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4232A - 유비쿼터스 헬스 케어용 원격 화상 세극등 촬영 장치 - Google Patents

유비쿼터스 헬스 케어용 원격 화상 세극등 촬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4232A
KR20120094232A KR1020110013592A KR20110013592A KR20120094232A KR 20120094232 A KR20120094232 A KR 20120094232A KR 1020110013592 A KR1020110013592 A KR 1020110013592A KR 20110013592 A KR20110013592 A KR 20110013592A KR 20120094232 A KR20120094232 A KR 20120094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slit lamp
ubiquitous
signal
remot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3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3302B1 (ko
Inventor
박상우
Original Assignee
박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우 filed Critical 박상우
Priority to KR1020110013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3302B1/ko
Publication of KR20120094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4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3Ophthalmic microscopes
    • A61B3/135Slit-lamp micr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08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61B3/14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by video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68Medical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athology (AREA)
  • Microscoopes, Condenser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헬스 케어용 원격 화상 세극등 촬영 장치(검안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장치는 피사체를 촬상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검안 현미경 및 상기 검안 현미경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제공받아 해당 영상으로 표출하고, 이를 저장 또는 타 단말로 전송하는 PC(Personal Comput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비쿼터스 헬스 케어용 원격 화상 세극등 촬영 장치{REMOTE MONITORING SLIT LAMP MICROSCOPE DEVICE FOR UBIQUITOUS HEALTH CARE}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헬스 케어용 원격 화상 세극등 촬영 장치(검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피검사자가 눈 검사에 필요한 영상을 직접 촬영하고 이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검사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검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검사자는 눈을 검사받기 위하여 병원을 방문한다.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는 눈을 검사받을 수 없었으며, 이는 피검사자를 불편하게 할 수 있다. 일 예로, 거동이 불편한 피검사자는 병원을 방문하기 힘들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검사자가 눈 검사에 필요한 영상을 직접 촬영할 수 있는검안 현미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측정광을 다양한 각도로 편향시키면서 피검안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는 검안 현미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목적은 피검사자가 눈 검사에 필요한 영상을 직접 촬영하고 이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검사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헬스 케어용 원격 화상 세극등 촬영 장치(검안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눈 검사가 원격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검안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견지로서,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헬스 케어용 원격 화상 세극등 촬영 장치(검안 장치)에 있어서, 피사체를 촬상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검안 현미경 및 상기 검안 현미경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제공받아 해당 영상으로 표출하고, 이를 저장 또는 타 단말로 전송하는 PC(Personal Comput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헬스 케어용 원격 화상 세극등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헬스 케어용 원격 화상 세극등 촬영 장치는 눈 검사에 필요한 영상을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고, 이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가지고 원격으로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눈 검사 시스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안 현미경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안 현미경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ED 보드와 LED 커버의 사시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헬스 케어용 원격 화상 세극등 촬영 장치(검안 장치)의 블럭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피검사자가 눈 검사에 필요한 영상을 직접 촬영하고 이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검사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헬스 케어용 원격 화상 세극등 촬영 장치(이하, 검안 장치라 칭함)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눈 검사 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피검사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안 현미경을 이용하여 눈을 직접 촬영하고 이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검사자에게 제공한다. 검사자는 이 영상을 가지고 피검사자의 눈을 원격으로 진단할 수 있다.
상기 검안 현미경은 PC(Personal Computer)와 USB(Universal Serial Bus) 케이블로 연결되어, 상기 PC로부터 전류(예 ; 500mA)를 제공받아 구동하고 촬상 신호를 상기 PC로 전송한다. 상기 촬상 신호는 결상한 빛(광학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 것을 말한다. 상기 PC는 상기 검안 현미경으로부터 제공되는 촬상 신호를 영상 신호로 변경하여 표출한다. 상기 검안 현미경에서 촬영 버튼이 눌러지면 캡쳐된 이미지가 상기 PC 화면에 표시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따라 이를 저장하거나 검사자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눈 검사 시스템은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구축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서버는 게시판, 대화방 등을 구비하는 사이버 진료 공간을 제공하고, 피검사자는 상기 사이버 진료 공간에서 검사자로부터 촬영한 피검안 영상에 대하여 상담받을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안 현미경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안 현미경(100)은 경통부(110)와 접안부(113)로 구성되는 하우징(케이스 프레임)으로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경통부(110)는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은 기본적으로 눈꺼풀, 결막, 각막, 전방(前房), 수정체, 유리체 등을 촬상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배율 렌즈(160)를 상기 경통부(110)에 추가적으로 끼워 안저(眼底)까지 촬상할 수 있다. 상기 경통부(110)의 외관에는 촬영 버튼(151)과, 슬릿 LED 변경 버튼(152)을 구비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이 피검안을 촬상하고 있는 가운데 상기 촬영 버튼(151)이 눌러지면 캡쳐된 영상에 대한 신호가 생성되어 상기 PC로 전송되고, 상기 PC는 수신한 신호를 영상 신호로 변경하여 표출한다. 차후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PC에 해당 파일로 저장하거나 타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슬릿 LED 변경 버튼(152)은 피검안을 향하여 45°, 90°, 135°각도로 측정광이 편향하도록 구성된 슬릿 LED들을 선택적으로 점등시킨다. 이는 편향된 광을 이용하여 입체적인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후술될 것이다. 상기 접안부(113)는 촬영시 눈 주위를 에워싸는 부분으로 산란하는 주변 빛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접안부(113)는 후술될 광원(LED)과 피검안을 이격시키는 역할 또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안부(113)는 깔대기 형상이고 피부와 닿는 부분을 실리콘, 러버와 같은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하여 착용시 만족감을 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안 현미경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검안 현미경(100)은 경통부(110)와 접안부(113)으로 구성되는 케이스 프레임으로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경통부(110)는 카메라 모듈(121) 및 USB 커넥터(122)를 구성하는 메인 보드(1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경통부(110)는 상기 메인 보드(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미도시됨) 상기 버튼들(151, 152)을 구비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121)은 결상 광학계와, 상기 결상 광학계에서 결상된 빛을 신호로 변환시키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USB 커넥터(122)로 출력시키는 카메라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결상 광학계는 렌즈, 경통 및 적외선 차단 필터(IR Cut-off Filter), 광학줌, 조리개(Iris), 셔터(shutter) 등을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 센서는 빛을 전기 신호로 바뀌서 디지털 형식으로 변화하는 역할, 즉 영상이 맺히는 부분이다. 일 예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 또는 CCD(Charged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가 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결상 광학계의 광학 줌, 셔터 등을 통제한다. 특히,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영상의 밝기를 광원의 조도와 관계없이 항상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는 자동 노출 보정(AE, Auto Exposure), 입사되는 광원의 색온도 변화에 따라 백광 발란스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자동 백광보정(AWB, Auto White Balance) 및 피사체에 초점이 자동으로 맞춰지도록 하는 자동 초점(AF, Auto Focus)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센서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받는 신호의 주파수 성분을 분석, 영상의 선명도를 인식하여 상기 조리개의 F 수(조리개의 직격/렌즈의 초점거리)와 셔터 스피드를 결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안 현미경(100)은 망막 촬영과 같은 고배율 촬영을 필요할 시 배율 렌즈(160)를 추가적으로 삽입시킬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통부(110)는 상기 배율 렌즈(160)를 삽입시키기 위한 홈(111)을 구비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121)의 카메라 센서는 상기 배율 렌즈(160)을 매개로 하여 피검안를 고배율로 촬상할 수 있다. 전술하였듯이, 상기 카메라 모듈(121)은 상기 배율 렌즈(160)가 삽입되더라도 자동으로 초점을 맞춰 선명한 화상을 촬상한다.
상기 접안부(113)는 피사용자가 눈 주위에 닿는 부분으로 주변의 산란하는 광을 차단한다. 특히, 상기 접안부(113)는 피사체를 비추는 광원을 제공하는 LED 보드(140)를 포함하고, 상기 LED 보드(140)는 상기 메인 보드(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미도시됨)되어 상기 슬릿 LED 변경 버튼(152)의 신호 출력 유무에 따른 제어를 받는다. 더욱이, 상기 접안부(113)는 상기 LED 보드(140)의 빛을 다양한 각도로 조사시켜 피검안으로 유도하기 위한 LED 커버(130)를 더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ED 보드와 LED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LED 보드(140)는 중앙이 개구된 형상이며, 피검안에 빛을 비추기 위한 다수의 LED(Light Emitting Diode)들을 둘레에 구비한다. 상기 LED들은 두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첫째, 피검안에 고른 측정광을 조사하기 위한 것들(142)(이하, 확산 LED라 칭함)과 편향된 각도의 측정광을 조사하기 위한 것들(141)(이하, 슬릿 LED라 칭함)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LED 커버(130)는 개구된 형상이며, 상기 확산 LED에 상응하는 홈(131)과 상기 슬릿 LED에 상응하는 슬릿부(133)를 구비한다. 상기 LED들은 상기 LED 커버(130)의 홈(131)과 상기 슬릿부(133)를 통해서 조사된다. 상기 LED 커버(130)가 도광 물질이라면, 상기 확산 LED(142)의 빛은 상기 피검안에 더욱 고르게 조사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LED 보드(140)의 슬릿부(133)는 상기 슬릿 LED(141)의 빛을 슬릿 형태로 피검안으로 유도한다. 피검안을 입체적으로 검사하기 위해서는 측정광을 다양한 각도에서 피검안으로 조사시켜야 하고, 이를 위하여 상기 LED 커버(130)의 슬릿부(133)는 상기 LED 보드(140)의 빛을 편향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상기 LED 커버(130)의 슬릿부(133)는 측정광을 45°로 편향시키는 것(133-1)과, 90°로 편향시키는 것(133-2) 및 135°로 편향시키는 것(133-3)으로 구성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슬릿 LED(141)가 상기 확산 LED(142)보다 직진성이 우수한 것이라면 상기 슬릿부(133)가 없어도 된다.
상기 슬릿부(133)에 상응하는 슬릿 LED들(141)은 선택적으로 점등된다. 전술하였듯이, 상기 슬릿 LED 변경 버튼(152)을 누르면 피사체를 향하여 45°, 90°, 135°각도로 직진하도록 각기 구성된 세 개의 슬릿 LED들이 선택적으 점등 되도록 상기 메인보드(120)가 제어한다. 따라서, 다양한 각도의 슬릿 측정광에 따라 피검안을 촬영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안 현미경(100)과 USB 케이블(200)을 연결시킬 경우 상기 USB 케이블(200)의 수커넥터(201)는 상기 경통부(110)에 구비된 홈(112)를 거쳐 상기 USB 암커넥터(122)에 끼워진다. 특히, 아래 도면에서 보여지듯, USB 케이블(200)의 몰딩부(202)도 상기 경통부(110)에 일부 삽입되어 지지받는다. 이는 USB 케이블(200)을 상기 검안 현미경(100)에 완고하게 접속 및 고정시키는데 한몫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헬스 케어용 원격 화상 세극등 촬영 장치(검안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안 장치는 검안 현미경과, 상기 검안 현미경과 USB로 소통하는 PC를 포함한다.
상기 검안 현미경은 촬영을 위한 카메라부(51)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52)와, USB 통신을 위한 통신부(53) 및 동작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54)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부(51)는 촬상 신호를 출력하는 촬상부와, 촬상에 필요한 빛을 제공하는 광원부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광원부는 서로 다른 각도의 슬릿 측정광을 피검안으로 조사시키는 슬릿 LED들을 구성한다. 상기 입력부(52)에서 슬릿 LED의 변경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제어부(54)는 상기 슬릿 LED들을 선택적으로 점등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54)는 상기 카메라부(51)로부터 출력되는 촬상 신호를 상기 통신부(53)를 통해 상기 PC로 전송시킨다. 특히, 상기 입력부(52)에서 촬영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제어부(54)는 상기 카메라부(51)가 해당 영상을 캡쳐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부(51)는 캡쳐된 영상의 신호를 출력한다. 다음, 상기 제어부(54)는 상기 카메라부(51)에서 출력된 캡쳐된 영상에 대한 신호를 상기 통신부(53)를 통해서 상기 PC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PC는 캡쳐된 영상에 대한 신호가 수신되는 것을 감지하고, 이 캡쳐된 영상에 대한 신호를 영상 신호로 변경 후 다시 표출시켜 사용자에게 확인시키거나 해당 인터페이스에 따라 이미지로 저장 및 타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PC는 표시하는 대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61)와, 상기 메모리부(61)에 저장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화상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62)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63)와, 통신을 위한 통신부(64) 및 동작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65)를 포함한다. 상기 PC의 구성은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 상기 제어부(65) 상기 검안 현미경으로부터 수신한 촬상 신호를 영상 신호로 바꿔 상기 디스플레이부(62)로 표출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65)는 상기 검안 현미경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받는 촬상 신호를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화질에 관련한 다양한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1)

  1. 유비쿼터스 헬스 케어용 원격 화상 세극등 촬영 장치(검안 장치)에 있어서,
    피사체를 촬상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검안 현미경 및
    상기 검안 현미경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제공받아 해당 영상으로 표출하고, 이를 저장 또는 타 단말로 전송하는 PC(Personal Comput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헬스 케어용 원격 화상 세극등 촬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안 현미경과 상기 PC는,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헬스 케어용 원격 화상 세극등 촬영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안 현미경은,
    상기 PC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구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헬스 케어용 원격 화상 세극등 촬영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안 현미경은,
    피사체를 촬상하는 카메라 모듈과 USB(Universal Serial Bus) 암커텍터가 구비된 메인 보드;
    상기 카메라 모듈 앞에 위치하고 상기 메인 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피사체로 광을 조사하도록 배열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Light Emitting Diode)가 구성된 LED 보드;
    상기 LED 보드 앞에 위치하고 상기 LED 보드의 해당 LED의 광을 편향시켜 피사체로 유도하는 LED 커버 및
    상기 메인 보드, LED 보드 및 LED 커버를 내삽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상기 LED 커버 앞으로 개구되고 상기 암커넥터에 수커넥터가 끼워질 수 있는 홈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헬스 케어용 원격 화상 세극등 촬영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LED 커버는,
    상기 LED 보드의 해당 LED의 광을 45°, 90°, 135°중 어느 하나의 각도로 편향시켜 피사체로 유도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헬스 케어용 원격 화상 세극등 촬영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깔대기 형상으로 개구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헬스 케어용 원격 화상 세극등 촬영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개구의 외주단을 실리콘, 러버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헬스 케어용 원격 화상 세극등 촬영 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주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보드로 신호를 입력하는 LED 변경 버튼을 더 구비하고,
    상기 LED 변경 버튼에서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메인 보드는 상기 LED 커버에 상응하는 상기 LED 보드의 LED들을 선택적으로 점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헬스 케어용 원격 화상 세극등 촬영 장치.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주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보드로 신호를 입력하는 촬영 버튼을 더 구비하고,
    상기 촬영 버튼에서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메인 보드는 상기 카메라 모듈이 해당 영상을 캡쳐한 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헬스 케어용 원격 화상 세극등 촬영 장치.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LED 보드와 상기 카메라 모듈에 사이에 위치되도록 탈착 가능한 배율 렌즈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배율 렌즈을 탈착시키기 위한 홈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헬스 케어용 원격 화상 세극등 촬영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촬상을 위한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 또는 CCD(Charged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헬스 케어용 원격 화상 세극등 촬영 장치.
KR1020110013592A 2011-02-16 2011-02-16 유비쿼터스 헬스 케어용 원격 화상 세극등 촬영 장치 KR101253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592A KR101253302B1 (ko) 2011-02-16 2011-02-16 유비쿼터스 헬스 케어용 원격 화상 세극등 촬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592A KR101253302B1 (ko) 2011-02-16 2011-02-16 유비쿼터스 헬스 케어용 원격 화상 세극등 촬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232A true KR20120094232A (ko) 2012-08-24
KR101253302B1 KR101253302B1 (ko) 2013-04-12

Family

ID=46885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3592A KR101253302B1 (ko) 2011-02-16 2011-02-16 유비쿼터스 헬스 케어용 원격 화상 세극등 촬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33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5877A1 (ko) * 2014-02-03 2015-08-06 김동관 세극등 현미경용 어댑터
WO2018004071A1 (ko) * 2016-06-28 2018-01-0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저 검사 효율을 향상시키는 렌즈 필터 어댑터
CN116058787A (zh) * 2023-03-03 2023-05-05 万灵帮桥医疗器械(广州)有限责任公司 可远程控制的裂隙灯显微镜及遥控手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065B1 (ko) * 2018-07-10 2020-06-23 김선호 휴대용 디지털 세극등 현미경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676B1 (ko) * 2001-07-04 2003-11-28 김희찬 원격진료용 디지털 검안경 시스템
KR20040067532A (ko) * 2003-01-24 2004-07-30 박상철 원격 진료용 안구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구검사방법
WO2008030944A2 (en) * 2006-09-06 2008-03-13 Eye Marker Systems, Inc. A noninvasive ocular monitor and method for measuring and analyzing physiological data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5877A1 (ko) * 2014-02-03 2015-08-06 김동관 세극등 현미경용 어댑터
US9826901B2 (en) 2014-02-03 2017-11-28 Dong Kwan Kim Adaptor for slit lamp microscope
WO2018004071A1 (ko) * 2016-06-28 2018-01-0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저 검사 효율을 향상시키는 렌즈 필터 어댑터
CN116058787A (zh) * 2023-03-03 2023-05-05 万灵帮桥医疗器械(广州)有限责任公司 可远程控制的裂隙灯显微镜及遥控手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3302B1 (ko) 2013-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36630A1 (en) Cellscope apparatus and methods for imaging
US20220071486A1 (en) Hand-held portable fundus camera for screening photography
JP6287238B2 (ja) プレノプティック型検耳鏡
US9962071B2 (en) Self-illuminated handheld lens for retinal examination and photography and related method thereof
AU2015217528B2 (en) Fundus imaging system
US20130083185A1 (en) Optical adapter for ophthalmological imaging apparatus
US20180055351A1 (en) Self-Illuminated Handheld Lens for Retinal Examination and Photography and Related Method thereof
US20120257163A1 (en) Video Infrared Ophthalmoscope
US20140267668A1 (en) Portable fundus camera
WO2018079329A1 (ja) 内視鏡システムおよび内視鏡
KR101253302B1 (ko) 유비쿼터스 헬스 케어용 원격 화상 세극등 촬영 장치
WO2017137999A1 (en) Wide angle stereoscopic funduscopy
JP5578687B2 (ja) フレンツェル眼鏡用眼振撮影装置
KR101349923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검이경, 및 이에 사용되는 스페큘러 구조
TWI576772B (zh) 多焦段影像擷取裝置
JP2010268900A (ja) 瞳孔径の測定方法及び瞳孔撮影装置
CN204618188U (zh) 一种用于拍摄医用照片的手机照相配件
KR102014529B1 (ko) 적외선 사전조명을 이용한 안저촬영 시스템
US11241149B2 (en) Imaging device attachment compatible with a mobile device
KR101601410B1 (ko) 휴대용 내시경 시스템
US11826024B2 (en) Multi-organ imaging system with a single, multi-examination illumination unit
KR20040067532A (ko) 원격 진료용 안구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구검사방법
KR100679282B1 (ko) 의료용 무선 영상 진단 장치
KR200389886Y1 (ko) 의료용 무선 영상 진단 장치
JP2019103079A (ja) 虹彩撮影装置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虹彩分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6