 값이 감소하며, 오른쪽으로 원형 궤적을 따라 드래그하면 해당 메뉴 값이 증가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KR1020110018094A 2011-02-28 2011-02-28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200982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094A KR20120098254A (ko) 2011-02-28 2011-02-28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094A KR20120098254A (ko) 2011-02-28 2011-02-28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8254A true KR20120098254A (ko) 2012-09-05

Family

ID=47109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8094A KR20120098254A (ko) 2011-02-28 2011-02-28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825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31401A1 (ko) * 2016-01-27 2017-08-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US9864484B2 (en) 2013-11-13 2018-01-09 Hyundai Motor Company Blind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KR20200130893A (ko) * 2019-05-13 2020-11-23 넷마블 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단말 및 이의 게임 제공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64484B2 (en) 2013-11-13 2018-01-09 Hyundai Motor Company Blind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WO2017131401A1 (ko) * 2016-01-27 2017-08-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CN108604153A (zh) * 2016-01-27 2018-09-28 三星电子株式会社 电子设备以及用于控制电子设备的用户界面的方法
US10884578B2 (en) 2016-01-27 2021-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er interface of electronic device
KR20200130893A (ko) * 2019-05-13 2020-11-23 넷마블 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단말 및 이의 게임 제공 방법
US11318383B2 (en) 2019-05-13 2022-05-03 Netmarble Corporation Terminal including displays and game provision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61004B2 (en) User interface supporting one-handed operation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KR10202034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홈 화면의 구성 방법 및 장치
KR101380968B1 (ko)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720849B1 (ko) 터치 스크린 호버 입력 핸들링
KR101224588B1 (ko) 멀티포인트 스트록을 감지하기 위한 ui 제공방법 및 이를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EP333667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graphic user interface in a mobile terminal
EP2508972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94597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e-handed user interface in mobile device having touch screen
EP2669786A2 (en) Method for displaying item in terminal and terminal using the same
US9176657B2 (en) Gesture-based selection and manipulation method
US20150116230A1 (en) Display Device and Icon Control Method Thereof
US8456433B2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selection method of user interface icon for multi-touch panel
CN104007894A (zh) 便携式设备及其多应用操作方法
CN105393205A (zh) 电子设备以及在电子设备中控制应用的方法
US201202871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of item
KR102228335B1 (ko)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부분을 선택하는 방법
CA2846482A1 (en) Method of providing of user interface in portab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WO2014095756A1 (en) User interfaces and associated methods
CN103294392A (zh) 用于在移动装置中编辑内容视图的方法和设备
KR20130084209A (ko) 전자 디바이스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US20110090165A1 (en) Interface method and display device
KR20120098254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10013733A (ko) 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10011845A (ko)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98366A (ko) 가상 터치패드 조작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