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6751A -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6751A
KR20120096751A KR1020110016035A KR20110016035A KR20120096751A KR 20120096751 A KR20120096751 A KR 20120096751A KR 1020110016035 A KR1020110016035 A KR 1020110016035A KR 20110016035 A KR20110016035 A KR 20110016035A KR 20120096751 A KR20120096751 A KR 20120096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
management
analysis
user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6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도
Original Assignee
강영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영도 filed Critical 강영도
Priority to KR1020110016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6751A/ko
Publication of KR20120096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67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4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 H04L41/042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comprising distributed management centres cooperatively managing the networ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은, 헬스센터 이용자의 신체 및 건강 상태에 대한 자료를 기초로 필요한 신체 및 건강 관리를 실시하고 그에 따른 변화된 상태를 파악하고 분석해 가면서 분석한 자료를 통해 새롭게 신체 및 건강 관리 과정을 반복 실행하는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을 제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로 상호연결되는 것이 가능한 다수의 헬스센터로부터 이용자의 신체 및 건강에 대한 관리항목 관련 데이타를 적어도 하나 이상 입력받아 분석하고, 상기 분석을 통하여 상기 이용자에 대한 관리항목 분석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이용자의 헬스상태를 전체적으로 관리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용자(user)가 실시한 신체 및 건강 관리 실행결과 등을 세세하게 데이터베이스하고 이를 토대로 진단 및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신체 및 건강 관리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다양한 프로그램과의 연계구성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전국적인 네트워크 망으로 연계하는 프랜차이즈화를 통해 각종 정보를 원격으로 제공하고 상호 공유함으로써 자체적인 관리의 효율화를 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Analysis management system of health center for growth of height and management of obesity}
본 발명은 신체 및 건강 관리에 관한 것으로, 헬스센터 이용자의 신체 및 건강 상태에 대한 자료를 기초로 필요한 신체 및 건강 관리를 실시하고 그에 따른 변화된 상태를 파악하고 분석해 가면서 분석한 자료를 통해 새롭게 실시하는 신체 및 건강 관리 과정을 반복 실행함으로써, 키성장이나 비만관리 등 필요한 항목을 중점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 들어 과학기술의 발달과 식품의 발전, 교통과 통신의 발달 및 지역간, 국가간의 교역증진에 의하여 식생활이 많이 변화하고 있다. 또한 도시화, 핵가족화 등 현대 사회의 가정은 핵가족화 및 홀로세대가 많아져 전통적인 조리법이나 식사법을 전해주는 시기에서 점차 독립해 나가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여 외식시설, 가공식품의 증가 등으로 식생활에 큰 변화가 생겼으며, 이와 같은 경향에 상응하여 불규칙한 식사, 결식, 과식 등도 늘고 있다.
이로인해 뉴스나 인터넷을 통해 자주 접하듯 전체적으로 비만이 증가하고 있다. 현대인들의 현대병 혹은 성인병은 대부분 비만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비만은 많이 먹어서 생긴 것으로 결국 게을러서 생기는 병이라 볼 수 있다. 농경사회에서는 비만 걱정을 할 필요가 없었다.
이러한 경향은 성인뿐만 아니라 아동들에게도 영향을 주어 아동의 비만율이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체격은 커지는 반면 체력은 약해지고 있다는 보도를 심심치 않게 접하는 상태가 되었다.
특히 한국의 경우 청소년의 학습시간이 일일 7시간 50분으로 일본의 5시간 21분, 미국의 5시간 4분보다 약 2~3시간 많은 반면, 수면시간은 7시간 30분으로 한시간 이상 적게 보고되고 있으니, 방과 후 학원 수강이 이어지는 아이들이 대부분인 것을 생각하면 신체활동을 할 시간이 부족하고 체력이 낮아지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운동이나 신체활동은 체중감소 및 체력향상뿐 아니라 기분과 인지기능을 포함한 정신건강을 향상시킨다. 또한 아이들 때부터의 활발한 신체활동은 혈압과 지질개선으로 만성질환예방을 도와 건강한 성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해 준다.
하지만 운동이나 신체활동의 필요성이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인 대책이 시행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어릴 때 신체활동 습관이 평생 따라가며, 성인이 되어 시작하기 어렵다는 점 때문에 어릴 때부터 생활의 일부로 신체활동 습관을 기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과도한 성적지상주의로 인한 수동적이고 획일적인 통제공간이 아닌 인성 함양 및 즐거운 학교생활을 제고하고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신체 및 건강 관리에 대한 활성화 대책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아울러 아동 및 학생들의 경우 학업 부담과 컴퓨터 게임 등으로 인한 운동부족 현상으로 체력 저하 및 비만이 심화되는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공부를 열심히 하는 것 또한 간과할 수 없는 상황에서 효과적인 신체 및 건강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이나 대책이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네트워크로 상호연결되는 것이 가능한 다수의 헬스센터로부터 이용자의 신체 및 건강에 대한 관리항목 관련 데이타를 적어도 하나 이상 입력받아 분석하고, 상기 분석을 통하여 상기 이용자에 대한 관리항목 분석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이용자의 헬스상태를 전체적으로 관리하는,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은, 다수의 하위노드의 단말과 연동되면서 상기 이용자의 신체 및 건강에 대한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에서 분석처리한 정보를 외부로 제공하는 웹서버부와; 상기 웹서버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이용자 관련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서버부와; 상기 웹서버부를 통해 입력되고 상기 분석서버부를 통해 분석처리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하는 데이터베이스서버부와; 상기 웹서버부를 통한 외부와 정보 상호전달 및 상기 분석서버부를 통한 정보의 분석처리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부를 통한 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과정을 관리 진행하고 제어하는 제어서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이용자의 헬스상태는 키성장 및 비만관리를 포함하는 상태이고; 상기 다수의 헬스센터에는 상기 이용자의 헬스상태를 전체적으로 관리하는 센터노드서버단말이 설치되며; 상기 센터노드서버단말은 다수의 헬스센터간이 연결된 네트워크 상태에서의 운영 및 상기 다수의 헬스센터 각각에서 자체(local)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에서의 각 구성부 및 각각에 대한 상세한 기술내용을 제공하며, 이러한 각 구성 및 기술내용은 각각 개별적이거나 서로 복합적으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을 통한 주요 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이용자(user)가 실시한 신체 및 건강 관리 실행결과 등을 세세하게 데이터베이스하고 이를 토대로 진단 및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신체 및 건강 관리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키성장이나 비만관리 등 이용자(user)가 필요로 하는 신체 및 건강 관리를 집중적이고 체계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다양한 전문적인 데이터베이스 데이터의 활용으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진단과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신체 및 건강 관리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신체 및 건강 관리를 전국적인 네트워크 망으로 연계하는 프랜차이즈화를 통해 각종 정보를 원격으로 제공하고 상호 공유함으로써 자체적인 관리의 효율화를 꾀할 수 있어 관련 산업계에서 각광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의 전체적인 네트워크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이 적용된 헬스센터의 예시 이미지.
도 3은 도 1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도 1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을 통한 신체 및 건강 관리시 이용하는 분석진단표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을 통한 신체 및 건강 관리의 진행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구성 도면.
도 6은 도 1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에 연계하여 관리에 이용하게 되는 헬스기구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의 전체적인 네트워크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이 적용된 헬스센터의 예시 이미지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10)은, 네트워크로 상호연결되는 것이 가능한 다수의 헬스센터로부터 이용자의 신체 및 건강에 대한 관리항목 관련 데이타를 적어도 하나 이상 입력받아 분석하고, 상기 분석을 통하여 상기 이용자에 대한 관리항목 분석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이용자의 헬스상태를 전체적으로 관리하는 형태의 헬스센터 관련 분석관리시스템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본 실시예의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10)은, 중앙에 위치하는 통합서버(10') 자체일 뿐만아니라, 이 통합서버(10')에 연결됨과 동시에 각각의 헬스센터(Cnt)에 위치하여 연결되는 센터노드서버단말(10") 이기도 하다.
즉 본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10)을 통한 신체 및 건강 관리는, 하나의 헬스센터(Cnt) 자체, 통상적으로는 여러 지역에 위치하되 인터넷 등 온라인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수의 헬스센터(Cnt) 들에서 진행되는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서버(SERVER)인 중앙의 통합서버(10') 하나로도 진행될 수 있지만, 다수의 센터노드서버단말(10")과 서로 연계된 상태에서 진행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통합서버(10')와 다수의 센터노드서버단말(1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하거나 또는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등 복합적으로 연결된다. 이렇게 '통합서버'와 '센터노드서버단말' 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있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 이러한 통합서버(10')와 센터노드서버단말(10")은 서버(SERVER)이며, 여기에 다수의 클라이언트단말(20a, 20b, 20c, 20d, 20e, ...)이 인터넷 네트워크로 연결되거나 혹은 지역적(local)으로 연결되어 운영된다.
여기서 클라이언트단말(Clinet)은 서버클라이언트(C/S)구조에서 서버(SERVER)에 대응되는 개념으로, 다수의 헬스센터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헬스센터에는 서버인 센터노드서버단말(10")이 위치하지만 단순히 클라이언트단말이 위치되어 운영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용자(user)들은 헬스센터에서 뿐만아니라 집에서도 인터넷 등을 통해 본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10)에 편리하게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며, 필요한 데이터를 확인하고 필요한 내용을 입력 등재할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서는 헬스센터와 본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10)을 이용하여 신체 및 건강 관리를 수행하는 사람(고객)들을 '이용자(user)'로 칭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조금 세세한 부분이긴 하지만 운동과 신체활동의 차이를 잠깐 살펴보면, 신체활동은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키는 골격근에 의한 모든 신체적 움직임을 말하며, 운동은 반복적이고 구조적으로 잘 짜인, 체력의 향상과 유지를 목적으로 하는 움직임을 말한다. 운동은 신체활동에 포함되는 것으로, 아이들의 경우 신체활동은 체육관에 가서 운동을 하거나 스포츠에 참여하는 것뿐 아니라 여가형태의 자전거타기, 술래잡기 등 놀이까지도 모두 신체활동에 포함이 된다고 볼 수 있다.
뿐만아니라, 본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10)을 이용한 신체 및 건강관리는 다양한 운동 및 신체활동으로 새로움을 강조함으로써 기초체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스트레칭이나 레크리에이션으로서도 아주 훌륭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 투입 및 다양한 운동의 변화로 지루함이나 권태기를 없앨수 있을 뿐만아니라, 데이터베이스를 통한 인바디 체성분의 진단분석을 통해 신체 및 몸매의 변화를 실감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중간 중간 전문 트레이너나 한의사 등의 전문가와의 상담 및 트레이닝이 복합되는 경우 그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와 같이 각 헬스센터에는 여러가지의 헬스기구들이 놓여 있으며, 이러한 헬스기구들은 필요에 따라 헬스센터의 특성에 따라 준비되고 놓여지고 정리된다. 즉 각각의 헬스센터는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여러 부류의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는 헬스센터가 있을 수도 있지만, 특정 계층 예컨대 어린이들이나 여성들만이 이용자(user)가 되는 전용형태의 헬스센터가 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10)이 적용되는 각각의 헬스센터에는, 다수의 이용자(user)들 및 본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10)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이용자(user)들에게 이용자카드(Card)를 소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이용자카드(Card)를 이용하여 각각의 헬스센터 및 본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10)이 관리되고 운영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있어 이러한 이용자카드(Card)에는 반도체집적회로(IC)나 RF회로를 삽입하여 자동으로 인식시키도록 구성하는 것 등을 통해 편리하게 이용하여 관리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도 1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을 통한 신체 및 건강 관리시 이용하는 분석진단표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1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을 통한 신체 및 건강 관리의 진행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구성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server)이기도 한 본 실시예의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10)은, 다수의 하위노드의 단말과 연동되면서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에서 분석처리한 정보를 외부로 제공하는 웹서버부(110)와; 상기 웹서버부(110)를 통해 입력된 상기 이용자 관련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서버부(120)와; 상기 웹서버부(110)를 통해 입력되고 상기 분석서버부(120)를 통해 분석처리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하는 데이터베이스서버부(130)와; 상기 웹서버부(110)를 통한 외부와 정보 수수 및 상기 분석서버부(120)를 통한 정보의 분석처리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부(130)를 통한 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과정을 관리 진행하고 제어하는 제어서버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10)을 적용하여 신체 및 건강관리를 수행하기 위해, 입회시 이용자(user, 고객)는 기본적으로 성명, 생년월일, 주소, 연락처, 학교 등 기본적인 사항을 기재한 입회원서를 작성하게 되고, 이러한 사항들은 본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10)에 입력 등재되어 이용자(user)의 신체 및 건광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한 경우 이용자(user)의 신체 및 건강 관리와 관련된 전반적인 사항, 예컨대 이용자(user)의 상태분석에 필요한 신장과 체중 등이 기록되고 이를 바탕으로 체성분석과 비만진단은 물론, 체지방량이나 근육량 등을 수동 또는 자동적으로 측정하게 되며, 이러한 데이터는 본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10)에 입력 등재되어 이용자(user)의 신체 및 건광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된다.
물론 이러한 진행과 달리 인터넷 등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가입을 하고 가입승인을 얻은 후, 필요한 개인정보 및 데이터들을 입력시킴에 따라 본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10)에서 이를 입력받아 진단분석 및 데이터베이스되며, 분석 처리된 체력 및 건강 관리에 대한 데이터를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는 별도로 각 헬스센타에서는 이용자(user)에게 이용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이나 주의사항 등을 교육시키고, 보다 바르고 효율적으로 헬스센타를 이용하고 신체 및 건강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주지시킨다.
아울러 도 4와 같이, 분석진단표는 해당 이용자(user)의 성별, 신장 및 연령에 따라 체중, 골격근량, 체비방량 등에 대한 기본적인 표준범위와, 실체 이용자(user)의 상태가 어떠한 지를 나타내 준다. 또한 체중, 골격근량, 체비방량 등의 데이터까지 포함하여 분석 진단한 체수분, 제지방량, 단백질, 무기질 등에 대한 분석결과도 보여준다.
아울러 남녀노소와 상관없이 현대를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에게 문제가 되고 있는 비만과 관련하여 비만진단도 실시되며, 비만가 관련된 항목으로, 카우프지수나 체적지수라고도 하는 체적지수 BMI(Body Mass Index), 체지방률, 복무지방률, 기초대사량 등을 진단분석하여 나타내 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이용자(user)의 근육과 지방에 대해 근육조절과 지방조절에 대한 값을 표시하여 어떻게 조절하도록 해야 하는 지를 제시한다.
또한 도 4의 우측으로도 나타낸 바와 같이, 신체 각 부위별 근육발달 상황과 부위별 체지방을 표시하여 체력 및 건강관리시 어느 부위를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지를 나타내 준다.
아울러 이렇게 분석한 데이터을 근거로 분석진단표의 하단에 표시한 바와 같이, 해당 이용자(user)에게 필요한 운동종목과 운동량을 표시하여 해당 이용자(user)가 1주일 혹은 1일 단위로 해야 할 운동목표량을 제시해 준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10)을 가장 잘 적용시킬 수 있는 하나의 예로, 여러부류의 이용자(user) 중 초등학생 어린이 이용자(user)가 본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10)이 적용된 헬스센타에서 신체 및 건강 상태를 전체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 헬스센타를 이용하는 이용자(user)에게는 이용자카드(Card)가 주어진다.
따라서 이용자(user)인 어린이가 헬스센타에 입장하면서 이용자카드(Card)를 입실체크기(15)에 인식시킨다. 그렇게 되면 인식된 정보는 헬스센타에 설치된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10)으로 전달됨으로써 이용자의 출석이 체크된다. 아울러 출석 상황은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10)의 설정에 따라 부모나 보호자 등에게 알려주도록 설정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렇게 되면 보호자의 입장에서는 어린 학생들의 안전한 귀가를 확인할 수 있는 믿고 안심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덤으로 얻게 된다.
나이나 관리 상황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초기에는 일반적으로 척추교정 및 성장효과 있는 톤플러스를 시작으로, 런닝머신에서의 유산소런닝을 통해 스텝운동 및 걷기, 상체 근육운동 등을 실시하며, 벨트머신이나 복부씻업을 통해 다양한 흥미를 유발하면서도 차별적인 관리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 어린이 이용자(user)에게 최초 입실시 초기 실시해 주어야 할 준비운동 및 초기수행과정이 초기 입회할때나, 또는 본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10)에 생성된 이용자별 계정, 또는 본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10)과 연계되어 운영되는 온라인 사이트를 통해 공지되고 전달되며, 이러한 사항은 본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10)에서 자동적으로 분석 출력됨으로써 전달 또는 제시된다.
예를 들어 초기 준비운동사항으로 맨손체조, 운동볼 복부 등배운동, 팔굽혀펴기, 윗몸일으키기, 앉았다일어서기 등을 어떠한 과정으로 몇회 몇분 수행하는 지 주지시켜 진행시키게 된다.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10)은 웹서버부(110)를 통해 네트워크에 연결된 외부의 클라이언트단말(20a, 20b, 20c, 20d, 20e, ...)이나 각 헬스센터의 센터노드서버단말(10")로부터 입력 등재시키는 데이터를 받아들인다. 그리고 이러한 각종 데이터는 분석서버부(120)에서 분석되고, 데이터베이스서버부(130)에 데이터베이스되며, 분석된 데이터 역시 데이터베이스된다. 또한 제어서버부(140)는 이러한 과정의 전체적인 작동상황을 제어하고 조종한다.
아울러 이러한 전체의 과정들은 이용자(user)인 해당 어린이 이용자(user)의 신체상태나 해당 헬스센타를 통해 운동한 상태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며, 분석되는 데이터 역시 다르게 된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초기 준비운동사항이 잘 수행되었거나 혹은 초기 준비운동과 동시에 본격적인 신체 및 건강 관리 프로그램이 수행되어야 할 경우에는, 각각의 경우에 따라 각각의 상황에 다르게 진행되게 된다. 이것은 앞서와 같이 분석되고 진단되는 것이 다르기 때문이다.
아울러 본격적인 핵심신체 및 건강 관리 프로그램 역시 해당 이용자(user)인 어린이의 상황에 따라 진행되는 것 역시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즉 해당 어린이 이용자(user)의 신장이 해당 학년이나 연령에서 평균치보다 작은 경우,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10)에 자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되어 있는 값과 비교연산이 수행되며, 해당 어린이 이용자(user)의 키를 성장시킬 수 있는 핵심 신체 및 건강 관리 프로그램으로서 키성장 프로그램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을 보다 우선적으로 진단 분석하게 되고,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본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10)으로부터 지시되고 전달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어린이 이용자(user)의 키성장과 관련해서는 여러 가지 코스나 프로그램 중, 후술할 스트레칭 헬스기구의 하나인 톨플러스나 특수형태의 볼기구를 이용하는 바디볼스터, 둥근 형태의 큰 볼을 이용하는 짐볼 등이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이러한 것은 본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10)에서 분석하기 하지만, 예컨대 키가 작다는 것은 굳이 분석하고 진단하지 않더라도 어린이 이용자(user)나 어린이 이용자(user)의 후견인(부모 등)이 보다 잘 인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보다 먼저 요청하게 되고 그러한 요청에 따라 수행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따라서 키가 작은 경우 해당 어린이 이용자(user)를 위한 핵심관리 프로그램으로서 키성장프로그램은 키를 성장시킬 수 있는 관리운동코스로 수행과정이 계획되며, 이러한 모든 것은 본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10)을 통해 수행된다. 그리고, 해당 어린이 이용자(user)의 수행상태와 수행결과는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10)의 웹서버부(110)를 통해 입력되고 분석서버부(120)에서 분석됨과 동시에 데이터베이스서버부(130)에 데이터베이스되며, 제어서버부(140)의 제어를 통해 출력장치(17)에서 출력되고 클라이언트단말(20a, 20b, 20c, 20d, 20e, ...)들을 통해 해당 어린이 이용자(user) 측으로, 다음에 수행해야 할 것들에 대한 내용으로 전달되거나 제시된다.
도 6은 도 1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에 연계하여 관리에 이용하게 되는 헬스기구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것은 본 실시예에 있어 키성장에 도움을 주기 위해 물리적으로 이완시켜 스트레칭하는 헬스기구 톨플러스로, 이러한 각각의 헬스기구(16)는 본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10)과 연계된 상태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앞서의 설명에서 데이터가 입력 등재되듯 해당 어린이 이용자(user)의 수행내용은 어린이 이용자(user) 본인이나 해당 어린이 이용자(user)를 관리하는 매니저(manager)를 통해 입력될 수도 있지만, 본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10)에 헬스기구(16)가 네트워크로 연결 구성되고 해당 헬스기구(16)에서 수행된 결과가 자동적으로 입력되어 진단 분석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헬스기구(16)는 하단부(161)에 이용자(user)의 허리아래 하체의 발목까지를 고정하고 상단부(162)에 이용자(user)의 허리 위 상체를 눕힌 다음, 자동 또는 수동으로 스트레칭시켜 작동되는 가운데, 이용자(user)의 신체가 이완되도록 함으로써 눌려있던 골격을 편한 상태로 유지하여 키성장에 도움을 줌으로써, 키성장의 효과를 높이도록 하게 된다.
또한 앞서 간단히 언급한 바와 같이 전문 트레이너나 한의사 등의 처방 및 진단 정보도 데이터베이스하여 진단분석에 이용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어린 아동의 경우 출석 여부를 보호자에게 공지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다이어드, 요가 등과 병합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등 신체 및 건강 관리의 진행코스도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 본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10)은 성인 어른의 비만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설치 구성시킬 수도 있다.
아울러 이용자(user)에 부여되는 이용자카드(Card)에 각종 신체 및 건강관리 관련된 정보를 입력시키는 것을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고, 다양한 헬스기구나 보조 설비 장치를 설치하고 구성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특정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다양한 실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
10' : 통합서버 10" : 센터노드서버단말
110 : 웹서버부 120 : 분석서버부
130 : 데이터베이스서버부 140 : 제어서버부
15 : 입실체크기
16a, 16b, 16c, ... : 헬스기구
17 : 출력장치
20a, 20b, 20c, 20d, 20e, ... : 클라이언트단말

Claims (5)

  1. 네트워크로 상호연결되는 것이 가능한 다수의 헬스센터로부터 이용자의 신체 및 건강에 대한 관리항목 관련 데이타를 적어도 하나 이상 입력받아 분석하고, 상기 분석을 통하여 상기 이용자에 대한 관리항목 분석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이용자의 헬스상태를 전체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다수의 하위노드의 단말과 연동되면서 상기 이용자의 신체 및 건강에 대한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에서 분석처리한 정보를 외부로 제공하는 웹서버부와;
    상기 웹서버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이용자 관련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서버부와;
    상기 웹서버부를 통해 입력되고 상기 분석서버부를 통해 분석처리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하는 데이터베이스서버부와;
    상기 웹서버부를 통한 외부와 정보 상호전달 및 상기 분석서버부를 통한 정보의 분석처리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부를 통한 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과정을 관리 진행하고 제어하는 제어서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의 헬스상태는
    키성장 및 비만관리를 포함하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헬스센터에는
    상기 이용자의 헬스상태를 전체적으로 관리하는 센터노드서버단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센터노드서버단말은
    다수의 헬스센터간이 연결된 네트워크 상태에서의 운영 및 상기 다수의 헬스센터 각각에서 자체(local)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모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
KR1020110016035A 2011-02-23 2011-02-23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 KR201200967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035A KR20120096751A (ko) 2011-02-23 2011-02-23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035A KR20120096751A (ko) 2011-02-23 2011-02-23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751A true KR20120096751A (ko) 2012-08-31

Family

ID=46886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6035A KR20120096751A (ko) 2011-02-23 2011-02-23 키성장 비만관리 헬스센터 분석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67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2542B1 (ko) 2019-06-27 2020-12-17 이백희 피트니스 센터의 운영자 및 이용자를 위한 통합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2542B1 (ko) 2019-06-27 2020-12-17 이백희 피트니스 센터의 운영자 및 이용자를 위한 통합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lron et al. Pilates exercise training vs. physical therapy for improving walking and balance in people with multiple sclerosi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Willoughby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treadmill training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Selmi et al. Small-sided games are more enjoyable than high-intensity interval training of similar exercise intensity in soccer
Carling et al. Performance assessment for field sports
Bondár et al.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or sport‐based interventions on psychological factors in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 systematic review
Warburton et al. The effects of changes in musculoskeletal fitness on health
Batrakoulis et al. High-intensity interval neuromuscular training promotes exercise behavioral regulation, adherence and weight loss in inactive obese women
Teri et al. A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of the Seattle protocol for activity in older adults
Farhat et al. The effects of 8 weeks of motor skill training on cardiorespiratory fitness and endurance performance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Neumann et al. The effect of different attentional strategies on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states during running
Cugusi et al. Exergaming for Quality of Life in Persons Living with Chronic Diseas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elmi et al. Influence of intense training cycle and psychometric status on technical and physiological aspects performed during the small-sided games in soccer players
Byrne et al. The exergame as a tool for mental health treatment
Claes et al. PATHway I: design and rationale for the investigation of the feasibility, clinical effectiveness and cost-effectiveness of a technology-enabled cardiac rehabilitation platform
Ericson et al. Resistance training is linked to heightened positive motivational state and lower negative affect among healthy women aged 65–70
Sackaloo et al. Degree of preference and its influence on motor control when reaching for most preferred, neutrally preferred, and least preferred candy
Duruturk et al. A comparison of calisthenic and cycle exercise training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ačak et al. The effects of daily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 on physical fitness in preschool children
Leung et al. The effects of light volleyball intervention programme in improving selected physical and psychological attributes of older adults in Hong Kong
Mileva et al. Sport and exercise science and health
Bibro et al. The influence of climbing activities on physical fitness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brusnikova et al. A resistance training intervention fo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the community: A pilot randomized clinical trial
Mace et al. Self-reported benefits and adverse outcomes of hot yoga participation
Simons et al. Virtual Reality–Augmented Physiotherapy for Chronic Pain in Youth: Protocol fo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Enhanced With a Single-Case Experimental Design
Obrusnikova et al. Effects of a community-based familiarization intervention on independent performance of resistance-training exercise tasks by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