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7117A - 카메라용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 그리고 이러한 장치가 장착된 소형 카메라 - Google Patents

카메라용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 그리고 이러한 장치가 장착된 소형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7117A
KR20120097117A KR1020110016479A KR20110016479A KR20120097117A KR 20120097117 A KR20120097117 A KR 20120097117A KR 1020110016479 A KR1020110016479 A KR 1020110016479A KR 20110016479 A KR20110016479 A KR 20110016479A KR 20120097117 A KR20120097117 A KR 20120097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coil member
magnet
camera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6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7077B1 (ko
Inventor
정회원
지혜경
박창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소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소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소닉
Priority to KR1020110016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7077B1/ko
Priority to PCT/KR2012/000593 priority patent/WO2012115357A2/ko
Publication of KR20120097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6Swinging lens about normal to the optical axi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용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 그리고 이러한 장치가 장착된 소형 카메라로써, 코일과 마그네트를 이용하여 렌즈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피사체의 초점을 조절하고, 수평방향으로 손떨림을 보정하는 카메라용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카메라용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는, 카메라의 내부에 수평 이동되게 장착되고, 외측에 제1코일부재가 장착된 제1블레이드와; 내부에 렌즈가 장착되고, 상기 제1블레이드의 내부에 상하 이동되게 장착되며, 외측에 제2코일부재가 장착된 제2블레이드와; 카메라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블레이드의 외측에 배치되는 마그네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제2코일부재 방향으로 분극된 제1극부와; 상기 제1극부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극부와 극성이 반대방향으로 분극된 제2극부;로 이루어져, 상기 제1코일부재 및 제2코일부재의 주위에 자기장을 형성하며, 상기 제1코일부재에 전원 인가시 발생하는 제1전자기장과 상기 마그네트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제1블레이드가 상기 제2블레이드와 함께 수평 이동하고, 상기 제2코일부재에 전원 인가시 발생하는 제2전자기장과 상기 마그네트에서 발생하는 자기장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제2블레이드가 상기 제1블레이드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메라용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 그리고 이러한 장치가 장착된 소형 카메라 { AUTOFOCUSING AND OPTICAL IMAGE STABILIZING APPARUTUS FOR CAMERA, AND THE CAMERA WITH THE SAME }
본 발명은 카메라용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 그리고 이러한 장치가 장착된 소형 카메라로써, 코일과 마그네트를 이용하여 렌즈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피사체의 초점을 조절하고, 수평방향으로 손떨림을 보정하는 카메라용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 그리고 이러한 장치가 장착된 소형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손떨림 보정기능이 구비된 영상촬영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종래의 손떨림 보정기능이 구비된 영상촬영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은 도 2 의 A를 확대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소형 카메라 장치는 일반적으로 하우징(10), 렌즈유닛(20), 제1코일(30), 제1마그네트(40) 및 철편(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상기 렌즈유닛(20)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게 장착된다.
상기 렌즈유닛(20)은 내부에 렌즈(60)가 장착되며, 상기 렌즈(60)를 상기 렌즈(60)의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피사체의 초점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렌즈유닛(20)은 상기 렌즈(60)를 감싸는 렌즈경통과(21), 내부에 상기 렌즈경통(21)이 삽입되는 홀더(22)와, 상기 홀더(22)의 내측에 장착되는 제2마그네트(23)와, 상기 렌즈경통(21)의 외측에 장착되는 제2코일(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코일(24)에 전원 인가시 발생하는 전자기장과 상기 제2마그네트(23)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렌즈경통(21)을 상기 렌즈(60)의 광축방향으로 유동시킨다.
이러한 상기 렌즈유닛(20)의 외측에는 상기 제1코일(30)이 장착된다.
상기 제1코일(30)은 상기 철편(5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권취된다.
또한 상기 제1마그네트(40)는 상기 제1코일(30)과 인접하게 상기 하우징(10)의 내측면에 장착되고,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철편(50)의 상하단과 각각 접한다.
상기 철편(50)은 일단이 상기 제1마그네트(40)와 접하고 타단이 상기 제1코일(30)의 중심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코일(30)과 인접한다.
위 구성에 의해 상기 제1코일(30)에 전원이 인가되며 상기 제 1 코일(30)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과 상기 제1마그네트(40)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렌즈유닛(20)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피사체의 흔들림을 보정한다.
이러한 종래의 소형 카메라 장치는 흔들림을 보정하는 제1마그네트(40)와, 초점을 조절하는 제2마그네트(23)가 각각 별도로 구성됨에 따라 부품의 수가 증가하여 구조가 복잡하고,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손떨림 보정과 초점 조절을 별도의 마그네트가 아닌 동일한 마그네트를 이용하여 구동함으로써, 부품의 수를 줄이고 구조를 단순하여 크기를 소형화하면서 흔들림 보정과 초점 조절이 용이한 카메라용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 그리고 이러한 장치가 장착된 소형 카메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카메라용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는, 카메라의 내부에 수평 이동되게 장착되고, 외측에 제1코일부재가 장착된 제1블레이드와; 내부에 렌즈가 장착되고, 상기 제1블레이드의 내부에 상하 이동되게 장착되며, 외측에 제2코일부재가 장착된 제2블레이드와; 카메라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블레이드의 외측에 배치되는 마그네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제2코일부재 방향으로 분극된 제1극부와; 상기 제1극부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극부와 극성이 반대방향으로 분극된 제2극부;로 이루어져, 상기 제1코일부재 및 제2코일부재의 주위에 자기장을 형성하며, 상기 제1코일부재에 전원 인가시 발생하는 제1전자기장과 상기 마그네트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제1블레이드가 상기 제2블레이드와 함께 수평 이동하고, 상기 제2코일부재에 전원 인가시 발생하는 제2전자기장과 상기 마그네트에서 발생하는 자기장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제2블레이드가 상기 제1블레이드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한다.
상기 마그네트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1코일부재의 상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1극부의 상하 길이는 상기 삽입공의 상하 거리보다 길며, 상기 삽입부의 상하 길이는 상기 삽입공의 상하 거리보다 짧다.
상기 제1블레이드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코일부재는 4개로 이루어져 상기 제1블레이드의 각 외측면에 장착되되, 상기 제2코일부재는 상기 제2블레이드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권취되고, 상기 제1코일부재는 상기 제2코일부재가 권취되는 중심축과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권취되며, 상호 마주보는 방향에 배치된 상기 제1코일부재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인가시 상기 마그네트에 의해 동일한 방향으로 자기력을 받는다.
일단이 상기 제1블레이드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제2블레이드에 장착되어 상기 제2블레이드를 상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스프링은 상기 제2코일부재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제2블레이드가 상하 이동할 때 탄성변형된다.
상하로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평 이동되게 장착된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1블레이드의 외측에 장착된 제1코일부재와; 내부에 렌즈가 장착되고, 상기 제1블레이드의 내부에 상하 이동되게 장착된 제2블레이드와; 상기 제2블레이드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권취되어 상기 제2블레이드의 외측에 장착된 제2코일부재와; 일단이 상기 제1블레이드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제2블레이드에 장착되어 상기 제2블레이드를 상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1블레이드의 외측에 배치되는 마그네트와; 상단이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제1블레이드에 장착되어 상기 제1블레이드를 부양시키는 와이어스프링과; 상기 제1코일부재 및 제2코일부재에 전원을 인가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2블레이드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렌즈를 통과한 피사체의 상을 촬상하는 이미지센서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코일부재는 상기 제2코일부재가 권취되는 중심축과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권취되고,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제2코일부재 방향으로 분극된 제1극부와; 상기 제1극부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극부와 극성이 반대방향으로 분극된 제2극부;로 이루어져, 상기 제1코일부재 및 제2코일부재의 주위에 자기장을 형성하며, 상기 제1코일부재에 전원 인가시 발생하는 제1전자기장과 상기 마그네트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제1블레이드가 상기 제2블레이드와 함께 수평 이동하며, 상기 제2코일부재에 전원 인가시 발생하는 제2전자기장과 상기 마그네트에서 발생하는 자기장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제2블레이드가 상기 제1블레이드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한다.
상기 하우징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와이어스프링은 8개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의 모서리 내측에 2개씩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1블레이드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스프링이 삽입 장착되는 장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블레이드의 하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내측으로 내측판이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블레이드의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은,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제1장착홈과; 상기 내측판에 형성된 제2장착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어스프링은, 상단이 상기 하우징에 고정 장착되고 하단이 상기 제1장착홈에 삽입 장착된 외측와이어스프링과; 상단이 상기 하우징에 고정 장착되고 하단이 상기 제2장착홈에 삽입 장착된 내측와이어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와이어스프링은 상기 제1코일부재 및 제2코일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코일부재 및 제2코일부재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1코일부재는 4개로 이루어져 상기 제1블레이드의 각 외측면에 장착되며, 상호 마주보는 방향에 배치된 상기 제1코일부재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인가시 상기 마그네트에 의해 동일한 방향으로 자기력을 받아 상기 와이어스프링을 탄성변형시키면서 상기 제1블레이드와 제2블레이드를 수평 이동시킨다.
상기 제1블레이드에 형성된 상기 내측판에는 상하 관통되는 승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블레이드의 하부에는 상기 승강홈에 삽입되는 승강돌기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지지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제1블레이드의 하부에 고정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승강돌기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제2코일부재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제2블레이드는 수평 이동이 저지되고 상하로 이동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블레이드 및 제2블레이드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스프링이 고정 장착되는 스페이서와; 상기 제1블레이드 및 제2블레이드의 하부에 배치되는 허브와; 상기 스페이서 및 제1블레이드 및 제2블레이드를 덮는 케이스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페이서의 하부에는 상호 이격 배치된 상부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고정돌기 사이에 상기 마그네트의 상부가 삽입되고, 상기 허브의 상부에는 상호 이격 배치된 하부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부고정돌기 사이에 상기 마그네트의 하부가 삽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용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 그리고 이러한 장치가 장착된 소형 카메라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제1극부와 제2극부로 이루어진 마그네트에서 발생된 동일한 자기장을 제1코일부재와 제2코일부재의 주위에 형성함으로써, 부품의 수를 줄이고 구조를 단순하여 크기를 소형화하면서 흔들림 보정과 초점 조절이 용이하다.
또한, 삽입부의 상하 길이는 삽입공의 상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되어 삽입부가 삽입공의 내부에서 상하이동 가능하게 됨으로써, 마그네트의 자기장과 제2코일부재에 전원 인가시 발생하는 제2전자기장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제2블레이드를 상하 이동시켜 쉽게 피사체의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마그네트의 상하 길이는 제1코일부재의 상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됨으로써, 제1코일부재와 제2코일부재의 주위에 충분한 자기장을 형성하여 제1블레이드와 제2블레이드를 수평 및 수직 이동시킬 수 있으며, 제1극부의 상하 길이는 삽입공의 상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됨으로써, 제1코일부재에 전원이 인가되어 형성된 제1전자기장과 상호 작용하는 자기장의 방향이 일정하게 형성되어 제1블레이드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쉽다.
또한, 승강돌기가 승강홈에 삽입되어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상하 이동하게 됨으로써, 제2블레이드를 제1블레이드의 내부에서 쉽게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관통구는 상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됨으로써, 제1블레이드의 내부에 제2코일부재가 장착된 제2블레이드를 쉽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다수개의 와이어스프링은 제1블레이드와 제2블레이드를 하우징의 내부에서 수평으로 부양시키면서 부착대의 내측 및 외측에 대각선으로 배치되어 카메라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손떨림 보정 기능이 구비된 영상촬영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손떨림 보정 기능이 구비된 영상촬영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를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가 장착된 소형 카메라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가 장착된 소형 카메라의 일방향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가 장착된 소형 카메라의 타방향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에서 마그네트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4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10은 도 4의 C-C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11은 도 4의 D-D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의 주위에 형성된 자기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3은 도 11에서 제1블레이드가 수평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도 10에서 제2블레이드가 수직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가 장착된 소형 카메라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가 장착된 소형 카메라의 일방향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가 장착된 소형 카메라의 타방향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에서 마그네트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4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4의 C-C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4의 D-D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의 주위에 형성된 자기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A)는 도 4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블레이드(200), 제1코일부재(300), 제2블레이드(400), 제2코일부재(500), 지지스프링(610,620) 및 마그네트(7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블레이드(200)는 후술할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평 이동되게 장착되고 내부에 상기 제2블레이드(400)가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제1블레이드(2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측에 제1코일부재(300)가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블레이드(200)에는 상방향으로 부착대(21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부착대(2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블레이드(200)의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부착대(210)와 부착대(210) 사이에 관통구(211)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구(211)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블레이드(200)의 내측과 외측이 관통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구(211)는 상방향으로 개방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코일부재(500)가 결합된 상기 제2블레이드(400)를 상기 제1블레이드(200)의 내부에 쉽게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블레이드(200)의 하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부(22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220)는 상기 부착대(210)가 형성된 상기 제1블레이드(200)의 모서리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220)는 상기 안착홈(133)에 각각 삽입 배치된다.
상기 돌출부(220)는 상기 제1블레이드(200)의 수평 이동시 상기 안착홈(133)의 내부에서 수평 이동하게 된다.
상기 돌출부(220)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장착홈(221)이 형성된다.
상기 제1장착홈(221)에는 후술할 상기 와이어스프링(800)이 고정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1블레이드(200)의 하부에는 내측 방향으로 내측판(230)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내측판(23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블레이드(200)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개구홀(231)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내측판(230)에는 제2장착홈(232)이 형성된다.
상기 제2장착홈(232)은 상기 부착대(210)가 형성된 상기 제1블레이드(200)의 모서리 내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장착홈(221)과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2장착홈(232)에는 상기 제1장착홈(221)과 같이 상기 와이어스프링(800)이 고정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판(230)에는 승강홈(233)이 형성된다.
상기 승강홈(233)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되며 상기 개구홀(231)과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제1블레이드(200)의 하면 즉, 상기 내측판(230)의 하면에는 지지돌기(234)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기(234)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스프링(610,620)이 장착된다.
상기 제1코일부재(300)는 내부에 전류가 흐르는 얇은 전선으로 이루어지고, 후술할 상기 제2코일부재(500)가 권취되는 중심축과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권취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코일부재(300)는 상기 관통구(211)를 중심으로 권취된다.
이러한 상기 제1코일부재(300)는 중공 형상으로 권취되어 삽입공(310)을 형성한다.
상기 삽입공(310)은 상기 관통구(211)와 연통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코일부재(300)는 상기 관통구(211)의 형상을 따라 권취되어, 상기 삽입공(310)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310)의 형상은 본 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형상으로 특정되지 않고 상기 관통구(211)와 연통되어 후술할 상기 제2코일부재(500)가 삽입 배치되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제1코일부재(300,300a,300b,300c,300d)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로 이루어져 상기 제1블레이드(200)의 외측면 즉, 상기 부착대(210)에 각각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장착되어 상호 마주보는 방향에 배치된 상기 제1코일부재(300a,300b)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호 마주보는 방향에 배치된 상기 제1코일부재(300a,300b)는 상기 내측판(230)을 따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호 마주보는 방향에 배치된 나머지 2개의 상기 제1코일부재(300c,300d)도 상기와 같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제1코일부재(300)는 전원 인가시 상기 마그네트(700)에 의해 동일한 방향으로 자기력을 받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제1코일부재(300)는 전원 인가시 주위에 제1전자기장을 형성하고, 상기 제1전자기장은 상기 마그네트(70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제1블레이드(200)를 상기 제2블레이드(400)와 함께 수평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블레이드(200)와 제2블레이드(400)가 수평 이동함으로써, 손떨림을 보정하여 상기 이미지센서에서 촬상되는 영상이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하여 양질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제2블레이드(400)는 상기 제1블레이드(200)의 내부에 상하 이동되게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제2블레이드(4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렌즈홀(401)이 형성되어 상기 렌즈(미도시)가 장착된다.
상기 렌즈홀(401)은 상기 제1투과구(111), 제2투과구(121), 개구홀(231) 및 제3투과구(131)와 연통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에 배치되는 이미지센서(미도시)가 상기 렌즈를 통과한 피사체의 상을 촬상한다.
상기 제2블레이드(400)의 하부에는 상기 승강홈(233)에 삽입되는 승강돌기(41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승강돌기(410)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승강홈(233)의 내부에서 수평 이동하지 못하고 상하 이동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블레이드(400)는 상기 제1블레이드(200)와 함께 수평 이동하고, 상기 제1블레이드(200)의 내부에서 상하로만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승강돌기(410)의 하부에는 상기 지지스프링(610,620)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2블레이드(400)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2코일부재(500)가 삽입 배치되는 코일홈(420)이 형성된다.
상기 제2코일부재(5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블레이드(40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권취되어 상기 제2블레이드(400)의 외측에 장착된다.
상기 제2코일부재(500)가 장착된 상기 제2블레이드(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구(211)가 상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블레이드(200)의 내부에 쉽게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제2코일부재(500)는 상기 제1코일부재(300)와 같이 내부에 전류가 흐르는 얇은 전선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코일부재(5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510)와 연결부(5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부(510)는 상기 관통구(211)를 관통하여 상기 삽입공(310)에 삽입 배치된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공(310)에 삽입된 상기 삽입부(510)는 상기 마그네트(70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510)의 외측면 사이의 최대 수직 거리(D1)는 상기 제1블레이드(200)의 외측면 사이의 최대 수직 거리(D2)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510)가 상기 삽입공(310)에 삽입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삽입부(510)가 상기 삽입공(310)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제1코일부재(300)와 제2코일부재(500) 모두가 동일한 마그네트(700)에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부품수를 줄이고 구조를 간단히 하여 카메라를 소형화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삽입부(510)의 외측면 사이의 최대 수직 거리(D1)는 상호 마주보는 방향에 배치된 상기 제1코일부재(300)의 외측면 사이의 최대 수직 거리보다 길게 형성하여 상기 제1코일부재(300)의 외부로 돌출되게 할 수도 있으나, 상기 삽입부(510)의 외측면 사이의 최대 수직 거리(D1)를 상기 제1코일부재(300)의 외측면 사이의 최대 수직 거리와 같거나 짧게 형성하여 상기 제1블레이드(200) 및 제2블레이드(400)가 수평 이동할 수 있는 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부(510)의 상하 길이(L1)는 상기 삽입공(310)의 상하 거리(D3)보다 짧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삽입부(510)의 상하 길이(L1)는 상기 삽입공(310)의 상하 거리(D3)보다 짧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블레이드(400)가 상하 이동할 때 상기 삽입부(510)가 상기 삽입공(310)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5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홈(420)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삽입부(510)와 삽입부(510)를 연결한다.
상기 연결부(520)는 상기 코일홈(420)에 삽입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2코일부재(500)가 상기 제2블레이드(4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520)가 상기 부착대(210)의 내측면에 접하는 것을 방지하여 타 부재의 간섭 없이 상기 제2블레이드(400)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부착대(210)와 연결부(520) 사이에는 상기 와이어스프링(800)이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연결부(520)를 상기 코일홈(420)에 삽입 배치함으로써, 상기 와이어스프링(800)의 배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부착대(210)와 연결부(520) 사이에 상기 와이어스프링(800)이 배치되는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구조를 단순화하면서 소형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제2코일부재(500)는 전원 인가시 주위에 제2전기장을 형성하고, 상기 제2전기장은 상기 마그네트(70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제2블레이드(400)를 상기 제1블레이드(200)의 내부에서 승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삽입부(510)를 상기 삽입공(310)에 삽입하여 상기 삽입부(510)를 상기 마그네트(700)에 인접하게 배치하였지만, 경우에 따라 상기 제2코일부재(500) 즉, 상기 삽입부(510)를 상기 삽입공(310)에 삽입 배치하지 않고 상기 제2블레이드(400)를 승강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내부에 상기 렌즈가 장착된 상기 제2블레이드(400)가 승강함으로써, 피사체의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영상의 촬영이 편리하다.
상기 지지스프링(610,620)은 일단이 상기 제1블레이드(200)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제2블레이드(400)에 장착되어 상기 제2블레이드(400)를 상방향으로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스프링(610,62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단이 일단으로부터 양 갈래로 분기되고, 제1지지스프링(610)과 제2지지스프링(620) 2개로 이루어진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스프링(610)의 일단은 상기 지지돌기(234a)의 하단에 장착되고, 양 갈래로 분기된 타단이 상기 승강돌기(410a)의 하단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2지지스프링(620)의 일단은 상기 지지돌기(234b)의 하단에 장착되고, 양 갈래로 분기된 타단이 상기 승강돌기(410b)의 하단에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스프링(610,620)은 도체로 이루어져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스프링(800)과 제2코일부재(5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스프링(610,620)은 탄성력을 갖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제2블레이드(400)를 상기 제1블레이드(200)에 대해 상방향으로 지지한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코일부재(50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지지스프링(610,620)은 탄성변형되어 상기 제2블레이드(40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블레이드(400)의 승강 후에 상기 제2코일부재(500)에 전원을 차단하면, 상기 지지스프링(610,62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2블레이드(400)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700)는 상기 하우징(100) 즉,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블레이드(200)의 외측에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마그네트(700)는 상부가 상기 상부고정돌기(122) 사이에 삽입 배치되고, 하부가 상기 하부고정돌기(132) 사이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제1블레이드(200)의 외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그네트(700)는 4개로 이루어져 각각 상기 제1코일부재(300) 및 제2코일부재(500)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그네트(700)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극부(710)와 제2극부(7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극부(710)는 상기 제2코일부재(500) 방향으로 분극된다.
상기 제2극부(720)는 상기 제1극부(710)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극부(710)와 극성이 반대 방향으로 분극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극부(710)는 상기 제2코일부재(500) 즉, 상기 삽입부(510)와 인접하게 배치된 방향이 S극이 되고 상기 케이스(110)의 내측면에 배치된 방향이 N극이 된다.
또한, 상기 제2극부(720)는 상기 제1코일부재(300)와 인접하게 배치된 방향이 N극이 되고 상기 케이스(110)의 내측면에 배치된 방향이 S극이 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제1극부(710)와 제2극부(720)의 극 방향을 반대로 배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극부(710)와 제2극부(720)가 분극되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코일부재(300)와 제2코일부재(500) 즉, 상기 삽입부(510) 주위에 자기장을 형성하게 된다.
도 12는 화살표로 자기장의 방향 및 흐름을 표시하였고, 화살표의 색깔로 자기장의 세기를 표시하였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상기 마그네트(700)의 상하 길이(L2)는 상기 제1코일부재(300)의 상하 길이(L3)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마그네트(700)의 상하 길이(L2)가 상기 제1코일부재(300)의 상하 길이(L3)보다 길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코일부재(300) 및 제2코일부재(500) 주위에 충분한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극부(710)의 상하 길이(L4)는 상기 삽입공(310)의 상하 거리(D3)보다 길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1극부(710)의 상하 길이(L4)가 상기 삽입공(310)의 상하 거리(D3)보다 짧게 형성될 경우, 상기 제1코일부재(300)의 내측 방향 즉, 상기 삽입공(310) 방향으로 상기 제1극부(710)와 제2극부(720)로 부터 서로 다른 방향의 자기장이 작용하기 때문에 상기 제1블레이드(200)를 특정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기 어렵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극부(710)의 상하 길이(L4)를 상기 삽입공(310)의 상하 거리(D3)보다 길게 형성하여 상기 제1블레이드(200)를 수평 이동시키기 용이하게 하였다.
본 발명의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가 장착된 소형 카메라는 내부에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A)가 장착되고, 하우징(100), 이미지센서(미도시), 와이어스프링(800) 및 제어부(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전술한 바와 같은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A)가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하로 개방되어 상기 제2블레이드(400)의 내부에 배치된 렌즈(미도시)를 통해 입사광이 통과한다.
이러한 상기 하우징(100)은, 케이스(110), 스페이서(120) 및 허브(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상하로 관통되어 상기 제2블레이드(400)에 장착된 상기 렌즈로 투사되는 입사광이 통과하는 제1투과구(111)가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120)와 제1블레이드(200) 및 제2블레이드(400)를 덮어 하단이 상기 허브(130)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스페이서(120)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10)의 내측 상면에 장착되며 하부에 상기 제1블레이드(200) 및 제2블레이드(400)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120)에는 상기 제1투과구(111)와 연통되는 원형의 제2투과구(121)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120)의 하부에는 상부고정돌기(122)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상부고정돌기(122)는 상호 이격 배치되어 그 사이에 상기 마그네트(700)의 상부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120)에는 상기 와이어스프링(800)이 고정 장착된다.
상기 허브(130)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케이스(110)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허브(130)에는 상기 렌즈를 통과한 입사광이 관통하는 제3투과구(13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허브(130)의 상부에는 상기 제1블레이드(200) 및 제2블레이드(400)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허브(130)의 상부에는 상기 케이스(110)의 하단이 고정 장착되어, 상기 케이스(110)가 상기 제1블레이드(200) 및 제2블레이드(400)를 덮는다.
또한,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허브(130)의 상부에는 하부고정돌기(132)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하부고정돌기(132)는 상호 이격 배치되어 상기 상부고정돌기(122)의 하부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고정돌기(132) 사이에 상기 마그네트(700)의 하부가 삽입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허브(130)의 상부 각 모서리에는 안착홈(133)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133)에는 후술할 상기 제1블레이드(200)에 형성된 돌출부(220)가 삽입 배치된다.
상기 허브(130)의 하부에는 이미지센서(미도시)가 배치된다.
상기 이미지센서는 상기 제3투과구(131)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를 통과하여 상기 제3투과구(131)를 통해 들어온 피사체의 상을 촬상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에는 제어부(미도시)가 장착된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1코일부재(300) 및 제2코일부재(500)에 전원을 인가시킨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상기 제1코일부재(300) 및 제2코일부재(500)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가 장착된다.
상기 센서는 상기 제1코일부재(300) 및 제2코일부재(500)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 값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제1코일부재(300) 또는 제2코일부재(500)에 전원을 인가시킨다.
상기 와이어스프링(800)은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A)를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장착하여 수평으로 부양시킨다.
이러한 상기 와이어스프링(800)은 상단이 상기 하우징(100)에 장착되고 하단이 상기 제1블레이드(200)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와이어스프링(800)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직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도 5 및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스프링(800)은 8개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100) 즉, 상기 케이스(110)의 모서리 내측에 2개씩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와이어스프링(800)은 외측와이어스프링(801)과 내측와이어스프링(80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측와이어스프링(801)은 상단이 상기 스페이서(120)에 고정 장착되고 하단이 상기 제1장착홈(221)에 삽입 장착된다.
즉, 상기 외측와이어스프링(801)은 상기 케이스(110)와 부착대(21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내측와이어스프링(802)은 상단이 상기 스페이서(120)에 고정 장착되고 하단이 상기 제2장착홈(232)에 삽입 장착된다.
즉, 상기 내측와이어스프링은(802) 상기 부착대(210)와 연결부(520)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스프링(800)은 전류가 흐르는 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코일부재(300) 및 제2코일부재(500)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상기 제1코일부재(300) 및 제2코일부재(500)에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어느 하나의 상기 와이어스프링(800)의 상단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제1코일부재(300)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코일부재(300)에 전원을 인가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코일부재(300a)의 타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호 마주보는 방향에 배치된 다른 제1코일부재(300b)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코일부재(300b)의 타단은 나머지 상기 와이어스프링(800)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와이어스프링(800)의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코일부재(300b)와 연결된 상기 와이어스프링(800)의 상단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하나의 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또한, 상호 마주보게 배치된 나머지 상기 제1코일부재(300c,300d)도 상기와 같이 별도의 회로를 형성하여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전원을 인가받게 된다.
이와 같이 4개의 상기 와이어스프링(800)이 상기 제1코일부재(300)와 연결된다.
그리고 나머지 4개의 와이어스프링(800)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와이어스프링(800)은 상단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지지돌기(234a)에 장착된 상기 제1지지스프링(610)의 일단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스프링(610)의 타단은 상기 승강돌기(410a)에 장착되어 상기 제2코일부재(500)의 일단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코일부재(500)의 타단은 상기 승강돌기(410b)에 장착된 상기 제2지지스프링(620)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지지스프링(620)의 일단은 나머지 상기 와이어스프링(800)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와이어스프링(800)의 하단에 연결되며, 상단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코일부재(500)와 연결된 하나의 회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6개의 상기 와이어스프링(800)이 이용되고, 나머지 2개의 와이어스프링(800)은 상기 제1블레이드(200) 및 제2블레이드(400)를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수평으로 부양시키기 위하여 보조적으로 이용된다.
이하,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가 장착된 소형 카메라의 작동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도 13은 도 11에서 제1블레이드가 수평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0에서 제2블레이드가 수직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코일부재(300)와 제2코일부재(500)에 전원이 인가되기 전에는 상기 제1블레이드(200)가 상기 와이어스프링(800)에 의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부양된 상태로 배치된다.
또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블레이드(400)는 상기 지지스프링(610,620)에 의해 상기 제1블레이드(200)의 내부에서 상방향으로 지지된 상태로 배치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미도시)의 신호를 받은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상호 마주보게 배치된 어느 한 쌍의 상기 제1코일부재(30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제1코일부재(300)에서 발생하는 제1전자기장과 상기 마그네트(70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제1블레이드(200)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상기 제1블레이드(200)와 제2블레이드(400)가 함께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와이어스프링(800)이 우측으로 탄성변형된다.
도 13에는 내측와이어스프링(802) 만이 도시되었지만 도시되지 않은 나머지 상기 외측와이어스프링(801)도 동일하게 탄성변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코일부재(300)에 전원을 차단하면 상기 와이어스프링(8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블레이드(200)와 제2블레이드(400)가 원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코일부재(300)에 인가된 전류의 방향이 바뀌게 되면 상기 제1블레이드(200)와 제2블레이드(400)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어부에 의해 다른 한 쌍의 제1코일부재(300)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류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제1블레이드(200)와 제2블레이드(400)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블레이드(200)와 제2블레이드(400)가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수평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블레이드(400)에 장착된 렌즈가 함께 이동하여 카메라의 손떨림을 보정한다.
그리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미도시)의 신호를 받은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상기 제2코일부재(50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제2코일부재(500) 즉, 상기 삽입부(510) 및 연결부(520)에서 발생하는 제2전자기장과 상가 마그네트(70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제2블레이드(400)가 상기 제1블레이드(200)의 내부에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스프링이 상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상기 제2블레이드(400)가 상승함으로써, 상기 제2블레이드(400)의 내부에 장착된 렌즈가 함께 상승하여 피사체의 초점을 조절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2코일부재(500)에 인가된 전류의 방향이 바뀌게 되면 상기 제2블레이드(400)가 하강한다.
그리고 상기 제2코일부재(500)에 전원을 차단하면 상기 지지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2블레이드(400)가 원위치로 복귀한다.
본 발명인 카메라용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 그리고 이러한 장치가 장착된 소형 카메라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하우징, 110 : 케이스, 111 : 제1투과구, 120 : 스페이서, 121 : 제2투과구, 122 : 상부고정돌기, 130 : 허브, 131 : 제3투과구, 132 : 하부고정돌기, 133 : 안착홈, 200 : 제1블레이드, 210 : 부착대, 211 : 관통구, 220 : 돌출부, 221 : 제1장착홈, 230 : 내측판, 231 : 개구홀, 232 : 제2장착홈, 233 : 승강홈, 234 : 지지돌기, 300,300a,300b,300c,300d : 제1코일부재, 310 : 삽입공, 400 : 제2블레이드, 401 : 렌즈홀, 410 : 승강돌기, 420 : 코일홈, 500 : 제2코일부재, 510 : 삽입부, 520 : 연결부, 610 : 제1지지스프링, 620 : 제2지지스프링, 700 : 마그네트, 710 : 제1극부, 720 : 제2극부, 800 : 와이어스프링, 801 : 외측와이어스프링, 802 : 내측와이어스프링,

Claims (10)

  1. 카메라의 내부에 수평 이동되게 장착되고, 외측에 제1코일부재가 장착된 제1블레이드와;
    내부에 렌즈가 장착되고, 상기 제1블레이드의 내부에 상하 이동되게 장착되며, 외측에 제2코일부재가 장착된 제2블레이드와;
    카메라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블레이드의 외측에 배치되는 마그네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제2코일부재 방향으로 분극된 제1극부와;
    상기 제1극부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극부와 극성이 반대방향으로 분극된 제2극부;로 이루어져, 상기 제1코일부재 및 제2코일부재의 주위에 자기장을 형성하며,
    상기 제1코일부재에 전원 인가시 발생하는 제1전자기장과 상기 마그네트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제1블레이드가 상기 제2블레이드와 함께 수평 이동하고,
    상기 제2코일부재에 전원 인가시 발생하는 제2전자기장과 상기 마그네트에서 발생하는 자기장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제2블레이드가 상기 제1블레이드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1코일부재의 상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1극부의 상하 길이는 상기 삽입공의 상하 거리보다 길며,
    상기 삽입부의 상하 길이는 상기 삽입공의 상하 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레이드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코일부재는 4개로 이루어져 상기 제1블레이드의 각 외측면에 장착되되,
    상기 제2코일부재는 상기 제2블레이드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권취되고,
    상기 제1코일부재는 상기 제2코일부재가 권취되는 중심축과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권취되며,
    상호 마주보는 방향에 배치된 상기 제1코일부재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인가시 상기 마그네트에 의해 동일한 방향으로 자기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1블레이드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제2블레이드에 장착되어 상기 제2블레이드를 상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스프링은 상기 제2코일부재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제2블레이드가 상하 이동할 때 탄성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
  5. 상하로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평 이동되게 장착된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1블레이드의 외측에 장착된 제1코일부재와;
    내부에 렌즈가 장착되고, 상기 제1블레이드의 내부에 상하 이동되게 장착된 제2블레이드와;
    상기 제2블레이드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권취되어 상기 제2블레이드의 외측에 장착된 제2코일부재와;
    일단이 상기 제1블레이드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제2블레이드에 장착되어 상기 제2블레이드를 상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1블레이드의 외측에 배치되는 마그네트와;
    상단이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제1블레이드에 장착되어 상기 제1블레이드를 부양시키는 와이어스프링과;
    상기 제1코일부재 및 제2코일부재에 전원을 인가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2블레이드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렌즈를 통과한 피사체의 상을 촬상하는 이미지센서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코일부재는 상기 제2코일부재가 권취되는 중심축과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권취되고,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제2코일부재 방향으로 분극된 제1극부와;
    상기 제1극부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극부와 극성이 반대방향으로 분극된 제2극부;로 이루어져, 상기 제1코일부재 및 제2코일부재의 주위에 자기장을 형성하며,
    상기 제1코일부재에 전원 인가시 발생하는 제1전자기장과 상기 마그네트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제1블레이드가 상기 제2블레이드와 함께 수평 이동하며,
    상기 제2코일부재에 전원 인가시 발생하는 제2전자기장과 상기 마그네트에서 발생하는 자기장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제2블레이드가 상기 제1블레이드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가 장착된 소형 카메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와이어스프링은 8개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의 모서리 내측에 2개씩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가 장착된 소형 카메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레이드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스프링이 삽입 장착되는 장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블레이드의 하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내측으로 내측판이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블레이드의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은,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제1장착홈과;
    상기 내측판에 형성된 제2장착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어스프링은,
    상단이 상기 하우징에 고정 장착되고 하단이 상기 제1장착홈에 삽입 장착된 외측와이어스프링과;
    상단이 상기 하우징에 고정 장착되고 하단이 상기 제2장착홈에 삽입 장착된 내측와이어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가 장착된 소형 카메라.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스프링은 상기 제1코일부재 및 제2코일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코일부재 및 제2코일부재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1코일부재는 4개로 이루어져 상기 제1블레이드의 각 외측면에 장착되며,
    상호 마주보는 방향에 배치된 상기 제1코일부재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인가시 상기 마그네트에 의해 동일한 방향으로 자기력을 받아 상기 와이어스프링을 탄성변형시키면서 상기 제1블레이드와 제2블레이드를 수평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가 장착된 소형 카메라.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레이드에 형성된 상기 내측판에는 상하 관통되는 승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블레이드의 하부에는 상기 승강홈에 삽입되는 승강돌기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지지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제1블레이드의 하부에 고정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승강돌기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제2코일부재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제2블레이드는 수평 이동이 저지되고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가 장착된 소형 카메라.
  10.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블레이드 및 제2블레이드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스프링이 고정 장착되는 스페이서와;
    상기 제1블레이드 및 제2블레이드의 하부에 배치되는 허브와;
    상기 스페이서 및 제1블레이드 및 제2블레이드를 덮는 케이스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페이서의 하부에는 상호 이격 배치된 상부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고정돌기 사이에 상기 마그네트의 상부가 삽입되고,
    상기 허브의 상부에는 상호 이격 배치된 하부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부고정돌기 사이에 상기 마그네트의 하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가 장착된 소형 카메라.
KR1020110016479A 2011-02-24 2011-02-24 카메라용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 그리고 이러한 장치가 장착된 소형 카메라 KR101197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479A KR101197077B1 (ko) 2011-02-24 2011-02-24 카메라용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 그리고 이러한 장치가 장착된 소형 카메라
PCT/KR2012/000593 WO2012115357A2 (ko) 2011-02-24 2012-01-25 카메라용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 그리고 이러한 장치가 장착된 소형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479A KR101197077B1 (ko) 2011-02-24 2011-02-24 카메라용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 그리고 이러한 장치가 장착된 소형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117A true KR20120097117A (ko) 2012-09-03
KR101197077B1 KR101197077B1 (ko) 2012-11-07

Family

ID=47108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6479A KR101197077B1 (ko) 2011-02-24 2011-02-24 카메라용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 그리고 이러한 장치가 장착된 소형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7077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2220A (ko) * 2013-06-28 2015-01-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멤스 소자 및 카메라 모듈
WO2015147385A1 (ko) * 2014-03-25 2015-10-01 넥스타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모듈
WO2016013708A1 (ko) * 2014-07-24 2016-01-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60022656A (ko) * 2014-08-20 2016-03-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WO2016133288A1 (ko) * 2015-02-17 2016-08-25 (주)엠디펄스 카메라 모듈
US9703068B2 (en) 2013-04-19 2017-07-11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US9804408B2 (en) 2014-09-23 2017-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mera lens module
KR20180013770A (ko) * 2016-07-29 2018-02-07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렌즈 구동 장치 및 당해 렌즈 구동 장치의 제조 방법
US9910241B2 (en) 2013-04-19 2018-03-06 Hong Kong Applied Science &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WO2019031817A1 (ko) * 2017-08-07 2019-02-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JP2019053318A (ja) * 2014-01-02 2019-04-04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レンズ駆動装置及びこれを含むカメラモジュール
KR20190124905A (ko) * 2018-04-27 2019-11-06 (주)캠시스 소형 카메라용 오토포커싱 액츄에이터
KR20210012025A (ko) * 2014-07-15 2021-02-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RE48667E1 (en) 2014-03-05 2021-08-03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16153B1 (en) 2014-03-05 2021-04-07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1479637B1 (ko) * 2014-03-12 2015-01-0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935B1 (ko) * 2008-02-20 2008-04-28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소형 렌즈모듈의 자동 초점조절 장치
KR100980044B1 (ko) * 2009-03-20 2010-09-06 주식회사 하이소닉 소형 카메라 장치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03068B2 (en) 2013-04-19 2017-07-11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US9910241B2 (en) 2013-04-19 2018-03-06 Hong Kong Applied Science &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KR20150002220A (ko) * 2013-06-28 2015-01-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멤스 소자 및 카메라 모듈
JP2019053318A (ja) * 2014-01-02 2019-04-04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レンズ駆動装置及びこれを含むカメラモジュール
US11204510B2 (en) 2014-01-02 2021-12-21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US11698509B2 (en) 2014-03-05 2023-07-11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US11353679B2 (en) 2014-03-05 2022-06-07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USRE48667E1 (en) 2014-03-05 2021-08-03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WO2015147385A1 (ko) * 2014-03-25 2015-10-01 넥스타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20210012025A (ko) * 2014-07-15 2021-02-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10571713B2 (en) 2014-07-24 2020-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mera module having guiding portion between fixed portion and movable portion
WO2016013708A1 (ko) * 2014-07-24 2016-01-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60022656A (ko) * 2014-08-20 2016-03-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9804408B2 (en) 2014-09-23 2017-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mera lens module
WO2016133288A1 (ko) * 2015-02-17 2016-08-25 (주)엠디펄스 카메라 모듈
KR20180013770A (ko) * 2016-07-29 2018-02-07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렌즈 구동 장치 및 당해 렌즈 구동 장치의 제조 방법
WO2019031817A1 (ko) * 2017-08-07 2019-02-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US11543622B2 (en) 2017-08-07 2023-01-03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apparatus,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KR20190124905A (ko) * 2018-04-27 2019-11-06 (주)캠시스 소형 카메라용 오토포커싱 액츄에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7077B1 (ko) 201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7077B1 (ko) 카메라용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 그리고 이러한 장치가 장착된 소형 카메라
KR101200711B1 (ko) 카메라용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 그리고 이러한 장치가 장착된 소형 카메라
KR102588578B1 (ko) 카메라 모듈
KR101085645B1 (ko) 손떨림 보정 기능이 구비된 영상촬상 장치
US9723185B2 (en) Camera module having mechanical image stabilization mechanism
KR101825731B1 (ko) 광학 손떨림 보정 가능한 카메라 렌즈 모듈
KR100770846B1 (ko) 카메라 모듈의 자동 초점 조절 장치
KR101498356B1 (ko) 렌즈 액츄에이터
US20190041662A1 (en) Optical image stabilization mechanism
KR101421223B1 (ko)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20160089557A (ko) 복합 판 스프링 및 광학 손떨림 보정 가능한 카메라 렌즈 모듈
JP2013210634A (ja) 振れ補正機能を備えた映像撮影装置
KR101875552B1 (ko) 복합 기능 보이스 코일 모터, 이를 갖는 카메라 모듈 및 복합 기능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 방법
KR100965913B1 (ko) 손떨림 보정기능이 구비된 영상촬영장치
KR101651115B1 (ko) 2개의 렌즈 조립체를 구비한 자동초점 카메라 모듈
KR20110106148A (ko) 발광 램프가 장착된 카메라 모듈용 렌즈 액츄에이터
KR101043943B1 (ko) 소형 카메라 장치
JP2015143722A (ja) レンズアクチュエータ
KR101470470B1 (ko) 자동 초점 조절 및 손떨림 보정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
KR20120133904A (ko) 복합 기능 보이스 코일 모터
KR101878907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20170045552A (ko) 듀얼 카메라 모듈
KR100992193B1 (ko) 소형 카메라 장치
KR20100062657A (ko) 촬상 장치용 렌즈 액츄에이터
KR101064131B1 (ko) 소형 입체영상 촬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