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6972A - 탈취필터 관능시험장치 - Google Patents

탈취필터 관능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6972A
KR20120096972A KR1020110016262A KR20110016262A KR20120096972A KR 20120096972 A KR20120096972 A KR 20120096972A KR 1020110016262 A KR1020110016262 A KR 1020110016262A KR 20110016262 A KR20110016262 A KR 20110016262A KR 20120096972 A KR20120096972 A KR 20120096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ed space
space portion
filter
sensory test
closed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6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8109B1 (ko
Inventor
이정재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16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109B1/ko
Publication of KR20120096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6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1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by organolep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8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 area of porous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 G01N31/22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3/00Operation of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3/18Testing of filters, filter elements, seal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8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 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84Testing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취필터 관능시험장치에 과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밀폐공간부에 동일한 가스나 용액을 투입하고, 한쪽 밀폐공간부에는 성능테스트를 위한 탈취필터를 설치하여 후각을 통해 한 쌍의 밀폐공간부내에 냄새를 맡아 대조함과 아울러 오염정도를 색상으로 나타내어 육안으로도 식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탈취필터의 성능을 쉽고 가편하면서도 안전하게 가늠해 볼 수 있는 탈취필터 관능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탈취필터 관능시험장치{DEODORIZING FILTER APPARATUS}
본 발명은 한 쌍의 밀폐공간부에 동일한 가스나 용액을 투입하고, 한쪽 밀폐공간부에는 성능테스트를 위한 탈취필터를 설치하여 후각을 통해 한 쌍의 밀폐공간부내에 냄새를 맡아 대조함과 아울러 오염정도를 색상으로 나타내어 육안으로도 식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탈취필터의 성능을 쉽고 간편하면서도 안전하게 가늠해 볼 수 있는 탈취필터 관능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관능법은 평가요원 선정에 대한 언급만 있을 뿐 판정이나 방법 등이 매우 주관적이고 별도의 셈플링을 통해 비교하고 있는데, 가스를 대상으로 한 실험이기 때문에 실험군과 대조군을 위한 실험시 주변의 조건이나 실험방법상에서도 오차가 크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관능법을 비교적 정확히 하기 위한 방법은 동일한 조건에서 동시에 실험하여 비교하는 것인데, 본 발명은 이에 대한 부분을 만족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장에서나 연구실에서 동일조건의 한 쌍의 밀폐공간부를 구성하고, 동일용액을 동일용량만큼 투입하고, 실험군은 시험대상의 탈취필터를 설치하여 작용시키고, 대조군은 그대로 방치한 상태에서 시간, 온?습도에 따라 사람의 감각을 통해 탈취 필터의 성능을 간단한 방법으로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가늠해 볼 수 있는 탈취필터 관능시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는 제1밀폐공간부와 대조군이 되는 제2밀폐공간부로 형성된 한 쌍의 밀폐공간부; 상기 제1밀폐공간부의 일측면부에 설치되며, 성능시험을 위한 탈취필터를 수용하기 위한 필터유닛; 상기 밀폐공간부에 설치되어 밀폐공간부에 용액 내지 가스를 주입하는 투입수단; 상기 밀폐공간부 내부와 연결하여 냄새를 맡을 수 있도록 하는 흡입튜브 및 흡입용마스크; 상기 밀폐공간부내의 오염정도를 시간별로 체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타이머 및 밀폐공간부내의 온?습도를 체크하기 위한 온?습도컨트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탈취필터 관능시험장치에서, 상기 밀폐공간부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투입수단으로부터 주입되는 용액을 수용하는 용액수용부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탈취필터 관능시험장치에서, 상기 밀폐공간부를 구성하는 제1밀폐공간부 및 제2밀폐공간부는 박스형상의 본체에 상부측을 개폐 가능하도록 개폐커버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커버를 본체의 상부측에서 밀폐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잠금수단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 사면에 흡입튜브를 결합하는 연결구가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탈취필터 관능시험장치에서, 상기 필터유닛은 제1밀폐공간부의 본체 측면 내측에 필터수납케이스가 밀착 설치되고, 상기 필터수납케이스 하부측에 흡입팬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탈취필터 관능시험장치에서, 상기 투입수단은 제1밀폐공간부 및 제2밀폐공간부의 각각 설치되며, 악취물질을 수용하는 악취물질용 제1뷰렛과 지시약을 수용하는 지시약용 제2뷰렛으로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제1,2뷰렛을 연장 연결하여 밀폐공간부를 관통하여 용액수용부에 용액을 공급하는 투입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탈취필터 관능시험장치 의하면, 동일한 가스 또는 용액이 투입되는 한 쌍의 밀폐공간부를 구비하고, 한쪽에만 성능시험을 위한 탈취필터를 설치하여 시간, 온도, 습도에 따라 실험자가 직접적으로 감각기간을 통해 대조하며 관능시험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쉽고 간편하게 탈취필터의 성능을 정확하게 가늠하는 테스트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취필터 관능시험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취필터 관능시험장치를 보인 평면도.
본 발명에 따른 탈취필터 관능시험장치는 탈취필터의 성능테스트를 사람의 감각기간을 통해 직접적으로 시험할 수 있도록 구성한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기 탈취필터 관능시험장치는 대조되는 한 쌍의 밀폐공간부내에 오염정도를 냄새 및 색상을 통해 가늠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한쪽 밀폐공간부에만 성능시험을 위한 탈취필터를 설치하고 시간, 온도 및 습도에 따라 탈취필터가 설치된 밀폐공간부와 탈취필터가 미설치된 밀폐공간부를 관능시험을 통해 대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람이 직접 감각기관으로 용이하게 탈취필터의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취필터 관능시험장치를 보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취필터 관능시험장치를 보인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취필터 관능시험장치는 밀폐공간부(10A), 필터유닛(20), 투입수단(30), 용액수용부(40), 흡입튜브 및 흡입용마스크(50), 타이머(61) 및 온?습도컨트롤러(62)를 포함한 조작부(63)로 이루어진다.
상기 밀폐공간부(10A)는 제1밀폐공간부(10) 및 제2밀폐공간부(10')로 서로 대응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박스형상의 본체(11)에 상부측을 개폐 가능하도록 개폐커버(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커버(12)를 본체(11)의 상부측에서 밀폐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잠금수단(1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1)의 사면에 흡입튜브(51)를 결합하는 연결구(13)가 관통 형성된다.
이와같은 밀폐공간부(10A)는 내부의 관찰이 용이하도록 투명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잠금수단(14)은 본체(11)의 상부측에 개폐커버(12)를 닫을시 용액의 냄새가 방출되지 않도록 걸림구와 걸림고리로 형성되어 밀폐 결합하게 된다.
상기 필터유닛(20)은 성능시험을 위한 탈취필터(100)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제1밀폐공간부(10)에만 본체(11) 내부 측면부에 밀착 설치되되, 상기 제1밀폐공간부(10)의 본체(11) 측면 내측에 필터수납케이스(21)가 밀착 설치되고, 상기 필터수납케이스(21) 하부측에 흡입팬(22)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1밀폐공간부(10)의 본체(11)에 필터수납케이스(21)가 설치되는 측면부에는 외부에서 탈취필터(100)를 필터수납케이스(21)에 삽탈이 용이하도록 내측에서 밀착 설치된 필터수납케이스(21)와 관통하도록 하는 관통부(15)가 형성된다.
상기 투입수단(30)은 밀폐공간부(10A)의 측면부에 설치하여 밀폐공간부(10A)내에 용액 또는 가스를 투입하기 위한 것으로, 눈금에 따라 정밀하게 투입할 수 있는 뷰렛으로 구비되되, 악취물질을 수용하는 악취물질용 제1뷰렛(31)과 악취물질과 화학반응을 통해 오염된 정도를 색상으로 표시하여 식별 가능하도록 하는 지시약을 수용하는 지시약용 제2뷰렛(32)으로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제1,2뷰렛(31,32)을 연장 연결하여 밀폐공간부(10A)를 관통하여 용액수용부에 용액을 공급하는 투입관(33,34)으로 구성된다.
상기 용액수용부(40)는 투입수단(30)으로부터 주입되는 용액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샤레(41)가 밀폐공간부(10A)의 내측에 구비되며, 용액을 흡수하는 솜을 포함하여 구비되게 된다.
상기 흡입튜브(51) 및 흡입용 마스크(50)는 밀폐공간부(10A)의 사면에 형성된 연결구(13)에 흡입튜브(51)의 일측을 연결하며, 타측에 흡입용 마스크(50)를 결합하여 밀폐공간부(10A) 내측에 냄새를 맡기 위해 설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흡입튜브(51)의 경우 화학적 안정성이 있는 테프론튜브를 사용하게 되며, 상기 흡입튜브(51)를 결합시키는 연결구(13)의 경우 본체(11) 사면에 수개소 형성되어 수개의 흡입튜브(51) 및 흡입용 마스크(50)를 동시연결이 가능하여 다수의 사람이 동시에 관능시험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타이머(61) 및 온?습도컨트롤러(62)를 포함한 조작부(63)는 시간 및 온?습도에 따라 달라지는 탈취효율을 체크하기 위한 것이며, 조작부(63)는 상기 타이머 및 온?습도컨트롤러(62), 필터유닛(20)의 흡입팬(22)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탈취필터 관능시험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성능시험을 위한 탈취필터(100)의 경우 제1밀폐공간부(10)의 본체(11) 내측에 형성된 필터수납케이스(21)에 삽입시켜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제1.2밀폐공간부(10,10')의 측면에 구비된 투입수단(30)중 악취용액용 제1뷰렛(31)에 수용된 악취용액을 제1.2밀폐공간부(10,10') 내측에 구비된 용액수용부(40)로 투입하게 된다. 이때 양측 제1.2밀폐공간부(10,10')마다의 제1뷰렛(31)에는 동일물질의 악취용액이 수용되며, 악취용액을 주입시 제1뷰렛(31)에 의해 제1.2밀폐공간부(10,10')로 동일 용액이 동일 용량만큼 투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2밀폐공간부(10,10')에 동일한 용량만큼의 악취용액의 주입이 된 후, 제1밀폐공간부(10)는 필터유닛(20)의 흡입팬(22)을 가동시켜 성능시험을 위한 탈취필터(100)에 의해 탈취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2밀폐공간부(10')는 그대로 방치시킨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 본체 연결구(13)에 흡입튜브(51)를 포함한 흡입용 마스크(50)를 결합하여 각각의 제1.2밀폐공간부(10,10') 내측에 냄새를 맡게 된다.
이에따라 실험하는 사람이 탈취필터(100)가 설치된 제1밀폐공간부(10)와 탈취필터가 미설치된 제2밀폐공간부(10')의 냄새를 각각 맡음으로써 악취냄새의 정도에 따른 탈취필터(100)의 성능을 후각을 통해 직접적으로 가늠할 수 있게 되고, 동일한 조건하에 설치된 타이머(61) 및 온습도컨트롤러(62)에 의해 시간, 온습도에 따라 탈취효율 또한 체크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밀페공간부(10A) 측면에 구비된 투입수단(30)중 지시약용 제2뷰렛(32)에 의해 BTB용액, 페놀프탈레인용액, 메틸오렌지 등의 지시약을 동일한 용량만큼 제1.2밀폐공간부(10,10')에 투입하여 악취용액과 지시약의 화학적 반응작용에 따른 색상 검출로서 오염된 정도 또한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일례로 악취용액이 투입된 제1.2밀폐공간부(10,10')에 일정시간 후 동일한 지시약을 동일한 용량만큼 투입하게 되면, 탈취필터(100)에 의한 탈취작용이 발생된 제1밀폐공간부(10)의 경우 그 색상이 흐리게 검출되고, 제2밀폐공간부(10')는 그 색상이 진하게 검출되는 정도로 쉽게 육안으로 식별하며 가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A :밀폐공간부 10 : 제1밀폐공간부 10': 제2밀폐공간부
20 : 필터유닛
30 : 투입수단 31 : 제1뷰렛 32 : 제2뷰렛 33, 34 : 투입관
40 : 용액수용부 41 : 샤레
50 : 흡입용마스크 51 : 흡입튜브
61 : 타이머 62 : 온?습도컨트롤러 63 : 조작부

Claims (5)

  1. 실험군이 되는 제1밀폐공간부(10)와 대조군이 되는 제2밀폐공간부(10')로 형성된 한 쌍의 밀폐공간부(10A);
    상기 제1밀폐공간부(10)의 일측면부에 설치되며, 성능시험을 위한 탈취필터(100)를 수용하기 위한 필터유닛(20);
    상기 밀폐공간부(10A)에 설치되어 밀폐공간부(10A)에 용액 내지 가스를 주입하는 투입수단(30);
    상기 밀폐공간부(10A) 내부와 연결하여 냄새를 맡을 수 있도록 하는 흡입튜브 및 흡입용마스크(50);
    상기 밀폐공간부(10A)내의 오염정도를 시간별로 체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타이머(61) 및 밀폐공간부(10A)내의 온?습도를 체크하기 위한 온?습도컨트롤러(6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필터 관능시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공간부(10A)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투입수단(30)으로부터 주입되는 용액을 수용하는 용액수용부(40)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필터 관능시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공간부(10A)를 구성하는 제1밀폐공간부(10) 및 제2밀폐공간부(10')는 박스형상의 본체(11)에 상부측을 개폐 가능하도록 개폐커버(12)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커버(12)를 본체(11)의 상부측에서 밀폐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잠금수단(14)이 형성되며, 본체(11) 사면에 흡입튜브(51)를 결합하는 연결구(13)가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필터 관능시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20)은 제1밀폐공간부(10)의 본체(11) 측면 내측에 필터수납케이스(21)가 밀착 설치되고, 상기 필터수납케이스(21) 하부측에 흡입팬(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탈취필터 관능시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수단(30)은 제1밀폐공간부(10) 및 제2밀폐공간부(10')의 각각 설치되며, 악취물질을 수용하는 악취물질용 제1뷰렛(31)과 지시약을 수용하는 지시약용 제2뷰렛(32)으로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제1,2뷰렛(31,32)을 연장 연결하여 밀폐공간부(10A)를 관통하여 용액수용부에 용액을 공급하는 투입관(33,3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필터 관능시험장치.

KR1020110016262A 2011-02-24 2011-02-24 탈취필터 관능시험장치 KR101218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262A KR101218109B1 (ko) 2011-02-24 2011-02-24 탈취필터 관능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262A KR101218109B1 (ko) 2011-02-24 2011-02-24 탈취필터 관능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972A true KR20120096972A (ko) 2012-09-03
KR101218109B1 KR101218109B1 (ko) 2013-01-03

Family

ID=47108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6262A KR101218109B1 (ko) 2011-02-24 2011-02-24 탈취필터 관능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1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01152A (zh) * 2016-10-27 2017-03-15 合肥福瞳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口罩过滤效率的检测评价方法
KR20170003605U (ko) * 2016-04-08 2017-10-18 전상수 자동차 공기필터 성능 체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3850A (ja) * 1993-04-30 1994-08-05 Wakabayashi Shoten:Kk におい濃度を測定する方法
KR20010064039A (ko) * 1999-12-24 2001-07-09 윤종용 케미컬 필터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케미컬 필터평가 방법
JP4114862B2 (ja) * 2003-01-29 2008-07-09 五洋建設株式会社 消臭判定方法及び消臭判定装置
KR101244070B1 (ko) * 2010-07-09 2013-03-18 (주)엘지하우시스 차량용 필터의 성능 비교체험 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605U (ko) * 2016-04-08 2017-10-18 전상수 자동차 공기필터 성능 체험장치
CN106501152A (zh) * 2016-10-27 2017-03-15 合肥福瞳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口罩过滤效率的检测评价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8109B1 (ko) 201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68633B1 (en) Sterilization container capable of providing an indication regarding whether or not surgical instruments sterilized in the container were properly sterilized
EP3156141B1 (en) System, computer program implemented product and method for operating a ductless fume hood
CA2807894A1 (en) Detection system assembly, dryer cartridge, and regenerator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AU2002334055B2 (en) Assay device for evaluating entrainable substances
KR101258547B1 (ko) 악취 관능 평가용 공기 희석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070044808A (ko) 화학약품 및 아산화질소 검출장치
KR101218109B1 (ko) 탈취필터 관능시험장치
US20090019919A1 (en) Apparatus for taking odor samples
US9446159B2 (en) Flow cytometer biosafety hood and systems including the same
CN204536344U (zh) 全自动尿液检验机
KR102061138B1 (ko) 냄새 강도 평가용 후각 강도 인지장치
US20230347335A1 (en) Safe specimen transportation isolation container
US20190242863A1 (en) Release test system for simulating the change in state of medical active ingredients
KR20140142541A (ko) 수분투과성 평가기
CN209535773U (zh) 一种检测试剂盒和检测仪器
US8313699B2 (en) Sterilization testing device
KR200456796Y1 (ko) 유기용제 증기 확산 챔버 및 이를 구비하는 유기용제 농도 측정 장치
CN207641979U (zh) 一种新型可除湿的通风橱
KR102242729B1 (ko) 화학사고 피해 진단을 위한 챔버
JP6807051B2 (ja) 微生物夾雑物検出装置および微生物夾雑物検出方法
US20150176047A1 (en) Cushioning device inspection system, a sampling device for inspection of a cushioning device and a cushioning device inspection method
KR102415081B1 (ko) 유해가스 노출 피해정도 검사를 위한 타액처리 키트
CN214910965U (zh) 一种医用灭菌机
CN204758322U (zh) 一种标本盒
CN207992222U (zh) 多功能体外试剂诊断试剂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