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4422A -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4422A
KR20120094422A KR1020120011247A KR20120011247A KR20120094422A KR 20120094422 A KR20120094422 A KR 20120094422A KR 1020120011247 A KR1020120011247 A KR 1020120011247A KR 20120011247 A KR20120011247 A KR 20120011247A KR 20120094422 A KR20120094422 A KR 20120094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reservation
management list
information
content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1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호
Original Assignee
(주)휴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맥스 filed Critical (주)휴맥스
Publication of KR20120094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44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04N21/4325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by playing back content from the storag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1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grid, e.g. sorted out by channel and broadcast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6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recommendation lists, e.g. of programs or channels sorted out according to their sco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다양한 컨텐츠들의 사용 관리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컨텐츠에 접속 가능한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장치의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방법은, 방송 프로그램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리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및 컨텐츠 재생 예약을 지시하는 이벤트 신호에 상응하여 재생 예약 컨텐츠의 정보를 컨텐츠 관리 목록에 별도로 표시된 시간축의 해당 예약 시간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용 가능한 모든 컨텐츠의 예약 상황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보다 효율적으로 다양한 콘텐츠의 이용 계획을 세우고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MANAGEMENT LIST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컨텐츠 관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및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다양한 콘텐츠의 예약 목록을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사무실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장치간의 상호 호환(interoperability)을 위하여 준수해야하는 가이드라인을 제정하고 가이드라인의 준수 여부를 인증하는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표준화가 최근까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DLNA는 홈 네트워크로 연결된 디지털 AV 기기나 퍼스널 컴퓨터등의 다양한 장치들 간 상호 호환(interoperability)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악, 동화상, 정지화상 등의 컨텐츠를 홈네트워크내의 다양한 장치들간에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홈 네트워크 내 DLNA 인증을 받은 기기들은 유무선망을 통하여 상호 호환이 된다. 즉, DLNA는 UPnP(Universal Plug and Play)를 근간으로 하여, 서로 다른 제조업체들의 가전제품, PC, 무선기기 등의 디지털 장치가 유무선 홈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접속하여 컨텐츠를 공유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DLNA의 특징에 의거하여 DLNA 인증 단말들 간에는 컨텐츠의 공유가 가능하다. 저장영역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DLNA 인증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문자 기반의 질의어를 전송하고 각 단말에서 질의어와 유사한 컨텐츠를 검색하여 해당 컨텐츠를 홈 네트워크를 통해 DLNA 인증된 기기들간에 공유하게 된다.
또한, 디지털 컨버전스의 한 유형으로 초고속 인터넷망을 통하여 정보, 동영상, 음악, 방송 등의 다양한 컨텐츠가 제공되는 IPTV가 상용화 되어 사용자가 자신이 편리한 시간에 보고 싶은 프로그램만 볼 수 있게 되었고, 스마트폰등과 같은 다양한 휴대 단말을 통해 단말에 저장된 컨텐츠를 직접 재생하거나 인터넷 상의 서버로부터 스트리밍을 통해 재생할 수 있게 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컨텐츠의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DLNA 등을 통해 컨텐츠가 서로 공유되어 장치에 상관없이 컨텐츠들을 재생할 수 있게 되면서 사용자 측면에서 편리하고 효율적인 컨텐츠 관리가 더욱 절실하게 되었다.
현재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의 정보를 제공하고,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 또는 녹화의 예약을 관리할 수 있는 대표적인 어플리케이션으로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 Electronic Program Guide)가 사용되고 있다. EPG 정보는 디지털 지상파 방송, IPTV 또는 케이블 방송을 통해 방영되는 각종 프로그램에 대한 안내 정보로서 시청자의 프로그램 선택에 도움을 주고,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예약한 프로그램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는 디지털 공중파 방송, IPTV 또는 케이블 TV 방송 서비스에 특화되어 공중파 방송, 케이블 TV 또는 IPTV의 각 채널별 방송 정보만 제공하기 때문에 DLNA 또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다양한 컨텐츠들의 재생, 녹화 또는 예약시청 등을 EPG를 통해서는 관리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지털 공중파 방송이나 IPTV 또는 케이블 TV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는 해당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EPG를 통해 관리하고, 그 이외의 다양한 컨텐츠들에 대해서는 재생, 녹화, 예약 등의 관리를 별도로 수행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컨텐츠들의 사용 관리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컨텐츠들의 사용 관리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방법은, 방송 프로그램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리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및 컨텐츠 재생 예약을 지시하는 이벤트 신호에 상응하여 재생 예약 컨텐츠의 정보를 상기 컨텐츠 관리 목록에 별도로 표시된 시간축의 해당 예약 시간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재생 예약 컨텐츠의 정보를 상기 컨텐츠 관리 목록에 별도로 표시된 시간축의 해당 예약 시간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재생 예약을 지시하는 이벤트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재생 예약 컨텐츠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재생 예약 컨텐츠 정보를 해당 예약 시간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재생 예약 컨텐츠의 정보는 파일명, 파일 위치, 파일 크기, 재생 시간 및 파일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생 예약 컨텐츠의 정보를 상기 컨텐츠 관리 목록에 별도로 표시된 시간축의 해당 예약 시간에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소정의 컨텐츠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소정 컨텐츠의 전체 재생 구간 중 사용자가 재생 구간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선택한 재생 구간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예약 시간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관리 목록은 재생이 예약된 컨텐츠가 복수인 경우, 재생이 예약된 복수의 컨텐츠 각각을 유형별로 구분하고, 구분된 각각의 컨텐츠 유형을 상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별개의 시간축 항목으로 표시한 후, 각 시간축 항목의 해당 예약 시간에 해당 컨텐츠 예약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 재생 예약을 지시하는 이벤트 신호에 상응하여 재생 예약 컨텐츠의 정보를 상기 컨텐츠 관리 목록에 별도로 표시된 시간축의 해당 예약 시간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재생 예약을 지시하는 이벤트 신호에 상응하여 예약 시간에 재생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검색하여 컨텐츠 추천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상기 컨텐츠 추천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및 표시된 상기 컨텐츠 추천 목록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소정의 재생 예약 컨텐츠의 정보를 상기 컨텐츠 관리 목록에 별도로 표시된 시간축의 해당 예약 시간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 추천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는, 컨텐츠의 재생 시간,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 이력 및 사용자의 컨텐츠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정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 관리 목록은 상기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상기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각각 저장된 컨텐츠, DLNA를 통해 연결된 컨텐츠 및 인터넷을 통해 재생 가능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재생 예약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및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통신부와, 사용자의 키조작을 통해 제공된 키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이벤트 신호를 제공하는 입력부와, 상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리 목록을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제공된 컨텐츠 재생 예약을 지시하는 이벤트 신호에 상응하여 재생 예약 컨텐츠의 정보를 상기 컨텐츠 관리 목록에 별도로 표시된 시간축의 해당 예약 시간에 표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상응하여 상기 컨텐츠 관리 목록의 표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에 따르면, 디지털 공중파 방송, IPTV 또는 케이블 TV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뿐만 아니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각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DLNA를 통해 공유된 컨텐츠, 인터넷을 통해 재생 가능한 컨텐츠들 중 사용자가 시청, 재생 또는 녹화를 예약한 컨텐츠 정보를 통합하여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 가능한 모든 컨텐츠의 예약 상황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보다 효율적으로 다양한 콘텐츠의 이용 계획을 세우고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목록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컨텐츠 재생 예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컨텐츠 추천 목록 추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목록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목록(100)은 디지털 공중파 방송 또는 IPTV를 통해 제공되는 다채널 디지털 방송의 각 채널별 프로그램 정보와 사용자가 시청 또는 녹화를 예약한 프로그램 정보(110) 및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다양한 컨텐츠의 재생 예약 정보(150)를 통합하여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관리 목록(100)은 디지털 공중파 방송, IPTV 또는 케이블 TV를 통해 제공되는 복수의 채널 각각에 대한 시간별 방송 정보(100)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시청 또는 녹화를 예약한 특정 프로그램 정보(예를 들면, 프로그램 제목)를 다른 프로그램과 구분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텐츠 관리 목록(100)는 사용자가 시청 또는 녹화를 예약한 특정 프로그램 정보(111)에 대해 그래픽 및/또는 텍스트를 통해 다른 프로그램 정보와 구분 가능하도록 표시한다.
또한, 컨텐츠 관리 목록(100)은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장치에 저장되거나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장치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다양한 장치의 로컬 영역에 저장된 컨텐츠(File), DLNA를 통해 공유된 컨텐츠(DLNA),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거나 재생 가능한 컨텐츠(IP Play)들 중 사용자가 재생 또는 녹화를 예약한 컨텐츠의 정보(151)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로컬 영역에 저장된 컨텐츠(File), DLNA를 통해 공유된 컨텐츠(DLNA),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거나 재생가능한 컨텐츠(IP Play)들 중 사용자가 재생 또는 녹화를 예약한 컨텐츠 정보는 해당 컨텐츠의 유형별로 구분되고, 구분된 컨텐츠 유형은 각각 별도의 시간축 항목(153, 154, 155)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가 예약한 해당 시간에 다른 프로그램 정보와 구분 가능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목록(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다양한 장치의 로컬 영역에 저장된 컨텐츠(File), DLNA를 통해 공유된 컨텐츠(DLNA) 및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거나 재생가능한 컨텐츠(IP Play)를 각각 별도의 시간축(153, 154, 155)으로 표시하고, 사용자가 예약한 해당 시간에 예약 정보(151)를 표시한다. 여기서, 컨텐츠 관리 목록(100)에 표시되는 예약 정보는 해당 콘텐츠의 파일명, 파일 위치, 파일 크기, 재생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관리 목록(100)은 소정 프로그램의 재생, 시청, 녹화 등의 예약을 추가할 수 있는 명령 도구(161) 및 이미 예약된 내용을 삭제 또는 취소할 수 있는 명령 도구(162)를 포함할 수 있고, 컨텐츠 관리 목록(100)의 표시 정보가 한 화면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수직 및/또는 수평 스크롤 도구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목록(100)은 디지털 공중파 방송, IPTV, 케이블 TV 방송 프로그램 정보(110) 뿐만 아니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각 장치의 로컬 영역에 저장된 컨텐츠, DLNA를 통해 공유된 컨텐츠, 인터넷을 통해 재생 가능한 컨텐츠들 중 사용자가 시청, 재생 또는 녹화를 예약한 컨텐츠 정보(150)를 통합하여 동시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모든 컨텐츠의 예약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보다 효율적으로 다양한 콘텐츠의 이용 계획을 세우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컨텐츠 재생 예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디지털 공중파 방송, IPTV 방송 또는 케이블 TV 방송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여 상기 획득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리 목록을 표시한다(단계 201).
이후,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장치는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녹화 또는 소정 컨텐츠의 재생을 예약하기 위한 예약 이벤트가 발생되었는가를 판단하고(단계 203), 예약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발생된 예약 이벤트가 컨텐츠 재생을 위한 예약 이벤트인가 아니면 방송 프로그램 시청을 위한 예약 이벤트인가를 판단한다(단계 205). 여기서, 컨텐츠 재생을 위한 예약 이벤트는 디지털 공중파 방송, IPTV 방송 또는 케이블 TV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이나 녹화를 위한 예약 이외의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장치의 저장장치나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양한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DLNA를 통해 연결된 컨텐츠 또는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거나 재생가능한 컨텐츠의 재생을 예약하기 위한 이벤트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예약 이벤트는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장치에 마련된 조작 키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해당 키를 사용자가 조작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다.
단계 205에서 판단결과, 예약 이벤트가 컨텐츠 재생을 위한 것으로 판단되면,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선택한 예약 컨텐츠의 정보를 획득한다(단계 207). 여기서, 상기 예약 컨텐츠의 정보는 해당 컨텐츠의 파일명, 파일 위치, 파일 크기, 재생 시간, 파일 유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소정 컨텐츠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소정 컨텐츠의 전체 재생 구간 중 임의의 구간을 선택하여 재생을 예약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이와 같은 경우, 예약 컨텐츠 정보는 컨텐츠의 전체 재생 구간 중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한 예약 구간의 재생 시작 및/또는 재생 종료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장치는 획득한 예약 컨텐츠 정보를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 시간에 표시한다(단계 209). 여기서,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컨텐츠의 유형별로 각각 별도의 시간축 항목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가 예약한 해당 시간에 다른 프로그램 정보와 구분 가능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18시에 DLNA를 통해 공유되는 '뮤직.avi' 파일을 예약한 경우,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DLNA를 별도의 시간축으로 구성한 후 시간 축의 해당 시간(즉, 18:00) 위치에 컨텐츠 정보(예를 들면, 뮤직.avi)를 표시한다.
또는, 사용자가 소정 컨텐츠를 분할하여 소정 컨텐츠의 전제 재생 구간 중 임의의 시점부터 재생 예약을 선택한 경우에는 컨텐츠 관리 목록의 해당 구간에 분할된 컨텐츠의 재생 예약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컨텐츠 재생 목록 중 'A-1' 구간 및 'A-2' 구간에 재생을 예약할 소정 컨텐츠(310)를 선택하고, 선택한 소정 컨텐츠(320)의 특정 재생 구간을 임의로 선택하여 재생을 예약하는 경우,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지정한 소정 컨텐츠의 분할된 재생 구간 정보를 컨텐츠 재생 목록의 해당 구간에 표시한다. 여기서, 컨텐츠 재생 목록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소정 컨텐츠의 전체 재생 구간 중 재생 시작 구간을 지정하면 컨텐츠 재생 목록의 예약 가능 시간의 폭에 상응하여 상기 소정 컨텐츠의 종료 구간을 자동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소정 컨텐츠의 예약 재생 구간의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임의로 지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컨텐츠 재생 목록 중 'A-1'구간에 예약할 소정 컨텐츠(310)를 선택하고, 상기 소정 컨텐츠(310)의 전체 재생 구간 중 예약 재생 시작 시간을 30분으로 지정한 경우, 컨텐츠 재생 목록 제공 장치는 상기 'A-1'구간의 길이를 확인하고, 상기 'A-1'구간의 길이가 20분인 경우 상기 소정 컨텐츠(310)의 예약 재생 종료 시간을 50분으로 자동 지정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상기 'A-1'구간의 길이를 확인한 후, 상기 소정 컨텐츠(310)의 전체 재생 구간 중 예약 재생 구간의 시간 시간 및 종료 시간을 직접 지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후,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장치는 이미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 또는 컨텐츠에 대해 예약 취소(또는 삭제)를 지시하는 이벤트가 발생되었는가를 판단하고(단계 211), 예약 취소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예약 정보를 컨텐츠 관리 목록에서 삭제한다(단계 213).
또한,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장치는 현재 표시된 컨텐츠 관리 목록의 표시 종료를 지시하는 이벤트가 발생되었는가를 판단하고(단계 215), 컨텐츠 관리 목록의 표시 종료를 지시하는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컨텐츠 관리 목록의 표시를 종료한다(단계 217).
도 2의 단계 205에서 예약 이벤트가 컨텐츠 재생을 위한 것이 아닌것으로 판단되면(즉,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녹화 예약을 위한 것),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선택한 시간에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 또는 녹화예약을 표시하고(단계 219), 단계 211로 진행하여 이후의 단계를 수행한다.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방법에서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전자 컨텐츠 관리 목록을 먼저 표시한 후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프로그램 또는 컨텐츠에 대한 예약을 컨텐츠 관리 목록에 표시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컨텐츠 관리 목록을 먼저 표시하지 않고 사용자가 소정의 컨텐츠를 먼저 선택한 후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예약을 명령하는 시점에 컨텐츠 관리 목록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 시간에 컨텐츠가 예약된 것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컨텐츠 추천 목록 추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디지털 공중파 방송, IPTV 방송 또는 케이블 TV 방송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여 상기 획득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리 목록을 표시한다(단계 401).
이후,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장치는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녹화 또는 소정 컨텐츠의 재생을 예약하기 위한 예약 이벤트가 발생되었는가를 판단하고(단계 403), 예약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발생된 예약 이벤트가 컨텐츠 재생을 위한 예약 이벤트인가 아니면 방송 프로그램 시청을 위한 예약 이벤트인가를 판단한다(단계 405).
단계 405에서 판단결과, 예약 이벤트가 컨텐츠 재생을 위한 것으로 판단되면,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장치는 예약 대상 시간에 최적인 컨텐츠를 추천하기 위해 컨텐츠를 검색하고(단계 407), 검색된 컨텐츠 추천 목록을 팝업을 통해 표시한다(단계 409).
구체적으로,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특정 시간에 컨텐츠 예약을 지시하는 명령을 제공하면 컨텐츠의 재생 시간,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 이력, 사용자의 컨텐츠 선호도 등을 고려하여 상기 특정 시간에 최적화된 컨텐츠들을 다양한 경로(예를 들면, DLNA로 공유된 컨텐츠, 인터넷 또는 유 무선네트워크로 연결된 장치)로부터 검색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영화 1'이 종료되는 14시 30분에서 '스포츠 2'가 시작되는 15시 사이의 빈 시간에 재생할 컨텐츠를 예약하고자는 하는 경우,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장치는 상기 14시 30분에서 상기 15시 사이의 30분 동안 재생 가능한 컨텐츠들을 검색하고,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들을 사용자의 미리 설정된 기준(예를 들면, 컨텐츠 사용 이력이나 선호도 등)을 고려하여 정렬한 후 팝업창(510)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09에서 검색된 컨텐츠 추천 목록을 팝업창(510)을 통해 표시한 후, 사용자가 표시된 컨텐츠 추천 목록 중 재생을 예약하고자 하는 소정 컨텐츠를 선택하면, 선택된 해당 컨텐츠 정보를 해당 시간에 표시한다(단계 411). 여기서, 상기 컨텐츠의 정보는 해당 컨텐츠의 파일명, 파일 위치, 파일 크기, 재생 시간, 파일 유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장치는 이미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 또는 컨텐츠에 대해 예약 취소(또는 삭제)를 지시하는 이벤트가 발생되었는가를 판단하고(단계 413), 예약 취소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예약 정보를 컨텐츠 관리 목록에서 삭제한다(단계 415).
또한,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장치는 현재 표시된 컨텐츠 관리 목록의 표시 종료를 지시하는 이벤트가 발생되었는가를 판단하고(단계 417), 컨텐츠 관리 목록의 표시 종료를 지시하는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컨텐츠 관리 목록의 표시를 종료한다(단계 419).
도 4의 단계 405에서 예약 이벤트가 컨텐츠 재생을 위한 것이 아닌것으로 판단되면(즉,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녹화 예약을 위한 것),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선택한 시간에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 또는 녹화예약을 표시하고(단계 421), 단계 413으로 진행하여 이후의 단계를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장치는 통신부(610), 제어부(620), 입력부(630), 출력부(640) 및 저장부(6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610)는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고,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디지털 방송, IPTV 또는 케이블 TV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를 수신하여 제어부(620)에 제공한다.
또한, 통신부(610)는 제어부(620)의 제어에 기초하여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다양한 장치로부터 컨텐츠 파일 및/또는 컨텐츠 파일의 정보를 수신한 후 제어부(620)에 제공한다.
제어부(620)는 통신부(610)를 통해 디지털 공중파 방송, IPTV 방송 또는 케이블 TV 방송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제공받고, 입력부(630)로부터 제공된 키 이벤트 신호에 상응하여 획득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리 목록을 출력부(640)에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620)는 입력부(630)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녹화 또는 소정 컨텐츠의 재생에 대한 예약을 지시하는 키이벤트 신호가 제공되면, 예약 종류에 상응하여 해당 예약 내용을 출력부(64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예약 내용을 저장한다. 여기서, 제어부(620)는 예약 이벤트가 컨텐츠 재생에 관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상응하여 다양한 장치에 존재하는 컨텐츠의 목록을 출력부(640)를 통해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의 예약을 선택하면 선택된 해당 컨텐츠의 정보(예를 들면, 컨텐츠 파일명, 파일 위치, 파일 크기, 재생 시간, 파일 유형 등)를 컨텐츠가 저장된 장치로부터 획득한 후, 상기 해당 컨텐츠의 유형을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별개의 시간축 항목으로 표시한 후, 표시된 항목의 해당 예약 시간에 예약 컨텐츠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620)는 사용자가 소정 컨텐츠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소정 컨텐츠의 전체 재생 구간 중 재생 예약 구간을 임으로 선택하여 재생을 예약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부(640)를 통해 표시하고, 사용자가 컨텐츠의 전체 재생 구간 중에서 임의로 선택한 예약 구간의 재생 시작 및/또는 재생 종료 정보를 획득하여 컨텐츠 관리 목록의 해당 시간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620)는 입력부(630)로부터 이미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 또는 컨텐츠에 대해 예약 취소(또는 삭제)를 지시하는 키이벤트가 제공되는 경우, 해당 예약 정보를 컨텐츠 관리 목록에서 삭제한다.
또는, 제어부(620)는 예약 이벤트가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 또는 녹화를 지시하는 경우에는, 출력부(640)를 통해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컨텐츠 관리 목록 중 사용자가 선택한 시간의 해당 방송 프로그램에 시청 또는 녹화 예약을 표시하고, 이를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620)는 예약 이벤트가 컨텐츠 재생에 관한 경우, 컨텐츠의 재생 시간,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 이력, 사용자의 컨텐츠 선호도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예약 대상 시간에 최적인 컨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들을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 이력이나 선호도 등을 고려하여 정렬하여 추천 컨텐츠 목록을 생성한 후, 이를 팝업시켜 표시한다. 이후, 제어부(620)는 사용자가 표시된 추천 컨텐츠 목록 중 재생을 예약하고자 하는 소정 컨텐츠를 선택하면, 선택된 해당 컨텐츠 정보를 출력부(64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컨텐츠 관리 목록 중 해당 시간에 표시한다. 여기서, 제어부(620)는 통신부(610)를 통해 연결된 다양한 장치를 통해 컨텐츠 목록을 제공받고 제공받은 컨텐츠 목록을 검색하여 추천 컨텐츠 목록을 생성할 수도 있고, 통신부(610)를 통해 연결된 다양한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들을 직접 검색하여 추천 컨텐츠 목록을 생성할 수도 있다.
입력부(630)는 적어도 하나의 키로 구성되거나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제공된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RF, 적외선 또는 블루투스 모듈로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의 키조작을 통해 제공된 키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이벤트 신호를 제어부(620)에 제공한다.
출력부(640)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영상 처리 모듈 및/또는 음향 출력 모듈로 구성될 수 있고, 제어부(620)의 제어에 상응하여 영상 신호를 처리한 후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한다.
저장부(650)는 제어부(620)의 제어에 상응하여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및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프로그램 및/또는 컨텐츠 예약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650)는 제어부(620)의 제어에 상응하여 컨텐츠 파일 및/또는 컨텐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컨텐츠 관리 목록
10 : 통신부
20 : 제어부
630 : 입력부
640 : 출력부6
50 : 저장부

Claims (15)

  1.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컨텐츠에 접속 가능한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장치의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방법에 있어서,
    방송 프로그램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리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및
    컨텐츠 재생 예약을 지시하는 이벤트 신호에 상응하여 재생 예약 컨텐츠의 정보를 상기 컨텐츠 관리 목록에 별도로 표시된 시간축의 해당 예약 시간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예약 컨텐츠의 정보를 상기 컨텐츠 관리 목록에 별도로 표시된 시간축의 해당 예약 시간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재생 예약을 지시하는 이벤트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재생 예약 컨텐츠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재생 예약 컨텐츠 정보를 해당 예약 시간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예약 컨텐츠의 정보는
    파일명, 파일 위치, 파일 크기, 재생 시간 및 파일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예약 컨텐츠의 정보를 상기 컨텐츠 관리 목록에 별도로 표시된 시간축의 해당 예약 시간에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소정의 컨텐츠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소정 컨텐츠의 전체 재생 구간 중 사용자가 재생 구간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선택한 재생 구간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예약 시간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리 목록은
    재생이 예약된 컨텐츠가 복수인 경우, 재생이 예약된 복수의 컨텐츠 각각을 유형별로 구분하고, 구분된 각각의 컨텐츠 유형을 상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별개의 시간축 항목으로 표시한 후, 각 시간축 항목의 해당 예약 시간에 해당 컨텐츠 예약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재생 예약을 지시하는 이벤트 신호에 상응하여 재생 예약 컨텐츠의 정보를 상기 컨텐츠 관리 목록에 별도로 표시된 시간축의 해당 예약 시간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재생 예약을 지시하는 이벤트 신호에 상응하여 예약 시간에 재생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검색하여 컨텐츠 추천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상기 컨텐츠 추천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및
    표시된 상기 컨텐츠 추천 목록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소정의 재생 예약 컨텐츠의 정보를 상기 컨텐츠 관리 목록에 별도로 표시된 시간축의 해당 예약 시간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추천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는,
    컨텐츠의 재생 시간,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 이력 및 사용자의 컨텐츠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리 목록은
    상기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상기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각각 저장된 컨텐츠, DLNA를 통해 연결된 컨텐츠 및 인터넷을 통해 재생 가능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재생 예약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방법.
  9.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및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통신부;
    사용자의 키조작을 통해 제공된 키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이벤트 신호를 제공하는 입력부;
    상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리 목록을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제공된 컨텐츠 재생 예약을 지시하는 이벤트 신호에 상응하여 재생 예약 컨텐츠의 정보를 상기 컨텐츠 관리 목록에 별도로 표시된 시간축의 해당 예약 시간에 표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상응하여 상기 컨텐츠 관리 목록의 표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재생 예약을 지시하는 이벤트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재생 예약 컨텐츠의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재생 예약 컨텐츠 정보를 상기 컨텐츠 관리 목록에 별도로 표시된 시간축의 해당 예약 시간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재생이 예약된 컨텐츠가 복수인 경우, 재생이 예약된 복수의 컨텐츠 각각을 유형별로 구분하고, 구분된 각각의 컨텐츠 유형을 상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별개의 항목으로 표시한 후, 각 항목의 해당 예약 시간에 해당 컨텐츠 예약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재생 예약을 지시하는 이벤트 신호에 상응하여 예약 시간에 재생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검색하여 컨텐츠 추천 목록을 생성한 후, 생성된 상기 컨텐츠 추천 목록을 표시하고, 표시된 상기 컨텐츠 추천 목록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소정의 재생 예약 컨텐츠의 정보를 상기 컨텐츠 관리 목록에 별도로 표시된 시간축의 해당 예약 시간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컨텐츠의 재생 시간,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 이력 및 사용자의 컨텐츠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정렬하여 상기 컨텐츠 추천 목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리 목록은
    상기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상기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각각 저장된 컨텐츠, DLNA를 통해 연결된 컨텐츠 및 인터넷을 통해 재생 가능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재생 예약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소정의 컨텐츠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소정 컨텐츠의 전체 재생 구간 중 사용자가 재생 구간을 임의로 선택하여 재생을 예약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표시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재생 구간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컨텐츠 관리 목록의 해당 시간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장치.
KR1020120011247A 2011-02-16 2012-02-03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KR201200944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798 2011-02-16
KR20110013798 2011-02-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422A true KR20120094422A (ko) 2012-08-24

Family

ID=46673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1247A KR20120094422A (ko) 2011-02-16 2012-02-03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13550B2 (ko)
EP (1) EP2677763A4 (ko)
KR (1) KR20120094422A (ko)
CN (1) CN103392347B (ko)
WO (1) WO2012111924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0268A1 (ko) * 2017-09-05 2019-03-14 고현승 컨텐츠 제공 시스템, 컨텐츠 관리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5777A (ko) 2013-11-14 2015-05-22 (주)휴맥스 미디어 컨텐츠 제공 가능 정보 업데이트 시스템 및 방법
WO2018158900A1 (ja) * 2017-03-02 2018-09-07 マクセル株式会社 コンテンツ視聴推奨システム、コンテンツ視聴推奨番組表提示装置、および情報端末
EP4216557A4 (en) * 2020-09-15 2024-02-28 Hisense Visual Tech Co Ltd DISPLAY METHOD AND DISPLAY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6343A (ja) * 1998-01-06 1999-07-21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子番組情報装置、電子番組情報表示方法、色付け方法および予約状況表示方法
JP2005191944A (ja) * 2003-12-25 2005-07-14 Sharp Corp デジタル放送番組予約表示装置
KR20070121312A (ko) * 2006-06-22 2007-12-2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지털 방송 복합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방송 예약 정보등록 방법
US20100333137A1 (en) * 2009-06-30 2010-12-30 Gemstar Development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ent scheduling across multiple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109B1 (ko) * 1998-12-23 2007-10-02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프로그램 수신 장치
US7716704B2 (en) * 2001-06-12 2010-05-11 Thomson Licensing Television program sel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030159145A1 (en) * 2002-02-15 2003-08-21 Louis Kaltz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tuning to a certain data choice based on user content preferences
US7424535B2 (en) * 2002-12-11 2008-09-09 Broadcom Corporation Management of multimedia display content in a media exchange network
KR20050056612A (ko) * 2003-12-10 2005-06-1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방송 프로그램 예약 방법
JP2008060960A (ja) * 2006-08-31 2008-03-13 Sony Corp 番組表作成装置、番組表作成方法
KR101445764B1 (ko) * 2007-11-05 2014-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스트 및 서브리스트 제공방법, 및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US9118884B2 (en) * 2008-12-18 2015-08-25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local DVR scheduling conflict manage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6343A (ja) * 1998-01-06 1999-07-21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子番組情報装置、電子番組情報表示方法、色付け方法および予約状況表示方法
JP2005191944A (ja) * 2003-12-25 2005-07-14 Sharp Corp デジタル放送番組予約表示装置
KR20070121312A (ko) * 2006-06-22 2007-12-2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지털 방송 복합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방송 예약 정보등록 방법
US20100333137A1 (en) * 2009-06-30 2010-12-30 Gemstar Development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ent scheduling across multiple devi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0268A1 (ko) * 2017-09-05 2019-03-14 고현승 컨텐츠 제공 시스템, 컨텐츠 관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11924A3 (ko) 2012-12-20
CN103392347B (zh) 2016-12-14
US9313550B2 (en) 2016-04-12
EP2677763A4 (en) 2014-09-03
US20130326556A1 (en) 2013-12-05
CN103392347A (zh) 2013-11-13
EP2677763A2 (en) 2013-12-25
WO2012111924A2 (ko) 201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43499B2 (en) User defined rules for assigning destinations of content
JP6826642B2 (ja) 双方向メディアガイダンスアプリケーションのためのプロファイルの管理
KR102044015B1 (ko) 연관 미디어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US20110179139A1 (en) Management of profiles for interactive media guidance applications
JP2020534748A (ja) メディアガイドアプリケーションを使用してインターネットアプライアンスをナビゲート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20094422A (ko) 컨텐츠 관리 목록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JP6917918B2 (ja) 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AU2016203665B2 (en) User defined rules for assigning destinations of content
AU2013204324B2 (en) Management of Profiles for Interactive Media Guidance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