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7934A - 무선랜 이용 시 전력 절약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및 ap - Google Patents

무선랜 이용 시 전력 절약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및 a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7934A
KR20120097934A KR1020110017519A KR20110017519A KR20120097934A KR 20120097934 A KR20120097934 A KR 20120097934A KR 1020110017519 A KR1020110017519 A KR 1020110017519A KR 20110017519 A KR20110017519 A KR 20110017519A KR 20120097934 A KR20120097934 A KR 20120097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erminal
coverage
base station
wl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7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1364B1 (ko
Inventor
정송
곽정호
김지환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10017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1364B1/ko
Publication of KR20120097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1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1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according to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선랜 이용 시 전력 절약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및 AP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신된 제 1 페이징 신호(Paging Signal)에 대응하는 제 2 페이징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기; 상기 제 2 페이징 신호를 오버히어링(Overhearing)하며, 상기 오버히어링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의 무선랜 커버리지(WLAN Coverage) 진입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확인 결과에 근거하여 커버리지 진입 여부 신호를 전송하는 AP(Access Point); 및 수신된 상기 커버리지 진입 여부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로 커버리지 진입 정보를 포함한 제 3 페이징 신호를 전송하는 기지국을 포함하는 무선랜 이용 시 전력 절약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기지국의 페이징 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단말기로 무선랜 커버리지에 진입 여부를 통보함으로써 단말기에서 무선랜 망에 접속하기 위해 AP 검색 시 소모되는 전력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선랜 이용 시 전력 절약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및 AP{Method for Saving Power While Using Wireless LAN, System And Access Point Theref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선랜 이용 시 전력 절약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및 AP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랜 망과 이동통신망이 동일한 백본망(Backbone Network)으로 구축된 환경에서, 이동통신 사업자들이 보유한 AP(Access Ponit)와 기지국 간에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특정 AP 커버리지에 진입한 단말기가 확인되는 경우, 기지국의 페이징 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단말기로 무선랜 커버리지에 진입 여부를 통보함으로써 단말기에서 무선랜 망에 접속하기 위해 AP 검색 시 소모되는 전력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랜 이용 시 전력 절약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및 AP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들어, 컴퓨터, 전자, 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무선통신망(Wireless Network)을 이용한 다양한 무선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뿐만 아니라, 써킷(Circuit) 데이터, 패킷(Packet) 데이터 등과 같은 데이터를 송신하는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로 발전해 가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최근 들어, 스마트폰의 등장과 함께 모바일 데이터 요구량이 급증하고 있고, 앞으로 14년 내에 모바일 트래픽 양이 약 39 배나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이동통신망만으로는 급증하는 트래픽을 처리할 수가 없기 때문에 여러 무선 서비스 사업자들은 트래픽을 분산을 목적으로 무선랜 망에 접속할 수 있는 AP를 설치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무선랜 접속 방식의 경우, 해당 단말기가 무선랜 망에 접속할 수 있는 AP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경우, 단말기에서 AP를 검색한 후 검색된 AP로 접속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방식에서는 사용자가 AP의 커버리지를 벗어나는 경우, 단말기에서 새로운 AP를 검색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많은 전력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지국의 페이징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기로 무선랜 커버리지에 진입 여부를 통보함으로써 단말기에서 AP 검색 시 소모되는 전력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랜 이용 시 전력 절약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및 AP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신된 제 1 페이징 신호(Paging Signal)에 대응하는 제 2 페이징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기; 상기 제 2 페이징 신호를 오버히어링(Overhearing)하며, 상기 오버히어링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의 무선랜 커버리지(WLAN Coverage) 진입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확인 결과에 근거하여 커버리지 진입 여부 신호를 전송하는 AP(Access Point); 및 수신된 상기 커버리지 진입 여부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로 커버리지 진입 정보를 포함한 제 3 페이징 신호를 전송하는 기지국을 포함하는 무선랜 이용 시 전력 절약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주변에 위치한 단말기가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 2 페이징 신호를 오버히어링(Overhearing)하는 오버히어링부; 상기 오버히어링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의 무선랜 커버리지 진입 여부를 확인하는 커버리지 진입 확인부; 및 상기 확인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커버리지 진입 여부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로 커버리지 진입 정보를 포함한 제 3 페이징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신호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단말기에서 수신된 제 1 페이징 신호(Paging Signal)에 대응하는 제 2 페이징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AP에서 상기 제 2 페이징 신호를 오버히어링(Overhearing)하며, 상기 오버히어링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의 무선랜 커버리지 진입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확인 결과에 근거하여 커버리지 진입 여부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기지국에서 수신된 상기 커버리지 진입 여부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로 커버리지 진입 정보를 포함한 제 3 페이징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랜 이용 시 전력 절약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랜 망과 이동통신망이 동일한 백본망(Backbone Network)으로 구축된 환경에서, 이동통신 사업자들이 보유한 AP(Access Ponit)와 기지국 간에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특정 AP 커버리지에 진입한 단말기가 확인되는 경우, 기지국의 페이징 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단말기로 무선랜 커버리지에 진입 여부를 통보함으로써 단말기에서 무선랜 망에 접속하기 위해 AP 검색 시 소모되는 전력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단말기에서 최대한 무선랜 망을 활용하면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이용 시 전력 절약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이용 시 전력 절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무선랜 커버리지에 진입 여부에 따른 전력 절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전파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기재된 페이징 신호란 이동통신에서 착신호 발생시 기지국 또는 페이징 제어기가 해당 단말기의 위치(즉, 어느 기지국, 어느 교환국 등)를 파악하는 데 이용되는 신호를 말한다. 일반적인 페이징 신호의 처리 방식에 대해 부가 설명하자면, 착신호 발생시 해당 교환국은 권내의 모든 기지국으로 페이징 신호를 발생시킨다. 즉, 페이징 신호는 이동통신에서 착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를 말한다. 한편, 본 발명에 기재된 제 1 페이징 신호는 단말기(110)가 기지국(120)으로부터 수신한 페이징 신호를 의미하며, 제 2 페이징 신호는 단말기(110)가 기지국(120)으로 전송하는 제 1 페이징 신호에 대응하는 페이징 신호를 말한다. 또한, 제 3 페이징 신호란 기지국(120)에서 단말기(110)로 전송하는 페이징 신호이되, 일반적인 페이징 신호에 기지국(120)과 AP(Access Point)(130) 간의 신호 처리에 의해 확인된 커버리지 진입 정보를 추가로 포함한 신호를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 기재된 백본망(Backbone Network)이란, 네트워크상에서 중요 공유자원들을 연결하기 위한 기술이 적용된 중추적인 기간 네트워크를 말한다. 예를 들어서, 백본망은 복수 개의 건물에서 하나의 네트워크를 필요로 할 때, 각각의 건물간에 복잡하게 구성된 LAN들의 상호 연결을 위하여 중앙화된 배선구조를 의미하며, 고속의 기간 케이블에 의한 상호연결성 보장을 의미한다. 한편, 백본망은 공중통신사업자에게는 다양한 서브 네트워크들을 상호연결하기 위하여 도입되는 초고속 네트워크를 의미하며, 인터넷에서는 각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들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고속의 기간망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기재된 백본망은 무선랜 망과 이동통신망이 동일한 백본망을 이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이용 시 전력 절약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이용 시 전력 절약 시스템은 단말기(110), 기지국(120) 및 AP(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무선랜 이용 시 전력 절약 시스템이 단말기(110), 기지국(120) 및 AP(130)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무선랜 이용 시 전력 절약 시스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단말기(110)는 통상적인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구비한 단말기로서, 구비된 이동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통신망(미도시)과 연동하며 통상적인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단말기(110)는 구비된 무선랜 모듈을 이용하여 주변에 인식되는 AP(130)를 통해 인터넷망에 접속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한다. 즉, 단말기(110)는 이동통신 모듈 및 무선랜 모듈을 모두 탑재한 단말기를 말하며,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 폰(Smart Phone),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노트북 및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무선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1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 이외에 다음과 같은 동작을 추가로 수행한다. 즉, 단말기(110)는 기지국(120)으로부터 착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 1 페이징 신호(Paging Signal)를 수신하며, 제 1 페이징 신호에 대응하는 제 2 페이징 신호를 기지국(120)으로 전송한다.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명령 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명령에 의하여 무선랜에 대한 접속 요청 명령이 발생한 경우, 무선랜 검색을 활성화며 수신된 제 3 페이징 신호를 근거로 검색된 AP(130)로 연결(Association)한다. 여기서, 단말기(110)가 무선랜 검색을 활성화하는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무선랜에 접속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단말기(110)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이 푸쉬(Push) 형태로 특정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경우, 단말기(110)에는 무선랜에 대한 접속 요청 명령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단말기(110)는 기지국(120)으로부터 수신된 제 3 페이징 신호를 확인하여 제 3 페이징 신호에 포함된 커버리지 진입 정보를 확인하며, 커버리지 진입 정보에 해당하는 AP(130)로 연결하기 위해 무선랜 검색을 활성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10)와 다른 방식으로 AP(130)를 검색하는 기술에 대해 언급하자면, 단말기(110)에서 고정된 주기를 가지고 AP(130)를 검색하거나, 단말기(110)에서 AP(130)를 한 번 검색해 보고 검색이 되지 않으면 검색 주기를 두 배씩 늘리거나, 무선랜 망이 검색된 지역에서 검색 주기를 줄이는 방식 등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의 경우, 무선랜 망을 검색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줄이는 대신, 무선랜 망 내에 존재하는 단말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단말기가 AP에 연결을 시도하지 않음으로써 AP에 연결할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들게 되므로 무선랜 망을 최대한 활용해야 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이득을 줄이게 된다.
기지국(120)은 위치 등록 기능, 무선 채널을 할당하는 기능, 핸드오프 등 무선 신호 처리에 필요한 제반 기능 등을 수행하는 장치를 말한다. 기지국(120)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기지국(120)은 기지국 송신기(미도시) 및 기지국 제어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동기식 및 비동기식을 모두 지원하는 개념의 장치를 말한다. 예를 들어서, 기지국(120)이 동기식을 지원하는 경우 기지국 송신기는 BTS(Base Transceiver Station)가 될 수 있으며, 기지국 제어기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가 될 수 있으며, 기지국(120)이 비동기식을 지원하는 경우 기지국 송신기는 Node-B가 될 수 있으며, 기지국 제어기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가 될 것 수 있다. 기지국(120)에 포함되는 기지국 전송기 및 기지국 제어기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기지국 전송기는 신호 채널 중 트래픽(Traffic) 채널을 통해 단말기(110)와 신호를 송수신하며, 기지국 제어기는 기지국 전송기를 제어하여 단말기(110)에 대한 무선 채널 할당 및 해제, 단말기 및 기지국 전송기의 송신 출력 제어, 셀간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 및 하드 핸드오프(Hard Handoff) 결정, 트랜스코딩(Transcoding) 및 보코딩(Vocoding),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클럭 분배, 기저대역 신호처리, 유무선 변환,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120)은 기지국(120)의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 다음과 같은 동작을 추가로 수행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120)은 AP(130)로부터 수신된 커버리지 진입 여부 신호에 근거하여 단말기(110)로 커버리지 진입 정보를 포함한 제 3 페이징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기지국(120)이 제 3 페이징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기지국(120)은 커버리지 진입 여부 신호에 포함된 단말기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단말기(110)로 제 3 페이징 신호를 전송할 때, 제 3 페이징 신호 내에 커버리지 진입 정보에 해당하는 푸쉬(Push) 형태의 메시지 정보를 포함시킨다. 여기서, 메시지 정보는 SMS(Short Message Service) 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메시지 정보의 형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120)에 대한 추가적인 동작에 대해 설명하자면, 기지국(120)은 커버리지 진입 여부 신호에 포함된 단말기 식별 정보를 취합하여 무선랜 커버리지 내에 존재하는 모든 단말기 정보를 확인한다. 즉, 기지국(120)에서 무선랜 커버리지 내에 존재하는 모든 단말기 정보를 확인하는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기지국 커버리지 내에는 복수의 AP들이 존재하게 되므로, 기지국(120)은 복수의 AP로부터 각각의 커버리지 진입 여부 신호를 수신하게 되며, 각각의 커버리지 진입 여부 신호에 포함된 단말기 식별 정보를 모두 확인하여 취합하는 경우, 해당 기지국(120)에서는 기지국 커버리지에 내에 존재하는 AP들의 커버리지에 진입한 단말기를 모두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AP(130)는 데이터 통신을 연결하는 장치로서, 송신측 정보에서 수신측 주소를 읽고 가장 적절한 통신 통로를 지정한 후 다른 통신망으로 전송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하나 본 발명에서의 AP(130)는 무선랜 통신을 위한 무선랜 AP를 말한다. 즉, AP(130)는 무선랜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며,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AP는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중계기 및 브릿지(Bridge)를 포함한 개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130)는 무선랜 통신을 위한 기본적인 기능과 더불어 단말기(110)가 기지국(120)으로 전송하는 제 2 페이징 신호를 오버히어링(Overhearing)하며, 오버히어링된 신호에 근거하여 단말기(110)의 무선랜 커버리지(WLAN Coverage) 진입 여부를 확인하며, 확인 결과에 근거하여 커버리지 진입 여부 신호를 기지국(120)으로 전송하는 동작을 추가로 수행한다. 또한, AP(130)는 맥 어드레스(MAC Address)인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 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 AP 채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 정보를 저장한다. 즉, 본 발명의 AP(130)는 통신 사업자에서 설치한 AP인 것이 바람직하며,(즉, 무선랜 망과 이동통신망이 백본망(Backbone Network)을 같이 이용하기 위해), 주변에 인식된 단말기(110)로부터 접속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단말기(110)와 기본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연결할 뿐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추가로 수행한다.
AP(130)가 단말기(110)가 기지국(120)으로 전송하는 제 2 페이징 신호를 오버히어링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자면, 단말기(110)는 기지국(120)으로부터 착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제 1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대응하는 제 2 페이징 신호를 기지국(120)으로 전송하게 되는데, 이는 단말기(110)가 제 2 페이징 신호를 기지국(120)으로 전송하기 위해 단말기(110)에서 제 2 페이징 신호를 공중으로 브로드케스팅(Broadcasting)하게 되므로, AP(130)에서는 단말기(110)가 기지국(120)으로 전송하는 제 2 페이징 신호를 오버히어링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AP(130)의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해당하는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130)는 주변에 위치한 단말기(110)가 기지국(120)으로 전송하는 제 2 페이징 신호를 오버히어링하고, 오버히어링된 신호에 근거하여 단말기(110)의 무선랜 커버리지 진입 여부를 확인하며, 확인 결과에 근거하여 기지국(120)으로 커버리지 진입 여부 신호를 전송하여, 기지국(120)이 단말기(110)로 커버리지 진입 정보를 포함한 제 3 페이징 신호를 전송하도록 한다.
AP(130)가 무선랜 커버리지 진입 여부를 어떻게 확인하는지에 대해 설명하자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130)는 오버히어링된 신호의 신호세기인 오버히어링 신호세기(
Figure pat00001
)와 기 설정된 신호세기인 임계치(
Figure pat00002
)에 근거하여 단말기의 무선랜 커버리지 진입 여부를 확인한다.
이에 AP(130)가 오버히어링 신호세기(
Figure pat00003
)와 임계치(
Figure pat00004
)에 근거하여 어떻게 무선랜 커버리지 진입 여부를 확인하는지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AP(130)는 오버히어링 신호세기(
Figure pat00005
)가 임계치(
Figure pat00006
)를 초과(
Figure pat00007
)하는 경우, 단말기가 무선랜 커버리지에 진입한 것으로 확인한다. 한편, AP(130)는 오버히어링 신호세기(
Figure pat00008
)가 임계치(
Figure pat00009
) 미만(
Figure pat00010
)인 경우, 단말기(110)가 무선랜 커버리지에 진입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한다. 이 경우, AP(130)는 단말기(110)가 무선랜 커버리지에 진입하지 않았으므로, 추가적인 동작 즉, 커버리지 진입 정보를 기지국(120)으로 전송하지 않는다. 또한, AP(130)가 단말기 식별 정보를 확인 처리하는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AP(130)는 오버히어링 신호세기(
Figure pat00011
)가 기 설정된 임계치(
Figure pat00012
)를 초과(
Figure pat00013
)하는 경우, 오버히어링된 신호를 디코딩하여 단말기 식별 정보를 확인하며, 연동하는 백본망을 이용하여 단말기 식별 정보가 할당된 기지국(120)으로 커버리지 진입 신호를 전송한다. 한편, AP(130)는 단말기(110)와의 가상 인터페이스(Vitrual Interface)를 생성할 때, 기지국(120)으로 전송된 커버리지 진입 신호를 근거로 가상 인터페이스에 접속하는 사용자 수를 설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130)는 오버히어링부(210), 커버리지 진입 확인부(220), 신호 전송부(230) 및 가상 인터페이스 설정부(2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AP(130)가 오버히어링부(210), 커버리지 진입 확인부(220), 신호 전송부(230) 및 가상 인터페이스 설정부(240)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AP(13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오버히어링부(210)는 주변에 위치한 단말기(110)가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 2 페이징 신호를 오버히어링한다. 커버리지 진입 확인부(220)는 오버히어링된 신호에 근거하여 단말기(110)의 무선랜 커버리지 진입 여부를 확인한다.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커버리지 진입 확인부(220)는 오버히어링된 신호의 신호세기인 오버히어링 신호세기(
Figure pat00014
)와 기 설정된 신호세기인 임계치(
Figure pat00015
)에 근거하여 단말기(110)의 무선랜 커버리지 진입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커버리지 진입 확인부(220)가 오버히어링 신호세기(
Figure pat00016
)가 임계치(
Figure pat00017
)를 이용하여 어떻게 단말기(110)가 무선랜 커버리지에 진입 여부를 판별하는지에 대해 설명하자면, 커버리지 진입 확인부(220)는 오버히어링 신호세기(
Figure pat00018
)가 임계치(
Figure pat00019
)를 초과(
Figure pat00020
)하는 경우, 단말기(110)가 무선랜 커버리지에 진입한 것으로 확인한다. 한편, 커버리지 진입 확인부(220)는 오버히어링 신호세기(
Figure pat00021
)가 임계치(
Figure pat00022
) 미만(
Figure pat00023
)인 경우, 단말기(110)가 무선랜 커버리지에 진입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한다.
또한, 커버리지 진입 확인부(220)가 단말기(110)의 무선랜 커버리지 진입한 경우 단말기 식별 정보를 확인하는 동작 과정에 대해 설명하자면, 커버리지 진입 확인부(220)는 오버히어링 신호세기(
Figure pat00024
)가 기 설정된 임계치(
Figure pat00025
)를 초과(
Figure pat00026
)하는 경우, 오버히어링된 신호를 디코딩하여 단말기 식별 정보를 확인한다.
신호 전송부(230)는 커버리지 진입 확인부(220)의 확인 결과에 근거하여 기지국(120)으로 커버리지 진입 여부 신호를 전송하여, 기지국(120)이 단말기(110)로 커버리지 진입 정보를 포함한 제 3 페이징 신호를 전송하도록 한다. 즉, 신호 전송부(230)는 커버리지 진입 확인부(220)의 확인 결과, 단말기(110)가 무선랜 커버리지에 진입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기지국(120)으로 커버리지 진입 여부 신호를 전송하여, 기지국(120)이 단말기(110)로 커버리지 진입 정보를 포함한 제 3 페이징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신호 전송부(230)는 연동하는 백본망을 이용하여 커버리지 진입 확인부(220)를 통해 확인된 단말기 식별 정보가 할당된 기지국(120)으로 커버리지 진입 신호를 전송한다. 가상 인터페이스 설정부(240)는 단말기(110)와의 가상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때, 기지국(120)으로 전송된 커버리지 진입 신호를 근거로 가상 인터페이스에 접속하는 사용자 수를 설정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이용 시 전력 절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말기(110)가 턴 온(Turn On)되는 경우, 주변 기지국(120)에 대한 셀(Cell) 검색을 수행하고, 검색된 해당 기지국(120)으로부터 착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 1 페이징 신호(Paging Signal)를 수신한다(S310). 여기서, 셀이란 단말기(110)가 사용하는 무선자원에 대하여 하나의 기지국이 통제 가능한 서비스영역(Coverage Area)을 말한다. 단말기(110)는 기지국(120)으로부터 수신한 제 1 페이징 신호에 대응하는 제 2 페이징 신호를 기지국(120)으로 전송한다(S320). AP(130)는 주변에 위치한 단말기(110)가 기지국(120)으로 전송하는 제 2 페이징 신호를 오버히어링한다(S330).
AP(130)는 오버히어링된 신호에 근거하여 단말기(110)의 무선랜 커버리지 진입 여부를 확인하며, 확인 결과에 근거하여 기지국(120)으로 커버리지 진입 여부 신호를 전송한다(S340). 단계 S340에서 AP(130)가 오버히어링 신호세기(
Figure pat00027
)와 임계치(
Figure pat00028
)에 근거하여 어떻게 무선랜 커버리지 진입 여부를 확인하는지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AP(130)는 오버히어링 신호세기(
Figure pat00029
)가 임계치(
Figure pat00030
)를 초과(
Figure pat00031
)하는 경우, 단말기가 무선랜 커버리지에 진입한 것으로 확인한다. 한편, AP(130)는 오버히어링 신호세기(
Figure pat00032
)가 임계치(
Figure pat00033
) 미만(
Figure pat00034
)인 경우, 단말기(110)가 무선랜 커버리지에 진입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한다. 이 경우, AP(130)는 단말기(110)가 무선랜 커버리지에 진입하지 않았으므로, 추가적인 동작 즉, 커버리지 진입 정보를 기지국(120)으로 전송하지 않는다.
또한, 단계 S340에서 AP(130)가 단말기 식별 정보를 확인 처리하는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AP(130)는 오버히어링 신호세기(
Figure pat00035
)가 기 설정된 임계치(
Figure pat00036
)를 초과(
Figure pat00037
)하는 경우, 오버히어링된 신호를 디코딩하여 단말기 식별 정보를 확인하며, 연동하는 백본망을 이용하여 단말기 식별 정보가 할당된 기지국(120)으로 커버리지 진입 신호를 전송한다.
기지국(120)은 AP(130)로부터 수신된 커버리지 진입 여부 신호에 근거하여 단말기(110)로 커버리지 진입 정보를 포함한 제 3 페이징 신호를 전송한다(S350). 단계 S350에서 기지국(120)이 제 3 페이징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기지국(120)은 커버리지 진입 여부 신호에 포함된 단말기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단말기(110)로 제 3 페이징 신호를 전송할 때, 제 3 페이징 신호 내에 커버리지 진입 정보에 해당하는 푸쉬 형태의 메시지 정보를 포함시킨다. 여기서, 메시지 정보는 SMS 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메시지 정보의 형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단말기(110)는 기지국(120)으로부터 제 3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며, 무선랜에 대한 접속 요청 명령이 발생한 경우 무선랜 검색을 활성화며, 수신된 제 3 페이징 신호를 근거로 검색된 AP(130)로 연결한다(S360). 단계 S360에서 단말기(110)가 무선랜 검색을 활성화하는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무선랜에 접속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단말기(110)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이 푸쉬 형태로 특정 데이터를 필요로하는 경우, 단말기(110)에는 무선랜에 대한 접속 요청 명령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단말기(110)는 기지국(120)으로부터 수신된 제 3 페이징 신호를 확인하여, 제 3 페이징 신호에 포함된 커버리지 진입 정보를 확인하며, 커버리지 진입 정보에 해당하는 AP(130)로 연결하기 위해 무선랜 검색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도 3에서는 단계 S310 내지 단계 S36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3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310 내지 단계 S360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에 기재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이용 시 전력 절약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이용 시 전력 절약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무선랜 커버리지에 진입 여부에 따른 전력 절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설명하기 앞서, AP(130)는 기지국(120)의 이동통신망과 같은 백본망을 이용하며, AP(130)에 오버히어링부(210), 커버리지 진입 확인부(220), 신호 전송부(230) 및 가상 인터페이스 설정부(240)가 탑재되어 있는 상황을 가정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110)는 기본적으로 AP(130)가 없는 지역에서 무선랜 망에 접속하기 위한 AP(130) 검색을 수행하지 않는데 반해, 기지국(120)과는 지속적으로 페이징 신호를 주고받는다. 따라서, AP(130)는 단말기(110)에서 기지국(120)로 전송되는 제 2 페이징 신호를 오버히어링하고, 오버히어링된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Rin은 AP(130)의 커버리지를 말하며,
Figure pat00038
는 오버히어링 신호세기를 말하며,
Figure pat00039
는 기 설정된 신호세기인 임계치를 말한다.
이후 AP(13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자면, AP(130)는 주변에 위치한 단말기(110)가 기지국(120)으로 전송하는 제 2 페이징 신호를 오버히어링하고, 오버히어링된 신호에 근거하여 단말기(110)의 무선랜 커버리지 진입 여부를 확인하며, 확인 결과에 근거하여 기지국(120)으로 커버리지 진입 여부 신호를 전송하여, 기지국(120)이 단말기(110)로 커버리지 진입 정보를 포함한 제 3 페이징 신호를 전송하도록 한다.
여기서, AP(130)가 무선랜 커버리지 진입 여부를 어떻게 확인하는지에 대해 설명하자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130)는 오버히어링된 신호의 신호세기인 오버히어링 신호세기(
Figure pat00040
)와 기 설정된 신호세기인 임계치(
Figure pat00041
)에 근거하여 단말기의 무선랜 커버리지 진입 여부를 확인한다.
이에 AP(130)가 오버히어링 신호세기(
Figure pat00042
)와 임계치(
Figure pat00043
)에 근거하여 어떻게 무선랜 커버리지 진입 여부를 확인하는지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AP(130)는 오버히어링 신호세기(
Figure pat00044
)가 임계치(
Figure pat00045
)를 초과(
Figure pat00046
)하는 경우, 단말기가 무선랜 커버리지에 진입한 것으로 확인한다. 한편, AP(130)는 오버히어링 신호세기(
Figure pat00047
)가 임계치(
Figure pat00048
) 미만(
Figure pat00049
)인 경우, 단말기(110)가 무선랜 커버리지에 진입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한다. 이 경우, AP(130)는 단말기(110)가 무선랜 커버리지에 진입하지 않았으므로, 추가적인 동작 즉, 커버리지 진입 정보를 기지국(120)으로 전송하지 않는다. 또한, AP(130)가 단말기 식별 정보를 확인 처리하는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AP(130)는 오버히어링 신호세기(
Figure pat00050
)가 기 설정된 임계치(
Figure pat00051
)를 초과(
Figure pat00052
)하는 경우, 오버히어링된 신호를 디코딩하여 단말기 식별 정보를 확인하며, 연동하는 백본망을 이용하여 단말기 식별 정보가 할당된 기지국(120)으로 커버리지 진입 신호를 전송한다.
전술한 설명을 기반으로 단말기가 무선랜 커버리지를 벗어난 경우에 대해 예시적으로 설명하자면, 단말기(110)가 무선랜 망 커버리지를 벗어나더라도 단말기(110)는 기지국(120)과 지속적으로 페이징 신호를 주고받으므로, AP(130)는 단말기(110)와 기지국(120) 간의 페이징 신호를 오버히어링하여 신호의 세기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단말기(110)가 AP(130)의 커버리지를 벗어난 경우라면, 단말기(110)와 AP(130)간의 거리가 멀어지므로, AP(130)가 단말기(110)로부터 오버히어링하는 제 2 페이징 신호의 오버히어링 신호세기가 멀어진 거리에 비례하여 감소되므로, AP(130)가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제 2 페이징 신호를 오버히어링한 후 오버히어링된 신호의 오버히어링 신호세기(
Figure pat00053
)와 기 설정된 신호세기인 임계치(
Figure pat00054
)를 비교하여 오버히어링 신호세기(
Figure pat00055
)가 임계치(
Figure pat00056
)미만인 경우, 단말기(110)가 AP(130)의 커버리지를 벗어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110)가 AP(130)의 커버리지 내에 진입에 대해 예시적으로 설명하자면, 단말기(110)가 AP(130)의 커버리지 내에 진입한 경우, 단말기(110)와 AP(130)간의 가까워지므로, AP(130)가 단말기(110)로부터 오버히어링하는 페이징 신호의 신호세기가 가까워진 거리에 비례하여 증가되므로, AP(130)가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제 2 페이징 신호를 오버히어링한 후 오버히어링 신호세기(
Figure pat00057
)와 기 설정된 신호세기인 임계치(
Figure pat00058
)를 비교하여 오버히어링 신호세기(
Figure pat00059
)가 임계치(
Figure pat00060
)를 초과하는 경우, 단말기(110)가 AP(130)의 커버리지 내에 진입한 것으로 확인한다. 이때, AP(130)는 백본망을 통해 기지국(120)으로 해당 단말기(110)가 커버리지 내에 진입했음을 알리는 커버리지 진입 여부 신호를 전송한다. 기지국(120)은 해당 단말기(110)로 제 3 페이징 신호를 전송할 때, 제 3 페이징 신호에 커버리지 진입 정보에 해당하는 푸쉬 형태의 메시지 정보를 포함시켜 단말기(110)로 전송하게 된다. 단말기(110)는 기지국(120)으로부터 제 3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며, 무선랜에 대한 접속 요청 명령이 발생한 경우 무선랜 검색을 활성화며, 수신된 제 3 페이징 신호를 근거로 검색된 AP(130)로 연결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전파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의 (A)는 소수의 AP가 존재하는 전파 환경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즉, 도 5의 (A)와 같은 전파 환경에서 종래의 단말기(110)는 무선랜 망에 접속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AP를 검색하게 되는데, 이때 많은 양의 전력을 소모하게 된다. 즉, 도 5의 (A)에 도시된 실선과 같이 단말기(110)가 이동하는 것으로 가정하면, 단말기(110)는 주변에 검색되는 AP가 없는 경우, 검색되는 AP가 나올 때까지 지속적으로 AP를 찾게 되므로, 단말기(110)에서는 지속적으로 전력이 소모된다. 이때, 단말기(110)가 AP를 검색한다 하더라도 단말기(110)가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게 되면, 해당 AP의 커버리지를 벗어나게 되므로, 다른 AP가 나올 때까지 지속적으로 AP를 검색하게 되고, AP를 검색하는 과정에서 전력 소모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도 5의 (B)는 다수의 AP가 존재하는 전파 환경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즉, 도 5의 (B)와 같은 전파 환경에서 종래의 단말기(110)가 도시된 실선과 같이 이동하는 것으로 가정하면, 단말기(110)는 주변에 검색되는 AP를 인식하게 되나, 단말기(110)가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게 되면, 다시 AP를 검색하여 새롭게 AP를 인식하게 되는 과정을 반복하여야 하므로 도 5의 (A)의 환경보다는 적은 양의 전력을 소모할지 모르나 결과적으로 AP 커버리지를 벗어날 때마다 새로운 AP를 검색해야 하므로, 단말기(110)에서 전력 소모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즉, 도 5의 (A) 및 (B)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적용하여 보면, 단말기(110)는 기지국(120)으로부터 제 3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며, 무선랜에 대한 접속 요청 명령이 발생한 경우에만 무선랜 검색을 활성화며, 수신된 제 3 페이징 신호를 근거로 검색된 AP(130)로 연결되므로, 도 5의 (A)와 같이 소수의 AP가 존재하는 환경이나, 도 5의 (B)와 같이 다수의 AP가 존재하는 환경과 무관하게 전력을 절약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단말기 120: 기지국
130: AP 210: 오버히어링부
220: 커버리지 진입 확인부 230: 신호 전송부
240: 가상 인터페이스 설정부

Claims (15)

  1. 수신된 제 1 페이징 신호(Paging Signal)에 대응하는 제 2 페이징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기;
    상기 제 2 페이징 신호를 오버히어링(Overhearing)하며, 상기 오버히어링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의 무선랜 커버리지(WLAN Coverage) 진입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확인 결과에 근거하여 커버리지 진입 여부 신호를 전송하는 AP(Access Point); 및
    수신된 상기 커버리지 진입 여부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로 커버리지 진입 정보를 포함한 제 3 페이징 신호를 전송하는 기지국
    을 포함하는 무선랜 이용 시 전력 절약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무선랜에 대한 접속 요청 명령이 발생한 경우 무선랜 검색을 활성화며, 수신된 상기 제 3 페이징 신호를 근거로 검색된 상기 AP로 연결(Association)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이용 시 전력 절약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P는,
    상기 오버히어링된 신호의 신호세기인 오버히어링 신호세기(
    Figure pat00061
    )가 기 설정된 신호세기인 임계치(
    Figure pat00062
    )를 초과(
    Figure pat00063
    )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가 무선랜 커버리지에 진입한 것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이용 시 전력 절약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AP는,
    상기 오버히어링 신호세기(
    Figure pat00064
    )가 상기 임계치(
    Figure pat00065
    )를 초과(
    Figure pat00066
    )하는 경우, 상기 오버히어링된 신호를 디코딩(Decoding)하여 단말기 식별 정보를 확인하며, 연동하는 백본망(Backbone Network)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가 할당된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커버리지 진입 여부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이용 시 전력 절약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커버리지 진입 여부 신호에 포함된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단말기로 상기 제 3 페이징 신호를 전송할 때, 상기 제 3 페이징 신호 내에 상기 커버리지 진입 정보에 해당하는 푸쉬(Push) 형태의 메시지 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이용 시 전력 절약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정보는 SMS(Short Message Service)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이용 시 전력 절약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커버리지 진입 여부 신호에 포함된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를 취합하여 무선랜 커버리지 내에 존재하는 모든 단말기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이용 시 전력 절약 시스템.
  8. 주변에 위치한 단말기가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 2 페이징 신호를 오버히어링(Overhearing)하는 오버히어링부;
    상기 오버히어링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의 무선랜 커버리지 진입 여부를 확인하는 커버리지 진입 확인부; 및
    상기 확인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커버리지 진입 여부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로 커버리지 진입 정보를 포함한 제 3 페이징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신호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리지 진입 확인부는,
    상기 오버히어링된 신호의 신호세기인 오버히어링 신호세기(
    Figure pat00067
    )와 기 설정된 신호세기인 임계치(
    Figure pat00068
    )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의 무선랜 커버리지 진입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리지 진입 확인부는,
    상기 오버히어링 신호세기(
    Figure pat00069
    )가 상기 임계치(
    Figure pat00070
    )를 초과(
    Figure pat00071
    )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가 무선랜 커버리지에 진입한 것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리지 진입 확인부는,
    상기 오버히어링 신호세기(
    Figure pat00072
    )가 상기 임계치(
    Figure pat00073
    ) 미만(
    Figure pat00074
    )인 경우, 상기 단말기가 무선랜 커버리지에 진입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리지 진입 확인부는 상기 오버히어링 신호세기(
    Figure pat00075
    )가 기 설정된 임계치(
    Figure pat00076
    )를 초과(
    Figure pat00077
    )하는 경우, 상기 오버히어링된 신호를 디코딩하여 단말기 식별 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신호 전송부는 연동하는 백본망(Backbone Network)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가 할당된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커버리지 진입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와의 가상 인터페이스(Vitrual Interface)를 생성할 때,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된 상기 커버리지 진입 신호를 근거로 상기 가상 인터페이스에 접속하는 사용자 수를 설정하는 가상 인터페이스 설정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
  14. 단말기에서 수신된 제 1 페이징 신호(Paging Signal)에 대응하는 제 2 페이징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AP에서 상기 제 2 페이징 신호를 오버히어링(Overhearing)하며, 상기 오버히어링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의 무선랜 커버리지 진입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확인 결과에 근거하여 커버리지 진입 여부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기지국에서 수신된 상기 커버리지 진입 여부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로 커버리지 진입 정보를 포함한 제 3 페이징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을 포함하는 무선랜 이용 시 전력 절약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서 무선랜에 대한 접속 요청 명령이 발생한 경우 무선랜 검색을 활성화며, 수신된 상기 제 3 페이징 신호를 근거로 검색된 상기 AP로 연결(Association)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이용 시 전력 절약 방법.
KR1020110017519A 2011-02-28 2011-02-28 무선랜 이용 시 전력 절약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및 ap KR101261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519A KR101261364B1 (ko) 2011-02-28 2011-02-28 무선랜 이용 시 전력 절약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및 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519A KR101261364B1 (ko) 2011-02-28 2011-02-28 무선랜 이용 시 전력 절약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및 a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934A true KR20120097934A (ko) 2012-09-05
KR101261364B1 KR101261364B1 (ko) 2013-05-06

Family

ID=47109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7519A KR101261364B1 (ko) 2011-02-28 2011-02-28 무선랜 이용 시 전력 절약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및 a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13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7906A (ko) * 2014-06-24 2016-12-23 인텔 아이피 코포레이션 네트워크 기반 인터넷 프로토콜 플로우 이동성을 위한 전력 최적화
CN112291845A (zh) * 2019-07-23 2021-01-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寻呼方法及通信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7906A (ko) * 2014-06-24 2016-12-23 인텔 아이피 코포레이션 네트워크 기반 인터넷 프로토콜 플로우 이동성을 위한 전력 최적화
CN112291845A (zh) * 2019-07-23 2021-01-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寻呼方法及通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1364B1 (ko) 2013-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91199C1 (ru)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а стороны базовой станции и стороны устройства пользователя и система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KR10133687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불연속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5701789B2 (ja) 急速ハンドオフ
CN105530711B (zh) 管理服务器、基站、通信系统和通信方法
CN110267327A (zh) 业务传输方法及装置
US838582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over different ranges in a wireless network
JP2016521483A (ja) デバイス発見情報の受信方法、デバイス発見情報の送信方法及びユーザ機器
EP3001709B1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server apparatus
US8977253B2 (en) Method for sending auxiliary detection signaling
CN101128054B (zh) 基于访问类别限制列表提供服务状态信息的装置与方法
KR101813822B1 (ko) D2d 발견 신호의 송신 방법과 송신 장치
US20100278165A1 (en) Radio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WO2020031593A1 (ja) 通信装置
JP2017528048A (ja) 端末に基づいた通信方法と端末
WO2016109921A1 (zh) 数据传输的方法、站点、接入点和接入控制器
JP6176515B2 (ja) 無線基地局装置、無線資源管理方法、及び無線資源管理プログラム
JPWO2018062301A1 (ja) サーバ装置及び通信方法
KR102586481B1 (ko)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
JP5225230B2 (ja) 基地局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261364B1 (ko) 무선랜 이용 시 전력 절약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및 ap
TWI424760B (zh) 行動通訊的方法及其系統
CN113810978B (zh) 一种信息指示方法及装置
CN113473444B (zh) 通信方法、装置和系统
KR101719188B1 (ko) 멀티 라디오를 이용한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US20160165533A1 (en) Communication method, station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