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6295A - Image display apparatus based on recognizing selected location cordinates - Google Patents

Image display apparatus based on recognizing selected location cordinat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6295A
KR20120096295A KR1020110015621A KR20110015621A KR20120096295A KR 20120096295 A KR20120096295 A KR 20120096295A KR 1020110015621 A KR1020110015621 A KR 1020110015621A KR 20110015621 A KR20110015621 A KR 20110015621A KR 20120096295 A KR20120096295 A KR 20120096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information
unit
information
smart device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6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15515B1 (en
Inventor
마득운
김시복
Original Assignee
마득운
김시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득운, 김시복 filed Critical 마득운
Priority to KR1020110015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5515B1/en
Publication of KR20120096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62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5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55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PURPOSE: A position recognition based image display device is provided to output virt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osition coordinate of a point which is selected from a smart device. CONSTITUTION: A location information supplying unit supplies location information of a point selected from a smart device. A content storing unit(25) stores virt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A content selecting unit(27) selects the virtual information coping with the virtual information. An outputting unit(31) outputs the virt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location of a selected point. A controlling unit(33) controls input/output of the virtual information which is selected from the content selecting unit.

Description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 {Image display apparatus based on recognizing selected location cordinates}Image display apparatus based on recognizing selected location cordinates}

본 발명은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를 서버로부터 제공받고, 영상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특정 위치좌표를 선택하는 경우 특정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base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receive virt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osition coordinate from a server and to select a specific position coordinate using the image display apparatu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 recognition based video display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information.

일반적으로,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Based Services)는 휴대폰이나 PDA, PC 등으로 해당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고, 측정한 위치와 관련된 경로안내, POI (Point Of Interest) 정보, 쇼핑 정보, 광고 등의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는 서비스를 일컫는다. 이러한, 위치 기반 서비스는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을 이용하는 방식, GPS 위성신호를 이용하는 방식, 무선랜이나 블루투스, WLAN, WPAN 또는 AP(Access Point) 등을 이용함으로써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In general, location-based services (LBS) measures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with a mobile phone, PDA, PC, etc., and provides route guidance, point of interest (POI) information, shopping information, and advertisements related to the measured location. Refers to a service that receives information services, such as. The location-based service provides location information by using a method of using a base st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method of using a GPS satellite signal, a wireless LAN, Bluetooth, WLAN, WPAN, or AP.

이러한 위치정보 제공 기술의 하나로 연구되고 있는 것이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이다. 증강현실 기술은 가상현실 기술에서 파생된 기술로서,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실세계에 3차원 가상물체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을 의미한다. 실세계와의 상호작용을 배제하고 오직 미리 구축해놓은 가상공간 내에서의 상호작용을 처리하는 가상현실 기술과는 달리, 증강현실 기술은 실시간 처리를 바탕으로 미리 구축된 실세계 정보가 특수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제로 관찰되는 실세계의 영상에 겹쳐서 표현되고, 실제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관찰자가 실세계 관찰지역에 대한 신속하고 편리한 상황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One such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technology is being researched in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Th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s a technology derived from the virtual reality technology, and refers to a technology of superimposing a three-dimensional virtual object in the real world that the user sees. Unlike virtual reality technology, which excludes interaction with the real world and handles interactions only in the pre-established virtual spac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ctually monitors real-time information pre-built based on real-time processing through a special interface. It is a technology that allows the observer to make a quick and convenient situation judgment on the real world observation area by superimposing the real world image and providing interaction with the real world.

이러한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일례가 하기 인용문헌 1 및 인용문헌 2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인용문헌 1(한국등록특허 제0651508호 증강현실을 이용한 지역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지역 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GPS 수신기와 자이로 센서를 구비하여 카메라의 위치와 자세를 찾아 촬영 위치 및 자세 정보를 기반으로 위치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서버에서는 위치 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실사영상에 대한 지역 정보를 인출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 경우, 상기 서버는 전송받은 위치 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된 결과에 따라 그 실사 영상에 대한 지역 정보를 지역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로드한다.Examples using such augmented reality techniques are described in Citations 1 and 2 below. The reference 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651508, a method for providing local inform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and a local information service system therefor) is equipped with a GPS receiver and a gyro sensor to find a location and posture of a camera based on photographing location and posture information. Generates location information data and sends it to the server. The server analyzes the location information data, retrieves local information on the live-action image, and transmits the local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is case, the server analyzes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data and loads local information on the live image from the local information database according to the analyzed result.

한편, 하기 인용문헌 2(한국공개특허 제2009-0000186호 증강현실을 이용한 관심 지점 표시 장치 및 방법)는 관심지점 표시 장치의 현재 위치와 자세를 측정하고, 지도정보를 바탕으로 소정 범위의 검색 영역을 선정한다. 상기 선정된 검색 영역에서 카메라의 시야각 내에 존재하는 소정 개수의 관심지점을 선정하고, 해당 관심지점에 상응하는 추가정보를 추출한 다음, 관심지점과 추가정보를 합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following reference 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9-0000186 a point of interest display device and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measures the current position and posture of the point of interest display device, and based on the map information search range of a predetermined range Select. In the selected search region, a predetermined number of points of interest existing in the viewing angle of the camera are selected, additi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ints of interest is extracted, and the points of interest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are synthesized and provided to the user.

그러나, 상기 인용문헌들은 실사 영상에 서버로부터 전송된 지역 정보를 중첩하여 출력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실사 영상에 상기 실사 영상과 대응하는 가상 정보를 중첩하여 출력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인용문헌들은 실사 영상에 중첩된 가상 정보를 현장에서 직접 수정하거나 새로운 가상 정보를 생성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인용문헌들은 위치 및 방향을 변경하는 것과 동시에 가상 정보를 변경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현장감을 얻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갖는다.However, since the cited documents relate to a technique of overlapping and outputting reg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server to a live image, the cited document has a problem in that virtual images corresponding to the live image may not be superimposed and output. In addition, the cited documents have a problem in that virtual information superimposed on the live-action image cannot be directly modified in the field or new virtual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In addition, the cited documents also have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obtain a sense of reality because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virtual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as changing the position and orientation.

1. 한국등록특허 제0651508호 (2006.11.29 등록)1. Korea Registered Patent No. 0651508 (registered November 29, 2006) 2. 한국공개특허 제2009-0000186호 (2009.01.07 공개)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9-0000186 (published Jan. 7, 2009)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위치 및 상기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를 위치좌표에 중첩하여 출력할 수 있는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 location recognition-based image display device that can output the location of the selected point from the smart device and the virt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coordinates superimposed on the location coordinate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사 영상에 중첩된 가상 정보를 현장에서 직접 수정하거나 새로운 가상 정보를 생성하여 실사 영상에 중첩할 수 있는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ocation recognition-based image display apparatus that can directly modify the virtual information superimposed on the live image or to generate a new virtual information and superimpose it on the live imag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 기기의 위치좌표 및 방향을 변경하더라도 이와 대응하여 가상 정보를 변경함으로써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위치에 중첩함으로써 생생한 현장감을 얻을 수 있는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cation-aware image display device that can obtain a vivid sense of reality by overlapping the position of the selected point from the smart device by changing the virt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ven if the position coordinates and orientation of the smart device is changed will b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는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위치정보 제공부,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를 저장하는 콘텐츠 저장부, 상기 콘텐츠 저장부로부터 저장된 상기 가상 정보 중에서 상기 선택된 지점의 위치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를 선택하는 콘텐츠 선택부,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위치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를 상기 선택된 지점의 위치에 중첩하여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콘텐츠 선택부로부터 선택되는 상기 가상 정보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location recognition based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selected point from a smart device, and a content storage unit storing virt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A content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virt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selected point from the virtual information stored from the content storage unit, and overlapping virt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point selected from the smart device to the location of the selected point;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input and output of the virtual information selected from the content selection unit.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위치정보 제공부는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위치좌표를 제공하는 좌표 인식부,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높이 변화를 감지하는 고도 감지부 및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방향 변화를 감지하는 방향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based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is a coordinate recognition unit for providing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point selected from the smart device, the height change of the point selected from the smart devic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ltitude detecting unit and a directio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direction of the selected point from the smart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출력부는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위치, 높이 및 방향 변화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based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the virt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hange in the position, height and direction of the point selected from the smart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출력부는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가상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가상 정보를 텍스트로 출력하는 텍스트 출력부 및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가상 정보를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based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unit is a voice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virtual information of the point selected from the smart device, the virtual information of the point selected from the smart device text And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n image of the virtual information of the selected point from the smart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sition recognition based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image capturing unit for capturing the image of the selected point from the smart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가상 정보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가상 정보를 제작하기 위한 콘텐츠 제작 수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sition recognition based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tent production correction unit for modifying the virtual information stored in the content storage unit or to produce a new virtual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가상 정보를 상기 선택된 지점의 위치에 대응시키거나 상기 가상 정보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가상 정보를 제작하기 위한 환경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구동하는 앱 선택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ocation recognition-base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es an application that provides an environment for mapping the virtual information to a location of the selected point, modifying the virtual information, or creating new virtual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pp selection drive unit for driving to select.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가상 정보는 음성 정보, 텍스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동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based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rtual inform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voice information, text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and video informa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에 의하면,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위치 및 상기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를 위치좌표에 중첩하여 출력함으로써 현장감 있는 가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osition recognition-based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virt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coordinates from the smart device superimposed on the position coordinates to provide a realistic virtual information Effect is obtain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에 의하면, 실사 영상에 중첩된 가상 정보를 현장에서 직접 수정하거나 새로운 가상 정보를 생성하여 실사 영상에 중첩함으로써 가상 정보와 관련된 디자인의 효율성 및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based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satisfaction of the design related to the virtual information by directly modifying the virtual information superimposed on the live image or by generating a new virtual information and superimposed on the live image It is also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의 위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구면 좌표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위치 및 그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를 중첩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의 이동에 대응하는 위치변화 및 상기 위치변화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를 중첩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방향변화 및 상기 방향변화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가상 정보를 중첩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a position recognition based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B is a spherical coordinate system for explaining a change in position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sult of overlapping a location of a selected point from a smart device and virt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sult of overlapping a position change corresponding to a movement of a smart device and virt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ch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views illustrating a result of superimposing a direction change of a point selected from a smart device and virtual information that changes in response to the direction ch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These and other object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osition recognition based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의 위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구면 좌표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위치 및 그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를 중첩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의 이동에 대응하는 위치변화 및 상기 위치변화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를 중첩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방향변화 및 상기 방향변화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가상 정보를 중첩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view illustrating a concept of a position recognition based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B. Is a spherical coordinate system for explaining the change in position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sult of overlapping a location of a point selected from a smart device and virt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4 is a location corresponding to movement of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3 shows a result of superimposing the change and the virt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change. 5 and 6 are views illustrating a result of superimposing a direction change of a point selected from a smart device and virtual information that changes in response to the direction ch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는 스마트 기기(11)에 구비되고, 상기 스마트 기기(11)의 영상 촬영부(13)를 이용하여 선택된 지점을 촬영한다. 상기 스마트 기기(11)는 인공위성(15)을 이용하여 GPS 모듈로부터 선택된 지점(16)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통신망(17)을 통해 서버(19)와 유/무선으로 통신함으로써 선택된 지점(16)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21)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가상 정보(21)를 선택된 지점(16)과 중첩하여 출력한다.Referring to FIG. 1, a location recognition based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smart device 11, and photographs a selected point using the image capturing unit 13 of the smart device 11. . The smart device 11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lected point 16 from the GPS module using the satellite 15 and communicates with the server 19 vi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17. Receive the virtual information 21 corresponding to), and outputs the received virtual information 21 overlapping with the selected point (16).

상기 스마트 기기(11)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스마트폰, 테블릿 PC,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헬드 PC(Hand-Held PC), CDMA-2000 폰, WCDMA 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SP(PlayStation Portable) 및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기기(11)는 영상 촬영부(13)를 구비하고, GPS 시스템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통신망(17)을 통해 서버(19)와 유/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모든 전자기기를 포함한다.The smart device 11 is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cellular phone, smart phone, tablet PC, 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hone, hand-held PC (Hand-Held PC), CDMA-2000 phone, WCDMA phone, It may be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PlayStation Portable (PSP), a mobile broadband system (MBS) phone, or the like. In addition, the smart device 11 includes an image capturing unit 13,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from a GPS system, and communicates electronically with the server 19 vi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19. It includes a device.

한편, 상기 가상 정보(21)는 캐드(CAD), MAX 및 포토샵 등과 같이 음성, 텍스트, 이미지(image) 또는 동영상 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부터 제공된 이미지이거나 동영상 제작 프로그램으로부터 제공된 동영상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상 정보(21)는 특정 위치에 세워질 건물의 외관에 대한 디자인 또는 건물 내부의 실내 인테리어에 대한 디자인, 각종 소품에 대한 이미지 또는 왕의 행차와 같은 가상의 동영상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virtual information 21 may be an image provided from a program capable of implementing voice, text, image, or video such as CAD, MAX, and Photoshop, or video information provided from a video production program. For example, the virtual information 21 may provide information about a design of an exterior of a building to be built at a specific location or a design of an interior interior of a building, an image of various props, or a virtual video image such as a king's coming. Include.

따라서, 상기 스마트 기기(11)는 영상 촬영부(13)를 통해 특정 위치를 선택하면, 캐드 , MAX 또는 포토샵 등을 통해 미리 제작된 건물의 이미지를 특정 위치에 배치하거나 스마트 기기(11)를 이동시키면서 건물 내부의 인테리어 등을 현장에서 직접 확인 또는 수정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smart device 11 selects a specific location through the image capturing unit 13, the image of a pre-fabricated building is placed at a specific location or moved by the CAD, MAX, or Photoshop.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can be checked or modified directly at the site.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100)는 스마트 기기(11)에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 표시장치(100)는 영상 촬영부(13), 위치정보 제공부(23), 콘텐츠 저장부(25), 콘텐츠 선택부(27), 콘텐츠 제작 수정부(29), 출력부(31) 및 제어부(33)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영상 표시장치(100)는 앱 선택 구동부(35) 및 통신모듈(37)을 구비한다.2A and 2B,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provided in the smart device 11.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includes an image capturing unit 13,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23, a content storage unit 25, a content selection unit 27, a content production correction unit 29, and an output unit 31. And a control unit 33. In additio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includes an app selection driver 35 and a communication module 37.

상기 영상 촬영부(13)는 스마트 기기(11)에 내장되어 영상 표시장치(100)로부터 선택된 지점을 촬영한다. 상기 영상 촬영부(13)로부터 촬영된 영상은 영상 표시장치(100)의 콘텐츠 저장부(25)에 저장된 가상 정보(21)와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The image capturing unit 13 is embedded in the smart device 11 to capture a point selected from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e image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unit 13 may be displayed by overlapping the virtual information 21 stored in the content storage unit 25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상기 위치정보 제공부(23)는 스마트 기기(11)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위치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위치정보 제공부(23)는 스마트 기기(11)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위치좌표를 제공하는 좌표 인식부(39), 고도 감지부(41) 및 방향 감지부(43)를 구비한다. 상기위치좌표는 통신모듈(37)에 구비된 GPS 송수신부(45)로부터 수신된 지점의 좌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좌표는 스마트 기기(11)가 빌딩 내부 또는 고층 빌딩 사이와 같은 GPS의 음영지역에 위치할 경우 GPS 송수신부(45)로부터 위치 정보 측정이 불가능할 수 있으므로, 이동통신(Cell ID), 무선랜, 블루투스, WLAN 또는 WPAN의 삼각측량을 이용하여 측정된 좌표일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23 provides location information of a point selected from the smart device 11.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23 includes a coordinate recognizing unit 39, an altitude detecting unit 41, and a direction detecting unit 43 that provide a position coordinate of a point selected from the smart device 11. The location coordinates may be coordinates of points received from the GPS transceiver 45 provided in the communication module 37. In addition, the location coordinates may be impossible to measure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GPS transceiver 45 when the smart device 11 is located in a shadow area of the GPS such as inside a building or between tall buildings. It may be coordinates measured using triangulation of WLAN, Bluetooth, WLAN, or WPAN.

상기 고도 감지부(41)는 스마트 기기(11)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고도(θ)의 변화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기기(11)를 상부 또는 하부로 향하게 하는 경우, 상기 영상 표시장치(100)는 고도 감지부(41)로부터 감지된 고도(θ) 변화를 출력부(31)에 반영하여 선택된 위치의 가상 정보(21)를 변화시켜 출력한다. 상기 고도 감지부(41)는 자이로스코프의 원리를 응용한 자이로 센서(Gyro sensor)를 이용하거나, 기울기 센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ltitude detector 41 detects a change in the altitude θ of a point selected from the smart device 11. For example, when the user points the smart device 11 upward or downward,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outputs a change in the altitude θ sensed by the altitude sensor 41 to the output unit 31. The reflected virtual information 21 of the selected position is changed and output. The altitude detecting unit 41 preferably uses a gyro sensor (Gyro sensor) or tilt sensor using the principle of the gyroscope.

상기 방향 감지부(43)는 스마트 기기(11)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방향(φ) 변화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의 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변경하는 경우, 상기 영상 표시장치(100)는 방향 감지부(43)로부터 감지된 방향(φ) 변화를 출력부(31)에 반영하여 선택된 위치의 가상 정보(21)를 변화시켜 출력한다. 상기 방향 감지부(43)는 나침반 센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rection detecting unit 43 detects a change in the direction φ of a point selected from the smart device 11. For example, when the user changes the direction of the smart device to the left or the right,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reflects the change in the direction φ detected by the direction detector 43 on the output unit 31. The virtual information 21 of the selected position is changed and output. The direction detecting unit 43 preferably uses a compass sensor.

한편, 상기 콘텐츠 저장부(25)는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21)를 저장한다. 상기 콘텐츠 저장부(25)는 서버(19)로부터 제공된 가상 정보(21)를 통신모듈(37)로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SD 메모리 카드 또는 HDD로부터 직접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상기 영상 표시장치(100)로부터 직접 제작한 가상 정보(21)를 저장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ent storage unit 25 stores the virtual information 21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content storage unit 25 receives and stores the virtual information 21 provided from the server 19 to the communication module 37, or directly receives and stores from the SD memory card or HDD, or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e virtual information 21 produced directly can be stored.

상기 콘텐츠 선택부(27)는 콘텐츠 저장부(25)에 저장된 가상 정보(21) 중에서 영상 촬영부(13)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위치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21)를 선택한다. 이 경우, 상기 콘텐츠 선택부(27)는 제어부(33)의 제어에 따라 콘텐츠 저장부(25)로부터 가상 정보(21)를 입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 인테리어를 변경할 경우에, 상기 콘텐츠 선택부(27)는 콘텐츠 저장부(25)에 저장되어 있는 변경된 실내 인테리어를 선택하거나, 가구, 각종 실내 장식품 또는 소품 등을 선택하여 상기 출력부(31)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선택된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21)를 선택된 위치좌표와 중첩할 수 있다.The content selection unit 27 selects the virtual information 21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point selected from the image capturing unit 13 among the virtual information 21 stored in the content storage unit 25. In this case, the content selection unit 27 may input and output virtual information 21 from the content storage unit 25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3. For example, when changing the interior interior, the content selector 27 selects the changed interior interior stored in the content storage unit 25 or selects furniture, various upholstery or accessories, and the output unit. The virtual information 21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positional coordinate can be overlapped with the selected positional coordinate by outputting via 31.

상기 콘텐츠 제작 수정부(29)는 콘텐츠 저장부(25)에 저장된 가상 정보(21)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가상 정보(21)를 제작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선택된 위치에 대응하여 출력된 실내 인테리어를 변경하는 경우에, 상기 콘텐츠 제작 수정부(29)는 창문 또는 측벽의 디자인을 변경하거나 CAD 또는 MAX 등으로부터 제작된 종래의 가상 정보(21)에는 선택되지 않은 새로운 가상 정보(21)를 제작하고, 상기 출력부(31)는 이를 추가하여 출력할 수 있다.The content production correction unit 29 modifies the virtual information 21 stored in the content storage unit 25 or produces new virtual information 21. For example, in the case of changing the output indoor interior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position, the content production correction unit 29 changes the design of the window or sidewall, or the conventional virtual information 21 produced from CAD, MAX, or the like. ) May generate new virtual information 21 that is not selected, and the output unit 31 may add and output the new virtual information 21.

상기 출력부(31)는 스마트 기기(11)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위치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21)를 상기 선택된 지점의 위치에 중첩하여 출력한다. 상기 출력부(31)는 음성 출력부(47), 텍스트 출력부(49) 및 표시부(51)를 포함한다. 상기 음성 출력부(47)는 스피커 등을 이용하여 스마트 기기(11)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가상 정보(21)를 음성으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출력부(31)가 옛 궁궐터 또는 사적지 등의 위치좌표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경우, 상기 음성 출력부(47)는 궁궐터 또는 사적지 등을 설명하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31)가 건물의 외부 또는 인테리어를 변경해야할 건물 내부 등의 위치좌표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경우, 상기 음성 출력부(47)는 출력된 건물 외부 또는 실내 인테리어의 특징 등을 음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31 outputs the virtual information 21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point selected from the smart device 11 by overlapping the position of the selected point. The output unit 31 includes a voice output unit 47, a text output unit 49, and a display unit 51. The voice output unit 47 outputs the virtual information 21 at the point selected from the smart device 11 as a voice using a speaker or the like. For example, when the output unit 31 selects and displays location coordinates such as an old palace site or a historic site, the voice output unit 47 may output a voice for explaining a palace or historic site. In addition, when the output unit 31 selects and displays position coordinates such as the outside of the building or the inside of the building to change the interior, the voice output unit 47 voic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output outside the building or the interior. This can be explained by.

상기 텍스트 출력부(49)는 스마트 기기(11)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가상 정보(21)를 텍스트로 출력한다. 상기 출력부(31)가 옛 궁궐터 또는 사적지 등의 위치좌표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경우, 상기 텍스트 출력부(49)는 궁궐터 또는 사적지 등을 설명하는 텍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31)가 건물의 외부 또는 인테리어를 변경해야할 건물 내부 등의 위치좌표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경우, 상기 텍스트 출력부(49)는 출력된 건물 외부 또는 실내 인테리어의 특징 등을 텍스트로 설명할 수 있다.The text output unit 49 outputs the virtual information 21 at the point selected from the smart device 11 as text. When the output unit 31 selects and displays position coordinates such as an old palace site or a historic site, the text output unit 49 may output text describing the palace or historic site. In addition, when the output unit 31 selects and displays position coordinates such as the outside of the building or the inside of the building to be changed, the text output unit 49 displays texts of the outputted building exterior or the interior interior. This can be explained as

상기 표시부(51)는 스마트 기기(11)로부터 선택된 저점의 가상 정보(21)를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출력부(31)가 옛 궁궐터 또는 사적지 등의 위치좌표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경우, 상기 출력부(31)는 궁궐터 또는 사적지 등의 복원된 건물을 이미지로 표시하거나, 왕의 행차를 동영상으로 표시하거나, 상기 콘텐츠 저장부(25)에 저장된 건물 외부의 변경된 디자인 또는 변경된 실내 인테리어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출력부(31)는 스마트 기기(11)에 미리 입력된 앱 선택 구동부(35)를 이용함으로써 선택된 지점의 위치좌표 및 그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21)를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앱 선택 구동부(35)는 가상 정보(21)를 선택된 지점의 위치에 대응시키거나 가상 정보(21)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가상 정보(21)를 제작하기 위한 환경을 제공한다.The display unit 51 outputs virtual information 21 of the low point selected from the smart device 11 as an image or a video. For example, when the output unit 31 selects and displays position coordinates such as an old palace site or a historic site, the output unit 31 displays a restored building such as a palace site or a historic site as an image or a king. It may be displayed as a moving image or output the changed design or the changed interior of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stored in the content storage unit 25. In this case, the output unit 31 may overlap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selected point and the virtual information 21 corresponding thereto by using the app selection driver 35 previously input to the smart device 11. The app selection driver 35 provides an environment for mapping the virtual information 21 to the location of the selected point, modifying the virtual information 21, or creating new virtual information 21.

상기 통신모듈(37)은 인공위성(15) 또는 서버(19)와 유/무선으로 통신함으로써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통신모듈(37)은 GPS 송수신부(45) 및 데이터 송수신부(53)를 구비한다. 상기 GPS 송수신부(45)는 인공위성(15)으로부터 스마트 기기(11) 또는 영상 촬영부(13)로 선택된 지점의 위치좌표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53)는 서버(19)와 유/무선으로 통신하거나, 이동식 메모리 등과 직접 접촉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등을 수신하고, 음성,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등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37 transmits and receives data by communicating with the satellite 15 or the server 19 by wire / wireless. The communication module 37 includes a GPS transceiver 45 and a data transceiver 53. The GPS transceiver 45 may transmit / receive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selected point from the satellite 15 to the smart device 11 or the image capturing unit 13. The data transceiving unit 53 may communicate with the server 19 via wired / wireless or directly contact a removable memory to receive an application and the like, and may receive information such as voice, text, image, and video.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11)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위치 및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21)를 중첩하여 출력부(31)로 출력함으로써 현장감 있는 가상 정보(2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사 영상에 중첩된 가상 정보(21)를 현장에서 직접 수정하거나 새로운 가상 정보(21)를 생성하여 실사 영상에 중첩함으로써 가상 정보(21)와 관련된 디자인의 효율성 및 만족도를 향상시킨다.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superimposes the position of the selected point from the smart device 11 and the virtual information 21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is superimposed and output to the output unit 31 to provide realistic virtual information 21. hav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efficiency and satisfaction of the design related to the virtual information 21 by directly modifying the virtual information 21 superimposed on the live image or by generating new virtual information 21 and superimposing it on the live image. .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100)는 영상 촬영부(13)를 이용하여 선택된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21)를 선택된 위치좌표에 중첩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면, 스마트 기기(11)가 도 2b의 원점(O)에 위치하고 있고, 영상 촬영부(13)가 좌표(P=(x1, y1, z1))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영상 표시장치(100)는 콘텐츠 저장부(25)에 저장된 가상 정보(21)를 상기 좌표(P)에 중첩시켜 출력부(31)로 출력한다. 이 경우, 상기 좌표(P)는 위치정보 제공부(23)에 구비된 좌표 인식부(39)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선택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erimposes and outputs virtual information 21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position coordinate by using the image capturing unit 13. For example, when the smart device 11 is located at the origin O of FIG. 2B, and the image capturing unit 13 selects coordinates P = (x 1 , y 1 , z 1 ), the image. The display apparatus 100 outputs the virtual information 21 stored in the content storage unit 25 to the output unit 31 by superimposing the virtual information 21 on the coordinate P. In this case, the coordinates P may be accurately selected using the coordinate recognition unit 39 provid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23.

예를 들어, 건물 내부의 실내 인테리어를 변경하는 경우, 사용자는 CAD 또는 MAX 등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상의 실내 인테리어, 즉 가상 정보(21)를 미리 설계하고, 상기 가상 정보(21)는 영상 표시장치(100)의 콘텐츠 저장부(25)에 저장된다. 상기 사용자가 영상 표시장치(100)를 이용하여 실제 인테리어를 변경할 대상 건물 내부의 위치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영상 표시장치(100)는 인테리어 대상 건물의 위치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21)를 인테리어가 변경될 위치에 중첩하여 출력부(31)로 출력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changing the interior of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the user pre-designs the virtual interior, that is, the virtual information 21 using a program such as CAD or MAX, and the virtual information 21 displays an image. The content storage unit 25 of the device 100 is stored. When the user selects a location inside the target building to change the actual interior by using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displays virtual information 21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interior target building. The output is output to the output unit 31 by overlapping the position to be changed.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XZ 평면 상에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영상 표시장치(100)는 GPS 송수신부(45)를 통해 수신된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21)를 변경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영상 표시장치(100)의 영상 촬영부(13)로 건물 내부를 촬영하면서 건물 내부의 복도를 따라 걷는 경우, 상기 영상 표시장치(100)는 사용자의 걸음걸이에 맞춰 영상 촬영부(13)로 촬영되는 위치좌표의 변화에 대응하는 건물 내부의 가상 정보(21)를 출력한다.Referring to FIG. 4, when the user moves on the XZ plane,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hanges and outputs virtual information 21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coordinates received through the GPS transceiver 45. For example, when the user walks along the corridor inside the building while photographing the inside of the building by the image capturing unit 13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displays an image according to the user's gait. The virtual information 21 inside the building corresponding to the change in the position coordinates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3 is output.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영상 표시장치(100)의 방향을 바꾸는 경우에도 방향 감지부(43)를 이용하여 방향 변화에 대한 위치좌표를 수신하고, 방향 변화에 대한 실내 인테리어의 변화, 즉 가상 정보(21)의 변화를 출력부(31)로 출력할 수 있다.5 and 6, even when the user changes the direction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he user receives the position coordinates for the change of direction by using the direction detecting unit 43 and changes the interior of the room for the change of direction. That is, the change in the virtual information 21 may be output to the output unit 31.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동 또는 방향 변화에 따라 스마트 기기(11)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위치가 변하더라도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21)를 중첩하여 출력부(31)로 출력함으로써 현장감 있는 가상 정보(21)를 제공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position of the point selected from the smart device 11 chang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r direction change of the user, the virtual information 21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is superimposed and outputted to the output unit 31 to provide a sense of realism. Virtual information 21 may be provided.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정 위치 좌표에 위치한 실사를 가상 정보와 중첩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테리어 또는 건축 디자인 분야와 같이 가상 공간에서 이미지 또는 동영상 등을 구현한 후에 실제 위치에 직접 중첩시켜 확인함으로써 제공되는 정보의 현장감을 살릴 수 있고, 가상 공간에서 구현된 이미지 등의 적합성을 미리 판단하는데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존 유물 및 문화유산에 대해 가상의 결과물을 더함으로써 유물 및 문화유산에 대한 정보의 콘텐츠를 풍부하게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base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age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information by superposing a real-world located at a specific position coordinate with virtual informa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lize the realism of the information provided by realizing the image or video in the virtual space, such as in the interior or architectural design field and directly superimposed on the actual location, the suitability of the image implemented in the virtual space It can be applied to determine in advanc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enrich the content of information about artifacts and cultural heritage by adding imaginary results to existing artifacts and cultural heritage.

11: 스마트 기기 13: 영상 촬영부
23: 위치정보 제공부 25: 콘텐츠 저장부
27: 콘텐츠 선택부 29: 콘텐츠 제작 수정부
31: 출력부 35: 앱 선택 구동부
39: 좌표 인식부 41: 고도 감지부
43: 방향 감지부 45: GPS 송수신부
47: 음성 출력부 49: 텍스트 출력부
51: 표시부 100: 영상 표시장치
11: smart device 13: video recording unit
23: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25: content storage unit
27: content selection unit 29: content production
31: output unit 35: app selection drive unit
39: coordinate recognition unit 41: altitude detection unit
43: direction detection unit 45: GPS transceiver
47: audio output unit 49: text output unit
51: display unit 100: video display device

Claims (8)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위치정보 제공부;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를 저장하는 콘텐츠 저장부;
상기 콘텐츠 저장부로부터 저장된 상기 가상 정보 중에서 상기 선택된 지점의 위치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를 선택하는 콘텐츠 선택부;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위치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를 상기 선택된 지점의 위치에 중첩하여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콘텐츠 선택부로부터 선택되는 상기 가상 정보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er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point selected from the smart device;
A content storage unit storing virt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A content selection unit that selects virt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selected point from the virtual information stored from the content storage unit;
An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virt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point selected from the smart device by overlapping the position of the selected point;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input and output of the virtual information selected from the content selec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제공부는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위치좌표를 제공하는 좌표 인식부;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높이 변화를 감지하는 고도 감지부; 및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방향 변화를 감지하는 방향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A coordinate recognizing unit providing a position coordinate of a point selected from the smart device;
An altitude sensor detecting a height change of a selected point from the smart device; And
And a direction detecting unit detecting a change in direction of a selected point from the smar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위치, 높이 및 방향 변화에 대응하는 가상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put
Position-based imag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virt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hange in the position, height and direction of the selected point from the smart device.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가상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가상 정보를 텍스트로 출력하는 텍스트 출력부; 및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가상 정보를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output
A voice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virtual information of a selected point from the smart device as a voice;
A text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virtual information of a selected point from the smart device as text; And
And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n image of virtual information of a selected point from the smar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선택된 지점의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Position recognition-based image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es an image capture unit for capturing an image of a selected point from the smar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가상 정보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가상 정보를 제작하기 위한 콘텐츠 제작 수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content production correction unit for modifying the virtual information stored in the content storage unit or producing new virtual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정보를 상기 선택된 지점의 위치에 대응시키거나 상기 가상 정보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가상 정보를 제작하기 위한 환경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구동하는 앱 선택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Location recognition base further comprises an app selection driver for driving the virt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selected point, modifying the virtual information or providing an application for providing an environment for producing new virtual information; Video displ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정보는 음성 정보, 텍스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동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인식 기반 영상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virtual information includes voice information, text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and video information.
KR1020110015621A 2011-02-22 2011-02-22 Image display apparatus based on recognizing selected location cordinates KR1012155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621A KR101215515B1 (en) 2011-02-22 2011-02-22 Image display apparatus based on recognizing selected location cordinat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621A KR101215515B1 (en) 2011-02-22 2011-02-22 Image display apparatus based on recognizing selected location cordinat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295A true KR20120096295A (en) 2012-08-30
KR101215515B1 KR101215515B1 (en) 2012-12-26

Family

ID=46886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621A KR101215515B1 (en) 2011-02-22 2011-02-22 Image display apparatus based on recognizing selected location cordinat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551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93084B2 (en) 2013-12-31 2017-06-27 Kt Corporation Location based content providing sche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54818B2 (en) 2013-02-28 2017-05-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nt delivery system with augmented reality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93084B2 (en) 2013-12-31 2017-06-27 Kt Corporation Location based content providing sche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5515B1 (en) 201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8637B2 (en) Directional and x-ray view techniques for navigation using a mobile device
CN107782314B (en) Code scanning-based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ndoor positioning navigation method
US9294873B1 (en) Enhanced guidance for electronic devices using objects within in a particular area
US8908043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based operation of a head mounted display
US1002262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performing augmented reality
KR10133080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US11321929B2 (en) System and method for spatially registering multiple augmented reality devices
CN1755326A (en) Navigation apparatus
US10896327B1 (en) Device with a camera for locating hidden object
JP2004102835A (e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system therefor, mobile terminal device, head-wearable device, and program
KR20160073025A (en) Object gener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based augmented reality using actual measured
CN106289263A (en) Indoor navigation method and device
KR101215515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based on recognizing selected location cordinates
JP2011113245A (en) Position recognition device
KR20150077607A (en) Dinosaur Heritage Experience Service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nd Method therefor
US20120281102A1 (en) Portable terminal, activity history depiction method, and activity history depiction system
JP4733343B2 (en) Navigation system, navigation device, navigation method, and navigation program
JP2010171664A (en) Personal digital assistant, information display control method, and information display control program
US20230035962A1 (en) Space recognition system, space recognition method and information terminal
KR20200004135A (en) Method for providing model house virtual image based on augmented reality
JP6523362B2 (en) Server device, terminal device and program
KR101153127B1 (en) Apparatus of displaying geographic information in smart phone
JP2019174548A (en) Controller,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US20240087157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recording medium,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system
WO2021200187A1 (en) Portable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