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4238A - 대기전력 소비절감 기능을 갖는 풍력발전기 - Google Patents

대기전력 소비절감 기능을 갖는 풍력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4238A
KR20120094238A KR1020110013606A KR20110013606A KR20120094238A KR 20120094238 A KR20120094238 A KR 20120094238A KR 1020110013606 A KR1020110013606 A KR 1020110013606A KR 20110013606 A KR20110013606 A KR 20110013606A KR 20120094238 A KR20120094238 A KR 20120094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wind speed
main
circuit breaker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3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강훈
김주형
조성희
노태석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3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4238A/ko
Publication of KR20120094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42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70Hybrid systems, e.g. uninterruptible or back-up power supplies integrating renewable ener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6Power conversion electric or electronic asp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Wind Motors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기전력 소비절감 기능을 갖는 풍력발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풍력발전기와 부하 계통 사이에 주 변압기와 주 차단기가 직렬 연결됨과 동시에 보조 변압기와 보조 차단기가 직렬 연결되고, 상기 주 차단기 및 보조 차단기는 풍력발전기의 발전상태를 검출하여 풍력발전에 따른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는 구성을 갖는 풍력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풍속 감지부를 부가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로 하여금 풍속 감지부를 통해 검출되는 풍속이 정해진 풍속 이하로 판단될 경우 주 차단기를 개방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풍속이 풍력발전이 불가능한 소정 풍속 이하이어서 풍력 발전 대기 또는 정지상태인 경우 제어기에서 주 차단기를 개방시켜 풍력발전기가 보조 변압기 및 보조 차단기를 통해 부하 계통에 연계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되어 발전 대기 및 정지시 주 변압기에서 불필요하게 소모하는 무부하 전력손실(즉, 대기전력 손실)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대기전력 소비절감 기능을 갖는 풍력발전기{Decreasing the standby power for wind turbine generator system}
본 발명은 대기전력 소비절감 기능을 갖는 풍력발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풍력발전기로 발전 가능한 풍속 이하의 대기 상태에서는 제어기를 통해 주 차단기를 개방하여 풍력발전기가 보조 변압기 및 보조 차단기를 통해 부하 계통에 연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주 변압기에서 손실되는 대기전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풍력발전기는 바람이 지니고 있는 에너지를 우리가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기에너지로 바꿔주는 장치로써 불어오는 바람은 풍력발전기의 날개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생긴 날개의 회전력으로 전기를 생산하여 우리가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풍력발전기는 날개, 변속장치, 발전기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날개는 바람에 의해 회전되어 풍력에너지를 기계적인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이고, 변속장치는 날개에서 발생한 회전력이 중심 회전축을 통해서 변속기어에 전달되어 발전기에서 요구되는 회전수로 높여서 발전기를 회전시키며, 발전기는 날개에서 발생한 기계적인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풍력발전기는 날개의 회전축의 방향에 따라 회전축이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수직축 풍차와 회전축이 지면에 대해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는 수평축 풍차로 구분되는데, 이때 상기 수평축 풍차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설치하기 편리하나 바람의 방향에 영향을 받으며, 상기 수직축 풍차는 바람의 방향에 관계가 없어 사막이나 평원에 많이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지만 그 소재가 비싸고 수평축 풍차에 비해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 상기 풍력발전기는 풍속이 세고, 풍차가 클수록 더 많은 풍력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풍력 발전기의 발전량은 바람의 세기와 풍차의 크기에 의존하고 있고, 또한 높이가 높아질수록 바람이 세게 불기 때문에 높은 곳의 발전기가 낮은 곳의 발전기보다 크고 발전량도 많다. 풍력으로 발전하려면 평균 초속 4m/s 이상으로 부는 바람이 필요하게 되는데, 여기서 말하는 바람의 속도는 우리가 서 있는 땅위가 아니라 풍력 발전기의 날개가 있는 높이에서의 속도를 말한다.
이와 같은 풍력발전기의 효과로는 첫째 바람의 운동에너지를 이용한 발전방식으로 화석연료 대체효과가 매우 크고, 둘째 낙도 등의 낙후 지역에 경제성 있는 전력 보급이 가능하며, 셋째 풍향이 우수한 해안 및 산간지역에 설치함으로써 국내 토지이용을 합리화할 수 있고, 넷째 제주지역과 같은 일부 특정지역의 경우 대규모 풍력발전단지 조성으로 관광자원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 및 특성을 갖는 풍력발전기는 일반적으로 풍력에 의해 생산된 전력을 주 변압기에서 승압하여 주 차단기를 거쳐 계통에 전달하게 되는데, 이때 풍력발전기에서 발전된 전력의 일부는 보조 차단기를 거쳐 보조 변압기에서 소정 전압으로 변환된 후 풍력발전기에 공급되어 풍력발전기 자체에서 소비한다.
그런데 종래 풍력발전기에서는 발전 가능한 풍속 이하의 대기 또는 정지상태에서도 전력소모용 부하 계통에 연계되어 있어서 주 변압기에서 무부하 손실이 발생하여 지속적으로 전력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풍력발전기의 상태를 검출하여 풍력발전에 따른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에 풍속 감지부를 부가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풍속 감지부를 통해 검출되는 풍속이 풍력발전기로 발전 가능한 풍속 이하인 대기 또는 정지상태인지를 판단하여 정해진 풍속 이하로 판단될 경우 주 차단기를 개방시키는 기능을 부가시켜 풍속이 풍력발전이 불가능한 소정 풍속 이하이어서 풍력 발전 대기 또는 정지상태인 경우 제어기에서 주 차단기를 개방시켜 풍력발전기가 보조 변압기 및 보조 차단기를 통해 부하 계통에 연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도록 함으로써 주 변압기에서 손실되는 대기전력을 대폭 절감(즉, 주 변압기에서의 발생되는 무부하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대기전력 소비절감 기능을 갖는 풍력발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와 부하 계통 사이에 주 변압기와 주 차단기가 직렬 연결됨과 동시에 보조 변압기와 보조 차단기가 직렬 연결되고, 상기 주 차단기 및 보조 차단기는 풍력발전기의 발전상태를 검출하여 풍력발전에 따른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는 구성을 갖는 풍력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풍속 감지부를 부가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로 하여금 풍속 감지부를 통해 검출되는 풍속이 정해진 풍속 이하로 판단될 경우 주 차단기를 개방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부에 풍속 감지부를 부가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풍속 감지부를 통해 검출되는 풍속이 풍력발전기로 발전 가능한 풍속 이하인 대기 또는 정지상태인지를 판단될 경우 주 차단기를 개방시키는 기능을 부가시켜 줌으로써 풍속이 풍력발전이 불가능한 소정 풍속 이하이어서 풍력 발전 대기 또는 정지상태인 경우 제어기에서 주 차단기를 개방시켜 풍력발전기가 보조 변압기 및 보조 차단기를 통해 부하 계통에 연계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되어 발전 대기 및 정지시 주 변압기에서 불필요하게 소모하는 무부하 전력손실(즉, 대기전력 손실)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풍력발전 시스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풍력발전 시스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대기전력 소비절감 기능을 갖는 풍력발전기는,
풍력발전기(1)와 부하 계통(3) 사이에 주 변압기(5)와 주 차단기(4)가 직렬 연결됨과 동시에 보조 변압기(7)와 보조 차단기(6)가 직렬 연결되고, 상기 주 차단기(4) 및 보조 차단기(6)는 풍력발전기(1)의 발전상태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풍력발전에 따른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2)에 온/오프 제어되는 구성을 갖는 풍력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에 풍속 감지부(8)를 부가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2)로 하여금 풍속 감지부(8)를 통해 검출되는 풍속이 풍력발전기로 발전 가능한 풍속 이하인 것으로 판단될 경우 주 차단기(4)를 개방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호 직렬 연결된 형태를 갖는 주 변압기(5)와 주 차단기(4) 대비 보조 변압기(7)와 보조 차단기(6)는 상호 병렬 연결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공지된 풍력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부(2)의 입력부에 풍속 감지부(8)를 부가 설치함과 동시에 제어부(2) 내에 기 입력된 제어프로그램의 일부를 변경, 즉 상기 제어부(2)로 하여금 풍속 감지부(8)를 통해 검출되는 풍속이 풍력발전기로 발전 가능한 풍속 이하인 발전 대기 또는 정지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프로그램을 변경시켜, 풍속 자체가 발전이 불가능한 풍속인 정해진 풍속 이하로 판단될 경우(즉, 발전정지 또는 발전 대기 상태로 돌입한 경우) 주 차단기(4)를 개방시켜 풍력발전기(1)가 부하 계통(3)에 연계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무부하 상태의 주 변압기(5)가 대기전력을 소비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공지된 상기 풍력발전 시스템 자체는 풍력발전기(1)와 부하 계통(3) 사이에 주 변압기(5)와 주 차단기(4)가 직렬 연결된 형태를 가짐과 동시에 보조 변압기(7)와 보조 차단기(6)가 직렬 연결되고, 또 상기 주 차단기(4) 및 보조 차단기(6)는 풍력발전기(1)의 발전상태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풍력발전에 따른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2)에 온/오프 제어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풍력발전 시스템에 포함된 풍력발전기(1)는 일반적으로 풍력에 의해 생산된 전력을 주 변압기(5)에 전달하여 승압시킨 후 제어부(2)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는 주 차단기(4)를 통해 전력소모원인 부하 계통(3)에 전달한다.
이때, 상기 풍력발전기(1)에서 발전된 전력의 일부는 제어부(2)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는 보조 차단기(6)를 거쳐 보조 변압기(7)에 공급된 후 풍력발전기(1)의 기본적인 구동에 필요한 소정전압으로 변압된 다음 풍력발전기(1)로 재공급되어 풍력발전기 자체에서 소비하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이 적용된 상기 풍력발전 시스템의 제어부(2)에서는 통상시 입력부에 연결된 풍속 감지부(8)를 통해 풍력발전기(1)의 날개에 전달되고 있는 풍속을 계속 검출하여 자체 내에 기 입력된 소정의 풍속 데이터와 상호 비교하여, 만약 풍력이 소정 풍속 이하인 것(즉, 풍력발전이 불가능한 풍속으로 풍력발전기 자체가 발전 대기 또는 정지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경우 주 차단기(4)를 개방시켜 줌으로써 풍력발전기(1)가 부하 계통(3)에 연계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무부하 상태의 주 변압기(5)가 대기전력을 소비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제어부(2)에서 자체적으로 수집한 풍속 정보를 이용해 이값이 시동 풍속보다 낮은 지정풍속 제한치보다 낮을 경우 주 차단기(4)를 개방시켜 주 변압기(5)를 차단시키고, 지정풍속 제한치보다 높을 경우 주 차단기(4)를 폐쇄시켜 주 변압기(5)를 연결시켜 발전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시동풍속 이하의 풍속 상태인 무부하 상태에서는 주 변압기(5)의 대기전력 소모를 차단할 수 있어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잇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 풍력발전기
2 : 풍력발전기
3 : 부하 계통
4 : 주 차단기
5 : 주 변압기
6 : 보조 차단기
7 : 보조 변압기
8 : 풍속 감지부

Claims (1)

  1. 풍력발전기와 부하 계통 사이에 주 변압기와 주 차단기가 직렬 연결됨과 동시에 보조 변압기와 보조 차단기가 직렬 연결되고, 상기 주 차단기 및 보조 차단기는 풍력발전기의 발전상태를 검출하여 풍력발전에 따른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는 구성을 갖는 풍력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풍속 감지부를 부가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로 하여금 풍속 감지부를 통해 검출되는 풍속이 정해진 풍속 이하로 판단될 경우 주 차단기를 개방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소비절감 기능을 갖는 풍력발전기.










KR1020110013606A 2011-02-16 2011-02-16 대기전력 소비절감 기능을 갖는 풍력발전기 KR201200942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606A KR20120094238A (ko) 2011-02-16 2011-02-16 대기전력 소비절감 기능을 갖는 풍력발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606A KR20120094238A (ko) 2011-02-16 2011-02-16 대기전력 소비절감 기능을 갖는 풍력발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238A true KR20120094238A (ko) 2012-08-24

Family

ID=46885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3606A KR20120094238A (ko) 2011-02-16 2011-02-16 대기전력 소비절감 기능을 갖는 풍력발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423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72757A (zh) * 2014-03-19 2014-06-18 罗雁卿 变压器节能运行装置
CN104734197A (zh) * 2015-04-15 2015-06-24 深圳市长昊机电有限公司 一种双馈式变流器系统及双馈式风力发电机组
CN105305379A (zh) * 2015-10-31 2016-02-03 广东新昇电业科技股份有限公司 工频变压器低空载功耗控制电路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72757A (zh) * 2014-03-19 2014-06-18 罗雁卿 变压器节能运行装置
CN103872757B (zh) * 2014-03-19 2015-10-21 罗雁卿 变压器节能运行装置
CN104734197A (zh) * 2015-04-15 2015-06-24 深圳市长昊机电有限公司 一种双馈式变流器系统及双馈式风力发电机组
CN105305379A (zh) * 2015-10-31 2016-02-03 广东新昇电业科技股份有限公司 工频变压器低空载功耗控制电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1629B2 (en) Wind power plant controller
JP5619278B2 (ja) 風力発電システム及び風力発電システムを用いた装置及びそれらの運転方法
CN104716671B (zh) 一种电网黑启动方法
US20130280072A1 (en) Air-Jet Wind Turbine Generator
CN203627089U (zh) 升力型垂直轴风力发电机组的电驱启动系统
KR20120094238A (ko) 대기전력 소비절감 기능을 갖는 풍력발전기
CN106930899B (zh) 一种风机内的偏航电机的供电系统及供电方法
CN101141066A (zh) 一种利用飞轮储能装置调控可再生能源发电系统的方法
CN105736247A (zh) 风电机组
Visser Real-world development challenges of the Clarkson University 3 meter ducted wind turbine
CN103337878B (zh) 一种直驱电励磁型风电机组低电压穿越的控制方法
CN103615359A (zh) 升力型垂直轴风力发电机组的电驱启动系统及启动方法
CN209692367U (zh) 一种风力发电机组双馈变流器双模运行控制装置
CN205025692U (zh) 一种风力发电系统
CN201428558Y (zh) 风力发电机的软风启动装置
CN205669458U (zh) 一种风机内的偏航电机的供电系统
CN204024920U (zh) 一种双馈风力发电装置
CN202159983U (zh) 一种用于双馈风力发电机的零电压穿越系统
CN101586532A (zh) 软风启动型风力发电机
Liu et al. Research on yaw control system of 1.5 MW double-fed wind power generators
CN202883253U (zh) 风力发电机
CN202165216U (zh) 一种风力发电机
Samantaray et al. A study of wind energy potential in India
CN106837689A (zh) 一种风力发电机组刹车系统的控制方法
CN203057058U (zh) 一种直接输出式风力发电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