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5150A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biological information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biological inform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5150A
KR20120095150A KR1020110014648A KR20110014648A KR20120095150A KR 20120095150 A KR20120095150 A KR 20120095150A KR 1020110014648 A KR1020110014648 A KR 1020110014648A KR 20110014648 A KR20110014648 A KR 20110014648A KR 20120095150 A KR20120095150 A KR 20120095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signal
data
biometric
biometric information
stand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6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47859B1 (en
Inventor
이광현
박정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4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7859B1/en
Publication of KR20120095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51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8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PURPOSE: A biometric information managing method and an apparatus thereof are provided to interconnect CHA(Continua Health Alliance) authentication devices and existing biometric sensors which uses a communication method except for IEEE 11073. CONSTITUTION: A sensor communication unit(110) receives biometric signal data in a biometric signal processing protocol from a biometric sensor. A signal analyzing unit(120) extracts a biometric signal from the received biometric signal data according to the biometric signal protocol. A signal converting unit(130) configures the biometric signal extracted from the signal analyzing unit. The signal analyzing unit includes a protocol stack.

Description

생체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biological information}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biological information

기술분야는 생체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다양한 생체 센서와 호환이 가능한 생체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technical field relates to a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compatible with various biometric sensors.

배경기술은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상시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적절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관련 기술이다. 최근 이러한 건강 관리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은 혈당계, 혈압계 또는 심전도 측정 장치 등의 생체 센서에서 측정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 및 검토하는 생체 정보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건강 관리 시스템의 시장이 점점 성장하는 가운데 의료기기간 정보의 전송을 통일된 방식으로 수행하기 위해, 국제 U-헬스의료기기 표준협회인 CHA(Continua Health Alliance)는 이러한 건강 관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의료기기간 통신방법에 대한 표준으로 IEEE 11073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현재 많은 의료기기들이 CHA의 인증을 받기 위해 IEEE 11073에 따라 제작되고 있다.Background art is a technology related to a health care system that constantly monitors a user's health and provides appropriate medical services. Recently, interest in such a health care system is increasing, and monitoring of a user's health may be performed by a bioinformation manager who collects, analyzes, and reviews a user's biosignal measured by a biometric sensor such as a blood glucose meter, a blood pressure monitor, or an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Is made by way of transmission. As the market for health care systems continues to grow, the Continua Health Alliance (CHA), the international U-Health Medical Device Standards Association, is conducting a unified approach to the delivery of medical device information. IEEE 11073 is proposed as a standard for the method. Therefore, many medical devices are currently manufactured according to IEEE 11073 for certification of CHA.

CHA에서 제안하는 표준방식인 IEEE 11073이 아닌 다른 통신방법을 사용하는 기존의 생체 센서들과 CHA 인증의 장비들을 연동할 수 있는 생체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that can interoperate existing biometric sensors using CHA-certified devices with a communication method other than the IEEE 11073 standard proposed by CHA.

또한, 이 관리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this management method on a comput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is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정보 관리 방법은, 건강 관리 기기들간의 통신에 관한 규격을 따르지 않는 생체 센서로부터 수신된 생체 신호를 상기 규격에 따라 규격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생체 센서로부터 상기 생체 센서의 생체 신호 처리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형식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서로 다른 다수의 생체 신호 처리 프로토콜들 중 상기 생체 신호 처리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수신된 생체 신호 데이터로부터 생체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생체 신호를 상기 규격에 따른 데이터 형식의 생체 신호 데이터로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or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 in the method for standardizing the biosignal received from a biometric sensor that does not conform to the standard for communication between health care devices according to the standard, Receiving biosignal data in a data format according to a biosignal processing protocol of the biometric sensor from a sensor; Extracting a biosignal from the received biosignal data according to the biosignal processing protocol among a plurality of different biosignal processing protocols; And constructing the extracted biosignal into biosignal data having a data format according to the standard.

이때, 상기 규격화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은 복수 개의 서로 다른 생체 센서들의 생체 신호 처리 프로토콜들을 지원하는 프로토콜 스택을 구비하고,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토콜 스택에 의해 지원되는 생체 신호 처리 프로토콜들 중 상기 생체 센서의 생체 신호 처리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수신된 생체 신호 데이터로부터 생체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erminal performing the standardization method includes a protocol stack supporting biosignal processing protocols of a plurality of different biosensors, and the extracting of the biosignal processing protocol is performed by the biosignal processing protocols supported by the protocol stack. The biosignal may be extracted from the received biosignal data according to the biosignal processing protocol of the sensor.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정보 관리 방법은, 상기 규격화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은 상기 규격에 따른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하드웨어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규격에 따른 데이터 형식으로 구성된 생체 정보 데이터를 외부의 생체 정보 관리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wherein the terminal performing the standardization method includes a hardware module supporting 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tandard, and has a data format according to the standar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the configured biometric information data to an external biometric information manager.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정보 관리 방법은, 상기 규격화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은 생체 신호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생체 정보 관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생체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직후에, 상기 수신된 생체 신호 데이터가 상기 생체 정보 관리자로의 전송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전송 대상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생체 정보 관리부에서 상기 생체 신호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The terminal performing the standardization method includes a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unit configured to store and manage biosignal data, and to receive the biosignal data. Immediately after the step,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ceived biosignal data is a transmission target to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r,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biosignal data is not a transmission target, the biosignal data management unit may store and manage the biosignal data.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는 상기된 생체 정보 관리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embodiment for solving the above further technical problem provide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records a program for executing the above-described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on a computer.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기기들간의 통신에 관한 규격을 따르지 않는 생체 센서로부터 수신된 생체 신호를 상기 규격에 따라 규격화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상기 생체 센서로부터 상기 생체 센서의 생체 신호 처리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형식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센서측 통신부; 서로 다른 다수의 생체 신호 처리 프로토콜들 중 상기 생체 신호 처리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수신된 생체 신호 데이터로부터 생체 신호를 추출하는 신호 해석부; 및 상기 신호 해석부에서 추출된 생체 신호를 상기 규격에 따른 데이터 형식의생체 신호 데이터로 구성하는 신호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 user terminal for standardizing a biosignal received from a biometric sensor that does not conform to a standard relating to communication between health care de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or solving the another technical problem according to the standard, A sensor-side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receive biosignal data in a data format according to a biosignal processing protocol of the biometric sensor; A signal analyzer extracting a biosignal from the received biosignal data according to the biosignal processing protocol among a plurality of different biosignal processing protocols; And a signal converter configured to configure the biosignal extracted by the signal analyzer into biosignal data having a data format according to the standard.

이때, 상기 신호 해석부는 복수 개의 서로 다른 생체 센서들의 생체 신호 처리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프로토콜 스택을 구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ignal analyzer may include a protocol stack that supports biosignal processing protocols of a plurality of different biosensors.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상기 규격에 따른 데이터 형식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상기 규격을 지원하는 하드웨어 모듈을 이용하여 외부의 생체 정보 관리자로 전송하는 관리자측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or solving the another technical problem, manager-side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bio-signal data of the data format according to the standard to an external biometric information manager using a hardware module supporting the standard It may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상기 신호 해석부에서 추출된 생체 신호에 대한 분석, 검토 등의 관리를 수행하는 생체 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생체 정보 관리부는 상기 추출된 생체 신호가 상기 생체 정보 관리자로의 전송 대상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추출된 생체 신호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or solving the another technical problem, further comprises a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the analysis, review, etc. of the biological signal extracted from the signal analysis unit, The information manager may store and manage the extracted bio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xtracted biosignal is not a transmission target to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r.

상기된 바에 따르면, 기존의 생체 센서들이 사용하는 다양한 통신방법을 지원하고 이에 대한 업데이트가 가능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생체 신호를 수집하고 신호를 변환하여 생체 정보 관리자에 전송함으로써 기존의 생체 센서들을 CHA 인증의 장비들과 연동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기존의 생체 센서들이 사용하는 저전력 무선통신 방법을 사용하여 생체 신호를 수집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전력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using a user terminal that can support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used by existing biometric sensors and update them, the biometric sensors are collected by CHA authentication by collecting biometric signals, converting the signals, and transmitting them to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r. It is possible to use in conjunction with the equipment of the. At this time, since it is possible to collect the bio-signals using a low-powe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ed by the existing bio-sensors it is possible to obtain a power saving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정보 관리 방법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100)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 내부의 센서측 통신부(11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스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정보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의 401 단계의 구체적인 세부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정보 관리 방법에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600)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정보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user terminal 100 used in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ensor-side communication unit 110 inside 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tocol st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aging biometr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specific detailed steps of step 401 of FIG. 4.
6 is a block diagram of a user terminal 600 used in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 chart of a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ore clearly describe the features of the present embodiments, detailed descriptions of matter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정보 관리 방법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100)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센서측 통신부(110), 신호 해석부(120), 신호 변환부(130) 및 관리자측 통신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00)은 생체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의 사용만을 위하여 제작된 사용자 단말일 수도 있고, 또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 휴대용 정보 처리 장치에 생체 정보 관리를 위한 기능을 탑재한 것일 수도 있다. 특히, 스마트폰의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업데이트를 통해 간편하게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활용도가 크다 할 것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user terminal 100 used in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side communication unit 110, a signal analysis unit 120, a signal conversion unit 130, and a manager side communication unit 140. can do.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a user terminal manufactured only for use in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or may be equipped with a function for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in a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uch as a smartphone or a table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smart phone, it is possible to perform such a function simply by installing and updating an application, so it will be greatly utilized.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다수의 생체 센서들(11, 12, 13) 및 생체 정보 관리자(20)와 정보를 송수신 함을 알 수 있다. 생체 센서(11, 12, 13)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 정보 관리 방법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몸에 부착되거나 그 주변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혈당, 혈압, 심박수 등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장치들에 해당한다. 생체 정보 관리자(20)는 생체 센서들(11, 12, 13)에서 측정된 생체 신호들에 대한 분석 및 검토 등을 수행하여 건강상태를 체크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장치 또는 서비스 제공자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 the user terminal 100 may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to and from the plurality of biometric sensors 11, 12, and 13 and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r 20. The biometric sensors 11, 12, and 13 are attached to or positioned around the body of the user who wants to use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easure the biosignal of the user such as blood sugar, blood pressure, heart rate, etc. Corresponds to the devices.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r 20 analyzes and reviews the biosignals measured by the biometric sensors 11, 12, and 13, and checks the state of health and provides all the devices or service providers that provide appropriate feedback accordingly. It may include.

사용자 단말(1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센서측 통신부(110)는 다수의 생체 센서들(11, 12, 13)로부터 각각의 생체 신호 처리 프로토콜 포맷에 따른 생체 신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센서측 통신부(110)는 다수의 생체 센서들(11, 12, 13)이 사용하는 통신방법을 모두 지원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생체 센서A(11)와 생체 센서C(13)는 방식 1을 통신방법으로 사용하고, 생체 센서B(12)는 방식 2를 통신방법으로 사용하는데, 센서측 통신부(110)는 방식 1 및 2를 모두 지원한다. 따라서, CHA가 건강 관리 기기간들의 통신에 관한 규격으로 인증하는 표준방식 이외의 통신방법을 사용하는 기존의 생체 센서들로부터 생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생체 센서가 저전력의 RF(Radio Frequency) 방식, 블루투스 방식, 무선 USB(Universal Serial Bus) 방식,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 무선 랜 방식 등의 무선 통신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상시적인 모니터링이 이루어지는 생체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전력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Referring to the user terminal 100 in detail, the sensor-side communication unit 110 may receive biosignal data according to respective biosignal processing protocol formats from the plurality of biometric sensors 11, 12, and 13. The sensor-side communication unit 110 supports all communication methods used by the plurality of biometric sensors 11, 12, and 13. For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iometric sensor A 11 and the biometric sensor C 13 use method 1 as a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biometric sensor B 12 uses method 2 as a communication method. 110 supports both schemes 1 and 2.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ceive bio signals from existing bio sensors using a communication method other than the standard method in which the CHA authenticates as a standard for communication between health care devices. In particular, when the biometric sensor uses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a low power RF (Radio Frequency), Bluetooth, Wireless USB (Universal Serial Bus),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or Wireless LAN, An efficient power saving effect can be obtained in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신호 해석부(120)는 센서측 통신부(110)에서 수신한 생체 신호 데이터를 해석할 수 있다. 즉, 수신된 생체 신호 데이터는 생체 센서의 생체 정보 처리 프로토콜 포맷에 따라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로부터 생체 신호를 추출한다.The signal analyzer 120 may analyze the biosignal data received by the sensor-side communication unit 110. That is, since the received biosignal data is configured according to the biometric information processing protocol format of the biometric sensor, the biosignal data is extracted therefrom.

신호 변환부(130)는 상기 신호 해석부(120)에서 추출된 생체 신호를 상기 건강 관리 기기들간의 통신에 관한 규격에 따른 데이터 포맷으로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된 데이터는 관리자측 통신부(140)를 통해 생체 정보 관리자(20)에게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건강 관리 기기들간의 통신에 관한 규격은 CHA 인증제품들과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CHA에서 표준방식으로 제안하는 IEEE 11073 방식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CHA 인증의 표준방식을 사용하지 않는 기존의 생체 센서들도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서 CHA 제안의 표준방식을 사용하는 생체 정보 관리자(20)에게 생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The signal converter 130 configures the biosignal extracted by the signal analyzer 120 in a data format according to a standard relating to communication between the health care devices. The data thus configured may be transmitted to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r 20 through the manager-side communication unit 140. The standard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health care devices may be an IEEE 11073 method proposed by the CHA as a standard method to ensure compatibility with CHA certified products. As a result, the existing biometric sensors that do not use the standard method of CHA authentication may transmit the biosignal to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r 20 using the standard method of the CHA proposal through the user terminal 100.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 내부의 센서측 통신부(11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 내부의 센서측 통신부(110)는 하드웨어 모듈(111), 추출부(112) 및 수신 확인부(113)를 포함한다. 하드웨어 모듈(111)은 생체 센서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여 생체 센서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다. 추출부(112)는 상기 수신된 패킷으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어서, 수신 확인부(113)는 상기 추출된 데이터에 포함된 부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데이터에 포함된 생체 신호 데이터의 수신 완료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생체 신호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된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ensor-side communication unit 110 inside 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sensor-side communication unit 110 inside 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rdware module 111, an extraction unit 112, and a reception confirmation unit 113. The hardware module 111 receives a data packet from the biometric sensor by supporting a communication method of the biometric sensor. The extractor 112 extracts data from the received packet. Subsequently, the reception confirming unit 113 checks whether the reception of the biosignal data included in the extracted data is completed using the additional data included in the extracted data, thereby completing the reception of the biosignal data.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스택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tocol st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스택은 생체 센서(31)에 탑재되는 프로토콜 스택과 사용자 단말(32)에 탑재되는 프로토콜 스택 및 생체 정보 관리자(33)에 탑재되는 프로토콜 스택으로 분류된다. 생체 센서(31)에 탑재되는 프로토콜 스택은 센서 응용 계층(311), 생체 정보 처리 프로토콜 계층(312), 전송계층(313) 및 하드웨어 계층(314)으로 구성된다. 센서 응용 계층(311)은 생체 센서(31)의 생체 신호 획득에 관한 응용 소프트 웨어를 처리하여 생체 센서(31)에 의해 측정된 생체 신호를 획득한다. 생체 정보 처리 프로토콜 계층(312)은 획득된 생체 신호를 이용하여 생체 센서(31)가 사용하는 생체 신호 처리 프로토콜에 따른 포맷으로 생체 신호 데이터를 구성한다. 전송계층(313)은 상기 생체 신호 데이터에 상기 데이터의 전송 완료를 체크하기 위한 부가 데이터를 삽입한다. 그리고 하드웨어 계층(314)은 생체 센서(31)의 통신 방식에 따라 전송 계층(313)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생성하여 이를 물리적 계층(34)을 통해 사용자 단말(32)로 전송한다. 이때, 하드웨어 계층(314)은 ULP(Ultra Low Power) RF 등의 저전력 무선통신방법을 지원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protocol st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tocol stack mounted on the biometric sensor 31, a protocol stack mounted on the user terminal 32, and a protocol stack mount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r 33. Classified as The protocol stack mounted on the biometric sensor 31 includes a sensor application layer 311, a biometric information processing protocol layer 312, a transmission layer 313, and a hardware layer 314. The sensor application layer 311 processes application software related to the biosignal acquisition of the biometric sensor 31 to obtain the biosignal measured by the biometric sensor 31. The biometric information processing protocol layer 312 configures biosignal data in a format according to the biosignal processing protocol used by the biometric sensor 31 using the obtained biosignal. The transmission layer 313 inserts additional data for checking completion of transmission of the data into the biosignal data. The hardware layer 314 generates a packet including data output from the transport layer 313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biometric sensor 31, and transmits the packet to the user terminal 32 through the physical layer 34. In this case, the hardware layer 314 may support a low powe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ULP (Ultra Low Power) RF.

사용자 단말(32)에 탑재되는 프로토콜 스택을 신호의 처리 순서대로 설명하면, 하드웨어 계층(324)은 다수의 생체 센서들 각각이 사용하는 통신 방식들을 지원하는 하드웨어 모듈을 구비하여, 다수의 생체 센서들의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물리적 계층(34)을 통하여 수신된 패킷으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한다. 전송 계층(323)은 상기 추출된 데이터에 포함된 부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데이터에 포함된 생체 신호 데이터의 전송 완료 여부를 확인한다. 생체 정보 처리 프로토콜 계층(322)은 다수의 서로 다른 생체 센서들 각각의 생체 신호 처리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프로토콜 스택을 구비하여 상기 생체 신호 데이터로부터 생체 신호를 추출한다. When the protocol stack mounted on the user terminal 32 is described in the order of signal processing, the hardware layer 324 may include a hardware module that supports communication methods us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biometric sensors. Data is extracted from packets received through the physical layer 34 according to any one of the communication schemes. The transport layer 323 confirms whether transmission of the biosignal data included in the extracted data is completed using the additional data included in the extracted data. The biometric information processing protocol layer 322 has a protocol stack supporting biometric signal processing protocols of each of a plurality of different biometric sensors to extract biosignal from the biosignal data.

상기 추출된 생체 신호는 생체 정보 에이전트 응용 계층(321)을 통하여 IEEE 11073 계층(325)으로 전달되며, IEEE 11073 계층(325)에서는 상기 추출된 생체 신호를 상기 건강 관리 기기들간의 통신에 관한 규격에 따른 데이터 포맷으로 구성한다. IEEE 11073 계층(325)은 생체 신호 데이터를 CHA에서 제안하는 표준 방식인 IEEE 11073에 따라 구성하므로, 이때 사용자 단말(32)은 서로 다른 여러 가지 생체 센서(31)의 멀티 에이전트로써 동작하기 위하여 다수의 서로 다른 IEEE 11073-104xx(xx는 임의의 두 자리 정수)들을 탑재하고 있을 수 있다. 이어서, 전송 계층(326)에서는 상기 건강 관리 기기들간의 통신에 관한 규격에 따른 데이터에 전송 완료를 체크하기 위한 부가 데이터를 삽입한다. 그리고 하드웨어 계층(327)은 건강 관리 기기들간의 통신에 관한 규격에 따라 전송 계층(326)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생성하여 이를 물리적 계층(35)을 통해 생체 정보 관리자(33)로 전송한다. 이때, 하드웨어 계층(327)은 블루투스(Bluetooth), USB 또는 지그비(Zigbe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지원할 수 있다.The extracted biosignal is transmitted to the IEEE 11073 layer 325 through the biometric information agent application layer 321. The IEEE 11073 layer 325 transfers the extracted biosignal to a standard relating to communication between the health care devices. Configured according to the data format. Since the IEEE 11073 layer 325 configures the biosignal data according to IEEE 11073, which is a standard scheme proposed by the CHA, the user terminal 32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a multi-agent of various biometric sensors 31 different from each other. Different IEEE 11073-104xx (xx may be any two digit integers) may be loaded. Subsequently, the transport layer 326 inserts additional data for checking transmission completion into data according to a standard relating to communication between the health care devices. The hardware layer 327 generates a packet including data output from the transport layer 326 according to a standard for communication between health care devices and transmits the packet to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r 33 through the physical layer 35. do. In this case, the hardware layer 327 may support at least one of Bluetooth, USB, or Zigbee.

생체 정보 관리자(33)에 탑재되는 프로토콜 스택은 생체 정보 관리 응용 계층(331), IEEE 11073 계층(332), 전송계층(333), 하드웨어 계층(124)으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32)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순서에 따라 상기 각 구성들을 설명하면, 하드웨어 계층(334)은 건강 관리 기기들간의 통신에 관한 규격에 따라 물리 계층(35)을 통해 사용자 단말(32)로부터 수신한 패킷으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한다. 전송 계층(333)은 상기 추출된 데이터에 포함된 부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데이터에 포함된 생체 신호 데이터의 전송 완료 여부를 확인한다. IEEE 11073 계층(332)에는 서로 다른 다수의 IEEE 11073-104xx(xx는 임의의 두 자리 정수)가 포함되는데, 그 이유는 생체 정보 관리자(33)의 경우 서로 다른 다수의 생체 정보 에이전트로부터 생체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기 때문이다. IEEE 11073 계층(332)에서 추출된 생체 신호는 생체 정보 관리 응용 계층(331)으로 전달되어 생체 정보의 분석, 검토 등의 관리가 이루어진다.The protocol stack mount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r 33 includes a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application layer 331, an IEEE 11073 layer 332, a transmission layer 333, and a hardware layer 124. Referring to the above components in the order of receiving signals from the user terminal 32, the hardware layer 334 from the user terminal 32 through the physical layer 35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 for communication between health care devices Extract data from the received packet. The transport layer 333 confirms whether transmission of the biosignal data included in the extracted data is completed using the additional data included in the extracted data. The IEEE 11073 layer 332 includes a number of different IEEE 11073-104xx (xx is any two digit integers), for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r 33, the biosignal data from a number of different biometric information agents. Because it receives. The biosignal extracted from the IEEE 11073 layer 332 is transferred to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application layer 331 to manage and analyze biometric informa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정보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정보 관리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정보 관리 방법에도 적용된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aging biometr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method for managing biometric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steps that are processed in time series in the user terminal 100 illustrated in FIG. 1. Therefore, even if omitted below, the content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user terminal 100 illustrated in FIG. 1 also apply to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401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은 생체 센서의 생체 신호 처리 프로토콜 포맷에 따른 생체 신호 데이터를 수신한다. 402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은 상기 생체 신호 처리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프로토콜 스택을 구비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생체 신호 데이터로부터 생체 신호를 추출한다. 403 단계에서는 상기 추출된 생체 신호 데이터를 건강 관리 기기들간의 통신에 관한 규격에 따른 데이터 포맷으로 구성함으로써 종료된다.In operation 401, the user terminal receives biosignal data according to a biosignal processing protocol format of the biometric sensor. In operation 402, the user terminal includes a protocol stack supporting the biosignal processing protocol, and extracts the biosignal from the biosignal data using the protocol stack. In step 403, the extracted biosignal data is terminated by configuring the extracted biosignal data into a data format according to a standard for communication between health care devices.

도 5는 도 4의 401 단계의 구체적인 세부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specific detailed steps of step 401 of FIG. 4.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이 생체 센서의 생체 신호 처리 프로토콜 포맷에 따른 생체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세부적으로 생체 센서의 통신 방식에 따라 수신한 패킷으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고(501 단계), 상기 추출된 데이터에 포함된 부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데이터에 포함된 생체 신호 데이터의 수신 완료 여부를 확인(502 단계)하는 단계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5, when the user terminal receives the biosignal data according to the biosignal processing protocol format of the biometric sensor, the data is extracted from the received packet in detail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biometric sensor (step 501). Checking whether the reception of the biosignal data included in the extracted data is completed using the additional data included in the extracted data (step 502).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정보 관리 방법에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600)의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정보 관리 방법에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600)은 센서측 통신부(110), 신호 해석부(120), 신호 변환부(130), 관리측 통신부(140) 및 생체 정보 관리부(610)를 포함할 수 있다. 6 is a block diagram of a user terminal 600 used in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the user terminal 600 used in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nsor-side communication unit 110, a signal analysis unit 120, a signal conversion unit 130, and a management side. The communication unit 140 and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unit 610 may be included.

센서측 통신부(110)는 다수의 생체 센서들(11, 12, 13)로부터 각각의 생체 신호 처리 프로토콜 포맷에 따른 생체 신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센서측 통신부(110)는 다수의 생체 센서들(11, 12, 13)이 사용하는 통신방법을 모두 지원한다. 특히, 생체 센서가 저전력의 RF(Radio Frequency) 방식, 블루투스 방식, 무선 USB(Universal Serial Bus) 방식,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 무선 랜 방식 무선 통신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상시적인 모니터링이 이루어지는 생체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전력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sensor-side communication unit 110 may receive biosignal data according to each biosignal processing protocol format from the plurality of biometric sensors 11, 12, and 13. The sensor-side communication unit 110 supports all communication methods used by the plurality of biometric sensors 11, 12, and 13. In particular, when the biometric sensor uses a low power RF (Radio Frequency), Bluetooth, wireless USB (Universal Serial Bus),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or wireless LAN method, Efficient power savings can be achieved i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s.

신호 해석부(120)는 센서측 통신부(110)에서 수신한 생체 신호 데이터를 해석할 수 있다. 즉, 수신된 생체 신호 데이터는 생체 센서의 생체 정보 처리 프로토콜 포맷에 따라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로부터 생체 신호를 추출한다.The signal analyzer 120 may analyze the biosignal data received by the sensor-side communication unit 110. That is, since the received biosignal data is configured according to the biometric information processing protocol format of the biometric sensor, the biosignal data is extracted therefrom.

상기 추출된 생체 신호가 외부의 생체 정보 관리자(20)로의 전송 대상에 해당되는 경우, 신호 변환부(130)는 상기 신호 해석부(120)에서 추출된 생체 신호를 상기 건강 관리 기기들간의 통신에 관한 규격에 따른 데이터 포맷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생체 신호는 관리자측 통신부(140)를 통해 생체 정보 관리자(20)에게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건강 관리 기기들간의 통신에 관한 규격은 CHA 인증제품들과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CHA에서 표준방식으로 제안하는 IEEE 11073 방식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CHA 인증의 표준방식을 사용하지 않는 기존의 생체 센서들도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서 CHA 제안의 표준방식을 사용하는 생체 정보 관리자(20)에게 생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extracted biosignal corresponds to a transmission target to an external biometric information manager 20, the signal converter 130 may transmit the biosignal extracted by the signal analyzer 120 to communication between the health care devices. It consists of a data format according to the relevant standard. The bio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r 20 through the manager side communication unit 140. The standard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health care devices may be an IEEE 11073 method proposed by the CHA as a standard method to ensure compatibility with CHA certified products. As a result, the existing biometric sensors that do not use the standard method of CHA authentication may transmit the biosignal to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r 20 using the standard method of the CHA proposal through the user terminal 100.

한편, 상기 추출된 생체 신호가 외부의 생체 정보 관리자(20)로의 전송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상기 추출된 생체 신호는 생체 정보 관리부(610)에 저장되어 관리된다. 생체 정보 관리부(610)는 생체 센서들(11, 12, 13)에서 측정된 생체 신호들에 대한 분석 및 검토 등을 수행하여 건강상태를 체크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00)과 같이 사용자 단말이 생체 정보 에이전트로만 기능하는 경우 생체 정보 관리자(20)에서 수행하던 기능과 동일한 기능을 생체 정보 관리부(610)에서 수행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extracted biosignal does not correspond to a transmission target to the external biometric information manager 20, the extracted biosignal is stored and managed in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r 610.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unit 610 may perform a function of checking the health state and providing appropriate feedback according to the analysis and review of the biosignals measured by the biometric sensors 11, 12, and 13. . That is, when the user terminal functions only as the biometric information agent as shown in FIG. 1,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unit 610 may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that performed by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r 20.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600) 내부에 생체 정보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생체 정보 관리부(610)를 포함함으로써 생체 센서(11, 12, 13)로부터 수신한 생체 신호를 생체 정보 관리자(20)에게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으로 구성할 필요 없이 신호 해석부(120)로부터 직접적인 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600)은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00)처럼 생체 센서로부터 생체 신호들을 수집하고 이를 생체 정보 관리자에게로 전달하는 생체 정보 에이전트로써 동작할 뿐만 아니라, 수집한 생체 신호들에 대한 분석 및 검토를 수행하고 그에 따라 피드백을 제공하는 생체 정보 관리자로써 동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As such, by includ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unit 610 that performs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function inside the user terminal 600, transmitting the biosignal received from the biometric sensors 11, 12, and 13 to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r 20.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directly transmitted from the signal analysis unit 120 without having to configure the data format for. That is, the user terminal 600 illustrated in FIG. 6 operates as a biometric information agent that collects biometric signals from a biometric sensor and transmits the biosignals to a biometric information manager like the user terminal 100 illustrated in FIG. 1. It is also possible to act as a bioinformation manager that performs analysis and review on one biosignal and thus provides feedback.

따라서, 사용자 단말(600)이 직접 생체 센서들(11, 12, 13)로부터 수신한 생체 신호뿐만 아니라 외부의 다른 생체 정보 에이전트(30)가 다른 생체 센서들(미도시)로부터 수신한 생체 신호를 전송 받아서 생체 정보 관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앞서 언급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용 정보 처리 장치를 사용자 단말로써 활용하는 경우라면 간단한 소프트웨어의 설치만으로도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사용자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생체 정보 관리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ly, the biosignal received directly by the user terminal 600 from the biometric sensors 11, 12, and 13, as well as the biosignal received by another external biometric information agent 30 from other biometric sensors (not shown). Receives the transmission can perform the role of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In particular, if the above-mentioned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uch as a smartphone or tablet PC is utilized as a user terminal, it is possible to implement such a function by installing a simple software, and users can manage biometric information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It is possible to use the service.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정보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정보 관리 방법은 도 6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6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6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6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정보 관리 방법에도 적용된다.7 is a flow chart of a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the method for managing biometric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steps that are processed in time series in the user terminal 600 illustrated in FIG. 6. Therefore, even if omitted below,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user terminal 600 illustrated in FIG. 6 is applied to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701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은 생체 센서의 신호 처리 프로토콜에 따른 생체 신호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 구체적인 세부 내용은 도 5의 설명부분의 내용과 같다. 702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은 상기 수신된 생체 신호 데이터로부터 생체 신호를 추출한다. 703 단계에서는 상기 추출된 생체 신호가 외부의 생체 정보 관리자로의 전송 대상에 해당되는 생체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상기 703 단계에서 생체 신호가 외부의 생체 정보 관리자로의 전송 대상이라고 판단된 경우라며 상기 추출된 생체 신호를 건강 관리 기기들간의 통신에 관한 규격에 따른 데이터 포맷으로 구성한 후(704 단계) 이를 생체 정보 관리자에게 전송한다.(705 단계) 반대로 상기 703 단계에서 생체 신호가 외부의 생체 정보 관리자로의 전송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라면 상기 추출된 생체 신호는 사용자 단말 내부의 생체 정보 관리부에 저장되어 관리된다.In operation 701, the user terminal receives biosignal data according to a signal processing protocol of the biometric sensor. Details thereof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description of FIG. 5. In operation 702, the user terminal extracts a biosignal from the received biosignal data. In step 703,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extracted biosignal is a biosignal corresponding to a transmission target to an external biometric information manager. If it is determined in step 703 that the biosignal is the target of transmission to an external biometric information manager, the extracted biosignal is configured in a data format according to a standard for communication between health care devices (step 704). If it is determined in step 703 that the biosignal does not correspond to a transmission target to an external biometric information manager, the extracted biosignal is transmitted to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unit inside the user terminal. Stored and managed.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ritten as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in a computer, and can be implemented in a general-purpose digital computer that operates the program using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data us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rough various means.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 storage medium such as a magnetic storage medium (e.g., ROM, floppy disk, hard disk, etc.), optical reading medium (e.g., CD ROM,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예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1, 12, 13 : 생체 센서 20 : 생체 정보 관리자
100, 600 : 사용자 단말 110 : 센서측 통신부
120 : 신호 해석부 130 : 신호 변환부
140 : 관리측 통신부 610 : 생체 정보 관리부
11, 12, 13: biometric sensor 20: biometric information manager
100, 600: user terminal 110: sensor side communication unit
120: signal analysis unit 130: signal conversion unit
140: management unit communication unit 610: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unit

Claims (16)

건강 관리 기기들간의 통신에 관한 규격을 따르지 않는 생체 센서로부터 수신된 생체 신호를 상기 규격에 따라 규격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생체 센서로부터 상기 생체 센서의 생체 신호 처리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형식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서로 다른 다수의 생체 신호 처리 프로토콜들 중 상기 생체 신호 처리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수신된 생체 신호 데이터로부터 생체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생체 신호를 상기 규격에 따른 데이터 형식의 생체 신호 데이터로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규격화 방법.
A method of normalizing a biosignal received from a biometric sensor that does not conform to a standard relating to communication between health care devices according to the above standard,
Receiving biosignal data in a data format according to a biosignal processing protocol of the biometric sensor from the biometric sensor;
Extracting a biosignal from the received biosignal data according to the biosignal processing protocol among a plurality of different biosignal processing protocols; And
And configuring the extracted biosignal into biosignal data in a data format according to the stand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격화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은 복수 개의 서로 다른 생체 센서들의 생체 신호 처리 프로토콜들을 지원하는 프로토콜 스택을 구비하고,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토콜 스택에 의해 지원되는 생체 신호 처리 프로토콜들 중 상기 생체 센서의 생체 신호 처리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수신된 생체 신호 데이터로부터 생체 신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terminal performing the standardization method includes a protocol stack supporting biosignal processing protocols of a plurality of different biometric sensors,
Wherein the extracting comprises extracting a biosignal from the received biosignal data according to a biosignal processing protocol of the biosensor among biosignal processing protocols supported by the protocol sta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서로 다른 다수의 통신 방식들 중 상기 생체 신호의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생체 센서로부터 상기 생체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규격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receiving method may include receiving the biosignal data from the biometric sensor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method of the biosignal among a plurality of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규격화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은 복수 개의 서로 다른 생체 센서들의 통신 방식들을 지원하는 하드웨어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하드웨어 모듈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방식들 중 상기 생체 센서의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생체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terminal performing the standardization method includes a hardware module supporting communication methods of a plurality of different biometric sensors,
The receiving method may include receiving the biosignal data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method of the biometric sensor among communication methods supported by the hardware modu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웨어 모듈은 RF(Radio Frequency) 방식, 블루투스 방식, 무선 USB(Universal Serial Bus) 방식,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 무선 랜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hardware module is a standardiz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supports at least one of a radio frequency (RF) method, a Bluetooth method, a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USB) method,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method, a wireless LAN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생체 신호를 IEEE 11073에 따른 데이터 형식의 생체 신호 데이터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figuring step,
And the biosignal data is configured as biosignal data in a data format according to IEEE 1107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격화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은 상기 규격에 따른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하드웨어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규격에 따른 데이터 형식으로 구성된 생체 정보 데이터를 외부의 생체 정보 관리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terminal performing the standardization method includes a hardware module supporting a communication scheme according to the standard.
And transmitting the biometric data configured in the data format according to the standard to an external biometric information manag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규격화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은 생체 신호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생체 정보 관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생체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직후에, 상기 수신된 생체 신호 데이터가 상기 생체 정보 관리자로의 전송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전송 대상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생체 정보 관리부에서 상기 생체 신호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terminal performing the standardization method includes a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storing and managing biosignal data.
Immediately after receiving the biosignal data, the biosignal data management unit stores the biosignal data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eived biosignal data is not a transmission target by determining whether the received biosignal data is a transmission target to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r. Standardiz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management.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한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8.
건강 관리 기기들간의 통신에 관한 규격을 따르지 않는 생체 센서로부터 수신된 생체 신호를 상기 규격에 따라 규격화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상기 생체 센서로부터 상기 생체 센서의 생체 신호 처리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형식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센서측 통신부;
서로 다른 다수의 생체 신호 처리 프로토콜들 중 상기 생체 신호 처리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수신된 생체 신호 데이터로부터 생체 신호를 추출하는 신호 해석부; 및
상기 신호 해석부에서 추출된 생체 신호를 상기 규격에 따른 데이터 형식의생체 신호 데이터로 구성하는 신호 변환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A user terminal for normalizing a biosignal received from a biometric sensor that does not conform to a standard relating to communication between health care devices according to the above standard,
A sensor-side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receive biosignal data in a data format according to a biosignal processing protocol of the biosensor from the biosensor;
A signal analyzer extracting a biosignal from the received biosignal data according to the biosignal processing protocol among a plurality of different biosignal processing protocols; And
And a signal converter configured to configure the biosignal extracted by the signal analyzer into biosignal data having a data format according to the standar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해석부는 복수 개의 서로 다른 생체 센서들의 생체 신호 처리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프로토콜 스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The method of claim 10,
The signal analyzer comprises a protocol stack for supporting a biosignal processing protocol of a plurality of different biometric sensors.
제10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서로 다른 생체 센서들의 통신 방식들을 지원하는 하드웨어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The method of claim 10,
The user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hardware module supporting communication schemes of a plurality of different biometric sensor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웨어 모듈은 RF(Radio Frequency) 방식, 블루투스 방식, 무선 USB(Universal Serial Bus) 방식,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 무선 랜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
The method of claim 12,
The hardware module is a user terminal supporting at least one of a radio frequency (RF) method, a Bluetooth method, a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USB) method,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method, and a wireless LAN metho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변환부는 상기 생체 신호를 IEEE 11073에 따른 데이터 형식의 생체 신호 데이터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The method of claim 10,
The signal converter is configured to configure the bio-signal in the bio-signal data of the data format according to IEEE 1107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규격에 따른 데이터 형식의 생체 신호 데이터를 상기 규격을 지원하는 하드웨어 모듈을 이용하여 외부의 생체 정보 관리자로 전송하는 관리자측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The method of claim 10,
And a manager-side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transmit biosignal data having a data format according to the standard to an external biometric information manager using a hardware module supporting the standard.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해석부에서 추출된 생체 신호에 대한 분석, 검토 등의 관리를 수행하는 생체 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생체 정보 관리부는 상기 추출된 생체 신호가 상기 생체 정보 관리자로의 전송 대상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추출된 생체 신호를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6. The method of claim 15,
It further comprises a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the analysis, review, etc. of the bio-signals extracted from the signal analysis unit,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unit stores and manages the extracted bio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xtracted biosignal is not a transmission target to the biometric information manager.
KR1020110014648A 2011-02-18 2011-02-18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biological information KR1017478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648A KR101747859B1 (en) 2011-02-18 2011-02-18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biological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648A KR101747859B1 (en) 2011-02-18 2011-02-18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biological inform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150A true KR20120095150A (en) 2012-08-28
KR101747859B1 KR101747859B1 (en) 2017-06-15

Family

ID=46885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648A KR101747859B1 (en) 2011-02-18 2011-02-18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biological inform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785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1166A (en) * 2015-05-06 2016-11-16 전자부품연구원 Device for transmitting a bio-signal
US20190381108A1 (en) * 2018-06-15 2019-12-19 Jeju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Composition for improving bone health, including functional fermented material using oyster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1166A (en) * 2015-05-06 2016-11-16 전자부품연구원 Device for transmitting a bio-signal
US20190381108A1 (en) * 2018-06-15 2019-12-19 Jeju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Composition for improving bone health, including functional fermented material using oysters
US10980842B2 (en) * 2018-06-15 2021-04-20 Jeju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Composition for promotng bone formation with fermented oysters and seawe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7859B1 (en) 201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47369B (en) Gateway equipment used for telemedicine and realization method for telemedicine
CN201524072U (en) Centralized control monitoring device with function of physiology parameter multichannel wireless collection
Deshpande et al. Iot based real time ecg monitoring system using cypress wiced
CN105405842A (en) Self-powered and battery-assistant CMOS wireless biosensing IC platform
EP2492831A1 (en) Biomedical device with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function and method thereof for user identification, biomedical data measurement, biomedical data upload/download, biomedical data management, and remote medical care
KR20100019084A (en) Handheld heathcare device and system for transmitting healthcare information using the same
CN103598884A (en) Portable remote electrocardiogram detection system based on mobile platform
US1141916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pairing of devices
CN101808125A (en) Remote medical service system using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tandard and method thereof
CN103310608A (en) Separated wireless data acquisition unit used for health cloud platform and acquisition method of unit
EP1917906B1 (en) Measurement data communication device, information acquiring device, and system
US9685075B2 (en) Data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and devices for data communication between electronic device with serial data output and client device with audio port
CN105426699A (en) Physiological data collecting and processing method
CN101795296A (en) Remote medical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based on GPRS network
US2024017950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pairing of devices
Singh et al. Design and validation of wearable smartphone based wireless cardiac activity monitoring sensor
KR2012009515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biological information
KR20070113014A (en) The home health care system based wpan
CN201658418U (en) Remote medical service system based on GPRS network
CN103099608B (en) Remote family health information acquiring method based on 3rd-generation (3G) wireless network
CN201663617U (en) Remote medical service system adopting GPRS network
CN201798738U (en) Network-based electrophysiological detection system
Led et al. Wearable electrocardiogram (ECG) recorder for a Mobile Point-of-Care based on recent interoperability standards
CN202979003U (en) Home health care gateway system with Bluetooth
CN201870623U (en) Networked multiple physiological parameters detecting instrument an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